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교양 골프수업의 재미요인과 학습태도 및 수업몰입, 운동지속행동 간의 관계

        정준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글로컬캠퍼스)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of enjoyment and study attitude, lecture concentration, exercise continued behavior in university golf classes Jung, Jun Young Dep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This study is purported to clarif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fun factor in the golf education courses for college students and the relevant variables such as learning attitude, immersion in lecture and incessant practice behavior. To achieve this objective, I conducted surveys on 400 college students at five 4-year universities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selected 368 answered surve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fun factor in the golf education courses for college students and learning attitude/immersion in lecture/incessant practice behavior. In processing the statistic data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s, I tested the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s with the SPSS 20.0 program. I further conducted a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ing tools; and I conducted an independent t-test and a one-way variance analysis to test the variances of variables again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lso I conducted a post analysis utilizing Scheffe’s method to investigate the variance degrees among the groups. As for the variables, the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fun factor in the golf education courses for college students and learning attitude/immersion in lecture / incessant practice behavior. Further, a path analysis was conducted with regard to the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subfactors of the fun factor in the golf education courses for college students, the sex subfactor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games and exercises; the golf career subfactor in physical fitness level. Meanwhile, the subjects’ major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refreshing and games & exercises; the spousal participation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siness in session attendance. Second, with regard to the subfactors of learning attitude, the golf career subfactor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entration level, while the school year subfactor in degree of autonomy with regard to the subfactors of immersion in lecture, the immersion in bodily action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school years. with regard to the subfactors of incessant practice behavior, the sex subfactor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habits. And the school year subfactor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environment while the spousal participation in exercise capacity. Second, the fun factor and learning attitudes and classroom engagement, analysis of the impact between exercise adherence behavior, fun factor analysis of the impact on the learning attitude, the teacher factor autonomy, self-confidence, emotional transitions autonomy, self-confidence, games, motion appeared to affect the order of autonomy. Fun factor analysis of the impact on the results of this class immersive, emotional transition cognitive involvement, behavioral commitment, a friend is a cognitive social commitment, health development was found to affect the order of the behavioral commitment. Fun factor analysis of the effects of exercise adherence behavior, teachers exercise environmental factors, emotional transition exercise care, games, exercise is exercise friends, health development was found to affect the order of athleticism, movement friends. Attitude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learning on teaching commitment, concentration is cognitive engagement, behavioral commitment, awareness is behavioral commitment, autonomy cognitive involvement, behavioral commitment, appeared to affect the order of confidence. Results of the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attitude on exercise adherence behavior, concentration is athletic, sports interests, exercise environment, exercise environmental interest, awareness is athletic, exercise care, autonomy athletic, exercise habits, exercise friend, confidence appeared to influence the order of movement of interest, sports friends. After teaching commitment analyze the effect of exercise adherence behavior and motor skills of cognitive engagement, sports friends, exercise habits of behavioral commitment, exercise friend, appeared to affect the order of the exercise environment. Third, the fun factor and learning attitudes and classroom engagement,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dherence behavior, had sprung a fun factor to 0.341 direct effect on exercise adherence behavior, learning attitude, the .242, the teaching commitment. appeared in 376. Fun factor was observed impact on exercise adherence behavior through learning attitude is represented as 0.385, effect on exercise adherence behavior through immersion classes were the indirect effects of 0.442. Fun factor according to the research model, learning attitude, teaching commitme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dherence behavior was found to .375, showed that the total effect of 2.12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 골프수업의 재미요인과 학습태도 및 수업몰입, 운동지속행동 간의 관계 모형을 구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경기, 충북지역 소재 4년제 대학교 중 5곳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최종 368부의 설문을 활용하여 대학 교양 골프수업의 재미요인과 학습태도 및 수업몰입, 운동지속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SPSS 20.0 프로그램으로 각 변인 간 차이를 검정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 및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연구변인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test(Independent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그리고, 집단 간 차이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e를 이용한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변인, 즉 대학 교양 골프수업의 재미요인과 학습태도 및 수업몰입, 운동지속행동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 인과관계 검증은 표준중다회귀분석을 통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 될 수 있다. 첫째, 재미요인과 학습태도 및 수업몰입, 운동지속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재미요인 하위요인의 차이에서 성별 간에는 게임·운동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골프경력 간에는 건강발달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공간에는 정서전환과 게임·운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참여여부 간에는 수업용이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습태도 하위요인의 차이에서 골프경력 간에는 집중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간에는 자율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업몰입 하위요인의 차이에서 학년 간에는 행위적 몰입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지속행동 하위요인의 차이에서 성별 간에는 운동습관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 간에는 운동환경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참여여부 간에는 운동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재미요인과 학습태도 및 수업몰입, 운동지속행동 간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재미요인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사요인은 자율성, 자신감, 정서전환은 자율성, 자신감, 게임·운동은 자율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요인이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서전환은 인지적 몰입, 행위적 몰입, 친구사교는 인지적 몰입, 건강발달은 행위적 몰입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요인이 운동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사요인은 운동환경, 정서전환은 운동관심, 게임·운동은 운동친구, 건강발달은 운동능력, 운동친구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태도가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집중도는 인지적 몰입, 행위적 몰입, 인지도는 행위적 몰입, 자율성은 인지적 몰입, 행위적 몰입, 자신감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태도가 운동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집중도는 운동능력, 운동관심, 운동환경, 흥미도는 운동환경, 인지도는 운동능력, 운동관심, 자율성은 운동능력, 운동습관, 운동친구, 자신감은 운동관심, 운동친구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몰입이 운동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지적 몰입의 운동능력, 운동친구, 행위적 몰입의 운동습관, 운동친구, 운동환경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미요인과 학습태도 및 수업몰입, 운동지속행동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재미요인이 운동지속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341로 나타났으며, 학습태도에는 .242, 수업몰입에는 .376으로 나타났다. 