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개별세법에서 실질과세원칙 적용에 대한 한계

        김승규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실질과세의 원칙은 납세자가 선택한 법률행위의 형식과 경제적 실질이 다른 경우에 그 법률행위에 따른 형식보다는 경제적 실질을 좆아 조세법을 해석하고 이를 적용하자는 조세법의 실천원리이다. 이는 조세법이 의도했던 경제적 실질에 따른 과세를 통해 조세평등주의의 실현이 그 목적에 있다 하겠다. 그러나 경제적 실질에 따라 조세법을 해석, 적용하게 되면 유추해석 또는 확장해석으로 흐르기 쉽고, 경제주체의 법률행위가 예측했던 경제적 결과를 가져오지 못할 수 있는 상황을 초래하게 되어, 본래 조세법률주의가 의도했던 법적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이 심각하게 위협받을 수 있게 되고, 경제주체들의 경제활동이 위축될 수 있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세평등주의의 실천원리인 실질과세의 원칙과 조세법률주의의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가 문제가 된다. 종래 우리나라의 다수설과 판례는 조세법률주의를 조세법에 있어 최고의 가치를 가진 원리로 평가하면서, 국세기본법 제14조 실질과세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개별 세법에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규정 없이는 실질과세원칙을 적용할 수 없었다. 그러던 중 2012년 1월 19일 대법원 2008두8499 선고는 조세법률주의를 조세법에 있어 최고의 원리로 평가하던 입장에서 조세법률주의와 조세평등주의가 상호보완적이 관계에 있음을 확인해 준 계기가 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개별 세법에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규정 없이 국세기본법 제14조를 통해 실질과세의 원칙을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대법원 2008두8499의 판례는 세법을 적용함에 있어 세법의 목적론적 해석의 도입을 인정하였다. 현행 세법에서는 국세기본법 제14조에 실질과세에 관한 일반규정을 두고 있으며, 개별 세법에 실질과세에 대한 일반규정을 두고 있으며, 특수관계자를 통한 조세회피행위에 대한 규정도 두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국세기본법 및 개별 세법상의 실질과세원칙에 대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조세법이 국가의 재정수입 조달의 주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납세자의 재산권의 보장이란 측면에서 조세법률주의는 그 당위성이 인정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ㆍ경제적 측면의 평등 또한 납세자의 재산권에 비추어 결코 뒤지지 않는 가치라 판단된다. 조세법이 이러한 사회ㆍ경제적 평등을 실현하기 위해 조세회피행위 등에 대한 본질적인 원리인 실질과세의 원칙이 재정비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아래와 같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개별 세법의 일반규정을 국세기본법 제14조의 일반규정으로 흡수하여 정리하고, 개별 세법에서는 개별 세법의 목적을 반영할 수 있는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규정만을 남겨 실질과세원칙에 대한 체계적인 법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둘째, 국세기본법 제14조 제1항과 제2항은 실질과세에 대한 일반규정으로 인정되고 있으나, 조세회피행위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으로 보기에는 어렵다. 따라서 국세기본법 제14조 제3항이 우회ㆍ단계거래를 통한 실질과세 뿐 아니라 조세회피행위에 대한 일반적 규정으로 법 문언을 정비할 필요가 있겠다. 마지막으로 일반 사법상의 고유개념을 조세법에 도입하면서 논란이 되고 있는 차용개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득세법 제88조에 양도의 정의를 규정하듯이 조세법의 용어의 정의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is an actual principle of taxation law that interprets and applies the economic reality than the formality of law practice when the formality of law practice chosen by the taxpayer is different from the economic reality. The purpose of the taxation law is to realize the equality of taxation through taxation according to the economic reality. However, when you interpret and apply taxation law by the economic reality, it tends to flow towards analogical interpretation or stretched interpretation and it could have the law practice of the economic subject not bring over the expected economic result and therefore can threaten the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that was thought of by the principle of taxation by law and can weaken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economic subjects. Therefore, it is an issue of how to harmonize the substantial taxation principle (the main practice principle of taxation equality) and the principle of taxation of law. Previously, the majority and precedent of Korea valued the principle of taxation by law as the most in terms of taxation law and even though there is a regulation of substantial taxation stated in article 14 of the taxation basic law, we could not apply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law without a specific and detailed regulation within the taxation laws. In the meantime, on January 19th, 2012 at the sentence of supreme court of 2008 du 8499, it clarified that the principle of taxation by law and the taxation equality law are mutually supplemented moving out of the previous stance of valuing the principle of taxation by law as the most valuable in taxation law and this made it possible to apply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through article 14 of the taxation basic law withoutany specific and detailed regulation within the taxation laws. Also, sentence of supreme court of 2008 du 8499 has acknowledged the introduction of teleological interpretation of taxation law when you apply the taxation law. Under the currenttaxation law, there is a general regulation of substantial taxation stated at the article 14 of the taxation basic law and has general regulation of substantial taxation in specific tax laws and also regulations about tax avoidance through others with special relations. In terms of such substantial taxation principle stated in tax basic law and specific tax laws, we need to consider the followings. The main purpose of the taxation law is to gather financial income and in terms of securing the property rights of the taxpayers, principle of taxation by law is acknowledged but the social and economic equality is valued in a similar sense compared to the property rights of the taxpayer. In order to realize such social and economic equality, the taxation law should restructure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which is the basic principle for tax avoidance and I recommend the following proposals. First, summarize and absorb the general regulation of specific taxation law into the general regulation of article 14 of taxation basic law and in terms of specifictaxation laws, leave specific and detailed regulations that can reflectthe purpose of specific taxation law and needs to have a systematic lax structure for substantial taxation principles. Second, although section1 and 2 of article 14 of taxation basic law is acknowledged as a general regulation for substantial taxation,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detailed regulation for tax avoidance. Therefore, section 3 of article 14 of taxation basic law needs to rearrange the law phrases for the general regulation of the tax avoidance as well as the substantial taxation through detourㆍstaged transaction. Lastly, in order to solve the issue of derived concept that became controversial when the original concept of general law was introduced into the taxation law, we need to rearrange the definition of the terms of taxation law as the definition of transfer is regulated at article 88 of the income tax law.

