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성결교회 성결론 형성 배경 및 정체성 연구

        김정호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논문은 한국성결교회 성결론 형성 배경 및 정체성을 연구한 것이다. 한국성결교회는 그 이름도 성결교회로 칭할만큼 성결을 강조함으로 그 특징을 이루고 있다. 그렇다면 성결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오늘 한국성결교회가 이해하고 있는 성결은 무엇인가? 여러 교파들이 거의가 전부 성결이란 용어를 사용하지만 성결의 내용과 신학적 정의는 큰 차이를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개신교의 시작은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에서부터이다. 루터는 천주교의 공로구원에 반대하여 구원은 오직 믿음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다. 개신교는 루터의 칭의 교리 위에 세워졌다. 하지만 이 루터의 칭의의 교리가 여기에서 끝난다면 그것은 잘못이다. 칼 바르트는 우리를 의롭다고 인정하신 하나님은 우리가 실제로 의로와지기를 바란다고 했다. 칭의의 교리는 신앙의 출발점은 될지라도 목적은 아니다. 신앙의 목적은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라”(벧전 1:16)고 말씀하신대로 온전한 성화이다. 필자는 본 논문 1장에서 한국성결교회 성결론 형성 배경 연구를 통해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의 신학적 배경을 밝히고자 했다. 한국성결교회는 웨슬리가 주장하던 성결의 도리를 그대로 전하기 위해 창립되었다. 웨슬리는 “칭의가 구원의 문이라면 성결은 구원의 방”이라고 주장하며 칭의 후의 제2의 축복으로 성결을 강조하였고 성결은 하나님께서 감리교회에게 전하라고 맡겨주신 “위대한 유산”이라고 말하면서 이것을 전하지 않는 감리교가 있을까 두렵다고 했다. 그러나 한국성결교회는 웨슬리가 직접 창립한 교회가 아니라 웨슬리 전통을 물려받고 있는 교회다. 감리교가 18세기 웨슬리로부터 직접 유래한 데 반해, 한국성결교회는 웨슬리를 계승한 19세기 미국 성결운동으로부터 유래했다. 그러므로 한국성결교회는 18세기 웨슬리신학과 그것을 시대적 상황 속에서 발전적으로 계승한 19세기 미국의 성결운동을 배경으로 탄생되었다. 2장에서 한국성결교회 주요한 인물들의 신학에서 그들이 성결을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연구했다. 1907년 김상준과 정빈의 복음전도에 태동된 한국성결교회를 건축한 분이 이명직이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명직은 한국성결교회 창립자는 아니었지만 그 이상으로 성결교회 신학과 교리 정립과 발전에 공헌했다. 김응조는 이명직으로부터 가르침을 받고 그의 신앙과 신학을 계승한 성결교 2세대였다. 이성주는 대표적인 3세대 성결교 신학자이다. 성결에 대한 이명직 그리고 김응조와 이성주의 정의는 동일하다. 중생과 성결을 구분한 것, 성결과 성령세례를 동일한 경험으로 이해하고, 또 성결을 원죄와 관련시킨 것은 이들의 성결론이 웨슬리 전통과 입장을 같이하는 것이며 더불어 19세기 후반 급진파 성결운동 노선에서 영향 받았음을 보여준다. 3장에서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의 정체성 및 신학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한국성결교회는 1961년 분열되어 기독교대한성결교회와 예수교대한성결교회로 양립되어있다. 그러나 성결에 대한 주장과 입장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기성과 예성이 말하는 성결은 같다. “성결이란 중생 이후에 이루어지는 이차적인 축복이며 성결의 은혜를 받게 되면 인간의 마음속에 자리잡고 있는 원죄(혹은 부패성)에서 정결케 되며 성결은 성령의 사역이기 때문에 성령세례라고 불려진다.” 그래서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은 다음과 같은 신학적인 특징이 있다. 한국성결교회는 웨슬리안 성결교파중의 하나이며 웨슬리안 성결운동에서 강조하는 성결론의 핵심은 다음 세 가지이다. 그것은 중생과 성령세례가 구분된다는 것이고 성령세례는 곧 즉각적인 성결의 체험이며 또한 성결에 대한 이해는 명백한 죄성 제거설(eradication theory)을 주장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 한국성결교회 성결론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왜냐하면 신학은 과거의 역사를 연구하고 분석하는 데서 끝나서는 안되며 오늘 우리의 문제에 대한 대답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 영암의 사중복음에 대한 연구 : 성결론을 중심으로