재미요인이 학습태도를 통해 운동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385로 나타났으며, 수업몰입을 통해 운동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442의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연구모형에 따른 재미요인, 학습태도, 수업몰입, 운동지속행동 간의 인과관계는 .375로 나타났으며, 2.122의 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적 접근과 만4세 유아의 정서지능 및 언어표현력 발달에 관한연구

        황희경 건국대학교 충주캠퍼스(글로컬캠퍼스)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유아가 가장 먼저 접하는 미디어 중 하나는 그림책이라고 볼 수 있으며, 그림책 중에서도 글 없는 그림책이 유아의 자유로운 정서 및 언어표현을 끌어낼 수 있는 좋은 매체이다. 본 연구는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적 접근이 만4세 유아의 정서지능 및 언어표현력 발달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적 접근이 만4세 유아의 정서지능 및 언어표현력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가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적 접근과 만4세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 둘째,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적 접근과 만4세 유아의 언어표현력 발달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정서지능 및 언어표현력 발달에 관한 연구를 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교육 목적 및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 앞서 예비연구를 통해 글 없는 그림책 활동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고 유아 교육 전문가와 유아 교사에게 타당성을 검증받은 후 미술 활동, 동극, 역할, 신체표현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정서지능 요소와 언어표현력 요소를 선정하여 32회로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청북도 C 시에 소재한 H 어린이집의 만4세 두 학급 유아 42명이다. 각 학급을 실험집단 21명, 통제집단 21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글 없는 그림책을 읽고 그림책 내용을 문학적 접근을 통해 이야기를 상상하는 활동과 미술을 통한 표현 활동 및 동극, 역할, 음악표현, 신체표현 등의 프로그램 활동으로 교육하였다. 통제집단은 일상적인 생활에서 글 없는 그림책을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유아의 정서지능을 알아보기 위해 이병래(1998)의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 체크리스트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 언어표현력을 알아보기 언어능력 선행검사 및 연구(한국 행동과학연구소)를 기초로 하여 조경미(1984)가 제작한 언어 능력검사 중에서 언어표현력 부분만을 발췌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및 자료 분석은 SPSS 23.0을 사용하여 사전·사후검사 독립변인 t 검증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적 접근 활동에 따른 유아 정서지능 발달에 관해 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정서지능 하위요소인 자기 인식·표현능력, 자기조절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조절능력 모두 사후검사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적 접근 활동에 따른 유아 언어표현력 발달에 관해 ‘그림 보고 이야기 꾸미기’와 ‘그림 보고 연계성 있는 이야기 꾸미기’의 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하위요소인 내용일치, 문장 수, 문장 길이 모두 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적 접근을 통한 다양한 표현 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글 없는 그림책을 일상적인 생활에서 단순히 접한 통제집단에 보다 정서지능 및 언어표현력이 크게 발달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유아가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해 내용을 구성하고 기억에 남는 장면 그리기, 뒷이야기 상상해 그리기, 동극, 역할, 음악표현, 신체표현 등 다양한 문학적 접근을 통해 유아 자신의 정서와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다양한 언어 표현을 통해 이야기를 구성하며 생각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정서지능 및 언어표현력이 발달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 교육 현장에 부족한 글 없는 그림책이 현장에서 다양한 문학적 접근으로 유아의정서지능 및 언어표현력 발달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교육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자기애성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

        이지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글로컬캠퍼스)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자기애성향이 대인관계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대인관계문제에서 분노정서의 표현양식(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통제)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충북 충주시에 소재한 1개 대학교의 사회복지전공(2-4학년)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애 성격장애 척도, 한국형 상태-특성 분노표현 검사, 한국형 대인관계문제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애성향, 분노표현양식, 대인관계문제의 하위영역 모두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자기애성향, 분노표현양식, 대인관계문제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자기애성향이 대인관계문제 전체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분노억제만이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분노표출과 분노통제는 자기애성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난 대인관계문제 하위영역(통제지배, 자기중심성, 과관여) 중 통제지배, 과관여의 영역에서만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자기중심성의 영역에서는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분노억제는 통제지배, 자기중심성, 과관여의 영역에서 모두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자기애성향과 대인관계문제, 분노표현양식의 특성 및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 원어민 교수의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에 대한 영어 전공학과 신입생들의 인식 조사 연구

        김소영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한국 대학들은 학생들의 언어 학습 목표를 지원하고 대학 순위를 높이며 문화적 인식을 지원하기 위해 영어 원어민 강사/교사(NEST)의 수를 늘렸습니다. NEST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는 NEST에서 진행하는 영어 과정을 수강할 때 태도와 동기에 관한 영어 전공 신입생의 신념을 조사합니다. 특히, 본 연구는 NEST 및 NEST 강의 과정에 대한 한국 영어 전공자들의 인식을 조사합니다. NEST 과정의 혜택, 만족도, 영어 자기 효능감, 부정적인 영향 및 기대되는 자질과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NEST 강의에 참석한 이유도 수집했습니다.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는 대학 1학년에 재학 중인 40명의 영어 전공 그룹을 대상으로 횡단면 조사 설계를 따랐습니다.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NEST 교사에 대해 높은 수준의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NEST가 가르치는 수업에 대한 만족도 및 이점과 관련하여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이에 반해 NEST에서 영어를 배우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예: 부정적인 감정과 불안)은 관심변수 중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상관 분석은 몇 가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었습니다. NEST에 대한 만족도는 부정적인 영향을 제외한 모든 관심 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설문 항목의 순위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NEST에서 가르치는 과정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보다 미묘한 이해가 제공됩니다. 연구 결과, 시사점 및 향후 연구 기회에 대해 논의합니다. South Korean universities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native English-speaking lecturers/teachers (NEST) to assist students with their language learning goals, improve university rankings, and support cultural awareness. To better understand student perceptions of NE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eliefs of freshmen English majors pertaining to attitude and motivation when attending English courses taught by NEST. Specifically,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perceptions held by South Korean English majors for NEST and NEST taught courses. Perceptions pertain to benefits, satisfaction, English self-efficacy, negative affect, and expected qualities with NEST courses. Moreover, reasons for attending NEST taught courses were also collected. To accomplish the research goals, the study followed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on a group of 40 English majors attending their first year of university.