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프랜차이즈본부의 지원행동이 가맹점의 경영성과에 미치는영향 : 가맹점이 인지하는 갈등수준의 매개효과를 포함하여

        우레이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마케팅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요약 프랜차이즈 본부의 지원행동이 가맹점의경영성과미치는 영향 가맹점이 인지하는 갈등수준의 매개효과 우레이( 呉 雷 ) 경영학과 마케팅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지원행동이 가맹점의 갈등수준의 매개효과로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조사이다. 한국(서울,경기)과 중국 (베이징,온주,창춘,항주) 프랜차이즈를 중심으로 하여 총 120개 가맹점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이 유효한 설문지 120개를 수거하여 분석하였다.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지원행동을 확인하기 위해 정보제공 지원, 제품제공 지원, 교육훈력 지원, 홍보촉진 지원 보상 지원 등 총 5가지의 분야에서 총 20가지의 요인으로 나누어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본부과 가맹점의 갈등과 경영성과 분야 역시 갈등, 재무 성과, 비재무 성과, 총 3가지의 요인으로 나누어 설문을 진행하였다. 분석은 독립변수인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지원행동(정보제공 지원, 제품제공 지원, 교육훈력 지원, 홍보촉진 지원 보상 지원)에 대한 부분과 종속변수인 가맹점의갈등 경영성과를 두고 진행하였으며, 질문에 대한 분야별 신뢰도 분석을 완료하고, 요인 분석을 통해 요인별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독립변수와 매개변수와 종속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지원행동이 가맹점간의 갈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가맹점간의 갈등이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또, 가맹점간의 갈등이 프랜차이즈본부의 지원행동과 본부와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인지 각 변수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요인별 타당도와 신뢰도는 총 8가지 요인에서 모두 우수한수를 얻었으며,상관관계분석은 모든 분석에 앞에서 요구되는 선행조건이기도 한다. 분석의 결과, 전체으로 각 요인들 간에는 상관관계가 강하게 나타났다.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지원행동이 가맹점간의 갈등에 대한 부분영향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맹본부와 가맹점간의 갈등이 경영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프랜차이즈본부의 지원행동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갈등수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프랜차이즈본부의 지원행동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확률가 2단계에 비하여 정보제공 지원( .198→. 165) ,제품제공 지원( . 177→. 123) ,교육훈력 지원( . 195→. 159), 홍보촉진 지원( . 264→. 218) , 지원( . 191→. 130) 등 5 가지 요인 모두 β값이 감소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프랜차이즈본부의 지원행동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갈등수준의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 : 프랜차이즈, 지원행동, 가등수준, 경영성과, 다중회귀 분석. Abstract The Effect of Franchisor's support Actions on the Performance of Franchisees - Mediating effect of level of conflict recognized by merchant – Wu, Erlei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ranchise franchise support behaviors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by mediating effects of the franchise conflict level. A total of 120 franchise stores were surveyed in Korea (Seoul, Gyeonggi) and China (Beijing, Wenzhou, Changchun, Hangzhou) franchises. 120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order to confirm the support behaviors of the franchise franchise headquarters, we conducted questionnaires on 20 factors in total, including information provision support, product provision support, education scholastic support, promotion promotion support, and compensation support.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onflict,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upportive behaviors of the franchise affiliation headquarters (information provision, product provision support, education support, promotion promotion support compensation support), and conflict performance of the franchisee,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The reliability analysis of each field was completed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ach factor were ver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Based on this, th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parameters and dependent variables was analyzed. In addition, how franchise franchise support behaviors affect conflicts among franchisees, how conflicts among franchisees affect business performance, and how franchise conflicts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franchise headquarters support behaviors and headquarters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ach factor were found to be excellent in all 8 factors,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a prerequisite for all analyzes. It can be seen. The support behaviors of the franchise franchise headquarters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effect on the conflict between the franchisees. Conflicts between franchise headquarters and franchisees have a negative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conflict level on the support behaviors of the franchise headquarters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it is found that the degree of impact on the support behavior performance of the franchise headquarters is higher than the second stage (.198 → .165) (Β1 = β1 = β1, β1 = β2), and β1 = β2 (β1, β2, β1, I was able to. Therefore, it is found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the level of confli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behaviors of the franchise headquarters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KeyWord: franchise, support behavior, equity level, business performa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서비스 본질 특성의 경영혁신 영향 연구 : 중소제조기업을 중심으로

