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벼 농가의 경영효율성 및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 신동진 벼를 중심으로

        김용국 강원대학교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2719

        쌀은 우리나라 주식으로 농업경제에 가장 중요한 작물이다. 정부의 농정목표는 농가 소득증대이며, 농촌경제의 당면한 문제는 인구감소와 잔존인구의 성·연령별 인구구조의 변화에 기인한다. 인구감소와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농촌사회의 경영 규모는 선택과 집중으로 경영 효율성을 고려한다. 따라서, DEA 모형을 통하여 전라북도 30개 신동진 벼 품종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경영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투입 불변의 조건에서 생산량 증대 방안을 위해 산출지향모델을 선정하여 BCC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신동진벼 재배 농가는 기본적 효율성으로 나타났다. 기술효율성, 순수기술효율성, 규모효율성이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규모효율성은 기술과 배분에 대한 기술적 투입 부분에서 비효율성으로 나타나 농업인 노령화로 인한 여러 가지 환경적 요인으로 해석된다. 사전교육을 통한 합리적 선택과 집중은 투입 요소와 분배에 기술효율성 상승으로 이어진다. Tobit 모형 요인분석에서 기술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지출대비 비효율적인 지표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부산물비료비, 기타비용, 수리유지비 등 투입요인이 상대적으로 생산성 비효율로 나타나, 투입물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학습하는 물리적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산업연관분석에서 신동진벼 산업의 경제적 파급, 총유발 효과는 식음료품 산업이 단순한 먹거리 산업보다 높은 영향력으로 나타났다. 벼 산업이 단순한 먹거리 산업에서 3차산업 단계로 방향성 변화를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시적 측면에서 농가간 상대적 영향성 분석, 거시적 측면에서 산업연관분석을 통하여 벼 산업의 현주소를 재점검, 농업인과 총체적인 지식기반 농정을 위한 농업정책에 합리적 시사점을 제시해 본다. Rice is our country’s staple serving as the most important crop in the agricultural economy. The goal of agricultural administration of the government consists in increasing the income of farming families. The urgent issue of the agricultural economy originates from the decreasing population and changes in demographic structure by gender and age in the rural areas. The administration scale of the agricultural society produced by reduced population and changes in demographic structure considers management efficiency focused on selection and concentration. Therefore, based on the DEA model, this study made an analysis of management efficiency of 30 faming families of Jeollabukdo cultivating the variety of Shindongjin rice. By selecting an output-oriented model to prepare a plan of production increase under the condition of unchanged input, this study analyzed based on the BCC model.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at farming families of Shindongjin rice turned out to have basic efficiency. In genera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echnical efficiency,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However, scale efficiency manifested inefficiency in technical input of technique and distribution and this is interpreted as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caused by aging farmers. Rational selection and concentration though preliminary education lead to increase of technical efficiency in input factors and distribution. In the factor analysis of the Tobit model, no factors influencing technical efficiency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It is possible to confirm as an inefficient index compared to expenses. Besides, the input factors such as byproduct fertilizer, other expenses and cost of repair and maintenance turned out to have production inefficiency. This result shows that it is important to create a physical environment to share and learn information regarding input materials. As for the economic and total inductive effects of Shindongjin rice according to the inter-industry analysis, food and beverage industry gave greater influences than simple food industry. This implies the changes of direction of rice industry from simple food industry to the tertiary industry. Based on the relative influence analysis among farming families with a microscopic approach, and the inter-industry analysis with a macroscopic approach,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situation of rice industry, and proposes rational implications of agricultural policies for farmers and general knowledge-based agricultural administration.

