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경을 이용한 청소년 교리교육 효율성에 관한 연구 : 2000년 개정된 대구대교구 주일학교 교리교재와 2005년 대구대교구 복음여행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이진옥 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71

        (Abstract) Our youth are the leaders of tomorrow, and our catholic church agrees with this opinion. The letter "To every youth in world" from Pope John PaulⅡ said "You have hope, because you are part of the future and the future depends on you." And every society thinks youth education is a very important part of our lives too. We, as members of a society, have created many kinds of education program for youth. The Archbishopric, where is involved with Korea, is trying to develop a variety of youth programs. Unfortunately, the participation rate in Sunday school is decreasing these days. Catechesis needs to be more interesting and fun. We need to understand what happens in Sunday school. Usually Sunday school teachers are University students. They prepare for their class at least 1week in advance and they have class every weekend at anappointed hour. They try to teach by using many kinds of sources but youth do not feel the class is fun or helpful to develop their faith. This problem happens because of Sunday school teachers don't have a background in Theology so this makes it difficult to teach youth catechesis. Another problem is the text book. The text book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urces in education. All education is influenced from not only the teacher's skill but also the text book. If the text book is too hard to understand for both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then this will be a serious problem. So the textbook needs to be easy to understand. In the case of catechesis, the text book is a really important source for educating faith to people. It should help individuals understand what it means to be Catholic. Unfortunately in the Catholic Church here Korea's traditional text book follows the Korean cramming system of education so people who want to be baptized or participate in the Catholic education program have to memorize all the Catholic teachings. This system was very effective in 1970s but now it is ineffective. For youth, a story telling system of education is more effective than the cramming system of education. So this study recommends using the bible for youth catechesis. The bible is the basis catechesis with sanctuary. In the bible there is God's teachings, and information about Jesus and the disciples’ lives. The structure of the bible is story telling so this bible will help our youth's faith through understanding Jesus and thedisciples’ lives; moreover, this will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atholic teaching more easil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bout look at the effect of using the bible in youth catechesis.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In chapter 1, we are going to look a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s catechesis and how it is concerned with the realities of youth catechesis. Moreover, we will find out about current catechesis from Sunday school teachers (financial affairs and textbook.) We present the solution to reform the text book. In chapter 2, we are going to compare Daegu Archbishopric's Catholic education text book (2000ed) & Daegu Archbishopric's 'Traveling Gospel' based on the view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chapter 3, we investigate the issue of the text book and present the solution of using the bible for youth Catechesis. Moreover, here we are going to look for examples of other Archbishopric’s youth Catechesis using the Bible. In chapter 4, new teaching skills using the bible are presented, particularly a metaphor in 4 gospels. We will also provide an example form of catechesis for youth. Finally in chapter 5, we are going to look the effectiveness of catholic youth education based on the bible. In conclusion, if youth catechesis uses the bible, it is really helpful for youth to understand the catholic teachings and strengthen their faith. But if teachers just focus on the Gospel, this can create a formal catechesis that does not promote learning and understanding. So when they harmony with both bible and sanctuary then youth catechesis will be more effective.

      • 일제의 종교정책과 대구대목구의 대응에 대한 고찰 : 드망즈 주교를 중심으로

        박상혁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religious policy in colonial rule of Japan was religion to contribute colonial rule of Choson. The colonial Japan insisted on the separation of religion from education, and began to separate missionaries from education boundaries and regulated mission of Christianity by imposing restrictions directly on their mission. The various regulatory laws on religion were such results. To restrict religion education at school, it promulgated Ordinance of private school laws, Enforcement rule of Private school laws and Revised Private school laws. and to restrict missionary activity, Missionary laws was announced and Shinto ceremonies was forced and promulgated the Religious organization act. Those laws were amended several times later on but the basic system had been persisted during colonial period. This article aims to highlight the response of Daegu Vicariat against colonial Japanʼs religious policy. therefore the time frame of this study is mainly confined to the period Bishop Demange at his post in Daegu Vicariat from 1911 until 1938 of his expiry. In the 1st chapter, it examined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Daegu Vicariat under Colonial rule of Japan. In the 2nd chapter, it deal twith the Chosunʼs separation policy of church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and major policy on religion done by Colonial Japan. In the 3rd chapter, there sponse of Daegu Vicariat was examined against religious policy of the Colonial rule of Japan. In the era of 1910-1920 when the Private school laws, Revised private school laws, Missionary laws were introduced, there were difficulties in mission fund or missionary staffs due to recruit of missionaries or decreased or suspended donations of mission fund in connection with Chosun-Japan annexation and the 1st World War. Despite the situation, Bishop Demange reformed the education of theological school through his church letter providing commentaries on the new education act and education system as well as pastoral letter on education while urging establishment of school and education project as a means for evangelization purposes. Regarding Missionary laws, Bishop Demange obtained an approval from coronal government by announcing new laws on missionary through official letter. But on the other hand, the Bishop reported this problem to Minister of Congregatio de Propaganda Fide (Sacred Congregation for the Propagation of the Faith) during Ad limina (regular visit) to Vatican while explaining illegality of the Missionary laws through pastoral letter. Independence Movement, the Bishop took a moderate position not permitting participa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In terms of forced shrine visit by coronial Japan, Bishop Demange refused to pay respect to the effects of shrine and had negative feelings to shrine visit but based on the legitimately based on declaration to support the official instruction announced by archbishop Mooney, Ambassador to the Pope, he interpreted the shrine visit to be regarded as royalty to the nation rather than religious ritual. But he also elaborated that Daegu Vicariat people shall be prohibited to make active participation and should behave to the extent to have passive participation and bow only. Upon promulgation of Religious Organization act, it was difficult for Daegu Vicariat to properly respond on it. The Chosun church was completely subjugated by the rule of colonial Japan after outbreak of the Pacific war. National Total Chosun-Federation suppressed the church, prohibited study on official letter from Vicariat and mid-night player of Christmas, forced resignation of foreigner Bishop and missionaries. situation deteriorated to the extent that Justinus theology school was shot-down, and French missionaries were prohibited their activities and detained by the group. As mentioned, the discrete attitude of Bishop Demange affected to other various projects to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vicariat. If there was no sustained leadership of Bishop for 27 year term, it could be very hard to achieve expansion of church due to desertion of believers caused by Japanese exploitation as well as development of social work. Of course there were mistakes providing indirect cooperation to the Japanese colonial rule to Chosun by Passively joining the peoples movement as not permitting students of Justinus theology school to 3.1 Independence Movement, approval of Shinto ceremonies being contrary to the peopleʼs expectation and taking part of it. However, it is not a fair if evaluation is made to any matter or problem by observing one side only. Looking back past from the present position, and on the basis of reflection, it is desired that such an evaluation should be a milestone for future church. Therefore if we can evaluate fairly showing naked painful past of our church and make a open regret to the public not to repeat such mistake, the mistake of the past shall be a corner stone to pave the way for future. The church announced ?Renewal and Reconciliation? to its past to take first step to ?Renew and Reconcile? the past mistake.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such kind of Renewal and Reconcili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one time event in order to spread and testify the Kingdom of God. In fact, In the modern society, the Church has to make regret ceaselessly to the mistake of its own actively in order to spread and testify the Kingdom of God. Under such basis to seek and to follow the Jesus Christ ?one may be able to reach to never extinguishable light through cross of Jesus by relentless self renewal under the sprit of God? The church in the new millennium should create new history. It is easy to make a judgement to the past but creation of it should be a difficult task. Finally, it is hoped to be able to join building the Kingdom of God to understand the sign of thisera through trustful reconciliation and less on of the past history to be with society and people.

