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교회 영유아 전문사역자를 위한 현직교육방안

        이재영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한국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자질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영유아 사역자의 직전교육 및 현직교육의 만족도의 차이와 그 관계성을 검증하여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현직교육방안을 제시한 양적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사역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영유아 사역자들이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 사역의 효율성을 높여 하나님 나라의 사역을 잘 감당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그에 따른 연구 문제는 첫째,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자질은 어떠한가? 둘째,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직전교육은 어떠한가? 셋째,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현직교육은 어떠한가? 넷째,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자질과 직전교육과 현직교육의 관계성은 어떠한가? 다섯째, 영유아사역자의 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여섯째, 영유아 사역자의 전문사역을 위한 현직교육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등이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 서울, 경기, 광역시, 중소도시, 농어촌 교회 영유아부서가 조직되어 있는 한국교회 교회학교 영유아 사역자 211명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는 2019년 6월3일부터 6월10일까지 160명이 응답하였고 2차는 7월7일부터 7월12일까지 51명의 응답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211명 중 불충분한 응답자 4명을 제외한 최종 207명의 설문을 본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Scheffe의 사후 검정, 상관분석, 매개효과를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가 직접 설계한 영유아 전문사역자 자질 도구는 영유아사역자의 자질을 평가하는 타당하고 신뢰 있는 도구임이 확인되었으며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자질 분석 결과는 나이, 성별, 사역부서, 대학학제, 대학원전공, 직분, 경력, 교인 수에 따라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전문사역자의 전공에 따른 대학직전 교육만족도는 13개 항목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대학원 직전교육 만족도 역시 9개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사역자의 현직교육 만족도는 13개 일반특성 중 대학원 전공 하나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유아교육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영유아 전문사역자 자질에서도 대학원전공에서 유아교육과가 높게 나온 부분이 일치된다. 넷째,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자질과 직전교육과 현직교육의 관계성 분석결과에서는 대학, 대학원 직전교육 만족도는 현직교육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유아 사역자 자질 역시 대학, 대학원 직전교육만족도, 현직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매개분석에서도 영유아사역자 자질과 현직교육 만족도의 관계에서 대학원 직전교육 만족도의 매개효과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영유아 전문사역자를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몇 가지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영유아 전문사역자가 받은 전문교육 횟수는 높지 않았고 교육 형식도 강의식 방법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영유아 사역자들이 원하는 교육 방법은 소그룹 워크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현직교육 불만족의 이유는 비싼 교육비가 가장 높았다. 영유아 전문교육기관의 필요성과 전문교육 참여의사에서는 높은 참여의사를 보였다. 이상에서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유아사역자의 자질과 함께 직전교육만족도와 현직교육만족도를 높여 줄 수 있는 실제적인 교육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직전교육의 차별화 방안으로 신학전공자, 기독교교육전공자, 유아교육전공자, 기타 전공자를 위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고 영유아 전문사역자를 위한 현직교육 차별화 방안으로 영유아 전문사역자의 자질을 향상시켜줄 4가지의 방향이 제시되었다. 첫째, 교육기관의 전문화이다. 이를 위해 석사학위와 같은 전문 학위과정, 그리고 현장사역을 강화할 수 있는 평생교육과정 등의 개설을 제안하였다. 둘째, 교육방법의 다양화이다. 이를 위한 다양한 교육형태의 추구와 연계적 현장 교육형태 추구를 제안하였다. 셋째, 공동체적 참여화이다. 교육 참여자인 영유아 사역자를 위해 교회, 더 나아가 교단 차원의 정책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넷째, 네트워크 활성화이다. 영유아 전문사역자간에 서로 보완해주고 관리해줄 수 있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통합사역지원활동과 지역별 네트워크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에서의 영유아 전문사역자 현직교육방안 연구가 계기가 되어 영유아 전문사역자에게 필요한 보다 실제적이고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이 후속 연구로 나올 수 있기를 희망해 본다. 주제어: 한국교회, 영유아, 영유아 전문사역자, 영유아 전문사역자 자질, 직전교육, 현직교육 Abstract A Study on the In-Service Training Methods for the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in Korean Churches Lee, Jae-Young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ristian Studies Baekseok University It is a quantitative study that presented practical in-service training methods that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qualities of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in South Korea and examining the differ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level of pre-service training and that of in-service train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help young children workers handle the ministry of the kingdom of God well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ministry of young children, identifying the difficulties of young children workers in the field, and increasing efficiency. Research questions associated with them are: (1) what about the qualities of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2) what about pre-service training for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3) what about the in-service training of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4) what is the relationship among the quality of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pre-service training, in-service training? (5) what is the training status of young children workers? and (6) what are the ways to improve in-service training for young children workers? To measure this, this study conducted a self-reporting style survey to 211 young children workers in Korean Sunday schools. These churches had a young children department and were located in Seoul, Gyeonggi, metropolitan cities,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In the first round of a survey, 160 subjects responded from June 3 to June 10, 2019. In the second round of a survey, 51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July 7 to July 12, 2019. The final 207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of this study after excluding 4 questionnaires due to insufficient responses. This study carried out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cheffe's post-hoc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mediated effects using SPSS 22.0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tool for the quality of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designed by the author was valid and reliable. The quality of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age, gender, ministry department, university systems, graduate school major, position, work experience, and the number of church members. Second, all 13 items of college pre-service training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major. The nine items of graduate school pre-service training satisfaction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Third, the in-service training satisfaction of young children worker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only by graduate school major. Particularly, it was the highes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which agreed with the quality of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that showed the high value for subjects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in a graduate school. Fourth, the satisfaction of pre-service training in college and graduate schools showed a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atisfaction of in-service training. The quality of young children workers was also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atisfaction of graduate school pre-service training and that of in-service training. The results of mediation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of graduate school pre-service training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young children workers and the satisfaction of in-service training. Fifth, some surveys were conducted to suggest educational methods for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First of all, the number of professional training received by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was not high, and most of the training was conducted by lectures. However, it was found that young children workers desired small group workshop the most and the main reason for the dissatisfaction of in-service training was an expensive fee. The necessity of young children 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rofessional education were high.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practical education improvement plans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pre-service training and in-service training as well as the qualifications of young children workers. First of all, as a way of differentiating pre-service training, this study suggested concrete plans for theology majors, Christian education majors,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and other majors. Moreover, four methods were presen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as a means to differentiate in-service training for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The first method is the specializa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is, it was proposed to open professional degree programs such as master's degrees and lifelong education courses to strengthen in-field service. The second is the diversification of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suggested pursuing various education forms and linking them with on-site training. The third is communal participation. This study presented that policy support at the church and even religious body level is needed for young children workers. Fourth is active networking. This study proposed online and offline integrated ministry support activities and regional network plans to complement and manage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Lastly, this in-service training study for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can initiate studies on more practical and diverse training programs necessary for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in the future. the research on the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in-service training plan led to the development of more practical and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needed for the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I look forward to follow-up studies. Key words: Korean Churches, Young children,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The quality of professional young children workers, Pre-service training, In-service training

