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코로나19 대응 중에 보건소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경기도 소재 보건소를 대상으로

        한동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배경: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응 중에 경기도 소재 4개 보건소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방법: 2023년 6월 19일부터 21일까지 코로나19에 대응하고 있는 경기도 소재 4개 보건소 종사자 198명을 대면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보건소 종사자들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성과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정도를 파악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보건소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 평균점수는 56.8점, 소진 평균점수는 47.0점이다. 직무스트레스에는 연령, 혼인유무, 선별진료소 근무, 코로나19 발생 이후 초과근무 시간이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소진에는 직무스트레스가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의 영향요인으로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하여 정책적으로 감염병 관련 업무 지침 개발 및 효율적 인력관리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소진을 예방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Background: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that affect job stress and burnout of workers at four public health centers in Gyeonggi-do during the COVID-19 response. Method: From June 19 to 21, 2023, 198 workers at four health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who are responding to COVID-19 were surveyed face-to-fac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 relevance of health center workers, and the degree of job stress and burnout were identified. The SPSS/WIN 26.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nto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job stress for health center workers is 56.8 points and the average score of exhaustion is 47.0. Age, marital status, work at screening center, and overtime hours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factors in job stress. Job stress was found to be an influencing factor in burnout. Conclusion: In order to reduce job stress as an influencing factor of burnou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reduce job stress and prevent burnout through policy development of work guidelines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s and additional research on efficient manpower management.

      • 보건소의 코로나19 대응체계와 과제 : 송파구보건소 사례를 중심으로

        이형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ffective improvement measures by examining the reorganization and response status of the Songpa-gu community health center among the health centers responsible for regional health in basic local governments. Based on prior research, the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compare the health center system and functions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analyze the changes and effects in the response system.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health centers improve their diagnosis of new infectious disease crisis response, systematization of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system governance from central to provincial, efficient relocation and utilization of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and budget and manpower support. In addition, the municipal council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n organized response system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through the enactment of ordinances related to the response of infectious diseases. Th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to establish and improve an efficient and effective infectious disease response system at health center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기초자치단체에서 지역 보건을 책임지는 보건소 가운데 송파구보건소를 중심으로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조직 개편과 대응 상황을 점검하여 효과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과 방법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보건소 체계 및 기능을 비교한 뒤, 대응체계 변화 및 효과에 대해 분석한다. 연구 결과로는 보건소의 신종감염병 위기 대응에 대한 진단의 개선안으로, 중앙에서 지방으로 이어지는 감염병 관리체계 거버넌스 체계화, 인적·물적 자원의 효율적 재배치 및 활용, 예산 및 인력 지원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자치구의회의 감염병 대응 관련 조례 제정을 통한 자치단체 차원의 조직적인 대응체계 확립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가 향후 보건소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감염병 대응체계 정립과 개선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 한국과 일본 자살예방정책 비교연구