      • 고령화 사회의 노인들을 위한 가톨릭교회의 사목적 방안 연구 : 대구대교구를 중심으로

        권호섭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71

        As medicine develops and sense of hygiene improves, the life expectancy has been longer and the 'aging society' has come. As we never experienced the aging society,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problem that could be caused by the aging society. The main cause of the concern is related to finance. We tend to see the aging society regards to finance; the decrease of labor population and the increase of cost to support seniors. Seniors are treated as an obstacle in the modern IT society where individual competence and new knowledge are valued. Society devalued seniors as the main cause of various social problems and even describes the aging society as 'a national timing bomb' or 'the shadow of disaster'. As a result, seniors are getting isolated and suffer various difficulty. On the contrary, church regards seniors as the blessed creature of God, symbol of wisdom and people to be respected. So, a church accepts aging as a blessing and a big project. Following this, Daegu Archdiocese carries out various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However,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are far less paid attention comparing with the pastoral projects for the youth. Daegu Archdiocese should make an effort to develop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Such effort would be helpful to make a social trend which accepts old age as a blessing and mission, and play a big role to recover the dignity of the seniors. This thesis gives priority to reconfirm the meaning of the old age and its value following the lesson of the catholic church, and seek the ways to recover the dignity of the senior. In addition, this thesis plans to grasp the state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by Daegu Archdiocese, and suggest substantial guideline to improve and develop the projects. This is the purpose of this thesis. A similar study had been done at the graduate school in Catholic University in 2009. It is the thesis by Chan Young Choi for his graduate degree; The role of the catholic church to activate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in the aging society - mainly by Archdiocese of Seoul and Uijeongbu. However, the thesis is about the activity in Seoul and Uijeongbu, and a study about the activity in Daegu Archdiocese needs to be done. Therefore, in chapter I this thesis overviews the aging society and the life of the seniors in general. In chapter II this thesis tri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old age and its value through bible, documents kept in the church and the catholic church, and confirm the lesson of the catholic church regards to seniors. In chapter III this thesis analyzes the state of the aging society in Daegu Archdiocese and in the ares under its jurisdiction, and examines the state of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and problems. Finally in chapter IV this thesis finds the purpose of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to set a correct direction and the goal of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following the guideline of the projects. This thesis also suggests the ways to improve and activate the pastoral projects for seniors based on Daegu Archdiocese and its parish church.

      • <대구>프로젝트 학습 활동을 통한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의 지역 학습 능력 신장

        김보미 대구교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 프로젝트 학습 활동을 통하여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의 지역 학습 능력이 신장되었는지 탐구하는데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지역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고 지역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교사들이 현장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지역 학습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화 기술적 연구이다. 대구광역시 소재의 S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 32명을 대상으로 2009년 3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수행하였다. 프로젝트 활동 과정에서 참여 관찰, 심층면담, 프로젝트 학습장, 활동결과물, 상담 일지, 교사 일지 등을 통하여 학생들의 지역 학습 능력 신장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 프로젝트 학습 중 게임 활동과 조작 활동을 통하여 지도의 기본 요소인 기호와 축척의 의미, 기능을 이해하게 됨으로써 대구 지도에 대한 기본 학습 능력이 길러졌고, 지역의 자연환경 및 인문환경에 대한 조사학습, 조작활동, 발표학습을 통하여 대구 지역의 환경에 대한 이해력이 높아지게 되었다. 둘째, <대구> 프로젝트 학습을 통하여 지역의 중요성과 소중함을 인식함으로써 대구 지역에 대한 애향심이 함양되었으며 지역 사회의 미래에 대해 생각해 보는 활동을 함으로써 대구 지역 사회의 미래의 발전에 대해 긍정적인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셋째, <대구> 프로젝트 학습을 통하여 지역 학습 활동에 몰입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자료를 함께 공유하는 과정에서 조사학습능력과 발표능력이 길러졌으며 지역 지도를 이용한 모둠 활동 중 서로 역할분담을 하고 양보하며 도와줌으로써 협동학습능력이 길러지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대구> 프로젝트 학습 활동은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의 지역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교수·학습 방법이다.

