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독교 대학교의 학원 선교에 관한 연구 : 관동대학교를 중심으로

        김달환 관동대학교 선교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projects focuses on the effective role for the evangelical mission of education institutes, especially through the example of Kwandong university whose founding spirit is the main ideas of Christianity, which are faith, hope, and love.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when Protestant Christianity came over to the land of Korea, the Korean Christianity has been so rapidly grown up that many other Christian nations cannot disregar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its rocket-like growth. Interestingly enough, its amazing growth has not been limited to the realm of churches, but also importantly has given some strong impacts upon the secular world of education in such a way of establishing many schools on the basis of the Christian spirit. Most of Christian mission schools have made attempts to evangelize their students with the Christian messages grounded on the Scripture. They have posed their major goals to bring up lots of good Christian workers for the Korean society, which would be fully Christianized through the gospels of Jesus Christ. They have been founded to be a crucial means of Christian evangelization. However, it also true that most of Christian mission schools in Korea did not completely achieve what they had planned and expected for the evangelization of Korean society. In general, they put their mission aims i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ducation, and tried to come true them simply in terms of teachings and practices. This made a mistake to overlook the concrete living situations of their students as well as what they thought, what they felt, and what they wanted. To edify students with the Christian teaching and practice is not just to imbue them with the Christian concepts. It required, before that,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ir specific way of thinking and living in actual contexts. In my idea, most of Christian mission schools have failed to meet such fundamental requirements for the effective evangelical education of Korean students. They should change their past teaching strategies and methods for the appropriate reconstruction of their teaching mission in the light of revolutionary socio-cultural and techno-scientific change today. Without the deep consideration of this changing development, the evangelical goal of Christian mission schools will be hardly attained. This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research project searching for the fruitful roles of Christian mission schools. This projects begins with the theoretical reflection on the historical identity of Christian mission schools in Korea, and deal with the evangelical education history of Kwandong university as a significant example of Korean Christian mission schools. Then it discusses about the current problems of Christian mission schools today on the basis of a specific question-and-answer card research, and suggests an alternative way for the renewal of Christian mission schools, which emphasizes the need to reform some education strategies and actual teaching courses, such as mandatory courses of chapel worship and the understanding of Scriptures. Of course, this work does not completely cover all issues of Christian mission schools. But I do hope that it be a meaningful foundation to develop them in such a way that all Korean Christian mission schools are complimented to glorify God. Ⅰ장에서는 서론으로 본 논문에 대한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및 범위를 우리 대학교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논하였다. Ⅱ장에서는 학원선교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로 학원 선교의 개념을 살펴보았고, 학원 선교의 배경을 역사적인 부분과 신학적인 부분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으며, 아울러 한국에서의 학원선교의 역사를 한국 땅에 선교사가 공식적으로 들어왔던 1885년 이후부터 1900년대 초반기까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교 현장으로서의 대학 선교의 특징과 대학생 선교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우리대학교의 학원 선교 53년의 역사를 설립배경, 태동기(1954-1969), 성장기(1970-1988), 발전기(1989-2000), 도약기(2001-현재)로 나누어서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대학청년의 정황적 실상인 정체성의 혼란, 고독, 대학의 문화에 대해 자세하게 연구 분석 하였다. Ⅲ장에서는 기독교 학교에서의 효과적인 학원 선교의 대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우리 대학교 1학년 26개학과 315명에게 5개 영역 ①학교 정체성에 관한 사항 ②기독교 교과목에 수업에 대한 반응 ③채플에 관한 사항 ④종교관에 관한 사항 ⑤현재 기독교(개신교, 천주교) 학생들의 신앙상태 조사 사항으로 나누어서 신앙 의식구조 설문조사를 하여 설문 응답자 203명의 응답 결과를 근거 자료로 하여, 학원 선교의 현 상황을 자세하게 분석하였으며, 학원 선교에 당면한 문제점을 찾는데 주안점을 두어 효과적인 학원 선교 방안을 찾는데 주력하였다. Ⅳ장에서는 5개영역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 자료를 가지고 효과적인 학원 선교를 위한 방안으로 선교전략을 3가지 측면 ①학교의 구조적인 면을 통한 선교전략 ②기독교 교과목을 통한 선교 전략 ③채플을 통한 선교 전략으로 세분화하여 기독교 이념으로 세워진 우리 대학교 8045명의 재학생에게 구체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학원 선교 전략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는 학교정책을 통한 구체적인 선교전략으로 본 학교가 기독교 학교임을 알릴 수 있는 학교의 기반 조성 및 다양한 매체를 통한 교내·외에 학교 홍보 , 학생들의 신앙상담을 제시하였다. 둘째는 기독교 교과목을 통한 선교전략으로 교수가 기독교 교과목을 수업하는 첫 강의 시간에 구체적으로 강의의 목적 및 학교의 설립이념과 취지 및 목적의 자세한 설명을 통한 선교전략과 강의 내용을 통한 선교전략, 강의 방식을 통한 학원 선교전략을 제시하였다. 셋째는 채플을 통한 선교 전략으로 예배의 기본 방향을 통한 선교전략, 예배의 본질은 변함이 없지만 신세대의 문화에 맞는 예배 형태를 통한 선교전략, 학생들이 채플만을 전용으로 드릴 수 있는 장소를 통한 선교전략, 설교를 통한 선교전략 대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총 결론부분으로 논문을 마무리하면서 지금까지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였다. 기독교 학교에서 하나님이 기뻐하시고 영광이 되는 학원선교를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기독교 학교의 각종 정책을 통한 선교전략과 기독교 과목을 통한 구체적인 선교전략 및 채플을 통한 선교 전략을 연구하여 실행에 옮기는 것뿐만 아니라, 기독교에 학교에 들어와 학원 선교에 매진하고 있는 교수들과 직원들이 지속적으로 학원 선교를 할 수 있도록 그들에게 신앙의 성장과 성숙을 위한 성경공부, 양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과 대학교 안에서 활동하고 있는 선교 단체들이 연합하여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선교방법 및 선교프로그램 개발, 교목실과 대학교회를 통한 구체적이고도 다양한 선교 전략, 기독교 학교들과의 연합을 통한 선교 전략 등을 비롯한 학원 선교 전략들이 향 후 구체적이고도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라고 본다.

