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Visual Communication 측면에서 접근한 판타지(Fantasy)장르에 관한 연구 : 만화,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이신영 동덕여자대학원 디자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eople adore and afraid of the world of fantasy. The fantasy create a new space goes and come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It create the imaginary animal and that becomes the afraid object or the object like a guardian. A desire like a fear of human being about something new like the animal never see or hear and surrealistic phenomenon, makes us feel to exists with creating and understanding of alive. The fantasy gives the feeling with full of liberation and deviation to the human being opening the passage which is able to out of the repression in real life like a workaday cage. The human being can have the physical composure and they intend to individualistic life instead of the community at the time of digital multimedia, these days. That brought the development of the fantasy in the culture of creating and satisfaction of human being’s desire through the indirect experience of the unreal space like comics, animation, film and game which can make out of the common logical life. There is a film called “The lord of the rings” by Tolkien which makes huge development in fantasy. It creates new culture of variety contents industry making the image which is clear with the technical power which expression it carries through nearly in actuality. It also, be appeared in vision in the unique fantasy world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technology, nowadays. This research, therefore, to study the fantasy genre which is the object of human being's admiration, classify the fantasy into analyzing the samples of fantasy comics and the animation in east and west culture standing on materials of the visual communication side expression subject matter of the fantasy style and how does it effect to a comics and the animation in basic concept and objection background of fantasy. It will reach and to lead the problem of the fantasy and with the improvement program it discovers our independent Korean fantasy in the direction how to advan 사람들은 판타지의 세계를 동경하면서 또한 두려워한다. 판타지는 과거와 현재, 미래를 넘나들며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낸다. 상상의 동물을 창조하고 그것이 인간에게 수호신 같은 존재가 되기도 하고 두려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보지도 듣지도 못한 동물, 초자연적인 현상 등의 새로운 것에 대한 인간의 두려움과 갈망은 인간이 살아있음을 의미하고, 그것을 느끼고 창조하는 것은 우리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판타지는 답답한 새장과도 같은 현실의 억압으로부터 벗어 날 수 있는 통로를 열어 인간에게 해방과 일탈이라는 충족을 채워주는 매력을 준다. 현대 사회는 디지털 멀티

      • 여성적 이미지에 관한 繪畵性 探究 : 나의 作品을 中心으로

        박윤선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9631

        예술활동이란; 인간의 본능적 욕구의 표현이며, 새로운 시대정신이 표출(標出)되는 창작활동이다. 이 시점에서 여성적 이미지(Image)에 관한 회화성 탐구(探究)는 사회 문화적인 시대흐름 속에서, 왜곡된 여성성의 해석을 바로잡고, 그 원형을 이해함으로써, 예술창작 내부에 흐르는 인간존엄과 무한한 에너지를 연구하여 미래의 작업방향을 가늠해 보는데 이 논문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여기서 말하는 여성이란 1960년대를 거치면서 활성화되었던 ‘여성해방 운동’이나, 여성의 역사, 경제, 종교, 정치, 사회, 문화등에 대한 설명, 또는 여러가지 편협된 사회통념과 개념등의 모순을 해결하려는 페미니즘(feminism)과는 그 맥락을 달리하며, 좀더 시원적(始原的)이고, 고차적인 의미로써의 여성성을 말한다. 즉, 여성적 원리(feminine principle)는 남성적 원리(masculine principle)에 우선하며 이 원리를 통하여 남성적 에너지를 보완하여 보다 창조적으로 만들어 주는 우주의 본질적인 섭리(攝理)로써 이해하고자 하였다. 인간에게는 태초부터 이어져 온 정신적, 육체적인 유전인자가 내재되어 있으며, 이를 일깨워 내는 것이 새 시대의 개척자로서의 사명을 지니고 있는 작가의 임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여성적 이미지의 원형이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은 새로운 시대정신을 모색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The artistic activity is the expression of human instinctive desire and the creative activity expressing new periodic thought. In thes point, the meaning of painting research concerning feminine image is as follows in the social and cultural period flow; making right interpretation of distorted woman character, studying human respect and endless energy flowing inside of art creation by understanding its archetype and aiming the work direction in the future. Woman, abowe-mentioned, has more primitive and high-dimensional meaning and stands in different line with feminism seeking to solve the inconsistency such as various biased social general thought, concept, etc., focusing the explanation on the feminine history, economy, religion,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or 'woman liberution campaign' activated through 1960s. Namely, feminine principle is prior to masculine principle and is understood as cosmetic essential providence making masculine energy more creative by supplementing To every human being, the spiritual and physical genetic factors is immanent. And, I think the mission of the author is to awake this factors as the pioneer of new age, So, I confirm to understand the fact that there's archetype of feminine image is the motive power of groping new time's idea.