        허지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2004년 보건복지부의 제1차 자살예방 5개년 종합대책 발표이후 지속적인 자살예방정책에도 불구하고 OECD 국가 중 자살률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는 한국의 정책을 다시 살펴보고, 지리적으로 가까우며, 사회문화, 경제,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과 유사한 측면이 있는 일본의 자살률 감소 효과를 보이게 된 정책 비교를 통해 유사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 한국의 자살예방정책 개선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정책 비교를 위해 양국 정부기관 홈페이지 자료, 보고서, 기사, 정책회의자료, 법률자료, 외국저널, 국내에서 진행된 연구자료, 저서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양국의 자살예방정책 비교를 위해, 양국 정부의 공식적인 대응책을 법령, 개입전략, 예산측면의 비교와 WHO가 2018년 새롭게 공표한 자살예방국가전략의 핵심개념인 (1) 정책과 다 부문 간 협력의 리더십, (2) 이행을 위한 개입, (3)혁신·재정·전달플랫폼에 대한 비전, (4) 평가·모니터링·감시 및 연구, (5) 자살 수단에 대한 접근 제한, (6) 책임 있는 보도를 위한 언론과의 상호작용, (7) 젊은이들의 삶의 기술 형성, (8) 조기 식별·관리 및 후속조치’의 8가지를 활용한 비교를 통해 유사점과 차이점을 발견하였으며, 자살예방정책에 따른 자살률 변화와 생애주기별 집단을 청소년층, 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으로 구분하여 자살예방정책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일본은 지역의 실정을 감안한 자살대책계획 수립 및 지역 상황에 따른 자살 대책을 위한 교부금을 교부하도록 하는 지역 자살 대책을 위한 조치들을 법으로 명시하고 있었다. 또한 지역자살대책 강화를 위한 정책패키지 제공 및 PDCA [Plan(계획), Do(실행), Check(검증 및 평가), Act(개선)]사이클은 지역실정에 맞는 자살대책추진에 있어 한국이 참고할 만한 부분이며, 후생노동성 홈페이지에 담당부처별(내각부, 후생노동성, 총무성, 문부과학성 등) 자살대책 업무 추진상황을 추진과제와 항목별로 나누어 목표수치와 달성정도, 차년도 계획을 정리하여 공개하고 있었는데, 2018년부터 주관부서가 보건복지부 내에 신설된 한국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이 외에도 자살문제에 대한 국민 개개인의 관심 확대 정책, 적극적인 예산 투입 등 실질적인 자살예방 사업 전개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confirm Korea's policy of holding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ountries despite its continued suicide prevention policy sinc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nounced the first five-year comprehensive plan to prevent suicide in 2004. Through a policy comparison with Japan,the government wanted to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order to improve Korea’s suicide prevention policies. This is because of similar aspects in social culture, economy, and education between both of the geographically close countries. To compare the policies of Korea and Japan, I collected and analyzed the homepage data, reports, articles, policy meeting data, legal data, foreign journals, research materials conducted in Korea, and related books from both countries. The policies of the two governments were compared in terms of law, intervention strategy and budget. And as a framework for comparing suicide prevention polic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following eight key concepts of the national strategy for suicide prevention, newly announced by the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in 2018, were utilized; (1) leadership in policy and multisectoral collaboration; (2) interventions for implementation; (3) vision for innovation, financing, and delivery platforms; (4) evaluation, monitoring, survelliance and research; (5) less means by restricting access; (6) interaction with media for responsible reporting; (7) form the young in their life skills; (8) early identification, management and then follow-up measures. The suicide prevention policies were compared by dividing groups by life cycle, from teenager to youth, then middle-aged adults to elderl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Japan was supporting local governments' suicide prevention projects by stipulating local suicide measures as a law. The provision of policy packages, and PDCA(Plan Do Check Action) cycles to strengthen regional suicide measures, which were implemented by Japan in December 2017, is an applicable part of Korea's implementation of suicide measures suitable for regional conditions. In addition, on the website of the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Japan was disclosing the target figures, the degree of achievement, and plans for the next year by dividing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suicide measures by each department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Ministry of Health, Labor,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etc.). I think this the Japan method should have been applied to Korea, where a suicide prevention department was established withi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ince 2018. In addition, the government needs to develop practical suicide prevention projects, such as policies to expand individual people's interest in suicide issues and active budget spending.

