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용전공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성취능력과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다연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87

        국문요약 미용전공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성취능력과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미용전공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성취능력과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서경대학교 재학 중인 4년제, 평생교육원(4년제)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450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은 여성 417명, 남성 33명으로 나타났고, 학년은 2학년 190명, 3학년 129명, 4학년 99명, 1학년 32명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유형은 4년제 238명, 평생교육원(학점은행제) 212명으로 나타났고, 전공은 헤어 164명, 메이크업 159명, 피부 85명, 네일 42명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 선택 시 고려사항은 직업이나 흥미 361명, 학과 인기도나 취업전망 58명, 성적 및 입학점수와 주변의 권유가 각 14명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전공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성취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미용전공 대학생의 실기능력성취와 이해능력성취 향상을 위해서는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전공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미용전공 대학생의 정서적요인, 행동적요인, 지적요인, 변화적요인 향상을 위해서는 인지몰입, 행위몰입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용전공대학생의 성취능력이 정서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미용전공 대학생의 정서적요인, 행동적요인, 지적요인, 변화적요인 향상을 위해서는 실기능력성취, 이해능력성취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용전공대학생들이 미용 활동 중 몰입을 통해 미용성취능력 및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미용전공대학생들이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미용 활동에 몰입하게 되고 다양한 기량과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몰입경험과 미용성취능력, 전공만족의 관계를 분석하여 미용전공 활동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미용전공대학생들의 전공 몰입이 단순한 만족도 뿐 아니라 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는 점에서 타 연구와 차별성을 가지며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는 미용 교육 시장에서 학생들의 성취능력과 전공만족을 넘어 이후의 진로결정에 몰입경험이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 미용전공대학생의 미용실무경험과 업무태도가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혜림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87

        아름다움과 건강함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미용에 대한 관심이 사회 전반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현재 미용 산업은 많은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에 미용은 학문과 예술이 접목된 전문 직종으로 헤어(hair), 메이크업(make-up), 네일(nail), 피부(skin care)의 전통적인 미용분야 뿐만 아니라 특수 분장, 웨딩, 패션, 코디네이션 분야로까지 크게 발전하고 있다. 미용이 미래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자리매김 함으로써 더욱 과학화되고 산업화되어 고학력 미용 전문 인력의 유능한 인적자원 배출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대학의 미용학문과 관련된 학과는 학과 통합 및 폐합 등과 같이 학사 구조개편이 이루어지는 현재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2016년도에는 수도권의 4년제와 지방 소재 10개 대학교에서 미용과 관련된 학과를 추가하거나 신설하는 등 지원 학생 수 및 미용관련 학과 개설 등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양한 분야에서 실무생활 및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미용분야의 실무경험과 관련된 논문은 주로 진로나 학과 결정요인, 만족도 등에 대한 연구만 이루어지고 있어 미용실무경험의 실태와 효과 및 필요여부를 주체로 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서비스 산업에서 미용실무경험 및 업무태도가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미용전공대학생의 실무에서의 업무 태도를 성공적으로 개선하고, 대학생활적응에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실무에서의 업무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첫째, 미용실무경험, 업무태도, 대인관계, 대학생활적응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미용실무경험은 ‘영업환경’, ‘전공애착’, ‘실무능력’, ‘협동능력’으로 네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업무태도는 ‘경쟁심’, ‘도전정신’, ‘책임감’, ‘배려심’으로 네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대인관계는 ‘교우관계’, ‘대처능력’, ‘스승신뢰’, ‘관계유능성’ 네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대학생활적응은 ‘학문적 적응’, ‘진로태도성숙’, ‘대학생활애착’ 세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미용실무경험 및 업무태도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미용실무경험은 교우관계, 대처능력, 관계유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의 관계를 보였고, 업무태도는 관계유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의관계를 보였다. 미용실무경험 및 업무태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미용실무경험 및 업무태도는 대학생활적응의 모든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의 관계를 보였고, 대인관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진로태도성숙, 대학생활애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의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용실무경험 및 업무태도에 따른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체계적이고 차별화된 전략을 세워야하고 대학생활 이전에 미용 실무를 경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증축하여 기회를 늘린다면 대학생활 적응의 효과적일 것이라 판단되며, 이에 따른 대학생활 이후의 업무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미용업 종사자들에게 미용실무경험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이후, 체계적으로 보완하고 구축하여 연구의 초안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the number of people pursuing beauty and healthy lifestyles rises and