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애니메이션 등장 인물명의 일한번역 방법고찰

        이영미 동덕여자대학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31

        연구는 애니메이션 등장인물의 이름을 번역 과정에서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관해 실험언어학적인 방법을 통해 고찰한 논문이다. 영화 등장인물의 이름은 일본어 이름 그대로 소리를 빌어 음역하는 것이 대부분인데, 단순한 음역으로는 인물의 이미지가 우리나라 관객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때로는 원작에서 느껴지는 재미가 사라지는 경우가 있었으므로, 등장인물명도 적당한 번역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문화번역이론을 고찰한 후, 현대의 대표적인 번역이론인 비교문체론과, 해석학적 번역이론을 바탕으로, 이름 번역의 바람직한 방법으로서 번안을 제시하였다. 번안은, 이름의 의미를 해석하여 재창조하는 것이므로, 이름이 의미를 가지는지 명확히 하기 위해 고유명사의 의미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이름, 특히 일본인의 이름이 풍부한 의미적 요소를 가진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실제로 우리나라에 수입되어 개봉된 일본 애니메이션은 어떤 방법으로 번역이 이루어져 있는지 조사해 보았다. 이 실태 조사에서는 영화 진흥 위원회의 조사 자료인 일본 대중문화 개방이후부터 2004년까지의 극장 개봉작 17편을 대상으로, K. Barnwell이 제시한 번역될 나라의 문화에 생경한 개념을 번역하는 세 가지 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그 유형을 나누어 보았다. 17편의 작품에 등장한 201개의 등장인물명을 분류한 결과, 첫째, This paper mainly examines how to translate characters' names in Japanese animations using the methodology of experimental linguistics. Most of the names of Japanese movie characters are transliterated with phonetic equivalents. However, in some cases, transliteration fails to deliver originally intended images of the characters to Korean audiences and even makes original films uninteresting and dull. In this regard, we should look into a better way to properly translate the character name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this paper studies cultural translation theory and suggests an adaptation as a new methodology for name translation based on comparative stylistics and the interpretative theory of translation, both of which are major translation theories of today. Adaptation is the method by which the original meaning of a name is interpreted and recreated. Therefore, this paper looked into the existing researches on the meanings of proper nouns to clarify whether names have meanings and found out that Japanese names, in particular, contain a lot of semantic elements. In addition, this paper carried out a research on translation methods of imported Japanese animations.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previous data of Korean Film Council on selected 17 Japanese animations that were released in Korea from the first introduction of Japanese pop culture to 2004. The animations were divided into subcategories based on the three methods suggested by K. Barnwell that are applicable to translating an unfamiliar concept in a country where the translation are targeted. Among 201 character names appeared in the 17 animations, (1) 1 case (0.5%) used an explanatory expression, (2) 166 cases (82.59%) borrowed foreign words, (3) 27 cases (13.43%) were translated into familiar equivalents and (4) 5 cases (2.49%) belonged to "others". This clearly shows many translators are negligent of the importance of delivering the implied meanings of the character names. In this paper, an experiment using SD(Semantic Differential) method was conducted for the exact analysis of images conveyed by names, which is an essential process for a good adaptation. Originally devised by Osgood, SD is a type of a rating scale designed to measure connotative or emotional meaning of objects or words. In this experiment, subjects (107 Koreans and 106 Japanese) were given 5 character names and asked to respond to 15 bipolar adjective pairs presented at either end of a seven-point scale. By analysing the results, I was able to identify perceived images of the following names and the major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respondents. Regarding ‘ケンイチ’, Korean respondents perceive its image as masculine, docile, old and firm Japanese respondents perceive it as a masculine, old and very common name, giving a mediocre score in terms of personality evaluation. ‘ロック’ reminds both Korean and Japanese respondents of a similar image- masculine and strong for Koreans and masculine, strong, lively and young for Japanese. Regarding ‘チヨコ’, both Korean and Japanese respondents agree that it contains feminine and tiny image. But Koreans think of it as a tender, pretty, and youthful name while Japanese people consider it as a mild, old-fashioned, and old name. Especially, almost 50% of the Japanese respondents said it sounds very outdated. In the case of ‘ゲンマ’, Japanese perceived it as very rare and its image as very manly, active and strong while Koreans didn't think of any particular images about the name except for masculinity. ‘ネプ’ was recognized as a very rare name by both Korean and Japanese respondents, and in particular, 70.8% of the Japanese respondents said so. However, Japanese respondents perceive ‘ネプ’ as modern while Koreans feel its image as gentle. And then, another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adapt three names (ケンイチ, チヨコ, ゲンマ) that showed the most distinct cultural differences.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ケンイチ’ can be best translated into ‘철수’, ‘민수’, ‘영수’, チヨコ’ into ‘순자’, ‘미자’, ‘영자’ and ‘ゲンマ’ into ‘강혁’, ‘창?

