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티저의 사용여부와 유형에 따른 정보전달 및 호감도의 차이

        이지은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티저광고는 수십 년 동안 실무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는 광고 기법 중 하나이다. 티저광고를 사용하는 목적은 호기심을 유발하여 소비자의 궁금증을 극대화하여 티저광고 이후 본 광고가 노출되었을 때 강한 임팩트를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이러한 임팩트를 통해 제품에 대한 브랜드와 호감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특히 신규 브랜드 런칭 시 주로 사용하는 광고기법 중 하나이다. 기존 선행연구를 통해 티저광고가 호감도가 높다는 것이 밝혀졌으나 설문 형식의 방식이 주를 이루었기 때문에, 광고효과를 측정할 때 가장 효과적인 실험적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해 다루지 못했던 실험 연구를 통해 티저광고의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가설은 1차적으로 티저광고와 일반광고 캠페인 간의 회상도의 차이와 정보성인식, 호감도의 차이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2차적으로 티저광고를 유형화하여 유형에 따른 호감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호감도에 있어서 자아존중감이 높고 낮음이 광고 호감도에 영향을 주는 가도 함께 연구되었다. 그 결과로, 첫째, 티저광고의 회상도가 일반광고보다 낮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티저광고를 통한 임팩트 효과보다는 반복의 효과가 회상에 있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티저광고와 일반광고 캠페인 간의 정보성인식은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정보를 제한하는 티저광고가 일반광고에 비해 정보성인식이 낮을 것이라는 가설에 반하는 결과로써, 티저광고로 진행되었다고 하더라도 마지막에 본 광고를 노출했을 경우에는 본 광고를 통해 정보성인식을 상쇄할 수 있다는 결론을 갖게 한다. 셋째, 티저광고와 일반광고 캠페인 간에는 호감도에 뚜렷한 차이가 없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선행 연구를 통해 티저광고 자체에 대한 호감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했지만 실험 상황처럼 일반광고와 티저광고가 함께 노출되었을 경우에는 그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소비자가 티저광고 자체에 대한 호감도는 높다고 할 수 있으나, 일반광고와 티저광고를 함께 보여주었을 경우에는 그 둘 간의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티저광고를 암시형, 비암시형, 점진형으로 유형화하고 이들 간의 호감도의 차이를 연구한 결과 고관여 제품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저관여 제품에서는 제품군을 알려주고 브랜드네임은 알리지 않는 방식의 암시형 티저로 일관하다가 본 광고를 노출시키는 2단계 방식보다는, 비암시형 티저를 사용하다가 제품군을 드러내는 암시형 티저로 전환한 후에 마지막으로 본 광고를 드러내는 3단계 방식(점진형)에 대한 호감도가 뚜렷이 높았다. 순차적으로 제품에 대한 정보를 노출 시키는 점진형의 경우 소비자의 관심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티저광고에 비해 높은 호감도를 가졌으나 본광고만 3번 집행하는 유형에 대한 호감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로 높지 않음도 주목할 만한 결과다. 마지막으로, 티저광고 연구에서는 처음 연구한 자아존중감의 높고 낮음에 따른 호감도의 차이는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혀내지 못했다. 이 논문은 기존에 다루지 않았던 티저광고의 실험연구를 통해 티저광고의 효과를 측정했다는 것에서 그 의미를 가지며, 티저광고를 유형화함으로써 그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실무자들에게 있어 티저광고 집행에 있어 고려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며, 아울러 티저광고에 대한 다양한 실험연구와 다양한 매체를 통한 티저광고의 연구도 계속되길 기대한다. Teaser is an advertising execution technique that has been widely used by practitioners for many decades. The purpose of using teaser technique is mainly to appeal to viewers curiosity. When the advertiser unveils the identity of the product after running a teaser ad or a series of teaser ads for some period, many practitioners believe, a strong communication impact is created by which viewers get to remember the brand name better and longer. However, despite the popularity of the technique in practice, very few empir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by far.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ser technique by their types on the memory and persuasiveness of a TV advertising campaig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use of teaser technique may not be a good idea if the objective of the campaign is to create the awareness of the advertised brand. Also, the technique was found marginally ineffective in light of the attitude toward the ad in the case in which the advertised product is so-called a 'high-involvement' product. However, in case of a low-involvement product, the use a 3-stage, gradual disclosure technique was found more effective in terms of the attitude toward the ad than applying the 2-stage, simple disclosure techniqu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ttached at the end of paper.

      • 이주노동자에 대한 뉴스 프레임 분석 : 조선일보‧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최봉규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우리나라의 이주노동자들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한국경제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에 외국인 집단 거주지 형성, 모국과 한국간의 초국가적 네트워크 형성, 문화다양성 확대, 이민정책과 다문화 발전 등 많은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그러나 우리사회가 이들 존재로 인해 갖게 되는 유익성 보다는 피해를 보고 있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더 크게 작용함으로써 갈등하고 있으며 반외국인 집단행위가 발생하기 까지 한다.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우리들의 인식을 형성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미디어이다. 대다수의 국민들이 이주노동자를 만날 수 있는 통로는 미디어를 통한 간접교류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미디어의 프레이밍 방식은 이주노동자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이나 태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이주노동자에 대한 부정적인 언론 보도 관행이 이들 집단전체를 문제와 갈등의 집단으로 일반화 정형화 시킨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여전히 이주노동자들을 바라보는 시각과 그로 인한 사회갈등은 그 자리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우리의 편견과 관련하여 언론의 보도가 어떠한 시각으로 이주노동자들을 묘사하고 있는지 파악해 보고자한다. 이주노동자에 대한 한국 언론보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올바른 보도방향을 모색하는 것은 외국인 정책의 비전으로 제시된 ‘외국인과 함께 열린사회를 구현’하자는 국가의 사회통합정책의 노력과도 일치하는 것이다. 이주노동자와 언론프레임에 대한 몇몇 선행연구가 있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17년 6월까지 2년 6개월 동안의 두 일간지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의 기사를 분석함으로서 가장 최근의 이주노동자에 대한 언론의 보도동향과 한국인의 인식을 살펴본다. 연구내용은 보도내용에서 나타나는 프레임 유형과 보도목적, 언론에 나타난 이주노동자의 역할, 보도방향(논조)에 대한 분석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보도내용에서 나타나는 프레임 유형으로, 인권제고 프레임, 수용의식 개선 프레임, 범죄 프레임, 도움(미담) 프레임, 차별 프레임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보도목적은 이주민에 대한 인종차별이나 인권문제를 제기함으로써 정부의 정책이나 법령 제정과 개선을 요구하는 기사가 많았다. 보도 목적을 알려주는 기사의 보도 형태에서는 이주노동자 문제를 우리사회의 공통문제로서 공론화시키는 문제제기형 기사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이주노동자의 역할은, 이주노동자가 주로 우리사회의 약자이며 이방인으로서 항상 내국인들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대상으로 묘사되는 혜택의 수혜자와 범죄자로서의 역할이 여전히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의 결과들과 다른 점들은 첫째, 선행연구에서는 미담(도움)프레임, 범죄 프레임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인권제고 프레임과 수용인식 개선 프레임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아직 차별 프레임이 존재하지만 가장 낮게 나타났고 이주노동자에 대한 차별적인 내용보다 차별을 비판하는 내용 쪽으로 변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기사의 보도방향에서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부정적인 측면이 강했는데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방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주노동자에 대한 언론의 관행적 보도가 화합과 공생을 위한 보도방향으로 바뀌어 감을 보여주는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전개된 논의들이 향후 더욱 심층적인 연구를 위한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가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해 언론이 현실 재구성이 아닌 올바른 역할을 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 저작권 인식과 학술정보의 오픈 액세스에 관한 연구