      • 그린廣告가 消費者態度에 미치는 影響에 대한 硏究 : 메시지 效果에 관련하여

        김성연 同德女子大學校大學院 1997 국내박사

        RANK : 249631

        오늘날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른 부산물로서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環境的 問題를 해결하기 위해 다각도의 방법들이 모색되고 있는데 이에따라 環境에 해를 미치지 않는 그린 製品擴散에 도움을 주고 그린제품광고 전략 및 개선을 위해 그린 廣告가 消費者態度에 미치는 影響에 대한 硏究를 하였다. 특히 그린 광고의 메시지구조(結論省略/結論提示)의 형태를 메시지關與의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廣告效果를 분석하고자 認知-感情-行動의 階層效果모델을 기준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그린/비그린제품광고가 소비자의 認知/感情/行動에 대한 태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고 둘째, 그린/비그린제품광고가 메시지구조(結論省略/提示)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며 어떠한 메시지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인지를 살펴보았다. 셋째, 그린/비그린제품광고의 關與(高/低)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고 어떠한 상황에서 어떠한 메시지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인지를 살펴보았다. 넷째, 購買行動의 영향요인라고 볼 수 있는 인지, 감정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그린/비그린광고형태와 결론생략/제시의 메시지구조가 얼마나 구매행동에 영향력을 발휘하는지를 아울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調査對象은 主婦로 하였으며 實驗製品인 세탁세제의 광고물을 제시하여 소비자의 廣告에 대한 態度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그린/비그린제품광고 유형과 메시지구조(결론생략/제시)는 관여도에 따라 인지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설의 분석결과 그린제품광고는 비그린제품광고보다 認知度에서 효과적이었고 특히 그린제품에 대해서는 高關與로 나타났으며 비그린의 경우 省略型 일때는 고관여하나 提示型일때는 차이가 없었다. 2) 그린/비그린제품광고 유형과 메시지구조(결론생략/제시)는 관여도에 따라 감정적인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 가설의 결과도 그린광고가 비그린광고보다 感情的인 측면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그린광고의 提示型일때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省略型일 때 高關與하였다. 비그린광고의 경우에는 結論省略型일 때 高關與하나 提示型일때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그린/비그린제품광고 유형과 메시지구조(결론생략/제시)는 관여도에 따라 행동적인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 가설 역시 그런광고가 비그린광고보다 購買行動에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그린광고의 경우에는 생략형일때 고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제시형에서는 기각되었다. 4) 그린/비그린제품광고 유형은 인지도 및 감정을 매개변수로 하여 구매의도(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린제품광고이면서 결론제시형의 경우는 認知的 側面이 가장 購買行動에 영향을 미치며 그린이면서 結論省略型의 경우는 感情的인 측면이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그린광고의 結論提示型의 경우 認知, 感情의 側面이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그린광고이면서 결론생략형의 구조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그린광고이면서 결론생략형의 경우에는 認知的인 측면에 역점을 두고 그린광고이면서 結論省略型의 경우에는 感情的인 측면에 역점을 두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메시지구조적 측면의 마케팅전략은 그린광고를 消費者에게 설득적으로 소구하는데 매우 유용할 것이다. With a rapid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its Importance is brought to the fore. Therefore, This study has observed the influence of green advertising on the attitude of consumers in relation to its message effect. In order to help spread green products and improve the strategy of green advertising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nalyze the message effect of green advertising for cleaning detergents in particular. The analysis has been conducted in the perspective of awareness-emotion-behavior targeting housewives based on the message structure of the advertising(conclusion omission type/conclusion offer typ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green advertising/non green advertising, conclusion omission message/conclusion offer message, high involvement/low involvement and dependent variables are identification and perception of advertising claims,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ttitude toward products, attitude toward prices and purchasing intentio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 1) Green advertising was more effective for th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nd products than non-green advertising and in the case of high involvement the conclusion omission message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nclusion offer message. 2) Green advertising was more effective also for the emotion side than non-green advertising and the conclusion omission message was found more effective than the conclusion offer message. 3) Green advertising was found more effective for purchasing activities than non-green advertising and the conciusion omission message was found more effective than the conclusion offer message in the case of high involvement. 4) In case of the conclusion offer type structure of green advertising the awareness side influenced purchasing activities and in case of the conclusion omission type structure of green advertising the emotion side influenced purchasing activities. Besides that in case of the conclusion offer type structure of non-green advertising both the awareness and emotion sides were found to influence purchasing activities.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onclusion omission type structure of non-green advertising.

