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교 웹사이트에서의 효과적인 정보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장명숙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대학을 둘러싼 교육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대학들도 기업이나 각종 사회단체들과 마찬가지로 매스미디어 채널을 통해 각 대학의 발전 가능성과 우수한 장점 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게 되었다. 특히 초고속 인터넷의 등장으로 현재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학들은 웹사이트를 구축하여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입시생 및 학부모의 대학교 웹사이트 이용률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은 대학에게 있어 미래의 고객이 될 수 있는 주요한 홍보 타겟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대학교 웹사이트는 이러한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하며, 그러한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디자인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각각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입시생 및 학부모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고,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시각적 디자인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텍스트는 기본적인 정보전달의 기호이다. 화면상의 텍스트는 정보를 올바르게 전달해야 하며, 읽기 쉬어야 하고, 인터페이스 안에서 구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의 각 페이지 서브메뉴는 가시성 및 가독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글자크기를 조절하고 좀 더 선명한 색상 대비를 줄 필요가 있다. 둘째, 이미지는 가장 일반적인 시각적 표현 매체로 많은 정보를 내포하고 있는 시각언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는 이미지의 흑백톤 사용을 줄이고, 각 페이지별 주제에 따라 그 의미가 전달되는 다양한 이미지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동덕여대만의 느낌을 잘 전달할 수 있는 사진 및 일러스트레이션의 사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인터페이스에서 색체의 사용은 중요한 정보를 강조할 수 있으며, 화면의 구성을 분리하여 사용자의 이해도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의 각 페이지 메인메뉴와 서브메뉴는 글자색과 바탕색의 선명한 대비가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넷째,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질서 있는 레이아웃이 필요하다.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은 일관성 있는 구성과 기능을 가져야 하며 심미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는 일부 어수선한 사진 배치가 시각적으로 좋지 못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 불필요한 사진요소는 줄이고 적절한 크기 및 배치 조절을 통해 전체적 화면의 레이아웃을 심미성 있게 만들어야 한다. 이처럼 조사와 분석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부분의 개선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 그중에서도 시각적 디자인요소는 이용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함에 있어 가장 빠른 전달력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 분명하다. 또한 과거의 단순한 텍스트 위주의 웹사이트가 불과 몇 년 만에 화려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웹사이트로 변화하였다. 앞으로의 웹사이트는 더욱 디자인에 민감한 웹사이트로 발전해 나갈 것이라 가정하였을 때 시각적 요소를 고려한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대학교 웹사이트도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제공과 그러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시각적 인터페이스 디자인요소가 고려된다면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이다. Following changes with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universities are required to actively publicize their growth potentials and advantages through mass media channels, similar to the methods used by corporations and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Particularly, with the introduction of high-speed internet, most universities within Korea are actively utilizing websites. Within such a background, the rate of use for university websites are increasing among new students and parents. At the same time, such visitors are a major publicity targets who may become potential future customers. Consequently, university websites must contain information which satisfies user needs. At the same time, interface design which effectively delivers such information is very important. As a resul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new students and parents to find information most required and analyzed the website of Dongduk Womens University focusing on visual design elements of interface desig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xt is the most fundamental symbol for information delivery. Text must properly delivery information on the screen and be displayed within the interface. Consequently, the sub menus of each website must adjust the font size and utilize clearer colors for added receptivity. Second, as a most fundamental form of visual expression, images can be considered to be a type of visual language which includes much information. Accordingly, the Dongduk Womens University website must decrease use of black and white images, but rather use various images which delivers accur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opic of each page. In addit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photos and illustrations which aptly delivers the distinctive feeling of Dongduk Womens University must be used. Third, use of colors within the interface can highlight important information while separating screen configuration can improve user understanding. Consequently, the main menus and sub-menus of each page within the Dongduk Womens University website requires more clear contrast between text colors and background colors. Fourth, in order to effectively delivery information to users, an organized layout is necessary. Some of the photos layout within the website do not give a great visual impression. Consequently, this study concludes that unnecessary photos should be reduced and the overall layout should be improv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size and layout. As shown through the survey and analysis of this study, many areas must be improved in order to raise user satisfaction. However, visual design elements are the fastest in delivering information to users and their significant effects are profoundly clear. In addition, the simple text-based websites of the past have been transformed into colorful and varied websites in just a matter of years. When considering that websites will continue to develop in terms of design, it is believe that web interface designs which consider visual elements will continue to become more important. Consequently, user satisfaction can be expected to increase if university websites provide information needed by users and consider visual interface design elements within website designs.

