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평생교육을 위한 교회시설활용에 대한 목회자의 인식도 연구 :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및 신학대학원을 중심으로

        김민지 백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79

        Welcoming to a 100-year-old age, lifelong education is the mission in the contemporary era. In response,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is promoting the Third Basic Plan of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by the motto of building 'National Lifelong Learning System in a 100-Year-Old Age.' However, loss of balance upon the high dependence of the university facilities is being blamed. Therefore, the researcher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 use of the church facilities and this is the Research on the Ministers' Perception of the Use of Church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A subject inquiry for the research purpose is as follows. First, what do the ministers think of the use of lifelong education? Second, what do the ministers think of where God is and what temple is? Third, do the ministers think that lifelong education in the church violate the holy? Forth, do the ministers think that lifelong education in the church helps the growth of church? First, the ministers' perception of the exposure and interest upon lifelong education showed the high incidence but the current condition of operating lifelong education showed the low incidence. And it was showed that relatively they had a reservation to the plan of management of lifelong education. But the plan of management of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a public subsidy had a high incidence. And they had reacted more reservation than the reverse and more consent than the reservation to the contents charging. However, It was their reaction that the contents charging does not help to the finance of church. Second, most ministers answered that God is in the person who confesses that he believes God and that the body of the person who confesses that Jesus is God is temple. Third, most ministers answered that lifelong education in a church does not violate the holy of the church. Forth, ministers answered that lifelong education helps to the growth of church like missionary work, public relations, renewal, servic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Most ministers had heard about the lifelong education and also a lot of interest but the ministers' number managing lifelong education is low. The ministers needed to be willing to manage lifelong education because lifelong education was poorer than church education. The number of ministers who had a plan to manage lifelong education was low but under the condition to provide subsidy, the number increased. In other words, providing a public subsidy means a catalyst for invigorating lifelong education. They preferred the contents charging to free of charge for the tuition fee but ironically they did not anticipate to help about a contents charging for the courses to the finance of church. Almost all ministers had a theological knowledge of right church and they recognized that lifelong education in a church does not violate the holy. They were open-minded about lifelong education. The researcher thought that by recommending the switch model, the most important prerequisite is 'a matter of perception of ecclesiology' in the application model of church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I concluded that the result is that there is 'nothing wrong.' In addition, many ministers expected lifelong education in a church helps the growth of church. Therefore, the future of the Use of Church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is promising. 