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락교회 김기동 목사의 삼위일체론 논쟁사

        우희찬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김기동은 1969년 성락교회를 창립하였고, 자신이 창시한 특유한 신앙인 베뢰아신앙을 통해 세계20대 교회에 선정될 정도로 성락교회가 부흥되었다. 베뢰아신앙에서 삼위일체론은 한국기독교계와의 논쟁을 통해 시대가 지나면서 발전하는 경향이 있다. 1987년을 시작으로 한 한국기독교계의 비판은 1992년에 정점에 달하였고,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은 1992년 이전과 1993년 이후에 어떠한 차이가 보인다. 1992년 이전의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은 거의 전적으로 김기동이 목회현장에서 진행한 강의와 저술에 의존하였다. 삼위일체와 관련한 용어 사용에 있어서 신학적 숙고가 많지 못했으나 그 제자들에 의해 신학적인 교정과 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1987년의 김기동의 변증과 1993년의 기독교남침례회 교단의 변증 내용을 보면, 1992년 이전의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이 본질적인 내용에서는 정통신앙과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으나 자신들이 당하는 비판의 핵심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 문제를 어떻게 돌파해야 하는지를 파악하는 신학적 성숙이 아직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1993년 이후의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은 김기동이 성락교회 교역자들을 동원하여 성락교회와 관계된 여러 조직들을 설립함으로써 개선되었다. 자신들이 오해의 소지가 있게 표현한 부분들을 인정하고 해당 부분을 수정하였으며 이러한 노력을 타 교단이 인정하기도 하였다. 무엇보다 신학적 개념을 많이 동원하여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을 설명하려는 시도가 두드러지게 나 타났다. 김기동의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은 서방교회 전통의 삼위일체론과 유사함에도 동방교회적인 삼위일체론의 개념들을 동원하여 설명하려는 경향도 관측되었다. 삼위일체론의 근거로 삼는 일부 성경 구절에 대한 해석을, 삼신론을 피할 목적으로 새롭게 시도한 흔적도 보인다. 1992년 이전의 삼위일체론과 1993년 이후의 삼위일체론은 핵심적인 개념들은 사실상 같으나, 그 핵심적 개념들을 바탕으로 하여 부가적인 설명을 덧붙이는 변화도 보인다. 본 논문은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의 형성 과정을 통해 베뢰아신앙의 삼위일체론을 이해하고 그 역사 속에서의 교훈을 찾고자 한다.

      • 베뢰아 선교전략 수립에 대한 연구

        서우종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71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는 예수의 이름이 있는 교회요, 예수의 이름을 전파하는 교회다. 또한 예수가 원하는 대로 일하는 교회다. 초대교회 성도들은 예수의 승천 후 약속대로 그가 보내주신 성령을 받아 예수의 이름을 전파하였다. 예수의 복음은 예루살렘교회와 안디옥 교회를 통해서, 그리고 로마의 도로를 좇아 유럽과 소아시아 전역으로 퍼져 나갔다. 하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는 평탄한 길을 걸은 것만은 아니다. 오히려 온갖 고난과 역경을 감내해야 했고, 그것이 기독교회의 침체로 이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교회의 주인이신 성령의 역사는 그칠 길이 없어 온갖 격동의 시기를 거쳐 오늘 우리에게까지 전파되었다. 거기에는 믿음으로 세상을 이기며 기독교 신앙을 굳건히 지킨 믿음의 선진들이 있었다. 현대 교회는 이러한 초대교회의 신앙의 순수성을 이어가야 한다. 연구자는 이것을 일명 신약교회라고 명명하고자 한다. 물로 현대 교회를 염두에 둔 신약교회라는 개념이 온전히 정립된 것은 아니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현대의 신약교회를 구약교회와 대조되는 개념으로 예수의 사역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보는가 하면, 베드로에게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라' 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명령에 따라 사도들의 선교에 의해서 신약교회가 시작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또한 성령의 임재 후 사도들이 변화하여 복음을 전파한 시기를 신약교회의 시작으로 말하는 무리도 있다. 그러나 연구자는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에 기초하고, 성령의 도우심과 역사하심으로 순수한 신앙을 지키며, 진리를 전파되는 교회를 신약교회라고 하고 싶다. 거기에는 신약교회의 정신이 있기 있다. 신약 교회의 정신은 신약성경에 잘 나타난다. 사복음서와 사도행전, 그리고 바울 서신에서 그들의 믿음과 당시 신앙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러한 신앙의 순수성은 중세시대에도 있었다. 다만 가톨릭의 막강한 세력 앞에서 그 빛을 드러내지 못했을 뿐이다. 그들의 기도와 순교가 밑거름이 되어 마침내 종교개혁으로 분출되었으며, 이어지는 개혁자들의 두려움 없는 강인한 신앙적 결단이 있었다. 중세 시대에 신약성서적인 신앙을 지킨 교회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세 교회사에서 콜롬바(Colomba)로 대표되는 켈틱 교회(Celtic church)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 교회는 중세 초기에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그리고 아일랜드를 포함하는 브리튼에서 신앙의 순수성을 지킨 신앙 공동체다. 그들은 로마 가톨릭의 교황권을 인정하지 않고, 교권에 의존하지 않았으며, 성경에 근거하는 비교적 순수한 신앙을 지키려 노력했다. 이 교회는 잉글랜드에서 복음을 전파하다가 결국 로마 가톨릭과 충돌한다. 여러 면에서 믿음의 순수성을 유지하려 했던 켈틱 교회는 영적인 세계뿐만 아니라, 정치적 영광까지 누리려 했던 로마 가톨릭과의 싸움에서 승리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들의 신앙생활은 신약교회의 정신과 맥이 닿아 있다. 또한 왈도파(Waldensians)라 불리는 신앙의 집단이 중세의 중간 시점에 나타났으며, 이들의 신앙정신 또한 연구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 그들은 초대교회의 신앙을 지키려는 노력은 물론이고, 초대교회의 공동체 생활에 가까운 집단생활을 하였다. 이들도 물론 로마 가톨릭으로부터 철저한 박해를 받고 순교하였다. 어떤 면에서 이들은 기타 중세의 몇몇 소수 집단과 함께 종교개혁의 근간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재침례파(Anabaptist)가 있다. 사실 교회사에서 이들만큼 잘못 소개된 단체는 드물 것이다. 그들은 루터에 의해 본격화된 종교 개혁이 제도적 형태의 종교로 잘못 진전됨을 느끼고 순수 신앙의 복귀운동으로 소위 개혁된 교회들로부터 박해를 받으며 믿음을 유지한 자들이다. 그들의 교회관은 개혁교회의 그것과 비교할 때 신약교회의 정신에 훨씬 더 가깝다. 세례가 아닌 침수에 의한 침례를 주장하고, 유아 세례를 반대함으로써 수많은 무리가 목숨을 잃는다. 이제 20세기 말에 들어와서 이러한 신약교회의 정신 아래 기존의 인간중심의 신학에서 탈피하여 하나님의 의도(意圖)를 밝히고자 하는 신본주의(神本主義)신학, 즉 성경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운동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서울성락교회를 중심으로 하여 펼쳐지고 있는 베뢰아 운동이다. 베뢰아운동은 사도행전 17장 11절의 신사적이고 간절한 마음으로 말씀을 받고 매일 성경을 상고한다는 베뢰아 사람들의 신앙자세를 본받고자 하는 성경중심의 신앙 운동이다. 이 베뢰아운동은 철저히 성경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으로, 신약교회의 정신을 현대교회에 불어넣으려는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명하시고 이 땅에 세워지기를 원하신 신약교회가 21세기 현재에 과연 어떤 형태의 교회일 것인가에 대하여 여러 논쟁이 있을 수가 있다. 그러나 하나님의 사정을 가장 잘 아는 분은 성령이시기에 성령만이 그분이 원하시는 교회의 상을 제시하고 우리를 이끄시는 것이 사실이다. 신약교회의 운동은 이런 면에서 성령과 분리하여 생각할 수가 없다. 교회사는 인간을 통한 하나님의 역사이고, 그 안에서 순수한 신앙으로의 회귀하는 운동이 지속되고 있다. 