people show more interest in beauty across all parts of society, the cosmetology industry has considerably grown and developed. As a result, cosmetology, a professional field combining academic knowledge and art, is now rapidly expanding to special makeup, weddings, fashion, and coordination, exceeding the conventional areas such as hair, makeup, nail art, and skincare. As cosmetology has settled as a promising high value-added industry, it has become more scientific and industrialized. At the time, the number of highly educated and talented cosmetologists has skyrocketed. Even though colleges have recently closed and integrated academic departments under a restructuring program, cosmetology-related departments were added or newly established in 4-year colleges in the capital area and 10 colleges outside the capital in 2016. In other words, the number of students applying for cosmetology and cosmetology-related departments has sharply increased.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re has been research on practical lifestyles and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diverse fields. Concerning cosmetology work experience, however, studies mostly covered factors affecting future career prospects, academic departments, and satisfaction. In fact, it is hard to find a study on current cosmetology work experience and its effects and necessiti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osmetology work experience and work attitud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while helpi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to have desirable work attitudes in practice. It also aims to build their job competence by providing empirical data i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cosmetology work experience, work attitud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cosmetology work experience, four factors were derived: ‘sales environment’, ‘attachment to academic major’, ‘job competence’, and ‘cooperation competence’. In work attitude, ‘competitiveness’, ‘challenging spirit’, ‘responsibility’, and ‘consideration’ were obtained.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eer relationship’, ‘coping ability’, ‘respect for teacher’, and ‘relational competence’ were derived. In the adaption to school life, ‘academic adaptati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attachment to school life’ were recognized. Second,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cosmetology work experience and work attitud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smetology work experience revealed a positive effect on ‘peer relationship’, ‘coping ability’, and ‘relational competenc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while work attitude revealed a positive influence on ‘relational competence’. In terms of the effects of cosmetology work experience and work attitude on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a positive effec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all factors. Concerning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a positive effect was found i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attachment to school lif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t appears that a systematic and differentiated strategy in analyzing the influence of cosmetology work experience and work attitud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must be established and expanded through which cosmetology work can be experienced before the college years allowing for a better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addition, it would help enhance job competence after the college years.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make cosmetologists perceive the importance of cosmetology work experience and be available as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concerning systematic improvements.

      • 헤어피스를 이용한 헤어아트 연구 : 자연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황동주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87

        현대의 미용 문화는 산업, 예술, 학문 등 다방면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 이전에 고객에게 서비스하는 미용 시술은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요소이나 현재의 미용 문화는 하나의 측면으로는 정의 내릴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미용은 여러 분야들이 상호 연계를 통해 통합적인 문화로 발전되었으며 예술적 측면에서의 미용 또한 복합적 예술 형식으로 발전되었다. 