      • 대구시 경관자원의 인지특성에 관한 연구

        김금용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가 가지는 경관자원들의 인지도와 선호도 분석을 통해 경관자원이 도시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고, 대구시 경관이미지들에 대한 주민들의 인지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 자료를 토대로 과거연구와 비교하여 경시적인 경관자원의 인지특성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경관자원 전체적인 인지도와 선호도에 대한 평가의 경우, 네 가지 유형으로 분석하여 나온 결과 ‘문화적 자원’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역사·유적 자원’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낮았고, ‘가로·산업 자원’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둘째, 경관자원 전체의 이미지 선호도&#8231;인지도 구조에 대한 결과는, 선호도는 높으나 인지도가 떨어져서 앞으로 대표경관이 될 수 있는 ‘신천변 녹지’ &#8231; ‘월광수변공원’ &#8231; ‘계산성당’ 등은 도시 이미지 향상을 위한 잠재자원으로서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도시 이미지 향상에 빠른 효과를 볼 수 있다. 셋째, 대구지역과 타지역민의 선호도 관계는, 대체적으로 비례관계를 보였으나 지역민과 타지역민의 선호도에 반비례 관계를 보여주는 10개소의 자원들에 대해서는 경관개선에 대한 방향설정을 다르게 하여 선호도를 올릴 수 있다고 하겠다. 넷째, 성별에 따른 경관자원의 인지도는 차이를 보인 자원이 있었으나 선호도의 경우에는 성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연령에 따른 인지도 차이는 6개소의 경관자원을 제외하고는 연령에 따라 인지도 차이를 보였다. 선호도 차이를 가장 나타낸 자원들의 경우 경시적 흐름에 따른 경관의 정비와 조성이 필요한 결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관자원의 인식변화를 2000년 연구와 비교한 결과, 과거보다 선호도와 인지도가 상승한 경관자원인 ‘국립대구박물관’과 ‘비슬산 군립공원’ 등의 평가가 높아졌으며 ‘현풍석빙고’, ‘경상감영공원’ 등의 경관자원은 과거보다 인지도와 선호도가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인지도와 선호도가 높은 경관자원의 경우 지속적인 경관의 유지와 관리를 통해 자원 활용가치를 유지하고, 이와 반대인 경관자원의 경우 경관의 정비와 개선이 필요함과 동시에 적극적인 홍보와 마케팅이 필요하다. 여섯째, 대구시 대표경관을 분석한 결과, ‘팔공산’이 꼽혔으며, 대구지역민은 ‘팔공산’, 타지역민은 ‘동성로’로 나타나, 대구지역민과 타지역민과의 대구 대표경관의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이런 기준을 토대로 각각의 경관의 주 이용자층을 파악한 경관자원의 활용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일곱째, 구별 대표경관으로서 중구는 ‘동성로’, 동구는 ‘동촌유원지’, 남구는 ‘앞산’, 북구는 ‘엑스코’, 수성구는 ‘수성못’, 달서구는 ‘대구수목원’, 달성군은 ‘비슬산’ 등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서구와 달성군의 경우 대표경관이 될 만한 자원이 가장 빈약함을 알 수 있다. 반대로 남구와 수성구는 자원이 풍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덟째, 대구 도시이미지에 대한 분석결과, ‘주변산(팔공산 등)’이 도시이미지 형성요소 중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대구시 경관과 타 도시의 경관과의 비교는 ‘보통’의 결과를 얻었으나 타지역민의 평가가 더 좋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구시 각각의 경관에 대한 이미지는 ‘공원 및 가로녹지(가로수)’에 대한 이미지가 가장 높았으며, ‘공업지역 경관’의 이미지가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공업지역 경관개선을 통하여 대구시 공업지역 경관의 이미지를 높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도시브랜드이미지를 활성화 시켜, 도시이미지를 높이려는 단체&#8231; 지역주민들과 타지역민들의 인지특성과의 관계 나아가 도시이미지와 경관자원들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도시이미지와 경관자원들의 요소를 통해 도시브랜드이미지를 형성하는 작업에 기초가 될 것이며,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도시이미지와 경관자원들에 대해서는 개선작업을 통하여 문제점들의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구시 경관자원과 도시이미지의 인지특성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그리고 도시경관자원의 활용방안과 경관형성계획의 정책적 제언 그리고 도시브랜드이미지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존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서 도시이미지와 경관자원에 대한 인지특성의 경시적 변화를 고찰하여, 변화추세를 고찰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landscape resources on the establishment of urban images based on analyses of awareness and preference of landscape resources of Daegu Metropolitan City. Also,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changes in cognition of landscape resources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data of this study and that of existing studies.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evaluation of overall awareness and preference of 4 categories of landscape resources. ‘cultural resources’ was found to be of the highest level while awareness of ‘historic resources’ and preference of ‘streets and industrial resources’ showed in the lowest levels. Second, as for the structure of preference and awareness of overall landscape resources, preference was high while awareness was low, which reveals that ‘greens of the Shincheon Stream’, ‘Wolgwang Lakeside Park’ and ‘Kyesan Catholic Church’ as potential resources to improve the city's images and representative landscape in the future may provide a fast urban image recovery through active marketing. Third, preferences of residents in Daegu and other areas tended to be similar. However, as for resources in ten areas which show reverse proportional relations in terms of preference between residents of Daegu and other areas, preference could be improved as the directions for landscape enhancement are differentiated. Fourth, there were resources which showed a difference by gender in terms of awareness while preference did not relate to any gender-led differences. As for differences of awareness by age, there was a difference of awareness by age except for landscape resources in six areas. Resources pertaining to the most obvious difference in preference will need the re-arrangement and establishment of landscape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flow. Fifth, based on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awareness of landscape resources with studies conducted in 2000, preference and awareness of ‘Daegu National Museum’ and ‘Biseulsan Mountain County Park’ increased while that of ‘Hyeonpung Seokbinggo (Ice-storing Stone Warehouse)’ and ‘Gyeongsang Gamyeong Park’ decreased. As for landscape resources highly recognized and preferred, the consist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may preserve the value of resources use while those lowly recognized or preferred will need re-arrangement and improvement as well as proactive promotion and marketing at the same time. Sixth, the results from analyses of representative landscapes of Daegu Metropolitan City included ‘Palgongsan Mountain’. Residents in Daegu selected ‘Palgongsan Mountain’ while those in other areas selected ‘Dongseongro Road’, which shows a difference in awareness of representative landscapes of Daegu. These standards can be a basis of the use of landscape resources buttressed by identification of main users of each landscape. Seventh, representative landscapes by ‘gu’ (district) included ‘Dongseongro Road’ in Jung-gu, ‘Dongchon Resort’ in Dong-gu, ‘Apsan Moutain’ in Nam-gu, ‘EXCO’ in Buk-gu, ‘Suseong Lake’ in Suseong-gu, ‘Daegu City Arboretum’ in Dalseo-gu, and ‘Biseulsan Mountain’ in Dalseong-gun. These results also reveal that Seo-gu and Dalseong-gun have the most insufficient representative landscape resources. On the other hand, Nam-gu and Suseong-gu were found to have rich landscape resourc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es of Daegu's urban images, ‘nearby mountains (Palgongsan Mountain, etc.)’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s among the elements forming urban images. Although Daegu Metropolitan City was found to be ‘ordinary’ in comparison with other cities, the evaluation of the city by residents tended to be higher than other city's residents. As for images of each landscape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image of ‘parks and greens on the streets (street trees)’ was of the highest level while that of ‘industrial areas’ was of the lowest level.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mage of industrial areas of the city. This research aime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brand images of city based on the analysis of landscape resources by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awareness and preference. The elements of urban images and landscape resources which resulted in positive evaluation in the study could be a basis to form urban brand images. At the same time,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and provide solutions to problems pertaining to urban images and landscape resources of negative assessme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wareness of landscape resources and urban images of Daegu Metropolitan City. It is believed that they will work as basic materials for the ways to use urban landscape resources, policy suggestions in plans to develop landscape, and reinforcement of urban brand images. Additionally, they are meaningful in that the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studies have led to an exploration of longitudinal changes and trends in thes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awareness of urban images and landscape resources.