        김진숙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Holiness Church of Korea was started in 1907 by Jeong Bin and Kim Sang-jun, who were educated at 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 which was influenced by Wesley's revival movement in the 18th century and the American Holiness movement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Holiness Church has grown and developed greatly. The Holiness Church emphasized the Fourfold Gospel from the beginning, and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there was the dedication of the early advanced leader at the base where the Holiness Church achieved growth and development as it is now. Among those advanced leader, it can be said that the role of Pastor Kim Eung-jo in Youngam was very large. Youngam was an excellent pastor, preacher, preacher, revivalist, school founder, operator, and educator. He was also a biblical expert who was familiar with the Bible. This researcher studied the Fourfold gospel centered on the Holiness Theory of Kim Eung-jo in Youngam, who struggled to establish Yesung theology. Youngam thought of the Fourfold Gospel as a biblical orthodoxy and used it as the basis, in order to properly establish religious theology in a situation where theology, higher criticism, and modernism were flourishing at the time. In addition, before and after the separation of the denomination, it was emphasized that the theology of the Holiness Church, which was correct and orthodox at the time, and the theology of the Holiness Church, was Fourfold gospel. Youngam confesses that he experienced the grace of the people as soon as he was baptized at the age of 15, and that he also experienced the grace of sincerity by experiencing the fantasy of 'the Second Coming' during his evangelical trip in Japan. In addition, Youngam was healed of the serious illness he had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Divine Healing in 1930. Youngam is not only a theoretical emphasis on the Fourfold Gospel, but also a practitioner who lived through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nce again deeply understand the representative quadrupedal doctrine of Yesung Church through the study of the quadrupedal gospel centered on the gender conclusion of Youngam, the representative of Yesung Church. Youngam defined the holy spirit as "being bound by the sins inherited from Adam and crucifying human affection and greed." It was also explained that the purpose of the holy spirit was to complete the purpose of God's restraint. Youngam explains the necessity of consecration in seven ways: ①Holiness is God's plan, ② Holiness is God's Great Commission, ③Holiness is God's will, ④ Holiness is God's promise, ⑤ The nature of flesh is destroyed, ⑥ Holiness is the purpose of atonement. ⑦Holiness is necessary to meet the Lord. In addition, Youngam explains that in "Holiness and Experience," "Holiness and Growth," "Holiness is instantaneous but growth is needing time," and "Holiness is temporary but the Sanctification is indefinite." In Holiness and "Possibility of Corruption," it is a principle not to commit crimes after Corruption, but it can be committed because humans are vulnerable and free. It then emphasizes that God's holiness is absolute holiness, but human holiness is relative holiness. As a result of studying the Holiness Theory of Youngam, it can be seen that the Holiness Theory of Youngam is almost the same as the view of the theology of the Holiness Church. In an era when the necessity of holiness due to secularization is required, we understand Youngam's holiness theory correctly, so we hope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discover the value of holiness theology and enrich holiness theology. 한국성결교회는 18세기의 웨슬리의 부흥 운동과 19세기 말의 미국의 성결 운동의 영향을 받은 동경성서학원에서 교육받은 정빈과 김상준에 의해 1907년 시작되었다. 성결교회는 그동안 크게 성장과 발전하였다. 성결교회는 초기부터 사중복음을 강조하였는데 성결교단이 지금처럼 성장과 발전을 이룬 저변에는 초장기의 선진 들의 헌신이 있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러한 선진들 중 영암 김응조 목사의 역할을 아주 컸다고 말할 수 있다. 영암은 탁월한 목회자이며, 전도자이자 설교자였으며, 부흥사였고, 학교 설립자와 운영자였고 교육자였다. 또한 성경에 정통한 성서 강해자였다. 본 연구자는 예성신학을 정립하기 위해 애쓴 영암 김응조의 성결론을 중심으로 한 사중복음을 연구하였다. 영암은 사중복음을 성경적인 정통신학으로 생각하여 그것을 기초로 삼았는데 그것은 당시에 신신학과 고등비평, 현대주의가 활개를 치는 상황에서 교단 신학을 올바로 정립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교단 분립을 전후로 하여 당시에 올바르고 정통적인 신학과 성결 교리에 맞는 성결교회 신학은 사중복음임을 강조하였다. 영암은 15세에 세례를 받는 순간 중생의 은혜를 체험했으며, 일본에서 전도 여행 중 재림의 환상을 체험함으로 성결의 은혜도 체험했음을 고백하고 있다. 또한 영암은 1930년 신유의 체험을 통해 그동안 갖고 있던 중병을 치유받기도 하였다. 영암은 사중복음을 이론적으로만 강조한 것이 아니라 체험을 통해 살아낸 실천가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성 교단의 대표인 영암의 성결론을 중심으로 한 사중복음을 연구를 통하여 예성교단의 대표적인 사중복음 교리를 다시 한번 깊이 이해하는 데 있다. 영암은 성결을 정의하기를 ‘아담으로부터 유전하여 내려오는 죄성에서 구속함을 받는 일과 인간의 정과 욕심을 십자가에 못 박는 일’이라고 하였다. 또한 성결의 목적은 하나님의 구속목적을 완성하기 위한 것이라 설명하였다. 영암은 성결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7가지로 설명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①성결은 하나님의 계획 ②성결은 하나님의 지상명령 ③성결은 하나님의 뜻 ④성결은 하나님의 약속 ⑤육의 성질을 멸함 ⑥성결은 속죄의 목적 ⑦성결은 주를 만나는 데 필요함이다. 이외에도 영암은 ‘성결과 체험’에서는 성결이란 죄의 뿌리를 뽑는다는 말이며, ‘성결과 성장’에서는 성결은 순간적이지만 성장은 시간적이라고 설명하며, ‘성결과 성화’에서는 성결은 일시적이지만 성화는 무기한이라고 설명한다, ‘성결과 타락의 가능성’에서는 성결 후에 범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인간이 연약하고, 또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기에 또 범죄 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어 하나님의 성결은 절대적 성결이지만 인간의 성결은 상대적 성결임을 강조하고 있다. 영암의 성결론을 연구한 결과 영암의 성결론은 성결교단의 신학의 관점과 거의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세속화로 인한 성결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시대에 영암의 성결론을 바르게 이해하므로 성결신학의 가치를 발견하게 되고 성결신학이 더 풍성해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간에 대한 신학적 고찰

        김상현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간의 존엄성을 해하는 기술들에 대해 경각심을 갖고, 이러한 기술들이 인간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의 해결방안으로 인간의 자유와 존엄성에 대한 불가침성을 회복하고자 신학적 인간이해를 근거로 방안들을 모색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핵심기술인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과 유전자공학 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를 해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방안으로서 신학적 인간관을 제시한다. 신학적 인간관을 세부적으로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관, 존엄한 인간관, 자유로운 인간관으로 분류한다. 신학적 인간에 대한 이해는 창조된 인간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형상,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인간의 존엄성, 인간의 존엄성으로부터 오는 자유에 대해 살핌으로 인공지능 기술과 유전자공학 기술로 인한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의 박탈에 대한 문제에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를 해하는 문제들에 대한 방안으로 첫째, 신학적 인간관에 대한 교육을 통해 문화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인공지능기술에 대한 윤리신학적 제안으로서,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인간이 윤리적 범주를 벗어난 연구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 또 인공지능의 연구에 앞서 윤리신학적 기준을 세우는 일에도 고민을 해야 한다. 셋째, 유전자공학기술의 제도적 제한은 독일의 배아보호법과 대한민국의 인간의 존엄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법 조항들처럼 인간 생명의 보호를 위하여 절대 타협될 수 없는 제도적 제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을 통한 기술의 발달이 가져올 이점으로 인한 인간에 미칠 영향에 대해 무조건의 수용 보다는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를 지키기 위한 신학적 인간이해를 제시한다.

