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에폭시수지로 보수·보강된 콘크리트 구조체의 내구성과 화열(火熱)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조태관 선문대학교 일반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47

        에폭시수지로 보수·보강된 콘크리트 구조체의 내구성과 화열(火熱)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조태관 산업공학과, 재난안전전공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노후화된 건축물의 증대로 인한 보수, 보강 건축물이 많아짐에 따라 본 논문은 기 에폭시수지등을 이용하여 보수. 보강한 건축물에 만일 화재가 발 생하였을때 화재의 열이 구조물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성과 그 상관 관계를 파악하고 보수. 보강정도의 기준을 설정할 수 있는 데이터를 마련하고자 한 다. 연구방법은 콘크리트 배합설계에 의거하여 공시체를 제작하고 28일동안 수조에서 수중양생 후 상온에서 7일동안 추가로 양생하여 최소 35일이상 양생한 공시체중 일부를 콘크리트 압축강도 측정기로 시험대상 공시체들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고 압축강도 측정후 항복한 공시체들에 발생된 균열을 에폭시 수지로 보수. 보강하여 최소 3일이상 양생 후 보수. 보강한 공시체중 일부를 다시 압축강도시험을 시행하여 강도가 어느 정도 복원 되었는지를 파악하고 평균을 구하고 압축강도 시험을 하지않은 나머 지 보수. 보강한 공시체들과 보수, 보강하지 않은 원 공시체를 화재시와 유 사한 상황을 만들기 위해 실험용 전기로에 넣고 가열하여 100℃, 500℃ 2개 의 온도에서 각각 30분간 지속적으로 열에 노출시키고 100℃에 가열 도달 시간은 30분, 500℃까지 가열 도달시간은 1시간 30분으로 실험해서 각각의 시험온도에서 공시체의 압축강도 변화를 압축강도 측정기로 측정하고 평균 을 구하여 이들을 가가 비교하여 화재를 겪은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여 보강 된 건축물의 구조체와 화재의 열과의 상관 관계를 추정하려함.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항복되어 파괴된 공시체를 에폭시수지로 보강한 후 실험용전기로 에 공시체를 넣고 일정온도까지 가열하고 온도별로 시험온도까지 도달시간 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는 보강 시험체를 100℃로 가열하였을 때 난연에 폭시 와 일반에폭시 보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면 설계배합강도 별로 1~2N/mm2 정도의 편차를 보이므로 별로 차이가 없으나 시험온도를 500℃ 로 가열하였을 때 일반에폭시로 보강한 것에 비해 난연에폭시로 보강한 것 이 4~5N/mm2 더 압축강도가 많이 발현되었다. 물성의 변화를 살펴보면 21N/mm2의 배합설계강도 공시체에서는 100℃ 때 보다 500℃에서는 평균압축강도가 31.2% 저감되고 [ 일반에폭시 경우는 37.3% 저감되고 난연에폭시 경우는 24.9% 저감됨], 24N/mm2의 배합설계강 도 공시체에서는 100℃때 보다 500℃에서 평균압축강도가 36.2% 저감되고 [일반에폭시 경우는 40.9% 저감되고 난연에폭시 경우는 31.5% 저감됨], 27N/mm2의 배합설계강도 공시체에서는 100℃때 보다 500℃에서 평균압축 강도가 29.5% 저감됨 [일반에폭시 경우는 36.3% 저감되고 난연에폭시 경우 는 22.3% 저감됨], 을 확인할 수 있었고 난연에폭시로 보강한 경우가 일반 에폭시로 보강한 경우보다 각 온도에서 강도 저하가 덜 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 데이터의 상호관계를 보다 더 정확히 정리하기위해 SPSS를 사 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ANOVA 결과 에폭시 Type과 온도 종류 사이에 유 의미한 상호 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3, 82) = 2.80, p = 0.045] 그러므로 보수, 보강한 공시체는 고온에서 화재열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 아지면 많아질수록 강도의 저감이 발생함을 볼 수 있었고 보수. 보강하지 않은 원공시체보다 더 많은 강도의 저감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결론적으 로 에폭시 수지등으로 보수, 보강된 건축물이 화재의 열에 노출될 때가 일 반 건축물보다 더 위험함을 알 수 있었고 화재에 대한 취약성을 고려할 때 보수보강 표면에 내화피복을 하는 등 안전에 대비하여야 하겠다. 주제어 : 실험용전기로 , 에폭시보수.보강 , 화해 , 내화피복재 , 공시체 In consideration of increases in building repair and reinforcement due to deterioration, this dissertation examines fire damage in previously reinforced structures as well as the effect and correlation of the heat on the durability of the structure in order to analyze standards for following repair and reinforcement measures. The research methodology aims to produce specimens based on the concrete composition design table, fully cure them in a water tank for 28 days, and then cure them at room temperature for an additional 7 days. The specimens cured for at least 35 days are tested through a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meter to measure the compression of the specimens. After measuring the compression and measuring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torsion that occurs in the yielded specimens is made flexible with epoxy resin, and a certain degree of resilience can be obtained by vigorously test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mall specimens again. In order to identify and maintain the remaining specimens and the protoforms without abilities and durability, the research focuses on demonstrating performance in an experimental electric furnace and resisted heat