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락교회 김기동 목사의 삼위일체론 논쟁사

        우희찬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김기동은 1969년 성락교회를 창립하였고, 자신이 창시한 특유한 신앙인 베뢰아신앙을 통해 세계20대 교회에 선정될 정도로 성락교회가 부흥되었다. 베뢰아신앙에서 삼위일체론은 한국기독교계와의 논쟁을 통해 시대가 지나면서 발전하는 경향이 있다. 1987년을 시작으로 한 한국기독교계의 비판은 1992년에 정점에 달하였고,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은 1992년 이전과 1993년 이후에 어떠한 차이가 보인다. 1992년 이전의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은 거의 전적으로 김기동이 목회현장에서 진행한 강의와 저술에 의존하였다. 삼위일체와 관련한 용어 사용에 있어서 신학적 숙고가 많지 못했으나 그 제자들에 의해 신학적인 교정과 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1987년의 김기동의 변증과 1993년의 기독교남침례회 교단의 변증 내용을 보면, 1992년 이전의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이 본질적인 내용에서는 정통신앙과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으나 자신들이 당하는 비판의 핵심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 문제를 어떻게 돌파해야 하는지를 파악하는 신학적 성숙이 아직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1993년 이후의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은 김기동이 성락교회 교역자들을 동원하여 성락교회와 관계된 여러 조직들을 설립함으로써 개선되었다. 자신들이 오해의 소지가 있게 표현한 부분들을 인정하고 해당 부분을 수정하였으며 이러한 노력을 타 교단이 인정하기도 하였다. 무엇보다 신학적 개념을 많이 동원하여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을 설명하려는 시도가 두드러지게 나 타났다. 김기동의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은 서방교회 전통의 삼위일체론과 유사함에도 동방교회적인 삼위일체론의 개념들을 동원하여 설명하려는 경향도 관측되었다. 삼위일체론의 근거로 삼는 일부 성경 구절에 대한 해석을, 삼신론을 피할 목적으로 새롭게 시도한 흔적도 보인다. 1992년 이전의 삼위일체론과 1993년 이후의 삼위일체론은 핵심적인 개념들은 사실상 같으나, 그 핵심적 개념들을 바탕으로 하여 부가적인 설명을 덧붙이는 변화도 보인다. 본 논문은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의 형성 과정을 통해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을 이해하고 그 역사 속에서의 교훈을 찾고자 한다.

      • 김기동 목사의 목회 리더십에 관한 연구

        김성용 베뢰아대학원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 교회에서 리더십은 그 조직과 기관의 생존에 필수 불가결한 조건이다. '교회의 성장은 목회자의 리더십에 달렸다'고 할 정도로 영적 기관인 교회에서의 목회자의 리더십 발휘는 교회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친다. 1980년대에는 주일학교, 심방 등의 프로그램 중심적 사역을 강조하였으나, 1990년대 이후 목회자의 리더십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성공한 목회자들의 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곧 교회성장은 목회자의 리더십의 역할이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서울성락교회가 세계 최대의 침례교회로 성장한 것도 김기동 담임목사의 리더십이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여의도순복음교회의 조용기 목사, 소망교회의 곽선희 목사, 명성교회의 김삼환 목사, 온누리교회의 하용조 목사 등 한국 초대형 교회의 목회자들의 리더십과 그들의 목회 철학에 대해서는 이미 연구가 많이 되었다. 그러나 서울성락교회의 김기동 목사의 리더십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된 바가 없다. 김기동 목사의 리더십은 그의 성역 41년간의 사역에 잘 나타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리더십에 대한 일반 이론과 목회 리더십에 대한 이론을 간략히 정리한 후, 김기동 목사의 사역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 사역에 나타난 김기동 목사의 리더십을 고찰하였다. 김기동 목사의 사역은 목회 사역과 베뢰아 운동, 신학을 통한 지도자 양성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사역에 나타난 김기동 목사의 리더십을 영적 권세와 목회경영능력, 개인적 특성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김기동 목사의 리더십은 한마디로 어떤 유형에 속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다만 서울성락교회의 목회사역과 베뢰아운동, 신학을 통한 지도자 양성 등 그의 사역에 나타난 리더십은 카리스마적 리더십의 특성과 최고경영자형 리더십의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김기동 목사의 리더십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영적 권세 즉 카리스마이다. 그는 평신도 부흥사 시절부터 지금까지 변함없이 하나님의 의도를 내용으로 한 능력 있는 말씀을 선포하고 병자를 고치며 귀신을 쫓아내는 성령의 능력을 행하여 왔다. 하나님의 의도 신학은 김기동 목사의 목회신학으로 그의 절대적인 리더십의 바탕이 되었다. 그는 하나님의 의도 신학을 베뢰아아카데미를 통하여 많은 목회자와 평신도에게 가르쳐 왔고, 베뢰아대학원대학교를 통하여 하나님의 의도 신학으로 무장된 목회자를 배출하고 있다. 베뢰아 운동은 신본주의에 의거하여 하나님의 의도를 밝히고, 능력의 보편성을 증거하며, 침례를 주고 제자 삼는 것을 이상으로 한다. 그 내용은 신약교회운동, 성경 닮기 운동이며, 평신도 운동이다. 베뢰아 운동은 현재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중남미, 유럽 등 전세계로 힘있게 확산되고 있다. 김기동 목사의 리더십 중 또 하나의 중요한 특징은 탁월한 목회경영능력이다. "베뢰아 운동의 전세계 확산"과 "일만 명의 평신도 지도자 양성"의 양대 비전을 제시하며 교인들을 독려하여, 전 교인이 동일한 비전 아래 결속되어 서울성락교회의 성장과 베뢰아 운동의 전개에 함께 참여하게 하였다. 또한 그는 개혁 마인드를 가지고 한국 교회의 예배의 변화와 전통 교리와 교권에 얽매인 교권주의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인간구원론 중심이며 바울 신학에 기초한 기존 신학에 대응하여 신본주의 신학인 하나님의 의도 신학을 내놓으며 신학을 개혁하고자 하였다. 그외에도 김기동 목사는 열정과 헌신, 인내, 겸손, 그리고 다재다능한 개인적 특성들을 가졌다. 김기동 목사의 이러한 개인적 특성들은 교인들로 하여금 더욱 그를 신뢰하고 존경하며 친밀감을 느끼며 따르게 하여, 그의 리더십을 더욱 강력하게 만들었다. 김기동 목사의 리더십은 그 동안 교계에서 제대로 평가되지 못하였다. 김기동 목사의 리더십은 날로 급변하는 21세기의 교회를 이끌어 가는 목회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많다. 앞으로 김기동 목사의 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좀더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Leadership in the modern church is an indispensable factor for the survival of its organization and organs. The influence of the pastor's leadership display in the spiritual organ which is the church is such that one might say, "Church growth depends on the pastor's leadership". His ministry was program-centered - Sunday school, visitation and so on - in the 1980's, the importance of pastoral leadership has been embossed since the 1990's. Recent trends are that special researches on the leadership of successful pastors are actively been done. In other words, pastoral leadership plays a crucial role church growth. Seoul Sungrak Church grew to the largest Baptist congregation in the world. It can be said that the influence of the Rev. Kim Ki Dong's leadership was decisive. Researches on pastoral leadership and pastoral philosophy for Korean mega-churches were already done - the Rev. Yong Ki Cho of Yoeui Do Full Gospel Church, the Rev. Sun Hee Kwak of Somang Church, the Rev. Saham Hawn Kim of Myung Sung Church, the Rev. Yong Jo Ha of Onnuri Church and so forth. But there has been hardly no research concerning the leadership of the Rev. Kim Ki Dong of Seoul Sungrak Church. His leadership is well disclosed in his 41 years of pastorate. In the present thesis, I presented first theories about leadership in general and theories on pastoral leadership, then examined Kim's pastorate to finally consider the kind of leadership which was shown in it. I divided Kim's ministry into three parts - the pastorate of Seoul Sungrak Church, the Berea Movement, the training of leaders through theology. And I distinguished three parts in his leadership i.e., spiritual authority, ability for ministerial management, personal characteristics. It is difficult to conclude in one word that the Rev. Kim's leadership belongs to a certain type. One thing which is clear is that his leadership disclosed in his ministry - Seoul Sungrak Church, the Berea Movement, leaders' training etc. - shares the characteristics of charismatic leadership and the leadership of CEO type. The most prominent feature in the Rev. Kim's leadership is his spiritual authority, that is to say, charisma. From his days of layman revivalist till today, he has constantly proclaimed the powerful word of God based on the Picture of God's Will, healed the sick, and driven out demons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The theology of the Picture of God's Will as his pastoral theology has constituted for him the absolute ground of leadership. He taught laymen the Picture of God's Will in Berea Academy, reared pastors equipped with such theology in Berea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 The Berea Movement sets up an ideal clarifying the Picture of God's Will and depending on theocentricism, verifying the universality of power, giving baptism, making disciples. It can be defined as the New Testament Church Movement, the Bible Examining Movement, a Laity Movement. This movement is currently being diffused to the whole world - southeast Asia, Africa. Latin America, Europe etc. Another important feature in the Rev. Kim's leadership is his ability for prominent ministerial management. He gathered all believers together under one vision and had them take part both in the growth of ten thousand lay leaders and the global deployment of the Berea Movement. The Rev. Kim also has the mind of reformation. He insisted upon the reformation of ecclesiastical authoritarians and stressed the needs for worship changes in Korean churches and reformation upon traditional doctrine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He introduced a theocentric theology through the Picture of God's Will and tried to reform the existing theology based on Paul's theology which asserts soteriology for humans. Besides, the Rev. Kim's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rdor, self-sacrifice, patience, humility, and other various traits led his church members to trust, respect and follow him whole-heartedly and strengthened all the more his leadership. The Rev. Kim Ki Dong's leadership has not properly evaluated in the circle of Korean churches until now though it would enlighten in many ways pastors who lead the rapidly changing 21st century churches. Further and deeper research on the Rev. Kim's leadership needs to be undertaken in the near future.

