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SD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만다라 집단미술치료 사례 : 담론 행위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희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에서는 주간보호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중증 ASD 성인들을 대상으로, 만다라 집단 미술치료를 통해 나타나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대에서 30대 성인 5명으로, 3개월 동안 주 1회 12회기의 만다라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ASD성인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실재를 알아보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에서 사용되는 참여관찰로 활동이 진행되었으며 회기별로 동영상이 촬영되었다. 동영상 분석을 통해 참여자들의 담론·행위를 분석하였으며, 분석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다원화(triangulation)기법을 사용하였다. 비언어적·언어적 상호작용의 빈도 측정으로 발성과 안면표정, 몸짓과 눈맞춤과 같은 비언어적 행동에 의한 상호작용의 변화를, 사물의 요구, 행위의 요구, 사회적 관계의 요구 등과 같은 언어적 행동에 의한 상호작용 변화를 각 회기별로 알아보았으며, 중재 전·후로 참여자들의 뇌파를 측정하여, 만다라 집단미술치료 중재 시 나타나는 뇌기능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담론·행위의 분석, 비언어적·언어적 상호작용의 빈도 분석, 뇌기능 분석을 통해 ASD성인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실재를 다원화 기법으로 살펴본 점에 의의가 있다. 담론·행위의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연구자가 만다라 미술활동을 통해 제시한 언어적, 시각적, 정서적, 신체적, 촉감각적, 상호적, 학습적 자극에 다양한 반응을 보이며 상호작용이 활성화되는 모습을 나타냈다. 비언어적·언어적 상호작용의 빈도 또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뇌기능 지수의 변화도 회기 활동 주제와 참여자들의 특성에 따라 변화한 것으로 분석되어,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ASD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만다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다양한 매체는 참여자들의 적극적인 활동을 이끌었으며, 이와 같은 활동이 개별적인 반응으로 연결되면서 상호작용의 증가를 나타냈다. 회기마다 반복되는 눈맞춤 인사, 스트레칭활동, 매체의 전달 등의 활동은 참여자들에게 학습되어 인지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사회적 상황에서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상황인지가 습득되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변화 또한 의의를 둘 수 있겠다.

      • 아동의 공격성 감소를 위한 모자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노수경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모자미술치료를 통해 아동의 공격적 행동문제를 감소시키고, 동시에 모의 부적절한 양육태도를 개선함으로써 모자의 건강한 관계발전을 도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A 초등학교에 다니는 3학년 10세 남아와 그의 모를 대상으로 서울시 S구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2013년 4월부터 2014년 3월까지 12개월간 주 1회를 기준으로 총 40회기의 모자미술치료를 실시하였고 1회 기준 시간은 60분 정도 소요되었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구성은 불규칙적인 모자활동과 체계적인 치료적 개입을 위하여 Rubin(1987)의 견해를 참고였다. 중기단계를 세분화한 초기단계, 중기 1단계, 중기 2단계, 종결단계로 구분하였다. 각 회기별 과정에 따른 행동과 작품의 변화를 토대로 질적 분석하였고, 공격성 척도(BDHI)와 부모양육태도 척도(PBI)를 기준으로 아동의 공격성과 모의 양육태도 변화를 면밀히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자미술치료를 통해 아동의 공격적 행동문제가 감소되고 동시에 모의 부적절한 양육태도가 개선되는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아동이 자신의 부정적 감정을 미술활동을 통해 안전하게 표출하며 공격적 행동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인 모에 대한 갈등을 일부분 해소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모 상담은 모의 심리적 안정에 도움이 되어 부적절한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촉진하였으며, 이로 인해 아동의 공격적 행동문제가 점증적으로 감소되었다. 본 연구는 모자 1쌍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례연구로서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으나 부모-자녀 갈등에 따른 문제들에 모자미술치료가 도움이 된다는 가능성과 아동상담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모자미술치료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 국내외 신경학적 질환 대상 음악치료 연구 분석

        정별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selected 74 theses of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music therapy targeting neurological disease from 2000 to 2016, so compared and analyzed it on the basis of study objects and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music intervention. Analysis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intervention, there are the most studies applying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RAS) of intervention techniques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In the use of instrument, the most used instrument in domestic study is the electronic piano in RAS, the tambourine in Therapeutic Instrumental Music Performance(TIMP) and the recorder in language rehabilitation. The most used instrument in foreign study is the metronome in RAS, the drum in TIMP and the electronic piano in language rehabilitation. In the use of musical elements, spatial signal is the most used element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the volume and harmony of musical elements are the most used elements in domestic study, and tempo, pitch and sound continuity are the most used elements in foreign study. In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used in study, use of a binary tune is more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and in tonality of music, domestic study uses major music more and foreign study uses