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 Ravel의 <Cinq mélodies populaires greeques>에 관한 분석.연구

        이수주 경원대학교 음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M. Ravel의 <Cinq mélodies populaires greeques>에 관한 분석.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성악전공 이수주 지도교수:김 영 애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무렵에 이르면 그때까지 전반적인 음악을 지배해 왔던 낭만주의에 대해 반기를 들고 새로운 양식의 음악이 대두된다. 20세기 전반은 그야말로 격동의 시대였다. 세계대전을 두 번이나 겪고 공산주의 혁명, 파시즘(fascism)의 등장 등으로 지구촌 전체가 뒤흔들리는 와중에 기존의 사회제도, 경제 , 관습 등이 급속도로 무너져 갔다. 또한 20세기에 들어서서 사람들의 생활 구석구석에까지 침투한 기계문명도 예술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세기 후반의 파리는 눈부신 예술의 도시였다. 미술, 문학, 음악 모든 분야에서 형형색색의 꽃을 피웠으니 전세계 문화의 중심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인상파 회화, 상징주의 문학의 헤게모니(hegemony)를 쥔 나라도 프랑스 였다. 프랑스적인 전통은 본질적으로는 다소 고전주의적인 것이다. 음악을 표현이라고 생각하는 낭만주의적인 개념과는 대조적으로, 음악을 음향의 형식으로 생각하는 데 기초를 두고 있다. 질서와 절도가 모든 것의 기초가 되고 감정과 묘사는 완전히 음악으로 형태를 바꾸었을 때만 전달된다. 그 음악은 가장 단순한 선율에서부터 시작해서 음, 리듬, 색채의 가장 섬세한 형태에 이르기까지 어떤 것이나 대상이 되고 있다. 19세기 말경 낭만주의 시대에 새로운 사조는 자연적인 현상과 표현들을 음악을 통해 가능케 함으로서 인상주의라는 새로운 음악적 특징을 만들어 낸다. 이는 프랑스로부터 건너와 미술, 음악 등 예술계 전반에 걸쳐 새로운 음악적인 반향을 불러일으키게 되는데, 이러한 음악적 특징은 20세기 작곡가들에게 선율, 화성, 리듬, 형식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음악적 특징은 자연을 소재로 한 표현을 시도함으로써 이전의 음악양식과는 차별을 이룬다. 이는 새로운 시대의 대표적 작곡가인 라벨(Maurice Ravel 1875~1937)과 드뷔시(Claude Debussy 1862~1918)에서 그 특징을 잘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드뷔시와 같은 부류에 포함되는 라벨의 작품은 드뷔시의 작품과 서로 유사한 듯 하지만 서로 다른 면을 보여준다. 인상주의 작곡가라 불리는 라벨은 고전주의적인 선율의 취급, 견고한 구성, 명확한 리듬 등을 사용하여 드뷔시와는 다른 방법으로 인상주의 음악을 발전시켰다. 드뷔시의 음악에 비해 라벨의 음악은 사실적이며, 힘찬 남성적인 인상주의 음악을 추구하였다. 라벨은 처음에는 인상주의에 가담했으나 그에 만족하지 않고 보다 지성적이며 명쾌한 양식으로 나아갔다. 그의 기법은 때로는 새롭고 때로는 보수적이었다. 드뷔시가 끝까지 인상주의자였고, 관점에 따라서는 말기적 낭만주의에 포함되는 데 비해 라벨은 좀 더 명확한 형식을 갖춘 균형 잡힌 형식미를 지향 했다는 점에서 드뷔시와는 확연히 다른 작곡가였다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그를 가리켜 ‘신고전주의자’라고도 한다. 인상주의 전성기는 라벨(M. Ravel)의 영향 하에서도 빛을 발하였고, 드뷔시와 함께 두 작곡가에 의한 인상주의 시기는 ‘후기 인상주의’ 라는 개념으로 나눌 수 있는 발전과 변화를 수반하고 있다

      • 바로크 시대부터 20세기까지 플루트 발달에 따른 플루트 음악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서진희 暻園大學校 音樂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9647