        조은혜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테크놀로지의 눈부신 발전은 현대사회를 정보화 사회로 이행시켰다. 인터넷의 발전으로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고, 셀 수 없이 다양한 매체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과정 속에서 주어진 정보를 일방적으로 소비하기만 했던 이용자들이 정보의 생산과 유통과정에 참여하게 되었다. 즉 예전에는 방송이나 통신을 통한 일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주류를 이루었다면 오늘날에는 인터넷이란 네트워크가 활성화되면서 누구든지 콘텐츠의 생산자가 될 수 있고 동시에 그것을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현대사회를 우리는 참여와 개방, 공유의 의미인 웹 2.0시대라 칭한다. 웹 2.0시대에 있어 정보는 과거 소수집단에 의해 독점되는 것이 아닌 대중에게 ‘개방’되고 ‘공유’되며 대중 누구나 생산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 되었다. 웹 2.0시대는 지식 산업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가지고 왔다. 그 중 가장 큰 변화는 이용자들의 지식 생산 참여 확대이다. 이용자들이 지식 생산에 기여하면서 지식의 공공재화가 가속화 되었고, 온라인을 통한 지식 유통이 증가하게 되었다. 정보화 사회의 핵심은 콘텐츠 생산에 있는데 이는 기존의 법적 범주 내에서 저작권이라는 형태로 보호되어 왔다. 저작물을 생산하는 저작자의 권리 보호와 더불어 인류 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일정 기간 후 공적 이용이 가능하게 한 것이 저작권법의 기본 목적이다. 웹 2.0시대가 도래하면서 저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측면에서 저작권법을 해석함과 동시에 ‘개방’과 ‘공유’에 기반을 둔 정보 공유운동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정보의 공유를 중시하는 저작권 인식의 변화는 초창기 컴퓨터 산업업계에서 copyleft 운동의 형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copyleft 운동의 영향은 다양한 산업업계로 퍼져나갔고, 최근 들어서는 ‘오픈 액세스’라는 명칭으로 학계에서도 불고 있는 추세이다. 오픈 액세스는 학술정보 유통에 있어서 지나친 상업화와 가격인상으로 부담능력이 전무하거나 미약한 국가, 기관, 도서관, 개인 등의 접근이 크게 제한되고 있는 문제의 대안으로서 등장하였다. 오픈 액세스는 법적, 경제적, 기술적 장벽 없이 전 세계 이용자 누구라도 자유롭게 학술정보 즉,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저작물 생산자와 이용자가 정보를 공유하게 하는 것을 가리킨다. 국제사회에서 오픈 액세스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국내에서도 정보 공유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국내에서 오픈 액세스 포럼이 발족되고 오픈 액세스 저널이 창간되면서 최근 미미하게나마 오픈 액세스가 진행되는 실정이다. 이처럼 학술정보 공유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렇다 할 성과를 거두었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오픈 액세스와 관련된 다양한 논의는 진행되지 않고 있다. 여태까지 발표된 연구들은 주로 문헌정보 학회 등에서 학술정보 아카이빙, 저작권 라이선스 관리, 전자정보 관리 등의 주제로 진행되어져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더욱이 이용자 측면에서 오픈 액세스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학술정보의 주 이용자라 할 수 있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저작권 인식과 학술정보의 오픈 액세스에 대한 인식을 파악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5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학술정보 이용자들의 저작권 인식은 오픈 액세스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학술정보의 저작 경험은 오픈 액세스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오픈 액세스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4] 학술정보 이용자의 학술정보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는 오픈 액세스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5] 자신이 타인의 연구물을 이용할 때와 타인이 자신의 연구물을 이용할 때 이용허락조건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저작권 인식을 저작권 공유인식과 저작권 보호인식으로 나누어 이 변인들이 오픈 액세스의 찬성정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학술정보의 저작경험이 오픈 액세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와 학술정보 시스템의 만족도가 오픈 액세스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오픈 액세스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오픈 액세스 형식으로 본인의 연구물을 공개할 때와 오픈 액세스 형식으로 공개된 타인의 연구물을 이용할 경우 이용 조건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학술정보 이용자들의 저작권 인식은 저작권 공유인식에 비하여 저작권 보호인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오픈 액세스에는 적극적으로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사회적으로 다양한 저작권 분쟁이 발생하고 있고 이용자들도 정보 생산에 기여하게 됨으로써 이전보다는 저작권 보호인식이 강해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정보가 최고의 가치를 발현하는 현대사회에서는 학술정보의 공유가 중요하게 인식되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학술정보 공유 형태의 오픈 액세스에 적극적으로 찬성하는 입장이 나타났다고 풀이할 수 있다. 학술정보 저작경험이 오픈 액세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술정보를 직접 생산해본 경험이 있는 이용자의 경우 그렇지 않은 이용자에 비하여 오픈 액세스에 적극적으로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별, 학년별, 전공별 인구통계학적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오픈 액세스에 적극적으로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생보다 대학원생이 오픈 액세스에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계열별로는 인문계열과 사회계열이 오픈 액세스에 더욱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술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와 오픈 액세스간의 관계를 살펴봄에 있어서는 대학생만이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학생의 경우 학술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은 경우 오픈 액세스에 적극적이지 않은 태도를 보이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오픈 액세스 형식으로 온라인상에서 다른 연구자의 연구물을 자신이 이용할 때와, 자신의 연구물을 타인이 이용할 때 이용허락조건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두 가지의 상황에서 이용자들은 각기 다른 입장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은 자신이 타인의 연구물을 이용할 때보다는 자신의 연구물을 타인이 이용할 때 보다 더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학술정보 이용자들의 저작권 인식과 오픈 액세스에 대한 인식은 여러 요인들의 영향으로 인하여 이용자 간에 차이가 드러났다. 이 연구에서는 저작권 인식과 저작경험, 기존 학술정보 시스템의 만족도 등을 접목하여 이용자들의 오픈 액세스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고, 이용자들은 학술정보 공유에 찬성하며 오픈 액세스라는 형식의 새로운 형태의 학술정보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도입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들은 오픈 액세스를 도입함에 있어서 학술정보를 이용할 때 저작권 문제에 대해서는 적절한 이용허락조건을 사용함으로써 진정한 의미로써의 학술정보 공유가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논문의 한계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tremendous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transformed recent society into informative society. Countless media has been introduced and enabled two-way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improvement of internet, and users has begun to participate in the creation and production of information. In the pas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were mainstream of communication business, however, anyone has became a user to produce and freely use contents through active use of internet. Regarding above participation and openness society is called 'Era of Web 2.0'. The era of Web 2.0 is open, share, and participate by users rather than monopolized by a minority group. The era of Web 2.0 has brought significant changes to knowledge based industry. One of the major change is extend of participation in production of knowledge. As users contribute their knowledge by participation, knowledge was accelerated to public, especially, growth of internet has increased distribution of knowledge. The core of informative society is focused on content production. This, in fact, has been protected in the scope of law called 'Copyright'. In addition to protecting producer of the content, the initial purpose of copyright law has enabled users to use publicly to contribute to culture of mankind. As era of Web 2.0 has emerged, movement based on openness and share of information have begun while considering protection of copyright of publishers. The recognition of emphasizing copyright has begun in a form of copyleft movement in the computer industry. The effect of copyleft movement expanded to different type of industries, which nowadays academic scholars call it 'Open Access'. Open Access as a scholarly production has been proven to become a solution to excess of commercialization and increased price for weak countries, institutions, libraries, individuals. Open Access was distributed to anyone seeking for legal, economical, technical information without charging for journal or scholarly documents. The recognition of Open Access at global stage has increased importance of share of information at domestic stage as well. For this reason, Open Access forum and journal has been published, which made a progress in this industry. Although importance of sharing academic information has been expanded, there has not been a significance to witness improvement. Despite of the circumstance, discussion of Open Access has been progressively continued. A study has been published merely focused on library, academic archiving, copyright license management, and electronic information management so far. Additionally, there has not been any study in terms of users of Open Acces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ho are regular users of academic information and their recognition on Open Access. The questions of study were chosen as follows. [Question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of academic information by users and Open Access? [Question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publishment of academic information and Open Access? [Question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pen Access? [Question 4]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using academic information and Open Access? [Question 5] Is there any difference when the user using other's resource and others using the user's resource? To check the questions of the study, the study was focused to find relation of recognition on copyright and recognition of share of copyright and recognition on protection of copyright. Additionally, the effect on experience of publishment of academic information,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academic information system and Open Access, and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 and Open Access. Furthermore, this study was focused on difference of condition in permission when a user shares their resource to other users and other users use a user's recourse. As a result, despite the study indication that recognition on protection of copyright was relatively high, users highly in favor of to Open Access. Increasing number of users participating in producing information has changed the recognition of protecting copyright. On the other hand, sharing academic information was highly in favor by users due to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sharing highly valued information in the modern society. The result of users's experience of publishing academic information affecting Open Access has indicate that users with experiences of publishing academic information indicated agreeable attitude towards Open Access than users without experience. Next, the study sorted by gender, grade, major, demographic has resulted that female students are actively in favor of Open Access than male students,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are in favor of Open Access than undergraduate students. Also, sort by department, department of social study and liberal arts are in favor of Open Access. Additionally, in regard of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providing academic information and Open Access, undergraduate student has shown positive correlation. The result has shown that there was less participation in Open Access within undergraduate student if there was significant satisfaction in providing academic information. Finally, the study was focused on difference of condition of permission between when users implementing resource of others and others using users resource. The result has indicated that at both end users has taken different attitude. Users more likely to take stronger stand when other users use their resources. These results have shown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recognition of copyright and Open Access within academic information users. In this study, measures have taken consideration of copyright and publishment experience, satisfaction on system of existing academic information system, and users have taken positive attitude of implementing newly introduced Open Access environment of academic information communication. Additionally, regarding when users implementing Open Access in use of academic information, users have shown their condition of permission on sharing academic information, which also has shown solution to copyright issue.