      • 대구광역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명암(明暗)

        임영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DMOE’s(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olicy on the creativity education during the past 20 years has been carried out, and to evaluate its process and results. To complete the study’s objective, this study uses documents analysis and interview as the research method. The followings ar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explored in the study. Firstly, what are the positive aspects(the light) on the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Secondly, what are the negative aspects(the shade) on the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Thirdly, what are the implications and alternatives of the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found ‘congruency’, ‘continuity’, ‘systematicity’, ‘specificity’, and ‘validity’ as positive aspects of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found followings: First, the DMOE failed to realize the plan to develop a tool for measuring creativity. Furthermore,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there existed gaps in satisfaction level for each concrete project and perception on the factors that restricted proper implementation of the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third research ques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ings are discussed. Firstly, the gap in perception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is inevitable in the course of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policies. Due to this, it is crucial to constantly revise them based on reality to solve this problem. Secondly, as a suggestion of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for the past 20 years, it was discussed that the direction of policy should be placed on the expression of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through daily classroom classes. Finally, the meaning of 'question' in creativity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classroom with questions' as an alternative to DMOE’s creativity education were examined. The practical contribu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One of practical contributions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a basic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from 2001-20 through an overview and analysis of pros and cons. Thi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This study also provides organized data on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for the past 20 years despite the DMOE has not published a white paper on the creativity education policy. On the other hand, sinc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rough an overview of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it has a limitation in specifically dealing with cases of creative instruction and evaluation. Another limitation to the study is that it collected data through a small number of interviewees because it conducted interviews to supplement the literature analysis as the main research method. 본 연구는 2001~2020년의 대구광역시교육청(이하 대구시교육청)의 창의성 교육 정책의 전개 과정을 되돌아보고, 그에 대한 명암(明暗)을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문헌 분석과 면담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명(明)은 무엇인가? 둘째,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암(暗)은 무엇인가? 셋째,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시사점과 대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결과는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명(明)은 정합성, 지속성, 체계성, 구체성 및 타당성의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암(暗)은 두 가지로 나타났다. 우선, 대구시교육청이 창의성 측정 도구 개발 계획을 실현하지 못한 점이다. 둘째, 2002~2008년의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실태 조사에 대한 분석에서 사업별 만족도와 장애 요인에 대해 관리자와 교사 간 인식의 차이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탐색한 세 번째 연구 결과에서는,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시사점과 대안이 논의되었다. 우선, 교육 정책의 집행 과정에서 관리자와 교사 간의 인식의 차이는 불가피하다는 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실에 맞게 끊임없이 수정해 나가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이 논의되었다. 둘째, 지난 20년간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시사점으로 일상적인 교실 수업을 통해 학생의 일상적인 창의성의 발휘에 정책의 방향성을 두어야 한다는 점이 논의되었다. 마지막으로, 창의성 교육에서 ‘질문’의 의미와,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의 대안으로 ‘질문이 있는 교실’의 도입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와 한계를 지닌다. 우선, 본 연구는 2001~2020년의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개관과 명암의 분석을 통해 그에 대한 기초적 이해와 평가 작업을 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는 추후 대구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방안을 모색할 때 기초자료로 유용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대구시교육청이 그간의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별도의 백서를 발간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난 20년간의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자료들을 수집, 정리하여 기록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편, 본 연구는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개관을 통한 평가를 목적으로 하였기에 창의성 교육에 대한 수업과 평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은 한계를 지닌다. 그리고 본 연구는 주 연구 방법인 문헌 분석의 보완을 위해 면담을 수행하였기에 소수의 면담자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 고령자 고용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 대구지역 중심으로