        One Key형태로 시작된 플루트의 초기 여러 문제점들은 18세기 J. J. Quantz 시대 이후부터 급속도로 개량되게 되었다. J. J. Quantz는 Tuning-slide를 고안하여 음정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때 2, 3 Octave가 낮아지는 문제점을 Head-cork를 사용하여 보완하게 되었다. 또한 1770년 이후부터는 새로운 Key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는데 C. Nicholsons에 의해 Key가 7개인 플루트가 제작되었고 J. N. Cappelle는 C. Nicholsons이 만든 Key가 7개인 플루트에 장식음을 낼 수 있는 Key를 추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플루트의 형태 개량은 다양한 연주를 가능하게 하였다. 18세기의 플루트의 개량을 토대로 1827년에 영국 러돌 앤드 로즈(Rudall & Rose)사에 의해 Key가 8개인 플루트가 만들어지게 되였다. 이처럼 시대에 따라 지속적으로 개량 되어 온 플루트는 마침내 19세기에 이르러서 T. Boehm에 의해 현대적인 플주트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T. Boehm은 금속을 소재로 하여 플루트를 제작하였고 포물선의 Head-Joint와 반음계를 보다 정확히 낼 수 있는 tone hole 고안하였다. 또한 T. Boehm이 제작한 플루트는 이전의 플루트에 비해 음역이 넓어졌으며, 연주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운지법, 좀 더 정확한 음정 등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바로크시대의 A. Vivaldi 협주곡과 J. S. Bach 소나타, 고전주의 시대의 W, A. Mozart 협주곡과 L. V Beethoven 심포니, 낭만주의 시대 C. A. Debussy의 작품 〈Prelude a l'Apres-midi d'un faune〉, 20세기 이후에 작곡되어진 Eldin Burton의 작품 〈Sonatina〉와 Michael Levinas의 작품 〈Froissements D'ailes〉등을 통해 각 시대별로 개량되어진 플루트의 형태와 소재의 변화를 알아보고 다양해진 연주 형태와 작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There was a considerable improvement on one key type of the Flute from J. J. Quartz time or in the 18th Century. J. J. Quartz has thought out Tuning-slide for tune adjustment and used Head-cork to solve an octave dropping problem. New types of key have beer introduced by C. Nicholsons and J. N. Caplet since 1770. Ore is Flute with 7 keys, the other is with 7 keys, which can make mordent. Therefore, the performer could play the Flute with various techniques. Afterward, Rural & Rose 8 keyed Flute in 1827. Finally, T. Boehm introduced a Flute with modem conveniences in 19th Century. He has thought out a parabolic head joint and tone hole for more accurate chromatic scale. and used metal material for the Flute. As a result, T. Boehm accomplished instrument improvement in terms of interval, register, fingering so that the performer could play in a convenient way. This study aims at knowing various playing techniques and works, and understanding of instrument progress regarding its formation and material of each period by studying A. Vivaldi's Concerto, J. S. Bath's Sonata in Baroque period, W. A. Mozart's Concerto, L. V. Beethoven's symphony in Classicism period, C. A, Debby's Prelude a l'Apres-midi d'un faune in Romanticism, and Eldin Burton's Sonata, Michael Levinas's Froissements D'ailes in 20th Century.

