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의 대학기록관 검색시스템 현황과 대안

        류영윤 동의대학교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대학기록관의 홈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록물 검색시스템의 현황과 검색 과정, 검색 요소를 분석하고 대학기록관 검색시스템의 표준안을 제시하였다. 대학기록관 홈페이지의 검색시스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록물 검색시스템에서 검색 유형의 구분과 각 종 검색에서 사용되는 검색 요소의 구분이나 명칭이 기록관마다 서로 다르게 통일성 없이 사용되고 있다. 둘째, 간단검색, 상세검색, 분류검색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검색어의 유형이나 하위 카테고리의 구분이 균일하지 않고 용어 사용의 통일성이 없다. 뿐만 아니라 검색어의 조합을 위한 연산자도 사용하지 않는 기록관이 많았으며 그 종류도 AND와 OR 두 종류에 그쳤다. 위의 분석 결과를 비교 종합하여 대학기록관 검색시스템에서 준용할 수 있는 표준적 대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검색의 유형은 1차적으로 간단검색, 상세검색, 분류검색으로 구분하도록 한다. 둘째, 간단검색은 검색요소의 구분 없이 단일 키워드만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검색 결과에 대하여는 결과 내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상세검색은 1차적으로 검색어의 유형을 구분하여 검색어를 입력하며, 검색어는 최대 3개까지 사용하고, 검색어의 조합을 위해 AND, OR, NOT 등 세 종류의 연산자를 사용한다. 상세검색의 결과 역시 결과 내 검색을 반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분류검색은 출처분류, 주제분류, 기능분류로 그 유형을 구분한다. 출처분류의 하위 카테고리는 먼저 교내 기관과 교외 기관으로 구분하고 교내 기관은 모기관인 대학의 조직 구조에 따라 법인, 대학본부의 부처, 단과대학, 부속기관으로, 교외 기관의 경우는 대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육기관, 행정기관, 기타 공공기관, 기타 단체나 개인으로 구분한다. 주제분류의 하위 카테고리는 대학 역사, 대학 홍보, 대학 문화, 대학 교육, 대학 연구, 대학 인사, 기타 등 7가지로 구분한다. 기능분류의 하위 카테고리는 기관 운영, 홍보 및 협력, 학사 운영, 교육 활동, 연구 활동, 자치 활동 등으로 구분한다.

