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능적 원예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지역사회 및 직업적응능력에 미치는 효과

        신민정 나사렛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기능적 원예교육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들의 지역사회 및 직업적응력(독립기능, 신체발달, 직업준비/직업활동, 자기관리, 책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원예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학교 지적장애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직업적응능력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특수학교 중학교에 재학 중인 1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8명, 비교집단 8명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을 상대로 2012년 10월 10일부터 11월 12일까지 주 2회씩 총 20회에 걸쳐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주거 및 지역사회 적응행동검사(ABS-RC:2)를 이용하여 사전과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각 영역별 효과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적 원예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식사, 용변, 청결, 외모, 의복관리, 옷 입고 벗기, 왕래 등의 영역을 평가하는 독립기능 영역에서 기능의 향상을 보였다. 둘째, 신체발달 영역은 기능적 원예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p<.05)를 보여, 지적장애학생들의 감각발달과 운동발달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셋째, 직업준비/직업활동 영역도 의미있는 향상을 보였으며 원예활동 중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거나 작업 수행 시 바른 태도와 습관을 갖고 작업하려는 경향을 보여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직업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그 효과가 입증되었다. 넷째, 솔선, 인내, 여가 항목을 포함하는 자기관리 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책임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사전과 사후 평가를 비교해 보았을 때 사전 평가에 비해 평균이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보여 기능적 원예교육 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관리 영역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기능적 원예교육 프로그램은 독립기능, 신체발달, 직업준비/직업활동, 자기관리, 책임 영역을 향상시키는데 그 효과가 입증되었다. 가장 높은 효과성이 입증된 영역은 직업준비/직업활동 영역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기능적 원예교육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학생의 지역사회 및 직업적응능력에 미치는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알파세대 유아 스토리텔링 영어교육에 대한 영어교사 인식 연구

        박지현 나사렛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4차 산업시대에서 급변하는 세계화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영어는 세계의 공용어일 뿐만 아니라 정보 그 자체로 간주되므로 알파세대에 속한 유소아들은 영어학습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유소아들의 효율적인 영어학습을 위해 도입된 스토리텔링 유튜브 영어교육은 유소아들이 영어를 배우는데 더 흥미를 느낄 수 있고 유소아의 언어 발전과 영어 학습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시대에 탄생한 알파세대의 유소아들에게 유튜브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영어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그 효과는 어떠한지 교사들의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만 4~6세 유아를 지도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스토리텔링이 인지언어나 언어의 단순성 습득에 있어서 아이들에게 적절한지 대해서도 세 가지 측면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스토리텔링 전단계(Pre-storytelling activities), 스토리텔링 교육(while-storytelling activities), 스토리텔링 사후활동(post-storytelling activities)에서 유튜브를 활용한 스토리텔링의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인지기능 측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서 스토리텔링 영어교육과 디지털 영상매체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해보았는데, 스토리텔링영어교육이 디지털 영상 매체 활용시 유소아에게 효과적인 수단이 되는 것으로 교사들은 인지하고 있었다. 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유튜브를 접한 알파세대의 유소아들에게, 유뷰브 등 디지털 매체는 언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호기심을 자극해 상상력을 키워준다고 인식했다. 둘째, 유소아 스토리텔링 영어교육에 활용되는 디지털 영상매체의 장단점에 대하여 영어교사의 인식을 통해 분석해보았는데, 장점은 스토리텔링 전단계, 스토리텔링 단계, 스토리텔링 사후활동 모두 유소아의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며, 단점은 다양한 콘텐츠가 개발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셋째, 유소아 스토리텔링 영어교육에 활용되는 디지털 영상매체의 개선점에 대하여 영어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유튜브를 중심으로 분석해보았는데, 교사들은 유튜브 콘텐츠가 유소아의 눈높이에 맞도록 개발되고 상업광고가 유소아의 집중력을 저해하므로 이를 개선해야한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영어교육 모델을 준비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효과적인 유튜브 활용 스토리텔링 영어교육 모델 개발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영어교육 활성화를 위해 교사역할 모델연구와 교사연수프로그램의 도입을 제언한다.