      • 평생교육을 위한 교회시설활용에 대한 목회자의 인식도 연구 :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및 신학대학원을 중심으로

        김민지 백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Welcoming to a 100-year-old age, lifelong education is the mission in the contemporary era. In response,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is promoting the Third Basic Plan of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by the motto of building 'National Lifelong Learning System in a 100-Year-Old Age.' However, loss of balance upon the high dependence of the university facilities is being blamed. Therefore, the researcher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 use of the church facilities and this is the Research on the Ministers' Perception of the Use of Church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A subject inquiry for the research purpose is as follows. First, what do the ministers think of the use of lifelong education? Second, what do the ministers think of where God is and what temple is? Third, do the ministers think that lifelong education in the church violate the holy? Forth, do the ministers think that lifelong education in the church helps the growth of church? First, the ministers' perception of the exposure and interest upon lifelong education showed the high incidence but the current condition of operating lifelong education showed the low incidence. And it was showed that relatively they had a reservation to the plan of management of lifelong education. But the plan of management of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a public subsidy had a high incidence. And they had reacted more reservation than the reverse and more consent than the reservation to the contents charging. However, It was their reaction that the contents charging does not help to the finance of church. Second, most ministers answered that God is in the person who confesses that he believes God and that the body of the person who confesses that Jesus is God is temple. Third, most ministers answered that lifelong education in a church does not violate the holy of the church. Forth, ministers answered that lifelong education helps to the growth of church like missionary work, public relations, renewal, servic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Most ministers had heard about the lifelong education and also a lot of interest but the ministers' number managing lifelong education is low. The ministers needed to be willing to manage lifelong education because lifelong education was poorer than church education. The number of ministers who had a plan to manage lifelong education was low but under the condition to provide subsidy, the number increased. In other words, providing a public subsidy means a catalyst for invigorating lifelong education. They preferred the contents charging to free of charge for the tuition fee but ironically they did not anticipate to help about a contents charging for the courses to the finance of church. Almost all ministers had a theological knowledge of right church and they recognized that lifelong education in a church does not violate the holy. They were open-minded about lifelong education. The researcher thought that by recommending the switch model, the most important prerequisite is 'a matter of perception of ecclesiology' in the application model of church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I concluded that the result is that there is 'nothing wrong.' In addition, many ministers expected lifelong education in a church helps the growth of church. Therefore, the future of the Use of Church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is promising. 100세 시대를 맞이하여 평생교육은 시대적 소명(召命)이 되었다. 이에 부응하여 우리나라 교육부는 ‘100세 시대 국가 평생학습체제 구축’을 표어로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대학시설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균형을 상실한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교회시설의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며 평생교육을 위한 교회시설활용에 대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평생교육을 위한 교회시설의 활용모델에는 불용(不容)모델, 부설(附設)모델, 전용(轉用)모델이 있는데, 불용모델은 시대적 소명을 망각한 모델이고, 부설모델은 경제적 부담이 크며, 전용모델은 경제적 부담이 적다. 따라서 교계에 추천할만한 모델은 전용모델이다. 그러나 이 모델은 하나님께 예배드리는 교회당에서 직접 평생교육을 실시하는 모델이므로 성(聖)과 속(俗)의 변증법(辨證法)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교회론을 중심으로 한 인식의 문제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들은 평생교육 운영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둘째, 목회자들은 하나님께서 어디에 거하시며, 무엇이 성전이라고 생각하는가? 셋째, 목회자들은 교회에서의 평생교육이 교회의 거룩성을 훼손한다고 생각하는가? 넷째, 목회자들은 교회에서의 평생교육이 교회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가?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설문조사방법을 적용하였다.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및 신학대학원에 재학 중인 목회자 350명을 대상으로 2014년 3월 13일부터 20일까지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그 중 응답이 부실한 15부를 제외하고 335부를 최종 선별하였다. 설문조사의 통계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들은 평생교육 운영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목회자들은 평생교육에 대한 노출도 및 관심도 등 평생교육 인지도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지만, 평생교육 운영현황은 대체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평생교육 운영계획에 대하여 비교적 유보적 태도를 보였으나, 국가 보조금 지급에 따른 평생교육 운영계획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수강 유료화에 대하여 반대보다 유보가, 유보보다 찬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지만, 수강 유료화가 교회재정에 비교적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반응을 보였다. 둘째, 목회자들은 하나님께서 어디에 거하시며, 무엇이 성전이라고 생각하는가? 대부분의 목회자들은 하나님께서는 예수를 주라고 고백하는 사람의 몸에 거하시고, 예수를 주라고 고백하는 사람의 몸이 곧 성전이라고 답변하였다. 셋째, 목회자들은 교회에서의 평생교육이 교회의 거룩성을 훼손한다고 생각하는가? 대부분의 목회자들은 교회에서의 평생교육이 교회의 거룩성을 훼손하지 않는다고 답변하였다. 넷째, 목회자들은 교회에서의 평생교육이 교회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가? 목회자들은 교회평생교육이 전도·홍보·부흥·봉사 등 교회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목회자들은 평생교육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고 관심 또한 많은 편이지만, 현재 평생교육을 운영 중인 목회자들은 숫자가 적었다. 이것은 세로나무(교회교육)에 비하여 가로나무(평생교육)가 빈약하다는 뜻으로서 평생교육에 대한 목회자들의 운영 의지가 필요하다 하겠다. 앞으로 평생교육을 운영할 계획이 있는 목회자는 많지 않았지만, 국가에서 보조금을 지급한다는 단서가 붙으면 숫자가 늘어났다. 즉 국가 보조금 지급은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의미 있는 촉진제이다. 수강료는 무료보다는 유료를 선호하는 목회자들이 많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수강 유료화가 교회재정에 도움이 되리라는 기대는 하지 않는 편이었다. 거의 대부분의 목회자들은 신학적으로 올바른 교회론적 지식을 갖추고 있었으며, 교회에서의 평생교육이 교회의 거룩성을 훼손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평생교육에 대하여 열린 자세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자는 평생교육을 위한 교회시설의 활용모델로서 전용모델을 추천하는데 있어 ‘교회론을 중심으로 한 인식의 문제’가 가장 중요한 선결 과제라고 생각하였는데, 연구결과 ‘문제 없음’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또한 많은 목회자들이 교회평생교육이 교회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따라서 평생교육을 위한 교회시설활용은 그 미래가 밝다 하겠다.

