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존 웨슬리 성결론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 - 임마누엘 레비나스의 타자철학을 중심으로 -

        배명지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ttempt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John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and to emphasize that Emmanuel Levinas' phenomenology provides a very important logical connection in elucidating the characteristics of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As for Wesley, the character implied in the biblical word 'sanctification' included the Otherness and was also eschatological. Therefore, when trying to interpret this ‘sanctification' as anthropocentrism or to understand it by limiting it, a problem arises in that its true meaning is lost. The act of quantifying or schematizing sanctification often leads to legalism, and unfortunately, the result is the loss of the holiness, transcendence, and otherness of it. In pointing out this part, the writer analyzed the Otherness of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through the methodology called phenomenology. The writer's special focus on Levinas' thought among phenomenologies was that Levinas' characteristic the Otherness is of great help in reviving some important perceptions that have been easily overlooked in sanctification theory. In attempting phenomenological analysis, it will be important to first investigate which points can be evaluated as the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In order to do that, the writer focused on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eschatology in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and analyzed his three sermons (Christian Perfection, On Sin in Believers, and The Repentance of Believers) that showed the most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analysis, the writer discovered a new perspective on perfection (holiness) in 'Christian Perfection' (holiness that is newly understood through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and the eschatological dialectics of ‘already’ and 'but not yet' appeared in 'On Sin in Believers', and that the final sermon, 'The Repentance of Believers', emphasized the otherness of sanctification that was made possible by believing in the covenant that God will sanctify. The writer also dealt with ethics as a field in which sanctification made possible through Christ, who is the eschatological Other. As belief and action go together, for sanctification theory to not just become an ideology, it needs a field in which it is realized. It is through ethical behavior with others that we meet in life. The writer dealt with Wesley's understanding of Law and moral law, and of relationship with others for its study. Through this, the writer identified the true ethical character of Biblical sanctification. For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Wesley's characteristics of Sanctification theory discussed above, the writer first dealt with the basic understanding of Levinas' Phenomenology. He went on with Levinas' understanding and criticism of Edmund Husserl and Martin Heidegger, and with Levinas' uniqueness that transcends these two scholars. The writer especially found out the phenomenological grounds of the otherness in elucidat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subject shown in his Totality and Infinity Philosophy and Theology influence each other a lot. For this reason, the attempts to restore the Other to the Same, such as rationalism or positivism, have had a negative impact on Theology. However, Levinas' work strongly criticized ontology that has been followed by Western philosophy. In the writer’s opinion, such criticism must be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data for understanding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which is the main subject of this dissertation. This is because this dissertation criticizes the practice of limiting or reducing sanctification to the human category, and instead tries to reveal the eschatological concept and otherness of true evangelical sanctification. Consequently, the writer found out that the characteristic of eschatological and Otherness of sanctification theory appeared in Wesley’s sermons was more clearly demonstrated through Levinas' Phenomenology of the Otherness. It was found that the concept of ethics as a field of realization of sanctification has many connections with Levinas' ethical characteristics. Although it is true that Levinas' theory has several limitations, nevertheless, his theory became the basis for enabling the phenomenological argument for the otherness and the esch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In conclusion, the writer was able to emphasize the following three as the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through this study; (1) The Otherness Sanctification Theory as the Other beyond the Totality (2) The Eschatological Sanctification Theory as the emergence of the Other (3) The Ethical Sanctification Theory as the practical response. Although the writer analyzed only Levinas' phenomenology of the Other in this dissertation,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more studies on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through other phenomenologists or other philosophical concepts are available in the future. The writer hopes that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will become more persuasive both philosophically and theologically through the ongoing advanced studies, and that these will bring more abundant fruits of holiness in Christian spiritual life and ministry.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마경석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welfare of the disabled respects the right to choose and decide on the parties to the disabled, and is changing based on a model of self-reliance that aims for a normal life in the community. One of the main systems that support such self-reliance is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PA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personal assistants for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so many studies are needed. The most urgent part of the study on personal assistants for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is the study on turnover. It is known that workers engaged in welfare such as personal assitnats with a disability require labor including emotional work, and this part of emotional work strengthens the intention to turnov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work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In addi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motional work and turnover intention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it is intended to identify a more in-depth influence relationship by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internal behavior. If this influence relationship is verified, various implications can be sought to help personal assistants for the personal with a disability work for a long time. This study surveyed 527 personal assistants for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belonging to 30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5 institutions for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15 institutions for self-living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10 institutions).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 verification, one-way distribution analysis, Scheffe's post-test, mean differe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work and job burnout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emotional work,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 over inten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ag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work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had an effect on the intention to turnover. Third,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work of personal assistnats for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had an effect on job stress and job burnout. Fourth,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and job burnout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had an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Fifth, when emotional work affects turnover intention,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and job burnout respectively mediate and affect turnover intention. Sixth, emotional work finally affected the intention to turnover by sequentially mediating job stress and job burnou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first, the process of emotional work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belonging to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self-relianc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self-support centers for the disabled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investigated and reveale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leading to emotional work, job stress, job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was quantitatively proven. Second, when the emotional work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affects the intention to turnover, basic data for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and job burnout were presented. As a practical impli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evaluate job burnout or job stress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maintenance of inner peace in order to solve the emotional work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Third, specific measures such as a monitoring system, advice, and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As a policy impli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personal assisstants for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Second, in-depth research on personal assistants for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is needed. Third, the provisions of the law related to the guidelines for supporting activities for the disabled need to be revised to suit the reality. Four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alary system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ampl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nd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to all personal assistants for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Therefore, follow-up studies on personal assistants for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in various regions are needed. Second, follow-up research is needed on the rejected part. In this study, unlike previous studies, the influence of surface behavior and inner behavior was different. However, it is necessary to clarify whether this difference in influence was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or by the limitations of research. Thir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the sub-factors of emotional work, job stress, and job burnout. Therefore, a study that applies sub-factors differently to emotional work, job stress, and job burnout is suggested. 장애인의 복지는 장애인 당사자의 선택권과 결정권을 존중하며, 지역사회에서의 정상 생활을 지향하는 자립생활모델을 근간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이러한 자립을 지원하는 주요 제도 중 하나가 바로 장애인활동지원사 제도이다. 하지만 이들을 돕는 장애인활동지원사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어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장애인활동지원사 에 대한 연구 중 가장 시급한 부분이 바로 이직에 대한 연구이다. 이는 장애인활동지 원사와 같은 복지에 종사하는 종사자들은 감정노동이 포함된 노동이 요구되며, 이러한 감정노동의 부분이 이직의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감정노동의 특성에 따른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지각된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표면행위 영향관계 외에도 내면행위 영향관계를 검증하여 보다 심층적인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영향 관계를 검증한다면 장애인활동지원사들이 장기간 근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다양한 함의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도·인천지역에 속한 장애인복지시설 30개소(장애인복지관 5개 기관, 장애인자립생활센터 15개 기관, 지역자활센터 10개 기관)에 소속된 장애인활동지원사 52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의 순차적 매개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 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 Scheffe의 사후검정, 평균차이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활동지원사는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에 대하여 성별, 연령 등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였다. 둘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감정노동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이 각각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여섯째,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최종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이론적․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론적 함의로는 첫째, 수도권에 소재한 장애인복지기관·장애인자립생활센터·지역자활센터 기관에 소속된 장애인활동지원사들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조사하고 밝혀내었다.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로 이어지는 순차적인 매개 효과가 정량적으로 증명되었다. 둘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실천적 함의로는 첫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소진이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감정노동을 해결하기 위해 내면의 평안을 유지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셋째,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모니터링 체계와 자문, 교육프로그램과 같은 구체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정책적 함의로는 첫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노동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인활동지원사에 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장애인활동지원 사업지침에 관련된 법 조항들이 현실에 맞게 개정될 필요가 있다. 넷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급여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표본은 서울특별시·경기도·인천시에 국한되어, 연구결과를 모든 장애인활동지원사로 일반화하는 데에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다양한 지역의 장애인활동지원사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기각된 부분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 달리 표면행위와 내면행위의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이러한 영향력의 차이가 장애인활동지원사의 특성에서 기인하였는지 아니면 연구의 한계로 인해서 나타난 것인지에 대해 명확한 원인을 밝힐 필요가 있다. 셋째,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의 하위요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대해 하위요인을 다르게 적용한 연구를 제언한다.