현대 기독교회사에서는 베뢰아 운동이 그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is the Church which possesses the name Jesus, preaches the name of Jesus and works as He wills. The saints of the Early church who received the promised Holy Spirit preached the name Jesus to the world. The Church started in Jerusalem and continued in Antioch. And the Gospel was sprea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Roman Empire. It was after severe periods of persecution, depression and hardship that faith could be transmitted till today. In this history of faith, a great multitude of saints did not surrender to their oppressive environment and succeeded in preserving the faith that overcomes the world. The definition of the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is not clearly established yet. In some respect, the concept as the opposite of the Old Testament Church, might be said to have started with the works of Jesus, but in another respect it started with Peter who obeyed the commandment of Jesus namely, "And on this rock you will build my church” and preached the Kingdom of God. In still another respect, the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began at the Pentecost with the coming of the Spirit on the Spirit on the apostle and their empowerment for the ministry of the Gospel.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us, however is the spirit of the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which consists in keeping pure faith through the help and work of the Holy Spirit on the basis of the Word of Jesus, and in spreading the Gospel. The spirit of the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is well shown in the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especially, the faith of the Early Church’s saints in the four Gospels and Acts. The common opinion among Christians is that faith started from the Early Church in purity, was damaged seriously in the Medieval age by Roman Catholics, strived to get back to get back to the right track in the Reformation and arrived to the present state. All along these times, there might have been, however saints who had pure faith and the spirit of the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and thus, went through many hardship in trying to preserve themselves from spiritual corruption and not deviate from the original path. The Celtic Church, represented by Columba, was one of the community with pure faith in Britain which includes England, Scotland and Ireland. They endeavored their best to keep the virginity of faith based on the Bible only by the denial of papal sovereignty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In the evangelization of England, they eventually came into conflict with the Roman Catholics whose goal was political glory and spiritual domination, but could not win victory over them. But the faith of Celtic Church is as much significant as one deems it necessary to re-examine in connection to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Attention should be given also to a group called Waldeneses or Waldensians, in the middle of the Medieval age. In addition to their efforts to preserve the Early church faith, they led acommunity life that reminds of the Early Church. Waldensians were also martyred thoroughly by the Roman Catholics. In some respect, their faith laid the groundwork for the Reformation in the near future. The Anabaptists is one of the mostly misunderstood groups in the world. As they realized that the Reformation triggered by Martin Luther, had lost its way to the earthly united religion, they tried to return to pure faith in a movement that was persecuted by the so-called reformed churches. Their view of the Church wascloser to the spirit of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than the Protestant Church. Numerous Anabaptists were martyred because they advocated baptism by immersion, and not by aspersion or sprinkling, and rejected infant baptism. In the 21st century, there is a theocentric theology, a faith movement which casts off any anthropocentric theologies and aims at returning to the Bible by shedding light on the Picture if God’s Will. It is the “Berea Movement” form Seoul Sungrak Church in Seoul, Korea. The Berea Movement is Bible-centered and advocates to follow the faith attitude of the Bereans as described in Acts 17:11; these were noble and received the word with all readiness of mind, and searched the scriptures daily, seeing whether those things were true. This movement is a strict back-to-the Bible movement and presents a milestone to the Modern Church in that it aims at breathing in the spirit of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There could be some controversies as to how the strategic problem of the contemporary mission that Jesus Christ commanded to build on earth should look in the 21st century. Since the one who knows God the best is the Holy Spirit, it is a matter of fact that the Spirit only can indicate the reality of the desired contemporary mission, and lead towards it.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contemporary mission is unthinkable without the Holy Spirit. The history of the Church is that of God working through humans because only the Holy Spirit can lead them into a movement which recovers pure faith, and make it come true.