      • 기본 피아노 테크닉 패턴의 단계적 학습 지도 방안 연구 : Kim's통합이론과 베스틴의 교수법에 근거하여 체르니100번과 부르크뮐러 25 연습곡을 중심으로

        박미희 경원대학교 음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문초록> 기본 피아노 테크닉 패턴의 단계적 학습 지도 방안 연구 - Kim's 통합이론과 베스틴의 교수법에 근거하여 체르니 100번과 부르크뮐러 25 연습곡을 중심으로- 박 미 희 경원대학교 음악대학원 피아노 페다고지 전공 지도교수 김 영 숙 우리나라에 서양음악이 들어와 오늘날까지 짧은 시간 동안 다양한 측면으로 발전 되었다. 피아노 교육에서는 바이엘과 체르니 교재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교재개발과 함께 보다 폭 넓은 연구가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고, 그로 인해 교육의 질도 향상되었다. 더불어 교사의 수준과 함께 학생과 학부모의 수준 역시 점점 높아지고 있다. 오늘날 교육의 화두는 ‘통합적인 사고’ 이다. 통합적인 사고란, 하나의 문제를 여러 관점으로 연결시켜 생각하고 연구하여 그 안에서 답을 찾아 나아가는 것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지식적인 측면만을 배우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정서적인 안정과 감성적인 표현 분야까지 균형 있는 교육을 필요로 한다. 그 교육적인 균형을 위해 음악, 미술, 체육, 즉, 예체능분야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면서 사회적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음악분야에서 피아노 교육은 음악의 기본 개념 습득과 음악적 기초 마련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쉽게 접할 수 있고, 열 손가락과 발사용하여 페달을 누르며 연주한다. 이는 두뇌개발에 적합한 높은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피아노 교육이 너도나도 배우는 잠시 스쳐가는 유행성 교육과정이 아닌 평생학습으로 발전하기 위해 통합적인 교육방법으로 곡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방안을 피아노 교수학자 김영숙의 ‘통합 피아노 교수법’ 이론으로 균형적인 피아노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초·중급 피아노 학습자들에게 표면적인 피아노 교육에서 한층 더 깊이 있는 교육과정으로 들어가기 위한 테크닉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다. 단, 기계적인 손가락 움직임이 목적이 아니고 좋은 음악적 표현이 목적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 대부분의 일반인들은 피아노교육에 대한 경험담을 말할 때 체르니100번, 체르니30번 교재를 운운한다. 또한 그들은 선생님에 대한 좋지 않은 기억도 함께 이야기 한다. 이렇듯 경험담에서 알아낼 수 있는 문제는 피아노학습과정의 단계가 높아지면서, 올바른 테크닉 유형을 단계별로 학습 받지 못하였고, 그렇기 때문에 다음 학습으로 연계되지 못한 채 끝나게 된 것이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테크닉 학습 내용의 기준은 피아노 학습과정이 1년 과정의 수준을 수료한 후 2 년, 3 년 수준의 학생들이 접하게 되는 테크닉 중요 학습 내용을 JAMES W. BASTIEN 의 성공적인 피아노 교수법에서 단계별 테크닉 지도안을 기준을 정해 보았다. 그리고 여러 가지 개인차를 극복하기 위해 적합한 교재로 오랫동안 검증된 체르니 100번과 부르크뮐러 25연습곡을 통해 단계적 학습방법이 실제 곡에서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 L. v. Beethoven Piano Sonata Op.110, No.31 in A♭ Major의 分析 硏究

        안영민 경원대학교 음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 문 초 록 L. v. Beethoven Piano Sonata Op.110, No.31 in A♭ Major의 분석 연구 본 논문은 고전주의 음악을 완성시키고 낭만주의 음악의 기틀을 마련한 작곡가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피아노 소나타 Op.110, No.31 in A♭ Major에 관한 연구이다. Op.110 A♭ Major은 그의 피아노 소나타 작품의 세 시기 중 후기에 속하는 작품으로 낭만주의적인 성격이 잘 나타나 있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Op.110, No.31 in A♭ Major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악장은 전형적인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소나타 형식으로 작곡하였다. 또한 교향곡이나 실내악곡에서 사용된 서주부를 사용하였는데, 이 서주부의 선율이 발전부, 재현부에 주동기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제 3악장의 푸가 선율의 주선율로 다시 사용되어 작품전반에 유기적인 통일성을 보여준다. 또한 모티브의 전개보다는 서정적 선율 위주이며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 사이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전체적인 윤곽이 흐려져 있는 점이 고전소나타 형식과는 차이를 보인다. 제 2악장은 Scherzo악장으로 베토벤 초기 작품의 대부분이 3악장에 Minuet이나 Scherzo를 사용했던 것에 비해 Op.110은 2악장에 Scherzo악장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Scherzo의 박자인 3박자가 아닌 2박자를 사용함으로서 전통적 소나타 악장의 배열에서 벗어나고 있으며, 악장들 간의 뚜렷한 차이와 대조를 잘 보여준다. 또한 제 2악장의 선율 주제는 독일 민요를 인용함으로써 슈베르트와 같은 낭만주의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동기와 동기 사이의 대조적 음형과 다이나믹의 대비가 특징적이며 당김음과 이음줄을 사용하여 리듬 윤곽을 흐리게 하여 즉흥성을 느끼게 하고 있다. 