        김영덕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우리나라는 오늘날 산업화로 인한 생활수준의 향상, 의학 기술의 발전 등으로 평균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되었으나, 이로 인한 사망률 감소와 출산율 저하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 고령화 사회로의 진행은 노인 부양비의 증가와 노동력 감소를 불러와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기에 관련된 문제들을 시급히 해결하지 않으면 안되는 실정이다. 정부는 2005년 5월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을 제정하여 고령인구의 일자리 제공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고령자 고용을 위한 정책들을 다양하게 시행하고 있으나 고령자 일자리 사업이 대부분 단순노무직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여러 유형의 세분화된 직종으로 분포되어 있지 않으며, 고령자의 경력이나 학력, 경험 등을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채 행해지고 있어 기업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보다 현실적인 고령자 고용을 위해 대구지역의 주산업인 중소기업의 고용특징과 청년층의 취업특징을 살펴보고 미스매치 되는 부문을 찾아내 고령자를 고용하므로 경제적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전제하에 연구에 임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고령자 고용에 대한 검토를 위해 고령자 고용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현재 한국 고령자 고용정책과 외국 고령자 고용정책을 살펴본 후 대구지역 고령자 고용정책 및 추진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고령화로 인한 대구지역 취업구조의 변화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봤다. 마지막으로 고령화 사회에 노동력 감소를 대비하기 위해 대구지역의 산업과 고용특성을 알아본 후, 회귀분석을 통한 실증분석을 한 결과 미충원인원이 발생하는 부문인 중소기업과 청년층(15~34세)이 취업하기를 꺼려하는 직능수준이 낮은 직종, 중소제조업에 고령자를 고용함으로 발생하는 경제 활성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구인난 속에 구직난’이라는 말이 탄생할 정도로 대구지역은 일자리에 대한 부조화가 많은데, 이런 부조화현상이 발생하는 부문에 고령자를 고용하므로 첫째, 인력난으로 발생하는 생산성 감소를 줄임으로써 대구지역이 지금 겪고 있는 마이너스 경제성장 폭을 줄이거나 플러스로 바꿀 수 있다. 둘째, 지방 재정자립도가 낮은 대구가 취업자를 늘림으로써 지방세수 확보가 보다 용이해져 재정자립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셋째, 고령자의 꾸준한 소득이 확보됨에 따라 고령자는 차후의 노후를 위한 저축으로 인해 기업의 설비투자재원의 확보가 용이할 것이다. 이렇듯 지역의 특성에 맞게 고령자를 고용하면 고령자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촉매제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것이다. 급속한 고령화로 인한 고령인력의 활용문제는 최대 현안이 될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노동시장의 변화는 고령자의 직업적응력을 저하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어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현상이 방치된다면 향후 우리나라는 고령인력 활용기반이 위축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고령자 고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대책은 현재 고령자 고용불안 해소만이 아니라 향후 고령인력 활용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Korea has prolonged an average life because of the improvement of life level and of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thanks to today's industrialization, but the reduction of death rate and degradation of fertility approached to the aging society. As the progress to the aging society causes a critical problem into the increase of elderly support payments and the labor reduction, the fact is that its related problems must be solved. The government enacted the basic law of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on May, 2005 and made various political executions for the aging employment with essential interest in providing the aging population with jobs, but most of aging job business had a concentrative distribution on simple labor, not distributed in different types of segmented job, nor considered well the elderly's career or education and experience that had no practical effect on the company. For more realistic employment of the elderly, I checked the employment characteristics of small & large companies and that of youth, the main industry of Daegu, tried to find some part mismatched, and dealt with the research assuming that employment of the elderly made an economic growth. In this thesis, I checked first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liminary research about the employment of the elderly and second, the employment politics of Korean elders and that of foreign elders before inquiring the employment politics of the elderly and its promotive situation in Daegu. Also, I checked any possible change of employment structure in Daegu due to the ageing. Finally, I inquired into the industry and employment characteristics of Daegu to deal with the labor reduction in the aging society before checking the economic activation occurred by employing the elderly in a low level of job skill and small & middle producer that small & middle companies and youth(15~34 years old)dislike the part where the staff not supplemented is, as the result of practical analysis made by regression analysis. Its result is that Daegu had lots of disharmony such that a word of ‘job hunting crisis in help-wanted crisis’ was born, and employing the elderly in the part with this disharmony occurred first, can reduce or increase the minus width of economic growth experienced by Daegu by decreasing the reduction of productivity occurred by man power crisis. Second, Daegu with low regional financial dependence can increase the number of employee to assure the number of regional tax easier for increasing the financial dependence. Third, the elderly's assuring constant income will be able to assure the corporate's equipment and investment funds thanks to the savings for future senescence. Like this way, employing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will make a good performance of its role of catalyst to the activation of local economy. The maximum pending bill will be the problem of employing the elderly manpower due to a rapid aging. However, the recent change of labor market that is being progressed to deteriorate the elderly's professional adaptation must be a great problem. Leaving this phenomenon, our country is likely to curl up the elderly manpower's basis used. Accordingly, the alternative to promote the elderly's employment should make any effort not only to solve the elderly' employment anxiety, but also to supplement the elderly manpower's basis used.

      • 일반주거지역 종세분화에 따른 민원특성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대구시를 사례로

        배현숙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When establishing an amelioration project or the district unit plan in Daegu City,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class as different from other cities' cases, so comparatively difficult to upgrade the class. For this reason, the prescriptive and technical standards of sub-classification have continually caused civil petitions.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ivil petitions for the general residential areas in Daegu after the Determining Notification of Sub-classification (Nov. 20, 2003), so a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for improving the area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quota sampling aiming at experts in the relevant field, and the survey made up of items such as basic principles, the validity of the component ratio per type, the standards by type and management directions, and each item drew the direction and standards to classify types of residential areas through cross-tabulation. At the result of this analysi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civil petitions were identified: first, the majority of petitions were to request action for the balance with the neighboring areas; second, there were the petitions to restrict action such as securing the project possibility of reconstruction; third, there were the petitions to extend rights such as securing (or infringing) the right to view and improving residential environment; finally, a minority of petitions were about the inclusion to or exclusion from the target projects of local development carried out by the then system and standards.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s for improving general residential area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in the (re)establishment or amelioration of local standards for the zones where irrationality was found, the present condition of Daegu such as spatial structure, the axis of development, and the system of living spheres must be foremost considered and the high-density development around subway station areas must be reflected as well. Thus,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 not only an important guide for the futur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scheme, but also utilized as a critical material for ameliorating the urban management plan at the change of condition and the expiration of duration (5 years). 일반주거지역 종 세분 화 제도는 도시의 난 개발 방지, 기반시설 확보 등을 목적으로 토지의 다양한 특성과 주거환경 악화문제 등을 반영하여 주거지역을 세분화하고자 하는 제도로, 2003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실행되었다. 하지만 실행 당시의 대구시 일반주거지역 종 세분화 제도는 타 도시에 비하여 지시적이고 기술적이었으므로 지속적인 ‘민원’을 야기 시켰고, 도시관리계획 기간(5년) 초과에 따른 도시관리계획 재정비 시기와 맞물려 검토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일반주거지역 세분화 직후인 2004년부터 2010년까지의 민원제기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민원특성을 도출하고, 도출된 민원특성을 바탕으로 향후 도시관리계획 재정비 시 일반주거지역의 개선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민원현황과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구시 내부자료인 ‘2003년 일반주거지역 세분 결정 철’과 2004년부터 2010년까지의 민원자료 등 문헌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도출된 민원 특성 중 획일적인 기준의 불합리성이 적용된 지역을 추출하기 위하여 수집된 KLIS(한국토지정보시스템)자료를 바탕으로 지역적 차원의 분석(층수, 건폐율, 용적률, 용도 등)을 실시하고, 항공사진과 도시관리계획도(1/5,000)를 중첩하여 현황상세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기준의 불합리성이 도출된 민원지역에 대해서 정비 또는 관리의 필요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델 파이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그룹별(학술에 종사하는 집단과 기술 혹은 실무에 종사하는 집단)로 인식 차이가 있을 것을 감안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주변 고층 건축물 입지, 주변지역과의 형평성을 이유로 한 행위요구 형 민원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둘째, 재건축 사업성 확보와 같은 행위제한 형 민원이 있다. 셋째, 조망 권 확보, 조망 권 침해, 주거환경개선 등 권익신장 형 민원이 있다. 넷째, 당시의 제도, 기준에 따라 시행된 지역개발 사업 대상에 편입 또는 제외로 인한 민원이 소수 존재한다. 는 사실을 도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사익추구 형의 종상 향 민원을 수용하였을 경우 난 개발 문제, 기반시설 확보 문제, 추가 민원 발생 등 제반 환경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도시관리계획의 공익적 성격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논의의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하지만 기준의 불합리성으로 제기한 종 상향 민원에 대해서는 검토의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이러한 취지로 델 파이 기법을 활용한 결과 첫째, 대구시의 지형적 특성인 주변이 산으로 둘러 쌓인 분지형태의 시가지라는 점을 고려하여 획일적이고 지시적인 계획을 지양하여야 한다. 둘째, 지역적 특성에 맞는 기반시설계획을 통해 양호한 주거환경을 확보하여야 한다. 셋째, 주요산지, 하천, 산지 형 공원, 유원지, 녹지, 사적지 주변부 관리를 통해 자연경관과의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는 기본원칙을 도출하였고, 불합리성이 제기된 기준의 규제방법에 대해서도 전문가 집단간 의견차이가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순히 이론을 정리하고 민원현황을 나열하지 않고 단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민원 특성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기준의 불합리성으로 제기된 민원 지역을 도면화 시킴으로써 이해도와 신뢰도를 높이고자 한 점에서 기존 문헌과 차별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대구시는 주거지역 관리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므로 향후 관리방안 설정 시 중요한 지표로 작용할 것이며, 여건 변화 및 도시관리계획 기간(5년) 초과에 따른 도시관리계획 재정비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음을 기대한다.

