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대학 캠퍼스의 야구 운동 건설과 발전에 관한 연구

        치우위난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Up to now, baseball, as one of the most popular sports in the world, has alway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ternational sports. This influence is reflected not only in its wide audience, but also in its long history accumulation, unique rules of competition, wonderful competition process and profound influence on global sports culture. The influence of baseball on global sports culture cannot be ignored. It is not only a sport, but also a cultural heritage. The spirit of competition, teamwork and fair competition contained in baseball has exerted profound influence on global sports culture. These spirits have become an integral part of global sports culture, and people all over the world are proud and proud of them. Baseball has alway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llege sports. Not only as a passionate sport, but also as a way to inspire students' understanding of teamwork and sportsmanship. Baseball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campus sports. It's not just a movement, it's a platform, it's a tool for education and enlightenment.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dialectical analysis, investig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this paper analyzes the reasons for the backwardness of Chinese baseball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and philosophy.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in this paper will provide some beneficial help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baseball. Furthermore, the viewpoints mentioned in the study on campus baseball in China can help mor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 in campus baseball, support the development of campus baseball, and thus promote the development of Chinese baseball. 지금까지 야구는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 중 하나로 국제 스포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은 광범위한 청중뿐만 아니라 오랜 역사적 축적, 독특한 경기 규칙, 흥미진진한 경기 과정 및 세계 스포츠 문화에 대한 광범위한 영향에서 비롯되었다. 야구가 전 세계 스포츠 문화에 미치는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그것은 단지 스포츠일 뿐만 아니라 문화 전승이기도 한다. 야구에 깃든 경기정신, 팀워크, 페어플레이 정신 등은 세계 스포츠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정신은 세계 스포츠 문화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어 전 세계인이 자랑스러워 할 수 있다. 대학 스포츠 중 야구는 항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열정적인 스포츠로 많은 청소년들의 일상 속에 녹아들었을 뿐만 아니라 팀워크와 경기 정신에 대한 이해를 자극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되었다. 야구는 캠퍼스 스포츠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다. 그것은 단순한 운동이 아니라 플랫폼이자 교육과 계시의 도구이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법, 변증법을 통한 역사 및 귀납적 연구법, 조사법, 비교분석법을 이용하여 역사와 철학의 관점에서 중국야구운동이 낙후된 원인을 분석하고 중국야구운동의 발전을 촉진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한 후 중국대학캠퍼스 건설의 중요성과 중국대학캠퍼스 야구운동을 발전시키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가 중국 야구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또한 중국 대학 캠퍼스 야구 스포츠 연구에서 언급한 관점은 더 많은 대학생들이 캠퍼스 야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캠퍼스 야구의 발전을 지원함으로써 중국 야구의 발전을 촉진하고, 중국 야구 스포츠와 세계 야구 스포츠의 수준과의 격차를 좁힐 수 있도록 하며, 중국 야구 운동이 하루빨리 세계 선진 수준에 도달하기를 기원한다.

      • 간호학생의 환자안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환자안전 교육에 관한 통합적 접근

        서주랑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환자안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전라북도, 충청북도, 제주도 총 4개의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210명을 대상으로 2023년 9월 6일부터 9월 15일까지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é 의 사후분석, Pearson΄correlation coefficeent, 2단계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학교육에서 환자안전 학습내용 인식은 4점 만점 중 평균 3.32점(±0.47), 학습내용의 중요도는 3.41점(±0.40), 임상현장교육에서 환자안전 학습내용 인식은 3.28점(±0.48), 학습내용의 중요도는 3.43점(±0.43), 환자안전역량은 3.32점(±0.41)으로 나타났으며, 환자안전역량 하위 요인에서 지식영역은 3.30점(±0.45), 기술영역은 3.34점(±0.47), 태도영역은 3.33점(±0.47)으로 나타났다. 2. 간호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교육 인식, 환자안전역량 차이는 학년(t=-3.05, p=.003), 나이(F=8.73, p=.004), 실습경력(F=5.39, p=.007), 대학교육 교육이수 여부(t=1.99, p=.048), 임상현장교육 교육 이수(t=3.30, p=.001)에 따라 환자안전역량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년은 4학년이 3학년보다, 연령은 20∼24세가 30세 이상보다 환자안전역량이 높았으며, 실습경력은 6주 이상이 6주 미만보다, 대학교육 교육 이수 대상자와 임상현장교육 교육 이수 대상자가 환자안전역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3. 대학교육에서 환자안전 학습내용 인식(r=.77, p<.001), 학습내용의 중요도(r=.71, p<.001), 임상현장교육에서 환자안전 학습내용 인식(r=.79, p<.001), 학습내용 중요도(r=.66, p<.001) 간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환자안전역량과 하부 요인인 지식영역(r=.89, p<.001), 기술영역(r=.88, p<.001), 태도영역(r=.95, p<.001)은 환자안전역량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대학에서 실시한 환자안전교육 중 환자안전에 관한 지식 습득(β=.29, p <.001)과 긍정적 태도 및 동기부여(β=.17, p=.038)에 대한 교육, 임상현장에서 실시한 환자안전교육 중 사고 보고 활동(β=.17, p=.010), 지원 및 시스템 기반 접근(β=26, p=.006)에 대한 교육이 간호학생의 환자안전역량에 영향을 주었으며 일반적 특성 중 학년(β=.16, p=.002), 연령(β=-.09, p=.022)이 환자안전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설명력은 69%이었다. 본 연구결과 대학과 임상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환자안전교육은 간호학생의 환자안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과 임상현장에서는 간호학생의 환자안전교육 요구에 대해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체계적이며 표준화된 교육을 통해 간호학생의 환자안전역량을 높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y. For this descrip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6 to Septembe 15, 2023. Participants included 210 nursing students recruited from four nursing colleges located in three different area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tient safety education and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y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The difference in patient safety competency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by the t-test and ANOVA with Scheffe's post hoc test, whil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as measur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in university education were 3.32±0.47 and 3.41±0.40 for Included in education in academic settings(INCa) and Important for student’s own learning of patient safety(IMPa), respectively. The mean score of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in clinical settings were 3.28±0.48 and 3.43±0.43 for included in placement education(INCc) and Important for student’s own learning (IMPc), respectively. The patient safety competence scored an average of 3.32±0.41 points; knowledge, 3.30±0.45 points; skill, 3.34±0.47; attitude, 3.33±0.45 points. 2.