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의 태권도 수련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안영진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문초록 아동의 태권도 수련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스포츠산업전공 안영진 본 연구는 아동의 태권도 수련정도에 따른 사회성 발달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태권도수련 중인 아동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편의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400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375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설문지의 내용은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구체적으로 아동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태권도수련프로그램 참가정도 및 사회성을 토대로 구성하였으며, 사회성 변인은 하지원(1993)이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뢰도검사를 실시한 결과 Cronbach's α .644~.891로 나타났으며, 이를 토대로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아동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성발달의 차이에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학년과 가계소득에 따라서 사회성 발달에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성별과 출생서열에 따라 사회성 발달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아동의 태권도 수련강도에 따른 사회성발달의 차이에서는 참가강도는 사회성발달의 모든 하위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참가강도를 지치게 할수록 주도성, 사교성, 개방성, 책임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태권도 수련기간에 따른 사회성발달의 차이에서는, 참가기간은 사회성발달의 하위요인인 주도성, 사교성, 책임감, 개방성 모두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참가기간이 1년6개월 이상일 때 주도성발달이 높게 나타났고, 6개월에서 1년일 때 사교성, 책임감, 개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태권도지도자의 직업전문성이 일 가치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송창우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태권도지도자 직업전문성이 일 가치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송 창 우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사회체육전공 지도교수 이 봉 이 연구는 태권도지도자의 직업전문성이 일 가치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사대상은 2010년 5월부터 2010년 6월까지 국기원 사범지도자 연수원 교육에 참가한 태권도 지도자들을 모집단으로 하였다. 최종 표집된 인원은 292명이었으며, 최종 분석에 이용된 인원은 270명이었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로, 태권도 지도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성별, 연령, 현 단수, 직책, 지도경력, 최종 학력, 대학의 소속 학과, 태권도관련 자격증 보유 현황 등 등 9문항이었다. 태권도 지도자의 인지된 직업전문성은 Knowles(1980)가 개발하고 김현수(1995) 및 김판규(2005)가 원용한 척도와 변영대(1987), 소봉암(1975), 이철희(1982)의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이용한 신승엽(2006)과 김효정(2005), 송봉섭(2008)의 척도를 본 연구에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일 가치감은 오동근 이영석, 김명언, 서용원(2004)이 개발한 일 가치감 문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직무만족도는 Oliver(1980), 황병일(2003)에서 사용된 측정항목을 본 연구에 맞게 표현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한 통계프로그램은 SPSS for Windows 18.01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검증 및 일원변량분석 그리고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는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태권도지도자의 성별에 따라서는 직업전문성의 지속적 전문성 함양, 직업적 사명감 요인 및 일 가치감의 자기충족정서요인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직업전문성의 지속적 전문성 함양, 직업적 사명감 요인에서, 일 가치감의 자기가치인식요인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품단에서는 직업전문성의 지속적 전문성 함양 요인과 지도자격의 특수성 요인에서, 직무만족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경력에서는 직업전문성의 지속적 전문성 함양, 직업적 사명감, 지도의 자율성 요인에서, 일가치감의 자기충족정서요인과 자기 가치 인식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직무만족요인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직업전문성의 모든 요인이 일 가치감의 자기충족정서와 자기가치인식요인 그리고 직무만족요인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직업전문성의 지속적 전문성 함양, 직업적 사명감, 지도의 자율성, 외부평가인식요인이 일 가치감의 자기충족정서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직업전문성의 직업적 사명감, 지도의 자율성요인이 일 가치감의 자기가치인식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직업전문성의 지속적 전문성 함양, 지도의 자율성, 외부평가 인식요인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일 가치감의 자기충족정서, 자기가치인식요인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태권도 시범지도자의 직업전문성의 지속적전문성함양, 직업사명감, 지도의 자율성은 일 가치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직업전문성의 지속적 전문성 함양, 지도의 자율성, 외부평가 인식요인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일 가치감의 자기충족정서 및 자기가치인식요인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골프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신뢰의 관계

