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교회 성령 쇄신의 문제점 진단과 방향 모색 : 신학생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이원재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4271

        본 연구는 한국 가톨릭 교회의 성령 쇄신 현황을 파악하고 진단하여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해 고찰하고 성령 쇄신이 더 풍요로워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성령 쇄신의 원천인 성경에서는 성령의 움직임이 어떻게 이해되며, 성령 쇄신의 발단과 그 성장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성령 쇄신은 무엇이며, 성령 쇄신이 신앙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셋째, 한국 가톨릭 교회의 성령 쇄신이 가지는 문제점은 무엇이며, 교회 내 다른 운동들과의 연계를 통하여 어떠한 풍요로움을 가져올 수 있는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풀어내기 위하여 한국의 7개 가톨릭 신학대학교 중 3개의 신학대학교 신학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두 457명의 신학생들이 설문에 참여하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이 설문 조사의 결과를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PC+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의 내용과 분석 목적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한 다음, 각 배경 변인에 따른 반응상의 차를 알아보기 위해 X2(chi-square)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연구 문제 1은 성령 쇄신의 원천인 성경에서 이해되는 성령의 움직임에 관한 연구와 성령 쇄신의 발단과 그 성장 과정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구약 성경에서는 창조 질서의 축인 자연과 인간 안에서 하느님의 영(靈)을 힘과 생명력으로 이해하고 있었고, 신약 성경에서는 예수님의 영이 제자 공동체에게 전해져 예수님을 알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성령 쇄신의 발단과 그 성장 과정에서는 미국 듀케인 대학에서 시작된 성령 쇄신이 한국에 들어오게 되면서 교회 안에 영향을 미치게 된 과정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 2는 성령 쇄신이 과연 무엇이며, 신자들의 신앙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 것인지 조사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성령 쇄신이 궁극적으로는 하느님의 성령이 주시는 은사를 최대한 받아들여 신앙 생활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운동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신자들의 신앙 생활에 실질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침으로써 성령 쇄신에 참여한 사람들이 성령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아울러 본 연구의 연구 문제 3은 한국 가톨릭 교회 성령 쇄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진단한 후 그 대책 방안을 제시한 후 교회 내 다른 운동과의 연계를 통해 성령 쇄신이 가질 수 있는 풍요로움에 대해 제안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 과정에서 한국의 7개 가톨릭 신학대학교 중 3개의 신학대학교 신학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한 후 성령 쇄신의 문제점을 진단할 수 있었다. 그런 가운데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드러났고, 특별히 성령 쇄신과 교도권과의 관계에서, 은사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오는 그릇된 은사 사용에서 그 문제가 더욱 심각했다. 따라서 교회 내 여러 학자들과 성령 쇄신 내에서 문제점 극복을 위한 방안들을 참고하여 대안을 제시하였고, 교회 내 다른 운동들, 포콜라레 운동의 새 가정 운동과 소공동체 운동과의 연계를 위한 사목적 검토를 통하여 성령 쇄신이 더욱 풍요로워지고 기초를 단단히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4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성령 쇄신이 교도권의 충실한 지도를 받으며 이 운동을 펼쳐 나가야만 본래 성령 쇄신이 탄생하게 된 그 배경인 신앙 생활의 쇄신이라는 주된 목적을 흐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하는 내용이다. 그것은 성령 쇄신이 그동안 신자들의 영적 성장을 위해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온 동시에 은사에 대한 그릇된 이해 때문에 영적 성장을 저해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미래 사목자가 될 신학생들이 성령 쇄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가지고 신자들의 신앙 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도해야만 더 이상 성령 쇄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이 드러나지 않게 될 것이다. 또, 사회 내 기초 공동체인 가정의 파괴가 심각해져가는 현대 사회 안에서 공동체의 일치를 가져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성령 쇄신이 가정 공동체 안에서 활성화 된다면 가정 파괴라는 사회적 문제도 줄어들 것이다. 그것은 바로 교회 공동체와 관련된 아주 중요한 문제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기초 공동체의 활성화를 가져오는 포콜라레의 새 가정 운동이나 소공동체 운동 등에서 일정 부분을 도입하여 성령 쇄신을 활성화 시키면 좋은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성령 쇄신이 성령의 움직임을 자신 안에 극대화하여 신앙 생활의 쇄신을 가져오도록 하는 것이라 한다면 교회 안에서 올바르게 이해되고 실행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지고 지도하고 보호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imary goal of my research is to find out the present state of the Holy Spirit Renewals for diagnosing actual problems in Korean Catholic Church and to seek the method making the Holy Spirit Renewals more abundant. To achieve the goal, I set three research subjects. First of all, I want to figure out how the movement of Holy Spirit is considered in Bible, the source of the Holy Spirit Renewals, and what the inception of the Holy Spirit Renewals is. The second one is to answer