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patient safety competen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grade (t=-3.05, p=.003), age (F=8.73, p=.004), and practice experience (F=5.39, p=.007), completion of college education (t=1.99, p=.048), and completion of clinical setting education (t=3.30, p=.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s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3.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among INCa (r=.77, p<.001), IMPa (r=.71, p<.001), INCc (r=.79, p<.001) and IMPc (r=.66, p<.001). 4.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aining knowledge about patient safety (β=.29, p <.001), highlighting affirmative attitudes and motivation to ensure patient safety (β=.17, p=.038) in academic settings and reporting patient safety incidents (β=.17, p=.010), supportive and systems-based approach to ensure patient safety (β=.26, p=.006) in clinical settings were predicting factors for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atient safety education conducted at university and clinical setting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aimed to improve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y through integrated and systematic education in both university and clinical settings.

      •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과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리우즈양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on self-efficacy and how students' self-reflection and empathy mediate these effects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who are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direct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reflection, and empathy on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indirect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self-reflection and empathy?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10 to May 17, 2023,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questionnaires among 291 college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Qibak, Shandong Province. Then, from May 25 to June 25, 2023,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217 colleg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in Qibak, Shandong Province and Changzhou, Jiangsu Provinc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model,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tended to be high overall.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pen communication was higher than semi-closed communication, and in self-efficacy, self-regulatory efficacy, self-confidence, and task difficulty were preferred. Self-reflection showed above-average levels of each subfactor, with self-understanding being the highest, followed by self-regulation and activity, self-design, and self-reflection. For empathy, cognitive empathy was higher than emotional empathy among the subfactors. The general trend of these research variable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overall statu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fore ver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and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nsure that the four-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scale was adequately aligned with the theoretical work of this thesis. The overall fit indices for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reflection, empathy, and self-efficacy indicated a good fit of the model. Third, we analyzed the correlations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found that all correlations were significant, i.e., the more open and semi-closed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higher the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Fourth,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nalyzed for goodness-of-fit of the proposed model and the final model was accepted.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fficacy, self-reflection, and empath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examined by setting up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checking the model fit and effectiveness.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child communi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direct effect on self-reflection, empathy, and self-efficacy, and an indirect effect on self-efficacy through self-reflection and empath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reflection, and empathy ar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ina and act as factors that enhance the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ina. This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open communication self-reflection and empathy in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better the self-efficacy of preschool teachers will be able to fulfill their roles, which will affect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young children.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the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lso identified the effects of self-reflection and empathy, which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quality, curriculum diversity, and autonomy and responsi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인 유아교육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들과의 의사소통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생들의 자기성찰, 공감능력이 그러한 영향에 어떻게 매개 작용하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기성찰, 공감능력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기성찰과 공감능력을 매개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어떠한가? 2023년 5월 10일부터 5월 17일까지 산동성 치박지역의 2개 대학에 재학중인 291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및 공감능력 설문지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이후 본 조사는 2023년 5월 25일부터 6월 25일까지 산동성 치박지역과 장쑤성 창주지역의 4개 대학으로 1217명의 대학생들을 표집하여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 간 관련성을 탐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과 AMOS 2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모형,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은 전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하위요인 중 개방적 의사소통이 반폐쇄적 의사소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에서는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로 나타났다. 자기성찰에서는 하위요인별 평균 이상의 정도를 나타났다. 그 중 자기이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기조절 및 활동, 자기설계, 자기반성 순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은 하위요인 중 인지적 공감이 정서적 공감보다 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은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와 변인 간의 영향력을 검증하기에 앞서 예비유아교사들의 전반적인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둘째, 본 논문의 이론적 연구와 적절하게 일치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원래 척도의 네 요인구조가 분석하였다.