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마트 건설안전관리 시스템이 위험대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기성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건설업의 중대재해 감축을 위해 ’20년 산업안전보건법 전면개정 하였으며, ‘22년 중대재해처벌법을 시행하는등 처벌을 강화하였으나 전년대비 재해발생은 저감되지 않고 있다. 이에 최근 국토교통부는 스마트 안전장비 도입으로 건설현장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안전관리비에 첨단기술을 이용한 안전관리체계 구축·운용 항목을 추가하는 건설기술 진흥법 하위법령 개정안을 2020년 3월 18일 공포‧시행을 하였고, 주요 내용은 안전관리비 항목에 무선통신 및 설비를 이용한 안전관리체계 구축·운용비용을 추가하여, 건설현장에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한 스마트 안전장비 도입 등 첨단기술 활용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서울특별시는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공공공사 현장에 첨단 IT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안전기술’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번에 도입된 스마트 안전기술은 ‘원격 점검시스템’, ‘중장비 접근 경고 알람 시스템’, ‘근로자 위치 관제 시스템’, ‘환경센서 시스템’ 등 4종류이며, 시스템이 운영·관리되는 통합관제시스템, 모바일앱, 무선통신 시스템 등도 도입되어 지난 2022년 2월부터 국회대로 지하차도·상부 공원화 사업 등 건설공사에 스마트 안전기술을 시범 운영 중이다. 서울시에서는 지능형 모니터링시스템을 기반으로 건축공사장에 설치된 CCTV영상 분석을 통해 공사장위험요소를 실시간 관제시스템관리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였으며, 더불어 모바일을 통하여 현장점검지원 및 공사장 점검, 지적, 조치사항 등의 안전관리를 “통합 정보화 시스템”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건설현장 스마트 안전관리의 변화에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안전관리 시스템 요인(원격점검관리시스템, 중장비 접근경고 알람시스템, 근로자위치관제시스템, 환경센서 시스템)으로 변인을 선정하여 스마트 안전관리영향력과 위험대응요인을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스마트 건설 안전관리 시스템을 통한 위험대응을 긍정적으로 유도하는 경로를 확인함으로써 건설재해의 감소를 위해 필요한 스마트안전관리 시스템 통합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정부 또는 지자체의 지원 사업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고, 스마트 건설 안전관리 시스템 활성화를 위해 위험대응에 집중할 요인을 검증함으로써 안전관리를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였다. 스마트 건설안전관리 시스템의 위험대응 요인을 예측하기 위한 예비연구모형을 제안하고 실증검증을 통해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을 파악하여 경로관계를 검증하였다. In order to reduce serious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Korean government strengthened punishment, such as a full revision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 2020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in 2022, but the rate of reduction is stagnant. Accordingly, on March 18, 2020,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romulgated and implemented an amendment to the sub-statutes of the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which adds item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dvanced technology to safety management costs in order to increase the safety of construction sites by introducing smart safety equipment. The main content was to add the cost of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facilities to the safety management cost item, and use of advanced technology such as the introduction of smart safety equipment using big data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at the construction site. basis was established. The company plans to lay the foundation for immediate response so that risk factors on the site can be recognized and removed in advance, and securing the safety of field workers is the top priority.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introducing 'smart safety technology' that combines advanced IT technology to public construction site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There are four types of heavy equipment access warning alarm system, 'worker location control system', and 'environmental sensor system', and an integrated control system, mobile app,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tc. Smart safety technology is being piloted in construction works such as the underpass roadway and upper park project. Seoul City has enabled real-time control system management of construction site risk factors through CCTV video analysis installed at construction sites based on the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and safety such as site inspection support and construction site inspection, indication, and action items through mobile.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is being established for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smart safety management at construction sites, this study selects variables as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factors (remote inspection management system, heavy equipment access warning alarm system, worker location control system, environmental sensor system)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mart safety management and risk response I tried to verify the factors, By identifying the path that positively induces risk response through the smart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it is judged that it can provide the integrated information of the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necessary for the reduction of construction accidents, and further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support projects. In order to revitalize the smart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the direction to successfully lead safety management was presented by verifying the factors to focus on risk response. A preliminary research model was proposed to predict the risk response factors of the smart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through empirical verification, central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were identified to verify the path relationship.

