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헤이룽장성 대학생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안정감과 학업불안의 매개효과

        두이웨이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중국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 부모의 양육태도, 안정감, 학업불안, 학업효능감의 경향을 분석하여 성별, 학교급, 양육 경험, 성적 순위의 차이 와 이 4가지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종합적이고 건강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가정교육, 학교 돌봄 및 사 회적 지원의 관점에서 가정내 부모의 자녀교육여건 개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 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들 부모의 양육태도, 안정감, 학업불안, 학업효능감에 대한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2]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들의 성별, 학교 순위(전문대학, 일반 학부대학, 중점대학), 양육 경험, 학업성취도에 따라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3]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들 부모의 양육태도, 안정성, 학업불 안, 학업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은 중국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설문 지는 헤이룽장(黑龍江)성 동북임업대학, 동북농업대학, 하얼빈공과대학, 하얼빈 공업대학, 헤이룽장대학, 헤이룽장간호고등전문학교, 하얼빈석유학원, 쑤이화학 원, 헤이룽장농업개간직업대학 등 19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배포되었다. 설문조사는 2023년 7월 3일부터 8월 22일까지 모바일 설문지 앱을 사용하여 진행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19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자료 수집은 비확률 샘 플링(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의 편리한 샘플링 방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823개의 유효한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이에 대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들은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교육에 적극적이고 심리적으로 안정적이며 학업불안의 정도가 낮고 중등도의 학업효능 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들은 성별, 학년, 양육 경험, 학업성적 등 인구학적 변수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관한 결과를 보면, 부모가 아들과 딸을 양육하는 방식에는 통계적으 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 부모의 양육태도는 거부형과 과보호 형이 여학생보다 높았고, 애정형이 여학생보다 낮았다. 학교급에 따라 부모의 양육태도, 안정감, 학업불안, 학습효능감 면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모의 양육태도의 거부형은 학교급에 따라 전 문대학은 일반학부대학과 중점대학보다, 일반학부대학은 중점대학보다 더 높은 거부형 평균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애정형과 과보호형의 경우, 애정형은 일반학부대학과 중점대학은 전문대학보다 더 높은 애정형 평균점수, 과보호형은 전문대학은 일반학부대학과 중점대학보다 더 높은 과보호형 평균점 수를 보였다. 그리고 안정감의 경우, 학교급에 따라 일반학부대학과 중점대학은 전문대학 보다 더 높은 안정감 평균점수를 보였다. 다음으로 학업불안의 경우, 전문대학 은 일반학부대학과 중점대학보다 더 높은 학업불안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학업효능감의 경우, 학교급에 따라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일반학부 대학과 중점대학은 전문대학보다, 중점대학은 일반학부대학보다 더 높은 학업 효능감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양육경험의 경우, 학업효능감은 양육경력에 따라 의미 있는 평균의 차이가 있었는데 7-9세는 0-3세보다 더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성적순위의 경우, 학업불안은 성적순위 자술 의미 있는 평균의 차이가 나타 났고, 학업효능감 변수는 성적순위 자술에 따라 유의미한 평균의 차이를 보였 으며, 부모의 양육태도 방식의 거부형, 애정형, 과보호형과 안정감 변수는 성적 순위 자술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평균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 부모의 양육태도, 안정성, 학업 불안 및 학 업 효능감 사이의 구조적 관계이다. 먼저 거부형 부모의 양육태도와 과보호형 부모의 양육태도는 안정감, 학업효 능감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업불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정감의 경우, 학업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업효능감에 영향을 줄 때 안정감과 학업불안 이 매개효과를 나타낸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안정감을 매개함으로써 학업효능 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적극적인 애정형 부모의 양육태도는 안정감을 더하고 학업효능감을 높인다. 소극적 거부형과 과보호형 부모양육 태도는 안정 감과 학업효능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양육태도는 안정감과 학업불안이라는 이중매개를 통해 간 접적으로 학업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인 애정형 부모의 양육태도는 안정감 증가 및 학업불안의 감지를 통해 학습효능감을 높일 수 있 다. 소극적 거부형과 과보호형 부모의 양육태도는 안정감 저하와 학업불안을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나 학업효능감을 떨어뜨릴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업불안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효능감의 매개체로서도 이중매 개작용을 통해 안정감과 함께 작용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학업효능감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함을 알 수 있다. 헤이룽장(黑龍江)성은 중국 동북부에 있는 중국에서 경제발전이 상대적으로 낙후된 성으로 가정교육 연구, 특히 부모의 양육태도 연구,‘평생교육’발전, ‘가정교육 지도센터’건설 등 실천에서 뒤처진 위치에 있다. 동시에 헤이룽장 (黑龍江)성은 곡물과 인구가 많은 성으로서 중국의 전통 농업 문화의 영향을 받아 문화적 특성이 강하다. 사회문화적 개념과 관습은 중국의 다른 지역에 따 라 상당한 지역적 차이가 있다. 부모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요인 으로는 남성 지상주의, 남성이 다음 세대가 부모의 노후를 책임진다는 전통적 관점과(養兒防老)(袁小波, 杜鹏, 2023), 아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두고 훌륭한 인 재가 되기를 바라는 관점(望子成龍)(谢小平, 付康, 邹文理, 2023), 일부 부모들은 딸에게 더 넉넉한 일상적 경제적 지원 등 문화적 관념과 풍습이 있으나 여전히 남성 지상주의 문화가 남아있다. 따라서 이런 역사, 문화적 측면을 근간으로 하 여 헤이룽장(黑龍江)성에서 대학생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효능감에 어떤 영향 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역사와 문화 전통의 영향으로 기본적으로 자녀와의 관계에서 주도적, 심지어 지배적 위치에 있는 중국 부모들은 자기 부모의 양육태도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부모가 자기 행동과 교육적 역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부모의 양육태도에서 출발하여 대학생의 심리상태를 항상 주 시하고 학생의 학업 생활을 둘러싸고 부모가 자신의 관점에서 거부형, 과보호 형의 소극적 부모의 양육태도를 개선하고 애정형의 적극적 부모의 양육태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자녀의 안정감을 높이고 학업불안을 감소시키며 자녀의 학업효 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부모의 양 육태도를 함양하여 자녀가 치열하게 경쟁하는 사회생활에서 건강하게 성장하고 훌륭한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앞으로 학생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법과 규 정을 어떻게 정착시킬 것인가에 대한 심도있는 접근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적 측면에서는 평생교육과 학부모 교육에 대한 한국의 선진경험을 참고하 고, 대학의 교수와 부모모임 등 사회조직을 결합하고, 대학을 학생과 부모의 연 계를 통한 학부모교육센터를 개설할 필요가 있다. 가정교육에 관한 평생교육과 정을 개설하고, 가정교육에 대한 사회적 지원을 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서 학부 모와 아이가 부딪히는 가정에서의 부모의 양육태도 문제에 대해 최적화 조정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학자, 대학과 사회의 공동과제가 되어야 한다.