      • 숲길 이용자의 의식분석을 통한 숲길관리 개선방안

        오태봉 강원대학교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2703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Act on Forest Culture and Recreation,’ forest trails have been varied and classified into five types: mountain climbing, trekking, leisure sports, exploration and relaxation&healing. The amendment was implemented in order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trailers.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support the forest trail policy on the basis of the law by supplying the manuals for planning, designing, operating and managing forest trails. Nevertheless, most of the research on forest trails types are still in the early stage except for mountain climbing and in need of more diverse studies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to clarify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all types of forest trails in the 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ppropriate measures for planning, designing, operating and managing forest trails according to the types which are defined in ‘the Act on Forest Culture and Recreation’ by carrying out a survey of the visitors. Following the rapid urbanization, the desire for recreation in forest has significantly grown but the urban forest for city dwellers are still in poor conditions. Clubs and individuals who visit forest trails have a tendency to choose where to go by specific, diverse purposes but the supporting policies for forest trails are focused on only a few of them. In case of forest trails for relaxation&healing and leisure sports, the purpose of visiting can be comparatively easy to categorize, but others forest trail types such as mountain climbing, trekking, exploration are not clearly classified because of the ambiguity and overlapping of the visiting purposes. It is necessary that the various needs for forest trails should be studied according to the trail types and forest therapeutic method which has empirically objective validity is yet to be standardized. The overall safety measures for forest trailers should be planned. Especially, the information about the level of difficulty of forest trails and options for visitors based on the purposes and physical status should be proposed. Also, the present information concerning forest trails is not classified by the types and not easily accessible in terms of availabilities. Mountain landscape resources management is also important to make people enjoy forest trails.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to plan and manage forest trails efficiently by solving the problems above. First, the clarified definition of forest trail types and objectively valid forest therapeutic methods by the scientific and empirical approach are needed. Seco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 the extension of information center, adequate manpower arrangement are necessar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Third, a new system is needed to for the visitors to access easily to the information of forest trails which is divided by types, geography, themes, levels of difficulty and grades which gives the best option for visitors. differentiated mountain landscape resources management system is needed to support various activities and meet needs of visitors according to the types of forest trails Fourth, the development of safety manual for the visitors and the supply of information within the same sign system are necessary to let them choose the suitable level of difficulty physically according to their visiting purpose. Fifth,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urban forest within settlement zone to make people access easily to forest trails and benefit from it physically and socially. Along with this, integrated forest trail support policy for visitors is needed by providing education and fostering healthy trail culture.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weekends and holidays. so it is recommended that next survey should be conducted evenly throughout all period. More studies on forest trail planning&design, operation and management should be followed in order to create an environment-friendly structure and enhance the forest visitor's satisfaction.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을 개정을 통해 숲길을 등산로 단일 체계에서 등산로, 트레킹길, 레저스포츠길, 휴양·치유숲길, 탐방로 등 5개 종류로 분류·확대하여 다양한 산행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법적근거를 마련하고, 숲길의 조성 및 운영·관리 매뉴얼 보급으로 정책적 노력에 속도를 내고 있으나 숲길의 종류 중 등산로를 제외한 나머지 숲길은 아직 초기단계로 다양한 연구와 실제 적용 사례 및 법률에서 정한 숲길의 종류별 용어정리에 대한 뒷받침이 부족한 실정이다. 숲길 이용자의 의식분석을 통한 숲길관리 개선방안을 통해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숲길의 종류인 등산로, 트레킹길, 레저스포츠길, 휴양·치유숲길, 탐방로에 대한 각각의 숲길의 종류별 조성 및 운영·관리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도시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휴양치유에 대한 요구도가 높으나 생활권 도시림은 열악한 실정이며, 산악단체와 동호회의 경우 특정 목적성에 따라 구성되어 이용 숲길 선택과 이용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나 현재 운영 중인 등산지원정책은 일부 숲길에 한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휴양치유숲길과 레저스포츠길의 경우 숲길 이용 목적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이 외의 등산로, 탐방로, 트레킹길의 경우 휴양치유의 목적의 중복성 등으로 인해 구분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숲길 종류별 다양한 욕구변화를 반영할 필요성과 아직 표준화되어 있지 않은 산림치유법에 대한 객관적 근거 제시와 실험적 접근이 필요한 실정이다. 숲길 이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예방에 대한 전반적인 대책이 요구되며, 숲길의 난이도와 이용자이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에 적합한 난이도의 길을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의 숲길 관련 정보는 한 곳에 모여 있거나 숲길 종류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고 정보들이 흩어져 있어 그 활용이 어렵다고 판단되며, 국민 모두가 아름답고 건강한 산림경관을 누릴 수 있도록 적극적인 산림경관 관리와 형성에 대한 노력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숲길 종류별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이 요구된다. 첫째, 숲길의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 활동을 뒷받침할 수 있는 자원이 산재하는 숲길에 주제를 나열함으로 인해 고정적 틀을 형성할 수 있다는 부작용의 우려가 있지만 숲길 종류별 명확한 정의와 끊임없는 과학적, 객관적 근거 제시 및 실험적 접근을 통해 휴양치유의 객관적인 근거 제시가 필요하다. 둘째, 교육·학습·산림치유프로그램의 개발과 안내센터 및 운영인력 확대로 이용자 만족도 향상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새로운 정보제공 시스템을 도입하여 적시·적소의 숲길 종류별, 지역별, 주제별, 난이도 및 등급별로 수요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숲길 정보제공 공간과 숲길 종류별 선택기준 제시와 숲길 종류별 특정 목적성과 목적하고자 행위에 따라 산림경관의 관점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숲길 종류별 다양한 활동을 뒷받침할 수 있는 자원과 탐방목적을 두고 산림경관을 차별화하는 숲길 종류별 산림경관 관리체계 기반의 조성이 필요하다. 넷째, 숲길 안전대책 강화를 위한 신속한 대처를 위해 안전매뉴얼 개발과 육체적 수준에 적합한 숲길의 난이도와 이용자가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에 적합한 난이도의 길을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동일한 사인(sign) 체계의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다섯째, 국민들이 생활권에서 손쉽게 산림을 통한 건강과 복리 증진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생활권 도시림 숲길의 지속적인 확대 방안과 등산인의 의식 전환과 체계적인 등산교육 및 건전한 등산문화를 위한 통합적인 등산지원정책 마련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용자가 가장 많은 주말과 행사시기 등을 고려하여 조사를 진행하여 조사시기가 편중된 측면이 있고, 추후 연구는 주말·주중, 성수기, 비성수기를 포함하여 방문객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자연친화적인 조성과 이용자의 만족도 제고 등 숲길 운영 및 관리와 다양한 휴양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돼지의 성장과 면역능력에 있어서 분말화된 해양성 광천수의 영향

