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 민족의 천제(天祭)의례에 나타난 평화사상 : 21세기 평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토대 마련을 중심으로

        우승명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우리 민족의 천제 의례 속에 나타난 평화 사상을 활용하여 21세기 평화 공동체 형성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그 대안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고대로부터 인류는 인간이 범접할 수 없는 경외의 대상을 선정하고 의식을 치루거나 제를 올렸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천제의 의미와 사회적인 기능에 대 한 연구를 통하여 천제 의례가 지닌 가치를 알아본다. 우리 민족 고유 경전인 천부경.삼일신고 및 삼국지 동이전을 통하여 그 속에 나타난 ‘천’의 의미를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천제의례는 신인합일(神人合一)의 큰 의미를 담고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신인합일의 상태로 나아가기 위한 구체적인 사상적 토대는 ‘홍익정신’이며 그 의미를 여러 가지의 각도에서 접근하여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신인합일을 이루기 위한 단계를 현대 단학에서 재해석하여 밝혀 놓은 것을 정리 하였으며, 그것을 통한 실질적인 수행방법을 소개 하였다. 천제의례의 의미는 고대 국가의 이념을 실행하는 하나의 방편으로, 궁극적으로는 마고성에서 출성하면서 맹서 하였던 복본(復本)의 사명을 다하고자 하는 뜻이 담겨 있음을 제시한다. 결국 그 뜻은 신성(神性)을 깨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천제 의례에서 나타난 평화 사상을 정리 하였다. 천제 의례 속에 흐르는 평화 사상은 첫 번째로 조화와 화합의 장(場)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조직을 공고히 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도 삼았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천제 의례가 본질적으로는 마고성으로부터 출성하면서 맹서 하였던 인간의 본성을 깨닫기 위한 수련의 장(場) 즉 신인합일(神人合一)이 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 되었다는 점이다. 의례를 행하면서 하늘과 자연 그리고 사람을 느끼고 통하면서 자기 속에 있는 본성을 깨닫고 그것을 실현하고자 한 매우 좋은 수행법으로 활용되어 왔다. 끝으로 천제 의례에서 나타난 평화 사상을 현시대에 접목하여 개인 차원에서 접근하는 방법 즉 그것을 통하여 개인 정체성 부재에 의하여 야기되는 문제를 극복하고 가족의 최소 단위인 가정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 사회(국가) 차원에서 접근하는 방법을 통하여 사회 국가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인류 차원에서 접근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범지구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는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통하여 세기 평화 공동체 형성을 21 위한 토대 구축 마련의 실마리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is aimed at laying the foundations of peace community in 21st century with peace shown in the very chunje (Korean ritual). From ancient times human beings have set their gods beyond them and worshiped or had ceremonies toward them. First of all,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objective the chunje. It views the philosophy of samwon. Essencially the chunje has the great philosophy that god and human being are one according to the Korean scriptures, Cheonbukyeong, Samilshingo and an old book. The basic ideology for becoming one is Hongik Jeongshin and this study has different approaches in order to explain it. The chunje was a practical way to reveal the national philosophy in life and basically they made a firm determination to fulfill their mission sworn when getting out of Magosung through it. In other words, the ritual is for enlightening their divinity. Lots of historical data prove that the ritual was the place for unification and harmony. This study show the changes of the chunje using books and other written materials. At the same time, it examines the chunje era by era so as to keep the trace of the chunje in our history. The chunje has some idea on peace ; first, it's unification and harmony of people, second, enriching their cooperation to be one, and last recovery of divinity of human beings. It's believed that these ideas on peace are the access to the peace community in 21st century by adapting them to modern society individually, nationally and through all the means given in this study.

      • 통일이념으로서의 홍익인간사상

        조기제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민족정신 정립을 통해 남북통일과 남한의 각종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 논문에서 민족정신의 원형으로 제시되는 것은 단군의 건국이념인 홍익인간사상이다. 한반도 통일은 미국이 바라는 남한에 의한 북한의 흡수통일이나 북한이아직도 포기하지 않고 있는 전쟁 통일 방식이 아닌 평화통일 방식이라야 한다. 이러한 통일만이 한민족과 인류의 밝은 앞날을 보장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통일을 이루는 조화상생의 이념이 홍익인간 사상인 것이다. 이러한 평화통일을 통해 한민족이 건설할 미래국가는 평화문화국가이다.평화문화국가는 인류 평화를 주도하는 인류의 정신지도국이다. 이는 한민족의 건국이념인 ‘홍익인간 이화세계’의 이념이 命하는 바와 같이 인종과 종교간 갈등을 빚고 있는 이 시대 인류사적 요구에 부합하며, 5천년 민족사를 통해 한민족이 추구해 온 이상에 부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이상의 추구에 그치지 않고 오늘날 핵시대를 살고 있는 지구 공동운명체로서의 인류의 생존적 요구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통일에 관련된 세 가지 요구, 즉 민족정신의 정립, 평화통일의 이념, 통일국가의 지도이념이라는 데 대해 홍익인간사상이 답을 할수 있다고 보고 이러한 점에서 홍익인간 사상을 통일이념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우선 통일의 의미와 홍익인간 사상의 의미 및 남북한의 통일방안을 고찰한다. 본 논문에서 규정하는 통일의 의미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즉 ‘민족’의 의미, 평화통일을 위한 ‘과정으로서의 통일 내지는 사실상의 통일’의 의미,과거로의 회귀가 아닌 ‘새로운 창조 작업’으로서의 의미가 그것이다. 본 논문이 홍익인간사상의 특성으로 내세우는 것은 특히 그 인간상에 주목하여 완성을 지향하는 신인합일 사상이란 점, 한 사상, 삼원사상, 천지인사상으로 표상되는 평화사상이란 점, 민족의 정체성의 상징이란 점을 든다. 홍익인간사상의 이러한 평화적인 의미는 자연의 일부인 인간 안에 이미 내재해 있다고 본다. 남북한 통일방안에 대한 고찰에 있어서는 남북의 통일방안의 변천과 특성을 고찰하고 있다. 이를 통해 남북한은 2000년 ‘6 · 15 공동선언’에서 평화적 통일 과정으로서의 통일 단계적 , , 통일방안에 접근했음을 밝힌다. 민족정신 정립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통합이데올로기로서의 민족주의란 측면과 통일에 있어서는 성인의 심성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찾고 있다. 이러한 한민족 민족정신의 특성을 ‘어질고 용감하다’는 말로 축약한다. 그리고 홍익인간사상은 한민족의 건국이념이란 점 뿐만이 아니라 평화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민족정신의 요구에 부응한다고 본다. 민족정신 정립을위해서는 홍익인간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남북한 민족주의의 《상》이 합치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로 남한의 일부 기독교의 편협한 시각과 서구중심주의적 학풍의 문제점, 북한의 대내적 민주성의 문제 및 비평화성을 지적한다. 평화통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적대성이 해소되고, 남한의 자유주의와 북한의 사회주의 체제의 통합이 되어야 하며, 사회문화적 통합을 통해 남북한 주민의 마음을 하나로 묶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홍익인간 사상은 조화상생의 평화사상이란 점에서 평화통일을 위한 통일이념으로서 적실성이 있다고 본다. 통일국가의 미래상으로서 평화문화국가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하고 있다. 평화문화국가는 또한 더불어 잘 사는 사회를 지향한다. 이러한 평화문화국가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군사력, 경제력,중심철학이 필요한데 홍익인간 사상은 이러한 중심철학으로서의 가치가 있다. 홍익인간 사상이 민족정신 정립과 평화통일이념으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민족이 ‘깨달은 성인의 자손’이라는 민족정체성을 수립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This treatise is written for the purpose of bringing to right that the issue of Korean reunification and many social problem of the South-Korea may be solv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national spirit. The original form of the Korean national spirit proposed in this treatise is HONG IK IN GAN ideology, the Korean foundation spirit proposed by DANGUN.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should not be made by absorption formula by South Korea which the USA want, and should not be made by war formula which North Korea have not given up until now. It should be made by peaceful way. Only this peaceful way of reunification will provide peaceful life of Korean people and other peoples especially at the Northeast Asia after Korean reunification. The Ideology of harmony which will bring such a peaceful reunification is HONG IK IN GAN. The future nation which we make by peaceful reunification should be a peaceful cultured nation. This nation will be the leading country of the world spirit which lead pacifism of the world if we unify our country in peaceful way. Our peaceful cultured country vision matches the request of the human which suffers the conflict of religion and race, and it also matches Korean people's long time hope to establish I WHA SE GAE, the peaceful world. But this means not only the pursuit of the ideal but also the request for survival in this nuclear age as a member of the earth community with a common destiny. In this treatise, HONG IK IN GAN ideology is considered to be able to reply for three request. Those are the request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spirit, the request of ideology for peaceful reunification, the request of leading ideology of reunified nation. So it is presented as an ideology for Korean reunification. In this view-point, we need to examine the concept of unification and the meaning of HONG IK IN GAN and unification formula of South and North Korea. In this treatise, the concept of unification are presented three aspects. Those are the concept of 'nation', the concept of 'unification of a process' or 'unification as an actual fact' for peaceful unification, and not returning to past era but the concept of 'newly creative work'. In this treatise, the peculiarities of HONG IK IN GAN ideology, especially give attention to the aspect of human of it, are presented three. Those are the theory of SHIN IN HAB IL, the integration of God and human which pursue the completion of humanity, the theory of peace which are expressed 'HAN thought', 'SAM WON thought', 'CHUN JI IN thought', and the symbol of identity of Korean people. In the aspect of peaceful character of HONG IK IN GAN ideology, peace is exists in the human, a part of nature. In the examination of unification formula of South and North Korea, this treatise shows the chang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m. With this, this treatise says that South and North Korea have agreed peaceful unification in formal, unification as a process, proceeding unification formula.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national spirit is requested in the aspect of nationalism as a integration ideology and in the thinking that the saint mind is required for reunifi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onal spirit may be arranged as 'kindhearted and courageous'. And HONG IK IN GAN ideology is coincide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spirit because it is not only Korean foundation spirit but it has peaceful character. To establish the national spirit, it is required to coincide the South and North nationalism with the HONG IK IN GAN ideology centered. In this aspect, this treatise point out the hurdles of establishing of Korean nationalism are narrow view-point of some protestants, and westernized scholar trends of South, and lack of democracy and violence of North. For peaceful reunification, hostility between South and North should be removed, and political regime (liberalism of South Korea and socialism of North Korea) should be integrated, and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integration, South and North people's mind also should be integrated. In this aspect, HONG IK IN GAN ideology is suitable for reunification ideology because it is peace ideology of harmony and mutually construction. The potentialities of peaceful cultured nation as unified nation was talked by many people. Peaceful cultured nation also headed for living well together. That nation needs military power, economic power, and central philosophy. HONG IK IN GAN ideology is worth for central philosophy. For HONG IK IN GAN ideology perform it's role as a ideology for establishing national spirit and peaceful reunification, Korean people need to accept their identity as descendent of enlightened saint's.