      • 베뢰아 선교전략 수립에 대한 연구

        서우종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는 예수의 이름이 있는 교회요, 예수의 이름을 전파하는 교회다. 또한 예수가 원하는 대로 일하는 교회다. 초대교회 성도들은 예수의 승천 후 약속대로 그가 보내주신 성령을 받아 예수의 이름을 전파하였다. 예수의 복음은 예루살렘교회와 안디옥 교회를 통해서, 그리고 로마의 도로를 좇아 유럽과 소아시아 전역으로 퍼져 나갔다. 하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는 평탄한 길을 걸은 것만은 아니다. 오히려 온갖 고난과 역경을 감내해야 했고, 그것이 기독교회의 침체로 이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교회의 주인이신 성령의 역사는 그칠 길이 없어 온갖 격동의 시기를 거쳐 오늘 우리에게까지 전파되었다. 거기에는 믿음으로 세상을 이기며 기독교 신앙을 굳건히 지킨 믿음의 선진들이 있었다. 현대 교회는 이러한 초대교회의 신앙의 순수성을 이어가야 한다. 연구자는 이것을 일명 신약교회라고 명명하고자 한다. 물로 현대 교회를 염두에 둔 신약교회라는 개념이 온전히 정립된 것은 아니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현대의 신약교회를 구약교회와 대조되는 개념으로 예수의 사역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보는가 하면, 베드로에게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라' 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명령에 따라 사도들의 선교에 의해서 신약교회가 시작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또한 성령의 임재 후 사도들이 변화하여 복음을 전파한 시기를 신약교회의 시작으로 말하는 무리도 있다. 그러나 연구자는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에 기초하고, 성령의 도우심과 역사하심으로 순수한 신앙을 지키며, 진리를 전파되는 교회를 신약교회라고 하고 싶다. 거기에는 신약교회의 정신이 있기 있다. 신약 교회의 정신은 신약성경에 잘 나타난다. 사복음서와 사도행전, 그리고 바울 서신에서 그들의 믿음과 당시 신앙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러한 신앙의 순수성은 중세시대에도 있었다. 다만 가톨릭의 막강한 세력 앞에서 그 빛을 드러내지 못했을 뿐이다. 그들의 기도와 순교가 밑거름이 되어 마침내 종교개혁으로 분출되었으며, 이어지는 개혁자들의 두려움 없는 강인한 신앙적 결단이 있었다. 중세 시대에 신약성서적인 신앙을 지킨 교회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세 교회사에서 콜롬바(Colomba)로 대표되는 켈틱 교회(Celtic church)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 교회는 중세 초기에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그리고 아일랜드를 포함하는 브리튼에서 신앙의 순수성을 지킨 신앙 공동체다. 그들은 로마 가톨릭의 교황권을 인정하지 않고, 교권에 의존하지 않았으며, 성경에 근거하는 비교적 순수한 신앙을 지키려 노력했다. 이 교회는 잉글랜드에서 복음을 전파하다가 결국 로마 가톨릭과 충돌한다. 여러 면에서 믿음의 순수성을 유지하려 했던 켈틱 교회는 영적인 세계뿐만 아니라, 정치적 영광까지 누리려 했던 로마 가톨릭과의 싸움에서 승리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들의 신앙생활은 신약교회의 정신과 맥이 닿아 있다. 또한 왈도파(Waldensians)라 불리는 신앙의 집단이 중세의 중간 시점에 나타났으며, 이들의 신앙정신 또한 연구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 그들은 초대교회의 신앙을 지키려는 노력은 물론이고, 초대교회의 공동체 생활에 가까운 집단생활을 하였다. 이들도 물론 로마 가톨릭으로부터 철저한 박해를 받고 순교하였다. 어떤 면에서 이들은 기타 중세의 몇몇 소수 집단과 함께 종교개혁의 근간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재침례파(Anabaptist)가 있다. 사실 교회사에서 이들만큼 잘못 소개된 단체는 드물 것이다. 그들은 루터에 의해 본격화된 종교 개혁이 제도적 형태의 종교로 잘못 진전됨을 느끼고 순수 신앙의 복귀운동으로 소위 개혁된 교회들로부터 박해를 받으며 믿음을 유지한 자들이다. 그들의 교회관은 개혁교회의 그것과 비교할 때 신약교회의 정신에 훨씬 더 가깝다. 세례가 아닌 침수에 의한 침례를 주장하고, 유아 세례를 반대함으로써 수많은 무리가 목숨을 잃는다. 이제 20세기 말에 들어와서 이러한 신약교회의 정신 아래 기존의 인간중심의 신학에서 탈피하여 하나님의 의도(意圖)를 밝히고자 하는 신본주의(神本主義)신학, 즉 성경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운동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서울성락교회를 중심으로 하여 펼쳐지고 있는 베뢰아 운동이다. 베뢰아운동은 사도행전 17장 11절의 신사적이고 간절한 마음으로 말씀을 받고 매일 성경을 상고한다는 베뢰아 사람들의 신앙자세를 본받고자 하는 성경중심의 신앙 운동이다. 이 베뢰아운동은 철저히 성경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으로, 신약교회의 정신을 현대교회에 불어넣으려는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명하시고 이 땅에 세워지기를 원하신 신약교회가 21세기 현재에 과연 어떤 형태의 교회일 것인가에 대하여 여러 논쟁이 있을 수가 있다. 그러나 하나님의 사정을 가장 잘 아는 분은 성령이시기에 성령만이 그분이 원하시는 교회의 상을 제시하고 우리를 이끄시는 것이 사실이다. 신약교회의 운동은 이런 면에서 성령과 분리하여 생각할 수가 없다. 교회사는 인간을 통한 하나님의 역사이고, 그 안에서 순수한 신앙으로의 회귀하는 운동이 지속되고 있다. 현대 기독교회사에서는 베뢰아 운동이 그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is the Church which possesses the name Jesus, preaches the name of Jesus and works as He wills. The saints of the Early church who received the promised Holy Spirit preached the name Jesus to the world. The Church started in Jerusalem and continued in Antioch. And the Gospel was sprea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Roman Empire. It was after severe periods of persecution, depression and hardship that faith could be transmitted till today. In this history of faith, a great multitude of saints did not surrender to their oppressive environment and succeeded in preserving the faith that overcomes the world. The definition of the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is not clearly established yet. In some respect, the concept as the opposite of the Old Testament Church, might be said to have started with the works of Jesus, but in another respect it started with Peter who obeyed the commandment of Jesus namely, "And on this rock you will build my church” and preached the Kingdom of God. In still another respect, the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began at the Pentecost with the coming of the Spirit on the Spirit on the apostle and their empowerment for the ministry of the Gospel.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us, however is the spirit of the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which consists in keeping pure faith through the help and work of the Holy Spirit on the basis of the Word of Jesus, and in spreading the Gospel. The spirit of the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is well shown in the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especially, the faith of the Early Church’s saints in the four Gospels and Acts. The common opinion among Christians is that faith started from the Early Church in purity, was damaged seriously in the Medieval age by Roman Catholics, strived to get back to get back to the right track in the Reformation and arrived to the present state. All along these times, there might have been, however saints who had pure faith and the spirit of the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and thus, went through many hardship in trying to preserve themselves from spiritual corruption and not deviate from the original path. The Celtic Church, represented by Columba, was one of the community with pure faith in Britain which includes England, Scotland and Ireland. They endeavored their best to keep the virginity of faith based on the Bible only by the denial of papal sovereignty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In the evangelization of England, they eventually came into conflict with the Roman Catholics whose goal was political glory and spiritual domination, but could not win victory over them. But the faith of Celtic Church is as much significant as one deems it necessary to re-examine in connection to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Attention should be given also to a group called Waldeneses or Waldensians, in the middle of the Medieval age. In addition to their efforts to preserve the Early church faith, they led acommunity life that reminds of the Early Church. Waldensians were also martyred thoroughly by the Roman Catholics. In some respect, their faith laid the groundwork for the Reformation in the near future. The Anabaptists is one of the mostly misunderstood groups in the world. As they realized that the Reformation triggered by Martin Luther, had lost its way to the earthly united religion, they tried to return to pure faith in a movement that was persecuted by the so-called reformed churches. Their view of the Church wascloser to the spirit of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than the Protestant Church. Numerous Anabaptists were martyred because they advocated baptism by immersion, and not by aspersion or sprinkling, and rejected infant baptism. In the 21st century, there is a theocentric theology, a faith movement which casts off any anthropocentric theologies and aims at returning to the Bible by shedding light on the Picture if God’s Will. It is the “Berea Movement” form Seoul Sungrak Church in Seoul, Korea. The Berea Movement is Bible-centered and advocates to follow the faith attitude of the Bereans as described in Acts 17:11; these were noble and received the word with all readiness of mind, and searched the scriptures daily, seeing whether those things were true. This movement is a strict back-to-the Bible movement and presents a milestone to the Modern Church in that it aims at breathing in the spirit of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There could be some controversies as to how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that Jesus Christ commanded to build on earth should look in the 21st century. Since the one who knows God the best is the Holy Spirit, it is a matter of fact that the Spirit only can indicate the reality of the desired contemporary mission, and lead towards it.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contemporary mission is unthinkable without the Holy Spirit. The history of the Church is that of God working through humans because only the Holy Spirit can lead them into a movement which recovers pure faith, and make it come true.