100세 시대를 맞이하여 평생교육은 시대적 소명(召命)이 되었다. 이에 부응하여 우리나라 교육부는 ‘100세 시대 국가 평생학습체제 구축’을 표어로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대학시설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균형을 상실한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교회시설의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며 평생교육을 위한 교회시설활용에 대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평생교육을 위한 교회시설의 활용모델에는 불용(不容)모델, 부설(附設)모델, 전용(轉用)모델이 있는데, 불용모델은 시대적 소명을 망각한 모델이고, 부설모델은 경제적 부담이 크며, 전용모델은 경제적 부담이 적다. 따라서 교계에 추천할만한 모델은 전용모델이다. 그러나 이 모델은 하나님께 예배드리는 교회당에서 직접 평생교육을 실시하는 모델이므로 성(聖)과 속(俗)의 변증법(辨證法)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교회론을 중심으로 한 인식의 문제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들은 평생교육 운영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둘째, 목회자들은 하나님께서 어디에 거하시며, 무엇이 성전이라고 생각하는가? 셋째, 목회자들은 교회에서의 평생교육이 교회의 거룩성을 훼손한다고 생각하는가? 넷째, 목회자들은 교회에서의 평생교육이 교회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가?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설문조사방법을 적용하였다.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및 신학대학원에 재학 중인 목회자 350명을 대상으로 2014년 3월 13일부터 20일까지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그 중 응답이 부실한 15부를 제외하고 335부를 최종 선별하였다. 설문조사의 통계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들은 평생교육 운영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목회자들은 평생교육에 대한 노출도 및 관심도 등 평생교육 인지도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지만, 평생교육 운영현황은 대체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평생교육 운영계획에 대하여 비교적 유보적 태도를 보였으나, 국가 보조금 지급에 따른 평생교육 운영계획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수강 유료화에 대하여 반대보다 유보가, 유보보다 찬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지만, 수강 유료화가 교회재정에 비교적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반응을 보였다. 둘째, 목회자들은 하나님께서 어디에 거하시며, 무엇이 성전이라고 생각하는가? 대부분의 목회자들은 하나님께서는 예수를 주라고 고백하는 사람의 몸에 거하시고, 예수를 주라고 고백하는 사람의 몸이 곧 성전이라고 답변하였다. 셋째, 목회자들은 교회에서의 평생교육이 교회의 거룩성을 훼손한다고 생각하는가? 대부분의 목회자들은 교회에서의 평생교육이 교회의 거룩성을 훼손하지 않는다고 답변하였다. 넷째, 목회자들은 교회에서의 평생교육이 교회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가? 목회자들은 교회평생교육이 전도·홍보·부흥·봉사 등 교회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목회자들은 평생교육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고 관심 또한 많은 편이지만, 현재 평생교육을 운영 중인 목회자들은 숫자가 적었다. 이것은 세로나무(교회교육)에 비하여 가로나무(평생교육)가 빈약하다는 뜻으로서 평생교육에 대한 목회자들의 운영 의지가 필요하다 하겠다. 앞으로 평생교육을 운영할 계획이 있는 목회자는 많지 않았지만, 국가에서 보조금을 지급한다는 단서가 붙으면 숫자가 늘어났다. 즉 국가 보조금 지급은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의미 있는 촉진제이다. 수강료는 무료보다는 유료를 선호하는 목회자들이 많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수강 유료화가 교회재정에 도움이 되리라는 기대는 하지 않는 편이었다. 거의 대부분의 목회자들은 신학적으로 올바른 교회론적 지식을 갖추고 있었으며, 교회에서의 평생교육이 교회의 거룩성을 훼손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평생교육에 대하여 열린 자세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자는 평생교육을 위한 교회시설의 활용모델로서 전용모델을 추천하는데 있어 ‘교회론을 중심으로 한 인식의 문제’가 가장 중요한 선결 과제라고 생각하였는데, 연구결과 ‘문제 없음’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또한 많은 목회자들이 교회평생교육이 교회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따라서 평생교육을 위한 교회시설활용은 그 미래가 밝다 하겠다.

