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프트웨어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 국립군산대학교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사업을 중심으로

        김정연 국립군산대학교 2025 국내석사

        RANK : 249679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IoT) 등 첨단 기술의 융합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산업과 교육의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소프트웨어 분야에서의 기 술혁신과인재양성을 중심으로빠르게 확산되고있다. 이에 따라 영국, 중국 등 주요 선진국들은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강화와 정 책적 지원을 통해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를 양성하고 있으며, 한국 또한 소프트웨어 영재 교육,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사업과같은 다양한정책적노 력을기울이고있다. 본 연구는 2023년부터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국립군산대학교의 교과 외 소프트웨어 비교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실 질적인 역량 강화와산업수요와의 연계 효과성을분석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국립군산대학교 소프트웨어 관련 학부 재학생 및 졸업생(특히 산업계 종사자 포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참여 여부, 만족도, 역량 강화 인식, 산업계 요구와의 적합성 등 다양한 항목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를 활용해 분석되었으며, 분석 결과는 몇 가지중요한시사점을도출하였다. 첫째, 학생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직무 역량을 효과적으로 개발 하기 위해서는 기존 교과 과정 외에도 소프트웨어 비교과 프로그램의 질적 강화를 통한 적극적참여유도가필요함을확인하였다. 둘째, 산업계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실질적 현장 경험과 직무 중심의 훈련 을제공할수있는프로그램 설계가요구되었다. 셋째,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여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학문적 교육과산업계수요간의간극을해소할필요성이 부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군산대학교의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사업을 기반으로 교 과 외프로그램의효과성과 개선 방향을 논의하며, 나아가 4차산업혁명 시 대를선도할 수있는혁신적 인재 양성을위한전략적방향성을제안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전환 시대에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통찰을 제 공하고, 소프트웨어 비교과 프로그램의 지속적발전을 위한기초자료로활 용될수있을것으로 기대된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reshaping global industries and educational paradigms through the convergence of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rtificial Intelligence(AI), Big Data,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This transformation i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field of software (SW), where innovation and talent cultivation are becoming pivotal. In response, leading nations, including the UK and China, have intensified efforts to enhance software education programs and foster creative, innovative talent. South Korea has similarly implemented diverse initiatives, such as the Software Talent Education Program and the National Program of Excellence In Software,to develop a competitive workforce. This study focuses on the extracurricular software education programs at Kunsan National University(KSNU), a participant in the National Program of Excellence In Software since 2023. The research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grams in enhancing student’s competencies and their alignment with industry need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s well as alumni currently working in the industry, to assess program participation, satisfaction levels, perceived competency development, and relevance to industry demand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yielding several critical finding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ctive engagement in high-quality extracurricular programs is essential for developing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econd,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strengthen industry collaboration and design programs that offer practical field experience and job-specific training. Third, it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tailored programs that address diverse student needs, thereby bridging the gap between academiceducation andindustryexpectations. This research discusses the effectiveness of KSNU’s National Program of Excellence In Software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offers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It proposes strategic directions to nurture innovative talent capable of leading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Revolution.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future of education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and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continued advancement of software education.

      • 군산시 브랜드 정체성을 표현한 문화상품디자인 연구

        윤이나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Modern-day cities, a compound word of global and local, began to encounter and communicate with various regional design cultures, expressing the culture and identity of global c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brands and images. Due to intensifying competition among global urban brands, Korea began to recognize that the importance of urban brand identity is competitive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in 1995. Urban branding using Brand Identity designs that utilize characteristics makes the city's image recognized positively, and it leads to local culture and tourism, playing an important role as a result of economic benefits.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the capital of Korea, Seoul, are constantly developing plans to confirm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urban branding and build an identity based on urban branding, and are developing various cultural product designs. Many cities around the world are making great efforts to seek development and establish the identity of a representative city by attempting design contests and citizen-participating city branding. Accordingly, Gunsan City announced a new slogan in 2019, 'Waterlight Hope', but it has not escaped the image of a stagnant city and has not shown positive results in terms of tourism. At this point, Gunsan City needs to establish an urban brand identity in order to establish an active cultural tourism city image in the future. Therefore, the researcher intends to discuss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Gunsan City as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Currently, local governments in Korea are working on regional-specific branding for urban development, but the reality is that in reality, it is only stopped at the production of simple symbols, characters, and slogans, and Gunsan City does not have cultural products using BI.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identity and improve the image of a cultural tourism city through the proposal of cultural product design using BI design to establish brand identity in Gunsan City. Chapter 1,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of BI design were deriv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data and other literature from previous studies were investigated. Chapter 2, summarizes the basic concepts of brand identity (BI) design and cultural product design. After analyzing brand identity design and urban brand design and cultural product design in Korea and overseas using it, the evaluation factors of brand identity required for the survey were derived. Chapter 3, a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irection and preference of design proposals for BI design development. Chapter 4, the existing brand identity of Gunsan City and the current status, history, culture,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unsan City were investigated to be referred to in the design. Based on the survey, a specialized image and identity direction of Gunsan City were proposed based on the responses of the survey participants. In addition, cultural products were produced using BI reflecting this. Chapter 5 describes the differences and expected effects of cultural product design proposals that express the brand identity of Gunsan City. In this study, the design was carried out by focusing on the design that made use of the "city's features" reflecting the survey results, the geographical elements that encountered the "sea," the identity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unsan City, and the "port city." We hope that the design proposal will deliver Gunsan City's symbols, values, and identity to citizens and take pride in it. Based on the survey, we hope that the image of the city can be improved by being reflected in the future brand identity design of Gunsan City, and we hope that Gunsan City will develop into a glocal city through the construction of urban branding. 글로벌(Global)과 로컬(Local)의 합성어인 글로컬(Glocal)한 현시대의 도시들은 다양한 지역 디자인 문화를 접하고 소통하여, 세계적인 도시의 문화 및 정체성을 디자인 브랜드와 이미지의 관점으로 표현하기 시작했다. 현재 세계적인 도시브랜드 경쟁 심화로 인해 한국은 1995년 지방자치제 도입 이후 도시브랜드 정체성의 중요도가 경쟁력이라는 인식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특색을 살린 브랜드 정체성(Brand Identity) 디자인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은 도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하고, 곧 지역 문화와 관광으로 연결되어 경제적 이익의 결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계 여러 국가들과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시는 도시 브랜딩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확인하고 도시 브랜딩을 바탕으로 정체성을 구축하고자 끊임없이 계획을 수립하며, 다양한 문화상품디자인을 개발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많은 도시들은 디자인 공모전과 시민 참여형 도시 브랜딩을 시도하며 발전을 모색하고 대표적인 도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군산시는 2019년 새로운 슬로건인 ‘물빛희망’을 발표하였지만, 침체된 도시의 이미지를 탈피하지 못하였고, 관광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시점에서 군산시는 향후 활발한 문화 관광 도시 이미지를 확립하기 위하여 도시브랜드 정체성 확립의 필요성이 있다. 이에 연구자는 본 연구의 배경으로 군산시의 정체성 강화의 필요성을 논하고자 한다. 현재 대한민국 지자체에서 도시 발전을 위한 지역 특화 브랜딩 작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단순한 심벌마크(Symbol), 캐릭터(Character), 슬로건(Slogan) 등의 제작에만 멈춰있는 것이 현실이며, 군산시는 BI를 활용한 문화상품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군산시 브랜드 정체성 확립을 위한 BI 디자인을 활용한 문화상품디자인 제안을 통하여 정체성 확립과 문화 관광도시 이미지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BI 디자인 방향성에 대해 도출하고 선행연구의 자료와 기타 문헌들을 조사하였다. 제2장, 브랜드 정체성(BI) 디자인과 문화상품디자인의 기본적 개념을 정리하였다. 브랜드 정체성 디자인과 이를 활용한 국내와 해외의 도시브랜드디자인과 문화상품디자인을 분석한 후, 설문조사에 필요한 브랜드 정체성의 평가요인을 도출하였다. 제3장, BI 디자인 개발을 위한 디자인 제안의 방향성과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제4장, 기존 군산시 브랜드 정체성 및 군산시의 현황과 역사와 문화, 지리적 특성을 디자인에 참고하고자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설문 참여자들의 응답을 기준으로 군산시의 특화된 이미지와 정체성 방향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를 반영한 BI를 활용하여 문화상품들을 제작하였다. 제5장, 군산시 브랜드 정체성을 표현한 문화상품디자인 제안의 차별점과 기대효과를 서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한 ‘도시의 특장점’을 살린 디자인과 군산시의 정체성이자 지리적 특성인 ‘바다’를 접한 지리적 요소와 ‘항구도시’라는 점을 중점으로 두어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디자인 제안으로 군산시의 상징과 가치, 아이덴티티(Identity)가 시민들에게 전달이 되어서 긍지를 가지기를 기대한다. 설문조사를 토대로 향후 진행될 군산시 브랜드 정체성 디자인에 반영이 되어 도시의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도시 브랜딩 구축을 통하여 군산시가 글로컬 도시로 발전하기를 기대해 본다.

