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후변화관련 국내 환경교육 인증 프로그램 분석

        유혜지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환경교육 중 환경부에서 인증을 받은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관련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고 내용체계 기준을 수립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더욱 효과적인 기후변화교육의 대안을 제시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보다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기후변화 관련 내용이 적은 비중으로 포함되어 있었으며, 기후변화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어도 ‘기후변화 현상과 원리’와 ‘기후변화 대응’영역의 내용이 주로 다루어졌으며, ‘기후변화 원인’과 ‘기후 변화 영향’ 에 대한 내용 요소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환경교육 프로그램에서의 기후변화 관련 내용의 양적인 확대와, 내용 반영시 기후변화교육 내용요소 중 기후변화 현상과 원리, 기후변화 원인, 기후변화 대응, 기후변화 영향 네 가지 영역의 총체적인 반영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부 대상만이 아닌 다양한 교육 대상에 따른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과, 일회성이 아닌 지속성을 가질 수 있어야한다는 점들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 대형마트의 친환경 탄소경영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및 만족도 조사 : 이마트 사례를 중심으로

        서성원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1695

        기업의 궁극적 목적은 ‘이윤창출과 극대화’에 있다고 하겠으나 최근에는 환경경영을 통한 경쟁력 제고, 환경경영성과 개선과 아울러 지속 가능한 경영을 지향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새롭게 창출해 나갈 수 있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김성수, 2004) 이러한 기업환경의 변화는 유통업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1996년 유통시장의 전면개방 이후 대형마트가 괄목할 만한 성장을 통해 유통산업의 비중과 위상이 높아졌다. 산업자원부 자료에 의하면, 국내 유통산업의 실질규모가 2001년 40조에서 2010년 94조로 약 2배가 증가하였다. 산업발전이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환경문제가 인류의 생존에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제조업체는 오래 전부터 환경경영을 추진해왔지만, 상대적으로 환경적 영향이 덜한 유통업체의 경우 환경 경영에 대한 체계가 미흡한 상태이며, 이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유통업계에서 선진제도를 먼저 도입한 홈플러스(前삼성테스코)는 2000년에 친환경기업을 선포한 이후 2001년부터 2007년까지 Green Hexagon체제를 정립하였는데, 이는 Green store, Green process, Green customer, Green movement, Green objective management, Green network 등 총 6개 부문으로 구성돼 있으며 단순한 계획 단계를 넘어 이미 많은 부문에서 업무로 실천하면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녹색물류, 2009) 홈플러스는 2020년까지 50% 탄소절감을 목표가 경영활동의 핵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비해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친환경 탄소경영을 경영이념으로 도입하여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이마트는 2008년 이명박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과 함께 다양한 탄소저감 활동을 하고 있다. 롯데마트는 2008년부터 환경경영을 선포하고 Smart Eco - LOTTE Mart 전략을 수립하여 Eco-Store(친환경 점포), Eco-Smile(친환경 상품), Eco-Members(고객참여 환경 캠페인), Eco-Life(에너지 절감 생활화)의 4대 핵심 추진과제를 선정하여 친환경 탄소경영을 전사적으로 확대하였다.(롯데마트, 2010) 기업의 친환경 탄소경영은 초기투자가 선행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기업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효율증대에 따른 이익도 증가하는 측면에서 중요한 함의를 가지고 있고, 탄소경영의 결과에 대한 평가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유통기업의 핵심 고객이 소비자이기 때문에 일종의 사회적 책임 활동으로 볼 수 있는 탄소경영이 소비자의 기업에 대한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에 미친 영향에 대한 평가 역시 중요하다. 그러나 친환경 경영에 대한 선행연구는 존재하지만, 유통기업의 탄소경영에 대한 평가와 소비자 인식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최근 제조사를 중심으로 탄소경영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하이닉스, 웅진코웨이, 롯데쇼핑 등이 탄소경영보고서를 통해서 해당기업의 탄소배출 현황 및 감축을 위해 각각의 탄소감축활동 사례중심의 보고서가 발간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 탄소경영활동에 적극적인 대형마트 3社의 사례를 분석하고, 친환경 탄소경영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및 경험정도, 그리고 만족도를 조사하여 향후 친환경 탄소경영 추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 직업능력표준을 활용한 환경기능사 출제기준 개선