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성찰,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전반적으로 적합도 지수들은 모델이 좋은 적합성을 갖고있다는 것을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자녀 의사소통 중 개방적 의사소통, 반폐쇄적 의사소통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 간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제안모형의 적합도 분석 최종모형 획인하였다. 다섯째,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자기성찰, 공감능력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적합도 및 효과검증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자기성찰, 공감능력,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자기성찰, 공감능력을 매개로 자기효능감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기성찰, 공감능력으로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을 향상하는 요소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중 개방적 의사소통 자기성찰,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은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는 유아의 발달과 성장과정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자기성찰과 공감능력의 영향도 파악해 봄으로써 향후 유아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교육의 질적 향상, 교육과정의 다양성,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책임성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 간호대학생의 자기결정성과 임상실습에서의 감정노동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김추화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self-determination and emotional labor in clinical practice on career identity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to improve the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from third- and fourth-year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from four nursing schools in J Province from December 15, 2022 to January 3, 2023. Data were analyzed by raw numbers, means,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percentag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cheffé’s post-hoc,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nursing students’ self-determination was found to be 3.84±0.55 out of 5 points. Regarding its sub-elements, autonomy was 3.70±0.73 points; competence was 3.73±0.68 points, and relationality was 4.10±0.60 points. Emotional labor was found to be 3.30±0.63 points out of 5 points. Regarding its sub-elements, the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 was 3.79±0.71 points; the attention of emotional expression was 3.13±0.68 points, and emotional dissonance was 3.22±0.98 points. The sense of career identity was, on average, 2.69±0.63 points out of 4. 2.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in the nursing students’ career identity by motivation for admission (F = 3.81, p = .011), health status (F = -3.92, p < .001),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F = 27.7, p < .001),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F = 17.8, p < .001), and current grades (F = 13.2, p < .001). As a result of the post-hoc test, the professional favorability of the motivation for admission was related to higher career identity, and being healthy was related to higher career identity. In terms of major satisfaction, being satisfied with a major showed a high sense of career identity, and being satisfied with clinical practice showed a high sense of career identity. Having good grades currently was related to a higher career identity. 3. The nursing students’ sense of career ident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determination (r = .461, p < .001)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labor (r = -.400, p < .001).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emotional labor (r = -.162, p = .014). 4. As for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nursing students’ sense of career identity, satiscurrent grade (= .114, p = .049), emotional labor (= -.308, p < .001), faction with nursing major (= .261, p < .001), and self-determination ( = .243, p < .001)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identity. The explanatory power for the career identity was 43.3%. This study found that the higher the self-determination, the lower the emotional labor in clinical practic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major, and the better the current grades, the higher the sense of career identity. Therefore, to enhance nursing students’ career identit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to increase self-determination that serve as a facilitator of voluntary motivation. It is hoped that school-level psychological counseling will be provided to reduce emotional labor in clinical practice, which has a negative impact on internal motivation, and that measures will be established to protect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at the hospital level.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결정성과 임상실습에서의 감정노동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J도에 소재한 4개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임상실습을 경험한 3, 4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2022년 12월 15일부터 2023년 1월 3일까지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의 사후분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y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자기결정성은 5점 만점 중 평균 3.84±0.55점으로 나타났고, 하위 요소인 자율성은 3.70±0.73점, 유능성은 3.73±0.68, 관계성은 4.10±0.60점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은 5점 만점 중 평균 3.30±0.63점으로 나타났고, 하위 요소인 감정표현의 빈도는 3.79±0.71점, 감정표현의 주의성은 3.13±0.68점, 감정적인 부조화는 3.22±0.98점으로 나타났다. 진로 정체감은 4점 만점 중 평균 2.69±0.63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정체감의 차이는 입학동기(F=3.81, p=.011), 건강상태(F=-3.92, p<.001), 전공 만족도(F=27.7, p<.001), 임상실습 만족도(F=17.8, p<.001), 현재 성적(F=13.2,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정을 실시한 결과 입학동기는 직업적 호감이 진로정체감이 높았고, 건강상태는 건강함이 진로정체감이 높게 나타났다. 전공 만족도는 만족이 진로정체감이 높게 나타났고, 임상실습 만족도는 만족이 진로정체감이 높게 나타났다. 현재 성적은 좋음이 진로정체감이 높게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진로정체감은 자기결정성(r=.461, p<.001)과 유의한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감정노동(r=.-400, p<.001)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기결정성과 감정노동(r=.-162, p=.014)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간호학과 만족도 (=.261, p<.001), 현재성적(=.114, p=.049), 감정노동(=-.30 8, p<.001), 자기결정성(=.243, p<.001)이 진로정체감에 유의 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정체감을 설명하는 설 명력은 43.3%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은 자기결정성이 높을수록, 임상실습에서의 감정노동이 낮을수록, 간호학과 만족도가 높을수록, 현재 성적이 좋을수록 진로정체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 마련을 위해 자발적인 동기부여의 촉진제로서 역할을 하는 자기결정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내적동기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임상 실습에서의 감정노동을 낮추기 위한 학교 차원의 심리 상담과 병원 차원의 임상 실습 시 간호대학생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 음향적 어종판별 기법 활용을 위한 광대역 음향 시스템 및 저층 트롤을 이용한 시험적 조사