      • 대도시권 산업단지의 기업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 : 대구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이용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55

        Korean industrial complexes began construction in the 1960s under the government's industrialization policy. Over the last forty years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development, support, and management of the industrial complexes. The primary laws governing industrial development 『The Law for the Industrial Location and Development』 and 『The for the Industrial Cluster Vitalization and Plant Establishment』. After the grand construction of the industrial in the 1970s, the late 2000s also witnessed another rapid expansion of industrial complexes by local governments. The central government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with its deregulation policies. Because of competitive over supply, the local government supplied rather than at reasonable prices which considered the market prices of the surrounding industrial complexes and other factors such as location. This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policy influenc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caused a variety of problems. In cognition of these facts,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policies, focu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policy for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in metropolitan areas. To test the hypothesis the author surveyed companies which have moved or are in the process of moving to the Daegu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presents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including an analysis of variance and a chi-square test to analyze the metropolitan area business location hypothesis. A binomial logit analysis is employed to compare different location characteristics of urban and suburban areas. The results revealed that industrial complexes within metropolitan areas facilitate relocation or expansion of companies located near the surrounding areas because they have lower prices. But metropolitan area industrial complexes fail to significantly attract companies from other regions. Analysis of location choice between urban and suburban areas location , business scale, and relationships with other companies .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insights for metropolitan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and business location policy. It is clear that the practice of supplying industrial complex properties below the cost of construction needs to be revised because it invokes location competition among local companies, rather than attracting companies from other regions, which in turn accelerates the deterioration of the existing industrial complexes. Therefore, property for urban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needs to be made available at market price. In addition, policies must be directed at strengthening links between firms and facilitating the supply of necessary labor rather than reducing prices. In addition, basic infrastructure is needed to reduce the cost of construction of industrial complexes on inexpensive land in suburban areas. Policies targeting a reduction of logistical costs and are also recommended for the development of suburban industrial complexes. 우리나라의 산업단지는 1960년대 이후부터 정부 주도의 산업화 정책에 따라 본격적으로 조성되기 시작해서 국가경제성장의 기반이 되고 있다. 지난 40여 년간 산업화 정책은 산업단지의 개발, 지원, 관리에 있어서 많은 변화와 발전을 하였고, 관련 법규도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과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로 정리되었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산업단지는 1970년대에 대폭 확충되었는데 2000년대에 들어서도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경쟁적으로 산업단지를 지정함에 따라 산업단지 지정이 다시 대폭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중앙정부도 산업단지 조성 시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는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산업단지가 확충되는데 일조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쟁적 공급으로 인하여 지방자치단체는 용지의 공급가격에 있어서도, 주변산업단지와 연계에 따른 입지조건과, 도심과 교외의 차이 등 여러 여건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공급가를 결정하기보다는 조성원가 이하로 일률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산업단지 개발정책은 대도시권의 산업입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문제점도 야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인식하에 본 연구는 대구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가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산업단지 개발정책이 기업입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산업단지개발 정책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도시권의 기업입지와 관련된 신고전이론, 행동주의적이론, 제도주의이론 등 다양한 입지이론과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설정된 가설을 검정하고 산업단지개발 정책과제를 도출하기 위하여 대구 대도시권에 입지한 산업단지 중 최근에 입주하였거나, 입주가 진행중인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 결과를 분산분석과 교차분석 등을 이용하여 대도시권의 기업입지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이항 로짓분석을 통하여 중심도시와 교외지역의 입지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도시권에 조성되는 산업단지는 인근 지역의 가격보다 대체로 낮은 가격에 공급됨으로써, 인근 지역에 입지하고 있는 기업들의 이전 또는 확장을 촉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역외 기업의 유치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심도시와 교외지역으로 구분하여 입지특성을 분석한 결과 분양가격, 기존의 입지지역, 이전횟수, 기업규모, 다른 기업과의 연관관계가 기업이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대도시권 산업단지 개발과 기업입지 정책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는데 특히 산업단지 공급가격을 조성원가 이하로 일괄 적용하여 공급하는 정책은 역외기업을 유치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 하려는 목표를 달성하기 보다는 역내 기업이 입지경쟁을 불러일으키고 기존 산업단지의 공동화를 촉진하는 요인이 되고 있으므로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중심도시의 산업단지의 개발에 있어서는 공급가를 적절하게 책정하고 그 잉여 재원으로 기업의 성장을 활성화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격인하보다는 기업 간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산업인력수급을 용이하게 하는 각종의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대도시권 교외의 산업단지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공공이 부담하는 기반시설 비용을 확대하여 조성원가를 낮추어 저렴한 분양가격의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산업기반시설을 개선하여 물류비용을 줄여 입주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며, 대중교통망 구성으로 종업원의 출퇴근을 원활하게 하여 구인난을 해결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 삶의 질(QOL) 평가지표의 구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권용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55