at 100°C for 30 minutes at two temperatures of 100°C and 500°C. The test time is 30 minutes, and the time to reach 500°C is 1 hour and 30 minutes. After measur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pecimen at each test temperature, using epoxy resin during the explosion was successful in dealing with the heat and effects of the fire, showing the tentative success of the methodology used. In summary, after reinforcing the yielded and destroyed specimen with epoxy resin, the specimen was placed in a laboratory electric furnace and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test results were assessed by varying the time to reach the test temperature for each temperature. The conclusions show that the reinforced specimen was heated to 100°C and when analyzed separately in flame-retardant epoxy and general epoxy reinforcement, there is a surprisingly negligable difference of about 1~2N/mm2 for each design mix strength. However, when the test temperature is heated to 500°C and flame-retardant epoxy is used instead of reinforcement with general epoxy, the flame-retardant subject appears to have developed 4~5N/mm2 more compressive strength. Looking at the change in physical properties and in the specimen with a mix design strength of 21N/mm2, the average compressive strength decreased by 31.2% at 500°C compared to 100°C [in the case of general epoxy, it decreased by 37.3% and in the case of flame retardant epoxy, it decreased by 24.9%], and 24N/mm2. In the mixed design strength specimen of mm2, the average compressive strength was reduced by 36.2% at 500°C compared to 100°C [in the case of general epoxy, it was reduced by 40.9% and in the case of flame retardant epoxy, it was reduced by 31.5%], In the specimen with a mix design strength of 27N/mm2,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compressive strength was reduced by 29.5% at 500°C compared to 100°C [36.3% reduced in the case of general epoxy and 22.3% reduced in the case of flame-retardant epoxy]. The research found that the strength deterioration was less at each temperature in the case of flame-retardant reinforcement as contrasted with the case of reinforcement with general epoxy. When analyzing the data in this paper using SPSS to more accurately organize the interrelationships, the ANOVA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epoxy type and temperature type [F(3, 82) = 2.80, p = 0.045]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strength of the repaired and reinforced specimen increased as it was exposed to fire heat at high temperatures, resulting in a decrease in strength. There seems to be a greater decrease in strength than the original specimen that was not repaired or reinforced, from which the above analysis was concluded. As a result, it can be established that buildings repaired and reinforced with epoxy resin, etc., are actually more dangerous than ordinary buildings when exposed to damage by fire. Considering this finding on heat vulnerability, the research heavily suggests that extensive safety measures, such as applying fire-resistant coating to the repaired and reinforced surfaces, should and must be taken. Keywords : Experimental Electric Kiln, Epoxy Repair, Reinforcement, Fire Damage, Material of Fireproof Coating , Specsimen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이유·원인 표현 비교 연구 : -‘-아/어/여서, -(으)니까, -기 때문에’를 중심으로-

