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실태에 관한 연구 : 광주 가톨릭 대학교를 중심으로

        최현철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4303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out the Catholic seminary students' anger management status and the method of solution. First, what is it like for catholic seminary students to express their anger and the feelings of anger? Second, what are the anger releasing methods for catholic seminary students?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117 students in Gwangju Seminary participated in the survey. 115 answer sheets out of total collected ones are used for the study. The materials collected for the study a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s 12.0 to examine the frequency and differences. These are the results proven through analysis of the materials. The subject 1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catholic seminary students' feeling of anger is and what the expression of their anger is. First, as the result of studying the catholic seminary students' the feeling of anger through three sub-variables (aggressive feelings of anger, passive feelings of anger, claiming anger emotion), most of the students who are intending to be priests control their anger emotions well. It shows that seminary students have a passion to be models in communities by following Christ's teaching; seeing the world through God's eyes. Second, as the result of studying the catholic students' anger emotions through three sub-variables (aggressive feelings of anger, passive feelings of anger, claiming anger emotion), most of the seminary students appear to express their angers properly. It shows that because seminary students have been well trained in every area such as sexuality, personality, moral characters, intellectual characters and spiritual characters with special education, they express their angers in positive ways rather negative ways with care and warm perspectives toward the world and neighbours. The subject 2 of the study is to find out how seminary students release their angers. First, as the result of general examination of the way that seminary students use to release their angers, the students appear to use various ways of releasing their angers. They especially release their angers through communication to express their situations and to let others understand them and to be empathetic. Second, by studying the religious aspect of how they release their angers, most of the students control their angers through conversation with fellow seminary students, eucharist adoration and prayers. The students who have the specific mission to be priests try to handle their high emotions through the conversation with God.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ese as follows. Seminary students experience various negative emotions including anger. Therefore it needs to be studied and given attention to in which situation they experience angers and how they express them. There is a need to have the right education that angers which students feel is not necessarily negative. Since most of seminary students have a tendency to perceive high emotions, angers, hot-tempers, harsh words and cussword as sins, it requires concrete efforts to have right and healthy lives through spiritual life, communicative life and sacramental life. It is necessary to help seminary students to express their angers in a healthy way. Anger is considered as one of the seven original sins in the traditional church teaching. However beyond the perception of anger, it is necessary to teach that anger is from God and it is a natural emotion. Through this, the environment which seminary students can express their angers in a healthy way in their spiritual and religious lives can be created. Lastly not only the spiritual counselling but also psychological counselling is needed. Most of the students have a tendency to solve their anger problems through spiritual level. It is needed to have a system with specialized counselors to support and counsel them with daily unstable emotions such as depressions, anxiety, low self-esteem, jealousy and so on. 본 연구는 가톨릭신학생들의 분노 실태와 분노를 해소하는 방법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정서와 분노 표현은 어떠한가? 둘째,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해소방법은 어떠한가?