        이승미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acoustic systems and analysis theory, acoustic resource surveys using broadband acoustic systems and fish species identification research on target organisms are attracting attention, moving away from acoustic resource surveys using existing narrow-band acoustic systems. In this study, a bottom trawl survey and acoustic data collection using a broadband scientific echo sounder were carried out to test the availability of acoustic fish species identification techniques. The test survey was conducted on Sep. 17, 2022 and Apr. 8, 2023 using the Sae Hae Rim (T/S, 2,996 G/T) of Kunsan National University. The sound system used for the sound survey was a split beam type scientific fish finder (Simard EK80, Norway). Acoustic data were collected for 18, 38, 70, 120, 200, and 333 kHz, and information on target organisms was collected using bottom trawls for the catch survey. The acoustic data was collected using broadband mode during the bottom trawl survey. The towing duration of bottom trawl was about 40 minutes and the towing speed was about 3.5 knots. In the first survey on Sep. 17, 2022, a total of three survey tracks were set and surveyed. As a result of the catch survey for track #1, the most dominant fish species was the cubed snailfish (38.1%), cutlassfish and beka squid (24.4%) at track #2, and the beka squid (29.3%) at track #3. In the second survey conducted on Apr. 8, 2023, two tracks were set and surveyed, and the most dominant species at track #1 was the skate (42.8%) and sand crab (29.6%) at track #2. As a results, the broadband acoustic scattering pattern of individual echoes, experimentally extracted from the acoustic data obtained during trawl surveys, showed a very complicated spectrums with many lobes and nulls repeated. Fish species identification through wideband acoustic data analysis was compared with the acoustic scattering pattern of the Japanese common squi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of about 20dB at low frequencies (50~150 kHz) at average swimming angles of –5˚ and –10˚ when the Japanese common squid was swimming. When the average swimming angle was +5°, a difference occurred in the frequency between 100 and 200 kHz. And when the average swimming angle was +10˚, a difference occurred in the frequency band when the frequency was 150~300 kHz, but at the average swimming angle of –24˚, it was confirmed that the frequency bands were almost similar. In order to identify fish species acoustic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erification technique and investigate much more information on the broadband acoustic scattering characteristics of the shore fishes in South Korea. 인간 활동의 증가로 환경오염의 증가, 어업자원의 감소로 인하여 어업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과학적인 연근해 어업자원의 평가 및 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기법을 이용한 연근해 어업자원 조사가 수행되고 있다. 최근, 음향 시스템 및 분석 이론의 발전으로 기존의 협대역 음향 시스템에 의한 음향자원조사에서 벗어나 광대역 음향 시스템을 이용한 음향 자원조사 및 대상 생물에 대한 어종판별에 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트롤 조사를 통해 얻은 시험어획조사 결과로부터 종조성, 체장 및 체중 정보를 획득하고, 광대역 과학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얻은 광대역 음향 데이터를 비교하여 광대역 음향 시스템에 대한 어종판별 기법의 활용에 대해 검토하고자 시험 조사를 실시하였다. 시험 조사는 군산대학교 실습선인 새해림호 (T/V, 2,996 G/T)를 이용하여 2022년 9월 17일 및 2023년 4월 8일에 실시하였다. 음향 조사에 사용한 음향 시스템은 split beam 방식의 과학어군탐지기 (Simard EK80, Norway)이고, 주파수 18, 38, 70, 120, 200 및 333 kHz에 대한 음향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시험어획조사는 저층 트롤을 이용하여 대상 생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2022년 9월 17일의 1차 조사에서 정점 1~정점 3까지 1회씩 음향 조사와 동시에 트롤 시험어획조사를 수행하였다. 정점 1에서 얻은 어획 자료 분석결과, 가장 우점하였던 어종은 물메기로서 전체의 38.1%를 차지하였다. 정점 2에서는 갈치와 참꼴뚜기가 각각 24.4%였으며, 정점 3에서 가장 우점하였던 종은 참꼴뚜기로서 전체의 29.3%를 차지하였다. 2023년 4월 8일에 실시한 2차 조사에서는 2개의 정점에서 조사하였는데, 정점 1에서 가장 우점하였던 종은 홍어로서 전체의 42.8%를 차지하였으며, 정점 2에서는 깨다시꽃게가 전체의 29.6%를 차지하였다. 트롤 조사 시 얻은 음향 자료로부터 시험적으로 추출한 개체 에코의 광대역 음향산란 스펙트럼은 많은 lobe와 unll이 반복되는 매우 복잡한 패턴을 나타내는 에코 신호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광대역 음향 자료 분석을 통한 어종 식별은 살오징어의 음향산란 스펙트럼과 비교하였는데, 살오징어의 평균 유영 자세각 –5˚와 –10˚에서는 저주파 (50~150 kHz) 대역에서 약 20dB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평균 유영 자세각 +5˚일 때에는 주파수 100~200 kHz의 대역에서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한, 평균 유영 자세각 +10˚일 때에는 주파수 150~300 kHz의 대역일 때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평균 유영 자세각인 –24˚에서는 주파수 대역이 거의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광대역 음향산란 스텍트럼을 이용하여 이를 개체어의 음향산란 스펙트럼과의 매칭을 통한 어종판별을 위해서는 대상 생물에 대한 광대역 음향산란 특성에 대한 규명과 함께 판단 기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대학생활 스트레스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박혜원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Since 2010, smartphones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as coined by P. S. Jeong (2012), have been considered key term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icating the widespread adoption of smartphones. In line with this trend, university students who respond more sensitively are facing the increasing stress arising from such situations. In the research on university life stress over the past five years, there was a revised version of the College Student Life Stress Scale developed by Jeon, Lee, and Kim in 1991 and modified in 2000. The study exclusively utilized the scale restructured by Lee (2007). Applying scales developed before the advent of smartphones to current university students has limitations, given the emergence of smartphon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measurement tool for university life stress that aligns with the current context.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a university life stress scale and validate its reli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factors and item structures of the university life stress scale?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university life stress scale?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for assessing college life stress.