      • 면진받침을 이용한 교량구조물의 내진성능 평가 연구

        최상훈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earthquakes at home and abroad,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conducted a study to reinforce earthquake-resistant design standards for major facilities and prepared a basic framework for new structures after 1995 so that Korea's earthquake environment is considered and required seismic performance is ensured. Seismic design, however, has great inconsistencies that can concentrate seismic forces on the fixed end supports and piers, thereby destroying the piers of the supports and fixtures, or causing the structure to collapse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above the design earthquake.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measures to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se bridges is to use a dust-proof device. In the case of a seismic device, the seismic force is reduced by long and additional attenuation functions and dispersion of the eigencycle.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improvement of the seismic performance of bridges using the seismic system,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bridge was compared by applying port support and EQS support, which is a typical seismic device, to the bridge. As a result, the margin of resonance increased by 1.3 to 1.9 times longer than the natural cycle of the port support when using the dust support, and if the height of the bridge is greater than 25m, the port support needs excessive expansion clearance (200mm or higher),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driving and maintenance of the bridge when using the dust support. In the case of port supports, seismic forces are concentrated on fixed end piers, and the section of piers is increased with higher piers, but the seismic load can be evenly distributed at all piers, thereby increasing the seismic stability of the bridge due to the reduction of horizontal forces acting on the foundation. 최근 국내외의 지진발생의 증가로 인해 건교부에서는 주요시설물에 대한 내진설계기준 보수보강을 위한 연구를 실시하여 1995년 이후 신설되는 구조물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지진환경이 고려되며, 소요 내진성능이 확보되도록 기초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내진설계의 경우 고정단 교각 및 받침에 지진력이 집중되고 이로 인하여 교량받침 및 고정단 교각이 파괴되거나, 설계지진 이상의 지진력 발생시 구조물이 붕괴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교량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대책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 면진받침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면진설계의 경우 고유주기를 길게하거나 부가적인 감쇠기능 및 분산에 의하여 지진력을 감소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면진장치를 사용한 교량의 내진성능 및 부재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교량을 대상으로 포트받침과 대표적인 면진장치인 EQS받침을 각각 적용한 경우에 대해 내진성능 및 부재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비교 평가한 결과, 면진받침을 사용한 경우 포트받침 보다 고유주기가 1.3~1.9배 길어져서 교량의 지진응답이 감소하였고, 높이가 25m 이상인 교각에 포트받침을 사용한 경우 과다한 신축길이(200mm 이상)이 필요하나 면진받침 사용시 교량의 주행성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포트받침의 경우 지진력이 고정단 교각에 집중되며, 교각의 높이가 커질수록 교각의 소요 단면은 증대되나 면진받침을 적용하면 모든 교각에서 지진하중이 고르게 분배되어 기초부에 작용하는 수평력의 감소로 인하여 교량 구조물의 내진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 3D 프린팅 시공 저해요인 분석을 통한 국내 건설현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종필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3D 프린팅이 중국, 네덜란드, 일본, 미국, 스페인에서는 활발하게 건설현장에 사용되어지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3D 프린터의 활용이 건설현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이 아직 부진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3D 프린팅의 저해요인을 분석하여 국내 건설현장의 안전, 경제성, 공기단축, 잠재위험 발견 등 활용성 및 잠재경제성장기여에 궁극적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의 방법을 살펴보면, 인구학적 특성을 빈도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변인간의 상관계수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3D 관련 전문가들의 심층분석 하였다. 독립변수(기술력, 재료)와 종속변수(활용성, 경제성)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D 프린팅 시공 저해요인이 국내 건설현장 활용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입증하였다. ① 3D 프린팅 기술력이 국내 건설현장 활용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가설을 입증하였다. ② 3D 프린팅 재료가 국내 건설현장 활용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가설을 입증하였다. 둘째, 3D 프린팅 시공 저해요인이 국내 건설현장 경제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입증하였다. ① 3D 프린팅 기술력이 국내 건설현장 경제성에 유의하지 않음을 알 수 있어 기무가설은 기각되었다. 이 결과를 통하여 아직 국내 건설현장의 3D 프린팅이 활성화가 되지 않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② 3D 프린팅 재료가 국내 건설현장 경제성에 영향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가설을 입증하였다. 위 결과와 같이 3D 프린팅 기술력과 재료의 향상은 BIM과 연동이 가능해져 국내 건설현장에서 설계단계에서부터 시공유지관리까지 활용성이 예고되고, 3D 프린팅의 재료 또한 경제성과 관계가 깊은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3D 프린팅 기술력과 경제성의 관계에서는 가설검증이 되지 않았다. 이는 대부분의 건설현장에서 기존의 시공방식으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3D 프린팅 재료(콘크리트, 철근 등)의 개발은 국내 건설현장의 잠재적 경제성장과 연관성이 깊다. 3D printing has been actively used in the construction sites in China, Netherlands, Japan and Spain but 3D printing is not yet enough to be utilized in the construction site in Korea. Therefore,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utilizations such as the safety, economic feasibility, construction period shortening and discovery of potential risks and to contribute to the potential economic growth by analyzing the hindering factors of 3D printing. Looking at the method of research to achieve the study goal, the frequency 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s conducted. The correlation analysis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variables. 3D related experts conducts in-depth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of independent variables(technology, materials) and dependent variables (utilization, economic feasi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proves whether the hindering factors of 3D printing construction influence the utilization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① the hypothesis is verified as 3D printing technology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of domestic construction sites. ② the hypothesis is verified as 3D printing materials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of domestic construction sites. Second, it proves whether the hindering factors of 3D printing construction influence the economic feasibility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① the hypothesis is rejected as 3D printing technology doesn't show the significant impact to the economic feasibility of domestic construction sites. ② the hypothesis is verified as 3D printing materials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conomic feasibility of domestic construction sites As shown above, 3D printing technology and materials allows the linkage with BIM, it can be predicted usability from the design stage to construction maintenance at domestic construction sites, and 3D printing materials are also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economics. On the other hand, the hypothesis in relation to 3D printing technology and economics is not yet verified. This means the most construction sites are proceeding the constuction according to the exisiting construction method. The development of 3D printing materials (concrete and steel bars) is closely related to the potential economic growth of construction sites in South Korea.

