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보통신공사 전문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 변화분석

        이상연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87

        우리나라 정보통신의 역사는 올해로 125년째를 맞이하게 된다. 2012년도 UN 산하기구인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155개국을 대상으로 조사 발표한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정보통신기술)발전지수 평가에서 우리나라는 지난해에 이어 3년 연속 1위를 한 결과가 ICT 분야에서 아직은 세계를 선도하는 선진국임을 입증하였다. ICT는 발전 속도가 빠르고 라이프 사이클이 짧은 특성이 있기 때문에 막대한 자본과 기술을 가진 선진국들을 제치고 1위를 하였다는 것은 더욱 큰 의미가 있다. 하지만 그 이면에 과거 기업 간 과잉경쟁으로 말미암은 피로감과 이미 포화상태인 통신 인프라 그리고, 차세대 ICT 성장 동력 부재 등이 국내 통신 산업의 균형발전을 저해하리라는 전망도 있다. 국내 정보통신공사업의 외형적 성장에 가린, 정보통신공사전문업의 실적 감소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실체적 효율성과 생산성 변화의 양태를 측정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정보통신공사만을 수행하는 순수한 정보통신공사전문업에 국한하고, 자료 취득 가능성과 분석 결과의 시의성 등을 고려하였다. 또한, 분석 기간은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5년간 자료를 대상으로 비모수적 효율성 측정기법인 DEA 모형과 Malmquist 생산성지수모형을 적용하여 효율성과 생산성 변화를 검증 분석하였다. DEA를 이용하여 기술효율성(Technical efficiency), 순수기술효율성(pure technical efficiency), 규모효율성 (scale efficiency) 등을 측정하였는데, 기술효율성은 CCR 모형을 적용하고, 순수기술효율성과 불변규모수익(constant returns to scale: CRS)을 완화하여 가변규모수익(Variable Return s to Scale: VRS)이란 가정으로 규모효율성은 BCC 모형으로 적용한다. CCR 모형과 BCC 모형을 적용하여 기술효율성은 측정 마지막 연도인 2010년도의 효율성 값과 전체평균 효율성을 비교하면 TE는 26.62%, PTE는 18.77%, SE는 9.61%로 감소하여 효율성이 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순수기술효율성의 효율적 기업 수는 2006년도 16개 기업, 2007년도 18개 기업, 2008년도 15개 기업, 2009년도 19개, 2010년도 8개 기업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2010년도 효율적 기업 수가 2009년도 대비 약 58% 급감하면서, 효율성과 경영 수익성이 악화하였음을 나타냈다. 또한, 규모의 경제에서 생산규모를 달성한 4개 기업이 모두 자산규모가 큰 C그룹에서 규모효율성을 나타냈다. Malmquist 생산성지수모형을 적용하여 연도별 Malmquist 생산성지수(MPI)가 2006년도∼2007년도에는 기술 진보의 영향으로 생산성이 향상하였다. 이어서 2007년도∼2008년도에는 기술효율성변화지수(Technical Efficiency Change Index)의 하락으로 생산성이 감소하였다. 계속해서, 2008년도∼2009년도에는 첫 기술의 퇴보 영향으로 생산성이 소폭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2009년도∼2010년도에는 기술변화지수(Technical Change Index)의 기술 진보에 결과 값에도 TECI 값이 급감하여 생산성이 하락한 원인이었다. 국내 정보통신공사전문업의 생산성은 계속되는 경제 침체 속에서 5년간 평균 MPI는 기술진보에도 감소로 마감하였다. 한편, 그룹별 평균 MPI는 자산규모와 생산성관계의 A그룹은 두 기간에서, B와 C그룹이 각각 한 기간에 생산성 증가세를 보였을 뿐, 측정기간에 정보통신공사전문업의 생산성은 규모의 경제가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정보통신공사전문기업의 거시적 관점으로 볼 때, 기존의 인력 노동중심을 탈피하여 IT업체와 전략적 합병이나, 타 산업과의 융합 또는 정보통신기술(ICT)기업 간의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규모의 경제를 통하여 시장 지향적인 경영전략이 더욱 필요한 시기이다.