      • 김기동의 그리스도교 본질 이해 연구 : 슐라이에르마허, 칼 바르트, 위르겐 몰트만과의 비교 연구

        천명원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15

        김기동의 그리스도교 본질 이해는 단선적이지 않고 다층적이고 다면적이다. 즉, 그리스도교 본질 이해를 다양하게 이해하고 제시한다는 것이다. 그는 크게 그리스도교 본질을 네 가지로 본다. 첫째로 그리스도교 본질로서의 삼위일체 신론이다. 그는 삼위일체 신론을 담보하는 것이 그리스도교가 그리스도교 되게 하는 것으로 파악한다. 둘째, 그리스도교 본질로서의 그리스도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고백이 확보되지 않은 것은 결코 그리스도교가 될 수 없다. 최근 종교다원주의는 ‘신론 중심적 신학’을 지향하고, ‘그리스도 중심적 신학’을 포기하려는 입장에 서 있다. 여기에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칼 라너(Karl Rahner)의 ‘익명의 그리스도인 개념’을 수납한 가톨릭 교회 역시 이 입장에 서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김기동은 이러한 흐름에 반대하며, 그리스도교가 참된 자기의 정체성을 가지기 위해선 절대적으로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고백이 담보되어야 한다고 본다. 셋째, 그리스도교 본질로서의 성령의 현재적 역사로 말미암아 나타나는 이적의 현재성이다. 김기동은 아무리 그리스도교가 삼위일체와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고백과 선명한 신학적 이해가 있다 할지라도, 성령의 현재적 역사로 말미암은 이적의 현재성이 부인된다면, ‘그리스도교의 종교화’는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본다. 이적의 현재성을 통해 하나님의 실체를 보여줄 수 없는 그리스도교는 ‘지적이고 문화적 그리스도교’이지 ‘능력 있는 그리스도교’는 아닌 것이다. 16세기부터 20세기 후반까지 서구 그리스도교회의 모습은 교리만 앙상하게 남은 ‘무능한 그리스도교’를 단적으로 보여주었고, 그로 인해 그리스도교는 더 이상 ‘서구의 종교’로도 인정받지 못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그는 이적의 현재성을 그리스도교의 본질로 이해한다. 넷째, 그리스도교 본질로서의 계시 신앙이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하지 않는 그리스도교는 자연종교 혹은 신비주의로 취급한다. 그는 시종일관 그리스도교가 하나님의 말씀, 즉 계시에 근거한 신앙과 신학이어야 한다고 본다. 더욱이 그는 성경과 계시를 기계적으로 등치시키는 근본주의적 성경이해를 넘어, 오늘 지금 나에게 말씀이 사건이 되게 하시는 성령의 감동을 더 의지한다. 즉, 그는 계시의 사건으로서 말씀을 더 중요시한다. 이러한 그의 이해는 성경을 통해 먼저 체득된 것이요 그가 처한 한국적 삶의 정황과 교회의 자리에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사실, 그리스도교 본질에 대한 이해는 그가 처한 삶의 정황(Sitz im Leben)과 시대정신(zeitgeist)을 논외하고 다루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더욱이 그리스도교 본질을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따라 한 개인의 신앙과 신학의 유형이 결정되며, 그가 속한 공동체의 신앙과 신학의 유형이 달라진다. 소위 ‘현대 신학의 아버지’로 불리 우는 슐라이에르마허는 그리스도교의 본질을 하나님에 대한 ‘절대의존감정’과 ‘유일신론적 신관’으로 보았다. 하지만 이러한 그의 이해는 자유주의 신학이 생성되도록 유도하여 전 세계 교회의 침체를 가져왔다. 이에 반대하여 그리스도교의 본질을 하나님의 말씀과 삼위일체론, 그리스도 중심으로 이해하여, 신정통주의를 주창했던 바르트는 비록 그리스도교의 본류로 회귀했지만, 이적의 현재성을 부인 혹은 배제한 결과로 지금의 ‘종교화된 독일교회’만이 남아있을 뿐이다. 이를 넘어서고자 등장한 20세기 후반의 최고의 신학자인 몰트만은 그리스도교의 본질을 종말론과 삼위일체론으로 보고, 종말론과 삼위일체론의 부흥을 일으켰지만 여전히 독일을 중심으로 한 유럽의 그리스도교는 앙상한 건물과 노인들만의 집으로만 남아 있을 뿐이다. 우리는 아무리 신학적으로 자유주의를 넘어서고(바르트), 신정통주의를 넘어선다하여(몰트만) 그리스도교의 본질을 회복했다고 볼 수 없음을 교회사를 통해 인식하게 된다. 생명력, 그리스도교가 이것을 상실할 때는 참된 그리스도교가 될 수 없음을 보았다. 성경에 기초한 신학과 성령의 현재성에 기반한 능력이 같이 갈 때, 그리스도교는 참된 그리스도교로 우뚝 설 것이다. 연구자는 그 가능성을 김기동의 그리스도교 본질 이해에서 찾고자 한다. 이는 이미 그의 목회와 신학을 통해 증명된 바다. 신앙과 신학이 같이 가고, 이론과 실천이 어우러지며, 신학교와 목회현장이 조화를 이루는 이러한 그리스도교의 꿈을 김기동에게서 찾고자 하며 찾을 수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논지이며 주장이다. Ki-Dong Kim's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Christianity is not uni-linear but multi-layered and many-sided. In other words, he understands and suggests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in a diverse manner. He presents mainly four aspects of the essence of Christianity. The first is the Trinitarian theology. He thinks the ultimate goal of the Trinitarian theology is to make sure the Christianity retains its true nature. The second is the Christ as the essence of Christianity. Without the confession of faith in Jesus Christ, the Christianity cannot become true Christianity. The religious pluralism of current days moves toward 'the theism-centered theology' departing from 'Christ-centered theology.' This position is shared with the Catholic church which accepted 'the concept of an anonymous Christian' introduced by Karl Rahner at the 2nd Vatican Council. However, Ki-Dong Kim opposes this trend and asserts that the Christianity ought to be established on the confession of faith in Christ in order to possess its true identity. The third is the now-ness of occurrences of signs and wonders which accompany the on-going work of the Holy Spirit. With this being denied, Ki-Dong Kim anticipates a rapid mutation of the Christianity into an institution of religion regardless of the confession of faith in the Trinity and Christ, and a clear theological understanding. The Christianity which cannot show the reality of living God through the now-ness of signs and wonders may be considered as 'an intellectual and cultural Christianity' but not 'the Christianity with power.' Since 16th century until the latter half of 20th century, the Western church has been seen as 'a powerless Christianity' which holds on only to doctrines. For this reason, the Christianity can no longer be taken as a 'Western religion.' On this account, he understands the now-ness of signs and wonders as an essence of the Christianity. The fourth is the faith of revelation. He regards the Christianity which is not based on the words of God only as a natural religion or as mysticism. Quite consistently, he thinks that the Christianity should be faith and theology based on the words of God, namely the revelation. Furthermore, his understandings goes beyond the fundamentalist-type biblical understanding which mechanically equates the Bible with the revelation in order to rely more on the inspiration of the Holy Spirit who makes sure an individual Christian has a lively encountering experience in the words of God. He appreciates the words of God as an incident of revelation. This understanding seems to have been acquired through his personal experience related with Bible reading and placed in Sitz-im-Leben of a Korean and in the every-day field of the church. Actually,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treat his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without taking into consideration his Sitz-im-Leben and zeitgest. In fact, one's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determines his or her patterns of faith and theology and even those of the community one belongs to. F.D.E. Schleiermacher, the so-called 'father of modern theology,' understands that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is 'feeling of the absolute-dependence on God' and 'theology with monotheistic view of God.' However, this position has led to the formation of liberalistic theology which resulted in stagnation of the churches worldwide. In opposition to this, Karl Barth regarded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as the words of God, the Trinitarianism, and Christ-centeredness and promoted the Neo-orthodoxy. His work succeeded in bringing back the Christianity to the main current of the Christianity, but his rejection or exclusion of the now-ness of signs and wonders has influenced the German church to become a mere religious institution. The greatest theologian in 21st century, who appeared in the latter of the 20th century in order to overcome this, pointed to the eschatology and the Trinitarianism as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His view has revived the eschatology and the Trinitarianism, but even now the churches in Germany and other European countries are left with a few of old members only. From this teaching of church history, we have come to a recognition that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is yet to be recovered despite all the theological efforts to overcome the liberalism (Barth) and neo-orthodoxy (Moltmann). Vitality, without this, the Christianity has lost its true identity. Only when the biblically-based theology and the now-ness of the Holy Spirit go hand in hand, the Christianity will be established formidably. The author of this study intends to find its possibility in Ki-Dong Kim's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It has been already proven through his ministry and theology. The thesis of this article is to seek, with an assurance of success, the fulfillment of the dream of the Christianity in Ki-Dong Kim- the cooperation between faith and theology, the harmon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the balance between the seminary and the ministrial field.