      • 인권 개념에서 본 북한 선교에 관한 연구

        최영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evangelization of North Korea in the way of the human rights and to find ways improve the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o achieve this, I have searched the concepts of the human rights along with the stream of the missions from the Bible, and on the basis of the organization of concepts, I present the theological ways of holistic miss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hrough the missions. General rights of human is being understood under the doctrine of the moral laws and problems of nature. People recognize to be more like human under its law and order of the nature law and civil rights ideology. Ceremony has been developed due to the growth of civiliz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of holding general human rights at the time of birth. It is a natural right and comes from human's dignity which cannot be abandoned or violated. In mission theological point of view, human rights can be described by Imago Dei. It regulates human's dignity which had been built to interact with God. There are fundamental social rights, rights of getting redeemed by being his people and rights of the neglected class of people to be looked through in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indicates the human rights upon the ministry and restrained ministry of neglected class of people of Jesus Christ. The idea of human rights has gone through the early church which discussed human rights among the church, the Medieval Church in which it was canonical, and the Reformation era appealing personal discernments and the freedom of Christian. Although there were conflicts with other religions, civil right was there to face the practical problems, such as slavery, through the Enlightenment and theology of 19th century. By this, theological human rights of missions come to the fore nowadays. Discussing the fundamental theology of human rights is not for rejecting or modifying general rights, but to regain the human rights through Imago Dei. Lausanne Committee for World Evangelization I, II and III, Evangelical Mission, and Mission Council of Ecumenical, WCC, explained the rights in a social responsibility and a liberation to regain Imago Dei. Furthermore, the closure of the rights of North Korean brings hardships to the study and leaves many problems to be solved. These problems has occurred to keep North Korean's systems and their judicial systems. However, the idea of human rights, cultural relativity and our awareness of human rights consider the principle of groups and national sovereignty. Its research, currently, is mostly focused on national security problems and certainly the repatriations of North Korean defectors as well as political prisoner camps. But the problems of civil rights of North Korea research has put apart for the study of their responses and effectiveness of international civil rights policy which ignores the quantitative expansions. And it is urgent to support the research on civil rights methodology, human rights theory and the history of human rights. There should be a steady attention for missions focusing on the human rights of North Korean. Instead of temporary concerns, steady attention is necessary to attain nimble-footed actions when there are issues of gathering information and problems. This interests should be led to practical assistance to improve humanitarian support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And there still are in needs of materials and manpower. For effective missions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coalition and united campaign of holistic mission theology is needed. Churches and the missionary groups in South Korea should be united and be allied with churches in North Korea to improve the human rights effectively. To overcome the religious limits, not only churches and missionary groups but also an ally of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 IGO, and Non-Government of Organization, NGO, is needed for correcting difficulties of human rights. The parts that religious cannot make things better can be dealt with the ally. And it should lead missions to be spiritual renewal as well. The efforts of improving civil rights to accomplish their own duty has to be done by spiritual awakening. The complication of human rights missions in North Korea is the reality of our torment. It can remedy only with the ministry of missions under Imago Dei. There are people dealing with sadness in which the dignity of Imago Dei is ignored even though there are lots of things appealing it now. Therefore, we should never neglect them. The missions in North Korea for solving human rights shall be started within the love of Jesus Christ. Missionary works of civil rights of North Korean is what Jesus Christ gave us as Imago Dei. We should pray, study and support for it. Supports of different parts should be applied for intellectual support and for active activities as to participate in solving problems of human rights in spiritual missions. His people who live in the Korean Peninsula can enjoy recovery of Imago Dei. Until then, missions for civil rights of North Korea should be continued followed by Christians' attentions and supports. And we are expecting intact of Imago Dei happens in Korea. 보편적 인권은 인간을 도덕률의 이념과 자연법의 문제에 있어서의 윤곽 안에서 이해한다. 인간은 자연법이나 인권 이념의 법질서를 통해 더 인간다워 지는 존재로 인식하는 것이다. 보편적 인권은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기본 권리로 인간이기 때문에 당연히 가지는 권리로 이 권리는 천부적인 것이며 인간의 존엄성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절대 포기 되거나 침해받을 수 없는 권리이며 침해 받아서는 안 되는 권리로 인간의 문명 발전에 따라 의식 도 발전했다. 신학적 관점으로의 인권은 하나님의 형상을 통해 살펴 볼 수 있다. 하나 님의 형상에 따라 지어진 인간은 하나님과 소통할 수 있는 존재로 하나님의 형상으로 인해 인간의 존엄성이 규정된다. 구약 성서를 통해 우리는 사회적 인권의 기초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구원을 받을 권리로서의 인권과 사회적으 로 소외된 계층을 위한 인권을 살펴볼 수 있다. 신약 성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소외된 자들의 사역과 구속 사역을 통해 인권을 이야기한다. 이러한 인권 개 념은 교회 안에서의 인권을 논하는 초대교회와 교회법을 통해 인권이 거론되 었던 중세교회를 거쳐 개인의 분별력과 기독교인의 자유를 호소하던 종교개혁 시대를 거쳤다. 또한 다른 종교와의 대립과 갈등 속에서 인권은 이어져왔고 계몽운동과 19세기의 자유로운 신학을 통해 노예문제와 같은 보다 현실적인 문제들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역사를 통해 오늘날은 평화를 위한 선교 신 학적 인권이 대두되고 있다. 인권의 신학적 기초를 논하는 것은 보편적 인권을 거부하거나 수정하려 는 것이 아니다. 하나님 형상 회복을 통한 인권 회복을 위함이다. 하나님의 형상 회복을 위해 복음주의 선교대회와 에큐메니칼 선교대회는 각각 사회적책임과 해방이라는 단어로 인권을 이야기 했다. 북한 인권은 폐쇄적 상황으로 인해 연구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선행되 어야할 문제들이 많이 남아있다. 북한 인권의 문제들은 북한 체제 유지와 사 법제도를 위해 생겨나고 있으며, 집단주의 원칙과 국가 주권 중시하는 인권 개념과 문화상대주의 그리고 우리식 인권의 인권 개념이 그 밑바탕에 깔려 있 다. 현재 북한 인권 문제의 연구는 대부분 안보 문제에 치중되었으며 최근에 는 주로 탈북자 강제송환과 정치범수용소 문제를 주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북한 인권 문제 연구는 양적 팽창에 비해 연구주제가 국제사회의 대북인권정 책에 대한 북한정부의 반응과 정책효과를 다룬 연구에 편중되어 인권연구방법 론과 인권이론과 사상, 인권의 역사 분야의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인권 문제를 위한 북한 선교는 지속적인 감시로서의 관심이 필요하다. 일 회적인 관심이 아닌 지속적 관심을 통해 자료의 수집과 발생되는 인권 문제에 발 빠른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심은 인도적 지원으로 북한 인 권의 개선을 위한 실질적 도움으로 이어져야 하며 이를 위한 다방면에 걸친 많은 지원과 물질적·인적 자원이 필요한 현실이다. 효과적인 인권 문제를 위한 북한 선교를 위해서는 통전적 신학으로서의 연합과 일치 운동이 필요하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인권 문제 개선을 위한 북한 선교를 위해서는 남한의 교회와 선교 단체는 물론 북한의 교회와의 연합 과 일치가 필요하다. 폭넓은 인권 문제 개선을 위한 북한 선교를 위해 교회와 선교 단체뿐만이 아니라 IGO·NGO와의 연합도 필요하다. 이를 통해 종교가 할 수 없는 분야의 인권 문제의 개선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이 연합 은 북한 인권 문제를 위한 북한 선교의 영적 갱신으로 이어져야 한다. 인권 문제 개선을 위한 노력과 함께 선교 본연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영적으로 깨 어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 A Study of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Lausanne Movement