      • 고속도로 연결로 중 합류구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노희찬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연결로 중 가속차로에 대한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고자, 가속차로의 길이 및 도로안전시설물에 대한 검토를 수행 하였다. 국내의 가속차로는 13PS/ton 마력의 화물차로 산정되어 승용차는 물론 일부 화물차에 대해서도 가속차로 길이가 과다하게 산정되어 가속차로 전 구간에서 본선으로의 진입이 일어나 가속차로 뿐만 아니라 본선 교통흐름에도 영향 을 미쳐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용인, 양지, 오산, 수석 각각의 가속차로에서 구간별 차량의 속도 및 본선 진입률을 조사하였고, VISSIM의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영향권 안에서의 차량속도를 통해 가속차로 길이의 적정성과 본선으로의 진입 위치에 대한 평가를 분석 하였다. 조사결과 각 IC의 가속차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행패턴을 보였다. 곡선부의 단순화 및 운전자가 본선의 교통흐름의 인지가 가능하기 시작한 노즈부에서부터 전체차량의 74.0%가 연결로 규정속도 이상을 발현했고, 가속차로 길이( )대비 0.4  , 0.8  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유입교통량의 대부분인 88.6%가 본선으로 진입이 완료되었다. 본 연구는 지·정체가 많이 발생하는 출·퇴근시간의 측정데이터도 포함하여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이를 보완 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VISSIM을 활용하여 본선과 가속차로의 교통흐름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0.35  구간부터 본선으로의 진입을 가능하게 한 시나리오에서 본선과 연결로 모두 가장 빠른 68.3km/h를 보였다. 이를 통해, 가속차로 전체 구간에서 본선으로 진입하기보다는 가속차로에서 속도 회복 후 일부 구간에서 본선으로 진입하는 것이 교통흐름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본선의 교통량과 속도, 본선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종류, 연결로에서 측정된 교통량 및 차량별 속도, 시뮬레이션 분석시 본선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위치 조건 등 이 다수의 가정사항으로 심도있는 분석이 수행되지 못하였으나,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여 가속차로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study has been executed to review length of the acceleration lane and road safety facilities enhancing its efficiency and road safety on ramp. In Korea The length of acceleration lane is generally cal ulated in accordance with 13TON/PS horsepower of cargo trucks. In relation to the cal ulated length, it is likely excessive on passenger cars or different types of trucks. When vehic es joint into the main lane from any point of acceleration lane, it scattered entrance influences traffic flow of acceleration lane as well as main lane. Thus it is required to study for review with regard to the traffic flow influences. The study is carried out a survey for the speed of vehic es, rate of entrance to main lane at the acceleration lane at Yong-in IC, Yang-ji IC, O-san IC, and Su-seok IC. It is analyzed that the study is evaluated appropriate length of acceleration lane as well as joining point into main lane simulated by VISSIM programing taking into account vehic es’ speed in an influence area. As the result of the study, it is found that the 74% of the vehic esentering into the main lane were over speeding from nose point where the drivers are able to recognize the traffic flow of carriageway or simplification of curves at acceleration lane of each surveyed IC and 88.6% of the vehic es complete their joining into the main lane at 0.4ℓ, 0.8ℓ point of the acceleration lane(ℓ) respectively. It is recommended that follow-up study shall be updated taking into account the data measured during the most congested time in a day(rush hour).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 by VISSIM programing on both main and acceleration lanes, the scenario, which option allows vehic es joining into the main lane from 0.35ℓ of the acceleration lane is exposed the fastest speed with 68.3km/h is shown on both lan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ntrance after reaching appropriate speed at specific joining point is more advantageous on the traffic flow than joining from any sections of acceleration lane. It is not available to carry out in-depth study due to several assumptions, i.e. traffic volume of main lane, type of vehic es entering to main lane, measured traffic volume and speed of vehic es on ramp, condition of joining section at acceleration during performing analysis and study however, the follow-up study will need to be supplemented above assumptions in order to enhance efficiency and safety of acceleration lane.