      • 박영신의 졸업 작품 「친구와의 추억」분석

        박영신 동덕여자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발표한 4곡의 작품을 분석 한 것이다. 졸업 공연의 큰 주제는 <친구와의 추억> 이고, 본인의 인생에서 만났던 친구들 중 기억에 남는 4명의 친구이야기를 가사에 담은 노래 곡들로 구성하였다.

      • 건강 및 식이요인과 시력장애와의 관련성 : 굴절이상을 중심으로

        최혜정 同德女子大學校大學院 1998 국내박사

        RANK : 249631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평균수명을 포함한 국민건강수준이 향상되고 있으나 그와는 상반되게 임상적 측면에서 본 안과질환중 굴절이상에 의한 시력장애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므로, 국민보건상 건강과 시력과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다루어 보아야 할 시점에 와있다. 따라서 국내 여러 연구자에 의해 굴절이상에 의한 시력장애의 이환율을 파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가 있었으나 거의 대부분이 특정집단인 유아를 대상으로 하거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로 수행되었으며, 그 이외의 연구에서는 극히 연령이 제한적인 군 입대 보충병들을 대상으로 하거나 안과 병원을 찾는 환자들에 제한되어 있다. 그러므로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대표성 있는 굴절이상에 의한 시력장애 이환율을 추정하여 문제의 심각성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굴절이상에 의한 시력장애의 증가추세를 바로 잡기 위해서는 예방사업이 필요하고 예방사업을 위해서는 굴절이상을 일으키는 원인규명이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본 연구자는 굴절이상에 의한 시력장애의 이환율을 도출하여 시력장애의 양상과 인구특성별 문제의 심각성을 파악하고, 굴절이상의 주된 원인을 규명하여 국민보건향상을 꾀하는 방안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구리시 주민 중 20세 이상의 성인 492명을 대상으로 자동굴절검안기 (autorefractor) 를 이용한 시력조사,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식이섭취조사, 혈액검사 등을 통한 질병조사, 설문조사를 통한 건강행위중 음주, 흡연, 운동, 수면상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굴절상태를 분석해 보면 정시안이 총 대상안의 32.0 %, 비정시안이 총 대상안의 68.0% (근시 57.1%, 원시 10.9%) 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매우 높은 비정시안의 이환율을 나타내고 있다. 우안과 좌안의 굴절력을 비교한 결과 우안이 더 근시 쪽의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남녀간에는 굴절이상 이환율의 유의한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조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량 조사에서 에너지, 칼슘 및 비타민 A의 섭취량이 남,녀 모두에게서 권장량의 70% 정도에 불과 하였으며 여성에게서는 철분이, 남성에게서는 비타민 B_(2) 의 섭취가 권장량 보다 낮았다. 또한 영양소 섭취량을 성별로 비교한 결과 비타민 A, B_(1), B_(2), C, 레티놀, 섬유소 및 카로틴 등의 영양소 이외의 다른 모든 영양소 섭취량의 남녀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p<0.05). 모든 영양소에서 섭취량의 평균치가 국민영양조사보고에서 보여주고 있는 전국 평균치보다 약 5% 가량 낮게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질병이환율은 간 기능장애가 4.8%, 고지혈증 2.6%, 간염이 3.4%였고 고혈압은 12.5%, 빈혈이 11.1% 등이었으며, 전체 조사대상자의 5.3%가 당뇨병환자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남성의 54.2%, 여성의 10.3%가 음주를 즐기고 있으며 남성 음주율이 여성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높았으며 (p≒0.000), 남성의 36.0%와 여성의 27.0%가 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녀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p=0.036). 남성의 65.2%와 여성의 58.9%가 수면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의 63.7%와 여성의 6.7%가 흡연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시군에 비하여 근시군에서의 영양소 평균 섭취량이 모든 영양소에서 5-15%가량 높게 나타났으며, 한편 정시군에 비하여 원시군에서의 섭취량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난시군과 정시군을 비교할 때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를 제외한 나머지 16가지 영양소 섭취량이 난시군에서 정시군 보다 높게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환과 시력장애와의 관련성을 검토한 결과 간 기능장애 및 간염이환율과 근시 이환율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p<0.05). 원시이환율과 질병과의 관계를 검정한 결과 간 기능장애자에게서 원시이환율이 정상군 보다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p<0.05). 간염과 원시이환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17) 정상군에서의 원시이환율이 간염환자군에서 보다 높다. 원시의 경우와 같이 난시이환율도 간 기능장애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3). 간 기능장애군에서의 난시이환율이 정상군의 난시 이환율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간염의 경우 정상군에서의 난시이환율이 간염군에서의 난시이환율을 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p=0.012). 이상의 관찰결과는 간 기능장애가 시력장애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Chi-square test를 통해 시력장애와 음주, 흡연, 운동, 수면과 같은 건강관련요인과의 관련성을 검토한 결과 어떤 건강관련요인도 시력장애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여주지 않았다. 식이, 질병 및 건강관련 행위들이 시력장애에 영향을 미친 요인간의 우선 순위를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에 의해 분석한 결과 시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연령변수를 통제하면 간 기능장애가 최우선 순위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요인으로 건강관련행위 그리고 영양소 순이다. 식이요인 중에서 시력장애에 특이하게 관여한 영양소로는 근시에서는 카로틴, 난시에서는 나이아신이 영양요소 중 시력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ametropia and ii)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ametropias.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tested. 1. Ametropia would be caused by an individual's current disease as well as one's health status. 2. Ametropia would be influenced by one's health behaviors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3. With controlling age variable, dietary factors would be more important factors to the occurrence of ametropia than other factors of health status, such as drinking, smoking, exercise or disease status. 