        왕연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이유·원인을 나타내는 유사한 기능을 가진 문법표현 ‘-아/어/여서’, ‘-(으)니까’, ‘-기 때문에’를 중심으로 3가지 문법표현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3가지 문법 표현이 대응하는 중국어 문법 표현도 제시하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가르칠 때 효율적이고 정확한 교수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1장에서 주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방법을 기술했다. 제2장에서 이유·원인의 정의 및 의미를 기술하고 이유·원인의 항목 선정을 기술했고 이유·원인 표현인 ‘-아/어/여서’, ‘-(으)니까’, ‘-기 때문에’의 형태적 특성, 의미적 특성, 통사적 특성과 화용적 특성을 기술했고 또한 중국어 관련사의 개념과 분류를 살펴보았고 ‘-아/어/여서’, ‘-(으)니까’, ‘-기 때문에’가 대응하는 중국어 관련사를 밝혔다. 제3장에서 한국 국내 5개 대학교 즉, 이화여자대학교, 교려대학교, 연세대학교, 외국어대학교와 선문대학교의 최신 교재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제시했다, 즉 학교마다 교재의 잘 된 점이 있고 아직 부족한 점도 많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5개 대학교 중에 이화여자대학교, 연세대학교와 선문대학교는 교재를 편찬할 때 중국어로 일부분을 편찬했지만 아직 부족한 점이 많다. 2000년 후에 문법표현에 대한 중·한대조 연구를 시작했지만 아직 많이 활발하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교재에서 중국어를 응용하는 것도 시작이고 한국어문법 표현 ‘-아/어/여서’, ‘-(으)니까’, ‘-기 때문에’의 대응하는 중국어는 교재에서 아직 제시되지 않았다. 제4장에서 감난도의 『아프니까 청춘이다』원본과 중역본의 ‘-아/어/여서’, ‘-(으)니까’, ‘-기 때문에’가 소설에서 나온 유형과 중역본에서 나온 중국어 유형을 찾았고 원본과 중역본의 대응관계가 확실한 사례, 중역본에서 중국어 인과관련사를 생략한 사례, 중역본에서 중국어 인과관계를 애매한 경우와 불완전한 사례와 중역본에서 빠진 사례를 제시하고 분석했으며 중역본에서 이유·원인 표현인 관련사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고 밝히고 소설에서 ‘-아/어/여서’, ‘-(으)니까’, ‘-기 때문에’가 대응하는 관련사도 정리했다. 제5장에서는 앞4장의 분석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아프니까 청춘이다』소설 안에서 중국어 번역본과 대응관계가 확실한 예문을 활용해서 구체적이며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도록 한다. 제6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 부분인데 앞에 분석한 내용의 요점을 정리하고 제시한다.

      • 흡기 및 호기근 저항훈련이 제한성 폐질환 동반한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폐기능, 호흡근 근력, 몸통 조절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이은비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흡기 및 호기근 저항훈련이 제한성 폐질환 동반한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폐기능, 호흡근 근력, 몸통 조절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이은비 물리치료학과, 물리치료학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는 제한성 폐질환을 가진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게 다양한 호흡 운동이 호흡 기능, 호흡 근력, 보행 및 몸통 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중재 전 후를 비 교하고자 하였습니다. 급성기 뇌졸중 환자 30명을 모집하였으며, 탈락자는 없 었으며 3주의 중재를 두어 연구를 실시하였습니다. 호흡 기능의 FVC, FEV1, PEF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그 중 흡기 호기 운동이 가장 큰 효과를 보였습니다. 호흡 근력에서는 MIP에 대한 유 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흡기 호기 운동에서 가장 큰 효과를 보였습니다. 본 연구는 흡기 호기근 강화 운동 중재방법이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 증진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에 뇌졸중 환자의 호흡 운동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주제어: 급성기 뇌졸중, 제한성 폐질환, 호흡 운동, 호흡기능, 호흡근력, 몸통조절능력

      • 방문판매법상 공제조합의 공익적 기능강화를 위한 개선방안

        한경희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1991년 방문판매법 제정이후 소비자피해구제 제도가 1995년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되었으나 다단계판매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피해보상보험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은 현행 공제조합 제도이다. 2002년 말 설립된 2개의 공제조합이 연간 약 2조원 이상의 시장에서 다단계판매업자가 재화의 공급의무 및 대금환급 의무를 불이행 할 경우를 대비하여 피해보증시스템을 운영하여 최근 7년간 약 2만 건(약 146억원)을 보상했을 뿐만 아니라 시장에 대한 모니터링 등 적극적인 피해예방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다단계판매로 인한 소비자피해는 일반적인 피해처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일시에 대규모로 발생하고 문제를 야기한 회사는 형사처벌, 도주, 폐업 등으로 사라진다. 또한 다액 다수의 피해가 발생하고 거대한 규모의 피해로 확대되어 사후적인 구제가 쉽지 않은 특징이 있다. 따라서 다단계판매업에서 소비자피해보상제도는 피해보상과 피해예방 활동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며, 공익적인 시각에서 그 제도가 운영되어야 하고, 업계에 대한 전문성을 보유해야 한다. 이러한 3가지 요건에 부합하는 것이 바로 현행 공제조합제도이다. 그동안 공제조합의 역할과 기능으로 인해 다단계판매시장의 안정화가 이루어진 반면 근래의 불법 방문판매 등의 출현으로 인해 소비자피해예방의 필요성이 증대되는 시점에서 공익적 기능을 수행하는 공제조합의 역할을 강화하고 법적 제도개선을 통하여 소비자의 권익보호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다단계판매 분야에 소비자피해보상보험이 도입되고 관련 규제가 강화되면서 방문판매로 신고하고 사실상 다단계판매업을 실시하는 이른바 신방문판매로 인한 소비자피해가 증가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법규정을 회피하고 잠탈하는데 따른 대량의 소비자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다단계판매의 정의개념을 명확히 하여 방문판매와 다단계판매의 구분의 모호성으로부터 발생하는 규제의 비실효성을 극복해야 하며 불법 피라미드 판매에 대한 금지규정도 신설할 필요가 있다. 