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기록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에 대한 인식연구 : 업무 상급자 면담을 통하여

        최정민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727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의 시행과 함께 사회적으로 기록관리의 중요성 인식이 확산되고, 국내 대학에서 연사편찬을 위해 대학사료 수집과 대학 역사기록물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본격적으로 국내 대학에서 대학기록관이 설치·운영되기 시작하였다. 대학기록관이 설치·운영되기 시작하고 현재까지 대학기록관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이론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특히 이용자 및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분석을 통한 기록정보서비스, 업무 실태, 직무인식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지만, 대학기록관 운영에 있어 업무 상급자에 대한 기록물관리 인식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기록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및 이용자가 아닌 업무 상급자를 대상으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에 대한 인식과 업무 및 기록관의 운영문제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기록물관리 교육기관에서 교육의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현장의 일반 구성원이 아니라 조직을 통제하고 있거나 책임지고 있는 조직의 상급자들을 대상으로 면담한 것으로, 조직을 책임지고 있으며 조직의 구조와 역사에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일반 구성원에서 얻을 수 없는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이번 연구로 인해 대학기록관의 운영의 문제점과, 향후 예비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의 교육과정의 보완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대학기록관 업무 상급자를 통해 해당 대학기록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둘째, 현재 대학기록관의 운영문제점은 무엇이 있는지 파악하였고, 셋째, 향후 대학기록관과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의 발전방향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한다. 해당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조사하기 위해 기존의 실행된 연구가 거의 없고, 실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상급자를 대상으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이 유효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질적 연구방법의 한 종류인 심층면담을 통한 조사를 진행하였고, 대학기록관 업무 상급자를 대상으로 직접적인 면담을 통해 대학기록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인식과, 운영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국대학기록관 홈페이지를 통해 대학기록관 현황을 파악하고 그 중 대학기록관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문헌 연구 및 실제 근무하고 있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교수님을 통해 사전 면담 질문지를 작성하였고, 본격적인 자료 수집을 위해 7곳의 대학기록관 업무 상급자와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면담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면담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통해 면담 참여자 배경정보, 기록관리 업무에 대한 인식, 대학기록관 현황에 대한 상급자의 인식, 기록관 및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의 발전방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대학기록관 운영의 문제점, 교육기관의 교육과정 보완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대학운영의 문제점, 대학기록관의 인식부족, 대학기록관의 독립 방향, 법령 제정, 경영진들의 인식, 교육과정의 보완해야 하고 교육과정에서 인턴쉽 및 실습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시사점 및 제언하였다. 현재 대학기록관에 대한 인식연구는 주로 이용자 및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분석을 통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고, 상급자를 통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로 인해 대학기록관 운영의 문제점과, 향후 예비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의 교육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가 될 수 있길 바란다.

      • 육군 기록관리 전문인력에 관한 연구

        전계청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51711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a nation, the Army has gathered all of its efforts under the slogan of detering war, achieving victory in ground warfare, and supporting civil interests. Army structure is hierarchical structure with pyramid form, yet it is divided by role and function. Therefore, the Army needs to embrace and place elite human resources who achieved professional education in order to maintain and efficiently use archives that are produced by each echelons and other staff units. However, in reality, the lack of personal to manage those archives is a problem in the field units. This paper will address this problem and analyze Army archive management procedure as well as give a solution to raise and place educated personnel in the right place by considering the personal capability and analyzing the demands for personal in each unit. First off, the paper sets the "Korea Archive Management Capability Table" as a sample to analyze the function of each echelon. It showed that the each echelon has different role and function which demands different needs for archives. Furthermore, the paper address the individual capability and their weakness which points out the necessary knowledge level for each individual. This data became the basis for setting educational plans for archive management personnel. Moreover, the paper looks into estimated time for an individual to address one archive so that is could anticipate the necessary demands for archive personnel in that unit, along with determining the number of personnel to educate, and how to place this personnel in each echelons. This paper apply the concept of 「work performance」to analyze the education and placement of the archive personnel within the military. In other words, the paper will focus on military archive management personnel to set quota, recruitment, placement, and research. I hope this paper will serve as a milestone and invaluable data to further develop the archive management capability in the military. Key word : Army record management, Army archive, Work function, Competency Knowledge design, Record management personnel fostering and allocation 육군은 한반도에서 전쟁억제와 유사시 지상전 승리, 국민편익을 지원한다는 목표아래 적으로부터 국민의 재산과 영토를 지키고, 국가안전보장의 사명감으로 국가방위에 주력해 왔다. 피라밋 형태의 계층적 구조를 가진 군 조직은 임무와 기능에 따라 여러 형태로 나뉘며, 제대별, 참모기능별 조직과 계층에 따라 생산되는 각각의 기록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존·활용하기 위해서는 시대 흐름에 부합된 기구체계의 개선과 전문교육을 이수한 우수자원의 양성 및 배치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육군 야전부대의 실상은 그렇지 못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육군의 기록관리 기관별 업무기능 분석을 바탕으로 각 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기록관리 인력의 직무능력 수준과 필요인력의 소요, 그리고 그러한 인력을 어떻게 양성하고 배치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국기록관리역량표준(안)”을 분석모델로 하여 제대별 업무기능 분석을 실시하여 제대별로 핵심 업무기능이 다르다는 것과, 제대별 기록관 기능설계 시에도 각각의 기록관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이 상이하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관리자에게 필요한 역량과 실무자에게 필요한 역량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와 그들이 현재 갖고 있는 역량에 대한 정도를 측정하여 어떤 역량이 부족한지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이들에게 필요한 지식범주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관리자 양성방안과 실무자 양성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인별로 1건의 기록물을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얼마인지를 분석하여, 각 제대별 기록관리 소요인력을 예측하였으며, 얼마만큼의 인력을 양성해야 하며, 이들을 각 제대별로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군(軍) 내 인력에 대하여 직무를 분석하여 인력소요 예측을 한 첫 사례로, 향후 군(軍)기록관리 인력에 대한 정원배정, 획득계획 및 편제반영, 직렬 신설 등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되어 군 기록관리 발전의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육군 기록관리, 육군 기록관, 업무기능, 직무수행능력, 지식설계, 기록관리 인력 양성과 배치