        최준석 강원대학교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2703

        해양심층수가 주변 지반의 특성에 따라 수질의 성분과 이온화된 무기물질 및 희귀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된 천연 물질을 해양성 광천수라 한다. 해양성 광천수에는 Se, Ge, Mo 및 V등의 희귀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Ca과 Mg이 인체에 흡수하기 쉬운 비율로 존재하기 때문에 동물의 성장과 면역에 있어 효과적이라 기대된다. 또한 녹색생명산업이 강조됨에 따라 천연물질을 이용한 친환경 사육에 대한 관심증대 및 가축 사료 내 항생제 급여가 법적으로 금지되었기 때문에 항생제 대체제의 개발로써 천연 물질인 해양성 광천수의 효과가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유자돈에 있어 해양성 광천수 및 분말이 돼지의 성장, 혈액성상 및 면역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사료 첨가제로의 효능을 검증하고 시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평균 10.25±0.14kg의 총 48마리의 3원교잡[(Landrace × Yorkshire) × Duroc] 이유자돈을 완전임의배치법을 이용하여 실험을 설계하였다. 실험은 총 8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4주마다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8주째에는 혈액을 채취하였다. 해양성 광천수의 기준 규격화 및 분말화하기 위하여 진공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였고, 효능을 검증하기 위한 4개의 처리구로는 일반사료, 3% 해양성 광천수가 희석된 물, 해양성 광천수 분말을 0.025% 및 0.05%를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또한 일당증체량, 일당섭취량 및 사료효율을 분석하였으며, 채취된 혈액에서는 혈구검사, 생화학검사 및 면역능력수치 농도를 분석하였다. 해양성 광천수 분말을 고형제제로 개발하기 위하여 부형제와의 적합성 검사와 ICP를 이용한 시료 내의 물질 안정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해양성 광천수를 동결건조하였을 때에는 3% 분말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사양기간 0~8주 동안에는 0.05%의 분말화된 해양성 광천수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일당증체량과 사료효율이 유의적(p<0.05)으로 향상되었으며, 혈액 내 헤모글로빈, 평균 적혈구 용적, 크기, 혈색소 농도, 단핵구 및 호산구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부형제로는 해양성 광천수 분말, 왕겨 및 만니톨을 1:3:1로 혼합하였을 때 가장 적합하였고 유동층 과립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분말은 3개월 이상 보관하였을 때에도 Ca함량이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해양성 광천수 분말을 이용한 제품을 시생산하여 시제품을 제작하였으며, Ca, K, Mg 및 Na의 함량은 13,160ppm, 4,985ppm, 6,718ppm 및 49,740ppm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양성 광천수 및 분말을 이용한 항생제 대체 친환경 양돈기법을 개발함과 동시에 고품질 돈육생산에 이용할 수 있으며, 향후 해양성 광천수 및 분말을 이용한 브랜드 돈육 생산과 사료 첨가제의 지적 재산권 및 유통망을 확보 할 수 있을것이라 기대된다.

      •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가 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현주 강원대학교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2703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가 생활만족도, 자아 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 현 주 강원대학교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녹색생명산업정책학과 본 연구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가 조절변수인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소득, 가구구성원, 산림치유 참여 유무에 따라 생활만족도, 자아 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자의 변화를 알아보고 그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전국의 성인 남·여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방법을 활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t-test 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 유무가 생활만족도,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참여자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질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비참여자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학력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 자아 존중감,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비참여자는 유의하지 않았다. 직업은 참여자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비참여자의 자아 존중감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구성원은 참여자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비참여자의 자아 존중감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은 직접적인 만족보다는 소득에 대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참여자의 자아 존중감, 삶의 질과 비참여자의 생활만족도, 자아 존중감,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생활만족도, 자아 존중감, 삶의 질이 서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통하여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정신적 건강요인 중에서도 특히, 정신적 스트레스 해소에 중점을 두고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대상자의 생활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산림환경의 다양한 치유요소를 포함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참여자가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 및 생활만족도, 자아 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에 대해 규명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산림치유가 예방 차원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는 자료로 활용되고, 최근 코로나19 사태를 겪고 있으면서 면역력의 중요성이 다시 강조되고 있는 시기에 숲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심신을 달래며 자발적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 FMD 위해 보도에 대한 국내신문의 프레임과 수용자 인식 연구