      • 채용제도변화에 따른 대학생과 기업종사자의 인식차이 및 교육요구도 분석 - 경력관리활동, 인재상, NCS 직업기초능력을 중심으로

        이종찬 백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육성을 위한 대학교육의 방향성 제시와 교육성과를 관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채용제도변화에 따른 경력관리활동, 인재상,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기업요구와 대학교육의 간극을 좁혀나갈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로 대학생과 기업종사자 간의 경력관리활동, 인재상, NCS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인식차이와 기업에서 요구하는 대학교육의 최우선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대학생의 경력관리활동은 일반적으로 재학 중에 졸업이후의 성공적인 경력관리를 위하여 미리부터 차근차근 준비해 나아가는 활동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은 취업에 필요한 스펙 쌓기 위주의 활동을 해오고 있다. 다음으로 인재상은 기업의 인재상으로 기업의 가치와 역량을 구현할 수 있는 표본적인 사람을 말한다. NCS 직업기초능력은 실제 기업 등의 직장생활을 해나가기 위해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을 일컫는다. 본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우선 우리나라의 채용제도의 변화를 전통적인 스펙위주의 채용방식과 근래에 도입된 NCS 능력중심채용과 블라인드채용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대학생 경력관리활동에 대한 실태와 유형을 분류하였다. 아울러 대학의 인재상과 기업의 인재상을 비교·검토하는 한편 NCS 직업기초능력의 의미와 실증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실제적인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대학생과 기업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대학생 351명과 기업종사자 16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학생의 필요수준과 현재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경력관리활동 I(입사지원서), 경력관리활동 II(자기소개서), 경력관리활동 III(국제화역량), 면접전형, 인재상, NCS 직업기초능력으로 유형화하여 측정하였다. 유형별 세부 항목은 경력관리활동 I(입사지원서) 13개, 경력관리활동 II(자기소개서) 9개, 경력관리활동 III(국제화역량) 6개이며, 면접전형 8개, 인재상 9개, NCS 직업기초능력 10개로 총 55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 IPA 매트릭스 분석,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 Borich 교육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여 최우선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관리활동, 인재상, 직업기초능력에 관하여 대학생과 기업종사자의 대학생 필요수준과 현재수준의 인식을 살펴보면, 대학생은 스펙위주의 경력관리활동이 부족한 것으로 느끼고 있었다. 하지만 기업종사자는 반대로 스펙적인 경력관리활동은 충분하고 오히려 인재상과 NCS 직업기초능력의 부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과 기업종사자에 따라 대학생 경력관리활동, 인재상, NCS 직업기초능력의 필요수준과 현재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과 기업종사자가 인식하는 대학생의 필요수준 대비 현재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과 기업종사자가 인식하는 대학생 필요수준(중요도) 대비 현재수준(수행도)을 비교분석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다섯째, 대학생과 기업종사자가 인식하는 대학생 필요수준 대비 불일치수준(필요수준-현재수준)을 비교분석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여섯째, 대학생과 기업종사자의 대학생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일곱째, 대학생과 기업종사자가 인식하는 대학생 최우선 교육요구 우선순위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였다. 종합하면, 대학생 자신이 인식하는 최우선 교육요구 우선순위는 인턴, 직무역량, 입사지원서(내용), PT면접, 영어면접, 토론면접 순서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제 기업에서 요구하는 대학과 대학생에 필요한 최우선 교육요구 우선순위는 팀워크, 주인의식, 인성, 대인관계능력, 문제해결능력, 직무역량, 도덕성, 의사소통능력, 직업윤리, 실행력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기업종사자들이 대학생에게 필요한 최우선 교육과제는 팀워크, 주인의식, 인성, 대인관계능력, 문제해결능력, 직무역량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팀워크, 주인의식, 인성, 대인관계능력은 자기 혼자만 잘하는 것이 아니라 협력, 공동체의식, 배려할 수 있는 자질로 해석된다. 따라서 기업은 혼자만 잘하는 스펙 쌓기가 아니라, ‘더불어 성장하고 싶은 인재’를 대학생에게 요구하고 있으니 이점에 초점을 맞추어 좋은 인재로 성장해야 할 것이다. 대학교육 또한 지금까지의 스펙위주의 경력관리활동 지원을 벗어나, 실제 기업에서 요구하고 있는 역량 위주로 교육과정을 개설하거나 개편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고 할 수 있다.