      • 항만도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CAPSS) 특성에 관한 연구

        박상훈 국립군산대학교 2025 국내박사

        RANK : 249647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asons for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CAPSS emissions between Version 5(2015 ~ 2019) and Version 6(2016 ~ 2019). To do so,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CAPSS emissions in the port cities of Gunsan, Yeosu, and Suyeong-gu, Busan, and the inland cities of Iksan and Jeonju. First, Gunsan compared and analyzed commercial, residential, and industrial complex areas(air pollu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major pollution sources by considering the concent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major air pollutants using measurement network data and meteorological data by urban atmosphere region, and performed back trajectory analysis using the back trajectory model HYSPLIT-4 to analyze the cluster characteristics. Second, we analyzed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CO, NOX, SOX, PM10, VOCS, and NH3 emissions by year using Existing-CAPSS existing emission data(Version 5) for 5 years (2015 ~ 2019) and Recalculated-CAPSS recalculated emission data(Version 6) for 4 years(2016 ~ 2019),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emission characteristics in neighboring regions(Iksan, Jeonju). Third, Yeosu used the improved CAPSS emission data(Version 6) from 2016 to 2021 to calculate and analyze local emissions by substance(CO, NOX, SOX, PM10, VOCS, NH3) by source characteristics. We also compared and analyzed the impact of emissions in Gunsan and Yeosu, which have industrial complexes, with emissions in Suyeong-gu, Busan, which does not have industrial complexes. Air pollutants in Gunsan(2017 ~ 2019) decreased with NO2(14.6 ← 11.7 ppb), SO2(4.5 ← 4.4 ppb), and PM10(45.3 ← 44.6 μg/m3), and increased with CO(470.9 → 477.8 ppb), O3(32.8 → 33.1 ppb), and PM2.5(25.7 → 26.0 μg/m3). And the monthly changes in air pollutants in Gunsan were highest in January to February for SO2, CO, and NO2(5.1 ~ 5.7 ppb, 602.8 ~ 593.9 ppb, 16.0 ~ 14.1 ppb), O3 in May to June(39.9 ~ 38.8 ppb), PM10 in March to May(53.4 ~ 49.7 μg/m3), and PM2.5 in January to March(29.9 ~ 36.9 μg/m3). The average values ​​of all air pollutants were lower in July to August than in other months. PM10 and PM2.5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in March to May due to yellow du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easonal changes in air pollutants in Gunsan, SO2 and NO2 are fall> winter> spring> summer, CO is winter> fall> spring> summer, O3 is spring> summer> winter> fall, and PM10 and PM2.5 are spring> winter> fall> summer. In the local air quality characteristics of Gunsan and Iksan, SO2 and PM10 were higher in the industrial area of Gunsan(5.5 ppb, 46.7 μg/m3) and in the commercial area of Iksan 4.4 ppb, 52.0 μg/m3). In Gunsan, CO and PM2.5 were high in residential areas(461.7 ppb, 43.9 μg/m3), in Iksan, CO was high in industrial areas(544.3 ppb), and PM2.5 was high in commercial areas(34.0 μg/m3). O3 concentrations were high in industrial areas(Gunsan 34.5 ppb, Iksan 31.3 ppb), and NO2 was high in commercial areas(Gunsan 14.0 ppb, Iksan 17.1 ppb). The cluster analysis using the inverse trajectory model HYSPLIT-4 categorized Gunsan into four clusters in 2017, six in 2018, and five in 2019, and Iksan into five clusters in 2017, six in 2018, and four in 2019.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missions of Ex-CAPSS(Version 5) and Re-CAPSS(Version 6) in Gunsan, the emissions of Re-CAPSS by substance decreased by 39.76% for CO, 9.98% for PM10, 5.53% for VOCS, and 9.24% for NH3, and increased by 2.86% for Re-NOX and 1.97% for Re-SOX compared to the emissions of Ex-CAPSS by substa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Ex-CAPSS and Re-CAPSS emissions in Gunsan showed different differences i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Re-CO and Re-PM10.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x-CAPSS emissions and Re-CAPSS emissions of Gunsan, Iksan, and Jeonju, Gunsan was found to have higher Ex, Re-NOX, SOX, and VOCS emissions than Iksan and Jeonju, while Iksan had higher Ex, Re-NH3 emissions and Jeonju had higher Ex, Re-PM10 emissions. And Gunsan showed different differences in Ex·Re-CO, Iksan showed different differences in Ex·Re-PM10, NH3, and Jeonju showed different differences in Ex·Re-NH3. The reason for the high emissions of CO, NOX, SOX, VOCS, and NH3 in Yeosu is that the utilization rate of industrial and agricultural parks increased year by year during the study period. NOX and SOX showed a decreasing trend during the study period, while VOCS emissions increased. And the total emissions of CO, NH3, SOX, and VOCS were found to be high mainly in the production process, especially in the petrochemical, chemical, and chemical product manufacturing processes. This is because Yeosu has the second largest petrochemical production and petroleum consumption after Ulsan, and its industrial economic structure is thought to be influenced by the fact that the petroleum manufacturing industry is larger than the mining industr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mission source characterization for each of the six air pollutants in Yeosu, CO was emitted from non-road transportation sources and production processes, PM10 was emitted from non-road transportation sources and fugitive dust, and NH3 was emitted from production processes. NOX was emitted from non-road transportation