minor music more. If a result of using instrument and musical element at the same time is examined, the Sogo(korea traditional tabor) is the most used instrument in domestic study, the tambourine and drum are the most used instruments in foreign study, and tempo and beat are the most used musical elements. Second, in the characteristics of study objects, the most type of study objects is a study on stroke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and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neurological diseases. In the average age of study objects, the most age is under 50~60 in domestic study, and is under 60~70 in foreign study. In sex of study objects, the number of men are more than the number of women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and the number of men are more than the number of women in stroke of neurological diseases. In addition, a sex distribution difference by diseases of domestic study is different from a difference of foreign study. In the number of study objects, studies targeting three patients, 10~20 patients and 20~30 patients are the most object in domestic study, and studies targeting 30 patients or more are the most object in foreign study. Third, in the characteristics of study contents, as a result of study places, the majority of studies are conducted in hospitals in domestic study, and in centers in foreign study. In the number of total sessions, 11~15 sessions are the most session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and in case of the time required by sessions, 30 minutes are the most time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In a design model of study, single subject and experimental group design models without comparison target are more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and in forms of study participation, studies with individual session are more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As a result of study testing tool,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use the most kinds of testing tools in RAS, domestic study uses tools produced by researchers more, and foreign study uses official testing tools more. In domains of study objectives, studies aimed at a region of the body are more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From among these, studies aimed at the walking function are the most objective. In speech area, studies aimed at speech production ability are the most objective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In the effect of study, studies hav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are more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but studies that all variables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re nothing more than 11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ies on music therapy targeting not some neurological disease but various neurological diseases, and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ies in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journals so examined a difference.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ntervention techniques, instruments, and application methods of musical elements of each study are analyzed so suggested as basic information for a follow-up study, b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intervention.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study will help study and clinical practice of neurologic music therapy. 본 연구는 국내외의 신경학적 질환 대상 음악치료 연구 분석을 위하여 2000년부터 2016년까지 음악치료 관련 학술지 논문 74편을 선정하였다. 각 연구의 음악 중재, 연구 대상, 연구 내용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신경학적 질환 대상 국내 음악치료의 연구 방향과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분석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중재의 특성에서 중재 기법은 국내외 연구 모두 리듬청각자극(RAS)을 적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또한 국내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한 악기를 중재 기법별로 살펴보면 리듬청각자극(RAS)은 전자키보드, 치료적 악기연주(TIMP)는 탬버린, 언어재활은 리코더였으며, 국외 연구에서 리듬청각자극(RAS)은 메트로놈, 치료적 악기연주(TIMP)는 드럼, 언어재활은 전자키보드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음악 요소의 활용에서 국내 연구는 음량‧하모니, 국외는 템포‧음높이‧소리의 연속성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국내외 연구 모두 2박자 곡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국내는 장조, 국외는 단조 음악의 사용이 더 많았다. 악기와 음악적 요소의 동시 활용에서 국내 연구는 소고, 국외는 탬버린‧드럼과 함께 템포‧박자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의 특성에서 연구 대상의 유형은 국내외 연구 모두 뇌졸중이 가장 많았고, 평균 연령의 경우 국내 연구는 50-60세미만이, 국외는 60-70세미만이 가장 많았다. 연구 대상의 성별 분포에서 국내외 연구 모두 남성이 더 많았으며 신경학적 질환 중 뇌졸중도 남성이 더 많았으나 그 외 질환의 성별 분포 차이는 국내외 연구 모두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인원수에서 국내 연구는 3명‧10-20명 미만‧20-30명 미만이, 국외는 30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 내용의 특성 중 연구 장소의 유형에서 국내 연구는 병원, 국외는 센터가 가장 많았으며 국내외 연구 모두 총회기수는 11-15회가, 회기별 소요시간은 30분이 가장 많았다. 