      • NCS 운영을 위해 전문대학 교수자가 인식하고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활동에 대한 연구

        강혜경 백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NCS 운영을 위해 교수자가 인식하고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활동의 주요 요소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활용 여부와 비중, 중요도 등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수자의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활동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현재 교수학습활동의 활용과 교수자가 인식하고 있는 바람직한 교수학습활동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효과적인 NCS 운영을 위한 바람직한 교수학습활동을 무엇이라고 인식하고 있는가 등에 대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정리하였고, 전문대학 교수자 219명의 설문조사와 6명의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활동의 주요 요소를‘수업 설계 및 구조화’,‘수업전개 및 마무리’,‘학습동기 유발’,‘학습기회 부여’,‘학습 분위기 조성 및 유지’의 다섯 가지로 설정하였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통계 특성(성별, 나이, 직위, 전공, 강의경력, 학과분류, 전문대학육성사업여부, NCS 적용 교과목 운영시기)에 따라 조사대상자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백분율의 산출결과를 보면, 조사대상자는 학과의 교육과정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NCS 기반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CS 적용 교과목을 운영하는 학과는 인문사회와 공학계열 학과의 교과목이 전체의 64%로 비중 있게 분포되어 있다. 셋째, 교수자가 인식하고 있는 현재 교수학습활동의 상태와 바람직한 교수학습활동의 차이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전체요인별 검정결과를 살펴보면, 수업설계 및 구조화(Z=-7.601, p<.000), 수업전개 및 마무리(Z=-7.251, p<.000), 학습동기유발(Z=-7.738, p<.000), 학습기회 부여(Z=-7.843, p<.000), 학습 분위기 조성 및 유지(Z=-8.176, p<.000)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현재상태가 바람직한 상태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바람직한 상태의 요인별 중요도에 대한 평균은 4.1이상으로 대부분의 교수자들이 모든 요인을 중요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현재상태가 바람직한 상태보다 낮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는 전문대학의 효과적인 NCS 운영을 위해서는 많은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각 요인별 평균값을 보면 학습기회 부여가 0.38, 학습분위기 조성 및 유지 0.30, 수업설계 및 구조화는 0.28, 학습동기 유발은 0.27, 수업전개 및 마무리는 0.24로 나타났다. 이는 교수자가 학습자의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학습의 기회부여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앞으로 NCS 적용 교과목 수업의 운영 시에는 우선적으로 학생들에게 적절한 학습기회의 부여가 필요하고 학습 분위기 조성 및 유지가 차순위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넷째, 효과적인 NCS 운영을 위한 바람직한 교수학습활동에 대하여 개방형 설문과 전문가 인터뷰를 병행하여 실시한 결과, 교수자들은 평가기준에 대한 유연성 보장이 필요하며, 교수자의 수업 마무리를 위한 활동이 보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학습자에게 수업내용과 연계된 직무와의 연관성을 제시해야 하며, 적절한 학습 수행 과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향상/심화교육을 위한 여건과 기자재 등 교육여건의 개선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즉,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교수자에 대한 지원, 학습자에 대한 지원, 교육여건의 개선, 제도적 개선 등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주요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가 인식하고 있는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활동의 주요 요소를 밝혀 향후 전문대학의 NCS 기반 교육운영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효율성을 높여 수업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현재 상태와 바람직한 상태의 차이검정을 통하여 바람직한 교수학습활동에 필요한 주요 요소들을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였다. 셋째, NCS가 교육과정에 도입되고 아직 정착기의 단계임을 감안할 때, 본 연구에 대한 후속연구를 통하여 NCS 기반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다양한 제도적 지원과 환경을 조성하고 토대를 마련하는데 일정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수자의 교수학습활동이 현실적으로 실천될 수 있는 환경적 토대의 구축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효과적인 교수학습활동을 위한 다섯 가지 요소를 교육과정의 설계에서부터 계열화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데 특정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교회 평생교육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 학습몰입, 참여지속의도 간의 구조분석

        김희선 백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 학습몰입, 참여지속의도에 대해 어떤 구조적 관계를 맺고 있는지 알아보고 교회 평생교육 운영의 활성화를 위해 도움을 주려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회 평생교육의 질적인 수준을 향상하고 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연령, 학력, 교회 직분, 직업, 참여 기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동기는 교육만족도와 학습몰입, 참여지속의도에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셋째, 교육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교육만족도는 학습몰입과 참여지속의도에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넷째, 교육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몰입은 참여지속의도에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20세 이상의 성인 학습자들로 하였으며, 서울특별시 수도권에 있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현재 운영 중인 총 10개의 교회를 선정하였다. 설문지 배포는 오프라인 설문지로 진행하였으며, 총 370부의 설문지 중 332부를 회수하였고, 320부의 유효한 응답을 확보한 설문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으로는 AMOS 23, SPSS 23,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 빈도 분석,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평균 및 표준편차, 정규성 검증, 연구 변인의 타당도 분석, 하위변인 간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독립표본 t-test와, One-Way ANOVA,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델 분석, 측정모델의 타당성 검증, 연구모형 검정을 통해 직간접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첫째,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연구대상자의 연령별로는 최소 20세에서 최대 60세 이상의 대상자 320명 중 40대 이상이 78명(24.4%)으로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냈고, 교회 직분별로는 집사가 118명(36.9%)으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학력별로는 대학교 졸업이 174명(54.4%)으로 가장 많았다. 