      • 한국어 교육 초급 문법 항목 선정과 범주화를 위한 연구

        황지원 동덕여자대학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cognize the need for researches on selecting grammatical items suitable to each level in the gramma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to select the grammatical items in the elementary level. In Chapter 1, the importance of study of grammar i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preceding researches on gramma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were examined. In Chapter 2, since the gramma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s different from the teaching grammar as native language in the objects to be educated, educational purpose, and educational contents, the need was discussed for categorizing the grammar of Korean language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I presented ‘basic grammatical factors’, ‘syntax and meaning’, and ‘sentence expansion’ as the grammatical category of Korean language. The ‘basic grammatical factors’ mean word order, particle, and conjugation in understanding the sentence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The ‘syntax and meaning’ refers to syntax such as tense, negation, honorific that expresses semantically complex concepts based on ‘basic grammatical factors’, and the meaning such as presumption, wish. The ‘sentence expansion’ means modification, connection, connotation, and quotation that are necessary to form more complex structure. The grammar category presented in Chapter 2 was used as the framework to analyze grammatical items of the elementary level in Chapter 3 and Chapter 4 and select the grammatical items. Chapter 3 examined the contents and criteria of elementary evaluation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hat is conducted domestically, and <Public Grammar list>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grammatical items evaluated in the grammar part of the 16th∼18th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connected together. Besides, the elementary grammatical items in the Korean language text book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looking at the text books like Konkuk지원University’s지원<Discovering지Korean지Language>,지Sogang University’s지<Sogang지Korean지Language>,지and지Ewha지Womans University’s <Ewha Korean Language>. In Chapter 4, the grammatical items that were chosen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elementary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Chapter 3 were presented by grammar category of Korean language. In Chapter 5, the last chapter, I summarized previously discussed researches and based on the summary,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es was reaffirmed. Moreover, the possible direction for better researches was suggested in the area of selecting and categorizing grammatical items of educat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이 연구는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각 단계에 맞는 문법 항목의 선정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초급 단계의 문법 항목을 선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교육의 중요성과 한국어 문법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한국어 문법이 교육 대상과 교육 목표, 교육 내용면에서 국어 문법과 다르기 때문에 국어 문법 범주와는 다른 한국어 문법 범주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에 따라 초급 단계의 한국어 문법 범주로 ‘기본 요소’, ‘통사 의미’, ‘문장 확대’를 제시하였다. ‘기본 요소’는 한국어의 문장 구조를 이해하는 데에 기본적으로 교수·학습되어야 하는 어순, 조사, 활용을 뜻하며, ‘통사 의미’는 ‘기본 요소’를 밑바탕으로 하여 의미적으로 복잡한 개념을 표현하는 시간, 부정, 높임 등의 통사와 추측, 희망 등의 의미를 말한다. ‘문장 확대’는 통사적으로 더 복잡한 구조를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수식, 연결, 내포, 인용 등이다. 2장에서 제시한 문법 범주는 3장과 4장에서 초급 단계의 문법 항목을 분석하고 선정하는 틀로 사용하였다. 3장에서는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숙달도 시험인 한국어능력시험의 초급 평가 내용과 기준, 한국어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공개문법목록>, 한국어능력시험 초급 16∼18회 문법 영역에서 평가된 문법 항목을 서로 연관 지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급 문법 평가 내용이 <공개문법목록>과 출제된 문법 항목을 포괄하고 있지 못하였으며 <공개문법목록>은 초급 문법 항목으로 보기 어려운 문법 항목이 포함되어 있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한국어 교재의 초급 문법 항목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건국대학교의 『한국어』, 서강대학교의 『서강 한국어』, 이화여자대학교의 『이화 한국어』를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세 교재에 제시된 문법 항목에 큰 차이점이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한국어』와 『이화 한국어』는 초급 단계에서 교수·학습하기에 난이도가 있는 문법 항목을 제시하는 경우가 있었고, 『서강 한국어』는 다른 두 교재에 비해 문법 항목의 수가 적었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급 단계에 교수·학습되어야 하는 문법 항목을 선정하여 한국어 문법 범주별로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앞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이 연구가 갖는 의의를 확인하였으며 문법 항목 선정을 위한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가용화, 위장관 부위별 투과및 용혈성