      • 목회서신에 나타난 신학과 윤리의 통합

        이우경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is focused on pastoral epistles by the integration of theology and ethics. This study's argument is followed on: First, False teachers, the community has a decisive influence. They fell into a speculative an exposition. House churches of Ephesus, importantly, the map location of the church, and exercised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false teachers in the fact that the wrong way. As a result, the beliefs and deeds of believers who had heresy was influential. It was wrong to theological or ethical teachings. Second, In the Pastoral Epistles, based on this key theological eschatology and soteriology, ecclesiology and ethics deployed to respond to the situation of the church in Ephesus. These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the Christian, as a steward, you need proper deeds. Third, Pastoral Epistles through the 'sound doctrine' 'correct language' emphasizes the relationship of theology and ethics. Theology and ethics, combine to form one coherent structure.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opinions and commentaries of scholars. Contents are as follows: (Howard Marshall) saw it as the core theological pastoral epistles of christology and soteriology. In the same vein (Philip Towner) also the center of the Pastoral Epistles Theology salvation is formed from a combination of theology and ethics was more thinking. Grasp the importance of the combination of theology and ethics, and to apply it when you begin to understand the pastoral epistles. Interested in Paul's belief in the right that is represented by a straight life. What characterizes the pastoral letter is not a doctrine. Holy life, and a mixture of right doctrine can be said. In conclusion, theology and ethics dense connected. Paul's message was determined by the specific nature and results. They had caused a distortion of the gospel of the roots of division lies. This counsels of Paul and the theological and ethical response is at the heart of ethical beliefs and practices, matching the right theology. And it is the duty of the church to maintain it is balance. A good minister of Jesus Christ, we should strive for further growth. This paper, through the example of others and hope to indicate maturity. 이 연구는 목회서신의 신학과 윤리의 통합에 대한 연구이다. 이에 관련한 목회서신에 나오는 본문을 통하여 신학과 윤리의 연결점을 찾고자 했다. 왜냐하면 목회서신의 바탕에는 신학적인 골격이 깔려있기 때문이다. 목회서신은 바울의 다른 어떤 편지들보다 더 특징적으로 신학과 윤리의 온전한 결합을 강조한다. 이 현재의 시대에서 구원을 통하여 주어지는 그리스도인의 실존은 윤리의 응답을 포함하지만 그러기를 방해하는 세력들이 있다. 그것은 거짓 선생의 문제이다. 목회서신의 일련의 본문에서 거짓 선생들의 문제를 다룬다. 때문에 거짓 선생들의 문제는 목회서신의 핵심적인 주제 중에 하나라고 생각 할 수 있다. 논문의 중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짓 교사로 인해 지역 사회가 결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에베소와 그레데 교회들은 중요한 교회의 위치를 잃었고 잘못된 방법으로 잘못된 교사에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그 결과, 이단의 가르침으로 신자의 믿음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았다. 그것은 신학적 또는 윤리적 가르침의 문제를 주었다. 거짓 선생들은 다른 교훈을 가르치는 일에 집중했다. 그들은 율법의 가르침을 핵심모드로 삼았으나 율법의 본뜻을 파악하지 못하고 사변적인 석의 방법에 빠졌다. 둘째, 목회서신은 편지들의 초두에서 ‘청결한 마음’, ‘선한 착한 양심’ 혹은 ‘선행’, ‘거짓이 없는 믿음’ 그리고 ‘더러운 마음과 양심’에 대한 비난 등을 통하여 믿음과 경건한 인격의 결합을 함축적으로 제시한다. 이렇게 윤리적 도덕적 성실을 반복해서 강조하는 것은 목회서신의 가장 독특한 특징이다. 그리스도인들은 내적 성결의 삶을 살 뿐만 아니라, 또한 그리스도교적 방식의 길을 걸으며 도덕적으로 우월함을 사람들에게 보여주어야 한다. 셋째, 목회 서신서는 신학과 윤리의 관계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일관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할 수 있다. 방법은 학자들의 의견과 주석으로 정리하였다. 대표적으로 마샬은 신학적 핵심을 기독론과 구원론으로 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에베소와 그레데 교회의 상황에 대응하는 교회론과 윤리를 전개한다고 주장한다. 타우너 또한 목회서신의 큰 주제를 구원론으로 본다. 목회서신의 핵심적 신학인 구원론을 비롯하여 다른 주요 신학적 주제들(종말론, 구원론, 교회론)을 다룰 것이다. 결론적으로 목회서신은 건전한 가르침과 건전한 삶, 그리고 그 결합을 반복해서 강조하는데 이는 단지 많은 주제들 가운데 하나이거나 편지의 실천적인 후반부를 위하여 남겨진 주제가 아니라, 바른 가르침과 뒤엉켜 연결되고 전 작품의 구조에 짜여 들어간 주제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목회자와 교회는 이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며 반드시 이행해야 할 의무로서 이해되어 진다.

      • 바울 신학의 다메섹 기원에 관한 연구 : 바울 신학의 다메섹 기원에 관한 연구

        김영일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바울 신학의 다메섹 기원에 관한 연구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신약신학 전공 김 영 일 바울신약의 연구에 있어, 그의 신학은 무엇을 근거로 형성되었는가? 즉, 바울 신학은 다메섹에 그 근원을 두고 있는가? 아니면 현장 상황에 대한 점진적 발전인가? 라는 기원에 관한 논쟁이 이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논쟁에 대한 김세윤과 제임스 던(James. D. G. Dunn)의 주장 을 비교하여 바울신학의 기원에 관해 연구한다. 바울신학에 대한 종교 개혁의 관점을 사실상 뒤집어 버린 ‘새 관 점’(New Perspective on Paul) 학파에 대해 교리 보호를 위한 비판을 멈 추고 그들의 쉽게 무시할 수 없는 주해적 설득력에 대해 냉철하게 검증하 여 수용하고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두 학자의 서로 다른 주장은 상호 수용의 과정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김세윤의 ‘유보적 칭의론’과 제임스 던의 ‘이미-아직’은 그 일치점을 보여 준다. 이는 김세윤의 수용적 해석의 결과로 보여진다. 또한 바울 신학의 직접 계시의 면과 점진적 교리 발전의 면을 사도행전 9장의 주해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일련의 연구들을 통해 우리는 바울과 그의 신학을 연구 함에 있어 이와 같은 수용과 보완을 통한 균형 있는 관점에 이르게 된다. 첫째, 바울 신학의 이해를 위해 직접적 계시와 교리의 점진적 발전에 대한 균형 있는 수용이 필요하다. 둘째, 새 관점에 대한 주해석 설득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수용하고 보완하여 일치점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초기 기독교의 뿌리인 유대교를 알고 연속성 안에서 초기 기독교를 이해할 때, 현재의 신학적 한계를 뛰어넘어 구약과 신약을 관통하는 신학 적 흐름을 더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바울신학 기원, 다메섹, 새 관점, 김세윤, 제임스 던

