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성인에서 성별에 따른 수면장애 관련 요인 비교

        김보정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Abstract Comparison of factors related to sleep quality by gender in Korean adults Name: BO JUNG KIM Department: Epidemiology & Health Informatics Thesis Advisor: Byung Chul Chun, MD, MPH, Ph D Objective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poor sleep quality and identify related gender-specific factors in Korean adults. Method: Study subjects included a nationwide sample of 228,340 individuals aged ≥19 years (females: 57.2%, males: 42.8%) who participated in the 2018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collected from 110,740 subjects were analyzed, excluding those who did not complete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survey.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was used for assessing sleep quality. Poor sleep quality was defined as a total PSQI score of ≥8.5. The chi-square test or t-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 The overall prevalence of poor sleepers was 31.3% (males: 26.0%; females: 36.1%). Older age, divorced status, widowed status, unmarried status, low income, low education level, smoking, drinking, non-participation in walking, perceived poor health status,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all associated with poor sleep quality in both males and females. However, job classific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sleep quality for men, whereas an association was present for women. This study showed that women experience more poor sleep quality than men, and that there are more factors that potentially affect sleep quality in women. Conclusion: We found that poor sleep quality was more prevalent in women than in men. Because this study relies on cross-sectional data, causal inferences cannot be made; furthermore,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birth experience, menopause, menstrual cycle, etc.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address these questions. Key words: Sleep quality,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Nationwide sample.

      • 성인에서 Helicobacter pylori 감염과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과의 연관성

        조성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요약 성인에서 Helicobacter pylori 감염과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과의 연관성 조성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역학 및 보건정보학과 (지도교수: 천 병 철, MD, MPH, PhD.) 목적: 성인에서 H. pylori 감염 유무에 따른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의 연관성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중앙대학교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 내시경을 시행하여 조직검사상 H. pylori 감염 결과가 있는 768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H. pylori 감염 양성인 군과 음성인 군, 두 군으로 나누어 이들의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분석하였다. 연속형 변수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낸 후, 평균을 이용하여 t-test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범주형 변수는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총 콜레스테롤은 240 mg/dL를 기준으로 미만과 그 이상인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144 mg/dL, 중성지방은 156 mg/dL,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80 mg/dL를 기준으로 하여 성별, 연령, 신체질량지수를 보정하여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령 50세 미만과 이상으로 나누어 전체 대상자에서 실시한 분석 방법으로 하부군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 768명 중 양성군은 386명이며, 음성군은 382명이다. H. pylori 양성군이 음성군에 비해 중성지방 수치가 156 mg/dL 이상으로 높을 위험이 1.18배였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50세 미만 대상자는 양성군이 음성군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240 mg/dL 이상으로 높아질 위험이 1.03배이며,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양성군이 음성군에 비해 144 mg/dL 이상으로 높아질 위험이 1.08배, 중성지방은 양성군이 음성군에 비해 1.42배 156 mg/dL 이상으로 높아질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50세 이상 대상자는 중성지방 수치가 156 mg/dL 이상으로 높아질 위험이 양성군이 음성군에 비해 1.03배 높아질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성인에서 H. pylori 양성군과 음성군 간에 혈충 콜레스테롤 수준의 차이는 없었다. 주제어: Helicobacter pylori,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 지질계수, 단면연구 Abstract Associa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blood cholesterol level in adults <Cho sunghee> Department of Epidemiology and Health Informatic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Supervising Professor: Byung Chul Chun, MD, MPH, Ph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lood lipid level in subjects according to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ion. Methods: A total of 768 subjects who underwent a regular health check-up was enrolled and analyzed. Each subject underwent esophagogastroduodenoscopy with gastric mucosal biopsy, and H. pylori infection was determined by histological examination.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 pylori positive and negative. Lipid profile were measured in all subjects. For univariate analysis, continuous variables were compared using the Student's t-test and categorical variables were compared using the chi-square test. Age, sex and body mass index (BMI) were adjusted by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Elevated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were identified as values greater than 240 mg/dL, 144 mg/dL, 80 mg/dL and 156 mg/dL, respectively. Dividing the age of 50 years, sub-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plore the association in each age-group. Results: A total of 386 subjects was included in positive group and 382 subjects were included in negative group. After controlling confounder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adjusted odds ratio of H. pylori infection for high triglyceride level (≥156 mg/dL) was 1.18 (P=0.34). In the subjects under 50 years of age, after controlling confounder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adjusted odds ratio of H. pylori infection for high total cholesterol level (≥240 mg/dL) were 1.03 (P=0.92) in total cholesterol, 1.08 (P=0.74) in LDL-cholesterol level (≥144 mg/dL) and 1.42 (P=0.16) in high triglyceride (≥156 mg/dL), respectively. In the subjects over 50 years of age, H. pylori infection was also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lipid profiles. Conclusion: H. pylori infection was not associated lipid profiles in regular health check up data in this study. Key words: Helicobacter pylori, cholesterol level, lipid profiles, cross-sectional study