      • 전자증거개시(E-Discovery)에 대응하는 미국 기업의 기록관리 동향 분석

        김일아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1711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이 가속화됨에 따라 국제 소송 및 분쟁도 증가하고 있어 소송 절차의 핵심인 전자증거개시 제도(E-Discovery)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전자증거개시 제도는 미국의 민사소송 절차 중 하나로 기업 간 소송을 진행하는 규칙이자 소송 절차에서 성패를 좌우할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 영향을 가지고 있다. 이미 국내 기업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지만 국내에 도입되어 있지 않고, 대응방안이 부재함에 따라 소송에서 법적, 금전적인 제재로 인한 부담감을 호소하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다. 증거개시 제도는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기 위하여 소송 이전에 서로의 정보를 공유하여 증거를 확인하고 합의를 유도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도입 초기에는 종이기록을 기준으로 반영한 규칙에 따랐지만, 이후 정보 기술의 발전으로 잠재적인 상황에 기존의 규칙으로는 능동적인 대응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문제점이 제기되면서 기준을 전자적으로 생산된 정보의 범위까지 확장하여 개정하기에 이르렀다. 개정안에서 제기된 주요 사항은 증거 제출의 확장된 범위와 기록관리의 필요성 및 기록관리 전문가 역할의 요구이다. 최근 전자증거개시의 국내 도입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법, IT학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록학계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법, IT학계의 연구에서는 법, IT 분야의 역할과 준비 요건을 밝히고 있지만, 기록관리의 중요성 및 역할에 대한 논의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기업이 전자증거개시를 대응할 수 있도록 법, IT, 기록관리에 이르기까지 학계들의 지속적인 논의와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하고 있었고,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 및 준비성이 전자증거개시 대응에서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현재 국내 도입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시점에서 기록학 관점의 논의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이다. 그렇기 때문에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해외 동향을 분석, 연구하는 것은 국내 기업에게 전자증거개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기록관리 대응방안을 밝힐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자증거개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미국 기업 기록관리의 실무 현황 및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기록관리 연구 현황을 수집 및 분석하여, 전자증거개시에서 기록관리가 필수적인 요건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전자증거개시에 대응할 수 있는 핵심적인 기록관리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를 계기로 전자증거개시에서 기록관리의 중요성과 더불어 기록관리 전문가 역할에 대한 인식의 개선과 기업들의 소송 과정에 따른 위험과 부담이 완화될 수 있기를 바란다. With the acceleration of entry of domestic companies into the overseas market, international suits and disputes are increasing. Therefore, the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Electronic Discovery(E-Discovery), which is the core of legal proceedings needs to be improved. E-Discovery is a rule regarding a lawsuit between companies and exerts an strong influence on the success or failure in the proceedings, as one of civil procedures in the U.S. This has already been having a direct influence on domestic companies. However, this isn't introduced to the country and there is an absence of measures. For this reason, there is an increase of companies, which are under pressure due to legal and financial sanctions in litigation. E-Discovery was devised to obtain evidence by sharing information and to promote a settlement before litigation, for reducing unnecessary time and expenses. In the beginning, this followed the paper record-based rules. But it was argued that the existing rules would be hard to deal with the latent situations actively due to the advancement in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this was revised by expanding its standard to the scope of electronically produced information. The expanded scope of evidence submission, the importance of records management and the roles of records and information managers are significantly specified in the amendment. Recently, there is a discussion on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E-Discovery to the country in the field of law and IT, but this is hardly discussed in archival science. The studies in the field of law and IT mention the roles and requirements for the field, but it is hard to find discussions on the importance and roles of records management. On the contrary, in the U.S., effective measures in the field of law, IT and records management have been suggested by continued discussions and studies of the academic worlds to help in dealing with E-Discovery and there has been a discussion on the influences of recognition of and preparation for records management on action to cope with E-Discovery. Currently, there is a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is system to the country, but there is still a lack of discussion, from the viewpoint of records and Information Management.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analyzing and studying the overseas trends would provide domestic enterprises with an opportunity to find records management plans for dealing with the E-Discovery environment. Thus,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at records management is indispensable in E-Discovery and to present a fundamental records management strategy to deal with E-Discovery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studies on records management,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records management and the cases in American companies that are actively counteracting E-Discovery. In conclusion,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in perceiving the importance of records management in E-Discovery, improving the recognition of the roles of records and information managers and relieving the danger and pressure in the proceedings.