        신하림 강원대학교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2703

        A Study on News Frames of Domestic Newspapers and Audience Perception of Foot-and-Mouth Disease Risk Coverage HA-RIM SHIN Department of Policies for Green and Life Industry Graduate School of Green and Life Industry Polic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report trends of domestic major and local newspapers about foot-and-mouth disease and how these reports affect audience perception of the risk. The purpose is to suggest evolutive ways about reports of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 in domestic animals.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 in domestic animals hugely affects social stability and related industries due to it's direct relationship with food security. Mass media has an important role of transferring risk information to audiences. Three issues were considered as risk information exchange necessary to keep security in today's societies, risk communication suggested by several scholars as an alternative to risk societies, advanced research about the frames which are meant to be message composition patterns of the media. The Chosun Ilbo with the biggest circulation among the major daily newspapers and two local newspapers, Maeil Shinmun of An-dong (Daegu-Gyeoungbuk province) where foot-and-mouth disease relapsed in 2010, and the Kangwon Ilbo of Kangwon-do were selected from the domestic daily newspapers to analyze report trends of foot-and-mouth disease risk. 1,158 reports of foot-and-mouth disease risks from the three daily newspapers taken between Nov. 29, 2010 and Apr. 30, 2011 when there was a relapse of foot-and-mouth disease throughout the country, were the subjects of analysis and quantitative capability and news sources were analyzed as priorities. Reports with 'News frame of formal aspects' and ten kinds of 'news frame of contents aspects' sampled by deductive and inductive methods were analyzed to grasp the reports' general direction and focus through the headline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308, 536 and 314 reports of foot-and-mouth disease risk in the Chosun Ilbo, Kangwon Ilbo, and Maeil Shinmun respectively with the two local newspapers reporting more times than the major daily newspaper. Most news sources were from the local governments of the three locations. If the ranges are expanded to the central institutions, administrative agencies for crisis management covered the highest rates between 53.8% to 73.6%. Also this is not right concerning the principle that it is desirable for mass medias to make various interested parties of foot-and-mouth disease participated in risk information exchange and so to make the gap of risk perceptions narrowed. ‘Government Reaction · measure frame’ was rated the most of between 30.6% to 44.8% from the total 10 frames for contents concerned news frame. This suggests that most news sources were from administrative agencies demonstrating that domestic daily news papers were weak in reporting the risks from various point of views. 278 sample participants separated the Kagnwon Ilbo's reports of foot-and-mouth disease risk into positive and negative frames to find how reports about risks affect audience perception. While positive frames were included reports about food safety of foot-and-mouth disease not involving infected persons cases and the government's active crisis management, negative frames covered reports issuing risks as the first class infectious disease in domestic animals and the government's management failu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udiences' perception of foot-and-mouth disease risk depended on whether the frames were positive or negative. In other words, audiences exposed to negative frames showed more negative perception of foot-and-mouth disease risk. The conclusion suggests that domestic daily newspapers' reports about foot-and-mouth disease risk should carefully consider audiences perception and its huge impact on related industries, and so should be based on a sound scientific basis and confirmed by various sources. Further, reports of foot-and-mouth disease risk should not be based only on specific news frames and news sources but also various reports connected with experts and civic groups. The research shows that domestic media's report of the risk of the infectious disease in domestic animals should not only transfer government announcements and situation, but should also present various points of view of each social agent and make social agreement through it. Also the gap in perception about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 in domestic animals between experts and the public should be narrowed by supplying scientific information accurately. Therefore it is urgent to establish connections between domestic media and experts, and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editors and reporters in related fields. 본 연구는 FMD(Foot-and-Mouth Disease)에 대한 국내 중앙·지역 일간지들의 위해보도(Risk Reporting) 경향과 이 같은 위해보도가 수용자들의 위해도 인식(Risk Perception)에 끼치는 영향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가축 전염병 위해보도의 발전적인 방향을 위해정보교환(Risk Communication)의 관점에서 제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가축 전염병 위해는 식품 안전성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에 사회 신뢰도와 관련 산업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위해가 수용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매스 미디어는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이에 대한 논의를 위해 현대사회에서 안전성 유지에 필요한 위해정보교환, 위해의 사회적 증폭 모델, 언론들의 메시지 구성 패턴을 의미하는 프레임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국내 일간지들의 FMD 위해보도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대상은 중앙 일간지 가운데 발행 부수가 가장 많은 조선일보와 2010년 FMD 재발 지역이었던 안동(대구·경북권)의 지역 일간지인 매일신문, FMD 확산 지역이었던 강원도의 지역일간지인 강원일보로 정하였다. 이를 통해 중앙 일간지와 지역일간지간의 위해보도 차이와 발행지역이 서로 다른 지역일간지간의 위해보도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FMD 발생 기간 중 분석 기간은 전국적으로 FMD가 재발·확산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설치·운영 및 해체된 시점인 2010년 11월29일~2011년 4월30일까지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기간 내에 3개 일간지들의 FMD 관련 보도 1,158건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양적 특성과 뉴스 정보원을 우선 분석하였다. 또 기사의 헤드라인을 통해 기사의 전반적인 방향과 초점을 파악하기 위해 ‘형식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과 연역적·귀납적 방법으로 추출한 10가지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별 보도 건수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일간지별 FMD 위해보도 건수는 조선일보는 308건, 강원일보는 536건, 매일신문은 314건으로 먼저 지역일간지의 보도 건수가 중앙일간지 보다 많았다. 뉴스 정보원은 3개 일간지 모두 지방자치단체 비중이 가장 컸고, 중앙 정부기관으로까지 넓힐 경우 위해관리를 맡는 행정기관이 정보원으로 차지하는 비중은 53.8%~73.6% 로 압도적으로 컸다. 이는 매스 미디어가 FMD 위해를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위해정보교환에 참여시키고 이를 통해 위해도 인식 격차를 줄여나가도록 해야 바람직하다는 위해정보교환의 원칙에 맞지 않는 부분이다. 내용적 측면에서의 뉴스 프레임도 ‘대응·대책 프레임’이 전체 10개 프레임 중 차지하는 비중이 30.6%~44.8% 로 가장 컸다. 이는 정보원이 행정기관에 편중된 데 따른 결과로 해석되며 국내 일간지가 다양한 관점에서 위해보도를 하는데 취약하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위해보도가 수용자 인식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강원일보의 FMD 위해보도를 긍정적 및 부정적 프레임 유형으로 분리해 278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긍정적 프레임은 인체 감염사례가 없는 FMD의 식품 안전성과 정부 위기 대처 적절성을 강조한 기사들로 추출하였고, 부정적 프레임은 1종 가축전염병으로서의 위해성과 정부의 대응의 실패를 강조한 기사들로 추출하였다. 실험 결과 긍정적 프레임, 부정적 프레임에 따라 수용자의 FMD 위해도 인식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 일간지들의 가축 전염병 위해보도는 수용자 인식과 관련 산업에 끼칠 막대한 영향을 고려해 과학적인 근거를 갖고 다양한 정보원에게 사실 확인을 거쳐 신중하게 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 가축 전염병 위해보도는 특정 뉴스 프레임과 정보원에 편중되지 않고 전문가, 시민단체와 연계된 다양한 프레임들이 발굴돼야 한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언론의 가축전염병 위해보도가 정부 및 지자체의 발표와 입장을 전달하는 역할에 그치지 않고 위해를 바라보는 사회 각 주체들의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끌어내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 가축 전염병 위해에 대한 과학적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전문가와 일반인 사이의 위해도 인식의 격차도 줄여야 한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국내 언론과 전문가간의 연계, 편집자 및 기자들의 전문성 강화도 시급하다고 하겠다.