      • 브랜드 이미지 전략으로서 인터랙션디자인 적용 공간 연구

        이선영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의 급변하는 소비사회에서는 기업 간의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각 기업들은 자사 브랜드의 차별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방안 구축에 심혈을 기울이게 되었다. 특히 근래의 소비자들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기 보다는 브랜드의 이미지 자체를 구입하는 브랜드 지향적 구매 행위를 하고 있어 브랜드에 대한 중요성은 날로 더해지고 있다. 따라서 그 어느 때보다도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의 형성이 중요하게 되었다. 브랜드 이미지의 확립을 위해 브랜드 관리와 브랜드 디자인관리는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그 전략적 방법이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로고, 심볼, 제품, 포장, 웹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구매 전, 구매 시, 사용 시 등 다양한 시점에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의 핵심 아이덴티티에 기반을 두고 브랜드 전략과 기업의 디자인 전략,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고 그 방법은 시장 환경 및 시대변화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기업들은 2차적인 표현매체를 넘어 3차원의 공간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강화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즉, 과거 기업이 제공하는 일방적인 표현매체를 통하여 행해졌던 마케팅 방법이 소비자와의 직접적인 접점을 통해 고객의 욕구를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고, 소비자와의 상호적인 교류가 가능한 공간 마케팅 영역으로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다. 소비자들이 직접적으로 브랜드와 상호작용하며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공간매체가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브랜드 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공간은 브랜드 가치를 반영한 고객접점공간이라는 마케팅적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최근 각 기업들은 고객접점공간에서 보다 효과적인 브랜드 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전략으로 인터랙션 디자인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에 주목하고 있다. 인터랙션 디자인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은 소비자에게 통합된 감성을 제공하고, 이전에는 경험할 수 없었던 새로운 감성적 체험을 가능하게 하여 소비자에게 새로운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직접적으로 브랜드와 상호작용하며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인터랙션 디자인이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큰 영향을 끼치는 핵심요소임을 인지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시키는 방편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공간에서 구현되었는지를 파악하는데 의의를 두고 이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In the rapidly changing consuming society, competition among the enterprises has been keening, each enterprise puts their heart and soul into the marketing strategy plan building to differentiate of their own brand. Specially recent consumers are doing an act of buying brand-oriented which is purchasing the image of brand rather than purchasing products or service. Thus the importance of brand is increasing as time goes on. Accordingly the form of brand image is important with the identity of brand more than ever. For the establishment of brand image, brand management and brand design management are combined into one. And then the strategic way has been prospered in succession. Brand image is conveyed to consumers at the various point of time such as before purchasing, time of purchasing, and time of using it through the diverse medium like logo, symbol, product, packing, and web of brand. Brand image has its roots in the core identity of brand, and is managed by brand strategy, design strategy of the enterprise, and systematical controlled-system. And then the method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market environment and market change with times. Enterprises are carrying out the intensified strategy of brand image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space beyond the second-dimensional medium of expression. That is, marketing method which has been done through a medium of expression by enterprises in the past can accept more actively the needs of customers through the direct touch point with consumers. And it is enlarged as a marketing field which is possible to interchange with customers. The medium of space is appeared as an important issue in that continuous communication is possible and consumers directly interact with brand. And the space to form brand image has need to do marketing access such as a space of brand touch point which reflects brand value. Recently each enterprise takes notice of the communication using the interaction design as a strategy to form more effective brand image at the space of brand touch point. Communic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design offers integrated sensibility to consumers, and it enables new emotional experience that is we have ever had experienced before. And through this, it forms new brand image to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recognizes that the interaction design is a core element which has influence on the construction of brand image in that consumers directly interact with brand and can communicate continuously. And then, this study contributes and argues how interaction design has been embodied by which way in the space as an instrument to reinforce the brand image.

      • 사군자를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 CAD를 이용한 문양 개발을 중심으로

        강희경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대사회는 세계가 ‘지구촌’이라는 이름으로 급속도로 통합되고, 각 나라들이 개방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의류산업 역시 세계적인 유명 브랜드들의 유입과 관세 인하로 인해, 한국의 소비자들이 한국의 의류상품을 외면하고 수입품을 선호하는 추세로, 한국 의류업체가 여러 가지면에서 개혁을 시도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생산의 자동화, 유통체계의 다양화와 전문화, 상품의 고급화, 패션정보의 국제화 등이 그러한 노력일 것이다. 본 연구자는 세계시장에서 차별화된 한국 의류가 되기 위해선 전통미를 표현하는 상품의 개발과 고급화가 우선 시급하다고 판단, 그 해결방법으로서 디자인, 색상, 소재, 디테일 등 다각적인 면에서의 개발이 요구되지만 대량생산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한 디자인을 생산하기에 어려움이 따르므로 이의 해결 방안의 하나로 소재활용의 중요성을 부각, 체계화시켜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하였다. 우선 사군자 문양을 재조명하고 한국의 정신과 전통미를 가미시키기 위하여 한국문인화를 고찰하고 문인화 속의 사군자 문양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직물 문양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단순화시키고 조형미를 가질 수 있도록 재구성하였다. 또한 개발된 직물문양 motif를 repeat시켜 연속무늬를 개발할 때에 의복구성 패턴이 Marking 시에 최상의 경제적 효율성이 있으며 상하좌우의 구분이 없도록 하여 패턴제도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이러한 모든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TEXTILE 전용 CAD를 사용하였으며, 개발된 직물 문양을 CAD의 3-dimension tool을 이용하여 의상으로 제작되었을때의 효과를 보았으며, simulation에 사용된 의상은 한국의 전통미가 가미된 디자인을 하는 디자이너의 작품을 이용하였다. 사군자를 梅·蘭·菊·竹별로 2점씩 직물문양을 디자인 한 후에, 난초 문양을 디자인한 것 2점을 선택한 후, 초방염법으로 염색하여 蘭 A·蘭 B를 각각 당의와 버선의 실루엣과 조화시켜 디자인·제작하고 또, 디자인된 문양으로 의상소품인 scarf 2점을 시문하여 cut지로도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전통미를 현대 의상에 도입하여 의상디자인을 고급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직물 문양을 개발하고 그것을 의상에 도입함으로써 국제 시장에서 한국 의류를 차별화 할 방안을 시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xtile patterns through four-gentlemanly-plants. In doing so, texpia the textile CAD has been used. Fabrics printed by these patterns are introduced to the clothing in two ways. The one is to simulate clothing effect by 3-D mapping tool in textile design-program in CAD, and the other is to dye the clothing with parapin wax method. The focus on this study is to elevate the current textile patterns by using traditional patterns of four-gentlemanly-plants and to promote Korean clothing competitiveness to the world economic soc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Korean literary paintings were painted by the literary men and the gentries who had high scholarstic aptitudes and good personalities during Koryo and Choseon Dynasty era. The paintings were the art which have the spiritual ideology rather than the concepts of various styles. Four-gentlemanly-plants (ume flowers, orchids, chrysanthemums, and bamboos) favored by eastern people were chosen as contents of the paintings. The patterns of plants used in clothings, furniture sculptures and sheets are seldom used as modern textile patterns. 2. CAD which has been utilized in many parts of modem industry, is also utilized in fabric industry, dyeing and textile designs. 3. Through the textile CAD system of texpia, the methods of textile pattern designs were presented by following procedures : Sketchings→Scanning→Repeating→Coloring→3-D Mapping→Printing Each of the two pieces selected among Korean literary paintings is designed in current fabric in accordance with painters' expression. 4. By 3-D mapping tool, stimulating the effects of sample clothings is apparent and four-gentlemenly-plants have been applied to the clothings. The two pieces of clothing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socks(bu-sun) and gown(dang yoi) are created with "orchid" patterns to make these clothings. And parapin was method is used. As well as these clothings, the scarves as accessaries are made.