      • COVID-19 상황에서의 미술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청각장애 청소년의 인식

        이연주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intended was to investigate how online art class is operated under the COVID-19 situation and how they are perceived by hearing-impaired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26 hearing-impaired students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following are the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First, in the analysis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hearing-impaired students, which is an ordinary factor, a total of 126 people responded to the survey. By gender, 79 (62.7%) respondents were ‘female students’ and 47 (37.3%), ‘male students.’ By grade, 12 (9.5%) respondents were in ‘Grade 7,’ 12 (9.5%) in ‘Grad 8,’ 21 (16,7%) in ‘Grade 9,’ 34 (27.0%) in ‘Grade 10,’ 34(27.0%) in ‘Grade 11,’ and 13 (10.3%) in ‘Grade 12.’ By school (school type), 43 (34.1%) respondents attended general classes in general schools, 51 (40.5%) attended special classes in general schools, 26 (20.6%) attended special classes, and 6 (4.8%) attended other types of schools (alternative school). Also, by residential district, 47 (37.5%) live in ‘Seoul,’ 71 (56.3%) in ‘Gyeonggi,’ and 8 (6.3%) in ‘Incheon.’ For the means of communication mainly used in school, 81 (37.5%) respondents chose ‘Sign Language,’ 64 (29.9%) ‘Oralism,’ 47 (22.0%) ‘Writing,’ and 24명(11.7%) ‘Gesture.’ Regarding the mainly used assistive devices, 55 (43.7%) respondents chose ‘Hearing Aid,’ 46 (36.5%) ‘Cochlea implant,’ 22 (17.5%) ‘No Assistive Device,’ and 3 (2.4%) ‘Others.’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how online art class is given to hearing-impaired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online class types, most students were participating in the class in their ‘own room’ (84, 67.7%). Also, most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receive support from the school (Board of Education) for the online class when asked whether they had any support (98, 77.8%) and they chose the support they need as ‘Teacher’s Help’ (47, 30.3%). Regarding the method of communication used during the online class, most respondents chose ‘Subtitles’ (44, 35%). In the final ranking for the method of communication, ‘Subtitles’ came first, ‘Face and Voice of Teacher’ came second, and ‘Provision of Class Contents’ came third. Regarding the question about the online art class schedule, respondents said ‘Once a Week’ (59, 46.8%) and ‘45-50 Minutes’ in each class (68, 54.0%). Regarding online art class settings, most schools appeared to have chosen ‘Submit Assignment’ (46, 36.8%). In the final ranking, ‘Submit Assignment’ came first, ‘Class using Contents’ came second, and ‘Real-time Interactive Class’ came third. Regarding major class materials used in the online art class, most respondents chose ‘Class using UCC Video’ (36, 29.8%). In the final ranking, ‘UCC Video’ came first, ‘Materials from the Website that Provides Learning Materials’ came second, and ‘Materials on Works in Textbook’ came third. Participants mainly responded that they did studio activity when asked whether they did studio activities during online art classes (71, 56.3%) and said they ‘Submitted assignments given by the art teacher in the assignment oriented class.’ In the final ranking, ‘Submitted assignments given by the art teacher in the assignment oriented class’ came first, ‘Made drawing or object by referring to the textbook or reference work during the real-time interactive class’ came second, and ‘Made drawing or object by referring to the video in the class that utilized contents’ came third. Regarding the part of the online art class that was most helpful, most respondents said, ‘Engaging in the activity of expressing something freely in art using various materials and tools (54, 42.9%). Also, regarding the advantage of online art class, most respondents said, ‘Using time freely’ and ‘Experiencing various video contents online’ (55, 32.2%). Third, the analysis result of the difference regarding the actual status of online art class is as follows; The analysis result of the difference between grades regarding the Board of Education’s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0.05 significance level with Fisher’s exact test=13.097 and p=0.012, showing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school’s (Board of Education’s) support depending on the grade. Among students in ‘Grade 7,’ the frequency for ‘No’ was 25 (73.5%), which was the highest. The analysis result of the difference in the means of communication used during the class depending on the mainly used assistive devic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0.05 significance level with Fisher’s exact test=25.137 and p=0.001, indicating the difference in the means of communication used during the class depending on the mainly used assistive devices. Among the mainly used assistive devices, the frequency for ‘Hearing Aid’ was 21 (45.7%) as ‘Subtitle.’ The analysis result of the difference in online art class materials by gar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0.05 significance level with Fisher’s exact test=29.575 and p=0.034, indicating difference in the major class materials used in the online art class by grade. Regarding ‘Grade 11,’ the frequency for ‘UCC Video’ was 14 (42.4%), which was the highest. The analysis result of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online classes provided in a week by school (school typ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0.05 significance level with Fisher’s exact test=21.631 and p=0.003, showing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online art classes provided in a week by school (school type). Regarding the school (school type) ‘General Classes in General Schools,’ the frequency for ‘Once a Week’ (26 (60.5%) was the highest. The analysis result of the difference in the length of online art classes in each school (school typ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0.05 significance level with Fisher’s exact test=19.793 and p=0.006, showing the difference in the length of online art classes by school (school type). Regarding the school type, ‘45-50 minutes (1 class)’ in ‘General Classes in General School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28 (61.1%)). The analysis result of the difference in the online art class settings by school (school typ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0.05 significance level with Fisher’s exact test=22.763 and p=0.012, indicating the difference in the online art class settings by school (school type). ‘Real-time Interactive Class’ in ‘General Classes in General Schools’ by school (school type)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20 (46.5%)). The analysis result of the difference in major class materials used in online art classes by school (school typ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0.05 significance level with Fisher’s exact test=22.908 and p=0.012, showing the difference in major class materials used in the online art class by school (school type). Regarding school (school type), ‘Material on Works in Textbook’ in ‘General Classes in General School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18 (42.9%)). The analysis result of the difference in the advantage of art class using online regarding mainly used assistive devic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0.05 significance level with chi-square=23.868 and p=0.021. There were difference in the advantage of art class using online depending on mainly used assistive devices. Among the mainly used assistive devices, the frequency for ‘Hearing Aid’ was 25 (45.5%), which was the highest along with ‘I can use time freely.’ Four, the overall average result on the perception of the effect of online art class appeared on the level of 3.04 (SD=1.28) to 3.52 (SD=1.15). When analyzed by subelements in detail, the average for the 'I could concentrate better during online art class than the offline (face-to-face) class' area was the highest (M=3.52, SD=1.15) and the average for the 'I felt satisfied with art education while taking online classes' area was the lowest (M=3.04, S=1.28).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n the effect of online art clas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ender', 'Grade', 'School', and 'Residence' variables for the questionnaires on the analysis of perception in the domain of understanding for online art class in the cognitive analysis by variable.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for the 'School' variable for the questionnaires on the analysis of perception in the domain of the interest in art after taking online art clas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First, the hearing-impaired students’ perception of online art classes was examined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using online questionnaires. A follow-up study should examine hearing-impaired students’ specific experienc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in-depth interviews with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hearing-impaired students.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earing-impaired students’ perception of online art classes. A follow-up study should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hearing-impaired students’ perception through researches on the perceptions of art teachers in integrated classes in special schools (school for the hearing-impaired) and ordinarly schools, not just hearing-impaired students. 본 연구는 코로나 상황에서의 청각장애 학생의 미술과 온라인 수업의 운영실태와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지역의 중 ·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청각장애 학생 12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사항으로 청각장애 학생들의 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 총 126명이 조사에 응답하였으며 성별로는 ‘여학생’은 79 (62.7%)이였고 ‘남학생’은 47명(37.3%)이였다. 또한, 학년별로는 ‘중학교 1학년’ 12명(9.5%), ‘중학교 2학년’ 12명(9.5%), ‘중학교 3학년’ 21명(16.7%), ‘고등학교 1학년’ 34명 (27.0%), ‘고등학교 2학년’ 34명(27.0%), ‘고등학교 3학년’ 13명(10.3%)이 참여하였고, 소속된 학교(학교 유형)로는 일반 학교 일반학급 43명(34.1%), 일반 학교 특수학급 51명(40.5%), 특수학급 26명(20.6%), 기타(대안학교) 6명(4.8%)이였다. 또한 거주 지역별로는 ‘서울특별시’ 47명(37.5%), ‘경기도’ 71명(56.3%), ‘인천광역시’ 8명(6.3%)이였다. 학교에서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방법으로는 ‘수화’ 81명(37.5%), ‘구화’ 64명(29.9%), ‘필담’ 47명(22.0%), ‘몸짓’ 24명(11.7%)이였다. 주로 이용하는 보장구에 보청기 사용으로는 ‘보청기 사용’ 55명(43.7%), ‘인공와우 사용’ 46명(36.5%), ‘보장구 사용하지 않음’ 22명(17.5%) ‘기타’ 3명(2.4%)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각장애 학생의 미술과 온라인 수업 유형 실태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온라인 수업 유형 실태분석 결과 수업에 참여하기 위해 학생들은 주로 ‘혼자서 사용하는 방’을 사용하고 있었다(84명, 67.7%). 또한, 참여자는 온라인 수업 시 학교(교육청)에서 지원을 받았는지에 대해 받지 않았다고 주로 응답하였으며(98명, 77.8%) 이에 필요한 지원은 ‘선생님의 도움’(47명, 30.3%)이라고 답하였다. 온라인 수업을 할 때 사용된 의사소통 방법에 대해서는 ‘자막’이 높은 응답을 보였다.(44명, 35%) 의사소통 방법에 대한 최종순위로는 ‘자막’이 1순위, ‘선생님의 얼굴과 음성’이 2순위, ‘수업내용 제공’이 3순위이었다. 또한, 온라인 미술 수업의 실시 일정에 관한 질문에 주로 ‘일주일에 1번’ 실시하고 있었으며(59명, 46.8%) 한 차시에 ‘45∼50분’ 정도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8명, 54.0%). 온라인 미술 수업의 운영 방식에 있어서는 주로 ‘과제로 제출하는 수업’ 형태를 진행하는 것으로 응답 되었다(46명, 36.8%). 최종순위는 1순위로 ‘과제로 제출하는 수업’, 2순위로 ‘콘텐츠 활용 수업’, 3순위로 ‘실시간 쌍방향 수업’이었다. 또한, 온라인 수업 시의 주된 수업자료에 있어서는 주로 ‘UCC 동영상 자료 수업’ 형태를 진행하는 것으로 응답 되었다(36명, 29.8%). 최종순위로는 ‘UCC 동영상 자료’가 1순위로 응답 되었으며, ‘교육자료 제공 사이트 자료’가 2순위, ‘교과서 작품 내용 자료’가 3순위로 이었다. 참여자는 온라인 미술 수업에서의 실기 활동 운영에 한 적이 있는지에 대해 실기 활동을 하였다고 주로 응답하였으며(71명, 56.3%) 실기 미술 활동 방식은 ‘과제수행 중심 수업에서 미술 선생님이 제시한 과제를 해서 제출하였다.’이라고 답하였다. 최종순위로 ‘과제수행 중심 수업에서 미술 선생님이 제시한 과제를 해서 제출하였다.’가 1순위로 응답 되었으며, ‘실시간 쌍방향 수업에서 교과서나 참고작품을 보고 그리거나 만들기를 하였다.’가 2순위, ‘콘텐츠 활용 수업에서 영상을 보고 그리거나 만들기를 하였다.’가 3순위로 나타났다. 온라인 미술 수업을 통해 가장 도움이 되는 부분에 있어서는 주로 ‘다양한 재료와 도구를 사용하여 자유롭게 미술로 표현하는 활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54명, 42.9%). 또한, 온라인 미술 수업방식의 좋은 점에 있어서는 주로 ‘시간 활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과 ‘온라인을 통해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55명, 32.2%). 셋째, 미술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실태에 대한 차이 분석 결과 다음과 같다. 교육청의 지원에 대한 학년의 인식 차이 분석 결과, Fisher의 정확검정=13.097, p=0.012로 유의 확률 0.05를 기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며, 학년에 따른 학교(교육청)에서 지원에 대한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고등학교 1학년’이 ‘아니요’ 빈도수 25명(73.5%)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로 이용하는 보장구에 따라 수업할 때 사용된 의사소통 방법 차이 분석 결과, Fisher의 정확검정=25.137, p=0.001로 유의 확률 0.05를 기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며, 주로 이용하는 보장구에 따라 수업할 때 사용된 의사소통 방법에 차이가 나타났다. 주로 이용하는 보장구 ‘보청기’ 사용은 ‘자막’으로 21명(45.7%)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온라인 미술 수업자료 차이 분석 결과, Fisher의 정확검정=29.575, p=0.034로 유의 확률 0.05를 기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며, 학년에 따라 온라인 미술 수업 시의 주된 수업자료에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에 ‘고등학교 2학년’은 ‘UCC 동영상 자료’가 가장 높은 빈도수 14명(42.4%)로 나타났다. 소속된 학교(학교유형)에 따른 온라인 미술 수업의 주간 횟수 차이 분석 결과, Fisher의 정확검정=21.631, p=0.003로 유의 확률 0.05를 기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며, 소속된 학교(학교유형)에 따라 온라인 미술 수업의 주간 횟수에 차이가 나타났다. 소속된 학교(학교유형) ‘일반 학교 일반학급’은 ‘일주일 1번’으로 가장 높은 빈도수 26명(60.5%)으로 나타났다. 소속된 학교(학교 유형)에 따른 온라인 미술 수업하는 수업 운영 시간 차이 분석 결과, Fisher의 정확검정=19.793, p=0.006으로 유의 확률 0.05를 기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며, 소속된 학교(학교 유형)에 따라 온라인 미술 수업 운영 시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소속된 학교 유형에서 ‘일반 학교 일반학급’은 ‘45∼50분(1교시)’ 가장 높은 빈도수 28명(61.1%)으로 나타났다. 소속된 학교(학교 유형)에 따라 온라인 미술 수업하는 수업 진행 방식 차이 분석 결과, Fisher의 정확검정=22.763, p=0.012로 유의 확률 0.05를 기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며, 소속된 학교(학교 유형)에 따라 온라인 미술 수업하는 진행 방식에 차이가 나타났다. 소속된 학교(학교 유형) ‘일반 학교 일반학급’ ‘실시간 쌍방향 수업’ 가장 높은 빈도수(20명(46.5%))로 나타났다. 소속된 학교(학교 유형)에 따른 온라인 미술 수업 시의 주된 수업자료 차이 분석 결과, Fisher의 정확검정=22.908, p=0.012로 유의 확률 0.05를 기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며, 소속된 학교(학교 유형)에 따라 온라인 미술 수업 시의 주된 수업자료에 차이가 나타났다. 소속된 학교(학교 유형) ‘일반 학교 일반학급’은 ‘교과서 작품 내용 자료’ 가장 높은 빈도수(18명(42.9%))로 나타났다. 주로 이용하는 보장구에 따라 온라인을 활용한 미술 수업방식의 좋은 점 차이 분석 결과, 카이제곱=23.868, p=0.021로 유의 확률 0.05를 기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주로 이용하는 보장구에 따라 온라인을 활용한 미술 수업방식의 좋은 점에 차이가 나타났다. 주로 이용하는 보장구 ‘보청기 사용’은 ‘시간 활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가장 높은 빈도수(25명(45.5%))로 나타났다. 넷째, 온라인 미술 수업 운영 효과에 대한 인식에 대한 결과로는 전반적으로 평균 3.04(SD=1.28)부터 3.52(SD=1.15)수준으로 나타났다. 세부 하위요소별로 분석하면 ‘온라인 미술 수업이 오프라인(대면)수업 보다 집중이 잘 된다.’ 영역에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M=3.52, SD=1.15), ‘나는 온라인 수업하면서 미술교육에 충분히 만족감을 느낀다.’ 영역에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M=3.04, S=1.28). 온라인 미술 수업 운영 효과에 대한 인식의 차이 분석에 대한 결과로는 변인별 인식분석에서 미술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이해영역 인식분석 설문 문항에서 설문 문항에서 ‘성별’ ‘학년’ ‘소속된 학교’ ‘거주 지역’ 변인별에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술과 온라인 수업 후 미술 흥미에 대한 인식분석 ‘소속된 학교’ 변인별에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언으로는 첫째, 미술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청각장애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온라인 설문지를 활용한 양적연구를 통해 살펴보았고 후속 연구로는 청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및 참여관찰 등의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청각장애 학생의 구체적인 경험을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미술과 온라인 수업에 인식을 알아보았다. 