what the meaning of the Holy Spirit Renewals is and what takes place dur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Lastly, I try to find the problem that the Korean Catholic Church has in the Holy Spirit Renewals and things that can be brought through connecting to other movement in the church. To answer these questions, I conducted some surveys which were subject to 477 seminarians in 3 out of 7 seminaries. The data in this paper was analyzed by using SPSS/PC+ 10.0 program which helps compute the frequence rate and percentage according to the context and the aim of the analysis, and I used X²(chi-square) to discover the gap among variables in this study. Let me describe the results of my research briefly in the following. As to the first subject,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movement of Holy Spirit in Bible and the process of the Holy Spirit Renewals from its beginning, I found out that Holy spirit is considered as the energy and vitality that appears through the nature and humans alike. That is the axis of Creation according to the Old Testament. In the New Testament, however, the Holy Spirit takes a role that helps the disciples realize the existence of Jesus. Additionally I could find out the effect on Korean Catholic Church by the influx of the Holy Spirit Renewals that came from Duquesne University in America. The second subject that I mentioned before is to seek what the Holy Spirit Renewals is and how the Holy Spirit Renewals would effect the religious life of the Roman Catholics. While doing the research, I grasped that ultimately the the Holy Spirit Renewals is the movement that helps believers improve their religious life by adopting the grace that the Holy spirit of God gave them. Furthermore, through the Holy Spirit Renewals, believers participating in it can be more susceptible in 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Holy Spirit. The last subject dealt in this research is to diagnose the problems that the the Holy Spirit Renewals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holds and to propose the solutions and the way that can make the Holy Spirit Renewals more abundant. To do the research, I carried out the survey targeting 477 seminarians in 3 out of 7 seminaries. After analyzing the data, I found some problems in the Holy Spirit Renewals. Among the problems, misunderstanding the grace of God and misusing it is the most serious one especially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ly Spirit Renewals and the power of magisterium. Thus, I suggest some alternatives for surmounting the problems referring to the theories some scholars proposed and for laying the foundation of the Holy Spirit Renewals firmly through the ministry by connecting small group activities to other activities in Catholic Church such as new family movement of Focolare movement. As a result, the main point of this research is only when we do the Holy Spirit Renewals under the power of magisterium, we can achieve the primary goal, which is to revive our religious life. It is caused from the fact that the Holy Spirit Renewals can positively effect the spiritual improvement of believers, and at the same time bring negative effects because of misunderstanding God's grace. Furthermore, not to make the problems worse, it is essential that the seminarians who will enter the priesthood comprehend the Holy Spirit Renewals correctly and get upright lessons to be the leader of believers. Additionally it can be assumed that the Holy Spirit Renewalscan lessen family breakdown because the aim of the Holy Spirit Renewals is to bring solidarity in communities in contemporary society, when the basic unities - family - are broken down more easily.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that related to the Catholic church. Thus, if the Holy Spirit Renewals is invigorated with The New Family Movement of Focolare and other small group activities, it will bring the better consequences. Above all things, regarding the Holy Spirit Renewals as the way that reforms religious life by maximizing the movement of Holy Spirit in oneself, the Holy Spirit Renewals should be guided and protected to make the movement understood and carried out more accurately in church.