      • 니트웨어 디자인을 위한 편조직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자카드 조직을 중심으로

        임안나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니트산업은 수작업 기술로부터 출발하여 현재에는 세계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진보된 산업의 하나이다. 내의류나 외의류로부터 자동차 내장재, 의료용 분야, 가구, 실내 장식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원단과 의류들이 니트기술에 의해 생산되고 있다. 특히 니트의 편환구조는 타 섬유제품에서 구현할 수 없는 유연성을 부여하고 원단의 신축성과 회복력은 편안함을 부여하므로 캐주얼웨어, 레저·스포츠 웨어 등으로 각광받고 있다. 니트산업은 패션의 변화, 디자인의 다양성 등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니트기술의 발전도 가속화되었다. 특히, 첨단 컴퓨터 편기의 개발로 완전 무봉제 또는 부분 봉제 의류와 경편과 위편이 혼합된 SPL 편기 등이 등장하여 고부가가치화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니트의 발달과 함께 발달된 현재 업체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편기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재 사용되어지고 있는 니트의 조직중 기본적인 조직을 고찰하고 위편 조직의 좀더 깊은 이해를 위해 그에 따른 조직을 편직하여 조직의 루프의 형성을 편성도로 나타내었고 그에 따른 특성을 설명하였다. 특히 자카드 조직은 디자인과의 관련성을 위해 각자 카드별로 실험을 통한 표면무늬 길이 측정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편조직에 있어서 실의 변화, 도목의 변화, 편기에 의한 변화, 인타샤 전용 캐리어, 게이지의 변화 등에 의해서 편지의 다양한 변화를 줄 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편조직 중 자카드는 동웨일과 동코스로 편성하였어도 자카드 조직의 종류와 사용되는 색상 도수에 따라 길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니트 디자인시 참고 해야할 특성과 길이 변화를 알아보았다. 1. 노말 자카드는 자카드 중에서 색상 도수에 따라 변화하는 웨일 방향으로의 길이 차이가 가장 많이 남을 알 수 있었는데 그 이유로는 다른 조직에 비해 표면에서 한 코가 편성되는 동안 이면의 코는 2도일때는 2코, 3도 일때는 3코, 4도일때는 4코가 편성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도수가 늘어남에 따라 이면은 느낌이 거칠어져 긴 핀턱과 비슷하게 편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버드아이 자카드는 노말 자카드에 비해 표면의 무늬 늘어남 현상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그 이유는 편성상에서 뒷베드의 바늘 선침이 하나 걸러 하나씩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색상 도수가 늘어나면 무늬 늘어남 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3. 튜블러 자카드는 2도일 경우에는 표면 무늬 늘어남 현상이 없지만 3도 이상이 되면 표면 무늬 늘어남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뒷베드의 바늘 선침을 1×1로 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4. 레더백 자카드는 뒷베드의 바늘의 강제 선침에 의하여 편직이 이루어지지만 색상 도수가 많아지면 선침 거리를 3×1이하로 하여야 하며 편지의 이면은 튜블러 자차드와 유사하게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점차로 국내·외 시장 경쟁의 어려움에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니트제품의 생산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니트 디자이너들이 수요자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지식이 필수 조건임을 인식하고 그에 상응하는 높은 수준의 지식을 갖춤으로서 니트웨어 개발에 의한 생산기술을 발전시켜 고급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Knit industry which started from the manual work has grown into one of the high technology industries in the world. Various raw fabric and clothing are produced by the knitting technology for underwears and outer garments as well as automobile interior, medical equipments, furniture and interior decorations. In particular, the loop structure of knit allows for a flexibility which cannot be conceived in other textile products. Moreover, since the knitted products are flexible and comfortable, they are very popular for casual wears, leisure/sports wears, etc. Meanwhile, as consumers' needs are diversified for fashion and designs, the development of knitting technology has been accelerated. In particular, as the advanced computerized knitting machines have been developed, such products as seamless, partially seamless and SPL knit mixed of warp and weft have emerged to allow for high value-added production. In order to review the basic structure among the knit structures being used now, and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weft structure, the researcher attempted to knit the structures and thereby, express the loop forms as diagram and describe their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e Jacquard structures were tested to determine their relevancy with designs and measure the length of their surface patter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knit structures could var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reads, loop size, knitting machine, intarsia-devoted carrier and gauge. In particular, when Jacquard among the knit structures were organized with same wale and same course, it varied much depending on its kinds and used colors. The points which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knit designs can be enumerated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the Normal Jacquard in particular differed most in terms of the length towards wale depending on its color degrees, because the inside had two stitches for 2 degrees, three stitches for 3 degrees and four stitches for 4 degrees, while a stitch was being formed on a surface. Accordingly, the higher the degrees were, the inside became more rough to be knit in a similar way to pin tuck. 2. It was found that the Bird-eye's Jacquard showed less elongation of the surface pattern than the Normal Jacquard, because the needle skipped over once per stitch on the rear bed. However, the higher the color degrees were, the patterns were loosened more. 3. In case of the Tubular Jacquard, there was found no elongation of the surface pattern for 2 degrees. However, when the degrees exceeded 3, the surface pattern was elongated, which suggests that the needle work on the rear bed should be 1×1. 4. In case of the Ladder's back Jacquard, the knitting was forced by the needles on the rear bed, but. when the color degrees rise, the needle distance should be 3×1 or lower. Then, the inside of the knit looks similar to the Tubular Jacquard. As competition become more and more fierce in domestic and foreign markets, high value-added knit products are required. Therefore, knit designers are urged to respond to consumers' needs and learn about new knitting techniques to develop the knit wear production technology and enhance the quality of knit wears.