후속 연구에서는 청각장애 학생만이 아닌 특수학교(농학교), 일반학교 통합학급 미술 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청각장애 학생의 인식과의 유사점과 상의점이 있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대학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정은주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guidelines and a model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for the libraries of theological universitie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examined six case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including three at libraries of theological universities in Korea and another three overse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lements and detail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The study then conducted a survey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at libraries of theological universities in Korea. A total of 38 libraries of theological universitie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nd 37(97.4%) responded that they had no written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The investigator presented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collectional development policies,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in the field, examining six cases of theological academic libraries in both domestic and abroad, and analyzing the survey from 38 theological academic libraries. Such factor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1)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representing the general status and; 2) internal factors regarding the components of the content of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Reflecting both the external and the internal factors, the investigator presented a model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by identifying seven elements that should be included when developing the policy: prefaces, collection selection, collection gathering, budget, collection maintenance, mutual cooperation and intellectual freedom, and revision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The seven elements were, then, further classified as required, selective, and additional, based on the importance of each item. Academic libraries at theological universities in Korea with no establishe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will be able to apply the model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presented in the study and utilize it 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their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Those libraries that already establishe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will also be able to make use of the model when revising.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수립을 위한 방안과 장서개발정책 모형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신학대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사례로 각 3개관 총 6개관을 대상으로 장서개발정책의 구성요소 및 세부사항을 비교․분석하였다.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8문항으로 나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38개의 신학대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37개관이 성문화된 장서개발정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장서개발정책 수립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을 일반 현황인 외적 환경요인과 장서개발정책의 구성내용 면에서의 내적 요인으로 나눠 제시하였다. 장서개발정책 수립 요인을 기초로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모형을 제시하였다. 내용은 서문, 장서의 선정, 장서의 수집, 예산, 장서의 유지 및 관리, 상호협력과 지적자유, 장서개발정책 개정의 7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각 항목별로 중요도를 구별하여 필수․선택․추가 등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장서개발정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은 장서개발정책의 수립 요인과 모형을 준용하여 장서개발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미 장서개발정책이 마련된 신학대학교도서관의 경우에는 보다 이상적인 방향으로 개정을 도모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교회노인의 사회적 지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광희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대 사회구조 속에서 교회가 노인을 위한 지원체계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며, 더불어 교회가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매개체가 되리라는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교회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성인자녀와 노부모와의 관계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여왔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특히 비공식적 지원체계들 가운데 교회의 지원이 노후적응에 유익하다는 점을 인식하여 교회노인의 사회적 지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라는 주제로 조사연구를 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을 위해 교회를 통한 지원체계로서의 가능성을 갖는 데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교회노인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교회노인의 일반적 특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셋째, 교회의 사회적 지원 가운데 구조적 특성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넷째, 교회의 사회적 지원 가운데 기능적 특성으로서 (1) 도구적 지원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2) 정서적 지원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다섯째, 교회가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한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인은 경기도 수원, 용인 지역을 중심으로 8개의 주요 교회에서 60세 이상의 교회노인 18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해 직접 면접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그리고 측정도구로는 독립변수로 노인들의 일반적 특성 11문항과 사회적 지원으로서 구조적 특성 3문항, 기능적 특성 12문항이고, 종속변수로는 생활만족도에 관한 8문항으로 생활만족도는 리커트 5점 측도로 측정하였다. 조사기간은 2001년 1월 20일부터~2월 25일 사이이다. 그리고 자료분석에는 SPSS 7.5 for Win dow s를 사용하여 생활만족도에 대하여 신뢰도분석 측정과 요인분석을 한 후에, 조사자료를 토대로 기술분석에서는 빈도분석(fr equency an alysis), 백분율, 평균을 구하였고, 추리통계 부분은 T-test, ANOVA-test,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회노인의 일반적 특성 조사 대상자의 성별 분포는 남자노인보다 여자노인이 3배나 많았고, 고령으로 갈수록 여성노인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높은 연령층의 교인들이 상대적으로 수가 적었으며, 교육정도는 교회에 다니는 노인들의 약 70%이상이 초등학교 이하의 교육수준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건강상태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노인들은 건강이 별로 좋지 않았고, 절반의 노인들이 배우자가 없이 노후생활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경제형편은 약 30%의 노인은 경제적인 여유를 가지고 있으며, 경제형편이 좋지 않은 노인은 40.5%인것을 볼 때 교회의 노인들 중 약 절반이 경제적인 어려움 속에서 노후생활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수입출처는 “자녀들이 도와준다”가 48.3%로 가장 많았고, 정부의 생활 보조금을 받는 노인은 11.7%로 가장 수치가 낮았다. 경제적 측면은 노인에게 매우 중요한 것으로서 월수입과 월 용돈을 비교하여 본 결과, 60대 노인들의 가구 평균 월수입이 165만원이며, 평균 월 용돈은 28만 7천원으로 7,80대 노인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을 볼 때 60대의 노인들이 아직은 경제력을 가지고 있다는 결과를 보인다. 가족구성원에 있어서 교회노인의 59.4%는 가족들과 함께 살고 있으며, 부부만이 사는 노인 20.0%, 혼자 사는 노인 20.0%로 가족과 함께 살지 않는 노인은 40%이다. 2) 교회노인의 일반적 특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배우자가 생존해 있는 노인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상태는 “매우 건강하다”집단이 생활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을 볼 때 건강상태가 좋아야 생활에 있어서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있으며, 노인의 수입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는, “자녀들이 도와준다”와 정부에서 생활보조금을 받는다 의집단은 부정적 생활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연령과의 관계를 볼 때, 연령이 고령이 될수록 생활에 있어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수입이 적은 사람일수록 생활에 있어서 만족을 얻지 못하며, 월 용돈은 노인들의 용돈이 최소한 월 10만원 이상을 유지해야 만족한 생활을 할 수 있다. 이와 맥락을 같이하여 볼 때 경제형편이 여유가 있는 집단일수록 생활에 있어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의지는 노인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생활에 있어서 만족도가 적음을 알 수 있고, 프로그램 활발하게 참여할수록 생활만족도가 향상되어 교회 노인을 위한 프로그램 실시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3) 교회노인의 구조적, 기능적 특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먼저 구조적 특성에 있어서, 교회에서 친하게 만나는 친구가 많을수록, 친구들과의 만남 회수가 많을수록 생활에 있어서 만족도가 높으며, 교회와의 거리는 부정적, '긍정적 생활만족도'에 대하여 별로 큰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러한 이유는 대부분의 교회에서 차량운행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지원에 있어서 기능적 특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도구적 지원A (일상적 지원)는 생활만족도에 있어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노인에게 일상적인 지원이 향상 될수록 “긍정적 생활만족도”가 향상되었다. 그러나 “부정적 생활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도구적 지원B(경제적 지원)는 “긍정적, 부정적 생활만족도에 있어서 어느 쪽과도 상관관계가 없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정서적 지원은 생활만족도에 있어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교회노인에게는 정서적지원이 향상 될수록 '긍정적 생활만족도' 역시 향상되었다. 