      •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양수경 나사렛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세계화, 정보화, 국제화 시대의 도래로 국가 간의 관계는 더욱 긴밀해지고 국제적 교류가 빈번해짐에 따라 자국의 모국어 뿐 아니라 외국어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더 증대하고 있다. 따라서 외국어 교육의 시기와 방법에 대한 관심도 자연히 확대되는 계기가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외국어 교육시기에 관해서 가능한 한 보다 더 빠른 시기에 외국어를 실시해야 한다는 주장과 외국어 학습연령은 보다 효율적인 언어형성기인 사춘기 이전으로 하향 조정해야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7년도부터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정규과목으로 채택하여 주당 일정한 시간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 와서는 교육과정의 하향화 현상으로 말미암아 이에 매우 민감한 학부모들은 외국어 특히 영어교육을 유아기에도 실시하는 상황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대해서 일부 학자와 정부는 많은 우려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그 이유로, 첫째, 유아를 대상으로 영어교육을 실시하게 되면 모국어 습득이 미숙한 시기이므로 모국어 습득을 방해할 우려가 있고 주체성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학부모들의 과도한 영어에 대한 교육열풍과 올바르지 못한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은 많은 부작용을 낳게 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셋째, 학부모들이 이용하고 있는 사설 교육기관들이 유아에 대한 진정한 교육보다는 영리 추구를 지향할 가능성이 농후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학습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반대의 입장에도 불구하고 학문적인 관점에서는 유아기에 영어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근거도 제시되고 있다. 우선 신경ㆍ생리학적으로 접근하여 볼 때 신체적인 면에서 대뇌조직의 성장과 언어능력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외국어 습득은 빠를수록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언어학적 접근에서도 언어습득은 선천적인 것이므로 어느 언어든지 가능한 빠를수록 좋다는 입장이다. 사회심리학적 접근에서도 학습자의 사회ㆍ문화적 경험의 변화가 외국어 습득을 어렵게 한다는 입장에서 유아기에 외국어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보고 있다. 결국 찬반론의 입장을 요약해 보면 유아기에 외국어교육을 실시하면 할수록 더 효과적이라는 견해이다. 어쨌든 유아영어교육의 찬반론에도 불구하고 유아의 영어교육에 대한 관심과 열기는 확산되고, 학습자 연령의 하향화 현상이 급속도로 진행되어가는 현실에서 이에 대한 우려도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상황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문제로 지적될 수 있는 점은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 우려의 목소리만 제기될 뿐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조기영어 교육은 주로 초등학생의 영어교육에 맞추어져 있고, 유아영어교육도 주로 교육의 실태나 인식에 대한 연구가 대중을 이루고 있을 뿐 영어교육의 주요 결정자인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유아영어교육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극소수라는 점이다. 교육활동은 시장경제적 관점에서 교사는 공급자요, 학생과 학부모는 수요자인 셈이다. 그러므로 교육은 수요와 공급의 관계로 수요자의 만족과 기대에 부흥해야 하는 수요자 중심이 되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유아영어교육의 선택을 결정하는, 유아들의 영어교육의 주요 수요자인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교육 수혜자인 학부모가 유아 영어교육에 대해서 만족한다는 것은 그만큼 유아영어교육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만족도가 낮다면 그만큼 교육적 서비스의 질은 낮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학부모의 교육에 대한 만족 여부를 알아보는 것은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가치 있는 일일 것이다. 교육은 교사와 학생, 학부모가 조화를 이룰 때 그에 대한 효과성은 제고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유아영어 교육에 대해 학부모가 만족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를 알아보고 학부모들의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무엇인지를 조사 분석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결국 이 연구의 목적은 바람직한 유아 영어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으며 유아 영어교육 관계자 및 행정ㆍ정책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줌은 물론 올바른 유아교육기관의 교육형태, 교육의 필요성, 교육목표, 교육방법, 교육내용, 교육 시 문제점 등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데 주요 자료로도 삼을 수 있을 것이다. Korean parents are well known for their enthusiasm to teach English to their children, even though there is huge academic controversy on the effects of teaching English at early ages. More emphasis on English education by the new administration in Korea stimulated the parents' keen interest on their children's early English education. But the problem here is that the early English education is not initiated by the voluntary action of the children but by the wishes of their parents. An educational institution is also decided according to their parents' standards. Accordingly, the selection of an institution is determined by the parent's satisfaction with English education. With this in mind,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the decisive factors on the parents' satisfaction with their children's English education. Survey results in this study found that the parents' decisions are mostly influenced by combination of several factors. This result showed that the most critical factor was the involvement of parents and their trust on the teachers. We have to admit that this research is limited in that it was conducted only the parents' satisfaction, the region of survey is limited to Chonan city area in Chungnam province, and that we did not conduct a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an interview. We hope that further research on this subject will contribute to the general application of this study.