      • Wassily Kandinsky 회화작품을 통한 Textile design 연구 : 스카 프 제작을 중심으로

        한애정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9647

        장신구(裝身具)는 의복과 함께 인간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인간을 이해하는 데 직접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아울러 의복에 대한 개념의 변화와 동시에 다양해지는 표현의 자율화를 표방(標榜)함으로써 보조적 역할에서 점차적으로 패션의 전체적 분위기를 좌우하고 리드해가는 주도적인 위치로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장신구가 사용범위에 따른 기능만을 위한 것일 수는 없으며, 또는 보여지기 위한 것에만 그칠 수도 없다. 이러한 의미로 스카프도 단순히 방한(防寒), 방서(防署), 방진(防塵)의 범위를 넘어서 개성표출을 가능케하는 이상적인 매체로서 중요한 아이템(Item)으로 부상되었다. 1930년대 우리나라에 도입된 이후 스카프는 생활 수준의 향상과 섬유 디자인의 발전과 더불어 놀라울 만큼 다양해졌으며 대부분의 여성들이 애용하는 장신구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스카프는 자연적 문양과, 직선이나 곡선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구성되는 기하학적 문양, 또 민족의 장식문양인 전통문양 등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문양에서 벗어나 의상 디자인에서는 많이 이용되지만 스카프에서는 그리많이 시도된 바가 없는 화가의 작품을 문양으로 도입하고자 했으며, 장신구로서의 다채롭고 자유로운 예술적인 감성을 내포하고 좀더 소비자들의 미적 의식과 감각에 부응한 예술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스카프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그 의의와 목적이 있다. 스카프의 모티브는 기하학적 형태와 밝은 색상으로 현대 추상화가의 선구자인 W. Kandinsky 회화 작품 중에서 도출(導出)하였으며 가능하면 세부적인 묘사를 생략하고 밝고 선명한 색채를 사용하여 스카프의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크(Silk)의 특성에 부합되는 제작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W. Kandinsky의 작품을 중심으로 전개함에 따라 W. Kandinsky 회화 작품에 나타난 그의 예술 정신과 작품 세계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근거로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본 연구의 작품 제작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W. Kandinsky 회화 작품의 기하하적인 요소들이 갖는 배치와 구도는 일반적으로 딱딱하다는 느낌을 갖고 있으나 규칙적인 나열의 답답함이 아니라 개방적인 공간구성으로 재구성함으로써 무한한 스카프문양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과 영역을 넓힐 수 있었다. 둘째, W. Kandinsky 회화 작품의 특징인 세부적인 묘사를 생략하고 기하학적인 요소와 밝고 선명한 색채를 사용함으로써 예술과 실용의 조화에 기틀이 될 수 있었다. 셋쩨, 종전의 실크 스크린 염을 응용한 기법으로 실크 스크린 염 호료에 Dark 202라는 방염제를 넣어 줌으로써 착색 및 방염력을 동시에 생기게 함으로 프린트되지 않은 부분은 원하는 색상으로 채색을 가능케하여 표현의 다양화를 유도하였다. 현재 스카프 산업은 앞서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기존의 문양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해외 브랜드의 의존도가 높은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량생산되는 스카프가 아니라 미적의식과 감각에 부응한 예술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수공예적인 요소를 지닌 디자인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본 연구자와 같이 회화 작품의 특징을 잘 응용하여 창조적인 문양 디자인을 개발한다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상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Along with clothing, ornaments keep close relationship with the life of human beings, and play a positive role in understanding them. In addition, they expand their scope from an auxiliary to major role to lead the overall atmosphere of fashion gradually by advocating the self-discipline of various expressions in addition to the concept change about clothing. The usage of ornaments is neither to apply for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scope used, nor to be showed to people. Scarf came up to the surface as an important item and an ideal media which enables persoal expression above the scope of protection against the cold and frost, and dustproof. In 1930s, scarf was diversifed surprisingl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and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after its introduction to our country, and finally it found its place as women's most favorite accessories. There are natural pattern, geometrical pattern consisted of regular or irregualr lines or curves, and traditional patterns of our racial ornaments. However, this study is intended to introduce artist's works which were much more used in apparel design but less used in scarf, breaking from the conventional patterns.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lude various, free and artistic sensibility as an ornament and to present a possibility of scarf design development which can satisfy both artistry and practicality which meet esthetic sense and consciousness of purchasers. The motive of scarf was introduced from W. Kandinsky, one of the pioneers in the modern abstract artists using geometrical forms and bright colors and studied the producing methods which satisfied the character of silk, a major material of scarf, by omitting detailed depiction, if possible. The content of this study comprises W. Kandinsky's artistic spirit expressed in his pictorial works and the character of his works of art. These works were produced on the basis of thes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e conclusion drawn through work produc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ough we feel "hardness" from the arrangement and composition of the geometrical elements in W. Kandinsky's picotrial works generally, not stifling regular array but restructuring of open space constitution leads to the possibility to develop infinite scarf pattern design and to enlarge its scope. Expressional diversity was induced by applying dyeing-proof Dark 202 to the conventional silk screen dye Horyo to generate not only coloring and the dyeing-proof capabilities simultaneously but also putting in color into the unprinted part. If an emphais is put on the development of patterns utiliziing the character of artist's pictorial works like the investigator, a highly added-value and artistic beauty oriented product can be developed.