현재 국내에서의 미용 예술은 미용분야인 헤어, 메이크업, 네일아트 등을 통하여 기존 미술 양식을 모티브로 하여 많은 뷰티 아트 디자인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든 존재나 상태를 뜻하는 자연이라는 주제로 헤어아트의 기본 소재라고 할 수 있는 헤어피스를 이용하여 헤어아트 연구를 진행하며 그리고 실용 헤어디자인에 국한되어 있는 시선을 예술적 측면과 학문적 측면을 배가시켜 미용 문화의 시선을 다각화하고 헤어아트 연구를 발전시키고 증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지금까지 발전되어 온 기존 현대 미술 문화 양식을 바탕으로 물, 불, 식물, 동물, 인간, 우주를 소재로 한 미술 작품을 토대로 하여 고찰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근거로 자연의 상징적 의미와 자체적인 헤어아트 표현법을 부합하여 이미지를 창조하였으며 헤어피스를 소재로 헤어아트 조형작품 6개를 제작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자연의 요소를 미적 표현으로 재현해 낼 수 있었으며 모발을 활용한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예술적 표현이 기존 예술 양식에 부합하여 헤어아트 또한 예술의 분야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이번 연구를 통해 실용 헤어디자인에 국한되어 있는 시선의 고정관념을 깨트려 모발을 이용한 헤어아트가 예술적, 학문적 표현이 가능하다는 근거가 될 것이며, 미용문화에 대한 관심과 헤어아트를 연출하는 다양한 표현 기법과 창의적인 발상을 통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미용 종사자들이 미용 장인에서 뷰티 아티스트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In modern times, beauty culture is developed to lots of directions such as industry, art, academy, etc. Cosmetic procedure which was served to customers before is a basic and fundamental factor, but current cosmetic culture cannot be defined as an aspect. Therefore, beauty is developed to combined culture through the mutual connection of several fields and beauty of artistic aspect was also developed by the form of complicated art. Currently, in domestic beauty art, lots of studies on beauty art design are continuously conducted under the motif of existing artistic style through the beauty fields such as hair, makeup and nail-art, etc. In this study, a study on the hair art is conducted by hairpiece which can be basic material of hair art under the subject of the nature meaning all of existences or situation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ouble artistic aspect and academic aspect of the sight limited to practical hair design, diversify the sight of beauty culture and develop / verify the study on the hair art. Based on the existing style of modern art culture which has been developed until now,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consideration based on the materials such as water, fire, plant, animal, human and universe. Because of the theoretical grounds, the image was created by combining symbolic meaning of the nature and autonomous expression of hair art and 6 sculptures of hair art were manufactured with hairpiece. Through the above results of studying, factors of the nature could be reenacted by aesthetic expression and creative artistic expression with hair is suitable for the existing art style, so hair art is also considered to be recognized as a field of art.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stereotype of the sight limited to practical hair design will be broken and it will be a ground that hair art with hair can be expressed artistically and academically. And, interests in beauty culture, various expressions displaying hair art and in-depth studies by creative thinking should be continued so that workers in beauty field can be developed from beauty artisan to beauty artist.

      • 미용실 종사자의 근로조건에 따른 직무만족도 연구

        이현주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87

        ABSTRACT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by Working Condition of Beauty Shop Employees Hyun Ju, Lee Dept. of Beauty Arts, Graduate School, Seokyeong University, Seoul, Korea Directed by Professor Hye Ran, Ki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job satisfaction by working condition of beauty shop employee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regular and irregular employment patterns on job satisfaction. A survey was made on 470 employees working for beauty shops in Seoul among beauty shop employees from Aug. 4 to Sept. 4, 2009 by a questionnaire method. 470 copies among questionnaires total distributed 600 copies were applied to final analysis. For a analysis of collected data using SPSS Ver. 12.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made, and Duncan test was made as a post-test method.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frequency analysis) of those surveyed showed that many of them are women in their 20s, and unmarried women for marriage, and under high school graduate and being in college/college graduate for school career. Second, as for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sex, age, final school career, marriage had an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Third,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service patterns on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section chiefs & managers, under 6 months, workers under 10 hours and five-day workers a week have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for regular workers, the job satisfaction is the highest. Fourth, the effect of work patterns and work contracts on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regular workers, who draw up work contracts, are the highest, which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factor by work patterns,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factor by work patterns. As this study has approached to beauty shop employees on the basis of the existent data, there were parts unfitted to a situation of some extent, and the distribution was only converged in Seoul when survey. Although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job satisfaction of beauty artists have been made, this study was made under judgement that it is urgent to make a study with beauty shops, which the composition rate of irregular employment is very higher than other industries. It's important that the status of irregular employment, the actual conditions of welfare and the problems of beauty shop employees are well understood through studies on the job satisfaction by the work condition of beauty shop employees. 