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댄스스포츠 선수의 국제부경기참여와 수상에 따른 심리적요소와 불안의 관계

        함서정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국제부 참여 유무와 수상 여부에 따른 심리적 요소와 불안의 차이를 분석하여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심리적 요소 훈련과 불안 극복에 따른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2008년 9월 6일 춘천 월드레저컵 댄스스포츠 대회에 참가한 선수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심리적 요소 질문지는 Hall, Mack, Pavio & Hausenblas(1998)가 개발한 스포츠 심리적 요소 질문지를 문윤제(2004)가 번안한 스포츠 심리적 요소 질문지로 23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경쟁 상태불안 질문지는 1990 Martens(1990)에 의해 고안된 CSAI-2로 이강헌 등(1993)에 의해 표준화 시킨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기술적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Ver 1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SD를 산출하였다. 적용된 통계 분석기법은 t-test,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자료처리를 통하여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국제부 참여 유무와 수상 여부에 따른 심리적 요소와 불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경기수준에 따른(국제부 유무) 심리적 요소 요인 결과 일반적 동기각성, 일반적인지 심리적 요소, 일반적 동기숙련에서 그리고 불안요인에서는 신체적 불안에서 국제부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이 참여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능에 따른(수상 여부)심리적 요소 요인 결과 일반적 동기각성, 구체적인지 심리적 요소, 일반적인지 심리적 요소, 일반적 동기숙련에서 그리고 불안요인에서는 자신감에서 수상한 집단이 수상하지 않은 집단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왔으며 불안요인에서는 인지불안과 신체적 불안은 수상하지 않은 집단이 수상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국제부 참여-비 수상, 국제부 비 참여-수상, 국제부 비 참여-비 수상한 집단의 상관관계를 보면 인지적 불안은 일반적 동기각성과 일반적 인지 심리적 요소와 정적관계를 나타내고, 신체적 불안은 일반적 동기각성에만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자신감에서는 구체적동기 심리적 요소, 일반적 동기각성, 구체적인지 심리적 요소, 일반적 동기숙련에서 유의한 정적관계를 나타냈고, 일반적인지 심리적 요소에서 유의한 부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제부 참여-수상한 집단의 상관관계를 보면 인지적 불안에서는 구체적동기 심리적 요소, 일반적 동기각성, 일반적인지 심리적 요소에서 유의한 정적관계를 보이며, 신체적 불안에서는 일반적 동기각성에서 정적 상관을 나타낸다. 그리고 자신감에서도 일반적 동기각성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심리적 요소와 불안의 중다회귀 분석결과 인지적 불안에서는 일반적 동기각성, 일반적인지 심리적 요소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불안과 자신감에서는 일반적 동기각성이 각각 하나씩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elements and anxiety by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games and prize-winning by dance sports players and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competitiveness by allowing them to train psychological elements and overcome anxiet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0 players participating in the Chuncheon World Leisure Cup Dance Sports Meets held on September 6, 2008. For descriptive data analysis, M±SD was estimated by using an SPSS Ver 14.0 statistical program.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in this study included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is data processing, draw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ccording to the level of games (international or not), the group not participating in the international gam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eneral motive arousal, general recognition, and general motive skill in terms of the factor of psychological elements and physical anxiety in terms of the anxiety factor than that participating in the international games. Second, according to functions (prize-winning), the group winning a priz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eneral motive arousal, concrete cognition, general cognition, and general motive skill in terms of the factor of psychological elements than the group not winning a prize while the group not winning a prize showed higher cognitive and physical anxiety in terms of the anxiety factor than that winning a prize. Third, as for correlation among the group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games and not winning a prize, that not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games and winning a prize, and that not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games and not winning a prize, cognitive anxiety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general motive arousal and general cognition while physical anxiety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general motive arousal alone. Self-confidence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crete motive, general motive arousal, concrete cognition, and general motive skill but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general cognition. Fourth, as for correlation in the group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games and winning a prize, there i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concrete motive, general motive arousal, and general cognition in terms of cognitive anxiety and in general motive arousal in terms of physical anxiety. There is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general motive arousal in terms of self-confidence.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psychological elements and anxiety,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anxiety and psychological elements of general motive arousal and general cognition an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nxiety and self-confidence and general motive arousal.

      • 응급의료종사자의 수면의 질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세영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quality of sleep of general hospital shift workers to their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related factors by making a descriptive correlation research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relieve the stress of shift workers and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influence of sleep on the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the hospital shift worker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2.0 program. Cronbach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verify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and t-test and ANOVA were utiliz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quality of sleep on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05.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30 shift workers in five general hospitals in a province.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May, 2014, and the answer sheets from 209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for 21 incomplete o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shift workers in five general hospitals in G province. The subjects were 101 male (48.3%) and 108 female (51.7%). As to age, 111 workers(53.1%) were in their 30s and down, and 59 respondents(28.2%) were aged between 31 and 39. 39 workers(18.7%) were at the ages of 40 and up. In education level, 97 respondents(46.4%) were college graduates, and 60 workers(28.7%) were junior college graduates. 31 respondents(14.8%) were high school graduates, and 21 workers(10.0%) received graduate school education. As for marital status, 148 workers (70.8%) were single who outnumbered the married ones(29.2%) that numbered 61. In relation to the line of work, 142 workers(67.9%) wer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nd nurses, and 67 respondents(32.1%) were doctors. The most common length of service in the current workplaces was less than a year(74 workers, 35.4%), followed by between one and less than three years(53, 25.4%), 10 years or more(33, 15.5%), between three and less than five years(32, 15.3%) and between five and less than 10 years(17, 8.1%). The most common total length of service was less than a year(64 workers, 30.6%), followed by between one and less than three years(47, 22.5%), 10 years or more(36, 17.2%), and between three and less than five years/between five and less than 10 years(31, 14.8%). This finding implied that the new employees joined the general hospitals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In relation to turnover experience, 142 workers (67.9%) replied they had turnover experience, and 67 workers(32;1%) replied they had not. As to satisfaction level with the pattern of work, 115 respondents(55.0%) answered, "So-so." 54 workers(25.8%) were satisfied, and 40 workers(19.1%) were unsatisfied. Their favorite pattern of work was three-part double shifts b(84 workers, 40.2%), followed by 24-hour three shifts(49, 23.4%), the others(47, 22.5%), 24-hour shift work(15, 7.2%) and three-part double shifts a(14, 6.7%). 2. Th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sleep of the shift workers were analyz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ily duties, post-sleep recovery, difficulty in sleeping, difficulty in waking up sleep satisfaction level and difficulty in sleep maintenance, which were th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sleep.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stress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of physical stress and psychological stress. 4. The sub-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of the shift workers were analyz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action, job itself, job requirements, working conditions and pay. 5. As a result of mak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quality of sleep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the 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hysical stress were post- sleep recovery, difficulty in getting up, difficulty in falling asleep and difficulty in sleep maintenance. The factors that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stress were daily duties and difficulty in getting up. 6. As a result of mak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ir quality of sleep on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wa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post-sleep recovery, difficulty in falling asleep, difficulty in getting up and difficulty in sleep maintenance. 응급의료종사자는 직업의 특성과 과다한 업무량 등으로 야간근무를 포함한 교대근무를 시행함으로써 생체리듬의 역행으로 수면의 질이 낮아지고 그 결과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응급의료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병원 조직과 환자에게도 악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응급의료종사자의 수면의 질과 스트레스,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수면의 질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궁극적으로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 감소와 직무만족도를 높이며 조직의 효율적인 발전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방법은 2014년 G도에 소재한 종합병원에게 교대근무를 하고 있는 응급의료종사자 209명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과 설문작성의 유의점을 인식시키고 대상자에게 배포하여 자기평가기입식(self-administered method)으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도구로 수면의 질은 이혜련(2005)이 개발한 수면의 질 측정도구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스트레스는 박순영(1999)이 개발하고 김혜자(2001)가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Slavitt(1978)등이 개발한 “The index of Work Satisfaction”을 번역하여 김순심과 권혜란(2002)이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Window용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교대근무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 스트레스,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으며, Duncan의 사후분석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또한 수면의 질, 스트레스,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대근무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의 하위요인인 일상 업무, 수면 후 회복, 잠들기 어려움, 일어나기 어려움, 수면 만족도, 수면 유지의 어려움에 있어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교대근무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신체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 모두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교대근무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상호작용, 직무자체, 업무요구도, 근무여건, 보수에 있어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대근무자들의 수면의 질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줄이며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해 야간 근무 중에 휴식 시간과 휴식 공간 마련, 기숙사 제공, 교대근무 형태에 따라 방 배정, 암막커튼 설치 및 방음 처리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병원 내 혹은 기숙사 내에 여가 생활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사내 동호회 활성화, 병원 내에 직원대상으로 상담소 운영, 대인관계에서 적극적인 소통을 할 수 있게 하여 스트레스 해소를 용이하게 해 준다.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근무 형태 및 업무시간, 적절한 인력배치 등을 조정하고 병원 내 응급의료종사자의 불만요인을 파악하여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그들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켜서 스트레스 해소와 직무만족도를 높여 환자들에게 질 높은 진료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고 더 나아가 병원에도 크게 공헌 할 것이다.