      • 소변 중 코티닌 농도에 따른 청소년의 자가보고 흡연 상태의 정확도 및 관련요인 분석 : 제3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정선경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배 경: 청소년기의 흡연량은 흡연 시작이 빠를수록 증가하고 이는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정확한 흡연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흡연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평가하는데 중요하다. 자가보고 설문의 타당도 평가는 설문 데이터가 얼마나 정확하게 흡연 상태를 반영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방 법: 제3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참가자 중 13-18세 청소년 92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소변 시료 분석을 통한 코티닌 농도와 자가보고 설문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파악하였다. 청소년의 코티닌 절사점 39.85 ㎍/L를 이용하여 흡연 상태를 구분하였고,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 과: 청소년의 자가보고 설문에 의한 흡연율과 절사점 기준 흡연율은 각각 3.1%, 5.1%였다. 정확도 평가 결과, 자가 보고된 청소년 흡연자와 코티닌 농도에 따른 흡연자의 일치도는 97.1%로 나타났다.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간접 흡연, 전자담배 사용 여부가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결 론: 본 연구 결과 청소년의 자가보고 설문과 실제 흡연 상태의 정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문 보완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데이터의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청소년 흡연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The amount of smoking in adolescence increases with a younger age of smoking initiation, affecting physical health. To establish and evaluate smoking-related policies,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actual smoking status. Validation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can identify the accuracy of the questionnaire data reflecting smoking status.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sistency between cotinine concentrations and self-reported questionnaire data through the analysis of urine samples collected from 922 adolescents aged 13-18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cycle 3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Smoking status was classified using the cotinine cut-off point of 39.85 μg/L in adolescents, and factors affecting the accuracy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smoking rate according to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cut-off point-based among adolescents was 3.1%and 5.1%,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e accuracy evaluation found 97.1% consistency between the self-reported smokers and the smokers according to the cotinine concentration. Factors affecting accuracy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cluding gender, secondhand smoke, and use of e-cigarett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high accuracy between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actual smoking status.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can be further enhanced by improved questionnaires items affecting the discrepancy and continuous monitoring, which also can serve as basic data for adolescent smoking policy.

      • 양한방 통합일원화 논쟁과정의 정치경제학적 고찰

        이득수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Background: Since the korean medicine doctor entered the national system in 1951, the functions of western and korean medicine have been dualized, and efforts to unify western and korean medicine have failed over and over again. As a representative example, in 2015, the government,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groups drew up an agreement that set the deadline for integration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s to 2030, but it was not adopted.