국문 초록 미용실 종사자의 근로조건에 따른 직무만족도 연구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미용예술학과 이 현주 본 연구는 미용실 종사자의 근로조건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련성을 파악하여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고용형태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조사대상은 미용실 종사자 중 서울의 미용실에 종사하는 470명이며, 2009년 8월 4일부터 9월 4일까지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600부를 배포하여 47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2.0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 (One way ANOVA)을 실시하여 사후검정 방법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빈도분석)을 알아본 결과 20대의 여성이 많았고, 결혼 여부는 미혼이 많았으며, 학력은 고졸 이하와과 전문대 재/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로는 성별, 연령, 최종학력, 결혼여부가 직무 만족도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업무형태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실장&매니저급, 6개월 미만, 10시간이하 근무자, 주 5일제 근무자가 직무만족도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규직의 경우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근로형태 및 근로계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근로계약서를 작성한 정규직 근로자의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근로형태에 따른 직무만족도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근로계약에 따른 직무만족도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에 사용하던 자료를 토대로 미용실 종사자에게 접근시켰기 때문에 다소 상황과는 맞지 않는 부분들이 있으며, 설문 조사 시 서울에만 분포가 많았던 점을 들 수 있다. 지금까지 미용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선행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비정규직 구성 비율이 타 산업보다 매우 높은 미용실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판단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미용실 종사자의 근로조건에 따른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를 통해 미용실 종사자의 비정규직 현황과 복지실태 및 문제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한 것이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 젤 폴리시를 활용한 민화 속 동식물 상징성 헤어아트 제작

        박규리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87

        In modern time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y, cultural diversification has led to the pursuit of convergence of various art fields. Beauty is a form of aesthetic art that can positively change people's mood and plays a role in promoting people's emotional relief. In the beauty industry, a number of works that combine styles in completely different beauty fields in addition to the formal field are gradually emerging, but prior research on the convergence of beauty and other fields is still insufficient, so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successful beauty field fused with the art field and create a number of creative and popular works of art as beauty art in the future. This paper focuses on previous studies and is a folk painting movement in Korea that has a great influence in the world these days. By recycling plant images and discarded lung hair, research is conducted based on beauty fusion works to contribute to the environment, and based on this, we intend to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for future beauty development by seeking a convergence method and development plan for beauty art that combines workability and popularity. In the production of a work, it's a folk painting. After collecting plant-related materials through the Internet, books, and references, eight works were produced using his image as a motif. The contents of the production of the work are as follows. Work I. The image of a chicken is a part of a chicken in a folk painting, and the work was produced using application, hardening, sticking, bending, and termination of nail art techniques. Work II. The image of the rabbit is a moon rabbit that appeared on the stamp of the folk painting series in 1980, and the two rabbits were pounding the trigger under the tree of the count tree. Among the nail art techniques, the work was produced using applying, hardening, pasting, bending, and finishing. Work III. The image of the lotus flower is based on Kim Hong-do's "荷 Flower 蜻蜓" (doppan 34), and the work was produced using the application, hardening, pasting, bending, and ending of nail art techniques. Work IV. The image of the year is part of the monthly installation of the Samsung Museum of Art's collection, and the work