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문제의 규명을 위하여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두 117명의 신학생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설문지 가운데 최종적으로 115명의 응답 내용을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 12.0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여 각 설문에 대한 빈도분석과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연구문제 1은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정서와 분노 표현은 어떠한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첫째,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정서를 3가지 하위 변수(공격적분노정서, 소극적분노정서, 주장적분노정서)를 통해서 알아본 결과, 사제직을 희망하는 신학생들이 대부분 자신의 분노정서를 잘 다스리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신학생들이 이웃과 형제를 사랑하라는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통해 하느님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타의 모범이 되고자 하는 열망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표현을 3가지 하위 변수(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통제)를 통해서 알아본 결과, 대부분의 신학생들이 자신의 분노 표현을 적절하게 표현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신학생들이 신학교의 특수한 교육을 통해서 성, 인성, 덕성, 지성, 영성 등 모든 분야를 통해 양성되어지고 있기에 이웃과 형제들에게 자신의 감정 표출이 부정적이기 보다 긍정적인 표현으로 상대방을 배려하며 세상과 이웃을 보다 따뜻한 시각으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의 연구문제 2는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해소 방법은 어떠한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첫째, 가톨릭 신학생들이 분노가 나는 상황에서 어떻게 해소하고 있는지 일반적인 해소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신학생들은 분노를 다양한 방법으로 해소시키고 있음이 나타났다. 특히 대화라는 창구를 통해 자신의 처지를 밝히고 상대방이 자신을 이해하고, 공감해주는 마음을 통해서 분노를 해소시키고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가톨릭 신학생들이 분노가 나는 상황에서 어떻게 해소하고 있는지 종교적인 해소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대다수의 신학생들이 분노를 해소함이 있어 동료 신학생과의 대화, 성체조배, 기도를 통해서 자신의 분노를 조절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무엇보다 사제직이라는 특수한 사명의식을 지닌 신학생들이 자신의 격해진 감정을 타인이 아닌 하느님과의 대화를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신학생들은 신학교 안에서 분노를 비롯하여 여러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하기에 신학생들이 어떠한 환경에서 분노를 경험하며, 표현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조사와 관심이 필요하겠다. 또한 신학생들이 느끼는 분노라는 감정이 부정적인 감정만은 아님을 올바른 교육이 필요하겠다. 대다수의 신학생들은 격한 감정, 화, 욱하는 성격, 거친 발언, 욕설 등을 죄로 보려는 경향이 많기에 영성생활, 공동체생활, 성사생활을 통해서 올바르고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구체적인 노력이 요청된다. 무엇보다 신학생들이 분노를 건강한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분노를 칠죄종의 하나라는 교회의 전통적인 가르침에서 벗어나 분노가 하느님께서 주신 선물이며, 인간의 자연스런 감정임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그리하여 신학생들이 신앙생활과 영성생활 속에서 분노를 건강하게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분노해소를 위해 영적인 상담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상담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다수의 신학생들이 신앙적인 차원에서 분노를 해소하려는 경향이 많기에 전문적인 심리상담사를 통해서 분노 감정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느낄 수 있는 우울, 불안, 자존감, 시기, 질투 등과 같은 불안정한 감정도 상담해주고 지원해주는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 광주지역 가톨릭 도입과정과 노안 본당의 역사 : 노안 본당 100년사

        김경욱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4303

        No-ahn parish (old Gye-ryang parish church), which was established in 1908, is the oldest parish church second to the Sanjung-dong parish (old Mok-po parish) established in 1897, and is a parish with long history enough to celebrate an anniversary mass for the 100th in 2008. However, there is a lack of historical data to shed new light on the historical value of No-ahn parish, and even the existing data are actually disappearing due to the inadequate storage. Therefore, the necessity of collecting and organizing data related to No-ahn parish has been brought up consistently in the diocese. A review on the history of No-ahn parish is an examination of the primary images of the archdiocese of Gwang-ju beyond simply revealing the historical facts of a parish itself. Because No-ahn parish is where the archdiocese of Gwang-ju strengthened itself basing on developing into the present condition and it is a local foundation that could make diocese into the present position. Economic and educational situation of No-ahn was poor because it locates geographically in the suburb of Na-ju and agriculture were considered as a primary industry. Contrary to the this poor situation, the fact that the seeds of the gospel were sown and reared this evangelical local community gives us a meaningful message. Not only that, but how they maintained a religious belief in various historical circumstances over 100 years gives a high historical value. The historical values of No-ahn paris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established and has been maintained since Jo-seon diocese periods till the jurisdiction was transferred to the establishment of Dae-gu archdiocese, and once again belonged into the archdiocese of Gwang-ju, as like No-ahn Parish experienced and encountered change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Secondly, the