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obstacles and possibilities of integration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s in the future by looking at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integration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s from the political and economic aspects. Methods: We adopted a historical approach that examines the existing studies for integration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s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policy and political events, and attempts to interpret the reasons why medical unification failed and sluggish in historical events from a political and economic perspective. Results: Integration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s has always been an issue in line with th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of interest groups. However, it was not greatly affected by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did not need urgency, so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have not shown strong administrative- 69 - power until now. The reasons for the lack of performance compared to the long discussion period may be the conflict of interests within the group, the failure to reach an agreement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 groups, the lack of strategies by medical unification advocates, and, above all, the immature academic discussions. Conclusions: Considering the consistent position of western and korean medicine groups, integration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s should be conducted with the goal of creating a 'third medicine' that biomedically analyzes the mechanism of korean medicin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driving force and legitimacy of medical reform by prioritizing seeking and finding academic contact points. In addition, a consensus must be formed that unification of medical care is beneficial in terms of consumer(patient) benefits and health industry, and that it is a positive sum for both western and korean medicine group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find an agreement between the western and korean medicine groups on what they each gain and lose, and find a balance between the burdens and benefits of consumers and the government. It also requires the strategic wisdom of leaders to maintain the window of dialogue and not miss the window of opportunity that will open in the future. 연구배경: 1951년 한의사가 제도권으로 진입한 이후로 양한방 직능은 이원화되었으며, 그동안의 양한방 통합일원화를 위한 노력들은 번번이 무산되었다. 2015년 정부, 양의계, 한의계가 모인 협의체에서 의료일원화 완료기한을 2030년으로 설정한 합의문을 작성하였으나, 결국 채택되지 못하였고 이후로도 양한방 간 갈등은 심화되고 있다. 본고는 양한방 통합일원화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정치경제학적 측면에서 통찰함으로써 향후 통합일원화의 걸림돌과 가능성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양한방의 통합일원화를 위한 기존 연구들, 그리고 정책적‧정치적 사건들의 전개과정을 고찰하는 역사적 접근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역사적인 사건의 흐름에서 통합일원화가 무산되고 지지부진해지는 이유를 정치경제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의료일원화는 이익집단의 정치경제적 상황과 맞물려 항상 이슈화되고 있었으나 정권에 의해서는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았으며, 국민들에게도 시급성을 요하지 아니하였고 따라서 지금까지 행정당국에 의해서 강력한 행정력이 발휘되지는 않은 안건이다. 오래된 논의 기간에 비하여 성과가 적은 이유로는 집단 내 이해관계의 상충, 양한방 간 이익-손실 교환의 합의점 도출 실패, 통합지지 세력의 전략 부재, 그리고 무엇보다 학술적 토론이 정착되지 못한 점을 생각할 수 있다. 결론: 양한방 집단의 일관된 입장을 고려할 때 의료일원화는 한의학의 기전을 생의학적으로 분석해내는 제3의학 창출방식을 목표로 진행되어야 하며, 제도적으로는 단계별로 점진적 통합을 추구하고, 우선순위는 학술적 접점을 찾아내는데 맞추어서 의료개혁의 동력과 정당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양한방 통합이 소비자(환자) 편익과 보건산업측면에서 이익이고, 양한방 모두에게 포지티브섬(positive sum)이 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양한방 쌍방이 얻는 것과 잃는 것에 대한 합의점과 소비자와 정부의 부담과 편익의 균형점을 찾아내어야 한다. 또한 협의의 장을 유지하고 향후에 열릴 기회의 창도 놓치지 않을 지도자의 전략적 지혜가 요구된다.