제 3악장은 낭만주의적 성격이 가장 잘 나타난 독창적인 악장으로서 소나타형식에 대위법적인 Fuga를 도입한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Fuga의 주제는 제 1악장의 제 1주제에서 파생된 주제를 사용하고 있어서 각 악장의 주제가 상호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반음계적 전조, 이명동음적 전조, 감7화음의 사용 등으로 대담한 화성진행을 사용하였으며, 또한 장식음과 트릴의 사용으로 화려해진 선율과 넓은 음의 사용, una corda의 사용, 베붕(bebung)주법 등의 사용으로 음향을 새롭게 표현하였으며 recitative등을 사용하여 표현기법을 확대 시켰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Op.110, No.31 in A♭ Major은 베토벤 후기 피아노 소나타의 독창적 특징이 잘 나타나는 작품이라 할 수 있으며, 또한 후에 나타날 주관적이며 서정적인 자유로움을 표현하는 낭만 음악을 예시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Abstract On L. v. Beethoven Piano Sonata Op.110, No.31 in A♭ Major An, Young Min Major Piano Master's Degree Department of Music Graduate School Kyungwon University This thesis studied Piano Sonata Op.110, No.31 in A♭ Major of L. v. Beethoven who completed Classical music and paved the way for Romantic music. Op.110, No.31 in A♭ Major the work of third sonata period among the three periods, shows Romantic characteristics. Summary of this analytical study is as follows. The first movement has a free sonata form out of the typical sonata allegro form. It also had the introduction only used in symphony or chamber music and the melody of the introduction was used as the main motive in the development and recapitulation.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in the first movement was used again as main melody of the fuga in the third movement, which represents the organic unity of the work. Moreover, with the focus on lyrical melody over motive development and unclear distinction between exposition, development and recapitulation, the first movement demonstrates the difference from the classical sonata form. The second movement has Scherozo movement, which goes against the traditional sequence of sonata and confirms distinct differences and contrasts between movements. That's because Op.110, No.31 in A♭ Major uses Scherzo in the second movement whereas most of Beethoven's early works used Minuet or Scherzo in the third movement, and the second movement uses duple time rather than triple time. Additionally, the theme of the melody in the second movement had an impact on Romantic composers like Schubert by quoting German folk songs. The second movement also features contrasting and dynamic figures between motives and gives impromptu feelings by blurring rhythmic outlines with syncopation and slurs. The third movement can be said as an original movement showing Romantic characteristics the most and features the introduction of Fuga, the counterpoint of sonata form. Especially, the theme of the Fuga employs a theme derived from the first theme of the first movement, which shows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mes in each movement. In addition, the third movement used bold harmonic progression with chromatic and enharmonic modulations and diminished seventh, splendid melody and wider tones with a grace and a trill, and una corda. It also refreshed sound with bebung and widened the expressions by using the recitative. This makes it clear that Beethoven piano sonata Op.110, No.31 in A♭ Major shows the original features of piano sonata by Beethoven in his later stage and foreshadows later Romantic music expressing subjective and lyrical liberty.