        김혜진 同德女子大學校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9631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DDB)는 만성 지속성 간염의 치료에 쓰이는 약물로서 물에 매우 난용성 (약 3μg/ml)이고 용출률 또한 극히 저조하여 경구 투여시 생체이용률이 20-30%로 매우 낮은 약물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DDB의 용해성을 향상시켜 생체이용률을 높일수 있는 액상제제나 주사제를 개발하고자 수종의 용매와 hydrotropic agents를 이용하여 가용화시험을 하였으며 시판 DDB제제들에 대해 용출시험을 행하여 그 용출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주사제를 전제로하여 여러 액상화 조성물을 제조하고 사람 적혈구에 대하여 용혈시험을 행하였으며 토끼의 위, 십이지장, 공장, 회장, 결장, 직장 점막투과시험을 통해 여러 DDB액상화 조성물의 위장관막 투과 특성을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여러 용제중 DDB의 용해도는 폴리에칠렌글리콜 (PEG) 400 > 폴리에칠렌글리콜 (PEG) 300 > 디에칠렌글리콜모노에칠에텔 (DEG) > 폴리에칠렌글리콜-8-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PEG-8-GC)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PEG 400 중에서의 용해도는 17.70mg/ml(37℃)로 나타났으나 DDB를 용해시킨 PEG 400을 냉장 (4℃) 보관시 응고하는 현상을 보였다. PEG 400이나 DEG와 물의 공용매에서는 물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DDB 용해도는 DEG에서 PEG 400보다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 여러 종류의 hydrotropic agents의 존재하에 37℃ 물에서 용해도 시험을 행한 결과 hydrotropic agents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DDB의 용해도도 증가되었고 특히 2M의 살리실산나트륨(SS), 안식향산나트륨(SB), sodium gentisate(SG), sodium p-hyoxy benzoate(SHB) 존재시 44.2, 23.5, 9.5 및 5.6배 증가되었고 0.4M의 γ-resorcylic acid(γ-RA), β-resorcylic acid(β-RA), 2,4,6-trihydroxybenzoic acid(THBA), m-hydroxybenzoic acid(HBA)의 존재하에서는 4.9, 4.1, 3.2 및 2.2배 증가되었다. 또한 SS와 SB는 50% PEG 400에 첨가되어 용해된 DDB의 침전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DDB 액상화 조성물중 토끼의 십이지장에 대해 투과성이 큰 DDB 0.1% + PEG 400 + VA64 1% + GAA 0.5% 와 DDB 0.1% + PEG 400 4.75g + DEG 5g + VA 64 1% + GAA 0.5%의 두 조성물로 토끼의 장관 점막에 대하여 부위별 투과시험을 행한 결과 DDB의 장관투과성은 위점막에서 가장 컸고 다음으로 공장점막이 투과성이 컸으며 십이지장, 회장, 결장에서는 비슷한 정도로 투과되고 직장에서 가장 낮았다. 시판제제를 같은 조건으로 1정, 8정을 각각 용출시험한 결과 연질캅셀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판제제의 경우 초기부터 6시간후의 용출률도 1정이나 8정의 용량 차이에 의한 용출량의 차이가 별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액상 조성물과 시판 연질 캅셀의 용출률은 2시간 후 900ml의 물에서 각각 7.349±0.326mg, 6.339±0.577mg로 나타났으며 각 제제를 시험액의 양을 달리하여 용출시험을 행한 결과 본 연구의 액상 조성물은 시험액의 용량과 무관하게 일정한 용출량을 나타냈으나 시판 연질 캅셀의 경우는 시험액이 적을수록 용출량도 적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주사제를 목적으로 한 여러 DDB 액상 조성물의 사람 적혈구에 대한 용혈성은 60% DEG 3ml + DDB 1mg + SB 100mg의 액상 조성물이 가장 낮은 용혈율을 나타내었으며 각 DDB 액상 조성물의 사람 적혈구에 대한 용혈성은 거의 없거나 매우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연구의 가용화 조성물은 새로운 연질 캅셀제 또는 주사제 개발의 기초자료가 된다고 생각된다.