pollution sources and combustion in energy production, SOX was emitted from production processes and combustion in energy production, and VOCS emission sources were investigated as production processes. When looking at the amount of air pollutant emissions in Yeosu, Gunsan, and Busan Suyeong-gu, Busan Suyeong-gu was found to be much lower than Yeosu and Gunsan. Since there is no industrial complex in Busan Suyeong-gu, the amount of emissions was found to be low, suggesting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dustrial complexes affects the amount of emissions. Whe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ratios of air pollutant emissions in Yeosu, Gunsan, and Suyeong-gu, Busan, Gunsan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VOCs emissions from the shipbuilding industry, while Yeosu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VOCs emissions from the petrochemical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industry.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investment in high-intensity VOCs control equipment is absolutely necessary to improve air quality in Gunsan and Yeosu. For air quality concentrations in Yeosu, CO, NO2, SO2, and PM10 showed a decreasing trend in contrast to Gunsan and Busan Suyeong-gu, which is likely influenced by the geography of the area.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CAPSS emissions between Version 5 and Version 6 are attributed to the emissions impact of whether or not ship leisure sources are included in the non-road transportation sources. 본 연구에서는 Version 5(2015 ~ 2019)와 Version 6(2016 ~ 2019)의 CAPSS 배출량 증감의 원인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서 항만도시인 군산시, 여수시 및 부산 수영구 그리고 내륙지역인 익산시와 전주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CAPSS) 특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첫째, 군산시는 도시대기 지역별 측정망 자료와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주요 대기오염물질의 농도와 특성을 고려하여 주요 오염원에 따른 상업, 주거, 공단지역(대기오염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역궤적 모델 HYSPLIT-4를 이용하여 역궤적 분석(Back trajectory)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군집 특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5년간(2015 ~ 2019) Existing-CAPSS 기존 배출량 자료(Version 5)와 4년간(2016 ~ 2019) Recalculated-CAPSS 재산정 배출량 자료(Version 6)를 이용하여 CO, NOX, SOX, PM10, VOCS, NH3의 연도별 배출량 차이와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인접한 지역(익산시, 전주시)의 배출량 특성 차이를 분석하였다. 셋째, 여수시는 2016년에서 2021년까지 개선된 CAPSS 배출량 자료(Version 6)를 이용하여 지역의 물질별(CO, NOX, SOX, PM10, VOCS, NH3) 배출량을 배출원 특성군 별로 계산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산업단지가 있는 군산시와 여수시 배출량과 산업단지가 없는 부산 수영구의 배출량의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군산시의 대기오염물질(2017 ~ 2019)은 NO2(14.6 ← 11.7 ppb), SO2 (4.5 ← 4.4 ppb), PM10(45.3 ← 44.6 μg/m3)로 감소하였으며, CO (470.9 → 477.8 ppb), O3(32.8 → 33.1 ppb), PM2.5(25.7 → 26.0 μg/m3)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군산시 대기오염물질의 월별 변화는 SO2, CO, NO2의 경우 1 ~ 2월(5.1 ~ 5.7 ppb, 602.8 ~ 593.9 ppb, 16.0 ~ 14.1 ppb), O3은 5 ~ 6월(39.9 ~ 38.8 ppb), PM10은 3 ~ 5월(53.4 ~ 49.7 μg/m3), PM2.5는 1 ~ 3월(29.9 ~ 36.9 μg/m3)이 가장 높았고, 7 ~ 8월은 모든 대기오염물질의 평균값이 다른 월별에 비해 낮았다. PM10과 PM2.5는 황사로 인해 3 ~ 5월에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군산시 대기오염물질의 계절별 변화를 분석한 결과, SO2와 NO2는 가을> 겨울> 봄> 여름, CO는 겨울> 가을> 봄> 여름, O3은 봄> 여름> 겨울> 가을, PM10과 PM2.5는 봄> 겨울> 가을> 여름으로 나타났다. 군산시와 익산시의 지역 대기질 특성에서 SO2와 PM10은 군산시 공단지역(5.5 ppb, 46.7 μg/m3), 익산시는 상업지역(4.4 ppb, 52.0 μg/m3)에서 높게 나타났다. 군산시의 CO와 PM2.5는 주거지역(461.7 ppb, 43.9 μg/m3), 익산시의 CO는 공단지역(544.3 ppb), PM2.5가 상업지역(34.0 μg/m3)에서 높게 나타났다. O3은 공단지역(군산시 34.5 ppb, 익산시 31.3 ppb)이 농도가 높고 NO2는 상업지역(군산시 14.0 ppb, 익산시 17.1 ppb)이 높게 나타났다. 역궤적 모델 HYSPLIT-4를 이용한 군집분석은 군산시가 2017년 4개, 2018년 6개, 2019년 5개, 익산시는 2017년 5개, 2018년 6개, 2019년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군산시의 Ex-CAPSS(Version 5) 배출량과 Re-CAPSS(Version 6) 배출량을 비교한 결과, Ex-CAPSS 물질별 배출량에 비해 Re-CAPSS 물질별 배출량은 CO는 39.76%, PM10은 9.98%, VOCS 5.53%, NH3는 9.24% 감소하였으며, Re-NOX는 2.86%, Re-SOX는 1.97% 증가하였다. 군산시의 Ex-CAPSS 배출량과 Re-CAPSS 배출량 특성 차이는 Re-CO·PM10의 배출량 특성에서 서로 다른 차이를 보였다. 군산, 익산, 전주의 Ex-CAPSS 배출량과 Re-CAPSS 배출량을 비교 조사한 결과, 군산은 Ex·Re-NOX, SOX, VOCS의 배출량이 익산과 전주에 비해 높게 조사되었고, 익산은 Ex·Re-NH3의 배출량, 전주는 Ex·Re-PM10의 배출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군산은 Ex·Re-CO, 익산은 Ex·Re-PM10, NH3, 전주는 Ex·Re-NH3는 서로 다른 차이를 보였다. 여수지역의 CO, NOX, SOX, VOCS, NH3의 배출량이 높은 이유가 조사기간 동안 산업 및 농공단지 가동률이 연도별로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NOX와 SOX는 조사기간 동안 감소추세를 보였고, VOCS는 배출량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CO, NH3, SOX, VOCS 총배출량은 주로 생산공정, 특히 석유화학이나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과정에서 높게 조사되었는데, 그 이유는 여수시가 울산 다음으로 석유화학 생산 비중과 석유류 소비량이 많으며, 산업 경제 구조는 광업보다 석유제조업 규모가 큰 영향으로 사료된다. 여수시의 6가지 대기오염물질별 배출원 특성조사 결과, CO는 비도로 이동오염원과 생산공정, PM10은 비도로 이동오염원과 비산먼지 부분에서 배출되었고, NH3는 생산공정으로 조사되었다. NOX는 비도로 이동오염원과 에너지산업 연소, SOX는 생산공정과 에너지산업 연소에서 배출되었고, VOCS 배출원은 생산공정으로 조사되었다. 여수시, 군산시, 부산 수영구의 대기오염물질별 배출량 크기를 보면, 부산 수영구가 여수시와 군산시에 비해 매우 낮게 조사되었는데, 부산 수영구에는 산업단지가 없어서 배출량이 낮게 조사되어 산업단지의 유무에 따라 배출량은 영향을 준다고 사료된다. 여수시, 군산시, 부산 수영구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특성과 비율을 살펴보면, 군산시는 선박 제조분야에서 VOCS 배출량이 가장 높게 조사된 반면, 여수시는 석유화학 제조 및 가공 분야에서 VOCS 배출량이 가장 높게 조사되어, 군산시와 여수시의 대기질 향상을 위해서는 강도 높은 VOCS 제어 장비 투자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여수시 대기질 농도의 경우 CO, NO2, SO2, PM10은 군산시와 부산 수영구와 다르게 농도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는데, 이는 지역의 지리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Version 5와 Version 6의 CAPSS 배출량 증감의 차이는 비도로이동오염원에서 선박레저 배출원이 포함된 여부에 따른 배출량 영향으로 사료된다.