연구 설계모형은 국내외 연구 모두 단일대상‧실험집단 설계모형이, 참여 형태는 개인세션으로 진행된 연구가 더 많았다. 검사 도구의 유형에서 국내 연구는 연구자 제작 형태, 국외 연구는 공식 검사 도구의 사용이 더 많았다. 목표 영역은 국내외 연구 모두 신체영역 및 보행기능을 목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언어영역은 국내외 연구 모두 말 산출 능력을 목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의 효과는 국내외 연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인 연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부 신경학적 질환이 아닌 다양한 유형의 신경학적 질환 대상의 국내외 음악치료 관련 학술지 연구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음악 중재의 특성을 중심으로 각 연구에서 나타난 중재 기법, 악기 및 음악요소의 활용 방법을 분석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를 가지며, 향후 신경학적 음악치료의 임상현장과 연구의 방향성 및 구성에 대한 기초 자료로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위축유아의 또래관계증진을 위한 음악치료활동의 효과

        김소하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위축유아의 또래관계증진을 위한 음악치료활동의 효과 김 소 하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음악치료학 전공 지도교수 송인령 본 연구는 위축유아의 또래관계 향상을 살펴보기 위해 단일 사례 연구 집단 사전ㆍ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로 12회기 활동의 사전과 사후에 또래관계 척도 검사를 실시하여 점수를 비교 분석하고, 공감력, 협동심, 자기주도성 영역에서의 언어적, 신체적, 음악적반응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음악치료활동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회기별로 비디오를 녹화하고 언어적. 신체적. 음악적으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위축유아의 또래 관계 증진을 위해 음악치료활동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지역의 D센터에서 만5세에서 7세의 위축척도의 검사로 선정된 4명의 유아를 참여자로 주 1회 40 분씩 12회기 동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음악치료활동 단계는 3단계로 나누어 1단계는 공감(1~4회기), 2단계는 협동(5회기~8회기), 3단계는 자기주도성(9회기~12회기)을 초점화 하여 구성되었고, 사용된 기법으로는 음악치료활동으로 타악기연주, 노래 부르기, 신체표현 등의 활동으로 위축유아를 위한 또래관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활동 사전, 사후에 또래관계 척도 점수를 확인한 결과 참여자들의 또래관계 척도 점수가 평균 26.25점에서 평균 60.25점으로 평균 34점 증가함으로 또래관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음악치료활동 사전, 사후 공감/협동 하위영역 척도 점수가 평균 16점에서 34.25점으로 18.25점 증가하였고, 자기주도성 척도 점수가 평균 10.25점에서 평균 26점으로 평균 15.75점 증가함으로 하위영역별에 따른 긍정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셋째, 음악치료활동 내의 언어적, 신체적, 음악적 반응을 매 회기별로 관찰한 결과로 공감/협동, 자기주도성의 3가지 반응 모두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음악치료활동이 위축유아의 또래관계가 증진되었음을 의미하며, 위축유아들의 또래관계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도입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Music Therapy Activity On Development Peer Relationships Of Social Withdrawal. Kim So-Ha Major In Music Therapy Graduate School Of Professional Therapy Gachon University To observe peer relationship development in social withdrawal, this study conducted peer relationship criterion test before and after the 12th session activity by using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compare and analyze the score, and looked at changes in linguistic, physical, musical response in fields of empathy, cooperation and self-directedness. Also, to see the change in percussion play program, each session were filmed, and the contents were analyzed in linguistic, physical and musical way. This study aims to apply music therapy program of playing the percussions for isolated children to develop peer relationship and see the effect. For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2 sessions, 40 minutes each, once a week against four children aged between 5 to 7 as case study who were selected through isolation degree test from center ‘D’ in area ‘S’. Music therapy of percussions play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where the first stage is focused around empathy (1st~4th session), second stage on cooperation (5th~8th session), and third stage on self-directedness (9th~12th session). Playing percussions, singing songs, and body expression, was activities used as methods applied in the program for helping social withdrawal to develop peer relationship. The result gained from this study is as followed. First, checking peer relationship criterion score before and after the percussions play the music therapy activity showed increase from average score of 26.25 to average score of 60.25 in peer relationship. Second, conducting percussions play the music therapy activity resulted 18.25 average score increase of empathy/cooperation sub-criteria score from average of 16 to 34.25, and self-directedness criteria score increased by 15.75 on average from 10.25 to 26, in sub-criteria. Third, positive behavior was observed as the result of observing linguistic, physical and musical response in percussions play the music therapy activity by each session. Such results indicate improved peer relationship of social withdrawal by percussions play music therapy program, and indicates that this program can be introduced as an effective method in enhancing peer relationship of isolated children.