      • 공공 건축공사 설계변경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이경철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Many design changes are taking place in the field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in Korea. The reason is that the design of underground sites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flect, including the collection of various complaints and modification of plans during construction. In addition,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realize the desired performance of the first-time design books, such as mismatch between design literature, errors in quantity production, and non-representative of various statutes, as the poor design environment in Korea has deteriorated. The design engineer of the ordering organization,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r,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changes the complexity of the design process and the approval process, and it takes long time to get the work stress and burden. This affects the quality, process and cost of the site, It has an adverse effect on comple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blems of the domestic design change system and the opinions of the operators and users of the design change system through questionnaires to the persons concerned with the construction work such as the ordering organization,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r, It is aimed to derive practical measures. The research method is to review the design change procedures and methods of design change related laws, and analyze the existing literature on design change.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the person in charge of the ordering organization, the designer, the construction manager,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manager, and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design change system, the main cause of the design change was the provider of the ordering agency and the designer. The main cause was the inadequacy of the original design, the design book and the condition of the site condition and the request of the client. 2) The cause of the deterioration of the design quality was analyzed as insufficient design cost, lack of design period, inadequate field survey, and it was found that the construction company was frequently used as a maintenance method of low cost bidding in case of design change. 3) In case of design change, it takes 4 ~ 8 weeks to get approval from the ordering organization. The biggest obstacle of the design change is the lack of budget of the ordering organization. 4) The improvement plan related to the domestic design change system is to calculate the appropriate design service cost and participate in the construction stage designer in relation to the designer's work. The improvement plan related to the ordering agency work is to improve the design change system,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ordering agency construction supervisor. In addition, the minimization of the design change related to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r 's work was investigated by expanding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work in the field of design and strengthening the work capacity of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r. This study will be completed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opinions of the practitioners who are carrying out the design change work in the public building construction site. However, further studies will be carried out on the concrete and preliminary design change coping methods It should be done. 국내 공공 건축공사 현장에서 많은 설계변경이 일어나고 있으며 발생 사유는 건설 산업의 특성과 관계가 있다. 건설 산업의 특성은 첫째, 외기에 대한 영향이 크며 아무리 사전조사를 철저히 한다고 해도 지하 부위의 설계를 현장여건이 정확하게 반영하기 힘들다. 둘째, 건축공사는 주변의 환경과 주민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공사 진행 중 각종 민원의 발생과 계획의 수정이 수반된다. 셋째, 국내 열악한 설계환경이 설계도서의 품질을 저하시켜 설계도서간 불일치, 수량산출 오류, 각종 법령의 미반영 등 최초 실시설계도서 만으로는 원하는 목적물의 성능을 구현하기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건설 산업의 특성으로 발생하는 많은 설계변경은 발주기관, 건설사업관리사, 시공사에 업무 관련 담당자에게 업무 스트레스와 부담감을 가중시켜 현장의 품질, 공정, 원가관리에 영향을 미쳐 목적물의 원활한 준공에 악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발주기관, 설계사, 건설사업관리사, 시공사 등의 건설공사 관련자들의 설문을 통해 설계변경 제도의 운영자 및 사용자의 의견을 조사하여 국내 설계변경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수행은 설계변경 관련 법령의 설계변경 절차 및 방법, 발생요인 등을 조사하고, 기존 설계변경 관련 연구 문헌을 분석하여 설계변경 제도 관련 기존의 연구의 범위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발주기관 담당자, 설계자, 건설사업관리자 그리고 시공사 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SPSS 통계패키지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설계변경의 주요 원인 제공자는 발주기관과 설계사이고 주요 원인은 당초 설계의 부적정과 설계도서와 현장상태의 상이, 발주처의 요구이다. 2) 설계품질의 저하 원인은 낮은 설계비와 설계기간 부족, 현장조사 불충분이고 설계변경 발생 시 시공사는 저가입찰의 보전 방편으로 많이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설계변경 발생 시 발주기관의 승인까지 4~8주가 소요되며, 설계변경의 가장 큰 장애요소는 발주기관의 예산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4) 국내 설계변경 제도 관련 개선방안은 설계사 업무 관련하여 적정 설계용역비 산정과 시공단계 설계자 참여이며, 발주기관 업무 관련 개선방안은 설계변경 제도의 개선과, 발주기관 공사감독관의 역량강화, 공사 예비비 확보로 나타났다. 또한 건설사업관리사 업무 관련 설계변경 최소화 방안은 실시설계분야의 건설사업관리 업무 확대와 건설사업관리자의 업무역량 강화이다. 국내 공공 건축공사의 설계변경의 현황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도출 및 구체적인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지 못하고 공공 건축공사 관련 실무자의 설계변경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수렴 차원의 연구로 마무리 되었지만 추후 연구에서는 설계단계의 건설사업관리 업무 확대 적용 등 구체적이고 선제적인 설계변경 대처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 건설현장의 재해요인이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