      • 이명직과 김응조의 재림론 비교 연구

        황교은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오늘날 성결교회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의 사중복음에 대한 신학적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중이다. 정빈과 김상준에 의해 시작된 한국성결교회는 교파적 배경 없이 복음전도관이라는 열악한 환경 가운데에서 오직 한국인에게 복음을 전파하여 영혼구원 이루고자 하는 열망 가운데 발전하여왔다. 1961년에 한국성결교회는 양분되는 아픔을 겪었으나 이후 예성과 기성 두 교단은 사중복음이라는 성결교회의 근간을 이루는 신학사상을 공유하며 각자의 신학을 발전시키는데 힘을 쏟아왔다. 그동안 연구된 성결교회의 사중복음인 ‘중생, 성결, 신유, 재림’에 대한 연구 주제들을 살펴보면, ‘중생, 성결, 신유’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림’에 대한 연구는 양적으로 많지 않다. 이것은 오늘날 교회가 풍요로움 가운데 현실만족에 치우쳐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성결교회의 사중복음 가운데, ‘재림’에 대한 연구물을 살피며, 특별히 두 교단의 주요 학자인 이명직과 김응조의 재림론을 비교하였다. 각자 주어진 상황은 달랐으나, 이명직과 김응조 두 인물은 성경을 중심으로 사역하였고 성결교회에 보물과 같은 저서들을 많이 남김으로서 오늘날 성결교회의 신학을 살피는 데 있어 반드시 연구해야 할 인물들이다. 본 연구는 이명직과 김응조가 주장하는 재림에 관한 내용인 ‘세대주의 전천년설’이 형성된 역사적 배경과 한국성결교회로 전파된 과정 그리고 이를 계승 발전하였던 두 신학자의 재림론을 비교 정리함으로써, 오늘날 큰 관심을 누리지 못하고 왜곡된 시선을 받기도 하는 ‘종말론적 신앙’이 얼마나 소중한 성결교회의 신학적 유산인지를 발견하게 할 것이다.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f Lee Myeong-Jik and Kim Eung-Jo for Their Second Coming Theories Hwang, Kyo-Eun Major in Historical Theology Graduate School of Theology Sungkyul University There is an ongoing stream of theological reach on the Fourfold Gospel including Regeneration, Holiness,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today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Holiness Church. The Korean Holiness Church initiated by Jeong Bin and Kim Sang-jun developed with its passion for saving souls by spreading the Gospels to the Korean people despite its poor environment at the Evangelical Preaching Hall without any denominational backgrounds. In 1961, the Korean Holiness Church suffered the pain of division. Since then, it has been divided into two orders of Ye-Sung(Jesus Korea Sungkyul Church) and Gi-Sung(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The two orders have devoted themselves to the development of their respective theology by sharing the Fourfold Gospel, which is the theological idea at the root of the Holiness Church. Of studies on "Regeneration, Holiness,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in the Fourfold Gospel, the number of the studies on "Second Coming"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studies on "Regeneration, Holiness, and Divine Heali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previous studies on the "Second Coming" in the Fourfold Gospel of Holiness Church and compare Lee Myeong-Jik and Kim Eung-Jo, who were principal scholars of the two orders, for their Second Coming theories. Even though they were in different situations, Lee and Kim served their ministry around the Bible and wrote important books like the treasure of Holiness Church. They must be covered by any studies on the theology of the Holiness Church today. The study compared and arranged the two theologians for the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which is about Second Coming argued by Lee and Kim, in terms of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its spread to the Korean Holiness Church in addition to the Second Coming theories of the two theologians who inherited and developed it, demonstrating how precious ‘apocalyptic faith,’ which attracts no big interest and is subjected to a distorted viewpoint today, is as the theological heritage of Holiness Church.