      • 한국 벤처기업 창업자의 성공요인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 대덕밸리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김제금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87

        國文抄錄 한국 벤처기업 창업자의 성공요인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대덕밸리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經營情報大學院 會計財務專攻 金濟錦 벤처기업이 우리의 사회적·경제적인 측면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해 볼 때 벤처기업의 성공에 대한 연구는 아주 주요한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벤처기업의 성공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경영자 본인들이 생각하는 성공요인은 무엇이며, 개인적 특성에 따라 성공요인을 바라보는 시각이 같은지 다른지를 파악해 보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고경영자 개인특성에 대한 변수를 대표자의 인구통계적 사항과 태도/행동 사항으로 나눈 다음 그러한 특성이 벤처성공을 보는 시각에 영향을 주는지를 다양한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벤처기업 창업자들이 가장 중요시여기는 성공요인은 1위가 기술력(27%), 2위가 마케팅 능력(17%), 3위가 수익모델(15%)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벤처기업의 특성상 기업의 우수한 기술력은 기업의 성공여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당연한 결과라 하겠다. 두 번째로는 기업의 성공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경영자의 특성으로는 대표자의 책임감, 리더쉽, 인간적인 신뢰성 등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최고경영자 개인 특성에 따른 성공요인의 인식차이 분석결과는 최고경영자의 책임감, 학벌, 사교성, 인맥, 직장경험, 최고경영자의 열정과 끈기, 이전 직장의 도움 등의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네 번째로는 창업자의 행동특징과 성공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로 인간적 신뢰성, 조직구성원에 대한 인간적 대우, 상벌의 정확성과 공정성, 유능한 인력확보 능력과 인사관리, 학벌, 사교성, 대표자의 마케팅 능력과 전략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로 나왔다. 다섯 번째로는 매출액증가율이 높은 기업과 낮은 기업 간 성공요인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매출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기업은 상벌의 정확성과 공정성이 성공요인으로 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성이 높은 기업과 낮은 기업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 수익성이 높은 기업은 대표자의 열정과 끈기, 유능한 인력의 확보와 인사관리, 그리고 조직구성원에 대한 인간적인 배려에 대한 상대적인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공요인을 연구함에 있어서 성공요인을 직접적으로 연구하는 것보다는 경영자의 배경이나 특성에 따라 성공요인을 인식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에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을 잘 활용하고 통제하여 연구하는 것이 객관적이고 타당하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가 벤처기업의 운영에 대한 조그만 방향을 제시함으로서 보다 성공적인 벤처기업의 활성화에 성장을 기여할 수 있으면 하고 바란다.