      • 문제해결방법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 모형개발 및 효과 연구

        박주연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정보화 시대에 주목받고 있는 ‘자기주도학습’이라는 개념이 대학 교육현장의 실제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자기주도학습을 개념화시키고 그것에 따라 문제해결방법을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ㆍ적용하여 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력과 학업성취도에 끼치는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따라서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자기주도학습을 개념화 시키고, 그것에 따른 문제해결방법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정했다. 이러한 연구는 대학교육 관계자들로 하여금 교수-학습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기주도’라는 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자기주도학습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구성 틀과 수업방법을 제공하는데도 기여할 것이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로는 다음과 같다. a. 문제해결방법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 모형은 어떻게 개발될 수 있는가? b. 문제해결방법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 모형의 효과는 어떠한가? a) 개별학습·협력학습에 따라 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력에 변화가 있는가? b) 개별학습·협력학습에 따라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c) 자기주도학습력과 학업성취도 사이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c. 문제해결방법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 모형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실험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은 강원도 지역에 소재한 K대학교 사범대에 개설된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동질집단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분류하여 실험집단은 문제해결방법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을 3개월에 걸쳐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교사주도의 획일적인 강의식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문제해결방법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 모형은 자기주도학습이라는 개념을 이루고 있는 구성요인들이 교수-학습 전 과정에 적절히 반영되어 있는 수업모형이라 하겠다. 이렇게 개발된 수업모형을 실제로 적용하여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과 학업성취도에 나타난 변화를 측정하여 그 효율성을 검증해 보았으며, 그 검증 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하였다. 검사도구로는 본 연구자가 본 연구의 취지에 맞게 개발한 자기주도학습 검사와 학업성취도 검사, 자기평가와 동료 평가 그리고 K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강의평가를 활용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11.0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검증 방법으로는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t검증, F검증, Scheffe test, 상관분석 그리고 빈도 분석을 이용했다. 즉, 개발된 검사도구의 적절함과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했으며,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들은 F검증과 t검증을 통해 집단별 및 집단간 사전-사후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개념화시킨 자기주도학습이 학업성취와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했으며, 학생들이 실험기간동안 작성한 자기평가서와 동료평가서 그리고 강의평가의 내용들을 빈도 분석하여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방법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3을 제외한 다른 연구집단의 자기주도학습력이 전체적으로 하락하였다. 실험집단3의 자기주도학습력 향상 역시 의미 있는 수준은 아니었다. 또한 타인주도학습 집단(실험1, 비교)과 자기주도학습 집단(실험2, 실험3)으로 분류하였을 때 자기주도학습 집단은 자기주도학습 구성요인 중 일부가 상승된 요인들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해결방법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을 실시한 결과 예습을 위한 형성평가를 활용한 집단(실험1, 실험3)의 학업성취도가 의미 있는 수준에서 향상되었다. 또한 이 두 집단의 1차 검사와 2차 검사 결과를 비교했을 때 2차 검사의 결과가 의미 있는 수준에서 향상되었다. 반면 토론ㆍ발표 수업만을 실시했던 자기주도학습 집단(실험2)과 비교집단은 의미가 없지만 학업성취도가 소폭 하락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기가 진행 될수록 학습과제와 학습분량이 많아지면서 학생들의 학습 이해도, 성취도가 떨어지거나 혹은 향상되지 않았음을 확인 시켜 준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념화 한 자기주도학습과 그 구성요인이 과연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력과 학업성취가 서로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자기주도학습의 구성요인 중 자아인식과 학습전략 그리고 학습상황은 밀접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학습동기는 1차 검사를 제외하고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다른 내용으로 추후 연구가 더욱 필요함을 시사한다 하겠다. 넷째,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토론ㆍ발표수업이 실시되는 자기주도학습 집단(실험2, 실험3)의 학생들에게 소집단 협력학습이 잘 이