      • 과정 패러다임에 관한 한 연구 : 교회성장을 중심으로

        이정근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논문은 교회성장에 대한 기존 패러다임을 살펴보고 미래 교회성장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연구하고자 한다. 기존 패러다임의 문제점이 경직성에 있음을 발견하고 미래 교회성장의 대안으로 과정 패러다임(process paradigm)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1장에서는 문제제기 부분으로 연구 목적과 연구 범위 및 방법, 용어 해설에 대하여 소개하였고, 제2장은 과거 교회성장의 패러다임에 대한 부분으로 교회성장에 대한 이해와 과거 전통 교회의 교회성장 패러다임, 교회성장의 이항 대립적 패러다임 유형에 대하여 알아보고 과거 교회성장을 이끈 패러다임을 살펴보았다. 교회성장에 대한 이해를 피터 와그너, 도날드 맥가브란(C. Peter Wagner, Donald A. Mcgavran)의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과거 교회성장을 이끈 패러다임과 요인들을 분석함으로 과거 전통 교회에 있던 패러다임의 문제점에 경직성이 있음을 연구한 것이다. 제3장은 교회성장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과정 패러다임에 대한 부분으로 현재와 미래 사회의 특징과 시대적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고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성장을 이루고 있는 증거들을 논증하였다. 그 첫 번째는 정보화, 미디어, 네트워크 사역상의 증거이고, 두 번째는 지역사회 섬김 복지와 마케팅 사역상의 증거, 마지막으로 소그룹, 셀 활성화 사역상의 증거이다. 최근 교회성장의 주도를 이끌고 있는 증거들을 통해 새로운 미래 교회성장을 위한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곧 시대적 변화에 따른 패러다임을 수용한 여러 교회들의 예를 통해 미래 교회성장을 이끌 패러다임을 연구한 것이다. 시대가 변하고 사람들이 변하고 있지만 현재 많은 교회가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고 기존의 패러다임만 고수하여 퇴보하였다.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지 않고 기존의 체제만을 유지하여 쇠퇴의 길을 걷고 있는 것이다. 미래 사회에 시대적 상황에 맞는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이 시대를 이끌어 가는 교회들은 현 사회의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앞으로의 교회성장을 위해서는 시대에 맞는 패러다임 쉬프트(paradigm shift)가 이뤄져야 한다. 미래 교회 성장을 위한 과정 패러다임은 미래 변화에 열려 있고 하나님의 사람의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건강한 교회를 만드는 요소를 말한다. 경직된 기존의 패러다임을 벗어버리고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 성장을 이룩할 수 있는 과정 패러다임으로 전환하여 사람들을 키우고 교회를 온전히 세워 가는 건강한 교회성장을 이뤄야 하겠다. The present work examines existing paradigms and seeks to develop a new paradigm, a process paradigm, which is to be decisive to the growth of future church. It was found that the problem of existing paradigms is from rigidity, so that it is proposed, as its title implies, that, as one way of taking care that rigidity problem, the process paradigm is supposed to be the most suitable substitute for future church growth. The 1st Chapter introduces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thesis, dealing with purpose of the research,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and explanations of terminologies. The 2nd Chapter discusses paradigms of church growth in the past, examining theories concerning church growth in general. Not only that, the present researcher also examines the paradigms of traditional church growth, and unsuccessful and successful types of paradigm which affected the development of old church. The perception regarding the progress of church is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C. Peter Wagner and Donal A. McGavran. And then the analysis about the paradigm and factors that led to the development of church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fact that rigidity was a main obstacle of existing traditional church. The 3rd Chapter deals with the process paradigm as an alternative for church growth in the future.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and future society. And it in turn does analyze periodical changes as well. And it also proves the evidence that constitutes the growth according to the periodical changes. The first proof is shown on the basis of information, medial, and network service. The second proof was shown through argumentations regarding local service, welfare, and marketing service. One last thing is derived from a small group and cell revitalization service. The paradigm for the growth of future church is presented on the basis of the proofs that lead the growth of today's church. The investigation regarding paradigms was carried out via the cases of the churches that accepted each paradigm according to changing period. Today's churches, preserving its old paradigm, are unable to accommodate the changing generation and its people, thus suffering a relapse. Churches refuse to reflect rapidly-changing situations and hold on to its existing constitution, walking in the way of retrogression. The ransformation of paradigm will be critical in the future. Leading churches of the age embrace the changes of the current society. For the progress of today's church, the paradigm shift is a must. The process paradigm for the future is open to the forthcoming changes and values which contribute to healthier church that appreciates the God's respect for men's values. Churches should discard existing rigid paradigms and transform their old paradigm to the new process paradigm, achieving not only the quantitative development, but also qualitative development; they shall raise Christians and fulfill their goal of building a sound and healthy ones.