        허요한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논문은 로잔운동의 역사적 함의해석이며 이 운동의 전도신학과 선교신학에 대한 연구이다. 로잔운동이 선교의 근본 성을 어떻게 추출했는지 과난함으로써, 세상을 변화시키는 많은 지도자들이 그리스도의 왕국을 확장함으로써 복음과 세상에 미치는 영향에 더욱 헌신하게 될 수 있는 결과를 찾는 연구이다. 논문을 위한 연구는 역사적 방법론을 사용했다. 논문을 용약하기 전에 논문은 두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로잔운동의 역사다. 로잔의 역사를 전체적으로 보면 대표적인 대회를 세 번이나 주최했다. 첫 대회는 1974년의 로잔대회이다. 로잔운동의 창립자중에 큰 영향을 기친 빌리 그레이엄 목사가 이 대회 때 주장하는 것은 전도자들이, 제도적인 것과 포괄적인 것보다, 영적으로 연합해야할 필요가 있었고 성경의 권위의 원칙을 따라 연합된 상태는 유지해야한다고 했다. 이로서 첫 번째 대회가 마치며 로잔운동은 성경의 권위중심으로 선교와 전도에 힘쓰며 에큐메니칼 흐름에 벗어난 운동으로 정리가 되었다. 두 번째 대회는 1989년 마닐라에서 열렸다. 여기서 마닐라 마네페스토가 정리 되며 세계선교의 진화가 선명해졌다. 특히나 이 대회는 10/40 세계창에 사는 미전도 종족 그룹으로서의 복음화 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전략적 정의와 2000년까지 전 세계 복음화의 목표에 의해 주도되어있다. 세 번째 대회는 2010년 케이프타운에 열린 로잔운동대회이다. 이 대회를 통해, 많은 기독교 지도자들과 세계선교사, 그리고 일반 기독교인들이 모여 케이프타운 서약서를 만들었다. 즉, 로잔의 정신(온 교회가 온 세계로 온 복음을 전하다)으로 전 세계를 복음화 시켜 변화하는 목적으로 나아가는 운동이다. 그럼 왜 로잔이 중요하고 필요할까? 로잔운동은 무엇을 했기에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로잔운동의 창립자 빌리 그레이엄과 죤 스톳은 로잔운동은 오늘 크리스찬들에게 전도의 선교 신학에 대한 대표적인 진술이 라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이 중심으로 역사적 함의를 연구하며 두 번째 범위로 이어간다. 그것은 로잔운동은 선교적 운동인 관점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세계에 큰 영향을 기칠 수 있으며 많은 단체와 연합해 전도를 위해 힘을 합칠 수 있다. 이 특징으로 인해 빌리 그레이엄은 로잔운동이 전도에 대한 성경적 선언을 구성하고 전도에 필수적인 성경적 개념을 다시 강조하기를 희망한다고 선언했다. 이 선언으로부터 이 연구는 앞으로 기독교 지도자들이, 서향지도자들 뿐만 아니라 남미와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도자들과 함께 어떻게 복음으로 온 세상을 복음화 시킬 건지를 살펴봤다. 많은 교회와 기독교인들이 선교적 마인드(Mind)으로 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그 후 우리가 복음을 들고 어디로, 누구에서 어떤 구석으로 나아가야하는지 알아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에서도 로잔운동에 영향을 받으며 전도와 선교를 회복하는 사회로 변하려한다. 사회적 생각이 달라 로잔운동이 시대에 따라 변하는 사회 속에 어떻게 복음으로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시키는지를 연구했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복음으로 세상을 변화시키려는 로잔운동의 역사적 함의에 대한 연구이다. 복음으로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을 위한, 그리고 리더십의 다양성, 전략적 협업개발 미 그 이상에서 포용성을 자극하기 위해 로잔운동과 같은 강력한 기독교인 네트워크가 필요 한다고 알려준다.

      •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과의 관련성 연구

        신춘옥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A Study on Cor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arenting Behaviors and Little Children's Moral Judgement Shin, Chun-Ok Major: Child Care and Education Graduate School in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arenting behaviors and moral judgement of their little children, and how dependent moral judgement of little children is on their age and gender, relating to parent's parenting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has another aim to suggest parents the parenting behaviors to improve raise moral judgement of their little children, and also provide teachers in education field basic data necessary to plan morality education for little education and education for parents as well. The thema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arenting behaviors and moral judgement of their little children? 2. Are there differences in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moral judgments by age and gender? The tool for measurement is the modified scale from the <measurement scale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s> of Lee, Won-Young, which was transformed from the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Schaefer, 1959). Our tool has been proved as appropriate for applying to parents in Korea. The <measurement scale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s> has 154 items in 28 dimensions, which was too complex and has too many items. So, we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questionnaire by getting consults from 3 educational professionals, resulting into survey to ask only two types of parenting attitudes, 'affectionate-autonomous behaviors' and 'rejective-controling behaviors, according to dimensions of affection-rejection and autonomy-control. Confidence level of <measurement scale of parents' parenting behaviors> in this research, or Cronbach α, was relatively high, 0.95 for the fathers' survey, and 0.90 for the mothers' survey. In order to test moral judgment of little children, <measurement scale of little children's moral judgment development> was used as the tool for the research, with modified and supplemented from the questionnaire provided by Park, Sung-Hye(1991), and Choi, Sung-Suk(1996) with illustrations, which was originated from the theory of Piaget and then Hebble(1971).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92 little children from 4-5-years-old, who belong to 5 kindergartens in Kyoungi and Incheon Province, and their 92 parents. The collected data was coded and revised about data errors using SPSS 14.0, then put and treated statistically. Averages, standard deviation, X2-test, and correlationship were calculated, and one-way ANOVA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rrelationship between moral judgment and parenting behavior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her child's moral judgment. However, control-rejection in fathers' behaviors h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hip with children's good intention(r=-.245, p< .05) and bad intention(r=-.270, p< .01). It means that the more control-rejection in fathers' parenting behaviors, the lower children's moral judgment. Second, by analysis of cor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moral judgment by age and genders, for 4-years-old childr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ther's behaviors and children's moral judgment, but for 5-years-old children, control-rejections of fathers have negative correlationship with children's good intention. However, for 5-years-old children, the higher control-rejection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s, the lower moral judgment about good intention expressed by children. Also, in correlationship between fathers' behaviors and children's moral judgment depending on genders, there was no difference in girls. But, in fathers' parenting behaviors, control-rejection has negative correlationship with children's good intention. It means that the higher control-rejection of a father, the lower his boy's moral judgement. B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moral judgment depending on gend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4-years-old children and 5-years-old children.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moral judgment of little children has no statistical meaning depending on boys and girls. It means that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moral judgment have no relationship based on children's genders. Therefore, from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moral judgment, fathers' parenting behavior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hip with children's moral judgment, but mothers' parenting behaviors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ship with children's moral judgment.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과의 관련성 연구 신 춘 옥 M. A. 보육학전공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과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 고, 유아의 도덕 판단력은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연령별, 성별에 따라 차이 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부모에게는 유아의 도덕 판 단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양육태도를 제시해줄 뿐만 아니라 현장에 있는 교 사들에게는 유아의 도덕교육과 나아가 부모교육을 계획하고 실천하는데 필요 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은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2.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은 연령별,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가? 부모의 양육태도 측정도구는 Schaefer(1959)의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를 우리나라 이원영(1983)이 번안하여 사용한 어머니의 양 육태도 측정척도 를 수정하여 사용한 것으로 우리나라 부모에게 사용하여도 무리가 없음이 검증되었던 도구이다. 이원영의 어머니의 양육태도 측정척도 는 모두 28개 요인의 154문항으로 지나치게 복잡할 뿐만 아니라 문항수가 너 무 많기 때문에 이 연구에 맞게 유아교육 전문가 3인의 자문을 얻어 수정, 보 완하여 Schaefer의 부모 양육태도의 기본 모형인 애정-거부 차원과 자율-통 제 차원에 따른 애정-자율적 양육태도, 거부- 통제적 양육 태도의 두 가지 유 형만을 조사하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부모의 양육태도 측정척도 의 신뢰도는 Cronbach α의 결과 아버지용이 α=.95, 어머니용이 α=90으로 비 교적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도덕 판단력 발달 측정척도 는 유아의 도덕 판단력검사를 하기 위해 Piaget의 이론을 바탕으로 Hebble(1971)이 제시한 이론을 중심으로 박성혜 (1991), 최성숙(1996)이 그림을 그려 제시한 질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연구도구 로 사용하였다. 경기, 인천지역의 5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4, 5세의 유아 92명과 그 부모들 각각 9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14.