      •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종교교육에 대한 선생님들의 의식과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 전주교구를 중심으로

        강승훈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4271

        This study has been written to provide a direction forward of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and a basis for religious education by examining teachers' awareness and status for Catholic religious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centering in the Diocese of Jeonju.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three major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First, how is the teachers' overall perception of faith? Second, how is the teachers' perception of religious education? Third, how is the statue of religious education for early Catholic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In this study, therefore, to investigate such questions, catholic teachers who work in Catholic institutions (including the catechumens) in the Diocese of Jeonju were surveyed. Questionnaires were sent to 76 persons and 63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applicat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for Window 18.0 program. The results through data anaysis are as follows. The first question was to investigate teachers' faith consciousness. first of all,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be faithful to Mass going and in prayer as believers in order educate children in the faith properly. Because religious attitudes of teachers has the great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The participation ratio of Mass of teachers surveyed was low. And the ratio of thinking Mass important was high but that of participation was low. Also, the percentage of positive responses in the knowledge of Catholic catechism was not high. There could be several causes for this, but it seems that the teachers have limits to achieve a basic competence as believers. Therefore, the Church should help teachers to inspire devotion and needs to raise the capacity of living evangelical life as proud Catholics. Research Question 2 on the teachers' religious education was to investigate consciousness. The percentage of responses that education institutions need Catholic religiou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was high, an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hink highly of conducting religious education. And even though they conducted religious education, there is not enough time. Catholic religiou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be done by ministers, many teachers answered. This result means they tend to think that it is better for ministers or nuns to do it because of the specialness of religious education. The purpose of Research Question 3 is to reveal the status of Catholic religiou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ith a result, most of Catholic religious institutions were giving religious education to children. Planning religious education, they selected the contents and plan with reference to the liturgical cycle, the Bible, and Catholic catechism, dealing with the subject of Jesus, prayer, and God in order. To conduct religious education, teachers had considerable difficulty, and it was because the religious education curriculum was not available and data on religious education and the opportunities of professional teacher education lacked. Religious education is carried out about once a week in many institutions.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faith education and the basic catechism of the faith that target teachers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s required. Through this curriculum, Catholic faith and professionalism of the catechism for teachers can be nurtured and devotion inspired. Second, even Catholic teachers with degre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ve difficulty in the field of education since professional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the places to share information are none. Thus, the authority should develop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religious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make a systematic, ongoing management and open regular academic meetings to share the information. To achieve this, the systematic study for teacher training should be preceded by scholars who have degrees in early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If these curriculums are provided, Catholic religious education system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will be made. Third, effective and systematic training for parents will be required so that religious education can be made right at home as well as the day care and Kindergarten. Like this, in order that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does not end at the day care and Kindergarten and continue naturally at home, their parents' efforts are urgently needed. 본 연구는 전주교구를 중심으로 한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종교교육에 대한 선생님들의 의식과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종교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선생님들의 신앙에 관한 전반적인 의식은 어떠한가? 둘째, 선생님들의 종교교육에 관한 의식은 어떠한가? 셋째,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종교교육 현황은 어떠한가?