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relevant academic papers, serving as the basis for the scale’s content. The process involved adapting items from existing stress scales and creating new items, resulting in a preliminary set of 51 items. These items underwent refinement and validation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ith an eigenvalue criterion of 1 was used in the exploratory analysis, leading to the extraction of 14 factor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CMIN/DF = 2.106, GFI = .713, IFI = .798, CFI = .795, and RMSEA = .074. An RMSEA value below .05 is considered excellent, and below .08 is acceptable (Kline, 1998), indicating a good fit for this study’s scale. A CMIN/DF value below 3 is necessary for model validity, suggesting that the study’s results are valid. Generally, a CFI value above .90 signifies a good fit; however, the overall fit indices in this study are relatively low. Considering that achieving a high fit can be challenging in fields like counseling and psychology where structures are often complex, or in studies with more than 14 items per factor (Lehrman Waterman & Ladancy, 2001; Tracey & Kokotovic, 1989), these results are noteworthy. The study successfully expanded the domain of college life stress and identified 14 factors. Unlike previous instruments (Jeon Gyeomgu et al., 1991), this study set areas relevant to the current times by adding new subfactors, presenting a differentiated tool. However, the limited sample size meant that the study could not produce fully valid results,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2010년 이후 정보통신 분야의 키워드는 스마트폰과 SNS (피승정, 2012)라 일컬을 정도로 스마트폰이 대중화됐다. 그 흐름에 따라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대학생들은 이런 상황에서 늘어나는 스트레스와 마주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살펴본 대학생활 스트레스 논문에서는 전겸구, 이준석, 김교헌이 1991년에 개발하고 2000년도에 수정한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가 있었고, 이를 이지영(2007)이 다시 재구성한 척도 하나만을 가지고 사용하고 있었다. 스마트폰이 나타나기 전에 개발된 척도가 지금 대학생들에게도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 시점에 맞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학생활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여 그 타당도를 검증하고 자 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척도 요인 및 문항구성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대학생활 스트레스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여 그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문헌검토를 통해 관련된 논문들을 내용영역으로 하여 기존의 스트레스 관련 척도에서 적절한 문항을 빌려와 수정하거나 연구자가 새로운 문항을 개발해 51문항의 예비문항을 만들었다. 최종문항을 완성하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주성분 분석 방식으로 eigen value 1을 기준으로 요인분석한 결과 1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CMIN/DF = 2.106, GFI = .713, IFI = .798, , CFI = .795, RMSEA = .074로 나타났다. RMSEA는 .05이하면 좋은 적합도로 볼 수 있으며 .08이하면 괜찮은 적합도로 볼 수 있다(Kline, 1998). 따라서 RMSEA는 적합도가 양호하게 나왔다고 볼 수 있다. CMIN/DF는 3이하여야 모형의 타당성에 대한 입증이 되므로 본 연구의 결과값은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CFI는 .90이상이면 적당한 적합도 지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감안한다면 전반적인 적합도 지수가 다소 낮게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담 및 심리학 연구에서처럼 구조가 종종 간결하지 않거나 본 연구에서처럼 요인별 14개 이상의 문항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좋은 적합도가 되기가 힘들다는 현상을 함께 고려해야 될 것으로 보인다(Lehrman Waterman & Ladancy, 2001; Tracey & Kokotovic, 1989).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영역을 확장하고 총 14개인 요인을 추출 할 수 있었다. 기존에 선행도구(전겸구 등, 1991)가 개발된 시점과 달리 현 시점에 적합한 영역을 설정하고 새로운 하위요인을 추가하여 차별화된 도구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표집의 수가 제한되어 적합한 결과값을 내지는 못하였기에 사후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보여진다.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소극적 정서 표현의 매개효과

        진선영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lexithymia serves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uring childhood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alexithymia? Does alexithymia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e study surveyed 313 participants through an online platform to achieve its objectives. Out of the responses, 302 were considered vali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non-responsive or irrelevant data. To measure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 modified questionnaire based on Barber's (1996) 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ort (PCS-YSR), tailored by Choi Myung-jin (2010) for college students, was utilized. The Korean version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K), revised by Shin Hyun-gyun and Won Ho-taek (1997), was employed to assess alexithymia. Additionally, a modified version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s (KIIP-SC) was used to measu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9.0, involv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o explore participants' backgrounds, and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α coefficient) for the measurement tool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key variable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lexithymi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Baron and Kenny's (1986)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further confirmed using Sobel tests.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alexithymia. Psychological control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alexithymia, indicating that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control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alexithymi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lexithymia demonstrat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study contributes to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various factors influen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By empirically validating the path through which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via alexithymia, this research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counselors dealing with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fficul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어릴 적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 표현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는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 소극적 정서 표현 간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 간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 표현은 매개효과를 보이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31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한 설문지 중 무응답 및 응답 불성실 결과 11부를 제외한 302부를 최종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측정하기 위하여 Barber(1996)가 개발하고, 최명진(2010)이 대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번안 및 수정한 심리적 통제(Psychological Control Scale- Youth Self-Report : PCS–YSR)척도를 바탕으로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한 설문지와 한국형 대인 관계문제 검사 원형 척도의 단축형(KIIP-SC)을 구성한 척도를 바탕으로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소극적 정서 표현을 측정하기 위하여 신현균, 원호택(1997)이 수정 번안한 한국판 감정표현 불능증 척도(KoreanVersion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TAS-20K)를 바탕으로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19.