      •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정서에 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섬유매체를 중심으로

        윤지현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섬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를 통해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이하, 장애모)의 불안과 우울 정서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A장애인 복지관을 이용 중인 장애모 2명으로, 섬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를 각각의 대상에게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에 걸쳐 주 1회씩 총 15회기를 실시하였고, 1회당 150분 정도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구성은 섬유매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위해 문헌연구 고찰을 통해 섬유매체의 효과적인 요인을 도출하여 활동 내용에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단계별 목표는 장애모의 특성을 감안하고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친밀감 형성-정서표현 및 이해-긍정적 정서로의 전환-긍정적 정서의 유지로 설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각 회기별 행동과 작품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성인행동평가척도(ASR), 상태불안검사(STAI), 우울검사(BDI)의 사전사후 점수 비교를 통해 불안과 우울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프로그램에 대한 사후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섬유매체의 효과성을 기술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섬유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를 실시한 결과 장애모의 회기별 행동, 작품내용 및 척도상의 불안과 우울이 감소하였다. 섬유매체의 촉감적 요인과 다양한 표현기법을 바탕으로 한 수용적인 분위기의 활동 과정이 장애모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부여하고, 이는 보다 자유로운 정서표현을 유도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보다 긍정적인 정서로 전환되는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비했던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과 미술치료에 섬유매체를 적용하여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외국인 어머니의 경험

        윤은민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의 언어치료에 대한 경험을 고찰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기 언어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한국인 남편과 결혼을 통해 이주한 다문화가정의 외국인 어머니로 과거에 언어치료를 받았거나 현재 언어치료를 받고 있는 자녀가 있으면서 한국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어머니 10명이었다. 자녀의 언어치료 과정에서 외국인 어머니가 경험하는 본질적인 의미구조를 규명하고자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고,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방법론으로 채택하였다.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뒤 이를 있는 그대로 전사 및 기술하였으며 반복적인 읽기와 성찰의 과정을 통하여 단순한 정보의 나열이 아니라 현상을 드러내기 위한 의미 있는 발견이 되도록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본질적으로 의미 있는 구절을 찾아 이를 의미 단위로 묶은 뒤 개념을 추출하였고 이를 문장 혹은 절의 형태인 주제 진술로 기술하여 경험 속에 혼재되어있는 주제들을 규명하고 이를 개념화하였다. 그 결과 총 42개의 주요 개념, 13개의 하위주제 및 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외국인 어머니의 경험은 인과적, 시간적 관계를 고려하여 3개의 주제,‘아이가 말이 느린데 그냥 지켜봐도 괜찮을까?’, ‘언어치료, 진작에 알았더라면’, ‘언어발달에 대한 기대와 우려’로 개념화하였다. 외국인 어머니는 초기 양육자로서 모국어가 아닌 한국어로 자녀와 의사소통 하려고 애쓰지만 서툰 한국어 능력으로 인하여 충분한 언어적 자극을 제공하는 데 한계를 드러냈으며, 아동이 첫 낱말 산출 이후 어휘집의 확장이 이뤄지지 않고 있음에도 언어문제를 심각하게 인지하지 못한 채 40개월을 전후해 또래와의 의사소통에서 현격한 차이를 확인한 뒤에야 언어치료실의 문을 두드리는 유사한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막연한 기다림과 두려움의 상태에서 언어치료라는 낯선 세계를 경험하게 된 외국인 어머니들은 치료를 통하여 큰 위로와 평안을 얻는다고 토로하였다. 이들은 언어치료 경험을 통해 아동과 의사소통하고 언어적 자극을 제공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어 크게 만족한다고 진술하였다. 그러나 치료시간이 짧고 상담 내용에 대한 문서 제공이 되지 않는 점은 아쉬움으로 지목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외국인 어머니들은 또래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해질 때 언어치료를 종결하고 싶다고 보고하였으며 그 시점을 짧게는 1-2년, 길게는 초등학교 입학 후 저학년까지로 내다보고 있었다. 특히 다문화가정 아이들이 취학 후 정상적인 언어발달로 선회할 뿐 아니라 이중언어 환경의 특수성을 살려 학업 성취면에서도 진전을 이룰 것이라는 긍정적인 기대와 전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한국어로 의사 표현이 자유로워지면 제2외국어로 참여자의 모국어나 영어를 가르치고 싶다는 바람을 표명하였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외국인 어머니의 요구는 2개의 주제,‘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을 도와주세요’, ‘언어치료와 사회복지 인접 분야와의 협력적 요구’로 의미를 분석하였다. 아동의 한국어 발달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부족한 외국인 어머니들을 위해 평가 후 언어발달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치료 후 상담 내용을 정리한 문서 제공 등의 배려가 필요하다는 요구가 있었다. 무엇보다 외국인 어머니 스스로가 초기 양육자로서 자녀의 한국어 양육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이주 후 한국어를 배울 때부터 육아 정보를 동시에 제공받고 다문화센터에서도 아이와 함께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있기를 희망하였다. 또한, 언어치료 기관과 어린이집을 연계한 통합 네트워크를 운영하여 아동의 언어문제를 조기에 선별하고 진단하는 동시에 다문화가정을 오픈하여 다양한 언어 자극 및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녀의 언어문제가 조기에 발견될 수 있도록 사회가 함께 관찰하고 주목하는 시스템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외국인 어머니의 생생한 경험담을 들어봄으로써 자녀의 언어치료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고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기 언어중재 지원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해보았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노래심리치료를 위한 한국대중가요의 주제 및 사회 심리적 의미 분석