그러나 “부정적 생활만족도”와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서적 지원은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정서지원이 향상 될수록 “부정적 생활만족도”는 감소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에게 정서적 지원은 생활만족을 높이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사람들은 배우자가 생존해 있는 경우였으며,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생활에 있어서 만족도가 높고, 노인들의 경제형편에 있어서는 수입과 용돈이 여유가 있을 때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낮은 연령으로 갈수록 생활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고, 노인복지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적극적인 참여의사를 가진 응답자들에게서 생활만족도는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회에서 친하게 만나는 친구의 수와 만남의 회수가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으며, 사회적 지원에 있어서 도구적 지원(일상적 지원), 정서적 지원이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자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회노인의 사회적 지원이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교회에서는 노인들을 위한 복지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을 높이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더욱 많이 개발함으로서 노인들이 가까운 친구들과 자주 만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더 나아가 배우자의 사망 등 노후 생활에서 부딪치는 문제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자아통합을 꾀하고 의미 있는 인생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2. 노인들은 교회로부터 필요한 지원을 제공받음에 있어서 자신에게 필요한 지원을 주도적으로 선택, 요청하지 못하고 교회에서 제공하는 지원을 수동적으로 받고만 있었다. 따라서 교회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회지원체계를 더욱 강화하여, 노인들의 사회참여를 위한 적극적인 생계지원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며, 노인의 욕구를 반영하여 생활비, 용돈 등 실질적인 현금 지원에 관한 방안을 구체화시키되 교회지원체계의 무조건적인 지원보다는 노인복지 프로그램을 통한 노인들의 인식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노인들 스스로가 참여하여 그 노력에 대한 결과로 주어지는 교회지원체계를 강구하여 적용해 나갈 때 더욱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노인복지의 지원방법이 될 것이다. 3. 도구적 지원보다는 정서적 지원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를 볼 때 교회에서는 더욱더 노인들과의 관계에 있어서 관심과 사랑을 가지고 정서적으로 안정된 관계를 유지시켜 노후생활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4. 교회의 체계적, 지속적인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노인을 위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회의 노인을 위한 지원관리는, 소외현상이 증가하고 있는 현대사회구조 속에서 가족의 기능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기능으로 그 역할이 조정되어 교회 속에서 정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지원의 수혜 범위가 낮을수록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낮은 반면에 수혜 범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조사된 결과를 비교해 볼 때, 사회적 지원에 있어서 수혜 범위를 넓히는데 많은 비중을 두어야 한다. 그러므로 교회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회지원체계를 더욱 강화하며, 노인은 물론 교회지도자들과 일반교인들을 대상으로 한 노인복지 프로그램을 실시하여야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In modern social structure, church could possibly work as one of the available support systems for the elderly. Moreover, church could be a means to raise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So it would be worth doing to find out the Cristian elderly's life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 as, accordingly, to examine the im pact of the social support for the Christian elderly on their life satisfaction, as among inform al support systems, support from church is useful for the elderly's adjustment to old age. Researches of this approach might pave the way for church contribution to the elderly in communit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First,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senior citizens. Second, find out how Christian elderly's living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their own general characteristics. Third, examine the effect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hurch social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senior citizens. Fourth, figure out how the life satisfaction of senior citizens is influenced by the instrumental and emotional support, one of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church social support. Fifth, consider how church could rais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0 Christians over the age 60 selected from eight churches in the region of Suwon and Yongin, Kyonggi Province. The interview was held with each of them, and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analysis, SPSS 7.5 for Windows was utilized, and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 re conducted, and frequency, percentage and average were all calculated.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Elderly. By gender, the female old people were three times as many as the male people. The percentage of female elderly got higher with age. By age group, the older Christians wre relatively less in number, and more than 70% of them just receive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or health state, most of them were not in good health, and half of them spent their old age without spouse. Concerning economic situation, approximately 30% were well off, but half of them had economic difficulties. For sources of income, 48.3% were assisted by children, and 11.7%, the lowest percentage, were subsidized from the government. Regarding family structure, 59.4% lived with their families under the same roof, and 20.0% were only with their spouse. 20.0% lived alone. So 40% didn't live with their families. 2) The Impact of General Characteristics on Life Satisfaction Those who had a spouse expressed more life satisfaction. The life satisfaction became better when they were in better health or had enough income or allow ances. By age, the less old people were more pleased with their lives, and those who were quite willing to join the elderly -welfare program were more pleased with their lives. 3) The Influence of Christian Elderly's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n Live Satisfaction. Those who had more close friends and met them more often expressed more life satisfaction. For social support, those who were given more instrum ental and emotional support were more contented with their lives.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how Christian elderly's life satisfaction could increase by social support: 1. Church should provide extended aid for the elderly-welfare program. New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help them to attain self-integration and find their lives worth living. 2. The church support system should be more reinforced. The livelihood-aid program should be prepared to facilitate their social participation. The ways to provide practical aid, such as living expenses or allow ances, should be studied in consideration of their needs. But the welfare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change the m nd-set of the senior citizen population, instead of offering unconditional aid. 3. Rather than instrum ental support, emotional support had more influence on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So church needs to keep a good relationship with senior citizens with love, so that they could be peaceful emotionally and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old age. 4. More system atic, sustained so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from church. In conclusion, those who had less benefit from social support expressed poorer life satisfaction, but the more they benefited from social support, the m re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life. This indicated there is a need to enlarge the beneficiary of social support. To raise Christian elderly's life satisfaction, church support system should be more strengthened, and it would be practically more effective when elderly -welfare program is targeted at not only senior citizens but church leaders and Christians of different age groups.