        이정선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서비스경영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한국 중소제조기업의 서비스본질의 특성이 경영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연구하게 되었다. 서비스 경제에 부합하는 바람직한 철학은 서비스 본질에 부합하고 서비스경제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김현수, 2017b). 이에, 서비스본질의 특성을 관계성, 조화성, 수평성, 상호작용성, 경험가치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동태적 역량, 네트워크 역량, 신 경영 및 공동가치창출이 경영혁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어떤 서비스본질 특성의 메커니즘에 기인한 것인지를 검증할 목적으로 연구가 설계되었다. 기존의 서비스 연구는 산업경제의 발전을 이끌었던 유형 재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무형적 가치의 산물인 서비스는 간과 되었고, 이로 인해 서비스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다소 편향적이었다. 서비스경제사회가 도래함에 소비와 생산 환경이 크게 변하였지만 한국은 이에 맞는 새로운 지형변화에서 본질을 놓쳤고, 중소제조업의 경쟁력은 한계에 이르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특성을 본질적이고 철학적으로 접근하여 서비스의 특성을 재조명하여, 이에 대한 필요역량을 찾아내고 강화시켜 새로운 경쟁원천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제성장으로 이어지는 경영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분석하여 중소제조기업의 경쟁력을 제고 하는데 활용하려는 목적이 있다. 이에, 우선 문헌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서비스 연구를 검토하고, 이에 근거하여 연구모델과 가설을 수립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100명~500명의 상시근무자 수의 규모를 갖는 국내 중소기업 71개를 편의적 샘플링 하여 각 기업체에서 4명의 근로종사자에게 2017년 8월~9월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한 코딩에서 부실응답으로 판단되는 데이터들을 제외시킨 후, 총 63개의 기업을 분석대상으로 231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토대로 분석 하였다. 가설을 검증하는 단계에서는 경영혁신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외생변수인 제조기업의 산업 군, 조직원 수, 응답자의 성별, 근속연수, 근무지역 등을 통제 변수로 활용하였다. 검증결과, 관계성, 조화성, 수평성, 경험 가치는 신 경영에 영향을 주고, 신 경영은 경영혁신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았으나, 가치공동창출을 통해 경영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서비스본질의 특성으로 관계성, 상호작용성, 경험 가치는 동태적 역량에 영향을 주었고, 5가지 본질의 특성은 모두 네트워크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가치공동창출에 영향을 주어 경영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시사점 및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우선 이론적 시사점은 첫째, 본 연구결과를 통해 서비스 본질의 특성을 도출하고 영향관계를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서비스본질의 특성이 경영혁신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둘째, 서비스경제시대에 적합한 역량중심과 가치공동창출 관점에서 경영혁신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고 영향관계를 검증하였고, 이를 통해 핵심역량인 동태적 역량과 네트워크 역량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역량은 경제의 불확실성과 수요변동성 심화로 인해 환경변화 대응력의 중요성에 기인한 것이며, 서비스경제에서 창조와 융합의 활성화로 기업 간의 네트워크 구조로 인한 네트워크 역량을 도출하게 된 것으로 경영혁신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셋째, 신 경영에 대한 변수를 본 연구를 통해 정의하고, 신 경영은 경영혁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가설은 기각되었지만, 관계성, 상호작용성, 수평성, 경험 가치는 신 경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서 이러한 특성이 서비스경제시대에 중요함이 입중 되었다. 네 번째, 서비스본질의 특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척도를 최초로 개발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중소제조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서비스본질의 특성이 조직체계에 반영되도록 단계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서비스경제시대에 맞는 서비스본질의 철학과 특성을 종사자들에게 교육하여 새로운 지형변화에 대응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신 경영은 서비스경영을 의미하는 새로운 개념으로 중소제조기업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응용, 활용, 증진 시킬 수 있도록 체계적 연구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서비스본질의 특성 중 관계성과 상호작용성, 경험가치가 동태적 역량과 네트워크 역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통해 4차 산업 혁명시대에 직면한 우리나라가 제조기업이 경쟁력을 갖고, 산업의 공진적 발전을 위한 확대방안을 함께 모색해 나가기 위한 산업생태계내의 구조변화가 필요하다. 다음과 같이 향후의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샘플링 하여 연구하였기에 기업 규모가 국한되어 있어 본 연구를 보편화시키기에 한계가 있다. 대기업 및 중견기업 또는 해외기업 등에도 이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확인하여 깊이 있는 성찰이 필요하다. 두 번째, 신 경영에 대한 선행연구가 많지 않았기에 서비스기업이나 대기업을 대상으로 확대 연구하여 상관관계를 좀 더 명확하게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설문 조사 대상자의 연령대와 근속년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 기업의 샘플수를 좀 더 광범위하게 확장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경영혁신의 지표를 비재무적 관점으로 국한시켰다는 한계가 있다. 중소제조기업의 혁신 현상을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정확하고 구체적인 요인을 고려한 상황접근을 통해 분석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pirically the effect the service nature characteristics of Korean, small and medium size manufacturing firms, on management innovation. A desirable philosophy in accordance with the service economy should be able to reflect the service nature characteristics(Kim, Hyunsoo, 2017b). For this reason,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nature are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harmony, equality, interactivity, and experiential valu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how dynamic capacity, network capacity, new management, and co-creation values are influenced by management innovation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mechanism of service nature. Existing service research was centered on tangible goods which led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economy. Unfortunately, the services which are the product of