4. Some dietary factors related to the specific nutrients would influence occurrence of the ametropia in particular ways. Accordingly, surveys of 492 residents in the city of Kuri were conducted during the l month period from Aug 25 to Sept 13, 1997. The surveys included ametropia surveys adopting autorefracters, dietary surveys using the 24-hour recall method, disease surveys including blood and other diagnostic tests, and health status surveys using questionnaires with variables of smoking, drinking, exercise and sleeping. A population-based study of people aged above 20 years in Kuri city in Korea showed that 32.0% had emmetropia and 68.0% had ametropia (myopia 57.1%, hyperopia 10.9%). The percentage of ametropia in the population based study is higher than that of the clinic(O.P.D.) based study. The dietary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energy, calcium and vitamin A were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70% of RDA. In particular, iron intakes of female subjects and vitamin B_(2) intakes of male subjets were observed to be below the RD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mean intakes of nutrients, such as energy, protein, carbohydrate, fat, calcium, iron and niacin, were found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p<0.05). In general, the intakes of all nutrients surveys in this study were estimated to be 5% lower than the reported averages through nationwide surveys. The disease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valence of liver dysfunction to be 4.8%, hyperlipidemia 2.6%, cardiovascular disease 7.4%, hepatitis 3.4%, hypertension 12.5%, and anemia 11.1%. In addition, 25% of the female subjects suffered from osteoporosis, and 5.3% of total subjects showed symptoms of diabetes. The health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the habits of drinking, smoking and exerci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54.2% vs. 10.3%, 63.7% vs. 6.7%, and 36.0% vs. 27.0%, p<0.05). 65.2% of male subjects and 58.9% of female subjects were observed to be insufficient sleeping. As results of chi square tests to analyze the independence between variables of disease status and abnormalities of eyesight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liver dysfunction, hepatitis and myopia were found (p<0.05). The finding that prevalence of hyperopia were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disease groups, such as liver dysfunction, than non-disease group (p<0.05).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alence of hepatitis and hyperopia, with a higher rate of hyperopia in the non-disease group than in the disease group (p=0.017). Likewis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revalence of astigmatism, liver dysfunction and hepatitis (p=0.03) was found. Astigmatism was more frequent in liver dysfunction group (95.5%) than in the non-disease group (75.3%). On the other hand, subjects without hepatitis were exposed to a higher rate of astigmatism (77.3%) than subjects with hepatitis (50%) (p=0.012). In summary, the findings that more than 80% of subjects with liver dysfunction had abnormal symptoms indicated that liver dysfunction was closely related to abnormalities of eyesights. The average daily intake of nutrients were approximately 10% higher among the subjects with myopia than with emmetropia.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s with hyperopia consumed less than those with emmetropia. Also, subjects with astigmatism consumed more nutrients except for vitamin B_(1) and B_(2), than those with emmetropia. The results suggested that excess intake of some nutrients might be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myopia or astigmatism, and deficiency to hyperopia. As results of chi-square tests, it was found that none of the health status factors were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hyperopia (p>0.1). Stepwis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ith dependent variables with dummy status (group with ametropia and emmetropia), and candidate of independent variables selected from the chi-square tests mentioned above, were conducted for the estimation of priorities of causal factors to abnormal eyesight. As a result, after controlling age variables liver dysfunction was selected first, and smoking and exercise were also selected to build myopia model. Likewise in the case of astigmatism, liver dysfunction, hepatitis, drinking, exercise and nutrient factors, such as niacin, energy, protein, and hypertension were selected to build a model to explain the causes of astigmatism, in order of importance. In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disease might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ametropia, which was not expected from the generated hypotheses. In addition, a factor of health behavior including drinking and exercise would to be the second most important factor, and diet turned out to be the least influential factor to cause ametropia. In summary, liver dysfunction, drinking and exercise were selected to h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or the occurrence of myopia and astigmatism. Among dietary factors, it turned out to be that the occurrence of myopia is probably closely related to carotene intakes. In a similar way, the occurrence of astigmatism is also probably closely related to niacin intakes.