No-ahn parish, which was established in 1908 experienced the First and Second World War and vacancy of a parish priest during the Korean War, and has maintained faith, even when the number of inhabitants decreased due to the farm-abandonment phenomenon in 70~80’s. This fact that the No-ahn parish affrontedmany historical changes would be historically valuable. Thirdly, as the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preading Catholicism in Gwang-ju area, they paved the foundation for the people of Jeollanam-do province, where it once was a barren wilderness of catholicity, to be expanded as today. Fourthly, they are maintaining the existence as an extraordinary catholic village of the archdiocese of Gwang-ju, and they can be established as a model of belief in the diocese. Fifthly, the edifice itself can be considered as a representative of the auditorium-typed Western catholic architecture among churches which were construct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has a historical value as the first Catholic church around Gwang-ju in the regional point of view.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situations of Jeollanam-do and process of establishment until the No-ahn parish was constructed, and investigated difficulties how the priests went through in evangelizing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Korean War. Also, this study will research efforts how No-ahn parish made to spread the Gospel around the regional community through education projects, and how No-ahn parish is maintaining evangelical community with the village community and living today. And this thesis also tries to get a useful for those whom live today. Specially, in regards to the founding year of the parish, this study will investigate Father Noh Jacob’s argument that the parish was established in 1895, and tries to insist that the No-ahn parish was constructed in 1908 by criticizing his argument providing truth worthy data. However, in spite of the trial to collect all related materials on No-ahn parish for this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as far from sufficient. Therefore, I, personally, hope and pray for being supplemented through studies by church and the academic sphere in the future. 노안 본당(옛 계량 본당)은 광주대교구에서 1897년에 설립된 산정동 본당(옛 목포 본당) 다음으로 1908년에 설립된 가장 오래된 본당이며, 2008년에 본당 설립 100주년 감사 미사를 봉헌했을 정도로 역사가 깊은 본당이다. 그러나 노안 본당이 지닌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할만한 역사적 자료가 부족하고, 기존에 보관되어 있던 자료들도 보관 미숙으로 소실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그동안 노안 본당에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작업의 필요성이 교구 내에서 꾸준히 제기되었다. 노안 본당의 역사를 조명하는 작업은 단순히 한 본당의 역사적 사실을 밝히는 차원을 넘어서서 광주대교구 초기의 모습들을 살펴보는 작업이다. 광주대교구가 지금의 모습으로 성장하는데 그 초석을 닦은 곳이기 때문이다. 노안은 지리적으로 나주에서도 외곽지역에 있으며 전통적인 농업을 주업으로 삼는 곳이기 때문에 경제적․교육적 상황이 열악했다. 그런 곳에 복음의 씨앗이 뿌려져 지금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며 지역사회와 교회가 일치된 복음적 공동체를 이루고 있음은 그 자체로 많은 교훈을 준다. 그 뿐 아니라 100년이 넘는 시간을 지내면서 여러 역사적 상황들 속에서도 신앙을 유지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가치를 높게 평가할 수 있다. 노안 본당이 가진 역사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교구 시절에 설립되어 유지해오다가 대구교구가 설립되면서 관할이 이관되었고 최종적으로 광주교구 소속이 됨으로써 한국 천주교회의 변화를 온 몸으로 겪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둘째, 1908년에 설립된 노안 본당은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 한국전쟁 때에는 주임신부가 공석인 상황을 겪었으며 70~80년대 이농현상이 심화되어 교세가 줄어드는 상황에서도 신앙을 유지해 나갔다. 이처럼 한국의 역사적 변화를 온몸으로 겪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셋째, 광주지역에 천주교가 전해지는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천주교 신앙의 불모지였던 전라남도 지역의 교세가 오늘날처럼 확장될 수 있었던 기틀을 마련하였다. 넷째, 광주교구의 보기 드문 교우촌으로서 현재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며 교구 내에서 신앙의 모범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섯째, 성당 건물은 일제 강점기에 건축된 성당 중 강당형 서양 성당건축 유형을 대표할 수 있는 성당이라 할 수 있으며, 지역적으로도 광주인근 지역에 처음 생긴 성당 건축물로서 역사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또한 노안 본당이 생기기까지 전라남도의 상황과 설립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후의 교세 확장과정과 제2차 세계대전 및 한국전쟁 때에 겪었던 사제들의 어려움에 대해서 살펴본다. 또한 노안 본당이 펼쳤던 교육사업들을 통해 지역사회를 복음화 시키기 위해 노력했던 바를 살펴보고, 노안 본당이 마을 공동동체와 어떻게 복음적 공동체를 이루어가며 생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며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얻고자 한다. 특별히 본당 설립년도와 관련하여 1895년에 본당이 설립되었다는 노 야고보 신부의 주장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에 대해 근거 자료들을 비판하고 반박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노안본당이 1908년에 설립되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한편 본 논문을 진행하기 위해 노안 본당과 관련된 자료들을 최대한 수집하려고 노력했으나 자료들이 턱없이 부족했다. 따라서 이후에 교회와 학계에서 이어지는 연구를 통해 보완되기를 희망한다.