intangible value were overlooked, additionally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services were somewhat biased. Although the consumption and production environment changed drastically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economy society, Korea misses its essence in the new changes. The competitiveness of the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firms has reached its limi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secure a new source of competition by identifying and strengthening the necessary capabilities of services. This approach was accomplished by re-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s in a fundamental and philosophical way. The aimed is to utilize this approach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firms by verifying and analyzing the impact on business innovation leading to economic growth.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existing service research was analyzed, and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is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71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with 100 to 500 regular employees were sampled conveniently. Surveys were condu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17 with 4 employees per each companies. After eliminating the data that were judged to be an anomaly in the coding for data analysis, a total of 63 companies were analyzed based on 231 valid questionnaires. During the verifying stage of the hypothesis, the external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industrial groups, number of employees, gender of the respondents, years of service, and working area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verification, the relationship, harmony, equality, and experiential value influenced the new management describe in this study. In addition, it was proved that the co-creation value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management innovation. Likewise, the study revealed the only following service nature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interactivity, and experiential value, influenced dynamic competency. It also proved that all five service nature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harmony, equality, interactivity, and experiential value, influenced network competency. Similarly, the co-creation value also had positive effect on the subordination variable identify management innov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nature i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demonstrate that the nature of the servic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anagement innovation variable. Second, the study verified in this service economy era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the capacity center and co-creation value. From the positive correlation, the management innovation model was developed and the importance of dynamic and network capacity where identify as core elements of the study. These competencies provide of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 leading to the network capacity network structure among companies. Third, this study defines the variables for new management and influence of relationship, interactivity, eaulity, and experiential value. Fourth,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used to demonstrate empir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nature.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 size manufacturing firms,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nature and reflected i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ope with changes by educating employee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n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rvice economy era. Also, the concept of new management is a contemporary term used to describe service management. This terminology is necessary to continue a systematic research to be applied and to promote effectiveness in the field of small and medium size manufacturing firms. Since we are confronted with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industrial ecosystem and explore the expansion plans to include resonance developmen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since the sample size is small and the size of the firm is limited, it is not feasible to universalize the study. It is needed to confirm that large corporations, midsize companies, and overseas companies can achieve the same results. Second, the research on new management is limited and future studies are recommended to continue the correlation with service companies and large corpora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ge and the number of years of service for the survey participants. Fourth, there is also a need to expand the sample size of companies. Finally,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analyze through the situation approach and consider the precise and concrete factors that can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innovation phenomenon of small and midsize manufacturing firms.