      • 양성평등교육을 통한 평화교육 : 여중생의 성차 인식을 중심으로

        김금주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한 개인이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성별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사회는 구성원들에 대해 남성과 여성이라는 신체적 구분에 상응하는 사고, 정서,행동들을 보이기를 기대하는데 개인은 사회가 요구하고 기대하는 성역할에 동일시하면서 살아왔다.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는 주체적으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자신을 끊임없이 개발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간과 공동체 일원으로서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자질을 갖춘 인간이 요구되면서 여성들이 자신의 위치를 성찰하고 여성도 자신의 능력과 소질에 따라 사회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여중생들의 성차 인식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성 인식과 양성평등의식에 대한 생각들의 변화를 이해하며, 학생들의 성역할 정체감의 재구조화와 평화교육과의 관계성을 이해 할 목적으로 다음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여중생들은 자신의 성역할과 성차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학생들은 성차 체험을 어떻게 구조화 시키고 있는가?셋째, 양성평등교육은 학생들의 성차 인식의 재구조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중생들의 성차에 대한 경험과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연구자는 질적 연구의 패러다임 속에서 관찰과 면담을 주요 방법으로 채택하여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은 연구자가 근무하는 학교에서 1학년 재량활동시간을 통하여 2004년 4월 26일부터 2004년 6월 14일까지 모둠수업을 실시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참여관찰을 하였으며, 주요 제보자들을 중심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자료 수집을 하면서 동시에 그 자료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걸쳐 얻은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성차별 의식은 부모, 교과서, 선생님, 사회의 관습과 제도를 통하여 자신도 모르게 내면화 되어 행동으로 나타난다. 가정에서는 부모님이 하는 일을 보면서 남성, 여성의 일을 구분하였고, 말과 행동을 통하여 ‘여성성’,‘남성성’을 습득 하였다. 성차에 따른 생물학적 특징에 따라 주어진 일이 달라졌는데 여성들은 성차를 느끼면서도 그것을 이용해 자신을 보호하고, 안주하려는 경향도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학교에서는 교과서 내용, 수업시간 교사들의 말과 행동을 통하여 여자가 해서는 안 되는 일 들을 알게 되었으며, 이렇게 형성된 정보가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 성 정체성이 형성되어 가는 여중생들에게 머리, 옷, 외모에 대한 규정은 학생들의 창조성 발휘를 억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사회화를 통한 성 고착화는 ‘무의식적 수용’과 ‘사회적 성인식의 내면화’를 통하여 드러나고 있으며, 체험의 연합은 생물학적 성과 사회문화적으로 남자 여자에게 주어지는 역할과 행동에 의하여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학생들이 성차를 경험하는 것은 직접 모델을 보고 모방하는 것도 있지만 반복적인 훈련에 의하여 자신도 모르게 내면화 되어 말과 행동으로 표현되는 것들도 있다. 이러한 말과 행동은 당연히 여성이면 갖게 되는 특성으로 인식되어 가정, 학교, 사회에서 보편화 되어 있다. 양성평등교육은 남녀가 인간으로서 평등하다는 전제하에 각자의 개성과 능력을 충분히 계발하고, 자신의 장점 뿐 아니라 다른 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남녀가 서로를 존중하도록 성차 인식을 재구조화 하고자 한다. 이것은 더 나아가 스스로를 돌아보고 나를 찾아 자신의 삶의 방식을 다시 선택하며, 개인의 최대한의 자아실현과 공동선 사이의 조화를 모색하는 평화교육과 연계된다. 평화교육 속에서 개인은 절대적으로 독립된 하나의 개체가 아니라 이미 자기 자신과 타인, 그리고 개인이 속한 공동체와 생태적·우주적 차원의 관계성 속에서 존재하며, 개인의 자아실현 또한 무제한으로 발휘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역동적인 관계성 속에서 조화와 조율을 추구하는 것이다. 남녀가 서로 다르다는 것은 서로 존중되어져야 할 부분이지 차별화 될 부분이 아니며 진정한 사회 발전을 위해서는 양성이 서로 생물학적인 차이를 존중하고 사회학적인 차원에서 동반자로 남녀가 서로 균형 있게 조화를 이루며 살아갈 수 있도록 가정, 학교, 사회, 국가에서 양성 평등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인간의 존엄성과 가치에 대한 긍정, 자신에 대한 긍정적 자아개념을 내포하고 있는 평화교육과 연계되어 학생들 스스로 성차별에 대한 창조적인 해결 방안을 찾아가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gender has an important effect on social members. Society expects the thought, the emotion and the conduct equivalent to it is members body classification. And people live must be strictly obeyed demands of society. Human beings as the community members will join in the society 21th century. They have to prepare for creative thought. And the society demands qualified members. This study aims to have the women reflect the location of them selves so that they can participate in the society because they feel the necessity. The research analyzes the recognition of difference and shows the changes of characteristic recognitions of the students. In addition, we will know the thoughts regarding an equal awareness. And it is set the following three branch researches which will be help to understood the restructuring process of identity of the students and it is relationship with a characteristic of the peaceful department. This study focuses on three questions as follows. First, how are the femal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ing rule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exes. Second, how are they record structure making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Third, what kind of affection does gender equality education get through the restructuring process of discrimination recognition of the students? In order to solve three branches research problem, I had to know their experiences and recognition about gender gap. So, the I observed subjects and conversed with them from paradigm inside of qualitative research and them extended it to an instance research. The data for the research were collected at the school where the researcher works, from April 26th, 2004 to June 14th, 2004.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at the same time. The record discrimination ceremony of the students reflects custom and system of the parents, the textbook, the teacher and the society. To my surprise, they didn't know that at all. And they accept this spirit, which appears in their conducts. They classify the work according to the sex as they see the works that the parents did in through the languages and acts. Also they follow biological feature and the conduct appear different. For example, the women feel discriminations. However, she has a tendency to protect themselves by using those differences. They get to learn somethings they should not do through the text and the teachers. And information formed like this affects the future job selection of the students. The research shows that school regulations discourage their creativity display. Gender recognition through the socialization is presented by the unconsciousness accommodation. These involves things acquired not only by imitation but also by experiences they themselves even do not know. These languages and conducts are recognized as a feature of the woman. So, they are becoming universal features in the family, the school and the society. Equality education of gender restructures recognition of the gender difference as human being is equal. Gender differences should not be discriminated, but be respected for the development of ability. Peace education pursues harmony of the relationship in the community. The different parts must be equally respected by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agree on social development as social partners. Peace education is a questionable matter because it searches for a creative solution for the partiality.