      • 무들 커스터마이제이션 가이드라인 개발 및 적용 사례

        박선균 관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07

        이러닝의 보급 확대와 유러닝의 등장으로 인해 학습 관리 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 이하 LMS)의 활용이 활발하다. 각 학교에 맞춰진 LMS를 도입하려면 상용 LMS를 도입하거나 개별 구축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한다. 두 방법 모두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들고 지속적 발전을 위한 비용도 높아서 학교가 추진하기 어려운 방법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개소프트웨어 LMS를 활용할 수 있다. 공개소프트웨어는 많은 분야에 걸쳐 활용률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LMS 분야에서도 공개소프트웨어의 활용이 점차 늘고 있다. 단, 공개소프트웨어 LMS를 도입하려면, 기관별 특화 요구사항에 맞추어 소프트웨어를 수정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공개소프트웨어는 수정 작업에 필요한 충분한 산출물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커스터마이징 과정이 어렵고 비효율적이다. 이런 제약점으로 인해, 더 많은 학교가 공개소프트웨어 LMS 도입을 추진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개소프트웨어 LMS인 무들을 학교에 도입함에 있어 필수적인 커스터마이징 요구사항을 식별하였다. 식별한 요구사항을 수용하기 위해 필요한 무들 설계 내용을 정리하고 커스터마이징 절차를 체계화 하였다. 무들 활용에 필수적인 사용자와 강좌 정보를 기존 학사 시스템으로부터 얻을 수 있도록 무들이 정의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사상을 스키마와 제약조건 등으로 정리하였고, 학사 시스템과 연동하는데 필요한 단계와 각 단계별 작업을 가이드라인으로 체계화 하였다. 또한 새로운 학습 활동이나 학습 자원을 추가하기 위해 필요한 플러그인 개발 지침서를 작성하였고, 기존 무들 함수 라이브러리를 체계화함으로 새로운 플러그인 개발에 재사용함으로써 개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관동대학교 특화 요구사항을 수용하는 과정에 제안한 가이드라인을 적용하면서 제안한 가이드라인들의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학사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서 사용자 및 강좌 정보를 얻어 환경 구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였다. 플러그인 개발 지침에 따라 학생별 학습시간관리 학습 활동을 새로운 플러그인으로 쉽게 추가할 수 있었다. 또한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해 무들의 유러닝 플랫폼을 확장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가이드라인은 추후 학교별 특화 요구사항을 처리하는 과정에 충분한 개발 지침서가 될 수 있으며, 추가로 제공한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은 유러닝 범위 확장에 기여하였다. As e-learning and u-learning are widely adopted in school,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is getting more important. Commercial LMS or system integration project for building its own LMS are available for adopting the LMS into the school. But these approaches are high cost so that not many school development should not take them. Open Source Software(OSS) might be the alternative way since these days many verified OSS are used in many areas and several OSS LMS are avaliable. Customization is necessary to adopt OSS since every organization has own requirements. OSS customization is not easy since OSS does not support enough documents for developers. It is the reasons why the schools hesitate to select OSS LMS. In the thesis, essential requirements for Moodle customization at schools are identified. For each requirement, customization guidelines and design documents are suggested. User and course information are necessary for Moodle which are already stored at adminstration system. So these information can be migrated from legacy system. In this thesis, database scheme and constraints are documented and detail procedures for data migration are defined. Plug-in development manual for developing the new learning activities or learning resources are defined. Also reusable functions are classified and catalogued so that the developers can reuse them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To verify the usability, Moodle customization guidelines are applied into Kwandong university. User and course information of existing administration system can be easily migrated into new LMS. New learning activity, personnel study process management, is easily added as plug-in development guidelines are applied. Also, new Android app is developed for u-learning. Suggested Moodle customization guidelines can help the customization process to be easier and efficient and Android app can extend the u-learning platform.