      • 중소기업의 중국시장 진출 결정요인 연구 : 간접투자 형태와 직접투자 형태에 관한 비교 연구

        김정환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우리기업들의 중국 진출의 역사가 그리 오래 된 것은 아니지만 중국시장으로의 진출은 가속화 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 진출에서 성공하는 기업은 별로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게다가 중국시장 진출에 관한 참고할 만한 실증연구도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인은 중국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이나 중국 정책을 입안하는 정부기관에서 이에 대한 연구 자료가 적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중국시장 진출형태 결정에 대한 요인을 분석하여 진출 희망 기업에게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정부에게는 대 중국 경제정책수립의 기초 자료 하나를 제공한다는 심정으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대개 기업이 해외에 진출한다는 것은 이질적인 환경하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업 특유의 문화가 있다고 해도 진출국가의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기업이 해외 진출 전략을 결정할 때는 항상 현지국가의 시장환경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분석이 뒤따라야 하며 확실한 진출 동기와 진출 사업의 성격, 진출 형태 및 해외 진출경험들을 사전 검토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분석과 함께 합리적인 진출전략을 결정해야 한다. 그 동안 대기업의 해외진출 전략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으나 대부분 선진국 중심의 이론전개에 국한 되어 왔으며, 더욱이 한국 중소기업의 개도국 진출(특히 중국시장 진출)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논문에서는 한국의 중소기업들이 대 중국진출을 시도할 경우 간접투자 또는 직접투자 등 여러 진출전략 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진출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에 진출한 중소기업의 내부요인으로 경영관리능력, 재무능력, 해외 진출에 대한 최고경영자의 경영관, 기업규모, 기술력, 제품의 표준화 등에 대하여 실증 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고, 기업외부요인으로는 중국시장의 외부 경쟁의 정도, 시장규모, 생산요소, 사회간접자본시설, 제도적 유인, 정치적 위험의 정도 등을 분석하였다. 중국의 진출형태 결정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판별분석을 통하여 간접투자와 직접투자 등의 진출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기업내부요인과 기업외부요인을 살펴보았고,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인들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시장의 진출형태결정 영향요인에 대한 진출형태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정분석을 통한 판별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에 진출한 중소기업의 내부요인에서 경영관리능력, 재무능력은 보통수준 정도이며, 해외 진출에 대한 최고경영자의 경영관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기업규모, 기술력은 보통 이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제품의 표준화에 대해서도 보통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기업외부요인으로 중국시장의 환경은 대부분 양호한 환경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는데, 경쟁은 심하지 않고, 시장규모는 크지 않다. 그리고 생산요소, 사회간접자본시설, 제도적 유인은 양호하지 않고 정치적 위험은 보통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진출형태 결정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판별분석과 t-검정분석에서 간접투자와 직접투자의 진출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기업내부요인은 기업규모, 경영관리능력, 재무능력, 기술력, 최고경영자의 경영관 등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외부요인은 생산요소, 정치적 위험, 제도적 유인 등으로 나타났다.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인은 기업내부요인에서 제품특성이, 기업외부요인에서는 경쟁구조, 시장규모, 사회간접자본시설 등으로 나타났다. 판별분석과 t-검정에서 나타난 이러한 결과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시장에 직접투자나 간접투자형태로 진출한 국내 중소기업들이 기업외부요인보다 기업내부요인에 의해 진출형태를 결정하는 경향이 강한데 이는 중국 시장환경의 불확실성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기업내부요인 중 제품특성이 중국시장의 진출형태 결정에 영향요인으로 나타나지 않고 직접투자나 간접투자진출방식의 선택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은 아직까지 중국시장 여건이 제대로 성숙되어 있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셋째, 기업외부요인 중에서 경쟁구조가 중국시장의 진출형태 결정에 주요 영향변수로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것은 중국 시장 내에 진출한 기업이 아직까지는 포화상태에 도달하지 않아 비교적 경쟁이 심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넷째, 기업외부요인 중 시장규모가 중국시장의 진출형태 결정에 주요 영향변수로 나타난 것은 현재 중국의 내수시장이 활성화되어 있고 향후시장의 잠재성장력도 크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다섯째, 사회간접자본시설이 중국시장의 진출형태 결정에 영향변수로 작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현재 중국의 사회간접자본시설이 부분적으로 낙후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여섯째, 기업외부요인 중 제도적 유인이 중국시장의 진출형태 결정에 가장 유의수준이 높은 영향변수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향후 중국과 한국간의 교역에 있어 이중과세방지, 투자보장협정 등 제도적 환경 개선과 조세감면, 금융지원 등 중국진출사업에 대한 인센티브가 적극 제공되면 국내기업들의 중국시장진출, 특히 직접투자진출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에 따라 중국시장에 대한 효율적 진출 방안들을 기업과 정부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업측면에서는 첫째,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중국진출형태를 결정해야 한다. 향후 중국시장의 완전개방에 따른 시장거점 확보와 러시아 등 대륙진출을 감안한 장기적인 차원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둘째, 진출업종에 따라 진출형태를 다양하게 결정해야 한다. 