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게임산업 발전을 위한 수요자 중심의 인력양성에 관한 연구

        윤재광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Its becoming a key poi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e environmental standards, and to secure competitive powers of a nation in the digital society of twenty first century. The game industry is a knowledge and sensitivity industry of the twenty first century, and a national strategic industry that needs to be closely developed. Also, due to the multimedia data resources that are able to vary human senses as a so called sensitivity service industry, elicit creativity by changing a playing culture, studying and teaching method, and surpass the super speed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the game industry has been becoming an integrated art industry, which elicit multidimensional image, design, ideas and computer technology. This game industry has a new power of economic growth with a rapid development and expansion in the twenty first century. It had been very difficult so far for a game industry to be developed because of how people recognize games and the negative restric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in Korea. However, such trends as the coming about of the high speed internet, IT industry, and the unique culture in Korea made the online game industry survive. This is not because the ability to make plans or the circulation structure were well developed, but because the attractiveness of IT-infra and the online game industry in Korea was very high. The game industry is the current area of economic growth which followed the boom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In order to develop the high value added industry, educating people fit for purpose should be the number one priority. Game industry is the most appropriate area in terms of the lack of natural resources. Because this is a labor centered industry that can not be automatized such as making programs and procedure of drawing graphics, it is not only effective in a sense that it creates job opportunities, but also it is a high profit value added industry that can even make the industry profitable from a small business. Education can be compared to the food in terms that if you eat only one food, your diet is not balanced. Its the same as i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achieve self exploration by experiencing many different kinds of areas and by doing so, we can expect good games. The history of the game industry in America and Japan has reached 40 to 50 years. Though its not been popular in Korea as it was in America and Japan, rapid development of game industry occurred thanks to the intelligent brain and superb manual ability. People with intelligence requires in practical settings cannot be trained with a short educational curriculum in colleges and work places but can be produced to contribute to society through the long term education in a school educational system. First, the educational constitutions (colleges) should consider what practical environments require, and plan pragmatic and effective curriculums. Companies should prepare a cooperative constitution enabling to connect to schools and special organizations and make educational business program which can lead to a technical development in a long term. By doing so, we can balance supply and demand in education and industry and minimize the economic loss and time wasting. Throughout the whole dissertation, well consider the process of the game industry, and figure out the curr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in colleges and special institutions. Also, well discuss operating demand-centered educational programs which are required in industrial organizations, and practical training specialists of information technology, so the game industry can accommodate the organized labor training system through the cooperation of industry and education. 21세기 디지털 사회에서는 인류의 생활 조건과 환경 수준을 향상시키고, 국가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우수한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중요한 관건이 되고 있다. 게임산업은 21세기형 지식산업이며 정서 서비스산업 및 감성산업으로 집중 육성해야 할 중요한 국가 전략 산업임과 동시에 인간의 감성을 풍부하게 할 수 있으며, 놀이문화와 학습법 및 교수법을 변화시키며, 창의력을 도출하고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넘나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보고로 각광받을 3차원 영상기술, 컴퓨터기술, 디자인 및 아이디어 등을 창출해 내는 종합예술산업이다. 이런 게임산업은 높은 성장률과 규모를 보이며 21세기의 새로운 경제 성장 동력으로 등장했다. 그 동안 한국에서의 게임 산업은 국민들의 게임에 대한 인식 부족 및 국가의 부정적 규제 정책 등으로 발전하기 어려웠으나 초고속 인터넷과 IT 열풍 등의 사회적 배경과 한국적 특수성에 말미암아 온라인 게임산업이 발달했다. 그러나 이는 한국의 IT 인프라와 한국 내에서의 온라인 게임산업의 매력도가 높았기 때문이지, 게임의 기획력이나 유통구조가 잘 발달되어서가 아니다. 자원이 부족한 우리 나라로서는 게임산업이야말로 가장 알맞은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게임산업은 프로그램을 설계하거나 그래픽을 그리는 과정 등 어느 한 단계도 자동화할 수 없는 노동 집약적 산업이기 때문에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효과는 매우 크면서, 동시에 게임 하나만으로도 엄청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고부가 가치산업이다. 이러한 고 부가가치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인재양성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한다. 음식도 한 가지만 먹으면 영양소를 고루 섭취할 수 없듯이 교육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분야를 골고루 경험해야 자기 계발도 되고, 그를 바탕으로 좋은 게임도 나올 수 있다. 미국이나 일본의 경우 게임 산업의 역사가 40~50년에 이르고 있다. 우리 나라는 그에 비해 짧은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우수한 두뇌를 자원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인재들은 대학이나 산업현장에서 단기간의 교육과정으로 양성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장기적인 지도와 교육을 통해서 양성될 수 있다. 우선 시급한 대로 대학(교육기관)은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대학교육과정에 반영하여 실용성 있고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기업은 학교, 전문기관과의 협조 체제를 갖추어 장기적인 기술개발에 매진할 수 있는 실무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을 갖추어야만 교육과 산업에서의 수요와 공급을 일치시켜 시간과 경제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게임산업의 발전과정을 고찰해 본 뒤, 현행 대학이나 전문교육기관의 교육 프로그램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게임 산업 발전을 위해 요구되는 일반적인 사항과 기술적인 이론 및 기술들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국내 교육기관들의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게임업체들이 요구하는 인재상을 파악하여 고급 게임 개발자를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해서는 각 기관별로 어떤 교육 방법을 취해야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앞으로도 게임 개발자를 양성하기 위한 전공이나 학과 또는 전문기관들이 많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는데, 그곳에서 새로이 형성될 교과 과정과 교과 과정 운영에 이 논문이 참고가 되어 더욱 알차고 내실 있는 게임 개발자 양성이 이루어 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忠淸南道 農林水産業 關聯産業의 農林水産關聯 附加價値 推計