      • 中國 三自敎會의‘神學思想建設事役' : '三自兩會와의 公式交流를 通한 宣敎'에 대한 批判的 考察

        이기택 베뢰아대학원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15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기독교회는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동시에 중국교회의 질적 성장을 위하여 한국교회가 감당해야 할 선교적 역할 또한 부각되고 있다. 개혁개방 이후 한국교회는 중국에서의 선교활동 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방편으로 중국 기독교 삼자양회(三自兩會)와의 공식적 교류를 꾸준히 시도하고 있다. 그렇다면 삼자양회와의 교류를 통한 선교의 가능성은 어떠한가? 삼자양회와의 공식교류를 통해 한국교회가 중국 내 선교활동의 자유를 확보할 수 있는가? 삼자양회와의 공식교류를 통해 한국교회가 중국의 기독교회의 신앙과 신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가? 본 논문은 이러한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먼저 1998년 '제남회의(濟南會議)' 이후 중국기독교회가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신학사상건설사역(神學思想建設事役)"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다음으로는 그 사역의 정치적·신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중국 기독교회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면 오늘날 중국교회가 추진하고 있는 신학사상건설과 그것이 추구하는 신학사상이 기독교가 중국에 전파된 이래 중국의 독특한 역사·정치적 상황에서 생존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것은 해외교회가 몇 차례의 교류를 통해 변화시킬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19세기 말과 1920년대에 중국의 기독교회는 대대적인 반기독교운동을 경험했고, 이를 계기로 기독교 내부에서 삼자(三自) 정신이 싹트기 시작했다. 1949년 정권을 잡은 공산당은 기독교를 포함한 종교에 대하여 통일전선전략을 세우고 종교를 사회주의 건설에 적극 이용하고자 했다. 10년간의 문화대혁명 시기를 제외하고 현재까지 중국 공산당은 줄곧 기독교를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통일전선역량으로 인식하였다. 기독교는 제한된 자유를 얻을 수 있었지만 동시에 사회주의 사회에 맞게 스스로를 개조하는 작업을 계속해야 했다. 마침내 1998년 제남(濟南)에서 열린 전국기독교대회는 "신학사상건설(神學思想建設)의 강화(强化)"를 결의하였고, 이후 각종 세미나, 학술대회, 선전활동, 논문공모, 출판사역 등을 통해 신학사상건설사역을 현재까지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신학사상건설사역이 가지고 있는 정치적 특성을 살펴보면 한국교회가 공식교류를 통해 중국교회에 일정한 선교효과를 파급하기 위해서는 삼자양회뿐 아니라 당과 정부의 정책까지도 변화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신학사상건설사역은 당과 정부의 지도 하에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1993년 강택민의 '종교사업에 관한 세 마디'는 '기독교와 사회주의의 상호 적응'이라는 신학사상건설사역의 핵심 가치를 제시해 주었으며, 통일전선공작부와 국가종교사무국은 기독교의 신학사상건설사역을 적극 지지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신학사상건설사역이 내걸고 있는 정치적 주제는 첫째 기독교와 사회주의의 상호 적응, 둘째 삼자원칙의 강화, 셋째 중국기독교의 국제적 위상 제고 등인데, 이는 당과 정부가 기독교회에 제시하고 있는 사업목표와 일치한다. 신학사상건설사역의 신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삼자신학이 한국의 복음주의적 교회가 가지고 있는 신학적 성향과 얼마나 큰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제남회의 이전에 이미 그 기본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던 신론, 기독론, 성령론, 인간론, 종말론 등은 사회주의에 적응된 기독교신학이 어떤 것인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제남회의에서는 이러한 신학사상을 더욱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고, 기층 교회에 그러한 신학사상을 보급할 것을 결의하였다. 이후 각종 세미나, 선전, 논문공모 및 출판을 통해 가장 강조되고 있는 세 가지 주제는 인신칭의(因信秤義)의 담화(淡化), 윤리도덕(倫理道德)의 강화, 성경관(聖經觀)의 조정(調整)이다. 이와 같이 삼자양회가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신학사상건설사역의 배경과 그것이 가지고 있는 정치적·신학적 특성을 살펴볼 때 한국교회가 삼자교회와의 공식교류를 통해 전면적인 직접선교의 기회를 마련한다는 것은 그 가능성이 매우 희박한 일이다. 삼자양회와의 공식교류는, 물론 그 나름대로 의미와 가치가 있다. 그러나 중국교회의 톡특한 현실이 우리에게 제공하고 있는 현재의 호기(好機)를 적절히 활용하여, 1억이라는 기독교 인구를 바라보고 있는 중국교회에 전면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비공식적 선교통로를 활용한 직접선교가 강조되어야 한다. 그리고 중국교회가 처한 현재의 상황에 비추어 볼 때 다양한 비공식적 선교방법 가운데 문서선교와 능력선교가 특별히 강조되어야 한다. The tremendous growth demonstrated by Chinese Christian churches ever since the country's reformation and door-opening to the outside world, puts into relief the missionary role that Korean churches must play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ir qualitative growth. As a measure to enlarge the scope of missionary activities, Korean churches have persistently having official interchanges with the Christian Three-Self Church in China. In That Case, what are the missionary prospects through such interchanges? Can Korean churches secure for themselves the freedom of missionary activities within China? Can they secure a way to exert any influence on the faith and theology of Chinese Christian churches?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heological Construction" ministry which has been strongly promoted by Chinese Christian churches upon the conference held in Jinan in 1998. Next, the political and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aid ministry will be surveyed. In the review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Christian churches in China, one can realize that the "Theological Construction" sought by today's churches and the theological thought sought by the construction were issued in the natural process of survival in the particular historical and political situations of the country since the spreading of Christianity there. However, "Theological Construction" and theological thought are not the kind of things that foreign churches can change through several interchanges. Christian churches in China experienced large scale anti-Christian movement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in the 1920's and this was how the spirit of Three-Self started to sprout from within. In 1949, the communist party which seized power, conceived the strategy of front unification as regard to religion, Christianity included, and wanted to use fully religions in the edification of socialism. Except for the decade of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 Chinese communists have been regarding Christianity as a front unification measure aimed at the edification of a socialist society. Though Christianity could obtain some limited freedom, it had, at the same time, to continue reorganize itself in order to conform to the socialist society. Finally, at the National Christian Rally held in 1998 in Jinan, the Reinforcement of Theological Construction was convened and all kinds of seminars, academic conferences, promotional activities, public subscription of articles, publication have been promoting strongly the ministry in question. When one examines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Theological Construction" ministry, one would discover that in order for Korean churches to exert a certain missionary influence on Chinese churches through official interchanges, not only will they be obliged to change the Three Self Patriotic Movement(TSPM), but also the national political party and governmental policies since the construction ministry is being processed under their supervision. In 1993, Ze Min Jiang's "Three Words about Religious Enterprise" indicated the central value of the "Theological Construction" ministry which is called "Mutual Adjustment between Christianity and Socialism". The Religious Affairs Bureau and the Front Unification Agency are actively supporting and managing the ministry of the Christian "Theological Construction". The political topics advocated are first, mutual adjustment between Christianity and Socialism, second, reinforcement of Three-Self principles, third, promotion of the international phase of Christianity. These coincide with the goals asserted by the national party and the Chinese government. Concerning the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heological Construction" ministry, one can measure the great gap between Three-Self theology and the theological inclination of Korean evangelical churches. In other word, theology, Christology, pneumatology, eschatology which were already shaped basically before the TSPM/CCC conference held in Jinan, show keenly what kind of theology Christian theology adjusted to socialism looks like. In the Jinan conference, such theological thoughts were developed more systematically and it was convened that they would be spread to churches under supervision. Since then, the three topics which are emphasized through all kinds of seminars, propaganda, public subscription of articles and publications are "weakening of justification by faith, reinforcement of ethics and morals, and adjustment of biblical perspective. Likewise, in the light of the background of "Theological Construction" ministry actively supported by the Three Self Patriotic Movement (TSPM) and the China Christian Council (CCC), and of their political and theological characteristics, prospects for a complete and direct mission by means of official interchanges with the Three-Self Church are very remote for Korea churches. The above-mentioned interchanges have values and meaning of their own, as a matter of fact. However, considering the favorable opportunity provided by the current particular situation of Chinese churches, emphasis must be put on direct missions through unofficial missionary tracks in order to exert an overall influence on the one hundred million Christians waiting there. In addition, among the variety of unofficial missionary methods, special attention must be given to power mission and literature mission.

      • 예수의 발 씻김 연구(요13장)