      • 입경기간과 여름철 단수가 아스파라거스의 가을철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이란표 강원대학교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268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rn-establishing period and summer-seasonal outage of water-supply on growth and qualities fall-seasonal yield of asparagus. The asparagus was cultivated in non-heated plastic film-house, which is located at Hongcheon-eup, Hongcheon-gun, Gangwon-do of South Korea from December, 2019 to the end of November, 2020. Two-year-old asparagus seedlings known to Atlas, which is originated from United States of America, were used as testing materials for this study. The seedlings were classified into Treatment-1, 2 and 3 by the order, which was transplanted at 15-day interval from February 1, 2020 and then supplied water. In addition, seedlings supplied water from April 1, 2020, were used as a control. Amount and unit weight of asparagus spears harvested from March to April in the treatments and control groups were initially measured. Subsequently, amount and unit weight of asparagus spears harvested in the Treatment-1, 2 and 3 groups that ferns were established for 91, 76 and 61 days at 15-day intervals from April 1, 2020, respectively. Control groups without the outage of water-supply that ferns were established for 138 days from May to July. Then, with the completion of spring-seasonal harvest, the outage of water-supply was applied to the treatment groups for 55 days. Meantime, control group was cultivated as the cultural practice managing on mother-ferns. Amount and unit weight of asparagus spears in all groups were measured. Weights and soluble solid contents of root and top parts were measured immediately after the outage of water-supply and during the yellow leaf perio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variables on the amount of photosynthate produced during the fern-establishing period and the photosynthate transport into root. Lastly, the yields of asparagus spears among the harvesting periods were compared and predicted the trend of sales for asparagus-cultivating farmers based on the volume and average price of asparagus spears traded over the last 5 years. In general, growth limit temperature of asparagus is 5 to 38 ℃, which led to the harvest time is late March to September (10-38℃). In this study, spears were harvested from February to October because cultivation facility was kept warm by the 3 layers composed of double-layers vinyl wall and tunnel formed with one-layer vinyl. In the observation of treated groups growth characteristics, first buds appearance was identified after water supplied 20 ∼ 30 days in February. The results are likely to result from the high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cultivation facility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amount and average unit weight of spears harvested in spring season were similar to other studies that spring-seasonal harvest was affected by the nutrient stored in the previous year. Reduction rates of root weight in Treatment-1, 2 and control groups were measured after the application of water-supplying outage ranged from 82 to 83%,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groups. However, reduction rate of Treatment-3 group was measured to 87% and higher than in Treatment-1, 2 and control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1, 2 and control groups, in root parts soluble solid content (SSC) after the application of water-supplying outage, but Treatment-3 groups SSC was lower than other groups. The low SSC may be related to the low amount of nutrients stored in the previous year and the short span of fern-establishing period compared to other groups. SSC of all group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during fern-established for 2 months after fall-seasonal harvest. The results might be due to similar amounts of photosynthate produced by photosynthesis during the fern-establishing period. Consequently, the yield of asparagus spears might be affected by nutrients stored in the root in the previous year and the photosynthesis of top part in the present year. It also could identify that the continuous water-supply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of unit weight for spears based on the results that the unit weight of spears reduced with the decrease of water-supplying period.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amounts and unit weights of spears harveste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fern-establishment and then water-supply.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outage of water-supply did not have an effect on spears yield, but fern-establishment period had an influence on fall-seasonal yiel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domestic wholesale market, the increase of its price with the reduction of sale volume was identified at the middle of September. This research was expected to increase the sale volume for farmers by the large amount of produced and transportation of good quality asparagus. In conclusion, the outage of water-supply at summer season may be attributed to damages prevention from blight/harmful insects and high temperature, which is occurred by dense-planting in cultivation facil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hip spears intensively at the fall season and sale with high price. However, with the reduction of fern-establishing period, applying the outage of water-supply application caused the deficiency of nutrients accumulated to root by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photosynthate. As a result, quality of spears may deteriorate, and withering of mother ferns is expected with the cessation of bud germin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e conducted further research to apply the outage of water-supply in alternate years, and the temperature on asparagus quality during the outage of water-supply.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에 위치한 무가온 시설 하우스에서 2019년 12월부터 2020년 11월 말까지 입경기간과 여름철 단수가 아스파라거스의 가을철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농가매출 추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시재료로서 2년생 “Atlas”(미국산) 아스파라거스 묘목을 정식한 후, 2월 1일부터 15일 간격으로 관수시킨 처리구-1, 2, 3과 4월 1일부터 관수한 대조구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각 처리구와 대조구로부터 3 ∼ 4월에 수확한 약경의 개수와 단위중량을 일차적으로 조사하였으며, 4월 1일부터 15일 간격으로 91일, 76일, 61일간 입경한 처리구-1, 2, 3과, 단수를 적용하지 않고 138일간 입경한 대조구에서 각각 5 ∼ 7월에 이차적으로 수확한 약경의 개수와 단위중량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처리구는 봄철 수확의 종료와 함께 단수를 55일간 적용하였으며, 대조구는 관행적으로 재배하며 수확하여 약경의 개수와 단위중량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단수 직후 및 황엽기에 각각의 뿌리와 지상부의 무게 및 당도를 측정하여 입경기간 중에 생성된 동화 산물의 양과 뿌리로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수확시기별 약경의 생산량을 비교하였으며, 지난 5년간 아스파라거스 거래량과 평균가 조사를 통하여 수확시기별 농가매출 추이를 예상하였다. 일반적인 아스파라거스의 생육 한계온도는 5 ∼ 38 ℃로서 재배시설내의 온도가 10 ∼ 38 ℃인 3월 하순부터 9월까지가 수확적기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중 비닐과 비닐터널을 이용하여 3중으로 보온할 경우, 2월부터 10월까지 아스파라거스의 수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처리구의 생장특성을 확인한 결과, 2월의 급수와 함께 첫눈의 출현까지 20 ∼ 30일이 소요되었으며, 이는 재배시설내의 높은 온도와 습도에 따른 결과라 생각한다. 봄철에 수확된 생산량과 평균 단위중량을 조사한 결과, 봄 수확은 전년도에 저장된 양분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는 타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단수 후 측정한 뿌리 중량 감소율은 처리구-1, 2와 대조구에서 82 ∼ 83%로 차이가 없었으나, 처리구-3의 감소율은 87%로 타 처리구 및 대조구와 비교하여 높았다. 또한 단수에 이어 측정한 뿌리의 당도는 대조구, 처리구-1, 2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처리구-3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처리구-3은 전년도 저장양분도 적었고, 입경기간도 짧았던 관계로 동화 산물의 생성량이 많지 않아 나타난 결과라 사료된다. 다음으로 가을철 수확을 종료한 후, 2개월간 입경한 처리구-1, 2, 3과 대조구의 당도 간에는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입경기간 중에 광합성 작용으로 생성된 동화 산물의 양에 차이가 없어 나타난 결과라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아스파라거스 생산량은 전년도 뿌리에 저장된 양분과 당해 연도 지상부의 동화 작용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급수기간이 단축됨에 따라 약경의 단위중량이 감소하는 결과로부터 지속적인 관수가 약경의 단위중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입경/단수처리 전후 수확한 약경의 개수, 단위중량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아 단수처리는 약경의 생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입경기간이 가을철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국내에서 아스파라거스를 거래하는 도매시장의 조사를 통하여 아스파라거스는 9월 중순부터 출하량의 감소로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이 시기에 품질이 우수한 아스파라거스를 대량으로 출하할 경우 재배농가의 매출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여름철 단수의 적용이 병충해 및 과밀로 인한 고온피해를 방지하고, 높은 가격이 형성되는 가을철에 집중출하가 가능하나, 입경기간의 단축과 함께 단수에 따른 동화 산물 생성의 억제로 뿌리에 축적되는 양분이 부족하여 약경의 품질 저하 외에 맹아의 발아 중지로 고사할 가능성도 예상된다. 따라서 단수를 격년으로 적용하거나, 단수기간 중 온도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는 등의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향기요법이 운수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정순철 강원대학교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2687