      •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의 조절효과 : 강릉 단오제를 중심으로

        포미옥 관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07

        국문초록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관여도의 조절효과-강릉 단오제를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대학원 포미옥 지도교수 유승동 본 연구는 강릉 단오제에 참가하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지역축제에 대한 서비스품질이 방문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또한, 지역축제의 방문객의 만족과 충성도 간에서의 방문객의 축제에 대한 관여도의 조절적 효과가 실증적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강릉 단오제에 대한 방문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더 나아가 강릉의 방문객 유치를 극대화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을 유형성, 신뢰성, 확신성, 공감성, 반응성으로 구분하여 각 변수들의 개념을 정리하고, 방문객 만족, 충성도, 축제관여도에 관하여 문헌적 연구를 통한 이론적 틀을 완성하고자 한다. 둘째, 지역축제에 대한 서비스품질이 강릉단오제에 방문한 방문객의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셋째, 지역축제인 강릉단오제에 방문한 방문객의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축제관여도가 어떠한 조절효과 영향을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실증분석을 통해 강릉단오제를 방문한 방문객들에게 평가되어진 지역축제에 대한 서비스품질에 대한 문제점을 규명하고, 향후 지역축제에 대한 방문객 유치증진, 지역축제의 홍보 등 지역문화 관광산업의 활용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려 한다. 본 연구는 앞서 제시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과 방문객 만족과 충성도, 관여도에 대한 문헌연구방법과 실증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3년 6월9일부터 16일까지 강원도 강릉에서 개최되는 강릉 단오제에 참가하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방문객들이 직접 작성하도록 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questionnaire)으로 시행하였고, 총 300부를 배포하여 267부를 수거하여 그 중 수집된 설문지들 가운데 응답이 부적절하거나 신뢰도가 낮다고 판단되는 설문조사서는 제외시켜 유효설문지 200부만을 분석에 적용시켰다. 회수된 자료는 SPSS 12.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주성분 분석, 그리고 Cronbach's ɑ 값을 이용한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H1),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만족에 유의한 정(+)영향을 미칠 것이다.”로 결과는 일부 서비스요인이 방문객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는데, 모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 중 반응성, 확신성, 유형성 및 신뢰성이 높을수록 방문객 만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H2), “방문객 만족이 충성도에 유의한 정(+)영향을 미칠 것이다.”로 분석 결과는 방문객의 만족이 충성도의 하부요인인 재방문의도 및 구전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며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방문객 만족이 높아질수록 재방문 의도 및 구전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H3), “서비스품질은 충성도에 유의한 정(+)영향을 미칠 것이다.” 로 분석 결과는 일부 서비스요인이 방문객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는데, 모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 중 반응성 및 신뢰성이 높을수록 방문객 충성도가 높아져 이웃에게 축제참석 권유의사 및 방문객들의 재방문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H4), “관여도는 방문객 만족과 충성도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로 분석결과는 관여도는 방문객 만족과 충성도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관여도가 증가할수록 방문객 만족, 재방문 의도 및 구전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경과는 강릉 단오제에 참가하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지역축제에 대한 서비스품질이 방문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를 비롯한 여러 연구를 토대로 지역축제의 주제별, 지역별 등의 표본을 더욱 세분화 시켜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추측되며, 지역축제 서비스품질평가에 있어서도 보다 다양한 통계기법이나 평가방법을 도입하여 지역축제 전반에 걸친 서비스품질을 평가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