      • 외국인 유학생의 노동실태 연구 : 대진대학교 베트남 유학생을 중심으로

        다오쑤언프엉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한국에서 유학을 하고 있는 외국인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더구나 대학 재정이 열악한 지방대학의 경우 외국인 유학생 유치는 매우 중요한 경영전략의 하나로 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에서 유학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학업 이외의 노동문제는 매우 중요한 차원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을 정도로 심각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거주하는 유학생들의 사회생활과 노동과정에서 겪는 문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대진대학교에 재학 중인 베트남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한국에 거주하는 베트남 학생들의 이주과정, 노동활동, 생활경험 등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수집하였다. 베트남 유학생의 특징 중 하나는 학업과 노동을 겸하는 경우가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편이고 이로 인하여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동이 유학생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그 실태는 어떠한지를 대진대학교 베트남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인터뷰 결과에 따르면 경제적 문제는 초창기는 부모님의 도움으로 해결하고 있으나 나중에는 본인 스스로 벌어서 생활하고 있으며, 특별히 건강 문제는 없으나 심리적 문제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실태를 보면 베트남 학생들은 대부분 저숙련 및 반숙련 노동에 종사하고 있으며, 노동과정에서 임금체불, 저임금, 산업재해, 질병, 장시간 노동 등 다양한 문제를 겪고 있다. 특히 특히 경험해보지 못한 취업 절차 및 작업 환경과 관련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유학생들은 한국의 법체계를 이해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으며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크게 겪고 있다. 또한, 한국 사회에서의 소외를 극복하고 안정적인 학업생활을 위해 유학생, 특히 한국인과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려고 하지만 기회가 거의 없거나 아예 없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들의 노동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유학생 업종을 조정하거나, 노동안내 시스템의 도입, 유학생의 사회통합 활성 노력 등이 요구된다. 그리고 생활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유학생 네트워크에 대한 지원, 한국어 교육 강화, 그리고 취업 지원 서비스 제도화 등을 본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 남북한 혼인에 관한 법제도 통합방안

        김태희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re are some of the differences in laws and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social environment in each country. The marriage system in South Korea is regulated by the Civil Law while the one in North Korea is ruled not by the Civil Law but the Family Act of DPRK enacted in 1990. Marriage-related legal systems influenced by their own tradition or religion as well as political or social circumstances have specificity because they are legal area with strong uniqueness. Especially, the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marriage system taking the form of a different legal system would be said to have an important meaning as a pre-required condition for social integration of a unified Korea. This study reviews the family laws and marriage-related regulations of the two Koreas on the premise that two Koreas will be unified. I’d like to propose the integration plan based on the results induced by the in-dept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aws and regulations on marriage between two Koreas. It is necessary to review how to accept North Korea’s different family law system based on South Korea’s Civil Law before discussing the integration plan between the two Koreas first. It is also needed to prepare a plan to maintain and manage a stable family life relationship through marriage between the two Koreas and then to present specific directions for the integration plan o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way that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of integration will be organized, the conditions for the integration of legal system between the two Koreas would be changed. First, there are no difficulties in the integration of legal system because North Korea’s Family Law similar to South Korea’s Civil Law has not had any regulations related to marriage. However, there are some of different regulations including marriage age, prohibition of marriage between close relatives, a void and cancellation of marriage. Surely, there are many similarities when comparing the regulations related to marriage between the two Koreas. Finally, based on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similarities in the legal system of marriage, I draw implications through comparing the legal systems of neighboring countries like Japan and China with cultural and traditional similarities rather than dealing with integration measures limited to the legal system related to marriage between the two Koreas. If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legal system of marriage between the two Koreas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th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acknowledg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gal systems of the two Koreas, and studying on the ways that can be integrated, a specific marriage integration draft are as followings; it is common to stipulate the integrated legislation for marriages between the two Koreas as a part of the Civil Act or the Family Act, but it is intended to be composed and presented as a separated draft. This study consists of the general principles of marriage in Chapter 1, the establishment of marriage in Chapter 2, the invalidation and cancellation of marriage in Chapter 3, and the effect of marriage in Chapter 4. In this study, discussing an engagement in the integrated law is excluded because it is expected to be sufficient to handle it in accordance with the common law or the general principles of the contract, comparing the four Northeast Asian countries’ situation. Divorce is also included in the marriage system because the Civil Law of South Korea and Japan deals with divorce in the marriage chapter, but a research of divorce for an in-depth review of the marriage system will be discussed in further study and this study consists mostly of the integrated law of marriage. 남북한 혼인에 관한 법제도 통합방안 김 태 희 공공인재법학과 대진대학교 대학원 국가마다 사회적인 환경에 따라 법 규정의 차이가 존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혼인제도를 「민법」에서 규정하고 있지만, 북한은 「민법」이 아닌 1990년 제정된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가족법」에서 다루고 있다. 혼인 관련 법제도는 고유 성이 강한 법 영역으로서 전통이나 종교의 영향은 물론 정치적·사회적 상황에 따라 특수성을 갖는다. 특히 다른 법제도 형태를 취하고 있는 남북한 혼인제도 의 통합은 통일 한국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 진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남북통일을 전제로 하여 남북한 「가족법」과 혼인 관련 규정들을 검토하였다. 