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전주교구 내의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천주교 신자(예비신자 포함)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76명에게 설문지를 발송하였으며, 이 중에서 회수된, 총 63명의 응답 내용을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for Window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문제 1은 선생님들의 신앙의식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우선적으로 선생님들이 유아교육기관에서 종교교육을 올바르게 하기 위해서는 선생님 자신이 먼저 신앙인으로서 기도 생활, 미사 참례에 충실해야 한다. 왜냐하면 선생님과 유아들의 상호관계에서 선생님의 신앙적 태도는 유아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선생님들의 미사 참여 실태를 조사한 결과 신앙생활을 열심히 한다는 답변의 비율이 높지 않았다. 그리고 미사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비율이 높게 나왔으나, 미사 참여도는 저조하였다. 가톨릭 교리에 대한 지식 부분에서도 긍정적인 응답의 비율이 높지 않게 나왔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선생님 자신부터 신앙인으로서의 기본역량을 갖추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교회는 선생님들의 신앙심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가톨릭 신자로서 자부심을 느끼며 복음적 생활을 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줄 필요가 있다. 연구문제 2는 선생님들의 종교교육에 관한 의식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에서 종교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고, 또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서 종교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응답한 비율도 높게 나왔다. 반면 종교교육도 함께 실시하고 있었으나 종교교육을 실시하는 시간이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에서 종교교육은 사목자가 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교교육을 특수교육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많아 종교교육은 사목자 곧 신부, 수녀가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연구문제 3의 목적은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종교교육 현황을 밝히는 데 있다.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종교교육 현황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유아교육 기관이 종교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종교교육을 계획할 때 교회의 전례주기, 성경, 가톨릭 교리서를 참고하여 내용을 선정하고 계획을 세우고 있었으며, 그 주제는 예수님, 기도, 하느님에 대한 순으로 많이 다루고 있었다. 종교교육을 실시하는 데 있어 적지 않은 선생님들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는데, 이는 종교교육에 대한 교육과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종교교육에 대한 자료와 전문적인 교사교육의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종교교육은 1주일에 한 번 정도 실시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이 많았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 선생님을 대상으로 하는 신앙교육과 기초교리교육의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서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 선생님들의 신앙과 교리에 대한 전문성을 키워주고, 신앙심을 고취시킬 수 있다. 둘째, 유아교육을 전공한 가톨릭 신자 선생님일지라도 종교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 기회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자리가 없기에 교육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가톨릭 유아종교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관리를 해 줘야 하며, 정기적인 학회를 열어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가톨릭 유아종교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정기적인 학회를 통한 정보 공유의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아종교교육을 전공했거나 관심이 있는 학자들에 의해서 교사 연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이 마련된다면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체계적인 종교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다. 셋째,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서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올바른 종교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모에 대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요청된다. 이처럼 유아의 교육이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서 끝나지 않고 자연스럽게 가정에서도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부모의 노력도 절실히 요청된다.

      •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실태에 관한 연구 : 광주 가톨릭 대학교를 중심으로

        최현철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4271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out the Catholic seminary students' anger management status and the method of solution. First, what is it like for catholic seminary students to express their anger and the feelings of anger? Second, what are the anger releasing methods for catholic seminary students?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117 students in Gwangju Seminary participated in the survey. 115 answer sheets out of total collected ones are used for the study. The materials collected for the study a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s 12.0 to examine the frequency and differences. These are the results proven through analysis of the materials. The subject 1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catholic seminary students' feeling of anger is and what the expression of their anger is. First, as the result of studying the catholic seminary students' the feeling of anger through three sub-variables (aggressive feelings of anger, passive feelings of anger, claiming anger emotion), most of the students who are intending to be priests control their anger emotions well. It shows that seminary students have a passion to be models in communities by following Christ's teaching; seeing the world through God's eyes. Second, as the result of studying the catholic students' anger emotions through three sub-variables (aggressive feelings of anger, passive feelings of anger, claiming anger emotion), most of the seminary students appear to express their angers properly. It shows that because seminary students have been well trained in every area such as sexuality, personality, moral characters, intellectual characters and spiritual characters with special education, they express their