      • 개인용 정보단말기(PDA)에 사용되는 아이콘의 직관적 의미전달능력에 관한 연구

        신명희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개인용 정보단말기(PDA)는 기존의 데스크톱 컴퓨터가 고정된 공간에서만 사용되는 단점을 뛰어넘을 수 있는 대안으로 가장 유망하게 떠오르고 있다. 본래의 개인정보관리 기능뿐만 아니라 무선통신기능과 멀티미디어 기능이 부가되어 그 활용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제한된 화면과 이동 중에 사용한다는 특징으로 인해 개인용 정보단말기에 사용되는 아이콘은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그 의미와 내용을 논리적으로 이해시키기보다는 직관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도록 디자인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용 정보단말기에 사용되는 아이콘을 기능, 상징화 유형, 운영체제, 컬러사용유무에 따라 분류한 후, 분류된 아이콘 사이에 직관적 의미전달능력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해보고자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을 위해 개인용 정보단말기의 주요 기능 8가지에 대한 실행 아이콘을 각 기능별로 6종류씩 선정하였다. 이 아이콘들은 기능에 해당하는 아이콘인지를 묻는 질문을 한 후에 질문에 제시된 기능에 해당하는 아이콘 6종류와 질문에 제시된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아이콘 6종류를 임의의 순서로 뒤섞여 보여주고 응답하도록 하였다. 피실험자들의 응답을 통해 인식확률, 인식민감도, 반응지체시간, 인식시 반응지체시간을 측정하였는데, 인식확률은 전체응답에 대한 정답비율을, 인식민감도는 시그널 디텍션 기법을, 반응지체시간은 응답하는 데까지 걸린 시간을, 인식시 반응지체시간은 정답에 대한 반응지체시간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분석은 평균비교와 대응표본 t-검증(Paired-Samples T Test)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용 정보단말기에 사용되는 아이콘은 기능, 상징화 유형, 운영체제, 컬러사용유무에 따라 직관적 의미전달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① 기능에 따라 분류 된 아이콘 중, 데스크톱 컴퓨터 등과 같은 다른 정보기기에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지시대상을 사용하는 아이콘과, 지시대상에 대한 표현이 정확하면서 단순한 아이콘의 직관적 의미전달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능이 복합적이거나 지시대상에 대한 표현 방법이 지나치게 구체적인 아이콘은 직관적 의미전달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② 상징화 유형별로 분류된 아이콘 중, 기능과 관련된 동작을 표현하고 있는 아이콘은 인식정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식지체시간은 다소 길게 나타났다. 지시대상을 직접 표현한 아이콘과 문화적 습관에 의해 정해진 추상적 형태로 표현되어진 아이콘은 인식정확도는 낮았으나 인식지체시간은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③ 운영체제에 따라 분류된 아이콘 중, 지시대상에 대한 표현이 구체적이고 표현요소가 많은 아이콘은 인식정확도는 높고 인식지체시간은 긴 것으로 나타났고, 지시대상에 대한 표현이 단순하면서도 정확하게 표현된 아이콘은 인식정확도는 낮게 나타났으나 인식지체시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④ 컬러사용유무에 따라 분류된 아이콘 중, 컬러를 사용하고 있는 아이콘은 색상 수가 제한된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도 컬러가 주는 자극이 영향을 미쳐 직관적 의미전달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인용 정보단말기 아이콘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고, 더 나아가 정보기기의 아이콘과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의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is thought to be the best replacement for PCs which are not easily portable in most cases nowadays. The main application of PDA was originally focused on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PIM), but recently many PDA users started to benefit from its wireless Internet support and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including MP3, movie playback. Moreover, PDAs can be used just like computers with proper software installed. PDAs, however, have its own limitations. First, LCD screens attached to PDAs are much smaller compared to PC monitors for better portability. And its icons and graffiti(text recognition system) must be easily understandable and intuitive. If it's too difficult and requires deep logical thinking most people will not be able to learn it. This research categorizes various icons that used in PDAs according to symbolization patterns, operating systems and support for color display. Since different icons vary in communication capacity I executed this research to verify it positively. For experiment, 6 executive PDA icons are selected for each of 8 functions. After inquiring functions that these icons have, questions about 6 icons that have preceded functions and 6 icons not related to them are made. Recognition rate, recognition sensitivity, delay before reaction, delay after recognition are measured through subjects' answers. I calculated recognition rate as the ratio of right answers from all answers, recognition sensitivity from signal detection method, delay before reaction from the time before answers are made, and delay after recognition from the time before right answers are made. All data were analyzed with mean comparison and paired-samples T test. In result, PDA Icons were found to have different intuitive communication capacity according to its functions, symbolization pattern, operating system and use of color. ① Icons which have similar object as ones that are used on desktop computer and icons with accurate, simple expression seems to have higher intuitive communication capacity among the icons categorized by functions. But users had some difficulty in recognizing icons that have multiple functions and too concrete expression. ② Among the icons categorized by symbolization pattern, ones that express the action related to their functions have the highest recognition accuracy and longer delay before recognition. And icons that express object itself and represented with an abstract form by a cultural habit have lower recognition accuracy but boast shorter delay before recognition. ③ Among the icons categorized by operating systems, ones that have concrete expression of object and a number of representation elements have higher recognition accuracy and longer delay before recognition. And icons with simple, accurate expression have lower recognition accuracy but shorter delay before recognition. ④ Among the icons categorized by color and grayscale, ones with color have superior communication capacity due to additional stimulation although LCDs in most PDAs have limited color depth.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can be found when we consider the situation that there are not much study on icons on PDA. This should be a stepping stone for further research of PDA icons and interface.