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DDB), which has been used to treat chronic hepatitis as tablets or hard capslues, is insoluble in water, and it's bioavailability has been known to be low after oral administration. To solubilize practically insoluble DDB, the solubilities of DDB in various vehicles were measu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t was found that, among the vehicles studied, polyethylene glycol(PEG) 400 revealed the best solvency toward DDB, and the solubility reached 17.70mg/ml at 37℃ and decreasing order of solubilities was as follows: PEG 400 > PEG 300 > DEG(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 PEG-8-GC(PEG-8-glyceryl caprylate). Various hydrotropic agents increased the solubility of DDB. Especially, hydrotropic agents such as sodium salicylate (SS), sodium benzoate (SB) and nicotinamide (NA)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olubility. Solubilities of DDB in the presence of 2M SS, SB and NA were increased 44.3, 23.5 and 44.0 times, as compared to that in water,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results studies, new liquid formulations were made, and permeation studies were performed. Some liquid formulations were filled into capsules. To evaluate the permeation of new DDB formulations through gastrointestinal tract, permeation studies were carried out using gastric, duodernal, jejunal, ileal, colonial and rectal mucosae od NZW rabbit. It found that permeation rate(μg/cm^(2)) of DDB in the order of gastric >> jejunal > duodenal ≒ ileal ≒ colonic > rectal. The addition of glycyrrhizic acid ammonium salt and copolyvidone markedly enhanced the permeation of DDB through GI tract and inhibited the formation of precipitates. Dissolution test was performed in water by the paddle method at 37℃. Dissolution rates after 2hr of DDB tablets (DDB 25mg), hard capsules (DDB 7.5mg) and soft capsules (DDB 7.5mg) on market and new formulation (DDB 7.5mg) were 6.3, 15.0, 84.5 and 98.0% respectively. Hemolytic properties of various DDB solutions on human erythrocytes was measured spectrophotometrically at 588nm. The degree of hemolysis was very low. Overall results demonstrate that new DDB formulations would be useful in enhancily oral bioavailability, and might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a new injectable.