직업별로는 주부가 83명(25.8%)으로 가장 많았고, 마지막으로 참여 기간별로는 6개월 미만이 107명(33.4%)으로 가장 많이 분포되었다. 둘째,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동기는 교육만족도, 학습몰입, 참여지속의도에 영향이 있는지에 대한 분석에서 먼저, 참여동기는 교육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동기는 학습몰입에서도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참여동기는 참여지속의도 간의 관계에서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교육만족도는 학습몰입, 참여지속의도에 영향이 있는가에 대한 분석으로는 교육만족도가 학습몰입에 매우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교육만족도가 참여지속의도 간의 관계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몰입은 참여지속의도 간의 관계에서는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활용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지속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다양한 교회의 환경에 맞추어 높은 수준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회 평생교육이 전문성을 가지기 위해서 평생 교육사를 양성하여 교회교육을 전문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른 지역의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여 그 차이를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tructural Analysis of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Church Lifelong Education, Satisfaction with Education, Immersion in Learning, and Intention for Maintaining Participation. To achieve this goal, I’ve tried to offer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First, I worked on what the differences are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the Church's lifelong education program (age, academic background, position in church, occupation, participation period). Second, I worked on whether the motivation of participants in the church's lifelong education program affected satisfaction with education, immersion in learning, and intention to keep on participation. Third, I worked on whet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ticipants in the church's lifelong education program affected learning immersion and intention to keep on participation. Fourth, I worked on whether the participants’ immersion in the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program affected their intention to keep on participation. The populations of this study consisted of adult learners aged 20 or more who participated in the church's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a total of 10 churches operat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The distribution of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offline and 332 of the 370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and the 320 valid answers were used in the study. For data analysis, AMOS 23, SPSS 23,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Normality Verification, Study Variability Analysis, Surve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Validation of Feasibility Model, Measurement Model Verification were performed to se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the church's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showed that 78 people (24.4 percent) were in their 40s or older among 320 people aged 20 to 60 or older. Deacon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participants, with 118 (36.9 percent). In terms of educational background, 174 people (54.4 percent) graduated from universities. By occupation, 83 housewives (25.8 percent)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107 participants (33.4 percent) who participated the program for less than 6 months were on the highest position in terms of participation period. Second,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church's lifelong education program was first shown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learning immersion, and participation rate and motivation also showed a great influence on learning immersion. However,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to keep on participa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level of participants in the church's lifelong education program affects learning immersion and participation level, it was found that education satisfaction has a very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immersion. Education satisfaction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to keep on participation. Fourth, the immersion of participants in the church's lifelong education program has been shown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keep on particip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church's lifelong education program was closely related. And in order to continue to participate in thes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high-quality programs in various church environments, train lifelong educators, have expertise in the lifelong education of the church, and operate church education professionally. Subsequent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on learners participating in church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other regions to compare the differences.