      • 명품 광고의 모델 전략에 따른 소비자 반응 연구 : 제품유형과 광고 정보량을 중심으로

        조성희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내 소비 시장은 IMF위기를 거치며, 2000년대 이후 선진국형 소비단계로의 진입을 알렸다. 이는 유통 시장의 전면 개방화와 더불어 소비 계층의 양극화 현상을 나타내었고 특히 명품 구매에 대한 소비현상은 ‘명품 신드롬’이라고 불려지며 급격히 성장하였다. 해외 명품들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만큼 점점 다양해지는 명품 소비자층을 고려한 새로운 마케팅 전략의 중요성이 새롭게 대두되었고, 특히 시즌마다 광고가 브랜드 매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명품 브랜드의 광고 전략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명품에 있어 광고 및 마케팅 전략은 그 타겟에서부터 틀과 방향 모두가 일반 제품과는 매우 다르지만 오히려 그 특수성 때문에 연구가 일반화 되기에 어려움이 많았으며 현재 명품 광고에 대한 연구는 포괄적인 제시와 현 상황에 대한 제한적 연구가 대부분이고, 구체적인 전략을 위한 실증적인 결과를 도출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비주얼 위주로 감성적인 광고전략이 선호 되어오던 명품 광고에 새로운 광고 전략의 잣대를 마련하고 기존 전략의 효과를 수치화하기 위해 특수군인 명품 광고에 대한 실험을 설계하였다. 보다 효과적이고 세분화된 명품 광고 전략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하는데, 특히 일반 광고에서 다양한 경로로 연구 되어온 광고모델 유형에 따른 효과를 명품 맥락에 적용시키려 하였고, 또한 다양한 선행 연구들에서도 밝혔듯이 광고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제품군과 정보량에 따라서 모델의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어떠한 조건에서 최상의 명품 광고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려 하였다. 다시 말해, 본 연구에서는 명품 광고에서 다양한 모델 전략(유명인, 비유명인, 모델 없음)이 소비자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 이러한 효과가 광고에 나타난 제품군(쾌락적, 실용적 제품), 정보량(많음, 적음)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혀내는데 그 목적을 가졌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명품 광고에서 모델의 유형(유명인, 비유명인, 모델 없음)에 따른 소비자 반응은 광고태도에 상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명인을 기용하였을 경우 광고태도가 높았으며 이는 많은 선행연구에서 유명인이 광고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 시키며 회상도를 높인다는 유명인 효과와 일맥상통하는 결과이었다. 둘째, 명품 광고에서 모델 유형의 효과는 제품군(쾌락적, 실용적)에 따라 소비자의 브랜드태도에 상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태도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쾌락적 제품군에서 모델을 쓰지 않은 것이며, 실용적 제품인 경우에는 유명인을 모델로 하는 것이 더욱 높은 브랜드태도를 창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실용적 제품에 모델을 사용하지 않은 광고는 가장 부정적인 브랜드태도를 형성하였다. 특히 광고에서 모델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제품군에 따라 그 효과의 차이가 매우 극단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기존의 쾌락적 제품에 모델을 쓰지 않은 명품 광고 전략에 타당성을 부여해준다. 마지막으로 명품 광고에서 모델의 유형(유명인, 비유명인, 모델 없음)의 효과는 정보량(많음, 적음)에 따라 소비자의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 모두 상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명인과 모델이 없는 제품 광고의 경우 정보량이 적을 수록 그 효과가 두드러졌으며, 정보량이 많을수록 효과는 현저하게 감소했다. 반면 비유명인의 경우 정보량이 많을수록 소비자 반응도가 높았으며, 정보량이 적을수록 그 효과의 값은 낮아졌다. 본 연구는 그동안 일반 제품군에 비해 제한적으로 연구 되어오던 명품이라는 특수군으로 그 대상을 넓혀 이를 심층적으로 연구함에 의의를 가지며 명품 광고의 실험 연구를 통해 최상의 광고 전략을 도출 할 수 있는 자료들을 수치화하고, 분석을 통해 새로운 전략과 조건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 또한 연구에서 밝혀진 학문적. 실무적 결과들은 기존 명품 광고 전략에 대한 진단과 더불어 일부 유명인 효과를 증명하여 엔터테인먼트 경영의 차원에서도 실무적 잣대를 제공해 줄뿐만 아니라 모델 유형에 따른 최상의 제품군과 정보량의 조건을 밝혀 이의 중요성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domestic consumer market has entered the advanced-nation type consumption stage since 2000 via the IMF crisis. This created polarization of consumers together with the all-out opening of the distribution market, especially, a consumption phenomenon of luxury goods has dramatically developed as so called ‘luxury goods syndrome’. As competition of overseas luxury goods becomes fierce, the importance of new marketing strategies considering diversifying luxury goods consumers was on the rise. In particular, advertisement strategies of luxury brands are significantly important because advertisemen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ales every season. Advertise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luxury goods are very different from ordinary products in terms of targets and directions. However, the specialty has caused a lot of difficulties in generalizing relevant studies. At the present time, most studies on luxury goods advertisement are restricted studies on comprehensive sugges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s, but have failed to deduce demonstrative conclusions for concrete strategies. Accordingly, the current study designed an experiment about luxury goods advertisement for the purposes of preparing standards for new advertisement strategies about luxury goods advertisement that has focused on visual-based emotional advertisement strategies and numberizing effects of the existing strategies. In order to implement more effective and subdivided luxury goods advertisement strategies, various elements that can influence consumer reaction. Therefore, the study tried to apply the effects by advertisement model type that have been studied in various ways in ordinary advertisement to luxury goods, and intended to examine difference of model effect by product groups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influence advertisement greatly as found in various prior studies, and in which conditions the best effect of luxury goods advertisement can be created. That is, the study aims to demonstratively examine the influence of various model strategies (celebrity, non-celebrity, and no-model) in luxury goods advertisement on consumer reaction, and difference of effects by product groups (sensual products or practical products)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many or few). The following are the major study results.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consumer reaction to model types (celebrity, non-celebrity, and no-model) in luxury goods advertisement had different influences on advertising attitudes. Particularly, an advertising attitude was high when celebrities were hired, which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celebrity effect of many prior studies claiming that celebrities form a positive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 and improves recollection degree. Secondly, it was observed that effect by model type in luxury goods advertisement influenced consumers’ brand attitudes differently according to product groups (sensual products or practical products). It was found that the one that influences a brand attitude most positively is not using models in sensual products, while hiring celebrities as models for practical products can create an even higher brand attitude. On the other hand, advertisements that didn’t use models for practical products presented the most negative brand attitude. Especially, it was observed that advertisements with no model showed dramatic difference in effects by product group, which gives appropriateness to the luxury goods advertisement strategy that didn’t use models for sensual products. Lastly, it was found that effects of model types (celebrity, non-celebrity, and no-model) in luxury goods advertisement had different influences on consumer’s attitudes toward advertisement and brands and intention to purchase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formation (many or few). In case of product advertisement with no celebrities and models, the effect was more outstanding as the amount of information is smaller, while the effect decreases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information is bigger.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non-celebrities, consumer reactions was high as the amount of information is bigger while the effect decreases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information is smaller. The current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broadened research subjects from ordinary product groups to a special group of luxury goods and conducted an in-depth study, and valuable in a sense that it numberized materials that can create the best advertisement strategy through experimental studies on luxury goods advertisement and suggested new strategies and conditions through analysis. In addition, the study is meaningful in a view that the academic and practical results found in the current study not only provided practical standards in terms of entertainment management by reviewing the existing luxury goods advertisement strategies and proving the celebrity effect, but also suggested the importance of conditions of the best product groups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by model type.