      • 은총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과 현대적 이해

        이정현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4287

        중세 이후 하느님으로부터 점점 멀어져가는 현대인들이 그분의 사랑인 ‘은총’을 제대로 이해하고 받아들여 그분께로 가까이 다가가는 것에 본고의 목적이 있기에, 신학적 의미로서의 ‘은총’을 바탕으로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을 통한 현대적 이해를 시도하고자 했다. 따라서 신학의 근간이 되는 성경을 통해 은총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했고,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을 알기 위해 ‘은총의 박사’로 불리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은총론에 대해 깊이 다루었으며, 또한 은총에 대한 보편적인 결론을 내리기 위해 개최되었던 여러 공의회들을 탐구하였다. 특히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을 이해하기 위해「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중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은총’ 개념의 현대적 이해를 돕고자 했다. 그리고 여러 공의회와 교회의 교리서를 통해 가톨릭 교회의 은총에 대한 개념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현대 신학자들의 의견을 통해 현대적 시각으로 은총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먼저 구약성경에서 하느님의 은총의 실체를 정확하게 표현하지는 않았지만, 이는 하느님께서 인간에게 자신을 온전히 내어주시는 ‘사랑’으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이스라엘을 구원하시기 위해 선택하시고 계약을 맺으셔서 계약 상대자에게 아무런 조건 없이 탁월한 자유로서 당신의 우정과 도움을 주시고 미래를 약속하며 구원의 길로 이끄신다는 점과, 인간의 불충실함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인물들을 선택하여 끝까지 신의를 다해 약속을 지키시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서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점은, ‘선택’은 오로지 하느님의 조건 없는 사랑에서 출발하고, 또 하느님께로부터 온다는 것이다. 또한 하느님과 인간의 관계를 ‘계약’이라는 개념으로 표현한다는 것은 하느님과 인간의 밀접한 상호 관계를 의미하며, 이는 하느님께서 인간사에 직접 개입하시나 인간 스스로 행동할 수 있게 하고 계약을 실천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신다는 것이다. 신약성경에서도 구약성경과 유사한 의미로 ‘은총’을 드러내고 있다. 공관복음에서는 하느님 나라의 기쁜 소식으로, 요한복음에서는 인간을 구원하시기 위해 당신의 생명을 주신 생명의 선물, 성령의 선물, 예수의 활동의 선물, 천상의 빵, 말씀의 선물, 영광의 선물 등으로 나타난다. 한편 바오로 사도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나타난 아버지 하느님의 선물이고, 또한 인간에게 깊이 침투해서 그들을 해방하고 멸망으로부터 구원하며, 새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게 하는 그분의 무조건적인 사랑으로, 베드로 사도는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에 의해 이룩된 구원 업적으로서 인간을 향한 자비로우신 하느님의 관대하고도 조건 없는 호의로 ‘은총’을 표현했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인간에 대한 하느님의 무한한 사랑을 사도들이 직접 체험했음을 알 수 있다. 역사적 예수를 직접 증거할 수 있는 사도들이 사라지자 교회의 은총에 관한 논쟁은 예수에 대한 실체, 성령, 삼위일체에 대한 것이었고, 이로써 동방교회와 서방교회가 개념의 차이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물론 이 논쟁은 성경을 바탕으로 한 해석의 차이였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나름대로 개념을 정리해가던 교회는 서로 다른 입장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혼란한 상황 속에서 아우구스티누스가 은총에 대한 방대한 연구를 시작하게 되고, 펠라기우스와의 논쟁을 통해 결국 서방교회의 은총을 정립하게 된다. 펠라기우스가 하느님의 은총의 의미를 축소하고 인간의 이성과 능력을 강조한 것에 대해, 아우구스티누스는 전적으로 ‘은총’을 강조하면서 하느님의 은총이 주어지지 않으면 인간은 올바로 자유의지를 행할 수 없다고 반박한다. 이러한 그의 은총이 여러 공의회를 거치면서 다듬어져 가톨릭 교회의 은총의 핵심이 되었고,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에 입각해서 편찬된「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통해 현대 가톨릭 교회의 핵심적인 가르침이 되었다. 그리하여 교리서의 은총에 대한 최근의 경향인 ‘인격적 관계’, 곧 하느님께서 주신 은총의 인격적 관계 안에서, 하느님의 뜻대로 인간을 이끄시는 공동체적 관계 안에서, 그리고 하느님 나라의 완성을 위해 살아가는 종말론적 관계 안에서 ‘은총’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도 현대 신학자들 사이에서 은총에 대한 논쟁이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교회의 혼란도 종종 발생한다.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하느님께서 인간에게 조건 없이 주시는 ‘은총’을 체계화하고 연구할 때에는 근본적으로 성경의 가르침에 그 근거를 두어야 하고, 그것을 토대로 우리는 하느님의 은총을 체험하고 그 은총 안에서 종말의 완성을 위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예수님께서 저녁때가 되면 산으로 올라가 간구하셨고, 죽음을 앞둔 마지막 순간에도 피땀을 흘리시며 하느님께 간절히 바치셨던 기도, 곧 “아버지, 아버지와 제가 하나인 것처럼 그들도 하나 되게 해 주십시오”라는 그분의 기도가 이루어진다면, 예수님께서 주고 가신 평화가 이 땅에 내려와 이곳이 바로 지상 낙원이 될 것이다. 