        이동훈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에서는 환경산업 직업능력표준을 개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국가기술자격 종목 중 환경기능사의 출제기준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직업능력표준 개발에 참여할 현장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풀을 확보하여 환경산업의 직종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환경산업의 주요기능은 컨설팅, 설계, 시공, 유지·보수, 관리, 평가, 측정·분석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직무분석과 표준화 작업을 통하여 직업능력표준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직업능력표준은 환경기능사 종목의 출제기준을 개선하는데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주요한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개발된 환경산업 직업능력표준 능력단위들의 타당성은 5점 만점에 평균 4.2로 높게 나타났다. 2. 직업능력표준을 활용하여 개선된 환경기능사 출제기준(안)은 현장에서 수행되는 직무를 포함하고 세분화된 능력들을 평가할 수 있도록 제시되었다. 3. 또한 개선된 출제기준(안)은 직업능력표준의 수행준거를 사용하여 수행성과를 명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제시되었다. In this study, natioanl occupational standards for environmental industry were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question making of "Craftsman Environmental"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For this, specialist group was secured for analysis of service structure of environmental industry. As a result, main functions of environmental industry were classified into consulting, planning, construction, maintenance·repair, management, evaluation, measurement·analysis. After job analysis and standardization work, 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 were developed. These standards were successfully used to improve standard questions of a national examination for "Craftsman Environmental". Important findings obtained from this work are as follows: 1. The propriety of occupational standards units developed in this study appeares to be high with an average of 4.2 in 5 perfect score. 2. Standard for making questions of "Craftsman Environmental" that is developed by using 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 includes field duty and is able to evaluate subdivided abilities. 3. The improved standard questions are able to evaluate achievement clearly by adopting accomplishment conformity of 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

      • 화성시민 환경의식 조사를 통한 대기오염 대응 정책 개선 방안

        김현아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695

        화성시는 신도시 건설 등으로 인한 급속한 인구 증가와 교통 발전 등 비약적 발전을 이룩한 반면 건설 개발 사업 증가와 많은 환경오염물질 배출사업장 등으로 인해 향후 대기질의 오염이 우려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성시민 환경의식 조사와 대기질 관련 정책 분석을 통해 향후 화성시의 대기오염 대응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화성시민 환경의식 조사의 환경여건에 대한 조사 결과, 화성시민의 환경여건 만족도는 보통 수준이 47.6%로 가장 높았으나 불만족 22.5%, 만족 20.1% 등의 순으로 만족에 비해 불만족의 비율이 약간 더 높았다. 환경여건 만족도를 지역별로 분석해본 결과, 비교적 동부지역의 만족도가 높았고 남부지역의 주민들의 만족도가 다소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물론 각 읍․면․동 모든 지역 주민의 공통된 의견이 아니며 응답자의 특성 등 여러 변수들이 존재하지만 동부지역 주민 중 대체로 동탄신도시 주민들의 만족도가 높은 편으로 조사되었다. 분야별 환경오염 인식(심각 정도)조사에서는 대기오염의 심각도가 가장 높았고 과거 2013년 환경 인식 변화와 비교해본 결과, 타 분야의 오염에 비해 대기오염의 인식 변화가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오염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산업체의 배출가스 44.5%, 공사장, 도로의 비산먼지 24.5%, 자동차 배기가스 21.0% 등의 순으로 응답하였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방법은 공장 등의 단속 강화 47.9%, 친환경 자동차 보급 확대 22.8%, 행정규제 강화 20.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화성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필요 정책 방향은 시민의 적극적 참여와 관심이라는 응답이 41.0%로 가장 높았고, 행정의 체계적 지원 및 협력 28.0%, 화성시 정책과 계획에 대한 모니터링, 피드백 20.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화성시 대기환경정책 조사 결과, 상위 및 시․도의 정책과의 연계성 및 일관성을 따르고 있으나 세부적인 정책 사업은 다소 미흡함에 따라 친환경 교통체계 구축, 생활주변 배출원 관리 강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노력 등의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시민들에게 환경에 관한 정보 제공 및 홍보 등을 확대하고 시민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사업이나 활동 지원 또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화성시에서는 이런 시책들을 보완하여 개발과 보전이 조화를 이루는 정책을 실현함으로써 향후 더욱 발전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환경교육 효과 분석