      • 기독론적 사중복음에 관한 고찰

        고희준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사중복음이 한국조직신학자들의 신학 속에서 보편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논증하는데 있다. 사중복음은 성경의 핵심교리로 성경을 인간들에게 이해하기 쉽게 표현한 신학이다. 그러나 그동안 사중복음의 연구가 성결교단에 집중된 면이 있었으며, 한국조직신학에서는 총괄적으로 연구되어지지 못한 면이 있었다. 그러므로 한국조직신학자들은 사중복음에 대한 이해가 없거나 그들의 신학 속에는 사중복음이 전혀 없다는 오해가 생기게 되었다. 하지만 한국조직신학자들은 사중복음이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는 않더라도 그들의 신학 속에서 사중복음을 보편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것을 논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사중복음을 한국조직신학자들을 중심하여 역사적으로, 교단별로, 조직신학자별로 연구하였다. 또한 사중복음을 삼위일체론적 관점과 성령론적 관점에서 함께 연구할 수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기독론적 관점에 제한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사중복음을 기독론적 관점으로 거듭나게 하시는 예수 그리스도, 온전하게 하시는 예수 그리스도, 질병을 치료하시는 예수 그리스도, 그리고 재림의 주 되신 예수 그리스도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Ⅰ장에서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연구 방법 및 내용소개가 다루어졌다. Ⅱ장에서는 거듭나게 하시는 그리스도를 중보자와 화목자로 보았다. 그리스도는 자신의 의를 인간들에게 주었으며 인간들은 그리스도의 의로 죄사함을 받고 영생 할 수 있는 새로운 존재가 되었다. 그리스도는 자신의 희생으로 인간의 죄를 사하시고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셨다. 또한 그리스도는 믿는 자의 의롭다 인정받을 수 있는 법적 근거를 제공하셨다.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은 죄로 죽을 수밖에 없는 인간의 거듭남을 가능하게 하고, 변화를 받아 중생하고, 하나님 성품의 회복을 가능하게 하셨다. 그리스도의 사역을 통하여 인간은 하나님의 자녀로 받아들여지고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법적인 상속권을 부여 받았다. 또한 인간은 머리되신 그리스도와 함께 그의 지체가 되어 하나님께 나아가게 되었다. 하나님의 자녀들인 인간들은 공동체로 살아가게 되었다. 인간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베풀어진 구원의 은혜을 자신의 지·정·의를 동원하여 받아들여 구원을 얻게 되었다. 또한 회개를 죄의 깨달음, 통회, 자백, 죄의 버림 그리고 변상의 단계로 할 수 있게 되었다. Ⅲ장에서는 한국의 신학적 상황에서 성결이 강조되어야함을 말했다. 그리스도는 그의 보혈로 사람을 정결하게 하시고 거룩하게 하셨다. 그리고 그는 성결한 사람에게 죄를 이길 힘을 주셨다. 그리스도는 성결한 사람들에게 죄를 이길 힘을 주신다. 성결한 사람은 죄와 싸워 승리하게 된다. 그리스도의 내주하심으로 인간은 온전한 하나님의 사랑을 회복하여 이웃을 하나님의 사랑으로 사랑하고 넘치는 능력으로 살아가게 되었다. 성결한 인간은 열매 맺는 삶으로써의 윤리적 책임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스도는 인간을 자신의 장성한 분량에까지 생활의 최종목표로서 성장과 발달을 하게 하셨다. 그리스도는 인간을 구원하셔서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이 되게 하셨다. 온전케 하시는 그리스도 안에서 인간은 세상과 철저히 구별된 하나님 백성으로서의 삶을 살게 된다. Ⅳ장에서는 신유사건에 대하여 논하였다. 인간은 영과 혼과 육을 온전히 구원하시는 그리스도의 신유를 받게 된다. 그리스도의 신유 사역은 그의 구원 사역의 일부이다. 그리스도는 스스로의 권능으로 인간들을 찾아 오셔서 주체적 측면의 치유를 하셨다. 또한 그리스도는 자신의 병 낫기를 간절히 원하는 인간들에게 2인칭 신앙적 측면의 치유를 하셨다. 제 3자의 치유를 위한 기도를 들으시고 3인칭 신앙적 측면에서도 치유를 하셨다. 또한 그리스도의 고난은 신유의 근거가 된다. 공동체의 죄 때문에 공동체에 속한 개인이 병이 든 경우는 공동체의 회개가 요구된다. 그리스도는 공동체의 회개를 통하여 개인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질병도 치유 하신다. Ⅴ장에서는 재림 주 되신 그리스도에 관하여 논하였다. 그리스도의 재림은 역사적 사실이다. 그 동안 한국 신학에서는 같은 교단의 재림론이 시대에 따라 바뀐 경우도 있었고, 같은 신학에서 다른 재림론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성결교회의 재림론은 역사적으로 변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가장 성서적인 재림론인 미래적 전천년적 재림론에 따라 전개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한국 성결교회의 사중복음이 한국 신학에 더욱 확산, 연구되어지고 세계적인 신학으로 진보하는데 다소 기여할 수 있기를 소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at the Fourfold Gospel is universally dealt with in the theology of Korean systematic theologian. The Fourfold Gospel, as the kernel of Bible doctrine, helps people to understand Bible more easily. However, so far, the study on the Fourfold Gospel has been focused on the religious body of Sungkyul Church and it has not been sufficiently explored in Korean systematic theology. Therefore, Korean systematic theologians don't understand the Fourfold Gospel and misunderstand that systematic theology doesn't include the Fourfold Gospel. However, systematic theology expresses the Fourfold Gospel universally, even though Korean systematic theologians don't use the term 'the Fourfold Gospel' directly. In order to prove this f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urfold Gospel in terms of history, religious bodies, and individual systematic theologians, while focusing on Korean systematic theologians. It is certain that the Fourfold Gospel can be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Trinity theory and Pneumatology at the same time. However, this study is confined to the christology. This study classified the Fourfold Gospel into 4: Jesus Christ, makes us reborn in the perspective of Christology, Jesus Christ, makes us whole, Jesus Christ, who heals our disease, and second advent Jesus Chris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The question posing and study purpose, study method, and the introduction of contents are dealt with in the first chapter of this paper. The second chapter, sees Jesus Christ who makes us reborn, as a mediator and peace maker. Christ gave his righteousness to us and we are rescued from our sin through his righteousness and we obtained eternal life. Christ absolved us of our sin through his sacrifice. In addition, Jesus Christ offers legal foundation for confirming the righteousness of believers.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Christ makes our human beings, who should die because of our sin, reborn, transform, and restore the personality of God. Men are accepted as children of God and receive the legal right of inheritance through the work of Jesus Christ. In addition, we can move forward as a body of Christ, along with our head, Christ. Men who are children of God live in the community, accept the grace of salvation, rendered through Jesus Christ by mobilizing the help of intelligence, emotion, and volition. In addition, men have the stages of repentance: the realization of sin, contrition, confession, the throwing away of sin, and compensation. The third chapter emphasizes the holiness and purity in the theological situation of Korea. Jesus Christ makes us pure and holy through his precious blood and he gives the power, which can defeat sin, to the pure and holy people. Pure and holy people fight against sin and win in the long run. We can restore the whole love of God in the immanence of Christ, and can love our neighbor, with superfluous love and capacity. Pure and holy man can have the ethical responsibility, as a life to bear the fruit. Christ inspires men 's growth and development until they reach the ultimate goal of life. Christ rescued people and made them be the holy people of God. Men in Christ can live as God's people, distinguished from the world completely. The 4th chapter discusses the event of divine healing. Men are healed by Christ, who rescue soul, spirit, and fresh wholly. The divine healing is the part of Jesus Christ's salvation ministry. Christ came to people with his authority, and healed them independently. In addition, he healed people who desired for recovering from their illness in the aspect of the second person. He heard the prayer of the third person for healing, and healed people in the aspect of third person as well. In addition, the suffering of Christ is the foundation of divine healing. When an individual of a community is sick because of the sin of community, the repentance of a community is required. Christ heals the disease of community as well as the disease of an individual through the repentance of a community. The fifth chapter discusses the second advent Christ. The second advent Christ is the historical fact. In Korean theology, the theory of the second advent Christ in the same religious body,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era, and even same religious body has argued different theories of second advent Christ. However, the second advent theory of Holiness Church has not been changed historically. This study is based on the futurist Pre-millennial second advent, which is the most biblical. I hope the study of the Fourfold Gospel of Korean Sungkyul Church will be widely spread to the Korean theology and as a momentum of this study, it will contribute to advancing to the world theology.