      • 라디오 교통정보 프로그램의 청취동기에 관한 연구

        김화영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도 기존의 미디어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공존을 이루면서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추세이다. 기존 미디어 중에서 라디오는 가장 역사성도 깊고 실생활과도 밀접하게 자리잡은 대중매체라 할 수 있다. 특히 라디오 방송이 가지는 여러 가지 기능 중에서 정보전달의 기능은 어느 매체보다도 신속성과 속보성이 탁월하기 때문에 매년 늘어나는 교통체증 속에서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라디오를 중요한 정보습득의 매체로 여겨진다. 그러나 바쁜 현대인들이 미디어를 이용할 때 1차원적 목적인 교통정보의 습득만을 위해서 라디오를 청취하고 만족하겠는가? 정확한 정보의 습득뿐만 아니라 라디오를 통해서 말 한마디, 음악 한 곡이 운전자와 그 밖의 청취자들에게 감명 깊은 메시지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라디오에 대한 기대욕구가 큰 청취자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수용자의 입장에서 볼 때도 수동적인 청취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개인의 의견을 미디어를 통하여 공개적으로 밝히고 다양한 방법으로 미디어에 참여하는 적극적인 청취행태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라디오 교통정보 프로그램의 청취자들을 대상으로 어떠한 이용동기로 청취하고, 청취자들의 라디오 청취행태는 어떠한지, 욕구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이용과 충족이론 및 미디어 이용자로서의 수용 자 연구와 국내외 라이오 매체의 이용패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인 이용과 충족이론은 미디어의 소비행위가 수용자에 의하여 목표 지향적으로 이루어질 뿐 아니라 욕구 충족과 관련된 커뮤니케이션 상황과 그 외의 다양한 요인들이 청취동기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히고 있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서 라디오 교통정보 프로그램에 참여 경험이 있는 청취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라디오 교통정보 프로그램에는 ‘정보습득’, ‘동반의식’, ‘참여’, ‘습관’, ‘정보공유’, ‘교통정보’ 의 여섯 가지 청취동기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교통정보 프로그램을 통해서 교통과 관련한 정보 이외에 실생활에 유용하고 다양한 정보습득의 동기요인들이 산출되었지만, 이 가운데 ‘참여’의 동기는 능동적인 청취의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취시간, 청취기간, 참여회수 등에 따라 능동적인 청취행태를 분석한 결과 인구학적특성별 청취행태인 연령과 운전여부에서 능동적 참여에 차이가 있었고, 30대 이상의 전업주부, 자영업 종사자의 소극적 청취자의 능동적 참여도 높게 나타났다. 청취동기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능동적 이용행태, 인구통계학적 특성, 운전여부에 따른 청취동기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보습득’, ‘참여’, ‘교통정보’, ‘정보공유’의 요인들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라디오 교통정보 프로그램은 교통정보 습득의 목적을 벗어나 청취자가 능동적으로 라디오를 이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매체 시대에 라디오 방송의 경쟁력 확보와 특화된 미디어로 꾸준히 자리 잡기 위해서는 청취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다양한 노력들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current trend is that, even in the media environment which is rapidly changing, existing media are accepted widely as coexisting with new communication technologies. Among the existing media, radio is the mass medium with the longest history and closely connected with realities of people's life. Particularly, since the informative function of radio seems to surpass other media in quickness and prompt reporting, the radio that presents real-time information of traffic congestion is regarded as an important medium for the acceptance (or value) of information. However, a question arises: do people listen to the radio only to accept the traffic information that is just one-dimensional purpose when busy modern people use the media? In addition to that, a word and a piece of song through a radio program can be entertaining messages to drivers and other people, so they may have an effect on listeners who have high expectations and desires from the radio. Also, the audience show active listening behaviors by revealing their personal opinion through media publicly and participating in the media in various ways. This study examines (1) motives of listeners of traffic information programs on the radio, (2) behaviors when they listen to the radio, and (3) factors influencing on listening desires. Based on media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audience. Specifically, a questionnaire was presented to the listeners who previously participated in traffic information programs on the radio. Data gathered were factor-analyzed.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re are six motives for listening: 'acquisition of information,' 'sense of companion,' 'participation,' 'habit', 'information sharing,' 'traffic informa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active listening behaviors in relation to listening time and perio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rticipation of listeners among full time house keepers in their 30's or more and self-employed persons was found to be high. To investigate variables influencing on motivation factors of listening, an analysis of motivation factors for listening by active listen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whether one can drive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show the following: factors of 'acquisition of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information sharing' were affected by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sum, most listeners were using radio programs actively, not only to use traffic information on the radio, but also to make efforts to meet their needs. Therefore, radio can play its role as a specialized medium in the competitive environment of mass media.

      • 정보 밥상 차리기 : KBS 2TV <8 아침 뉴스타임> 제작진의 인식과 제작과정 연구

        이주한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내 뉴스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기존의 천편일률적인 경성 뉴스에서 벗어나 이른바 뉴스 쇼라 불리는 연성 종합 뉴스가 서서히 선보이고 있다. 제작기법이나 방식도 달라지고 있다. 기자의 전유물로만 인식돼 왔던 뉴스에 이제는 VJ와 PD들의 참여도 크게 늘었다. 이런 프로그램들은 시청자들의 호응에 힘입어 점차 늘어날 전망이다. 미국과 일본, 유럽 등 주요 국가의 아침 뉴스는 쇼 형식의 뉴스가 이미 오래 전에 자리를 잡았지만 우리는 아침 시간대 아직은 종합 시사정보 프로그램의 홍수 속에 버라이어티 성격의 뉴스 쇼의 토양은 척박한 편이다. 이를 뒷받침해 줄만한 뉴스 쇼에 대한 연구도 미흡했다. 그동안 주를 이뤘던수용자 중심의 연구에서 생산자 중심의 연구가 서서히 늘어나고 있지만 PD가 제작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고찰이 많고, 기자들이 제작하는 뉴스 쇼, 종합 시사정보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기자와 외주 제작사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포맷과 구성으로 시청자를 공략하는 새로운 형태의 뉴스 프로그램이 등장했다. 이 연구는 주부를 주 시청자 층으로 하는 종합 시사정보 프로그램 <KBS 2TV 8 아침 뉴스타임>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제작진은 프로그램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고, 제작진의 인식은 프로그램 제작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문제의식에서부터 연구는 시작됐다. 특히 시청률을 의식할 수 밖에 없는 아침 시간대 기자 제작진들은 프로그램의 성격과 우선 가치를 어디다 두고 있는지 살펴봤다. 이같은 연구목적에 근거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아침 뉴스타임의 프로그램 성격은 어떠한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직은 정체성이 불분명한 뉴스 쇼의 장르 성격은 무엇인지, 그리고 코너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프로그램에 대한 제작진의 인식을 살펴 봤다. 제작진은 공정성 등 프로그램 내용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그리고 수용자와 제작진 자신들에 대해서는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짚어봤다. 이를 통해 사실을 찾는데 익숙했던 기자들이 종합 시사정보 프로그램을 제작하면서 겪는 애로사항은 무엇인지도 살펴봤다. 세 번째 연구문제는, 아침 뉴스타임의 제작과정과 제작관행을 참여관찰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알아봤다. 일상적인 제작과정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그리고 제작관행과 의사결정 과정의 특징이 프로그램 제작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봤다. PD가 제작하는 프로그램에서는 일상화된 외주 제작방식을 놓고, 제작과정에서 기자들이 겪는 갈등과 해소방안은 무엇이었는지 짚어봄으로써 보도부문으로까지 확대되는 외주 제작 시스템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침 뉴스타임 제작진은 가장 높은 가치로 공정성과 신뢰성을 삼고 있다. 하지만 광고 수입이라는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아이템 선정과 제작에 있어 공정성과 시청률 사이에서 매순간 ‘외줄타기’를 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제작진은 한편으로는 재미와 다른 한편으로는 공정성을 추구하며 철저한 게이트 키핑을 실시하고 있었다. 둘째, 주 시청자들인 3~40대의 주부들은 이중성과 중독성을 갖고 있는만큼 이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선정적이고도 단순한 아이템을 채택하는 경향이 높았다. 따라서 연예와 사건 중심의 아이템 채택율이 훨씬 높았다. 셋째, 기자들은 아침 뉴스타임의 정체성과 자신들의 역할에 대해 혼란을 느끼고 있었다.편집부서이면서도 노동 강도가 센 반면, 자기 발전과 충전을 꾀할 기회는 적어 이같은 생각을 더욱 증폭시키는 듯 했다. 무엇보다 회사 측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해 보였다. 넷째, 업무과정에서 이뤄지는 활발한 의사소통은 프로그램 전체의 질을 더욱 향상시키고 있었다. 하지만 간혹 수직, 수평간 갈등이 사기저하로 이어지는 사례가 간혹 엿보였다. 이같은 연구결과는 아침 뉴스타임 뿐만 아니라 뉴스 쇼의 형태를 지닌 종합 시사정보 프로그램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경영진의 전폭적인 지원, 그리고 제작진의 획기적인 인식 변화가 시급해 보인다. 특히 대폭적인 예산과 우수 인력확보는 프로그램 품질을 높이는 것은 물론 시청자들에 대한 서비스 차원에서도 시급히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상파의 유사 프로그램 간의 비교분석도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종합 시사정보 프로그램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reporters and producers about the news program which are produced with the cooperation between reporters and outsourcing makers. The study also examines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which the television program is produced. Particularly, it examined by segmenting producers' perception about program contents and consumers, and production crew's perception about their task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as follows: RQ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rning News Time? RQ2. What perception does the production crew have about the Morning News Time? RQ3.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ing process and the producing practice of Morning News Tim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by focusing on the production crew of the Morning News Time, including reporters, outsourcing producers, news producers, and assistant producers. The interviewees considered fairness and viewer ratings as the highest value in making the program. In the meantime, they had a hard time while walking a single line between two values, which may be collided at the slightest slip. It was found that, since housewives in their 30s~40s, who construct the main audience, have dualism and toxicity, there was tendency of adopting sensational and simple items in order to attract these audience. The production staffs were feeling a sense of 'shame' in the middle of inferior work environment and a sense of confusion in identifying the program. It was also found that vertical and horizontal communication was essential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program and for the smooth producing process.