        이창국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 서식하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간이수질판정법을 학습하는 체험활동을 통해서 환경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 환경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환경교육 활동에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활용하고 있는 실태를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 중학생들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간이수질판정법을 학습하는 체험학습을 통하여 하천에 서식하는 저서생물들이 하천생태계에서 먹이사슬의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저서대형무척추동물과 수질의 오염과의 관계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하천생태계의 존재가 생물다양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음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환경교육의 목표인 환경에 대한 인지, 지식면에서 의미 있는 활동임을 밝혔다. 하천 생태계를 보전하려는 마음을 갖는데 영향을 줄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환경에 대한 태도면에서 원하는 변화를 이끌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에 참가한 학생들은 탐사활동 전에 비해서 탐사활동 후에 하천 생태계를 보전하려는 마음이 더욱 많아졌으며,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활동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도 탐사 활동을 한 후에 더욱 강화된다는 것이 연구결과 확인되었다. 그리고, 참가자들은 하천 오염을 줄이기 위한 생활 실천을 위해서 노력할 것이라는 데에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하천 탐사 체험활동이 환경교육이 목표로 하는 참여를 위한 변화를 이끌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하겠다. 한편, 남, 여의 성별 차이에 의해서 하천 탐사의 경험이 태도나 지식, 실천 의지에 차이가 나타났는지에 대한 연구를 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연구 대상 학생들이 성별 차이에 의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환경동아리를 지도하며 환경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73.3%의 교사들이 지표종을 이용하여 환경교육을 지도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이 경우에 80%의 교사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지표종으로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하였고, 지표종을 이용한 체험활동이 환경교육에 유용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환경교육담당교사들이 단기간의 연수프로그램을 통하여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동정할 수 있는 능력만 배양한다면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간이수질판정법을 이용한 하천 탐사활동을 통해서 하천 환경교육은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으며, 광범위한 수계의 수질 조사를 통하여 하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tial activities about macroscopic simple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stream and these activities can meet the goal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t also contains the analysis on how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use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ir classes. The target students for this research are middle school students. They participated in the experiential classes about the macroscopic simple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As a result, they got to understand the fact that benthic macro-invertebrates play an important role fresh-water ecosystem's food chai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water pollution. In addition, the students could understand that the variety of fresh-water creatures impact heavily on fresh-water ecosystem with this experiments. Therefore, such experiential studies could stimulate the awareness and knowledge about the environment, which is one of the goals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awareness can lead to the change in their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After these experiential activities, the students' motivations to protect fresh-water ecosystem have been reinforced. Moreover, they have been proved to be more willing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for keeping the fresh-water ecosystem after these activities. It also showed meaningful changes from students, who are willing to make efforts in their daily lives to reduce the water pollution. Thus, the experiential activities related to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macro-invertebrates are proved to stimulate significant participations for protecting the environment and it is the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However,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erms of the degrees on that each group have their attitudes, knowledge, or will to take actions for the environment indicated insignificant outcome. The survey on the teachers who are involv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leading the environmental club revealed that 73.3% of the teachers have taught using indicator species, and 80% among them have not only used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also agre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indicator species could be beneficial for environmental education on the whole. Therefore, if the teachers in environmental education are trained to become more proficient in categorization of water creatures, the activities based on the macroscopic simple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stream will help to achieve the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targeting streams and to accelerate more structured water quality evaluations over diverse fresh water system.