      • 공과대학 연구실 연구기록관리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최현옥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711

        공학 연구 부문에서는 논문 표절, 연구결과 조작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허관련 분쟁 또한 많이 일어난다. 이에 따라 연구에 대한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연구의 진실성을 검증하거나, 지식재산권에 관한 법적 분쟁에 대응하기 위하여 연구기록물을 증거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공과대학 연구실의 연구기록 관리는 아직 초보적 단계이다. 연구자들이 준용할 수 있는 관련 규정 및 모범적 사례도 부족하여 체계적인 연구기록물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연구실 자체적으로 체계적인 연구기록물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연구과정 전반에서 활용 가능한 기록관리 표준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연구실의 연구기록물 관리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공과대학 연구실이다. 구체적으로 건축공학, 신소재공학, 원자력공학 연구실을 방문하여 연구업무를 관찰하고,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그 산출물을 통해 세 연구실의 공통적인 연구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각 단계에서 생산되는 연구기록물을 범주별로 구분하였다. 더불어 연구기록물의 종류와 시스템, 관련 규정의 측면에서 연구기록물 관리 방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연구기록관리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규정, 기록관리 과정, 인프라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렇듯 현장조사와 문헌연구를 병행한 내용을 토대로 연구실의 연구기록관리의 문제점을 드러내었으며,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기록관리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첫째는 연구기록 관리 규정, 교육 및 시스템 구축 등에 대한 인프라의 확립이다. 둘째는 기록관리 과정의 체계화, 구체화로 제시하였다. 이 두 가지를 통해 본 논문은 공과대학 연구실에서 준용할 수 있는 연구기록물 관리 표준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In technology research field, problems such as plagiarism and manipulation of papers happen sometimes. Furthermore, legal cases related with patent conflict occur frequently. On this subject, the interested parties should be able to present evidence to resolve doubt about research authenticity and intellectual property. But record keeping in technology laboratory is in an early stage. Due to the lack of association rules and example cases in research records management, the researchers have difficulty in applying to the necessary evidence. 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the systematic research and prevent conflict in the laboratory,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research record keeping methods. I analyzed the present state of research record management. The target of this thesis is institutes of technology laboratories. First of all I visited the three laboratories-colleges of architecture, new material and nuclear engineering. I had interviews with researchers to see how their real situations are. Through the product from the laboratories, I had an analysis on their general record keeping process and categorized records produced in each experimental stage. The next, I identified research record keeping in the aspect of records type, system and association rules. And the problems of research record keeping were considered in terms of the regulations, record keeping process and infrastructure. This thesis reveals the problems of research record keeping on the basis of field survey and literature research and suggests the record management standardization as a solution. The first is that infra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the regulation of record keeping, education and system building, and so on. The second is that record keeping should be specified in systematic and detailed process. Thus, this study has a meaning to propose standardized process of records management which can be applied in the research laboratories.