      • 하나님 의도로 본 죄인의 실상 : 요한복음 9:1-7을 중심으로

        최선국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39

        요한복음은 신학적이며 상징성이 풍부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요한복음이 신학적 논문이 아니고 예수의 사역에 관한 내러티브이지만, 요한이 다른 복음서 기자들보다는 신학적인 문제에 대해 관심 정도가 크다는 것은 사실이다. 이런 이유로 인해 요한복음은 초대교회의 폴리캅, 이레니우스, 알렉산드리아의 필로로부터 현재까지 많은 신학자에 의해 주요 연구 대상으로 회자되어 왔다. 요한복음은 ‘그리스도의 신성을 가장 명료하게 드러내는 책’이라는 루터의 견해와 같이 많은 상징성을 가지고 예수 그리스도를 묘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망과 생명, 어두움과 빛, 거짓과 진리 등의 이원론적 용어를 사용하여 영적 세계에 대해 풍부하게 표현하고 있다. 요한복음의 사상적 배경에 대해, 어떤 이는 헬라사상이나, 영지주의 사상이라 하고, 또 어떤 이는 요한공동체 사상, 유대주의 사상이라고 하는 등 학자들 마다 견해가 매우 다양하다. 이것은 그만큼 요한복음을 해석하는 것이 쉽지 않음을 말해 준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요한복음은 유대적 전승에 기초하여 기록되었다는 것을 부인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기독교 발생 자체가 유대교로부터 기인하였고, 초대 기독교인들은 유대인이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요한복음은 마태가 보여준 모세 오경의 패턴이나 형태처럼 출애굽 유형론, 신명기 유형론, 유월절 유형론 등 다양한 견해를 산출한다. 예수께서 행하신 여러 가지 이적과 표적은 모세가 행한 이적을 방불케 하기에 충분하므로 이러한 유형론을 뒷받침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요한복음의 구조와 형태가 어떠하든 요한복음의 기록 목적은 독자로 하여금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함이고 그 이름을 힘입어 생명을 얻게 하려 함이라”(요 20:31)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 그러므로 요한이 서언에서 인자로 오신 로고스가 참 빛이요 생명이라고 전제한 것은 유대적 전통을 배경으로 그리스도를 이해시키고자 한 의도라 할 수 있다. 그중 요한복음 7∼10장은 유대인의 삼대 명절 중의 하나인 초막절을 배경으로 하여 예수께서 표적과 강화(講話)를 행하시는 부분이다. 요한은 유대인들이 지키는 절기 의식은 그림자일 뿐 실제가 아니므로 유대종교의 의식은 결국 진리이신 예수로 대치되어야 한다는 것을 예수의 표적을 통해서 독자들에게 증거 하고자 했다. 요한복음 9:2∼3에서 제자들은 ‘날 때부터 소경된 자’에 대한 그들의 견해를 예수께 타진하지만 예수님은 아들을 통해 아버지의 하시는 일들을 나타내고자 하심이라 한다. 요한은 본문의 표적을 통해 첫 아담 이후 모든 인류가 어두움의 자식이 되었는데,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신 것은 마귀의 일을 멸하려 하심이라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하늘에서 범죄 한 천사를 흑암에 가두고, 이제는 그를 합법적으로 심판하기 위해 하나님 아들이 음부에 임하신 것이다. 그러므로 인류 구원보다 우선하는 것이 인자의 마귀 진멸이다. 로고스가 인자로 오시는 일은 만물이 있기 전, 오직 하나님만이 홀로 계시던 그 태초에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그의 지혜로 계획된 일이다. 성부는 아들을 사랑하여 아들을 그의 후사로 정했고, 아들은 이러한 아버지의 뜻에 순종하여 가장 낮은 곳(음부)에 가장 낮은 위치(육체)로 임했다. 그가 육체가 되심은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성부와 성자의 의(義)를 이루는 과정이다. 그는 하나님의 후사로서 보좌에 오르기 전에 이미 범죄한 마귀를 반드시 심판해야 한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심은 아버지의 뜻으로 후사가 되는 길이며, 그 길은 마귀를 멸하는 길이고 인류를 구원하는 길이다. 이러한 하나님의 삼중 의도가 요한복음 9:1∼7에 그대로 투영되어 있다. 로고스가 인자되심을 인간 구원에 국한한다면 이는 인본주의적 편견이 될 가능성이 높다. 요한복음을 요한의 목적에 따라 이해하려면 신본주의적 입장에서 이해해야 한다. 인본주의적 입장에서만 이해한다면 요한복음의 본래의 의미를 세세히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본문의 1∼2절은 인자의 가는 길이 하나님의 후사의 길임을 나타내고, 3∼5절은 아들이 이 땅에서 하시는 일이 마귀의 일을 진멸하는 것임을 나타내며, 6∼7절은 인류 구원을 나타낸다. 이 짧은 일곱 구절을 통해 요한은 하나님의 뜻과 예수의 길과 죄인의 실상을 분명히 밝히면서, 이 모든 일이 성부와 성자의 사랑의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일이며, 이 일을 하시는 이가 바로 하나님이 보내신 자 곧 예수 그리스도라는 것을 초막절을 배경으로 증거하고 있다. 요한은 유대인들이 초막절에 ‘물 붓기 의식’과 ‘등불 밝히기 의식’을 통해서 그들의 신앙생활을 영위하지만, 참 생명과 참 빛은 인자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임을 나타낸다. 예수를 믿지 않는 유대인들은 그들의 명절을 지키며 실로암에서 물을 길러 와서 성전에 붓고, 성전 뜰에 등불을 밝히지만, 여전히 어두움 속에 있다는 것을 예수는 알려주고 있다. 오직 자신이 참 생명이며, 참 빛이라는 것을 날 때부터 소경된 자의 치유를 통해 증거 한다. 날 때부터 소경된 자에 대하여 제자들은 소경된 원인을 The Gospel of John is highly considered a dual-symbolism. Though it was not a theological thesis but a narrative about a ministry of Jesus, it is true that John was more interested in theological issues than the other authors of Gospels. Therefore, the Gospel of John was well-known to many theologians from Polycarp, Irenaeus and Philo of Alexandria to contemporary scholars. As Luther considered the Gospel of John as a book which expresses divinity of Christ clearly the most, it describes Jesus Christ with many symbols and explains a spiritual world fully as using terms of dualism such as death and life, darkness and light, false and truth, etc. Theologians interpret in different ways about an ideological background of John which includes dual-symbolism. Some says its background is Hellenism or Gnosticism and the other says an idea of the Johannine community or Judaism, so it tells that interpretation of the Gospel of John is not an easy task. However, it is hard to deny that John was recorded based on Jewish traditions. Because, Christianity was originated Judaism and early Christians were Jews. In fact, as Matthew shows patterns or types of Pentateuch, the Gospel of John shows Christology which concerns Moses and derives various typologies of Exodus, Deuteronomy, etc. This is persuasive because miracles and signs of Jesus reminds of Moses’. No matter how a structure and a type of John is, its purpose was illustrated clearly as “you may believe that Jesus is the Christ, the Son of God, and that by believing you may have life in his name (John 20:31)”. John premised that Logos who came as a son of man is a true light and life, therefore he tried to let people understand Christ in the Jewish tradition. In John chapter 7 to 10, Jesus showed signs and gave lectures with a background of the Feast of Tabernacles which is one of main three feasts of Jews. John appealed to readers that feast is not a reality but a shadow and it should be replaced into Jesus who is truth by his signs. In John 9:2-3, Disciples tells their opinions about actual sin of human but Jesus said the sick is for indicating works of God through the Son. Through their discussion, John wants to connect humans’ sin with the Devil and he focuses on destroying the Devil. By the sign in the verses, John clarifies that all human beings became sons of darkness but the Son of God came to destroy Devils’ work. God confined a corrupted angel in Hades and the Son of God came to judge the angel fairly. Thus, his destroying the Devil is prior to salvation of human being. An event that Logos comes as the Son of God was planned in God’s love and wisdom at the beginning of the world when he solely existed. The Father designated the Son as an heir, because he loved his son. The Son came to the lowest place(the Hades) as the lowest position(a body) for submitting himself to the will of the Father. Being a body is a process to accomplish the righteousness of the Father and the Son in God’s love. Before going up to heavenly throne as the heir of God, he has to judge the Devil who already committed sin. Therefore, revelation of the Son of God is the way of being the heir under the will of God, destroying the Devil and saving humans. Those triple will of God are reflected in John 9:1-7. If we limit the fact that Logos became the Son of God only for salvation of human, it is likely to be biased toward humanism. Understanding the Gospel of John by author’s purpose, we should understand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ocentrism. Otherwise, it is difficult to catch essential meanings of John. In John chapter 9, verse 1 to 2 describes that a way of the Son of God is the one of God's heir. Verse 3 to 5 shows that a work of the Son is destroying the Devil and verse 6-7 explains salvation of human being. Through this short paragraph, John illustrates that what is a will of God, a way of Jesus and a reality of sinner. He explains those are operated in a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and the one accomplishes all works is Jesus Christ who was sent by God under a background of the Feast of Tabernacles. Although Jews run their faith life by rituals of ‘pouring out water’ and ‘lightening’ in the Feast of Tabernacles, John proves that true life is Jesus and true light is the Son of Man. Jesus let them know that many Jews are still in a darkness even though they keep Jewish feasts, get water from Siloam, pour it out to the tabernacle and light a court. He testifies that he is true life and true light with healing of the one who was born as the blind. Disciples try to find a cause of his disease from actual sin, however, Jesus focuses to work of God and John does to beginning of original sin of human. In consequence, human beings are sinners under the darkness in Adam and sinners can know that God the Father through Jesus, a true light, and become children of light when they receive the true light.