        김창환 公州大學校 産業科學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motivation for this thesis is as follows. Agricultural production is closely related with agricultural input materials, agricultural processing and agricultural distribution industry and the industry associated with the agricultural production sector and the input-distribution is called agribusiness.. Agriculture is important since it creates high added value not only i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sector but also in the agribusiness that involves upstream related industry (agricultural commodities) and downstream related industry (agricultural process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stimate the added value in the agribusiness as well as i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sector when making agriculture related policy. Since agriculture depends particularly on the conditions of production such as climate, there are limits in making policy using national data. Thus, it needs to estimate the added value created by the local agribusiness. However, such study has not been conducted yet. While the added value i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sector can be found in the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and the input-output tables, the agriculture related added value in the agribusiness should be estimated based on the input-output tables since it cannot be directly found anywhere. The input-output tables is a comprehensive statistical table collecting all the transactions that occur between goods and services industries in a year and it can be used as useful data for studying the agribusiness. This study aims to suggest methods to estimate the agriculture related added value created i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sector and the up/downstream agribusiness of Chungcheongnam-do by using the transaction table at producer's price, the domestic transaction table, the wholesale-retail profit table and the freight charge table in the input-output tables, and further aims to estimate regional and industrial agriculture related added values created i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sector and the agribusiness of Chungcheongnam-do by using the input-output tables of the year 2005. In methods of the research, the agriculture related added value created by the upstream related industry can be estimated by applying the ratio of agricultural input among the entire production output to the added value of relevant industry in the transaction table at producer's price. However, since such agricultural input includes imports therein, the added value created by the domestic agriculture should be estimated by the ratio of the domestic product input into the agriculture among the entire production output. The agriculture related added value created by the downstream related industry can be estimated by applying the ratio of the agricultural input among intermediate input to the added value of relevant business in the transaction table at producer's price. However, the added value created by the domestic agriculture should be estimated by the ratio of the domestic product input into the agriculture among intermediate input. This study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the added value among the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products is high in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and low in forestry and fishery products, which is shown to be particularly associated with the upstream related industry. This thesis suggests the consideration of overall and holistic policy regarding public welfare facilities in healthcare, commission sale market places for fishery products, fishery processing factories, processing factories for medicines, cosmetics, feedstuff, and tobacco leaves and the innovative distribution system with regard to wholesale/retail that Chungnam lacks in. It is also proposed to make comprehensive and cohesive policy to enhance growth and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industry.