      • 한국 연안에 서식하는 풀망둑과 문절망둑의 계통지리학적 분석 및 형태학적 특성

        신현상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Synechogobius hasta and Acanthogobius flavimanus are benthic fish that inhabit coastal waters and exhibit periods of floating and swimming. It is confirmed that it spreads through ocean currents during this floating larval period, and the floating period and spread distance are proportional. This spread affects patterns of genetic variation and the ability of populations to evolve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changes. Synechogogius hasta and Acanthogobius flavimanus, which inhabit the coast of Korea, were surveyed at 68 locations from July to November 2023 for molecular analysis and to asses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molecular analysis, the DNA sequences of the two target fish species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from three regions in China and four regions in Japan. The phylogenetic tree, haplotype network, and genetic diversity were analyzed using two markers (COⅠ and D-loop). For shape characteristics, the distribution was analyzed based on counting, measurement characteristics, and sediment composition. The count traits included the number of fins (dorsal, pectoral, pelvic, anal, and caudal), the number of scales (longitudinal and transverse rows, in front of the dorsal fin), and the fin stripes on fins (dorsal and caudal). The measurement traits included total length, body length, and body weight. Measured. Analysis was conducted at 11 sites using the Coastal Sea Material Distribution Map provided by the National Oceanographic Research Institute. A total of 129 individuals of Synechogobius hasta were collected from 17 locations (west coast: 11, south coast: 6). It is distributed from Ganghwa Island (GH) in Incheon to Byeolryang-myeon (BL) in Suncheon, Jeollanam-do. Among these, molecular analysis was performed at 4 branches in Korea (Ganghwa-gun, Incheon, Taean-gun, Chungnam, Amtae-do, Shinan-gun, Jeollanam-do, and Wando-gun, Jeollanam-do) and 3 branches in China (Roungchung Bay (RC), Qingdao (QD), and Zhoushan Island (ZS)). In the COⅠ and D-loop regions, the haplotype of Korea and China are divergent. In the COⅠ region, every haplotype except H1 is distributed. In the D-loop region, the haplotype in all regions of Korea and the QD region of China were similar, while the haplotype in the ZS region were found to be distinct from those in other regions. In terms of genetic diversity, WD has the most diverse nucleotides in Korea, while ZS has the most diverse nucleotides in China. Additionally, in Korea, nucleotide diversity was higher on the south coast than on the west coast, and diversity was higher in China than in Korea. After analyzing the shape characteristics, the count trait range was D. Ⅷ~Ⅹ-Ⅰ, 17~21; A. Ⅰ, 14~18; P1. 19~25; P2. Ⅰ, 5; C. 28~41; LR. 50~80; T.R. 19~30; Pred. S. was confirmed to be 25~40, and the measurement trait range was TL. 83.15 ㎜ ∼ 263.47 ㎜; SL. 68.89 ㎜ ∼ 218.42 ㎜; BW. 4.71 g~5.79 g. The number of stripes on the dorsal fin was found to be 4~6. By comparing the coastal sea material distribution map with survey points, it was mainly observed in mudflats. A total of 194 specimens of Acanthogobius flavimanus were collected from 21 locations (West coast: 3 specimens, South coast: 13 specimens, East coast: 5 specimens). It is distributed from Eocheong Island (EC) in Gunsan-si, Jeollabuk-do, to Munamjin-ri (MAJ) in Goseong-gun, Gangwon-do. Molecular analysis was conducted at 7 locations in Korea (Eocheong-do, Wando-gun, Yeosu-si, Namhae-gun, Geoje-si, Gijang-gun, Yeongdeok-gun, and Goseong-gun). Five regions in Japan (Shimonoseki (SHI), Kitakyushu (KIT), Fukuoka (FUK), and Seikai (SEI), Otaru (OTR)) and one region in China (Yangtzu river (YZ)) were analyzed. In the haplotype network, Eocheongdo (EC) and Goseong (MAJ) showed low genetic similarity to other regions in Korea and Japan. In the phylogenetic tree, the MAJ population is considered distant from other populations in Korea and Japan due to variations in genetic structure. Most marine organisms are known to migrate and spread via ocean current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driving gene flow through larvae between populations. The haplotype of MAJ's Acanthogobius flavimanus differs from those found in Korea and Japan. The MAJ population is believed to have limited genetic exchange due to the Korean Wave in North Korea. The haplotype was confirmed based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Acanthogobius flavimanus found along the coast of Korea. It is believed that ocean currents influence genetic distance. Genetic diversity was the highest in BS in the COⅠ region, and BS had the most diverse nucleotides. Additionally, nucleotide diversity on the east coast was high. In the D-loop region, YS exhibited the highest haplotype diversity in Korea, while EC had the most nucleotide diversity. It was analyzed to have the highest nucleotide diversity in Japan's SHI. After analyzing the shape characteristics, the coefficient trait range was D. Ⅷ-Ⅰ, 10~15; A. Ⅰ, 10~13; P1. 18~23; P2. Ⅰ, 5; C. 24~44; LR. 41~54; T.R. 16~21; Pred. It was confirmed to be S. 21~34, and the measurement trait range was TL. 54.96 ㎜~164.64 ㎜; SL. 45.71 ㎜∼133.53 ㎜; BW. 1.83 g~40.14 g. The number of fin stripes on the dorsal and caudal fins was confirmed to be 4~5 and 5~10, respective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astal sea material distribution map and survey points, it mainly appeared in places where pearl, sand, and gravel were mixe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genetic analysi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Synechogobius hasta and Acanthogobius flavimanus. The affinity between the two species was confirmed to be greater than 0.1, so they are judged to belong to different genera. After comparing the three coasts of Korea, it was foun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genetic differences in Synechogobius hasta. However, the EC population and MAJ population on the west coast of Acanthogobius flavimanus have different haplotype from other regional populations, similar to those of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There was a difference in haplotype. For the morphological differences of Synechogobius hasta on each coast, significant results were analyzed in the anal fin, number of longitudinal scales, and number of horizontal scales through a T-test. For Acanthogobius flavimanus, populations mainly from the south and east coast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one-way ANOVA analysis.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Synechogogius hasta와 Acanthogobius flavimanus를 대상으로 2023년 7월부터 11월까지 68개 지점에서 유전자 분석 및 형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했다. 유전자 분석은 대상 어류 2종의 DNA sequence를 중국 4개 지역과 일본 5개 지역의 국립생물정보센터(NCBI) 자료를 이용했고, phylogenetic tree와 haplotype network, 유전적 다양성을 2개의 마커(COⅠ과 D-loop)로 분석했다. 형태 특성은 계수 및 계측 형질, 재질에 따른 분포를 분석했다. 계수 형질은 지느러미(등과 가슴, 배, 뒷, 꼬리) 기조 수와 비늘(종렬과 횡렬, 등지러미 전방) 수, 지느러미(등, 꼬리) 반문 패턴을 확인했고, 계측 형질은 전장과 체장, 체중을 측정했다.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한 ‘연안해역 재질분포도’를 활용해 11개 지점에서 분석했다. Synechogobius hasta는 17개 지점(서해안: 11개, 남해안: 6개)에서 총 129개체를 채집했다. 인천 강화도(GH)에서 전남 순천 별량면(BL)까지 분포하고 있으며, 이 중 유전자 분석은 국내 4개 지점(인천 강화군, 충남 태안군, 전남 신안군 암태도, 전남 완도군)과 중국 3개 지점(Roungchung Bay (RC), Qingdao (QD), Zhoushan Island (ZS))을 분석했다. COⅠ 및 D-loop 영역에서는 국내와 중국의 haplotype이 분기돼 있다. COⅠ 영역에서 H1을 제외한 각각의 haplotype이 분포하고 있으며, D-loop 영역에서는 국내 모든 지역과 중국 QD 지역의 haplotype이 유사했고, ZS 지역의 haplotype이 다른 지역의 haplotype와 먼 것으로 확인됐다. 유전적 다양성은 국내에서는 WD가 가장 다양했고, 중국에서는 ZS가 가장 다양한 nucleotide를 가지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서해안보다는 남해안이 nucleoitde diversity가 높았으며, 우리나라보다 중국이 더 높은 다양성을 나타냈다. 형태 특성을 분석한 결과, 계수 형질 범위는 D. Ⅷ~Ⅹ-Ⅰ, 17~21; A. Ⅰ, 14~18; P1. 19~25; P2. Ⅰ, 5; C. 28~41; LR. 50~80; TR. 19~30; Pred. S. 25~40으로 확인됐고, 계측 형질 범위는 TL. 83.15 ㎜~263.47 ㎜; SL. 68.89 ㎜~218.42 ㎜; BW. 4.71 g~5.79 g이었다. 등지느러미의 반문 개수는 4~6개로 나타났다. 연안해역 재질분포도와 조사 지점을 비교한 결과, 주로 펄에서 출현했다. Acanthogobius flavimanus는 21개 지점(서해안: 3개, 남해안: 13개, 동해안: 5개)에서 총 194개체를 채집했다. 전북 군산시 어청도(EC)에서 강원 고성군 문암진리(MAJ)까지 분포하고 있으며, 이 중 유전자 분석은 국내 7개 지점(전북 군산시 어청도와 전남 완도군, 여수시, 경남 남해군, 거제시, 부산 기장군, 경북 영덕군, 강원 고성군)과 일본 5개 지점(Shimonoseki (SHI), Kitakyushu (KIT), Fukuoka (FUK), Seikai (SEI), Otaru (OTR)), 중국 1개 지점(Yangtzu river (YZ))을 분석했다. Haplotype network에서 어청도(EC)와 고성(MAJ)은 한국 및 일본의 다른 지역과 낮은 유전적 동질성을 나타냈다. Phylogenetic tree에서 MAJ 개체군은 한국과 일본의 다른 지역 개체군에 비해 유전적 구조에 차이가 있어 유전적 거리가 먼 것으로 판단된다. 대부분의 해양 생물은 해류를 통해 이동하고 확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개체군 간 유충을 통한 유전자 흐름을 촉진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 MAJ의 Acanthogobius flavimanus의 haplotype은 한국과 일본의 haplotype과 차이가 있다. MAJ 개체군은 북한 한류로 인해 유전자 교환이 제한적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 연안에 서식하는 Acanthogobius flavimanus의 지리적 분포를 기반으로 haplotype을 확인됐고 해류가 유전적 거리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유전적 다양성은 COⅠ 영역에서 BS가 가장 다양했고, BS가 가장 다양한 nucleotide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동해안의 nucleoitde diversity가 높았다. D-loop 영역에서는 국내에서 YS가 가장 높은 haplotype diversity를 나타냈고, EC에서 가장 많은 nucleotide를 가지고 있었다. 