합법적인 다단계판매와 불법 영업을 명확히 구분하고 다단계판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의 전환을 위해 다단계판매의 명칭을 ‘직접판매’로 변경하는 한편, 방판법상 공제조합은 회원사들의 상호부조를 위해 설립된 여타의 공제조합과 달리 공익적 기능을 수행함에도 그 명칭으로 인해 일반조합과 동일시되기도 하므로 조합명칭의 개정도 필요하다. 공제조합의 공익적 기능수행을 위해서는 1차적으로 다단계판매회사들의 불법, 탈법영업을 방지하기 위한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공제조합의 공공성과 중립성이 강화되어야 하며 다단계판매분야의 공제조합의 사전적 소비자피해예방활동을 통한 소비자권익보호와 시장의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공제조합의 운영에 관한 법적근거를 마련하는 등 공익적 성격의 명문화가 필요하다. 또한 업계의 자율적인 시장정화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하여 기존의 추상적이고 선언적인 자율규약이 아닌 실효성 있는 자율규제를 위한 큰 틀과 전제조건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직접판매 업계의 건전성 확보와 소비자 피해예방을 위해서는 민간기구와 정부가 역할을 구분하여 상호 유기적인 공조 속에서 불법행위에 대한 감시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ere were several consumer damage indemnity methods since the legislation of Door to Door etc. Act. 1991. However, mutual aid cooperative system has been working more realistic and effective way of consumer redress than other consumer damage indemnity methods when consumer damage occurred. Two mutual aid cooperatives established at the end of the year 2002 and it has been running appropriate guarantee system in the MLM (Multi-Level-Marketing) industry to prevent MLM Company’s denial of consumer's refund request. Furthermore, it has been taking a role for market supervisor and consumer indemnity activities. Over the 7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utual aid cooperative, 14.6 billion won has been paid out in indemnities, covering about 20 thousand cases. In general meaning of consumer damage, it occurs gradually. But most of consumer damage cases related to MLM makes an occurrence which has an urgent and tremendous damaging scale. The leader who takes the responsibility of the matter already disappears as a result of the criminal punishment, closing company, making a getaway and so force. So it is really hard to indemnify the consumer damage after the accident that happens suddenly in the megaton range. The consumer damage indemnity system must have been performed the redress and prevention of consumer damage simultaneously. Moreover, the system is operated on view point of public interest and the organization of the system consists of specialist who understands the MLM Market and its issues and problems. The mutual aid cooperative coincides with the above explanation exactly. Recently, illegal Door To Door Sales, the so called, 'New DTDS'(NDTDS) is more prevalent so that consumer damage occurrence rate of the NDTDS is getting higher. It is the one of the reason that the definition of concepts in some clauses of current regulation is pretty obscure so it needs to re-exam ambiguous parts based on effectiveness, including the definition of illegal MLM and DTDS. In short, it is necessary to give a more inclusive definition for illegal MLM in order to prevent consumer damage from NDTDS. The title of mutual aid cooperative needs to be changed as "organization for mutual aid guaranteed.” Because the mutual aid cooperative was not established for mutual aid of MLM companies but for consumer indemnity. It is quite different from insurance policy holder (MLM Companies) and beneficiary (Consumer) unlike general mutual aid organizations as we know. The title of the organization should coincide with the establishment reason of mutual aid cooperative originally. It is necessary to be added "Activities for consumer damage prevention and protection" on its purpose of establishment in order to expand its role for consumer's right and interest. Also, it is necessary to build a grand cast and precondition with considering effectiveness rather than keeping conceptual and impractical regulation.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collaborate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 to prevent consumer damage and support for industry development.