        우영걸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15

        예수의 공생애 말기에 관해 기록한 수난 기사는 요한복음과 공관복음에서 다소 차이를 보인다. 요한복음은 수난 당일의 사건의 배열 순서는 물론이거니와, 제시한 사건의 내용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공관복음에서는 예수의 최후의 만찬이 수난을 예고하는 것으로 집중되어 있지만, 요한복음의 수난 기사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그 대신 예수의 발 씻김 기사가 기록되어 있다. 이 발 씻김 기사는 요한복음에만 나오는 독특한 것이다, 요한이 예수의 고난 시점에서 성찬 기사를 빼고 세족 기사를 추가한 것을 통해서 우리는 요한의 신학적 의도가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다시 말해서 수난 기사에서 성찬은 교회 예식과 관련하여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래서 주의 만찬, 곧 성찬에 대해서는 공관복음은 물론, 바울서신에도 기록되어 있다. 이 런 비중에도 불구하고 요한 저자는 그의 복음에서 그것을 의도적으로 소개하지 않은 것이다. 이 일에 대해서 혹자는 요한복음은 성찬에 대한 상징적인 언급으로 가득찬 성례전적 문서라고 주장한다. 그렇지만 불트만과 다수(多數)의 학자는 요한복음의 저자가 반(反) 성례주의자인 것으로 추정한다. 하지만 그런 것으로는 충분한 답변이 될 수 없다. 본 연구는 요한복음의 저자가 신학적 의도를 가지고 발 씻김 기사를 기록했음을 논증하고 있다, 곧 요한은 예수의 발 씻김 의식을 통해서 침례에 대한 상징성을 부여하고자 했다. 그뿐 아니라 예수는 원복음에서 예언된 뱀의 머리를 상하게 하는 그 시점에서 예수는 그 기쁨을 제자들과 나누고자 하신다. 곧 제자들의 발을 씻어 줌으로써 자신의 발이 상하지만 부활로써 회복하시는 것처럼, 제자들의 발 씻김을 통해서 그러한 영적인 승리를 알려주고자 하셨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발 씻김 기사는 예수께서 제자들을 어떻게 사랑하셨는지를 행동으로 보여준 사건이라 할 수 있다. 곧 사랑의 봉사를 통해서만 예수와 제자는 하나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제자가 된다는 의미를 겸손한 마음씨와 서로 섬기는 생활임을 잘 나타내었다. 이것이 예수를 통해서 모범적으로 드러났다 (벧전2: 21). 예수가 실행한 정결은 그가 몸소 보인 겸손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로 말미암아 이미 깨끗하게 된 자들은 실제로 서로 사랑하고 섬길 것 이며 , 또한 서로 사랑하고 섬기는 이 일을 통해서 그들이 깨끗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스도의 죽음은 사람들이 죄로부터 정결케 되는 수단임과 동시에 이제부터 그들이 따라가야 할 거듭난 삶의 모범이다. 또 예수의 행위는 제자 간의 관계에서 필수적인 본을 보이기 위한 겸손한 섬김이다. 예수의 죽음은 하나님의 나라에서 이 땅에 오셔서 인간을 깨끗케 한 행위이며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행해진 겸손한 종의 행위다. 예수께서 본을 보이신 대로 그를 믿는 자도 그러한 삶을 살아야 한다. 예수의 이 교훈은 마태복음 8장 31절에서 “인자가 많은 고난을 받고 장로들과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에게 버린바 되어 죽임을 당하고…”라고 예고하신 후에 “아무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좇을 것이니라”고 교훈하신 말씀과 일치한다. 예수의 모범적인 행위는 제자에 대한 봉사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수의 발 씻김 기사는 단순히 도덕적인 차원에서 기독교적 섬김을 가르치는 것만은 아니다. 예수의 씻김을 받지 않으면 예수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말(8절)은, 예수의 이 행동이 다만 제자들을 위한 주님의 겸손한 죽음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제자들로 하여금 예수와 하나가 되도록 하는 원동력이다. 즉 예수의 그 승리적인 겸손한 행동에 동참하도록 요구하는 것이다. 예수의 수난이 예수의 겸손의 행동이라면 제자들도 예수처럼 다른 사람을 위해 고난당하고 죽는 데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예수가 그의 죽음을 통해서 아버지께로 가듯이, 그의 제자들도 예수의 죽음에 동참함으로써 아버지께로 가서 영생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보면 제자들의 발을 씻긴 이야기는 요한복음에서 예수 수난의 서론이며, 예수의 수난은 곧 제자들이 당할 수난과 관련된다. The Gospel of John and the Synoptic Gospels show difference in crucifixion records, described in the late of Jesus' public life. The Book of John is different not only about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event on that day but also about the contents of the suggested event. In fact, the Synoptic Books focus on prophecy of suffering about the Last Supper. However, John's did not record it. Instead he recorded the article of Jesus' washing feet. This feet-washing records only appeared in the Gospel of John. Considering the fact that John omitted the communion record on the point of Jesus' suffering and added feet-washing records, we cannot help inquiring the theological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Holy Communion in the suffering records takes an important role in churches' ceremonies. The Lord's Supper, namely the Holy Communion, was recorded in the Synoptic Gospels, of course, and in Paul's epistles. Nevertheless, the writer, John, did not introduce it in his gospel on purpose. As for this, some claim that the Gospel of John is the sacramental document filled with symbolic expressions about the Holy Communion. Bultmann and other majority, however, guess that the writer was anti-sacramentarian. However, it cannot be a sufficient answer. This study proves that the writer of the Gospel of John added the feet-washing records with his theological intention. Namely, John tried to grant symbolism about baptism through Jesus' feet washing ceremony. In addition, Jesus intended to share the joy at the point of crushing the head of the serpent as it was prophesied in proto-evangelium. In short, as his feet got hurt but were recovered through his resurrection, he wanted to let his disciples know this spiritual victory through the feet-washing. Moreover, feet-washing records show how Jesus loves his disciples. Namely, it states that Jesus and disciples can be one only through the service of love. Being disciples mean having humble minds and serving lives. Jesus showed the example. (1Peter 2:21) Purity which Jesus fulfilled was made up by his actual modesty. Thanks to him, those who are already clean actually love and serve one another, and they can know they get clean through those loving and serving works. The death of Christ is the way people are purified away from sins, and at the same time it is the example of reborn life which they should follow. Plus, Jesus' behavior was humble serving in order to show an exampl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his disciples. The death of Jesus was the action as a humble servant who left God and did good deeds in love to make humans clean. Just as Jesus showed an example, believers should live such a life. This lesson of Jesus consists with his message of Mark 8:31 and Matthew 10:38 : 'the Son of Man is going to be betrayed into the hands of men. They will kill him', and 'anyone who does not take his cross and follow me is not worthy of me'. Jesus' action was represented by the service or disciples. Therefore, feet-washing records of Jesus is not a simple teaching about Christian service in the view of moral. Verse eight, 'unless I wash you, you have no part with me', which Jesus answered, means not only Jesus' humble death for disciples but also his demand encouraging his disciples to join the victorious and humble action. If crucifixion which Jesus faced is the act of modesty, it means that disciples sh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sufferings and death for others, and his disciples can get eternal life by taking part in the death of Jesus. With this understanding, feet-washing story for disciples in the Gospel of John is the introduction of Jesus' crucifixion , and Jesus' crucifixion is related to disciples' sufferings to come.

      • 하나님 의도로 본 죄인의 실상 : 요한복음 9:1-7을 중심으로

        최선국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15

        요한복음은 신학적이며 상징성이 풍부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요한복음이 신학적 논문이 아니고 예수의 사역에 관한 내러티브이지만, 요한이 다른 복음서 기자들보다는 신학적인 문제에 대해 관심 정도가 크다는 것은 사실이다. 이런 이유로 인해 요한복음은 초대교회의 폴리캅, 이레니우스, 알렉산드리아의 필로로부터 현재까지 많은 신학자에 의해 주요 연구 대상으로 회자되어 왔다. 요한복음은 ‘그리스도의 신성을 가장 명료하게 드러내는 책’이라는 루터의 견해와 같이 많은 상징성을 가지고 예수 그리스도를 묘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망과 생명, 어두움과 빛, 거짓과 진리 등의 이원론적 용어를 사용하여 영적 세계에 대해 풍부하게 표현하고 있다. 요한복음의 사상적 배경에 대해, 어떤 이는 헬라사상이나, 영지주의 사상이라 하고, 또 어떤 이는 요한공동체 사상, 유대주의 사상이라고 하는 등 학자들 마다 견해가 매우 다양하다. 이것은 그만큼 요한복음을 해석하는 것이 쉽지 않음을 말해 준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요한복음은 유대적 전승에 기초하여 기록되었다는 것을 부인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기독교 발생 자체가 유대교로부터 기인하였고, 초대 기독교인들은 유대인이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요한복음은 마태가 보여준 모세 오경의 패턴이나 형태처럼 출애굽 유형론, 신명기 유형론, 유월절 유형론 등 다양한 견해를 산출한다. 예수께서 행하신 여러 가지 이적과 표적은 모세가 행한 이적을 방불케 하기에 충분하므로 이러한 유형론을 뒷받침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요한복음의 구조와 형태가 어떠하든 요한복음의 기록 목적은 독자로 하여금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함이고 그 이름을 힘입어 생명을 얻게 하려 함이라”(요 20:31)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 그러므로 요한이 서언에서 인자로 오신 로고스가 참 빛이요 생명이라고 전제한 것은 유대적 전통을 배경으로 그리스도를 이해시키고자 한 의도라 할 수 있다. 그중 요한복음 7∼10장은 유대인의 삼대 명절 중의 하나인 초막절을 배경으로 하여 예수께서 표적과 강화(講話)를 행하시는 부분이다. 요한은 유대인들이 지키는 절기 의식은 그림자일 뿐 실제가 아니므로 유대종교의 의식은 결국 진리이신 예수로 대치되어야 한다는 것을 예수의 표적을 통해서 독자들에게 증거 하고자 했다. 요한복음 9:2∼3에서 제자들은 ‘날 때부터 소경된 자’에 대한 그들의 견해를 예수께 타진하지만 예수님은 아들을 통해 아버지의 하시는 일들을 나타내고자 하심이라 한다. 요한은 본문의 표적을 통해 첫 아담 이후 모든 인류가 어두움의 자식이 되었는데,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신 것은 마귀의 일을 멸하려 하심이라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하늘에서 범죄 한 천사를 흑암에 가두고, 이제는 그를 합법적으로 심판하기 위해 하나님 아들이 음부에 임하신 것이다. 그러므로 인류 구원보다 우선하는 것이 인자의 마귀 진멸이다. 로고스가 인자로 오시는 일은 만물이 있기 전, 오직 하나님만이 홀로 계시던 그 태초에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그의 지혜로 계획된 일이다. 성부는 아들을 사랑하여 아들을 그의 후사로 정했고, 아들은 이러한 아버지의 뜻에 순종하여 가장 낮은 곳(음부)에 가장 낮은 위치(육체)로 임했다. 그가 육체가 되심은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성부와 성자의 의(義)를 이루는 과정이다. 그는 하나님의 후사로서 보좌에 오르기 전에 이미 범죄한 마귀를 반드시 심판해야 한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심은 아버지의 뜻으로 후사가 되는 길이며, 그 길은 마귀를 멸하는 길이고 인류를 구원하는 길이다. 이러한 하나님의 삼중 의도가 요한복음 9:1∼7에 그대로 투영되어 있다. 로고스가 인자되심을 인간 구원에 국한한다면 이는 인본주의적 편견이 될 가능성이 높다. 요한복음을 요한의 목적에 따라 이해하려면 신본주의적 입장에서 이해해야 한다. 인본주의적 입장에서만 이해한다면 요한복음의 본래의 의미를 세세히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본문의 1∼2절은 인자의 가는 길이 하나님의 후사의 길임을 나타내고, 3∼5절은 아들이 이 땅에서 하시는 일이 마귀의 일을 진멸하는 것임을 나타내며, 6∼7절은 인류 구원을 나타낸다. 이 짧은 일곱 구절을 통해 요한은 하나님의 뜻과 예수의 길과 죄인의 실상을 분명히 밝히면서, 이 모든 일이 성부와 성자의 사랑의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일이며, 이 일을 하시는 이가 바로 하나님이 보내신 자 곧 예수 그리스도라는 것을 초막절을 배경으로 증거하고 있다. 요한은 유대인들이 초막절에 ‘물 붓기 의식’과 ‘등불 밝히기 의식’을 통해서 그들의 신앙생활을 영위하지만, 참 생명과 참 빛은 인자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임을 나타낸다. 예수를 믿지 않는 유대인들은 그들의 명절을 지키며 실로암에서 물을 길러 와서 성전에 붓고, 성전 뜰에 등불을 밝히지만, 여전히 어두움 속에 있다는 것을 예수는 알려주고 있다. 오직 자신이 참 생명이며, 참 빛이라는 것을 날 때부터 소경된 자의 치유를 통해 증거 한다. 날 때부터 소경된 자에 대하여 제자들은 소경된 원인을 The Gospel of John is highly considered a dual-symbolism. Though it was not a theological thesis but a narrative about a ministry of Jesus, it is true that John was more interested in theological issues than the other authors of Gospels. Therefore, the Gospel of John was well-known to many theologians from Polycarp, Irenaeus and Philo of Alexandria to contemporary scholars. As Luther considered the Gospel of John as a book which expresses divinity of Christ clearly the most, it describes Jesus Christ with many symbols and explains a spiritual world fully as using terms of dualism such as death and life, darkness and light, false and truth, etc. Theologians interpret in different ways about an ideological background of John which includes dual-symbolism. Some says its background is Hellenism or Gnosticism and the other says an idea of the Johannine community or Judaism, so it tells that interpretation of the Gospel of John is not an easy task. However, it is hard to deny that John was recorded based on Jewish traditions. Because, Christianity was originated Judaism and early Christians were Jews. In fact, as Matthew shows patterns or types of Pentateuch, the Gospel of John shows Christology which concerns Moses and derives various typologies of Exodus, Deuteronomy, etc. This is persuasive because miracles and signs of Jesus reminds of Moses’. No matter how a structure and a type of John is, its purpose was illustrated clearly as “you may believe that Jesus is the Christ, the Son of God, and that by believing you may have life in his name (John 20:31)”. John premised that Logos who came as a son of man is a true light and life, therefore he tried to let people understand Christ in the Jewish tradition. In John chapter 7 to 10, Jesus showed signs and gave lectures with a background of the Feast of Tabernacles which is one of main three feasts of Jews. John appealed to readers that feast is not a reality but a shadow and it should be replaced into Jesus who is truth by his signs. In John 9:2-3, Disciples tells their opinions about actual sin of human but Jesus said the sick is for indicating works of God through the Son. Through their discussion, John wants to connect humans’ sin with the Devil and he focuses on destroying the Devil. By the sign in the verses, John clarifies that all human beings became sons of darkness but the Son of God came to destroy Devils’ work. God confined a corrupted angel in Hades and the Son of God came to judge the angel fairly. Thus, his destroying the Devil is prior to salvation of human being. An event that Logos comes as the Son of God was planned in God’s love and wisdom at the beginning of the world when he solely existed. The Father designated the Son as an heir, because he loved his son. The Son came to the lowest place(the Hades) as the lowest position(a body) for submitting himself to the will of the Father. Being a body is a process to accomplish the righteousness of the Father and the Son in God’s love. Before going up to heavenly throne as the heir of God, he has to judge the Devil who already committed sin. Therefore, revelation of the Son of God is the way of being the heir under the will of God, destroying the Devil and saving humans. Those triple will of God are reflected in John 9:1-7. If we limit the fact that Logos became the Son of God only for salvation of human, it is likely to be biased toward humanism. Understanding the Gospel of John by author’s purpose, we should understand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ocentrism. Otherwise, it is difficult to catch essential meanings of John. In John chapter 9, verse 1 to 2 describes that a way of the Son of God is the one of God's heir. Verse 3 to 5 shows that a work of the Son is destroying the Devil and verse 6-7 explains salvation of human being. Through this short paragraph, John illustrates that what is a will of God, a way of Jesus and a reality of sinner. He explains those are operated in a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and the one accomplishes all works is Jesus Christ who was sent by God under a background of the Feast of Tabernacles. Although Jews run their faith life by rituals of ‘pouring out water’ and ‘lightening’ in the Feast of Tabernacles, John proves that true life is Jesus and true light is the Son of Man. Jesus let them know that many Jews are still in a darkness even though they keep Jewish feasts, get water from Siloam, pour it out to the tabernacle and light a court. He testifies that he is true life and true light with healing of the one who was born as the blind. Disciples try to find a cause of his disease from actual sin, however, Jesus focuses to work of God and John does to beginning of original sin of human. In consequence, human beings are sinners under the darkness in Adam and sinners can know that God the Father through Jesus, a true light, and become children of light when they receive the true light.