      • 경기도권 지방의료원에 근무하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근무형태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박진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induced by shift work patterns, job stress, and resilience among nurses employed at regional medical centers in the Gyeonggi Province.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burnout. Data was collected from May 30 to June 1, 2023, via surveys administered to 172 shift work nurses working in six regional medical centers within the Gyeonggi Province. The Oldenburg Burnout Inventory, translated into Korean by Na (2013), was employed to measure burnout. Job stress was measured utilizing the Korean Nurses Job Stress Scale [K-NOSS], a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the 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and standardized by Baek et al. (2019). Resilience was evaluated using a measurement tool specifically designed for Korean nurses by Park (2015). We used a linear probability model, and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7 program. Analyses included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é post 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burnout score among the respondents was 3.38±.61 out of a maximum of 5 points, while the job stress averaged 2.67±.39 out of 4 points. Resilience scored an average of 3.67±.55 out of a possible 5 points. 2. Burnout levels revealed significant disparities based on the average daily working hours, the mean number of patients managed per day, and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Job stress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religious affiliation, current department, total clinical experience, average daily working hours, mean number of patients managed daily, and job satisfaction. Notably, resilience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parameters such as age, marital status, work pattern, total clinical experience, average monthly night shifts, and job satisfaction. 3.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urfaced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r=.660, p<.001). Meanwhile, a notable negative correlation emerged between resilience and burnout(r=-.544, p<.001) as well as between resilience and job stress(r=-.317, p<.001). 4.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job stres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burnout(β=.425, p<.001), while resilience exerte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β=-.240, p<.001). Burnout appeared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shift work group compared to the fixed night shift group(β=-.163, p=.006). The interplay between job stress and resilience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burnout when night shifts were established.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regression analysis stood at 66.5%.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as job stress escalates, burnout intensifies, whereas an increase in resilience correlates with a decrease in burnout. Burnout levels were lower when night shifts were established, indicating a potential redu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in groups with high resilience during fixed night shifts. Hence, to mitigate nurse burnout, management of work patterns, job stress, and resilience is crucial. Furthermore, these results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pilot initiatives aimed at enhancing nurse shift systems. To prevent and reduce nurse burnout, provisions for reducing job stress and augmenting resilience—such as policy support, burnout management programs, and suitable compensation—must be put in place. 본 연구는 경기도권 지방의료원에 근무하는 교대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주 근무형태인 교대근무제로 인한 소진, 근무형태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및 소진의 정도와 변수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권 6개의 지방의료원에서 교대근무를 하는 172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2023년 5월 30일부터 2023년 6월 1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소진은 올덴버그 소진 설문지를 나윤주(2013)가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직무스트레스는 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한국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NOSS]를 백희정 등(2019)이 표준화하여 재구성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회복탄력성은 박미미(2015)가 한국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회복탄력성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선형 확률모형으로 추정했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 statistics 27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사후검정,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소진의 정도는 최대 5점 중 평균 3.38±.61점, 직무스트레스는 최대 4점 중 평균 2.67±.39점, 회복탄력성은 최대 5점 중 평균 3.67±.55점으로 나타났다. 2. 연구 대상자의 소진은 일일 평균 근무시간, 일일 평균 담당 환자 수, 간호직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직무스트레스는 종교유무, 현재 근무부서, 총 임상경력, 일일 평균 근무시간, 일일 평균 담당 환자 수, 간호직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회복탄력성은 연령, 결혼유무, 근무형태, 총 임상경력, 월 평균 야간근무 수, 간호직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연구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는 양의 상관관계(r=.660,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회복탄력성과 소진과의 관계(r=-.544, p<.001), 회복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관계(r=-.317, p<.001)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연구 대상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β=.425, p<.001),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친다(β=-.240, p<.001). 근무형태는 야간근무 고정인 그룹보다 교대근무 그룹이 소진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β=-.163, p=.006). 야간근무 고정일 때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상호작용항은 소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회귀분석의 설명력은 66.5%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소진이 높아지고, 회복탄력성이 높아질수록 소진이 낮아지며, 야간근무 고정 일 때 소진이 더 낮게 나타났다. 이는 야간근무 고정 일 때 회복탄력성이 높은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간의 관련성이 약해진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간호사의 소진을 낮추기 위해 근무형태,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의 관리가 필요하며, 더 나아가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 교대제 개선 시범사업의 바탕이 될 수 있다. 간호사들의 소진을 예방하고 낮추기 위해 정책적인 지원과 소진관리 프로그램, 적절한 보상 등을 제공하는 등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 급성기 종합병원의 접근성과 치료가능사망률의 상관관계 분석