      • 실물옵션이론에 기반한 리츠의 가치평가와 최적만기의 결정

        최진하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47

        국내 리츠(REITs :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는 2001년 도입 이후 지금까지 약 16년의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왔다. 당초 리츠의 도입 취지는 비거래 및 비유동화 자산의 특성을 지닌 부동산을 증권화 하여 유동화하고 자본여력이 부족한 일반투자자들도 대규모 금액이 투자되는 부동산 자산에 소액으로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건전한 자산형성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지금까지 국내 리츠의 현실은 엄격한 규제, 사모위주의 성장, 비일률적인 리츠 회계정보의 기록방법으로 인한 투자관련 정보의 부족, 그리고 만기에만 자본을 회수할 수 있는 폐쇄식 운영에 따른 일반투자자들의 자본회수에 대한 불안 등으로 일반투자자들의 리츠로의 투자는 제한되어 왔다. 또한 리츠의 실질적인 운영주체인 많은 자산관리회사들은 1사 1물의 형태를 지녀 영세한데다가 일반투자자들의 자본회수를 위한 권리보호조항의 마련 및 적정시기에서의 투자자산 매각 등 효율적인 운영관리에도 한계가 있어 비슷한 시기에 리츠를 도입했었던 여타 국가들의 사례에 비해 리츠의 성장세도 둔화되어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에서는 자산관리회사의 역할확대를 통해 이와 같은 문제점들의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관련 금융경제 및 옵션가격결정이론을 기초로 한 실물옵션이론을 토대로 리츠 투자자들의 자본회수위험 해소를 위한 사업의 가치평가와 리츠 기초자산의 적정운영기간 추정을 위한 두 개의 금융모형을 구성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자산관리회사가 리츠의 일반투자자들에게 자본회수시기를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고 관련 사업가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본회수에 대한 위험을 해소시켜 리츠로의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조기청산권 가치평가 모형과 리츠 기초자산에 대한 적정운영기간을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자산관리를 지원토록 하는 최적만기결정 모형이다. 또한, 이렇게 구성한 두 개의 금융모형에 리츠 사례들을 적용하고 각 모형에 투입된 변수들의 단위변화에 따른 옵션의 기대 사업가치 및 최적만기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관련 정보와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조기청산권 가치평가 모형에 있어 기회비용을 고려하지 않은 모형에서는 투자시기 이후 예정만기까지 옵션의 기대 사업가치가 계속 증가하였으나 기회비용을 고려한 모형에서는 투자 이후 1.5년부터 예정만기 1년 전까지는 옵션의 기대 사업가치가 감소된 이후 예정만기에서 다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회비용을 고려치 않을 경우에 옵션 사업가치의 과잉추정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일반투자자들은 자본회수시기별 옵션의 기대 사업가치 정보를 토대로 개인의 주관적 효용에 따라 자본회수를 결정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었다. 또한, 최적만기결정 모형에서는 자산관리회사가 지닌 경영상 유연성의 가치를 고려한 최적만기를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 자산관리회사는 금융모형을 토대로 도출된 최적만기까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불확실한 시장상황 하에서 기초자산의 매각시기 파악을 위한 정보획득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투자자산의 적정운영기간을 파악하기 위한 정보수단으로서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두 개의 금융모형에 투입된 변수들의 단위변화에 따른 의사결정 정보에 있어서는 기초자산 초기가치, 초기지분투자액, 재투자수익률, 그리고 기회비용 수익률의 값이 증가할 경우 자본회수시기 및 최적만기를 앞당기는 것이 일반투자자들의 자본회수이익 및 리츠 전체의 이익 측면에서 유리하고 무위험이자율이 증가할수록 자본회수시기와 최적만기를 지연시키는 것이 일반투자자들의 자본회수이익 및 리츠 전체의 이익 측면에서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변동성의 가치가 증가할 경우 조기청산권 가치평가 모형에서는 자본회수시기를 앞당기는 것이 일반투자자들의 자본회수이익 측면에서 유리하고 최적만기결정 모형에서는 최적만기를 늦추는 것이 리츠 전체의 이익측면에서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리츠의 대형화와 영속적 운영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의 일환으로서 자산관리회사가 일반투자자들에게 향후 조기청산권 제도에 의한 자본회수시기 결정 권리를 부여하고 기초자산에 대한 적정운영기간의 효율적 관리 등 역할확대를 통해 투자자들의 리츠 투자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더욱 다양한 리츠 상품이 개발되는 선순환 구조를 가져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REITs) have been witnessing a steady growth for the past 16 years since they were introduced in Korea in 2001. REITs were introduced with an aim to securitize real estate assets, which are usually non-tradeable and considered illiquid, and to help the individual investor with insufficient capital resources to build healthy assets, by allowing them to make small investments in large-scale real estate assets. However, in reality, the individual investor has limited opportunities to invest in REITs for various reasons, including excessively stringent regulations and lack of investment-related information due to non-uniform accounting standards. The fact that the capital can be withdrawn only at maturity also discourages investments, increasing concerns over potential capital recovery. Moreover, the growth rate of the REIT industry in Korea has been relatively lower than in other countries. This is because most AMCs(Asset Management Companies) that act as the actual operators of REITs are small in their size, given that one company has only one underlying asset. Furthermore, AMCs have not been very efficient in operating and managing REITs with regard to timely disposal of investments and provisions for protecting the rights of individual investors for capital withdrawal. To resolve these issues, this study seeks to structure two financial models by modifying theories relevant to financial economics and option pricing. This, in turn, allows premature liquidation valuation to alleviate the risk of capital recovery and estimation of optimal operation periods for underlying assets. The first financial model is the premature liquidation valuation model. This model facilitates AMCs to allow individual investors to decide capital-recovery time and provide them with value-related information. This, in turn, encourages investment in REITs through the hedging of capital recovery risks. The second financial model is the optimal time to maturity model, which can help AMCs determine the optimal time to maturity to enable efficient asset management by generating information necessary to estimate the operating period for REITs’ underlying asset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present relevant information and implications by applying the two models to the case of REITs, and by observing the changes in project value for options and optimal time to maturity depending on the unit changes in the variables applied to each model. In regard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e premature liquidation valuation model, without considering opportunity cost, the expected project value of options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time of initial investment to maturity. However, considering opportunity cost, the expected project value of options decreases beginning 1.5 years after the investment was made until one year preceding the expected maturity. Thereafter, the expected project value increases again after the time of expected maturity. Thes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e problem of overestimated option value may arise when the opportunity cost is not taken into account, and that investors may make decisions on capital recovery based on their subjective utility using the information on expected project value of option by the time of capital recovery. Furthermore, the optimal time to maturity model estimated the optimal maturity considering the managerial flexibilities of AMCs. As a result, it is possible for AMCs to reduce the cost of acqui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sale time of the underlying asset amid the market environment where the optimal operating time until maturity becomes volatile with time. This indicates that the model is an effective informational tool to analyze the optimal operation period for investments. As for the results drawn from sensitivity analyses of two financial models which can be useful for decision-making, when the values of underlying assets, initial equity, rate of return on re-investment, and rate of return on opportunity cost increase, it is more advantageous for individual investors as well as REITs to advance the timing of capital recovery and optimal time to maturity. Furthermore, as the risk-free interest rate increases, it is more advantageous for individual investors as well as REITs to postpone the timing of capital recovery and optimal time to maturity. As volatility increases, it is more advantageous for individual investors as well as REITs to move up the timing of capital recovery in the premature liquidation valuation model, while it is preferable to delay the optimal time to maturity in the optimal time to maturity model. Fi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imply that AMCs can encourage investments in REITs by providing individual investors with the right to decide their capital recovery timing through a premature liquidation system and by managing the optimal operation time for underlying assets more efficiently. Such improvements and the expansion of the role of AMCs would create a virtuous cycle.