      • 성인의 성장 마인드셋, 그릿, 인지적 유연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

        유소향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국문요약 성인의 성장 마인드셋, 그릿, 인지적 유연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 유 소 향 교육상담학과 교육상담전공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들의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 및 인지적 유연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릿과 인지적 유연성은 성장 마인드셋과 주관적 안녕감 간에 단순매개 및 이중매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성인의 성장 마인드셋, 그릿, 인지적 유연성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성인의 그릿과 인지적 유연성은 성장 마인드셋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가에 두었다. 본 연구는 전국의 성인을 대상으로 COVID-19로 대면 설문이 어려워 Google Drive로 제작한 설문지 550부를 온라인 배부하였으며, 이 중에서 500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WIN 통계프로그램 22.0과 AMOS 24.0을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검증은 구조방정식 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연구모형에서 모수치 추정 및 유의성 검증결과 일부 잠재변인의 경로모형이 유의미하지 않아 수정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수정모형은 초기 연구모형과 비교 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최종 연구모형으로 채택하였다. 둘째, 최종 연구모형의 모수치 추정 및 통계적 유의성은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 성장 마인드셋과 인지적 유연성, 그릿과 인지적 유연성, 인지적 유연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는 모두 검증되었다. 셋째, 성장 마인드셋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인지적 유연성은 간접효과가 확인되었으며, 그릿과 인지적 유연성의 이중매개 효과는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COVID-19 환경하에서 최근에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성장 마인드셋 및 그릿과 인지적 유연성으로 주관적 안녕감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는 점, 주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하여왔던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의 연구를 성인으로 확대하였다는 점,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의지적 변인들을 선택하여 경험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주관적 안녕감에 관한 논의를 발전시키는데 기여하였다는 점에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핵심어 : 성인, 성장 마인드셋, 그릿, 인지적 유연성, 주관적 안녕감

      • 중국 소수민족의 취업 지원정책에 관한연구

        겅웨이차이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56개의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는 중국은 한족이 인구의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정치, 경제 및 문화 등 각 영역에서 한족을 중심으로 한 한민족 우위의 다민족 국가이다. 1949년 중화 인민 공화국 성립이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소수민족만 55개에 있다. 중국의 소수민족은 총 인구수의 8%에 불과하나 이들 대부분이 중국 국경의 주요 지역에 거주하고 있어 안보를 비롯한 경제적 부분에 무시할 수 없는 존재이다. 중국 소수민족 통합문제는 중국 국내정치에 즉각 영향을 미치고, 소수민족 역사적, 지리적 등의 원인 때문에 한족하고 문화이나 빈부 차이가 많기 때문에 민족 간에 단결하고 국가의 안전을 위해 소수민족 우대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중국의 대학생 대부분은 풍부한 인력자본을 가진 엘리트라 할 수 있다. 이에 중국 정부는 소수민족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경제발전을 위하해 교육 우대정책을 실시해 왔다. 인력자본이 모자란 소수민족을 위해서 중국 정부가 대량의 인력과 물력을 기울이고 배양한 대학생이 오히려 실업하게 된 현상이 나타냈다. 30년 넘게 소수민족 교육 우대정책을 실시하여 소수민족 졸업생이 급증해서 소수민족 대학생 취직난의 소리가 나날이 고조되고 있다. 대학생 취직은 전 사회 취직의 중요 구성부분이다. 즉, 대학교를 졸업한 소수민족 학생이 순조롭게 취업 하지 못할 경우 각종의 갈등과 문제를 초래할 수 있고, 중국의 조화로운 사회의 건설과 민족 간에 단결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소수민족 학생의 취직문제도 무시할 수 없는 문제가 되었다. 소수민족 모든 우대정책의 기본원칙은 공평이다, 취업 공평성 실현에 있어서 소수민족 취업 지원정책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소수민족 대학생의 취업현황과 소수민족 대학생들의 취업 문제 및 그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은 중국의 경제발전을 비롯한 조화로운 사회의 구성, 고등교육 대중화의 진전, 그리고 소수민족 대학생 자신 등 중요한 의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1장에서 연구의 서론 부분으로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범위와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고, 제2장에서는 중국 소수민족과 중국 소수민족 취업 지원정책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제3장에서는 중국의 소수민족 취업 정책의역사적 과정을 전개하고 소수민족 취업의 현황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제4장에서는 그로부터 문제점들을 도출하고 중국 소수민족 학생 취업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제5장 결론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내용을 요약을 정리하고 중국 소수민족 취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을 하였다.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data of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the percentage of Chinese ethnic minority university students is 7.33%. There are 288 universities in 8 provinces. Since 1999, China expanded enrollment of higher education and Chinese Communist Party started to attach importance to the education of minorities. They implemented preferential policies to minority education and the number of graduates of them has been increasing. University graduates’ employment problem has been drawing great attention in the society. The Employment situation of them has been getting more and more severe as competition in labor market and contradiction of structure got more intense than before. Since Chinese minorities are mostly located in the outer area and because of the poor natural environment and backward economy, minority university graduates have the problem of getting employed. Chinese Communist Party employed bilingual policy in minority area and respected their culture and belief. As a result, minority students’ standard Chinese is not good and it has caused difficulties in employment. Chinese minorities are treated equally not only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but also when it gets to the employment system. Most of the minorities are located in the border area. Because of the culture differences and communication difficulties, some of the minorities receive unjust treatment. Minority students enjoy same dignity and management as other students. One important criterion to evaluat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minority graduates is employment. Their employment could bring them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and social status.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minority students can achieve their social and life value. Accompanied by China’s economic development the way of employment has been changed from career quotas to choose their jobs with freedom. The discord of the education of minorities and economic development has been a social problem which concerned the whole society.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of the policies on minority employment and presented some improvement methods. Based on the preferential policies of minorities and achievements of employment of Chinese minority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thods. About accuracy this study is insufficient. Materials referred in this study are mainly based on the statistical yearbooks and the materials of the percentage of minority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employment is according to the published materials of each province and city education office. Therefor the accuracy is somehow insufficient. Due to the limitation of those materials the persuasion of analysis result is relatively inadequate. This gives possibilities to study this topic further and more deeply.