      • 기록관리분야 직무능력표준 개발 방안 연구

        김정은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1711

        지식정보화 사회가 도래하면서 정보통신을 기반으로 한 세계화 환경이 경제 사회 문화 분야 전반에 확산됨에 따라 세계 각국이 벌이고 있는 국가간 경쟁이 더욱 격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추세로 인해 인적자원의 질이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됨에 따라 세계 각국은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고, 이를 인적자원관리에 활용하고 있다. 기록관리분야 또한 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고, 역량중심의 인적자원개발체제를 구축함으로써 기록관리직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최근 기록관 조직 내에서 기록관리의 전문성이 확립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록관리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직무능력에 기초한 교육과정을 통해 능력있는 기록관리 인재를 양성하여 기록관에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본 논문은 작년 한 해 동안 정부와 기록학계간의 협의 과정을 통해 나타난 공직사회의 기록관리의 전문성 인식 부족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기록관리직의 직무별 역량을 규명하고, 표준화하는 과정을 통해, 기록관리분야의 체계적인 인력 양성 및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가능한 한국의 기록관리분야 직무능력표준의 개발 방안을 모색하려 한다. 본 논문은 공공영역 뿐 아니라 민간영역을 포함하는 기록관리 산업 전 분야에 활용가능한 직무능력표준 개발을 위한 절차와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표준의 설계과정에 대한 예시를 보여줌으로써 기록관리분야의 직무능력표준 개발의 가능성 및 타당성, 활용성을 등을 효율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록관리분야의 직무능력모형과 각 능력단위별 역량요소들을 제시하고, 이를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기록관리직의 역량에 대한 다양한 연구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록관리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춘 방법론의 설계와 수행 과정을 거쳐 기록관리직의 직무능력을 표준화하고 개발하는 후속 연구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촉매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최근 기록관리법 개정 논의과정에서 이슈로 부각된 기록관리의 전문성이 무엇인지를 입증하고 확립하기 위한 방법론을 마련하고, 이 과정을 통해 기록관리분야의 인적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할 수 있는 직무능력에 기반한 기록관리분야 인적자원개발시스템을 도입하는데 본 연구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As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has emerged, international competition in all over the world starts intensifying as globalization environment spreads in the fields of economy, society, and cultures based on information communication. Such a trend of the times raises human resources to be a crucial element for acquisition of national competitiveness, leading countries in all over the world to develop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to exploit them on human resources management. As for an area of recordkeeping, competency standards are developed, establishing competency based systems for human resources of management, and this requires measures for enhancing capability of record management careers. In order to solve a problem recently occurred in the record archives organization for not establishing expertise, competency required in performance for recordkeeping has to be examined, leading to an important procedure via education courses based on competency to cultivate and distribute talents into record archives.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intended to raise awareness of issues regarding lack of professional recognition of public service shown in the course of negotiation between government and recordkeeping institutions in the previous year.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measures of development for competency standards in the field of recordkeeping by examining competency in each job duty of recordkeeping career along with courses of standardization that are able to be exploited as basic data for cultivation and development of manpower in a systemized method in the field of recordkeeping. This study suggests procedures and methodology competency standards enable to be exploited in entire fields of recordkeeping including private sectors as well as public sectors. Furthermore, as for procedures of suggesting measures for developments, cases of procedures of stand designs are shown, effectively verifying for feasibility, validity, and usability of development of competency standards in the field of recordkeeping. In this process, models for competency standard and elements based on competency units in the field of recordkeeping are suggested, leading to recommend for exploitation of them on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make it feasible to be related to various researches regarding competency in the field of recordkeeping career, playing a role of promoting subsequent studies in standardizing and developing recordkeeping career via procedures of designs and performances based on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out active participation of professional recordkeepers. This study ultimately expects to contribute to an adoption of manpower development system based on competency in a systemized method by recognizing an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via procedures of approving expertise of recordkeeping being recently highlighted as an issue from revision process of records management act.

      • 미국외교기록물(FRUS)의 편찬과 서비스에 관한 연구

        류호섭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1711