        본 연구는 향기요법이 택시업 운수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경감과 업무만족도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택시운수종사자 120명을 선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항목은 응답자의 일반사항, 향기에 대한 호감도, 천연향 및 피톤치드에 대한 인식, Spielberger 상태불안 스트레스항목으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향기는 ㈜에스오지의 ‘정’ 향 제품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결과 운수종사자들의 일반적인 향기 호감도는 대부분 긍정적인 평가로 나타났다. 그리고 향기에 대한 업무만족도는 5점 척도를 기준으로 평균 3.8~4.0으로 비교적 높게 평가되어 향기가 운수종사자에게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향기요법은 차량 내 분위기를 좋게 하여 운수종사자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기분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oma therapy on job stress reduction and job satisfaction improvement of taxi driv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0 respondents who were selected by taxi transportation. Survey items were composed of respondents' general items, favorance of fragrance, recognition of natural fragrance and phytoncide, and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he fragrance used in this study was 'Jeong (Emotional Forest)' product of SOG company.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most favorable evaluation of the general fragrance of transportation workers was found to be positive. The job satisfaction with fragrance was evaluated as high of 3.8 ~ 4.0 on the basis of 5 point scal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fragrance has a good effect on transportation workers. In addition, aroma therapy improved the mood in the vehicle and relieved the tension of transportation workers.

      • 경기지역 잣나무림의 탄소저장에 미치는 간벌의 영향

        권순식 강원대학교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2687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 가평지역에서 경제적·생태적·환경적으로 중요한 잣나무 인공림에 대하여, 영급 (IV, V, VI) 별로 탄소저장에 미치는 간벌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2011년에 간벌을 실시하고, 현존량과 탄소저정량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2011년과 2014년에 수고와 흉고직경을 측정하였다. 상대생장식에 의해 현존량을 추정하였으며, 탄소저장량은 현존량에 탄소전환계수 0.5를 적용하여 구하였다. 간벌과 함께 모든 영급에서 총 현존량은 감소하였다. 간벌구의 탄소저장량은 IV, V, VI 영급에서 각각 63 Mg C/ha, 93 Mg C/ha 및 63 Mg C/ha 으로, 무간벌지인 대조구의 92-95% 수준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잣나무 생체량의 탄소축적에 대한 간벌의 효과는 작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 내용은 단기간의 결과이므로, 간벌의 효과를 더욱 확증하기 위해서는 영급의 반복을 포함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Economically, ecologically and environmentally Pinus Koraiens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ree species in Gyeonggi, Korea. This study examined effect of thinning on carbon(C) storage for three age-classes (IV, V and VI) of Pinus Koraiensis plantations in Gapyoung, Korea. In this study, biomass and C storage were estimated in 2011 to 2014. A thinning practice was mannually carried out in 2011. In 2011 and 2014, diameter at breast height and tree height to survey the changes in biomass and C storage after thinning. Allometric equations weres used to estimate living biomass of Pinus Koraiensis. Carbon conversion factor, 0.5 was used to convert living biomass into C storage. Total biomass for all age-classes decreased with thinning in 2011. C storage (Mg C/ha) in the thinned plots (63 for age class IV, 93 for age class V and 107 for age class VI) were 92-95% of those in the unthinned plot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hinning effects on C accumulation in living biomass was less evident in this study. Further evidence of the effect of thinning on biomass and C accumulation of storage Pinus Koraiensis plantation by age stand will needed from replicated chronosequence and long-term monitoring studies.