      • 특수미 개발 현황 및 산업화 전망

        이우종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55

        Rice is an essential food crop globally. In the past, most rice varieties produced in Korea are accounted for the majority with high production and disease resistance. However, rice consumption per capita is on the decline nowadays. As a result, the ordinary non-glutinous rice production has been decreasing; this leads to the inflow of imported rice and the opening of the rice market. Instead, new improved varieties and rice consumption styles , such as processed rice, and brown rice, have been diversified. As the particular rice market expands and diversifies, compared to the past, we will subdivide special rice by varieties to find out how competitive Korea is in line. Also,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of the unique rice industry and present an ideal specialty rice industrialization model.

      • 農村地域住民의 環境保全意識에 關한 硏究 : 忠南 唐津郡을 中心으로

        홍윤표 公州大學校 産業科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문요약 농촌지역주민의 환경보전의식에 관한 연구 - 충남 당진군을 중심으로 -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지역사회개발학 전공 홍윤표 본 연구는 지역개발에 따른 농촌주민의 환경보전의식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고 실증분석을 위해서 당진군내 농촌주민의 환경보전의식과 인식수준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분석을 통하여 환경보전의식과 관련된 변인들을 도출하고 주민의 환경보전의식을 함양하고 강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표본선정은 당진군내 농촌지역에 거주하면서 영농(영농공무원포함)에 종사하는 성인 남·여 세대주를 대상으로 임의선정 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는데 ‘고운미(1999)와 황성원(1999), 유기학(1995)’이 개발한 설문을 참고로 연구자가 조사영역을 설정하고 설문내용을 작성하였다. 조사방법은 농촌지역에 위치한 당진군 농촌지역의 중·고등학교장의 협조를 얻어 230명의 학생에게 배부, 228명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10.1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적용된 주요 통계방법은 기본적으로 빈도, 백분율, t-test, ANOVA, 최적화 척도 회귀분석(Optimal Scaling Regrssion)을 사용하였다. 먼저,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환경의식, 환경관련문제에 대한 참여의식, 환경오염에 대한 정부정책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그리고, 환경의식, 환경관련문제에 대한 참여의식, 환경오염에 대한 정부정책에 대한 인식정도와 각 독립변인들에 따른 의식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 및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독립변인들이 각 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최적화 척도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는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의 32.4%가 수질과 관련된 오염이 가장 큰문제로 의식하고 있으며, 수질오염의 주된 원인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은 축산분뇨 39.9%와 생활오수 36.8%로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당진 지역이 농촌지역이므로 농업관련 오염이 비중이 높기 때문이라 하겠다. 2.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있어서도 농촌지역의 성격을 띠고 있는데 가축의 사료로 음식물 쓰레기로 사용하는 비율이 48.2%로 나타났다. 또한 쓰레기 종량제에 대해서는 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꼭 필요한 상황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3. 지역개발과 환경오염이 상충할 경우 응답자의 80%이상이 환경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오염에 대한 책임소재에 있어 사는 지역 주민이 30.7%로 나타나서 환경보전에 대한 강한 악착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4. 불법 환경요염행위에 대한 방법으로는 평화적인 방법을 선호하는 거의 75%수준의 분석으로 나타났으며, 공기 및 수질, 자연경과, 쓰레기 발생의 책임에 있어서도 높은 수준으로 주민 스스로의 책임을 말하고 있었다. 5. 정부와 지방정부의 환경요염에 대한 인식은 대체적으로 만족을 하고 있는 수준으로 분석되었고 정부, 환경오염개선비용에서의 확보방법에 있어서도 오염자가 부담하는 방식을 선호 약 70%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성별과 연령, 학력, 직업, 거주기간, 소득수준에 따른 환경관련 참여의식을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 5% 수준에서 검정해본 결과 학력만이 유의수준 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7. 성별, 연령, 학력, 직업, 거주기간, 소득수준에 따른 환경관련 참여의식을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 5% 수준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8. 환경오염에 대한 정부정책에 대한 인지정도를 성별, 연령, 학력, 직업, 거주기간, 소득수준에 따른 평균을 비교한 결과 유의수준 5% 수준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당진지역 주민들은 성별, 연령, 직업, 학력, 거주기간, 소득수준에 따라 환경의식 및 환경관련 참여 의식, 환경오염에 대한 정부정책에 대한 인식수준의 차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성별, 연령, 직업, 학력, 거주기간, 소득수준, 의 6개의 독립변인군이 환경의식과 환경관련 참여의식 및 환경관련 참여의식, 환경오염에 대한 정부정책에 대한 인식수준의 차이를 얼마나 설명하고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별, 연령, 직업, 학력, 거주기간, 소득수준의 6개의 독립변인군이 환경의식과 관련된 변인군을 약 40.2%의 수준으로 설명하고 있다. 2. 성별, 연령, 직업, 학력, 거주기간, 소득수준의 6개의 독립변인군이 환경관련 참여의식을 설명하는 것은 약8.5% 수준으로 낮게 나왔으나, 이상의 6개의 변인군이 환경관련 참여의식을 설명하는 요인 된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다. 3. 성별, 연령, 직업, 학력, 거주기간, 소득수준의 6개의 독립변인군이 환경관련 정부정책에 대해 설명하는 요인으로써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알려주고 있다. ABSTRACT A Study on the of Rural Residents' Consciousness on Environment Conservation - Focuse on Dangjin County, Chung-nam Korea - Hong, Youn Pyo A Thesis for the Master of Adminstration Graduate Scho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03 Advisor: Choe, Pyeong Ik, Ph. 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measure the consciousness of rural residents' on environment conservation (2) to analyse variables related to the environments (3) to suggest the way to improve the rural county in the aspect if environment . Reviewing the literatures and related studies including Kou(1999), Hwang(1999), and Yu(1995) reviewed for theoretical framework. Theoretical framework is based on23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228 of them was analyzed. The date were analyzed utilizing the SPSSWIN 10.0 program and major statistical methods were frequency, mean, percent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optimal scaling regression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t level was tested at 5% level.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For the public satisfaction on the environmental policy, residents were gratified.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residential years, and income level were shown with 5% significant level on participation of Environment Conservation. 2.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residential years, and income level explained in 40.2% on variables on the Consciousness of Rural Residents' on Environment Conservation.