일본의 SHI에서 가장 높은 nucleotide diversity로 분석됐다. 형태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계수 형질 범위는 D. Ⅷ-Ⅰ, 10~15; A. Ⅰ, 10~13; P1. 18~23; P2. Ⅰ, 5; C. 24~44; LR. 41~54; TR. 16~21; Pred. S. 21~34로 확인됐고, 계측 형질 범위는 TL. 54.96 ㎜~164.64 ㎜; SL. 45.71 ㎜~133.53 ㎜; BW. 1.83 g~40.14 g이었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의 반문 개수는 각각 4~5개와 5~10개로 확인됐다. 연안해역 재질분포도와 조사 지점을 비교한 결과, 주로 펄과 모래, 자갈이 혼합된 지점에서 출현했다. Synechogobius hasta과 Acanthogobius flavimanus의 유전자 분석과 형태적 특성의 결과에서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종의 유연관계는 0.1 이상으로 확인돼 다른 속(Genus)에 속하는 종으로 판단된다. 또한, 국내 3개 연안을 비교한 결과, Synechogobius hasta는 유전적으로 큰 차이가 없으나, Acanthogobius flavimanus는 서해안의 EC 개체군과 MAJ 개체군이 다른 지역 개체군과 다른 haplotype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주변 국가인 중국과 일본의 haplotype와 차이를 보였다. 각 연안의 Synechogobius hasta의 형태적 차이는 T-test를 통해 뒷지느러미와 종렬비늘 수, 횡렬비늘 수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분석됐으며, Acanthogobius flavimanus는 one-way ANOVA 분석으로 주로 남해안과 동해안의 개체군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 부모화 경험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소극적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오지은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examined whether college students' parenting experiences in the past had an effect between passive emotional express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xplored the effect on interpersonal skills according to the parenting experience through passive emotional expression. This aims to improve the interpersonal skills of college students and to prepare basic data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pecific intervention strategies and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counseling situations. This study went through the following research proc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four-year college students located in Seoul, Incheon,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and their parentalization, passive emotional express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levels were measured.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calculat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major variables and measur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and Baron and Kenny's (1986) mediating effect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assive emotional ex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ability. Finally, Sobel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experie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passive emotional ex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abilit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parentalization, a sub-factor of parental experience, and first relationship establishment, a sub-factor of interpersonal ability, limited emotional recognition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parentalization, a sub-factor of parental experience, and dependence on others, a sub-factor of interpersonal ability, limited emotional recogni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nd emotional parentalization, a sub-factor of parental experience, and first relationship establishment, a sub-factor of interpersonal ability, the non-orthodox thinking tendency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Fifth, parental experience could not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limited emotional ex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abilities. Six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arentalization, a sub-factor of parental experience, and self-exposure, a sub-factor of interpersonal ability, the non-orthodox thinking tendency of passive emotional express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Seven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parental experience, self-exposure, a sub-factor of interpersonal ability, and dependence on others, the non-orthodox thinking tendency, a sub-factor of passive emotional express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study foun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al experience, physical parentalization, emotional parentalization, and over-effort influence differently and independently. Physical and emotional parentalization, a sub-factor of parental experience, was significant in one part of interpersonal ability, and over-effort was not.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detailed understanding depending on what kind of parental experience they have in the parental experience, and suggest that a multi-sided interpretation and differential counseling approach are nee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factor. According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difficult for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physical and emotional parentalization in their childhood to recognize their emotions and express them passively according to their emotional response capabilities. It is significant that it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ounseling intervention plans and programs so that they can stay and recognize their emotion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xpress them in their own language.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과거 자신이 겪었던 부모화 경험이 대인관계를 함에 있어서 소극적 정서표현과 대인관계능력 간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소극적 정서표현을 매개로 부모화 경험에 따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는 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여 상담 상황에서 활용 가능한 구체적인 개입 전략 및 프로그램 연구 개발에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정을 거쳤다. 연구 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 충청 지역에 소재한 4년제와 전문대 대학생 300명이며, 이들의 부모화, 소극적 정서표현, 대인관계능력 수준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를 분석하고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계산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표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모델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Sobel 검정을 시행하였다. 연구 분석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화 경험은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표현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화 경험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부모화와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요인인 처음관계맺기 간의 관계에서 제한적 감정인식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부모화 경험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부모화와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요인인 타인 의존성 간의 관계에서 제한적 감정인식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부모화 경험의 하위요인인 물리적·정서적 부모화와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요인인 처음관계맺기 간의 관계에서 비정서적 사고성향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화 경험은 대인관계능력 간 관계에서 제한적 감정표현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여섯째, 부모화 경험의 하위요인 물리적 부모화와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노출간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표현의 비정서적 사고성향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일곱째, 부모화 경험의 하위요인 정서적 부모화와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노출, 타인의존성 간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표현의 하위요인인 비정서적 사고성향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화 경험의 하위요인 중 물리적 부모화, 정서적 부모화, 과잉노력은 서로 다르게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화 경험의 하위요인인 물리적․정서적 부모화는 대인관계능력의 한 부분에서 유의미하였고 과잉노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부모화 경험 안에서 어떠한 부모화 경험을 했느냐에 따라 세부적인 이해를 제공하며, 하위요인별 각각의 특성에 따라 다측면적인 해석과 차별적인 상담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상담자가 어릴 적 물리적·정서적 부모화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이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기를 어려워하고 감정적 반응 역량에 따라 소극적으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이들이 대인관계 내에서 자신의 감정에 머무르며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그것을 자신의 언어로 표현할 수 있도록 상담 개입 방안 및 프로그램 연구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과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리우즈양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on self-efficacy and how students' self-reflection and empathy mediate these effects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who are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direct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reflection, and empathy on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indirect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self-reflection and empathy?