      • 예비목회자의 교회사회복지에 대한 의식 비교연구

        김현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31

        그 동안 현재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의식 조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앞으로 목회를 시작할 신학대학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 의식을 조사한 연구는 전무하다는 사실을 인지하였다. 이러한 동기에서 본 연구는 신학대학원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의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재 한국교회는 총체적인 침체와 위기 속에서 마이너스 성장을 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한국교회가 그간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보다는 교회의 양적 성장에만 너무 치우친 결과라고 보아진다. 이제 한국 교회가 다시 지역 사회와 융화할 수 있는 방법은 교회사회복지를 활성화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본 논문은 이론 연구와 설문 조사를 병행하여 한국 교회의 사회 복지를 점검하고 더 나아가 미래 한국 교회를 이끌어 나갈 신학 대학원생들의 사회복지 의식을 살펴보았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크게 일곱 단계로 나누어서 첫째, 교회사회복지의 개념을 정리하고, 둘째, 교회사회복지의 필요성, 셋째, 교회사회복지의 기능, 넷째, 교회사회복지의 역할, 다섯째, 각교단별 교회사회복지 사업과, 각 신학대학원의 현황, 여섯째, 교회사회복지의 발전의 저해요소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목회자들의 사회복지 의식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4개의 신학대학원을 중심으로 각 교단별 50명씩 200명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는데 그 중에서 171부가 회수되었다. 자료처리는 coding한 후 전산 처리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SPSS Win . 10.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사회복지 활동에 대한 의식면에서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적극적인 수용을 시사했다. 이것은 현대 목회에서 사회복지활동에 대한 강한 욕구를 예비 목회자들도 피부로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교회사회복지사업에 대한 반응에서도 교회 사회복지의 활성화가 곧 교회의 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성서적 이념과도 부합된다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교단과 교회의 사회복지활동이 한국사회복지에 얼마만큼 기여했느냐는 질문에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고 응답해 사회복지 발전을 위한 교회의 기여도에서는 부정적 응답을 보여주었다. 셋째, 교회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책임 및 예산에 대해서는 교회사회복지의 발전을 위해 전문사회복지사의 도입을 강하게 요구하였고 사회복지 예산으로는 전체 예산의 10%- 15% 정도가 적당하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소속 교회의 교회사회복지사업(아동복지, 청소년복지, 장애인복지, 노인복지, 실직자복지, 여성복지, 기타 등)의 실시여부와 운영실태에 대해서, 이 부분은 한국교회의 사회복지 후진성을 그대로 드러내 주는 대목이어서 대부분은 단순한 물질후원이나 방문이 고작이었고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사전 조사하거나 해결하려는 노력이 거의 없었다. 다섯째, 교회사회복지 발전의 방향에 대한 의식의 질문에서도 교과목을 통한 사회복지 마인드습득과 재교육의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하였고 교회사회복지학과 및 사회복지대학원의 설치에 대한 질문에도 모든 응답자가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각 교단별 혹은 교회간 연합활동이나 연구개발에 대해서도 꼭 필요한 과제라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즉 한국교회 사회복지와 신학대원생의 사회복지 의식전환을 위해서는 첫째, 기존 목회자뿐만 아니라 예비목회자들을 대상으로 복지의식 재고와 사회복지사업 참여·확대를 위한 교육, 훈련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고 학교커리큘럼의 적극적인 변화가 요구되며, 둘째는 교회사회복지 사업의 전문화와 체계화를 위한 전문인력의 양성 및 활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사회복지 목회학과의 신설과 사회목사 제도의 도입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각 교단의 활동과 개 교회의 사회복지 활동을 적극 홍보하고 지원할 수 있는 체계의 보완이 시급하다.

      • 한국수어통역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성현정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한국수어통역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2019년 8월까지의 석사박사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면밀히 분석한 것이다. 먼저 연대별, 대학별, 전공별 분포도를 알아보았다. 그런 다음 아직 한국수어통역 연구의 합의된 분류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음성언어 영역에서의 통번역학과 통역학 연구에 사용된 분류 틀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왕천(2015)의 분류 틀이 본 연구의 내용 분석에 가장 접근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보완하여 분류 틀을 재구성하였다. 그런 후 수집된 학위논문들을 연구주제와 목적에 해당하는 분류 항목에 따라 구분하였다. 아울러 각각의 분류 항목에 논문이 집중되어 있는지를 분석한 후 정량적인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수어통역 관련 연구는 매년 지속되고 있었으며, 대학별로는 전공학과가 개설된 대학원에서 다수의 논문이 나왔고, 전공학과별로는 수어통역학과와 사회복지학과에서 많은 논문이 나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일환으로 재구성된 분류 틀에다가 수집된 학위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한국수어통역 관련 연구는 수어통역사와 수어통역 서비스 제공이라는 차원의 주제가 다수였고, 음성언어 영역에서의 통번역학 및 통역학에서 분류한 하위영역과 같이 세부적인 영역으로 구분하기에는 연구 영역의 경계가 아직까지는 다소 모호함을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도출한 본 연구의 몇 가지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수어통역 관련 연구는 음성언어 영역에서의 통번역학 및 통역학에서 분류한 하위영역과 같이 세부적인 영역으로 구분될 수준까지 도달하지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수어통역 관련 연구는 음성언어 영역에서 자리 잡은 언어적 관점에서 통역학이라기 보다는 재활과 교육, 복지적인 면을 내포하고 있는 학문적 성격을 갖고 있었다. 셋째, 한국수어통역 관련 연구는 여전히 통역의 수행에 관련된 수어(농)통역사와 수어통역센터, 그리고 수어통역서비스 지원 등의 미시적 차원과 관련된 연구 영역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1999년부터 2019년까지 약 20년 동안 한국수어통역 관련 연구의 흐름은 수어통역사와 수어통역서비스 제공이라는 차원의 연구도 계속되고 있지만, 통역학적 차원에서 수어통역의 품질 평가와 통역 실무에 관한 연구도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함의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수어통역 관련 연구를 왕천(2015)의 분류 틀을 보완하여 재구성하여 연구 분석 틀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음성언어 중심적인 연구 분석 틀의 성격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한국수어통역에 관한 다양한 연구 논문들을 ‘수어 언어학’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연구 분류 틀로 보다 새롭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수어통역에 관한 연구 논문이 1999년을 시작으로 2019년까지 약 40여 편 정도로 아직은 배출된 논문이 많지 않다. 따라서 한국수어통역의 질적 향상과 발전을 위해 대학교 및 대학원에서 한국수어통역을 위한 전문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 질 수 있게끔 체계적인 관리 및 전문 교육과정이 보다 더 확고하게 확립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 until August 2019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First, the distribution chart by year, graduate school, and major was examined. Then, in the absence of a consensus classification standard for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research, we searched for the classification framework used in the interpretation and interpretation studies in the language of speech. As a result,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Wangcheon (2015)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accessible,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was reconstructed by supplementing it. Then, the collected dissertation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items corresponding to the research topic and purpose. In addition, we analyzed whether papers are concentrated in each category and then analyzed quantitatively. As a result, research on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continued every year, By institution, a number of dissertation were produced at graduate schools with majors, The majors were that many dissertation were published in the Department of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Social Welfa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sertation collected in the reconstructed classification framework as part of this study, the study of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in Korea had many themes in terms of Sign Language Interpreter and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the boundary of the research area is still somewhat ambiguous to be divided into detailed areas such as the classified in the interpretation and interpretation of speech language. Some implicat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tudy of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did not reach the level to be divided into detailed domains such as sub-regions classified in interpretation and interpretation in the language of speech. Second, the study of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had an academic character that included rehabilitation, education, and welfare rather than interpretation in terms of linguistic language. Third, the research on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is still concentrated in the research area related to the micro dimension such as Sign Language(Deaf) interpreter, Sign Language interpreter center, and interpretation service support. Fourth, for the last 20 years from 1999 to 2019, research on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has continued to provide Sign Language Interpreters and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In addition, research on quality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practice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has also begun at the interpreter level. Based on the above implications, the following studies are suggested. First,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suggesting a research and analysis framework by reconstructing the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related to the classification framework of Wangcheon (2015) centered on one’s dissertation. Nevertheless, there were still limitations that did not completely escape the nature of the speech-language-oriented research and analysis framework. Therefore, in the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new research classification framework on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from the viewpoint of 'sign language linguistics'. Second, A research dissertation o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ince 1999, about 40 papers have been published since 2019. therefore,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ystematic management and professional curriculum should be established more firmly so that specialized research for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can be consistently conducted at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 증권형 부동산 투자 상품의 특성에 관한 연구