      • 충남 예산군 농업인의 농산물 전자상거래 활성화 방안 연구

        김기예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to enable the agriculture for the farmers by taking advantage of e-commerce as part of a managerial strategy of Korean agriculture in crisis. Korea has been incorporated as the part of the global economics and highly competed with other economic subjects. With WTO launched and FTA signed, Korean agriculture also has reached to the point where gets an advantage over the competitiveness between the imported goods beyond the competitiveness between the domestic farmers. In this situation, this paper gives the foundation to assure the competitiveness with cost saving and diversification of distributor in the production and sale of agricultural products by seeking to how to enable the e-commerce of them utilizing the Internet. For this, this paper gives the concrete ways to enable the e-commerce by studying Yaesan-gun, Chungcheongnam-do, Korea in advance. The introduction part, Chapter 1 of this paper describes the need and purpose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technology for agricultural e-commerce so far, to indicate the limitation points of the study as well as to present a normative framework for each study per each locale that will be progressed in the future. To this end, the 'survey for agricultural e-commerce consciousness' targeting for 200 local farmers in Yaesan area has been conducted in addition to the literature study for the required materials. In Chapter 2, the evolution of agricultural e-commerce has been examined through the literature search. The significance of e-commerce and change process has been studied in the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while the its future preferred model has been proposed. Then, the information status and distribution structure of Korean farmers have been studied while the current situations for production and sales in Korean agriculture taking advantage of Internet have been looked into. Finally,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survey for e-commerce consciousness targeting for Yaesan farmers are described. Based on this research, the ways to enable the e-commerce of agricultural products in Yaesan, Chungnam are proposed specifically. The expansion and standardization of information contents, the improvement of standard code for agricultural products, specification and standardization of quality are prepared while the support measures by government agencies required for this are proposed. To this end, the cultivation of farmers' common marketing organizations and excellent brand management companies and reinforcement of connection with food industry and of producer-driven voluntary supply control system are proposed. Finally, the more concrete ways to enable are described by presenting the good practices of farmers who are implementing the successful e-commerce of agricultural products under the support of the Center for Agricultural Technology, Yaesan, Chungnam. The chapter 3 consists of the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to place an order for the government agencies to assure the agricultural competitiveness by preparing for and spreading the concrete agricultural e-commerce. The agriculture shall be accessed in the managerial aspect through the steady education and awareness transition for the farmers who are the subject of e-commerce for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government agency and enforcement authorities shall prepare for the common virtual space of e-commerce for its activation and provide the technical assistance such as giving the standard code and packing method as well as the enhancement measures for reliability by taking advantage of the virtual space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본 논문은 위기에 있는 한국 농업의 경영 전략의 일환으로 전자상거래를 활용한 농업인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한국은 세계 경제의 일환으로 편입되면서 경제 주체 들 간에 치열한 경쟁을 치루고 있다. 