남북한의 혼인에 관한 법 규정들을 심층적으로 비교 분석한 후 이 를 토대로 통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남북한의 통합방안을 위한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우선 북한의 이질적인 가족법 체계를 남한 「민법」에서는 어떻게 수용할 것인지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남북한이 혼인함으로써 안정적인 가족생활관계를 유지·관리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과 함께 향후 통합방안에 대 한 구체적인 방향 제시가 요망된다. 남북한 혼인에 관한 법제도 통합을 위한 요건으로 통합의 원칙과 방향의 설정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먼저 북한 「가족법」은 아직 혼인의 관련 규정들이 없거나 혹은 우리 「민법」과 비슷 한 규정들이어서 통합에 별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는 약혼, 부부간의 의무 등이 있다. 일부 차이가 있는 규정으로는 혼인연령, 근친혼금지, 혼인의 무효와 취소 등이 있다. 남북한의 혼인과 관련 규정을 비교해 보면 유사점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남북한 혼인에 관한 법제도에 국한하여 통합방안을 다루기보다는 문 화적·전통적 유사성이 있는 인접 국가들인 일본과 중국의 법제도를 비교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남북통일을 고려하지 않고 현재 상태만을 생각하고, 남북한 법제 도의 차이점을 인정하고 그중에서 통합이 가능한 방안 위주로 연구하고 방향성 을 참고하여 구체적인 혼인통합법제(안)를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남북한 혼 인에 대한 통합법제(안)은 「민법」 또는 가족법의 한 부분으로 규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여기에서는 별도의 법안으로 구성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제1장 혼인의 일반원칙, 제2장 혼인의 성립, 제3장 혼인의 무효와 취소, 제4장 혼인의 효과로 구성하였다. 동북아 4개국을 비교할 때 약혼은 혼인법제에 명시적으로 규정할 필요는 없 고, 관습법 내지 계약의 일반원칙에 따라 처리하면 충분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 에 통합법제(안)에서는 제외하였다. 또한 이혼의 경우 남한이나 일본의 민법에 서는 혼인의 장에 이혼까지 다루고 있기 때문에 혼인제도에 포함시킬 수도 있 지만, 이 논문에서는 혼인제도에 대한 심층적 검토를 위하여 이혼은 추후 연구 로 미루고, 혼인에 관한 통합법제(안)으로 구성하였다. <국문 키워드> 약혼, 혼인, 북한 가족법, 통일대비 가족법의 통합방안, 가족법 통합의 방향, 남북한 혼인관련 법제도, 혼인 통합법제(안)

      • 중국 대학 교수의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직무만족도, 이직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멍루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중국 동북 지역 대학 교수들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직무소진이 이직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고 이들의 이직 의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문 제는 첫째, 중국 대학 교수의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직무만족도, 이직 의도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위 네 가지 변수의 성별, 연 령, 학력 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국 대학 교수의 직무스트레스, 직 무소진, 직무만족도, 이직 의도 간에는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가? 등이다. 본 논문은 문헌조사와 실증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문헌조사는 국내외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대학교수의 직무스트레스, 직무 만족도, 직무 소진, 이직 경향에 대한 개념과 관계를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 모형과 11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실증조사는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중국 동북 3개 성의 4년제 대학 에 근무하는 남녀 교수들로 402명이다. 설문지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는 총 9개 문항, 직무만족도, 직무소진, 이직 의도 측정도구는 각각 8개의 객관식 문항으로 구성하고 각 응답문항은 리커트(Likert)의 5점 척도로 구 성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7, AMOS 27.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변인의 집중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평균값을 계산하고, 평균값의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 시하였다. 또한,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적률상관계수를 구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잠재 변인 간 경로의 직접 효과, 간접효과 및 총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Bootstrap 방법을 이용 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 는 아래와 같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채택한 가설들은 모두 채택되었다. 즉, 직무스트 레스는 직무만족도, 이직 의도, 직무소진에 모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도는 직무소진과 이직 의도를 낮추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무소진은 이직 의도를 높여는 주는 것으로 나 타났다. 한편, 매개효과 면에서 직무스트레스가 이직 의도에 영향을 줄 때 직무 만족도와 직무소진은 각각, 그리고 다중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리고 직무만족도가 이직 의도에 영향을 줄 때 직무소진은 매개 역 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영향을 줄 때 직무만족도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은 교수들의 직무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더 많은 행정 및 연구 지원, 합리적인 교육 임무 할당, 시간 관리와 스트레스 관리 교육 등 을 추진해야 한다. 둘째, 대학은 교육 과정 설계와 대학 운영에 교수들의 참여를 확대하여 이를 실현할 수 있다. 셋째, 대학은 교수들의 이직 의도 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 중국 대학교수의 마음챙김리더십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감정과 팀심리안전의 매개효과

        자오린펑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현대 사회에서 지식의 가치는 점점 높아지고 국경을 초월하며 융합하는 속도가 빠르다. 대학은 핵심적인 지식의 산출이 주를 이루며, 교수가 지식을 공유하고 시너지를 어떻게 달성하느냐가 조직성과의 초점이다. 이 연구는 마음챙김리더십이 대학 교수들의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모형을 리더-팀-개인의 세 가지 관점에서 구성하고, 이 과정에서 팀심리안전과 긍정적 감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중국 대학교수의 마음챙김리더십, 긍정적 감정, 팀심리안전, 지식공유의 어떠하며, 이러한 경향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성별, 근무연수)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중국 대학교수의 마음챙김리더십, 긍정적 감정, 팀심리안전과 지식공유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중국 11개 대학에 재직 중인 대학 교수 494명이다. 연구대상자 표집을 위하여 비확률적 편의표집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는 2023년 7월 5일부터 12일까지 모바일 설문앱을 통해 수행하였다. 측정도구와 신뢰도는 ‘Mindful Attention Awareness Scale(MAAS)’는 α=0.92,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는 α=0.88, ‘Team Psychological Safety Scale(TPSS)’는 α= 0.88, ‘지식공유 의향 척도’는 α= 0.91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및 AMO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도구의 신뢰성을 검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각 변인의 경향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t-검증 및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Bootstrap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와 총효과를 구하였고, 모든 통계적 의의 수준은.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변인들의 평균은 5점 만점에 마음챙김리더십 3.35점, 긍정적 감정 3.22점, 팀심리안전 3.45점, 지식공유 3.46점이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 마음챙김리더십만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마음챙김리더십과 지식공유 간의 관계에서 긍정적 감정는 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마음챙김리더십과 지식공유 간의 관계에서 팀심리안전은 매개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마음챙김리더십과 지식공유 간의 관계에서 긍정적정서와 팀심리안전은 다중매개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교수의 지식공유와 지식혁신이 보다 유동적인 조직환경을 갖도록 대학행정가의 리더십 수준을 향상시켜야 한다. 둘째, 대학 교수의 정서적 건강에 주의를 기울여 근무정서를 건강하고 긍정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근무동기를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대학 내 심리적 안전 분위기에 관심을 갖고 교수집단의 팀 응집력과 팀 효과성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연구 모집단의 한계를 감안할 때 향후 연구는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여 보다 의미 있는 결과를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향후 연구에서는 측정도구의 한계를 고려할 때 중국의 문화와 시대적 상황에 맞는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결과의 정확성을 높여야 한다.