      • 建設業 原·下請 企業間 均衡的 發展을 위한 相生協力關係 모델 : 江原地域 建設業體 中心으로

        金珍鳳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9647

        최근 국내 건설경기는 대형공공공사의 발주물량이 크게 감소하고, 정부의 부동산 안정화 정책 및 세제정책 등으로 침체국면이 계속되고 있다. 그나마 국내건설업체에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해오던 공동주택 재건축 부문도 시점이 연장되고, 각종 금융규제정책으로 경영여건이 더욱 악화될 위기에 놓여 있으며, 이러한 경영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건설업체간 수주경쟁은 더욱 치열해 지고, 건설시장의 불확실성도 한층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건설시장의 치열한 경쟁과 불확실성에 효율적이며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건설업체간 협력체계 구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건설업체간 협력체계는 건설업 원·하청기업간의 균형적 상생을 위한 협력관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대·중소 건설업의 관계는 공존·공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보완적, 분업적 협력관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중소 건설업의 현황, 건설업체간 협력체계 및 협력 사례 등에 대해 관련 자료 및 문헌을 통한 조사와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고, 연구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강원지역 일반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간 상생 협력 실태 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일반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의 영역별로 경영실태의 일반적 현황과 경기전망, 원ㆍ하도급 의존도, 수·발주 문제 및 하도급 계약, 공사단가/금액 결정, 하도급 공사대금 지급등과 관련 사항, 상생협력에 관한 인식 및 발전방안, 양극화 관련 인식, 상생협력 관련 문제점 인식, 균형적 상생협력 발전방안, 제도 개선 및 지방자치단체/대정부 건의사항 등을 설문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원·하청기업 간 균형적으로 상생 협력할 수 있는 협력체계 구축을 위하여 일반 건설업체(원청기업)의 역할, 전문건설업체(하청기업)의 역할, 원?하청기업의 신뢰 구축, 상생협력 증진 혁신 방안, 영역별 협의회 구축 및 활성화 등 건설업 상생협력 증진 모델을 도출?제시하였다. 제시한 건설업 상생 협력 모델을 우리나라 건설업의 실태, 현황, 발전 방향 등을 종합하여 건설산업의 생태계를 자연계의 생물학적 생태계 개념과 비교 설명하였다. 강원지역 건설업의 발전 방향은 먼저 국내 대·중소 건설업의 특성, 하도급 체계 등 현황과 일반 건설업과 전문 건설업의 관계, 건설업의 문제점, 상생 협력의 필요성, 상생협력 방안, 국내외 사례를 고찰하였으며 강원지역 건설업의 실태와 상생협력 현황을 파악하여 지역 건설업의 지원ㆍ육성 당위성과 수요 창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건설업 국내 원·하청기업간 균형적으로 상생 협력할 수 있는 실질적인 협력체계 구축 모델은 일차적으로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수행되었으나 향후 관련 자료를 전국적으로 수집 분석함으로써 강원 지역 중심으로 도출?제시된 현재의 연구결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해 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건설업 원·하청기업 간 협력증진 모델이 전국적 모델로 확대 발전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Recently,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rapidly reduced and its economic slump has continued with the government's policy of estate stabilization and taxation. Moreover, the apartment reconstruction comes into a crisis of getting increasingly worse with the prolongation of the start of reconstruction and the finance restriction policies. Construction markets have become quite uncertain, and construction companies have come into harsh competition. As a consequence, the establishment of collaboration relationship among construction companies has been brought up as one of the methodologies to resolve efficiently these uncertainties and keen competitions. The collaboration relationship among construction companies is based on the balanced and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their relationship among big, middle and small contractors should serve to maintain their mutual survival and prosperity. This study makes a survey in order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mutual cooperation between general contractors and special contractors in Gangwon area. The survey covers a wide range of general present situation of management, economic prospects, dependence of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problems of receiving and placing orders, contracts of subcontractors, construction unit price/decision of money, and charging construction payment of subcontractors. It also includes developmental projects about mutual cooperation, recognition of bipolarization, recognition of problems related to mutual cooperation, developmental plans of balanced mutual cooperation,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suggestions to the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and so on in the territories of general contractor and special contractors. And in order to establish the cooperation system between prime and subcontractors, this study, with the results of analyzed survey, suggests developmental models for the mutual cooperation of construction industry such as roles of general contractors (prime contractors), roles of special contractors (subcontractors), construction of trust between prime and sub contractors, innovative plans for mutual cooperation, construction and activation of various conferences according to territories. This study compares the suggested models of mutual cooperation with the ecosystems of construction industry by synthesizing the actual condition of internal construction industry, present situation, developmental direction and so on. This paper proposes a model for constructing practical collaboration relationships between prime and sub contractors in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after analyzing the questionnaires as well as surveying the case studies of their actual conditions. This study is carried out with focus on Gangwon area, but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related data over the country, it will verify objectively the present academic results focused on Gangwon area. Subsequent study will be continued so that the suggested cooperation model among prime and sub contractors can be enlarged and developed to the nationwide one.