        권유진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노래심리치료에서 활용하는 노래 자료(song material)로서 한국 대중가요의 가사를 분석하고, 가사에 드러난 주제가 지니는 심리·사회적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1990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디지털 음원 시장 점유율에 따른 음원사이트 세 곳의 시대별 차트를 수집하여 이 중 중복되는 곡인 1,655곡을 최종 분석 자료로 선정하였고, 선행연구의 분석 범주와 체계를 고려하여 연구자가 고안한 분석 틀에 따라 각 범주와 시기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각 시기는 1990년-1999년, 2000년-2009년, 2010년-2018년으로 구분되었고, 애정관계 주제, 비애정관계 주제, 사회 주제, 기타 주제 등 네 가지 범주로 분류되었으며, 각 범주는 다시 하위범주로 세분되었다. 분석된 자료는 Microsoft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항목의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는 방식으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음악중재전문가(KCMT) 2인과 신뢰도 검증 절차를 거쳐 분석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0년대 이후 한국 대중가요에서 채택한 주제는 애정관계 주제가 가장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애정진행단계에 대한 노래보다 애정종결단계에 대한 주제가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애정종결단계에 대한 하위범주로는 이별에 대한 슬픔/아픔의 주제가 가장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시기의 특징을 살펴보면, 개인의 자유와 개성을 중시하기 시작한 1990년대 대중가요에는 사전심의제 등 문화의 탈정치화로 인해 현실/사회 비판과 변화를 지향하는 개혁적인 모습이 표현되었다. 대중매체가 발달하기 시작한 2000년대 대중가요에는 현대 사회의 양극화 현상이 대중가요의 가사에도 반영되었는데, 이제까지 강조되지 않았던 남녀평등의 가치가 사랑을 적극적으로 쟁취하는 현대적인 여성상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표현에서도 개인의 선택을 중시하고 후회하지 않는 자아상이 나타났다.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의 개인 미디어의 발달로 이전보다 많은 문화 채널을 경험하게 된 2010년대 문화 소비에서도 개인화 양상이 극대화되어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는 유흥/향락, 쾌락/즐거움의 주제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 또한 과거보다 현재를 중시하고, 타인보다 자신을 중시하며 미래를 지향하는 세대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1990년-2018년에 발표된 한국대중가요는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각 주제의 하위범주에서 보다 다양한 시대적 변화 양상이 나타났다. 애정관계 주제에서는 1990년대 사랑, 행복/기쁨, 기다림의 주제는 점차 감소하고, 성적묘사, 유혹, 애원이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이는 1990년대 이별에 대한 수동적인 태도가 점차 능동적인 태도, 자신의 욕망을 표출하는 모습, 개인주의와 자기주도적인 모습으로 변화하는 것을 드러낸다. 비애정관계 주제에서는 가족이나 친구와 같은 대인관계에 대한 주제가 감소하고, 쾌락/즐거움, 자기표현 등의 개인 심리 주제가 증가하는 등 주제의 화자가 외부의 관점에서 개인 심리적 관점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사회 주제의 범주에서는 1990년대 이전의 대중가요 주제로 빈번히 채택되었던 향수/회상, 애국/통일의 비중이 크게 감소하고, 격려/희망이 가장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기타 주제의 범주에서는 묘사적 표현과 반복적 표현이 모두 증가되었는데 이는 점차 빠르게 소비되는 음악 속에서 단기간 내에 청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내용을 전달하여 대중의 관심을 얻어야하는 대중가요의 상업적 영향으로 시대의 변화와 유행에 따라 반영된 양상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노래심리치료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노래 자료이자 한국 사회의 시대적 특징과 문화가 반영된 대중적 산물인 한국 대중가요의 가사를 범주에 따라 분류하고, 주제에 드러난 사회 심리적 의미를 분석하여 이에 나타난 시대적 변화와 특성을 탐구하였다. 이는 대중가요에서 빈번하게 채택되는 주제의 특성과 변화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일상적으로 대중가요를 향유하는 수용자들의 심리사회적 쟁점을 이해하고, 치료사로서 임상 현장에서 만나는 다양한 연령과 성별, 시대사회적 배경을 가진 내담자들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선행지식을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 아울러, 상대적으로 선행연구가 부족한 2000년대 이후 한국 대중가요의 주제와 심리사회적 의미를 분석하여 대중가요에 드러난 사회문화적 영향 및 시대적 변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대중가요를 활용하는 다양한 학문 분야 연구에 기여한다는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nalyzes Korean popular song lyrics for the purposes of song psychotherapy, and aim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that the themes of these songs pose on the society. Pursuant to such research objective, music charts dating from 1990 to 2018 from the top three online music websites were collected. A total number of 1,655 songs that overlapped in all three online music websites' music charts were chosen as the final data for analysis. Also, the analysis of these songs was based on each song's respective category and time period, pertaining to the analytical categories and systems of the pre-research project. The songs were divided into three time periods between 1990-1999, 2000-2009, and 2010-2018, and into four categoroiral themes; 'romantic relationship,' 'non-romantic relationship,' 'social,' and 'others.' Each of