      • 가정예배를 통한 기독교 가정의 회복

        박선희 관동대학교 선교신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07

        국 문 초 록 가정예배를 통한 기독교 가정의 회복 박 선 희 관동대학교 선교신학대학원 가정의 소중함에 대해서 설명하지 않아도 행복한 가정을 이루는 것은 모든 사람들의 바람일 것이다. 행복한 가정은 부모 자녀가 서로 사랑하고 존중하며 위로를 받는 안식처이기도 하지만 행복한 가정은 아무 노력도 없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가족구성원들이 서로 노력하며 애쓴 결과이기도 하다. 현대사회가 주는 편리와 물질의 풍요로움은 삶의 질을 높여 주고 자아실현과 더불어 더 나은 삶으로의 전환을 유도하지만 그 속에서 우리는 많은 것들을 얻기도 하고 반면 소중한 것들을 잃기도 한다. 경쟁력에 있어서 뒤쳐지지 않는 삶을 살려고 노력하는 가운데 가정의 위계질서가 무너지고 그로 인해서 가장으로서의 권위는 땅에 추락하고, 가족 구성원들 서로간의 대화 소홀은 세대 차이를 극복하지 못한 서로 다른 세계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 지금의 실정이다. 기독교 가정도 하나님의 창조하신 목적대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살아가는 모습이 되어야 하지만 현실의 이런 문제점들 앞에서 세상의 가정과 똑 같은 모습으로 붕괴되어져 가고 있다. 하나님의 창조 목적을 되새기고 자녀들이 하나님의 말씀 안에서 바르게 신앙생활을 하고 자라날 때 하나님의 목적에 맞는 삶을 영위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가정이 바르게 서기 위해서 이 시대에 기독교 가정에 꼭 필요한 것이 가정 예배인 것이다. 가정예배는 하나님의 자녀 된 자가 하나님께 예배하는 가장 기본적인 자세로서 기독교 가정에서 하루 중 가족구성원들이 잘 모일 수 있는 시간을 선택하여 하나님께 찬양하고 말씀 읽고 기도하는 시간인 것이다. 예배를 드리는 자는 가장인 아버지가 될 수도 있고 아버지 부재의 가정인 경우나 아버지가 믿음이 연약한 가정일 경우 어머니나 자녀가 인도자가 될 수 있고 예배를 인도하는 인도자에 있어서 유동성 있게 하면 될 것이다. 인도자는 기도로 예배를 준비하되 가족 구성원들에게 강압적인 모임이 되지 않도록 유의를 해야 하고, 예배 가운데 성령의 인도하심이 함께 하시도록 그래서 가족 구성원들이 살아계신 하나님을 만나는 시간이 되도록 인도해야 한다. 기독교 가정 안에서 가정예배를 드리게 됨으로서 믿음 안에서 바르게 자라난 자녀들은 세상의 기준으로 삶을 살아가게 되지 않고 하나님의 기준대로 세상을 살아가게 되며 세상이 감당하지 못하는 자녀들로 자라나게 될 것이다. 세상의 험난한 파도 가운데서 기독교 가정도 세상 사람들이 겪고 있는 문제를 똑 같이 겪게 되지만 흔들리는 풍랑 속 뱃전에서도 주무셨던 주님의 평안이 그리스도를 구주로 고백하는 기독교 가정 안에 임하게 될 것이다. 그것은 바로 가정 예배를 통해서 하나님께서 주시는 참 평안을 가족 구성원들이 먹고 나누는 삶을 살게 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가정예배는 가정을 회복하는 지름길이 될 것이고 가정 구성원들이 하나님의 자녀로서 믿음 안에서 바르게 살도록 인도되며 후손에게 믿음을 유산으로 남길 수 있는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 대학 신입생의 수학적 배경과 대학수학 교과목의 성취도에 관한 연구 : : 영동지역 대학교를 중심으로