        A Study on Compilations and Services of Foreign Relations of United States(FRUS) Ryu Ho-seob Major of Records and Archival Information ManagementGraduate School of Records, Archives & Information Science, Myoun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Lee Seung-hwi In general, a subject to publish records is an archives. An administrative agency can publish and use records of their needs. However, in Korea there are barely service to publish public records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to open them to citizens by administrative agencies. Most of agencies publish publications, annual history and agency's own history, white paper, and statistical data, and other publications just for their purposes of promotion. However, US Department of States publishes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s States(FRUS) Series in order to establish their foreign policies. US. Department of States uses it for their own tasks as well as provides services to scholars, teachers, students, even other countries. One of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s contents is about publication service of records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by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while the previous publication service focused on publication services by National Archives of Korea service itself.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Foreign Relations of Unites States and deduced its publication process, services, and changes in them. Based on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e importance of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s States and reasons of its influences and enhancement on public area are as follows: First, it is transparency.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are published by specific standard according to their historical objectivity and accuracy. These standard were cod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at the almost same time, US Department of State hired historian experts and made them publish these series. Second, it is openness. Declassification on important core documents provides a chance to learn US government's establishment(development) and execution of foreign policies to the domestic and overseas users. Third it is access. Historians hired by US Department of State applied new methods to expend potential users of these series. They have made the Foreign Relations of United States available as e-book in the office of the historian website. And using social media such as Twitter, they notify users publication of a new volume, attracting their interests on newly published volumes. The whole Foreign Relations of Unites States are now published in both forms of paper book and web, virtually almost everyone in the world can access it. Fourth, it is no defect. These series have been neither modified nor deleted for publication. That is, historians hired by US Department of State have published the original records without hiding defects in the policies. Therefore, this study has a meaning that the publication of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s States by US Department of State can be a model case for reference when Korean administrative agencies publish important cases and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es. keyword: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FRUS, Compilation, US Department of State, Office of the Histiorian, Historical Advisory Committee, Outreach Service, 미국외교기록물(FRUS)의 편찬과 서비스에 관한 연구 류 호 섭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지도교수 이 승 휘 일반적으로 기록을 편찬하는 주체는 기록물관리기관이다. 행정기관은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주제로 기록물을 편찬해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에는 행정기관이 국가기록원에 있는 기록을 가지고 편찬해서 이용자 서비스를 해주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대다수의 기관들은 기관차원에서 홍보, 연혁, 기관역사, 백서, 간행물, 통계 자료 등을 만들고 있을 뿐이다. 반면 미국 국무부에서는 외교정책수립을 위하여 미국외교기록물(FRUS)을 편찬·출판하고 있다. 국무부는 미국외교기록물(FRUS)을 업무상 활용을 위할 뿐만 아니라 학자, 교사·학생, 다른 나라에게도 그것을 서비스해주고 있다. 필자가 쓰는 논문의 의의 중의 하나는 기존의 편찬서비스에 관한 내용들은 주로 국가기록원의 편찬 사업이었지만 국가기록원이 아닌 중앙행정기관이 국가기록원에 있는 기록을 이용해서 편찬서비스를 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외교기록물(FRUS)을 연구·분석하여 그 편찬프로세스 및 서비스 형태와 서비스 변화과정을 도출하였다. 연구·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미국외교기록물(FRUS)의 중요성과 어떻게 그것이 공공 영역에서 영향을 끼치고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투명성이다. 미국외교기록물(FRUS) 볼륨들은 역사적 객관성과 정확성에 따라 특정한 표준에 의해 편찬된다. 이러한 표준은 20세기 초에 성문화 되었고 거의 같은 시기에 국무부는 전문적인 역사가들을 고용하여 이 시리즈를 편찬하게 하였다. 둘째, 개방성이다. 중요한 핵심 문서의 비밀해제는 국내외 이용자들이 정부의 외교정책 수립(개발)과 실행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셋째, 접근성이다. 국무부의 역사가는 이 시리즈의 잠재적 이용자들을 확대하기 위해서 새로운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들은 역사편찬실 웹사이트에서 미국외교기록물(FRUS)을 전자책자로 손쉽게 이용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주로 트위터와 같은 소셜미디어를 사용하여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볼륨의 출판을 알릴 수 있게 하고 기록의 중요성이나 최근 출판한 볼륨들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켰다. 모든 미국외교기록물(FRUS)은 지금 책자와 웹상으로 출판이 되기 때문에 사실상 전 세계의 모든 곳에서 누구에게나 접근을 할 수가 있다. 넷째, 무결성이다. 이 시리즈는 기록들이 변경되지 않았으며 삭제되지 않고 출판되었다. 즉 국무부의 역사가들은 정책결함을 숨기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기록들을 실어 편찬한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국무부의 미국외교기록물(FRUS) 편찬은 우리나라의 각 행정기관에서 중요한 사건이나 정책결정과정 등을 편찬함에 있어서 참고할 수 있는 모범사례가 될 수 있음에 그 의의가 있다. 주제어 : 미국외교기록물, FRUS, 편찬, 국무부, 역사편찬실, 역사자문위원회, 아웃리치서비스