the four themes were further specified into sub-categories. The research result was derived by calculat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each item via the Microsoft Excel. Also, the result was certified by a reliability test and two specialists who are licensed as the Korea Certified Music Therapis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st common theme observed in Korean popular song after the 1990’s is 'romantic relationship.' In detail, 'past romantic relationship' songs took a higher market proportion than that of the 'on-going romantic relationship' songs. As sub-categories of the 'past romantic relationship' theme, 'sorrow' and 'pain' of parting were the most common. Looking at the respective time periods, in the 1990’s, when the freedom of the expression with regards to popular music became respected and culture separated itself from politics, reformative image pursuing societal change by criticizing reality and society was conspicuously depicted in the songs. Throughout the 2000's, when mass media began to develop, song lyrics reflected the contemporary society's bi-polarization based on gender equality. Following the unprecedented emphasis on gender equality, songs conveyed a rather fearless, passionate and outgoing feminists who would actively standout to acquire love. In addition, they also conveyed an image which respected individual freedom to express and choose, of whom would express oneself without regret. More specifically, throughout the 2010's, when people consumed diverse cultural channels followed by the prevalent usage of personal computers and smart phones, the songs trended toward pursuing personal happiness with respect to culture, such as entertainment, joy and pleasure. Furthermore, this trend posed more weight on the present than the past, and places oneself in front of others as well as being more future-oriented. Secondly, songs introduced between the years of 1990 to 2018 presented more sub-categories than its past, subsequent the aforementioned social changes. Such changes impacted the 'romantic relationship' theme to the extent that the once prevalent sub-categories of 'happiness' and 'patience' decreased, giving way to the newly arising sub-categories of 'sexual desire,' 'seduction,' and 'imploration,' This change revealed the transition from a rather passive gesture to an active one where one explicitly expressed one's desires, individualism and self-orientedness. As for the 'non-romantic relationship' theme, contemporary songs had trended towards being more self-centered from having its basis on exterior factors. They depicted more individualism such as personal pleasure and expression, and encompassed less of individual psychology, such as relationship between family and friends. Under the 'social' theme, 'nostalgia/reminiscence,' 'patriotism/reunification' which were common themes of past pop songs, decreased, while 'encouragement/hope' was put much weight on. Under the 'others' theme, both descriptive and repetitive expressions grew in songs, which was a response to commercial factor that intrigued consumers. The songs also delivered a message to gain public attention under the fast-consuming music market and the change of trend and time.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lyrics of Korean popular songs, which are the most commonly utilized song materials which also reflect the characteristic and culture of the time, into categories. Also, it analyzed the socio-psychological meaning revealed in the themes to explore the periodical change and characteristic. The significance of such analysis are the following: through grasping the characteristic and changing trend of the most frequently selected themes, one can understand the psycho-social issue of the consumer who enjoys popular song on a daily basis; this research provides prior knowledge that is required to understand clients, who are of different age, sex, period and social background, that therapists meet in the clinical field of song psychotherapy. In addition, it also analyzes the themes and psycho-social meaning of Korean popular songs after the 2000’s, which is an area of study that lacks much prior research. This improves the understanding about the socio-cultural effect and periodical change of popular culture, and contributes to diverse disciplines that utilizes popular song.