이러한 은총을 Since the Middle age, Almost people have been fall away from Go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morden people to understand his love and take it. It may give a direction morden people to follow God closely. So, Writer try to give a teaching of catholic church and the understanding in modern society about grace The content of this thesis will be progressed basis on Bible. First, find out the meaning of grace which is based on Bible second, make a research on study of Augustinus about grace based on the teaching of catholic church. in additon we will treat the understanding of doctrinal council which was held in the history of catholic church so as to understand the teaching of catholic church easily. Especially we will study 「가톨릭 교회 교리서」deeply, Because it may give a the understanding of modern society about it. and try to find out general idea base on doctrinal council and teaching of catholic church include opinion of modern theologian. First of all, in the old testament grace was not expressed correctly. But it is interpreted the love of God that has given himself completely. Because God made a covenant with Israel for saving themselves. He gave himself freely to them without requirement in addition he promise the future of Israel and keep making a friendship with them even though human broke the old covenant that God and Israel were made together. everytime when people broke the old covenant, God selected new predictor and made him declare justice of God. That is important point. choice is started from God without conditional contract besides To exp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as covenant means familiar relation. It also means human has responsibility to keep covenant with God. God always made a intervention in world that was created but he gave freedom to human to select God truly and he make a way to people who follow him. In the new testament the meaning of grace is similar to old testament. grace is appeared in the synoptic Gospels as good news for saving human and in John's Gospel it is appeared as present of life, present of holy spirit, present of Jesus christ and so on. Saint paulo expressed grace as present of God that is appeared by Jesus christ. He made every people to get freedom from sin and save their life. The love which Jesus christ offer people get rebirth as christian who is sons and daughters of God and Saint petro expressed grace as salvation of Jesus christ who has died and rising again. the love who Jesus christ offered to us without any requirement. Based on this fact, we can understand all apostle have experienced God love that is for human. When apostle disappeared who was a living witness, discussion on grace started in catholic church. At first time discussion was God who is consist of God, Jesus christ, and Holy spirit. and later East church and West church were separated, because of general idea. of course, This discussion was Based on Bible, but time passed by they had chosen each way. In this confusion saint Augustinus had started study on grace. He made a theology of grace through discussion with Pelagius. Pelagius reduced the meaning of grace and emphasized on reason and ability of human. so Augustinus emphasized on the meaning of grace consequently about Pelagius's opinion. He said that if we had not receive the grace of God, we could not use our freedom that we had taken by God. In history of catholic church, It came to a kernel of theology through doctrinal council. In additoon In recent times Ⅱvatican doctrinal council which was held in 1964 and「가톨릭 교회 교리서」which was published by catholic church, they expressed teaching of cathoilc church on grace well. So grace is interpreted as personal relationship which indicate in recent trend. also we can understand grace on the relatioship which lead human and to live for establishing the kindom of heaven. but this discussion which is going on in modern theologian. sometimes problem has happened by them. The one fact that was accurate is teaching on grace must be based on Bible Based on this fact, we have to advance in grace toward God. Everytime in evening Jesus prayed to God on the mountain and the last time before death he prayed sincerely, They may all be one as if you and I are one(John 17,21) If pray of him would be accomplished, world is going to be alive in peace. we hope the grace Jesus gave to us and he will come again.