충분하고 치밀한 연구가 사전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직접투자형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전력, 용수, 항만 등 중국의 낙후된 인프라를 확충할 수 있는 분야에 우선 진출해야 한다. 장래성과 영속성을 위해서도 타당하며 현재 중국당국이 희망하고 있는 분야이므로 적극적인 추진이 요구된다. 정부측면에서는 첫째, 기업의 중국시장 진출형태 결정에 최대한의 자율성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 둘째, 중국과 관련된 정보와 자료를 기업들에게 보다 더 확대 제공하여 기업들이 중국시장 진출형태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정치적 위험에 대비한 진출사업의 안전장치 마련과 정부차원의 사업지원책을 확대하고 이를 제도화해야 한다. 본 연구는 중국관련 정보자료의 제한 등 현실적인 여러 가지 제약요인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른 향후 연구과제가 요구된다. 현재 중국투자진출 중소기업이 소수에 지나지 않으므로 중국진출형태를 결정하기에 충분한 통계적·객관적 연구결과가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의 중국투자 중소기업이 더욱 증가할 것에 대비해 보다 명확한 실증연구가 필요하겠다. 또한 조사대상 중소기업들의 중국시장 진출기간이 짧은 관계로 진출성과에 대한 실증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앞으로 한국 중소기업의 중국진출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시점에서 이에 대한 보다 폭넓은 실증연구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실적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한국 중소기업의 중국시장진출에 관한 실증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한국 중소기업의 중국시장 진출형태 결정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정부의 중소기업 육성과 지원방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부족하나마 노력을 하였다.

      • 중국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한국 화장품의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양소교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마케팅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초록 중국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한국 화장품의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양 소 교 국민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마케팅전공 중국은 개혁개방 정책을 시작해 이후 경제성장과 국제화가 급속히 발전에 따라 중국인들의 가치관, 개성 등 예전보다 큰 차이가 나타나 특히 미의 대한 욕구가 더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화장품에 대한 추구에서 많은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여러 나라 화장품 중에 한국 화장품은 한류의 영향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화장품을 구매 후 사용경험이 있는 중국 여성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따라 한국 화장품의 지각된 가치, 구매의도,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여성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한국 화장품에 대하여 제품의 가격수준(고가/저가)과 유형(기초/색조)을 구분하여 살펴보기로 하였다. 첫째, 라이프 스타일 요인은 패션외모, 충동구매, 브랜드 지향, 가격 민감성, 합리적 소비로 분류되었다. 라이프 스타일이 한국 화장품에 대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분류된 라이프 스타일 모두 요인은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의도, 만족도에 브랜드 지향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이프 스타일이 브랜드지향형 집단, 가격민감형 집단, 합리적소비형 집단, 충동구매형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고가기초화장품에서는 합리적소비형 집단이 제품에 대한 지각된 가치, 구매의도, 만족도에 높은 값을 나타났고 브랜드지향형 집단과 가격민감형 집단에서만 지각된 가치에 대하여 집단 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고가색조화장품에서는 충동구매형 집단이 지각된 가치, 구매의도, 만족도에 대하여 높은 값을 확인하였다. 저가기초화장품과 저가색조화장품에서는 합리적소비형 집단이 제품에 대한 지각된 가치, 구매의도, 만족도에 대하여 높은 값을 나타났고 저가기초화장품에서는 브랜드지향형 집단과 가격민감형 집단에서만 지각된 가치에 대하여 집단 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Key Word: 라이프 스타일, 지각된 가치, 구매의도, 만족도, 가격 수준, 제품 유형 영문초록(Abstract) Effects of Chinese Consumer Lifestyles on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Korean Cosmetic Products in the Chinese Market ShaoJiao, Yang Graduate School of Kookmin University Major in Marketing,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After enforcing the reformative/open policies, China has gone through the rapid economic growth and internationalization. Especially, as Chinese people's desire for beauty has been largely increased by huge changes in values and individuality, the pursuit of cosmetics could be much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ir lifestyle. Out of many cosmetics brands in Chinese cosmetics market, Korean cosmetics are popular based on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ype of lifestyle on the perceived value, purchase intention, and satisfaction of Korean cosmetics, targeting Chinese female consumers with the experience in purchasing/using cosmetics, and also to divide the type(skincare/makeup) and price level(high/low) of Korean cosmetics products perceived by female consumers. First, the lifestyl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fashion appearance, impulsive purchase, brand orientation, price sensitivity, and rational consumpti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lifestyle on the Korean cosmetics, all the lifestyle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ived value. All the factors except for brand