      • 노인들의 재발성 발목 내반 염좌에 대한 멀리건 테이핑과 키네시오 테이핑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김경철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노인들의 재발성 발목 내반 염좌에 대한 멀리건 테이핑과 키네시오 테이핑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김 경 철 통합의학과, 카이로프랙틱 전공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재발성 발목 내반 염좌가 있는 노인들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눈 후 멀리건 테이핑과 키네시오 테이핑을 각각 사용하여 시술 전과 2시간 후 그리고 1일 후에 발목 통증 및 혈류 그리고 일상생활 불편지수의 변화를 연구하여 두 테이핑의 효과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S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승인 후 전북 무주군에 위치한 두평마을회관을 규칙적으로 방문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고 언어적 의사소통과 의사결정에 문제가 없으며, 테이핑요법이 발목 통증, 하지 혈류와 일상생활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참여함을 서면으로 동의한 자로 한정하였다. 실험군 20명, 대조군 20명으로 총 40명의 대상자가 연구에 참가하였으며, 연구 기간은 2020년 04월 6일부터 2020년 04월 07일까지 연구대상자들이 실험군과 대조군을 인식 못하도록 단일맹검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발목 통증의 변화: 발목 통증 척도(ankel injury severity scale, AISS)를 사용하여 통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와 2시간 후 검사 그리고 1일 후 검사에 대한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멀리건 테이핑군(MTG)의 발목 통증에 대한 평균값은 처치 전 47.75±16.97, 2시간 후 32.00±13.11, 1일 후 27.75±9.66이었고, 키네시오 테이핑군(KTG)은 처치 전 45.75±16.72, 2시간 후 30.25±11.41, 1일 후 28.50±10.14이었다. 개체 내 효과 검정 결과 집단 내 발목 통증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71.758, p<0.001), 측정 시점별로 2시간 후 검사(F= 93.758, p<0.001)와 1일 후 검사(F= 93.758, 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각 군-간 효과 검정결과(F=0.071, p>0.05)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군-간에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지만 1일 후 측정에서 멀리간 테이핑이 키네시오 테이핑보다 평균값에서 통증감소 폭이 크게 나타났다. 혈류의 변화: 혈류 검사에서는 휴대용 초음파양방향혈류측정기를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2시간 후 검사 그리고 1일 후 검사에 대한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멀리건 테이핑군(MTG)의 혈류에 대한 평균값은 처치 전 9.01±4.50, 2시간 후 12.23±5.26, 1일 후 12.15±9.92이었고, 키네시오 테이핑군(KTG)은 처치 전 8.54±3.98, 2시간 후 11.77±4.60, 1일 후 11.40±4.44 이었다. 개체 내 효과 검정 결과 집단 내 혈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43.681, p<0.001), 측정 시점별로 보면 2시간 후 검사(F=48.648, p<0.001)와 1일 후 검사(F=35.427, p<0.001) 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각 군-간 효과 검정결과(F=0.161, p>0.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1일 후 측정에서 멀리건 군이 키네시오 테이핑군보다 평균값의 감소가 작아서 혈류에 대한 유지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일상생활 불편지수의 변화: 일상생활 불편지수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와 2시간 후 검사 그리고 1일 후 검사에 대한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멀리건 테이핑군(MTG)의 일상생활 불편지수에 대한 평균값은 처치 전 10.34±3.20, 2시간 후 5.44±1.71, 1일 후 5.09±1.73이었고, 키네시오 테이핑군(KTG)은 처치 전 10.30±2.69, 2시간 후 6.30±2.45, 1일 후 5.80±2.44이었다. 개체 내 효과 검정 결과 집단 내 일상생활 불편지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119.151, p<0.001), 측정 시점별로 2시간 후 검사(F= 129.592, p<0.001)와 1일 후 검사(F= 87.962, p<0.001) 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각 군-간 효과 검정결과(F=0.607, p>0.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비록, 통계상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1일 후 측정에서 멀리건 군이 키네시오 테이핑군보다 일상생활 지수 감소폭이 낮아서 일상생활에 대한 유지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멀리건 테이핑군과 키네시오 테이핑군은 개체 내 효과를 봤을 때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지만, 군-간 차이를 봤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평균차이에서 멀리건 테이핑이 키네시오 테이핑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 멀리건테이핑 키네시오테이핑 발목염좌 혈류 부종