      •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 과정 연구 : 근거이론적 접근

        홍송이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31

        대학입학 후 첫 학기는 학업, 인간관계, 생활면에서 모든 것이 새롭게 시작되므로 변화의 필요성이 가장 크게 느껴지는 시기이다. 첫 학기 전환 과정을 잘 이해하는 것은 후속 학기 전환에 기초가 되며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에도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등교육에서 고등교육으로의 전환기를 맞이한 신입생들의 전환 경험을 이해함으로써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 과정에 대한 이론을 생성하고자 시행되었다. 대학입학 전 예비대학생 시기부터 입학 후 1학기 말까지 전환 경험의 종단적 자료를 수집하여 Strauss와 Corbin(2001), Glaser와 Strauss(2011)가 제시한 근거이론적 접근에 따라 중요 시기별 전환 경험을 분석하였고, 첫 학기 전 과정에 걸쳐 나타난 통시적 전환 유형의 변화 양상을 탐색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대학입학을 앞둔 남학생 12명, 여학생 20명인 총 3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1월 말에서 2월 말 사이에 이루어진 1차 면담 자료를 근거로 대학입학 전 전환 경험을, 입학 후 4월 말에서 5월 초 사이에 이루어진 2차 면담 자료를 근거로 중간고사 이전 전환 경험을, 6월 말에서 7월 초 사이에 이루어진 3차 면담 자료를 근거로 중간고사 이후 전환 경험을 분석하였다. 예비신입생들의 대학입학 전 전환 경험을 개방코딩한 결과, 66개의 개념과 23개의 하위범주,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원인 조건으로 ‘대학 및 학과 선택 동기’ 범주가 도출되었고, 이러한 원인 조건이 중심 현상을 일으키게 되는 맥락적 조건으로 ‘대학생 역할 인식’ 범주가 나타났다. 중심 현상에 개입하게 되는 조건으로는 ‘대학에 대한 사전 경험’과 ‘생활공간 이동 예정’이 나타났으며, 이로 인한 중심 현상은 ‘대학생활에 대한 기대와 걱정’이었다. 그리고 개입 조건에 의해 나타난 상호작용 전략은 ‘대학생이 된 자신을 상상해 봄’이었고, 최종적인 결과 범주로는 ‘대학생이 될 준비’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7개의 범주들에 걸쳐 11개의 속성과 30개의 차원이 발견되었다. 선택코딩에서 도출된 핵심 범주는 ‘막연한 걱정, 설레는 기대, 대학생이 된다는 기다림’으로 요약되었다. 대학입학 전 전환 유형은 주로 대학 및 학과 선택 동기와 사전 대학 경험에 영향을 받아 ‘활동적 준비형’, ‘자기관리형’, ‘정서적 반응형’, ‘느긋형’의 4가지로 분류되었다. 대학입학 후부터 중간고사 이전까지 대학신입생들이 경험한 전환을 개방코딩한 결과, 128개의 개념과 37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원인 조건으로 ‘성공적인 대학생 기준’ 범주가 도출되었고, 맥락적 조건으로 ‘고등학교와 대학환경의 차이 인식’ 범주가 나타났다. 개입 조건으로는 ‘학과의 특성’과 ‘교수, 선배의 지원’,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이 나타났으며, 이로 인한 중심 현상은 ‘전환 동기 형성’이었다. 상호작용 전략은 ‘전환 정보 수집’, ‘전환 모방’, ‘개인적 전환 전략 수립’이었고, 최종적인 결과 범주로는 ‘달라진 학업세계에 대처’, ‘달라진 인간관계에 대처’, ‘달라진 생활에 대처’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12개의 범주에 걸쳐 12개의 속성과 27개 차원이 나타났다. 선택코딩에서 도출된 핵심 범주는 ‘낯설지만 받아들인 세계, 새로운 도전’으로 요약되었다. 중간고사 이전 전환 유형은 주로 대학신입생들이 학기 초에 고등학교와의 차이를 인식하고 대학생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동기, 학과의 특성, 주변의 지원에 영향을 받았으며, ‘나홀로 소극 전환형’, ‘나홀로 적극 전환형’, ‘더불어 적극 전환형’, ‘더불어 적당히 동조형’, ‘선별적 전환형’, ‘표류형’의 6가지로 분류되었다. 중간고사 이후부터 학기말까지의 전환 경험을 개방코딩한 결과, 100개의 개념과 24개의 하위범주,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원인 조건으로 ‘중간고사 후 자기 평가’ 범주가 도출되었고, 맥락적 조건으로는 ‘전환 재조명’ 범주가 나타났다. 개입 조건으로는 ‘이전 전환 경험’과 ‘전환 의지’가 나타났으며, 중심 현상은 ‘전환 동기 형성’이었다. 상호작용 전략은 ‘우선순위 적용 전략’과 ‘자기주도적 전환 전략’이었고, 최종적인 결과 범주로는 ‘전환조정과 재전환’, ‘1학기 전환 마무리’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9개의 범주들에 걸쳐 15개의 속성과 31개 차원이 발견되었다. 선택코딩에서 도출된 핵심 범주는 ‘나를 찾아가는 대학생 되기, 진정한 탈바꿈’으로 요약되었다. 중간고사 이후 전환 경험의 유형은 주로 시험 이후 자기주도적으로 전환을 진행하고자 하는 동기, 이를 자발적으로 실천하려는 전환 의지에 영향을 받아 ‘계속 발전형’, ‘만족 지속형’, ‘무목적 분주형’, ‘계획 미이행형’, ‘조기 포기형’의 5가지로 분류되었다. 시기별 전환 경험을 통합한 축코딩 모형을 구축한 결과, 이전 시기의 전환 결과는 원인 조건에 영향을 주면서 서로 연계되어 있었고, 세 시기에 걸쳐 전환 현상에 영향을 주는 범주들은 동기적 요소, 전략적 요소, 실천적 요소로 요약되었다.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은 ‘도입 단계’, ‘정보 수집 단계’, ‘적용 단계’, ‘조정·재적용 단계’, ‘마무리 단계’를 거치면서 전개되었다. 전환 과업의 내용이나 필요에 따라 각 단계는 순차적으로 진행되기도 하고, 역행 및 반복적인 특징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대학신입생의 전환 경험을 통시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동기, 전략, 실천의 3요소를 강약의 차원으로 구분하여 유형을 분석한 결과, ‘모방동조형’, ‘분주활동형’, ‘은둔정보형’, ‘냉담형’, ‘시행착오형’, ‘균형성취형’, ‘의도적유보형’, ‘마음만굴뚝형’의 8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각 유형이 세 시기별로 어떠한 변동 양상을 나타내는지 분석한 결과, ‘유형일관형’, ‘유형변화무쌍형’, ‘대학입학 후 유형일관형’, ‘유형유지 후 변동형’, ‘유형회귀형’의 5가지 변화유형이 나타났다. 이는 첫 학기 전환 경험이 동기, 전략, 실천의 강도에 따라 역동적이라는 것과 대다수 연구 참여자들의 전환 유형이 한 가지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대학생활적응의 필요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 경험을 다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전환기 신입생들의 경험의 “역동성과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발견들을 반영하여 생성한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 과정 이론’은 대학신입생이 첫 학기 동안 대학입학, 중간고사, 기말고사라는 주요 국면마다 전환의 각 단계를 거쳐 가며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성장해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전환적 관점의 이해가 갖는 의의와 대학생활적응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대학생으로의 전환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이와 관련된 정책 및 학술적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a theory of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s from secondary to college education that reflects the transition experiences of the first-year college students over various areas of university life.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by Strauss and Corbin(2001), Glaser and Strauss(2011) was used in this investigation. In the study,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s consist of three transition time-points of the admission and entrance to university, the mid-term examination, and the end of the term. College students’ first semester transition experiences were analyzed by each transition period, and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transition experiences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of the first semester were explored. In order to collect longitudinal qualitative data, for about six mont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2 interviewees including 12 male students and 20 female students, who were entering university. The first interviews were conducted before entering the university. The second interviews’ data was collected after the mid-term and the final interview took place after the end of the term. As a result of the opening coding and axial coding based on the first interviews, 66 concepts, 23 subcategories, and 7 categories were extracted, and 11 attributes and 30 dimensions were found across the categories. The core category derived from selective coding was named as 'worries with vagueness and excitement with expectations in looking forward to becoming college students'. Four types of transition during this period were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s of the levels of the motivation to choose one’s own college and prior experiences about college life: 'active preparation', 'self-management', 'emotional reaction', and 'relaxed' In the second interviews,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have found 128 concepts, 37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in which 12 attributes and 27 dimensions were involved. The core category derived from selective coding was named as 'new challenges with strange roles'. Six types of transition during this period were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s of the levels of motivation of trans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and significant others’ supports: ‘passive and individualistic transition’, ‘active and individualistic transition’, ‘active and collective transition’, ‘conforming transition’, ‘partial transition’, ‘drifting’ Regarding the final interview,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have found 100 concepts, 24 subcategories, and 9 categories in which 15 attributes and 31 dimensions were involved. The core category derived from the selective coding was named as 'becoming a college student who is exploring the self, a real transformation'. Five types of transition experience during this period were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s of the levels of self-initiative transitional motivation and willingness: ‘continuing development’ 'satisfying', 'aimless busy', 'not implementing with plan only', 'foreclosing’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 of freshmen was proceeded by five steps of 'introduction', 'collecting information', 'application', 'adjustment and reapplication’, and 'finishing'. Depending on the contents and needs of the transition task, the sequence of the steps was somewhat varied. In addition, the transition types were determined by the levels of transitional motivation, strategies, and practice. The changing patterns of those transition types were explored over three transition periods. The changing pattern types include 'consistency', 'all-the-time change', 'first-half change and second-half consistency' 'first-half consistency and second-half change’, ‘regres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 experiences were dynamic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the motivation, strategies, and practice, and that mos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ransition type was not fixed as one but changed with the needs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s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aking a transitional perspective on the adaptation of college for the first semester is necessary to help college students adapt successfully to college world. Further studies of transition to college students are needed to understand college students’ real-life transitional experiences.