      • 평화의 원리로 본 한민족 통일 연구 : 연방제 통일을 중심으로

        신귀정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논문을 구상하게 된 동기는 홍익인간사상에 입각한 통일한국의 국가체제가 어떠하여야 할 것인가 하는 사색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리고 그 연구의 구체적 대상으로 연방제를 선택하였다. 이러한 동기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남북한 통일방안의 실현가능성과 한계를 고찰하고, 평화의 3대 원리에 입각한 새로운 개념의 연방제 통일방안을 제안해 보려는 것이다. 지금까지 남한은 남북연합안을 공식적인 통일방안으로 삼고 있으며, 북한은 연방제 통일방안을 주장하고 있다. 통일 논의에 있어 연방제에 관한 담론 구조는 북한의 연방제는 불합리하며 일방적으로 안 된다는 흐름 속에서 전개되어 왔다. 그러나 연방체제는 연방주의적 사고에 입각한 강한 권한을 지닌 중앙정부와 지역의 이익을 도모하고 특수성을 보존하는 지방정부들로 구성되므로 통일한국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고 생각된다. 연구방법은 연방주의 통합이론과 평화의 3대 원리를 분석틀로 하여, 남북한 통일방안에 관련된 문헌연구를 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범위는 북한이 연방제를 처음 제의한 1960년부터 2000년「남북공동선언」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까지 살펴보고자 한다. 남한은 1989년에 발표된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부터 김대중 정부의 통일방안까지로 제한한다. 통합이론은 사회집단이나 국가들이 평화적인 방법으로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하는 과정과 결과에 관한 이론으로 연방주의, 기능주의, 신기능주의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남북한의 통일방안의 경우, 남한은 기능주의 또는 신기능주의 통합방식에 입각해 있다면, 북한은 연방주의 통합방식에 근거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연방주의 통합이론이 통합에서 권력수단의 사용을 강조하는 정치적 통합을 중요시하는 반면, 기능주의 통합이론은 경제, 기술, 문화 등의 비정치적 부분을 우선시하고 있다. 그러나 통합이론은 체제적 유사성이나 동질성 또는 우호성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방식이며, 적대적으로 경쟁하며 대립하고 있는 체제간의 통합방식이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이 이질성을 극복하고 통일을 이루는데 하나의 근간으로 삼을 수 있는 평화와 조화의 3대 원리를 제안하고자 한다 평화의 . 3대 원리는 일지 이승헌박사가 처음 제안한 것으로 공전과 자전의 원리, 구심력과 원심력의 원리, 공평과 평등의 원리로 되어 있으며, 남북한 통합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둔다고 생각한다. 연방제는 일종의 조화와 균형, 즉 통일성과 다양성, 독립성과 연계성의 조화와 균형을 추구하는 제도이다. 또한 연방제는 본질적으로 두 개의 반대되는 정치체제 사이의 타협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보다 상위의 정치체계 내에서 이들을 묶어내는 정치조직의 한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일라저(Elazar)가 제시한 국가통합의 한 형태로 단일국가와 구분되는 연방제의 필수요인은 연방헌법, 비중앙집권, 권력의 지역적 배분이다. 또한 연방주의 국가의 주요특징은 다양한 이익을 대변함으로써 균열사회를 바탕으로 한 국가의 정체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단일국가보다는 분권적 구조를 띠고 있기 때문에 중앙정부가 사회 전체의 모순과 난제를 혼자 안고 있을 필요가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연방제의 특징은 평화의 3대 원리에 비추어 보았을 때 다른 정치체제보다 서로 다른 이념과 체제를 가진 남북한 통일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남한의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에 따르면 남북의 이질성을 고려하여 우선 남북대화를 추진하여 신뢰를 회복하는 가운데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민족공동체헌장’을 채택하고, 이어 과도적 통일체제로서 ‘남북연합’을 수립한 후에 통일헌법을 제정하여 총선거를 실시하여 완전한 통일을 이룬다는 것이다. 남북연합단계는 한반도에 두 분단국가와 이질적인 두 체제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하고 이들이 평화적으로 공존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이다. 러나 남북연합안은 연방제안에 비해 남과 북을 하나의 공동체로 묶어줄 수 있는 구심력이 약하고, 남한과 북한 각각의 원심력이 강하기 때문에 남북한이 조화를 이루어 나가는 데 어려운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의 연방제는 통일된 후의 모습을 연방국가로 상정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체제의 공존을 주장하는 새로운 연방제이다. 이 점은 본 논문의 견지와 동일하며, 남북한 어느 한 쪽의 흡수통일을 상정하지 않고 조화와 상생의 통일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타당성이 있다. 그러나 북한의 연방제는 개념이 모호하고, 연방제의 가장 큰 특징인 권력분립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지 않다 . 따라서 통일한국이 가야 할 방향은 잘 설정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연방제 국가가 갖추어야 할 조건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정치적인 선전에 지나지 않는 측면이 강하다. 통일한국의 연방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통일한국의 연방제는 거대한 남북한의 분단국가가 기본단위로 연방을 구성하는 거시 연방보다는 미국식 연방제 즉 다수의 주가 연방을 구성하는 중위 연방주의가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둘째, 통일 이후 의원의 선출방법으로 상원은 인구규모와 지역의 크기에 관계없는 등가대표성 원칙을 도입하고, 하원은 정치적 자원이 열세한 소수파에게 과소대표를 방지하고 정치적 다수파에게는 과대대표를 방지해주는 비례성의 원칙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통일한국의 국가수반은 협의주의를 적용하여 스위스형의 집단대통령제로 선출할 것을 제안한다. 넷째, 통일한국의 의사결정방법으로는 다수결주의보다는 소수의 의견을 존중할 수 있는 제도가 적당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연방제는 개인의 자유를 보장하고 소수의 권익을 보호하며 중앙과 지방이 조화를 이루어 함께 공존공영할 수 있는 제도이므로 21세기 한민족의 통일방안으로 충분한 타당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통일국가의 모습을 연방국가로 상정하고, 서로 다른 이념과 체제를 조화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평화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한민족이 평화와 조화의 원리에 입각하여 통일을 이룰 때, 전 인류에게 평화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인류사적 소명을 다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the existing scheme of unification and to propose a new concept of federal unification formula. Up until now South Korea takes Korean Commonwealth as official unification formula and North Korea has insisted on federal unification formula. In the context of the discourse on unification a one-sided view which considers the federal unification formula of North Korea unreasonable and unacceptable has been predominant. However, the federation formula offers suggestions to unified Korea because central government has strong authority and local government bodies strive for the benefits of local communities and preserve specific local characteristics of them in this system.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book reviews related to the unification formula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using the Federation Integration Theory and the three Principles of Peace as frames of analysis. As for North Korea the range of research covers from 1960 through 2000 South and North Korea Joint Declaration which suggested lower step federalism. As for South Korea it covers from 1989 Korean National Community Unification Formula through the unification policy of President Kim, Dae-jung's government. Integration Theory is the one about the process and result which social groups or countries build up one community by peaceful manner. It includes federalism, functionalism and neo-functionalism. The unification formula of South Korea is founded on functionalism and neo-functionalism while that of North Korea is based on federalism. Political integration which focuses on the matter of power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Federalism Integration Theory while Functionalism Integration Theory gives priority to nonpolitical parts such as economy, technology, culture etc. However, Integration Theory is based on systematic similarity, homogeneity and amity and it is not a way of integrating two competitive, confronting par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three Principles of Peace and Harmony in order to overcome the heterogeneity and then to achieve th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The Principles of Peace proposed by Dr. Seung-Hun Lee consists of Revolution and Rotation, Centripetal vs. Centrifugal Force, and Fairness vs. Equality. The integ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can be explained by these principles. Federalism pursues harmony and balance between independence and linking. Federalism can also be defined as negotiation between two basically confronting political parts and as a type of political organization which integrates the two political parts in the higher ranking political system. Elazer proposed that preconditions of federal formula are Federal Constitution, decentralization and power distribution among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e major characteristic of a federal nation is to maintain efficiently the identity of a nation founded on separate societies by speaking for benefits of various parts. Another strength of a federal nation i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does not need to deal with the whole society's issues and problems because it has a decentralized structure of power distribution. These characteristics of Federalism with the three Principles of Peace give important suggestions to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ideologies and systems. According to the Korean National Community Unification Formula of South Korea adopting the 'National Community Constitution' through the summit meeting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going one step forward building up the 'Korean Commonwealth' as a transitional system. Ultimately a unitary state is established by stipulating Constitution of the unified Korea and implementing a general election. The Korean Commonwealth step admits the existence of the two different systems and investigates ways of peaceful coexistence. However, in 'Korean Commonwealth' formula the centripetal force which integrates South and North Korea as one community is weaker than the centrifugal forc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harmonize both parts. Federation Formula of North Korea suggests a federal nation after unification which insists the coexistence of different systems. It demonstrates the same viewpoint of this study. It is reasonable in that it pursues harmony and mutual support rather than absorbing one part by the other. However, the concept of the Federation Formula of North Korea is obscure and it does not clarify details related to division of power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Federalism. It proposes the direction of the unified Korea without specific conditions of a federal nation degrading it to political propaganda. This study takes the Federation Formula with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as for the unified Korea medium Federalism in which multiple states compose the federal nation like United States is more desirable than the macroscopic Federalism in which South and North Korea as basic units form a federal nation. Second, after unification in order to elect senators the principle of parity representation should be introduced and in order to elect members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the system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hould be adopted. Third, the premier of the unified Korea should be elected by the system of Swiss collegial presidency adopting consociationalism. Fourth, ways of decision making should respect opinions of minority groups rather than following majoritarianism.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Federation Formula based on the Principles of Peace and Harmony is considered a resonable scheme for the unification of Korea because it leads to prosperous coexistence by protecting freedom of individual and the rights of minority groups and distributing power among the fede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When Korea achieves unification based on the Principes of Peace and Harmony, the country will fulfil the mission of offering a new model of peace to the whole mankind.