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10 to May 17, 2023,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questionnaires among 291 college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Qibak, Shandong Province. Then, from May 25 to June 25, 2023,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217 colleg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in Qibak, Shandong Province and Changzhou, Jiangsu Provinc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model,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tended to be high overall.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pen communication was higher than semi-closed communication, and in self-efficacy, self-regulatory efficacy, self-confidence, and task difficulty were preferred. Self-reflection showed above-average levels of each subfactor, with self-understanding being the highest, followed by self-regulation and activity, self-design, and self-reflection. For empathy, cognitive empathy was higher than emotional empathy among the subfactors. The general trend of these research variable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overall statu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fore ver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and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nsure that the four-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scale was adequately aligned with the theoretical work of this thesis. The overall fit indices for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reflection, empathy, and self-efficacy indicated a good fit of the model. Third, we analyzed the correlations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found that all correlations were significant, i.e., the more open and semi-closed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higher the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Fourth,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nalyzed for goodness-of-fit of the proposed model and the final model was accepted.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examined by setting up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checking the model fit and effectiveness.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child communi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direct effect on self-reflection, empathy, and self-efficacy, and an indirect effect on self-efficacy through self-reflection and empath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reflection, and empathy ar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ina and act as factors that enhance the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ina. This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open communication self-reflection and empathy in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better the self-efficacy of preschool teachers will be able to fulfill their roles, which will affect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young children.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the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lso identified the effects of self-reflection and empathy, which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quality, curriculum diversity, and autonomy and responsi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인 유아교육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들과의 의사소통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생들의 자기성찰, 공감능력이 그러한 영향에 어떻게 매개 작용하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기성찰, 공감능력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기성찰과 공감능력을 매개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어떠한가? 2023년 5월 10일부터 5월 17일까지 산동성 치박지역의 2개 대학에 재학중인 291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및 공감능력 설문지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이후 본 조사는 2023년 5월 25일부터 6월 25일까지 산동성 치박지역과 장쑤성 창주지역의 4개 대학으로 1217명의 대학생들을 표집하여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 간 관련성을 탐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과 AMOS 2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모형,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은 전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하위요인 중 개방적 의사소통이 반폐쇄적 의사소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에서는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로 나타났다. 자기성찰에서는 하위요인별 평균 이상의 정도를 나타났다. 그 중 자기이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기조절 및 활동, 자기설계, 자기반성 순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은 하위요인 중 인지적 공감이 정서적 공감보다 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은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와 변인 간의 영향력을 검증하기에 앞서 예비유아교사들의 전반적인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둘째, 본 논문의 이론적 연구와 적절하게 일치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원래 척도의 네 요인구조가 분석하였다.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성찰,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전반적으로 적합도 지수들은 모델이 좋은 적합성을 갖고있다는 것을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자녀 의사소통 중 개방적 의사소통, 반폐쇄적 의사소통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 간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제안모형의 적합도 분석 최종모형 획인하였다. 다섯째,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적합도 및 효과검증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자기성찰, 공감능력,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자기성찰, 공감능력을 매개로 자기효능감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기성찰, 공감능력으로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을 향상하는 요소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중 개방적 의사소통 자기성찰,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은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는 유아의 발달과 성장과정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자기성찰과 공감능력의 영향도 파악해 봄으로써 향후 유아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교육의 질적 향상, 교육과정의 다양성,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책임성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 음향적 어종판별 기법 활용을 위한 광대역 음향 시스템 및 저층 트롤을 이용한 시험적 조사

        이승미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acoustic systems and analysis theory, acoustic resource surveys using broadband acoustic systems and fish species identification research on target organisms are attracting attention, moving away from acoustic resource surveys using existing narrow-band acoustic systems. In this study, a bottom trawl survey and acoustic data collection using a broadband scientific echo sounder were carried out to test the availability of acoustic fish species identification techniques. The test survey was conducted on Sep. 17, 2022 and Apr. 8, 2023 using the Sae Hae Rim (T/S, 2,996 G/T) of Kunsan National University. The sound system used for the sound survey was a split beam type scientific fish finder (Simard EK80, Norway). Acoustic data were collected for 18, 38, 70, 120, 200, and 333 kHz, and information on target organisms was collected using bottom trawls for the catch survey. The acoustic data was collected using broadband mode during the bottom trawl survey. The towing duration of bottom trawl was about 40 minutes and the towing speed was about 3.5 knots. In the first survey on Sep. 17, 2022, a total of three survey tracks were set and surveyed. As a result of the catch survey for track #1, the most dominant fish species was the cubed snailfish (38.1%), cutlassfish and beka squid (24.4%) at track #2, and the beka squid (29.3%) at track #3. In the second survey conducted on Apr. 8, 2023, two tracks were set and surveyed, and the most dominant species at track #1 was the skate (42.8%) and sand crab (29.6%) at track #2. As a results, the broadband acoustic scattering pattern of individual echoes, experimentally extracted from the acoustic data obtained during trawl surveys, showed a very complicated spectrums with many lobes and nulls repeated. Fish species identification through wideband acoustic data analysis was compared with the acoustic scattering pattern of the Japanese common squi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of about 20dB at low frequencies (50~150 kHz) at average swimming angles of –5˚ and –10˚ when the Japanese common squid was swimming. When the average swimming angle was +5°, a difference occurred in the frequency between 100 and 200 kHz. And when the average swimming angle was +10˚, a difference occurred in the frequency band when the frequency was 150~300 kHz, but at the average swimming angle of –24˚, it was confirmed that the frequency bands were almost similar. In order to identify fish species acoustic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erification technique and investigate much more information on the broadband acoustic scattering characteristics of the shore fishes in South Korea. 인간 활동의 증가로 환경오염의 증가, 어업자원의 감소로 인하여 어업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과학적인 연근해 어업자원의 평가 및 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기법을 이용한 연근해 어업자원 조사가 수행되고 있다. 