        이근수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55

        정부는 국민의 건강권 보장을 위해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을 발표하였으나 의료서비스의 지역별 불균형은 해소되지 않아 ‘믿고 이용할 수 있는 지역의료 강화 대책’을 발표하였다. 의료자원 불균형으로 인한 지역 간 건강 불평등은 도시와 농촌, 수도권과 비수도권 사이에서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적절한 의료서비스 이용을 통해 피할 수 있는 치료가능사망률(Amenable Mortality)과 환자의 기준시간 내 의료이용률(Timely Relevance Index, 이하 TRI)을 분석하여 의료기관 접근성이 건강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치료가능사망률은 현재의 의료적 지식과 기술을 고려했을 때 양질의 보건의료 서비스를 통해 피할 수 있는 사망을 산출한 값이며, TRI는 해당지역 거주 환자의 총 의료이용량 중 기준시간 내 의료기관을 이용한 의료이용량의 백분율이다. 치료가능사망률은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70개 중진료권을 기준으로 분석하였고,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관으로 포괄 2차 급성기 병원과 3차 병원을 설정하였으며, TRI는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 60분 TRI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 60분 TRI 외에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 RI, 인구 수, 인구밀도, 노인인구 비율, 재정자립도, 인구당 급성기 병상 수, 인구당 병원급 이상 전문의 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치료가능사망률과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 60분 TRI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도출되어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 60분 접근성이 높아진다면 치료가능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치료가능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지역별 의료기관의 확충보다 TRI를 상승시키는 것이 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역량 있는 의료기관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건강결과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리적인 거리 외에 차량 등 교통 접근성이 개선되면 건강결과가 상승한다는 선행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의 사망을 감소시키는 방안으로 개인의 의료이용을 통해 분석하여 생태학적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TRI값은 종합병원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 60분 TRI를 분석하고, 급성기 병원 지표는 포괄 2차 급성기 병원과 3차 병원의 합계로 분석하여 의료기관의 차이가 존재하여 추후 포괄 2차 급성기 병원, 3차병원의 TRI 값 산출이 필요하다. 또한, 치료가능사망률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노인인구 비율, 재정자립도를 통제하지 않고 분석한 한계도 존재한다. 지역별 건강결과 상승을 위해 의료기관에 도착하기 위한 시간과 사망률을 분석하여 접근성이 좋은 위치에 양질의 의료기관을 설치하는 것이 유의미하다는 연구결과를 얻어 향후 효율적인 자원 배치에 활용할 수 있는 정책적 의의가 있다. The government announced "Measures to strengthen health insurance coverage" to guarantee the health rights of the people, but it did not eliminate the regional imbalance in medical services, and announced "Measures to strengthen community medicine that people can trust and use." Health disparities between regions due to imbalance of medical resources exist between cities and rural areas, and between metropolitan areas and non-metropolitan areas. Amenable mortality, which can be avoided through the use of appropriate medical services, and the patient's Timely Relevance Index (TRI)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medical institution access on health outcomes. The amenable mortality rate is a value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current medical knowledge and skills and avoidable death through quality health care services. TRI is the percentage of medical use by a medical institution within the reference time of the total medical use of patients living in the area. The amenable mortality rate was analyzed based on 70 medical area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established comprehensive secondary and tertiary hospitals and tertiary hospitals as institutions that can provide quality medical services, and TRI is a general hospital over 300beds It was set on the basis of 60 minutes. In addition to the 60-minute TRI for a general hospital over 300 beds, a correlation was analyzed between RI, population, population density, population ratio, financial independence, number of acute illnesses per population, number of hospital-level specialists per population. As a resul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mortality rate of treatment and the 60-minute TRI of a general hospital over 300 beds, and the result that the amenable mortality rate could be lowered if accessibility to a multi-hospital over 300 beds increased for 60 minutes. As a factor that can reduce the amenable mortality, it was analyzed that raising TRI has more effect than expanding regional medical institutions. It has been shown that increasing access to competent medical institutions capable of providing high-quality medical services increases health outcomes, and previous studies have confirmed that health outcomes increase when traffic accessibility, such as vehicles, in addition to physical distances, improves. This study analyzes the method of reducing the group's mortality rate through personal medical use, which may cause ecological errors, and the TRI value is analyzed as a general hospital over 300beds for 60 minutes, and the acute phase hospital indicator is a comprehensive secondary acute phase hospital. Differences may exist by analyzing the total number of and tertiary hospitals. In order to increase health outcomes in each region, it was found that it is meaningful to install high-quality medical institutions in a location with good accessibility by analyzing the time and mortality rate to arrive at medical institutions.

      • 코로나19의 증상발현과 진단검사 시점, 입원기간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최재원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39