      • 기독교대학 채플의 활성화 방안 연구 : 백석예술대학교 채플을 중심으로

        이승열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국 문 초 록 기독교대학 채플의 활성화 방안 연구 기독교대학의 역사를 살펴보면 대학 구성원들이 함께 신앙고백과 결단을 통해 기독교대학 정체성을 유지해 온 것을 볼 수 있다. 채플은 기독교대학 정체성의 중심에 있다. 그러나 최근 기독교대학의 채플이 점차 축소되거나 정체성을 상실한 채 명맥만 유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곧 기독교대학의 소명을 잃게 되어 일반 대학과 별반 다르지 않게 된다. 채플의 존재만으로 기독교대학의 정체성이 드러나지 않는다. 따라서 기독교대학의 정체성을 담보하는 채플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채플의 구조와 요소를 변형하여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먼저, 채플의 구조와 요소를 변형하기에 앞서 그 본질과 내용에 대해서 명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갱신과 발전이라는 명목하에 본질과 내용이 훼손될 수 있기 때문에 신학적 이해가 요청된다. 또한 채플은 다양한 기능이 있다. 예배학적 기능이 있으며,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장소성과 그 대상이 학생이라는 특수성은 채플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접근성을 갖게 한다. 나아가 비기독교 학생들의 참여라는 점에서 선교적 기능은 필수적이다. 오늘날 채플은 그 어느 때보다 선교 지향적 일 수밖에 없다. 기독교학교에서 비기독교 학생들의 비율은 이미 신자인 학생을 압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이러한 이론과 현실적 배경을 토대로 채플 갱신을 위한 시금석을 제시한다. 백석예술대학교 채플을 중심으로 기독교대학 채플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백석예술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채플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비기독교 학생들의 비율이 더 높았고 때문에 기존의 예전과 설교 중심의 채플 방식에서 일어나는 문제점과 다양한 채플의 필요성을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백석예술대학교 채플의 인식도 조사에서 거의 모든 학생들이 콘서트 채플로 이루어진 채플에 대하여 만족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변화된 채플에 대해서 기대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첫 번째 모델은 실제적으로 백석예술대학교에서 시도했던 음악 콘서트 형식의 채플이다. 이를 통해 기독교 학생뿐만 아니라 비기독교 학생들의 호감도를 이미 설문을 통해 확인하였다. 두 번째 모델로는 문화 콘텐츠를 적용한 채플로 학생들과의 소통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 모델은 사랑축제이다. 1년에 1회 기획하고 실시되며, 비기독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들을 세례로 인도하기 위한 과정에서 기독교에 대한 관점과 생각의 전환을 비롯하여 기독교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실제적으로 수세자들이 되어 교육을 받고, 세례를 받게 되었다는 사실을 통계자료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회중 참여를 중심으로 한 채플이다. 학생들 중 기존의 채플에 호감을 갖고 있으며, 보다 더 예전적 형식의 채플을 기대하는 이들을 위한 채플이다. 궁극적으로 채플을 통해 참여자들이 하나님을 예배하고 삶의 변화를 기대한다. 백석예술대학교 채플이 다양한 채플의 시도들이 일어나는 현장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형식적인 것을 벗어나 채플의 예배적 의미와 선교적 목적이 제대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그리고 채플의 대상이 비기독교 학생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채플의 예배학적 의미보다 선교적 접근에 무게를 두었다. 예배의 개방성에 중점을 두고, 채플의 선교적 기능을 강화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동시에 기독교 학생들을 위한 예배적 의미가 강조된 채플도 시행하여 채플의 다양화를 이루고 학생들에게 선택권이 부여될 수 있기를 제안하였다. 채플의 다양화를 통해 비기독교 학생들이 신자가 된다면, 채플이 예배로서 갖는 의미를 회복할 수 있다. Abstract A Study Revitalization of Christian University Chapel Seung Yeol Lee Doctor of Theology in Ministry Graduate School of Christian Studies Baekseok University Advisor: Sang Ku Kim (Dr. Theol.) I think that the chapel is the identity of a Christian university. Recently, Christian university chapels are gradually diminishing or losing their identities. This has led to the loss of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Christian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is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the Christian university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by changing the structure and elements of the chapel. This study first needs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content of the chapel in terms of liturgical perspective before transforming the structure and elements of the chapel. In addition, we take pedagogical approach considering chapel's specialty. Furthermore, also it is necessary of missiological approach because it is a point of contact for non-believers. Today, chapel is more mission-oriented than ever. Therefore, based on this theory and realistic background, I present a touchstone for the renewal of the chapel.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is to suggest a plan for the improvement of Christian university chapel centering Baekseok university of Arts. To do this, students of Baekseok university of Arts were surveyed about chapel. As a result, four new chapel models were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Chapel 's worshipful meaning and missiological purpose will be done well beyond the formal. And the fact that the object of the Chapel includes many non-Christian students, weighed more on the missionary approach than the chapel's liturgical meaning. Focusing on the openness of worship, a model for enhancing the missional function of the Chapel was presented. At the same time, the chapel, which emphasizes the liturgical significance for Christian students, was also implemented to diversify the chapel. By diversifying the chapel, if non-linguists become believers, the meaning of chapel as a worship can be restored. Key words: Christian University, Chapel, Mission, Culture, Postmodernism