최근, 음향 시스템 및 분석 이론의 발전으로 기존의 협대역 음향 시스템에 의한 음향자원조사에서 벗어나 광대역 음향 시스템을 이용한 음향 자원조사 및 대상 생물에 대한 어종판별에 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트롤 조사를 통해 얻은 시험어획조사 결과로부터 종조성, 체장 및 체중 정보를 획득하고, 광대역 과학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얻은 광대역 음향 데이터를 비교하여 광대역 음향 시스템에 대한 어종판별 기법의 활용에 대해 검토하고자 시험 조사를 실시하였다. 시험 조사는 군산대학교 실습선인 새해림호 (T/V, 2,996 G/T)를 이용하여 2022년 9월 17일 및 2023년 4월 8일에 실시하였다. 음향 조사에 사용한 음향 시스템은 split beam 방식의 과학어군탐지기 (Simard EK80, Norway)이고, 주파수 18, 38, 70, 120, 200 및 333 kHz에 대한 음향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시험어획조사는 저층 트롤을 이용하여 대상 생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2022년 9월 17일의 1차 조사에서 정점 1~정점 3까지 1회씩 음향 조사와 동시에 트롤 시험어획조사를 수행하였다. 정점 1에서 얻은 어획 자료 분석결과, 가장 우점하였던 어종은 물메기로서 전체의 38.1%를 차지하였다. 정점 2에서는 갈치와 참꼴뚜기가 각각 24.4%였으며, 정점 3에서 가장 우점하였던 종은 참꼴뚜기로서 전체의 29.3%를 차지하였다. 2023년 4월 8일에 실시한 2차 조사에서는 2개의 정점에서 조사하였는데, 정점 1에서 가장 우점하였던 종은 홍어로서 전체의 42.8%를 차지하였으며, 정점 2에서는 깨다시꽃게가 전체의 29.6%를 차지하였다. 트롤 조사 시 얻은 음향 자료로부터 시험적으로 추출한 개체 에코의 광대역 음향산란 스펙트럼은 많은 lobe와 unll이 반복되는 매우 복잡한 패턴을 나타내는 에코 신호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광대역 음향 자료 분석을 통한 어종 식별은 살오징어의 음향산란 스펙트럼과 비교하였는데, 살오징어의 평균 유영 자세각 –5˚와 –10˚에서는 저주파 (50~150 kHz) 대역에서 약 20dB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평균 유영 자세각 +5˚일 때에는 주파수 100~200 kHz의 대역에서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한, 평균 유영 자세각 +10˚일 때에는 주파수 150~300 kHz의 대역일 때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평균 유영 자세각인 –24˚에서는 주파수 대역이 거의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광대역 음향산란 스텍트럼을 이용하여 이를 개체어의 음향산란 스펙트럼과의 매칭을 통한 어종판별을 위해서는 대상 생물에 대한 광대역 음향산란 특성에 대한 규명과 함께 판단 기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소극적 정서 표현의 매개효과

        진선영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lexithymia serves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uring childhood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alexithymia? Does alexithymia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e study surveyed 313 participants through an online platform to achieve its objectives. Out of the responses, 302 were considered vali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non-responsive or irrelevant data. To measure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 modified questionnaire based on Barber's (1996) 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ort (PCS-YSR), tailored by Choi Myung-jin (2010) for college students, was utilized. The Korean version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K), revised by Shin Hyun-gyun and Won Ho-taek (1997), was employed to assess alexithymia. Additionally, a modified version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s (KIIP-SC) was used to measu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9.0, involv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o explore participants' backgrounds, and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α coefficient) for the measurement tool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key variable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lexithymi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Baron and Kenny's (1986)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further confirmed using Sobel tests.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alexithymia. Psychological control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alexithymia, indicating that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control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alexithymi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lexithymia demonstrat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study contributes to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various factors influen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By empirically validating the path through which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via alexithymia, this research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counselors dealing with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fficul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어릴 적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 표현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는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 소극적 정서 표현 간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 간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 표현은 매개효과를 보이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31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한 설문지 중 무응답 및 응답 불성실 결과 11부를 제외한 302부를 최종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측정하기 위하여 Barber(1996)가 개발하고, 최명진(2010)이 대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번안 및 수정한 심리적 통제(Psychological Control Scale- Youth Self-Report : PCS–YSR)척도를 바탕으로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한 설문지와 한국형 대인 관계문제 검사 원형 척도의 단축형(KIIP-SC)을 구성한 척도를 바탕으로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소극적 정서 표현을 측정하기 위하여 신현균, 원호택(1997)이 수정 번안한 한국판 감정표현 불능증 척도(KoreanVersion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TAS-20K)를 바탕으로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19.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문제에 따른 분석 방법은 연구 대상자의 개인적 배경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측정 도구들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 표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 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검증(Sobel, 1982)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 대인관계 문제, 소극적 정서 표현 간의 상관분석 결과 각 변인 간의 상관이 확인되었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대인관계 문제와 정적상관을 보였고, 소극적 정서 표현 과도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대인관계 문제는 증가하고 소극적 정서 표현도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 표현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소극적 정서 표현을 거쳐 대인관계 문제로 이어지는 경로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상담 장면에서 대인관계 문제를 경험하는 대학생들을 이해하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로 인한 소극적 정서 표현을 개선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상담장면에서 치료적인 개입을 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 대학생의 완벽주의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진현옥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According to a study, over the half of the people (53.62%) in Korea show tendencies of perfectionism (Lee et al., 2021). This indicates that a significant proportion of South Korea’s population might be living with perfectionism. University students, who often evaluate their self-worth based on productivity and achievements, are particularly prone to experience mental health issues and feelings of discouragement when they have perfectionist trai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impact of perfectionism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university freshmen, as they shift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and to examine the role of self-compassion as a mediator in this relationships. Th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Question 1: Are there variations in perfectionism, depression, anxiety and self-compassion based on the study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Question 2: Does perfectionism have an effect on depression and anxiety? Question 3: Is there an impact of perfectionism on self-compassion? Question 4: Does self-compassion influence depression and anxiety? Question 5: Does self-compassion serve as a mediator between perfectionism, depression and anxiety? For this study, 317 college students in the Jeonbuk region were surveyed with self-report questionnaires. Excluding 8 with non-responses or insincere responses, 309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21.0, and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correlation analysis, mediation effect analysis by Baron and Kenny (1986), and the Sobel Test.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the study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fectionism, depression, anxiety and self-compassion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fectionism varied notably with academic grades, and self-compassion differed between genders, with males showing higher levels than females. Secondly, perfectionism, depression, anxiety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It showed that the three sub-factors of perfectionism: performance anxiety, expectation recognition, and excessive effort–all them received an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through depression and anxiety. Thirdly, different aspects of perfectionism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s with self-compassion. While performance anxiety and expectation recognition affirmatively impacted self-compassion, excessive effort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suggesting that the perfectionists who want to outperform others, putting in excessive effort are less affected by self-compassion. Fourthly, the mindfulness a component of self-compassion was found to have a affirmatively effect on depression and anxiety. This aspect, which approaches with one’s emotions with open minded, showed that it mitigated feelings of depression and anxiety. Fifthly, the study found that self-compassion ha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 effect on perfectionism, depression and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This led to the influence on depression and anxiety through self-compassion of perfectionis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self-compassion could be an alternative in dealing with the depression and anxiety caused by perfectionism of university students. However, the study also highlights the limitation of using only self-compassion to explain the journey from perfectionism to depression, anxiety and self-compassion, pointing to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with additional variables that may affect these relations. 