      • 평생교육 강사의 이미지가 학습자의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 언어적/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오수향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평생교육·인적자원개발 전공 2022 국내박사

        RANK : 249663

        ABSTRACT A study of the Influences of a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Image on Learners' Education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Oh, Su Hya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ors' images perceived by learners of lifelong education,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nd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mediating role of verbal communica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ructor's imag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ly,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model: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image was assign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verbal communica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were assigned as parameters, and education satisfaction was assigned as a dependent variable.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experiences of students who attended lifelong learning facilities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over one month in the past year. The total number of copies distributed was 500, and a total of 434 cop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below. First, learning outcomes differ according to students'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Women with a low education background, those in their 40s and older, as well as those in the civil service typically perceive the instructor's image and communication positively. Second, the positive influence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on verbal/non-verbal communication was also observed. Third, instructors' images positively impact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Fourth, the instructor'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contributed to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Fifth, non-verbal communication and verbal communication were partially correl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nstructor's image.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strategic teaching methods. There are a number of practical implications that result from this. As a first step, instructors need to recognize how important their image and verbal/non-verbal communication are and utilize them intelligently. As a second step, instructors in lifelong education need to establish the instructor's image as user-friendly, unique, and professional as possible, so that it becomes a trademark. As a third step, instructors need to encourage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ommunication. As a fourth step, instructors who play the roles of advisor, mentor, and counselor need to consider ways to increase intimacy with studen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is study can serve as a useful academic and practical resource for instructors to build their own image and communicate effectively in order to increase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ir education. 국문초록 평생교육 강사의 이미지가 학습자의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언어적·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학 박사학위 논문 백석대학교 대학원 평생교육․인적자원개발 전공 오수향 본 연구는 평생교육 학습자가 인식한 강사의 이미지, 언어적/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교육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고찰하고, 강사의 이미지와 교육만족도 관계에서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매개효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평생교육 강사 이미지를 독립변수로,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매개변수로, 교육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서울과 경기 지역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 지난 1년 동안 1개월 이상 수강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500부를 배포하여 434부를 수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면, 여성이면서 저학력자이며 40대 이상이고 공무원인 학습자가 강사의 이미지, 언어적/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평생교육 강사의 이미지는 언어적/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평생교육 강사 이미지는 교육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었다. 넷째, 강사의 언어적/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교육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었다. 