      •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역사신학적 고찰

        장영수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개혁주의생명신학은 백석학원(백석대학교, 백석문화대학교, 백석예술대학교, 백석대학교평생교육신학원, 그리고 백석대학교 산하 7개 대학원)의 신학적 정체성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개혁주의생명신학의 형성과정을 밝히고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교회역사 속 의미, 즉 역사신학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개혁주의신학과 동일한 신학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개혁주의신학을 계승해 그 본질을 회복함을 지향한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원리는 종교개혁자들의 신앙 원리인 5대 솔라(Solae) 와 동일하다. 하지만 오늘날 한국교회에 적용할 때 각 원리들은 새로운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을 통해 우리는 이를 실천할 수 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2004년 경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선언과 더불어 시작되었다. 그러나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정신과 내용은 장종현 박사가 신학교육의 사명을 받고 백석학원을 설립했던 시기에 이미 배아처럼 존재하고 있었다. 설립 후 30년(1976년-2005년) 동안 백석학원은 개혁주의신학에 바탕을 둔 복음전파 사역에 매진했다. 복음전파의 터전이 마련되어 학교가 성장하고 성경적 세계관에 기초한 학문 연구와 교육이 시행되면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서서히 형체를 드러내었다. 백석학원 40년 역사 중에서 마지막 10년(2006년-2015년)은 개혁주의생명신학이 정립되고 확산되는 시기였다. 한국교회사 가운데 개혁주의생명신학은 교회연합운동에 본을 보이며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유지를 통해 본질을 잃어가고 있는 다른 기독교대학들에게 도전과 자극을 주고 있다. 세계 교회사적 측면에서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대표적 명제는 신학을 ‘살리는 신학’과 하나님을 아는 지식,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을 담은 복음으로 이해하고, 개혁주의신학의 전통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종교개혁자들의 신학관(神學觀)과도 그 맥을 같이 함으로써 그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Reformed Life Theology is the theological identity of Baekseok Schools (e.g., Baekseok University including seven graduate schools, Baekseok Culture University, Baekseok Arts University, and Baekseok Theological Semin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and to illuminate its significance in the church history, i.e.,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theology. The Reformed Life Theology is identical with the Reformed theology. The Reformed Life Theology pursues to recover the very nature of the Reformed theology through a creative succession. The principles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are the same as the Five Solae which present the basic faith of the Reformers. Each principle, however, has a new meaning as it is applied to today's Korean church. Thus, we can practice the principles through the Seven Practical Movement for the Reformed Life Theology. The Reformed Life Theology started with the declaration, "Theology is not a mere academic discipline,” circa 2004. But the mind and contents had already existed like embryos when Dr. Jong Hyun Chang, the Founder of Baekseok Schools, was initially called to educate Christian leaders. From 1976 to 2005, Baekseok Schools had strived for practicing evangelism based on the Reformed theology for 30 years. During that time, the Reformed Life Theology was gradually organized as Baekseok Schools steadily developed with research and education based on its Biblical world view. In the last decade of the 40-year history of Baekseok Schools (2006-2015) the Reformed Life Theology had been defined and disseminated. Considering the history of Korean churches, the Reformed Life Theology sets an example for church union movement and challenges other Christian colleges, which are losing their purpose of establishment, by maintaining its identity.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orld church history, it can be said that the Reformed Life Theology is supported by the Reformers because its slogan, "Theology is not a mere academic discipline,” is in line with the tradition of the Reformed theology and moreover with the Reformers’ view of theology for all of them understand by considering theology as the Gospel embracing the life of Jesus Christ, the personal knowledge of God, and ‘the theology that quickens.’