orient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and satisfaction. Second, in accordance with lifestyle, they were divided into the brand-oriented group, price-sensitive group, rational consumption group, and impulsive purchase group. Regarding the high-priced skincare cosmetics, the rational consumption group showed high values of perceived value, purchase intention, and satisfaction of products. Only brand-oriented group and price-sensitive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value. Regarding the high-priced makeup cosmetics, the impulsive purchase group showed high values of perceived value, purchase intention, and satisfaction. Regarding the low-priced skincare cosmetics and low-priced makeup cosmetics, the rational consumption group showed high values of perceived value, purchase intention, and satisfaction. Regarding the low-priced skincare cosmetics, the brand-oriented group and price-sensitive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value. Keywords: Lifestyle, Perceived Value, Purchase Intention, Satisfaction, Price Level, Product Type

      • 중국인 유학생의 여가활동참여와 대학생활 적응

        마설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스포츠산업학과 스포츠경영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와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를 밝혀냄으로써 중국인 유학생들이 대학생활에 빠르게 적응을 제고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2017년 현재, 서울 및 경기도 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총 228명의 연구대상을 표집하여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잘못 기입하였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실제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 수는 200개였다. 수집된 자료는 유효표본만 부호화 하였으며 부호화된 자료를 컴퓨터에 개별 입력 시킨 후 통계 프로그램인 한글 SPSS Windows 23.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교차분석(crosstabs analysis),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AMOS 18.0 Version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중국인 유학생의 여가활동 참여에는 차이가 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에는 차이가 있다. 셋째, 중국인 유학생의 여가활동 참여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에는 차이가 있다. ※ 주요용어 : 중국인 유학생, 여가활동 참여, 대학생활 적응 The purpose of the research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of leisure activitie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n differences in adaptation of their college life, and to pursue an effective method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to adapt themselves rapidly to their college life. To attain the purpose, the study selected as the population total 228 current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t universities or colleges in Seoul cities and Gyeonggi provinces as of 2017 to conduct a questionnaire survey of those students. Total 2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a substantial analysis except for those that were described wrongly or responded unfaithfully. Only the significant sample of the collected data was coded, and the coded data was entered separately in a computer to conduct a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rosstabs. t-test, One-way ANOVA, with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Window 23.0 Version. In additio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administered with AMOS 18.0 Version. The result of the study drew the conclusions as follow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the research methods and data processing methods. First, there might show differences in the participation of leisure activitie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Second, there might show differences in adaptation of college lif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Lastly, there might show differences in adaptation of college lif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leisure activities of those students. Key Words: Chinese Students in Korea, Participation in Leisure Life, Adaptation in College Life 本研究的目的是为了帮助在韩中国留学生更快的适应韩国大学生活,所以根据人口统计学的特性,求证在韩中国留学生休闲活动的参与对大学生活的适应是否产生差异,以此为根据对在韩中国留学生们大学生活能力的提高提出有效的理论依据。 为此,截止2017年,以就读于首尔及京畿道地区大学的中国留学生为对象,共发放了228份问卷,之后在回收的问卷调查中除去填写错误和信赖度低的问卷以外,最终实际用于分析的有效调查问卷共有200份。 将回收的有效调查问卷进行编码输入电脑,利用韩文SPSS Windows 23.0 Version统计软件进行了频率分析(frequency analysis)、可信度分析(reliability analysis)、交叉频次分析(crosstabs analysis)、T检验、单因素方差分析(One-way ANOVA),另外利用AMOS 18.0 Version进行了验证性因子分子分析,经过以上研究方法和资料处理方法得出了以下结论。 第一,根据人口统计学的特性,中国留学生休闲活动的参与度存在差异。 第二,根据人口统计学的特性,中国留学生大学生活的适应程度存在差异。 第三,中国留学生休闲活动的参与对大学生活的适应产生了差异。 ※关键词:中国留学生、休闲活动的参与、大学生活的适应