      •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언론사 종사자 인식 연구

        전미미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종합편성채널은 미디어의 글로벌화와 양질의 콘텐츠 개발을 위해 등장한 새로운 산업이다. 콘텐츠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고, 이에 따라 세계적으로도 미디어 관련 산업에 힘을 쏟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문과 방송의 겸영으로 세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거대 미디어 기업을 만들자는 목표로 종합편성채널을 등장시켰다. 그러나 신규 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미디어법 개정의 일방적인 점과 선정된 4개사가 모두 보수 신문사라는 점 때문에 지속적인 찬성과 반대의 입장이 대립되고 있는 상황이다. 찬성과 반대의 대립이 보수신문과 진보신문의 대립양상으로 보이고 있고, 이들의 대립이 계속되면서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규제 방안과 나아가야할 방향성에 대해선 논의 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이처럼 각 입장의 대립에 어떤 해결책 없이 자사간의 입장만 앞세우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어, 종합편성채널의 정책마련이 쉽지 않다. 실제로 선정된 사업자들은 올해 말 개국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지만 방송 규제 방안과 정책에 대해선 정해지지 않고 있어 앞으로의 규제 방안에 추이가 주목되고 있다. 지상파와 같이 모든 장르를 편성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된 종합편성채널 사업자들이 지상파와 같은 규제를 받게 될지 아니면 케이블의 규제를 받게 될지에 대해선 지금도 뜨거운 감자이다. 이와 관련된 기사들이 지속되면서 언론사의 종사자들은 자사의 입장에 맞게 뉴스를 생산하고 있다. 언론사 종사자들의 언론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언론사의 가치와 조직문화인데, 이에 따라 그곳에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들은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고, 생산되는 기사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영향으로 생산된 기사들은 일련의 사건들에 보여주듯 보수와 진보의 대립으로 이어졌다. 이번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의견도 극심한 대립을 보였는데, 이러한 대립이 언론사의 입장에만 따른 것인지 아니면 그곳에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와 언론사의 의견일치로 기사화된 것인지에 대한 부분은 종합편성채널에 따른 변화를 이끌 종사자들의 역할이 큰 만큼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종합편성채널은 미디어 산업에서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것임에는 분명하다. 때문에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인데, 대부분은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규제 방안과 정책들에 대한 것이다. 정책과 방안의 마련도 시급하지만 무엇보다 종합편성채널을 이끌 종사자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 종합편성채널의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시발점이 될 수 있기에, 언론사에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종합편성채널 사업에 대한 인식과 방향성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종합편성채널 사업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대립을 보이고 있는 언론사 종사자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대상을 설정하는 데 주의를 기울였다. 좀 더 정교하게 진행하기 위해 찬성하는 언론사 3곳과 반대하는 언론사 3곳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언론사와 종사자의 의견이 동일한지에 대한 사안과 종합편성채널의 미래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종합편성채널에 대해 찬성과 반대라는 갈등을 보였던 언론사에서 종사자들이 생각하는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입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2〕종합편성채널이 미디어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는가?(산업, 정책, 인력 등) 〔연구문제3〕종합편성채널이 진보와 보수의 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신문과 방송이라는 서로 다른 매체의 융합을 잘 이끌기 위한 방법은 어떤 것인가? 앞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를 토대로 심층면접을 실시한 후 살펴본 분석 결과는 매우 의미 있었다.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언론사와 종사자들 간의 입장은 대부분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반대를 하고 있는 언론사와 종사자들의 입장은 일치하였는데, 이들은 종합편성채널의 등장이 한정된 광고시장에서 경쟁을 가속화시키고 콘텐츠의 질은 더욱 더 낮아질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특히 미디어의 독점이 심화되어 영세한 언론사들은 더욱 더 영세해 질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반대로 찬성을 하고 있는 언론사는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콘텐츠의 질 향상과 지상파 독점이라는 방송 시장에서 여론의 다양성을 가져올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한 가지 특이한 점은 찬성을 하고 있는 언론사의 종사자 중 두 명의 기자가 회사와는 달리 반대의 입장을 보였다. 미디어의 융합이라는 화두는 잠깐의 화제가 될 뿐 종이 신문에 대한 소구력은 계속될 것이라는 것이다. 때문에 신문의 역량을 발전시키는 게 더 중요하다고 했다. 종합편성채널의 미래성에 대해서 찬성하는 언론사와 종사자들 대부분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반대하는 언론사와 종사자들은 종합편성채널 자체를 부정하고 있어 미래성도 없다고 인식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종사자들 대부분이 언론사에서 대립을 보이는 것은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며, 언론사 자체가 각자의 논조가 있고 어떠한 논조를 가지라고 강요할 수 없음을 드러냈다. 또한 양쪽 다 현재가 신문의 위기임에는 분명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다만 그 위기를 풀어나갈 방법에 대한 방향이 달라 이처럼 대립을 보였다고 볼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가 이들 집단이 서로의 의견을 존중해 신문의 위기를 벗어나고, 종합편성채널이 발전하는 데 있어 도움을 주는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본다. KEY WORD: 종합편성채널, 지상파, 케이블방송, 미디어융합, 신문사의 논조, 언론사 종사자 Abstract Perception of Media Professionals about the New Broadcasting Channels of General Programming Jeon, Mi Mi Department of Journalism Graduate Schoo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s Kyung Hee University The general programming channel is a new business area being introduced for the globalization of domestic media businesses and the development of higher quality content. Most countries are making great efforts to promote media related industries as the importance of the contents increases day after day. The general programming channel business aims to cultivate domestic mammoth media corporations that can survive international competition through the convergence of the newspaper and the broadcasting. During the progress of new legislation, there have been, however, the pros and cons due to the one-sided media law amendment and the fact the organizations selected for the service are four conservative newspapers. The professionals in media produce the news programs related to the general programming channel in the manner that the position of the media company to which they belong is not jeopardized. As the value and culture of the media company is the biggest influential component to the employed professionals, th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n them are likely to affect the articles and the programs. Thus, the articles are naturally and clearly divided in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as shown in those for the series of events. Opinions on the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lso reveals such extreme conflicting nature. This study, thus,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se opinions are led by the media company’s influence or by the professionals own judgment as their roles in leading the general programming channel operation in future are considerably important. The result of the in-death interviews shows that the opinions of the media company and the professionals employed by the company on the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re mostly the same. The employees of the company that assents the general programming channel establishment assent the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those of the company that dissents the general programming channel establishment dissent the general programming channel. What is interesting is two employees of the company that assents the general programming channel establishment dissented the general programming channel establishment, arguing that the countermeasures to handle the crisis of the newspaper should be found in the newspaper business itself, for example, the recovery of the trust or digitalization of the newspaper. As a conclusion, the positions of the professionals are not led by the company they belong to, but by their implied agreement. In addition, most of the professionals in newspaper being aware of the crisis of the newspaper are likely to prefer new job opportunity to be created by the general programming channel business. This shows that the journalists in the newspaper area are constantly worrying about the newspaper’s future directions of business while whole media industry is changing fast. It is shown that the professionals regard the internal splits of opinions as natural phenomena, and a media company is to have its own perspectives that cannot be enforced. The professionals and the company share the opinion that the newspaper business is in crisis even though each party has its own direction of measures to solve it. It is hoped this study plays a role in guiding the development of the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escaping from the crisis of the newspaper by respecting the opposite opinion. KEY WORDS: general programming channel, media convergence, media professional