      • 국악찬양의 개발과 활용을 위한 토대 연구 : 백석예술대학교 국악전공 정기연주회를 중심으로

        정설주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백석예술대학교의 국악찬양 정기연주회를 고찰함으로써, 국악찬양의 전문적인 교육과 확산을 위한 음악적 토대를 구축하는 것에 있다. 2008년부터 시작된 백석예술대학교 국악과 정기연주회는 국악찬양을 위주로 연주곡목이 편성되어왔으며, 이 과정을 통해 다양한 국악찬양곡이 축적되었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화, 다변화 되어온 국악찬양의 음악적 양상들을 밝히고,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하여 발현된 국악찬양이 어떻게 젊은 기독청년들을 전문성 있는 국악찬양지도자로 교육하는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논의한다. 1980년대 이래 가시화되어 나타나기 시작한 국악찬양은 개신교회 음악문화 흐름의 중요한 변화로 간주되며 꾸준히 연구되어왔다. 이는 19세기 말 유입된 기독교의 핵심요소인 복음이 서양문화의 형태를 통해 제시된 것에 대한 각성과 반성의 결과로, 국악찬양은 한국인이 부여받은 한국인의 고유한 문화를 통해 복음을 전해야 한다는 성경적 문화명령에 기인하여 발현된 것이다. 국악찬양의 개발과 활용을 위한 토대 연구의 실제적인 방법으로 먼저 현재 국악찬양을 활용하는 교회를 중심으로 그 활용 현황을 살펴본 다음 백석예술대학교 국악과의 정기연주회를 통해 개발된 콘텐츠를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백석예술대학교의 국악찬양 개발은 새로운 창작 활동을 통한 개발과 기존의 콘텐츠를 활용한 개발로 분류할 수 있는데, 전통발성과 전통악기를 중심으로 한 순수한 전통음악을 통한 국악찬양과 서양발성이나 서양악기를 접목한 퓨전국악을 통한 국악찬양의 형태로 개발되었다. 이 중 기존의 콘텐츠를 활용한 개발이나 퓨전국악을 통한 연주곡의 개발은 대중들에게 잘 알려진 음악의 소재를 활용하여 대중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해 사용된 적극적이고 유용한 방편이다. 이러한 분류와 분석을 바탕으로 국악찬양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전문성 확립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국악찬양의 전문성을 확립하기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즉 국악찬양의 개발과 활용을 단순한 음악적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기독교적 관점을 제공하는 다양한 학문들과 연계하여 폭넓게 연구할 수 있는 학문적인 기구의 출범이 필요하다. 나아가 이 기구는 국악찬양대를 운영하는 교회나 전문선교단체와의 연합과 소통을 주선하는 통로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국아찬양의 이론적 연구뿐 아니라 실천적 방안을 연구, 실행할 수 있는 기구가 될 것이다. 이러한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활동을 통해 한국 개신교인들에게 ‘한국적’ 찬양의 한 형태인 국악찬양을 예배에 사용하는 것에 대한 의미와 음악적 즐거움을 알게 할 수 있고, 나아가 한국인으로서 한국적 찬양을 하는 것에 대한 자부심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교회에 기반을 둔 전문적인 국악찬양대의 발족이나, 기존찬양대의 효과적 국악찬양 활용을 도모하기 위해 국악찬양 전문인을 공인하는 자격증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자격증을 교육 기관이나 총회와 같이 공신력이 있는 기독교단체에서 인증해주는 일은 한국전통음악을 교회문화의 한 부분으로 인정하는 건전한 한국기독교음악문화의 확립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이다. 나아가 기독교방송이나 기독교대학, 기독교문화재단 등 영향력 있는 기관의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협력이 국악찬양사역자를 꿈꾸는 청년들의 비전을 키울 수 있을 것이고, 그 비전은 지금 이 시대에 기독교한국음악 문화의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전업직장인의 상담학전공 석사과정 경험 연구