다섯째, 평생교육 학습자가 인식한 강사의 이미지와 교육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언어적/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평생교육 강사의 전략적 교수법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이와 관련한 주요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사의 이미지, 언어적/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강사들이 인식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평생교육 강사는 교수자의 이미지를 자기에게 적합하고 고유한 이미지를 만들고 그것에 역량을 가미하여 상표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학습자가 커뮤니케이션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강사는 노력할 필요가 있다. 넷째, 조언자, 멘토, 상담자의 역할까지 수행해야 하는 평생교육 강사는 학습자와의 친밀도를 높이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학습자의 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평생교육 강사가 어떻게 자신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커뮤니케이션을 효율적으로 구사해야 하는지에 대한 학술적, 실천적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평생교육기관 음악 자원봉사(재능기부)가 여가 활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천안시 평생교육기관 음악 자원봉사자들을 중심으로

        이선용 백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평생교육기관 음악 자원봉사자의 여가 활동만족도를 분석하여 음악자원봉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검증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평생교육기관에서 음악 자원봉사를 하였거나 하고 있는 천안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대상자를 무작위로 추출 1차 설문지는 5개의 범주 총 31개의 문항으로 221명, 2차 설문지는 6개의 범주 총 35개의 문항으로 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 카이스퀘어검정분석을 하였으며 여가 활동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Beard와 Ragheb(1980)이 개발하고 이종길(1992) 등이 번안하여 사용한 여가활동 만족도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선별 사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요인, 자원봉사 참여 특성요인, 자원봉사 동기 요인, 평생교육기관 요인, 자원봉사 활성화 요인을 독립변인으로 교육적, 심리적, 사회적 변인을 종속변수로 하여 여가 활동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설문 분석을 보면 자원봉사 형태에 따른 여가활동 만족도는 오케스트라형 자원봉사가 4.52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 장르에 따른 자원봉사는 대중음악은 빈도수 91명 국악은 빈도수가 5명으로 국악이 상대적으로 적었는데 전체 여가활동 만족도는 대중음악이 4.20점, 국악이 4.19점으로 서로 비슷하게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악기를 다루는 분야를 보면 빈도수는 목관악기를 다루는 자원봉사자가 가장 많았는데 전체 여가 활동만족도는 금관악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력에 따른 만족도 결과 사회적 만족도, 심리적 만족도, 교육적 만족도 전체에서 대학원 이상이 4.3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직업에 따른 여가활동 만족도 차이는 교육적 만족도, 사회적 만족도는 자영업이 가장 높았으며 심리적 만족도는 무직이 4.30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성은 무직이 교육적, 사회적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여섯째, 소득에 따른 만족도는 월 400만원 정도가 가장 높았다. 일곱째, 결혼 등에 따른 여가활동 만족도는 기혼이 미혼보다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동기와 여가활동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가 같이 높을수록 여가활동 만족도가 상승 되었으며 평생교육기관 지원, 환경, 친절도에서 정(+)의 관계에 있었다. 아홉째, 주로 자원봉사를 하는 곳의 교육적 만족도는 종교 및 문화기관이, 심리적 만족도와 사회적 만족도는 학교 주도형 기관이 가장 높았다. 열째, 자원봉사 횟수는 7-10회가 시간은 3-4시간 기간은 5년 이상이 가장 높았는데 이것은 지속적으로 자원봉사를 하는 것이 여가활동만족도가 상승됨을 알 수 있었다. 여가 활동만족도에 대한 기술통계에서 평생교육기관 만족도는 3.38점으로 전체 여가활동 만족도 4.07점보다 평생교육기관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음악 자원봉사에 대한 여가활동 만족도 기술통계는 교육적 만족도는 4.12점, 심리적 만족도 3.95점, 사회적 만족도 4.10점으로 평균 4.06점보다 상대적으로 교육적 만족도가 높았다. 2차 설문 분석결과 음악 자원봉사가 전문적 봉사라고 생각하는 ‘예’와 ‘아니오’로 응답한 사람들의 빈도 분석 결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적 봉사로 응답한 자원봉사자는 현재 필요한 교육을 봉사자세 및 정신교육이 37.2%로 가장 높게 보았으며 ‘아니오’로 응답한 사람들의 음악자원봉사를 위해 갖춰야할 교육체제는 음악적 기능, 기술의 실질교육이 47.4%로 가장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둘째, 연령에 따른 평생교육기관 지원체계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최소경비 지원(교통비, 식비)이 43.5%, 음악자원봉사 전담직원 배치 운영이 25.8%로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적 자원봉사라고 생각하는지에 따른 만족도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예’로 답한 사람이 4.39점, ‘아니오’로 답한 사람이 4.00점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음악자원봉사는 여가활동의 한 분야이면서 동시에 평생교육의 일환으로서 순기능을 다하고 있으므로 음악 자원봉사에 대한 대중적인 홍보와 음악 자원봉사자에 대한 새로운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가 후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함을 제언 한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음악 자원봉사의 좀 더 심층적인 후속 연구가 있어야 한다. 둘째, 음악 자원봉사에 맞는 새로운 여가활동만족도 척도의 개발이 시급하다. 셋째, 평생교육봉사단을 운영하여 실시하는 평생교육기관은 음악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 보급해야 한다. 현재 음악 자원봉사를 모범적으로 하고 있는 사람들을 필두로 하여 평생교육기관에서는 음악 자원봉사자를 지속적, 전문적 관리를 함으로 활성화를 도모하며 음악 자원봉사자들은 평생교육기관의 분위기와 행사취지에 맞는 순발력 있는 모습으로 악기의 기술과 자원봉사 자세를 항상 새롭

      • 직업교육에 참여한 경력단절여성의 학습참여동기에 따른 진로적응성에 관한 연구