      • 만성요통환자의 Bee Venom과 Sweet Bee Venom의 치료효능에 대한 임상적 연구

        김재홍 東義大學校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요통은 현대인에게 자주 발병하는 통증 중의 하나로1) 질환의 특징적인 용어가 아니라 요부에 나타날 수 있는 동통 증후군을 광범위하게 표현하는 것으로 주로 하부요추, 즉 요추신경이 끝나는 제2요추 이하부터 천장골 관절까지의 범위에서 기인하는 동통을 총칭한다2). 특히 요통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요통이라 한다3). 봉약침요법(Bee Venom Pharmacopuncture Therapy)이란 살아있는 꿀벌(서양종 일벌-Apis mellifera)의 독낭에서 봉독을 추출, 가공하여 약침제제로 만든 후, 변증을 통하여 선정된 혈위에 적정량 주입함으로써 침 자극과 봉독의 약리학적 자극을 동시에 응용하는 전문적 침구학의 한 분야이다4). 봉약침은 진통 소염효과가 있고5,6), 면역계에 작용하며7) 많은 임상 보고를 통하여 퇴행성 슬관절염8,9)이나 고관절염10), 류마티스 관절염11,12), 요추간판 탈출증13-15), 중풍후유증16,17) 등의 질환이나 다발성 경화증18), 근위축성 측삭경화증19), 그리고 근 이영양증20)과 같은 난치성 질환에도 유의한 치료효과가 있음이 보고 되고 있다. 그러나 치료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allergy반응은 시술자나 환자에게 있어서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고, 특히 봉독에 대한 과민성을 지닌 경우에 발생하는 전신 즉시형 반응인 anaphylactic shock은 봉약침 시술을 망설이게 하는 중요한 장애요인이다21).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봉약침의 항원역할을 하는 효소를 봉독에서 원천적으로 제거한 효소제거 봉독(이하 Sweet Bee Venom)이 개발되었고22), 선행연구를 통하여 봉약침에 의한 아나필락시 반응의 위험을 낮출 수 있음이 보고 된 바가 있으나23) 아직까지 치료효과에 대한 유효성과 안정성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편이다. 이에 2008년 3월 1일부터 2008년 6월 30일까지 동의대학교 부속 한방병원 침구과에 만성요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Bee Venom 치료군(이하 BV군)과 Sweet-Bee Venom 치료군(이하 SBV군)의 치료결과를 비교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특수강자재 구매요인이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홍루겸 동의대학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특수강자재 구매요인이 만족도를 매개하여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법을 이용한 실증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2년 9월 19일부터 10월 18일까지 설문조사는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 중 특수강자재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구글설문지를 이용한 전자설문조사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전자설문조사방법으로 360명의 응답이 수집되었는데, 전자설문조사방법에서 모든 문항을 필수문항으로 지정하여 수집된 모든 설문자료가 끝까지 완료되었다. 이에 최종적으로 360부의 유효설문지를 통계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코딩과정을 거쳐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0 for windows & AMO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생변수인 특수강자재 구매요인은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제품품질, 인지도, 공급가격, 안전성, 대응성의 5개 요인으로 묶였다. 둘째, 내생변수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몰입, 고객만족, 재이용의도, 구전의도의 4개 요인으로 묶였다. 셋째, 특수강자재 구매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인지도, 대응성은 몰입에 영향을 미쳤고, 제품품질, 공급가격, 안전성, 대응성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제품품질, 공급가격, 안전성은 몰입에, 인지도는 고객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만족도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몰입과 고객만족은 재이용의도와 구전의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using a self-reported survey method to investigate how the purchase factors of special steel materials affect behavioral inten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satisfaction.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9 to October 18, 2022, among those who have purchased special steel material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n electronic survey method using Google Forms for people living in the Busan and Gyeongsangnam-do regions who have purchased special steel materials. 360 responses were collected through the electronic survey method, and all questions were designated as mandatory in the electronic survey method, so all survey data collected were completed to the end. In the end, 360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coded and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0 for windows and AMOS 25.0.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the exogenous variable, special steel material purchase factors, was grouped into five factors: product quality, awareness, supply price, safety, and responsivenes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econd, the endogenous variables were grouped into four factors: commitment, customer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and oral intention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rd, we analyzed the hypothesis that special steel purchase factors would affect satisfaction, and found that awareness and responsiveness affected commitment, while product quality, supply price, safety, and responsiveness affected customer satisfaction. Product quality, price, and safety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mmitment, and awarenes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Fourth, we analyzed the hypothesis that satisfaction would affect behavioral intention, and found that both engagement and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oth repurchase intention and oral intention.