      • 진로흥미와 진로정체감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최영란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취업준비가 장기화 되고 진로가 불확실한 시대에 청년기를 보내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심리사회적 자원인 그릿이 실제 어떠한 심리사회적 역량인지 탐색할 것을 목적으로, Holland 진로인성이론의 부가적 가정에 기초하여 진로 흥미 발달의 지표인 흥미일관성, 흥미변별성, 흥미의 일반적 요인인 흥미유연성과 진로정체감 및 그릿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강원권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94명이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직업선호도 검사, 그릿척도, 진로정체감척도이며, 수집된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2.0을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그릿 전체 1요인과 2요인 모형을 바탕으로 진로 흥미와 진로정체감이 그릿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흥미유연성이 노력지속성과는 정적인 관련성이 있는 반면에 흥미유지와는 부적인 관련성으로 나타난 결과는 흥미 유연성이 개인-환경 불일치 상황에서 조절변수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가정한 것을 지지한 결과라 해석할 수 있다. 셋째, Holland 진로인성이론의 진로발달에 대한 부가적 가정에 기초하여 진로흥미(일관성, 변별성, 유연성), 진로정체감과 그릿 1요인, 그릿 2요인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그릿 1요인과 노력지속성(그릿)에는 진로 흥미 관련 변인들과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그릿의 2요인 모형에서 흥미유지(그릿)와 일관성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상담,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전략 수립 등 대학생의 진로목표 추구와 성취를 위한 심리·사회적 자원을 개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psychosocial competence ‘Grit’, a psychosocial resource necessary for college students in a time when job preparation is prolonged and career paths are uncertain is. Based on the additional assumptions ofd differentiation of interest, which are indicators of career interest development, and interest flexibility and vocational identity, which are general factors of interest, and Gri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94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4-year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are the grit scale, and the vocational identity scale. The basic assumption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firmed by testing the normality and independence of the sample group for the dependent variable. SPSS 22.0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e results in which independent variables had different effects on dependent variables by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s of how career interest and vocational identity affected Grit based on the whole 1 and 2-factor models of Grit. Second, while interest flexibility is positively related to perseverance of effort, the results shown as negative relevance to consistency of interest can be interpreted as supporting the assumption that interest flexibility can act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context of individual-environmental inconsistencies. Third, based on the additional assumptions about career development relevance between consistency of interest, differentiation, vocational identity and Grit 1-factor and Grit 2-factor, Grit 1-factor and perseverance of effort(Gri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relevance with career interest-related variables. In the 2- factor model of Grit, interest maintenance(Grit) and consistency of interest were not found to have relev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psychosocial resources for the pursuit and achievement of the career goals of college students, such as career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and establishment of strategies.