한국 농업도 WTO 체제 출범과 각국 간의 FTA 체결로 국내 농업인간의 경쟁을 넘어 수입 농산물간의 경쟁에서도 비교 우위를 점하여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이런 상황에서 본 논문은 인터넷을 활용한 농산물의 전자상거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농업의 생산과 판매에 있어 비용 절감과 판매처 다각화로 경쟁력을 활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충청남도 예산군이란 지역에 한정하여 연구하여 구체적인 전자상거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기술하였다. 지금까지의 농산물 전자상거래 연구의 방향을 기술하면서 한계점을 아울러 지적하고 앞으로 진행될 각 지역별 연구에 있어 하나의 규범틀을 제시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필요한 자료에 대한 문헌연구와 아울러 예산지역 농업인 200명에 대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2장에서는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발전 과정을 문헌조사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농산물의 유통에 있어 전자상거래의 의의와 변화과정을 살피면서 앞으로 우리 한국 농산물 유통과정의 바람직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한국 농업인의 정보화 현황과 유통구조를 살피면서 한국 농업의 인터넷을 활용한 생산과 판매의 현실태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예산군 농업인의 전자상거래 의식조사의 과정과 결과를 기술하였다. 이런 조사를 바탕으로 충남 예산군의 농산물 전자상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내용의 확충과 표준화, 농산물 표준코드 개선, 규격 및 품질의 표준화를 마련하면서 정부 기관에서 이에 필요한 지원책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농업인의 공동 마케팅 조직과 우수 브랜드 경영업체 육성 그리고 식품산업과의 연계 강화, 생산자 중심의 자율적 수급조절 시스템 강화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충남 예산군농업기술센터의 지원 아래 성공적인 농산물 전자상거래를 시행하고 있는 농업인의 수범사례를 제시하여 보다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을 기술하였다. 마지막 3장에서는 결론 및 제언으로 정부 기관에서는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농산물 전자상거래를 마련하고 확산시킴으로서 한국 농업의 경쟁력 확보를 주문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주체인 농업인에 대한 꾸준한 교육과 의식 전환으로 농업을 경영적 측면으로 접근하도록 하며 둘째로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 정책 및 집행 당국에서는 전자상거래 공동 가상 공간 마련, 표준 코드 및 포장 방법 마련 등 기술지원이 필요하고 또한 농산물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가상공간을 활용한 신뢰도 증진을 마련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 세종시 건설이 시·도별 부동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김준호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untry, Chungcheongnam Province is emerging as one of the core regions which lead the growth of the country. In particular, Sejong City, which is under construction in Yeongi-gun and Gongju City, Chungcheongnam Province for the sake of balanced growth across the nation and enhanc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of Chungcheongnam Province. Today a number of researches are conducted with national input-output tables as well as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s. However, most input-output analyses are about a particular industry's ripple effect at national level and ripple effect in neighborhood as a result of development and investment in new towns and relocation of a provincial government. Although it is, of course, important to measure the ripple effect at a national level in conducting economic analysis, it is even more important to analyse the effect according to region when conducting a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for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of identifying the impact of construction of the Sejong City on the real estate industry by using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s and estimates the impacts of construction of the Sejong City on other industries in major cities and provinces which are related to the real estate industry. As a result, the construction of Sejong City would have the ripple effect of 278,917 million won on the real estate industry, employment inducement of 1,870 and job search inducement of 1,544. The study on impact of construction of the Sejong City on the real estate industry shows that as the final demand on building and construction industry in Chungcheongnam Province increases, it also causes indirect effect o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much as in Chungcheongnam Province. This study has such limitations as the assumption that all costs for the construction of Sejong City would be invested 2005 and the lacking contents about the construction business among the cost burdens on operators. Future study will hopefully deal with the interregional ripple effect of industries other than the real estate industry. Keywords: Real Estate industry, Input-Output analysis, Input-Output tables,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s.