      • A Comparative Study on Chinese and Korean Primary School Classroom English Education

        주문가 나사렛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중국과 한국의 초등 영어 교육을 비교한것이다. 중국과 한국의 초등학교 영어수업 교육방법 외에 교육방법과 관련된 교과서, 교사의 소질 및 학생 육성에 대하여 비교 하였다. 또한 양국의 초등교사와 학생들을 상대로 초등학교 영어수업 교육법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비교분석을 통하여 양국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다른 점을 구별해 냈다. 양국의 초등영어학습 현황을 비교분석하여 상황을 도출해내었다. 그리고 개인적인 관점을 추출해냈다. 논문은 5장으로 나누어져있다. 제 1 장은 이 연구의 목적을 설명했다. 제 2 장은 이론적 배경을 소개했다. 제 3 장은 몇 가지 연구방법을 설명했다. 제 4 장은 양국의 초등학교 교실 영어 교육을 2가지 면과 설문조사의 결과에서 비교했다. 제 5 장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요약하고 결론을 도출했다. 초등영어학습은 다방면으로 연관이 있지만 논문에는 그중 몇가지의 방면만을 대비분석하였다. 또하나는 중국지구경제발전의 불균등성으로 인하여 각지의 교육에도 비교적 큰 차이가 나게 되었다. 그래서 본인은 장래에 중한양국농촌의 초등영어교육정황에 대해 비교하려고 한다.