      • See-Through 양식을 응용한 현대 한국 의상디자인

        김미영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647

        복식을 통한 미의식의 탐구는 아름다운 복식을 착용하려는 태도뿐만 아니라 복식의 미적가치에 대한 태도를 형성케한 당시대의 조형의지 추출에 초점을 모아야 한다. 또한 복식은 형태, 색채, 문양, 소재 등에 나타나는 양식적 특성에 따라 착용자의 신분이나 사회적 지위 그 시대의 사상 및 가치관을 표출하기 때문에 시대상을 반영하는 거울이라고 표현한다. 21세기를 앞둔 국내의 여러분야에서 국제화·세계화의 움직임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패션계에서도 이러한 사회적·문화적 영향을 반영한 한국적 미를 찾아서 꾸준히 세계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상의 국제화를 위한 노력은 국제적인 흐름과 전통성을 적절하게 조화시키거나 새로운 방향제시 보다는 전통의상의 형태, 문양만을 이용한 방법으로 소극적인 한국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진정한 국제화는 우리의 정서와 감정을 재발견해서 현대적인 감각에 맞게 변형하여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데서 찾아야 할 것이다. 동양과 서양의 복식 문화를 비교할 때 동양의 복식은 인체를 드러내지 않고 은폐하면서 발전해 왔고 서양의 복식은 인체의 윤곽선을 조형적으로 드러 내면서 발전해 왔다. 이와같이 see-through가 서구 복식에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산업화·세계화 시대에 살고 있는 한국에서는 현실과 접한 새로운 디자인 창출에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패션의 세계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see-through의 기법을 이용하여 한국적 형태, 색채, 문양, 소재, 장신구 등 조형적 특성을 예술의상에 접목 시키는 동시에 다양한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이론적 배경으로서 see-through 양식의 개념과 시대적 배경을 고찰하고 see-through 양식에 많은 영향을 준 에로티시즘, 에콜로지 경향, 누디즘에 대한 개념들을 살펴보고 의상에 나타난 see-through를 디자이너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또, 한국 복식의 조형요소인 형태, 색채, 문양, 소재, 장신구를 분석하고 의복에 표현된 미적 표현을 고찰하였으며 우리나라 전통 의상에 나타난 see-through와 현대 한국 의상의 나타난 see-through에 대해서 연구하여 전통성을 띤 다양한 조형적인 예술의상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배경으로서 문헌자료와 실물자료를 중심으로 정리·분석하였고 see-through를 응용한 복식 사례를 조사하기 위해서 패션 잡지에 있는 디자이너들의 작품사진을 중심으로 고찰한 후 이를 토대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작품제작은 한국 전통미의 현대적 작업을 위해 서양복식 문화의 한 양상인 see-through 양식을 이용하여 전통미, 예술미, 조형미를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모티브들을 패치워크, 수작업, 비즈워크, 아플리케 등으로 장식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5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 한국 복식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미의식을 지닌 조형요소들을 선택하여 재구성하고 see-through 의상에 응용함으로서 한국의 전통미를 현대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둘째, 서양의 see-through 의상에 많이 사용한 비딩, 패치워크, 아플리케 등 장식 기법을 현대 한국 의상에 도입하여 우리민족의 미의식을 국제적 감각에 맞도록 제시할 수 있었다. 셋째, 비닐, 인조가죽, 망사, 깃털, 옥구슬 등의 소재와 꼴라쥬, 네팅기법을 개발하여 한국의상에 접목시킴으로서 다양한 아트 패브릭(Art Fabric)을 표출하여 한국의상의 표현 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었다. 넷째, 작품 표현 방식에 있어서 다양성과 독창성을 지닌 전통적 한국 모티브를 도입해서 문양의 단순화 작업을 통해 간결미를 표현함으로서 현대적이면서도 한국적인 미를 개발할 수 있었다. 다섯째, 노출의 표현 방법과 장식 기법, 소재의 종류에 따라 see-through 양식에 많은 영향을 준 에로티시즘, 에콜로지 경향, 누디즘 등을 작품제작을 통해서 구분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see-through 기법을 이용함과 동시에 한국적 형태, 색채, 문양, 소재, 장신구 등을 응용하여 디자인 하였으며 단순한 한국 전통 의상의 한 형식적 요소의 재현이 아닌 우리의 정서와 감정을 재발견하여 고급화·세계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고 국제시장에서 한국 의상의 차별화할 방안을 시도 하였다. 그러나 see-through 양식 뿐만아니라 다른 양식의 다양한 접목으로 한국의 전통미가 나타나는 새로운 작품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앞으로 서구 선진문화의 다양하고 창의적 디자인 감각과 겨룰 수 있는 한국 전통 문화의 고유성과 합리성을 지닌 새로운 의상을 창조해야 할 것이다. 또, 의상 제작에 쓰이는 소재 개발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서 우리나라 패션산업의 발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focused on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costume which was reviewed in aspect of a modern sense employing the see-through look. The study was done by examining written documents and searching into the photographs of fashion magazines. Five garments were made based on the above investigation find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ecting the most formative art elements of the korean costume, the beauty of it could be expressed in with a modern sense. Second, employing fashion works such as beading, patch works and applique resulted in designs met the international standards. Third, developing various textile surface techniques and adapting them to the korean costume enlightened the area of the art fabric in the korean drees. Fourth, introducing korean traditional motives resulted in developing korea's own drees simple and modern. Fifth, producing the works the see-through look could be expressed in different manners. As a result, the works done adapting korean traditional colors, pattern and other materials as well as the see-through look suggested as way of drawing a distinction between the korean costume from others. The distinct beauty of the korean costume has to be developed by adapting not only the see-through look but also the other types of fashion silhouette to be stand out in the international markets.