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held generally high levels of positive perceptions towards NEST teachers, with highest levels relating to satisfaction and benefits with NEST taught classes. Contrarily, negative affect (e.g., negative feelings and anxiety about learning English from NEST) produced the lowest level among the variables of interes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everal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Satisfaction with NES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all variables of interest, except negative affect. Through rank-order analysis of the survey items,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how students perceive NEST taught courses is provided. Findings, implications, and opportunity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단비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글로컬캠퍼스) 2015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교수방법 중 최근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스토리텔링을 연계하여 유아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통합 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를 적용함으로써 유아의 수학적 성향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의 수학적 성향과 자기효능감에 실험․비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통한 유아의 수학적 성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 둘째,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통한 유아의 자기효능감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누리과정 지도서와 수학교육 관련 선행 연구들을 탐색하여 본 프로그램의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누리과정 자연탐구의 수학적 탐구하기 내용에 부합하는 동화를 선정하고 그와 연계하여 이야기 나누기, 미술, 게임 등 적절한 통합 활동을 포함하여 20회로 계획하였다. 예비연구를 통해 본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고, 유아교육 전문가와 유아교육 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만 5세 담임교사 3인에게 타당성을 검증받고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프로그램은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인 ‘수와 연산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공간과 도형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기초적인 측정하기’, ‘규칙성 이해하기’, ‘기초적인 자료수집과 결과 나타내기’의 5가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내용에 대한 각 활동은 세부내용에 적합하도록 계획․실행하였으며, 수학동화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과정을 거친 후 연계된 통합 수 프로그램을 직접 실천해 보도록 계획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I시에 위치한 D유치원 만 5세 두 학급 유아 48명이다. 무선 표집을 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어 바다반 24명은 실험집단, 하늘반 24명은 비교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동안에는 실험집단의 경우 본 연구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스토리텔링 과정만을 실시하였다.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적 성향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누리과정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더니 유아들이 수학적 개념을 이해․습득하고, 수학에 대한 흥미가 생겨나 수학적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어떠한 상황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를 해 낼 수 있다고 생각하여 유아들의 자기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 기초하여 스토리텔링 수학과 통합 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자 하는데 혼란을 겪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스토리텔링 수학과 통합 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자 하는 현장의 교사들에게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configured an integrated math program in which young children can directly participate through storytelling, a teaching technique that has recently earned great popular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through the adoption of this program.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determine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garding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through a storytelling-linked integrated math program. First, in terms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disposition through the storytelling-linked integrated math program,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second,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young children’s self-efficacy through the storytelling-linked integrated math program? To configure a storytelling-linked integrated math program, goals and directions were established after a survey of the NURI curriculum textbooks and previous studies in math education.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provide a total of 20 classes including integrated activities such as story sharing, fine arts and games after selecting fairytales that pair with natural and mathematical exploration in the NURI curriculum. The program was corrected and improved through a preliminary study, and feasibility was approved by three professionals inclu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5-year-old preschooler teachers. A final version was then completed. The program consists of the following five themes: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 of numbers and calculation’,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 of space and figure’, ‘basic measurement’, ‘understanding of rules’ and ‘basic data collection and result representation’. The specific activities for each theme were planned and executed according to a detailed plan. They were designed for young children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integrated math program after going through a math storybook-based storytelling process. For this research, a total of 48 5-year-old preschoolers at ‘D’ Kindergarten in ‘I’ City were chosen. Because of difficulties in random sampling, the ‘Bada’ class and ‘Haneul’ class (24 children each)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and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was ensured. During the study,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an experimental group while a storytelling lesson only was given in the control group.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in terms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disposition-related scores, the experimental group was far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in terms of self-efficacy scores as well,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siderably larger than the control group. When the storytelling-linked integrated math program designed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was applied, therefore, young children were faster in understand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showed an interest in math,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ir mathematical disposition. In addition, the program allowed young children believe that they could perform their tasks with confidence,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ir self-efficacy.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there has been some confusion and difficulty in carrying out storytelling math and an integrated math program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it appears that this study could provide a specific and effective teaching-learning program to teachers who want to introduce a program like this.