      • 통합피아노교수이론에 의한 초급과정 피아노 교사의 실기 재교육 지도방안 연구 : 피아노 어드벤쳐 1-4급의 교재를 중심으로

        홍미정 경원대학교 음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31

        성장기 아이들에게 있어 교사의 영향력은 부모 다음으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학생과 교사의 개별적인 관계로 수업이 진행되는 피아노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자질과 능력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피아노에 첫 입문해서 교사의 영향력을 그대로 흡수하는 아이들을 가르치는 초급과정 피아노 교사의 재교육을 위한 교수법을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피아노 교육의 실태와 교사들의 문제점, 교사 재교육의 필요성 인식여부를 연구함으로써 재교육의 타당성을 찾고 실제 재교육에서 본질적으로 필요한 교육 내용을 찾고자 했다.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므로 성인 교육학자 노울즈의 앤드라고지 이론과 피아노 교수학자 김영숙의 통합피아노교수이론에 근거하여 재교육을 위한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자가 1년에 걸쳐 지도한 다섯명의 성인 학습자에게 있어서 자기 자신에 대한 새로운 발견과 내면의 교감을 통한 소리에 대한 공부는 20여년 이상의 피아노 인생에서 전혀 경험하지 못한 것이었다. 따라서 스스로에 대해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새로운 교수법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내청(Audiation)을 여는 경험을 하기 전에 자신의 소리가 잘못된 소리인지 차이를 느낄 수 없었던 성인 학습자 다섯명 모두 잘못된 습관으로 몸과 귀가 닫혀 있었고 무엇을 어떻게 듣고, 들은 소리를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 생각해 본 경험이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성인 학습자들에게 가장 본질적으로 필요한 예술적 청음의 훈련에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고 레파토아에서 리듬, 음악언어와 함께 통합된 소리로 표현되기 위한 기초테크닉을 다루었다. 즉 피아노 어드벤쳐 1급-4급까지의 레슨교재에서 리듬, 음악언어와의 통합에 의한 단계적 예술적 청음 훈련을 진행하였고 연주에 있어서 구체적인 표현을 위해 신체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다루었다. 초급과정 피아노 교사의 재교육으로 성인 학습자가 새로운 교수법을 받아들여 좋은 습관을 받아들이기까지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했지만 내청을 여는 훈련을 통해 자기 자신의 내면의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소리에 대한 공부를 굉장히 행복해 했다. 무엇보다도 재교육 이후 교사의 실기 능력의 향상과 질적인 성장은 교사의 학생까지도 변화시켰다. 한 명의 교사가 아이들에게 주는 영향력은 무궁무진하다. 백지 상태와 같은 아이들에게 숨어있는 재능을 끄집어 내주고 음악적 감수성과 정서적 풍요로움을 키워줄 수 있는 것은 초급과정 피아노 교사의 역량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For children in their adolescence, the role of a instructor is almost as important as that of a parent. Especially, the ability and disposition of the instructor is emphasized in piano education, where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 are in an individual rela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pedagogy for reeducation of basic level piano instructors, whose students absorb the instructor's influence without any filtration. The method of study was through interviews, where this study researched on the realities of current piano education, the problems of instructors, and recognition of need for reeducation, trying to find the propriety and the essence of reeducation. As this study is focused on grownup students, the Andragogy theory by Malcom S. Konoles and Integration Theory of Piano Pedagogy Professor by Young-Sook Kim was used to study the guideline for reeducation. For the 5 grownup students whom the researcher has taught, the study of sound through a discovery of his or herself and a consensus with their minds was nothing they had experienced in their 20 years of piano life. Therefore, they had many trial and error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mselves objectively and accepting new pedagogy. Before they had the experience of audiation, all 5 students had closed ears and body due to wrong habits, could not make a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wrong sound and did not know how to listen and express sound. Therefore, the essential point of this study was the training of artistic listening and basic technique for the music to be expressed in integrated sound with rhythm and music language in repertoire. That is, this study dealt with the artistic listening training by integration of rhythm and musical language in Piano Adventure Level 1-4, and also how the body should be used for specific expressions during performances. It took a long time and effort for a grownup student to accept new pedagogy and good habits through reeducation of basic level piano instructors, but by audiation the students were very happy to study sound as their inner selves changed dramatically. Above all, the growth in quality and ability of piano performance of the instructors changed the students as well. The influence of a instructor to students is infinite. It is the basic level piano instructors' capability to bring out children's hidden talent and grow musical sensitivity and emotional abundance from nothingness.