      • 기후변화 대응 동부지역 주요수종 모니터링 연구 : 소나무ㆍ낙엽송ㆍ잣나무의 임분구조 및 생장특성을 중심으로

        이상현 강원대학교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2687

        본 연구는 동부지방산림청 관내 국유림을 경영하는 산림자원으로서의 비중과 가치, 활용도가 높은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를 연구대상 수종으로 선정하였으며. 소나무 6개, 낙엽송 15개, 잣나무 15개 지역의 영구고정표준지를 설치해 흉고직경, 수고, 재적, 영급별 흉고직경 및 수고 분포현황, 수간석해를 이용한 생장량 변화 등 임분구조 및 생장특성을 조사ㆍ분석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의 표준지별 생장을 분석하였으며, 소나무림의 경우 천연림과 인공림을 구분하여 임황현황을 분석하였다. 소나무 인공림은 천연림보다 평균 흉고직경, 평균수고, 평균단목재적이 높게 나타났다. 수종별 직경분포 현황을 분석한 결과, 평균직경이 커질수록 단위면적 당 입목본수는 감소하였으며, 임령이 증가할수록 평균경급이 커지며 흩어진 정도(표준편차)가 더욱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종별 영급에 따른 흉고직경과 수고의 관계는 흉고직경이 커질수록 수고도 높아졌다. 세 수종을 상관계수로 비교하면 소나무 0.79, 낙엽송 0.83, 잣나무 0.85로 잣나무가 가장 상관관계가 높았다. 단목재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세 수종 모두 수고보다 흉고직경이 더 직접적이었으며, 흉고직경과 단목재적의 상관계수를 비교하면 소나무 0.9477, 낙엽송 0.9526, 잣나무 0.9523로 낙엽송의 흉고직경이 세 수종 중 단목재적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가장 컸다. 수간석해를 이용한 생장량 분석 결과, 세 수종 모두 초기에는 생장이 증가를 보이다가 점차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직경생장량이 감소하였다. 소나무 인공림이 천연림보다 임령이 20년까지 직경생장량이 뛰어났다. 수종별 연년 직경생장량 비교 결과는 잣나무가 6.54㎜로 가장 높은 생장량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낙엽송이 6.50㎜, 소나무가 5.38㎜의 생장량을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동부지방산림청 관내 주요 수종인 소나무와 낙엽송, 잣나무의 임분구조 및 생장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나 단기간의 조사를 통하여 이러한 특성을 규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장기간에 걸친 반복조사를 통해 임분의 동태적 변화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므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In this study, Pinus densiflora,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were selected as target species for this study because these species were valuable and practical in the region of national forest of Eastern Regional Korea Forest Service. Permanent plots were installed in 6 sites for Pinus densiflora, 15 sites for Larix kaempferi, and 15 sites for Pinus koraiensis. DBH, height, volume, distribution of DBH and height by age class, and growth change were analyzed in order to cope with the climate chan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growth pattern and characteristics fo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Growth of Pinus densiflora,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was analyzed by permanent plot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artificial forest and natural forest in Pinus densiflora, DBH, height, and volume was higher in artificial forests. In analyzing the DBH distribution by species, the number of trees per unit area decreased as average DBH increased. Also,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DBH increased as trees age. The correlation between DBH and height by species and age class was positive. the correlation of coefficient was 0.79 in Pinus densiflora, 0.83 in Larix kaempferi, 0.85 in Pinus koraiensis. Individual stem volume was more directly related with dbh than height in all of three species. Correlation of coefficient was 0.9477 in Pinus densiflora, 0.9526 in Larix kaempferi, 0.9523 in Pinus koraiensis. In analysis of tree growth using stem analysis, the growth of all species increased at early years, but it was decreased as trees age. For Pinus densiflora, DBH growth was higher in artificial forest than natural forest. The mean annual growth of DBH for Pinus koraiensis was 6.54㎜, and the growth for Larix kaempferi was 6.50㎜, and the growth for Pinus densiflora was 5.38㎜. Finall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stand structur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main coniferous species, Pinus densiflora,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in the region of Eastern Regional Korea Forest Service. It was not easy to find out the growth characteristics in a short period. Thus, long-term monitoring data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tand dynamics using periodic inventory in a long period.