      • 중국 대학생의 휴대폰 의존성, 사회불안, 고독감, 대인문제 간의 구조적 관계 : 산동성을 중심으로

        쿵판싱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gree of mobile phone dependence, social anxiety, loneliness, interpersonal problem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our variables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ly, what are the tendencie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towards mobile phone dependence, social anxiety, lonelin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se tendencies between gender, grades, majors? Secondly, what a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hinese college students' mobile phone dependence, social anxiety, lonelin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mobile phone dependence scale used 熊婕 et al. (2012)'s Mobile Phone Addiction Dependency Scale(MPATS)(Cronbach' s α= .81). The Social anxiety Scale uses the Interaction Anxiety Scale (IAS) of Leary (1983) rewritten by 汪向东, 王希林, 马弘(1999)(Cronbach' s α= .84). The Loneliness Scale used 汪向东, 王希林, 马弘(1999) to rewrite Russell et al.'s (1987)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Loneliness Scale(Cronbach' s α= .90).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used 郑日昌(1999)'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for College Students(IRSCS)(Cronbach' s α= .75). The research subjects were 862 college students from 13 universities in Shandong Province, China.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5th to February 15th, 2023,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mobile questionnaire app. The collected data was used to calculat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variable using SPSS27 and AMOS27 programs, and t-tests or scatt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genders, grades, and majors. In order to judge whether each variable is Normal distribution, the skewness and kurtosis are calculated. Empirical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all scales. To verify the hypothes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is. 05.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mobile phone dependence scored 2.79 out of a maximum of 5, social anxiety 3.11, loneliness 2.25, and interpersonal problems 2.36.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bile phone dependence and loneliness between men and women. Social anxiety is statistically higher among women than men, men have higher levels of interpersonal problems than women.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four variables in grade.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oneliness among different majors, but in terms of mobile phone dependence,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issues, students in humanities and sciences are higher than those in arts and sports. Secondly, the higher mobile phone dependence, the higher social anxiety, lonelin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higher social anxiety, the higher lonelin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higher loneliness,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personal problems. Social anxiety plays a positive mediating role between mobile phone depend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Loneliness plays a positive mediating role between mobile phone depend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Social anxiety plays a positive mediating role between mobile phone dependence and loneliness. Loneliness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and social anxiety and loneliness play multiple mediating roles between mobile phone depend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irdly, mobile phone dependence has the greatest direct impact on social anxiety, followed by lonelin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 But mobile phone dependence increases social anxiety and loneliness, exacerbating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them, social anxiety exacerbates interpersonal problems the most. The biggest reason why mobile phone dependence worsens adult problems is that it increases social anxiety and loneliness. Mobile phone dependence, social anxiety, and loneliness account for approximately 90%. From this perspective, in order to reduce interpersonal problems, while reducing students' social anxiety and loneliness, it is also necessary to reduce mobile phone dependence that increases social anxiety and loneliness. Fourthly, mobile phone dependence, social anxiety, and loneliness all directly affect the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As shown in the model of this study, when variables interact, mobile phone dependence has the greatest impact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the first thing to pay attention to is their mobile phone dependence, while also not ignoring psychological issues such as social anxiety and loneliness. For college students, while paying attention to improving their self-awareness, adjusting their phone usage time and methods, strengthen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take measures to improve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adaptability. Universities should pay attention to mental health education and counseling services, and provide professional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assistance for colleg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들의 휴대폰 의존성, 사회불안, 고독감, 대인문제의 정도와 이 네 가지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국 대학생의 휴대폰 의존성, 사회불안, 고독감, 대인문제의 경향은 어떠하며 이러한 경향은 남녀간, 학년간, 전공 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국 대학생의 휴대폰 의존성, 사회불안, 고독감, 대인문제 간에는 어떤 구조적 관계가 있는가? 휴대폰 의존성 척도는 熊婕 외(2012)의 Mobile Phone Addiction Tendency Scale(MPATS)를 사용하였다(Cronbach' s α= .81). 사회불안 척도는 汪向东, 王希林, 马弘(1999)이 Leary(1983)의 Interaction Anxiousness Scale(IAS)을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Cronbach' s α= .84). 고독감 척도는 汪向东, 王希林, 马弘(1999)이 Russell 외(1987)의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UCLA) Loneliness Scale을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Cronbach' s α= .90). 대인문제 척도는 郑日昌(1999)의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for College Students(IRSCS)를 사용하였다(Cronbach' s α= .75). 연구 대상은 중국 산동성 13개 대학의 대학생 862명이다. 조사 기간은 2023년 1월 25일부터 2월 15일까지로, 모바일 설문 앱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7, AMOS 27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변인별의 평균치, 표준 편차를 구하고, 성별이나 학년, 전공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이나 분산분석을 하였다. 