      • 단학수련의 평화교육적 의미 연구 : 체험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이미화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인류에게 평화실현의 문제는 항구적이고 보편적인 과제로서 오늘날에는 특히 복잡한 시대적 상황과 본질적으로 맞물려 평화에 대한 관심과 그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이 더욱 요청되고 있다. 평화가 인간의 삶을 영위하는 일과 깊은 관련을 가진다는 점을 생각할 때 평화능력을 가진 주체를 육성하는 일은 평화실현을 위한 핵심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평화주체의 육성은 학습자로 하여금 평화상태를 체험하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평화실현에 대한 의지와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교육적 과정으로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학수련자들의 체험 사례를 분석하여 체험에 내재된 평화교육적 의미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수련자들의 체험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어떠한 변화와 실천 의지를 갖게 되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단학 수련자들은 수련을 통하여 어떤 체험을 하며 그것이 그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단학 수련자의 체험은 어떠한 구조를 지니고 있는가? 셋째, 단학수련의 체험과정이 갖는 평화교육적 의의는 무엇인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학수련을 하는 수련자들의 체험사례를 분석하는 문화 기술적 사례연구를 시행하였다. 각기 다른 수련과정에 있는 제보자 네 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하고 연구자 본인의 평화체험일지 또한 제보자들의 체험일지와 더불어 분석하고 해석하는 절차를 밟았다. 이러한 과정을 걸쳐 얻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련자들의 체험은 그들의 삶의 맥락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체험들이 존재하는데 이들을 '이완된 집중, '변화의 추구', '관계의 확장'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이 세 범주 중 어떤 현상은 수련자 모두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도 있지만 어떤 경우는 한 두 사람에게서만 표현되는 것도 있다. 이들은 각각 개별적인 양상으로 나타나면서도 서로 유기적인 순환관계를 맺고 있다. 이완된 집중을 하여 수련이 잘 되는 경우 변화를 추구하는 마음이 강하게 나타나며 두 요소가 바탕을 이룰 때 자기 존중감이나 타인, 민족과 인류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수련자가 관심을 갖는 대상이 자기를 벗어나 타인이나 민족, 인류에까지 확대되었을 때 보다 바람직한 삶의 변화를 추구하게 되며 변화를 추구하는 마음이 수련에 더욱 집중하도록 하는 계기가 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단학 수련 체험은 '자발성'과 '통합성'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수련자들이 자발적으로 수련에 임하면서 갖게 되는 전력투구하는 마음은 그를 통해 얻게 되는 성취감과 선후의 관계가 없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구조를 드러낸다. 자발성은 수련에서뿐만 아니라 수련자들의 생활 모습에서도 나타나는데 그들은 삶의 습관을 바꾸어 보다 나은 삶을 이루어나가기 위한 노력을 하는 모습을 보인다. 수련과정에서 얻게 되는 몸 마음 정신에 관계된 체험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조화롭게 작용하고 있으며 이 체험들이 수련자의 성장목표에 맞추어 하나로 통합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수련자들은 자신의 참 모습을 발견하고 부정적인 자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며 올바른 자기 주체성을 확립하려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들이 자기 자신만을 위한 비전이 아니라 '자기를 비롯한 모두를 이롭게 할 수 있는 비전'을 가지고 있을 때 자기 정체성의 확립이 뚜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단학 수련의 평화교육적 의의는 '평화체험의 향상'과 '공동체 의식의 확장'이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수련자들은 수련을 통하여 평화를 체험하고 그 느낌을 향상시키기도 하지만 생활 속에서 자신의 평화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자각을 얻기도 한다. 또한 평화로운 상태가 개인적 차원에 머무는 데 만족하지 않고 자신이 느낀 평화 체험을 다른 사람과 나누려고 노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민족과 인류의 문제에까지 의식을 확장하여 평화의 최종점을 지구 평화에 두기도 한다. 자신의 문제에 머물러 살던 생활인이 민족이나 인류를 자신의 중요타자로서 인식하게 되는 과정은 주목할만한 일이다. 이러한 인식확장의 과정은 단학수련의 체험학습적 방법과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다. 인간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은 언어에 한정된 교육보다는 체험학습을 통하여 보다 쉽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단학수련은 개개인에 따른 맞춤식 교육과 개별지도가 가능한데 이점은 단학수련을 다양한 교육현장에 적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황에 따라 자유로운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남녀노소, 교육 장소, 인원수에 관계없이 교육을 할 수 있으며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교육방법이라는 점에서도 의의를 갖고 있다. 무엇보다도 단학 수련은 평화실현의 과제를 교육의 목적으로 두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 To human beings, the issue of the realization of peace is a permanent and universal assignment, which basically lies in today's complex periodic situation and especially requires more interests in peace and concrete efforts to realize it. When it comes to the thoughts that peace has a profound relationship with human life management, upbringing subjects who have an ability to make the world peaceful is the core assignment to achieve peace. Upbringing the subjects needs to be approached with education process which grows the ability and the intention to peace realization by letting the learners experience the peace itself. In this research, by analyzing the lived experiences of Dahn practitioners, the immanent peace-educational meaning in the experiences will be studied. Through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the practitioners, it will be checked if the learners have any kind of changes and the intention to realize peace. For that,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chosen. First, what sort of experience do Dahn practitioners gain through the discipline and what exactly is the influence of it on their life? Secondly, what kind of structure does a Dahn practitioner's experience have? Thirdly what peace-educational meaning does the experience process of Dahn practice have? To give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n by ethnographic research. Four practitioners from each different level of discipline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deeply and then analyze and interpret of their self-reports as well as the researcher's own self-reports are performed. The summary of the result gained through these processes is as follows. All the experience of the practitioners appears in various types, depending on the practitioner's life style. Nevertheless, there are some characteristic experiences,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 "relaxed concentration", "pursuit of changing", and the "extension of relationship". In these three categories, it appears that some phenomena happen to all practitioners in common but as to other phenomena, they are shown on only 1 or 2 of the practitioners. They have not only their own individual aspect respectively but also organic, rotating relationship. As the discipline, owing to the relaxed concentration, is successful, the demanding of change also arises strongly. On the basis of these two elements, the self respect or the concern for the others, the nation and the human beings, is extended. Moreover when the practitioner's extent of concern goes far beyond himself to the others, the nations, and the human beings, they can surely pursue desirable change of life, and it is proven that such pursuing attitudes make it possible for them to grab a chance of being more concentrative on the discipline. It is revealed that the experience of Dahn discipline consists of the structure of voluntariness and integration. With the achievement gained through the discipline, the mind of making utmost efforts that practitioners gain through spontaneous attendance to the discipline shows the pattern that affects each other without any order of priority. Spontaneity appears not only in the process of discipline but also in the life of the practitioners, who show the attitude of trying to change their habits and lead an improved life. The physical, mental and spiritual experiences which is gained in the process of discipline influences reciprocally each other and interacts harmoniously and it is aimed at the practitioners' development and united. And also, it is known that the practitioners try to find the Self and overcome the negative-self and establish right subjectivity. When they have the vision, which is beneficial not just to themselves but to everybody including themselves, it seems that personal identity is clearly settled. The peace-educational definition of Dahn discipline can be divided into two aspects; one is the advancement of peace experience and the other is the extension of the community consciousness. Practitioners experience pure peace through discipline and develop the feeling and they also gain self awareness which makes it possible to check their present peace state in everyday life. Moreover,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at peaceful state is staying only within the personal limit. But try to share their own peace experience with others. On some occasions, they enlarge their awareness up to the problem of a nation and mankind and set the final destination of peace for the Earth peace. It is noticeable that an ordinary person, only caring for personal problems turns or her attention to a nation or mankind. Such process of awareness enlarge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experiential learning of Dahn discipline. The power to change human beings can be produced with ease by experiential learning rather than by limited learning by explanation. Dahn practice can offer a personal training suitable for individual level and this makes the practice applied to various educational performances. It is meaningful that as it is also adaptable flexibly depending on its situation, the practice can be trained regardless of men or women, young or old, education places, and the number of trainees and anyone can learn it easily. Best of all, Dahn practice is considered worthy of in that its educational goal is set on the assignment of the peace realization.