        김욱한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문초록 골프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신뢰의 관계 김 욱 한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스포츠산업 전공 지도교수 이 봉 본 연구는 골프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신뢰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을 서울지역에 있는 실내외 골프연습장과 종합스포츠센터에서 골프를 수강하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유층집락무선표집방법을 통해 총 347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도구로는 김병현(1992) ‘스포츠 집단의 경쟁가치 리더십 모형 ’연구에서 사용된 지도유형 설문지와 Clark과 Payne(1997)이 개발한 문항을 이재연(2002)이 번역ㆍ수정하여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의 스포츠 상황에 맞게 수정 보완한 신뢰의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15.0을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상관분석(correlate analysis)그리고 중다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골프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신뢰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 수강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지도유형과 신뢰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연령이 높을수록 대변자와 모니터, 통합자 역할이 높고, 운동경력이 낮을수록 창조자, 대변자, 독려자 그리고 실행자 역할이 높다. 또한 지도자 학력이 높을수록 창조자, 실행자역할이 높았다. 그리고 남성이 여성에 비해 개방성이 높고, 운동경력이 적을수록 지도자를 신뢰하고 있었다. 또한 지도자 학력이 높을수록 학습자는 지도자를 신뢰하고 있었다. 둘째, 골프지도자의 지도유형은 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창조자, 대변자, 독력자, 모니터, 통합자 역할은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지시자는 신뢰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 태권도 품새선수들의 자기관리가 스트레스 및 대처방안에 미치는 영향

        오정수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문초록 태권도 품새선수들의 자기관리가 스트레스 및 대처방안에 미치는 영향 오정수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스포츠 산업 전공 본 연구는 태권도 품새선수들의 자기관리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을 규명하고 그에 따른 대처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제7회 한국체육대학교총장배전국태권도품새대회(2011. 4.)에 참가한 남자 고등학교 태권도 품새선수 21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기관리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지는 허정훈(2003)이 개발하고 최인태(2010)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스트레스 요인 및 대처방안을 분석하기 위한 설문지는 박효주(2008), 강동국(2009), 류근무(2008)의 연구와 1차 개방형 질문지에서 나타난 공통 요인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통계분석은 통계패키지 SPSS 18.0 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 신뢰도 계수(Cronbach’s α) 산출, 기술 통계치(, S),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품새선수들의 자기관리 능력은 입상경험과 훈련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품새선수들의 스트레스 수준은 학년, 입상경험, 훈련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태권도 품새선수들이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안은 입상경험, 훈련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태권도 품새선수들의 자기관리 하위변인과 스트레스 하위요인 간에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p<.01)가 나타났다. 또한 태권도 품새선수들의 자기관리와 스트레스 요인 간의 인과관계는, 정신관리의 경우 사회적 요인( p< .01)에, 대인관리는 운동수행(p< .01), 사회적 요인( p< .001), 대인관계(p< .01)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몸 관리는 경기결과(p< .05)와 운동수행(p< .05)에, 훈련관리는 경기결과(p< .001)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태권도 품새선수들의 자기관리 하위변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안 간에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p<.05, p<.01)가 나타났다. 또한 태권도 품새선수들의 자기관리와 스트레스 대처방안 간의 인과관계는, 정신관리의 경우 소극적 대처(p< .01)에, 대인관리는 적극적 대처(p< .01), 자기조절(p< .01), 회피(p< .01)에, 훈련관리는 회피(p< .05)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태권도 체육관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마케팅 접근 방안

        이광래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태권도 체육관의 효율적인 마케팅 방안을 규명하기 위하여 2006년 현재 서울특별시 송파구, 강동구에서 태권도 수련을 하는 수련생을 대상으로 남자 96명 여자 97명 총193명을 유층집략무선표집법(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조사도구는 태권도장 마케팅 요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권중기(2004)의 무도종목별 이미지 비교분석을 통한 합기도장 경영 활성화 방안 연구에서 구성한 문항을 참고하여 사용하였으며, 지속적 태권도 수련 의도를 측정하기 위해 오선택(2006)의 태권도 흥미요소가 수련생의 재 구매 의사에 미치는 영향에서 구성한 문항을 참고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통계분석은 SPSS Windows 12.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 을 분석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수련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마케팅 요인 및 지속적 태권도 수련 의도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수련정도는 마케팅요인과 지속적 태권도 수련의도의 관계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케팅 요인과 지속적 태권도 수련의도의 관계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태권도 경영의 활성화를 위하여 성별에 따른 마케팅 요인인 제품과 시설에 따른 각별한 준비가 요구되며 태권도 수련생들이 자주 참여할 수 있도록 일상적인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 이외의 태권도 수련 동기유발과 실증 감을 느끼지 않게 수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겠으며, 아울러 태권도 수련의 필요성과 우수성을 수련생들에게 잘 숙지시켜 지속적인 태권도 수련을 유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ampled