      • 공공개발사업 타당성조사제도 내에서의 환경가치를 고려한 비용편익분석 개선방안

        박찬용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1695

        This study aims to recommend more reasonable institutional measures to reflect environmental value when making benefit-cost analysis(BCA) on development projects, based on current institution. To conduct research, environmental conflicts caused by controversial development projects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s. Theoretical background and case studies in Korea for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value were considered to gauge necessity and possibilities of the institutionalization.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measures to institutionalize BCA incorporating the environment value by looking at various current practices and problems which lay the legal foundation and decide the implementation of development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valuation. First, guidance should be put in place within possible level to realize environmental valuation and to minimize controversy over the process. The guide should include principles and categorizing system of valuation, required level of information, adoptability of valuation methods, and other factors to be attended to.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specific government agencies take the responsibility of enacting and operating the guide in order to promote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the recommended methods. With a view to institutionalizing BCA incorporating the environmental value, the examination was conducted taking the function of current institution and roles of competent authorities into consideration based on the four related ministries in Korea. Consequently, it is proposed that the Feasibility Study carried out by individual authorities be improved to implement BCA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value, and the consultation process of Prior Environmental Performance Review System conducted wit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clude the examination of the propriety of environmental value part. To prevent any chance that Feasibility Study results are distorted by the authority in charge of development projects, the Ministry of Planning & Budget is suggested to introduce 'feasibility verification process'. After the strict verification, decisions about whether or not working expenses should be reflected, or the project should be conducted, will be made. It is proposed that the existing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be streamlined to the extent of deciding if the cost of Feasibility Study need to be included rather than if the project needs to be implemented. 이 연구는 현행 제도를 바탕으로 개발사업에 대한 비용편익분석에 환경가치를 반영하기 위한 제도화 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문헌을 통하여 그간 논란이 된 개발사업에서의 환경갈등 사례를 조사하고, 환경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과 국내 연구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제도화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법률적 기반과 개발사업의 추진을 결정하는 여러 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환경가치평가 측면에서 고찰하여 환경가치를 고려한 비용편익분석을 제도화 하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우선, 환경가치평가를 제도권 내에서 실현하고 평가과정에서의 논란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현재 가능한 수준에서 평가지침을 마련하도록 하되, 지침은 환경가치의 평가에 대한 원칙과 분류체계, 요구되는 환경정보의 수준, 평가방법에 대한 적용가능성과 유의사항 등을 구성요소로 할 것을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평가방법의 개발과 표준화의 촉진을 위하여 특정 부처에게 지침의 제정과 운영의 의무를 부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환경가치를 고려한 비용편익분석 제도화 방안으로는 국내의 4개 관련 제도를 바탕으로 현행 제도의 기능과 주관 부처의 역할 등을 고려하여 검토한 결과, 개별부처에서 수행하는 타당성조사에서 환경가치를 고려한 비용편익분석을 수행하도록 개선하되, 환경부와의 사전환경성검토 협의과정에서 환경가치 부분의 적정성을 함께 검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개발부처에 의하여 타당성조사결과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획예산처에서 ‘타당성검증’절차를 신설하여 타당성조사결과에 대하여 엄정한 검증을 거친 후 사업비의 반영여부, 즉 사업의 추진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되, 현행 예비타당성조사는 사업의 추진여부가 아닌 타당성조사 비용의 반영여부만을 판단하는 수준으로 간소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packaging materials for a sustainable future : A Review : Current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industrial food packaging