        김연건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nfluential factors of disaster factors in construction sites affect safety culture, to categorize the main disaster factors extracted in previous studies in detail, and thereby to draw the effects of disaster factors on safety culture. Previous studies already revealed that safety culture had correlation with disaster factors in construction sites. It was found that environmental factors and unsafe behavior, unsafe state, and a period of construction influenced disaster factors. It was judged that the safety education and systems, which should be performed according to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failed to let workers understand safety and perceive the necessity of safety, and led to workers’ less autonomy of safety culture. As a result, workers came to perceive that they are perfunctory education and systems. Study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correlations between disaster factors and disaster factors’ influence on safety culture were analyze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do that, this researcher ha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315 persons (workers, partner workers, and safety monitoring workers in construction sites of S semiconductor factory in Pyeongtaek, Gyeonggi-do) from Jul. 1 to Sep. 1, 2020. Fifteen questionnaires with errors were excluded, and thus three hundreds questionnaires were used as samples. As variables, safety culture, management system safety perception, work environment, safety education, treatment of dangerous factors, and safety and construction period were used. The questionnaire used in a previous study was redesigned in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IBM SPSS 25.0 was used as a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ross-tabulation analysis of disaster factor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rrelation analysis of main variables, and regression analysis of disaster factors were conducted to draw influential factors of disaster factors on safety cul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① Fatigue and stress levels were analyzed according to ag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s a result, a relevant hypothesis was accepted. ② A level of TBM communica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ag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s a result, a relevant hypothesis was accepted. ③ A degree of night work progress for shortening a construction period was analyzed according to ag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s a result, a relevant hypothesis was accepted. Secondly, ① Safety & health costs and an amount of investment were analyzed according to subcontract amoun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s a result, a relevant hypothesis was accepted. ② Fatigue and stress level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ubcontract amoun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s a result, a relevant hypothesis was accepted. ③ A degree of work progress in unsafe state were analyzed according to subcontract amoun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s a result, a relevant hypothesis was accepted. ④ A level of safety priority attitude over cost raise in terms of construction period shortening were analyzed according to subcontract amoun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s a result, a relevant hypothesis was accepted. Thirdly, ①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management system safety perception and safety culture was analyzed, and there was no influential relationship. As a result, a relevant hypothesis was rejected. ②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work environment and safety culture was analyzed, and there was no influential relationship. As a result, a relevant hypothesis was rejected. ③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safety education and safety culture was analyzed, and safety education influenced safety culture. As a result, a relevant hypothesis was accepted. ④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treatment of dangerous factors and safety culture was analyzed, and the treatment influenced safety culture. As a result, a relevant hypothesis was accepted. ⑤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safety and construction period and safety culture was analyzed, and the safety and construction period influenced safety culture. As a result, a relevant hypothesis was accepted.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erefore, it suggested the necessity of choosing factors impeding safety culture in various points of view and conducting a wide range of research. Keywords: construction sites, safety culture, disaster factors, influential factors, importance 본 연구는 건설현장의 재해요인이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는데 있으며, 선행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주요재해요인을 세분하게 설정하여 재해요인이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안전문화는 건설업의 재해와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재해발생요인으로 환경요인과 불안전한 행동, 불안전한 상태, 공사기간 등이 재해발생요인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산업안전보건법을 살펴보며 법적으로 강제성을 띄고 있는 안전교육과 제도들이 근로자에게 안전에 대한 이해, 안전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시키지 않은 채 근로자의 안전문화에 대한 자율성을 떨어트려 형식적으로 이행해야 한다는 인식에 불가 하지 않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연구가설 설정을 통해 인구학적특성에 따른 재해요소간의 연관성과 재해요인이 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위하여 표본대상을 2020년 07월 01일 ~ 2020년 09월 01일까지 경기도 평택 소재 S반도체공장 신축건축현장의 근로자 및 협력업체, 안전감시단 등 3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15명의 설문은 오류로 제외하고 300명의 설문을 표범으로 사용하였다. 변수로는 안전문화, 관리체계안전인식, 작업환경, 안전교육, 위험요소처리, 안전과 공사기간으로 설정하고 선행연구의 설문지를 재구성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사용된 설문지를 통해 통계프로그램 (IBM SPSS 25.0)을 이용하여 인구학적특성빈도분석, 인구학적특성에 따른 재해요소간의 교차분석, 연구의 주요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 재해요인에 대한 회귀분석을 통해서 재해요인이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① 연령에 따른 피로 및 스트레스수준을 확인하여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가설을 입증하였다. ② 연령에 따른 TBM의사소통수준을 확인하여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가설을 입증하였다. ③ 연령에 따른 공기단축을 위한 야간작업진행정도를 확인하여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가설을 입증하였다. 둘째, ① 도급금액에 따른 안전·보건비 투자수준을 확인하여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가설을 입증하였다. ② 도급금액에 따른 피로 및 스트레스수준을 확인하여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가설을 입증하였다. ③ 도급금액에 따른 불안전한 상태로 공정진행정도를 확인하여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가설을 입증하였다. ④ 도급금액에 따른 공기지연측면의 비용증가보다 안전우선태도수준을 확인하여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가설을 입증하였다. 셋째, ① 관리체계안전인식이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분석결과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관리체계안전인식은 가설검증 되지 않았다. ② 작업환경이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분석결과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작업환경은 가설검증 되지 않았다. ③ 안전교육이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분석결과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교육은 가설검증이 되었다. ④ 위험요소처리가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분석결과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위험요소처리는 가설검증 되었다. ⑤ 안전과 공사기간이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분석결과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과 공사기간은 가설검증 되었다. 연구의 한계로 다양한 관점에서 안전문화의 저해요인을 선정하여 폭 넓은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예방 기술지도가 재해모델에 미치는 영향요인