      • 말기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가 인식‧경험하는 장애요인과 지지요인

        허경숙 건국대학교 대학원(글로컬캠퍼스) 2015 국내석사

        RANK : 249615

        This descriptive study examined obstacles and supportive behaviors perceived or experienced by clinical nurses providing care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using 26 questionnaire items on obstacles and 24 items on supportive behavior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228 RNs with more than one year of experience at medical-surgical general wards in one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2 general hospitals, and 1 convalescent hospital. The items with the highest perceived obstacle while providing care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ere: ‘patients having pain that is difficult to control or alleviate’, ‘the nurse having to deal with angry family members’, and ‘the nurse having to deal with distraught family members while still providing care for the patient’ in descending order. The items with 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obstacle were: ‘patients having pain that is difficult to control or alleviate’; ‘dealing with anxious family members’; and ‘the nurse having to deal with angry family members’ in descending order. The items with the highest perceived supportive behaviors while providing care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ere: ‘allowing family members adequate time to be alone with patients after he or she has died’, ‘having family members accept that patients are dying’, and ‘having the family physically care for dying patients’ in descending order. The items with 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supportive behavior were: ‘allowing family members adequate time to be alone with patients after he or she has died’; ‘allowing families unlimited access to dying patients even if it at times conflicts with nursing care’; and ‘having family members accept that patients are dying’ in descending order. Perceptions and experience of RNs showed differences in 9 obstacles and 3 supportive behaviors according to types of the hospitals they work in, and in 6 obstacles and 5 supportive behaviors according to the career years. However,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wards they work in or the number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they care for were insignifican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the obstacles found in this research shall be improved immediately while actively strengthening the supportive behaviors. Especially efforts lik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an training program to promote pain management care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re in need. Also, the RNs responded that they experienced great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anxious, distraught or angry family members, stressing the need for communication abilities of RNs and cooperative approaches with other healthcare team members for taking care of family member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Meanwhile, factors relating to family members are significantly perceived or experienced in supportive behaviors as well. Thus, family members should be recognized and invited to participate actively in caring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Education programs or clinical environments should be provided for RN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hospital types or RNs clinical careers years. 본 연구는 말기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가 인식 또는 경험하는 장애요인과 지지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이를 위해 Beckstrand(2009)의 ‘Obstacle and supportive behavior in EOL’ 도구를 우리나라 의료 문화의 특성이 반영된 내용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전문가 위원회 및 사전조사를 통해 한국어로 번역 및 보완하였다. 원 도구에서 지지요인 항목 중에서 ‘환자 임종 후 가족들이 병동을 떠나기 전에 서명해야 할 서류를 모두 준비해주는 지원 인력이 있는 것’을 삭제 하였고, ‘병동에서 제공되는 완화의료 서비스가 의료보험 정책에 의해 지원되는 것’이라는 항목을 추가하여 장애요인 26문항, 지지요인 24문항을 완성하였다. 현장조사는 상급종합병원 1곳, 종합병원 2곳, 요양병원 1곳의 내·외과 일반 병동에 근무하는 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최종 228명의 응답 자료를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 하였다. 