        오지영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전업직장인이 상담학전공 석사과정에서 겪은 경험과 의미를 살펴보고, 그 경험에 내재되어 있는 현상의 본질이 무엇인지 밝혀 기술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한 하위 연구 문제는 첫째, 전업직장인이 상담대학원 진학을 선택한 이유, 둘째, 전업직장인은 상담대학원 과정에서의 경험, 셋째, 상담대학원에서의 경험이 전업직장인에게 주는 의의에 관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직장생활 10년 차 이상으로 대학원 3학차 이상에서 졸업 1년 이내인 전업 직장인 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10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분석 방법에 따라 9개의 상위주제, 21개의 하위주제, 85개의 구성된 의미로 최종 분석되었다. 분석으로 도출된 참여자들의 경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업직장인이 상담대학원에 진학하게 된 동기는 ‘현 직장에서의 불안감이 상담 직종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짐’, ‘상담 경험이 상담공부로 이끔’, ‘다양한 루트를 통해 상담대학원 진학을 고려하게 됨’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업직장인의 상담학전공 석사과정에서의 심리사회적 경험은 ‘낯설고 힘들지만 수업을 통해 ‘나’를 찾아감’, ‘직장생활과 학업의 병행은 서로에게 시너지가 됨’, ‘다중역할을 감당하며 한계와 현실의 벽을 마주함’, ‘관계의 Good & Bad를 경험하며 대상의 다양성을 체득함’, ‘지금의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임’, ‘가족과 동료와의 관계에 선한 변화가 생김’이었다. 셋째, 상담대학원에서의 경험이 전업직장인에게 주는 의의는 ‘직업으로서의 상담 현실을 인정하고 현 직장에서 전문성을 업그레이드함’, ‘미래의 직업으로서 상담사를 꿈꾸며 준비해 나감’에 있다. 결론적으로 직장인으로 10년 이상 근무하며 안정적인 진로를 영위하고 있는 참여자들이 새로운 분야인 상담학에 진학하게 되며 경험하는 체험의 세계는 한마디로 ‘상담학을 통한 성장으로 현 직장에서 전문성을 업그레이드하며 전문상담사를 준비함’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기업과 직장을 이해하는 전업직장인의 상담학전공 석사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했는지 밝히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평생직업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현대사회에서 중년의 전업직장인이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체험의 세계를 이해하는 사례를 제시하였다. 셋째, 중년 직장인들이 상담 경험과 상담대학원 진학을 통해 자신을 수용하고 통합해가는 과정을 겪으며 자아실현과 성숙을 이루어 나가는 경험을 드러내는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 전업직장인, 상담학전공, 석사과정, 질적연구, van Man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one hand,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he people who are full-time employees and enrolled students in the master’s degree program in counseling, and on the other hand, to reveal their meaning phenomenologically. To fulfill the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followering subtopics: first, the reason why full-time employees’ chose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second, their experiences in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and third, the significance of their experiences in counseling graduate school. Participants in the study selected seven full-time employees with more than 10 years of work and less than one year of graduation from three or more graduate schools as study subjects.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October 2021 to January 2022. And the collected data were finally analyzed with nine top topics, 21 subtopics, and 85 meanings according to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analysis method.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tives of full-time employees to enter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are "facing anxiety about their current job leads to interest in counseling jobs," “getting counseling experience leads to study counseling," and "considering the entrance of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through various routes." Second, the psychosocial experiences of full-time employees in the master's course in counseling major are "finding meanings through classes despite of facing unfamiliar and difficult situations," "combining work and study life creates synergy with each other," "facing limitations and walls of reality while playing multiple roles," "learning diversity of objects by experiencing Good & Bad of relationships", "accepting me as I am now" and "building good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and colleagues." Third, the significance of experience at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to full-time employees lies in "recognizing the reality of counseling as a job and upgrading expertise at the current job" and "preparing for a counselor as a future job." In conclusion, participants who have worked as full-time employees for more than 10 years and have a stable career will go to counseling, a new field, and the world of experience can be summarized as "growth through counseling studies upgrades professionalism in the current workplace and leads to preparation as a professional counsel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first, it is meaningful to reveal how full-time employees who understand companies and jobs experienced in the master's course in counseling. Second, an example of understanding the world of experience experienced by middle-aged full-time employees in the process of seeking a new career path in modern society, where the importance of lifelong jobs is emerging, was presented. Third, it is meaningful to reveal the experience of counseling study achieving self-realization and maturity of an individual through the process of middle-aged employees accepting and integrating themselves through counseling experience and graduate school entrance. Keywords: full-time employee, counseling studies, master's degree, qualitative research, van Manen.

      • 수치심이 내면화 된 신학대학원생들의 심리사회적 현상

        김미경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수치심이 내면화된 신학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겪는 심리사회적 경험들을 심층적으로 밝힘으로써 그 의미를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하위 연구문제는 신학대학원생들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사회관계적 특성은 무엇인가이다. 참여자들은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질문지를 사용하여 선정하였고, 심층면접을 통한 원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8개의 구성의미, 48개의 주제, 그리고 13개의 주제군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치심이 내면화된 신학대학원생 참여자들의 심리사회적 경험에 대한 현상은 어린시절 폭력과 방임 그리고 가난에 의한 결핍된 양육환경과 부모와의 관계에서 반복된 좌절 경험이 내면화된 수치심의 원인이었다. 그 부정적인 영향은 현재의 삶에서도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면화된 수치심은 심리적으로는 존재가치를 향한 인정욕구, 완벽주의, 사역자로서 부적격함에 대한 평가에 대한 비난과 두려움, 그리고 극복되지 않는 염세적인 자기비하로 나타났다. 사회관계적 상황에서는 전반적 무기력으로 위축되고 감정표현 미숙으로 상호작용의 경직, 소외로 인한 공허감, 관계유지의 곤란, 좋은 사역자 이미지를 보호하기 위한 피상적 관계, 그리고 결핍된 애정을 이성에게 갈구하며 하나님과의 관계에서도 불안정을 경험하는 양가적 상태에 있음을 보여, 관계와 사역 모두에서 곤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학대학교는 신학대학원생에게 한 개인이 실존적 존재로서 그리고 사역자로서 성숙한 자기를 형성해가야 하는 신대원과정에서 내면화된 수치심 치유를 위한 전문적이고 전인적인 목회적 돌봄 경험과 교육과정의 하나로써 지속적인 심리상담을 제공한다면 목회자로서의 자기 회복과 통합적 인격 형성을 도울 수 있는 자원이 될 것이다.