      • 스마트워크 實現을 위한 스마트 經營革新 推進方案에 관한 硏究 : K企業의 事例를 中心으로

        김상수 高麗大學校 經營情報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50687

        Recent domestic and foreign global company focused on the Smart Work Center, and smart phones to work anywhere, anytime by utilizing the introduction of smart work practices is increasing. The reason for the prevalence of Smart Work is for rise of the emerging new forms of work, work efficiency, low fertility measures parenting issues, smartphones and mobile network based on fast-growing, low-carbon green growth initiative, other, etc. This is necessary because we need reform of the way we work. Needs for flexible working which is appropriate to knowledge industry society are suggested, and corporate structure has been accelerated to be open organization by various working methods which are remote conferencing, collaboration, and telecommuting.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omoting plans of smart management innovation for improvement of business productivity, competitiveness and organizational culture by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smart work practices and integrating the most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in order to innovate working style focused on management, water resources and water supply of K corporate. In order to promote K Corporate's Smart Business Innovation, the Smart Work management environment master planning, Smart Work Center and video conference invigoration, work innovation with mobile office, discovery of sustainable mobile information service contents, building the next generation of enterprise portals based on real-time unified communication(UC), increasing work efficiency of water resources and water supply management, effective improvements on organization, work services, personnel system for invigoration of Smart Work , boosting home working system, constructing the smart learning, building intelligent Smart Work infrastructures, constructing mobile information standard system, planning for safe and convenient smart infrastructures by strengthening information security system are presented. This study will be of help for the person in charge of Smart Work working at Domestic and foreign global company including K Corporate as materials to develop strategies and practice. 최근 국내․외 글로벌 기업을 중심으로 스마트워크센터, 스마트폰 등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스마트워크의 도입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워크가 부상하는 이유로는 새로운 근무형태의 대두, 업무 효율성 제고, 저출산 육아문제 대책, 스마트폰 등 모바일워크 기반의 급성장, 저탄소 녹색성장 방안, 기타 등으로 일하는 방식의 변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산업시대의 획일적인 근무방식에서 탈피하여 지식산업사회에 적합한 유연한 근무방식으로의 전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IT기술의 발달로 원격회의, 협업, 재택근무 등 근무방식이 다양해짐에 따라 개방형 조직체계로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에서 K기업이 경영부문, 수자원 및 수도부문 등 각종 업무에서의 일하는 방식의 혁신과 보다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발전하기 위하여 국내외 스마트워크 추진사례를 검토하고 최신의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한 단계 발전된 K기업의 스마트 경영혁신 추진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업무생산성 향상 및 조직문화 개선, 기업경쟁력 강화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K기업의 스마트 경영혁신 추진을 위하여 스마트워크 경영환경 마스터플랜 수립, 스마트워크센터의 이용 활성화, 영상회의 활성화, 모바일 오피스를 통한 일하는 방식 혁신, 지속적인 모바일 정보서비스 콘텐츠 발굴, 실시간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반의 차세대 전사포털 구축, 스마트한 수자원 및 수도관리 업무효율화,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조직․복무․인사제도 개선, 재택근무제 활성화, 스마트러닝 구축, 지능형 스마트워크 인프라 조성, 모바일 정보화표준체계 구축 및 정보보호체계 강화를 통한 안전하고 편리한 스마트 인프라구축 추진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K기업 및 국내외 스마트워크 실무담당자에게 스마트워크 추진전략 수립과 실천을 위한 자료로써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모델링과 템플릿 기반의 시나리오 기법을 이용한 효과적인 정보보호관리체계 연구

        이영준 고려대학교 정보경영공학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87

        80년대 후반 유럽의 여러 국가가 정보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예기치 못한 위협에 의해 정보의 가치가 파괴되거나 손실되면서 이에 따른 엄청난 경제적 손실과 기업의 이미지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많은 조직들로부터 정보보호관리체계에 대한 관심과 정보보안지침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였고, 1989년 최초로 실행지침(users code of practice)을 발행한 이 후, 최근 ISO/IEC 27001로서 정보보호관리체계에 대한 국제규격이 완성되었다. 이러한 정보보호관리체계는 지속적인 정보보호의 관리 측면에서 조직에게 매우 필요한 관리방법으로 효율적인 정보보호관리체계는 조직에게 경제적으로 비용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고, 조직의 목적에 맞는 정보보호의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보호관리는 조직이 위험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대응을 하며 지속적인 관리와 함께 전사·균형적인 보안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의 경우 이러한 정보보호관리체계는 정보보호정책수립, 범위설정, 위험관리, 구현, 사후관리의 다섯 단계로 나뉘어져 실행되고 있다. 이러한 단계들은 각기 정보보호관리체계의 수립 및 이행활동에 관한 절차와 운영에 대하여 문서화하여 관리되고 있다. 여기서 한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데 각 단계들이 하나의 유기적인 사이클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단계별로 각기 다른 문서화에 따라 연결관계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정보보호관리체계는 정보보호 관리 절차와 과정을 체계적으로 수립하여 문서화하고 지속적으로 관리·운영하기 위한 종합적인 체계로 각각의 단계를 독립적인 요소로 보는 것이 아니고 전체적인 하나의 과정으로 다루어야 한다. 정보보호관리체계의 성숙모형에 따르면 정보보호관리체계는 통제항목과 목적, 정책이 상호연계성을 유지하면서 발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발전은 적합성 단계에서부터 준수성, 효과성 단계를 거쳐 효율성 단계로 가면서 조직이 경제적으로 정보보호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또한 정보보호관리체계의 성공요인으로 경영진의 의지와 지원의 확보를 들 수 있는데, 경영진의 명확한 의지와 노력이 없이는 자원 배분의 우선순위를 부여받을 수 없다. 여기에 위험관리 방법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정보보호의 비용과 효과를 최적화시키려는 노력으로서 기존의 체크리스트 형태의 통제수립 개념에서 벗어나 조직의 필요에 적합한 대책을 수립하여 위험을 적절한 수준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듯 정보보호관리체계의 상호연계성을 높이고, 경영진의 의지와 지원을 확보하며 기존의 통제수립개념에서 벗어난 적절한 관리기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시나리오 기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시나리오 기법을 좀 더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UML 모델링과 템플릿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UML 모델링은 시나리오 기법을 가시적으로 보여줄 수 있고 또한 확장하기 용이하게 해주며, 템플릿은 이러한 시나리오 기법을 명확하게 표현하는데 도움을 준다.