      • 반론보도청구소송 추이에 관한 연구 : 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1981~2000)

        이미경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반론보도청구소송에 관한 여러 가지 현황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두 가지의 연구문제, 즉 반론보도청구사건의 소송은 정권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와 반론보도청구소송에서 신청인의 권리구제실태는 어떠한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들에 대해 실증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내용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언론중재위원회에서의 처리결과와 법원의 판결을 가지고 비교·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1981년부터 2000년도까지의 법원에 소송을 제기한 반론보도청구소송의 전수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309건의 중재신청사건 자료와 법원의 재판을 받은 173건에 대한 판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반론보도청구사건의 소송을 정부별로 분석한 결과, 정부별로 차이점이 없는 것은 신청인 유형, 기사내용, 오보원인 등이다. 다시 말하면, 신청인 유형은 개인이, 기사내용은 사회고발기사, 오보원인은 미확인 보도 및 민원 또는 제보에 의한 취재의존 등이 정부별로 구분 없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정부별로 차이점이 나타난 것은 김대중 정부에 들어와서 매체유형에서 인쇄매체보다 전파매체에 대한 소송이 더 많았고, 또한, 재판결과 인용이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피해구제보도도 역시 높았다. 결론적으로, 언론보도로 인한 가장 큰 피해자는 개인이며, 사회고발 기사가 타인의 법익을 가장 많이 침해하고 있었다. 오보는 언론이 이해 당사자 일방의 주장에 주로 의존하는 반면에 확인절차를 제대로 거치지 않고 보도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현상은 언론사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면서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또한, 시대가 변하면서 전파매체의 수가 크게 늘어남에 따라 경쟁이 가열되고 인쇄매체보다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는 사실에 견주어 보면 방송프로그램, 특히 사회고발프로그램에 의한 초상권침해를 비롯하여 인격권침해 문제가 격증할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본 연구의 결과를 보더라도 재판부가 반론보도청구권을 폭넓게 인정하는 판결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보도를 포함하여 고발성 방송프로그램에 의한 피해구제는 지금보다 더 적극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반론보도청구소송에서 신청인의 권리구제 실태는 어떠한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언론보도에 의한 피해자는 개인이 가장 많았으며, 피신청인 매체는 일간신문이 가장 많았고, 사회고발성 내용의 스트레이트 기사 또는 논평·비평 기사가 타인의 법익을 가장 많이 침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재판결과를 통해서 오보의 원인은 미확인 취재에 의한 보도로서 민원 또는 제보, 민·형사 사건기록, 보도·발표자료에 의존하는 부정확한 보도였다. 피신청인 언론사가 중재과정에서 합의를 거부해 중재가 불성립된 사건이 제소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제소되는 사건 중 1심 또는 확정판결에 의한 신청인의 승소율이 대단히 높았다. 그 결과, 판결에 의한 피해구제보도의 비율이 아주 높았고, 1심 판결 후에 피해구제보도가 거의 대부분 이루어졌다. 재판부에서 피신청인 언론사가 피해구제보도를 회피하기 위해서 원래의 보도내용이 사실적 주장이 아니라거나, 신청인이 보도내용과 개별적 연관성이 없다는 주장을 했지만, 재판부는 근거가 없는 주장을 인정하지 않았다. 또한, 신청인의 반론요구가 명백히 사실에 반한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대부분 입증자료가 없어 언론사의 주장이 받아들여져 기각되는 경우는 대체로 적은 편이었다. 다시 말해서, 재판부는 언론보도에 의한 피해구제에 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아직까지 힘없는 개인들의 권익을 보호하려는 언론사들의 의지가 미약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실상 미확인 취재에 의한 부정확한 보도로 피해를 입는 사람은 주로 사회적으로 힘이 없는 개인이다. 그들은 중재과정에서 피해를 구제받을 수 있는데도 언론사의 무성의로 시간과 금전을 낭비하면서 재판까지 가게 된다. 언론보도에 의한 피해는 원상회복이 불가능한 것은 물론, 일부 피해회복도 어렵기 때문에 취재와 보도시 개인의 권익을 보호하려는 언론사의 보다 적극적인 의지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이와 아울러 언론사는 보도내용의 정확성을 위해서 확인취재를 강화하거나 기사내용을 점검하는 장치를 만들어서 이러한 내부적 변화를 통해 법적 분쟁을 예방해야 할 것이다. 또한, 언론사는 서구에서처럼 법적 소송에 휘말릴 경우 엄청난 금전적 및 시간적 손실을 입을 뿐 아니라 명예나 신뢰도 손상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여 피해자의 피해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특히, 중재과정에서 불성립된 사건이 제소되어 해당 언론사가 패소하는 사례가 많으므로 중재과정에서 분쟁을 원만히 해결하려는 자세가 양자에게 모두 득이 된다는 사실을 언론사는 직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Studies on the decision, till now, of claim suits for counter-argument report were limited within decision constructions and principle of law application and cases that went to the court with disagreement in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were not analyzed profoundly. Accordingly, with a view to understand various kinds of present conditions about claim suits for counter-argument report in this study, I brought two subjects of research: what difference was there upon governments, how the pursuants' rights relief was executed in claim suits for counter-argument report. To examine these subjects positively, I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result of disposition by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and decisions of the court by using the method of content analysis. I collected all the claim suits for counter-argument report brought to the court from 1981 to 2000 as the objects of analysis. As a result, one hundred twenty three cases approved, eight cases dismissed, fifty cases of rejection, fifteen cases of reconciliation, one hundred twelve cases withdrawn and one deferred case were collected. Along with them, one hundred seventy three case trials in court were studied too. Analyzing claim suits for counter-argument report upon governments, there seemed not much differencein pursuant type, the news contents and causes to misinformation. In other words, individuals were the most usual pursuants,social complaint news were mostly on claims and reports from unconfirmed source or civil appeals and anonymous informations were apparently great causes to misinformation. There was, however, somewhat difference upon governments; more suits against TV/radio were submitted in Kim Dae-jung government than against printed media and case approval was on increase and more reports for damage relief were also carried out. Therefore, the biggest press victim was an individual and social complaint news was infringing the most upon people's legal rights. Misinformation seems to have been caused by depending on the opinion of just one side and releasing the news without confirmation. This phenomenon is expected to be continued as much as the competition among the press is getting sharper. As time change, increase of TV/Radio stations, serious competition among them and their higher power than printed media might bring more problems with personal rights infringement by the rights to one's portrait through programs, especially programs treating social complaints. Yet, damage by complaint program is expected to be relieved more aggressively because the Court has tendency of widely approving the claim rights for counter-argument report, which you see at the result of this study. Having analyzed about the circumstance of pursuants' rights relief in the claim suits for counter-argument report, I found the most press victims were individuals, daily newspaper is the most sued and straight news revealing social unjustice or commentary, critical items were known to infringe upon others' legal rights. The wrongful information was normally caused by uncertain reports depending on civil petition, anonymous informer, civil & criminal affair report and different press documents and materials that were mostly not confirmed. Most of cases were submitted when the media did not want to consult together in the course of arbitration. Judgement were given for pursuants in the first trial or final in lots of cases. Consequently, the damage relieving report was on at a high rate, most of which was on following the decision of first trial.The accused press would want to avoid damage relieving report insisting that the original report was not based on real facts or that the pursuant was not specifically related with the very report in the court, but judge did not buy when their claims were groundless. They often insisted that the pursuants' complaint was against the reality, without supportive material, their claims were seldom accepted to help the suit turned down. In other words, Judge were aggressive in relieving damage. As a result, I could understand that press did not want to protect individuals' rights much so far. It is a helpless individual that is damaged by uncertain reports carried with no confirmation. Though their damage could have been relieved through arbitration, they could not help going for a trial wasting time and money (that made two of them including the very press) because of the press' insincerity. It is seriously requested for the press to protect individuals' rights when collecting news material and reporting since it is difficult to recover from damage even partially and furthermore, it is impossible to get the original status back. The press needs to internally transform as well to prevent legal dispute, enforcing confirmation when collecting news materials and building up the device for pre-examining the news. The press is also requested to help sincerely the victim recover, realizing that they waste their reputation and credit not to mention a lot of time and money during the legal dispute just like in western countries. The press should note the fact that it is much helpful for both parties to try to settle the dispute during the arbitration because in many cases, the press loses if it goes to the court without reaching the consent through arbitration. Socially, more and more individuals are damaged by different types of media as we are seeing new types of media on the way toward the Information-based society. I believe, therefore, that various systematic and legal arrangement is necessary to make prompt and satisfactory relief possible.