      •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실태와 수면에 관한 연구

        최준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요약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실태와 수면에 관한 연구 최 준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과학과 (지도교수 : 이은일, M.D., Ph.D.) 목적: 본 연구는 병원 근무자의 야간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실태와 수면의 질, 불면증과의 관련성을 보고자 하는 연구이며 수면과의 관계를 분석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 A대학교 병원 검사실 근무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지 193부를 분석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수면의 질은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불면증은 AIS(Athens insomnia scale)를 활용하였으며 설문항목은 일반적 특성, 야간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시간대와 사용시간, 수면위생과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교차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면의 질과 불면증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단변량 분석 결과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야간 사용시간이 많거나 잠자리에서 사용하는 경우 수면의 질이 낮아지고 불면증의 심각도가 높아지는 것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로지스틱 다변량 분석 결과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오즈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성만 확인되었다. 결론: 야간에 장시간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하거나 잠자리에서 사용하는 경우 수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 근무자의 디스플레이 장치 야간 사용패턴, 주말 수면습관과 수면의 질, 불면증 관련성을 분석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주요단어: 디스플레이 장치, 수면의 질, 불면증 Abstract Associations between display unit usage and sleep Jun Choi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Supervising Professor : Eunil Lee, M.D., Ph.D.)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display devices at night and the sleep quality with insomnia to provide the health effects of several display devices including cell phone, computers and TV.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the laboratory workers of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with analyzing 193 subjects. As for research tools, PSQ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was used for sleep quality and AIS (Athens insomnia scale) for insomni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e time and hours of using display devices at night, sleep hygiene and environment.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Sleep quality and insomnia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Univariate analysis showed some significant factors affected sleep quality including use of smartphone or tablet PC at night or in bed, age, marriage status, alcoholic drinking habits and weekend sleeping time. Insomnia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ome factors including use of smartphone or tablet PC in bed and marriage statu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increasing risk of sleep quality and insomnia by use of smartphone or tablet PC at nighttime or in bed, however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is a negative effect on sleep with the longer use of a smartphone or tablet PC at night or and with the use of smartphone or tablet PC in bed. Further large study is needed to find the associations between sleep and use of other display devices including computers and TV. Keywords: Display devices, Sleep quality, Insomnia