      • 기업지배구조가 현금보유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상인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재무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49631

        A Study on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on Cash Holdings by Lee, Sang I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e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on cash holdings in the aspect of agent theory and information asymmetry. The empirical test particularly aims to raise discourse for a constructive improvement of corporate governance. In order to evaluate the level of corporate governance, this study uses ownership-control disparity and institutional investors’ shares as proxy variables. The sample is selected from the data of manufacturing companies listed in the Korea Stock Exchange from 2002 to 2016. The determinants for cash holdings are verified by using statistic analyzing tools including t-test, ANOVA, and regression. The regression model in this study is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of Opler et al.(1999), Jae Sik Gong(2006), Sung Pyo Kim(2007), and Sun Heung Park et al.(2009),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the data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negative relation between ownership-control disparity and cash holdings. That is, the stronger the ownership-control disparity is, the less the cash holdings are, and vice versa. It means that the companies with good corporate governance hold more cash holdings than those with bad corporate governance. Secondly, the data indicates that there i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relation between ownership-control disparity and cash holdings depending on whether a company is owned by an individual or by a corporation. Companies owned by an individual reveals a negative relation between the two aforementioned variables while those owned by corporations, as holding companies, reflect a positive relation, though with a weak significance. Similarly, a negative relation was also found for the companies whose ownership control has shifted from an individual to a corporation during the examined period of 2002-2016. On a different not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cash holdings between groups with larger mother companies- so called “chaebol”- and the smaller, independent companies; the former was assessed as to hold less cash holdings than the latter. Such results of the various ownership types purport the fact that corporate governance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level of cash holdings. Thirdly, the empirical test indicated a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cash holdings and institutional investors’ share. Thus, the institutional investors’ share affects the level of the cash holdings. Moreover, when institutional investors were examined categorically by foreign and domestic investors, each had a positive relation to the cash holdings, not to mention a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investors themselves. In fact,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n even more significant relation for foreign and domestic institutional investors. Consequently, such findings imply a need for institutional investors in capital market to implement a more stringent monitoring of the agent and corporate management in the process of management decision making. Fourthly, the analysis shows a lack of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ownership-control disparity and foreigners’ share that is multiplied together and the cash holdings. To elaborate, although the disparity and foreigners’ share are explorable variables for the cash holdings respectively, the interaction variable from the disparity and foreign investor does not significantly impact the cash holding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panel data in terms of the relations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cash holdings by incorporating the ownership-control disparity and foreigners’ share as proxy variables. It magnifies the risk of an ownership holder with minor equity having a strong ownership hold over a corporation. In order to prevent such a ownership holder with minor equity from privately taking advantage of corporate assets, institutional investors should consider a more strict monitoring policy over the controlling force of a company management decision making. Therefore,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ng the relation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cash holdings, ultimately suggesting a direction to effectively improve the corporate governance in the aspect of investors. 