      • 요한복음 4:23의 엔 프뉴마티 카이알레데이아)에 대한 연구

        손정분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50639

        요한복음 4:23은 ‘프뉴마와 알레데이아(ejn pneuvmati kai; ajlhqeiva)’로 하는 참 예배에 대해서 증언하고 있다. 프뉴마와 알레데이아가 사마리아와 유대의 예배를 순차적으로 가리킨다는 사실은 요한복음 4:1-42의 사마리아 담화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대조법을 통해서 설명된다. 이 대조법은 해당 구절 내에서 나타나는가 하면(요 4:9, 12, 20, 21, 22), 구절과 구절 사이에서도 나타난다(요 4:21, 23). 요한복음에서 프뉴마의 대표적인 이미지는 자유로움이다. 사마리아의 예배에는 바람이 임의로 부는 것같은 자유로움이 있었다. 예컨대 그들은 그리심 산이든 예루살렘 성전이든 특정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도 하나님을 예배할 수 있다고 믿었고 또 그렇게 했다. 그에 비하여 유대인들은 예배할 곳을 예루살렘 한 곳에만 한정시켰다(요 4:20). 사마리아의 예배는 유대의 그것과 질적으로 구별되지 않는다. 이것은 요한복음 4:23의 예배를 사마리아의 역사를 배경으로 하여 읽을 때 잘 드러난다. 즉 유대가 비유에 속한 율법적인 예배를 드려왔듯이 사마리아도 그러했다. 유대의 예배에 오경이 있고 유일신 야웨가 있고 메시아 대망이 있었다면 사마리아도 오경이 있고 유일신 야웨가 있고 타헤브 대망이 있었다. 차이가 있다면 유대가 오경에다 예언서와 역사서 및 시가서까지 경전에 포함시켰다면 사마리아는 오경만을 경전으로 인정했다는 점이다. 성전은 사마리아 종교에서 부차적인 것이었다. 이런 가운데 사마리아는 프뉴마의 특성을 보전할 수 있었고, 유대는 알레데이아의 특성을 강화시켜 나갔다. 이것이 예수의 때에 프뉴마와 알레데이아로 통일되는 참 예배로 성취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논문은 프뉴마와 알레데이아의 의미를 요한신학에 근거하여 밝히는 것이다. 즉 요한신학에서의 프뉴마는 보혜사 성령이며, 알레데이아는 예수 자신이거나 예수께서 계시하신 말씀이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예수께서 선언하신 참 예배란 보혜사 성령을 받고 진리이신 예수에 의해서 예배하는 것임을 논의했다. 예수께서 사마리아의 예배를 차별하지 않았다는 것에 대해서는 사마리아의 역사와 종교를 알려주는 고대 자료들에 근거하여 뒷받침했다. 이로써 요한복음 4장의 사마리아 역사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더불어 4:23의 ‘프뉴마와 알레데이아’로 하는 예배의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 대상관계이론과 유아의 신앙발달

        강정화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39

        신자의 신앙생활은 평생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어떤 이는 하나님을 향한 신앙이 온전한가 하면 어떤 이는 그렇지 못하다. 신앙생활을 하면서도 하나님에 대한 끊임없는 오해와 굴곡이 신앙을 어렵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하나님을 향한 왜곡이 어디서 발생하는 것일까? 이것은 한 개인이 하나님을 받아들인 그때부터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이미 영유아기의 대상관계에서 왜곡이 있었으며, 그에 따른 결과일 뿐이다. 장성한 믿음의 단계에 이르는 것, 이것은 어느 날 갑자기 이뤄지는 것일 수 없다. 오랜 시간 동안 인내하며 순종하면서 이뤄질 수 있는 결실인 것이다. 이것을 목표로 학문적 매진을 다하는 것이 기독교교육에서의 사명이기도 하다. 특히 하나님의 원하시는 믿는 자의 삶을 살기 위해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하나님에 대한 이해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대로 유아의 성장과정에서 형성된다는 사실이 이미 많은 학자에 의하여 증명되고 있다. 그러므로 유아의 성장과정과 신앙의 형성과정을 탐구하는 일은 기독교교육을 실천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일로 부각된다. 하나님을 아는 일과 관련하여 시도되는 최근의 연구들이 있다. 이 최근의 연구는 전통적 이해 형태와 견주어 볼 때, 그 학문적 배경에서 특이성을 보인다. 곧 사회과학적 이론을 수용하되, 그중에서도 심리학 이론을 수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심리학의 접목의 한 모델로 심층심리학의 대상관계이론이 있다. 이 이론은 하나님을 아는 일에 기초가 되는 하나님 표상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대상관계이론은 영유아기에 부모나 중요한 사람, 또는 사물과의 관계경험이 하나님 표상에 대한 기초를 제공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영유아기에 해당되는 아이들을 가진 부모나 주변의 중요한 사람 중의 하나인 주일학교교사나 어린이집, 유치원의 교사가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할 것은 아이들이 알고 있는 개별적인 하나님 표상에 대한 이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통해서 영유아가 자신들이 드리는 주일예배와 부모들의 신앙생활과 교사들의 가르침을 통해서 개인의 사적인 하나님 표상을 확장된 형태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하나님 표상형성에 있어서의 재형성 과정이 긍정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것은 건강하고 안정된 신앙발달에 있어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하고 안정된 신앙발달이 이루어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하나님 표상이 유아기에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주된 관심을 둔다. 아울러 대상관계 이론가의 이론에 근거하여 유아기의 신앙발달과정을 밝힘으로써 긍정적인 하나님 표상 형성을 돕는 기독교교육방법을 제시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긍정적인 하나님 표상이 획일화된 종교의식에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유아기에 중요한 사람들과 맺는 관계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고, 교회와 가정과 사회가 서로 연결된 교육을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 촉구할 것이다. 필자의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되었다. Faith growth has been completed through life. Someone has perfect faith, others doesn't. Continual misunderstanding and distortion for God makes faith growth difficult. Why does this take place? It doesn't begin from the time when one believes in Jesus. He has already had the distortion of object relations in babyhood and it is only the consequences of that. Mature faith has not been built in a day. This is the fruit of longtime perseverance and obedience. The mission of Christian Education is striving scientifically to aim at this growth. Many scholars prove that understanding of God which plays the main role in living a godly life, as we know, has been built in the infant's developmental process. The study of infantile growth process and faith building process is very important in the practice of Christian Education. Recently some studies has been taken in relation to understanding God. These studies have a particular background as against the traditional view of study. That is to say, they accept the social science theory, especially psychology theory. A model theory connecting with psychology is Object Relations Theory in Depth Psychology. This theory is acknowledged a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building the image of God which is the basis in understanding God. Especially this emphasizes that relations experience with parents, important persons, and objects in infant and early childhood provides the basis in forming image of God.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parents having infants, Sunday school teachers, and preschool teachers should consider, is how each child develops forming of image of God. With this understanding, infants develop their own understanding of the image of God in extensive fashions through Sunday worship meetings, parents' christian life, teachers' instruction. And rebuilding process in forming image of God can be positively taken. As the result, thi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growth of healthy and stable faith. Consequently, this study is chiefly concerned in that how the image of God,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healthy and stable faith growth of the individual, is formed in babyhood.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ims at presenting Christian Educational method, which helps positive building of image of God, by making clear the infant faith growth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this theorists. With this discussion, we should understand that the image of God isn't only built by institutional religious teaching, but also depends on the individual life journey, especially relationships with important persons in babyhood. So to help develop a positive image of God, churches, parents and society do an education which is connected organically. This study will be presented in the following order