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문제에 따른 분석 방법은 연구 대상자의 개인적 배경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측정 도구들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 표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 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검증(Sobel, 1982)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 대인관계 문제, 소극적 정서 표현 간의 상관분석 결과 각 변인 간의 상관이 확인되었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대인관계 문제와 정적상관을 보였고, 소극적 정서 표현 과도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대인관계 문제는 증가하고 소극적 정서 표현도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 표현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소극적 정서 표현을 거쳐 대인관계 문제로 이어지는 경로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상담 장면에서 대인관계 문제를 경험하는 대학생들을 이해하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로 인한 소극적 정서 표현을 개선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상담장면에서 치료적인 개입을 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 대학생의 완벽주의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진현옥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According to a study, over the half of the people (53.62%) in Korea show tendencies of perfectionism (Lee et al., 2021). This indicates that a significant proportion of South Korea’s population might be living with perfectionism. University students, who often evaluate their self-worth based on productivity and achievements, are particularly prone to experience mental health issues and feelings of discouragement when they have perfectionist trai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impact of perfectionism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university freshmen, as they shift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and to examine the role of self-compassion as a mediator in this relationships. Th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Question 1: Are there variations in perfectionism, depression, anxiety and self-compassion based on the study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Question 2: Does perfectionism have an effect on depression and anxiety? Question 3: Is there an impact of perfectionism on self-compassion? Question 4: Does self-compassion influence depression and anxiety? Question 5: Does self-compassion serve as a mediator between perfectionism, depression and anxiety? For this study, 317 college students in the Jeonbuk region were surveyed with self-report questionnaires. Excluding 8 with non-responses or insincere responses, 309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21.0, and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correlation analysis, mediation effect analysis by Baron and Kenny (1986), and the Sobel Test.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the study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fectionism, depression, anxiety and self-compassion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fectionism varied notably with academic grades, and self-compassion differed between genders, with males showing higher levels than females. Secondly, perfectionism, depression, anxiety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It showed that the three sub-factors of perfectionism: performance anxiety, expectation recognition, and excessive effort–all them received an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through depression and anxiety. Thirdly, different aspects of perfectionism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s with self-compassion. While performance anxiety and expectation recognition affirmatively impacted self-compassion, excessive effort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suggesting that the perfectionists who want to outperform others, putting in excessive effort are less affected by self-compassion. Fourthly, the mindfulness a component of self-compassion was found to have a affirmatively effect on depression and anxiety. This aspect, which approaches with one’s emotions with open minded, showed that it mitigated feelings of depression and anxiety. Fifthly, the study found that self-compassion ha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 effect on perfectionism, depression and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This led to the influence on depression and anxiety through self-compassion of perfectionis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self-compassion could be an alternative in dealing with the depression and anxiety caused by perfectionism of university students. However, the study also highlights the limitation of using only self-compassion to explain the journey from perfectionism to depression, anxiety and self-compassion, pointing to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with additional variables that may affect these relations. 한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 사람 두 명 중 한 명 이상이(53.62%) 완벽주의 성향을 지닌 것으로 밝혀졌다(이동귀 외, 2021). 이 결과대로라면 대한민국 절반 이상의 사람들이 완벽주의로 살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대학생활에서 완벽주의 특성을 가진 학생들은 자신의 가치를 생산성과 업적으로만 판단하기 때문에 쉽게 좌절하고 정신건강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수행에 있어 남들이 정해놓은 기준을 반듯이 도달해야 하는 목표로까지 생각하는 완벽주의 대학생들은 세대를 지나면서 계속 증가하여, 2050년까지 거의 3명 중 1명의 대학생들이 임상 관련 수준이 될 것이라고 보고하고 있다(Curran & Andrew, 2022). 이에,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관련된 심리적 기제를 밝히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연구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진입하는 대학생들의 완벽주의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완벽주의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완벽주의, 우울 및 불안, 자기자비에 차이가 나타나는가? 연구문제 2. 대학생의 완벽주의는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대학생의 완벽주의는 자기자비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자기자비는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5.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우울 및 불안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는 나타나는가?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북지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17명에게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이 중 다수의 미응답 등 불성실하게 응답한 8부를 제외하고 309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 분석, t-test, 상관 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분석 및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른 완벽주의, 우울 및 불안, 자기자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대학생의 완벽주의는 학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기자비에서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점이 높을수록 대학생의 완벽주의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자비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완벽주의와 우울 및 불안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대학생 완벽주의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수행불안, 기대인식, 과잉노력 모두에서 우울 및 불안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우울 및 불안은 깊어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셋째,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자기자비는 하위요인에 따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완벽주의 중 수행불안이나 기대인식은 자기자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지만 과잉노력은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이는 다른 사람보다 더 잘하고 싶어 하는 스스로의 기준점을 가진 완벽주의자들에게는 자기자비가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넷째, 우울 및 불안과 자기자비에서,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자기자비의 하위요인에는 공통적으로 마음챙김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린 마음으로 자신의 감정에 다가가려고 노력하는 마음챙김은 완벽주의 대학생들의 우울과 불안을 덜어줄 수 있는 요인임을 유의미하게 설명해 주었다. 