      • 마음이론에 근거한 ASD 성인 집단미술치료 사례 : 사회적 상호작용 및 정서표현을 중심으로

        장현주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중증 자폐스펙트럼 성인을 대상으로 마음이론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사회적 상호작용과 정서 표현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주간보호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20~30대 성인 발달 장애인으로 자폐스펙트럼을 진단받고 다른 정서적 문제와 공존 병리로 인해 자리이탈 등의 문제가 심각하지 않아 프로그램에 참여가 가능하며, 2음절 이상의 단어 발화가 가능하여 정서 표현을 측정 할 수 있는 대상 5명을 선정하였다. 언어적·비언어적 표현이 자유롭지 못한 대상자의 장애 특성을 고려하여 회기마다 동영상을 촬영하였으며, 검사 도구로 대상자의 비언어적·언어적 상호작용의 빈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사회적 상호작용 빈도 관찰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위해 평가자 간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대상자들의 정서 표현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폐아동도 마음읽기를 배울 수 있다.’(Howlin, Cohen, Hadwin, 1996/2006)의 정서이해 반응 기록지와 프로그램 일지를 회기마다 작성하여 대상자의 정서 표현의 유무와 내용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이론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ASD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마음이론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자폐스펙트럼 성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있어, 마음이론의 전조 능력의 하나인 시각적 주의 이해하기에 도움을 주었다. 둘째, 마음이론에 근거한 미술치료를 진행할수록 대상자들이 사람의 얼굴, 표정, 상황에 근거한 정서 등을 인지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마음이론에 근거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믿음, 소망, 추론, 정서 등 추상적인 개념을 어려워하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인의 정서 인지를 도왔으며, 정서 표현의 확장 가능성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마음이론에 근거한 미술치료가 중증 자폐스펙트럼 장애인에게 어느 정도 단계까지 적용할 수 있는지 가능성을 밝혔으며, 마음이론에 근거한 미술치료의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ocial interac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by conducting group art therapy based on the theory of mind for adults with severe autism spectrum. The study subjects wer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day care facilities, diagnosed with autism spectrum, and could participate in the program because they did not have serious problems such as shifting from seats due to other emotional problems and coexisting pathologies. Five subjects who can measure emotional expression because they can utter word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ho are not free to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 a video was recorded for each session, and a checklist for observing the frequency of social interaction was used as a test tool to examine the change in the frequency of the subject's non-verbal and verbal interaction.. In addition, inter-rater reliability was calculated for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results. In order to measure the emotional expression of the subjects, the emotional understanding response record and program log of 'Children with autism can also learn to read mind' (Howlin, Cohen, Hadwin, 1996/2006) were written every session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s had emotional expression or not. and content cha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group art therapy based on the theory of mind, positive changes were found in the social interaction of adults with AS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he theory of mind helped to understand the visual attention, one of the precursors of the theory of mind, in the social interaction of adults with autism spectrum. Second, as art therapy based on the theory of mind proceeded, it was possible to examine how the subjects recognized people's faces, expressions, and emotions based on situations.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he theory of mind helped people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ho have difficulty in abstract concepts such as belief, hope, reasoning, and emotion in recognizing their emotions, and also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ir emotional expression. This study reveals the possibility to what level art therapy based on the theory of mind can be applied to severe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it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art therapy based on the theory of mind.

      • 우울 성향 여성을 위한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 기반의 비대면 노래 만들기 활동 경험

        이소연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 성향 여성을 위한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 기반의 비대면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어떤 경험을 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울 성향 여성을 대상으로 총 8회기로 구성된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 기반의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을 1차로 개발하여 예비연구를 진행하였다. 예비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정 및 보완사항을 확인한 후 최종적으로 총 12회기의 2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우울감과 비합리적 신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Beck(1967; 1978)의 우울 척도(BDI)와 Jones(1969)의 비합리적 신념 척도검사를 사전, 중반, 사후 실시하여 측정하였으며, 프로그램 진행 과정을 녹화 후 언어적 표현을 전사 및 참여자들이 만든 노래를 사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유의미한 단어 및 문장을 추출한 뒤 자료 분석에 대한 1차 범주화와 2차 범주화를 진행하여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울 성향의 여성에게 나타난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 기반의 비대면 노래 만들기 활동 결과 우울 성향 여성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우울 척도 및 비합리적 신념 척도검사의 점수가 감소하였다. 둘째,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 기반의 비대면 노래 만들기 활동 중재 과정에서 우울 성향 여성은 ‘자기 스스로에 대한 부정적 인식’, ‘일어나지 않은 미래 및 상황에 대한 부정적 생각’, ‘이분법적 사고로 주변 상황을 판단’, ‘사건에 대한 과도한 의무나 책임감을 가짐’의 비합리적 신념과 ‘주체적 사고를 가짐’, ‘있는 그대로의 자기 수용’, ‘내적 자원 확인’, ‘상황이나 타인에 대한 객관적 시각 형성’, ‘미래에 대한 긍정적 의지가 생김’의 합리적 신념을 나타냈다. 또한, ‘발생 가능성이 희박한 사건에 대한 불안’, ‘상황이나 사건에 대한 낮은 흥미’, ‘가족 구성원에 대한 원망’, ‘주변 사람에 대해 지나친 부담감을 가짐’, ‘타인과의 관계에서 결핍을 느낌’, ‘스스로가 감당하기 어려운 우울감’, ‘자신에 대한 애처로움’의 부정적 감정과 ‘상황에 대한 부정적 감정의 해소’, ‘자기 자신에 대한 포용감 형성’의 긍정적 감정을 나타냈다. 이로 인한 행동으로는 ‘회피 행동’, ‘포기하는 행동’, ‘낮은 자기 개방’,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집착’, ‘자신보다는 타인과 관련된 일을 먼저 하는 행동’의 부정적 행동과 ‘부정적 상황에 맞서려는 노력’,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행동적 변화’의 긍정적 행동을 나타냈다. 