말기 암환자 간호의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에서는 ‘환자가 조절하거나 완화시키기 어려운 통증을 가진 것’, ‘간호사가 화가 난 가족들을 상대해야 하는 것’, ‘간호사가 환자에게 간호를 제공하는 동시에 흥분한 가족들을 상대해야 하는 것’ 순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장애요인에 대한 경험에서는 ‘환자가 조절하거나 완화시키기 어려운 통증을 가진 것’, ‘간호사가 불안해하는 가족을 상대 하는 것’, ‘간호사가 화가 난 가족들을 상대해야 하는 것’ 순으로 가장 빈번하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기 암환자 간호의 지지요인에 대한 인식에서는 ‘환자의 임종 후에 가족이 환자와 함께 있을 수 있는 시간을 적절히 허용하는 것’, ‘가족이 환자의 임종이 가까워지고 있음을 받아들이는 것’, ‘임종이 가까워진 환자의 신체적 간호를 가족이 도와주는 것’ 순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지요인에 대한 경험에서는 ‘환자의 임종 후에 가족이 환자와 함께 있을 수 있는 시간을 적절히 허용하는 것’, ‘때로 간호 수행에 어려움을 주더라도 가족이 언제든지 말기 환자를 만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 ‘가족이 환자의 임종이 가까워지고 있음을 받아들이는 것’ 순으로 가장 빈번하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인식 또는 경험은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요양병원의 병원유형에 따라 장애요인 9개 문항, 지지요인 3개 문항에서, 근무경력에 따라 장애요인 6개 문항, 지지요인 5개 문항에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내과와 외과 진료과목 간에 또는 간호사가 돌보는 말기 암환자 수에 따른 장애요인과 지지요인에 대한 인식이나 경험의 차이는 미미하거나 발견되지 않았다. 말기 암환자 간호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발견된 장애요인을 개선하는 것이 시급하며 동시에 지지요인을 적극적으로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가장 자주 경험하고 중요하게 인식하는 장애요인인 말기 암 환자의 통증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학제적 접근, 통증 간호 연구를 활성화 하는 동시에 임상 간호사들의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무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불안, 분노, 흥분한 가족들을 대하는 어려움이 크다고 하였으므로 말기 암환자 가족 간호를 위한 의사소통 역량, 다른 의료진과의 협력 방안 등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 한편 지지요인에서도 가족과 관련된 요소가 매우 중요하게 인식·경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말기 암환자 간호에 있어서 가족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들이 간호 수행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기능적 환경을 개선할 것을 제언한다. 이들 장애요인과 지지요인은 병원 유형과 간호사 경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므로 간호 수행 지침이나 교육을 병원별, 경력별로 차별화할 필요가 있겠다. 오늘 날 말기 암환자 간호는 호스피스 병동에 국한되지 않고 급성기 병원의 간호사들에 의해서도 자주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므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 도구를 활용하여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이들이 인식·경험하는 장애요인과 지지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겠다.

      • 자화상에서 상징적 인물상으로의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장수지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2016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을 대상으로 자화상을 통한 사회에서 나타나는 현대인들의 자아정체성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심리를 표현하고 이에 대한 방어기제를 조형적으로 재해석하여 보편적인 자화상으로 확대시키고자 한다. 인간은 사회 속에서 많은 경험과 함께 감정을 느끼며 성장하게 되고 자아의 정체성이 형성된다. 이 과정 속에서 형성되는 감정 중 불안의 감정을 확대하여 해석하고자 한다. 성인이 되어 경험하게 되는 낯설음에 대한 불안과 사회 속에서 느끼는 외로움에 대한 불안의 감정을 인물에 투영하고 있다. 정신적인 성숙과는 상관없이 만 19세가 되면 모두에게 성인의 역할이 주어진다. 이는 육체적으로 성숙되고 나이가 차면 모두에게 주어지는 역할이다. 성인이 되었지만 어렸을 때 생각해왔던 어른의 모습이 아니었다. 어렸을 때 어른은 무엇이든 다 해내는 단단한 사람처럼 커보였다. 어렸을 적의 나와 지금의 나는 같은 모습이지만 준비 없이 급하게 어른이 된 기분이 들었다. 이와 같이 정신적으로 미성숙함에 대한 불안을 소녀 인물상을 통해 내면에서 느끼는 감정을 나타내고 있다. 소녀는 위로의 자화상이다. 불안하고 외로운 사람들에 대한 공감과 위로이다. 주변의 모습에 물들지 않은 순수했던 어린 시절이 인간의 본질에 조금 더 가까운 모습이라 생각했다. 어른은 현실이고 소녀는 과거와 미래의 이상을 투영한다. 현실에서 느끼는 불안을 과거의 소녀였을 때, 혹은 이상을 꿈꾸는 소녀의 모습을 통해 위로하려 한다. 인물을 통해 내면의 불안을 이끌어내어 감정을 전달하고자 한다. 불안하거나 두려운 감정이 커지면 표정이 없어진다. 감정 표현에 성숙하지 못한 소녀의 감추어진 표정 속에 눈을 통하여 감정을 표현하고 머물러진 시선에서 불안과 위로의 눈빛을 전달하고자 했다. 정면을 응시하여 감정을 나누고 바라보는 것으로 위로를 전하려 한다. 자화상의 특성과 본인의 작품을 연구하고 자화상을 그린 화가들을 통해 본인의 작품과 연관성을 찾아내어 분석하여 자화상을 통한 방어기제와 상징적인 인물상으로 전개되는 과정을 도출하려 한다. 현실의 불안을 극복하기 위한 과거로의 회귀와 미래의 이상향은 현재에 느끼고 있는 불안의 방어기제이다. 소녀의 주변에 존재하는 꽃봉오리와 사슴토르소, 뿔, 파랑새 등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존재를 만들어 현실에서 벗어나 이상을 꿈꾸고 있다. 소재는 방어기제와 현재의 위로를 상징한다. 어른은 현재를, 소녀는 이상을 상징한다. 소녀상을 통해 이상을 투영시키고 현실에서 느끼는 불안을 위로받고자 한다. 자아를 소녀에 투영하여 내면의 감정을 표현한 자화상은 그 누군가의 자화상이 될 수 있다. 소녀는 현대사회에 불안을 느끼는 사람들에 대한 자화상이다. 이는 개인적인 자화상에서 나아가 보편적인 자화상을 상징한다. 사람들은 타인과 공감하며 위로 받는다. 현대인들의 자아상실과 정신적인 불안에 대한 감정적 공감을 통해 흔들리는 현실에 대한 위로를 하고자 한다. This thesis will illustrate the state of fear and nervousness towards self-identity in the contemporary society based on the writer's piece. It will expand into a universal self-portrayal through figuratively re-interpreting the defense mechanism of that fear. Through countless experience along with feelings, humans grow and develop a sense of identity within the society. The piece tries to interpret the 'the feeling of fear', one of many feelings developed during human's growth in the society. It portrays nervousness towards the unfamiliarity that people experience when they come of age and towards loneliness felt within the society. regardless of psychological