      • 한국어 필수 부사어와 대응하는 중국어 문장성분의 비교 연구

        심나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Chinese people studying Korean language face difficulties because Chinese grammar is quite different from the Korean one. One of these difficulties is to make correspond the Korean essential adverb in Chinese. In fact, the essential adverb in Korean corresponds not only to the Chinese adverb (狀語) but also to other components.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Korean essential adverb and its corresponding Chinese sentence component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ir similarities and their differences, it could help Chinese learning Korean people and Korean learning Chinese people to understand the sentence constituents in both Chinese and Korean. According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the Korean essential adverb can be morphologically classified as a particle combination form, a predicate form and a standard adverbial form. However, Chinese and Korean languages’ mode of expressions are very different. Consequently, this essential adverb, formed by the attachment of “ge” to the adjective, can be seen in Chinese as a partial complement among the sentence constituents, but, since translations methods are different, they can not correspond. The essential adverb made of adverbial case markers attached to the substantive form mostly corresponds in Chinese to the object (賓語) but also to the partial adverb (狀語). That is why this study is mainly concerned with comparing the essential adverbs formed with adverbial case markers put to the substantive and the Chinese objects (賓語) and partial adverbs (狀語) responding to them. Based on precedent researches, this thesis discusses Korean sentence construction in presence of the essential adverb following the essential adverb morphology and, according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the required predicate which the essential adverb needs. It also discusses the three forms “-e/ege/eseo”, “-lo”, and “-wa” in relation to the adverbial case marker attached to the substantive. In the first chapter, the research purposes are notified and the precedent researches’ scopes and methods concerning the Korean essential adverb are detailed. In the second chapter, the Korean essential adverb and its corresponding Chinese constituents of object (賓語) and adverb’s (狀語) concept and standard characteristics are explained and morphologically classified. The third chapter deals with the Korean essential adverb’s sentence formation based on preexisting studies. After analysis, the relations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essential adverb and Chinese corresponding phenomena are displayed. In the fourth chapter,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essential adverb and the corresponding Chinese components are tackle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Finally, the fifth chapter summarizes the findings of each chapter of the study. It also suggests a few ideas for future researches. 중국인이 한국어를 배울 때 중국어 문법과 한국어 문법이 다르기 때문에 어려움이 많이 있다. 그 중의 한 가지가 한국어의 필수 부사어가 중국어와 대응할 때이다. 한국어의 필수 부사어가 중국어에서 부사어(狀語)뿐만 아니라 다른 성분도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필수 부사어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문장성분을 찾고 이들을 상호 대조 분석을 통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립국어원(2005)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에 따르면 한국어의 필수 부 사어는 형태적으로 조사결합형과 용언활용형, 일반부사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중에 부사가 그대로 된 필수 부사어와 형용사에 '-게'가 붙어서 된 필수 부사어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표현방식이 많이 다르기 때문에 그때 필수 부사어는 중국어 문장성분의 일부 보어로 볼 수 있지만, 번역방식에 따라 달리 서로 대응할 수 없다. 체언에 부사격조사가 붙어서 된 필수 부사어는 원칙적으로 중국어의 상어( 狀語)와 대응하지만 대부분이 중국어의 빈어(賓語)나 간접 빈어(間接賓語)도 대응한다. 그래서 본고는 주로 체언에 부사격조사가 붙어서 구성된 필수 부사어와 이에 대응 하는 중국어의 빈어(賓語), 간접 빈어(間接賓語), 상어(狀語)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부사격 조사에 따라 필수 부사어를 '-에/에게/에서'형, '-로'형, '-와'형의 세 가지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또 선행연구를 토대로 필수 부사어의 형태와 의미에 따라 한국어 필수 부사어의 구문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을 제기하고 한국어 필수 부사어 선행연구와 연구 범위 및 방법을 제시한다. 2장에서는 한국어 필수부사어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성분 빈어(賓語)와 간접 빈어(間接賓語) 및 상어(狀語)의 개념, 일반적인 특징에 대해서 설명하고, 형태적으로 분류한다. 3장에서는 우선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필수 부사어의 의미와 형태에 따라 필수 부사어의 구문을 설정하고, 다음에 필수 부사어와 중국어성분들의 대응현상을 살펴보고 서로의 대응관계를 정리한다. 4장에서는 한국어 필수 부사어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성분들의 비교분석을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 5장 결론에서 본 논문을 통해서 나타난 각 장의 내용을 모두 종합하여 정리를 하였다. 또 앞으로 계속 연구되어야 할 과제도 제시한다.

      • 대규모 가축질병에 대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소비자의 축산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하림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축산물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대규모 가축질병 발생시, 위험에 대한 일반인의 주관적인 인식차로 야기되는 축산물 소비 급감 등의 사회적 혼란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이를 위해 대규모 가축질병이란 위험에 대한 최종적인 수용 여부로 볼 수 있는 ‘축산물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사회적 차원의 특성을 고려하는 ‘소비자 중심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는 가정 아래, 2단계로 나눠 소비자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소비자의 위험인식과 최종적인 축산물 구매의도에 있어서 여러 선행연구 검토를 거쳐 설정한 변인들간의 구조적인 관계성을 밝히고자 관련 변인으로 뉴스이용정도, 관여도, 주관적 지식과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및 통제가능성에 대한 인식, 불안감, 준거집단 등을 설정하였고 이들의 인과 관계를 포함한 구조적인 관련성을 가설로 설정하여 연구모형 1을 설정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전국의 성인남녀 72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구조방정식 모형(SEM)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사회적 차원의 요인인 뉴스 메시지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동일한 위험 현상도 ‘언론이 보도하는 조류인플루엔자 보도를 접한 뒤,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긍정적/부정적)과 메시지 소구(appeals)유형(신체적/경제적), 성별(남성/여성)에 따라 소비자의 내적 요인(불안감/통제가능성/축산물 구매의도)은 차이가 있을 것인가?’ 란 연구문제와 관련된 연구모형 2를 도출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의 성인 남녀 30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한 실험을 거쳐 메시지 프레이밍과 메시지 소구유형, 성별의 주 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먼저 첫 번째 단계의 조사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뉴스 이용정도, 관여도, 주관적 지식등 3가지를 외생변수로 상정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의 여부, 크기를 검증한 결과 3개 요인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력의 크기로는 관여도, 뉴스이용정도, 주관적 지식 순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위험인식이 커질수록 심리적 불안감도 높아졌는데, 이 경로의 매개변인으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온 반면 ‘통제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그렇지 않았다. 불안감이 높아질수록 준거집단의 정보제공에 대한 의존도는 높아지지만, 구매의사결정에까지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언론 보도의 메시지 유형과 프레이밍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두 번째 단계의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불안감은 메시지 프레이밍과 메시지 소구유형, 성별의 차이에 따른 주 효과,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메시지 프레이밍, 소구유형, 성별의 차이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물 구매의도에서는 메시지 소구유형, 성별에서 주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 통제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축산물 구매의도에서 메시지 소구유형과 성별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신체적 소구유형에서 통제가능성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였고, 여성은 경제적 소구유형에서 통제가능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였다. 축산물의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부정적으로 프레이밍 된 보도에서 축산물 구매의도가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는 점과 주관적 지식이 높을수록 위험인식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소비자의 정보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쌍방향으로 이뤄져야 하며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뉴스 미디어는 대규모 가축질병 발생과 관련된 신체적, 경제적 위험을 언급하는 기사를 보도할 때 특히 신중해야 한다는 점이다. 소비자 중심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위해 요소에 대한 궤변론적이고, 거짓된 정보를 소비자들이 스스로 분별해 내고, 뉴스 미디어와 정부, 축산물 생산자 에 대한 사회적 신뢰도를 강화시키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withdraw a more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strategy that could minimize the social turmoil including the abrupt decrease in the consumption of livestock products,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public regarding the risk for the occurrence of a large-scale animal disease. This study selected news use level, involvement, subjective knowledge, risk communication, awareness of control possibility, anxiety, and reference group as variables, which were chosen from a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The study model 1 was established by developing hypotheses regard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including the causal relationship.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728 adults in order to test these hypotheses empiricall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s a next step, a study model 2 was derived,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study question of “Will there be differences in the internal variables of consumers (i.e., anxiety, control possibility, and livestock goods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the message framing type (positive and negative), message appeal types (physical and economic), and gender (male and female) after receiving a report about avian influenza from the mass media for phenomenon posing the same level of risk?”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news message, a social level variabl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s of message framing, message appeal type, and gender to examine the question. First, the results of the first stage survey are as follows. News use level, involvement, and subjective knowledge were chosen as exogenous variables and the presence and magnitude of their effects on risk perception were evalu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se three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effective and the magnitude of influence was in the order of involvement, news use level, and subjective knowledge. Moreover, psychological anxiety increased with higher awareness of risk. Risk communication was a significant mediator variable but the awareness regarding control possibility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anxiety, the higher the dependence of the reference group on the provided information. However, it did not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decision. Next, the results of the second step, which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news reports’ message type and framing, are as follows. The main effects according to message framing, appeal type, and gender were not significant. In the livestock products purchase intention, the main effects were significant in message appeal type and gender**. Moreover, in the awareness of control possibility and livestock goods purchase intention, message appeal type, and gender significantly interacted. Male subjects showed high awareness regarding the control possibility in the physical appeal type while female subjects revealed relatively higher awareness regarding the control possibility in the economic appeal type.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livestock goods purchase intention, both groups had lower livestock good purchase intention in the response to the negatively framed repo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a customized risk communication, consider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a consumer, would be needed and the higher subjective knowledge would reduce the risk perception. Consequently, it would be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formation competency of consumers. Moreover,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risk communication shall be made bilaterally, although it is an essential element, and it will b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articularly, the news media should be cautious when reporting news articles referring to physical and economic risks associated with a large-scale animal disease outbreak. The consumer-oriented risk communication will ultimately help consumers distinguish sophistic and false information and fortify the social credibility of the news media, government, and livestock producers.