      • 섬김의 리더십을 통한 학원복음화에 관한 연구 : 백석문화대학교 ‘기독교의 이해’ 중심으로

        강금연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논문을 연구하는 목적은 효과적인 학원복음화를 이루기 위한 방안으로 섬김의 리더십을 통한 학원복음화의 효율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백석문화대학교 학원복음화 사역 가운데 ‘기독교의 이해’가 학원복음화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의 섬김의 리더십을 통한 학원복음화가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말하고자 했다. 최근에는 상명하달식이 아닌 지식정보화 사회에 걸맞은 리더십 패러다임의 전환이 대두되었다.기업뿐만 아니라 학교, 병원 및 공공기관들은 고객 만족과 소비자 중심의 서비스 경영에 초점을 두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기독교의 이해’교수의 리더십에도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왜냐하면 교회 밖에서도 섬김의 리더십을 도입하고,그 모델을 예수님으로 삼아 예수님에게 최고 경영자라는 칭호를 부치고 있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섬김의 리더십은 수직적인 지시가 아닌 수평적 대화로 다가가기 때문에 상대의 자리로 내려가는 것을 전제로 한다.예수님과 바울처럼 상대의 자리로 내려와서 종의 자세를 가지고 그들을 변혁시켜 나가는 것이다.조직체와 구성원의 삶에 변화를 일으키려면 변화를 일으키는 리더십이 필요하다. 필자는 이 리더십을 섬김의 리더십으로 보았다.가치관의 혼란과 바람직한 리더십의 부재현상을 보이고 있는 이 시대에 섬김의 리더십은 세상을 바꾸는 방법이다.이 리더십은 하나님이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세워두신 전략의 핵심이다.섬김의 리더십은 섬김을 받는 자들의 필요를 민감하게 파악하고 그 필요에 따라 움직여야 한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그들을 도우려면 그들을 돕기 위해 경청하는 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그럴 때 그들과 일체가 되고 공감대가 형성되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는 리더들을 남을 섬기는 사람으로 부르셨다.그런데 리더들 대부분이 명령하고 남들이 따라오도록 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처럼 다가가려고 하는 섬김의 리더십을 발휘할 때 섬김의 리더의 특징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증가될 것이다.리더십이란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을 통하여 특별한 공동체의 변화를 성취하는 방향으로 인도하는 인간 상호간의 영향력이기 때문이다.리더십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의 능력은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능력이기에 그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아무리 올바른 철학과 능력을 가진 사람이라도,자신의 뜻을 다른 사람들에게 제대로 알리고 이해시키지 못하면 리더로서의 자격이 없는 것이다.그래서 조직의 성공과 실패를 결정지을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능력개발이 시급하다고 본다.따라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려면 고착된 전달자의 틀에서 수신자의 틀로 과감히 전환해야 한다.‘기독교의 이해’교수 역시 섬김의 리더십을 통한 학원복음화를 이루기 위해 이러한 전환이 필요하다. ‘기독교의 이해’교수들 역시 학원복음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N세대 인 학생들을 이해하고 N 세대 학생들과 공감할 수 있는 감성커뮤니케이션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현대인은 자신과 공감할 줄 아는 사람을 따 르는 경향이 짙기 때문이다.백석문화대학교는 교목실을 두고 채플과 ‘기독교의 이해’를 교양필수과목으로 이수하게 함으로써 괄목할만한 학원복음화를 이루어왔다.그러나 시대가 다변화 되어가면서 학원복음화의 양대 산맥인 ‘채플’과 ‘기독교의 이해’도 다양한 변화를 요구받고 있으며 변해가고 있는 실정이다.이런 시대적 흐름에 따라 기독교 정체성을 구현하고 학원복음화를 이루기 위해 ‘기독교의 이해’도 시대에 맞게 새롭게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특히 ‘기독교의 이해’교수의 리더십 역량에 따라 학원복음화가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그러므로 ‘기독교의 이해’교수가 예수 그리스도의 섬김의 리더십을 모델로 훨씬 더 효과적인 학원복음화를 이루게 되길 기대한다.