      •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현황 및 학부모 요구도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김진아 同德女子大學校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9631

        현대사회는 급속한 산업화와 더불어 지금까지 우리의 생활을 지배해왔던 가치관을 변화시켰다. 맞벌이 가정, 결손가정, 핵가족의 증가는 전통적인 가족의 역할에 변화를 초래하였고 이로 인해 자녀 양육 역할을 보충할 수 있는 대안을 요구케 만들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보육서비스에 관심이 집중되어 왔으며 학령기 아동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문제만 상존해 왔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방과후 성인의 보호 없이 길거리나 학원을 전전하며 방치되고 있는 학령기 아동의 전인적인 발달을 위하여, 더 나아가 자기보호아동의 비행문제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와 같은 비영리기관에서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이 정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초등학교 내에서 방과후 아동지도를 실시하고자 할 경우 프로그램을 도입해서 정착하는데 까지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현재 서울시내에서 방과후 아동지도를 실시하고 있는 3개 초등학교의 학교장, 프로그램 담당교사, 특별반 전담 일반교사, 학부모 등이었다. 조사 도구는 프로그램 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내용의 면담지와 현재 방과후 프로그램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를 묻는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 연구 대상 학교의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은 지역적 특성과 대상 아동의 수준에 따라 기본 방향 및 운영 방침이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현행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에 있어 개선방안은 크게 네 가지로 나타났다. 먼저, 초등학교 내에서 방과후 아동지도를 확대 실시할 경우 저소득층이 밀집된 곳을 대상으로 국가의 우선적인 지원정책이 수립되어야 하며 방과후 아동지도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보육서비스이므로 교육부에서 관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방과후 아동지도사 자격증이 수여되어 하며 취업모와 그 자녀에 대한 욕구와 정보를 기초로 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에서 대부분의 부모들이 초등학교 내에서 방과후 아동지도가 운영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고, 숙제 및 학습지도를 중점적으로 지도해 주기를 희망하였다. 현행 프로그램의 시설, 교구·교재, 운영 등에 관해서는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참여아동의 태도에 있어서도 정서적으로 안정이 되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향후 발전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아동지도 시설의 전문성을 확립하자는 것이다. 즉, 비영리 기관의 수를 늘려가며, 방과후 지도 시설간의 연대활동을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자원 개발과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방과후 아동지도비 역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지원이 있어야 하는데 저소득층이 밀집한 지역을 대상으로 우선적인 지원정책이 수립되어야 하며 기타 지역은 최소한의 비용을 수익자 부담으로 처리하는 조처가 필요하다. 둘째, 방과후 아동지도사의 자격과 자질을 갖추자는 것이다. 정부에서 방과후 아동지도 자격을 인정해주는 제도가 바람직하며 자격을 갖춤과 동시에 아동지도사는 아동의 욕구를 이해하고 아동과 효과적으로 의사 소통할 수 있는 기술을 지녀야 하며 레크레이션 지도 능력도 겸비해야 한다. 더불어 부모 참여를 촉진시키고 지역사회와의 교류를 통해 방과후 아동지도 시설에 필요한 자원을 조달하는 등 부모와 지역사회에 대한 서비스 활동을 담당해야 한다. 셋째,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을 지역사회서비스 프로그램으로 확대시 키자는 것이다.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이 학교 정규교육과 일반 사설학원과는 차별을 두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학부모의 적극적인 인식 전환이 있어야 하며 지역사회의 자원봉사자 등 인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Until now, child care in this country has largely been concentrated on young children under 7 without recognizing the problem of many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need care after regular school hours. This study was set out to illuminate the necessity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 care program and the direction to be taken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fter school programs at the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hich pioneered to take an action to solve the child care problem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principals, the after school program teachers, the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classes, and the parents of the three schools who were using the programs. They were seventy-five altogether.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both through teacher interviews and parent questionnaire. In the interviews,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the after school programs, the program content and management, difficulties and improvement idea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child care, etc. The parent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asking the parent's recognition, needs, and satisfaction concerning the program implemented.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basic policis and management plans regarding elementary schools child care need to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children. Second, after school programs should firstly be provided for children from low-income disfunctional families. Third, one governmental department need to be designated to take responsibility and to work more effectively on the problem of after school child care. Fourth, the care taking certificate for the after school program should be issued on the governmental level and the program content be constructed considering parent's needs. Finally, most of the parents wanted the after school program implimented at their children's schools, and homework guidance and academics be an important part of the program.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local organizations which could supervise and support after school programs. On this ground, elementary after school programs shall be spread as community service programs beneficial to children and parents.