      • USIM 교환으로 인한 분실 스마트폰 악용 방지를 위한 연구

        안정창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요 약 스마트폰의 발전과 보급률 증가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주었지만 동시에 분실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성 또한 증대시켰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정부 및 통신 사업자는 스마트폰 잠금 기능이나 초기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많은 허점과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분실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 위협과 대책에 대해 알아보고, 최신 모바일 기기 관리 기술인 MDM(Mobile Device Management)과 이 기술을 기반으로 현재 상용화 서비스되고 있는 개인정보 보안 솔루션을 비교 분석하여 서비스별 특징 및 문제점을 분석한다. 또한, 스마트폰 분실 시 개인정보 유출 위험성과 대책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개인정보 관리의 취약성과 분실 대비 서비스 구현의 필요성을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IMEI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국제모바일기기 식별코드(휴대전화 고유번호) 와 USIM 정보 관리를 통한 스마트폰 분실 대비 기능과 원격 관리 기능, 스마트폰 회수를 위한 추적 정보 제공 기능을 설계한다. 스마트폰 분실을 유심변경(제거), 설정 위치 반경 벗어난 경우 등의 상황을 인식하여 최단시간 내에 분실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악의적인 사용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민간기업의 개인정보보호 및 활용에 관한 소비자의 인식연구 : A사의 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김길남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71

        ABSTRACT A study on consumer’s recognition of using private information and private policies of private companies Today, we acknowledge that the privacy policies of companies and consumer recognition have been emphasized through media and research studies. Companies desire to use customer’s private information some extent, yet, the consumers want to hold their privacy rights. This study shows how consumers recognize the company’s use of their private information and the cases which will be useful for customer management. It is desirable for a company to gather the consumer’s private information through business and to be able to use it for customer management without any major restrictions. It is today’s natural trend that companies try to sell their additional goods and service to established customers because markets in most industries in Korea have been saturated or are being saturated. therefore it has become very difficult to create new customers. If companies do not carry on business with their established customers, their growth will be limited. On the basis of this information, we have realized there have been a lot of mistakes in terms of customer management in the automobile service and thus, we sought some ways to manage customers more efficiently for the future. Particularly, We also need to get approval of customers (especially new customers) in advance. The information we send to customers has to be reliable and we must make a constant effort to provide customers with informative and reliable information to manage the customers effectively. Conclusively, customers need to be impressed by the information provided by a company so they can appreciate it. Most companies are trying to collect their customers’ birth dates. Considering that in an automobile industry a car purchased could be a valuable one and the purchase date could be also a memorable one for the customer, so we can send a thank you card on the purchase date of the car. It might be one of the ways to manage customers effectively. If a company is ready to talk with its customers, every action for touching customers must be important. It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to a company on how to act if customer management using customer’s private information can give a really good impression to the customers.