        지역주민의 삶의 질(QOL)이란 개인의 복지수준과 건강도, 그리고 생활환경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이며, 지역주민의 생활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주요한 척도가 된다. 최근 지방자치단체마다 삶의 비전, 장기발전계획, 미래구상 등을 제시하고 지역주민의 QOL수준을 향상하려 노력하고 있지만, 그에 대한 가시적인 성과는 판단하기 어렵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하는 QOL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를 통해 지역 여건에 적합한 QOL수준을 파악하고 정확한 진단을 내려야 하지만, 현재까지 평가방법, 공통지표, 측정도구 등의 논란 때문에 QOL수준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초지방자치단체 주민들의 QOL수준을 평가하는데 사용되어온 주관적·객관적 지표들을 검토하고, 현실에 보다 적합한 통합지표를 구성하여 QOL평가에 적용하여 QOL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은 대구광역시 8개 자치구군과 대구 인근지역 8개 자치시·군을 대상으로 지방정부에서 제공하고 있는 QOL관련 객관적인 행정서비스 자료를 이용하여 효율성 평가를 실시하고, 또 이들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주관적인 QOL만족도를 분석하여 두 연구결과를 통합하여 설명하였다. 시간적으로는 2007년에서 2008년까지 2년간에 걸쳐 연구가 진행되었고 주관적인 측면은 서베이(SURVEY)를 통하여 만족도를 측정하였으며, 객관적 측면은 자료포락분석(DEA)을 통하여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를 주관적 측면, 객관적 측면, 통합적 측면에서 요약하고자 한다. 첫째, QOL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평가에서는 대구 인근지역의 만족도가 광역지역보다 더 높다. 이는 대도시의 QOL수준은 낮아지고, 중·소규모도시의 QOL은 빠른 속도로 향상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연구대상 16개 지역의 QOL에 대한 평균차이를 검증한 결과, 지역별 QOL결정요인에 대한 평균차이는 있는 것으로 보이며, 주관적·객관적 만족도를 포함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광역지역은 남구, 수성구, 달성군, 대구 인근지역은 고령군, 군위군, 칠곡군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QOL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역경제여건, 가족주거여건, 건강관리여건 등으로 나타났다. 대구 광역지역과 대구 인근지역 모두 지역경제여건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다른 요인의 약 2배 정도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구와 인근지역의 QOL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역경제여건에 대한 최우선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외에도 대구는 공공안전, 환경 등을 개선할 필요가 있고, 대구 인근지역은 주거, 교통문제의 해결,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등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넷째, 지역별 QOL수준 향상분야로 교육, 문화, 관광(동구, 남구, 북구, 달서구, 달성군)과 건강(수성구, 경산시, 청도군, 고령군, 칠곡군), 가족, 교통, 주거(서구, 중구, 성주군) 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QOL수준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개선시킨다면 지역 간 균형발전을 어느 정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QOL평가지표를 중심으로 QOL에 대한 지역별 효율성 평가를 분석하고, 비효율적으로 판정된 지역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측정된 QOL효율성을 보면, 효율성 값(E)이 1인 경우가 전체 16개 지역 중 12개(75%)로 나타났고, 대구 광역지역의 효율성은 97.5%정도이고, 대구 인근지역은 94.4%로 대구 광역지역의 효율성이 약간 높다. 전체 순위에서는 수성구가 가장 높고, 중구와 고령군, 군위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효율성 값(E=1)을 지닌 지역은 전체 16개 지역 중 건강관리여건은 4개로 25%, 공공안전여건, 가족주거여건, 지역환경여건 등은 각각 7개로 43.8%, 교육문화여건, 사회복지여건은 각각 6개로 37.5%, 지역경제여건, 지역참여여건은 5개 31.3%로 나타났다. 효율성 값으로 볼 때 건강관리여건, 지역경제여건, 지역참여여건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인 배려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지역별 효율성 값은 전반적으로 높지 않은데, 그 중에서 대구 광역지역에 비해 대구 인근지역은 비효율적인 값을 나타내는 지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평가결과와 객관적 평가결과를 종합한 통합적 평가결과를 보면, QOL지표를 이용한 통합적 평가결과는 지역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만족도에서는 대구 광역지역은 가족주거와 건강관리가 높게, 대구 인근지역은 가족주거와 공공안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객관적 효율성에서는 전체적으로 지역환경여건 및 참여여건이 높게 나타났고, 그 중 대구 광역지역은 공공안전, 사회복지, 가족주거, 교육문화 등이 높았다. 인근지역은 전체적으로 높지 않았으나 지역환경여건, 교육문화, 지역참여 등은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 광역지역과 대구 인근지역의 QOL평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QOL평가지표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 의한 분석의 결과를 중심으로 지역별 균형발전을 위한 QOL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16개 전체지역의 QOL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가족주거여건과 건강관리여건 이외에는 모든 평가지표들에 대한 QOL만족도 수준이 낮다는 측면이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대상이 대도시의 개별 자치구나 규모가 작은 인근지역의 기초자치단체라는 특성에서도 기인하겠지만, 근본적으로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들이 지니는 환경적인 열악함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이들의 QOL의 수준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도시 지역과 유사한 삶의 여건을 조성해주어야 하는데 교육?문화?관광, 사회복지 그리고 최저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지역경제여건의 개선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전반적인 QOL만족도는 대구 광역지역보다 대구 인근지역이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광역적으로 하나의 생활권에 속한 지역들이 균형적인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대구 광역지역이 우세한 여건을 가진 QOL의 수준(건강, 가족주거, 교육문화 등)과 인근지역이 보다 나은 QOL의 수준(공공안전, 환경, 참여 등)을 적절히 연계하고, 두 지역 모두 낮게 평가된 지역경제, 사회복지여건 등을 중점적으로 개발한다면, 이들 광역생활권의 QOL이 동반 상승되어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QOL만족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평가지표 중 지역경제부문이 가장 큰데, 이는 지역인구, 소득 및 소비생활, 직장생활, 지방세, 물가 등 지역주민의 최저생활여건과 관련한 것이다. 또한 주거, 교통, 건강여건 등도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요인들이라는 측면에서 앞의 연구결과와 다를 바 없다. 즉, 이러한 요인들은 인간의 웰빙(well-being)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안고 있는 심각한 여건상의 한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각급 지역들이 안고 있는 경제적 상황의 개선을 통한 QOL제고가 보다 더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구성한 평가지표의 적용으로 많은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평가적용의 어려움과 함께 다음의 몇 가지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첫째, QOL에 대한 주관적 측면의 만족도 평가에서 강조되는 것은 바로 측정지표이다. 연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측정 가능한 지표개발이 필요한데, QOL지표선정이 어렵고, 자의성이 강하다는 점이다. 둘째, QOL에 대한 객관적 측면의 효율성 평가는 평가지표, 평가시기, 평가내용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이용된 측정방법인 DEA는 지역별로 상대적인 효율성을 측정하는 것인데, 평가지표의 수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SURVEY에 이용된 지표는 QOL의 하위요소에 해당되고, DEA방법에 이용된 지표는 지역주민의 QOL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공공서비스 관련 지표이다. 