        Won Oh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95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raction between current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eco-friendly packaging technology, exploring strategies to enhance sustainability in the food packaging industry. As environmental issues become a global concern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spreads worldwide, the food packaging industry is acutely aware of the need to adopt sustainable materials. Based on this awareness, new and strengthened environmental regulations are continuously emerging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prompting eco-friendly initiatives within the packaging industry. In addition, this research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applications of major eco-friendly materials like PLA (Polylactic Acid) and PHAs (Polyhydroxyalkanoates), which are bio-polymer substances drawing significant attention in the industry. It also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and possibilities of recycled plastics (r-Plastic), which are increasingly popular as recyclable materials. While maintaining the essential functions of food packaging - storage, protec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onvenience - the study investigates the chemical properties, ease of processing,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io-polymers. Moreover, it presents methods to enhance the value of r-Plastics through refinement, quality improvement, and technologies like upcycling. However, challenges such as conflicts with existing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issues in the recycling and disposal of eco-friendly packaging materials remain unresolved. To address these issues, the study re-emphasizes the importance of using eco-friendly and biodegradable materials and focuses on research aimed at improving the chemical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se materials, particularly assessing the environmental impact during the production of bioplastics. This research addresses the conflicting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eco-friendly packaging materials, commercial value limitations, quality assurance and safety issues, and controversies over greenwashing in the modern packaging industry. These issues highlight the technical limitations of eco-friendly packaging and the complexity of regulations, emphasizing the difficulties businesses face in complying with these while operating sustainably and economically. It points out the significant initial investment and operational costs required by businesses to meet environmental standards set by national agencies, which may be passed on to consumers and may not receive adequate value recognition in the market.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finding a balance between eco-friendliness and economic sustainability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ost-benefit analysis i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co-friendly packaging materials. Finally, the study proposes that continuous attention and support from regulatory bodies, the industry, and consumers are essential. It suggests a strategic approach for the reality and future development of the eco-friendly packaging industry, aiming to minimize environmental burden while maintaining the safety and quality of food, thereby promoting industry development. 본 연구는 현행 환경규제와 친환경 포장재 기술 간의 상호작용을 조사함으로써, 식품 포장재 분야의 지속 가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을 탐구하였다. 환경 문제가 글로벌 주요 관심사로 부상함에 따라 환경 보호 의식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식품 포장재 산업 또한 지속 가능한 소재의 도입을 위한 필요성을 절실히 인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국내 및 제외국에서는 새로운 환경규제가 끊임없이 등장하며 강화되고 있으며, 이를 준수하기 위한 포장 산업계의 친환경 움직임이 이뤄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산업계에서 주요 친환경 소재로 주목하는 PLA(Polylactic Acid), PHAs(Polyhydroxyalkanoates) 등의 바이오 폴리모 소재를 선정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재활용 소재로 각광 받는 플라스틱(r-Plastic)을 중심으로 그 특성과 활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식품 포장재의 고유 목적인 식품의 보관, 보호, 정보전달, 그리고 유통 편의성을 유지하는 것은 기본 전제이며, 바이오 폴리머의 화학적 특성, 가공 용이성 및 물리적 특성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고 r-Plastic의 정제 및 품질, 업사이클링과 같은 기술을 통해 r-Plastic의 가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환경규제와의 충돌과 친환경 포장재의 재활용 및 처리 문제 등은 여전히 다양한 도전과제로 남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 및 생분해성 소재 활용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특히, 바이오 플라스틱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적 영향을 평가하여 이들 소재의 화학적 구조와 물리적 특성을 개선하는 연구가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본 연구는 현대 포장 산업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른 환경 규제와 친환경 포장재 간의 상충 관계, 상업적 가치의 한계, 품질 보장 및 안전성 문제, 그리고 그린워싱 논란을 연계하여 다룬다. 이러한 문제들은 친환경 포장재의 기술적 한계와 규제의 복잡성을 드러내며, 기업들이 이를 준수하며 경제적으로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운영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국가 기관의 환경 기준 충족을 위해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상당한 초기 투자와 운영 비용이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 있고 시장에서 충분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문제를 지적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친환경성과 경제적 지속 가능성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하며, 친환경 포장재의 개발 및 적용에 있어서 비용-효익 분석이 필수적임을 강조한다. 최종적으로, 규제 기관, 산업계,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며, 친환경 포장재 산업의 현실과 미래 발전을 위한 전략적 접근을 통해 환경적 부담을 최소화하고 식품의 안전과 품질을 유지하는 동시에 산업 발전을 촉진하는 방향을 제안한다.

      •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생태환경관련 교육내용 분석

        정선미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1695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analyze contents related to ecology in the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2)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education and ecology-environmental education, 3)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science education as an ecology-environmental education, and 4) to suggest the alternatives. About 69% of ecology-environmental contents were on ecosystem and the remainder were on the interactions between ecosystem and human. There was a tendency to educate individual knowledge rather than comprehensive concepts. Knowledge of the cognitive domain was emphasized compared to that of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In the 7th curriculum, time unit and contents of science subject were reduced and resulted in unsatisfactory ecology-environmental education. More comprehensive contents on ecosystem and ecosystem-human interactions were needed and integrated viewpoint,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should be developed for ecology-environmental education.