      • 요한복음 4:23의 엔 프뉴마티 카이알레데이아)에 대한 연구

        손정분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15

        요한복음 4:23은 ‘프뉴마와 알레데이아(ejn pneuvmati kai; ajlhqeiva)’로 하는 참 예배에 대해서 증언하고 있다. 프뉴마와 알레데이아가 사마리아와 유대의 예배를 순차적으로 가리킨다는 사실은 요한복음 4:1-42의 사마리아 담화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대조법을 통해서 설명된다. 이 대조법은 해당 구절 내에서 나타나는가 하면(요 4:9, 12, 20, 21, 22), 구절과 구절 사이에서도 나타난다(요 4:21, 23). 요한복음에서 프뉴마의 대표적인 이미지는 자유로움이다. 사마리아의 예배에는 바람이 임의로 부는 것같은 자유로움이 있었다. 예컨대 그들은 그리심 산이든 예루살렘 성전이든 특정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도 하나님을 예배할 수 있다고 믿었고 또 그렇게 했다. 그에 비하여 유대인들은 예배할 곳을 예루살렘 한 곳에만 한정시켰다(요 4:20). 사마리아의 예배는 유대의 그것과 질적으로 구별되지 않는다. 이것은 요한복음 4:23의 예배를 사마리아의 역사를 배경으로 하여 읽을 때 잘 드러난다. 즉 유대가 비유에 속한 율법적인 예배를 드려왔듯이 사마리아도 그러했다. 유대의 예배에 오경이 있고 유일신 야웨가 있고 메시아 대망이 있었다면 사마리아도 오경이 있고 유일신 야웨가 있고 타헤브 대망이 있었다. 차이가 있다면 유대가 오경에다 예언서와 역사서 및 시가서까지 경전에 포함시켰다면 사마리아는 오경만을 경전으로 인정했다는 점이다. 성전은 사마리아 종교에서 부차적인 것이었다. 이런 가운데 사마리아는 프뉴마의 특성을 보전할 수 있었고, 유대는 알레데이아의 특성을 강화시켜 나갔다. 이것이 예수의 때에 프뉴마와 알레데이아로 통일되는 참 예배로 성취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논문은 프뉴마와 알레데이아의 의미를 요한신학에 근거하여 밝히는 것이다. 즉 요한신학에서의 프뉴마는 보혜사 성령이며, 알레데이아는 예수 자신이거나 예수께서 계시하신 말씀이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예수께서 선언하신 참 예배란 보혜사 성령을 받고 진리이신 예수에 의해서 예배하는 것임을 논의했다. 예수께서 사마리아의 예배를 차별하지 않았다는 것에 대해서는 사마리아의 역사와 종교를 알려주는 고대 자료들에 근거하여 뒷받침했다. 이로써 요한복음 4장의 사마리아 역사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더불어 4:23의 ‘프뉴마와 알레데이아’로 하는 예배의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 뮌처, 中部 아나밥티스트의 창시자인가 : 불링거의 명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한상 베뢰아대학원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15