        정수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07

        During the recent years at an engineering college located at the local areas in Korea, more than 20% of freshmen had failed their First College Mathematics course. In result, many of them struggled with their major courses that required the mathematical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reasons why engineering students academically fail and to suggest an alternative of the curriculum. Using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s, w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mathematical abilities and analyze how they are related to their grades of the First College Mathematics of the midterm examination . We have found that the students who did not learn calculus at high school are more likely to fail at their First College Mathematics. Thus we suggest that universities offer a new preparation course for students who did not learn calculus to take before they take the First College Mathematics course. We also suggest university professors to write appropriate text books and develop proper methods of teaching.

      • 노인보건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장분성 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07

        노인보건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aged health policy 장 분 성 관동대학교 경영행정 사회복지대학원 행정학과 (지도교수 박 근 후)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노인인구 증가는 선진국에서 나타나는 보편적 현상과는 다르게 우리나라가 유례없이 빠른 고령화를 보이고 있는 것은 저 출산율 때문이다. 이렇게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증가세가 앞으로 계속된다면 오는 2026년이면 노인인구 비율이 20.8%로 도달하여 초 고령사회가 될 전망이며, 현 추세가 지속된다면 2050년에는 노인인구 비율은 40%에 육박하여 노인인구비율이 세계 최고령 국가로 될 확률이 더 높을 것으로 본다. 또한 21세기가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고령화 사회로, 노인들의 만성퇴행성질환 및 장애가 가장 중요한 사회 문제로 부각되면서, 노인보건정책의 중요성이 더 한층 집중관심과 노력이 총체적으로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그에 따른 노인의료비 지원 문제 해결을 위해 국가차원에서의 노인보건정책 방향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급증가하는 노인인구에 대하여 이론적 근거로 노인의 건강 문제로 발생되는 건강수명 저하, 의료비증가, 만성질환의 증가에 따른 기존지침을 참고로 하고, 외국사례, 우리나라의 선행연구 등에 대한 검토로 노인보건 정책수행을 위한 관련법을 조사하고 재정비 안을 가지고 제도와 조직의 전달체계에 대한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하며, 기존정책을 수행하면서 생긴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대안을 찾아 더 한층 좋은 노인보건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본 연구의 범위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초기의 2001년부터 지금까지의 기존정책 수행 지침을 근거로 하고, 학자의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하고, 선행연구의 검토와 외국의 사례를 참고로 하여 노인보건정책의 법, 제도, 조직의 전달체계가 어떻게 변화되었고, 어떻게 변화 되어야하는지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방법 본 연구는 문헌자료를 통한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노인보건정책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학문적 이론, 학자(Nagi)의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하고, 기존 정책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분석하고 외국 사례와 우리나라 선행연구 자료를 참고로 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질적 사례연구이다. (1) 기초자료조사 학문적 고찰, 학자Nagi 등의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조사, 선행 연구자의 보고서 내용 조사(선우덕 외(2005),고령화 사회에서의 노인보건의료체계 구축방안, 선우덕(2006),노인보건사업의 정책방안, 선우덕·김세진·모선희(2012),선진국의 고령사회정책: 유럽국가의 활기찬 노후정책을 중심으로, 김남순 외(2012), 근거중심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정책분석 과 개선방안.), 노인보건정책에 관련된 법령 및 제도를 조사, 노인보건사업과 관련한 정부기관 및 문헌자료를 통해 조사(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저 출산 및 고령사회기본법, 2001년~2011년 보건복지백서,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포럼, 연구보고서, 통계청 자료 등을 활용), 노인보건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조직구성 및 전달체계를 조사 (2) 참여관찰조사: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로의 관련법, 정책, 조직의 전달체계가 연계성 있게 이루어진다면 포괄적인 노인보건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볼 수 있어 기존정책 수행과정에 발생된 문제점을 통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3. 연구 결과 지금까지 노인건강증진정책을 법규, 제도, 사업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효율적 운영방안을 제시 하였다. 그 결과 현재 추진되고 있는 보건과 복지의 정책이 상호보완적이면서 유동적인 연계성을 가지고 건강유지증진과 병후치료가능집단에 대한 법적근거로 활용 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연구결과 장애발생과정 연구에서 Nagi등의 건강한 집단, 신체적 자립집단, 허약 집단, 장애 집단 등 4단계의 분류는 한국의 실정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왜냐하면, 허약노인의 경우는 관리만 잘 이루어지면 건강한 노인으로 갈 확률이 더 높기 때문이다. 허약노인의 경우는 현재 상태의 유지로 건강증진을 도울 수 있는 기회제공을 더 많이 하도록 한다면 건강한 노인 집단으로 갈 가능이 매우 높으므로, 건강한 노인과 허약노인, 만성질환을 가진 경증장애노인, 말기환자로 중증장애노인 등 3단계로 분류 할 필요가 있다. 