      • 자연소재를 활용한 야외 환경조형물에 관현 연구 : 순천만정원 환경조형물을 대상으로

        안인숙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95

        ABSTRACT As cities rapidly grow in modern society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the environment is being destroyed and there is an issue getting more interested in ‘going back to nature’ because of prevalence of thoughtless development. Due to seriousness of the environment, we became to know how precious the environment is and think about necessity of minimizing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urban residents’ lives. But environmental sculptures, which artists usually take responsibility, tend to make many mistakes that they make don’t consider background factor of environment and nature. Benefit of installation of environmental sculpture using steel and plastic to dull cityscape is clear, but the sculpture using natural materials for out-door environmental sculpture outdoor, one of the movements. A notion and features of environmental sculpture to help comprehension of environment using natural materials and examined environmental sculptures using natural materials installed on Suncheon Bay Garden were studied. Suncheon Bay Garden, the studied area which was used as exhibition venue of International Garden Exposion Suncheon Bay Korea in 2013, is reborn to Suncheon Bay Garden as after using plan.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with natural materials installed in Suncheon Bay Garden were made of plants as main material and practiced work of art disappearing from the nature by expressing works mingling with natural background of herbaceous flowers and woody plants. By experiencing and feeling such natural materials, visitors will feel preciousness of nature and necessity to preserve natural life.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head rather than solving it afterward, this research suggested artists to use natural materials and expect them to have more interest in natural materials and put in action. If people prefer sculptures using natural materials, we’ll have better environment and purify our minds by pursuing aesthetic value of human being in a city. With the identity of environmental sculpture using natural material, it is figured out that naturalness and humanity meet through environmental sculpture and, by this, vitality of nature and creative imagination of human being have live spirits. Key Words: Environment, Cityscape, Natural Materials, Environmental Sculpture