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코딩과 데이터오류 검토과정을 거쳐 입력한 뒤 통계처리 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카이검증, 상관관계를 산출하고 일원변량분석 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 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버지 양육태도의 통제거부 는 유아의 좋은 의도(r=-.245, p< .05)와 나쁜 의도(r=-.270, p< .01)와는 유의한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아버지 양육태도의 통제거부가 높아질수록 유아 의 도덕 판단력은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의 연령, 성별에 따른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과의 관련성을 분석해 본 결과, 유아의 연령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적적판단과의 관계는 4세 유아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 단력은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5세 유아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의 통 제거부는 유아의 좋은 의도와는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5세 유아는 아버지 의 양육태도에서 보이는 통제거부가 심해질수록 유아가 표현하는 좋은 의도 도덕 판단력은 낮아졌다. 또한, 유아의 성별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 의 도덕 판단력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여아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차이 가 없는 것을 나타났다. 그러나 남아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에서 통제거부 는 유아의 좋은 의도와는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남아가 아버지의 양 육태도에서 보이는 통제거부가 높아질수록 남아가 보이는 도덕 판단력이 낮아 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유아의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 아의 도덕 판단력과의 관계는 4, 5세 유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 의 도덕 판단력은 의미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 양육 태도와 유아 도덕 판단력과의 관계는 남아와 여아에 따른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유아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과의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유아의 연령, 성별에 따른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과 의 관련성을 분석해 본 결과,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과의 관련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어머니의 양육태도 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과의 관련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 칼 바르트와 존 웨슬리의 종말론적 성령신학 비교 연구

        임태준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This project began from an observation that there are intersection points of Karl Barth and John Wesley when one analyzes their thoughts with the eschatological theology of the Holy Spirit. Both Barth and Wesley agree that the role of the Holy Spirit is essential to reach the ultimate salvation in the future from the eschatological time that has already begun in the current time. This is from their common interpretation of the middle period as ‘already’ but ‘not yet.’ Although Barth and Wesley are often known to have established Christocentric theology with little reference to the Holy Spirit, they, in fact, mentioned and emphasized the role of the Holy Spirit in their eschatology throughout their books, sermons, and journals. In this respect, they provide us with a theological alternative to the theory of salvation that progresses only on God's side or to the Reformed hermeneutics that is Christocentric. According to them, Christians are supposed to eventually experience the final victory through Jesus Christ as the objective revelation and the Holy Spirit as the subjective revelation. Bart and Wesley emphasize that this experience is based entirely on the otherness which comes from outside us. In particular, when it comes to life, the Holy Spirit, who is the otherness, intervenes directly in our circumstances rather than remaining as an isolated island. At this point, there exists a dissimilarity between them: The work of the Holy Spirit proceeds from the community to individuals in Barth but from individuals to the community in Wesley. Nevertheless, while they differ in their starting points and methods, they both agree that the grace of salvation expands to the dimensions of individuals, communities, and the entire universe and that it heads toward a bigger eschatological horizon that sanctifies all the people in the Holy Spirit. Many scholars identified Barth’s concept of sanctification with Calvin’s. According to Calvin, sanctification, as a double grace given with justification, can never be completed in the earthly lives of saints, and the entire sanctification is considered to take place gradually and to be achieved only after death. Calvin’s thought is in contrast to Wesley's concept of holiness as Wesley argues that the entire sanctification could be achieved even during earthly lives. For this reason, if Barth has followed the Reformed tradition from Calvin’s thought, his sanctification could have been regarded as a synonym with Wesleyan's New Birth. However, if one assumes that Barth viewed sanctification as a process guided by the Holy Spirit and approaches him from an eschatological point of view, it turns out to be identical to the Christian perfection claimed by Wesley. Although Bart did not think that sanctification is to be entirely accomplished in the earthly lives as Wesley did, he makes it clear that sanctification should last eschatologically through the Holy Spirit. In this respect, their theology of the Holy Spirit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eschatological time despite the historical limitation due to their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The core activities of the triune God are creation, salvation, and sanctification, which need to be understood within the concept of circulation. Because circulation means that each person takes turns participating in different personalities. While each person has their own activities, they participate in other persons and work together with one another. This is true of eschatology. It has been generally thought that time flows from past to present, and from present to future. In this context, eschaton was dismissed as the last thing to happen or regarded as having little to do with our earthly lives. In contrast, Bart views the three tenses as triplets, and Wesley views them as an inclusivism in which the future and the present coexist. This means that every moment in time interact with each other in a circular way to proceed toward the eschatological completion through the ministry of the Holy Spirit. For Christians to live a life of victory amidst a rapidly changing world and crisi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eschaton and pneumatology. 이 연구는 칼 바르트와 존 웨슬리를 종말론적 성령신학으로 접근해 보면, 동일한 신학적 접촉점이 발견될 수 있다는 것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그들은 종말론에 대한 부분에서 ‘이미’와 ‘아직’이라는 중간 시기에 대한 해석이 동일하며, 현재 시작된 종말의 시간 속에서 미래의 궁극적 구원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성령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일치점이 존재한다. 물론 의도성은 없었겠지만, 두 사람은 자신들의 신학을 기독론 중심으로만 향하고 있다는 공통된 오해를 받고 있다. 하지만 저서, 설교, 저널을 살펴보면, 그들은 종말 안에서 행해지는 성령의 역할에 관하여 광범위하게 언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그들은 오직 하나님 편에서 진행된 구원론, 혹은 기독론 중심의 종교개혁적인 해석학의 한계를 넘고,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신학적 대안을 마련해 주고 있다. 그리스도인은 객관적 계시인 예수 그리스도와 주관적 계시인 성령의 역사를 통해 결국 최종적인 승리를 하게 될 것이다. 바르트와 웨슬리는 이러한 사건이 전적으로 우리 밖에서 오는 타자성에 근거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특별히 삶과 관련하여 보면, 타자이신 성령은 외딴섬이 아닌 우리의 삶의 현장에 직접 개입하시면서 활동하신다고 말한다. 여기에는 상이점이 존재하는데, 바르트에게서 성령의 역사는 공동체에서 개인으로 향하고, 웨슬리는 개인에서 공동체로 전향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출발점과 방법은 다를지라도 구원의 은혜가 개인, 사회, 우주적 차원으로 확장되는 것에서는 같으며, 성령 안에서 모든 사람을 성화시키는 더 큰 종말론적 지평을 향한다는 것에는 같은 선상에 있다. 바르트의 성화 개념은 칼빈이 말하는 성화의 개념과 동일하다고 보는 견해가 많았다. 칼빈에 의하면, 성화는 칭의와 함께 주어지는 이중은총으로서 성도의 지상 생애에서 완성되지 않으며, 온전한 성화는 점진적인 것으로서 죽음 이후에나 이루어지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 주장은 웨슬리의 성결의 개념과 상반되는데, 웨슬리에 의하면 온전한 성화는 이 땅에서 가능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바르트가 성화를 칼빈과 같은 개혁신학의 전통을 따른다고 본다면, 이는 오히려 웨슬리안의 신생과 동의어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바르트가 성령 안에서 인도된 과정으로서 성화를 생각하고, 그 부분을 종말론적 시각에서 접근하면, 웨슬리의 기독자 완전과 동일하다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바르트가 웨슬리처럼 성화가 이 땅에서 온전하게 이루어진다고 보지는 않았지만, 그는 성령을 통해 성화가 종말론적으로 지속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두 신학자의 성령신학은 상호간 시공간의 역사적 한계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말의 시간 안에서 연결된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핵심적인 활동은 창조, 구원, 성화인데, 이것들은 순환이라는 개념 안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순환은 각 인격이 돌아가면서 서로 다른 인격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각 인격은 독자적인 활동을 가지는 동시에 서로 다른 인격에 참여하며, 또한 모든 일을 공동으로 이룬다. 그런데 이 개념은 종말과 관련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져만 한다.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시간은 과거, 현재, 미래로 흘러간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종말은 마지막에 일어날 일로 치부되거나, 아직 우리와 별 상관이 없는 것으로 간주되곤 했다. 그런데 바르트는 세 가지 시제를 삼중성으로, 웨슬리는 미래와 현재가 함께 공존하는 포괄주의로 이해했다. 이는 시간들이 서로 순환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성령의 사역을 통해 종말의 완성을 향해 전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와 위기 가운데 있는 그리스도인이 승리의 삶을 살기 위해서는 올바른 종말과 성령신학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 오순절적 예배연구 : 아주사부흥운동을 중심으로