      • 과학기술분야 연구기록의 평가모형 연구 : 지질자원 분야를 중심으로

        이미영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51711

        과학기술분야에서는 조사, 실험, 관측, 모니터링 등 다양한 연구 활동을 통해 정기적으로 상당한 양의 연구데이터가 생산, 활용된다. 연구데이터의 양적 증가에 따른 막대한 보존비용과 관리상의 문제는 데이터의 공공성 및 공유 확대 등의 이슈와 맞물려 이제 조직에게 무엇을 수집할지 우선순위를 정하고 가치 있는 기록만을 보존할 것을 요구할 것이다. 따라서 생산된 직접적인 목적을 넘어선 계속적 가치를 확인하는 기록의 평가는 현 시기에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연구과정에서 기록의 생산과 유지는 필수이다. 기록은 연구가 실행되었음을 증명하고 연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많이 인용되거나 활용되는 경우에는 연구자의 권위를 높이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개인과 기관의 지적재산권을 유지하고, 연구 부정행위 혐의로부터 연구자와 연구기관을 보호함은 물론, 법률과 규정 및 다른 요건을 준수했음을 증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기록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대부분의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는 막대한 예산 투입에 비례하는 충분한 연구관리 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 활동은 우리나라 과학기술 역량 확대 및 연구개발기술 발전의 성과와도 그 맥을 같이 하는 만큼 이들 기관의 연구기록은 국가 과학기술의 성과이자 역사로서 그 잠재적 활용가치와 보존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연구기록과 관련한 연구가 학계에서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평가라는 주제로 연구기록에 접근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패러다임이 데이터 중심으로 바뀐 이 시대에 공적 연구기관에서는 어떻게 연구기록을 평가해야 하는지 올바른 방향을 정하고, 각 연구 분야에서 생산되는 기록의 특성을 분석하여 실제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평가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및 사례 연구를 토대로 연구기록의 범위와 특성, 연구기록의 평가기준과 평가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연구기록의 생산 및 관리방식, 생산기록의 유형과 특징을 확인하고, 기록의 평가주체가 될 그들이 연구기록의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과 고려사항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국가차원이 아니라 연구기관 단위에서 적용 가능한 평가절차와 기준을 설계하는 것이기에 지질자원이라는 하나의 연구 분야를 정하고, 이를 연구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연구대상을 한정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평가모형을 구성하기 위한 몇 가지 원칙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기록의 평가는 기능평가가 아닌 내용평가여야 한다. 이것은 연구기록의 지속적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이 기록을 생산한 조직의 기능이 적절하게 기록화 되었는지의 여부가 아니라 기록 내용에 담긴 정보라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연구기록의 평가단위는 연구과제와 기록유형이어야 한다. 조직 위계 내에서 생산자의 위치나 기능은 더 이상 중요한 평가요소가 아니다. 연구기관의 연구부서의 경우 계층구조가 엄격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업무 단위가 유동적이어서 연구기록을 조직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큰 의미를 갖지 못한다. 따라서 연구과제를 하나의 시리즈 단위로 하여 평가하는 것이 적절하며, 연구기록의 평가기준은 연구과제와 기록유형에 선택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셋째, 기록 내용에 기초한 평가여야 하기에 평가주체는 연구기록의 생산자이자 전문가인 연구자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기록관리자는 평가계획 및 평가기준의 수립과 전체적인 평가과정을 진행하는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즉, 연구기록 평가는 연구자라는 연구전문가와 기록관리자라는 기록관리전문가 집단의 협업이며, 전문가그룹의 협의방식으로 평가결정이 이뤄져야 한다. 넷째, 연구기록 평가를 위해선 처분일정표와 평가기준이라는 평가도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연구기록 처분일정표는 연구 분야의 특성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기록유형에 대한 충분한 기술이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기록유형에 따라 구성되는 미국의 처분일정표를 연구기록 평가에 적용시켜 볼 만한다. 그리고 평가기준은 연구 가치, 역사적 가치, 유일성 등 기록 내용에 담긴 정보적 가치를 판단하는 평가요소를 포함하여 충분한 기록화 정도, 기록의 기본요건 유지여부, 비용, 기술적 고려사항, 미션과의 관련성, 공공에 대한 기여, 연구기관 차원에서의 중요 성과 등을 장기보존가치 평가영역에 포함하여야 한다. 데이터 큐레이션이라는 용어가 점차 대중화되는 만큼 지금의 이용자는 필요한 데이터를 필요한 만큼, 좋은 품질로 제공받길 원한다. 따라서 연구기록 평가가 적절한 프로세스와 기준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운영된다면 관리·보존의 효율성을 넘어 효과적인 데이터 공유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기록의 평가를 주제로 한 국내 최초의 연구라는 연구사적 의미는 가지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모형을 실제 평가에 적용시켜 보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다만 앞으로의 연구기록 생산 및 보존환경은 계속 변화할 것이며, 평가는 이런 환경에 더욱 적합하도록 탄력성을 가지고 수행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이 많은 적용과 실패, 변용의 과정을 거쳐 보다 합리적인 체계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a nice bit of data has been produced everyday through a variety of research activities such as investigation, experimentation, observation, and monitoring. The problem of enormous preservation cost and administrative issues originated from the flood of data requires an organization to decide how to collect and preserve valuable records. In view of this, the appraisal for the evaluation of the continuous value of records is required more than ever. The production and maintenance of the records are essential in research activities. Research records provide the authentic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earch to researchers and often grant authority if their records are much-quoted or frequently used by others. Furthermore, they can help individuals and agencies protect their intellectual properties from the scientific misconduct charges by ensuring compliance with laws and regulations. Despite such an importance of research records, most of the government-contribut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failed to develop an effective research management system in proportion to their huge budget. Obviously,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of the government-contributed research institutes are in line with the capability and advancement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in a nation. Therefore, the research records of the government-contributed research institutes, the output and history of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are worth preserving for their potential utilization and future value. Although few studies on this matter were carried out previously, no research has been devoted exclusively to the appraisal of research rec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actical appraisal model for public research institutes by setting the directions of appraisal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records produced in various research fields. To do this, the major factors and appraisal criteria which may affect the category, characteristics, and appraisal of research records were analyzed based on the literature and case studies.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methods 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records were investigated through interviews with researchers and the appraisal criteria and major considerations were extracted therefrom. Based on the results, an appraisal model for research records of government-contribut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proposed. A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pare the appraisal procedure and criteria applicable to an individual research institute, the ‘geo-resources’ field was chosen in this study. The principles for the appraisal underlying the proposed model were as follows: First, the appraisal of research records should be content-information-based appraisal not function-based appraisal. This means that the judgement criterion about the continuous value of research records is not the documentation about organization function but by the information in record content. Second, the appraisal unit of research records should be research projects and record types. The location of producers within the organization hierarchy is no longer an important appraisal factor because the research department hierarchy in a research institution is not permanent and the research team formation is flexible, which makes the classification by the organization meaningless. Therefore, the research project is considered as one of series units for appraisal, and thus the appraisal criteria should be applied electively to the research project and record types. Third, the appraiser for the research record should be the researcher himself, who is the producer and expert of the research records. And the record manager should take the role of a coordinator preparing the appraisal plan, appraisal criteria, and overall appraisal procedures. In other words, the appraisal for research records is the collaboration between research professionals and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and it should be carried out in consultation with the two expert groups. The research records are often appraised during or even before the production phase in the sense that they are digital data. Fourth, the essential tools in the appraisal process are the disposition schedule and the appraisal criteria. The disposition schedule should define the target to be produced and acquired based on the careful analysis about the record types. The disposition schedule of United States, which was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the records types, would be acceptable in view of the fact that enough description about record type is necessary. The criteria for the appraisal has to include ‘scientific value, historical value, uniqueness, full documentation, cost, maintenance of basic requirements, technical consideration’ in terms of the individual value of research records and ‘mission alignment, legal obligation, contribution to public, institutional achievement’ in terms of the long-term value of institute. As the gradual popularization of the term ‘data curation’ suggests, the user wants to receive the necessary data in a good quality. If the appropriate processes and criteria for the research records appraisal are managed systematically, the active data-sharing would be supported beyond the effectiveness of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Even if an absolute appraisal criteria or a model is not likely, the appraisal model in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e sense that it was not applied to an actual appraisal process. In the future, the environment appraisal should be adjusted in accordance to the continuing changes in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environments. In the process, the appraisal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develop into a more orderly system with an additional efficiency and rationality through failure and renovation.