      • 이용후 평가를 통한 도심지 생태공원의 효율적 관리 방안 : 길동생태공원과 여의도샛강생태공원을 중심으로

        박선희 高麗大學校 生命環境科學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51695

        자연생태공원은 생물의 서식처를 조성·복원하고 이를 통해 시민들에게 자연체험 및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여 자연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 생태적 조경방법에 의해 조성된 공간으로서 자연과 인간의 공생에 바탕을 둔 도심지 내 지속가능한 생태공간이다. 우리나라 생태공원은 앞서 조성된 나라에 비해 늦은 편이나 우리나라 실정에 맞고, 공원 실정에 맞는 환경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다각적인 실험이 시민단체와 지역주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생태공원의 조성에 관련된 생태 모니터링과 환경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생태공원의 이용자, 설계자와 관리자에 대한 이용후평가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생태공원의 설계에서 조성, 관리까지 각 공정별로 생태적인 지속적 유지관리를 위한 생태전문가의 공동참여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생태공원의 이용자와 설계자, 관리자의 이용 후 평가를 통한 문제점을 도출하여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안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도심지 내 조성된 길동생태공원과 여의도샛강생태공원에 이용후평가를 토대로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운영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바람직한 생태공원 조성 및 관리를 위한 공통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특별시 강동구 길동 3번지 일대의 일자산 자락 자연습지 지역을 1997년 6월 조성공사를 시작하여 1998년 12월 14일 준공하여 1999년 5월 24일 개장한(길동자연생태공원, 2011) 길동생태공원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의 저습지로 주변 환경이 열악한 방치상태였던 샛강을 1997년 9월 우리나라 최초의 도시하천의 생태적 재생 및 복원사업하고(이신혜, 2005: 41) 2008년 1.2km인 샛강을 확대하여 4.7km로 재정비한 여의도샛강생태공원의 설계자와 관리자,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지 선정기준은 첫째, 서울시 내 생태공원 중 공원 내 생물학적인 변화에 대한 평가도 필요하므로 생태적 안정성을 이룬 시점이라고 판단되는 조성 후 5년 이상이 된 생태공원을 대상으로 삼아야한다. 둘째, 지속적인 생태적 안정을 위해 이용시간에 제한을 둔 공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부지의 특성에 따라 유형 분류하여 이용 빈도가 가장 많고 생태프로그램이 활성화된 공원으로 선정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2012년 5월부터 7월까지 현장조사와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8월부터 10월까지 심층인터뷰 및 설문조사 및 결과 분석하였다. 내용적 범위는 관련 문헌과 보고서, 대상지 생태공원과 주변 환경의 조사를 통하여 현황조사 및 분석을 통해 사례의 특성을 종합하고, 설계, 관리, 이용의 과정에서의 설계자와 관리자의 심층인터뷰 및 이용자 설문을 통해 생태공원의 특성을 고려한 설계와 관리, 이용의 현황을 분석하고 앞으로 생태공원 조경 설계 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생태공원의 개념 및 특성, 유형과 이용후평가의 개념 및 방법, 필요성 등에 대해 문헌을 통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이용후평가 방법에서 옥외공간의 평가방법으로 문헌조사, 설문조사, 현장조사에 의해 수집된 자료와 인터뷰를 통한 기법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한계점으로 인터뷰의 경우 개인적 견해가 많이 반영되어 객관적인 정보를 사용하기 어려울 때가 있으므로 인터뷰의 진행과정에서 확실한 정보를 얻기 위해 자유응답설문과 제한응답설문을 통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가방법은 도출된 평가요소를 5점 리커트 척도로 이용하여 중요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고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생태공원 문제점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향후 생태공원 계획 시 고려되어야 할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설문 설계는 이신혜(2005)의 생태공원 이용후평가의 틀을 인용하여 활용하였으며, 예비조사는 설문문항의 신뢰도가 검증되어 제외하였다.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는 2012년 9월 27일에서 9월 30일까지 4일 동안 실시하여 조사된 길동생태공원 102부, 여의도생태공원 110부를 유효 표본으로 하고, 통계처리는 SPSS 20.0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도심 내 생태공원의 이용후평가 연구로 기존 제시된 연구의 문헌 고찰을 통해 생태공원의 기본특성에 준한 생태공원 이용후평가의 틀을 인용, 활용하여 길동생태공원과 여의도샛강생태공원을 대상으로 생태공원의 설계자, 관리자의 인터뷰와 이용자의 이용특성과 행태적 이용후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용자의 이용 전 중요도와 이용 후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생태공원의 설계, 유지관리 계획, 생태적 전문 인력채용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할 기초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적 측면에서는 생태공원의 조성 당시부터 현재까지의 약 14∼15년이 지나 자연환경의 식물상, 동물상은 점차적으로 종수와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길동생태공원의 경우 생태적인 안정화 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판단되나, 여의도샛강생태공원은 도시하천의 침수와 인근 염류 수원의 유입으로 불안정한 상태로 판단되어 지속적인 모니터링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해당 사례 생태공원 이외에도 각 생태공원별 생태학적 추이 연구를 통해 급격히 변해가는 지구온난화 등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비하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보완되어야 한다. 