      • 지속가능보고서를 통한 기업의 환경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조용민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목적 : 기업의 환경 커뮤니케이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기업은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이해관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실시하고 있으며 보고서의 발간은 그 대표적인 형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보고서를 통하여 기업들이 제공하고 있는 환경성과의 내용이 어떠한 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는지 알아보고 가이드라인에서 구분하고 있는 환경성과의 항목을 범주화하여 기업의 입장과 이해관계자의 입장에서 각각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분야가 어떠한 것인지 알아보았다. 또한 기업의 환경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기업과 이해관계자 집단 간의 개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상호 간의 쌍방향적인 소통을 이루는데 있어 필요한 사항을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보고서에서 다루고 있는 환경성과들이 보고서 작성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환경성과지표를 얼마나 담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가이드라인의 각 환경성과지표들에 대한 기재율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년 4월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간되어 GRI에 등재된 87개 지속가능보고서를 대상으로 GRI ‘G2’, ‘G3’와 환경부의 ‘2007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의 각 환경성과지표들에 대한 기재율을 파악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기업의 환경성과보고 및 환경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있어 우선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영역이 무엇인지 알아보았으며 다차원척도분석을 통하여 환경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필요한 다양한 가치들의 상호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설문조사는 기업의 환경 담당자 및 관리자 집단과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 집단으로 구분, 비교하여 각 집단 간 개념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환경보고 가이드라인의 각 항목에 대한 기재율 조사 결과, 에너지&#8228;물자원 사용, 폐기물&#8228;폐수&#8228;대기오염물질 배출 등의 정량적인 수치를 제공하는 ‘환경영향 및 성과’ 측면에 대한 기재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2007 환경보고서 가이드라인’에서 분류하고 있는 ‘환경비젼 및 전략’, ‘환경경영시스템’, ‘환경영향 및 성과’, ‘이해관계자 파트너십’의 네 영역에 대한 중요도 조사에서 기업 집단과 이해관계자 집단 모두 ‘환경영향 및 성과’ 영역에 가장 높은 중요도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이는 지속가능보고서의 기재율 조사에서 가장 높은 기재율을 보인 영역이다. 기업의 환경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있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가치에 대한 설문에서는 기업 집단의 경우 ‘환경오염의 방지’와 ‘환경법규의 준수’ 등에 대한 중요도가 높았으며, 이해관계자 집단에서는 ‘환경오염의 방지’와 ‘생태계 보호’ 등의 중요도가 높았다. 반면 ‘경영이익의 극대화’ 항목에서는 기업 집단이 이해관계자 집단에 비하여 보다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다차원척도분석을 통한 환경 커뮤니케이션의 가치들에 대한 상호 연관성 분석 결과, 기업에서는 ‘환경오염의 방지’에 대하여 ‘경영이익의 극대화’의 측면으로, ‘생태계 보호’에 대하여 ‘브랜드 가치 상승’의 측면으로 관련된 반면, 이해관계자에서는 ‘환경오염의 방지’에 대하여 ‘생태계 보호’의 측면으로, ‘환경법규의 준수’는 ‘지역사회 환경보전’의 측면으로 관련성을 부여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기업과 이해관계자 집단 모두 환경성과보고의 구성항목 중 기업이 발생시키는 다양한 환경영향을 정량적인 수치로써 제공하는 ‘환경영향 및 성과’ 항목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실제로 보고서가 제공하는 환경성과 중 ‘환경영향 및 성과’를 가장 비중있게 다루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업의 환경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있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가치에 대한 조사에서 기업 집단과 이해관계자 집단 간의 개념에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기업 집단이 환경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경영적인 측면을 보다 비중있게 고려하는 반면이해관계자 집단의 경우 환경 수용체 측면에서의 고려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를 위하여 기업과 이해관계자 집단 간의 개념 차이를 줄이고 기업의 경우 환경방침과 환경보고에 있어 경영성과 보다는 환경 수용체에 대한 우선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 일개 대학병원에서 항생제 사용량과 병원감염을 일으키는 주요균주 내성률과의 연관성