      • 인터넷 쇼핑몰의 특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은주 동의대학교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쇼핑몰에서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식별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살펴보고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식별한 선행요인들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콘텐츠 특성, 상호작용성, 결제안정성, 배송 위험, 프라이버시 위험으로 범주화 이들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과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현재인터넷 쇼핑몰의 주요 고객임과 동시에 향후 인터넷 쇼핑몰의 주 고객층으로 예상되는 대학생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부산에 위치한 대학교의 경영학과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유효 설문지 279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소비자의 구매의도의 선행요인들은 콘텐츠 특성, 상호작용성, 프라이버시 위험, 배송 위험 그리고 결제안정성으로 분류되었으며, 또한 변수들 간의 신뢰도 검정결과, 일정한 기준을 충족시켜 선행요인들은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결과 단일 차원성이 입증된 각 요인에 대하여 요인들 각각 관련성 정도 및 방향성을 판단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관계수의 값들이 콘텐츠 특성, 상호작용성, 결제안정성이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프라이버시 위험과 배송 위험이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연구과제와 통계적으로 대부분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고 어느 정도 방향성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항목들은 회귀분석의 적용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회귀분석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F값은 16.487로 유의수준 p=.000에서 전반적으로 유의적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결정계수 R2는 23.2%의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살펴보면 상호작용성(t값= 4.384, p< .000)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라이버시 위험(t값=-2.985, p<.001)과 배송 위험(t값=-2.257, p<.005)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콘텐츠 특성과 결제안정성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결과, 인터넷 쇼핑몰에서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지각하는 프라이버시 위험과 배송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치의 마련이 시급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부산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들을 조사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다소 제약이 따른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특성을 가진 표본을 추출하여 연구결과를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

      •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영양교육 프로그램 효과평가

        이연숙 동의대학교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비만아동의 체중감량을 위한 영양교육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부산시내 한 초등학교 4∼6학년(11∼13세)를 대상으로 가정통신문을 통해 튼튼이교실 프로그램을 안내한 후 참여 동의서를 받아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이들 중 비만실험군(16명)과 비만대조군(13명)으로 나누어 비만실험군에서는 방과 후 프로그램으로 한 학기(3개월) 동안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주 2회, 운동프로그램은 주 3회 실시 하여 두 그룹 모두 사전·사후 생화학적 분석치, 활동상태, 영양소 및 식품섭취실태를 조사하여 그룹 간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를 비교해본 결과 다음과 같았다. 두 그룹 간 신체계측치 및 체력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혈액생화학치에서 실험군의 총콜레스테롤(TC: total-cholesterol)치는 유의하게 낮아졌다(p<0.05). 식습관 24문항을 점수화(100점)하여 분석한 결과 실험군의 식습관점수가 84.31에서 93.05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1), 영양지식 13문항을 점수화(15점)하여 분석한 결과 실험군의 영양지식점수도 10.54에서 13.63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24시간 활동량조사에서 신체활동구성면에서 실험군의 독서시간은 유의하게 낮아졌으며(p<0.05), 고강도 활동시간은 유의하게 높아졌다(p<0.01). 신체활동수준(PAL: Physical activity level)에서는 실험군의 고강도 활동수준이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p<0.01), 실험군의 경우 고강도활동량이 증가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1일 평균 영영소 섭취량에서 실험군에서 에너지 섭취량(p<0.001) 및 단백질(p<0.01), 동물성단백질(p<0.05), 당질(p<0.001), 식이섬유(p<0.001), 인(p<0.05), 철분(p<0.001), 식물성철분(p<0.001), 동물성철분(p<0.05), 나트륨(p<0.001), 비타민 A(p<0.001), 티아민(p<0.01), 리보플라빈(p<0.001), 나이아신(p<0.001), 비타민 C(p<0.05)) 등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의 에너지 적정비율은 탄수화물:단백질:지방 비율은 사전 58:15:27에서 사후 64: 14: 22로 나타났으며, 두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양소 섭취상태 평가(평균필요량보다 적게 섭취한 사람의 비율)는 실험군에서 오히려 인(p<0.05), 비타민 A(p<0.01), 리보플라빈(p<0.05)에서 평균필요량에 미달된 아동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식품섭취실태에서 두 그룹 간 식품군별 식품수와 빈도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실험군에서 총 식품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총 빈도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여(p<0.001) 실험군의 경우 식품섭취 다양성은 증가하였으나 식품을 먹는 횟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 par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losing weight of obese children at 4~6th grade(11~13 years old) in an elementary school in Pusan, explaining the healthy class program through home correspondence, receiving agreement for participation and selecting the subjec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e. a group of testing obesity(16 persons) and a group of comparing obesity(13 persons). For the obesity testing group,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exercise program were respectively practised twice and three times a week in a semester as an after-school program. The value of biochemical analysis, the state of physical activity, and the intakes of food and nutrie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r two groups were surveyed. The effect of running program for two groups was compared and the result was as follows. The values of body measurement and physical strength of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serum TC(total cholesterol)level of test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5). The grades of eating habit with score(100 marks)(p<0.001)(from 84.31 to 93.05) and nutrition knowledge with score(15 marks)(p<0.001)(from 10.54 to 13.63 )significantly increased respectively in the testing group. In the survey of 24 hour physical activity composition hours of reading(p<0.05) and high physical activity(p<0.01) of test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In mean daily physical activity level(PAL) high physical activity level of test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p<0.01). It means that the amount of high level of physical activity in testing group overall increased. The intakes of energy(p<0.001), protein(p<0.01), animal protein(p<0.05), carbohydrate(p<0.001), dietary fiber(p<0.001), phosphorus(p<0.05), iron(p<0.001), vegetable iron(p<0.001), animal iron(p<0.05), sodium(p<0.001), vitamin A(p<0.001), thiamine(p<0.01), riboflavin(p<0.001), niacin(p<0.001), vitamin C(p<0.05) of test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cceptable Macronutrient Distribution Ranges(AMDR) of carbohydrate: protein: fat was 58:15:27 before the program and 64:14:22 after the program in testing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AMDR between two groups. In the assessment of nutrient intakes the rates of children who were below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EAR) for phsphorus(p<0.05), vitamin A(p<0.01), and riboflavin(p<0.05) significantly increased in testing group. In the assessment of food group intake the total number of different food items consumed(p<0.05) and the total frequency of food consumption(0.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decreased respectively in test group.