      • 한국어 교육 초급 문법 항목 선정과 범주화를 위한 연구

        황지원 동덕여자대학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cognize the need for researches on selecting grammatical items suitable to each level in the gramma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to select the grammatical items in the elementary level. In Chapter 1, the importance of study of grammar i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preceding researches on gramma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were examined. In Chapter 2, since the gramma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s different from the teaching grammar as native language in the objects to be educated, educational purpose, and educational contents, the need was discussed for categorizing the grammar of Korean language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I presented ‘basic grammatical factors’, ‘syntax and meaning’, and ‘sentence expansion’ as the grammatical category of Korean language. The ‘basic grammatical factors’ mean word order, particle, and conjugation in understanding the sentence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The ‘syntax and meaning’ refers to syntax such as tense, negation, honorific that expresses semantically complex concepts based on ‘basic grammatical factors’, and the meaning such as presumption, wish. The ‘sentence expansion’ means modification, connection, connotation, and quotation that are necessary to form more complex structure. The grammar category presented in Chapter 2 was used as the framework to analyze grammatical items of the elementary level in Chapter 3 and Chapter 4 and select the grammatical items. Chapter 3 examined the contents and criteria of elementary evaluation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hat is conducted domestically, and <Public Grammar list>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grammatical items evaluated in the grammar part of the 16th∼18th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connected together. Besides, the elementary grammatical items in the Korean language text book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looking at the text books like Konkuk지원University’s지원<Discovering지Korean지Language>,지Sogang University’s지<Sogang지Korean지Language>,지and지Ewha지Womans University’s <Ewha Korean Language>. In Chapter 4, the grammatical items that were chosen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elementary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Chapter 3 were presented by grammar category of Korean language. In Chapter 5, the last chapter, I summarized previously discussed researches and based on the summary,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es was reaffirmed. Moreover, the possible direction for better researches was suggested in the area of selecting and categorizing grammatical items of educat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이 연구는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각 단계에 맞는 문법 항목의 선정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초급 단계의 문법 항목을 선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교육의 중요성과 한국어 문법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한국어 문법이 교육 대상과 교육 목표, 교육 내용면에서 국어 문법과 다르기 때문에 국어 문법 범주와는 다른 한국어 문법 범주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에 따라 초급 단계의 한국어 문법 범주로 ‘기본 요소’, ‘통사 의미’, ‘문장 확대’를 제시하였다. ‘기본 요소’는 한국어의 문장 구조를 이해하는 데에 기본적으로 교수·학습되어야 하는 어순, 조사, 활용을 뜻하며, ‘통사 의미’는 ‘기본 요소’를 밑바탕으로 하여 의미적으로 복잡한 개념을 표현하는 시간, 부정, 높임 등의 통사와 추측, 희망 등의 의미를 말한다. ‘문장 확대’는 통사적으로 더 복잡한 구조를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수식, 연결, 내포, 인용 등이다. 2장에서 제시한 문법 범주는 3장과 4장에서 초급 단계의 문법 항목을 분석하고 선정하는 틀로 사용하였다. 3장에서는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숙달도 시험인 한국어능력시험의 초급 평가 내용과 기준, 한국어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공개문법목록>, 한국어능력시험 초급 16∼18회 문법 영역에서 평가된 문법 항목을 서로 연관 지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급 문법 평가 내용이 <공개문법목록>과 출제된 문법 항목을 포괄하고 있지 못하였으며 <공개문법목록>은 초급 문법 항목으로 보기 어려운 문법 항목이 포함되어 있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한국어 교재의 초급 문법 항목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건국대학교의 『한국어』, 서강대학교의 『서강 한국어』, 이화여자대학교의 『이화 한국어』를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세 교재에 제시된 문법 항목에 큰 차이점이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한국어』와 『이화 한국어』는 초급 단계에서 교수·학습하기에 난이도가 있는 문법 항목을 제시하는 경우가 있었고, 『서강 한국어』는 다른 두 교재에 비해 문법 항목의 수가 적었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급 단계에 교수·학습되어야 하는 문법 항목을 선정하여 한국어 문법 범주별로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앞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이 연구가 갖는 의의를 확인하였으며 문법 항목 선정을 위한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 진채화의 현대적 색채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수령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9631