      • 인삼재배지 토양환경 및 인삼 중 잔류농약 안전관리 연구

        김지윤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631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은 한 포장에서 오랜 기간 재배되는 생육특성으로 병충해 발생이 많아 이를 방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화학농약이 사용되고 있으며, 인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살포된 농약은 인삼뿐만 아니라 낙하하여 토양 중에 잔류되기도 하며, 이는 인삼으로 흡수·이행되어 최종적으로 소비자의 안전에 위해를 가할 가능성이 있다. 잔류농약으로부터 인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지속적인 잔류농약모니터링 및 잔류특성 연구와 인삼 중 잔류농약의 효율적인 분석법을 개선 및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전성 검사 시 부적합 빈도가 높은 tolclofos-methyl 및 endosulfan을 선정하여 인삼재배지 토양 중 인삼으로의 잔류특성을 구명하고, 국내 주요 인삼재배지 토양 및 인삼(잎·줄기, 뿌리)을 채취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함으로써 농약의 잔류 여부 및 양상 등을 파악해 국내산 인삼의 잔류농약에 대한 안전성 확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primary secondary amine (PSA) 정제과정을 포함한 QuEChERS-EN법과 MWCNTs (multi-wall carbon nanotubes)를 이용한 변형된 분석방법들의 비교 평가를 통해 유효성 및 타당성을 검토하여 인삼 중 모니터링법으로써의 적합 여부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토양 및 인삼(잎·줄기, 뿌리) 중 tolclofos-methyl 및 endosulfan의 잔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제품 일정량을 5.0 mg kg-1 수준으로 토양에 혼화처리한 후, wagner pot에 채운 뒤 묘삼을 정식하였으며, 2년 동안(2013년 4월∼2014년 12월) 분기별로 시료를 채취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토양 중 tolclofos-methyl 및 endosulfan이 잔류할 경우 인삼의 생육기간 동안 인삼(잎‧줄기, 뿌리)으로 이행됨을 확인하였고, 초기 잔류량 대비 2014년 12월에 채취한 토양 시료 중 0.46%의 tolclofos-methyl과 42.3%의 endosulfan이 잔류됨을 확인하였다. 동일 시점에 채취한 인삼 뿌리 시료 중 두 농약의 인삼으로 흡수·이행된 잔류량은 최대 잔류량 대비 tolclofos-methyl의 경우 7.8%, endosulfan은 24.9%가 잔류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tolclofos-methyl의 경우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하지 않고, 인삼의 생육기간 동안 관행적으로 2회, 3회 살포한다면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할 우려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endosulfan의 경우 토양뿐만 아니라 인삼에서도 잔류성이 큰 것을 확인하였고, 농업현장에서 사용되어 검출되기 보다는 endosulfan 농약의 특성상 이전에 사용한 농약이 토양환경 중 오래 잔류하기 때문에 부적합 인삼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잔류농약 안전성 검사 시 인삼 중 부적합 비율이 높은 tolclofos-methyl 및 endosulfan의 잔류특성 구명에 이어 홍천, 철원, 풍기, 금산 지역의 토양 및 인삼(잎·줄기, 뿌리)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농약의 잔류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 성분은 GC-MS/MS 74성분 및 LC-MS/MS 172성분으로 총 246성분이었으며, QuEChERS방법을 이용하여 토양 및 인삼(잎·줄기, 뿌리) 시료를 분석하였다. 2013년 인삼재배지 토양 및 인삼(잎·줄기, 뿌리)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수행결과, 총 50종의 농약이 0.01∼15.01 mg kg-1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2014년도에는 총 23종의 농약이 0.01∼2.00 mg kg-1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2년 동안 동일한 지역의 토양 및 인삼(잎·줄기, 뿌리) 중 잔류농약을 분석한 결과, 검출된 성분은 매우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농가에서 실제 사용하였다고 한 농약의 성분과는 차이가 있었다. 이는 인삼재배 예정지로 밭을 관리하였더라도 전 면적의 토양을 분석·검증할 수 없어 결과에 차이를 보인 것으로 판단되며, 바람, 관수 등에 의하여 주변농가에서 사용한 농약이 영향을 주어 실제 사용 농약과 다른 성분이 검출된 경우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인삼에 검출된 농약 성분은 대부분 살균제로 사용이 많은 농약들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주요 인삼재배 지역의 토양 및 인삼 중 잔류농약의 양상을 파악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인삼재배지 토양 및 인삼에 대한 관리영역의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속적인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안전성 검사를 수행함과 더불어 인삼 중 잔류농약을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최적의 분석법을 개선 및 확립하는 연구도 병행되어야 한다. 이에 QuEChERS-EN법과 MWCNTs를 이용한 변형된 분석법들의 비교 평가를 통하여 인삼 중 모니터링법으로써의 적합 여부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 농약은 총 335성분, 323품목으로 GC-MS/MS 분석성분 123성분(114품목)과 LC-MS/MS 분석성분 212성분(209품목)을 선정하였다. QuEChERS-EN법과 MWCNTs (5 mg, 10 mg, 15 mg, 20 mg) 및 m-PFC를 활용한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직선성(linearity), matrix effect (ME%), 검출한계(LOD) 및 정량한계(LOQ), 회수율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각 분석방법들의 직선성을 비교 평가한 결과, 분석성분에 대하여 대부분 0.97 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직선성을 확인하였으며, matrix effect (ME%)를 산출하여 매질의 개선효과를 판단하였을 경우 GC-MS/MS 분석 시 MWCNTs 20 mg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LC-MS/MS 분석 시 QuEChERS-EN법에서의 매질의 개선효과가 더 높았으나 MWCNTs를 이용한 분석방법과 크게 차이나지 않았으며, 각 분석방법들의 검출한계(LOD) 및 정량한계(LOQ)를 비교 평가한 결과, 10 μg kg-1 이내의 범위를 대부분 만족하였다. GC-MS/MS 및 LC-MS/MS를 이용한 회수율시험 결과, 각 분석방법들에 대하여 76∼97%의 성분들이 70∼130% 및 RSD 30% 이하의 범위를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MWCNTs 5 mg 및 m-PFC를 활용한 분석방법이 개선효과가 가장 뚜렷한 것으로 나타나 인삼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d-SPE 흡착제임을 입증하였다. 이에 MWCNTs를 이용한 개선 분석방법이 인삼 중 모니터링법으로써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인삼뿐만 아니라 다양한 농산물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인삼재배지 토양 및 인삼 중 잔류농약 안전관리 연구결과, 인삼 경작지에 오래 잔류되어 인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농약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잔류특성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부적합 인삼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인삼재배지 토양 및 인삼재배 예정 지역의 토양에 대한 잔류농약 모니터링 연구뿐만 아니라 인삼 중 잔류농약의 효율적인 분석을 위하여 최적의 분석방법을 확립하는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농업인들이 좋은 품질의 인삼을 안정적으로 재배·생산할 수 있는 안전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우리나라 인삼의 국제적 경쟁력이 강화됨과 동시에 인삼 생산 및 수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that usually grows in a field for 4 to 6 years tends to get often damaged by disease and insect pest.