평가를 통합하기 위해서는 QOL하위지표와 공공서비스 관련지표를 일치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지표에 따른 자료 확보가 불가능하여 QOL의 여건지표와 유사한 공공서비스 지표를 선정하여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지표상의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타당성 있는 지역별 QOL평가를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요구를 충분히 고려한 측정 가능한 QOL지표의 개발과 타당한 QOL평가방법의 적용 및 QOL평가 대상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평가 등과 관련한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quality of life(QOL) means "livability" based on subjective feelings of happiness and satisfaction residents of a particular community feel towards the place they live in. Research in this field of how we understand quality of life can generally be divided into three areas, the objective approach method, the subjective approach method, and the combined approach method. The first position holds that quality of life is predicated on objective conditions. The second method holds that quality of life can be understood through a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sense of satisfaction. The third position holds that both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approaches must be unified together. In this approach, by combining appropriately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elements that constitute quality of life, an objective basis for quality of life can be determined through subjective evaluation based on individual cognition.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subjective and objective indicators used evaluating the quality of life(QOL), apply composing integrated indicators, present improving suggestions QOL level. The data related with local residents' survey measuring subjective QOL's satisfaction and local government's service results QOL's evaluating objective efficiency of year from 2007 to 2008. And research regions are composed of 16 area, including 8 Daegu metropolitan-area(Donggu, Seogu, Namgu, Bukgu, Junggu, Suseonggu, Dalseogu, Dalseonggun)and 8 neighborhood-area(Gyeongsan ,Yeongcheon, Gumi , Gunwi, Cheongdo, Goryeong, Chilgok, Seongju). The major statistical tools for empirical analysis of this dissertation are descriptive statistics(e.g., mean, SE, frequency, etc.), t/F-test, multi regression, factor analysis and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for measuring objective, relative efficiency.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there are eight major factors related with determinants of local residents' QOL such as health, public safety, transportation and housing affordability, environment, education and culture, regional economy, social welfare, citizen participation. Principal findings of this dissertation are show three aspects, namely subjective, objective and integrated method. First of all, the results of subjective evaluation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satisfaction of QOL is higher Daegu metropolitan-area than neighborhood-area. Second, the average of QOL's components by area is show difference significantly. Third, the factors influencing of QOL's satisfaction counted regional economy, housing affordability, and health. Fourth, among the main factors improving quality of life, education & culture, health, family & transportation high on their list. For development overall QOL level, there is presented improving poor QOL factors, namely regional economy, social welfare. The next, the results of objective evaluation are as follows. First, on the whole, the measured QOL's efficiency(if, E=1 then, very high) is Daegu areas(E=0.975) than neighborhood areas(E=0.944). Second, the region with efficiency value(E=1) is sixteen regions, among the regions, health is four(25%), public safety, housing affordabilily, regional economy are each seven(43.8%), education and culture, social welfare are each six(37.5%), and regional participation is five(31.3%). Third, the efficiency value of region is not high overall, which is show the neighborhood-area more inefficiency than Daegu metropolitan-area. Therefore, seeing that the efficiency value, it should demand policy considerations of local government improving health, regional economy, regional participation parts. The last, the integrated evaluation that using QOL indicators are differ of region. According to the subjective evaluation, in the fields of health and housing affordability, their satisfaction is high to Daegu metropolitan-area, and the satisfaction of public safety is high to neighborhood-area. Judging from objective evaluation, overall environment and participation are high. Among them, many factors such as public safety, social welfare, housing affordability, education and culture are high to Daegu metropolitan-area, but the factors such as environment, education and culture, regional participation are high to neighborhood-area. The following are policy suggestions to improve QOL level of reg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to the improve QOL level of the 16 whole regions, the conditions of life for education and culture, social welfare, regional economy need to improved. Second, a plan of actions to advance overall QOL are needed. if low evaluated indicators will develop selectively, the QOL of whole regions will become higher and synergy effect will come to light gradually. Third, the most important evaluation indicator is regional economy. it relate to income, job, tax, employment etc. Accordingly, it is needed raising QOL level through the improvement of economic conditions. In conclusion, the limitations of this dissertation are lack of subjective indicator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s, omit time serial objective data and difficult indicator selection. For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appropriate QOL evaluation of region, after due considering that the development of QOL indicators accepting residents' demand, application of reasonable QOL evaluative method, and the QOL evaluation reflecting character of region, the following study will n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