각 변인이 정상분포를 이루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왜도와 첨도를 구하였다. 모든 척도에 대해 확증적 요인 분석을 수행했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 방정식 모델 분석을 했다. 통계적 의의 수준은 .05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폰 의존성은 5점 만점에 2.79점, 사회불안 3.11점, 고독감 2.25점, 대인문제 2.36점이었다. 휴대폰 의존성, 고독감은 남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사회불안은 남성보다 여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대인문제는 남성이 여성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네 가지 변수 학년 간에 차이가 없었다. 고독감은 전공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휴대폰 의존성, 사회불안, 대인문제는 인문사회계열과 이공계열 학생이 예체능계열 학생보다 높았다. 둘째, 휴대폰 의존성가 높을수록 사회불안, 고독감, 대인문제가 높았다.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고독감과 대인문제가 높았다. 고독감이 높을수록 대인문제가 높았다. 사회불안은 휴대폰 의존성과 대인문제 사이에서 긍정적 매개역할을 하였다. 고독감은 휴대폰 의존성과 대인문제 사이에서 긍정적 매개역할을 하였다. 사회불안은 휴대폰 의존성과 고독감 사이에 긍정적 매개역할을 하였다. 고독감은 사회불안과 대인문제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하였다, 사회불안과 고독감은 휴대폰 의존성과 대인문제 사이에서 다중매개역할을 하였다. 셋째, 휴대폰 의존성은 사회불안에 가장 큰 직접적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으로는 고독감과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휴대폰 의존성이 사회불안과 고독감을 증가시켜 대인문제를 가장 악화시킨다. 이중에서 사회불안이 대인문제를 가장 많이 악화시킨다. 이처럼 휴대폰 의존성이 대인문제를 악화시키기는 가장 큰 원인은 사회불안과 고독감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휴대폰 의존성, 사회불안, 고독감이 대인문제를 약 90% 설명해 주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대인문제를 줄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사회불안과 고독감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사회불안과 고독감을 증가시키는 휴대폰 의존성을 낮추어야 한다. 넷째, 휴대폰 의존성, 사회불안, 고독감은 모두 대학생의 대인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모델에서와 같이 변수들이 서로 상호 작용할 때, 휴대폰 의존성은 대인관계 문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대인관계 문제를 줄이기 위해서는, 먼저 대학생들의 휴대폰 의존성에 주목해야 하며 동시에 사회불안, 고독감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대학생의 경우 자각능력 향상, 휴대전화 사용 시간과 방법의 조절,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강화에 초점을 맞춘 동시에, 심리적 안정과 적응력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대학은 정신 건강 교육 및 상담 서비스주의를 기울이고 대학생에게 전문적 심리 상담 및 도움을 제공해야 한다.

      • GSSHA 모형 지하수 모의를 위한 대수층 깊이 매개변수의 공간 분포 기법 연구

        윤태희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지하수 시스템의 방출은 저지대 강에서 건조기에 흐르는 하천 유지유량의 원천이 된다. 그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지하수 자원에 대한 충분한 관심이 부족한 상황이다. 새로운 급수원을 시급히 개발해야 하는 압력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지하수, 대수층에 대한 연구들이 더 이루어져야 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북측의 미계측 유역을 포함한 소양강 유역을 연구대상 지역으로 설정하였고, 대수층 깊이 매개변수 추정을 위해 분포형 모형으로 모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모형은 GSSHA 모형이며, 등분포형, 선형 회귀분석, log 회귀분석 세 가지 시나리오로 선정하여 3년간 장기 모의를 통해 비교하였다. 시나리오는 GSSHA 기능으로써 고도에 따른 대수층 깊이 매개변수를 계산식으로 입력하는 과정에서 적용되었다. 소양강 댐 관측 유입량과 모의 유출량을 시나리오별로 비교하였고, 6개소 지하수 관측소를 대상으로 관측 값과 모의 값 지하수위 결과를 분석하였다. 시나리오별 유출량 모의 오차평가 결과, 관측 첨두 유량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기법은 일반적으로 선행 연구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는 등분포형 기법으로 분석되었으며, 과소·과대 모의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와 모형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는 선형 회귀분석 기법이 가장 우수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지하수위 관측소별 시나리오 적용 결과, 대부분의 관측소들 모두 관측 곡선과 모의 곡선이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오차평가를 수행한 결과, 시나리오들이 서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고도에 따라 일정하게 분포 시켜준 등분포형 기법보다 지표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수층 깊이가 얕아지도록 분포 시킨 선형 회귀분석이나 log 회귀분석이 모의에 더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검토 결과, 일반적으로 분포형 모형 연구에서 활용되던 등분포형 기법보다 고도에 따라 대수층 깊이를 다르게 적용시키는 기법이 더 적합하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향후 추가적인 세부 검증을 통해 신뢰성을 보다 더 확보한다면, 지하수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하천유지유량의 연구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discharge of the groundwater system becomes a source of maintained river flow rate in the lowland of a river during the dry season. Despite such importance, the groundwater resources have not been yet spotlighted sufficiently. It is now a situation that more studies are required for groundwater and aquifer under the pressure of urgently developing new water sources. This study defined the Soyanggang River basin including the ungauged basin in the north as the target area. It also simulated the basin with a distributed model in order to estimate the aquifer depth parameters. This study used the GSSHA model, which was classified into three scenarios, i.e. equal distribution typ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log regression analysis, then compared them through a long-term simulation for 3 years. These scenarios were applied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parameters for aquifer depths according to the altitudes as a GSSHA function. The observed inflow rate and simulated outflow rate of Soyanggang Dam were compared by scenario, and the groundwater level results of the observed and simulated values were analyzed for the six groundwater monitoring station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simulated error of the outflow rate by scenario, it was analyzed that the technique that best reflects the observed peak flow rate is an equal distribution technique commonly used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t was also analyzed that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echnique best indicates the results of the index representing the degree of under- and over-simulated and the index indicating the efficiency of the model. As a result of applying the scenarios to each groundwater monitoring station, most stations exhibited similar tendencies in both observation and simulation curves. In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error evaluation, although the scenario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t was analyzed that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or log regression analysis, which distributed the aquifer depth to become shallow as the surface altitude increased, was more suitable for simulation than the uniform distribution method, which was uniformly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altitude. The reviewed result verified that the technique of applying the aquifer depth differently depending on altitude is more suitable than the equal distribution technique, which was generally used in distributed model studies. Therefore, if reliability is obtained further in the future through additional detailed verification, it is expected that groundwater can be quantitatively analyzed, thereby contributing to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river maintenance flow rate.