      • ?製附子 및 ?製附子 함유 蔘附湯의 aconitine 함량 분석과 단회투여 독성시험

        배정후 동의대학교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15

        연구목적 : 1. 炮製附子 원약재, 炮製附子 열수 추출물, 炮製附子 함유 蔘附湯 열수 추출물의 독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aconitine 함량을 분석하였다. 2. 炮製附子 함유 蔘附湯을 Sprague-Dawley계 암수 6주령 랫드에 단회 경구투여시 나타나는 독성을 평가하였다. 연구방법 : 1. 炮製附子 원약재, 炮製附子 열수 추출물, 炮製附子 함유 蔘附湯 열수 추출물의 aconitine 함량은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의 순도시험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2. 炮製附子 함유 蔘附湯 열수 추출물의 단회경구투여독성시험은 炮製附子 함유 蔘附湯 열수 추출물 2,000 mg/kg의 용량 및 대조군(주사용수)의 2군으로 하고, 암수 각각 5 마리씩 단회 경구투여하였다. 투여 후 14일 동안, 일반증상의 관찰 및 체중측정을 실시하였고, 관찰기간 종료 후, 혈액생화학적 검사, 부검 및 간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 1. Aconitine 함량은 炮製附子는 0.0785%, 炮製附子 열수 추출물은 0.1510%, 炮製附子 함유 蔘附湯 열수 추출물은 0.1248%로 측정되었다. 2. 암수 대조군 및 2,000 mg/kg 투여군에서 사망례는 없었다. 3. 암수 대조군 및 2,000 mg/kg 투여군에서 일반증상의 이상은 없었다. 4. 암수 2,000 mg/kg 투여군에서 유의성 있는 체중변화는 없었다. 5. 혈액생화학적 간지표인 ALT, AST, ALP, GGT 및 LDH를 검사한 결과, 암수 2,000 mg/kg 투여군에서 유의성 있는 변화는 없었다. 6. 부검시, 암수 대조군 및 2,000 mg/kg 투여군에서 장기 및 조직의 육안적 이상 소견은 없었다. 7. 간의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 암수 2,000 mg/kg 투여군의 간에서 시험물질의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결론적으로 炮製附子를 단독으로 煎湯했을 때 보다는 人蔘을 配伍한 蔘附湯을 煎湯했을 때에 aconitine 함량이 더 낮아지는 것으로 보아 人蔘이 附子의 독성을 줄일 수 있었으며, 炮製附子 함유 蔘附湯의 단회경구투여시험에서 중독량과 치사량을 훨씬 많은 양을 투여해도 이상반응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에서 규정용량을 사용한다면 간독성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 청소년 미디어교육에 대한 연구 : 존 듀이의 민주주의 교육론을 중심으로