      • 禪사상의 美의식을 표현한 의상디자인 연구

        유지선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에서는 현대 복식문화에 수용된 선사상의 상징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작품제작 등을 통해 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미의식을 자연성·비결정성·평등성·절제성 등으로 범주화하여 의상디자인에 나타난 선사상을 해석하고자 하였으며, 선사상을 중심으로 현대 패션의 트렌드가 가미된 5점의 작품을 디자인·개발·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먼저 선사상의 개념, 역사 등 이론적 측면의 고찰은 국내외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이와 병행하여 각종 문헌과 패션전문잡지, 신문자료 등을 통해 수집된 주요 디자이너들의 작품을 보여줌으로써 시각적으로 연구결과를 입증하였다. 작품을 제작하는데 있어서는 모든 형식을 배격하고 자기 모습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선사상의 모티브를 살리기 위해 새의 둥지, 승복의 가사, 그리스의 의상인 이오닉 키톤(ionic chiton), 남자한복, 버선 등을 응용하였다. 또한 선사상을 표현하기 위해 작품의 색채는 백색(white), 아이보리(ivory), 베이지(beige) 등과 같은 무채색을 중심으로 자연에 가까운 색들을 사용하였고, 면, 거즈, 실크,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순수함, 조용함, 따뜻함을 의상에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들 작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성을 강조한 두 작품에서는 자연의 색조를 기조로 하여 인위적인 가공법이나 처리법이 가해지지 않은 천연소재를 사용하였으며, 형태면에 있어서는 자연스러운 실루엣으로써 자연으로 복귀하려는 자연과의 조화된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둘째, 비결정성이 반영된 작품은 비대칭의 원리를 적용하고 착장법의 자유연출에 의한 자율성과 우연성을 동시에 표현하였다. 비결정성이 반영된 작품에서 나타났던 불규칙성·비대칭성은 탈구성화와 맥락을 같이 하는 것이고, 미완성·불완전성도 해체주의와 연관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평등성이 반영된 작품에서는 지위, 나이,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이나 아이템, 소재를 해체시키고 상호 텍스트를 병행 인용함으로써 이분법적 논리를 무너뜨리면서 열린 사고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넷째, 절제성이 반영된 작품에서는 색상의 절제, 봉제의 최소화, 인위적인 장식을 덜어내고 간결함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절제성은 서구의 차가운 미니멀리즘과는 구분된 따뜻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주고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선사상의 미의식이 표현된 의상은 서양 의상과는 다른 미적 기준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인류의 정신유산인 선사상이 어떠한 조형미를 지니고 현대패선에 표현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선사상이 표현된 의상을 제작함에 있어 우리만의 투박하고 여유 있는 민족성의 특징을 살려 우리나라 복식의 형태와 고유의 색을 가미하고 거기에 디자이너 자신의 개성을 살려 해외진출을 시도한다면 우리나라 패션 하우스들도 국제 패션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In this study we first identified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thought of Zen embedded in the modern costume culture and showed its implications by making pieces of fashion work. In particular, the study intended to interpret the thought of Zen by categorizing its characteristics as naturalism, indeterminism, equalness, temperance and designed 5 costumes with modern fashion trend and the thought of Zen mixed. In doing the research the theoretical part of the study was based upon academic papers domestic and abroad on the concept and history of the thought of Zen. In addit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tood on the grounds by visual representations of the works of major fashion designers collected from the clips in various magazines, newspapers and etc. To express the motif of the thought of Zen that asserts self-consciousness can be achieved only by denying all the formalities, the costumes were made by adopting the ideas and forms of a bird's nest, a surplice, an ionic chiton[Greek costume], traditional Korean mens' clothing, and a poson[Korean socks]. Furthermore, nature-friendly achromatic colors such as white, ivory, and beige and fabrics such as cotton, gauze, and silk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reflecting the ideas of pureness, quietness, and warmness into the cloth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stumes are as follows. The first two clothes that emphasize naturalism were made by using natural colors and fabrics without conducting any artificial process. In their forms, the focus was mainly on natural silhouettes that express the images of harmonious life 'living in the nature.' Secondly, the costume with indeterminism was made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asymmetry. At the same time, its laissez-faire way of wearing the clothing means the self-control and coincidence of the person who wears the costume. We found that the irregularity and asymmetry inherent in the costume of indeterminism have a logical connection with the escape from the formation. Also, we came to know that incompletion and imperfection have a linkage to a dismantlism. Third, in making the clothing that expresses equalness, we intended to suggest the idea of openness in which the thought of dichotomy can be destructed. In doing so, we dismantled the fixed ideas about social status, age, sex, and service and disregarded the items or elements by mismatching each text. Fourth, the costume with temperance was designed by applying moderate colors, minimized needlework, and removed artificial decorations. This simpleness represented the wmm and soft images that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Western minimalism. As such, we showed in this study that costumes representing the thought of Zen, have very different aesthetic standard from those of western style and how the thought of Zen can be expressed in the forms of modern fashion. Costumes that reflect the thought of Zen can be one of candidates for future fashion items worldwide. It is hoped that Korean fashion companies will succeed in the international fashion market by making Zen style clothes by modifying the forms and colors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s.

      • 디자인교육에 있어 시지각 원리를 통한 창의력 개발에 관한 연구

        이연아 同德女子大學校 디자인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9647

        많은 학자들이 창의성 개발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하여 왔다. 사회에서도 창의적인 사람을 선발하는 기준을 남과 다른 사고방식과 진취적이고 적극적인 행동에 두고 있다. 그러한 사람이 어느 분야에서건 좀 더 창의적이고 센스가 있어서 맡은 일을 더 능력있게 한다고 보며 사실 또한 그러하다. 이렇듯 어느 분야에서든 창의적인 사람을 원하며 창의적인 사고력을 개발하기 위해 끊임없는 연구를 하고 있다. 이는 실로 다문화주의인 이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독특한 창의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도 그러한 필요성과 중요성에 기인해 기존의 여러 학자들이 연구하여 발표한 창의성 개발 방법들 중 조형원리의 지각체계를 근거로 한 시지각적 이론과 창의성과의 연관관계를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살펴본 학자들의 시지각에 대한 이론들로는 게슈탈트(Gestalt) 조형심리와 아른 하임(Arnheim)의 시각적 사고, 에드워드 데보노(Edward debone)의 수평적 사고와 에이벌, 오스본 등의 창의적 사고의 중요성을 내세운 학자들의 연구된 자료들을 수용하여 그들의 창의성 개발 방법들을 토대로 시지각 원리가 우리 인간의 창조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논문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결국 창의성을 개발하는 이유가 창의적인 인재를 길러내기 위한것임에 근거해 볼 때, 이 문제를 디자인 교육의 중대한 과제로 보고 이 논문에서도 교육적 중요성을 인식해 시지각 원리를 통한 창의성 개발을 디자인 교육에서부터 어떻게 체계적으로 교육을 시켜가야 하는가에 대해 논문의 요지를 두었다. 이 연구 논문은 창의력 개발을 위한 디자인 교육에 시지각 사고방법을 보다 더 창의적인 방법으로 모색해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자 주안점이다. Continuously, many scholars already had made efforts to develop creativity. In our society, innovative and progressive attitude are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when a person is judged as being creative. In most cases, people believe that way, as a matter of fact, that is true. therefore, the person with creative power is greatly demanded in all fields and continued effort is made to develope creative power. It is believed vital for our survival in the world of multi-cultural environment. Due to such necessity and importance, I have made theoretical observation in my pap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theory and creativity, based on perception system of moulding principle which is one of the method for developing creativity that the person with such a trait would do things in a more efficient and sensitive any scholars have published through their studies. The theories that I have observed are Gestalt moulding mentality, 'visual thinking' written by Arnheim, and from 'horizontal thinking' of Edward Debeno to the materials studied by the scholars, and couple scholars, who emphasized on the importance of the visual thinking, and also I organized the contents of this paper based upon the method of their developing creativity to see how visual perception principle has influenced the creativity of a person. After all,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produce the necessary of the human resources, from such point of view, I made a conclusion that design instruction and art teaching is very important. And I also believe we should stress the importance on the role of educational approach as to how the objectives are better achieved.