      • 시무언 김기동의 설교 연구

        신환중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39

        김기동은 초기 한국 기독교의 부흥을 이루어 낸 길선주, 김익두, 이용도 등처럼 한국교회사나 한국설교사에서 결코 누락될 수 없는 인물이다. 더구나 김기동은 세계교회사에서도 종교개혁자들인 마르틴 루터나 존 칼빈, 요한 웨슬레 등과 비견될 수 있는 ‘하나님의 의도’ (신학)의 주창자이며 19세기의 위대한 설교자들인 찰스 스펄젼, 필립스 브룩스 혹은 20세기의 칼 바르트 등의 거장과 비교할 때도 전혀 손색이 없는 설교자라 할 수 있다. 김기동의 설교를 탐구할 때 본고는 먼저 현금의 기독교 설교에 관한 여러 논점을 다루면서 자연스럽게 김기동의 설교관도 비교, 개진하였다. 이때 가장 유명한 필립스 브룩스의 “인격을 통한 진리 전달”은 설교의 정의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설교는 설득용 목적으로 하나님의 진리를 구두로 전달하는 것”이라는 패티슨의 정의나 “진정한 설교는 성육신사건을 그 시대 안으로 확장시키는 것이요, 십자가와 부활사건을 과거의 오랜 사실로부터 현재의 살아있는 현실 속으로 변형시키는 것”이라는 밀러의 정의도 상당히 타당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김기동은 이에서 더 나아가 말씀이 육신이 되어 오신 하나님의 독생자의 피와 살을 나눠 주는 외침이, 참된 성찬으로서의 설교라 역설한다. 또한 설교의 위기를 많은 학자들은 비성경적인 설교의 범람과 남의 설교 도용, 새로운 문화의 출현과 권위 구조의 변화 등에서 찾지만 김기동은 설교자들이 설교를 잘 못한다는 데서 찾는다. 성령에 감동되지 못한, 능력이 없는 설교가 원인이라는 주장이다. 성경적인 설교가 무엇인가에 대해선 개혁주의 신학자들이나 설교자들은 “오직 성경을” 설교하며 “성경 전부”를 전체적으로 균형 있게 설교하는 것이라 주장하지만 김기동의 주장은 더욱 강력하다. 그는 성경적인 설교란 바로 성경적인 이적을 동반하는 ‘살아 있는’ 설교요, ‘이적의 실천으로서의 설교’라 강조하며 모든 설교자들이,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전하며 축사와 치유 등 수많은 이적을 행하셨던 예수나 그의 제자들을 닮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참다운 설교에 관한 김기동의 입장이 가장 성경적이라 동의하며, 한국 교계가 이런 성경적인 설교를 하는 김기동의 신학과 설교를 경청해 줄 것을 촉구하는 바이다. 김기동의 모든 설교와 신앙, 신학과 목회는 오직 그의 특유의 ‘하나님의 의도’에서 발원하지만 실제 설교에 있어 세 가지 원리가 작용하고 있는바 그것은 절대 실존주의, 절대 보편주의, 절대 체험주의라 할 수 있다. 절대 실존주의는 “세 영적 존재”로 다시 바꿔 말할 수 있는바 성경이 말하는 영적 존재들이 모두- 특히 현실적으로 간과되고 있는 실정인 천사와 귀신 등도-실재한다는 당연한 사실이다. 절대 보편주의는 말씀이 육체로 오신 예수 곧 복음은 모든 시대 모든 인류에 대한 하나님의 보편적 처방이요, 보편적 현실 타개의 열쇠라는 원리이며 이때 복음에 따르는 능력도 보편적이라는 주장이다. 절대 체험주의는 예수 그리스도는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동일하신 것처럼(히 13:8) 그의 말씀 혹은 권능(행1:8) 역시 성령으로 말미암아 오늘날도 그대로 체험할 수 있다는 김기동의 설교의 대전제이다. 실제 김기동의 설교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보면 김기동에 있어 설교의 제목은 압축된 ‘가장 짧은 설교’이며 식물의 씨앗처럼 그 안에 설교의 모든 것이 이미 담겨 있다. 설교의 제목은 반드시 하나님의 속성 혹은 성품과 관계되어야 하며 설교의 내용 역시 성경의 각 사건이 그렇듯이 하나님의 속성을 보여 주어야 한다. 따라서 김기동의 설교의 첫 마디는 “하나님은 생명의 아버지이시다” 등의 하나님의 속성을 소개하는 말로 시작된다. 곧 서론에서 하나님(성부)을 말하며 본론에서는 이 하나님의 속성이 아들의 공생애를 통해 실현된 것을 말하고 결론에서는 그리스도의 공생애를 통해 보여 진 하나님의 성품이 성령으로 말미암아 우리(교회)에게 실현되어야 할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김기동의 설교는 항상 결단을 촉구하는 다짐과 열렬한 기도로 끝난다. 김기동은 또한 일반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예화(일화)를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원고 없이 성경 어디서에서부터라도 설교할 수 있는, ‘원고로부터 자유한’ 특출한 설교자이다. 김기동의 설교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통전적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성경 전체를 균형 있게 설교한다는 뜻이 아니라 신구약 전체를 ‘손바닥을 들여다보듯이’ ‘알고’ 하는 설교를 말한다. 예컨대 김기동은 성경을 ‘하나님의 이름’의 책이라 말하며 성경 전체를 하나님의 이름의 관점에서 50여회 이상 설교하기도 했다. 이것은 성경 전체를 통전 적으로 알지 못하면 전혀 불가능한 일이라 할 수 있다. 김기동의 설교의 두 번째 특징은 영감 있는 설교라 할 수 있다. 성경의 기자와 동등한 영감이 있어야 성경 본문의 바른 해석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김기동의 성경(본문) 해석은 여타의 설교자들과 다른 깊은 영감을 보여 주고 있는 바, 그는 전적으로 성령의 감동과 인도에만 의지하는, 이 시대에 보기 드문 Ki Dong Kim is a prominent figure like Sun Joo Kil, Ik Doo Kim, Yong Doh Lee who caused the revival in Korean Christianity in its early days, and who thus cannot be omitted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or preaching. Moreover, Kim is the founder of "The Picture of God's Will" (theology) and stands beside Martin Luther, John Calvin and John Wesley, the religious reformers in the world church history; he is by no means inferior to the great preachers of the 19th century such as Charles Spurgeon, Phillips Brooks, or Karl Barth and other giants of the 20th century. In the study of Kim's sermons, first, several issues on sermons related to offerings were dealt with, to then progress naturally toward a comparison with Kim's view of preaching. Here, Phillips Brooks' famous definition of sermon as the "transmission of truth through a person" is very significant. So is Pettison's definition that "a sermon conveys orally God's truth with the goal of persuasion" or Miller's considerably plausible definition that "a true sermon is the enlargement of the Incarnation in the given era, the transformation of the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from old facts of the past into living reality of the present." However, Ki Dong Kim goes farther and asserts paradoxically that the outcry to distribute the blood and flesh of God's Only Begotten, the Word incarnate constitutes a sermon as true Holy Communion. According to numerous scholars, unbiblical sermons, the illegal use of others' sermons, the appearance of a new culture and changes in power structure etc. endanger sermons, whereas to Kim the very lack of the preachers's skill causes the crisis. He affirms that powerless sermons and ones which are not influenced by the Holy Spirit are the cause. As to the definition of biblical sermons, Reformed theologians and preachers state that it means to preach "only the Bible," and to preach the "entire Bible" with balance, but Kim's affirmation is much stronger. He defines a biblical sermon as a 'living' one that is accompanied by biblical signs; he insists that it is a “sermon as the practice of signs” and exhorts all preachers to preach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heaven and to take after Jesus or his disciples who expelled demons and performed healing and many other signs. The present study agrees that Kim's statement on true sermon is the very biblical one and urges Korean circles to give ears to his theology and sermons as he is actually preaching such biblical sermons. All of Kim's sermons, faith, theology and pastoral ministry originate from his particular "Picture of God's Will," but three principles actually apply to his sermons, which are "absolute existentialism," "absolute universalism" and "absolute empiricism." Absolute existentialism refers to the obvious affirmation that the "three spiritual beings" mentioned in the Bible, actually exist - the existence of angels and demons can be perceived in real situations. Absolute universalism is the assertion that Jesus, the Word incarnate, i.e., the gospel is God's universal treatment for the entire humankind in all eras and the principle or the universal key to change reality, and that the accompanying power is also universal. Absolute empiricism is the major premise of Ki Dong Kim's sermons that one can also experience equally today the word of Jesus Christ or powers (Acts 1:8) through the Holy Spirit, just as he is the same yesterday, today and forever (Hebrews 13:8). Upon the examination of the actual process of Kim's sermons, one discovers that the sermon title itself is the summarized "shortest sermon" and like a plant seed, contains already all the sermon's components. The sermon title must be related to God's attribute or trait which the sermon must reveal just as each event of the Bible does. Therefore, the beginning of his sermons such as, "God is the Father of life" introduces God's attribute. In other words, the introduction is about God (Father), the main part deals with the fulfillment of this God's attribute through the Son's public life, and the conclusion is the need for us (Church) to fulfill and reveal this attribute by the Holy Spirit. Thus, Kim's sermons always end by urging the audience to make a decision and pray fervently. Kim rarely has recourse to the generally wide-spread example-stories (anecdotes) and sermon manuscript; he is an outstanding "manuscript-free" preacher who can start to preach on any given verse of the Bible.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Kim's sermons is its holism, which does not signify that he preaches with balance on the entire Bible, but that he preaches "in full knowledge of what he is saying" as if he could see the Old and New Testament in the palm of his hands. For instance, Kim asserts that the Bible is the 'book of God's name" and preached more than fifty sermons from the entire Bible on this theme. This would be utterly impossible without a holistic knowledge of the total Bible.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his sermons is inspiration. Kim's biblical hermeneutics, which asserts the necessity of having the same inspiration as any authors of the Bible discloses a profound inspiration that differs drastically from other preachers', which demonstrates his total reliance on the Holy Spirit's guidance and influence, and which generates the kind of inspired sermons which are very rare in our times. Moreover, the word of authority and powers can be defined as another characteristic of his sermons. Here, authority refers to the royal authority (sovereignty) which one has received from God the Sole Sovereign, while powers refers to the saint-helping force or might, which can increase or decrease. Kim has confessed once that his preaching, pastoral ministry, missions etc. all his activities were performed through powers, the force of powers, namely angels whom God uses as His hand (fingers). In plain words, his sermons are the word of authority destroying the prince of this world, i.e., the a