      • 이야기 지도와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전략이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이해 성취도와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황혜진 나사렛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이야기 지도와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전략이 지적 장애 학생의 읽기이해 성취도와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이해 성취, 일반화, 유지와 읽기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충남 천안시에 위치한 S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5, 6학년 지적장애 학생 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설계는 읽기이해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는 AB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중재는 특수학급에서 회기 당 30분씩 주 2~3회 진행(하였으며, 각 학생별로 전략교수 2회기와 10회기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사례 연구의 결과 분석은 읽기이해 성취도 변화는 시각적 분석으로 자료의 수준과 자료의 경향 및 중재효과의 즉각성 정도와 비중복비율(PND)와 Tau-u 분석 결과를 알아보았으며, 읽기 태도 변화는 읽기태도 검사 결과를 사전, 사후에 비교하고, 중재자가 회기에서 보이는 읽기 태도를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 지도와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전략은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이해 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이야기 지도와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전략은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이해 성취 유지 효과는 크지 않았다. 셋째, 이야기 지도와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전략은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이해 성취도 일반화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야기 지도와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전략은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야기 지도와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전략은 지적장애 학생의 중재 단계에서의 읽기이해 성취와 읽기 태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효과적인 읽기 전략 교수 방법이 될 수 있다. 다만 향후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학습 특성을 고려하여 일반화와 유지 효과를 증진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중재 회기와 시간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야기 지도와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전략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개발 및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 교사-부모협력을 통한 가정 중심의 오감각놀이프로그램이 발달지체영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안진선 나사렛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영아기는 인간의 인생에 있어서 매우 짧은 시기이지만 다른 어느 시기보다 활발한 발달이 이루어지는 결정적인 시기이다. 그러나 이 시기에 장애 또는 장애 위험 요소는 신체, 언어, 사회, 인지, 정서 등 다양한 영역에서 문제를 발생시킨다. 특히 1차 상호작용 대상자인 어머니와의 부정적인 상호작용은 아동기뿐 아니라 성인기를 비롯한 전 생애에 거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발달지체영아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는 부모와 전문가의 협력을 통한 가정 중심의 중재가 필요하다. 또한 감각의 통합과정을 통해 영아들의 운동능력, 언어능력, 사회화능력이 발달해 간다는 사실은 감각운동기에 속한 발달지체영아에게 있어 오감각교육의 중요성과 감각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적절히 연계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말해준다. 그러나 발달지체영아에게 있어 감각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꾸준히 대두 되어왔고 2007년「장애인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공포로 발달지체영아 교육에 대한 근거가 마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발달지체영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많은 선행연구들은 오감각을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있지 않으며, 교육현장과 가정에서 이론적 지식과 방법적 기술이 구체적으로 실용화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오감각 통합프로그램의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사-부모 협력을 통한 가정 중심의 오감각놀이프로그램이 발달지체영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오감각놀이프로그램은 오감을 충족시키고 통합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안전한 식재료를 이용한 탐색놀이프로그램이다. 또한 이것은 다양한 감각․운동 경험 및 감각통합의 충족을 통해 사회적 기술을 촉진하도록 연계한 놀이프로그램으로 특수교육 현장과 가정에서 실용화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만 1세에서 3세사이의 발달지체영아와 주 양육자인 어머니 세 팀을 대상으로 하며, 연구자가 가정을 방문하여 약 60분 동안 교사-부모협력을 통한 오감각놀이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발달지체영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AB설계를 하였으며,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빈도를 측정하고 일화 분석을 하였다.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부모 협력을 통한 가정 중심 오감각놀이프로그램은 발달지체영아의 사회적 시도행동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주었다. 둘째, 교사-부모 협력을 통한 가정 중심 오감각놀이프로그램은 발달지체영아의 사회적 반응행동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주었다. 셋째, 발달지체영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교사-부모 협력을 통한 가정 중심 오감각놀이프로그램 중재를 마친 후에도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다양한 감각․운동 경험 및 감각통합은 여러 가지 사회적 기술을 촉진시켜 발달지체영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향상시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계기로 발달지체영아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가정 중심 조기중재 프로그램 연구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Though infancy in human's life is too much short it is definite period to more lively development than others but in this period, the factors of disability or potential obstacles must lead the various problems in various aspects like body, language, society, cognition, emotion and so on. Specially, it is more and more important as the negative interaction with mother who is the first counterpart has affected over lifelong including adult life as well as childhood. Home based intervention by teacher-parents cooperation is required to parents suffering hard interaction of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addition, the truth that infant's language capability, socialized ability, physical ability is developing via integration process of sense shows necessity of the home based five-sense play program by teacher-parents cooperation. But even if special education law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others got valid in 2007 and it has been issu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sense to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re is not enough study about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Moreover, many former studies don't contain integrated five-sense configurationally and it is not enough that various programs make theoretical knowledge, methodical know-how to pragmatize at educational place and home.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d the effect that home based five-sense play program through teacher-parents cooperation affect social interaction of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Five-sense play program can stimulate totally at the same time, satisfying with five-sense by using safe food materials. It is significant in that home based five-sense play program built basic infra which pragmatize at special educational place and home in order to promote social technology. The study selected three comparisons among mothers who raising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between one age and three ages. It was conducted visiting houses selected then proceeded five-sense play program with teacher- parents cooperation for 60 minutes. This study is conducted AB plan and linear analysis to find out the social interaction change of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measured occurrence frequency of social interaction. The results that appear in study is as following. First, family centered five-senses play program by teacher- parents cooperation showed positive effect to improve social initiation of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Second, family centered five-senses play program by teacher- parents cooperation showed positive effect to improve social response behavior of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Third, it was kept social interaction of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after five-senses play program intervention finished. In according to the study, the various sensor motor training experience and sensory integration facilitate higher degree social method to improve social interaction of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It is expecting that home based early intervention program study which affects sociality improvement of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become more activated.