      • 웹사이트 디자인에 있어서 味覺 聯想에 따른 시각적 색채와 형태 적용 방법에 관한 연구 : 아이스크림 사이트 중심으로

        한주현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식품에 있어서 색채는 과거 음식의 맛에만 집중되어 있던 기존 인식들을 변경하며 시각적인 즐거움을 통하여 음식의 본연의 맛을 돋우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의 라이프스타일 및 식문화의 변화로 식품에 있어서 색채에 대한 중요성은 증대되고 있다. 단순히 음식을 먹는 것에서 벗어나 음식과 그 환경을 즐기는 문화가 증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발맞추어 많은 식품 업체들이 소비자의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음식의 본연의 맛과 연상되는 색채와 형태를 중요한 마케팅 전략으로 사용을 하고 있다. 각 기업들의 이러한 노력은 식품의 시각적 즐거움을 주는 음식 컬러 디자인, 제품 패키지 및 제품 홍보 웹사이트에 까지 점차 영역을 확대하여 나가고 있다. 본 논문은 아이스크림 웹사이트를 바탕으로 제품의 맛과 연상되는 색채 및 형태의 분석을 통하여 소비자의 시각적 경험을 극대화 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각과 시각의 연상 작용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특정 맛에 대하여 연상되는 색채와 형태를 알아본다. 둘째, 현재 아이스크림 웹사이트의 디자인 및 구조 등 사례 분석을 통하여 각 기업들이 시각적 즐거움을 주기 위한 색채 및 형태 활용법에 대하여 분석을 해본다. 셋째, 소비자 정량조사를 통하여 아이스크림의 맛에 대한 선호도와 연상이미지를 알아보고, 해당 이미지에 귀속된 색채와 형태에 대하여 알아본다. 또한, 미각의 4원미를 활용하여 각각의 맛이 내포하고 있는 연상이미지의 색채와 형태를 통하여 아이스크림 웹사이트에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설문을 진행 한다. 마지막으로, 설문의 내용을 분석하여 소비자들이 느끼는 아이스크림의 미각 형용사와 색채 및 형태를 구조화 하여 아이스크림 웹사이트에 최적화된 디자인 활용법에 대한 제언을 한다. The aspects of color on foods are playing important role in providing visual pleasure and stimulating taste of foods. It has transformed long-lasted perception that food is only desirable when taste proves its quality. As life style and food cultures evolve, importance of color is getting bigger as it provides the holistic experience of culture of enjoying tasty food at good environment. In order to address such trends, many food companies have paid more attention to color that is heavily related to food and its past experiences. Companies have expanded its coverage from color design of food, product package and brand website to provide necessary visual pleasure. This thesis focuses on providing ways to maximize visual pleasure on ice cream website by analyzing color and shape that are related to taste of ice cream. This thesis follows on below process. First, I have analyzed on color and shape in associated with specific flavor or foods through theoretical study on taste and visual association. Second, I have analyzed current ice cream website on their design and structure in order to explore how each company leverage their color and shape to provide maximum visual pleasure. Third, I have conducted consumer quantitative survey in order to understand consumers’ perception on taste of ice cream and associated image along with color and shape that best describes such images. Moreover, I have studied color and shape of associated image of four basic tastes in order to apply on ice cream website. Finally, I have advised on the optimal ice cream website design by structuring proper color and shape based on consumers’ perception and associated image when thinking about ice cream.

      • 해양 이미지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디지털 프린팅과 마블링 기법을 중심으로