      • 시편 1편의 지혜 문학적 연구

        손양수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theological message by considering first book of psalm that is categorized as a poem of wisdom among 150 books. I tried to prove that the psalm would contribute to improve today's ministry and spirituality and be applied to thos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makes a general survey of the meaning of the first book of psalm, referring to grammar and original meaning of Hebrew based on BHS. The first book of psalm is the poem of wisdom letting us to see the will of God who is working in modern times. Although it seems like an ancient poem, it needs to be considered as something to give us contemporary meaning for the present ministry. This study basically deals with the structure, style, theology and so on. This study shows not only the writer's feeling and spirituality but also theology of wisdom through the literatural structure and style, the historical background, the comments and its theological message. The first book has been interpreted with the typical method, Gunkel’s style criticism. The poem of wisdom including the first book can be summarized like following. The psalm is the book containing writers' feelings. the psalm shows the writers' spirituality and theology as well. The psalm moved the heart of God and heart of human being in the conversation between God and men. The worship had been developed to give thanks to God in Israel. The psalm is the most precious and best heritage of wisdom and it worked as the important part of the worship ceremony and Israel temple. When we sing the psalm, God gives us His word and we praise His glory in ourselves. It consists of parts such as wisdom, praise, thank and appeal. It also has the confesstion of faith according to those parts. 본 연구는 총 150편의 시편 중에서 지혜시의 장르로 구분되는 시편 1편을 중심으로 하여 지혜시를 고찰하고, 그 신학적 메시지를 밝히려고 했다. 이를 통해 시편이 오늘의 사역과 성도의 영성에 기여하고 적용되어야 함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연구는 히브리어는 BHS를 기본으로 하여 히브리어 문법과 원어의 의미를 참고하여 본 논문의 방향에 따라 시편 1편의 의미를 개관하였다. 시편 1편은 오늘날의 삶의 자리에서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지를 깨우쳐 주는 지혜시이다. 오늘의 생활의 공간에서 고대시의 장르인 것으로 생각되나 현재의 사역에 초점을 맞추어 해석되어야 하는 필요를 찾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논지는 지혜시의 기본개념인 구조, 양식, 삶의 자리와 신학 등을 기본으로 다루었다. 시편 1편에 대한 문학적 구조와 양식, 역사적 배경, 본문 주석과 그에 따른 신학적 메시지를 통하여 그 안에 담긴 시인의 감정과 영성뿐 아니라 그들의 지혜 신학까지 함께 살펴보았다. 시편 1편에 대한 해석은 전형적인 방법인 궁켈의 양식비평적 방법을 따랐다. 본 연구에서 시편 1편을 중심으로 한 지혜시의 연구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시편은 시인들의 감정을 담은 책이다. 시편은 또한 시인들의 영성과 신앙의 거울에 비친 시인들의 신학을 보여준다. 시편은 하나님과의 대화 안에서 하나님의 마음과 인간의 마음을 움직이는 기능을 한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지혜에 대한 감사를 드리기 위해 제의가 발전해 왔다. 시편은 기독교가 물려받은 가장 귀하고 위대한 지혜 유산으로서 이스라엘의 성전과 예배의식에 중요한 부분을 담당해 왔다. 우리가 시편을 노래할 때에는 우리에게 말씀을 주시며 우리 안에서 하나님 자신의 영광을 찬양하게 된다. 시편은 하나님을 향한 “지혜”, “찬양”, “감사”, “탄원” 등의 송영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른 신앙고백들이 표현되어 있다. 시편 기자는 하나님의 지혜에 대해서 자신에게 위로와 소망을 주신 것에 감사한다. 시편은 이스라엘의 역사 속에서 다듬어지고 불리어진 지혜 문학 사역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계승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시편은 오늘을 사는 생활의 공간에 지혜 주시는 분으로서 응답하시는 하나님의 역사가 무엇인지를 알게 한다. 시편을 오늘날 어떻게 이해되고 하나님의 지혜로서 생활을 영위하는 실제적인 영향이 무엇임을 알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지혜의 응답으로 힘차게 사역함에 있다. 성경의 시대에, 시편 활용을 고찰해 봄으로써 지혜 역사와 관련시켜 회상해야 한다는 점을 상기시켜 주고 있다. 역사 속에서 하나님의 섭리와 통치는 인간 존재의 창조자요 인도자이신 하나님의 역할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시편의 지혜시가 주는 교훈은 진정한 그리스도인의 영적 회복의 원동력이 되기 위함이다. 하나님이 지혜의 근본임을 깨닫고 지혜자로서 생활에서 날마다 은혜로서 응답받게 된다면, 이 시편의 지혜 시편 연구는 연구 목적을 이루게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시편의 지혜 시는 역사적으로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나님께서 주신 지혜가 오늘날까지 신앙생활의 중요한 요소로 전승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시편 1편은 지혜시의 한 부분으로 현재의 생활의 공간에서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지를 알게 한다. 시편은 생활과 깊은 연관이 있고, 생활의 경험에서 얻어진 고백내용을 시로 옮겨, 그것이 다시 공동체 예배에서 사용된 것이다. 오늘날 성도가 어떤 모습으로 지혜를 얻어야 한다는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으며, 연구 주제를 통하여 성경에 나타난 인간이 하나님의 전지전능하심과 영광의 능력을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를 알게 하고 하나님의 복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하나님의 창조물을 통해 하나님의 영광을 보고 있다. 시인은 창조물들을 관찰하면서 그 것을 있게 한 절대자에 대해 상고하고 있는 것이다. 이 창조물들은 자신을 창조한 분을 드러내고 있으며, 그분의 속성과 뜻이 그 안에 들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피조물들을 통해 그분의 지혜를 우리가 배워 가르침을 따라야 할 것이다. 학자가 여러 가지 지혜 시편의 특징을 발견하여 그 도구를 가지고 지혜 시편을 연구하였다. 그것이 지혜용어, 지혜양식, 그 안에 담긴 가르침의 내용 등인데, 특히 지혜 양식, 지혜 주제는 지혜 시편 연구의 발전에 많은 공헌을 했다. 그런 의미에서 시편 1편은 위에서도 볼 수 있었듯이, 이 시는 여러 개의 지혜 요소를 포함하고 있을 뿐 아니라, 문장 가운데서, 또는 시 전체를 통하여 그 지혜적인 역할을 잘 감당하고 있다.