      • 中國敎會의 神學과 敎育改善方向에 關한 硏究

        嚴震澤 聖潔大學敎 神學專門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현재 삼자교회와 가정교회를 포함한 중국교회의 신학을 분석하고, 중국교회 지도자 교육을 포함한 선교교육방법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삼자교회 신학은 하나님은 사랑이심을 강조한다. 인간성의 전체적인 타락을 부정한다. 삼자신학의 가장 큰 문제점은 성경을 보는 관점이다. 삼자신학은 하나님의 계시가 아직 이 세상에서 실행되어지고 있음을 강조한다. 그들은 성경 전체가 하나님으로부터 왔음을 믿지 않는다. 그러므로 신자들은 진정한 복음을 들을 수 없고, 예수그리스도 안에서 참 생명을 얻늘 수 없다. 교회에 생명력이 없으며, 영적으로 죽어가고 있는 것이다. 가정교회는 사회주의 제도가 시행되면서부터 생겨났다. 가정교회에는 3가지 형태가 있다. 공개적인 교회, 반공개적 교회, 비공개적인 교회가 그것이다. 가정교회의 신학은 한국교회와 같이 비교적 말씀중심의 보수신학이다. 그들은 성경전체가 하나님으로부터 왔음을 믿는다. 그들은 목회자를 포함하여 교회리더를 양성하는 훈련이 지나칠 정도로 단기간이며, 여러가지 이단들의 침투에 대한 방비가 미약한 편이다. 삼자교회와 가정교회의 가장 큰 문제점은 교회지도자의 부족에 있다. 정부에 등록되지 않은 가정교회에 있어서 목회자, 교사 등 모든 레벨의 리더와 일반 신자의 비율은 1:1,000이다. 삼자교회에 있어서 목회자 수와 일반신도의 비율은 1: 7,000이다. 오늘날 중국교회에 있어서 가장 절실한 문제는 성경도 아니고 교회건물도 아닙니다. 그것은 바로 교회지도자의 부족입니다. 많은 교회지도자와 목사들이 다른 직장에서 일하면서 하나님을 섬기고 있습니다. 그들은 낮에 직장에서 일하고 밤에 교회를 섬기고 있다. 더욱이 그들의 대부분은 조직적인 신학훈련을 받지 못한 상태이다. 많은 양떼들이 목자의 돌봄을 기다리고 있으며, 중국 어느 곳에서도 리더의 수는 부족한 가운데에 있다. 결론적으로 본 저자는 중국교회에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 번째, 중국교회는 바른 신학을 수립하여야 한다. 중국은 세계복음화를 실현시킬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한 국가이다. 중국인들은 그들이 세계의 중심에 있는 국민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이 세계를 품을 수 있는 교회가 되려면 중국교회의 신학의 틀이 세계를 품을 수 있는 넓은 신학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현 시점에 있어서 중국교회의 신학은 지역주의적이고, 사회주의 지상 천국주의 색채가 강하다. 세계선교를 수행하려면 성경 말씀을 기초로 한 복음주의 신학을 수립하여야 한다. 바른 신학으로서 중국철학 근저에 깔려 있는 ‘聖’의 사상과 닮은 한국의 ‘聖潔’神學을 추천한다. 둘째로, 삼자교회 목회자들을 위한 신학교정 사역이 필요하다. 삼자교회의 신학은 한마디로 중국정부의 정치적인 계획과 목적에 의해 정부주도하에서 이루어지는 중국사회주의건설을 위한 삼자정책을 앞세운 중국본색화 신학이다. 결국 삼자교회신학교 통해 배출된 목회자들은 바른 신학을 배울 수 없기 때문에 결국 교회에서의 섬김과 사역에서 많은 문제와 갈등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바른 신학을 전수해줄 선교사들을 필요로 하고 있다. 삼자교회 목회자들의 신학교정사역이야 말로 신학적으로 갈등을 갖고 있는 목회자들과 장래 중국삼자교회의 변화를 위해 반드시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역 중에 하나이다. 셋째로, 신학교육과정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가정신학교가 열악한 환경에서 낮은 수준으로 신학교육을 실시하지만 가정교회 사역자 육성에는 어느 정도 기여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 수준으로는 가정교회 사역자들을 훌륭한 사역자로 육성하기에는 부족하다. 중국교회에서 지도자교육을 시킬 때 앞으로는 다양한 방면의 교육을 개발해야 한다. 현재 신학교에서 배출하는 지도자는 말씀을 전하는 사역자들이다. 그러나 현재의 중국교회는 말씀 사역 외에도 문서사역, 교회음악, 기독교 교육, 유아교육, 가정사역, 사회복지사역, 상담방면의 지도자가 필요하다. 그리고 앞으로 점점 컴퓨터나 캠코더와 같은 미디어를 이용한 교육기법이 늘어감에 따라 이에 대한 교육도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로, 중국교회가 주도하는 신학교육사역이 되야 한다. 21세기 중국선교는 중국교회가 주도하는 선교이어야 함을 누구도 부인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선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재를 키우는 신학교육도 당연히 중국교회가 주체가 되어야 하고 선교사는 이들을 섬기고 그들이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섯째로, 다양한 교육방법의 개발과 활용이 필요하다. 인터넷 영상문화 활용 등의 다양한 교육방법을 활용함이 절실히 요구된다. 교육할 내용과 가르침을 받아야 할 사람은 많은데, 가르칠 사람은 적고 대상지역은 넓은데 지도자는 극히 모자란다. 그런데다가 가르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도, 사회환경적인 여건도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가르침은 절실하다. 이는 교육방법의 혁신과 변화를 요구하는 절실한 요소로 작용한다. 여섯째로, 하나님이 하시는 중국선교임을 알아야한다. 1966년부터 시작된 문화대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present theology of the Chinese churches including Sam Ja[three self] churches and the House churches and to propose a way of revitalizing the educational methods toward China such as developing a method for Christian leaders in China. Sam Ja theology emphasizes God as Love. It denies the total depravity of humanity. The biggest problem of the Sam Ja theology is in its biblical point of view. It insists that God's revelation is still active in this world. They do not believe that the whole Bible comes from God. So believers cannot hear the true gospel and cannot have the real life in Christ. There is no vitality and they are dying in spirituality. The House churches began from the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unist regime. There are three categories in the types of house church: the type of church, the publicly open type, and the secret type. The theology of the house churches is relatively evangelistic like Korean churches. They believe that the whole Bible comes from God. They currently allow the Christian leaders and pastors to preach with only 3 month of training, though they need much more course work and training. This weakness in pure theological study makes them vulnerable to anti-evangelical and Biblical theories. The biggest common problem