      • 현대 평화개념의 전개와 대안적 평화개념 연구 : <숨쉬는 평화학>을 중심으로

        정해준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현시대의 평화실현을 위한 노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인류의 통합과 보편적인 평화의 가치를 내올 수 있는 새로운 평화개념의 정립에 있다고 보고 20세기 이후 진행된 현대평화개념의 전개과정과 《숨쉬는 평화학》의 평화 개념 속에서 대안적 평화개념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 해 전체적인 글의 중심을 평화와 인간의 관계에 두고 철학적 관점에서 본 인간론, 현대 평화개념의 전개, 《숨쉬는 평화학》의 평화개념 등의 순서로 내용을 전개했다. 주요한 내용을 정리해보면 제2장에서는 현대평화개념의 철학적 배경으로서 서양의 근대철학과 현대철학에서 본 인간의 관점이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평화개념 속에서 그러한 인간이 어떻게 투영되어 나타났는지 살펴보는 이론적 근거를 논하였고 아울러 평화개념을 분석하는 주된 틀로서 평화주체문제와 평화개념의 보편성을 다루었다. 여기에서 요약된 내용은 근대철학에서 바라본 인간은 이성적 인간이었고 현대철학의 인간은 이러한 이성적 인간을 해체한 가운데서 태어난 인간이었다는 것이다. 근·현대철학에서 나타난 이와 같은 인간관은 바로 현대평화개념으로 이어져 평화의 주체로서 등장하고 각 평화개념의 보편적 가치를 형성하는 기반이 되었다. 제3장에서는 현대평화개념인 소극적 평화개념, 적극적 평화와 구조적 폭력개념, 그리고 인간안보개념의 전개과정을 살펴보았고 그 결과 각 평화개념의 형성 과정과 주된 내용이 평화의 주체로서 인간의 존재와 역할을 인식해가는 과정이었음을 파악하게 되었다. 그리고 각 평화개념의 관점에서 평화의 보편적 가치로 제시된 것이 무엇이었나를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각 현대평화개념의 내용을 평화의 주체문제와 평화개념의 보편적 가치를 중심으로 종합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대평화개념의 전개과정은 본질적으로 평화주체로서 인간을 인식해가는 과정이었지만 이성적 인간, 해체적 인간으로 인간에 대한 인식의 양적확대에 머무름으로써 현재 요구되는 평화에 대한 적극적이고 목적의식적인 의지를 갖는 인간으로 나아가지 못했고, 보편적 가치인 전쟁부재와 부재상태의 유지 그리고 구조적 폭력해소 등에 있어서도 통합과 조화를 이끌어낼 평화의 실천적 방법으로 제시되기엔 시대적 역할의 의미가 쇠퇴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제5장에서는 평화개념의 새로운 대안으로 《숨쉬는 평화학》의 평화개념과 평화의 주체문제, 보편적 가치 그리고 실천방안 등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숨쉬는 평화학》의 평화개념은 '건강하고 조화로운 생명의 질서'이며 여기에서의 인간은 내면에 그러한 평화의 원리가 내재되어 있는 인간이고 평화의 출발은 그것에 대한 깨달음과 자각에서 시작됨을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평화의 실천은 개인적 차원에서 자신의 내면의 본성을 깨달을 수 있는 뇌호흡을 통한 실천방법과 사회적 차원에서 지구인개념을 평화의 중심가치로 하는 전체적인 실천방법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결론은 인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통해 조화와 통합의 평화개념과 평화실천방법을 제안하고 있는 《숨쉬는 평화학》이 현시대 평화에 대한 새로운 전망과 희망을 내올 수 있는 대안의 평화개념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앞으로 적극적인 연구와 관심이 있기를 바라며 글을 맺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ek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peace concept through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peace concept and on the peace concept of Peaceology. Establishing the new peace concept with the human unity and the universal value of peace can be one of the important ways to embody peace in the worl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interpretation of the human nature shown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hilosophy is discussed. Human beings can be interpreted as reasonable and deconstructional beings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hilosophy. There are two main questions as a framework to analyze peace concept - Who will embody peace with initiative(It will be called peace master in this study) and what is the universal value of peace? These questions are closely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of human nature. Though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peace concept is the process that human beings themselves cognize as a peace master realizing peace in the world, human beings are ones restricted within the narrow recognition of reasonable and deconstructional human. Also now the universal value of peace as the absence of war and as the reform of structural violence is losing its power of leading to the unity and harmony of all the mankind. So, to embody peace on earth, the purposeful and positive efforts of human beings are needed. It is asked to establish the new definition of human beings as the peace master. We can seek the possibility of it through Peaceology. Peaceology says that peace is the healthy and harmonious order of life. Human beings in Peaceology are expressed to be ones already having this harmony and order in their inner. So peace is the discovery and enlightenment of peace principles in their inside and it is connected with personal practical method, Brain Respiration that enables human beings to realize their inner peace principles. As the universal value of peace Peaceology presents an Earth-Human concept. It is the central standard of being able to lead all the mankind to unity and harmony according to Peaceology. At the same time it becomes the whole practical method. Each Human being in Peaceology is the peace master to realize peace purposefully and positively in the world that has th peace principle within his or her inner. Therefore, today Peaceology as the new peace concept of the unity and harmony will be the alternative peace concept to give the prospect and hope of peace to us human beings in the world.