        김영화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Today's churches are facing various crises. Those are Climate change, fine dust, earthquakes, and economic hardships. In particular, the recent virus pandemic that has threatened our lives on a global scale has even disrupted the homeostasis of church ministry. Due to these causes, the participation of the believers in church ministry has declined significantly. And in proportion to it, minister of church has been increased burdensome. At present, the ministry of the church is in a very urgent situation to come up with alternatives. Worship is a field of ministry where alternative search should be prioritized. This is because the church is a worshiping community, and worship is located at the center of faith life. Worship ministry has dropped, due to the many difficulties in the church. Worship should be offered in Spirit and Truth(John 4:23). Only worship that combines spirit and truth can secure vitality. However, it has been a long time since many churches have lost their vitality in worship services. As a result, the worshippers are feeling a serious spiritual exhaustion. At this point, the urgent task in the study of worship is to restore the quality of worship. Worship in spirit and truth, in which we experience God's presence, and in which believers restore their identity and the power of eternal life, must be reconstructed. In this study, Pentecostal worship during the Azusa revival movement was considered as an effort to restore the quality of worship. Efforts to restore worship must be made in various ways. Among them, we pay attention to the worship services that were vital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by identifying its characteristics. Useful insights is important and meaningful. Pentecostal worship of the Azusa revival movement began to occur in a period of religious decline due to the emergence of liberalism, heresy, and emerging religions in overall of the 19th century. And this acted as a central element in the modern evangelical revival movement. In this regard,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of the Pentecostal worship of the Azusa revival period will give a great insight into modern worship crises. This worship service was based on the Theology of Pentecostalism, and is characterized by a prominent experience of the dynamic workings of the Holy Spirit.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for vital worship through the Pentecostal worship in the Azusa revival movement and to gain insight for today's worship. In this study, a historical approach was taken to understand the Pentecostal worship of the Azusa revival movement. This is because the main task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orship located at a point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it. Especially, this study referred to the historical method of Johann Gustav Droysen in taking such an approach. This method studies history according to the process frame of ‘recognition-criticism-interpretation’. This study focused on recognizing and critically analyzing the Pentecostal worship of the Azusa revival movement, and interpreting its meaning and characteristics, following the framework of this historical study. In addition, in this study, when doing this kind of work, the area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main elements of the Pentecostal worship of the Azusa revival movement. The main elements are a divine element, a human element, an experiential element, a physical element, and an operational element. This distinction is the original attempt of this study. I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worship at that time was composed of these five elements as the main axis.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Azusa revival movement in Pentecostal worship. First, it is worship in which the eschatological message centered on the Second Coming is proclaimed. Second, confessional participation is equalized and activated worship. Third, it is worship in which the work of the Holy Spirit was radically experienced by all people. fourth, it is worship in which the limitations of visible time and space are transcended by the presence of God. Fifth, it is an improvised worship led by the Holy Spirit. As described above, the Pentecostal worship of the Azusa revival movement is an improvised worship where the worshiper experiences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in direct and transcendent interaction that culminates in an encounter with God. In other words, the Pentecostal worship of the Azusa revival movement is a holistic Pentecostal worship that leads worshipers to an encounter with God. The Pentecostal worship of the Azusa revival movement with the above characteristics became the driving force of the Azusa revival movement and its influence spread throughout the world. That is, the Pentecostal worship was at the center of the Azusa revival movement, and this worship was at the center of relieving the thirst between the believers and God. Therefore, today's church should receive lessons from the Pentecostal worship of the Azusa Revival movement in order to meet God deeply and relieve spiritual hunger. Therefore,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practice of continuing the Pentecostal worship of the Azusa revivalism is even today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religious crises facing the modern church. When today's churches meet God through the Pentecostal worship of the Azusa revival movement and reproduce the characteristics of Pentecostal worship, we will be able to expect Pentecostal revival again. 오늘날의 교회는 다양한 위기들에 직면하고 있다. 교회에 마주하고 있는 대표적인 위기변수로서 기후변화, 미세먼지, 지진, 경제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최근 전 지구적 규모로 우리 삶을 위협했던 바이러스 팬데믹은 교회 사역의 항상성마저 무너뜨릴 정도였다. 이러한 원인들로 인해 교회 사역에 대한 성도들의 참여도가 상당히 하락되었다. 그리고 그에 비례하여 교회 사역자들의 직무 부담이 가중되어왔다. 교회의 사역은 현재 대안 마련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다. 예배는 그 대안 모색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사역 분야다. 교회가 예배 공동체이며, 신앙생활의 중심에 예배가 자리하기 때문이다. 교회가 봉착하고 있는 다수의 어려움으로 인해 예배사역이 하락되었다. 예배는 영과 진리로 드려져야 한다(요 4:23). 영과 진리를 겸비한 예배만이 생명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당수의 교회가 드리는 예배에서 생명력이 상실된 지 이미 오래다. 그 결과 성도들은 심각한 영적 고갈 상태를 느끼고 있다. 현시점에서 예배학이 당면한 시급한 과제는 예배다움을 회복하는 일이다. 영과 진리로 드려지는 예배,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는 예배, 성도가 자기 정체성과 영생의 힘을 회복하는 예배가 재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예배다움의 회복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아주사 부흥운동 시기의 오순절적 예배에 대해 고찰하였다. 예배의 회복을 위한 노력은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 중 교회의 역사 가운데 생명력 있었던 예배들에 주목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여, 유용한 통찰을 도출하는 작업은 중요하며 유의미하다. 아주사 부흥운동의 오순절적 예배는 19세기 전반에 나타난 자유주의, 이단, 신흥종교의 등장 등으로 인한 신앙적 쇠퇴기에 일어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것은 근대 복음주의 부흥 운동의 중심부를 차지하는 요소로서 작용했다. 이런 점에서 아주사 부흥운동기의 오순절적 예배가 현대 예배에 주는 통찰이 클 것으로 기대한다. 이 예배는 오순절 신학(Theology of Pentecostalism)을 기반으로 하였고, 성령의 역동적인 역사하심이 두드러지게 경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주사 부흥운동의 오순절적 예배를 통해서 생명력 있는 예배를 위한 원리를 파악하고 오늘날의 예배를 위한 통찰을 얻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아주사 부흥운동의 오순절적 예배를 이해하기 위하여 역사적 접근을 했다. 이는 본 연구의 주된 작업이 교회사의 한 시점에 위치한 예배를 파악하고, 그 가운데 드러나는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기 때문이었다. 특히 본 연구는 그러한 접근을 함에 있어서 드로이젠(Johann Gustav Droysen)의 역사 연구 방법을 참고했다. 