        토마스 뮌처는 뮐하우젠 등 여러 곳에서 중하층의 사람들을 이끌고 농민전쟁을 일으킨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한 뮌처가 중부 아나밥티스트 창시자라면 둘 사이에는 역사적 연결고리와 사상적 일맥상통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2단계의 접근 방법으로 본고를 진행한다: (1) 과연 중부 아나밥티스트와 뮌처는 실제적인 교류, 만남이 있었는가? (2) 실제 교류가 있었다 하더라도 과연 둘 사이에 교리, 신앙적인 유사함이나 영향력이 있었는가? (1)을 위해서 뮌처와 중부 아나밥티스트의 지도자의 실제적인 만남을 관찰한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뮌처의 특징, 색깔이 있어야 창시자라는 주장이 옳다. 이를 위해 (2)에서 교리, 사상이 담긴 '7장의 리트머스 시험지'를 준비한다: 성경, 성령, 침례, 겔라센하이트(Gelassenheit), 천년왕국(Chiliasmus), 그리스도의 몸(corpus Christi), 그리스도의 군사(militia Christi)가 그것이다. (1)의 전기적, 교회사적 연구 방법은 마르펙을 제외한 3명이 두 번 정도 만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후브마이어는 뮌처를 만나기 전에 이미 확고한 신학을 정립했다. 뎅크는 삼지창에 걸린 뮌처를 보고 타산지석으로 삼았다. 후트는 침례를 통해서 뮌처의 옷을 완전히 벗고 루비콘 강을 건너버렸다. (2)의 신학적, 교리사적 연구 방법은 중부 4인방과 뮌처와의 영향력이 창시성을 말할 만큼 두껍지 않음을 밝혀 주었다. 1517년 10월 31일 주인공이 "오직 성경으로!"를 외칠 때 1527년 5월 27일의 주인공은 "아니오, 오직 성령으로!"를 고함친다. 루터의 진리가 말씀이라면 뮌처의 진리는 성령이다. 뮌처에게는 기록된 말씀, 선포된 말씀보다 성령의 내적 체험이 더 중요했다. 후브마이어는 성경에, 마르펙은 신약에, 후트는 성경과 성령의 관계에 최고권위를 부여했다. 반면 뮌처의 최고권위, 절대조건은 성령이다. 뮌처와 가까운 인물은 뎅크이다. 그러나 그는 간접계시로의 성경을 내팽개치지 않는다. 오히려 뎅크는 간접계시인 성경과 직접계시적인 역동적 성령의 조화로운 역할을 주장한다. 뮌처는 유아세례에는 「항의」했으나 성인침례에는 분명하지 않은 태도를 보였다. 그의 일관성 없는 태도는 그의 의식(儀式) 없는 신앙태도 때문이다. 뮌처에게 겔라센하이트(Gelassenheit, 내적 바보)는 성령 체험을 위한 절대조건이다. 그러나 중부 아나밥티스트에게 그것은 제자도적 순종과 헌신(Nachfolge Christi)을 위한 것이었고, 예수를 본받기(Imitatio Christi) 위한 절대조건이다. 겔라센하이트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뮌처의 겔라센하이트는 천년왕국의 건설을 위한 것이다. 중부 아나밥티스트의 겔라센하이트는 마태복음 1장 1절의 세계를 위한 것이다. 천년왕국(Chiliasmus) 사상에 관해 뮌처는 절대타자, 초월적 존재가 없다. 그것은 바로 자신이었다. 천년왕국을 앞두고 그는 혁명적이다. 뮌처의 혁명성은 후트에게 발견된다. 그러나 후트의 천년왕국 사상은 무저항과 짝을 이룬다. 후트는 나중에 이 혁명성마저 공개적으로 포기한다. 교회와 국가의 분리를 뜻하는 '그리스도의 몸'(corpus Christi) 교리는 아나밥티스트의 최대 공헌이다. 반면 뮌처는 교회-국가-왕국의 일원화된 시스템인 '교회의 몸'(corpus Christianum) 교리를 따른다. 그러나 마르펙은 자유교회를, 후브마이어는 불신자에게도 신앙의 자유를 내세우며 뮌처와는 대척점에 서있다. '그리스도의 군사'(militia Christi) 교리에 관해 뮌처는 예수와는 정반대의 길로 행군한다. 이것은 뮌처의 그동안의 관심을 무색하게 만들었다. 뮌처의 핵심, 절대조건, 최고권위, 알파와 오메가인 성령은 모두 '그리스도의 군사'가 아니라 '그의 군사' 뒤에 숨어버렸다. 후브마이어의 "칼파"(Schwertler), 다수의 "지팡이파"(Sta¨bler), 후트의 "칼집의 칼"(Schwert der Scheide)과는 거리가 있다. 뮌처와의 친척성을 극도로 거부하는 메노타이트(Mennonite) 사가들은 뮌처를 '천덕꾸러기'라고 한다. 한편 친척성을 초월하여 창시성까지 운운하는 불링거는 뮌처를 아나밥티스트의 '창시자'라고 부른다. 그러나 본고의 2단계적 접근 방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즉 뮌처와의 연결고리는 '천덕꾸러기'처럼 옅은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창시자'처럼 짙은 것은 더욱 아니다. 그러므로 <뮌처, 중부 아나밥티스트의 창시자>라고 주장하는 불링거의 명제에는 다음과 같이 답할 수 있다: 뮌처, 중부 아나밥티스트의 창시자'는' 아니다. Thomas Mu¨ntzer is said to be a person who gathered the middle-lower classes people to and fro, here and there, including Mu¨hlhausen, and then led the peasant's rebellion. But if that Mu¨ntzer is the Father of the Central Anabaptists, there must be a historical link and doctrinal connection between them. Hence I run this thesis through two steps of research like this: (1) Sure enough, were there actual interchanges or meetings between the central Anabaptists and Mu¨ntzer? (2) Even so, indeed between them, was there a close resemblance of theology or doctrine? Or other influence of Mu¨ntzer? For (1) step, I observe the actual meetings of Mu¨ntzer and the leaders of the central Anabaptists. But only this is insufficient. And it's O. K. if there are Mu¨ntzeric characteristics and colors in them. For this at (2) step, I prepare '7 pieces of Litmus Paper', which of each has one doctrine, ideal, thought: Bible, The Holy Spirit, Baptism, Gelassenheit, Chiasmus, corpus Christi, militia Christi. (1) step, the research way of biography and church history showed us each one of 3 leaders, except Marpeck, had met him about twice. However Hubmaier already had established his own theology before met Mu¨ntzer. Denck had seen the head of Mu¨ntzer hanging on trident, and let this a good lesson to him. Hut also went across the river of Rubicon. (2) step, the research way of theology and doctrines explained us that the influence of the between the central Anabaptists 4 leaders and Mu¨ntzer is not as thick as one say that he is 'the Father'. As a protagonist of Oct 31, 1517 cries "Sola Scriptura!" a protagonist of May 27, 1527 shouts "Non, sola Spritus!". If the truth at Luter is the Word, at Mu¨ntzer the Holy Spirit. To him, the inner experience of the Spirit is more precious than the written Word and the proclaimed Word. But Hubmaier to the Bible, Marpeck to the New Testament, Hut gave the auctoritas to the relation and harmony with the Bible and the Spirit. On the hand, the auctoritas and sine qua non of Mu¨ntzer is the Spirit. The near person with Mu¨ntzer is Denck. However he did not throw the Bible as indirect illumination away. On the contrary Denck say the harmonic relations with the Bible as indirect illumination and the Spirit as direct and dynamic illumination. Mu¨ntzer did 「Protestation」 against infant baptism while he made his attitude unclear about believer's baptism(adult baptism). His unclear attitude of it cause of his unlike attitude of externalia. Gelassenheit(der Narr: wholly and utterly a fool) is the sine qua non to Mu¨ntzer for experiencing the Spirit. However, to the central Anabaptists, Gelassenhiet is for nachfolge Christi(following and devotion for the Christ) and is the sine qua non for imitatio Christi. Still Gelassenheit is not at a standstill. While it's for the Chiliasmus kingdom to Mu¨ntzer's Gelassenheit, it's for Matthew 1:1 kingdom to the central Anabaptists. About the doctrine of the Chiliasmus(the radical millennium kingdom), there is no Absolutely Other, Transcendental Being to Mu¨ntzer. Rather it's him, Mu¨ntzer. He is revolutionary before Chilamus. The attribution of Mu¨ntzeric revolution is founded with Hut. But Hut's Chilamus becomes the partner with his passive obedience, nonresistance. After even the passive obedience was abandoned. The doctrine of corpus Christi, which means the segregation the church from the State, the separation the religion from the government, is the tremendous contribution to us, contemporary Christian. But Mu¨ntzer still follow the doctrine of corpus Christianum, the unity system of the church-state-kingdom. But as Marpeck lays emphasis on 'the free church', and Hubmaier asserts 'the freedom of faith' as they stand on the other side of Mu¨ntzer. About militia Christi, Mu¨ntzer is on the march to the opposite direction with Jesus Christ. Mu¨ntzer has been ashamed to show his ardent, precious and, longtime concentration. Mu¨ntzer's hardcore, sine qua non, auctoritas and Α και Ω, namely that is the Holy Spirit, is concealed behind militia Mu¨ntzer, not militia Christi. There is a good distance with Balthasar Hubmaier's Schwertler(knifer), the Majority's Stabler(staffer), Hut's Schwert der Sheide(a knife in the scabbard). As the Mennonite historians call Mu¨ntzer 'a poor relation' or 'the Ugly Duckling', they deny their kith and kin character with him. On the one hand, Bullinger even deals with fatherhood, transcendently over kinship, affirms that "Thomas Mu¨ntzer, der Vater des Zentralwiederta¨ufer(Mu¨ntzer, the Father of the Central Anabaptists)." However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through two steps of research of this thesis. That is to say, the color of the link/connection with Mu¨ntzer is not more light than 'a poor relation' or 'the Ugly Duckling', nevertheless is not much more deep than 'the Father'. Therefore to the proposition of Bullinger, <Mu¨ntzer, the Father of the Central Anabaptists?>, we could say like this: Mu¨ntzer 'couldn't be' the Father of the Central Anabapt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