      • 식자재용 시래기 가공상품 개발연구 : 양구 펀치볼 시래기를 중심으로

        尹元洛 강원대학교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2687

        본 연구는 농가소득 증대와 지역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고소득 대체작목의 발굴과 향토식품의 특산화가 가능한 가공식품의 개발 필요성에 따라 양구 펀치볼 지역의 시래기를 중심으로 식자재용 시래기 가공상품 및 조리편의용 가공식품 개발에 기본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또한 건강한 식재료와 즉석편의식품을 선호하는 현대인의 식품소비경향의 변화추세에 따라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펀치볼 시래기를 원료로 하여 전처리 식재료 및 조리편의식 가공상품의 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기본 연구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중소비가 가능한 시래기 상품으로 전처리 식자재 또는 조리편의식품의 원료로서 활용할 수 있는 삶은시래기와 발효시래기(시래기 김치) 가공상품을 개발하고 이들 제품의 사업화를 위해 필요한 생산공정, 영양성분 분석 및 미생물의 변화 등의 기본 연구자료를 확보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시래기 생산농가의 현실을 감안한 농가보급형 생산 메뉴얼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삶은 시래기의 제조는 삶은 후 불리는 조건이 불린 후 삶는 조건보다 더 유리하였으며, 이 경우 탄산수소나트륨을 0.01% ~ 0.1% 함량으로 첨가하여 처리하는 경우 삶는 시간과 불림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래기를 물로 삶는 경우 1시간 삶은 후 12시간 이상 불리거나 3 ~ 5시간 삶아 3시간 이상 불리는 조건이 최종제품에 대한 기호도가 우수하였으며, 탄산수소나트륨을 0.01% ~ 0.1% 첨가하여 삶은 경우에 삶는 시간을 30분으로 단축할 수 있고, 삶은 후 불림조건은 0.01% 첨가할 경우 24시간 이상, 0.05% 첨가할 경우 12시간 이상 및 0.1% 첨가할 경우 3시간 이상 불리는 조건으로 제조할 경우 최종제품에 대한 씹힘성, 외관 및 전체 기호도가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삶은 시래기를 polyetylene 용기에 진공포장하여 냉장온도(5~7℃) 및 15℃ 이상 실온에서 10일간 저장한 결과 모든 경우 호기성 세균이 증가하였다. 총 세균수는 냉장온도에서 3일이 지난 후 103 CFU/ml 이하로 유지되엇으며 저장 8일에 108 CFU/ml까지 도달한 반면, 15℃에서 저장한 경우 4일째부터 불쾌한 냄새와 함께 미생물 수도 급격히 증가하여 3일 이후에는 상품가치가 현저히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재자용 삶은시래기 가공제품은 비지탕, 된장국, 나물을 모델로 하여 조리편의식 제품개발을 위한 조성물을 제시하였으며, 생선조림용, 닭고기용 및 돼지고기용 양념조성물을 제시하였다. 발효시래기(시래기 김치)의 저장온도에 따른 신선도는 7℃ 숙성의 경우 약 60일, 15℃ 숙성의 경우 30일 ~ 45일, 22℃ 숙성의 경우 7℃ 이하의 냉장온도에서 신선도를 60 ~ 90일까지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발효시래기를 7℃, 90일간 발효 후 가식부 100g당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 87.8g, 탄수화물 7.3g, 조단백 2.7g, 조회분 1.6g, 조지방 0.6g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무기질 성분은 칼슘(Ca)성분이 324mg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칼륨(K) 56mg, 인(P) 68mg, 철(Fe) 14,2mg, 마그네슘(Mg) 17.3mg으로 분석되었다. 유리당 함량은 과당(fructose) 11.93mg/100g, 포도당(glucose) 12.33mg/100g으로 분석되었으며,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pH 감소와 함께 산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발효시래기를 7℃에서 숙성시킨 경우 산도가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90일 숙성 후 pH는 4.2로 이취 및 부패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발효시래기의 유통기간을 최대 90일까지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발효시래기를 활용한 조리편의식품으로 돼지고기, 닭고기 및 생선류를 중심으로 개발 가능한 상품의 유형과 제조메뉴얼을 제시하였으며 조리용 양념 조성물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시래기 가공상품의 시장경쟁력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대중성과 편리성을 갖춘 식자재로서 삶은시래기와 발효시래기를 원료로 하는 조리편의식품과 상용화 가능한 양념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시래기를 원료로 하는 단체급식 식자재 또는 식당용 전문메뉴와 연계한 조리편의식품의 개발은 기존의 통상적 제품과 차별화가 가능하며 최근의 식품소비성향에 비추어 볼 때 시장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며 향토식품으로서 농가소득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경제적 개발가치가 상존할 것이다. 따라서 대량생산을 위한 공정개발과 상용화 가능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rve the need that alternative crops and newly developed food products is necessary for enhancing economic growth in rural area through increasing the farmer's incomes an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food ingredients and ready to cook(RTC) foods using by siraegi produced in the area of Punchbowl, Yanggugu, Gangwon-do. For this, siraegi was steamed and fermented and it is used for raw material to produce pre-cooked food ingredients and RTC foods which can be consumed year-round. The research data necessary for processing line, nutrition composition, and microbial change were investigated and small scale processing manual was provided so that the farmer who have limited machinery facilities can easily apply it to produce commercial products. Soaked siraegi in water followed by steamed had it over steamed siraegi followed by soaked that the former was marked better than the letter in organoleptic test. Addition of sodium bicarbonate (NaHCO3) had an advantage to decrease processing time. When it comes to steamed siraegi, soaking for 12 hours followed by 1 hour or soaking 3 hours to 5 hours followed by more than 3 hours showed high mark on organoleptic preference. When siraegi was soaked in 0.01% ~ 0.1% NaHCO3 solution, it was possible to decrease soaking and steaming time to 30 minutes. The aerobic microbial growth was increased when siraegi was preserved in poly etylene(PE) box at 5~7℃ and 15℃ for 10 days. Total microbial counts was maintained less then 103 CFU/mL at 5~7℃ for 3 days but it was increased to 108 CFU/mL after 8 days. At 15℃, it was shown that microbial number was rapidly increased with offensive flavour after 4 days indicating that it can not be used for commercial products. 4 different types of RTC Foods of siraegi and additional source compositions for meats such as a chicken, a pork and fishes were provided. The freshness of fermented siraegi(siraegi kimchi) based on preservation temperature was investigated. It was shown that the freshness could be maintained for 60~90 days with temperatures below 7℃, 60 days at 7℃, and 30~45 days at 15℃. Nutritional composition and its contents were also investigated for fermented siraegi after preservation of 90 days at 7℃. The carbohydrate, protein, ash and lipids in 100g of edible portion were showed as 7.3g, 2.7g, 1.6g, and 0.6g respectively. Among the minerals, Calcium was detected as the highest content showing 324mg and potassium, phosporous, iron, and magnesium was 56mg, 68mg, 14,2mg, and 17.3mg respectively. In the case of free sugar, fructose and glucose was detected as 11.93mg and 12.33mg. When siraegi was fermented and preserved at 7℃, the acidity was increased as pH decreased to 4.2 after 90 days without off-flavour or spoilage. Therefore self-life of fermented siraegi can be estimated for 90 days but further research may be required. Using fermented siraegi, Commercial model of RTC foods and its manufacturing guidelines were suggested for 3 types meat products such as pork, chicken and fishes with cooking sources In this study, steamed and fermented siraegi and their commercial products as RTC foods and cooking sources which may possess potential demand we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ir competitiveness in food market. If RTC foods with cooking sources suggested in this study is used by food service provider especially for school or company, it may be possible to contribute the growth of rural economy. Therefore it will be requir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process of mass production and on the commercial pos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