이 방법은 ‘인식-비평-해석’이라는 과정적 틀을 따라 역사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역사 연구의 틀을 따라서 아주사 부흥운동의 오순절적 예배를 인식하고, 비평적으로 분석한 후, 그 의미와 특징을 해석하는 일에 집중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작업을 할 때 아주사 부흥운동의 오순절적 예배의 주요 요소별로 영역을 구분하여 진행했다. 그 주요 요소는 신적요소, 인적 요소, 경험적 요소, 물리적 요소, 운영적 요소다. 이러한 구분은 본 연구의 독창적인 시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당시의 예배가 이러한 5가지 요소를 주축으로 구성되었다고 본 것이다. 본 연구는 아주사 부흥운동의 오순절적 예배 가운데서 다음과 같은 특성을 발견하였다. 첫째, 재림중심의 종말적 메시지가 선포된 예배이다. 둘째, 자발적 참여가 평등화되고 활성화된 예배이다. 셋째, 성령의 역사가 전인에 급진적으로 경험된 예배이다. 넷째, 가시적 시공간의 제약이 하나님의 임재에 의해 초월된 예배이다. 다섯째, 성령이 이끄시는 즉흥적 예배이다. 이상과 같이 아주사 부흥운동의 오순절적 예배는 예배자의 하나님과의 만남이 정점에 이르는 직접적이고 초월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성령의 임재를 경험하는 즉흥적인 예배이다. 즉 아주사 부흥운동의 오순절적 예배는 하나님과의 만남으로 예배자를 인도하는 통전적인 오순절적 예배이다. 위와 같은 특징을 지닌 아주사 부흥운동의 오순절적 예배는 아주사 부흥운동의 원동력이 되었으며 그 영향력이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즉 아주사 부흥운동의 중심에는 오순절적 예배가 있었으며, 이 예배는 성도와 하나님이 만나는 기갈이 해소되는 중심에 있었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교회는 하나님을 깊이 만나고 영적 기갈을 해소하기 위해서 아주사 부흥운동의 오순절적 예배에서 교훈을 받아야 한다. 이에 연구자는 현대교회가 처한 신앙적 위기를 해결하는 대안으로서 아주사 부흥운동의 오순절적 예배를 오늘날에도 계속하여 드리는 실천에 있다고 본다. 오늘날의 교회가 아주사 부흥운동의 오순절적 예배를 통하여 하나님을 만나고 오순절적 예배의 특징을 재현할 때, 오순절적 부흥을 다시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구조주의적 방법에 기초한 기독교유아신앙교육 실제에 관한 연구 : 유아 예배의 설교, 찬양, 기도를 중심으로

        양주혜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n actual proposal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for infants aged 3~5. Humans have cognitive, emotional, physical and spiritual development after birth. Early childhood development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life cycle because accumulative and plasticity characteristics appear during this period. Early childhood is also important in religious education. However, Korean churches have no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and have been conducting unprofessional religious education. Korean churches conducted faith education without considering early childhoo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lso, studies dependent on other studies were conducted because they could not form the identity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As a result, program-oriented education that follows the times and trends was conducted. Unsystematic education without consideration of understanding early childhood development cannot expect the result of effective christian faith education. Faith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in a systematic way suitable for infants to underst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To this end, the research topic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religious belief, cognition, and comprehension of infants? This study investigated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religious belief of christian educationalists. This study investigated recognition of infants because religious belief in early childhood is related to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infants, and proposed the principle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based on early childhood religious belief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infants. Secondly, what is the structuralist approach to discover internal rules and regulations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find an immutable internal rule and regulation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for systematic and effective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Structuralist approach can establish structure and system of subjects by focusing on elements and relationships and finding universal order. This study investigated a structuralist approach to find an immutable internal rule and regulation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and suggested a structure that can provide effective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Thirdly, what is the reality of sermon, praise, and prayer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through a structuralist approach? This study proposed the phenomenon and actuality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by approaching the principle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cognition of faith and recognition of infants and preaching, praise, and prayer of infant worship in a structural way. In Chapter Ⅱ, this study investigated religious belief, 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infants aged 3~5.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ppeare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religious belief of infants based on Westerhoff, Fowler, Hay & Nye. First, early childhood beliefs are 'experience and community' beliefs. Infants participate in religious ceremony and planned activity in faith communities and build faith by meeting and interacting with members. Secondly, early childhood belief is the belief of 'imitation and imagination.' Infants imagine God by projecting God on the relationship with caregiver, and build faith by imitating their caregiver. Thirdly, early childhood belief is the belief of 'sense and story.' Infants feel the mystical realm of faith with more sensitive sense than adults, and form their faith by accepting bible through stories.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religious belief that christian educationalists claim were related to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infants. Empirical faith is what Piaget claims to be a necessary teaching method for infants with intuitive thinking. This is linked to Vygotsky's argument that formation of faith through the community of faith develops cognition under the influence of society, culture, and history. Fowler's claim that faith is formed through relationship and imitation is linked to Erickson's claim wh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relationship between infant and primary caregiver. Faith as an imagination is linked to Piaget's animistic thinking that is manifested as an egocentric thinking. Faith as a sense is linked to Erickson's claim who emphasized the formation of confidence with primary caregiver. The formation of faith through stories is linked to Vygotsky's claim wh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vertical interaction and argued that cognition develops through language. This study suggested three principles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suitable for infants aged 3 to 5 from a christian education point of view on the basis of faith and cognition of early childhood. First, it is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through experience and community. Secondly, it is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through imitation and imagination. Thirdly, it is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through sense and story. The principles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are organized into three, but there are six in detail. The 6 principles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do not act individually but have association and influence each other at the same time. Meaning, infants use their senses in faith community to experience faith, imitate faith by looking at other members, and form and build faith by listening to the stories of members and imagination. In Chapter III, this study investigated a structuralist method of researching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The structuralist method is a useful method of academic research to understand inherent facts and to discover the inner laws of recognition objects. So far, christian faith education has not secured independence and autonomy of academic discipline because internal law was not clearly established. As a result, research dependent on other studies and program-oriented education that follows the needs and trend of the time has been mad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structural way because researching christian faith education through this method helps to provide systematic and effective christian faith education by finding an inner law and forming identity. From a structural point of view, Groom, Lee, Wink, Richards`s theory of