angers in positive ways rather negative ways with care and warm perspectives toward the world and neighbours. The subject 2 of the study is to find out how seminary students release their angers. First, as the result of general examination of the way that seminary students use to release their angers, the students appear to use various ways of releasing their angers. They especially release their angers through communication to express their situations and to let others understand them and to be empathetic. Second, by studying the religious aspect of how they release their angers, most of the students control their angers through conversation with fellow seminary students, eucharist adoration and prayers. The students who have the specific mission to be priests try to handle their high emotions through the conversation with God.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ese as follows. Seminary students experience various negative emotions including anger. Therefore it needs to be studied and given attention to in which situation they experience angers and how they express them. There is a need to have the right education that angers which students feel is not necessarily negative. Since most of seminary students have a tendency to perceive high emotions, angers, hot-tempers, harsh words and cussword as sins, it requires concrete efforts to have right and healthy lives through spiritual life, communicative life and sacramental life. It is necessary to help seminary students to express their angers in a healthy way. Anger is considered as one of the seven original sins in the traditional church teaching. However beyond the perception of anger, it is necessary to teach that anger is from God and it is a natural emotion. Through this, the environment which seminary students can express their angers in a healthy way in their spiritual and religious lives can be created. Lastly not only the spiritual counselling but also psychological counselling is needed. Most of the students have a tendency to solve their anger problems through spiritual level. It is needed to have a system with specialized counselors to support and counsel them with daily unstable emotions such as depressions, anxiety, low self-esteem, jealousy and so on. 본 연구는 가톨릭신학생들의 분노 실태와 분노를 해소하는 방법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정서와 분노 표현은 어떠한가? 둘째,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해소방법은 어떠한가?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문제의 규명을 위하여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두 117명의 신학생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설문지 가운데 최종적으로 115명의 응답 내용을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 12.0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여 각 설문에 대한 빈도분석과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연구문제 1은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정서와 분노 표현은 어떠한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첫째,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정서를 3가지 하위 변수(공격적분노정서, 소극적분노정서, 주장적분노정서)를 통해서 알아본 결과, 사제직을 희망하는 신학생들이 대부분 자신의 분노정서를 잘 다스리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신학생들이 이웃과 형제를 사랑하라는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통해 하느님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타의 모범이 되고자 하는 열망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표현을 3가지 하위 변수(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통제)를 통해서 알아본 결과, 대부분의 신학생들이 자신의 분노 표현을 적절하게 표현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신학생들이 신학교의 특수한 교육을 통해서 성, 인성, 덕성, 지성, 영성 등 모든 분야를 통해 양성되어지고 있기에 이웃과 형제들에게 자신의 감정 표출이 부정적이기 보다 긍정적인 표현으로 상대방을 배려하며 세상과 이웃을 보다 따뜻한 시각으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의 연구문제 2는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해소 방법은 어떠한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첫째, 가톨릭 신학생들이 분노가 나는 상황에서 어떻게 해소하고 있는지 일반적인 해소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신학생들은 분노를 다양한 방법으로 해소시키고 있음이 나타났다. 특히 대화라는 창구를 통해 자신의 처지를 밝히고 상대방이 자신을 이해하고, 공감해주는 마음을 통해서 분노를 해소시키고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가톨릭 신학생들이 분노가 나는 상황에서 어떻게 해소하고 있는지 종교적인 해소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대다수의 신학생들이 분노를 해소함이 있어 동료 신학생과의 대화, 성체조배, 기도를 통해서 자신의 분노를 조절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무엇보다 사제직이라는 특수한 사명의식을 지닌 신학생들이 자신의 격해진 감정을 타인이 아닌 하느님과의 대화를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신학생들은 신학교 안에서 분노를 비롯하여 여러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하기에 신학생들이 어떠한 환경에서 분노를 경험하며, 표현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조사와 관심이 필요하겠다. 또한 신학생들이 느끼는 분노라는 감정이 부정적인 감정만은 아님을 올바른 교육이 필요하겠다. 대다수의 신학생들은 격한 감정, 화, 욱하는 성격, 거친 발언, 욕설 등을 죄로 보려는 경향이 많기에 영성생활, 공동체생활, 성사생활을 통해서 올바르고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구체적인 노력이 요청된다. 무엇보다 신학생들이 분노를 건강한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분노를 칠죄종의 하나라는 교회의 전통적인 가르침에서 벗어나 분노가 하느님께서 주신 선물이며, 인간의 자연스런 감정임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그리하여 신학생들이 신앙생활과 영성생활 속에서 분노를 건강하게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분노해소를 위해 영적인 상담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상담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다수의 신학생들이 신앙적인 차원에서 분노를 해소하려는 경향이 많기에 전문적인 심리상담사를 통해서 분노 감정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느낄 수 있는 우울, 불안, 자존감, 시기, 질투 등과 같은 불안정한 감정도 상담해주고 지원해주는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 복지국가 위기론에 대한 연구 : 가톨릭교회 입장에서