      • 예수에 대한 백부장의 고백 연구 : "의인이었도다(dikaios)"(눅 23:47)를 중심으로

        야마사키스스무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39

        예수가 죽은 순간을 지켜본 로마인 백부장은 예수를 ‘의인’이라고 고백했다(눅 23:47). 그러나 마태복음과 마가복음에서는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고백했다(마 27:54, 막 15:39). 동일한 사건에 대해, 의인이었다고 고백하고, 또한 하나님의 아들이었다고 고백했다. 이러한 상이한 언급은, 예수 당시에 ‘하나님의 아들 = 의인 = 메시야’라는 개념이 이방인들에게도 상식적으로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 이 개념의 시작은 예언자 나단을 통해 다윗에게 주어진 메시야 예언에 있다(대상 17:4-14). 다윗은 이 예언을 믿어 다윗이 시편에 하나님의 아들과 다윗 자손과 메시야에 대해 썼으며, 다윗의 후계자인 솔로몬도 이 예언을 기억해 잠언에 그 개념을 기록했다. 이렇게 하여, 이스라엘 민족이 위 개념을 공유하게 되며, 메시야 = 의인 개념이 이방인들에게도 전해졌다고 본 논문에서 논의한다. 위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본 논문 II장에서는 ‘의인’을 뜻하는 단어에 대해 언어적 이해를 시도한다. 고대근동어에서는 히브리어를 중심으로, 그리고 헬라어로 ‘의인’을 뜻하는 단어에 대해 살펴본다. III장에서는 누가복음 23:47의 dikaios에 대한 여러 해석을 다루면서 그 의미를 살펴본다. 첫째는 ‘L문서의 용어’라는 해석이 있다. 이는 누가가 누가의 독특한 신학이 없이, 누가적 문서에 ‘dikaios’가 들어가 있어 단순히 옮겨썼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견해는 누가복음 23:47과 병행 구절인 마태복음 27:54과 마가복음 15:39을 비교해 보면, 합당치 못한 주장임을 알 수가 있다. 즉 누가복음은 다른 복음서에는 없는 독특한 시각으로 기록되었다. 이런 입장에서 누가가 선택적으로, 아니면 의도적으로 ‘dikaios’를 사용했다고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dikaios를 ‘결백’으로 해석하는 견해와 ‘의인’으로 해석하는 견해가 있다. 성경에서는 보통 dikaios가 ‘의’로 번역되었으며, 누가 저작물에서 예수를 ‘의인’으로 묘사하고 있기 때문에 dikaios를 ‘결백’보다는 ‘의인’으로 해석하는 것이 설득력이 있다고 결론을 내린다. IV장에서는 II∼III장에서의 논의를 토대로, 위 가설이 타당한지에 대해 고찰을 한다. 즉 의인-dikaios와 ‘하나님의 아들’을 동일시하는 사상이 언제부터 시작한지를 살펴본다. 나단 예언자를 통해 다윗에게 주신 하나님의 메시야 예언에서 하나님의 아들과 다윗의 자손, 성전 건축자라는 사상이 시작하며, 이것이 다윗과(시편 2편), 솔로몬에게 계승되며(잠언 8, 10장), 유대인에게 계승된다(지혜서 2, 3, 10장). 그리고 이방인에게 계승되며 누가복음 23:47의 로마인 백부장이 예수님 죽음 장면에서 예수에게 ‘하나님의 아들’ 고백과 동시에 ‘의인’이라고 고백했다고 결론을 내린다. イエスに対する百人隊長の告白研究 -「義人(dikaios)」(ルカ23:47)を中心に- 神学科: 山崎 進 指導教授: 金正泰 イエスが死んだ瞬間を見守ったローマ人の百人隊長は、イエスを「義人」だと告白した(ルカ 23: 47)。しかしマタイとマルコでは「神の子」と告白した(マタイ27: 54、マルコ15: 39)。同じ事件に対して、片方では「義人」だと言い、もう片方では「神の子」だと言った。このような異なる言及は、イエス当時に「神の子 = 義人 = メシヤ」という概念が異邦人にも常識的にあっただろうという推測を可能にする。この概念の始めは、預言者ナタンを通して、ダビデに与えられたメシヤ預言にある(Ⅱ歴代17:4-14)。ダビデはこの預言を信じて、ダビデが詩篇に神の子とダビデの子孫、メシヤに対して書き、ダビデの後継者であるソロモンも、この預言を憶えて箴言にその概念を記録した。このようにして、イスラエル民族が上の概念を共有するようになり、「メシヤ = 義人」の概念が異邦人たちにも伝わったと考える。 上の仮説を証明するために、本論文のII章では、「義人」を意味する単語に対して言語的理解を試みる。古代近東語ではヘブライ語を中心に、そしてギリシャ語で「義人」を意味する単語に対して調べる。 III章ではルカ23: 47の dikaiosに対する多くの解釈を扱いながら、その意味を調べる。第一は「L文書の用語」という解釈がある。これはルカがルカの独特の神学がなく、ルカ的文書に「dikaios」が入っていて、単純に書き写したというものだ。しかし、この見解はルカ23: 47と併行聖句であるマタイ27: 54とマルコ15: 39を比べて見れば、適当ではない主張であることが分かる。すなわちすなわち、ルカの福音書は他の福音書にはない独特の視覚によって記録された。このような立場でルカが選択的に、もしくは意図的に‘dikaios’を使ったと解釈するのが自然だ。dikaiosを「潔白」として解釈する見解と、「義人」として解釈する見解がある。聖書では普通 dikaiosが「義」として翻訳され、ルカ著作物でイエスを「義人」として描写しているので、dikaiosを「潔白」よりは「義人」と解釈するのが説得力があると結論を下す。 IV章では II~III章での論議を土台にして、上の仮説が妥当なのかに対して考察をする。すなわち義人-dikaiosと 「神の子」を同一視する思想がいつから始まったのかを調べる。ナタン預言者を通してダビデに下さった神のメシヤ預言から、神の子とダビデの子孫、メシヤという思想が始まり、これがダビデに(詩篇 2篇)、ソロモンに継承され(箴言 8、10章)、ユダヤ人に継承される(ソロモンの知恵 2、3、10章)。そして異邦人に継承されて、ルカ23: 47のローマ人の百人隊長がイエスの死の場面で、イエスに「神の子」告白と同時に「義人」と告白したと結論を下す。 Abstract A Study on the Confession of the Centurion about Jesus -"a Righteous Man"(dikaios) on Luke 23:47- Yamasaki, Susumu Dept. of Theology Berea International Theological Seminary The Roman’s centurion who had watched the moment when Jesus died confessed that Jesus was "the righteous one"(Luke 23:47). However, he confessed "Son of God" in terms of Jesus in Matthew and Mark(Matthew 27:54, Mark 15:39). He confessed "the righteous one" and "Son of God" when it comes to the same event. When we pay attention to such different mentions, we can guess that gentiles also may have had the concept that the Son of God equals to the righteous one, and also Messiah at Jesus' time. I think that this concept started from the Messiah prophecy which the prophet, Nathan gave to David(2 Chronicles 17:4-14). David believed this prophecy and wrote about the Son of God and offspring of David and Messiah in the Psalm. Solomon who was the successor of David also memorized this prophecy and recorded this concept in Proverbs. As a result, Israel became to share this concept. I think that this concept of "Messiah equals to the righteous one" was spread to gentiles. To prove the above hypothesis, in chapter II of this thesis, we tr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word, "the righteous one". We will search for the meaning of the word, "the righteous one" in Ancient Near East languages, especially in Hebrews, and Greek. We search for the meaning of a lot of interpretations as to dikaios of Luke 23:47 in chapter III. At first, there is an interpretation of "term of the L Document". This interpretation advocates that there is no peculiar theology of Luke in Gospel. According to Luke, "dikaios" was included in Lukan document, and Luke simply copied it. However, we can understand that this opinion is not suitable when we compare between Luke 23:47 and the parallel verses-Matthew 27:54 and Mark 15:39. That is, Gospel Luke was recorded by a peculiar sight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gospels. In this point of view, it is a natural interpretation that Luke used 'dikaios' selectively or intentionally. There is a theory that dikaios is interpreted as "innocence" or "the righteous one". We conclude that it is persuasive to interpret dikaios as "the righteous one" rather than "innocence", because usually dikaios is translated as "the righteous one" in the Bible and Jesus is described as "the righteous one" in the Luke’s book, that is, Luke-Act. In chapter IV, we consider whether the above hypothesis is appropriate based on the discussion in chapter II-III. That is, we search when the consciousness to identify the righteous one-dikaios as "Son of God" started. The consciousness such as "the righteous one and the Son of God" or "the righteous ones and Messiah" started from the Messiah prophecy of the God that the Nathan prophet gave to David. This was succeeded to David(Chapter 2 of Psalm), and to Solomon(Chapter 8 and 10 of Proverbs), and to the Jew (Chapter 2, 3, and 10 of the Wisdom of Solomon). And this is succeeded to the gentile and at last to Roman's centurion. Roman's centurion in Luke 23:47 confessed to Jesus as "the righteous one" at the same time "Son of God" in the scene of Jesus' death.