maturity, roles as an adult are given when people reach their 19th birthday. It is a role that is bestowed to all who have matured physically and reach a certain age. However, the given adult roles are the ones that they imagined during the younger years. Adults, from children's point of view, seemed sturdy and capable of accomplishing everything. People feel they have grown up too soon with inadequate preparations considering the child in the past is exactly the current self without much difference. the piece shows both anxiety towards psychological immaturity and inner emotions that is felt by the persona of the 'girl'. the girl is self-portrayal of consolation to that fear, or a sympathy towards lonely and nervous people. The writer feels that the young innocent years of childhood,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outside world, is closer to ourselves. the adulthood is the reality and the 'girl' reflects the ideal past and the future. This piece tries to console the anxiety that is felt in the reality, through the ideal girlhood that existed in the past or the illustration of a girl in pursuit of the ideals. It also tries to extract the inner fear through the piece's characters and communicate those feelings. When feelings of fear and anxiety grows, facial expression ceases to exist. Not used to expressing her feelings, the 'girl' tries to accomplish that by her eyes inside her hidden face and communicate her portrayal of fear and anxiety by lingering her eyesight. Looking straight ahead, she attempts to provide comfort by sharing her feelings and staring. By examining the writer's own pie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self-portraits, and analyzing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works of Frida Kahlo. the writer attempts to deduct the process in which those similarities are transformed into a defense mechanism and symbolic human figure. Return to the past in order to overcome the present fear and ideals of the future are part of a defense mechanism against fear. Imaginary objects such as flower buds, deer's torso, horns and broad-billed roller are created by the 'girl' who pursues ideals and strivers to get out of the reality. The objects, therefore, symbolizes defense mechanism and consolation of the present. Adult represents the present and the 'girl' ideals. She tries to console her fear that she feels in the reality by portraying her ideals through the 'girlhood'. The self-portrayal that expresses inner feelings by reflecting ego into the 'girl' can be that of anyone. Thus, the 'girl' is self-reflection of those who feel anxiou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It is a universal portrayal, developing from a personal one. People are consoled by sympathizing with others. The writer attempt to send her consolation to the loss of self-ego of the contemporaries and psychological anxiety.

      • 아그로박테리움과 유전자총을 이용한 형질전환 팔레놉시스 식물체 생산 체계 확립

        백선영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글로컬캠퍼스) 2015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에서는 팔레놉시스의 대량증식 체계와 Agrobacterium 및 particle bombardment 방법을 이용하여 형질전환 체계를 확립하고 노화지연 식물체를 생산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대량증식 체계 확립에 대한 실험에서 식물 재료는 강산농원에서 분양받은 ‘KNO21’ 품종을 사용하였고 배지 종류 실험 (VW, HCa, Knudson C, Orchimax)을 실시하였을 때 VW 배지에서 재분화율이 74.0±2.2 %로 가장 효과가 좋았다. 액체 고체 형태에 따른 PLB의 생장을 비교한 결과 고체배지에서 신초발생율은 36.3 %로 액체 배지보다 1.7 %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Sucrose 농도에 따른 PLB 생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농도 (0, 10, 20, 30, 40, 50 g/l)실험을 실시한 결과 10 g/l에서 30.3 %로 신초발생율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PLB의 갈변 억제에 효과적인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ascorbic acid (0, 50, 100, 150, 200 mg/l)와 activated charcoal (1 g/l)를 처리하였다. 생육과 갈변억제에 가장 효과적인 처리구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으로 생육과 갈변을 8주간 관찰하였다. 갈변 억제는 ascorbic acid 200 mg/l에서 가장 효과적이었지만 생육은 ascorbic acid 150 mg/l에서 가장 빠른 것을 확인하였다. activated charcoal 1 g/l처리에서는 무처리구보다 갈변이 높은 것을 확인하여 activated charcoal의 갈변 억제 효과는 확인 할 수 없었다. 형질전환 실험에서는 Agrobacterium 매개 방법과 유전자 총을 이용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형질전환 시 BASTA를 이용하여 1차적 선발을 위해 비 형질전환체를 가지고 0.01, 0.05, 0.10, 0.15 % 처리한 기본 VW배지에 증식하여 관찰하였다. 