        Since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1945, Korean painting tradition has been largely influenced from the color painting style during the colonial era and the Chinese water color painting flourish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 the 1970's, "new Korean painting" was called for. As the western and eastern methods of color painting were largely introduced, new attempts and experiments were made by more and more young artists in the Korean painting society. Considering that art is the product reflecting 'Zeitgeist', the traditional Chinese water color painting style or the vintage ways of color painting have limits to express contemporary sense of beauty. From the recognition of such limits the Korean artists explore new experiments to express contemporary human life. In the new experiments various changes of materials and methods were needed. This paper mainly studies the effective ways to explore contemporary color painting, and it also deals with the historical changes of painting methods during Koryo and Chosun dynasties.

      • 영상매체에 있어서 캘리그라피의 특성과 표현효과에 관한 연구 : TV 타이틀로고를 중심으로

        남영은 동덕여자대학원 디자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31

        고도의 물질문명을 이룩한 현대의 대량 정보시대에 있어서 가장 많은 정보 전달의 수단이 되는 것이 문자이다. 서적, 신문, 잡지, 포스터 등의 인쇄매체를 통하여 우리는 헤아릴 수 없이 수많은 종류의 정보를 얻고 교환하게 되었으며 이것은 인류사회를 더욱 발전시켰다. 21세기는 디지털 시대이다. 디지털 기술이 우리에게 던져준 중요한 인식의 변화 중에 하나는 활자 즉 문자의 이미지성을 파악하게 해 주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활자는 전달의 기능이 가장 중요한 임무였다. 그러므로 활자 한자 한자의 낱자가 지닌 조형성이나 미학적인 가능성에 대해서는 관심을 두지 못했다. 그러나 컴퓨터 기술은 낱자 활자 하나에도 이미지를 부여할 수 있게 해주었다. 지금 하나의 ? Letter is most information transmission in times of a massive information when it accomplishes the material civilization of altitude. Through the print media of the book, the newspaper, the magazine and the poster, we got enormous information and we exchanged and these things developed the human society more. 21 century is digital age. The important change of the recognition from the digital technique is to grasp the image characteristic of letter. Until now the most function of the letter delivers the task. Therefore, it is not considered in the point of the aesthetics possibility and the moulding in the detail of the letter by letter. But the computer technique is able to give the image in piece of letter. The calligraphy design which is already one of the trend now, can be understanded at the point of unknown expression about this kind of letter. In the dictionary meaning of calligraphy is "writes in beauty" in the idea of the sensitivity and humanity, in opposition to the concept of cold and icy machine from the digital. In origin of the words is "Kallos(beauty) + graphy", the "Kallos" means beauty in Greek, and the "graphy" means the "the skill in writing, the expression of the writing". Therefore, the calligraphy means " the beautiful skill in writing". The calligraphy has the natural unique specificity out of the frame not like the type of letter from the electronic publishment which is standardized and geometrical in west culture. The calligraphy must not be grasped in the only view of the opposed position against the machine aesthetics. It has better to be looked at one of the process of the search and the test of the image in the letter recognized newly by the digital technique. It is going to grope the positive and the efficient application plan with the logo from TV title, and finding the forms of expression and the present condition with the logo from TV title using the calligraphy in this dissertation. It, also suggests the role of direction which will advance. To expect the calligraphy be Korean traditional design, it needs to express our specific culture and an emotion, so it is not thrown away as a trend in the short te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