      • 단군사회의 평화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김명섭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현재 지구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갈등과 분쟁은 지구의 생존 자체를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사람들은 이 같은 위기감을 경험하면서 지속가능한 인류의 미래를 위해 평화를 촉구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평화교육은 인류의 평화로운 미래를 교육적 노력에 의해 추구하고자 하는 한 시도라 할 수 있다. 평화교육은 평화를 창조하고 유지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을 목표로 하며, 평화가 무엇인가를 통찰하게 하고 평화실천 의지를 북돋우는 교육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나와 남이 조화롭게 살 수 있게 하는 것을 평화교육의 일차적 과제로 보고, 우리의 삶을 배려와 아량으로 이끌 수 있는 조화의 정신을 찾고자 하였다. 단군사화의 핵심 주제인 홍익인간(弘益人間)은 우리가 추구해야할 평화가 바로 조화의 정신에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단군사화는 환인, 환웅, 웅녀, 단군의 존재를 통해 홍익인간이 내포하고 있는 조화정신을 어떻게 회복하고, 어떻게 실현해야 하는가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본 연구는 단군사화의 내용 구조와 주요 구성요소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고, 그 속에 내포되어 있는 인간, 평화, 교육의 의미를 분석해봄으로써 단군사화가 가지는 평화교육적 의미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단군사화는 우리민족이 홍익인간 정신의 시공간적 확장을 통해 평화를 실현하였고, 수행의 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물질문화를 극복하고 지배와 대립이 아닌 조화와 상생의 삶을 이끌어왔음을 드러내고 있다. 단군사화는 우리민족이 인간을 완성의 욕구와 가능성을 가진 존재로 인식하여 왔고, 범지구적 평화와 적극적인 평화, 내면적인 평화를 추구하여 왔음을 일깨워 주고 있다. 그리고 우리민족의 교육적 이상은 내면의 평화체험을 바탕으로 평화로운 상태에 대한 인식을 추구하며, 조화의 이치대로 세상에 평화를 실현하게 하는 홍익인간을 양성하는 것에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단군사화 속에 내포되어 있는 우리민족의 평화사상은 신과 인간, 앎과 삶, 개인과 사회의 조화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이 같은 조화사상은 하늘 땅 인간이 모두 하나의 , , 근본에서 비롯되었고, 서로 뗄 수 없는 관계를 유지한다는 ‘인중천지일(人中天地一)’의 정신이며, ‘한’사상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평화사상을 실천할 수 있는 교육의 원리는 웅녀의 동굴수련이라는 상징적 사건을 통해 잘 드러난다. 웅녀의 동굴수련을 통해 나타나는 교육원리는 크게 방법적 원리와 과정적 원리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는 자기주도적 체험의 원리이며, 후자는 인식 전환의 원리이다. 자기주도적 체험의 원리는 학습자의 자율성을 중시하는 교육원리로서, 목적의식이 뚜렷하게 설정되어 있을 때 학습의 효과가 커지게 되며, 체험을 통해 이루어진 학습이 현실에서 실천적인 힘을 발휘할 수 있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인식 전환의 원리는 웅녀의 변신이 동물에서 인간으로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동물적 인식에서 홍익의 인식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는 사실에서 추출된 원리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조화를 추구하는 홍익인간 정신은 다양한 방식으로 교육현장과 일상적인 삶에 융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가능성은 또한 단군사화에 드러난 평화사상과 교육의 원리가 이기심과 경쟁심이 팽배해 가고 있는 냉혹한 현실 속에서 나와 민족과 인류의 평화를 구현해갈 수 있는 평화교육의 이론적, 실천적 토대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oday the conflict and disturbance going on all around the world are threatening the existence of the earth. Undergoing the crisis like this, people begin to emphasize the peace for the durable peace of the future of mankind. Peace education is one of the educational fields which include the longing for peace. The goal of peace education i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reate and maintain the peace. Also let them open their eyes to what the peace is and practice with this.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harmony of life as the first task of peace education and to search the harmonious spirit in our lives which enables us to be considerate and generous to others. The core theme of the historical story about Dangun(hereafter HSD), Hongikingan(devotion to the welfare of mankind) implies that the peace we seek after lies in the harmonious spirit.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nceptual and methodical base of peace education through this harmonious spirit of our ancestors. Through analyzing the context structure and main components of historical story about Dangun, and the meaning of human, peace, and education in it, the peace educational meaning in it is searched. The results are summed up; In HSD, our people have practiced peace by expanding the spirit Hongikingan into periods and spheres of mankind. Also we have overcome the materialistic culture through self-discipline, and led the life for harmonious and mutual survival, not conquering and confrontation. In HSD, we were recognized as an existence with desire and possibility for the perfectness and have sought after the global peace, active peace, and inner peace. The ideal of our education is to persue the consciousness of peaceful situation based on the inner peace, and cultivate Hongikingan who practice peace of the world according to the peace ideology. Our people's peace ideology in HSD is the harmonious spirit which is not allowed the division and conflict by harmonizing God with human, knowledge with life, and an individual and a society. And this harmonious spirit is the spirit of Injungchunjeeil which says that heaven, earth, and man comes from the same base and maintain the inseparable relationships with one another and Han concept. The educational principle which make it possible to practice the peace ideology is revealed through the symbolic event of Ungyeo's discipline in the cave. The principles are a methodical principle and a processing principle. The former is the principle of self-leading experiences which emphasize the self-control of learners. This principle tells us that when the goal as the result is set clearly, the learning effect is maximized and that the learning through experiences have a practical effect in a real world. The latter is the principle of cognitive change which is not the change into human out of an animal but the change into the cognition as a Hongik out of the cognition as an animal. Analyzing the Dangun story, the peace ideology and the educational principles can be the ideological and practical base of the peace education in the world full of selfishness and competition. But this is possible when the peace educational meaning of Dangun story is applied to the curriculum and used in the education system.