        이유정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대 문명사회의 지나친 물질우선주의와 단순미를 지향하는 모더니즘의 무미건조한 인간성 외면, 그리고 자연 파괴로 인한 환경오염 등에 회의를 느낀 현대인들의 심리는 자연으로의 회기, 옛것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켰으며, 이러한 상황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자연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거나 인간의 나타내고자 하는 모든 욕구를 전위적으로 표현하였다. 인간과 생물학적 상호관계를 미학적인 근거로 삼는 자연주의는 자연환경이나 인간성의 파괴를 주제로 하여 미술과 음악, 문학, 영화 등 예술과 문화의 다방면에서 부각되고 있으며 패션에서는 인간을 의복자체로부터 자유롭게 하는 것, 육체의 아름다움, 휴머니즘이 자연주의 경향에 심도 있게 제시되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자연회귀심리의 일환으로 나타난 '자연 에콜로지'의 경향은 현대 패션을 이끄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복식에 나타난 에콜로지 경향은 자연을 찬미하고, 자연에 동화되려는 사고방식과 생태계보존에 대한 우려들을 의복을 통하여 나타난 Primitivism, Neo-Cosmism, Naturalism 등의 경향으로 오염되지 않은 자연의 생태계를 제시한다. 에콜로지 경향에서 해양이미지는 중요 모티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채와 형태는 복식에 있어서 자연스러운 실루엣과 천연섬유의 활용 등으로 인공적이지 않은 감각을 존중하며 의복과의 조화를 이루며 표현되어졌다. 해양은 자원의 보고로 인간에게 미래의 꿈을 제시해주는 중요한 삶의 터전인 동시에 조형적인 미로 인간내면에 친숙하게 다가와 다양하게 표현되며 그 중요성이 부각되어져 왔는데 해양 생물의 형태나 재질감은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수공예적인 기법으로 복식에 있어 내추럴한 실루엣이나 문양으로 표현되고 연구되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해양환경의 중요성 및 자연과 인간, 그리고 의복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의미에서 해양 이미지를 모티브로 선택하였으며 컴퓨터 그래픽을 응용한 디지털프린팅과 마블링기법으로 해양의 조형미를 현대적인 시각으로 표현하였다. 해양이미지를 모티브로 해양환경이 가지는 신비함과 깊은 바다색, 생물들의 화려한 색채조화, 다양한 형태감과 율동감있는 물결선 및 깊이감 등을 소재의 하늘거림과 중첩을 통하여 공간감 있게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에콜로지 경향의 현대패션흐름에서 다양한 해양이미지들을 디지털프린팅과 마블링기법을 응용하여 복식에 도입함으로써 자연과 인간, 그리고 의복과의 조화를 강조하여 복식에서의 창조적인 표현예술의 영역을 확대하고 고부가가치 상품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해양과 조형예술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해양의 환경과 조형적 특성을 문헌 고찰과 사진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고, 해양이미지와 관련된 작품을 수집, 분석하였다. 또한 마블링염색의 발달과정과 방법을 문헌 고찰과 염색작업을 통해 연구하였고, 디지털 프린팅은 인터넷자료와 문헌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해양이미지를 마블링기법과 디지털프린팅을 응용하여 총 6점의 의상을 제작하였다. 작품소재로는 오간자과 쉬폰, 실크를 사용하였으며, 이 소재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중첩하여 최대한 조형적인 실루엣을 표현하였다. 신비로운 해양의 물결선은 마블링 염색을 통해 표현하였고 해양생물의 다양한 형태와 화려한 색채는 디지털프린팅과 마블링기법을 통해 조형적인 문양으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해저의 깊이 있는 공간감과 빛의 반사에 의한 해면의 투명감은 디지털프린팅한 얇고 비치는 원단을 중첩함으로써 의상에 응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환경의 다양한 형태와 신비로운 색채를 문양으로 도입함으로써 에꼴로지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표현이 가능하였고 자연주의 경향의 해양이미지는 에꼴로지 패션의 중요모티브로 활용가능성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해양의 조형적 특성을 의상에 도입함에 있어서 해양 생물과 환경적 특성에서 나타난 신비로운 형태와 공간적인 깊이감을 소재의 중첩을 통하여 표현할 수 있었으며 해양의 율동감 있는 물결선은 실크소재에 마블링기법을 도입함으로써 물결의 하늘거리는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었다. 셋째, 해양이미지를 모티브로한 문양은 디지털 프린팅을 도입하여 해양생물과 환경적 이미지의 섬세하고 환상적인 형태미를 율동, 반복, 확대, 변형 등의 방법으로 디자인하여 표현하였고, 비치는 소재에 프린트 기법과 마블링기법을 중첩함으로써 바다 속 이미지를 복합적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넷째, 해양이미지 모티브의 깊이감있는 바다색을 표현함에 있어서 그라데이션 염색과 비치는 소재에 디지털 프린팅과 마블링을 겹겹이 사용하여 색채를 나타냄으로써 다양한 바다이미지의 깊이감 있는 색채표현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해양이미지들을 도입하여 마블링과 디지털 프린팅기법과 접목시켜, 현대적인 조형미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앞으로도 해양이미지는 무한한 가능성과 예술적 가치로 승화될 수 있는 영감의 근원으로 볼 수 있으며, 다양한 기법들을 접목시켜 끊임없는 의상디자인의 고부가가치의 상품개발과 창조적인 표현영역 연구가 이어지기를 바란다. We had doubts that Modernism in pursuit of materialism and simplicity in the current civilized society had turned away humanity. And we were skeptical about environmental pollution by the destruction of the nature. These doubts gave rise to a nostalgia and naturalism. So people used an avant-garde expression to represent all the desire of the symbolizing image of nature and man. Naturalism, aesthetically based on human and ecological correlation, is on the subject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destruction of human the nature. It is appeared on art, music, literature, movies and other various culture. Especially in fashion, Naturalism express the beauty of the body, the humanism and the man being free from clothing. Therefore, the trend of natural ecology, a kind of the mentality wanting to return to nature, is becoming a important position leading the current fashion. The ecological trend in dressing glorify the nature express the way of thinking of assimilating with nature and the concern for preservation of ecosystem in the form of clothing, exhibit the unpolluted ecosystem of nature by Primitivism, Neo-Cosmism, Naturalism. The ocean-image in ecological trend could be used by a major motive. The diversity of color and form are harmoniously represented with clothing by utilizing the natural silhouette and natural fiber. People refer to the ocean as a treasure house of resources, a site of life presenting a vision. The sea, becoming familiar with the inside of man, is differently presented by the formative beauty. So, they have thought that the sea is important. And the form and quality of a creature in ocean have been researched and represented in the form of a silhouette and pattern by making a use of a realistic description and handicraft techniques in the world of clothing. This research selects the ocean-image as a motive for the purpose of harmonizing the importance of sea environment, human, nature and clothing. By applying computer-graphic, digital printing and marbling enable to interpret the formative beauty of the ocean as a modern viewpoint. With the ocean-image as motive, we could spatially express the mystery in Ocean, the deep color of sea, magnificent color of sea-creature, a wave and depth with various rhythmic, formative sense by making use of quivering material and reit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large the realm of the creative expression art and develop the high value-added products in the clothing focusing on the harmony of the nature, human and clothing by applying the images of the ocean-image to the clothing using digital printing and marbling technique, considering the trend of the current fashion on ecology. For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the environment of the ocea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the literature study and analysis of the photograph data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ocean and the formative arts and the related works to the ocean imag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addition, the development and methods of marbling dyeing were investigated by the literature study and dyeing works, and digital printing was analyzed on a basis of the internet data and literature. Based upon this result, a total of 6 clothes were manufactured with the ocean images by using the marbling technique and digital printing. The materials of work such as organza, chiffon and silk were used to express the most formative silhouette by reiterating these materials with a variety of ways. Mysterious waves of the ocean were expressed through the marbling technique and the various forms and luxurious colors of the ocean creatures were revealed with the formative patterns through marbling technique and digital printing. Moreover, the depth of the ocean and transparency of the ocean generated by reflecting light were applied to the clothing by reiterating the digital-printed light and see-through stuf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it was possible to express focusing on the feature of ecology by applying a variety of shapes and mysterious colors of the ocean to the pattern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ocean-images on the trend of naturalism could be used for the major motives of the ecology fashion. Secondly, applying the formative features of the ocean to the clothing, it indicated that the mysterious forms and spacious depth appeared in the ocean creature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could be expressed through the reiteration of the materials and also the rhythmical waves of the ocean could be expressed by introducing the marbling technique to the silk material. Thirdly, the patterns motivating the ocean images could be expressed by introducing the digital printing and designing with the methods including rhythmic movement, reiteration, enlargement and transformation etc. to reveal the delicate and fantastic beauty of forms of the ocean creatures and environmental images. And the ocean images could be expressed by reiterating the print technique and marbling technique on the see-through materials to reveal the complicated images of the ocean. Fourthly, the deep colors of the ocean could be expressed by using the digital printing and marbling technique and the gradation dyeing on the see-through materials in many folds to reveal a variety of images and depth of the ocea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ress the modern beauty of formative arts by introducing a variety of the ocean images with marbling and digital printing techniques. The images of the ocean could continue to be used for sources of inspiration to sublime with the unlimited opportunity and artistic value in the future and so it is expected to develop high value-added products in the clothing design and to continue to study the creative realm of expression by grafting a variety of techniq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