      • 중국 대학생의 건강 신념이 운동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 계획 행동과 행동 제어의 매개효과

        리츄잉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This study has analyzed the trends of health belief, planning behavior, action control, and exercise adherence of Chinese forth and fifth grade college students, and identified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 grade, and major,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se four variables. The aim is to formulate a scheme of college students' health belief and improve their planning behavior. The improvement measures and action control ability of college students can be improved, and the fundamental learning materials for improving college students' exercise adherence level are provid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l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trends of health belief, planning behavior, action control, and exercise adherence among college students in China? Second, what are the differences caused by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grade, and major? Third, what a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 planning behavior, action control, and exercise adherence has been identifi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5,109 college students from 52 universities in 14 provinces in China, and the surve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mobile phone survey app from May 12 to July 21, 2023. The health belief scale was adopted from Xia Dai et al. (2011), with a total of 24 questions. The Planning behavior scale adopted Yunlong Zhang(2021) with a total of 10 questions. The action control scale adopts Yakun Tang(2022) with a total of 6 questions. The exercise adherence scale was adopted by Shen Wang(2016), a total of 14 questions. Each scale is scored by using Likert’s 5-point scal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6.0, Smart PLS 4.0, and AMOS 26.0. Firstl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fit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odel fitting degree analysis were carried out. And the direct effect and mediated effect analysis of the research model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results o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college students’ health belief , planning behavior , action control and their exercise adherence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health belief is 2.16 points (out of 5 points), planning behavior 2.53 points, action control 2.41 points, and that of exercise adherence is 3.11 points. The overall physical exercise level of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is at a middle level. Second, according to gender in demographic variables, boys’ health belief, planning behavior, action control, and exercise adherence are generally lower than that of girls. From grades aspect, students’ health belief are the highest in the third and the fifth grade of college, while the lowest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of college. Their planning behavior and action control are the highest in the first year of college. The same to the exercise adherence in their fourth grade. Meanwhile, sports majors are at the lowest level in the four variables mentioned above among all the majors relatively. Additional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of the majors surveyed. Thir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shows that health belief positively affected planning behavior and action control, and positively predicted exercise adherence. Planning behavior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tion control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xercise adherence. In addition, action control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exercise Adherence. Fourth, planning behavior plays a static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 and action control. Action control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on control and exercise adherenc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planning behavior and action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 and exercise adherence have been furthermore enhanced. Planning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 and exercise adherence statically. Action contro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s and exercise adherence statically. To sum up, overall, the exercise persistence level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s at a medium level. There is not much research in the field of physical exercise psychology for Chinese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ere is still a lot of research work to do. This study gives the following inspirations. First, the extensiv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proposes the impact of Chinese college students' health belief on planning behavior, action control, and exercise adherence.To try various structural model tests to explore the impacts of college students' exercise adherence is necessary. Second, this study shows that health belief is the strongest variable that directly affects exercise persistence, and planning behavior has a direct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exercise adherence. At the same time, action control also directly contributes to exercise adherence. It can improve planned behavior and action control, so that indirectly contributes to improving exercise adherence. Third,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sequential path of health belief, planned behavior, action control, and exercise persistence is the path that has the strongest impact on exercise adher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ive full play to the joint effects of family, school, and government to improve college students' health beliefs and exercise adherence. Therefore, the influencing factors revealed in this study will become foundation information for improving issues in the subject field of physical education, the field of physical exercise psychology, and even the practical fiel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중국 4∼5년제 대학생들의 건강 신념, 계획 행동, 행동 제어, 운동 지속성 경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경향이 성별, 학년, 전공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이들 네 가지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대학생들의 건강 신념과 계획된 행동의 향상 및 개선 방안을 수립하고, 행동 통제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대학생들의 운동 지속 수준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생의 건강 신념, 계획 행동, 행동 제어, 운동 지속성의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성별, 학년, 전공 등 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건강 신념, 계획 행동, 행동 제어, 운동 지속성 간에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중국 14개 성, 전국의 52개 대학의 대학생 5,109명이다. 