a total of 193 subjects composed of 97 males and 96 females from taekwondo trainees practicing taekwondo in Songpa-gu and Kangdong-gu, Seoul as of 2006 using th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to work out efficient ways of marketing for taekwondo gymnasium. As for the study tool, the questions composed in 'A study on ways of invigorating the management of hapkido hall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images according to the kind of martial arts' by Kwon, Jung Ki (2004) was used as a reference in order to measure the marketing factor for taekwondo halls. In addition, it uses as a reference the questions appearing in 'the effect of factor for interest in taekwondo on trainees' intention for follow-on purchases' by Oh, Seon Taik (2006) to gauge their intention for continuous taekwondo training. A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for data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rocessed by the computer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nalysis using SPSS Windows 12.0 Version.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 obtained from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data according to such methods and procedures: Firstly, the study found out that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between the marketing factor and the intention for continuous taekwon training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taekwondo trainees. Secondly, the extent of practicing taekwondo has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keting factor and the intention for continuous taekwondo training. Third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keting factor and the intention for taekwondo training was shown to have a partially significant impact. Therefore, particular preparations should be made for the product which is the marketing factor according to sexes and the facility in order to activate taekwondo management and training programs outside the usual taekwondo training program need to be developed so that taekwondo trainees can often participate in them and be motivated to practice taekwondo without feeling boredom. In addition, it will have to be ensured that trainees are induced to practice taekwondo on a sustained basis by getting them familiarized with the need for practicing it and its superiority as well.

      • 은퇴한 여성 태권도 선수의 진로장벽

        윤성희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문초록 은퇴한 여성 태권도 선수의 진로장벽 윤 성 희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스포츠산업 전공 지도교수 이 봉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한 여성 태권도 선수들의 은퇴에 대하여 알아보고, 새로운 직업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혹은 현재 직업에서의 진로장벽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규명하여 은퇴한 여성 태권도선수들의 사회적응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기초 문헌자료를 제공하고, 은퇴한 여성 태권도선수들의 성공적인 재사회화를 돕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은퇴한 여성 태권도 선수들의 은퇴 원인은 무엇이며 은퇴를 위해 어떤 준비를 했는가? 둘째, 은퇴 후 여성 태권도 선수들이 인지하고 경험하는 진로장벽은 무엇인가? 셋째, 진로장벽을 극복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들은 무엇인가? 이었다.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대학교를 졸업하고 실업팀에서 선수생활을 하다가 은퇴한 여성 태권도 선수 8명을 비확률 표집법(Nonprobability Sampling)의 하나인 선별표집법(Convenience Sampling)을 통해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진솔하고 깊이 있는 대답을 얻기 위해 질적 연구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담지표를 사용하였다. 면담은 연구 참여자들의 사전 동의를 얻어서 진행하였으며, 전화통화와 E-mail, 자료 수집 등의 보조 연구 방법을 통해 자료가 포화될 때 까지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 작업을 하고 반복적인 분석을 통해 개념화하고 범주화하였다. 질적 연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 되는 귀납적 내용분석(Inductive Content Analysis)방법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으며(Guba, 1981),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각도 분석법, 전문가 협의를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절차를 통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여성 태권도 선수들의 은퇴는 복합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부상으로 인한 체력저하와 기능 저하, 경기 실적에 대한 부담감, 안정적 직업으로 이동을 위하여, 나이, 목표상실 등의 원인이 발견되었다. 특히 부상은 연구 참여자 대부분에게서 발견되었으며, 부상이 은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여성 태권도 선수들은 은퇴 전에 은퇴 후에 대한 준비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은퇴 전 준비를 하였다고 응답한 경우 대학원 과정을 통해 부족한 학업을 이어가며 미래에 준비를 하였다. 