      • 새싹보리에 관한 연구 및 산업적 가치 현황

        하금윤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 자료는 새싹보리의 기능성 및 미래가치에 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았다. 새싹보리의 영양성분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통해 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고, in vitro에서 체중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경 재배 시에 사포나린은 청색광에서, 엽록소는 혼합광에서 가장 높게 나올 것을 확인하였으며, 새싹보리에 함유된 폴리페놀, 사포나린, 폴리코사놀 등은 항산화효과와 콜레스테롤 조절 및 간 기능개선, 체중감소 등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근 국제적으로 천연유래 성분들이 개발 및 활성화 되는 상황에서 새싹보리의 기능성 물질들이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에 유망한 식품소재가 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현재 새싹작물을 이용한 건강기능성 소재 활용기술의 선도국인 일본에서 높은 비중으로 제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에서도 특허 출원과 업체들의 기술이전이 많다는 것은 새싹작물의 건강기능 식품에 관심의 비중이 높아진 결과라 사료된다. 이 연구를 통해 새싹보리는 항산화, 콜레스테롤 조절, 간 기능강화, 체중감소, 숙취해소 등에 효과 있지만, 재배조건, 새싹보리의 지표물질별 추출방법 정립, 임상 연구 등이 지속적으로 수행된다면 천연물에서 유래한 기능성으로 좋은 소재가 될 것으로 판단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functionality and future value of sprout barley. I was able to evaluate the nutritional value and component through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d find weight loss in in vitro and when sprout barley is cultivated through hydroponics, I could find out that saponarin can be found in blue-light and chlorophyll can be found in mixed light. polyphenol, saponarin, policosanol in sprout barley can also help antioxidant effect, control of cholesterol and liver function improvement, and weight loss. In the current circumstance of development and invigoration of natural substances, I estimated functional substances in sprout barley can be a highly promising food material to create added value in the industry. Recently, it has been sold the voluminous amount in Japan which is the leader of health functional food materials technology using sprout barley. Besides that, increasing cases of patent applications and technology licensing of sprout barley in Korea also can prove that sprout barley's effect as health functional food is getting highly appreciated. Through this study, I concluded that if several important conditions such as cultivation condition, establishment of each indicator's extraction method, clinical study can be continuously entailed, sprout barley will grow as a high-functional natural material in the future.

      • 대학가 인근 원룸형 주택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 충남 예산군을 중심으로