      • 운동 중재방법에 따른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당대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최형준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중재를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관찰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고, 당대사 개선 효과를 고찰하여 그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제2형 당뇨병 영역에서 수행된 운동중재 연구를 파악하였고, 체계적 선정기준에 따라 검토하여 연구를 탐색하였다. 전체 7,190 문헌 중 3단계에 걸쳐 중복된 연구와 본 연구목적의 제외기준에 해당하는 연구를 제외하고 최종으로 16편의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최종 연구에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운동중재에 따른 당대사 하위요인 및 중재유형을 포함한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출판편향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이질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뚤림 위험이 낮아 메타분석결과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둘째, 당대사의 하위요인별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인슐린저항성이 효과크기 g=1.023으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공복혈당 효과크기 g=.786, 당화혈색소 효과크기 g=.609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대별로 운동중재에 따른 당대사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성인(18-64세)보다 노인(65-)기에서 당대사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중재유형별로 당대사 효과크기를 계층화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복합운동이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저항운동, 유산소 운동 순으로 나타났다. 종합하여 당대사 개선에 대한 효과는 복합운동이 매우 큰 효과를 보였으나, 운동지속 및 인지개선 등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의 복합적 개선을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적절한 운동중재방법을 찾아야 한다. 주요어 : 운동중재유형, 제2형 당뇨병, 인슐린저항성, 공복혈당, 당화혈색소.

      • A COMPARATIV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PERCEIVED QUALITY IN BUYING INTENTION : Towards cosmetics consumption in Saudi Arabia and South Korea

        하키미 메이사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요약 품질 인식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사우디아라비아와 한국 화징품 소비자 비교 하키미 메이사 경영학과, 마케팅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는 사우디 아라비아와 한국의 화장품 산업에서 소비자의 품질 인지도가 브랜드 구매 의도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 가를 조사한 것이다. 이 연구는 품질 인지도의 중재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가격, COO 및 브랜드 친숙도와 같은 요인이 구매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지 혹은 이러한 요인이 품질 인지도를 통한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에 중점을 두었다. 귀속 이론에 따르면 소비자는 제품의 품질을 판단할 때 여러 요인을 사용한다 (Mizerski, Golden & Kerman, 1979). 이 이론에 따르면 COO 및 가격은 품질에 대한 지표로 가장 많이 고려되고 있는 단서 중 하나이다. 이러한 단서들은 소비자가 제품의 품질에 대한 판단을 내릴 때뿐만 아니라 구매 시 의사 결정 과정에도 영향을 미친다. 더욱이 브랜드 인지도는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요인이다. 친숙도와 품질 인지도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가 매우 적은 데에 반해 친숙도와 구매 의도와의 상관성을 다룬 연구는 상당히 많은 편이다. 설문 조사 방법은 사우디 아라비아와 한국의 여성 각 380명에게 설문지를 통한 조사로 실시되었다. 문화적 및 종교적 이유 때문에 사우디 남성 소비자들은 일반적으로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설문조사는 공정한 비교를 위해 샘플 설문 조사에서 예상되는 여성만을 고려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가설과 항목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 방정식 모델링 (SEM)을 적용했다. 조사 도구는 설문지이며 수집 된 데이터는 SPSS .20 및 Amos .25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품질 인지도는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친숙도 역시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가 이미 알고 있거나 경험한 화장품을 사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식이나 경험은 제품의 품질에 대한 개념을 형성하고 미래에 제품을 재구입하거나 다른 제품을 선택하는 데에 영향을 미친다. 다중 그룹 분석에 따르면 가격 및 원산지 이미지가 소비자의 품질에 대한 인식과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인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품질 인지도 및 제품의 친숙도가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부인되었다. 그러므로 한국 기업이 사우디 아라비아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라면 원산지 이미지가 품질 인지도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해야한다. 즉, 한국의 기업들이 좀더 나은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이미지를 사우디 아라비아 소비자들 마음 속에 심어줄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 한국형에니어그램 진로지도프로그램이 진로정체감과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오명숙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31