      •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종교교육에 대한 선생님들의 의식과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 전주교구를 중심으로

        강승훈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4287

        This study has been written to provide a direction forward of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and a basis for religious education by examining teachers' awareness and status for Catholic religious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centering in the Diocese of Jeonju.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three major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First, how is the teachers' overall perception of faith? Second, how is the teachers' perception of religious education? Third, how is the statue of religious education for early Catholic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In this study, therefore, to investigate such questions, catholic teachers who work in Catholic institutions (including the catechumens) in the Diocese of Jeonju were surveyed. Questionnaires were sent to 76 persons and 63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applicat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for Window 18.0 program. The results through data anaysis are as follows. The first question was to investigate teachers' faith consciousness. first of all,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be faithful to Mass going and in prayer as believers in order educate children in the faith properly. Because religious attitudes of teachers has the great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The participation ratio of Mass of teachers surveyed was low. And the ratio of thinking Mass important was high but that of participation was low. Also, the percentage of positive responses in the knowledge of Catholic catechism was not high. There could be several causes for this, but it seems that the teachers have limits to achieve a basic competence as believers. Therefore, the Church should help teachers to inspire devotion and needs to raise the capacity of living evangelical life as proud Catholics. Research Question 2 on the teachers' religious education was to investigate consciousness. The percentage of responses that education institutions need Catholic religiou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was high, an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hink highly of conducting religious education. And even though they conducted religious education, there is not enough time. Catholic religiou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be done by ministers, many teachers answered. This result means they tend to think that it is better for ministers or nuns to do it because of the specialness of religious education. The purpose of Research Question 3 is to reveal the status of Catholic religiou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ith a result, most of Catholic religious institutions were giving religious education to children. Planning religious education, they selected the contents and plan with reference to the liturgical cycle, the Bible, and Catholic catechism, dealing with the subject of Jesus, prayer, and God in order. To conduct religious education, teachers had considerable difficulty, and it was because the religious education curriculum was not available and data on religious education and the opportunities of professional teacher education lacked. Religious education is carried out about once a week in many institutions.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faith education and the basic catechism of the faith that target teachers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s required. Through this curriculum, Catholic faith and professionalism of the catechism for teachers can be nurtured and devotion inspired. Second, even Catholic teachers with degre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ve difficulty in the field of education since professional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the places to share information are none. Thus, the authority should develop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religious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make a systematic, ongoing management and open regular academic meetings to share the information. To achieve this, the systematic study for teacher training should be preceded by scholars who have degrees in early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If these curriculums are provided, Catholic religious education system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will be made. Third, effective and systematic training for parents will be required so that religious education can be made right at home as well as the day care and Kindergarten. Like this, in order that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does not end at the day care and Kindergarten and continue naturally at home, their parents' efforts are urgently needed. 본 연구는 전주교구를 중심으로 한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종교교육에 대한 선생님들의 의식과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종교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선생님들의 신앙에 관한 전반적인 의식은 어떠한가? 둘째, 선생님들의 종교교육에 관한 의식은 어떠한가? 셋째,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종교교육 현황은 어떠한가?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전주교구 내의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천주교 신자(예비신자 포함)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76명에게 설문지를 발송하였으며, 이 중에서 회수된, 총 63명의 응답 내용을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for Window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문제 1은 선생님들의 신앙의식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우선적으로 선생님들이 유아교육기관에서 종교교육을 올바르게 하기 위해서는 선생님 자신이 먼저 신앙인으로서 기도 생활, 미사 참례에 충실해야 한다. 왜냐하면 선생님과 유아들의 상호관계에서 선생님의 신앙적 태도는 유아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선생님들의 미사 참여 실태를 조사한 결과 신앙생활을 열심히 한다는 답변의 비율이 높지 않았다. 그리고 미사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비율이 높게 나왔으나, 미사 참여도는 저조하였다. 가톨릭 교리에 대한 지식 부분에서도 긍정적인 응답의 비율이 높지 않게 나왔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선생님 자신부터 신앙인으로서의 기본역량을 갖추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교회는 선생님들의 신앙심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가톨릭 신자로서 자부심을 느끼며 복음적 생활을 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줄 필요가 있다. 연구문제 2는 선생님들의 종교교육에 관한 의식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에서 종교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고, 또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서 종교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응답한 비율도 높게 나왔다. 반면 종교교육도 함께 실시하고 있었으나 종교교육을 실시하는 시간이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에서 종교교육은 사목자가 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교교육을 특수교육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많아 종교교육은 사목자 곧 신부, 수녀가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연구문제 3의 목적은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종교교육 현황을 밝히는 데 있다.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종교교육 현황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유아교육 기관이 종교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종교교육을 계획할 때 교회의 전례주기, 성경, 가톨릭 교리서를 참고하여 내용을 선정하고 계획을 세우고 있었으며, 그 주제는 예수님, 기도, 하느님에 대한 순으로 많이 다루고 있었다. 종교교육을 실시하는 데 있어 적지 않은 선생님들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는데, 이는 종교교육에 대한 교육과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종교교육에 대한 자료와 전문적인 교사교육의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종교교육은 1주일에 한 번 정도 실시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이 많았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 선생님을 대상으로 하는 신앙교육과 기초교리교육의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서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 선생님들의 신앙과 교리에 대한 전문성을 키워주고, 신앙심을 고취시킬 수 있다. 둘째, 유아교육을 전공한 가톨릭 신자 선생님일지라도 종교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 기회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자리가 없기에 교육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가톨릭 유아종교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관리를 해 줘야 하며, 정기적인 학회를 열어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가톨릭 유아종교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정기적인 학회를 통한 정보 공유의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아종교교육을 전공했거나 관심이 있는 학자들에 의해서 교사 연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이 마련된다면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체계적인 종교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다. 셋째,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서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올바른 종교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모에 대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요청된다. 이처럼 유아의 교육이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서 끝나지 않고 자연스럽게 가정에서도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부모의 노력도 절실히 요청된다.