      • 절충식 교수법 기반 P2MB 모형을 통한 영어사용능력 신장

        이신애 나사렛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students' English competence through applying the P2MB learning․teaching model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study 31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san city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group. The group studied English for 3 hours each week using the P2MB learning․teaching model.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eclectic method in elementary schools were studied; Second, the P2MB model based on textbook memorization was design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2MB model and the PPP model were introduced; Third, the result of learning was measured through the testing students' English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1) The students' vocabulary ability in English is improved after learning English through the P2MB model; (2) Creative English competence is improved through the P2MB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2MB model was a very useful method for improving English compet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following points are suggested: (1) The careful development of various activities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the eclectic method; (2) An efficient method of assessment should be developed to measure students' creative English competence.

      • EBS 영어교육방송 프로그램 활용이 영어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송지영 나사렛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BS English Program instruction on the achievement of English learning ability and interest levels in elementary school. The study developed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considering the students' level and suggested various kinds of activities, such as role-playing, game. on-line learning community, e-mail and chat.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ere twenty-nine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pre-studied basic contents through EBS English internet VOD service for the next class and studied the recommended program indivisually every day. They learned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with various kinds of task worksheets and activities while viewing the internet VOD. Out of class, tasks and contents of the instruction were presented at online learning community.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questionnaire, face-to-face interview, teacher's observation, students' self-assessment, TOSEL test, speaking and writing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rise in students' affective domains(interest, participation, confidence, self-directedness and motivation) after having used the internet VOD for English learning ability. Second, the students were able to improve their English learning abilities while developing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Third, the on-line activities turned out to be an appropriate means to change the focus of the classroom from teacher domained to student-centered; thus it could increas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ies. Fourth, through the actual experience with a native speaker on VOD, the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learning English than before and could be good at speaking English. Fifth, process-oriented instruction was possible while students have role-playing, game, e-mail, chat and upload their products to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They also could get teacher's feedback. In conclusion, using the EBS internet VOD for English learning ability will be able to improv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interest,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and it will be effective for learning in the classroom. So in order to generalize the use of internet VOD service for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teachers and developers will have to make special studies of good contents for web and research the ways to lead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Also, more resources are needed for evaluation. To implement web activities, execu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 What cna be a potential contribution of principles and innovations of the lexical approach to attaining communicative competence?

        Ilya Tarasov 나사렛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1990년도 마이클 루이스(Michael Lewis)의 어휘중심 교수법(Lexical Approach)에서 제안된 영어 어휘에 대한 이해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첫째, 루이스에 의해 강조된 주요 어휘 항목에 대해 연구하고, 어휘중심 교수법의 일반적인 특징을 논의함으로 어휘의 본질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언어교수의 접근법에 영향을 미치며 단어에 대한 시각이 연어중심의 상호작용으로 바뀌고 있는 쟁점으로 이어진다. 둘째로,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의사소통능력에 대하여 논의 한 후, 외국어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인 언어의 통합적인 능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어휘중심 교수법(Lexical Approach)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였다.

      • (The) role of the mother tongue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 A case study of Korea and Uganda

        BAGENDA JAMES CARTER 나사렛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모국어의 역할은 많은 논란과 비판의 대상이 되어왔다. 본 논문은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방안에 대한 역사적 관점과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모국어의 역할을보고한다. 실제적인 연구를 위해서다양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교육환경 안팎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영어교육의 교육학적 부분에 대해본 논문은 목표 언어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과 적절한 모국어 사용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영어에 대한 지식을더욱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기를 권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