        정인호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31

        외환위기로 인한 한국 경제에 유동성 위기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 시켰다. 특히 고가인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자금 회전을 위해 헐값에 내놓는 경우가 많아 이때 많은 오피스 빌딩이 외국계 기업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이렇게 부동산의 고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진 금융제도인 자산유동화에관한법률, 주택저당채권유동화회사법 등의 법률들이 제정되고 시행되었다. 또 자본시장과 부동산 시장의 연결을 위해 부동산투자회사법과 간접투자자산운용업법 등이 또한 제정 되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선진 부동산 금융 기법을 도입 하였지만 전문가의 부족과 다른 사회구조 로 인해 많은 또 다른 문제들이 야기되었다. 예를 들면 ABS와 MBS는 유통시장의 경직화로 인해 유동화가 어려웠고, 리츠의 경우 이중과세, 등기, 높은 자본금 등의 문제로 인해 활성화가 어려웠다. 또한 신탁업법에 의해 운용 되어오던 부동산 투자 신탁이 간접투자자산운용업법의 재정으로 인해 하나의 법률로 통합되어 부동산 펀드가 탄생 되었지만 교육 및 홍보부족, 전문가 부족으로 인해 활성화 되지 못하였다. 이렇듯 많은 문제가 발생 되는 이유는 선진 금융제도를 여과 없이 받아 들이는 원초적인 부분도 있겠지만 선진 부동산 금융에 대한 전문가 양성 및 홍보부족이 가장 큰 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증권형 부동산 상품의 활성화를 위해 투자자에게 활성화를 유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즉 증권형 부동산 상품을 증권의 특성에 따라 살펴보고 현재 개발 되어 판매되고 있는 사례를 분석하여 한국형 증권형 부동산 투자 상품의 특성을 분석 하여 투자자에게 알리는 것이다. 증권형 부동산 상품별 특성을 살펴보면 채권형 부동산 투자 상품은 채권으로서의 장점인 수익률이 고정되어 있어 안전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ABS와 MBS의 가장 큰 문제점은 대부분 일부 기관투자자들에 의해 편중되어 있어 이중양도 또는 탈세목적 양도 등으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점이다. 주식형 부동산 투자 상품의 가장큰 특징은 수익률이 높다는 것과 비교적 안전하다는 것이다. 비록 원금보장은 되지 않지만 시고사의 원리금 지급보증을 통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제도의 중복으로 인해 포지션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부동산 펀드의 회사형 상품인 뮤추얼 펀드와 부동산 투자 회사인 리츠가 성질상 비슷하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법률적으로 살펴 보면 부동산 투자하는 비율은 리츠는 70%이상, 뮤추얼 펀드는 70%이하 등으로 해서 구별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리츠와 부동산 펀드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오피스 빌딩 등 부동산을 구입해야 하는데 이로 인해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투기가 유발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증권형 부동산 투자 상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장 우선시 해야 할 부분은 홍보를 통한 증권형 부동산 투자 상품을 알리는 것과 여러 전문 교육기관을 통해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다. 더불어 도덕적 해이나, 부동산 가격의 상승을 막기 위한 법률 개정도 필요하다 하겠다. Many problems including liquidity crisis have been caused in the Korean economy, because of the foreign exchange crisis in Korea. Especially, many firms that owned high price real estate put their properties on the market at scrap values for capital turnover; therefore, many office buildings were taken over by foreign companies. To solve such real estate-unique problems, Korea introduced new laws such as the Asset Securitization Act and Mortgage-Backed Securities Company Act, which are advanced financial systems. The Real Estate Investment Company Act and Indirect Investment Management Business Act have been enacted and executed as well. Although advanced financial techniques have been introduced, many problems emerged, due to the lack of experts and different social structure from other advanced countries. For example, securitization of Asset backed securities (ABS) and mortgage backed securities (MBS) were difficult, owing to rigidity of the distribution market. In addition, REITs were difficult to be activated, due to the issues of double taxation, registration and large capital requirement. Real estate investment and trust that had been managed under the Trust Business Act was integrated into the real estate funds, which were created through integration of the Trust Business Act into the newly enacted Indirect Investment Management Act. However, the real estate funds have not been invigorated, because of insufficient education, publicity and specialists. One reason for many problems to spring up can be fundamental one to accept advanced financial system without filtering, but the greatest reason is considered to be the lack of nurturing professionals and publicity on the advanced real estate financial system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duce investors for the activation of security-type real estate products.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features of security-type real estate portfolio, analyzes the cases in which those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and sold, and lets investors know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ecurity-type real estate investment products.

      • 수어 동시통역 전략의 사례분석 연구

        김동호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수어가 고유한 문법과 양식을 지닌 농인의 언어이며, 수어통역에서도 음성언어와 동일한 방법과 메커니즘(mechanism)이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토대로 수어 동시통역 전략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통역은 서로 다른 언어 사이에서 언어와 문화를 중개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다. 특히 동시통역은 시간적, 인지적 제약 하에서 높은 정보처리 부하를 발생하게 되면서 대처 전략이 필요하다. 이 전략들은 목표 지향적이며 통역사의 인지적 경험에 바탕에 두게 되며, 통역사가 통역을 의도적으로 이끌어간다는 관점에서 연구되었다. 연구방법은 수어통역사 5명을 대상으로 한국어(출발어, L1)에서 수어(도착어, L2)로 동시통역을 촬영하였으며, 이후 통역 결과물은 농인(Deaf) 3명에 의해 의미이해 평가를 받았다. 전략의 사례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여러 통역 전략들이 상호 관계 속에서 네트워크가 이루어지는 등 구분의 어려움이 있으나, 전략의 개념에 보다 일치한 부분을 구분하여 사례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결과를 토대로, 시각언어인 수어의 특성을 반영한 전략 유형으로 다섯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메시지 이해를 위한 인지 전략으로는 EVS(Ear-Vocie Span, 청성시차), 휴지, 의미덩이 짓기, 예측이 있다. 둘째는 의미의 효과를 위한 생산 전략으로 통사구조 변환, 단어 및 구절 대체, 구체화, 부가설명이 있다. 셋째는 표현의 경제성 전략으로 압축, 생략, 요약, 일반화가 있다. 넷째는 비상 전략으로 직역과 누락이 있다. 다섯째는 메타전략으로의 모니터링 전략으로 수정현상이 있다. 본 연구의 사례분석 및 전략유형을 통해 수어 동시통역의 실질적인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수어통역 방법의 질적인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A case study on the strategies of simultaneous interpreting of sign language was conducted based on the same mechanism applied to Sign language as spoken language. In order to case-analysis of this strategy, simultaneous interpretation was filmed from Korean(Source Language) to Sign language(Target Language) for five Sign language interpreters, the results of the interpretation were understanding evaluated by Deaf. To apply the visual features of sign language, strategies were categorized by type. First, cognitive strategies for understanding messages include EVS(Ear-Voice Span), pause, chunking, and anticipation. Second, production strategies for the effect of message include syntactic transformation, substitution, particularization, additional explanation and addition and additional explanation. Third, there are compression, omission, summarizing, and generalization as efficiency strategies of expression. Fourth, there are transcoding and omissions as emergency strategies. Fifth, there is a repair to the monitoring strategy as a meta-strategy. Through this case analysis study, I tri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 리츠를 활용한 부동산산업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자기관리 리츠를 중심으로