향후 초 고령사회 로 급속히 진입하는 한국사회의 현실에서 노인의 건강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인보건정책을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 한다.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우울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박현미 관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앞으로 우리의 미래를 이끌어 나갈 대학생들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하는 정신적인 건강을 이루고 건전한 사회 뿐만아니라 자기성장과 자아실현을 이루는데 필요한 내면적인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요인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우울, 대인관계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그에 따른 관련성과 영향력을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자존감을 높이고 스트레스와 우울을 적극적으로 대처하면서 극복해나가면서 원활한 대인관계를 하도록 하기위해 도움을 주기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 효능감, 스트레스, 우울, 대인관계는 배경변인(성별, 학년별, 계열별, 거주지별, 이성친구유무별, 생활수준별, 부․모교육수준별, 가정 분위기별, 양육태도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우울 그리고 대인관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우울의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에 영향을 예측하는 변수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강릉시내에 소재하는 3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500명을 표집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4개의 검사 도구를 연구대상자들에게 설문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총 417부 중에서 불확실하거나 불성실한 경우를 제외한 총 396부(남자 232명, 여자 164명)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정리 된 자료는 SPSS(ver 15.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지료의 통계처리는 정리된 자료의 기초 통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에 관한 각 배경 요인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한 측정도구(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우울, 대인관계)의 신뢰도를 구하기 위하여 Cronbach's Aipha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각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우울 그리고 대인관계를 검사하였으며, 그 결과처리를 위하여 차이분석(t, F검증)과 사후검증(Scheffe test)을 실시하엿다.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우울, 대인관계가 서로를 얼마나 잘 설명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을 규명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한 검사도구는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검사지’, ‘우울 검사지’, '대인관계 검사지‘이다. 이를 토대로 배경요인과 하위요인의 상관관계와 영향력을 알아보아 보고자 하였다.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우울 그리고 대인관계의 배경요인에 따른 차이와 상관관계 ,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우울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문제와 이에 따른 연구과정을 통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우울, 대인관계 의 차이에 대한 연구결과이다. 성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에서는 ‘자신감’이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스트레스에서는 대인관계스트레스 중 ‘동성친구’와 ‘교수와의 관계’가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우울에서는 ‘정서적우울’, ‘동기적우울’이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대인관계에서는 사회관계성향인 ‘동정-수용’요인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학년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에서는 ‘자기조절 효능감’과 ‘과제난이도’가 학년별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대인관계스트레스 중 ‘교수관계’가 학년별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고 당면과제스트레스 중에서는 ‘학업문제’가 학년별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우울에서는 ‘동기적우울’이 학년별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계열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에서는 ‘자기조절효능감’이 계열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대인관계스트레스 중 ‘교수관계’가 계열 별간의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고, 당면과제스트레스 중 ‘학업문제’와 ‘경제문제’가 계열별 간의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우울에서는 ‘인지적우울’이 계열별 간의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대인관계에서는 ‘사교-우호가 계열별 간의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이성친구 유무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에서는 ‘자신감’과 ‘자기조절 효능감이, 우울에서는 ‘인지적우울’이 이성친구 유무별 간의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생활수준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경제문제’는 생활수준별 간의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대인관계에서 ‘독립-책임’이 생활수준별 간의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부⦁모의 교육수준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동성친구’와 ‘가족관계’가 부의 교육수준별 간의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나, 모의 교육수준별 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가정 분위기별 차이의 분석 결과, 자기효능감에서는 ‘자신감’과 ‘자기조절 효능감’은 가정분위기별 간의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이성친구’와 ‘가족관계’가 가정 분위기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