        임동준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예방 기술지도가 재해모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는데 있으며, 재해예방 기술지도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바탕으로 안전 증진 효과성을 향상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최근 건설현장의 재해를 살펴보면 대부분이 중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발생되고 있으며 사망자 수도 대규모 건설현장과는 달리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제도인 재해예방 기술지도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재해예방 기술 지도를 통해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 증진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로서 재해예방 기술지도의 하위요인 교육적 측면, 기술적 측면, 법적 측면, 환경적 측면, 기술지도 평가, 기술지도 피드백으로 구성하였으며, 재해모델의 하위요인 인적 요인, 물적 요인, 관리적 요인, 작업 환경적 요인으로 구성하여 재해예방 기술지도와 재해모델의 관계를 분석하고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재해예방 기술지도 요인이 인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했다. 아울러 재해예방 기술지도 요인이 물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재해예방 기술지도 하위요인 환경적 측면이 물적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적으로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해예방 기술지도 요인이 관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환경적 측면과 기술지도 피드백이 관리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해예방 기술지도 요인이 작업 환경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환경적 측면, 기술지도 평가, 기술지도 피드백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설현장에서 작업 환경적 요인 작업순서, 작업동작, 작업방법 등은 환경적 측면,기술지도 평가, 기술지도 피드백과 원인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that a technology instruction of disaster prevention at small and medium scale construction sites affects a disaster model, and to improve safety enhancement effectiveness based on objective data on the technology instruction of disaster prevention. Upon looking at recent disaster at the construction sites, most of the disasters occur at small and medium scale construction sites, and the number of deaths tends to increase, unlike large construction sites. This confirms the importance of the technology instruction of disaster prevention, being a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small and medium scale construction sites. Therefore, as a stud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afety enhancement of small and medium scale construction sites through the technology instruction of disaster prevention, it is composed of educational, technical, legal and environmental aspects, technical guidance evaluation, and technical guidance feedback, which are sub- factors of the disaster prevention-technology instruction, and also it is composed of human factors, physical factors, managerial factors, and workplace environmental factors, which are sub- factors of disaster model,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ster prevention-technology instruction and disaster model, and confirmed interactions between the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was shown that he technology instruction of disaster prevention does not affect the human factors, and thus the null hypothesis was not rejected. In additi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hysical factors by the disaster prevention-technology instruc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hysical factors by the environmental aspect which is the sub-factor of disaster prevention-technology instruction, and it was shown that this aspect partially supports the hypothesis. As factors influencing the managerial factors by the disaster prevention-technology instruction, the environmental aspect and technical guidance feedback were found to affect the managerial factors. As factors influencing the work environmental factors by the disaster prevention-technology instruction, the environmental factors, technical guidance evaluation, and technical guidance feedback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ork environmental factors. It is confirmed that the work order, work operation, working method, etc. which are the working environmental factors in construction site have a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al aspect, technology guidance evaluation, and technology guidance feedback. Key words: disaster prevention-technology instruction, disaster model, small and medium scale

      •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가설공사의 설계도서 필요성에 관한 연구

        김상혁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최근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인적자원의 손실은 물론 기업의 성장 둔화와 수익성 등 재무제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고, 사회 · 경제적으로도 문제가 되고 있다.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원인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가설 구조물공사의 부실한 설계 · 시공 및 유지관리는 사고 발생 시 중대 재해로 이어지는 가장 큰 원인으로 조사 · 분석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설구조물(비계, 동바리, 거푸집) 설계를 실시설계단계에서 계획하는 것이 설계의 누락 및 부실로 인한 안전사고 저감에 영향이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2021년 3월 현재 진행 중인 건축공사 현장의 계층별, 직종별 관리감독자 및 직종별 작업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고 Jamovi 통계프로그램의 분석을 통하여 실효성 있는 결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System비계, System동바리, 거푸집의 가설구조물 설계도서는 모든 조사 대상에서 안전한 작업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System비계 및 System동바리 설계도서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거나 저 감 시키는지는 검증하지는 못하였으며 거푸집의 설계도서의 유무는 안전사고 예방 및 저 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그 원인을 살펴보면 System비계 및 System동바리 가설 기자재의 품질 수준이 기술개발 등으로 향상되었으며 조립, 설치의 방법 또 한 보편화 되어 난이도 없이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거푸집의 조립 설계도는 거푸집에 작용하는 하중이 비교적 복잡하여 반드시 구조계산에 의한 설계도서 유무가 거푸집의 무너짐 및 작업자 떨어짐 사고와 직접적인 영향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가설구조물의 설계도서 작성 및 시공관리는 현재 시행 중인 안전관리계획서에 포함하여 작성, 관리하는 가설구조물 설계를 실시설계에 포함하여 작성·관리하고 관리감독자와 작업책임자의 설계도서에 대한 정보 접근성을 쉽게 하면 “가설구조물 안전에 관한 평가·심사” 국토 안전관리원의 안전관리계획서 심사 자료의 활용도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며 시공 검측 및 유지관리의 기준 자료로 활용 함으로써 가설구조물에 의한 떨어짐 및 무너짐 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afety