      • Kim's 통합피아노교수이론에 근거한 피아노 기초테크닉 지도방안

        이선희 경원대학교 음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for correct technique education freeing from cramming education and to recommend right technique education both to teachers and students in instructing basic techniques. To improve such problems, based on "Comprehensive piano teaching theory and basic technique," the theory of Kim Young Sook, who is a scholar in the field of a piano teaching, the thesis investigated the problems of physical symptoms on the piano performance, studied the teaching theory to solve these problems and conducted the practices for basic technique training as follows. First, as a technique for the correct posture change, it made the lower body, the central axis of strength not crumbled, by equally using from toes to hips, to decentralize and support weight of upper body. Second, in case there was no center of inside hand muscles or in case the weight was not put on in fingertips, the physical strength devices to feel inside hand muscles holding the center of hands and to feel opening of inside hands and inside muscles as the pitch intervals widen, and squash balls were used. Third, in case of weighing down the keyboard, the practice to move the wrists up and down by using the model of keyboard and practice of tension and relaxation of the body by using the scale were conducted. Fourth, in case the joints of fingertips get bent because the fingers are thin and there is no center in hands, strengthening in muscle and flexibility were improved by using physical strength device to train the inside hand muscle and by practicing with squash balls between fingers, and muscle training was conducted through code technique practices. Fifth, in case a stuffy sound was heard because the wrist was stiffened, the practice of tension and relaxation of the wrist was conducted by using scales and the keyboard model. Sixth, in case the wrist was strained because of hand shapes, conducting the practice cultivating the strength of fingertip by pulling finger and finger together, it prevented shoulders and arms being stiffened but kept them soft. Seventh, in case the wrist hurt because much strength was put on in front arms, dropping the ball with the weight of front arms was conducted by using a tennis ball. Eighth, in case the wrist was too low, it made elasticity of the wrist felt by using the elasticity of the scale. Ninth, in case the upper arm was attached to the body, so the weight was put on, dropping the weight from the upper arm by using the ball, the training to open the inside hand with the first finger was conducted. Tenth, in case revolving power was poor because the front muscle was stiffened, dropping the weight of the front arm with the upper arm fixed by use of the scale, the practice to throw and receive the ball with the arm's movement uninterrupted by using revolving technique was used. Eleventh, in case the arm and the hand were not connected, the breath