was produced using application, hardening, sticking, bending, and termination of nail art techniques. Work Ⅴ. The image of Moran is part of Moran Morando, a strange stone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and the work was produced using application, hardening, pasting, bending, and termination of nail art techniques. Work IV. The image of the moon is part of the monthly installation of the Samsung Museum of Art's collection, and the work was produced using application, hardening, sticking, bending, and termination of nail art techniques. The image of Ⅶ carp is part of Yakrido, the director of the Gahoe Folk Painting Museum, and the work was produced using application, hardening, pasting, bending, and termination among nail art techniques. The image of the butterfly in Ⅷ is a partial image of NamGye-woo, the director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work was produced using application, hardening, pasting, bending, and termination among nail art techniques. This study sought diversity with a fusion of gel nails and hair, which partially analyzed the image of folk paintings and reinterpreted them in a modern expression method, and hoped that it would be an opportunity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discarded hair using waste hair as a material. Since the definition of folk paintings is very diverse, subsequent researchers hope that an in-depth analysis will be conducted to further explore and understand the diversity of folk paintings, which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broaden the scope of research. 젤 폴리시를 활용한 민화 속 동식물 상징성 헤어아트 제작 현대에는 4차 산업의 발달로 인해 문화의 다양화는 다양한 예술 분야의 융합 을 추구하게 되었다. 미용은 사람들의 기분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심미 적 예술의 형태로서 사람들의 감정 해소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미용 예술은 다양한 소재와 형식을 통해 예술적인 표현의 다양성을 보여줄 수 있으며 과거의 영향이 현재를 형성하고 현재가 미래에 미치는 예술적인 영향을 통해 우리의 미용 예술이 더욱 풍요로워질 수 있다. 미용업계에서는 정형적 분야 외에 전혀 다른 미용 분야의 양식을 융합한 다수의 작품이 점차 생겨나고 있지만 아직은 헤어미용과 네일아트 융합에 대한 선행연구가 미비하므로 체계적 으로 분석하여 미용 예술로써의 창조적이면서도 대중적인 예술작품을 다수 만들 어 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요즘 세계에서 영향력이 크게 미치고 있는 한 국의 민화 속 동식물 이미지의 상징성과 버려지는 폐 모발을 재활용하여 미용 융 합 작품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환경에 이바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품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미용 예술의 융합 방식 및 개발 방안을 모색하여 향후 미용 발 전을 위한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작품 제작에서는 민화 속 동식물과 관련된 자료를 인터넷, 서적, 참고 문헌 등을 통해 수집 후 그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8개의 작품을 제작 하였다. 작품 제작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작품Ⅰ. 닭의 이미지는 민화속 작품에서 닭의 부분으로 네일아트 기법 중 바르기, 굳히기, 붙이기, 구부리기, 말기 등을 활용해 작품 제작을 하였 다. 작품Ⅱ. 토끼의 이미지는 1980년 민화 시리즈 우표에 등장한 달 토끼 로 두 마리의 토끼가 계수나무 아래에서 방아를 찧고 있는 모습을 네일아 트 기법 중 바르기, 굳히기, 붙이기, 구부리기, 말기 등을 활용해 작품 제 작을 하였다. 작품Ⅲ. 연꽃의 이미지는 김홍도의<하화청정(荷花蜻蜓)>(도판 34)을 바탕으로 임화하여 표현한 작품인 장순아 작가소장의 <연-1>으로 네일 아트 기법 중 바르기, 굳히기, 붙이기, 구부리기, 말기 등을 활용해 작품 제작을 하였다. 작품Ⅳ. 해의 이미지는 삼성미술관 소장의 일월부상도의 부분으로 네 일아트 기법 중 바르기, 굳히기, 붙이기, 구부리기, 말기 등을 활용해 작품 제작을 하였다. 작품Ⅴ. 모란의 이미지는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의 괴석모란도의 부분 으로 네일아트 기법 중 바르기, 굳히기, 붙이기, 구부리기, 말기 등을 활용 해 작품 제작을 하였다. 작품Ⅳ. 달의 이미지는 삼성미술관 소장의 일월부상도의 부분으로 네 일아트 기법 중 바르기, 굳히기, 붙이기, 구부리기, 말기 등을 활용해 작품 제작을 하였다. 작품Ⅶ. 잉어의 이미지는 가회민화박물관 소장인 약리도의 부분으로 네일아트 기법 중 바르기, 굳히기, 붙이기, 구부리기, 말기 등을 활용해 작 품 제작을 하였다. 작품Ⅷ. 의 나비의 이미지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인 남계우의 호접첩 의 부분 이미지로 네일아트 기법 중 바르기, 굳히기, 붙이기, 구부리기, 말 기 등을 활용해 작품 제작을 하였다. 본 연구는 민화의 이미지를 부분 분석하여 현대적인 표현방식으로 재 해석한 젤 네일과 헤어의 융합 작품으로 작품의 다양성을 모색하였고 폐 모발을 소재로 하여 버려지는 모발의 활용성을 높일수 있는 계기가 되었 으면 하였다. 민화의 정의는 매우 다양하기에 후속 연구자들은 민화의 다 양성을 더욱 탐구하고 이해하기 위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이루어져 연구의 폭이 더욱 넓어질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피부미용사의 직무환경, 건강상태, 직업존중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윤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피부미용사들을 대상으로 직무환경, 건강상태, 직업존중감을 분석하고 피부미용사들의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 연구하기 위하여 2015년 5월 1일부터 6월 20일까지 서울·경기지역에서 4-5인이 근무하고 있는 피부관리샵의 20-40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피부미용사들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 직업적 긍지 만족도, 소속감 및 기여도, 임금 및 복지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피부관리샵의 휴게시설이나 휴식공간을 적절히 보장하고, 안전 및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는 등 근무조건을 개선해야 하고, 직무의 능력이나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다양한 사내 기회를 부여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무능력을 배양하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건강상태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독립변수 별로 스트레스, 신체 외부 건강상태, 근육통, 위·장 요인들이 낮아지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들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는 인력관리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근무환경을 