실험을 실시한 결과 BASTA가 첨가되지 않은 대조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개체들이 4주차에서 대부분이 고사하여 최적의 농도를 0.01 %로 선정하여 형질전환 선발을 진행하였다. Agrobacterium 접종 처리에서는 침봉처리 실험에서 (침봉, 무침봉) 무침봉처리가 1.87±0.75 %로 침봉처리보다 형질전환 효율이 높았으며, 균 OD600 농도 처리 (0.5, 1.0, 1.5, 2.0)에서는 OD600 0.5에서 13.19±4.01 %로 가장 높은 효율을 보였다. 접종시간 비교 실험 (5, 10, 20, 30분)에서는 30분에서만 1.18±0.50 %로 형질전환체를 확인하였으며, 유전자 총 실험에서는 이격거리 (3, 6, 9 cm) 실험을 실시한 결과 이격거리 6 cm에서 약 25 %, 삼투압 처리실험에서는 0.2 M mannitol + 0.2 M sorbitol에서 20.7±1.5개의 PPT 저항성 PLB를 확인하였으며, bombardment 횟수 (1, 2, 3회)에 따른 형질전환 비교실험에서는 2회에서 10.3 ± 1.5개의 PPT 저항성 PLB를 확인하였다. 1차적으로 선발된 PLB를 이용하여 분자적인 분석을 한 결과 ORE7 gene (936 bp)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형질전환 된 개체를 가지고 재 분화를 한 후 순화까지 완료된 발육이 좋은 몇 개체에서 꽃봉오리가 맺힌 후 정상적으로 개화를 하였다. 비형질전환체와 ORE7 유전자를 가진 개체간의 특이한 사항은 없었지만 꽃봉오리 개수가 ORE7 유전자를 가진 개체에서 4-5개 가량 더 많은 것을 확인하여 이는 유전자의 발현으로 인한 결과라고 사료된다. 위의 결과들을 가지고 팔레놉시스의 대량증식 체계 및 형질전환체 생산에 대한 체계에 도움이 되는 정보가 될 것이라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mass propagation system of Phalaenopsis and transformation system using Agrobacterium by using particle bombardment methods, and produce aging delay plants. In the experiments for establishing the mass propagation system, a ‘KNO21’ cultivar given by Kangsan Farm is used as a plant material. When media type tests (VW, HCa, Knudson C, Orchimax) are performed, the regeneration efficiency on VW media is 74.0±2.2 %, which is the best. As the results of comparing PLB growth on a liquid or solid media, the shoot regeneration percentage on the solid media is 36.3%, which is higher than that on the liquid media by 1.7 %,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is not observed. We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sucrose concentrations (0, 10, 20, 30, 40, 50 g/l) on PLB growth. As the results, the shoot regeneration percentage is 30.3 % on 10 g/l. Based on these results, we treat them with ascorbic acids (0, 50, 100, 150, 200 mg/l) and activated charcoal (1 g/l) in order to find an effective way to suppress browning of PLB. We observe growth and browning for 8 weeks as the experiment to find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group for growth and browning suppression. It is found that browning suppression is the most effective in ascorbic acid of 200 mg/l but growth is the fastest in ascorbic acid of 150 mg/l. Since it is found that browning is higher in the group treated with activated charcoal of 1 g/l than that in a control group, activated charcoal is not effective for browning suppression. We use an Agrobacterium-mediated method and a gene gun for transformation experiments. First, we observe the propagation of non-transformants on basic VW media treated with 0.01, 0.05, 0.10 and 0.15 % for the first screening when transformed with BASTA. As the results, most of cultivars are died in all treated groups except a control group without BASTA in the 4thweeks. Thus, we carry out the screening for transformation at 0.01 % as the optimal concentration. In groups treated with Agrobacterium, the transformation efficiency is 1.87±0.75 % in groups without needle holders and it is higher than that in groups treated with needle holders. When it is treated with bacterial OD600 concentration (0.5, 1.0, 1.5, 2.0), a group treated with OD600 of 0.5 shows the efficiency of 13.19±4.01 % which is the highest. We perform experiments to compare inoculation time (5, 10, 20, 30 minutes) and we find transformants with the efficiency of 1.18±0.50 % only in 30 minutes. We perform distance (3, 6, 9 cm) experiments using a gene gun, we find about 25 % in the distance of 6 cm. In the experiments treated with osmotic pressure, 20.7±1.5 of PPT resistant PLB is found in 0.2 M mannitol + 0.2 M sorbitol. As the results of experiments to compare transformants depending on bombardment frequency (1, 2, 3 times), 10.3±1.5 of PPT resistant PLB is found in 2 times. As the results of molecular analysis using PLB selected as the first screening, we identify ORE7 gene (936 bp). In several transformants with excellent development where acclimation is completed after re-differentiation, they put out buds and these buds normally develop into flower. There is nothing significant between non-transformant and transformants containing ORE7 gene, but transformants containing ORE7 gene have more buds by 4-5 than non-transformants. It may be caused by the gene expression. Our results will be useful information to establish the mass propagation system of Phalaenopsis and transformation production system.