        The rapidly spreading COVID-19 is expected to continue to expand until effective vaccines or treatments are available. It is difficult to properly manage COVID-19 patients and manage infectious diseases unless a plan to systematically secure medical resources in case of mass outbreak of COVID-19 patients in the future. Molecular diagnostic methods for confirming COVID-19 were used to analyze the relevance of predicting clinical severity or whether there are indicators that ca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dicate the timing of exposure to infectious agents. Using this, it will be possible to find a way to efficiently distribute limited medical resources such as treatment beds, medicines, and medical devices. In order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diagnosis and clinical aspects of COVID-19, it was confirmed at each public health center for 3 months from February 1, 2020 to April 30, 2020 in Yongsan-gu, Yeongdeungpo-gu, Dongdaemun-gu, Seodaemun-gu, Nowon-gu, and Gangdong-gu in Seoul.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patients who were cured and discharged from a country-designated quarantine hospital. As a result of research on the diagnostic test, the screening test and confirmation test for the diagnosis of COVID-19 confirm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accuracy with only one RdRP gene without the need to test all three genes. However, only the difference in Ct values ​​of the COVID-19 molecular diagnostic test was limited in predicting the length of hospital stay. As a result of dividing into the upper 50% and the lower 50% groups according to the Ct value, and predicting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by dividing them into older and younger patient groups on the basis of age of 40, the tendency for the lower 50% group to be discharged late was relatively strong.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hospitalization period by age, the group, under 40 years of age and the top 50% of Ct values, tended to be the first to be discharged relatively, and the other group, those over 40 years of age and the bottom 50% of Ct values, tended to be the last to be discharg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 criteria for severity classification in patients with COVID-19 need a policy to allocate medical resources in more detail, including RT-PCR Ct values and age groups. 급속히 전파되는 코로나19는 효과적인 백신이나 치료제가 나오기 전까지 지속적인 확대가 예상된다. 향후 코로나19 환자가 대량으로 발생했을 때를 대비하여 체계적으로 의료 자원을 확보할 계획을 수립하지 않을 경우 적절한 코로나19 환자치료와 감염병 관리가 이뤄지기 어렵다. 코로나19의 확진을 위한 분자진단법을 이용하여 임상적 중증도 예측 또는 감염원 노출 시기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할 수 있는 지표가 있는지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이용하면 치료 병상, 약품, 의료기기 등 한정된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19의 진단검사와 임상 양상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위해 서울시의 용산구, 영등포구, 동대문구, 서대문구, 노원구, 강동구에서 2020년 2월1일부터 2020년 4월30일까지 3개월 동안 각 보건소에서 확진되어 국가지정 격리병상에서 치료 후 완치되어 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진단 테스트에 대한 연구 결과, 코로나19의 진단을 위해 선별과 확진검사로 세 가지 유전자를 모두 확인할 필요 없이 RdRP 유전자 한 가지만으로도 정확도에는 차이가 없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코로나19 분자진단검사의 Ct값의 차이만으로 입원기간 예측에는 한계가 있었다. Ct값에 따라 상위 50%와 하위 50%집단으로 나누고, 연령에 따라 40세 이상과 미만으로 구분해서 입원기간을 예측한 결과, Ct값 하위 50%집단이 늦게 퇴원하는 경향이 비교적 강하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입원기간 차이를 RdRP유전자의 Ct값 상·하위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Ct값 상위 50%인 40세 미만 집단이 가장 먼저 퇴원하는 경향을 보였고, Ct값 하위 50%인 40세 이상 집단이 가장 늦게 퇴원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코로나19환자의 중증도 분류 기준에 RT-PCR Ct값과 연령대를 포함해서 보다 세밀하게 의료자원을 배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치료를 위한 양압기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정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39