        홍경덕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55

        초 록 원룸주택은 전국적으로 그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현 시점에서는 보급단계를 지나 포화상태에 이르렀고 그에 따라 이전에 생겼던 단순한 문제와는 다르게 새로운 형태의 복잡한 문제점들이 생겨나고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선호도나 만족도에서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들에 대해 공급자와 사용자가 서로 대화할 창구가 따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서로의 요구에 맞출 수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예산군과 같은 농촌지역에서 원룸 소유자들의 연령대가 높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하여 최신정보에 취약하며 젊은 대학생들과 소통하는 것이 쉽지 않다. 예산군은 농촌 지역이지만 대학교가 있고 공업단지와 여러 개의 온천 관광지가 인접하였기에 원룸의 수요가 증가 하였고 수요에 맞게 원룸주택의 수도 계속 증가 하였다. 특히 공주대학교 예산캠퍼스 주변 예산읍 일대의 현재 상황은 원룸주택의 포화상태로 최신시설과 옵션을 갖춘 신축 원룸도 공실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를 참고하여 공주대학교 예산캠퍼스 주변 예산읍 일대의 원룸임대업자들이 젊은 대학생 이용자들의 주거 만족도와 주거 선호도를 이해하여 시설과 서비스의 획기적인 개선으로 공실 없이 사업을 영위할 수 있게 하며 그럼에 따라 대학생 이용자들도 쾌적하고 안정된 만족도 높은 주거 환경에서 학업에 전념할 수 있기를 바란다. 현재 거주하고 있거나 거주한 적이 있는 공주대학교 대학생 사용자들의 주거 만족도 및 주거 선호도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과거 연구들과 비교하기 위해 관련 서적, 학위논문, 기사, 통계자료 등을 참고하였다. 공주대학교 학생들 중 원룸에 거주하였거나 거주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과거 선행 되었던 연구들에서는 물리적인 요인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인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경제적 요인은 과거의 연구나 본 연구에서나 큰 변화가 없는 적정한 영향을 주고 있다. 이는 경쟁이 심화되어 물리적 요인들이 평준화 보편화 되면서 크게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원룸주택 중 희망하는 구조를 조사한 결과와 다르게 기본적인 형태의 원룸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저렴한 보증금과 저렴한 월임대료의 원룸을 가장 많이 이용한다는 것은 경제적인 요인이 더 큰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며 기본적인 형태의 원룸이 저렴하여 혼자 이용하더라도 경제적 부담이 없고 물리적으로 불편함이 없으며 혼자 이용하기 때문에 사생활이 보호되며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는 사회적 요인이 적절히 융합하여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e number of one-room houses (studio-type apartments) is rapidly increasing all over the country in Korea. At present, they have reached saturation beyond the proper supply phase. As a result, there occur new types of complicated problems, different from simple ones in the past. Besides, it leads to change in users’ preference and even satisfaction as well. Since there is no channel of communication between providers and users in regard to such changes, it is true that they cannot meet each other’s demands in reality. Especially in such rural areas as Yesan Gun, most of the one-room owners are in old age, so it is not easy for them to communicate with young college students or access up-to-date information. As a rural area, Yesan Gun has a university while being adjacent to an industrial complex and several different spa tourist sites. Thanks to its geographical features, the demand for one-room houses has increased, resulting in more one-room houses constantly built in number. However, the entire area of Yesan Eup has reached saturation of one-room houses as it is close to Yesan Campus of KNU (Kongju National University), and some of the one-room houses even with the newest facilities and options are vaca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young college students’ residental satisfaction and preference and help one-room house providers improve their facilities and services innovatively and enhance their business without vacant rooms in Yesan Eup near Yesan Campus of KNU, further leading to helping college students focus on studying in pleasant, stable and highly-satisfactory residential environments.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KNU students who live or have ever lived in one-room houses and referred to related publications, dissertations, news articles and statistical data in order to compare with past studies.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KNU students who live or have ever lived in one-room houses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physical factor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while this study discovered that social factors have the greatest influence. Without a considerable change, however, economic factors maintain proper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n both this study and the past studies. The reason why physical factors have less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seems to be because they have become standardized and generalized with competition intensifying. Contrary to the results of surveying one-room house structures college students want, they actually use basic-type one-room houses most. Preferring lower deposits and rents shows that economic factors have greater influence, and although basic-type one-room houses are inexpensive, residents hardly experience physical inconvenience. Especially as they mostly live alone, their privacy can be more protected with more freedom, which shows that social factors also have influence to some extent, being combined with the other factors.