      • 동영상기록 관리 방안 연구 : 방송영상자료 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송태원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711

        동영상기록 관리 방안 연구 - 방송영상자료 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 송 태 원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지도교수 이 해 영 기록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발전해 왔다. 가장 처음 문자의 형태로 이루어져 후대에 전승되었으며, 현재는 사실그대로를 담아 낼 수 있는 이미지와 영상기술의 발달로 동영상기록의 형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미디어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누구나 쉽게 동영상을 생산할 수 있고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으며 이를 통해 수많은 형태의 동영상은 동영상기록의 가치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특히 현재 사회와 트렌드를 반영하여 제작되는 방송자료와 개인이 생산한 수많은 동영상 자료들은 동영상기록으로 선별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동영상기록이 문자 형태의 기록과는 다른 기록정보의 구성과 객관적 사실을 기록정보로 표현할 수 있다는 특징과 그 중요성의 인식으로 동영상기록에 관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시점이 온 것이다. 아직 기록에 대한 많은 연구는 문자 형태의 기록에 대한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동영상기록에 대한 연구는 시청각기록물의 범주 안에서 연구 되고 있으며 동영상기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영상기록에 대한 연구로서, 동영상기록의 특징을 살펴보고 동영상기록 관리 방법을 제안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동영상기록과 다른 유형의 기록을 비교하여 특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특징과 현재 영상기록 지침 등을 종합하여 4가지 사례 분석 기준을 설계하였다. 다음 모범적인 사례를 선정하기 위해 동영상기록이 될 수 있으며 가장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방송영상자료를 관리하고 있는 방송국 아카이브를 사례로 선정하였다. 방송국 아카이브 사례별로 면담 및 관련 자료를 토대로 사례 분석 기준을 통해 사례 현황 및 사례별 관리 방법 등을 도출 하였다. 도출 된 결과를 비교하여 4가지 사례 분석 기준에 가장 잘 이루어지고 있는 관리 방법을 동영상기록 관리 방법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동영상기록의 물리적 형태에 대한 관리 방법과 동영상기록의 기록정보가 구성되는 구조에 따라 이를 이용자가 접근 할 수 있고, 활용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는 것에 대한 내용을 주로 연구 하였다. 따라서 동영상기록이 기록적인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다. 그러나 동영상기록에 대한 특징을 도출하여 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에 동영상기록을 활용하기 위한 관리 방법을 연구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기계학습을 이용한 기록 텍스트 자동분류 : 서울시 정보소통광장 문서를 활용한 사례 연구

        김해찬솔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711

        현재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 혁명이 주목받고 있으며, 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인공지능은 4차 산업 혁명을 주도하는 기술이다. 현재 대부분 기록관이 기록관리 전문요원 한명만이 배정된 상황에서 기록관리 전문요원이 모든 기록관리 업무를 혼자 수행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이에 대한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전문 인력은 부족한 상황이고 그로 인해 기록관리 업무는 평가주도의 업무에 치중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술의 기록관리 업무의 접목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술 중 기계학습을 이용한 기록 텍스트의 자동분류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테스트는 국내 인공지능 툴인 한국전자통신 연구원(ETRI)의 엑소브레인을 기반으로 서울시 정보소통광장의 결재문서를 활용하여 정부기능분류체계로 자동분류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통하여 기록물 분류 업무에의 인공지능 기술 적용 가능성을 확인 하였고, 추후 기록관리 기관에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을 제언하였다. 자동분류는 오분류 교정 등 기록의 관리 측면에서도 유용할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기록물 디스크립션에 의존했던 전통적인 검색에서 기록 내용 기반의 검색과 활용으로 크게 한 걸음 나아가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이 연구가 기록물관리기관에 산재해 있는 방대한 기록 처리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Currentl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ttracting attention worldwide, and various researches are under way. Artificial intelligence is lea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urrently, in most record centers, only one records professional carries out all records management work alone and the burdens are great, thus problems have been raised continuously. Therefore, experts are not enough, the records management work is focused mostly on the evaluation work.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into records management is increasing. In this research, automatic classification testing of records text using machine learning amo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was conducted. Based on the Exobrain of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ETRI), using the approval documents of the Seoul Information Communication Plaza, set of tests was conducted to categorize the documents automatically into Business Reference Model (BRM) classification scheme. The results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 the records classification work, and it suggested considerations for applying it to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Automatic classification may be useful for managing records, such as calibration of misclassification, but ultimately it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go a step further by retrieving documents based on records contents, away from traditional searches which relied on the description of record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solve the enormous problem of record processing in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s.