한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 사람 두 명 중 한 명 이상이(53.62%) 완벽주의 성향을 지닌 것으로 밝혀졌다(이동귀 외, 2021). 이 결과대로라면 대한민국 절반 이상의 사람들이 완벽주의로 살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대학생활에서 완벽주의 특성을 가진 학생들은 자신의 가치를 생산성과 업적으로만 판단하기 때문에 쉽게 좌절하고 정신건강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수행에 있어 남들이 정해놓은 기준을 반듯이 도달해야 하는 목표로까지 생각하는 완벽주의 대학생들은 세대를 지나면서 계속 증가하여, 2050년까지 거의 3명 중 1명의 대학생들이 임상 관련 수준이 될 것이라고 보고하고 있다(Curran & Andrew, 2022). 이에,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관련된 심리적 기제를 밝히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연구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진입하는 대학생들의 완벽주의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완벽주의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완벽주의, 우울 및 불안, 자기자비에 차이가 나타나는가? 연구문제 2. 대학생의 완벽주의는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대학생의 완벽주의는 자기자비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자기자비는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5.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우울 및 불안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는 나타나는가?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북지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17명에게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이 중 다수의 미응답 등 불성실하게 응답한 8부를 제외하고 309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 분석, t-test, 상관 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분석 및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른 완벽주의, 우울 및 불안, 자기자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대학생의 완벽주의는 학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기자비에서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점이 높을수록 대학생의 완벽주의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자비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완벽주의와 우울 및 불안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대학생 완벽주의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수행불안, 기대인식, 과잉노력 모두에서 우울 및 불안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우울 및 불안은 깊어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셋째,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자기자비는 하위요인에 따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완벽주의 중 수행불안이나 기대인식은 자기자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지만 과잉노력은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이는 다른 사람보다 더 잘하고 싶어 하는 스스로의 기준점을 가진 완벽주의자들에게는 자기자비가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넷째, 우울 및 불안과 자기자비에서,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자기자비의 하위요인에는 공통적으로 마음챙김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린 마음으로 자신의 감정에 다가가려고 노력하는 마음챙김은 완벽주의 대학생들의 우울과 불안을 덜어줄 수 있는 요인임을 유의미하게 설명해 주었다. 다섯째. 대학생들의 완벽주의와 우울 및 불안에서 자기자비는 유의미하게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이런 결과는 대학생의 완벽주의가 자기자비를 통해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상담 장면에서 대학생 내담자의 완벽주의 성격을 변화시키는 것보다는 훈련을 통해 자기자비의 수준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자기자비 만으로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완벽주의가 우울 및 불안, 자기자비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평소에 감정의 평정을 유지하거나,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지려고 노력하는 학생들에게는 자기자비가 심리적 어려움을 매개할 수 있다고 설명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추가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간호학생의 환자안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환자안전 교육에 관한 통합적 접근

        서주랑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환자안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전라북도, 충청북도, 제주도 총 4개의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210명을 대상으로 2023년 9월 6일부터 9월 15일까지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é 의 사후분석, Pearson΄correlation coefficeent, 2단계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학교육에서 환자안전 학습내용 인식은 4점 만점 중 평균 3.32점(±0.47), 학습내용의 중요도는 3.41점(±0.40), 임상현장교육에서 환자안전 학습내용 인식은 3.28점(±0.48), 학습내용의 중요도는 3.43점(±0.43), 환자안전역량은 3.32점(±0.41)으로 나타났으며, 환자안전역량 하위 요인에서 지식영역은 3.30점(±0.45), 기술영역은 3.34점(±0.47), 태도영역은 3.33점(±0.47)으로 나타났다. 2. 간호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교육 인식, 환자안전역량 차이는 학년(t=-3.05, p=.003), 나이(F=8.73, p=.004), 실습경력(F=5.39, p=.007), 대학교육 교육이수 여부(t=1.99, p=.048), 임상현장교육 교육 이수(t=3.30, p=.001)에 따라 환자안전역량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년은 4학년이 3학년보다, 연령은 20∼24세가 30세 이상보다 환자안전역량이 높았으며, 실습경력은 6주 이상이 6주 미만보다, 대학교육 교육 이수 대상자와 임상현장교육 교육 이수 대상자가 환자안전역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3. 대학교육에서 환자안전 학습내용 인식(r=.77, p<.001), 학습내용의 중요도(r=.71, p<.001), 임상현장교육에서 환자안전 학습내용 인식(r=.79, p<.001), 학습내용 중요도(r=.66, p<.001) 간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환자안전역량과 하부 요인인 지식영역(r=.89, p<.001), 기술영역(r=.88, p<.001), 태도영역(r=.95, p<.001)은 환자안전역량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대학에서 실시한 환자안전교육 중 환자안전에 관한 지식 습득(β=.29, p <.001)과 긍정적 태도 및 동기부여(β=.17, p=.038)에 대한 교육, 임상현장에서 실시한 환자안전교육 중 사고 보고 활동(β=.17, p=.010), 지원 및 시스템 기반 접근(β=26, p=.006)에 대한 교육이 간호학생의 환자안전역량에 영향을 주었으며 일반적 특성 중 학년(β=.16, p=.002), 연령(β=-.09, p=.022)이 환자안전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설명력은 69%이었다. 본 연구결과 대학과 임상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환자안전교육은 간호학생의 환자안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과 임상현장에서는 간호학생의 환자안전교육 요구에 대해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체계적이며 표준화된 교육을 통해 간호학생의 환자안전역량을 높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y. For this descrip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6 to Septembe 15, 2023. Participants included 210 nursing students recruited from four nursing colleges located in three different area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tient safety education and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y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The difference in patient safety competency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by the t-test and ANOVA with Scheffe's post hoc test, whil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as measur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in university education were 3.32±0.47 and 3.41±0.40 for Included in education in academic settings(INCa) and Important for student’s own learning of patient safety(IMPa), respectively. The mean score of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in clinical settings were 3.28±0.48 and 3.43±0.43 for included in placement education(INCc) and Important for student’s own learning (IMPc), respectively. The patient safety competence scored an average of 3.32±0.41 points; knowledge, 3.30±0.45 points; skill, 3.34±0.47; attitude, 3.33±0.45 points. 2.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patient safety competen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grade (t=-3.05, p=.003), age (F=8.73, p=.004), and practice experience (F=5.39, p=.007), completion of college education (t=1.99, p=.048), and completion of clinical setting education (t=3.30, p=.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s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3.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among INCa (r=.77, p<.001), IMPa (r=.71, p<.001), INCc (r=.79, p<.001) and IMPc (r=.66, p<.001). 4.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aining knowledge about patient safety (β=.29, p <.001), highlighting affirmative attitudes and motivation to ensure patient safety (β=.17, p=.038) in academic settings and reporting patient safety incidents (β=.17, p=.010), supportive and systems-based approach to ensure patient safety (β=.26, p=.006) in clinical settings were predicting factors for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atient safety education conducted at university and clinical setting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aimed to improve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y through integrated and systematic education in both university and clinical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