개선하여 오염된 물질 및 병원체에서 비롯된 질병을 예방하여야 하며, 근무조건과 설비를 피부관리사들의 작업 프로세스에 일치시켜 직업병이라 할 수 있는 근골격계 질환과 근육통 등을 예방함으로서 직무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직업존중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독립변수별로 사회적 평가, 자기(내재적)평가, 미래가치, 자아성취지향이 높아지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들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피부관리사의 사회적 인식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문가로서 대우하고, 직업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각종 경력개발 프로그램을 도입하며, 피부관리사의 전문성을 키울 수 있도록 경영자가 이를 지원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피부미용사의 직무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직무환경을 개선하고, 건강상태를 높이며, 직업존중감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직업존중감과 직무만족도의 상관도가 타 요인보다 더 높은 것으로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분석결과 직업존중감의 하위요인 별 사회적 평가, 자기(내재적)평가, 미래가치, 자아성취지향이 높아지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직업적 긍지 만족도, 소속감 및 기여도, 임금 및 복지 등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부미용사들의 사회적 인식를 제고하고 직업훈련을 강화하며, 전문가 인증제도를 도입하는 등 직업존중감을 개선하는 다양한 조치들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미용서비스업 종사자의 MBTI 성격유형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 국내 미용실을 중심으로

        김정인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modern business management easy to lose one's humanity in the advanced industrial society is bringing on the various maladjusted cases for the individual, which is often caused by the friction and complications in working condition, managing supervision and work place due to social conditions. Th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has to be understood and developed as a critical management skill for business management policy of human relations in the side of business management, as negligence of these cases bring about big trouble to morale, cooperative system, productivity and industrial peace. The beauty industry representative of service industry is that morale itself of beauty salon employees, who should provide their service from direct contact with customs, plays a decisive role in the success and failure of management. Th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in beauty salon is therefore raised as an important issue to improve the quality of providing service and customer satisfaction. Individuals, wh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wn unique psychology, gradually build up their own psychology with by an interaction with the inherited and environmental factor, which this individual psychology has many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More efficient, scientific and systematic management for the staff has to be therefore realized in the beauty industry of high dependence on human resources by inquiring into the relation of staff's job satisfaction factor based on the psychological type.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type of domestic beauty salon employees among employees of beauty service industry using the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analyzing the effect of these psychological type on the job satisfaction to present the methods of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this, it made a survey of the effect of beauty service industry employees' psychological type on the job satisfaction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And it made a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ith statistics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divided the variable of character type into 16 groups by psychological type, preference index, skill, and disposition. second, factor analysis of 36 questions about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8 factors (supervision of higher-up and executive, company's policy and management, wage level, promotion and self-development, relation between colleagues, welfare, working conditions and service burden, and sense of belonging) are led. And it gave the name of factor based on the central concept of questions. Third, it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pervision of higher-up and executive, wage level, promotion and self development, welfare, working condition and service burden, and sense of belonging according to sex, age, final scholarship, major in beauty and marriage. fourth, it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by service typ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pervision of higher-up and executive, company's policy and management, wage level, premotion and self-development, relation between colleagues, welfare, working condition and service burden, and sense of belonging, for the class of one's position, year of continuous service, service hour, service day, size of shop, number of employee and monthly average income. fifth, it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by psychological type of MBTI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pervision of higher-up and executive, relation between colleagues, and sense of belonging, and that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psychological type by skill and disposition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nse of belonging, which NF and NT is relatively high. Consequently, it should continuously conduct a study for the personnel management of beauty industry in the future, and it is in need of lasting concern and study for employees of beauty service industry to provide efficient motivation and environment suitable to their psychological type. 