      • 김용중의 중립화 통일론 연구 : 조화와 상생의 관점에서

        이경림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한반도의 통일방안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한민족이 조화와 상생의 통합을 이루어 새롭게 탄생하고 나아가 인류의 정신문명시대를 여는데 기여할 방안은 무엇인가 하는데 대한 진지한 고민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해방 후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재미교포 언론인으로서 남북 지도자, 유엔 관계자, 미국의 정치인과 언론인 등을 비롯하여 한반도와 세계를 향해 중립에 의한 평화적 통일을 일관되게 주장한 김용중의 중립화통일방안을 연구주제로 선택하였다. 지정학적으로 강대국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완충지대로서 분쟁의 위험이 끊이지 않는 한반도는 중립에 의한 통일이 가능한 지역이다. 그러나분단이후 남북은 동서의 냉전 이데올로기를 고수하며 실질적인 흡수통일을 지향하는 체제유지적인 통일방안을 상대방에게 제시함으로써 사실상 통일의 진전이 이루어질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의 통일은 남북간의 상극적 적대관계를 화해와 협력의 관계로, 나아가 상생의 공존관계로 발전시키는 점진적 과정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차원에서 중립에 의한 통일이야말로 남북관계를 상생의 관계로 발전시킬 수 있으며 주변국의 이해관계를 조절하는 측면에서 남북이 외교적 주도권을 지니고 능동적으로 국제 외교에 참여함으로써 민족의 자존 능력을 회복하게 된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주변국과도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여야 하는 만큼 한반도에서의 분쟁위험을 해소하고 동북아시아의 평화체제를 구축하는 단초가 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중립의 기존 개념을 소극적 중립화와 적극적 중립화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소극적 중립은 기존의 스위스나 오스트리아와 같은 전통적 중립국에 해당되며 이들 전통적 중립국은 권력정치의 시대에 약소국으로서 분쟁의 위험에서 벗어나고자 중립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이들 소극적 중립국들은 주변의 정세와는 무관한 고립적 특성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탈냉전시대인 현대의 발전된 정보화 기술은 . 사회각 분야에서 국가간의 교류와 협력의 확대를 가져왔고 이로 인해 국가간경계는 무의미해지고 세계는 지구라는 하나의 단위로 인식되게 되었다. 국가간 상호의존성이 국제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고 평화와 안보를 담당하는 핵심요소가 된 오늘날 소극적 중립화는 더 이상 존재의 의미를 찾을 수 없게 되었다. 스위스가 최근 유엔에 가입하게 된 것도 더 이상 회색의, 고립적인 중립의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구화시대의 중립국은 주변국과 조화로운 교류와 협력을 기본으로 하여야 한다. 지구의 평화와 질서가 유지될 때 자국의 평화와 질서 역시 보장될 수 있다는 공동체 의식으로, 평화와 번영이라는 인류 공동의 가치실현을 위해 국가간 협력을 기울이는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자국의 평화와 안전을 보장받는데서 만족하고 안주하는 소극적 중립에서 탈피하여 주변국들과 조화와 상생을 지향하고 실천하는 중립국이야 말로 현대와 같은 세계화시대에 요구되는 적극적 중립국의 의의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한반도의 제2공화국 시기에 가장 실천적이고 합리적인 통일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국내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던 김용중의 중립화통일론을 소극적 중립화와 적극적 중립화라는 분석의 틀로서 그 특성을 규명하고 김용중 중립화통일론의 의의와 가치를 고찰해 보았다. 한반도의 중립화통일에 대한 주변국들의 반응을 살펴볼 때 분명한 사실은 통일한국이 주변국들에게 전혀 위협적인 존재가 아니라 오히려 도움이 되는 존재가 될 것임을 확신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반도의 중립화통일은 적극적 중립화가 이루어지도록 추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의도 하에 본 논문의 분석대상인 김용중의 중립화통일론을 시대흐름에 따라 고찰함으로써 그의 통일론의 전체적인 전개과정을 고찰하였다. 그 과정에서 그의 중립화통일론이 적극적 중립화를 지향하고 있으며 자주적인 성격의 중립화통일론으로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의 통일운동 역사에서 변함이 없었던 원리는 남북의 상호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인내를 가지고 화해와 협상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였다는 것이다 . 김용중은 북을 화해와 협상의 상대로, 민족 통일의 주체로, 그리고 통일 후 이땅에서 함께 살아 갈 하나의 민족으로 인식하고 부단히 상생의 조화점을 찾아 나가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평화적이고 민주적인 노선을 일관되게 택했다는 것 역시 높이 평가하여야 할 점이다. 그리고 나아가 통합의 구심으로 민족을 선정하고 남북의 상이한 이념을 초월할 수 있는 제3의통합을 위한 한국주의를 제안하였다는 것은 그가 민족 자주적 중립화통일론자로서 독보적인 존재임을 알려주는 점이다. 이 한국주의는 보다 구체적인 이론으로 발전하지는 못하였지만 그의 주장들을 귀납적으로 종합하여 볼 때 남북이 공히 인정하고 수용할 수 있는 남북의 공통적 민족사상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남의 자유와 북의 평등을 함께 아우를 수 있는 차원에서 주변국들과도 조화와 상생의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보편적 평화주의를 지향하는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김용중의 한국주의는 본 논문의 제2장 이론적 배경에서 제시한 한민족의 홍익인간사상과 그 뿌리를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has come up with the serious consideration of which would be the method of contribution to achieve the harmonious win-win unification of Korean people, to born newly, and to open the age of civilization of humankind. Under the critical mind like this, the neutralization unification method of Yong-Jung, Kim (Korean journalist residing in America)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who consistently persisted the peaceful unification with neutrality to the leaders of North & South, working group of UN, politicians and journalists of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Korean Peninsula and world. Korean Peninsula is a capable area of neutrality unification, and a geopolitical buffer zone of the powers in the world. But after the dividing, Eac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s persisted the West and East Cold War Ideology, and has suggested the unification method of absorbing each other. Therefore, practically couldn't achieve the progress of unification. Nevertheless,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can be realized in a gradual process which would turn the bipolar hostile relationship into the relationship of amicable cooperation, and progressively develop into the relationship of coexistence. In this dimension, the unification by the neutrality can develop the relationship of North & South to a win-win relationship, and has a meaning in that the South & North both participate lively to the international diplomacy with the diplomatic initiative, able to recover the ability of self-existence, in an aspect of controlling the interests of neighboring nations. On the other side, Korea have to maintain the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neighboring nations, this could be a clue of foundation to settle the danger of dispute in Korean peninsula and to construct the peace system of northern east asia. With this point of view, we can classify the established idea of neutrality as a negative neutralization & a positive neutralization. Negative neutrality corresponds to traditional neutrality nations like the established Swiss and Austria. These traditional neutrality nations chose the neutrality to escape from the danger of dispute as the small & weak states in an age of power politics. And these negative neutrality nations have maintained its own isolated characteristics independently to the affairs of neighboring nations'. But the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as the Post Cold War Age proceeds, has brought the exchange & cooperation in between the nations of our society, due to this the boundaries of nations became meaningless and the world became to be recognized as one unit of earth. Now, as the mutual dependency of nations became the main factor of which maintains the order of international society, and peace & security, negative neutralization can not be find its own reason of existence. The recent U.N. entry of Swiss is because of the hardness to maintain the statue of isolated & gray neutrality. Therefore, the neutrality nations in an age of Global are built on the basis of harmonious exchange & cooperation with the neighboring nations. To realize the common value of humankind peace & prosperity, the neutrality nations need to take a positively roll in between the cooperation of nations, with the mind of community which maintains the peace & order of earth, the peace and order of nation also can be maintained. The neutrality nations escaped from the negative neutrality of own national peace and security and preferred harmonious win-win policy with neighboring nation, which is in the meaning of neutrality nations required to be global age like current. We can not disregard the practical statue of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One of main factor that we need to consider on the unification is, giving a firm belief to neighboring nations that unified Korean will be an beneficiary existence rather than a threatening existence. Therefore, the neutralization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need to be proceeded in the direction of positively neutralization. In this viewpoint,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meaning & value of neutralization unification theory of Yong-Jung, Kim, and also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negative & positive neutralization, which had a great effect on domestic society and presented practical & reasonable unification method in the period of 2nd Republic of Korean peninsula. First of all, we investigated the entire development of neutralization unification theory of Yong-Jung, Kim, as the specimen of this study. In the process of this, Yong-Jung, Kim developed independent neutralization unification theory based on the foundation of positive neutralization. But the unchanging principle of his unification campaign was an effort to the amicable negotiation with the prudence to recover the mutual trust. Yong-Jung, Kim recognized the north as a party of amicable negotiation, the subject of unification, and same to the people whom to live with in this country after the unification, and tried to find out the harmonized point of win-win policy constantly. It must be an outstanding point of view, that he took the coherent path of peaceful & democratic. And further more, it is showing that he independently stands alone with the neutralization unification theory that he took the people as the center of unification and suggested the 3rd idea of "Koreanism" which can be transcendent to the indifferent ideologies of the South & North. This "Koreanism" could not be developed into a concrete theory, although if we induce comprehensively from his opinion and we could accept that it is a common ideology of the South & North that the South & North can agree with. And in an aspect of Freedom of South & Equality of North, this could be said as a universal pacifism intending harmonious win-win relationship with the neighboring nations. In this point of view, "Koreanism" of Yong-Jung, Kim rooted in the same origin of the "Hong Ik In Gan" ideology of Korean People, which was represented in the theological background of the 2nd chapter.