instruction and learning observed the whole phenomenon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suggested educational phenomena that occur are organized and presented step by step. The following limita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of christian education appeared from a structural point of view. First, it only emphasized one area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secondly, the scope of religious education was only limited to the bible education in church. Structural theory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that supplemented the limita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of christian education is Park Jong-Seok's 'Structure of Teaching and Learning.' Structure of Teaching and Learning suggested inner law and order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through a structuralist approach. Structure of Teaching and Learning described both area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it is the structural theory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that can detect christian education phenomena occurring in daily life as well as in church and biblical education. The structure of teaching and learning is four levels and each level corresponds to another. The structure of teaching is 'request-preparation-introduction-wish,' and structure of learning is 'coming-encounter-coming into contact-changing.‘ This study applied Park Jong-Seok's 'Structure of Teaching and Learning' by modifying it for infancy. As a result, the structure of teaching is three stages of 'request-introduction-wish,' and only active methods are used in the introductory stage and the teaching method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is love. The structure of learning is three stages of 'coming-encountering-changing,' and the stage of encountering focuses on education for recognizing the otherness of 'difference' and 'may not be so' that occur in the encountering stage, and the stage of changing plans learning in which determination of acceptance occurs intentionally. This study approached the 6 principles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of Chapter II in a structural way of Chapter III and proposed the educational phenomenon and its actuality that take place in sermon, praise, and prayer of infant worship. The structure of teaching and learning of sermon in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is as follows. The preparation of sermon is based on ecclesiastical calendar. The teaching structure of sermon is 'request through request-experience,' 'introduction using introduction-sense,' and 'change using wish-imitation.' Understanding of infants in learning structure of sermon is 'coming-story,' 'encountering-imagination,' and 'changing-community.' The structure of teaching and learning of praise in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is as follows. Praise is prepared by the praise leader. The teaching structure of praise is 'request-welcome by community,' 'introduction through introduction-story,' and 'presence of God through wish-imagination.' Understanding of infants in learning structure of praise is 'coming-experience,' 'encountering-sense,' and 'changing-imitation.' The structure of teaching and learning of prayer in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is as follows. Prayer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faith education researched the represented prayer of infant worship, and the representative prayer was given by adult teachers. Preparation of prayer is writing out prayer and correct attitude of prayer of all teachers. Prayer is offered in the order of 'ACTS,' and the order of 'ACTS' and each stage of teaching structure correspond to each other. 본 연구의 목적은 만3-5세 유아를 위한 기독교신앙교육 실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인간은 출생 후 인지, 정서, 신체, 영적 발달이 이루어진다. 유아기 발달은 누적성과 가소성 특징이 나타나 다른 인생주기보다 중요하다. 신앙교육에 있어서도 유아기는 중요하다. 그러나 한국교회는 유아기 신앙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비전문적인 신앙교육을 실시해 왔다. 한국교회는 유아기 발달 특징을 고려하지 않은 신앙교육을 실시하였다. 또, 기독교신앙교육의 정체성을 형성하지 못하여 타학문에 의존한 연구가 진행 되었다. 그 결과 시대와 유행을 따라가는 프로그램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졌다. 유아기 발달 이해가 고려되지 않고 체계적이지 못한 교육은 효과적인 기독교신앙교육의 결과를 기대할 수 없다. 유아기 발달을 이해하고 유아에게 적합한 체계적인 방법으로 신앙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신앙과 인지 이해는 어떠한가? 기독교교육학자들의 유아기 신앙 이해를 알아본다. 유아기 신앙 특징은 유아의 인지 발달과 연관성이 있으므로 이 시기 유아의 인지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기 신앙과 인지 이해에 근거한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의 원리를 제시한다. 둘째,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의 내적 법칙과 규칙을 발견할 수 있는 구조주의적 접근은 무엇인가?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을 위해서는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의 불변하는 내적 법칙과 규칙을 찾아야 한다. 구조주의적 방법은 요소와 관계에 집중하여 보편적 질서를 찾아 대상의 구조와 체계를 정립할 수 있다.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의 불변하는 내적 법칙과 규칙을 찾을 수 있는 구조주의적 방법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을 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셋째, 구조주의적 접근을 통한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의 설교, 찬양, 기도의 실제는 어떠한가? 유아의 신앙과 인지 이해에 근거한 기독교유아신앙교육 원리를 구조주의적 방법으로 유아 예배의 설교, 찬양, 기도에 접근하여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의 현상과 그 실제를 제안한다. Ⅱ장에서는 만3-5세 유아의 신앙과 인지 이해에 대해 알아보았다. 유아기신앙은 웨스터호프, 파울러, 헤이&나이를 중심으로 알아 본 결과 다음의 특징이 나타났다. 첫째, 유아기 신앙은 ‘경험과 공동체’ 신앙이다. 유아는 신앙공동체에서 종교의식과 계획된 활동에 참여하고 구성원과의 만남과 상호작용 경험으로 신앙을 형성한다. 둘째, 유아기 신앙은 ‘모방과 상상력’ 신앙이다. 유아는 양육자와의 관계에 하나님을 투사하여 상상하고, 양육자의 모습을 모방하여 신앙을 형성한다. 셋째, 유아기 신앙은 ‘감각과 이야기’ 신앙이다. 유아는 성인보다 더 민감한 감각으로 신앙의 신비 영역을 느끼고, 이야기를 통해 성경을 받아들여 신앙을 형성한다. 기독교교육학자들이 주장한 유아기 신앙 특징은 유아의 인지 발달과 연관성이 있었다. 경험적 신앙은 피아제가 주장하는 직관적 사고를 하는 유아에게 필요한 교육방법이다. 신앙공동체를 통한 신앙형성은 사회, 문화, 역사의 영향을 받아 인지를 발달시킨다는 비고츠키의 주장과 연계된다. 관계와 모방을 통해 신앙을 형성한다는 파울러의 주장은 유아와 주양육자의 관계 형성 중요성을 강조한 에릭슨의 주장과 연계된다. 상상으로서의 신앙은 피아제의 자기중심성 사고로 발현되는 물활론적 사고와 연계된다. 감각으로서 신앙은 주양육자와의 신뢰감 형성을 강조한 에릭슨의 주장과 연계된다. 이야기를 통한 신앙형성은 수직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언어를 통해 인지가 발달한다는 비고츠키의 주장과 연계된다. 유아기 신앙과 인지 이해에 근거하여 기독교교육 관점에서 만3-5세 유아에게 적합한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의 원리 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경험과 공동체를 통한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이다. 둘째, 모방과 상상을 통한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이다. 셋째, 감각과 이야기를 통한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이다.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의 원리는 세 가지로 정리하였지만 세부적으로는 6가지이다. 6가지의 기독교유아신앙교육 원리는 서로 독립적이고 개별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연관성을 가지며 동시에 영향을 주고받는다. 즉, 유아는 신앙공동체에서 그들의 감각을 활용하여 경험하고 구성원들의 모습을 보고 모방하며, 구성원들의 이야기를 듣고 상상하는 경험을 통해 신앙을 형성하고 발달시킨다. Ⅲ장은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을 연구하는 구조주의적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구조주의적 방법은 전체를 구성하는 요소의 관계에 집중하여 고유한 사실을 파악하고 인식대상이 가진 내적 법칙을 발견하기에 유용한 학문 연구 방법이다. 지금까지의 기독교신앙교육은 내적 법칙을 분명하게 정립하지 못해 분과학문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그 결과 타학문에 의존한 연구와 시대의 요구 또는 유행을 따라가는 프로그램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졌다. 구조주의적 방법으로 기독교신앙교육을 연구하면 내적 법칙을 찾아 정체성을 형성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기독교신앙교육을 할 수 있기에 본 연구는 구조주의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그룸, 리, 윙크, 리처즈의 교수학습 이론은 교수학습이 일어나는 현상을 전체에서 보고 발생하는 교육현상을 정리하여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기독교교육의 교수학습 이론을 구조주의적 관점으로 보면 다음의 한계가 나타났다. 첫째, 가르침과 배움의 영역 중 한 영역만 강조하였고 둘째, 신앙교육의 영역을 교회의 성서교육으로만 한정지었다. 기독교교육의 교수학습 이론의 한계를 보완한 기독교신앙교육의 구조이론은 박종석의 ‘가르침과 배움의 구조’이다. 가르침과 배움의 구조는 구조주의적 방법으로 접근하여 기독교신앙교육의 내적 법칙과 질서를 제안하였다. 가르침과 배움의 구조는 가르침과 배움의 두 영역을 모두 설명하였고, 교회와 성서교육뿐 아니라 일상에서 발생하는 기독교교육 현상을 발견할 수 있는 기독교신앙교육의 구조이론이다. 가르침과 배움의 구조는 4단계이며, 각 단계는 서로 상응한다. 가르침의 구조는 ‘청함-마련-소개-소원’ 이고, 배움의 구조는 ‘나옴-처함-접함-바뀜’ 이다. 본 연구는 박종석의 가르침과 배움의 구조를 유아기에 맞게 변형하여 적용하였다. 그 결과 가르침의 구조는 ‘청함-소개-소원’ 3단계이고, 소개 단계에서는 적극적 방법만 사용하며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의 교육 방법은 사랑이다. 배움의 구조는 ‘나옴-접함-바뀜’ 3단계이고, 접함 단계에서 발생하는 ‘차이’와 ‘그렇지 않을 수 있음’의 타자성을 인지할 수 있는 교육에 집중하고, 바뀜 단계에서는 의도적으로 수용의 결심이 일어나는 배움을 계획한다. Ⅳ장은 Ⅱ장의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의 원리 6가지를 Ⅲ장의 구조주의적 방법으로 접근하여 유아 예배의 설교, 찬양, 기도에서 일어나는 교육현상과 그 실제를 제안하였다. 