조사 기간은 2023년 5월 12일부터 7월 21일까지이었으며, 설문은 모바일 설문 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척도 중 건강 신념은 戴霞 외(2011)의 측정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총 문항은 24개이다. 계획 행동은 张云龙(2021)의 측정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총 문항은 10개이다. 그리고 행동 제어는 唐亚坤(2022)의 측정척도를 사용했으며 총 문항은 6개이다. 운동 지속성은 王深(2016)의 측정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총 문항은 14개이다. 각 척도는 5점 리커트(Likert)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및 Smart PLS 4.0, AMOS 26.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연구모형의 구조적 관계 적합성, 확인적 요인분석 및 모형의 적합도 분석을 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한 연구모형의 직접 효과 및 매개효과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중국 대학생들의 체육 건강 신념, 계획 행동, 행동 제어, 운동 지속성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 신념의 평균은 5점 만점에 2.16점, 계획 행동의 평균은 2.53점, 행동 제어 2.41점, 운동 지속성 3.11점으로, 본 연구의 총체적인 대학생 체육 단련 수준은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학적인 변수에 따라 성별의 경우, 남학생의 건강 신념, 계획 행동, 행동 제어, 운동 지속성은 여학생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의 경우, 건강 신념은 대학 3학년과 5학년이 가장 높았고, 대학 1학년과 2학년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 행동과 행동 제어는 대학 1학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 지속성은 대학 4학년이 가장 높다. 그리고, 건강 신념, 계획 행동, 행동 제어, 운동 지속성은 스포츠 전공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공의 경우, 모든 학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는 건강 신념은 계획 행동과 행동 제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운동 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된 행동은 행동 제어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절 효과가 있으며, 운동 지속성에도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 조절은 운동 지속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계획 행동은 건강신념과 행동 제어의 관계에서 정적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 제어도 계획 행동과 운동 지속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하였다. 추가적으로 계획 행동과 행동 제어는 건강 신념과 운동 지속성의 다중매개로 확인되었다. 계획 행동은 건강신념과 운동지속성의 관계에서 정적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행동 제어는 건강 신념과 운동 지속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하였다. 요약하면, 전반적으로 중국 대학생들의 운동 지속성 수준은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대학생의 운동에 관한 연구는 선행연구가 많지 않기 때문에 향후에도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중국 대학생의 건강 신념이 계획 행동, 행동 제어, 운동 지속성 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대학생의 운동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모형 검증을 시도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건강 신념이 운동 지속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이며, 계획 행동은 운동 지속성 향상에 직접적인 기여를 한다는 것을 보여줌과 동시에 행동 조절은 운동 지속성에도 직접적인 기여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계획 행동과 행동 조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간접적으로 운동 지속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건강 신념, 계획 행동, 행동 제어, 운동 지속성의 순차적 경로가 운동 지속성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경로임을 연구 결과는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건강 신념 향상, 대학생의 신체 운동 지속성 향상에 가족, 학교, 정부 등의 역할 관계가 있으므로 이들의 적극적 지지가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혀진 영향 요인은 향후 체육 교과 분야, 신체 운동 심리 분야, 나아가 실천 현장에서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중국 대학생의 마음챙김, 자기통제, 취침시간지연 및 수면의 질의 구조적 관계

        장허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중국 대학생의 마음챙김, 자기통제, 취침시간지연 및 수면의 질의 구조적 관계 대진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장허 수면의 질은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측정하는 기본 지표 중 하 나로 대학생의 생활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대학생의 수면 상태 이상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수면 문제 또한 사화 척 관심대상이 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중국 대학생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을 제시한다. 연구문제 1. 중국 대학생의 마음챙김, 자기통제, 취침시간지연 및 수면 의 질에 대한 경향이 어떠하며, 이러한 경향은 성별, 학년, 전공 간에 차 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중국 대학생의 마음챙김, 자기통제, 취침시간지연 및 수면 의 질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중국 해남성(海南省)의 6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458명 을 비확률 편의표집방식을 통해 선정하였고,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와 신뢰도는‘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Scale (MAAS)’는 α=.89,‘Brief Self-Control Scale(BSCS)’는 α=.83, ‘Bedtime Procrastination Scale(BPS)’는 α=.92, ‘睡眠狀況自我評價 量表(Self-Rating Scale of Sleep, SRSS)’는 α=.89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과 AMO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도구의 신뢰성을 검증하였으며, 연구대 상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각 변인의 경향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t-검증 및 F-검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 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Bootstrap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와 총효과를 구하였고, 모든 통계적 의의 수준은 .05 로 설정하였다. 주요 연 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의 평균 점수는 5점 기준으로, 마음챙김 3.47점, 자기통제 3.50점, 취침시간지연 3.55점, 수면의 질 3.48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학적 특성별로, 취침시간지연은 성별에 따라, 자기통제, 취침 시간지연 및 수면의 질은 학년에 따라, 마음챙김, 자기통제 및 수면의 질 은 전공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중국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수면의 질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는 유 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중국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수면의 질의 관계에서 취침시간지연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다섯째, 중국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수면의 질의 관계에서 자기통제와 취침시간지연은 다중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마음챙김에 관한 과학적 지식을 널리 알려 대학생들이 마음챙김 의 개념을 이해하고, 마음챙김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자아인식능력을 높 여 자기통제 수준을 효과적으로 높여야 한다. 이를 통해 취침시간의 지연 을 예방하고 수면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 둘째, 학교는 대학생의 마음챙김 수준에 보다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 고, 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 감소 훈련과 마음챙김 인식에 관한 강연을 자주 개최해 대학생의 심리적 신체적 소양을 향상시키고, 수면의 질을 효 과적으로 개선하여 대학생의 균형적인 발달을 촉진하여야 한다. 셋째, 수면에 관한 지식을 주제로 한 강연이나 활동을 적극적으로 개최 함으로써 수면과 관련된 지식을 널리 알려 대학생들이 수면에 대해 올바 르게 이해하고, 잘못된 수면 인식을 교정하며, 수면 문제를 올바르게 바 라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세계자연기금(WWF)의 공익광고 포스터에 표현된 시각적 기호 수사학에 관한 실증연구