        김소영 백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경력단절여성이 직업교육에 참여한 학습참여동기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들의 일반 특성에 따라 학습참여동기와 진로적응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후, 학습참여동기와 진로적응성의 관계를 분석하고 진로적응성 향상을 위한 사회전반의 지원과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특화된 직업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방안 마련에 도움을 주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직업교육 참가 경력단절여성 3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359부의 설문지 중 설문의 응답이 일부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한 응답이 있는 설문지 26부를 제외한 333부의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학습참여동기, 진로적응성, 인구통계학적 특성, 직업교육 특성의 네 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IBM SPSS 2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교육에 참여한 경력단절여성의 일반 특성(인구통계학적, 직업교육)에 따른 학습참여동기는 30대 이하의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이 직업교육에 참여한 기간이 총 1년 이상이고, 참여빈도가 주 2∼3회로 직업교육에 만족한 경우 ‘목표지향‘이 높았고, 고졸 이하의 기혼인 경력단절여성이 직업교육에 만족한 경우 ‘활동지향’이 높았으며, 기혼의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이 직업교육에 참여한 기간이 총 1년 이상이고, 참여빈도가 주 2∼3회로 직업교육에 만족한 경우 ‘학습지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교육에 참여한 경력단절여성의 일반 특성(인구통계학적, 직업교육)에 따른 진로적응성은 고학력의 경력단절여성이 직업교육에 참여한 기간이 총 1년 이상이고, 참여빈도가 주 2∼3회로 직업교육에 만족한 경우 ‘관심’이 높았고, 경력단절여성이 직업교육에 참여한 기간이 총 1년 이상으로 만족한 경우 ‘통제’와 ‘호기심’이 높았으며,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이 직업교육에 참여한 기간이 총 1년 이상이고, 참여빈도가 주 2∼3회로 직업교육에 만족한 경우 ‘자신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교육에 참여한 경력단절여성의 학습참여동기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은 학습참여동기의 목표지향과 학습지향이 높을수록 진로적응성의 관심, 통제, 호기심, 자신감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학습참여동기의 활동지향은 진로적응성의 관심, 통제, 호기심,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참여동기가 진로적응성의 관심, 통제,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은 목표지향보다 학습지향이 높았고, 학습참여동기가 진로적응성의 호기심에 미치는 영향은 학습지향보다 목표지향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육기관이 직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할 때, 학습참여동기를 충분히 고려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반복되는 경력단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력단절여성들이 성공적인 진로개발을 이어갈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참여 독려를 통해 교육기회를 확대해야 하고, 일회성에 그치는 교육보다 교육 후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통한 심화과정 이수와 경력 재설계 지원 등의 경력단절여성 사례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육기관이 직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할 때, 경력단절여성의 생애주기 특성(임신  출산  육아 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직업교육 만족도가 학습참여동기와 진로적응성 모두와 유의미한 관계를 확인한 연구결과를 볼 때 직업교육프로그램의 질 관리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도시형소공인 역량강화교육이 경영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문래동소공인집적지 소공인을 중심으로-

        김인숙 백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문초록 도시형소공인 역량강화교육이 경영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문래동소공인집적지 소공인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문래소공인특화지원센터”에서 7년(2013-2020) 동안 영등포구 문래동 기계금속가공 집적지 소공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소공인 역량강화 교육이 경영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소공인에게 안정적이며 지속 가능한 성장요인을 찾는데서 시작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대부분 30년 이상 소규모 사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소공인들이 직접 터득한 고도의 숙련된 기술을 가진 CEO로서 사업체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한 결과 어떻게 경영활성화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여 향후 지속 경영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설문조사 대상은 영등포구 문래동 기계금속 가공 집적지 내의 소공인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 18일부터 11월 25까지 7일간 소공인 2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설문지를 제외한 200부의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Spss20.0의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가설검정은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분석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소공인 역량강화 교육의 경영능력, 기술능력,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은 경영활성화를 위한 경영관리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소공인 역량강화 교육의 기술능력교육 및 디지털 리터러시교육은 기술능력향상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경영능력교육은 기술능력에 정(+)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소공인 역량강화 교육의 경영능력교육과 디지털 리터러시교육은 네트워크구축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기술능력교육은 네트워크구축에 정(+)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소공인의 역량강화 교육이 경영능력, 기술능력, 디지털리터러시 교육등이 경영활성화를 위한 경영관리와 기술능력 향상, 그리고 네트워크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공인 역량강화 교육이 경영활성화를 다룬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는 데에 대한 의미와 .소공인 역량강화 교육활성화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시사점을 들 수 있다. 주제어 : 도시형소공인, 역랑강화, 경영활성화, 문래동소공인집적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