기독교유아신앙교육 설교의 가르침과 배움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설교의 마련은 교회력에 근거한다. 설교의 가르침 구조는 ‘청함-경험을 통한 청함’, ‘소개-감각을 활용한 소개’, ‘소원-모방을 활용한 변화’이다. 설교의 배움 구조에서 유아 이해는 ‘나옴-이야기’, ‘접함-상상력’, ‘바뀜-공동체’이다. 기독교유아신앙교육 찬양의 가르침과 배움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찬양의 마련은 찬양인도자이다. 찬양의 가르침 구조는 ‘청함-공동체의 환영’, ‘소개-이야기를 통한 소개’, ‘소원-상상을 통한 하나님의 임재’이다. 찬양의 배움 구조에서 유아 이해는 ‘나옴-경험’, ‘접함-감각’, ‘바뀜-모방’이다. 기독교유아신앙교육 기도의 가르침과 배움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의 기도는 유아 예배의 대표기도를 연구 하였고, 대표기도는 성인인 교사가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기도의 마련은 기도문 작성과 모든 교사의 바른 기도태도이다. 기도는 ‘ACTS’의 순서로 드리며, ‘ACTS’의 순서와 가르침의 구조 각 단계는 상응한다. 기도의 가르침 구조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기도와 교육원리는 ‘청함-감각을 활용한 경배기도’, ‘소개-경험에 근거한 고백기도와 감사기도’, ‘소원-공동체를 위한 간구기도’이다. 기도의 배움 구조 유아 이해는 ‘나옴-상상력’, ‘접함-모방’, ‘바뀜-이야기’이다. 본 연구는 만3-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의 원리를 제안하고 예배의 요소인 설교, 찬양, 기도에서 발생하는 교육현상과 실제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은 교회 뿐 아니라 일상에서도 발생하며, 구조주의적 방법으로 접근하면 일상에서 발생하는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의 실제를 발견하고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의 기초 연구로 모든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유아 예배의 설교, 찬양, 기도로 한정 지었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는 이후 예배의 다른 요소와 일상에서 발생하는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의 실제를 연구하는 후속연구를 촉구한다. 본 연구는 기독교신앙교육의 가르침과 배움의 구조로 접근하였다. 유아기 발달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기독교유아신앙교육을 보는 또 다른 구조주의적 틀이 존재할 것이다. 성인과 다른 방법으로 신앙을 경험하고 형성하는 유아기에 적합한 구조주의적 틀과 내적 법칙을 발견하여 유아기에 적합하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기독교신앙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보육교사의 업무 만족도 및 근무조건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

        구진선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보육교사의 업무 만족도에 있어 보육 효능감 및 심리적 지지의 주체(가족, 친구, 동료)의 영향력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둘째, 보육교사의 근무조건 만족도에 있어 보육 효능감 및 심리적 지지의 주체의 영향력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자격증, 학력, 직급, 어린이집유형)에 따른 업무 만족도의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근무조건 만족도의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다섯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보육 효능감의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마지막 여섯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대전, 인천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 1, 2인 업무 만족도와 근무조건 만족도에 있어 보육 효능감과 심리적 지지의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3,4,5,6 인구 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업무 만족도, 근무조건 만족도, 보육 효능감,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업무 만족도에 미치는 보육 효능감 및 심리적 지지(가족, 친구, 동료)의 영향력에 대해서 업무 만족도와 보육 효능감, 가족지지, 친구지지, 동료지지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업무만족도는 보육 효능감, 심리적 지지(가족, 친구, 동료)와 각각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하였다. 보육 효능감, 가족지지, 친구지지, 동료지지는 보육교사의 업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기 위해 요인의 평정치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업무 만족도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보육 효능감과 동료지지는 보육교사의 업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무조건 만족도에 미치는 보육 효능감 및 심리적 지지(가족, 친구, 동료)의 영향력에 대해서 근무조건 만족도와 보육 효능감, 심리적 지지(가족, 친구, 동료)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근무조건 만족도는 보육 효능감, 가족지지, 친구지지, 동료지지와 각각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보육 효능감, 가족지지, 친구지지, 동료지지와 보육교사의 근무조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기 위해 요인의 평정치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근무조건 만족도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보육 효 능감만이 보육교사의 근무조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업무 만족도의 차이에 대해서 검토하기 위해 자격증, 학력, 직급, 어린이집 유형별 업무 만족도의 평정치에 대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업무만족도에 있어 자격증, 학력, 직급, 어린이집 유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근무조건 만족도의 차이에 대해서 검토하기 위해 자격증, 학력, 직급, 어린이집 유형별 근무조건 만족도의 평정치에 대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근무조건 만족도에 있어 보육교사의 자격증, 학력, 어린이집 유형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근무조건 만족도에 있어 자격증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가장 높은 것은 2급 보육교사였으며, 학력별 진단의 차이에서는 고등학교 졸업,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차이에서는 국공립 어린이집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보육 효능감의 차이에대해서 검토하기 위해 자격증, 학력, 직급, 어린이집 유형별 보육 효능감의 평정치에 대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보육 효능감에대한 유의미한 차이는 자격증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 결과로는 3급 보육교사, 1급 보육교사, 2급 보육교사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 직급, 어린이집 유형별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여섯째,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의 차이에 대해서 검토하기 위해 자격증, 학력, 직급, 어린이집 유형별 직무스트레스의 평정치에 대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직무 스트레스에 있어 자격증, 학력, 직급, 어린이집 유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업무 만족도와 근무조건 만족도에 동일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보육 효능감이였으며 업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동료지지였다. 이는 보육교사의 업무를 진행하는데 있어 동료교사, 선임교사의 지지는 보육 효능감을 높이고 보육교사라는 업무의 고유성을 긍정적으로 끌어올려 동료간의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여 서로 필요한 부분을 지원해주는 상호 보완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이는 보육교사의 업무 만족도와 근무조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일 할 수 있었다. 보육교사의 자격증, 학력, 어린이집 유형은 근무조건 만족도에 차이를 나타났으며, 보육교사 자격증에 따른 보육 효능감 또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보육교사의 보육 효능감과 업무 만족, 근무조건에 대한 내용은 상호 결정론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보육교사들의 보육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지원과 교사들의 근무조건에 관련하여 개인에게 주어지는 휴가, 근무량과 시간의 적절성, 경력과 능력에 따른 보수가 적절하게 사용되어지고 지급되어 질 수 있도록 법적인 제도의 변화가 필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추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면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후속연구에서는 피조사자의 학력과 자격증의 종류를 골고루 담아 낼 수 있도록 지향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 조사 대상자의 보육교사 자격증 종류가 1급으로68.1% 편중되어 있었고, 최종학력은 대학졸업, 대학교 졸업으로82.8% 편중되어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근무조건 만족에 대한 설문 문항을 좀 더 구체적으로 나열하여 연구에 보육교사의 필요한 영향력들을 밝혀내는 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업무 만족도에 대한 개념정리와 근무조건만족을 각각으로 나누어 연구한 선행연구를 찾기에 어려워 본 연구 결과물로 그 내용들을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특히 근무조건 만족은 3가지의 설문 문항에 따라 보육교사의 근무조건을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셋째, 본 연구 결과에 대한 해석이 타당한지에 대한 것을 검증하기 위해서 비구조화된 면접조사를 통한 질적 검토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설문지 통계연구로서 설문지에 의존하여 자료를 조사하였기 때문에 연구에 대한 각 변인에 대한 피조사자들의 주관적인 상황들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 교회사에 나타난 가난과 부와 자선에 대한 연구 : 성 요하네스 크리소스토모스와 성 아우구스티누스를 중심으로

        최지혜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verty, wealth and charity in Church History. Poverty is not a problem of poverty itself, but a social problem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of human greed, social injustice and the oppression of power. In Christianity, what opinion can be expressed to understand and to solve this poverty problem?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paper considered the teaching of sermon on Johannes Chrysostom and St. Augustine of Hippo. In the investigation on the two Father’s teaching, it is important part that to consider the historical contexts of Roman Empire. Therefore, this article explored the poverty as a social problem in the Roman Empire with assistance from the legal provisions and archaeological data. And after that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oman Empire and church after Constantine’s after Constantine’s religious policy in his ruling period. The universal views that are appeared to the fathers of the Church sermons are as followed. First, Christian criticism against greed and transformation of the values of the value system of the Roman Empire, second, the oneness of Christ and the poor, and the virtue of Christian. In addition, it is possible for us to find Chrysostom’s practical effort for poor people. These teachings are provided many insights and suggested important resolution points in the situation of social conflict due to an imbalance of income imbal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