        김관우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4271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인간으로서 기본적인 권리를 갖게 된다. 따라서 인간이면 누구나 그에 합당한 권리를 요구할 수 있고, 받을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인간 생명의 존엄성 때문이다. 또한 인간은 그 홀로 살아갈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 어느 일정한 지역의 사람들이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하고 그 공동체의 힘을 통해 자신들의 삶의 안정과 평화를 도모한다. 이러한 공동체를 국가라 한다. 따라서 국가는 그곳에 속한 이들의 삶을 보장해줄 의무를 지닌다. 국가는 곧 국민을 위해 존재한다. 이러한 국민을 위한 국가의 모습은 국민을 위한 복지정책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히 드러난다. 1970년대를 전후하여 서유럽 국가들은 본격적인 시장경제를 바탕으로 하는 자본주의의 확산을 통한 도시화, 산업화 등으로 생겨나는 빈민들과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생존권 보장을 위한 투자와 제도의 발전이 시작된다. 이러한 국가의 모습을 일컬어 복지국가라고 말한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 전 세계적으로 불어 닥친 경제침제로 인해 서유럽국가를 중심으로 확대되어가던 복지국가는 커다란 위기에 봉착하게 된다. 경제 침체의 원인이 국가의 지나친 복지정책 때문이라는 주장이 대두되기 시작한다. 이때 과거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한 시장의 자유경쟁 원리를 통한 국가와 개인의 발전을 추구했던 자유주의의가 그 이름을 바꾸어 신자유주의로 다시 등장하게 된다. 이들은 시장에 대한 맹신을 바탕으로 세계화를 전개해 나간다. 세계화에 있어 국가는 자유로운 시장경쟁 원리를 방해하는 장벽일 뿐이다. 더욱이 세계화를 주도하는 국가와 그 기구들은 과거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통해 막대한 이익을 챙긴 몇몇의 거대 자본국과 그 세력을 등에 업은 초국적 기업들이다.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서 가장 문제를 삼는 것은 바로 다국적기업이라든지 국제 경제기구들의 정책과 활동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국가의 복지정책이다. 그들은 국가의 복지부분도 자유시장 경쟁원리에 맡긴다면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하나의 이상일 뿐 현실은 그렇지 않다. 제3세계 국가는 물론이거니와 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도 양극화의 문제, 실업자 문제 등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폐해에 대한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국민의 복지는 곧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이며, 경제 논리보다 앞서는 문제이다. 복지국가의 복지정책은 곧 가톨릭교회의 하느님 나라의 실현은 넓게 보면 같은 선상에 있다. 그러기에 가톨릭교회의 사회교리에서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경제정책에 대해 경제는 어디까지나 인간을 위한 봉사이어야 하지 인간의 삶을 위협하는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됨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과거 국가 복지정책의 보조적 역할만을 수행해 왔던 가톨릭교회의 사회복지 활동이 이젠 좀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수준으로 향상되어야 한다. 이상의 내용을 본고는 다루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하여 복지국가의 위기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크게 세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복지의 문제는 인간의 존엄성이라는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둘째,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를 주도하는 소수의 거대 자본국을 견제 할 수 있는 국제적 차원의 경제기구가 설립되어야 한다. 셋째, 가톨릭교회의 사회복지 활동은 그 고유성을 지속해 나가면서도, 국가정책과의 긴밀한 연대성 안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복지활동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 Every man has right basic authority. Therefore, man can require his own right and can take it. That’s because of sanctity and dignity of every human life. And also man is not able to live alone either. The people, awho live in certain place, get together and make their own community and promote rest and peace of a life through strength of the community string. We call this ‘Nation’. Therefore, a nation has a duty ensuring to keep people’s rest and peace of a life. Nation exists for the people. National welfare shows clearly how much nation provide things for people. Before and after 1970’s, invest and system startto develop to guarantee the poor citizens who are the weak from West Europe’s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is situation called Welfare Nation. However, Welfare nation, which was magnified a West Europe nation, encountered with a large crisis in late 1970’s. Some people assert that economic recession is from exceeding welfare. At this time, liberalistic economy, which toward a personal development from free competition, has been change name as Neo-liberalistic. Neo-liberalistic spread out with over-credulity. Nation is just an obstacle a free market competition principle. And also some nations got enormous profits from two World Wars. Neo-liberalistic raise question about nation welfare which blocking progress in international economic structure. They assert national welfare should leave with free market system. But that assertion is just ideal assertion not in actuality. In many situations show Neo-liberalistic effect of globalization in the third world nations. Especially the problems of a positive pole court protection problem, an unemployed person are very serious. It is not only in the third world nations but also in some countries in Asia. This and Catholicism meeting social welfare action of a past nation welfare policy that has performed only supporting role are more systematic now, and it must be improved with a professional level. This is covering contents of ideal. And I am presenting 3 with a plan I do this contents with a base, and to weather in the crisis that the welfare is national big. The first, a problem of the welfare must be handled in a dimension called human dignity. An economy organization of an international dimension for a check to be able to do a few gigantic capital soups which do it even if the second, a Neo-liberalistic Globalization are given must be established. Though the third, Catholicism meeting social welfare action continue the characteristic and go out, more is systematic, and put on a display of professional welfare action in a strict regiment anger of national policy and must go out.