      • 건강 및 식이요인과 시력장애와의 관련성 : 굴절이상을 중심으로

        최혜정 同德女子大學校大學院 1998 국내박사

        RANK : 249631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평균수명을 포함한 국민건강수준이 향상되고 있으나 그와는 상반되게 임상적 측면에서 본 안과질환중 굴절이상에 의한 시력장애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므로, 국민보건상 건강과 시력과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다루어 보아야 할 시점에 와있다. 따라서 국내 여러 연구자에 의해 굴절이상에 의한 시력장애의 이환율을 파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가 있었으나 거의 대부분이 특정집단인 유아를 대상으로 하거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로 수행되었으며, 그 이외의 연구에서는 극히 연령이 제한적인 군 입대 보충병들을 대상으로 하거나 안과 병원을 찾는 환자들에 제한되어 있다. 그러므로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대표성 있는 굴절이상에 의한 시력장애 이환율을 추정하여 문제의 심각성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굴절이상에 의한 시력장애의 증가추세를 바로 잡기 위해서는 예방사업이 필요하고 예방사업을 위해서는 굴절이상을 일으키는 원인규명이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본 연구자는 굴절이상에 의한 시력장애의 이환율을 도출하여 시력장애의 양상과 인구특성별 문제의 심각성을 파악하고, 굴절이상의 주된 원인을 규명하여 국민보건향상을 꾀하는 방안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구리시 주민 중 20세 이상의 성인 492명을 대상으로 자동굴절검안기 (autorefractor) 를 이용한 시력조사,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식이섭취조사, 혈액검사 등을 통한 질병조사, 설문조사를 통한 건강행위중 음주, 흡연, 운동, 수면상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굴절상태를 분석해 보면 정시안이 총 대상안의 32.0 %, 비정시안이 총 대상안의 68.0% (근시 57.1%, 원시 10.9%) 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매우 높은 비정시안의 이환율을 나타내고 있다. 우안과 좌안의 굴절력을 비교한 결과 우안이 더 근시 쪽의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남녀간에는 굴절이상 이환율의 유의한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조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량 조사에서 에너지, 칼슘 및 비타민 A의 섭취량이 남,녀 모두에게서 권장량의 70% 정도에 불과 하였으며 여성에게서는 철분이, 남성에게서는 비타민 B_(2) 의 섭취가 권장량 보다 낮았다. 또한 영양소 섭취량을 성별로 비교한 결과 비타민 A, B_(1), B_(2), C, 레티놀, 섬유소 및 카로틴 등의 영양소 이외의 다른 모든 영양소 섭취량의 남녀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p<0.05). 모든 영양소에서 섭취량의 평균치가 국민영양조사보고에서 보여주고 있는 전국 평균치보다 약 5% 가량 낮게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질병이환율은 간 기능장애가 4.8%, 고지혈증 2.6%, 간염이 3.4%였고 고혈압은 12.5%, 빈혈이 11.1% 등이었으며, 전체 조사대상자의 5.3%가 당뇨병환자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남성의 54.2%, 여성의 10.3%가 음주를 즐기고 있으며 남성 음주율이 여성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높았으며 (p≒0.000), 남성의 36.0%와 여성의 27.0%가 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녀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p=0.036). 남성의 65.2%와 여성의 58.9%가 수면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의 63.7%와 여성의 6.7%가 흡연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시군에 비하여 근시군에서의 영양소 평균 섭취량이 모든 영양소에서 5-15%가량 높게 나타났으며, 한편 정시군에 비하여 원시군에서의 섭취량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난시군과 정시군을 비교할 때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를 제외한 나머지 16가지 영양소 섭취량이 난시군에서 정시군 보다 높게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환과 시력장애와의 관련성을 검토한 결과 간 기능장애 및 간염이환율과 근시 이환율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p<0.05). 원시이환율과 질병과의 관계를 검정한 결과 간 기능장애자에게서 원시이환율이 정상군 보다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p<0.05). 간염과 원시이환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17) 정상군에서의 원시이환율이 간염환자군에서 보다 높다. 원시의 경우와 같이 난시이환율도 간 기능장애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3). 간 기능장애군에서의 난시이환율이 정상군의 난시 이환율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간염의 경우 정상군에서의 난시이환율이 간염군에서의 난시이환율을 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p=0.012). 이상의 관찰결과는 간 기능장애가 시력장애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Chi-square test를 통해 시력장애와 음주, 흡연, 운동, 수면과 같은 건강관련요인과의 관련성을 검토한 결과 어떤 건강관련요인도 시력장애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여주지 않았다. 식이, 질병 및 건강관련 행위들이 시력장애에 영향을 미친 요인간의 우선 순위를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에 의해 분석한 결과 시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연령변수를 통제하면 간 기능장애가 최우선 순위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요인으로 건강관련행위 그리고 영양소 순이다. 식이요인 중에서 시력장애에 특이하게 관여한 영양소로는 근시에서는 카로틴, 난시에서는 나이아신이 영양요소 중 시력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ametropia and ii)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ametropias.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tested. 1. Ametropia would be caused by an individual's current disease as well as one's health status. 2. Ametropia would be influenced by one's health behaviors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3. With controlling age variable, dietary factors would be more important factors to the occurrence of ametropia than other factors of health status, such as drinking, smoking, exercise or disease status. 