고도의 산업사회에서 인간성을 상실하기 쉬운 근대적 경영관리에 있어서는 개인에 대하여 여러 가지 부적응한 사례를 초래하고 있는데 사회적 조건에 기인하는 노동조건·관리감독·직장 내의 마찰과 갈등 등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같은 사례를 방치하는 경우에 사기, 협동체계, 생산성, 산업 평화에 큰 지장을 초래하므로 이와 같은 관점에서 인적자원의 관리는 경영관리 측면에서 인간관계적 경영관리방침에 대한 중요한 관리기술로 이해 개발되어야 한다. 서비스 산업을 대표하는 미용 산업은 고객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미용실 직원들은 사기 자체가 경영성패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사기 자체가 경영성패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직을 향상시키고 고객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미용실 내의 인적자원 관리의 문제성이 중요하게 야기된다. 각 개개인은 독특한 성격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유전적·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점진적으로 자신만의 성격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개인의 성격은 직무만족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성격유형에 따른 직언의 직무만족요인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인적자원의 의존도가 높은 미용 산업에 좀 더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직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체제가 설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용서비스업의 종사자들, 그 중에서도 국내 미용실 종사자들의 성격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MBIT를 이용하여 종사자들의 성격유형을 파악한다. 그리고 이러한 효율적인 직무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인적관리 방법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료는 미용서비스업 종사자의 성격유형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법을 이용하였으며, 예비조사를 거쳐 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통계처리 하여 분석·정리 하였다. 첫째,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고, 성격유형의 변수를 16가지 성격유형별, 선호지표별, 기능별,기질별 군집으로 나누어 집단화하였다. 둘째, 직무만족도에 대한 36개의 문항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8개의 요인(상사 및 간부의 감독, 회사정책과 관리, 임금수준, 승진 및 자기발전, 동료간의 관계, 후생복지, 근무조건 및 업무상담, 일체감)이 도출되었고, 각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들의 중심개념을 바탕으로 요인 명을 부여하고, 조가대상자의 전체적인 직무만족도를 알아보았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성별, 연령, 최종학력, 미용관련 전공여부, 결혼 여부에 따라 상사 및 간부의 감독, 임금수중, 승진 및 자기발전, 후생복지, 근무조건 및 업무부담, 일체감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업무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직급, 근속연수, 근무시간, 근무일수, 샵의 크기, 직원 수, 월 평균 소득에 대하여 상사 및 간부의 감독, 회사정책과 관리, 임금수준, 승진 및 자가발전, 동료간의 관계, 후생복지, 근무조건 및 업무부담, 일체감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MBIT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선호지표에 따라 상사 및 간부의 감독, 동료간의 관계, 일체감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능별·기질별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일체감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NF,NT가 상대적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앞으로도 미용 산업의 인사관리를 위한 연구가 끊임없이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며,더불어 미용서비스업 종사자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미용실 구성원의 갈등이 갈등관리,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나영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미용 산업은 직무종사자와 고객의 직접적인 대면을 통해 이루어지는 필 수 대면 형 서비스산업으로, 직무종사자의 갈등관리를 통해 직무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고,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미용 서비 스의 질적 향상과 고객만족도 증가를 통한 긍정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 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실 구성원 간 효율적인 갈등관리 방안을 통해 직무 성과를 높이고,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해소 방안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향후 서비스산업의 한 축이라 할 수 있는 미용 산업 내 종사자들 간 갈등관리에 대한 기초자료의 제시를 통해 미용실 구성원들의 직업 만족도 향상과 이직률 감소에 이바지하여 안정적인 산업환경을 조성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서울, 경기지역에 근무하는 미용실 구성원들로 자기 기재방법 설문 지법을 통해 212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 용되었다. 이후,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클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및 일원 변량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주성 분 법 베리멕스 회전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미용실 구성원의 갈등관리와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요인분 석 결과 갈등은 ‘보상갈등’, ‘역할불만족’, ‘대인관계갈등’, ’업무지원갈등‘, ’ 의사소통장애‘ 다섯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갈등관리는 업무수행’, ‘협 vi 의’, ‘회피’, ’수용‘, ’타협‘, ’권한행사‘와 같이 여섯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 다.