      • 대학주제기록관의 효율적 운영방안

        윤철진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1711

        전통적으로 진리의 상아탑으로 상징되며 소수 지식인 집단의 전유공간이었던 대학은 역사의 발전과 시민의식의 성장에 따라 능동적으로 외부와 소통하고 사회의 발전을 이끌어 가는 핵심 주체가 되었다. 따라서 현대의 대학은 고등교육을 통해 전문적 지식과 소양을 갖춘 인재를 배출해 내는 기본적인 임무를 수행함과 동시에, 여론형성의 장으로 기능하기도 하며, 시대의 요청에 부응하는 사회적 역할을 실천해야 할 의무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대학은 지역사회의 역사를 보존하고 관련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해 기록을 관리하기도 하며 대학과 관련 있는 개인의 기록, 특정 학문분야의 역사와 정체성확보, 사회적으로 중요한 사상 또는 과거 지식인들의 민주화 운동・노동 운동의 근거지로서 그 역사를 보존하고 공유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록을 수집하고 관리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노력은 대학 내 주제기록관의 운영으로 나타나고 있다. 주제기록관들은 공식적인 기록관리의 테두리에서 벗어나 있는 학문분야, 사회적 소수, 지역공동체 등에서 한 주제 분야에 특화된 기록을 관리하기 위한 기관으로 설립되어졌는데, 특히 대학의 주제기록관은 그 본래의 의미 외에도 대학의 사회적 역할의 외연을 확장시키는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즉 대학의 부속시설로서 지역공동체의 역사를 보존하고, 보유한 주요 사료를 통한 사회교육활동을 펼칠 수도 있으며, 학내외의 연구자들을 위한 연구 활동의 장으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대학 내의 유사 시설인 도서관, 박물관의 협력적 공존을 통하여 보다 적극적인 활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학 내의 주제기록관은 대학이 사회로부터 가지는 의미를 통해 보다 큰 존립의 당위성을 획득하고, 대학이 보유한 다양한 인적・물적 기반을 공유할 수 있다는 특수성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현재 국내의 대학의 주제기록관은 초기적인 단계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 국내의 대표적인 대학 주제기록관으로 손꼽을 수 있는 성공회대학교 민주자료관의 역사도 10여년에 불과하여, 유구한 기록관리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온 하버드 의학역사센터, 아이오와 여성아카이브와 같은 해외대학의 주제기록관과 비교하여 문화적・현실적 차이에서 비롯되는 운영상의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공공분야의 기록관리를 중심으로 급격히 발전해온 국내 기록관리 환경에서, 수집을 중심활동에 두어야 하는 주제기록관의 근본적인 특성과 수집된 기록물의 활용, 미약한 인적・물적 기반은 대학 주제기록관이 넘어서야할 한계이다. 따라서 대학 주제기록관이 보다 내실 있는 기록물관리기관으로 기능하기 위해 기록물 수집을 위한 다각적인 협력방안의 모색, 소장물의 공유와 통합적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의 구축, 운영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적극적 후원집단의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하여 역사와 문화를 보존・전승하며, 대학의 사회적 역할을 지원하는 필수 기관으로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 University, being traditionally symbolized as an ivory tower of truth and an exclusive space for minor intelligentsia group, has become a key agent that leads social development while maintaining an active communication with outside in line with historical evolution and growth of civic consciousnes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contemporary university plays a role of performing a basic duty of turning out talented human resources equipped with specialized knowledge and attainments through higher education on the on hand and provides an arena of forming public opinion by having a sense of obligation of realizing social role of answering for a call of the times on the other at the same time. In this perspective, university manages relevant records in order to preserve history of local community and to develop relevant research. Furthermore, university also collects and manages relevant records as a means of not only securing university-related personal records and history/identity of specific academic field but also preserving and sharing its history as a base of socially important thought or democratic, labor movement of the past intelligentsias. This effort is represented by an operation of special subject repository within campus. Special subject repository was established as an institution of managing records specialized in any one field among academic field, social minors and local community wandering away from a category of an official archives and in particular, special subject repository of the university, in addition to its original meaning, has a great significance of expanding a scope of social role of the university. As an annexed facility of the university, this repository has a function of preserving history of local community, being able to unfold social,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major historical records under possession and providing an arena of research activity for the researchers inside and outside of the campus. Along with these activities, through a cooperative coexistence with library and museum, similar facility in campus, more active utilization service could be provided. As mentioned hereinabove, special subject repository in campus will obtain more broad justification for its existence through a social meaning of university and represent special characteristics of being able to share diversified human and physical base possessed by the university. However, currently, special subject repositories of domestic universities mostly remain at their initial stage. History of democratic archives of Sungkonghoe, one of a handful of typical domestic subject repositories is only 10-odd years old and we are faced with an operational limitation caused by a cultural and realistic gap when comparing with special subject repositories of overseas universities including Harvard medical history center that has been developed together with time-old archives history and Iowa Women's Archives. Under the domestic archives environment being rapidly developed based on archives of public sectors, basic characteristics of subject repository of having to give importance to record collection activity, utilization of collected records and weak human and physical base are the limitation university repositories should overcome. Therefore, in order to have special subject repository of the university functional as a more internally stabilized repository, pursuing diversified cooperative plan for collecting records, establishment of network for sharing collections and providing integrated service and development of positive sponsoring organization for securing operational stability are considered to be required. Through this effort, special subject repository of the university will be able to preserve and succeed history and culture and be operated as an essential institution supporting social role of the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