4. Some dietary factors related to the specific nutrients would influence occurrence of the ametropia in particular ways. Accordingly, surveys of 492 residents in the city of Kuri were conducted during the l month period from Aug 25 to Sept 13, 1997. The surveys included ametropia surveys adopting autorefracters, dietary surveys using the 24-hour recall method, disease surveys including blood and other diagnostic tests, and health status surveys using questionnaires with variables of smoking, drinking, exercise and sleeping. A population-based study of people aged above 20 years in Kuri city in Korea showed that 32.0% had emmetropia and 68.0% had ametropia (myopia 57.1%, hyperopia 10.9%). The percentage of ametropia in the population based study is higher than that of the clinic(O.P.D.) based study. The dietary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energy, calcium and vitamin A were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70% of RDA. In particular, iron intakes of female subjects and vitamin B_(2) intakes of male subjets were observed to be below the RD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mean intakes of nutrients, such as energy, protein, carbohydrate, fat, calcium, iron and niacin, were found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p<0.05). In general, the intakes of all nutrients surveys in this study were estimated to be 5% lower than the reported averages through nationwide surveys. The disease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valence of liver dysfunction to be 4.8%, hyperlipidemia 2.6%, cardiovascular disease 7.4%, hepatitis 3.4%, hypertension 12.5%, and anemia 11.1%. In addition, 25% of the female subjects suffered from osteoporosis, and 5.3% of total subjects showed symptoms of diabetes. The health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the habits of drinking, smoking and exerci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54.2% vs. 10.3%, 63.7% vs. 6.7%, and 36.0% vs. 27.0%, p<0.05). 65.2% of male subjects and 58.9% of female subjects were observed to be insufficient sleeping. As results of chi square tests to analyze the independence between variables of disease status and abnormalities of eyesight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liver dysfunction, hepatitis and myopia were found (p<0.05). The finding that prevalence of hyperopia were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disease groups, such as liver dysfunction, than non-disease group (p<0.05).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alence of hepatitis and hyperopia, with a higher rate of hyperopia in the non-disease group than in the disease group (p=0.017). Likewis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revalence of astigmatism, liver dysfunction and hepatitis (p=0.03) was found. Astigmatism was more frequent in liver dysfunction group (95.5%) than in the non-disease group (75.3%). On the other hand, subjects without hepatitis were exposed to a higher rate of astigmatism (77.3%) than subjects with hepatitis (50%) (p=0.012). In summary, the findings that more than 80% of subjects with liver dysfunction had abnormal symptoms indicated that liver dysfunction was closely related to abnormalities of eyesights. The average daily intake of nutrients were approximately 10% higher among the subjects with myopia than with emmetropia.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s with hyperopia consumed less than those with emmetropia. Also, subjects with astigmatism consumed more nutrients except for vitamin B_(1) and B_(2), than those with emmetropia. The results suggested that excess intake of some nutrients might be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myopia or astigmatism, and deficiency to hyperopia. As results of chi-square tests, it was found that none of the health status factors were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hyperopia (p>0.1). Stepwis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ith dependent variables with dummy status (group with ametropia and emmetropia), and candidate of independent variables selected from the chi-square tests mentioned above, were conducted for the estimation of priorities of causal factors to abnormal eyesight. As a result, after controlling age variables liver dysfunction was selected first, and smoking and exercise were also selected to build myopia model. Likewise in the case of astigmatism, liver dysfunction, hepatitis, drinking, exercise and nutrient factors, such as niacin, energy, protein, and hypertension were selected to build a model to explain the causes of astigmatism, in order of importance. In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disease might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ametropia, which was not expected from the generated hypotheses. In addition, a factor of health behavior including drinking and exercise would to be the second most important factor, and diet turned out to be the least influential factor to cause ametropia. In summary, liver dysfunction, drinking and exercise were selected to h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or the occurrence of myopia and astigmatism. Among dietary factors, it turned out to be that the occurrence of myopia is probably closely related to carotene intakes. In a similar way, the occurrence of astigmatism is also probably closely related to niacin intakes.