accidents that occur at construction sites in recent years affect not only safety accidents of human resources, but also financial statements such as slowdown in corporate growth, and are becoming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There are various causes of safety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and poor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emporary structure construction are being investigated and analyzed as the biggest cause leading to serious disaster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planning the design of temporary structures (scaffolding, moving bars, formwork) at the detailed design stage has an effect on the reduction of safety accidents due to omissions and insolvency of the design. As for the method of the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workers by class, management supervisor by job category, and job workers at the construction site currently underway in March 2021,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atistical program Jamovi, effective results could be presented. As a result, design drawings of temporary structures of system scaffolding, system ridges, and formwork are considered to be essential for safe work in all survey targets, but system scaffolding and system ridge design documents have not been verified to prevent or reduce safety acciden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esign document of the formwork was analyzed to have an effect on the prevention and reduction of safety accidents. Looking at the cause, it is judged that the quality level of the system scaffolding and the temporary equipment for the system has been improved through 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method of assembly and installation is also universal, so that the work can be done without difficulty. This is relatively complicated,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esign document by structural calculation had a direct effect on the collapse of the formwork and the dropping of workers. Therefore, the design drawings and construction management of temporary structures are prepared and managed by including the design of the temporary structures to be prepared and managed in the detailed design, including in the safety management plan currently in effect, and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to the design documents of the management supervisor and the work manager is provided. If it is easy, “Evaluation and review on the safety of temporary structures” Review the safety management plan by the National Land Safety Management Agency. It is expected that the utilization of the data will be improved, and by using it as a standard data for construction inspection and maintenance,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the accidents of falling and collapse due to the temporary structure. key word : Temporary structure, system scaffold, system support, Formwork, Fall accident, Collapse accident

      • 인천국제공항 제5활주로 입지 선정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강성훈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인천국제공항은 2021년 6월 17일 4활주로가 완공되어 총 4본의 활주로로 운영되고 있으며 전 세계 주요 공항중 4본 이상의 활주로를 갖춘 공항은 4개소에 불과한 실정으로 명실상부 대한민국의 자랑이자 중추적인 허브공항이다. 그러나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해 여행 및 항공수요가 위축되었으며 그로 인한 공항운영에 큰 어려움으로 다가왔으나 공항산업의 특성상 계획에서 완공까지 최소 10년 이상이 소요되므로 제5활주로 확장이라는 선제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국제공항 제5활주로의 최적 입지 선정 검토를 위해 마스터플랜에서 제시한 안을 포함하여 총 5개안을 선정하여 각각의 예상되는 장단점을 세부적으로 검토한 결과 국제업무3지구 저촉, 오성근린공원으로 조성 예정인 오성산 절취, 공항철도차량기지 저촉, 공유수면 매립으로 인한 환경파괴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어 마스터플랜에서 제시한 검 토1안이 가장 타당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최적 입지로 선정된 검토1안에서 세부개선방안을 남측방향인 32방향과 북측방향인 14방향으로 나누어 검토한 결과 남측방향인 32방향은 항공기의 안전한 이착륙을 위해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가로등 및 진입등시스템 간섭, GP 민감구역저촉을 방지하고자 고속도로를 약 3킬로미터 이설하는 방안을 도출하였 으며 북측방향인 14방향은 신도내에 위치한 구봉산 장애구릉 절취량을 줄이고자 활주로 각도를 1도 변경하여 원안 대비 13.3만세제곱미터의 절취토량을 줄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천국제공항공사에서 조만간 최종단계(5단계) 마스터플랜 용역을 발주할 예정으로 세부적인 검토는 마스터플랜에서 추후 수행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공역검토가 필요하다. After the fourth of runway for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has been constructed on June 17th, 2021, total 4 runways are operating currently. In fact, airport with more than 4 runways are only 4 airports so it is grateful to have a global hub airport among those airports. Due to stagnation economy by COVID-19 pandemic around the world, it is shown a significant reduction in demand of travel and airline services so it brings great difficulties in airport performance. However, advanced investment for expanded the fifth runway will be required considering at least 10 years’ period, from planning to construction completion in airport industry. This study prepares 5 alternatives including recommendation on the masterplan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location for the fifth runway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s the result of detailed review, option in the masterplan is recommended as the most feasible because the other options have problems such as affected international business 3 district, excavation of Osung Mountain, planned Osung Neighborhood Park, affected railway yard of airport express, and environmental impact by reclamation of public water. Also, Option 1, which is determined the optimum location is reviewed in detail with 32 directions of southbound and 14 directions of northbound. According to the review result on 32 directions of southbound, the expressway is suggested relocating approximately 3 km away to enhance safe taking off and landing for airplane as well as to prevent affection of lighting and approach light system for airport expressway and affection of GP sensitive area. In related to 14 direction of northbound, angle of runway is changed 1 degree to reduce 13.3㎥ of excavation volume on Gubong mountain hill. It is planned to offer consulting service for masterplan of final stage (5th) by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and engineering service will be implemented in future.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supports the future engineering service and aeronautical study including airspace will be required.