      • 가톨릭 청년들에 대한 신앙 실태 조사 연구 : 전주교구 가톨릭 청년을 중심으로

        송현석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기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교회가 가톨릭 청년들의 신앙 성숙을 위해 어떤 도움을 줘야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우선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청년기의 중요성과 청년기에 대한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고 실질적으로 가톨릭 청년들의 신앙 실태와 원의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와 다른 선행 연구를 비교 분석하여 가톨릭 청년을 위한 사목적 대안들을 제공해 보았다. 먼저, 제 1장에서는 서론 부분으로 연구의 필요성, 연구의 목적, 연구 문제, 연구의 범위 및 한계를 기술함으로써 본연구의 전체적인 방향성과 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한 장으로 청년기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들을 토대로 청년기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시도하였고, 청년기에 이루어져야할 “성숙한 신앙 생활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제 3장에서는 연구 방법 부분으로 청년들의 신앙 생활 실태와 청년들이 교회에 원하는 점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선택한 설문 조사의 대상, 조사 내용, 자료 수집 및 자료 처리 방법을 소개하였다. 제 4장에서는 연구 결과 및 분석 부분으로 최종적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신앙 생활 실태를 다음의 8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이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조사 대상에 대한 1) 일반 사회 인구학적 특성 2) 일반 종교적 특성 3) 기도 생활 4) 단체 활동 5) 교육 프로그램 6) 전례 생활 7) 신앙 생활 전반 8) 교회 인식. 제 5장에서는 연구에 대한 논의 부분으로서 본 연구자가 자료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의 주요 핵심적 결과에 근거하여 전체적인 맥락에서 각 부분별 실태, 문제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성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6장은 요약 및 결론 부분으로서 먼저, 논문 전체에 대한 요약을 하였고, 이어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청년 신앙 성숙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실천적인 제언을 하면서 종합적인 결론을 내렸다. 또한 차후의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realistic issues that rise during maturity of faith while adolescence and seek the solution through specific support. Through various theories, we can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 and its importance in one’s life, also through survey, I am going to find real base of adolescence real conditions and their intention of the faith. Finally with the result of above tests and theories, I am trying to analyze and compare with other preceding studies to suggest alternative plan for pastoral adolescence. First, chapter 1 offers necessity, purpose, problem, rang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to show basic direction where it should be heading to. The chapter 2 tries to introduce psychological theories behind adolescence and lead them to right direction using those theories, as well as emphasize on importance of education for matured religious life. Chapter 3 describes objects and contents of survey, what adolescence truly wants from the church, and explains basic conditions of data and how they are collected. Chapter 4 is based on analyzing the results. Categorized into 8 sections that apply the subject’s religious life, which follows; The object about 1) Characteristic of social demography, 2) Characteristic of general religion, 3) Life of pray, 4) Group activity, 5) Educational Program, 6) Ritual Life, 7) The whole faithful life, 8) Church recognition. Chapter 5 discusses about pros and cons of the issues and the right direction to solve problem. Chapter 6 describes the abstract and its conclusion. It summarized the whole thesis first, then conclude totally, base on the result of this study, practical proposal about scheme for the maturity of faith to young people. Moreover, I suggest more effective and proposal for the future studies to 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