      •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박현지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글로컬캠퍼스) 2015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유아들에게 발생하는 사회문제 중 개인주의적 성향 증가, 탈공동체화 현상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또래 유아들과 함께 협력할 수 있도록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을 구성하였다. 이를 적용함으로써 유아가 자신에 대한 이해와 타인에 대한 배려적 사고를 올바르게 형성하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 비교집단 간 차이와 형성과정을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 속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배려적 사고 형성과정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 사용된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은 교육과학기술부(2012)가 제시한 인성덕목 여섯 가지인 배려, 존중, 협력, 나눔, 질서 효가 포함되어 있는 동화 중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동화를 선정하였다. 인성동화를 선정한 후 미술, 게임, 동극, 요리, 뒷이야기 꾸미기 활동 중 동화의 내용과 주제에 부합하는 활동을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20회차 협동활동을 계획하였다. 예비연구를 통해 협동활동을 수정·보완하고, 충청북도 C시의 현직 유아교사 5명과 유아교육 전문가 3명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받아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C시에 위치한 K어린이집과 S어린이집의 만 4세 유아 50명이다. 무선 표집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각기 다른 어린이집으로 임의 선정한 뒤,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기간 동안, 실험집단은 본 연구의 프로그램인 인성동화를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 이후 협동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인성동화를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만을 실시 하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인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배려적 사고 하위요인인 가치부여적 사고, 정서적 사고, 행동적 사고, 규범적 사고, 감정이입적 사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동활동에 참여하기 전 유아들은 ‘무시하기’, ‘욕심내기’, ‘경쟁심 갖기’ 등의 모습으로 타인에 대한 경쟁심을 갖고 교구를 사용하는데 있어 욕심을 보였지만, 협동활동 프로그램 적용 이후 ‘다름을 인정하기’, ‘배려하기’, ‘함께하는 우리’ 등의 모습으로 타인을 이해하려는 모습과 타인의 긍정적인 면을 인정하며 배려하려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들의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공동체 경험을 통하여 유아들이 자신을 이해하고 타인의 감정을 존중할 줄 아는 배려적 사고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에게 협동활동의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배려적 사고와 인성적 측면의 발달을 지원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양적인 연구방법과 질적인 연구방법을 혼합하여 기술함으로써 배려적 사고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만 4세 유아들의 모습을 심도있게 나타냈다는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인성동화의 활용방안과 협동활동의 적용에 도움을 제공하고 인성교육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This paper organized the cooperative activity using the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for guiding children to cooperate as a part of effort to present the solutions against the increasing tendency of individualism and de-communization phenomenon among serious social issues occurring to children in the modern society. This paper aims to help the children to build the proper considerate thinking for others and understanding the self by applying those cooperative activity. For identifying the impact of cooperative activity using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on the considerate thinking of children,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such considerate thinking. Then,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lected. First, What is the impact of cooperative activity using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on the considerate thinking of children? Second, What is the process to build the considerate thinking of children observed in the cooperative activity using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The cooperative activity implemented in this paper selected the picture books in accordance with the previous researches among the picture books having the contents about consideration, respect, cooperation, sharing, order and filial duty, six virtues of characters suggeste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After determining the picture books, the activities suitable for the contents and themes of picture books were selected among art, game, juvenile drama, cooking and creating sequel. Then, the cooperative activity for 20 classes was organized. The cooperative activity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preliminary research. 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present in the city C in Chungcheongbuk-do and 3 expert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planned cooperative activity. Thus, the final program was completely configured. The subjects were 50 children of full 4 years old in K and S day care centers in the city C. It was very difficult to do random sampling. Thus, two day care centers were selected and the homogeneity between both groups was secured.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ooperative activity after discussing the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the program planned in this paper, and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only in the discussion using the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n the impact of the cooperative activity program using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the main program, on the considerate thinking of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ing the cooperative activity using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categories of considerate thinking, value adding thinking, emotional thinking, behavioral thinking, normative thinking and empathic thinking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didn't experience the cooperative activity. The children were greedy when using learning tools with competitive spirit against others including 'ignoring', 'being greedy' and 'being competitive' before they participated in the cooperative program, but showed the attitude for trying to understand others and accepting and considering the positive aspects of others including 'accepting difference', 'considering' and 'We sharing each other' after the participation in the cooperative activity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analysis on the program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the cooperative activity using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had the positive impact on the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and on building the considerate thinking understanding the self and respecting others' emotion through community activity.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considerate thinking and characters by providing the experience for cooperative activity to the children in full 4 years old. Furthermor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e aspect that it described the attitudes of children in full 4 years old in more details which could be observed in the process to build the considerate thinking by apply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develop the educational activity program for the character development and help the application of character-related picture books and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