        이상소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리츠는 다수의 투자로부터 자금을 모집하여 부동산 및 부동산 관련 유가증권, 부동산 개발사업 등에 투자·운용한 다음 여기서 발생한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당해 주는 제도이다. 리츠는 일반인에게 부동산 간접투자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부동산가격 안정과 건설시장 활성화를 통해 부동산산업 발전에 이바지한다. 리츠가 도입되고 20여 년이 지난 현재 국내 리츠 시장은 규모가 크게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공모·상장 리츠와 자기관리 리츠 분야에서는 아직 그 성장이 매우 저조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와 리츠 제도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해외사례 및 현황 분석을 통해 국내 리츠 산업의 문제점을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규제 위주의 정책 개선, 리츠 상품의 다양성과 수익성 개선, 그리고 일반 투자자들의 공모 리츠 상품 투자 활성화가 그것이다. 최근 정부도 리츠에 대한 각종 규제를 완화하는 추세이다. 이에 맞추어 본 논문에서는 국내 리츠 산업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규제 완화와 관련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부동산개발 사업에서 디벨로퍼와 리츠사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리츠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 필요가 있다. 또 이를 통해 자기관리 리츠를 육성하여 리츠 상품의 다양성과 수익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이와 동시에 프롭테크를 적용한 리츠 정보 전문 플랫폼으로 일반 투자를 확대하여 공모 리츠 시장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정부의 지원 정책과 함께 민간기업이 리츠 시장 활성화를 주도할 수 있어야 리츠 생태계 전반에 선순환 효과가 나타나 국가 경제에 생산, 소비 및 분배 활동을 촉진함으로써 국가 차원의 광범위한 경제적 파급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REITs system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nd suggest some political agendas for the development real estate development industry utilizing REITs. REITs raise funds from a number of investors, and then invest and operate real estate related assets, for example commercial properties, real estate-related securities, and real estate development industry, etc.. And then distributes the profits generated from theme to the investors. REITs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al estate industry by helping raise investment capitals from general people, stabilizing the price of real estate, and activating the real estate construction market. More than two decades after REITs was introduced, the growth of the domestic REITs market is still very low despite of the significant expansion in size. This study deducted the problems of domestic REITs industry in three ways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broad cases, and status analysis on the preceding studies: regulation-oriented policy; lack of profitability; and unconcern of people. Recently, the government is abolishing regulations on REITs. To enhance the effect, this study suggests some political instruments; creating of virtuous circulation of REITs ecosystem through close links between Developer and REITs company; increasing the variety and profitability of REITs instruments by fostering Self-Managed REITs; activating the public REITs market.

      • 교회사회복지에 대한 신학대학생의 인식에 관한 고찰

        유명운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현재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 의식조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정작 앞으로 목회를 시작할 신학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의식을 조사 연구한 내용은 전무하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우리나라 신학대학 중 장로교와 감리교, 성결교, 침례교 신학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사회복지에 대한 의식과 학교 교육과 사회복지의식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현재 한국교회는 총체적인 침체와 위기속에서 마이너스 성장을 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한국교회가 그간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보다 교회의 양적 성장에만 몰두하면서 민심이 떠난 결과때문이다. 이제 한국교회가 다시 지역사회와 융화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교회사회복지의 활성화 밖에는 없다. 이에 본 논문은 이론 연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한국교회의 사회복지현황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미래 한국교회를 이끌어 나갈 신학대학생들의 사회복지 의식과 현재 한국 신학대학교의 교육과 신학대학생의 사회복지 의식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론 연구에서는 현재 개신교 각 교단별 역사와 교단별 사회복지의 현황을 살펴보았고, 선행연구를 통한 목회자들의 사회복지 의식과 각 신학대학별 커리큘럼 중 사회복지과목의 빈도를 살펴보았다. 또 설문조사에서는 4개 신학대학을 중심으로 200명에게 설문을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조사대상자 전원이 앞으로 목회를 희망하고 있었고, 우리나라 사회문제 중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것은 실업문제와 물가 안정이라고 응답했으며, 교회가 속한 지역사회에서는 청소년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지목했다. 그리고 조사대상 교회 중 사회복지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교회는 45.5%에 불과했으며 주로 남. 여 선교회에 의한 프로그램 실시와 10%미만의 저 예산이 편성되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아직 한국교회의 사회복지 실천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운영 및 재원에 있어서는 대부분 전담 부서 및 전담 사회복지사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했으며 신앙의 사회적 실천을 위해 사회복지사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본인이 목회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실시하겠느냐는 질문에 88.5%가 실시하겠다고 응답해 앞으로 한국교회의 사회복지에 대한 전망을 밝게 했다. 그리고 학교 커리큘럼이 본인의 의식 변화에 별 도움을 주지 못했고 앞으로 사회복지와 관련된 재교육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교회 사회복지와 신학대학생의 사회복지의식 전환을 위해서는 첫째 기존 목회자뿐만 아니라 예비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복지의식 재고와 사회복지사업 참여 확대를 위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고 학교 커리큘럼의 적극적인 변화가 요구되며, 둘째 교회사회복지사업의 전문화, 체계화를 위한 전문인력의 양성 및 활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사회복지 목회학과의 신설과 사회목사제도의 도입이 요구된다. 셋째는 각 교단의 활동과 개 교회의 사회복지 활동을 적극 홍보하고 지원할 수 있는 체계의 보완이 시급하다는 것을 제언한다. This study was started by the perception that there have done many surveys for the concept of Social Welfare for the pastors but there's no survey (for the concept of Social Welfare) for the Theological students who will be pastor in the future. So, among Theological University I selected Presbyterian, Methodist, Holiness, Baptist churches University students and tried to find out their concept for the Social Welfare and their curriculum in University gave them how much influence to change their concept for the Social Welfare. At present Korean churches undergo minus growth. This kind of present condition is not built in a day. It's the result that Korean churches do not try to serve for the community but pursuit for the church growth in numbers. In this times if Korean churches want to melt again with the community, there's only one way to activate church social welfare. Therefore, this thesis get together theory study and query research and examine Social Welfare for the Korean churches. Furthermore check the sense of Social welfare for the Theological students and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of Theological University and the sense of Social Welfare for the Theological students. In the study of theory, I try to examine the history of each Protestant Denomination and present condition of Social Welfare and try to find out the concept of Social Welfare for the pastors and examine the number of social welfare subjects among University curriculum. And in query research I examined 200 students for 4 Theological University, all of them want to be a pastor. and everybody answered that it is urgent to solve the problem of unemployment and the safety of the price of goods. And the community where churches belong answered that it is urgent to solve the problem of juvenile. Among the examination churches, only 45.5% of churches carry out Social Welfare Program, and for the operating and delivering system of Social Welfare program, most of them answered it is desirable for special section and social workers to do it. If when they will operate church, they will carry out Social welfare Program, 85.5% of them answered that they will do it. It promises us a good future. But the curriculum of University influenced little to change their concept and they want to study again related to Social Welfar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o change the concept of pastors and Theological students. first it is needed to educate and train not only for pastors but for Theological students. And it is also needed to change the University curriculum in a positive sense. Second, For the special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the church social welfare plan, it is needed to bring up and use specialists. For these things, It is needed to induction of social pastor system and establish pastor courses. Third, I propose that it is urgent to add up system support and advertise the action of each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