      • 예수의 침례와 죽음 비교 : 막 1:9-11과 막 15:33-41을 중심으로

        문선우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39

        국문초록 예수의 침례와 죽음 비교 -막 1:9-11과 막 15:33-41을 중심으로- 신 학 과 문 선 우 지도교수 김 정 태 지난 몇 년간 울랜시(David Ulansy), 그로니스(H.L. Chronis), 잭슨(H.M. Jackson) 등과 같은 학자들 사이에서는, 예수의 침례에서 하늘이 갈라짐(막 1:10)과 예수의 죽음 시 성전 휘장이 찢어짐(막 15:38)에 마가복음 기자의 생각(mind)이 관여된 것이라는 논쟁이 있어 왔다. 그들은 예수의 침례와 죽음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스키조(scizw)’를 중심으로 그 단어의 기원과 의미, 그리고 ‘성전과 성전 밖을 구분하는 바깥 휘장과 성소와 지성소를 구분하는 내 휘장 중 어느 휘장이 찢어졌는가?’와 ‘그 휘장의 찢어짐이 갖는 성경적 의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나아가 마가복음이, 예수의 침례와 죽음 본문에 장치된 ‘스키조(scizw)’를 중심으로 수미상관구조로 되어 있음을 증명하고자 했다. 본 논문의 서론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침례와 죽음’ 비교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기 위해, 서론에서 마가복음의 전체적인 구조와 내용을 살펴, ‘예수의 침례와 죽음’이 마가복음에서 갖는 중요성을 ‘하나님의 아들’을 중심으로 이해시키고자 했다. 본론에서는 논문이 다루고자 하는 침례와 죽음의 두 본문(막 1:9-11, 막 15:37-41)에 대하여 문맥과 구조, 주석적 고찰, 신학적 의미를 기술하여 각 본문을 분석하였다. 결론에서는 본론에서 분석한 예수의 침례와 죽음을 비교 정리하며, 후에 이를 디딤돌로 있어야 할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며 끝마친다. 본 논문은 마가복음 기자가 마가복음을 기록함에 있어, 분명한 목적이 있음과 히브리인의 문학적 기법인 수미상관구조를 사용하여 그 목적을 이루려 했다는 것을 증명코자 했다. 그에 따른 구체적 진술로서, 마가복음 내에서 ‘스키조(scizw)’라는 단어의 사용, 곧 예수의 침례와 죽음의 사건에만 각각 사용된 것과, 동일한 사건에 대한 마태․ 누가복음에서의 다른 표현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예수의 침례와 죽음’은,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이심과 그가 그리스도로서 인류의 죄를 ‘스키조(scizw)’, 곧 찢어 파멸하여 다시 돌이킬 수 없는 상태로 만드셨다는 것을 기술하였다. 환언하면 마귀에게 속아 죄의 종으로 하나님께 나아갈 수 없던 인류가, 마귀를 심판하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나아갈 길을 얻었다는 것이다. 이제 하나님의 은혜를 받기 위해 남은 것은, 믿음과 불신, 곧 이 복음을 듣고 반응하는 인류의 선택이다. 하나님의 은혜는 그 분이 그리하심 같이 무한하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의 믿음이라는 그릇을 초월하여 자신의 것을 주시지는 않는다. 곧 전능하신 하나님이시라도 준비되지 않은 그릇에 자신의 소중한 것을 붇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아들로 말미암은 복음을 아는 신앙인은 최고의 것을 추구하는 믿음으로 나아가야 한다. Abstract Comparison between Jesus' Baptism and Death - Centering on Mark 1:9-11 and Mark 15:33-41- Dept. of Theology: Sun Woo Mun Thesis Advisor: Jung Tae Kim For the past few years, the controversy among scholars like David Ulansy, H.L. Chronis and H.M. Jackson etc., has been that the opening of heaven at Jesus' baptism (Mk 1:10) and the tearing of the temple curtain at Jesus' death (Mk 15:38) derived from the mind of the author of the Gospel of Mark. They had researched the origin and meaning of the word "skizo" (scizw) used both in Jesus' baptism and death, and strove to know which curtain it was, the outer one which separates the temple and the outside, or the inner one dividing the Holy Place and the Most Holy Place; they also studied the biblical significance of its tearing. Furthermore, their attempt was to demonstrate that inclusio was the structure of the Gospel of Mark on the ground that the word "skizo" (scizw) was utilized in the narrative text of both Jesus' baptism and death. In the introduction of this comparative study on Jesus' baptism and death, in order to state the need of the study, I examined first the entir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Gospel of Mark. The process was intented to make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Jesus' baptism and death in the said book, with a focus on the "Son of God." In the main study, I searched the context, structure, commentaries, and 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two narrative texts n baptism and death (Mk 1:9-11, Mk 15:37-41), and analyzed them. As a conclusion, I put into order the points of comparison collected upon the above analysis and made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on a similar subject. The present thesis tried to demonstrate that the author of Mark had a clear writing purpose, which he intented to attain through the Hebrew literary device called inclusio; hence, his use of the word "skizo" only in the narrative of Jesus' baptism and death. The study thus presented the different terms used by Matthew and Luke to describe the same events in their gospels This is how it showed that "Jesus' baptism and death" meant for the Son of God and the Christ to "skizo" i.e., tear and destroy definitely the sins of humankind. Stated differently, humankind who had been deceived by the devil and had lived in bondage obtained the way to go before God through Jesus Christ, the Son of God, the devil's judge. What remains to be done for humankind now in order to receive God's grace is to have faith, that is to listen to the gospel and respond. God's grace is without measure as God is infinite. However, He does not transcend the vessel, which is our faith, in order to give us His possessions. Not even the omnipotent God pours His treasure upon a vessel, which is not ready to receive. For this reason, men of faith who know the gospel through the Son of God must go before Him with the faith that seeks the grea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