      • 단학적 의미의 힐링에 대한 연구

        황혜경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55

        현대 단학은 한민족 고유의 선도 사상에 내재된 원리와 수련방법을 일지 이승헌 박사가 현대화시켜 년대부터 보급해 오고 있는 심신수1980 련 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완성과 HSP 운동을 통해 개인과 사회의 치유를 지향하는 단학의 힐링의 의미를 고찰하는 데 있다. 단학은 몸과 마음의 건강을 ‘몸과 마음의 기능과 에너지를 100% 활용하는 상태’라고 정의한다. 사회적 건강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자신에게 부여된 역할을 책임감 있게 수행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으로 정의하고, 영적인 건강은 자신의 영성에 대한 자각이 있으며 전체를 이롭게 하고자 하며 자기 뇌의 정보를 적절히 다루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 모든 것을 종합 했을 때 단학이 정의하는 건강은 ‘영적인 자각을 통해 자기 삶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바로 알고 그 목적을 위해 몸과 마음의 기능과 에너지를 100% 활용할 수 있는 상태’이다. 개인적 차원의 힐링은 상한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하고 본래의 완전한 모습을 되찾게 하는 것이다. 즉 건강과 행복과 깨달음을 주는 것이다. 사회 차원에서 하는 힐링은 모든 사람이 건강과 행복을 누리며 살고,그러한 삶 속에서 깨달음을 얻고 영적 완성을 이룰 수 있는 문화를 창조하고 보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인류 문명이 지속될 수 있는 사회 평화의 기반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 차원은 분리되어 있지 않고 하나로 통해 있다. 깨달음은 원래 우리 안에 있는 본성을 발견하는 것이고 자신의 참모습을 자기라고 인정하는 것이다. 자신의 실체가 자신의 몸이나 인격이 아니라 자신의 신성이고 양심이고 영혼임을 아는 것이다. 진아를 찾으려면 자기 안에 들어와 자신을 움직이는 정보들을 점검하여, 취사선택을 해야 한다. 진아와 만나면 진정한 건강과 절대적인 행복을 맛보며 진정한 평화를 얻게 되고, 자유롭고 완전해지며 조화로운 사회를 만들어낼 수 있는데 진아가 각성된 때를 깨달음이라 한다. 법은 자신의 실체가 자신의 신성이고 양심이고 영혼임을 알게 하고, 자신 안에서 조화의 원리인 자연 법칙을 발견하는 것이고, 평화의 의미와 기준을 아는 것이다 법은 관념으로부터 자유로운 인식이고 전체를 . 이롭게 하고자 하는 마음이며 거짓 자아가 깨어지는 것이다. 법은 자기 안에 있는 평화의 본성을 찾게 하고, 조화의 원리를 회복하게 한다. 또한 자기가 누구인지 자기 삶의 목적이 무엇인지 알게 한다.이전까지 자신을 지배해오던 관념적 정보들을 벗어버리고, 새로운 정체성과 새로운 삶의 목적을 갖게 한다. 모든 생명체는 우주의 생명 원리에 의해 창조되고, 그 원리에 의해 발전, 쇠퇴, 소멸해 가는데 우주 생명의 원리는 바로 조화의 원리이다.조화의 원리가 사람에게 적용되었을 때에는 정신과 육체의 조화로 나타난다. 이 원리가 가정에 적용될 때는 부부 간의 조화, 부모와 자식 간의조화, 형제간의 조화로 나타나고 직장에서는 상급자와 하급자의 조화, 동료 간의 조화로 나타난다. 조화의 원리에는 공평과 평등의 원리, 공전과 자전의 원리, 구심력과 원심력의 원리가 있는데 이 원리를 통해서 조화의 정신, 참된 질서 의식을 배울 수 있다. HSP운동이란 영혼을 자각한 사람들이 모여 사회를 치유하고 사회의 평화를 실현하고자 하는 운동으로 홍익정신이라는 건강한 철학을 바탕으로 자신과 자신이 속한 사회와 인류 전체를 건강하게 하고, 사회평화를 실현하고자 하는 ‘인간사랑 사회사랑’의 실천운동이다. 사회 구성원의 건강,행복, 평화를 창조하는 모든 활동은 HSP운동으로 그 예는 아래와 같다.올바른 역사를 알리는 것, 몸과 마음의 상처를 입은 이들을 활공하거나 기공하는 것, 사람들에게 기공체조를 가르치는 것, 소외된 이들에게 무료 급식 봉사활동을 하는 것, 사람들에게 반갑게 인사하는 것, HSP철학과체험 방법을 알려 주는 것, ‘HSP 세미나’나 뇌에 대한 강연, ‘국제 브레인HSP 올림피아드’ 개최하는 것, 힐링소사이어티 당을 구성하는 것, Spiritual UN을 구성하는 것, 비전 피플을 구성하는 것, HSP 그룹을 탄생시키는 것, HSP 프로그램을 교육기관에 보급하는 것, 국제뇌교육협회의 심포지엄을 개최하는 것, 국학정론을 보급하는 것이다. 사회를 치유하고자 할 때는 개인적 선의와 봉사 이상의 조직적이고 적극적인 운동이 필요한데 단학은 사회의 치유를 위해 여러 단체를 조직하여 적극적인 운동을 펼치고 있다. Modern Dahn Hak is a mind and body discipline method which Dr. (Il Ji) Lee Seung Heon has modernized principles and discipline methods that are inherent in the peculiar leading idea of the Korean race and diffused since the nineteen eightie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in inquiring the meaning of healing of Dahn Hak which is aimed at healing individual and society through perfection of individual and the HSP movement. Dahn Hak defines healthy mind and body as a state using the energies of mind and body 100%. It defines social heath as that it is acquired through performing one's own invested role with responsibility in social relations, and spiritual health as handling one's own brain informations well and understanding one's own spirituality and trying to do society good. Synthesizing all these, the health Dahn Hak defines is a state to understand the object of one's own life through spiritual consciousness and be able to use the functions and energies of mind and body 100% for the object. Healing on the level of individual makes broken mind and body healthy and find their own perfect shape. It, so to speak, gives health and happiness and illumination. Healing on the level of society is to help all people live with health and happiness, and create and spread a culture in which people find great illumination and reach spiritual perfection. By doing so, it creates a foundation for social peace by which human civilization can last. Realization is originally to find the original nature in us and accept one's own true character as one´s own self. It is to know that one's own substance is not one's body or personality but divine nature and conscience and soul. To find true ego, we have to enter ourselves and check informations which move us, and select them properly. When we meet our true egos, we would enjoy true health and absolute happiness and have true peace. And we would be free and perfect and make a harmonious society. It is called realization when true ego is awakened. Law is to make each one understand that one's own substance is one's divine nature and conscience and soul, and find the natural laws, principles of harmony, in one's self and know the meaning and standard of peace. Law is an understanding free from ideas and mind to do the whole good and that false ego is broken. Law makes each one find the nature of peace in one's self, and recover the principles of harmony. Also, it makes each one know who I am and the object of one's own life. It helps each one throw abstract ideas which have dominated until now and have a new identity and object of life. All life is created by the life principle of universe, and develops, declines, and vanishes by it. The principle of universe life is the principle of harmony. When the principle of harmony is applied to a human, it appears as harmony of mind and body. When the principle is applied to a family, it appears as harmony between man and wife, children, brothers and sisters, and in a work place, as harmony between supervisors and subordinates, and colleagues. There are principles of fairness and equality, revolution and rotation, and centripetal force and centrifugal force in the principle of harmony. We can learn mind of harmony and orderawareness through them. The movement of HSP is a movement that the people who have realized soul gather and try to realize social peace. The HSP movement is a practical movement of 'human love society love' to make one' own society and all mankind healthy and realize social peace based on the humanitarian ideal The examples of the HSP movement to create health, happiness, and peace of members of society are as follows. To inform the right history To glide or treat the mentally and physically wounded people To teach 'Ki Gong' gymnastics To provide no charge meal service to the people who are left out To give people the glad hand To inform HSP philosophy and experience method To hold 'The International Brain HSP Olympiad, and 'HSP seminar' or lectures on brain To organize the 'healing society party' To organize the 'Spiritual UN' To organize the 'vision people' To create the HSP group To provide the HSP program to educational institutions To hold the symposium of the International Brain Education Association To spread the Kuk Hak Jung Ron When healing a society, it requires a systematic and positive movement more than individual good will and attendance, Dahn Hak is carring out a positive movement organizing various groups to heal our society. Subject words : Dahn Hak, health, healing, ego, true ego, realization, HSP movement

      • 뇌호흡 수련자의 지감(止感)활동이 호흡수와 심박수에 미치는 영향

        김영림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의 목적은 뇌호흡 수련자의 지감활동이 호흡수와 심박수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지감은 의식의 방향을 몸 밖에서 몸 안으로 전환하여 기 에너지를 터득하는 뇌호흡의 기본 단계이다. 뇌를 개발함으로써 정신적인 활동을 통해 호흡수와 심박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감활동을 상상과 집중의 정신적인 활동으로만 구성된 ‘뇌바라보기’단계로 제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뇌호흡 수련자의 지감활동이 호흡수를 감소시킬 것인가? 2. 뇌호흡 수련자의 지감활동이 심박수를 감소시킬 것인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천안에 소재하는 뇌호흡 교육원의 성인수련자 20명을 대상으로 기저선-지감활동으로 실험설계하고 분당 호흡수와 분당 심박수를 측정하였다. 2005년 3월 22일부터 4월 11일까지 21일에 걸쳐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뇌호흡 수련 실습실에서 1명씩 개별 실험을 하였다. 기저선과 지감활동시 분당 호흡수와 분당심박수의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고, 기저선과 지감활동시의 호흡수와 심박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paied-t검증을 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에 사용한 유의도수준은 α=.05이다. 통계적 분석은 SPSS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뇌호흡 수련자의 기저선과 지감활동시의 호흡수와 심박수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뇌호흡 수련자의 지감활동시 호흡수는 기저선의 호흡수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2. 뇌호흡 수련자의 지감활동시 심박수는 기제선의 호흡수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5). 이상의 결론은 뇌호흡 수련자의 지감활동이 호흡수와 심박수 감소에 효 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지감활동시 호흡수와 심박수의 감소가 나타나 는 것은 지감활동이 호흡수와 심박수의 조절 중추인 자율신경계의 활동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가 활동 즉시 나타났다는 점 은 뇌를 개발함으로써 정식적인 활동으로 인체의 신경 생리학적 기능을 조 절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뇌호흡 지감활동을 통해 생명활동과 깊은 관련 이 있는 호흡과 심장활동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신체의 회복률 향상, 정서 적 안정 등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rain Respiration Jigam activity on respiration and heart rate. This study focused on experimental verifying reduction of the respiration and heart rate through mental activity. So Jigam activity is limited as 'Brain watching' that is only consist of the mental activity on imagination and concent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Is the Jigam Activity of Brain Respiration effective to reduce the respiration? 2. Is the Jigam Activity of Brain Respiration effective to reduce the heart rate?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selected the 20 adult trainees from Brain Respiration education center in Chŏnan. From March 22, 2005 to April 11, 2005, The experiment was made individually at Brain Respiration practice room of International Graduates University for Peace. In baseline and Jigam activity, calculate the average valu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both the respiration and hear rate. The statistical method, which was used to verify the hypotheses, was paired t-test. The level of significance used for verifying hypothesisese are =0.5. The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α ( ver. 12.0 )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rough statistical treat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piration of Jigam activity wa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at of the baseline (p<0.5). 2. The heart rate of Jigam activity wa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at of the baseline (p<0.5). Especially, In the period of Brain respiration Jigam Activity, respiration and heart rate was immediately reduced. The reductions showed that the function of Autonomic nervous system as controling center for the respiration and heart rate is regulated. In spite of difficulty in controling Autonomic nervous system's function by using mental treatment, Brain development suggests, Human body's neuro-physiological function can be control by mental activity. Also, Brain Respiration Jigam activity have an positive effect on respiration and heart operation that is deeply related to life. And It can be helpful of the health promotion including human body's recovery rate, emotional s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