of Sam Ja and House churches is the lack of leaders. In the non-registered house churches, the rate of church leaders including all level preachers, teachers and workers to the members is about one to one-thousand(1:1,000). In Sam Ja churches, the percentage of pastors to Christian members is one to seven-thousands(1:7,000). It is not the Bible, nor the church buildings, but the leaders that lacks most in the Chinese mainland churches today. Many church leaders and preachers serve God while they have some job at other places. They work in the daytime and lead the churches at night. Furthermore, most of them haven't received the systematic theological training. Many sheep with very limited shepherds, the supply cannot meet the demands in everyplace. In conclusion, the author proposes some suggestions for the Chinese churches as follows; First, Chinese churches should establish the evangelistic theology. China has the power to carry out 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Chinese people think that they are in the center of this world. In order to get in the mainstream of world-wide churches, Chinese churches should reform to be evangelistic. Chinese church's theology at present time is to be regional, utopian, and socialistic. To do Christian missions, they should have the evangelistic theology on the basis of the Bible. Second, Chinese Churches should accept the internal demand for improving their theological education. Chinese seminaries need to establish more specific departments of Christian education for missions. They have a desire to indigenize Christianity as from the nature of leadership. So they need their cultural based contents in the part of education of Christianity. Third, a more effective mission methodology for the future of China is for the Chinese to take ownership of mission work themselves, including taking part in mission abroad. Computer and Internet resources should be maximized, for example, as in the sending of audio-visual materials such as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and dance. Chinese missions will be most effective when the missional strategy is that of a partnership and also includes the indirect missional works such as the medical and the industrial missional works. Fourth, Korean Christian missionaries should work together in developing the vision for the missionary activities in China. Although the religious policies of China cannot be trusted totally, the new and more open policies will help in establishing the missionary activitie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ccurately the Chinese religious policy for the missionary works together. Finally, it should be ultimately realized that the driving force of Chinese missionary works needs to originate from the Chinese people themselves. In the immediate future, however,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missionary works in China will be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land and how much of Christianity can be accommodated by Chinese culture without conflict. 本文将对中国教会的神学,即三自教会和家庭教会的神学进行剖析,力求在中国教会领导者的培养以及其他传教教育方面提出好的方案。 三自教会的神学强调上帝是爱,却否定了人性之堕落。三自神学最大的问题就是看待圣经的问题。三自神学强调上帝的启示还处于人世间的实现阶段,并不相信圣经全部是源自上帝。因此,信者并不能听到真正的福音,也就不会相信主耶稣内有真生命。 家庭教会是社会主义制度下的产物。它有三种形式,即公开性的教会、半公开性的教会和非公开性的教会。家庭教会和韩国的教会相似,它的神学是以福音为中心的保守神学。它相信圣经是源自上帝。在包括牧会者在内的教会领导人培养方面,它严重不足,而面对各种异端的侵入,其防备也很薄弱。 不管是三自教会还是家庭教会,最大的问题都是教会领导者严重缺乏。没有在政府部门登记的家庭教会中,牧会者、教师等各种水平的领导者和一般信徒的人数比例是1:1000。在三自教会中,牧会者人数与一般信徒人数的比例是1:7000。今天,在中国教会里需要解决的最迫切的问题不是圣经的问题也不是教会场所建筑的问题,而是教会领导人不足的问题。很多教会的领导者和牧师都是在做别的工作的同时为上帝做工。他们白天在公司上班,晚上在教会服务。而且他们中的大部分人都没有受到过专门性的神学教育培训。羊群等待着牧羊人的照看,中国各地的教会都处于领导者不足的状态。 最后,对于中国教会,本文提出如下建议。 第一,树立正确的神学观。 将来,中国教会应该担负起向历史文化状况与本国完全不同的其他国家传播福音的重任。为此,必须摆脱当今中国国内“中国化神学”的框架和羁绊,要立足于圣经,树立起更客观、更普遍的神学观。中国政府认定倡导进化论的“丁光训神学”是与社会主义中国建设相适应的神学,因而在三自教会和三自神学校积极地提倡推广。这种神学立场的差异使得三自神学校正面临着改革开放以来最大的危机。而分散于全国各地的家庭教会,由于所处的社会、历史及文化条件不同而具有各自独特的性质特征。要在全世界范围内担当起传教的主导型角色,就必须克服中国化的个性环境,以圣经为根本和基础,树立起统战性、普遍性的神学观。说起端正的神学要推荐与奠定中国哲学基础的圣的思想相似的韩国圣洁神学。 第二,为三自教会的牧会者设立神学课程是当务之急。 三自教会的神学一言以蔽之是依据中国政府的政治计划和目的,在中国政府主导下实现的,为中国社会主义建设服务的,以三自政策为引导的中国特色化的神学。所以,出身三自教会的牧会者并不能学到真正的神学,在教会的侍奉和做工等方面存在着诸多的问题和矛盾。这些牧会者不论是在“灵”或“智”方面还是在对神学的理解方面都有欠缺,这也使得教会缺乏应有的生命力。但是,他们的影响力是惊人的。从地方数百人的小教会到城市几千人的大教会,都由他们组织。因此,为三自教会的牧会者设立正确的神学课程是解决神学纷争并实现未来三自教会改革的重中之重。 第三,神学教育课程需要多样化。 在中国教会培养领导人时应注意日后教育课程开发的多样化。现在从神学校走出的领导人只是传道口授者,但当今中国教会需要的不仅仅是传道者,在文书撰写、音乐教育、幼儿教育、家庭管理、社会福利以及咨询等方面也需