      • 무대 공포증이 가수에게 미치는 영향

        황은혜 백석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research is a qualitative case study which is about singers who has the stage fright. This research considers about the causes and how to overcome. In order to do so, researcher selects, collects and organizes cases that actual active singers experience by other researches, various media materials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singers for stage fright. To collect data by interviewing, questions are made based on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and the 3 musicians who are a graduate student studying composing, a postgraduate for music, a postgraduate for classic vocal music. The interviews are progressed by face-to-face interview and written interview on late November 2019 through early December 2019. The date are structured with interview results of 3 musicians. The process is to know the stage fright cases and solution of stage fright. Vital and mental capacity of singers on stage are easily affected by various given situations. Especially, stage fright strongly disturbs singer’s mental capacity, causes to lower singer’s performance potential, and its effect leads audiences feel nervous. Stage fright comes unexpectedly, regardless of how well skilled, how long trained or how much experienced singers are. Famous music masters have had stage fright and disappeared from the media. They never showed up again on live stage and only way to see their live performance is recorded digital data archive; music video and DV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ublished music records and live performance with stage fright disappoints audiences because of the vocal performance’s quality. Stage fright takes away not only confidence of performer but also self-esteem of performer. In order to compar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ith perspective of singers who have experienced stage fright and the contents of “Influence that stage fright affects to singers”, 10 currently active singers are interviewed and the results of interviews are similar to the research. It emphasizes that vital and mental capacity of singers on stage are highly connected to expressive ability of vocals. Intension on live stage causes vocal cords disease which caused by muscle contraction, and external symptoms with internal symptoms will be followed to suffer after. The conflicts are depend on given situations and frequency of intension on live stage, but regardless of music style, experience and tendency, that every singers feels nervous proved by the research. However, intension on live stage could suggest good influences when nervousness is balanced suitably to the body. Many singers are not communicating well with audiences because of stage fright and first step to overcome is that practicing in their virtual stage as real. The virtual stage experience relieves psychological anxiety factors, predicts mistakes that could happen on real stage and prepares a few solutions for the mistakes. Second step is imagination which is image-training of themselves with self-confidence. As imaginating commanding on stage, enjoying on stage and being favored by audiences on stage, anxiety could be gone step by step. Third step is selecting song list considerably by music genre, musical style, melody and vocal range. Choosing right song for vocal range resolves intension on live stage rather than singing high range unreasonably. Forth step is communicating with audiences sincerely. Giving and taking their honest stories could make closeness between singers and audiences with mood to enjoy music as well. Given time is limited to show singer’s every potential which also causes intension, but every singers need to realize how nervous they are in order to plan live show going well. Majority of singers hide their intension without the thorough plan, but in order to last their music career long and overcome stage fright, they need to acknowledge their deficient points and find solutions. 본 연구는 가수들이 무대에서 겪는 공포증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로 무대 공포증에 대한 원인과 극복 방안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현재 활동하고 있는 가수의 무대 경험을 사례로 선정하여 무대 공포증에 관한 문헌연구와 장르별 가수의 개인 면담과 각종 매체 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면담 질문지는 연구자와 음악 동료들의 경험을 토대로 작성하여 현재 음악대학원 수료생 작곡 전문가 한 명과 음악대학원 졸업자 한 명, 음악대학원을 졸업한 성악 연주자 한 명 총 3사람에게 감수를 받았다. 면담은 2019년 11월 말에서 12월 초까지 대면 면담과 서면 면담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각 장르의 가수와 면담한 내용을 중심으로 인터뷰 결과에 대해 구조화하였다. 이는 개인의 무대 공포증 사례와 해결 방안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무대에서 노래하는 가수들은 여러 가지 상황에 의해 그날의 공연 컨디션이 결정된다. 특히 무대 공포증은 공연 컨디션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공연을 보고 있는 관객의 마음까지 긴장하게 만든다. 무대 공포증은 실력, 연륜 등과 상관없이 갑자기 찾아오는 불청객이다. 유명한 대가들도 무대 공포증에 시달리며 결국에는 매체에서 자취를 감춰버리기도 했으며, 이러한 이유들로 라이브 공연장에서의 모습 대신 음원이나 뮤직비디오 등 미디어 매체를 통해서만 음악을 들어야 하는 안타까운 상황에 이르게 되기도 한다. 내가 평소 들었던 가수의 음원 목소리와, 무대 공포증을 가진 가수의 라이브를 들을 때의 상반된 모습 때문에 실망할 때가 있었고, 무대 공포증은 음악적 능력을 떠나서 한 사람의 자신감과 자존감마저 빼앗아 갈 수 있는 치명적인 약점이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무대 공포증이 가수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본 연구의 내용과 가수들이 겪고 있는 무대 공포증에 대한 관점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현재 활동 중인 가수 10명을 인터뷰하였고 인터뷰 결과, 가수들의 의견은 문헌연구를 통한 무대 공포증의 영향에 대한 연구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 결과 무대에서의 긴장은 가수의 능력을 표현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무대에서 긴장은 근육 수축으로 인한 성대의 질병을 불러일으키며 외적과 내적 증상을 겪게 된다. 상황마다 긴장의 빈도수와 무대에서 느끼는 갈등은 다르지만 연구를 통해 장르와 경험, 성향에 상관없이 모든 가수는 긴장한다는 것을 증명해 주었으며 그 긴장이 적절하게 우리 몸에서 타협이 될 때 좋은 영향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해 주었다. 무대 공포증으로 인하여 아직도 많은 가수들이 긴장, 두려움, 관객과 원활하지 못한 소통을 하고 있으며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첫째, 가상의 무대를 만들어 실제 상황처럼 연습해 보는 것이다. 공개되지 않은 가상의 무대는 심리적 불안요소를 덜어주고 실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실수를 미리 경험해 봄으로써 다양한 대처 방법을 알 수 있다. 둘째, 자신감 있는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는 이미지 트레이닝이다. 무대에서 자신감 있는 모습, 무대를 즐기는 모습, 무대에서 많은 관객들에게 박수받는 모습을 상상하며 두려운 상황에서 단계적으로 부딪혀 두려움을 개선할 수 있다. 셋째, 장르, 스타일, 멜로디, 음역대 등을 잘 고려하여 선곡하는 것은 가수들에게 아주 중요하다. 개인의 능력을 초과하여 무리하게 노래하는 것보다 자신에게 맞는 선곡을 하는 것은, 긴장을 줄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넷째, 솔직한 관객과의 소통이 필요하다. 자신의 솔직한 이야기를 주고받는 것은 관객과 가수의 친밀감을 조성할 수 있고 음악을 더욱 즐길 수 있게 만들어준다. 처음 보는 많은 관객들에게 짧은 시간 안에 나의 모든 실력을 보여줘야 한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긴장이 되지만, 모든 가수들은 자신의 긴장도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계획이 필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은 철저한 방안이나 대책 없이 긴장하는 것을 숨기려고 하는데, 자신의 부족한 점을 인정하고 해결 방법을 찾는 것은 가수의 생명력을 오래 유지하고 무대 공포증을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해결책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