      • 진채화의 현대적 색채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수령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9631

        Since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1945, Korean painting tradition has been largely influenced from the color painting style during the colonial era and the Chinese water color painting flourish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 the 1970's, "new Korean painting" was called for. As the western and eastern methods of color painting were largely introduced, new attempts and experiments were made by more and more young artists in the Korean painting society. Considering that art is the product reflecting 'Zeitgeist', the traditional Chinese water color painting style or the vintage ways of color painting have limits to express contemporary sense of beauty. From the recognition of such limits the Korean artists explore new experiments to express contemporary human life. In the new experiments various changes of materials and methods were needed. This paper mainly studies the effective ways to explore contemporary color painting, and it also deals with the historical changes of painting methods during Koryo and Chosun dynasties.

      • 켑스트럼 파라미터와 다중대역 여기신호를 사용한 음성합성 시스팀

        김기순 同德女子大學校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thesis deals with a new speech analysis/synthesis method in the viewpoint that improves excitation signals based on a filter of speech synthesis using Multiband Excitation Signals. The traditional speech synthesis system using analysis/synthesis method have generally used a simple voiced/unvoiced decision, and excitation signals that are made up of white noise signals in case of unvoiced frame, or periodic impluse signals in case of voiced frame. But these excitation signals become the factor which restricts the quality and intelligibility of synthesized speech because it is difficult to generate signals with the spectrum similar to an original speech composed of harmonics and noise signals only by using impluse signals. This thesis proposes a scheme that improves the intelligibility by restoring noise information mixed in voiced frame with respect to speech quality. First, the voiced/unvoiced decision method for each frequency band in one frame is suggested. It allows the excitation signal for a particular speech segment to be a mixture of periodic (voiced) energy and noise-like (unvoiced) energy. Secondly, the analysis/synthesis system using Multiband Excitation Signals,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of voiced/unvoiced bands on the spectrum of one frame, is designed in order to synthesize a speech signal similar to the original speech signal. The result of evaluation shows that this proposed approach can achieved more natural-sounding synthesized speech with less "Buzziness" than the traditional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