      • TiO2 엽면살포가 토마토의 과실생산과 엽록소 형광반응 변화에 미치는 효과

        최미영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55

        TiO2는 광촉매 활성, 물리화학적 안전성, 저비용 등의 장점으로 여러 환경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TiO2 의 광촉매 작용이 토마토의 광합성 관련 파라메타인 엽록소 형광반응 변화와 과실생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실험은 국립공주대학교 원예학과의 플라스틱 하우스에서 수행되었으며, 재배중인 방울토마토에 TiO2 현택액 100mg·L-1, 200mg·L-1를 엽면살포 하였으며 3회(처리전, 처리 1주일 후, 처리 2주일 후)에 걸쳐 엽록소 형광반응을 측정하였다. TiO2처리 1주일 후 OJIP그래프 FO에서는 처리 전 보다 형광이 높았으며, FJ에서는 대조구와 100mg·L-1 처리구는 급등세를 보였으나 200mg·L-1 처리구는 완만한 흐름을 보였다. OJIP 매개변수에 대한 값은, 3번의 측정값 중 TiO2처리 1주일 후 FO, FJ 값이 가장 높고 FI, FM, FV, FV/FM값이 가장 낮았다. 그 중 200mg·L-1 처리구는 대조구 및 100mg·L-1처리구 보다 FO값은 낮고 FV/FM은 높았다. 매개변수 ABS/RC, TRO/RC, ETO/RC, DIO/RC 값은 처리 1주일 후 다른 처리에 비하여 200mg·L-1 처리구에서 두드러진 차이점을 보였는데, 광계Ⅱ에서 포획되는 에너지는 대조구 대비 6.8%, 100mg·L-1처리구 대비 4.9% 높았고 전자전달로 전해지는 에너지는 각각 62%, 38% 높았으며, 열로 인한 에너지 소실은 각각 15%, 12% 낮았다. 이러한 엽록소형광반응을 통하여 볼 때, 저 일조 조건에서 식물의 잎이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저 일조 조건에서 TiO2의 처리가 식물체의 스트레스를 어느 정도 해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방울토마토 과실의 품질 조사한 결과, TiO2 처리후 14일된 방울토마토의 1화방 수확 총무게는 100mg·L-1, 200mg·L-1의 처리구, 대조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평균과일 무게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다. 당도는 200mg·L-1 처리구에서 생육된 방울토마토 완숙 과일이 100mg·L-1 처리구 및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완숙 및 미숙과 모두에서 TiO2를 처리한 것에서 경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TiO2 has been widely used in various environmental fields because of its advantages such as photocatalytic activity, physicochemical safety, and low cos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hotocatalytic activity of TiO2 on changes in chlorophyll fluorescence response with related to photosynthetic parameters as well as fruit production of tomatoes.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plastic greenhouse of the Department of Horticulture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For treatments of the experiment, 100mg·L-1 and 200mg·L-1of TiO2 suspension were sprayed on the leaves of cherry tomatoes being grown and the chlorophyll fluorescence reactions were measured three times (before treatment, one week after treatment, and two weeks after treatment). When one week passed after TiO2 treatments, the FO value of OJIP fluorescence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before treatment while the FJ value was slowly increasing in the 200mg·L-1 treatment in contrast to quickly increasing in the control and the 100mg·L-1 treatment. As for the values of OJIP parameters, FO and FJ values measured one week after TiO2 treatments were the highest among the values measured three times and FI, FM, FV, and FV/FM values measured one week after TiO2 were the lowest among the values measured three times. Among them, in the case of the 200mg·L-1 treatment, the FO value was lower and the FV/FM value was higher compared to the control and the 100mg·L-1 treatment. The values ​​of parameters such as ABS/RC, TRO/RC, ETO/RC, and DIO/RC showed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200mg·L-1 treatment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one week after treatment. The energy captured in photosystem II was 6.8% higher compared to the control and 4.9% higher compared to the 100mg·L-1 treatment, the energy delivered by electron transport was 62% and 38% higher compared to the control and the 100mg·L-1 treatment, respectively, and the energy loss due to heat was 15% and 12% lower compared to the control and the 100mg·L-1 treatment, respectively. When inference of the changes in the chlorophyll fluorescence reactions in the result of this study, plant leaves are considered to get stressed under low ambient light intensity conditions and TiO2 treatment under low ambient light intensity conditions is judged to be effective in relieving plant stress to some extent. Meanwhile, the fruit qualities of cherry tomato were investigated and in the results,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cluster of cherry tomato fruits harvested 14 days after TiO2 treatment was shown to be the highest in the 100mg·L-1 treatment followed by the 200mg·L-1 treatment and the control in order of precedence.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fruit weight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The sugar content of the fully ripened cherry tomato fruits grown under the 200mg·L-1 treatm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100mg·L-1 treatment and the control. In addition, hardness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fully ripened and unripened fruits when tomatoes were treated with TiO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