        <국문초록> 한국형에니어그램 진로지도프로그램이 진로정체감과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선문대학교 대학원 교육상담학과 오 명 숙 지도교수 윤 운 성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에니어그램 진로지도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과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하는 것이다. 연구의 도구는 윤운성, 조주영, 박현경(2010)의 한국형에니어그램 진로지도프로그램, 진로정체감,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척도,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경험보고서, 사후 평가서 등으로 하였다. 방법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통합연구방법으로 하였다. 연구내용은 첫째, 진로에 대한 정보나 안내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진로란 무엇이며 개인의 심상의 정도를 알게 하는 진로정체감형성과, 둘째, 자신이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하는 자기효능감, 셋째, 진로 준비행동의 전반적인 태도에 관한 진로성숙도에 대한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한국형에니어그램을 기초로 개발된 진로지도프로그램(윤운성 외, 2010)을 사전-사후 차이검증을 하기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분류하여 구성하였다. 성인학생을 포함하고 있는 대학생 집단에 예비검사와 사전검사를 하고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형에니어그램 진로지도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둘째, 한국형에니어그램 진로지도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셋째, 한국형에니어그램 진로지도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넷째, 한국형에니어그램 진로지도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에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J시에 있는 D대학의 사회복지학과 2학년 학생 128명(남자 40명, 여자 88명)이다. 각반은 64명씩 무작위로 추출하여 A와 B 두 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대상자의 연령대는 20대와 30대 이상의 비슷한 연령이다. 연 구를 위해 A반은 실험집단, B반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고 진행은 2014년 3월부터 4월까지 8주에 걸쳐서 총 24시간 진행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척도는 한국형에니어그램 성격유형검사(KEPTI: Korean Enneagram Personality Type Indicator), 진로정체감검사(SCIC: Sense of Career Identity Scale), 자기효능감검사(SES: Self-efficacy Scale), 진로성숙도검사(CAMI: Career Attitude Maturity)이다. 연구에 사용된 척도들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계수에 따른 한국형에니어그램 .904, 진로정체감 .896, 자기효능감 .910, 그리고 진로성숙도는 .802로 나타났다. 자료 분석은SPSS 18.0을 사용하여 척도별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대응표본 t검증으로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한국형에니어그램을 적용한 진로지도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 실험집단의 진로정체감,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는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양적 분석을 보완하기위한 차원에서 실시한 질적 분석의 하나인 내용분석 결과에서도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정체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형에니어그램 진로지도프로그램이 프로그램참여자들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형에니어그램 진로지도프로그램이 프로그램참여자들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성숙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한국형에니어그램 진로지도프로그램이 참여자들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형에니어그램 진로지도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분석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에서 성별 차이검증 결과를 제외한 연령별, 혼인지위별, 직장경력 유무, 유년시절 행복도, 현재생활 행복도별 차이에 대한 검사결과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프로그램이 남녀 간의 차이는 무의미하다는 결과이며 프로그램의 효과는 성별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 증명된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형에니어그램 진로지도프로그램이 대학생들에게 안정적인 진로정체감과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주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추후 연구에서는 학년별 수준에 맞는 진로지도프로그램의 개발을 하였으면 한다. 둘째, 성인학생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만학도들 대상의 프로그램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셋째, 후속 연구에는 각 성격유형별 진로선택의 특징을 기록하는 작업을 할 수 있기를 제언한다. 넷째, 후속연구는 프로그램에 맞는 척도의 개발로 특화된 도구의 연구를 기대하여 그 점을 제언한다. 다섯째, 추후 연구에서는 전공이 다른 학과들과의 차이를 볼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과 대학신입생이 졸업시점에 까지 실제적인 직업선택에 이르는 성공적인 목표의 도달점 까지를 볼 수 있는 종단적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여섯째, 후속 연구에서는 대상에 맞는 확실한 워크시트(work sheet)틀이 개발되었으면 한다. 일곱째, 기존의 연구는 양적 연구에 치중하여 대상자의 개별사례를 파악하기 어려웠으나, 본 연구는 집단의 실험연구로 경험보고서와 소감문을 통한 개별 체험을 들어볼 수 있었다. 수집된 정보로 내용분석을 하고 공감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어 프로그램 효과검증에 도움이 되었다. 질적 연구를 위해 Prochaska(2001)의 변화단계모델 중 세 단계(무관심단계, 심사숙고단계, 준비단계) 까지만 내용분석을 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집단성원이 변화되고, 유지하기까지의 추수관찰을 할 수 있는 추후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요핵심어 : 한국형에니어그램 진로지도프로그램, 진로정체감,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