      • (성결교회 종말론의 방향성 제시를 위한) 성결교회의 종말론과 세대주의의 연속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

        박정철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research thinks that the academic self-esteem and self-respect lies in their consistent establishment. Talking of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Yesung theology, the meaning of ‘systematic’ at this point should include the meaning of ‘consistent’ necessarily. This study, the critical study on continuousness of the eschatology and disepensationalsim of holiness church is the very study on the meaning of the ‘consistent’ in other words, the consistency. This study starts with a rather challenging question, ‘is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the dispensational pre 1 thousand theory?’. The various problems that this question contains such as the identity of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in relation with the time-limited eschatology which appears as one shape of extreme disepensationalsim and the theological establishment and responses in the problems in which second advent should have existed already are being proposed a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Thus, this study was proceeded by focusing on the question, ‘Is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the dispensational pre 1 thousand theory?’ and approaches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 through the critical consideration of the historical and theological continuousness of holiness church and disepensationa- lsim. The focus of this study in dealing with the eschatology and disepensationalsim of holiness church is as follows. First, the disepensationalsim is divided into the classical disepensationalsim, modified disepensationalsim and progressive disepensationalsim. Then which disepensationalsim is the disepensationalsim which becomes the object in the ‘continuousness’. In other words, it is specifying the object of continuousness. This task is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and the reason for it is because the disepensationalsim which has been changed and developed into the classical disepensationalsim, corrective disepensationalsim and progressive disepensationalsim and oddly, that change and development is the process of correcting and deserting the doctrine, ‘two purposes and two people’, the basic doctrine of disepensationalsim. Thus, this study has proposed the reason of specifying the object for continuousness and the fact that the object should become classical disepensationalsim by proposing the ‘two purpose and two people’ doctrine, the doctrine which is the basis of the disepensationalsim through proof and investigating how this doctrine is being negated and deserted in the disepensationalsim through the change and development process of disepensationalsim. Of course that this is a result of assuming the historical continuousness of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and disepensationalsim. Second, it is the consistency in the continuousness and this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basic doctrine, ‘two purpose and two people’, the basic doctrine of holiness and disepensationalsim are not being operated organically by each other but that it is disco- nnected mutually. If the holiness church accepts the disepensationalsim based on the doctrine, ‘two purposes and two people’ can be possible when it accepts the doctrine of disepensationalsim, ‘two purpose and two people’. However, the holiness church negates the doctrine of disepensationalsim, ‘two purpose and two people’. The disepensa- tionalsim also does not accept the holiness of holiness church. Their ‘holiness’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holiness of holiness church. Here is the point where the problem of theological continuousness and consistency is raised. In other words,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and the theoretical continuou- sness of the disepensationalsim are disconnected. These results, in other words, the theoretical continuousness negated in the historical continuousness raises new problem, of which the reason is because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has accepted the disepensationalsim of which the theoretical basis is totally different. This study has proposed as the conclusion, the mission work passion and mission work of disepensationalsim through the experimental evangelism of holiness church as the contact point. Although there is difference in terms of the content of the mission work, in terms of the mission work passion for the ambition for the end, the holiness church and the disepensatio- nalsim have worthy contact points. Lastly, not should the disepensational pre one thousand theory negated in the theological continuousness be accepted as the eschatology of holiness church, but the establishment of new eschatology is needed. Also, such establishment should be the eschatology based on the uniqueness of the holiness church, in other words the experimental evangelism, and if it is the eschatology based on the experimental evangelism, it should naturally be a dynamic eschatology which has been made present as ‘here and now’. 연구자는, 학문적 자부심과 자긍심은 그것의 일관된 정립에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예성신학의 체계적인 정립을 말한다면, 그 때의 ‘체계적인’의 의미는 반드시 ‘일관된’의 의미를 포함해야 한다. 본 연구 “성결교회의 종말론과 세대주의의 연속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는 바로 이 ‘일관된’의 의미 즉, 일관성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성결교회의 종말론은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인가?”라는 다소 도전적인 질문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이 질문이 함의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 즉, 극단적 세대주의의 한 형태로서 나타난 시한부 종말론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성결교회 종말론의 정체성과, 문자주의적 세대구분에 따라 전체를 7세대로 나누고 각 세대를 천년으로 보았을 때 이미 재림이 임했어야 하는 문제들에 있어서의 신학적 정립과 답변을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으로 제시한다. 따라서 연구는 “성결교회의 종말론은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인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진행하였고, 성결교회와 세대주의의 역사적, 신학적 연속성의 비판적 고찰을 통하여 질문에의 답변에 접근한다. 성결교회의 종말론과 세대주의와의 연속성을 다룸에 있어서 본 연구가 주목한 것은 첫째, 세대주의는 흔히 고전적 세대주의, 수정세대주의, 점진적 세대주의로 구분되는데 그렇다면 ‘연속성’에 있어서 그 대상이 되는 세대주의는 이 중 어느 세대주의인가? 즉, 연속성의 대상을 특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있어서 이 작업은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고전적 세대주의, 수정 세대주의, 점진적 세대주의로 변화, 발전한 세대주의는 특이하게도 그 변화와 발전이 세대주의의 기초교리인 ‘두 목적 두 백성’ 교리를 수정하고 버리는 과정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대주의의 근간을 이루는 교리로써 ‘두 목적 두 백성’ 교리를 근거를 통하여 제시하고, 이 교리가 세대주의의 변화, 발전과정을 통해 세대주의 내에서 어떻게 부정되고 버려지게 되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연속성의 대상을 특정해야 하는 이유와 그 대상이 고전적 세대주의가 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물론 이는 성결교회의 종말론과 세대주의의 역사적 연속성을 전제한 결과이다. 두 번째는 ‘연속성’에 있어서의 ‘일관성’인데 이는, 성결교회의 근간이 되는 교리인 ‘성결’과 세대주의의 근본교리인 ‘두 목적 두 백성’ 교리가 상호유기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단절되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 것이다. ‘성결’을 근간으로 하는 성결교회가 ‘두 목적 두 백성’ 교리를 근간으로 하는 세대주의를 수용한다면 그것은 세대주의의 ‘두 목적 두 백성’ 교리를 수용할 때에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성결교회는 세대주의의 ‘두 목적 두 백성’ 교리를 부정한다. 반대로 세대주의 역시 성결교회의 ‘성결’을 수용하지 않는다. 그들의 ‘성결’은 성결교회의 성결과 전혀 다르다. 바로 여기에서 신학적 연속성과 일관성의 문제가 제기되는 것이다. 즉, 성결교회의 종말론과 세대주의의 신학적 연속성은 단절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 즉, 역사적 연속성 속에서 부정되는 신학적 연속성은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는데 그것은 신학적 토대가 전혀 다른 세대주의를 성결교회의 종말론이 수용한 이유이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결론으로 성결교회의 ‘체험적 복음주의’를 통한 ‘선교열정’과 세대주의의 ‘선교’를 그 접촉점으로 제시하였다. 비록 선교의 내용에 있어서의 차이는 있으나 종말의 대망을 위한 선교열정에 있어서 성결교회와 세대주의는 훌륭한 접촉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신학적 연속성이 부정되는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을 성결교회의 종말론으로 그대로 수용할 것이 아닌, 새로운 종말론의 정립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정립은 성결교회의 독특성에 기초한 즉, 체험적 복음주의에 기초한 종말론이 되어야 할 것이며, 체험적 복음주의에 기초한 종말론이라면 당연히 “‘지금 여기’로 현재화된 역동적인 종말론”이 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