      •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도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규모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윤경수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현대 사회에서 범죄수법이 교묘하, 지능화, 다양화로 흉악범죄가 증가하면서 국민들이 느끼는 안전상태가 ‘위험해 졌다’고 느끼고 있으며, 아파트, 연립·다세대주택에서 발생하는 5대 범죄가 여전히 많이 발생하고, 주거지역(단독주택, 아파트/연립다세대)과 노상이 범죄발생 1, 2위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할 정도로 주거지역은 범죄의 주된 공간이 되고 있다. 특히 노인 등 사회적 약자나 저소득층이 많이 주거하는 소규모 공동주택에 범죄예방환경설계 시설 도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규모 공동주택에 주거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CPTED구성요소와 삶의 질에 대한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CPTED구성요소가 소규모 공동주택 거주 주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소규모 공동주택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유효 설문지 총 22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R studio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PTED구성요소가 안전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결과는 자연감시, 영역성 강화, 명료성 강화 구성요소가 안전생활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접근통제, 활성화 증대 구성요소가 안전생활 만족에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CPTED구성요소가 일상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결과는 접근통제, 활성화 증대 구성요소가 안전생활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자연감시, 영역성 강화, 명료성 강화 구성요소가 안전생활 만족에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CPTED구성요소 중 가장 선호하는 CPTED 요소는 활성화 증대로 분석되었다. 활성화 증대에는 대표적으로 커뮤니티 시설을 이용한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들 수 있으며, 이는 물리적인 측면을 중점으로 한 1세대 CPTED를 넘어 시민 참여를 통한 공동체 활성화 측면을 강조한 2세대 CPTED를 추진하고 있는 것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보다 살기 좋고 안전한 공동주택 주거환경 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국내 공동주택 CPTED 도입으로 인해 범죄불안 저감 효과를 높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법 제정 전에 건축되어 범죄예방환경설계가 미 도입된 소규모 주거 건축물에도 ‘범죄예방건축기준’ 법을 차차 확대 적용하는 방안이 마련되길 바라면서 이에 본 연구가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In the modern society, with the increase in violent crimes due to subtlety, intelligence, and diversification, the public feels that the state of safety has become'dangerous'. The residential area has become the main space for crime so that the area (single house, apartment/multiple households) and the street account for the largest percentage of crimes, and crime prevention in small-scale apartment houses where many socially underprivileged or low-income families such as the elderly reside. It can be seen that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 design facilities is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PTED component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residents living in the small-scale apartment house by reveal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PTED component and the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living in the small apartment house. There is thi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residents of small apartment houses, and a total of 227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R studi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PTED component's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safe life,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components of natural monitoring, reinforcement of domain, and reinforcement of clar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of safe life.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omponents of access control and activation increase had little effect on safety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analysis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CPTED component on daily life satisfaction were analyzed that the components of access control and activation increas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fety life satisfac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elements of reinforcing sexuality and reinforcing clarity had littl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safe life. Third, among CPTED components, the most preferred CPTED component was analyzed to increase activation.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increase in revitalization is the activation of local communities using community facilities. This can be seen as having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romoting the second-generation CPTED, which emphasizes the aspect of revitalizing the community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beyond the first-generation CPTED, which focuses on the physical as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reate a more livable and safe apartment housing environment, and the introduction of CPTED for domestic apartment houses is expected to increase the effect of reducing crime anxiety, thereby becoming an indicator of the CPTED factor that can improve the actual quality of life. do. Also, it is hoped that a plan to gradually expand and apply the “Crime Prevention Building Standards” law to small-scale residential buildings that were built before the enactment of the law and did not have a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design was introduced. Therefore, I hope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