셋째,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 기반의 노래 만들기 활동 중재 과정에서 음악은 ‘노래 만들기 과정에서 자신의 감정을 수용 및 지지 경험’, ‘자기의 사고, 생각, 감정의 내용을 가사를 통해 외현화’, ‘자기의 감정을 선율 진행 및 화성적 요소를 통해 표현’, ‘가사 만들기 과정에서 자신의 신념 변화를 인식’, ‘노래 완성의 과정에서 사건을 바라보는 사고·인식의 전환’, ‘프로그램에서 만든 노래를 일상생활에서 활용’의 중재적 역할로 인해 내담자의 경험을 유도하였다. 본 연구는 ABCD 모형의 각 단계를 회기별 노래 만들기 활동에 접목하여 진행한 연구로, 대면 상황에서 기성곡의 가사를 일정 부분 개사하는 활동으로만 진행되었던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을 비대면 상황에서 연구 참여자가 노래를 직접 작사‧작곡하여 보다 직접적인 관여를 하는 것에 대한 연구를 양적, 질적 연구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 기반 비대면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이 우울 성향 여성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심도있게 알아보았으며,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와 노래 만들기 활동을 접목한 중재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중재 접근이라는 것에 대하여 연구하였음에 그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우울 성향 여성의 선행사건, 신념, 감정, 행동의 다각적 측면에서의 통합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중재 활동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시대 사회적 환경을 반영하여 비대면 상황에서의 중재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 단주자조모임 프로그램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알코올중독자의 단주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서민지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논 문 개 요 본 연구의 목적은 A.A.프로그램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숙알코올중독자의 단주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알코올중독자를 위한 자활프로그램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A.A.의 치료철학인 12단계를 미술치료에 접목한 총 15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노숙인 쉼터나 공동체에서 생활하고 있는 남자 성인 알코올중독자 12명(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을 대상으로 2016년 1월에서 5월까지 주 1회 120분씩 진행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진행은 문헌고찰을 통해 알코올중독 치료에 적용되는 A.A.의 효과적 요인을 도출하여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에 접목하여 구성한 후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단주자기효능감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한국형 알코올 의존 선별검사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1.0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단주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대하여 사전 동질성 검사를 한 후, 집단 간의 점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모수 통계인 Mann-Whitney의 U 검정을 시행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단주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의 평균순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모수 통계인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집단미술치료 회기별 작품과 사전·사후 동적 집-나무-사람 검사를 질적 분석하여, 그림에서 나타난 단주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A.프로그램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노숙알코올중독자의 단주자기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으며, 검사 시기에 따른 평균순위에서도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둘째, A.A.프로그램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노숙알코올중독자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으나, 검사 시기에 따른 평균순위에서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다. 셋째, 노숙알코올중독자의 단주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보기 위해 회기 과정 및 동적 집-나무-사람 검사의 사전·사후를 분석한 결과 단주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반영하는 긍정적인 표현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노숙알코올중독자의 심리적 어려움과 사회적·환경적 어려움을 이해하는 데 있어 미술치료의 요소를 A.A.프로그램의 12단계에 접목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A.A.프로그램을 창조적인 관점으로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숙알코올중독자의 회복에 효과적이었다는 점에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experimental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by using the A.A program that is operated for the study on abstinenc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the alcoholic. Besides, this research has an ultimate goal to improve the incompetence, lethargy, and irresponsibility of the homeless and to help them find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Based on these positive influences,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can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this therapy to be used as self-support program for homeless alcoholics. The program used in this research consists of 12 steps of A.A treatment philosophy grafted to art therapy totaling 15 sessions.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al research were 12 alcoholic male (6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6 in the controlled group). They have been residing in the shelter or community for the homeles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120 minutes per each session once a week and lasted from January to May 2016. While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being operated, the A.A effective factors that were employed to the alcoholic treatment program were de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y were grafted into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sake of the research purposes, the methods such as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measure, self-esteem measure and NAST were exploited. Pre-homogeneity test in eac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in their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was carried out. Furthermore, Mann-Whitney’s and a non-parametric statistics’ U-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score differences in the post-hoc test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for each session, each subject’s work and K-HTP were explor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before and after the group art therapy treatment program, thereby analyzing the change in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seen in the art 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A.A program that was applied to the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homeless alcoholic’s improvement of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second, the A.A program was also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homeless alcoholic’s improvement of self-esteem; third, the changes through each research session and both pre- and post- analysis of K-HTP were presented to be conspicuous in their artworks with regards to the positive influences on homeless alcoholics’ improvements of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