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various chemical pesticides in the cultivation of ginseng would be unavoidable. In this situation, the Pesticide MRLs (maximum residue limits) is established and imposes limitations to secure the safety. However, the sprayed pesticides can remain onto ginseng as well as into the soil, being fallen down on the ground, which could be translocated into the roots of ginseng. In the end, it could be harmful to consumer’s safety. This study is designed (Ⅰ) to identify the residual characteristics of tolclofos-methyl and endosulfan remaining in ginseng and in soil, which were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ginseng (leaf·stem and root) that was collected quarterly in accordance with a growth phase of the seedling of ginseng. This study also aims (Ⅱ) to monitor residual pesticides in soil and ginseng (leaf·stem and root) from major ginseng farms, and (Ⅲ) to improve and develop efficient monitoring methods in cultivating ginseng. This study also attempts to draw a comparison between the MWCNTs (multi-wall carbon nanotubes) method and the QuEChERS-EN method, and contributes to improving direction and appropriate methods of monitoring in cultivating ginseng. Ginseng was transplanted in pots and around 5.0 mg kg-1 of tolclofos-methyl and endosulfan were incorporated into soil. The samples (soil, leaf·stem and root of ginseng) were collected during April, June, September, and December over two years (2013-2014), and the pesticides residues in the samples were analyzed at the end of each month, using GC-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when tolclofos-methyl and endosulfan remained in soil were transferred to ginseng (leaf·stem, root) during the growth duration. It can be also seen that as for the samples of soil which were collected in December 2014, the amount of tolclofos-methyl and endosulfan remained 0.46% and 42.3%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samples of the roots of ginseng that were collected in the same period, the amount of tolclofos-methyl and endosulfan analyzed 7.8% and 24.9% respectively, based on the maximum residual amount. From the results, it can be indicated that if the tolclofos-methyl is sprayed twice or three times during the growth period of ginseng, and the safe use guideline is not observed, it may exceed the MRL. In the case of endosulfan, it was considered that it is highly likely to remain in soil as well as in ginseng. However, this remaining endosulfan pesticide is not detected only in the fields where it is used. Rather, it would be better to consider that because the previously used endosulfan pesticide tends to remain in soil for a long time, it could lead to inadequate ginseng. To identify the residual patterns of pesticides, investigated were vegetative part of ginseng (leaf·stem, root) and soil samples that were collected from major ginseng cultivation regions in Korea, such as Hongcheon, Cheorwon, Punggi, and Geumsan. A total of 246 components was analyzed, by using the QuEChERS methods. 74 components of them were by the GC-MS/MS, and the other 172 components were by the LC-MS/MS. The outcome of monitoring of residual pesticides in soil and in vegetative part of ginseng revealed that 50 different kinds of pesticides were detected as 0.01∼15.01 mg kg-1 in season 2013, whereas 23 kinds of pesticides were detected as 0.01∼2.00 mg kg-1 in season 2014. The 2-year-long analysis of pesticide residues both in vegetative part of ginseng and in soil shows a quite different tendency, and actually the detected ingredients of pesticides were different from ones that was claimed to had used in the fiel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monitoring methods for ginseng cultivation by comparing the QuEChERS-EN method and the modified method of MWCNTs. 123 components (from 114 items) were analyzed by the GC-MS/MS, and 212 components (from 209 items) were analyzed by the LC-MS/MS among a total of 335 and 323 pesticides, all of which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validity of each method for linearity, matrix effect (ME%), the limit of detection (LOD), the limit of quantitative (LOQ), and recovery were investigated. As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regarding the validation of linearity, it indicates that most of the analytical components showed a value of 0.97 or more, and excellent linearity values in GC-MS/MS and LC-MS/MS analysis. The effect of improvement was evaluated by the matrix effect (ME%), and the best effect was obtained when it used 20 mg of MWCNTs in GC-MS/MS analysis, while in the LC-MS/MS analysis confirmed improvement on the matrix effect in the QuEChERS-EN method, but there were not man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MWCNTs analysis methods. The LOD and LOQ its values were confirmed within the range of 10 μg kg-1. As a result of the recovery tests for all methods using GC-MS/MS and LC-MS/MS, it was found that 76% to 97% of the component satisfied the effective recovery 70% to 130%, and less than 30% RSD. The results of this study illustrate that the analytical methods using 5 mg of MWCNTs and mPFC were the most effective to improve, which assures that they are the new types of d-SPE adsorbent that is applicable to ginseng as well as other various agricultural products. To conclude, the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safety management for residual pesticides in ginseng and in soil, suggests the need of continuous monitoring and studying of characterization of residual pesticides that may remain in soil for a long time. Furthermore, this study also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establishing effective methods to analyze the residual pesticides in ginseng. Finally, from the outcome, this study expects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safety management system in which farmers can produce good quality ginseng in a suitable environment, and consequently strengthen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ginseng, and vitalizing the production and the export of Korean ginseng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