      • 양극화 사회에 대한 교회의 역할 모색 : - 빈첸시오 성인의 영성을 중심으로 -

        김영호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4271

        오늘날 사회에는 경제적 양극화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경제 소득의 양극화는 자연스럽게 정신문화의 양극화를 양산한다. 그래서 부유층과 빈곤층 간에 갈등을 유발시켜 공동체성을 파괴하고 개인 안에 담겨진 인간성을 파괴시킨다. 계층구조 안에서 서로를 부정적으로 평가하거나 자본의 관점, 또는 실용의 관점으로 다른 이들을 바라보게 한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경제·사회 영역뿐 아니라 교회 안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주제인 것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고는 양극화 사회 안에서 교회의 역할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먼저 제1 장에서는 양극화의 개념을 정의하고 통계자료를 토대로 현대 사회의 양극화 실태를 파악하였다. 제2 장에서는 가난과 부, 그리고 나눔에 대한 교회의 입장을 정리하였다. 양극화 사회에서 교회의 역할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이에 대한 교회의 입장을 밝혀야 하기 때문이다. 먼저 성경에서 이들을 바라보는 관점을 정리하였고, 그 다음으로 가톨릭 사회교리를 바탕으로 사유재산과 나눔, 그리고 경제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시각을 정리하였다. 제3 장에서는 양극화 사회에서 교회의 역할을 모색하였다. 필자는 특별히 빈첸시오 성인의 영성과 활동을 그 모델로 삼았다. 영성과 삶이 통합 된 점, 물질적 도움과 영적인 도움을 잘 안배한 점, 시대의 요청에 귀를 기울이면서 가난한 사람들과 부유한 사람들의 다리 역할을 한 점을 특별히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 교회에서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역할들을 몇 가지 제안해 보았다. - 소공동체를 활성화하여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것. - 하느님 나라를 위한 자발적 가난, 곧 청빈의 삶을 사는 것. - `되살이'활동, `아름다운 가게'와 연계, `한끼 100원 나누기 운동' 등을 장려하여 일상생활에서 물질적·영적 나눔을 실천하는 것. - 사회교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교회의 입장에서 세상을 바라볼 수있는 안목을 키우는 것. - 사회 책임투자 운동을 알려 기업들의 윤리적 운영을 강화시키는 것. 이 밖에도 조금만 관심을 갖는다면 교회의 더 다양한 역할들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우리가 몸담고 살아가는 사회와 영성이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기억하고, 우리 각자가 현실에 뿌리 내린 신앙인으로 살아가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se days, our society has been economically bi-polarized. Naturally the difference of incomes between many people who are rich and poor produce bi-polarized of spiritual culture. So economically bi-polarized makes many people to have confliction and destroys community including individual personality. In the economic system of society, people usually evaluate each other as practical or negative view. Therefore not only society but also Catholic church, it is important subject to study. Based on this problem, this thesis searches for the role of Catholic church in bi-polarized society. At first, based on research we will make a general idea for bi-polarized society, in chapter 1. In chapter 2, we will see position of catholic church about riches, poverty and beneficence. If we want to see the role of Catholic church in bi-polarized society, we ought to see position of Catholic church. First in the Bible we will make a general idea how to see various persons who are rich and poor. Second, based on the Catholic social teachings we will see private property, beneficence and economy. In chapter 3, we will search for the role of Catholic church in bi-polarized society. Especially I focused on St. Vincent's spirituality and movement as a model. Because he was good example of the man who combined spirituality and life, trying to hear the needs of change of time and made a connection between rich and poor people. Based on this fact, I suggest some of possible roles in modern Catholic church. - making recover community by revitalizing `small community'(소공동체). - living voluntary poverty for kingdom of heaven. - performing material-spiritual beneficience in ordinary life by various movement(ex: `되살이', `아름다운 가게', `한끼 100원 나누기 운동' 등). - making a view of Catholic church's situation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ocial dogma. - let enterprise know `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and strengthen ethical business. If we are trying to concern about the other things we can find more positive role of Catholic church. Through this thesis, I want everyone to become religious by making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spirituality. This thesis help us to understand modern spirituality of Catholic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