      • 情報保護職業 細分化에 관한 硏究

        김응석 고려대학교 정보경영공학전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고도화된 정보화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IT인프라의 보호와 발전을 위해 정보보호 관련 직종 등에 대한 분류 및 자격조건을 좀 더 세분화 및 체계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강국을 위한 정보통신 인프라를 해킹과, 바이러스, 사이버범죄, 개인프라이버시침해, 기업의 지적재산권과, 영업비밀, 국가안보 및 산업스파이로부터 보호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보호 인력 교육 및 업무 분담을 위해, 정보보호 직업의 분류가 비교적 잘 되어있는 미국의 사례와 비교하고 실제 어떤 직업들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조사를 통해 현실을 반영한 정보보호 직업 분류를 제시하고자 한다.

      • 정보보호정책 관점에서의 한국형 스마트 그리드 추진 방안에 관한 연구

        이경복 高麗大學校 情報經營工學專門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최근 그린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기존 전력망에 IT 기술을 융합하여 지능적으로 전력을 송ㆍ배전하는 스마트 그리드의 사업이 급속하게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 그리드가 주요기반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그리드의 보안은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은 채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스마트 그리드의 보안에 대한 고려가 미흡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법ㆍ제도, 조직, 기술의 정보보호정책 관점에서 미국과 국내의 스마트 그리드의 보안 현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스마트 그리드 추진을 위한 정보보호정책 방안으로 1) 스마트 그리드의 보안에 대한 법ㆍ제도의 정비, 2) 스마트 그리드 관련 보안 조직의 창설 및 연구기관에 대한 지원, 3) 스마트 그리드 보안 기술에 대한 체계화된 연구계획의 수립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안은 스마트 그리드 보안의 제고와 함께, 스마트 그리드 추진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WCDMA환경에서의 정보보호와 이동통신사의 대응전략

        오준성 고려대학교 정보경영공학전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71

        우리나라는 세계최초로 CDMA방식의 통신을 상용화 하였고,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세계표준에 대한 도전으로, 2007년 드디어 WCDMA또한 세계최초로 상용화 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이런 기술적인 발전과 더불어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이슈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2세대에서 3세대 이동통신으로 넘어가는 현시점에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와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이번연구에서는 WCDMA환경에서의 개인정보와 관련된 이슈를 예상해보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도출한다. 연구방법으로 현재 이동통신사의 정보보호현황과 개인정보보호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WCDMA에서의 환경변화 및 가능 서비스들을 예측해보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의 이동통신사의 전체적인 정보보호전략과 개인정보보호의 방향을 논하였다. 지금까지의 사고후 조치라는 악순환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전에 앞선 기술적용에 대해 사전에 대비함으로써 그만큼 기업의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활동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게 될 것 이다. 이동통신사의 특성에 맞게 각 개인정보의 사용 사이클에 따라 구체적인 취약점에 대하여 논하고, 이를 방지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향후에는 미리 예견한 기술이 적용되어 사용 되어질 때 발생하는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사고에 대한 취약점을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반영함으로써, 명확한 정보보호전략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는 이통사의 선택적인 요소가 아니라 사업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가 될 것이다.

      • FTA 체결에 따른 금융정보 국외이전에 대한 정책적 대응방향 연구

        이정훈 高麗大學校 情報經營工學專門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전 세계적으로 국가 간 자유무역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최근 미국, EU 등 금융선진국들과 FTA 협정을 체결하는 등 급속히 추진되고 있다. 최근 체결된 한-미, 한-EU 협정문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외국계 금융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이용자 정보가 국외로 이전이 가능하게 될 전망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금융정보의 국외이전에 대비하여 정보이전의 개념과 범위를 정의하고, 국내․외 관련 법․제도 현황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정보이전 시 예상되는 문제점을 제도적, 기술적 부문으로 나누어 검토하고 정보규제의 차별화, 개인정보보호법(안)과 관련법규의 제․개정, 금융회사의 안전성 확보 및 정보이전 표준가이드라인 마련 등의 정책적 대응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하여 개인정보의 이전 시 금융정보와 차별화하는 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언급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안은 향후 FTA 시행 후 금융정보의 국외이전에 대비하여 금융회사와 감독당국 등 관련기관이 준비해야 할 대책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