다섯째. 대학생들의 완벽주의와 우울 및 불안에서 자기자비는 유의미하게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이런 결과는 대학생의 완벽주의가 자기자비를 통해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상담 장면에서 대학생 내담자의 완벽주의 성격을 변화시키는 것보다는 훈련을 통해 자기자비의 수준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자기자비 만으로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완벽주의가 우울 및 불안, 자기자비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평소에 감정의 평정을 유지하거나,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지려고 노력하는 학생들에게는 자기자비가 심리적 어려움을 매개할 수 있다고 설명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추가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최옥성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향후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실천적 정보와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전라북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에 소재한 6개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2023년 7월 13일부터 8월 3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매개효과, t-test, ANOVA, Scheffé 의 사후분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PSS Process Macro 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에 3.76(±0.46)점으로 하부영역별 평균은 간호의 전문성이 4.03(±0.59), 간호실무 역할이 4.00(±0.58), 전문직 자아개념이 3.96(±0.59), 사회적 인식이 3.44(±0.64), 간호의 독자성이 3.22(±0.76)점 이었다. 셀프리더십은 5점 만점에 평균 3.65(±0.47)점으로 하부영역별 평균은 행동중심적 전략이 3.78(±0.47), 건설적 사고전략이 3.60(±0.61), 자연보상적 전략이 3.37(±0.87)점 이었다. 진로정체감은 4점 만점에 평균 2.71(±0.52)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 셀프리더십, 진로정체감의 차이는 진로정체감은 진학 동기(F=23.17, p<.001), 주관적 건강상태(F=7.78, p<.001), 임상실습만족도(F=6.38,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간호전문직관은 진학 동기(F=4.77, p=.009), 주관적 건강상태(F=4.36, p=.014), 임상실습 만족도(F=8.57,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셀프리더십은 임상실습 만족도(F=5.82, p=.004)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진학동기가 적성과 흥미일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정체감이 높았다. 임상실습 만족도는 불만족한 경우보다 보통이거나 만족하는 경우 간호전문직관과 셀프리더십, 진로정체감이 유의하게 높았다. 3. 대상자의 진로정체감은 간호전문직관(r=.42, p<.001), 셀프리더십(r=.70, p<.001)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간호전문직관은 셀프리더십(r=.43,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셀프리더십이 두 변수 간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Sobel test를 통해 확인한 결과 매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Z=6.073, p<.001)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정체감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증진을 위해 간호전문직관뿐만 아니라 셀프리더십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areer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The findings provide useful practical and foundational data for fostering career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40 nursing students from six colleges in Jeollabuk-do, Chungcheongbuk-do, Chungcheongnam-do, and Gyeongsangbuk-do from July 13 to August 3, 2023, through an online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real numbers,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percentage, mediation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Scheffé post-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PSS Process Macro. We used the SPSS/WIN 26.0 software for the analysi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articipants’ nursing professionalism score was 3.76 (±0.46) out of 5. The mean scores per subdomain were 4.03 (±0.59) for nursing expertise, 4.00 (±0.58) for the role of nursing work, 3.96 (±0.56) for professional self-concept, 3.44 (±0.64) for social perception, and 3.22 (±0.76) for nurse identity. The mean score for self-leadership was 3.65 (±0.47) out of 5. The mean scores per subdomain were 3.78 (±0.47) for behavior centric strategy, 3.60 (±0.61) for constructive cognitive strategy, and 3.37 (±0.87) for natural compensatory strategy. The mean score for career identity was 2.71 (±0.52) out of 4. 2.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nursing professionalism, self-leadership, and career identity depending on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Career ident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motivation for enrollment (F=23.17, p<.001), subjective health status (F=7.78, p<.001),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F=6.36, p=.002). Nursing professionalis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motivation for enrollment (F=4.77, p=.009), subjective health status (F=4.36, p=.014),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F=9.10, p<.001). Self-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F=5.83, p=.004). In post-hoc testing, when the motivation for enrollment was aptitude or interest, and when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better,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areer identity scores were higher. When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was “Moderate” or “satisfied,” compared to “Non-satisfaction,” nursing professionalism, leadership, and career identity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3. The participants’ career identit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r=.42, p<.001) and self-leadership. Nursing professionalism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leadership (r=.43, p<.001). 