        배경: 양압 지속 유지기를 사용한 지속적 양압기(Contin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치료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위한 일차 치료법이다. 성공적인 지속적 양압기 치료를 위해서는 순응도를 높이는 것이 주요한 목표이다. 환자의 양압기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 양압기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속적 양압기 순응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본 연구 대상자는 2018년 7월부터 2020년 6월까지 2년간 단일 기관에서 양압기를 처방받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된 환자 630명이다. 환자 중 양압기 사용을 53주 이상 지속한 경우 양압기 유지군으로, 양압기 사용을 52주 이하로 하고 반납한 경우 양압기 비유지군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양압기 유지군 중 양압기를 일 평균 4시간 이상 사용한 경우 순응도 우수군, 일 평균 4시간 미만 사용하는 경우 순응도 불량군으로 분류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수면다원검사 결과의 임상적 특성, 양압기 처방 계절을 양압기 유지군과 비유지군, 순응도 우수군과 불량군간 독립표본 t 검정과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비교했다. 단계적 선택법을 이용하여 선택한 변수를 이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 투입하여 양압기 유지와 순응도와 관련 있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수면무호흡증이 심할수록, 주간 졸리움 증상이 심한 상태일 때, 총 각성 시간이 낮을수록, 단기 특정 시점 졸리움 증상이 낮을수록 양압기 사용을 잘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과 얕은 단계 수면이 높을수록 높은 순응도와 관련 있는 요인이었고, 불안 증상은 낮은 순응도와 관련 있는 요인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확인한 양압기 유지와 순응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요인은 환자 개개인에 대한 양압기 처방 시 고려되어 임상 환경에서 적절히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양압기 유지 및 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therapy is considered the primary treatment for patients diagnosed with Obstructive Sleep Apnea(OSA). Improving compliance is a major 1goal for successful CPAP therapy. To improve patients’ CPAP compliance, it is crucial to consider various factors associated with compli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various factors associated with CPAP compliance in OSA patien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a total of 630 patients diagnosed with OSA, who were prescribed a CPAP device between July 2018 and June 2020 at a single medical institution.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the CPAP adherence group consisted of individuals who had been using the CPAP device for more than 53 weeks, while the CPAP non-adherence group comprised patients who had used the CPAP device for less than 52 weeks and returned it. Within the adherence group, patients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good adherence (≥4 hours/day) and poor adherence (less than 4 hours/day) subgroups based on their daily CPAP usag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PAP initiation season, and clinical features were compared between the adherence and non-adherence groups, as well as between the good and poor adherence subgroups, using independent t-tests and chi-square tests.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CPAP adherence. Result: The results of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everity of sleep apnea, daytime sleepiness, short total wake time, and low drowsiness at a specific point in the short term were associated with CPAP use ≥53 weeks. Older age and N1 sleep stage sleep had a positive effect on good CPAP adherence, while abnormal anxiety symptoms had a negative effect on good CPAP adherence.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many factors are associated with CPAP adherence. These factor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prescribing a CPAP device to individual patients in clinical settings.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d diverse strategies that can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OSA treatment by improving CPAP adherence.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상황에 따른 신체활동 감소 관련 요인

        윤필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39

        *목적: 대한민국 성인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상황에 따른 신체활동 감소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의 설문 문항을 이용하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상황에서 신체활동 감소와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단순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스퀘어 검정을 실시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단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p값이 0.2 미만인 독립변수에 대해 단계적 선택법(stepwise selection)을 적용하여 신체활동 감소에 대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령에서는 20대를 제외하고 젊을수록, 성별이 여성인 경우, 거주지역이 도시인 경우, 주거형태가 아파트인 경우, 기혼인 경우, 무직인 경우, 교육수준이 높은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해 평균 혹은 좋지 않다고 평가하는 경우, 한 달에 한 번 이상의 음주 습관이 있는 경우, 규칙적인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경우, 비만인 경우, 주관적 스트레스가 많은 경우, 우울 경험이 있는 경우 코로나19 상황에서 신체활동이 감소할 오즈비가 높았다. *결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상황에 따른 신체활동 감소에 다양한 요인이 관련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중재 전략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reduced physical activi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the Korean adult population. *Methods: Using survey questions from the 2020 Community Health Survey, we analyzed factors related to reduced physical activi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chi-squared 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simple relations, and a si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elevant factors. Then, a stepwise selection was applied to identify the independent variables with a value of p<0.2 for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Excluding the age group of the twenties, it was highly likely that a particular group of subjects had reduced physical activities. They were young, females, living in urban areas, living in apartments, married, unemployed, had a high level of education, evaluated their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verage or poor, drank alcohol more than once a month, did not have breakfast regularly, obese, had much subjective stress and experienced depression. *Conclusions: As a variety of factors are related to the reduced physical activ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strategies may b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