둘째, 여성 태권도 선수들의 은퇴 후에 원하는 직업을 찾기 위해서 혹은 현재의 직업의 어려움을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결혼 후 아이를 가지고 있는 경우 육아에 대한 어려움이 가장 크다고 대답하였으며, 미혼인 연구 참여자들은 결혼을 하긴 해야겠지만 결혼을 하게 된다면 자신의 일과 목표에 가장 방해가 되는 요소일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직업에 대한 정보부족과 선수시절 학업부재로 인해 공부를 하는데 어려움을 토로하였으며, 그 밖에 대인관계, 경제적 어려움, 여성에 대한 차별과 고정관념, 미래불안, 나이 등 총 8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셋째, 은퇴 후에 여성 태권도 선수들이 성공적으로 원하는 직업을 갖고 활발한 사회활동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지는 점들을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무엇보다도 개개인의 노력과 자기개발이 절실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고, 진로에 대한 상담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은퇴 후에 다양한 진로 선택을 위해서는 운동선수들의 학습권이 보장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그 밖에 지도자와 소속팀의 역할이 필요하며, 네트워크 구성 및 대인관계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협회나 국가 차원에서 운동선수들의 은퇴를 도울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 노인여성의 12주간 유산소성 복합운동이 신체조성 및 혈관탄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Aerobic Complex Exercise During 12 Weeks on Body Composition and Vascular Compliance in Elderly women

        최종식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노인여성의 12주간 유산소성 복합운동이 신체조성 및 혈관탄성에 미치는 영향 최 종 식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스포츠산업전공 지도교수 양 대 승 노화는 동맥의 구조 변화와 기능 저하를 가져오며 이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를 증가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산소성 복합 트레이닝이 노인 여성의 혈관탄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건강한 노인 여성 운동군 10명, 대조군 10명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운동군은 12주간 주3회(태권도, 수영, 게이트볼), 1회 운동시간 70분 동안 자각적 운동강도 11-13 범위에서 유산소성 복합 트레이닝에 참여하도록 한 후 왼손, 오른손, 왼발, 오른발 혈관탄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산소성 복합운동 참여결과 왼손 혈관탄성은 주효과, 측정시기, 그룹과 측정시기의 상호작용효과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1), 그룹별 측정시기간의 대응표본 t-test 결과 운동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p<.001). 둘째, 유산소성 복합운동 참여결과 오른손 혈관탄성은 주효과, 측정시기, 그룹과 측정시기의 상호작용효과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1), 그룹별 측정시기간의 대응표본 t-test 결과 운동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p<.001). 셋째, 유산소성 복합운동 참여결과 왼발 혈관탄성은 주효과(p<.05), 측정시기, 그룹과 측정시기의 상호작용효과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1), 그룹별 측정시기간의 대응표본 t-test 결과 운동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p<.001). 넷째, 유산소성 복합운동 참여결과 오른발 혈관탄성은 주효과, 측정시기, 그룹과 측정시기의 상호작용효과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1), 그룹별 측정시기간의 대응표본 t-test 결과 운동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p<.001). 다섯째, 유산소성 복합운동 참여결과 체중과 체지방률은 측정시기, 그룹과 측정시기의 상호작용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그룹별 측정시기간의 대응표본 t-test 결과 운동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p<.001). 하지만 근육량은 그룹과 측정시기만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그룹별 측정시기간의 대응표본 t-test 결과 운동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12주간의 유산소성 복합운동참여는 신체조성 및 혈관탄성 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운동참여를 통하여 심혈관질환인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을 예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승마 동호인들의 참여동기가 정서양식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김균섭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문초록 승마 동호인들의 참여동기가 정서양식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김 균 섭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사회체육전공 본 연구 승마 동호인들의 참여동기가 정서양식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연구대상은 2011년 서울, 경기 지역의 승마에 참여하는 20세 이상의 성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조사대상의 표집은 유층집락 무선 표집법을 이용하여 남자 123명 여자 107명 총 23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 법을 사용하였으며 참여 동기를 측정하기위하여 정경아(1999)가 재구성한 참여 동기 척도를 사용할 하였으며 정서양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주성(1991)이 한국어로 번안하여 사용한바 있는 설문지를 바탕으로 정하나(2010)가 사용한 설문지를 재인용하였다. 또한,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종길(1992), 정계순(2008)이 재구성한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통계 프로그램인 SPSS Windows 15.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변량분석 및 사후분석(Scheffe), 중다회귀분석을 분석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라 자료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승마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참여동기, 정서양식 및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승마 참여동기가 정서양식 및 주관적 안녕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승마 참여자의 정서양식이 주관적 안녕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