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단일 차원의 요인으로 도출되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미용실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이직 의도에 정(+)의 영향이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는 갈등의 하위요인 보상갈등, 역할불만족, 대인관계갈등, 업무지원갈등, 의사소통장애에 정(+)의 영향이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는 갈등관리의 하위요인별 업무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 치지 않았으나, 협의 권한행사에서 정(+)의 영향을 보였다. 이는 미용실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와 갈등에 영향을 미치 는 것을 시사하며 미용실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와 갈등관리를 통해 이직 의도와 구성원들 간 갈등을 감소시켜 직무성과 향상과 긍정적 반응을 끌 어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미용서비스 산업은 인력이 주가 되는 산업으로 비대면 시대 필수 대면 직종의 안정적인 인적자원의 관리 차원에서 전사적인 노력이 병행되 어야 할 것이며 직무스트레스 해소와 갈등관리, 이직의도 감소를 위해 다 방면으로 현실적인 방법을 모색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미용서비스산업의 사회공헌활동 인식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차경희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미용서비스산업의 사회공헌활동 인식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용서비스 산업은 부가가치 산업의 하나로 발전되어 다양하게 향상 되어 미용서비스산업의 수가 증가하고, 고객의 소득향상과 미용에 관한 의식이 변화됨에 따라 미용서비스산업의 질적 변화가 요구되어 과거의 기술위주의 경영만으로는 경쟁사회에서 생존할 수 없게 되었다. 그로인하여 미용시장의 경쟁 환경에서 존속되고 발전하기 위하여 합리적인 경영활동으로 사회적 책임활동(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의 한 형태인 사회공헌활동(corporate philanthropy)을 추진하였다. 이에 미용종사자를 대상으로 미용서비스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증적 연구로써 이를 통하여 미용서비스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중요성이 인식되어 조직구성원의 업무태도와 활동의 만족과 더불어 서비스 시장 향상을 제공할 수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설문지법을 통해 수집된 1,106부는 SPSS 20.0을 통해 분석 되었고, 적용된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이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결과, 성별의 경우 남자보다 상대적으로 여자가 높게 나타났고, 학력의 경우 전문대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공헌활동 인식여부의 경우 활동하고 있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생각의 경우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공헌활동 실천 여부의 경우 실천해야 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의 사회공헌활동 실천 미용서비스산업의 근무 만족의 경우 만족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고, 사회공헌활동 실천 고용주 만족 여부의 경우 만족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용서비스산업의 사회공헌활동 인식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사회공헌활동 인식은 두 개의 요인이 추출 되었고, ‘사회의식’과 ‘환경경영’으로 명명하였고, ‘직무만족’, ‘조직몰입’은 단일차원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미용서비스산업의 인식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미용서비스산업의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미용서비스산업 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용서비스산업의 인식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이 높아질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이 높아질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들을 종합해 볼 때, 미용서비스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로인하여 미용서비스산업의 경영자와 종사자는 사회공헌활동의 책임의식이 강하여 많은 활동과 노력을 하고 있으며, 경영자는 고용안정과 창출을 위해 뛰어난 리더십으로 조직구성원의 이익증대에 노력과 더불어 고객의 불평불만에 적극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서비스의 질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서비스산업의 경영자는 사회공헌활동을 일회적인 활동이 아닌 체계적인 정책이 형성된다면 서비스 종사자의 업무 환경 만족으로 인하여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산업의 생산성 증대로 인한 경영 성과에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직업가치관 및 향 후 진로방향과 직업선택에 관한 연구

        권해미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 문 요 약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직업가치관 및 향 후 진로방향과 직업선택에 관한 연구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계열인 미용고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생각과 태도 및 진로성숙도를 일반고 학생들과 비교 연구하여, 현재 미용고 학생들의 진로의식수준을 재조명하고 이를 위해 고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직업가치관에 관하여 조사하였으며, 향 후 진로 방향과 직업선택에 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서울, 인천, 경기, 충청 소재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 7월 28일부터 8월 27일 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열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일반고 보다 미용고 학생들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둘째, 계열을 선택한 동기에 대해서는‘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맞추어 선택했다’고 응답한 사람이 일반고는 27.05%, 미용고는 42.15%이었고, 주변 권유(부모님, 선생님, 선배, 친구)에 의해 선택했다‘고 응답한 사람이 일반고는 29.11%, 미용고는 9.96%이었다. 셋째, 진로성숙도와 직업가치관은 계열에 따라 차이가 없었지만, 계열과 계열선택 동기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계열에 따른 진로방향의 차이에서는 일반고는 계열과 상관없이 대학에 진학해도 된다고 응답한 학생이 많았으며, 미용고는 일반고와 비교해 낮은 비율을 보였다. 다섯째, 직업가치관과 향후 직업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의 상관관계에서는 일반고와 미용고 모두 외적 요소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르면, 미용고 학생들이 과거에 비해 진로의식이 높아 졌고, 보다 확실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직업가치관과 직업선택 요소에서는 외적 요소를 더욱 고려하고 있었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앞으로 미용을 이끌어 갈 학생들에게 미용직에 대한 전문성과 진정성 그리고 미용인의 자긍심을 가진 내실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