was controlled by using inhalation and out-breathing with square tissue, and the practice to drawing in and out the fingertips with the arm and the hand on the flat floor and with the fist opened, and with the arm attached to the floor was conducted. In the basic piano technique education, and in particular, for the students in the beginning stage, the systematic training on the basis of comprehensive piano teaching method got a positive effect. Therefore, without being bound by the existing textbooks, the instruction on the desirable performing posture and basic technique in the beginning stage is necessary, and for this, the interest in the new teaching method using the realistic textbook like Comprehensive Piano Teaching Method and Basic Technique is also necessary. 본 연구는 기초 테크닉을 지도함에 있어 기존의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올바른 테크닉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제시를 하고, 가르치는 교사와 배우는 학생 모두에게 올바른 테크닉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초급 학습자들의 기초 테크닉 지도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조금이나마 개선하기 위하여 피아노 교수학자 김영숙의 이론 “통합 피아노 교수법과 기초 테크닉”을 바탕으로 피아노 연주시 나타나는 신체적 증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교수방안을 연구하였으며, 기초적 테크닉 훈련을 위한 실제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첫째, 올바른 자세교정을 위한 테크닉으로 상체의 무게를 분산, 지탱하기 위해서 발가락부터 엉덩이까지 고르게 사용하여 힘의 중심축인 하체가 무너지지 않게 하였다. 둘째, 손 안 근육의 중심이 없는 경우와 손 끝에 무게가 들어가지 않는 경우는 두음 손 안 중심잡고 손 안 근육 느끼기, 음정관계에 의한 간격이 넓어질수록 손안의 열림과 안근육 느끼기 완력기와 스쿼시공을 사용하였다. 셋째, 건반을 짓누르는 경우는 건반모형을 통해 손목의 down, up 연습을 실시하고 저울을 이용하여 몸의 긴장과 이완훈련을 실시하였다. 넷째, 손가락이 가늘고 손 중심이 없어 손끝마디가 휘는 경우는 완력기를 이용하여 손 안근육을 단련하고, 스쿼시공을 손가락 사이에 끼워 연습하여 근력 강화 및 유연성을 키우며, 코드 테크닉 연습을 통한 손 안근육 훈련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손목이 경직되어 답답한 소리가 나는 경우 저울과 건반모형을 이용하여 손목의 긴장, 이완훈련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손 모양을 만들어 손목이 긴장하는 경우는 손가락과 손가락을 서로 잡아당겨 손끝의 힘을 기르는 훈련을 실시하여, 어깨와 팔이 경직되지 않고 유연하게 유지 되도록 하였다. 일곱째, 앞 팔에 지나치게 힘을 주어 손목이 아픈 경우는 테니스공을 가지고 앞팔 무게로 공 떨어뜨리기를 실시하였다. 여덟 번째, 손목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는 저울의 탄성을 이용한 손목의 탄성을 느끼게 하였다. 아홉째, 윗팔이 몸쪽으로 붙어 힘이 들어간 경우는 공을 이용한 윗팔에서 무게 떨어뜨리기를 실시하여 1번 손가락으로 손안을 여는 훈련을 하였다. 이때 3번 손가락이 가볍게 지렛대 역할을 하고 엄지손가락을 유연하게 쳐주도록 하였다. 열 번째, 앞팔 근육이 경직되어 회전이 안되는 경우는 저울을 이용하여 윗팔 고정하고 앞팔무게 떨어뜨리기를 실시하여, 회전 테크닉을 사용하여 팔의 동선이 끊어지지 않게 공을 던지고 받듯 연습 하였다. 열한번째, 손과 팔이 연결 안 될 때는 사각휴지를 사용하여 들숨과 날숨을 이용하여 호흡을 조절하며, 팔과 손을 평평한 바닥에 놓은 후 주먹을 펴고, 팔은 바닥에 붙인 후 손끝을 끌어당겼다 풀었다를 실시하였다. 이에 피아노 기초 테크닉 교육에 있어서 특히 초급 단계의 학생들에게 통합적인 피아노 교수법을 근거로한 체계적인 테크닉 훈련이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교재에 얽매이지 않고 초급에서의 바람직한 연주자세 및 기초테크닉의 지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현실에 맞는 “통합 피아노 교수법과 기초 테크닉” 과 같은 교재를 활용한 새로운 지도방안에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 F장조 op.24에 관한 분석 및 연주기법에 관한 연구

        김은영 경원대학교 음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베토벤의작품세계에 대한 이해와 바이올린 소나타 op.24 봄에대한 각 악장에서 나타나는 구조,선율, 주법 등을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