둘째, 설계자 측면에서는 인터뷰를 통해 설계 시 타 생물 분야와 공동참여의 중요성과 목적에 맞는 공원 설계를 통해 도심 안에서 자연생태공간에서 소생물이 살아가는 터전을 마련하는 설계 철학으로 사람은 관망자이고 자연 스스로 회복함을 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설계의 철학이 이용자들에게 인식되어지는 것은 이용자 설문을 통한 분석 결과에서 나타났다. 이용자의 의견으로 주변 환경과 조화로운 자연경관 형성과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환경 제공 및 보호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설계자의 의도가 이용자에게 전달되었음을 알 수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생태공원 설계자는 다각적인 측면에서 자연현황, 인문현황, 주변 환경을 고려하고 특성에 맞는 계획적인 설계로 조성하고, 이용계획에서도 자연과의 조화를 우선으로 하고 현재 낮은 연령대에 집중되어있는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층이 참여할 수 있는 실버세대를 위한 프로그램, 중년세대를 위한 프로그램, 주부를 위한 프로그램 등 연령대별 프로그램의 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전문적인 생태교육을 위해 생물전공 은퇴자를 활용하여 안내자의 역할을 하는 전문 인력 활성화와 체계의 수립이 반영되어야 한다. 셋째, 관리자 측면에서는 해당 생태공원의 지형적 특성을 파악하고 매년 일어나는 수해 등을 미리 예측하여 대비하여야한다. 길동생태공원의 경우 도로 소음으로 인한 생물들의 불안정 조장으로 인한 생육부진 및 이용자들의 소음으로 인한 이용불편 민원 발생 등을 고려하여 생태공원 외곽부에 현재 되어 있는 울타리를 보완하고, 도로와 완충되는 식재대에 다층으로 밀식하여 차음 식재한다. 또한, 도로의 신호 시스템에서 일부 구간의 속도제한 구간을 마련하여 동식물들의 서식을 위해 도로 소음을 저감방안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여의도샛강 생태공원의 경우 하천 범람으로 인한 피해로 인해 복원 및 복구가 필요할 때에는 수종 선정에 있어서는 무엇보다 하천변의 염류와 침수 피해에 대한 내성이 강한 수종의 선정이 필요하다. 미국 농무성에서는 수변지역에서 침수피해에 대해 내성이 강한 수종을 교목, 관목 등으로 구분하여 추천하였는데 대표적인 친수성 수종으로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도입되어지고 잘 알려진 포플러 및 버드나무뿐만 아니라 은단풍, 낙우송,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포함되며 이들 수종을 이용하여 수변림을 조성하였을 때 양호한 생존율이 유지되며, 수질오염물질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어 수종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식재의 방안이 필요하다. 생태적 교란을 저감시키기 위해 순응적 관리를 통해 문제점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히 생물 전공 은퇴자를 활용한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복원, 복구되어야 한다. 시설적 관리로는 안내판 및 생태해설판의 미설치 구간에 구분하여 조성하고, 내용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서식생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전달이 필요하다. 생태공원이 목적으로 휴게시설이 많지는 않으나 대부분 자연재질의 소재로 노후화에 따른 세심한 보완 및 교체로 안정성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계절별 정기적으로 운영되는 프로그램은 성인을 위한 연령대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새롭게 운영하고 생태공원의 활성화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생태공원을 관리 시에는 식물 및 시설물의 문제점해결을 위해 생물전공 은퇴자를 활용하여 생물별로 서식처를 관리하고 지속적인 순응적 유지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넷째, 이용자 특성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생태공원의 이용자는 대체적으로 30대 주부인 여성의 이용률이 높으며 가족이 함께 오전보다 오후에 함께 동행하는 형태가 많이 나타났다. 그 밖에도 회사원, 학생을 중심으로 20∼50대로 고르게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공원 이용자들은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의견을 나타내며 대부분 기회가 된다면 참여의 의견을 피력하였다. 따라서 생태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테마별로 다양한 계층의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시설, 프로그램을 도입공간 및 휴게공간을 활용하여 설계 시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용특성으로는 많은 비율을 차지한 관찰로와 산책로의 중요성과 가벼운 운동 및 산책의 시설이용률의 만족도는 생태공원의 특징적 이용보다 일반적 공원의 이용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생태공원 특성의 중요도 인식 결과에서는 다양한 생물 서식환경의 조성 및 보호를 중요성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보아 생태공원 운영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생태공원에 대한 인식 변화와 뚜렷한 방문목적의 교육, 올바른 이용방법 등의 정보를 홍보한다면 운동 목적으로 산책로의 중요성 인식이 아닌 비록 도심 속의 자연에서의 다양한 생물서식환경의 제공이나 이것이 얼마나 중요하지를 인식하게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생태공원 홍보를 통해 전체적으로 가장 만족도가 낮은 방문자 센터를 활용하여 관리기관에서는 보조적으로 도움을 주고 이용자들이 주인의식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운영하는 환경교육 및 생태학습을 위한 교재, 전시물 등의 개발 참여 등을 계획하여 원활한 교류가 이루어지는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길동생태공원과 여의도샛강생태공원을 대상으로 설계자, 관리자, 이용자에 대한 이용후평가 결과분석을 통해 문제점 도출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도심 내 생태공원의 조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추후 기존의 생태공원의 이용후평가 연구에서 이용자만의 이용후평가가 아닌 각 공정별 대상을 선정하여 설계자, 관리자, 이용자로 분류한 이용후평가의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생태공원의 지형적 특성에 따른 생태공원 이용후평가의 틀을 보완하여 지형별 생태공원의 이용후평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