기업지배구조가 현금보유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가 기업의 현금보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대리인이론과 정보비대칭성 관점에서 실증 분석하고 연구하여, 기업의 현금보유량 수준과 기업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업지배구조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소유지배 괴리도와 전문투자자의 지분율을 대용변수로 활용하였고 2002년부터 2016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제조업에 소속된 기업을 대상으로 현금보유량 변인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모형인 Opler et al.(1999), 공재식(2006), 김성표(2007), 박순흥 외(2009)의 현금보유결정모형을 참고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유지배 괴리도와 현금보유량을 실증 분석한 결과, 소유지배 괴리도는 기업의 현금보유량과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업의 지배구조에서 소유지배 괴리도가 높으면 현금보유량은 낮고 소유지배 괴리도가 낮으면 현금보유량은 높게 나타났다. 좋은 지배구조를 갖고 있는 기업들이 현금보유량을 많이 가져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지배구조 유형에 따라 현금보유량을 실증 분석한 결과, 개인지배 기업군에서는 소유지배 괴리도가 현금보유량에 부(-)의 관계로 나타났다. 반면에 법인지배 기업군에서는 정(+)의 관계를 보였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연구기간 중에 지배주주가 변경된 기업군에서는 대조군인 지배주주 불변기업군과 달리 소유지배 괴리도와 현금보유량은 부(-)의 관계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대규모 기업집단과 비 대규모기업집단인 독립기업군 간에는 현금보유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대규모 기업집단이 독립기업군보다 현금보유량을 낮게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지배구조 유형이 현금보유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된다. 셋째, 전문투자자 지분율과 기업의 현금보유량을 실증 분석한 결과, 외국인 투자자와 국내 기관투자자 모두 현금보유량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즉 전문투자자 지분율이 높은 경우 현금보유량도 높게 나타났다. 전문투자자를 외국인투자자와 국내 기관투자자로 분류할 경우 외국인투자자 지분율이 국내 기관투자자 지분율보다 현금보유량과 상관분석에서 유의성이 높았다. 외국인투자자 지분율과 국내 기관투자자 지분율 간에 상관관계는 유의하게 정(+)의 관계를 보였다. 넷째, 기업의 소유지배 괴리도와 외국인 지분율 간에 상호작용 결과로 현금보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소유지배 괴리도와 외국인 지분율은 기업경영 전반에 걸쳐 주요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지만 현금보유량과 소유지배 괴리도* 외국인 지분율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소유지배 괴리도와 외국인투자자 지분율을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대용변수로 선택하여 기업지배구조와 현금보유량을 실증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지배구조가 현금보유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된다. 이는 대리인이론과 정보의 비대칭이론 관점에서 소수 지배주주가 다수의 소액주주와 채권자를 이익을 침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국내 기관투자자를 포함한 전문투자자들은 소유경영권자나 경영지배자들의 사익 추구 행위에 대해 보다 엄격하고 적극적인 감시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자본시장의 투자자 측면에서 현금보유량에 대한 소유지배구조의 영향과 전문투자자의 정보 및 감시효과 메커니즘(Mechanism)을 분석하고 나아가 기업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방향성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The)Impact of Logistics Performance On International Trade Competitiveness : Case of Vietnam

        토넉원띠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글로벌경영혁신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오늘날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 한 국가의 경쟁력은 국제 무역 촉진과 크게 관련이 되며 그 중 물류는 국제 무역에 있어서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무역 실무자의 관점에서는 국가 기반의 물류 성과뿐만 아니라 물류와 국제 무역 간 가능한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 베트남의 물류 관련 기업들도 이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고 있지만 물류 성과를 성공적으로 관리하고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많은 제약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는 이전의 관련된 연구들과는 달리 물류 성과가 국제 무역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베트남 현지 물류산업 내 무역 실무자들의 설문을 통해 국제 무역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베트남을 중심으로 무역 실무자의 관점에서 물류 성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베트남 항구와 터미널의 현황, 공항의 현황, 육상 연결성, 물류 서비스 제공 업체, 세관 및 인력 등 여섯 가지 성과를 물류 성과에 포함하였고 이를 연구가설로 발전시켰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항구와 터미널의 현황, 공항의 현황 및 인력이 국제 무역 경쟁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 결과는 베트남의 두 지역 간 물류 성과의 부적합성을 강조했으며, 현지 시설의 입지를 선정하는 데 있어서 투자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베트남 물류 상황을 중심으로 하여 물류 성과가 국제 무역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잠재적으로 물류의 중심역할을 할 베트남뿐만 아니라 다른 개발 도상국에게 체계적인 물류 성과 관리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과 실질적인 정책의 마련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키워드: 물류 성과, 무역 물류, 국제 무역, 베트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