      • "언론사 세무조사" 신문보도에 관한 연구

        박희진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언론은 여러 당파성을 지닌 구성원들과 각기 다른 이익적 욕구를 지니는 집단들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해가며 사회의 기본적 체계를 유지해야 하는 중요한 임무를 지니고 있다. 보도는 수용자에게 사회적 실재를 왜곡없이 제시해줌으로써 수용자의 사회적 인식과 태도를 진실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보도의 공정성이 언론에 대한 최상위의 규범으로써 전달자와 수용자 쌍방으로부터 그 현실의 당위성을 요청받고 있는 것은 보도가 이와 같은 가치를 지니기 때문이다. 보도의 공정성은 검증가능성과 사실성을 강조하는 관점에서 본다면 결국 공정성이란, 진실성과 관련성, 그리고 균형성과 중립성이 합해진 개념이며, 정당한 이데올로기를 전파하는 보도와 도덕적인 보도 또는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실성과 불편부당성 등 객관적 기준을 지켜야 하며 동시에 이 객관적 기준들이 상대적이고 서로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공정성이란 결국 객관성과 다양성 그리고 윤리성과 이데올로기의 정당성 등을 포괄하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언론사세무조사의 보도 공정성을 조사하는 방법은 진실성, 관련성, 균형성, 비당파성을 객관적 기준으로 하고 특히 균형성을 강조하여야 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질적 분석을 보완하여 최종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Westerstahl의 모형에 근거하여 언론사 세무조사에 관한 공정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조선일보는 양적 분석에 의해서는 비록 인용이나, 사실적 보도태도를 취하여 비당파성에서나 진실성에서는 공정한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균형성에서 공정성을 잃은 것으로 나타났고, 질적 분석을 통해보면 논조의 부각을 이용하여 균형성 차원에서 공정보도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아일보는 조선일보와 마찬가지로 양적 분석에 의해서는 비록 인용이나, 사실적 보도태도를 취하여 비당파성에서나 진실성에서는 공정한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균형성에서 공정성을 잃은 것으로 나타났고, 질적 분석을 통해보면 논조의 부각을 이용하여 균형성 차원에서 공정보도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겨레는 논조가 균형성에서 대체적으로 공정하게 평가되었으나 진실성과 비당파성에는 가치지향적 보도와 비인용을 통해 비교적 공정하지 못한 점도 발견되었다. 대한매일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의 반대입장에서 가치지향적 보도와 비인용 보도를 통해 진실성과 비당파성에 공정하지 못함을 나타냈고, 그 논조의 경우도 반대 논조를 부각시키는 경향으로 인해 질적 분석을 통하여 불공정성이 나타났다. 한편, 공정성의 변화는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는 사건발단기부터 그 균형성이 비피해그룹과 피해그룹으로 극명하게 나뉘어져 있었다. 사건이 진행되면서는 신문별로 각각 다른 경향을 보였는데, 한겨레와 대한매일은 점차 중립적으로 보도하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조선일보는 사건절정기에는 중립적인 경향이 후기에는 다시 부정적인 경향으로 회귀하였고, 동아일보는 계속 부정적인 경향을 견지하였다. 제1 시기(사건의 발단기)에서, 피해그룹의 경우는 진실성과 비당파성 차원에서는 공정하였으나 관련성 균형성 차원에서는 불공정하였다. 한편, 비피해그룹의 경우는 진실성과 비당파성 차원에서는 비교적 공정하였으나 관련성 균형성 차원에서는 피해그룹과 반대되는 측면에서 마찬가지로 불공정하였다. 제2 시기(사건의 절정기)에서, 피해그룹의 경우는 진실성과 비당파성 차원에서는 공정하였으나 관련성 균형성 차원에서는 비교적 불공정한 방향을 보였다. 한편, 비피해그룹에서는 공정한 경향을 보였다. 제3 시기(사건후기)에서, 피해그룹의 경우는 진실성과 비당파성 차원에서는 공정하였으나 관련성 균형성 차원에서는 비교적 불공정한 방향을 보였다. 한편, 비피해그룹에서는 진실성, 관련성, 균형성 차원에서 모두 공정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질적 분석은 양적 분석에 의해 나타난 비피해그룹이 가치지향적 보도와 비인용 보도의 수가 많았던 이유를 설명해주고 있으며, 반면 피해그룹의 사실적 보도와 인용보도의 비교적 수가 많았던 이유를 설명해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그 수가 적어 공정하다고 볼 수 있으나, 질적 분석을 통해서 인용보도를 통한 공정성에 관한 균형을 잃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공정성의 기준은 균형성이 큰 의미를 가지며 이는 양적, 질적 분석의 종합이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연구의 성격상 언론사의 논지와 관련한 전체적 보도성향의 분석을 연구방향으로 설정하지 않은 관계로 사설, 칼럼 등을 제외하였고, 실제지면상의 기사가 아니라 KINDS의 분류를 참조하여 면별 분류를 통한 기사의 비중을 두지 못한 점 등으로, 각 언론사의 성향이 보도에 나타나는 측면을 연구내용에 반영시키지 못했음을 제한점으로 지적해두며, 앞으로 논의되는 공정성의 연구는 복합적인 개념인 공정성의 평가에 더욱 가까이 갈 수 있도록 보도태도의 공정성과, 사회윤리적, 질적 평가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research with the report of the newspaper for tax investigation on the paper from 11th Jan. 2001 through 31th Dec. 2001. As mass communication, paper report has the responsibility of objectivity on their articl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objectivity of the articles related to the tax investigation. This study adopted by 'The Mode of New Objectivity' of Westershthal. According to this research mode, objectivity is based on 'factuality' and 'balance'. The factuality consists of truth and relevance, and the balance ha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balance as its sub-components.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four dimensions, which are truth, relevance, balance and impartiality. This study selected four papers that are divided in two groups. The first group consists of Chosun and Donga. The head or executive of these papers were charged to the public prosecutor. The other is Daehanmaeil and Hankyoreh are holding fast to the position that such tax investigation of the press is a press reform. The result of analysis that is the basis of the mode of news objectivity is as follows. Eventhough Chosun shows that their articles keep objectivity in the dimension of impartiality and truth, the level of balance is low. In addition, it does not keep the objectivity by qualitative research. Donga shows the same result with Chosun but Hankyoreh has been estimated to keep the balance well, but the dimension of truth and impartiality has a low level. Daehanmaeil does not keep the objectivity in truth and impartiality and qualitative research shows it does not keep the objectivity either. On the other hand, the changes of objectivity are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dimension of balance. Hankyoreh and Daehanmaeil shows more neutral balance as time goes on but Chosun keeps it in the middle of periods then turns to a negative trend. Donga keeps a negative trend in all periods. According to the analysis in this study, the articles in the first group are not impartially compared with the other. A meaningful finding is the dimension of balance is the most consequence conception in the mode of news obje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