        유진아 동의대학교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15

        미디어가 인간을 둘러싼 새로운 환경의 역할을 하게 되면서 미디어교육은 미디어 이해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근본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으로서의 교육으로 확대되었다. 미디어가 언어이자 환경이라는 것은 미디어 능력이 인간의 본질적인 능력의 하나임을 말해주는 이론적 토대가 된다. 미디어 교육이 중요한 또 다른 이유는 시민의 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미디어 시민은 디지털화와 다양한 미디어 등장 및 통합의 환경 속에서 사회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인간형이다. 21세기 미디어 교육은 바로 이러한 인간형을 양성하는 데 가장 적합한 방법론인 것이다. 본 연구는 민주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이며, 교육이 추구하는 목표는 궁극적으로 올바른 민주사회의 실현임을 주장한 미국의 철학자이자 교육자인 존 듀이의 사상을 이론적 배경으로 한다. 연구 대상으로 청소년 미디어교육 사례인 <2015 부산․경남지역 자유학기제 미디어교육>을 분석함으로써 존듀이의 교육 이론이 미디어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교육을 진행 한 미디어교육 강사 7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와 E-mail 인터뷰를 진행했다. 연구 내용은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우선 존 듀이의 교육 방법론인 반성적 사고 과정과 청소년 미디어교육 사례와 얼마나 부합하는지 확인해보고자 ‘제안’, ‘문제의 설정’, ‘가설의 설정’, ‘추리’, ‘행동에 의한 가설의 검증’이라는 반성적 사고 단계와 <2015 부산․경남지역 자유학기제 미디어교육>을 비교해 보았다. 다음은 교육 목표로써 시민성 개념이 활용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강사들의 교육 사례에 대한 인터뷰 속에서 듀이의 네 가지 시민성 개념인 ‘인간성’, ‘도덕성’, ‘사회성’, ‘정치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존 듀이의 교육 사상은 미디어교육 방법적인 측면과 교육 목표의 측면 모두 의미 있는 시사를 주고 있었다. 먼저 미디어교육의 방법론으로서 결론을 요약하자면 미디어제작 교육 과정과 다섯 가지 단계로 구성 된 존 듀이의 반성적 사고 과정이 유사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미디어를 이용한 문제 제시’, ‘문제 상황 명료화‧구체화’, ‘기획’, ‘미디어를 활용한 제작 활동’,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피드백’이 그 내용이다. 미디어교육의 목표로서 존 듀이의 시민성 개념에 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인간성’ 개념은 미디어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 환경 속에서 사회적인 성향이 만들어지고 ‘관계 형성’을 통해 스스로 주체성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도덕성’ 개념은 반성적 사고 과정을 활용한 미디어교육의 질적인 경험을 통해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세 번째 ‘사회성’ 개념은 실천적인 측면 즉 의사소통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미디어 교육은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교육의 목표이기도 하면서 교육을 이끌어가는 수단이기도 했다. 네 번째 ‘정치성’ 개념에 관한 사례는 수업에서 다루는 내용과 주제 자체를 정치적인 것으로 설정하거나 교육을 운영하는 방법 자체가 민주적이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논의에서 살펴본 결과 교육 방법론과 목표로써 듀이의 교육론이 오늘날 민주시민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기르는데 이바지할 수 있으며, 그로부터 도출한 교육적 대안은 오늘날 우리들에게 민주주의 교육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 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