        잔즈잉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정보산업의 발전에 따라 광고디자인의 홍보형식과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도 끊임없이 변화되어 왔다. 과거 벽에 광고지를 붙이는 것에 그쳤던 홍보형식이 현재 TV광고, 신문광고, 잡지광고, DM광고, 포스터 등 지면과 온라인 정보망을 넘나들고 있다. 이렇듯 홍보의 형식이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게 되면서 정보 커뮤니케이션은 더욱 다차원적으로 변모하였다. 시각 수사학은 오랜 학문의 역사를 가진 학파로서, 비교적 완전한 지식이론과 체계를 가지고 있다. 시각 수사학의 기법에는 은유, 환유, 제유, 과장, 동음이의어, 반어 등 이십여 가지가 있다. 시각 수사학은 주제의 기호를 통하여 의미작용을 일으키게 한다. 이미지를 디자인한다는 것은 단순히 스타일을 창조한다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문화적·경제적 측면을 고려해서 기업의 정체성, 즉 아이덴티티를 조형상에 반영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달리 말해 디자인은 사실상 생산이나 개발의 측면에 앞서 소비자의 입장에서 시각적 이미지가 구성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시각적 요소에 수사학을 더하면 그래픽이 더욱 생생해지고 의미 전달력과 표현력이 더욱 강해진다. 시각 수사학은 기존의 틀에 박힌 광고디자인의 차원에서 벗어나 광고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해주는 기틀이 된다. 분석적 도구로써 기호학은 가치실현을 탐험하고 문화적 해답을 찾는 데 지대한 도움을 줄 것이다. 이러한 내용은 이미 수많은 선행연구들과 조형기호학적 결실에서 증명되어 왔다. 이에 본 논문은 광고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그래픽 포스터에 표현된 디자인 기호에 시각적 수사학을 접목시켜 기호학적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제작된 세계자연기금(WWF)의 공익포스터 60장을 대상으로 한국인 96명, 중국인 98명 총 194명에게 18개 문항으로 구성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응답한 한국인 70명, 중국인 70명 총 140명의 의견을 바탕으로 디자인 요소와 다섯 가지의 가설을 추출하여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I장은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에 관해 서술하였다. II장은 그래픽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개념과 구성요소, 시각디자인의 프로세스와 대표 매체 등 이론적 내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일반광고와 구별되는 공익광고 디자인의 일반적 정의에 대해 알아보고 공익광고 포스터의 하나인 세계자연기금(WWF) 포스터의 의미작용과 확장성에 대한 내용 등을 서술하였다. III장은 시각 수사학을 디자인에 직접 적용한 단계로, 먼저 기호학 이론과 기호 3분법을 살펴본 후 시각 수사학의 22개 기법을 활용해 연구에 활용할 WWF 포스터를 선정하였다. 은유법에서 동음이의어까지 총 17장의 포스터가 선정되었다. IV장은 본고의 핵심 내용으로 WWF 공익광고 포스터를 시각적 수사학 내용별로 분류하여 조형 측면을 검토하였다. 포스터의 주제, 레이아웃, 그래픽디자인, 색채 등을 분석하여 연구 가설을 세우고 이를 실증적으로 조사하였다. V장은 다섯 개의 가설을 중심으로 실증조사의 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앞서 제시한 연구 단계에 따라 WWF 공익포스터에 대한 한중 양국의 시각 수사학적 사고와 문화적 사고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이 장에서는 양국 국민들의 시각적 수사학에 대한 이해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요약하였다. Following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industry, the forms of promotion ofadvertising designs and communication media have been constantly changing. The formof promotion that has been limited to sticking flyers on the walls in the pastis now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the paper and online information networks toinclude TV advertisements, newspaper advertisements, magazine advertisements,direct mail advertisements, and posters. As the forms of promotion became freefrom spatial restraints as such, information communication became moremultidimensional. Visualrhetoric is a school with a long academic history and has a relatively completeknowledge theory and a system. There are more than twenty techniques of visualrhetoric, such as metaphor, metonymy, synecdoche, exaggeration, homonym, andirony. Visual rhetoric causes signification through the sign of the subject.Designing an image does not mean simply creating a style, but does mean thatthe corporate identity, that is, the identity, must be reflected on the formationin consideration of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aspects. In other words,design actually means that a visual image must be constructed from theconsumer's point of view prior to the aspect of production or development. Addingrhetoric to visual elements makes the graphic more vivid, and the power to conveymeaning and the power of expression stronger. Visual rhetoric becomes aframework that enables break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dimension of addesign to clearly express what the advertisement wants to convey. As ananalytical tool, semiotics will be of great help in exploring value realizationand finding cultural answers. This content has already been proven in numerousprevious studies and formative semiotic fruits. Therefore,in this paper, as a way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visualrhetoric was grafted onto design symbols expressed in graphic posters and asemiotic analysis was attempted. For this study, an Internet questionnaire survey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94 respondents consisting of 96 Koreans and 98Chinese us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18 questions on 60 public interestposters of the World Wide Fund for Nature (WWF) produced from 2010 to 2021.Based on the opinions of a total of 140 respondents consisting of 70 Koreansand 70 Chinese, who responded among them, design elements and five hypotheseswere extracted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Themain contents are as follows. ChapterI describes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Chapter IIexamined the theoretical contents such a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graphiccommunication design, the process of visual design, and representative media.In addition, the general definition of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design,which is distinguished from general advertisements, was examined, and thecontents about the signification and expandability of the posters of the WorldWide Fund for Nature (WWF), which are among th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posters, were described. Chapter III is the stage where visual rhetoric was directlyapplied to design. First, semiotic theory and semiotic trichotomy were examined,and 22 techniques of visual rhetoric were used thereafter to select WWF postersto be used in the study. A total of 17 posters were selected from metaphors tohomonyms. ChapterIV classified WWF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posters by visual rhetoriccontent and examined the formative aspect of the posters as the core content ofthis paper. The themes, layouts, graphic designs, colors, etc. of the posterswere analyzed to establish research hypotheses and the research hypotheses wereempirically investigated. ChapterV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process of empirical research focusing on the fivehypotheses. According to the study stages presented above, the differences in visualrhetorical thinking and cultural thinking about WWF public posters between SouthKorea and China were examined. This chapter summarized the differences andcommonalities in the understanding of visual rhetoric between the peoples ofthe two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