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u-러닝 환경에서 ARCS 동기이론을 이용한 정보기술기초교과의 교수· 학습 모형연구

        김소영 부경대학교 정보통신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1711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기존의 강의중심의 교육형태에서 학생이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필요한 자료를 찾아볼 수 있고, 시공간을 넘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또 실제 공간과 가상공간이 통합되어 다양한 학습형태를 통해 교육의 질과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u-러닝 환경에서 ARCS 동기이론을 적용한 실업계 고등학교 정보기술기초교과의 바람직한 교육환경을 제시하고, 효율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한다. 먼저 u-러닝 교육환경에서의 정보기술기초 교육의 개념과 교육과정을 조사한다. 그 후 u-러닝 환경에서 ARCS 이론을 활용한 정보기술기초 교과의 프로젝트 학습과 문제해결 학습지도안을 제안한다. 프로젝트 학습과 문제해결학습은 학습자 스스로 협동심과 분석력, 의사소통 능력, 창의력을 훈련시킬 수 있도록 팀 프로젝트 방식으로 진행한다. 본 학습 지도안은 정보통신 서비스의 종류와 특징을 학습자 중심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설계한 프로젝트 학습과 홈페이지 제작을 통한 문제해결에 중점을 두었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모형의 효율적인 검증을 위해 공업고등학교 전기과 2반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한다. 실제 실험은 학생들을 실험반과 통제반으로 나누고 수업처치 전에 정보기술기초 과목에 대한 ARCS 동기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 후 실험반은 ARCS전략을 적용한 프로젝트학습과 문제해결학습을 실시하였고, 통제반은 전통적 수업방법을 실시한 후, ARCS 동기이론에 대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동기유발의 향상된 정도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방법은 완전한 u-러닝 환경은 아니지만 독립표본 t-검증한 결과, ARCS 각 요소들이 주의집중, 자신감, 만족감에서 실험반 학생들의 동기유발 정도가 통제반 학생들의 동기유발 정도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다. 전체 동기유발 전략에서도 실험반 학생들이 통제반 학생들보다 많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In ubiquitous environment, anyone can find learning materials by internet connection and make communication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Moreover, combination of real and virtual space enables to improve the quality and effects of education through various learning models. In this study are suggested a desirabl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ffective teaching & learning models based on ARCS motivation theory in ubiquitous environment in Basic Informational Technology subject (later on BIT) in technical mechanical high school. The first step is to research the basic concept and curriculum of BIT in ubiquitous learning (later on U-learning) environment. After that, a new BIT lesson plan is suggested using project and problem-solving models utilizing ARCS theory in U-learning environment. In this lesson plan, students work in teams in project & problem solving models to enhance cooperation, creativity, power of analysis and communication skills by themselves. This lesson plan is focused on problem solving by making homepage and project learning designed for learners to study various kinds of informational communication services and their features. Lastly, for effective verification, a test was done to a class in electronics department of a technical mechanical high school and its result was analyzed by statistic method. In the test,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both groups took ARCS motivation test of BIT before the lesson. During the lesson, experiment group got a lesson in project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based on ARCS strategies, while control group got a traditional lesson. After the lesson, a test was given to find out if there was any change in those students in terms of motiv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learning-teaching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enhances students' every aspect of motivation - Attention, Confidence, Satisfaction. Experiment group also showed greater improvement in overall motivation strategies than control group.

      • 전문계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에서 문제중심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지정이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정보통신교육전공 2008 국내석사

        RANK : 251695

        이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 정보통신과 정보통신 교과의 ‘LAN 구축 실습’ 단원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학습 능력에 따라 학업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 집단에는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였으며, 통제 집단에는 기존의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여 학업 성취도 변화를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실험 집단과 강의식 수업을 적용한 통제집단 사이에서 실험 처치 후 측정한 학업 성취도 결과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사이에서 학업 성취도 면에서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둘째, 상위 그룹 실험 집단과 상위 그룹 통제 집단의 학업 성취도를 검증해 본 결과 두 집단간은 학업 성취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중위 그룹 실험 집단과 중위 그룹 통제 집단의 학업 성취도를 검증해 본 결과 중위 그룹에서도 학업 성취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하위 그룹 실험 집단과 하위 그룹 통제 집단의 학업 성취도를 검증해 본 결과 실험 집단의 평균 성적이 통제 집단의 평균보다 12.18점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확률이 0.045로서 두 집단간은 학업 성취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하위 집단에 있어서는 문제중심학습이 강의식 수업보다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그룹에서 효과가 있었던 이유를 연구를 진행했던 과정을 참고하여 생각해 보면 평상시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던 하위그룹 학생들이 색다른 수업 방식에 호기심을 가진 것으로 판단되며 수업 참여도가 강의식 수업보다는 높았다. 그리고 과제 해결을 위해서 조 내부에서 과제가 분담이 되는데 자신이 맡은 부분에 대해서는 과제 해결에 참여했던 것이 학업성취도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PBL)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an unit of LAN construction practice at a technical high school. To find it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t was used for experimental group, while conventional Lecture Method(LM) was used for control group.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1. There was no significant in its effect between the upper-level control group and upper-level experimental group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f the posttest. 2. There was no significant in its effect between the middle-level control group and middle-level experimental group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f the posttest. 3.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lower-level control group and lower-level experimental group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f the posttest. The average of the lower-level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ower-level control group by 12.18 points. As shown above, the use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f depends on teaching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PBL was more effective than LM in the lower-level group. There are a few reasons for this result. This is because: 1. PBL motivates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lass more actively. 2. PBL makes students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solving the problems. 3. PBL offeres mor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be exposed to the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