4. Self-leadership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areer identity, and the Sobel test confirm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Z=6.073, p<.001). In conclusion, the findings confirmed that self-leadership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areer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Therefore, we recommend developing programs that promote self-leadership as weas enha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to foster career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 부모화 경험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소극적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오지은 국립군산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examined whether college students' parenting experiences in the past had an effect between passive emotional express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xplored the effect on interpersonal skills according to the parenting experience through passive emotional expression. This aims to improve the interpersonal skills of college students and to prepare basic data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pecific intervention strategies and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counseling situations. This study went through the following research proc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four-year college students located in Seoul, Incheon,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and their parentalization, passive emotional express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levels were measured.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calculat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major variables and measur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and Baron and Kenny's (1986) mediating effect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assive emotional ex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ability. Finally, Sobel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experie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passive emotional ex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abilit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parentalization, a sub-factor of parental experience, and first relationship establishment, a sub-factor of interpersonal ability, limited emotional recognition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parentalization, a sub-factor of parental experience, and dependence on others, a sub-factor of interpersonal ability, limited emotional recogni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nd emotional parentalization, a sub-factor of parental experience, and first relationship establishment, a sub-factor of interpersonal ability, the non-orthodox thinking tendency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Fifth, parental experience could not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limited emotional ex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abilities. Six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arentalization, a sub-factor of parental experience, and self-exposure, a sub-factor of interpersonal ability, the non-orthodox thinking tendency of passive emotional express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Seven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parental experience, self-exposure, a sub-factor of interpersonal ability, and dependence on others, the non-orthodox thinking tendency, a sub-factor of passive emotional express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study foun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al experience, physical parentalization, emotional parentalization, and over-effort influence differently and independently. Physical and emotional parentalization, a sub-factor of parental experience, was significant in one part of interpersonal ability, and over-effort was not.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detailed understanding depending on what kind of parental experience they have in the parental experience, and suggest that a multi-sided interpretation and differential counseling approach are nee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factor. According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difficult for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physical and emotional parentalization in their childhood to recognize their emotions and express them passively according to their emotional response capabilities. It is significant that it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ounseling intervention plans and programs so that they can stay and recognize their emotion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xpress them in their own language.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과거 자신이 겪었던 부모화 경험이 대인관계를 함에 있어서 소극적 정서표현과 대인관계능력 간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소극적 정서표현을 매개로 부모화 경험에 따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는 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여 상담 상황에서 활용 가능한 구체적인 개입 전략 및 프로그램 연구 개발에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정을 거쳤다. 연구 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 충청 지역에 소재한 4년제와 전문대 대학생 300명이며, 이들의 부모화, 소극적 정서표현, 대인관계능력 수준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를 분석하고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계산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표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모델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Sobel 검정을 시행하였다. 연구 분석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화 경험은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표현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화 경험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부모화와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요인인 처음관계맺기 간의 관계에서 제한적 감정인식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부모화 경험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부모화와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요인인 타인 의존성 간의 관계에서 제한적 감정인식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부모화 경험의 하위요인인 물리적·정서적 부모화와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요인인 처음관계맺기 간의 관계에서 비정서적 사고성향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화 경험은 대인관계능력 간 관계에서 제한적 감정표현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여섯째, 부모화 경험의 하위요인 물리적 부모화와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노출간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표현의 비정서적 사고성향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일곱째, 부모화 경험의 하위요인 정서적 부모화와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노출, 타인의존성 간의 관계에서 소극적 정서표현의 하위요인인 비정서적 사고성향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화 경험의 하위요인 중 물리적 부모화, 정서적 부모화, 과잉노력은 서로 다르게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화 경험의 하위요인인 물리적․정서적 부모화는 대인관계능력의 한 부분에서 유의미하였고 과잉노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부모화 경험 안에서 어떠한 부모화 경험을 했느냐에 따라 세부적인 이해를 제공하며, 하위요인별 각각의 특성에 따라 다측면적인 해석과 차별적인 상담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상담자가 어릴 적 물리적·정서적 부모화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이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기를 어려워하고 감정적 반응 역량에 따라 소극적으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이들이 대인관계 내에서 자신의 감정에 머무르며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그것을 자신의 언어로 표현할 수 있도록 상담 개입 방안 및 프로그램 연구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