        김경분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요약 일개 대학병원에서 항생제 사용량과 병원감염을 일으키는 주요균주 내성률과의 연관성 김경분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역학 및 보건정보학과 (지도교수: 천 병 철)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항생제 사용농도(AUD)를 이용하여 각 항생제 사용량을 산출한 후, 항생제 사용량과 증가하는 세균의 항생제 내성률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2002년 3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일개대학병원의 전산통계자료를 근거로 하여 입원환자의 항생제 사용량과 세균의 내성률을 분석하였다. 첫째, 항생제 사용농도(AUD)는 {총량/(DDD*연환자수)}*1,000으로 정의하여 각 항생제를 계열별로 분류하여 AUD를 산출하였다. 둘째, 병원에 입원 후, 48시간이 지난 후에 검사가 진행된 검 체에서 분리된 균중에 병원감염의 주요균주인 A. baumannii, E. cloacae, K. pneumoniae, P. aeruginosa, S. aureus의 다섯균에 대해 항생제 내성률을 분석하였다. 셋째, 산출된 각 계열별 AUD와 주요균주의 항생제 내성률과의 연관성을 상관분석 및 시계열분석을 하였다. 결과 : 항생제 사용량과 세균의 항생제 내성률이 증가하는 자료를 이용해 상관분석을 하였다. 첫 번째로 항생제의 계열별 사용량과 내성균과의 상관분석결과 1세대 cephalosporin사용량과 cephalothin내성 K. pneumoniae(상관계수=0.381), carbapenem사용량과 imipemem내성 P. aeruginosa(상관계수=0.297)의 관계에서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났다. 두 번째로 단일 항생제의 사용량과 내성균과의 상관분석 결과 ciprofloxacin사용량과 ciprofloxacin내성 A. baumannii(상관계수=0.386), piperacillin/ tazobactam사용량과 piperacillin/tazobactam내성 A. baumannii(상관계수=0.299), ceftazidime사용량과 ceftazidime내성 K. pneumoniae(상관계수=0.309), ciprofloxacin사용량과 ciprofloxacin내성 K. pneumoniae(상관계수=0.379)의 관계에서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났다. 위의 상관분석 결과와 세균의 항생제 내성률이 증가한 자료를 이용한 시계열 분석에서는 13개월 차의 3세대 cephalosporin사용량이 cefotaxime내성 K. pneumoniae증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 항생제의 사용이 증가하면 세균의 항생제 내성률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세균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하는 여러 기전과 내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을 보완한다면 더 유용한 연구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주제어 : 항생제 사용농도, 세균의 항생제 내성률, 항생제, 병원역학, 시계열 분석

      • 국내 보건대학원 보건정책 전공자 석·박사 학위논문의 연구 경향 분석

        하신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목적 : 보건정책 전공자 및 전문가들이 연구의 중복을 피하고 필요로 하는 정확한 연구 자료를 얻기 위해 지금까지 수행되지 않은 학위논문의 경향성을 파악, 연구 지표를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보건정책분야 연구 경향의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보건정책분야 연구자 및 학위 수여를 위해 수학하고 있는 전공자들에게 바람직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 2003년에서 2010년 사이에 국회도서관에 납본된 보건정책 전공 석·박사 학위논문 원문 575건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보건관리연구(HSR) 분류체계를 적용,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으며 학위논문의 타이틀(논제)에 사용된 키워드(단어)를 추출, 보건복지백서, 대통령업무보고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 보건정책 전공자의 575건 학위논문은 전체 보건대학원 학위논문 대비 25%를 차지하였고 연도별 비율은 2005년을 기점으로 일시적을 증가하였다. 분류항목과 적용 결과 16개 분류항목 전 영역에 걸쳐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6개 대분류 항목에서 논문의 73%가 집중되었다. 연도별 논문수는 6개 항목에서는 지속적 발행 증가 경향을 확인하였으나 10개 분류항목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다. 4개 대학에서는 16개 분류항목 전반에 걸쳐 연구가 이루어 졌고 상위 6개 분류항목에 연구가 집중되었다. 575건의 타이틀(논제)을 통해 추출된 키워드(단어) 2,823개의 분석 결과 31개 키워드(단어)가 23%의 점유율을 가졌고 ‘영향요인’, ‘노인’, ‘환자’, ‘영향’, ‘만족도’, ‘관련요인’과 ‘의료이용’이 최다 빈도를 보였다. 이 중 5개 키워드(단어)에서만 연도별 사용 빈도 증가가 관찰되었다. 보건복지부 백서에서 추출한 4개 키워드(단어), ‘고령화’, ‘국민건강보장’, ‘국민안전보장’, ‘저출산’과 대통령연두업무보고에서 추출한 10개의 키워드(단어), ‘고령화’, ‘보건의료산업’, ‘건강보험’, ‘의약분업’, ‘저출산’, ‘장애인’, ‘보험재정’, ‘노인요양보험’, ‘오송생명과학단지’,와 ‘간병서비스’를 2,823개 키워드(단어)와의 일치 및 사용 빈도를 조사한 결과 ‘노인’과 ‘보험재정’에서만 일치 및 다빈도 사용이 관찰되었다. 결론 : 연구대상 학위논문 575건은 보건관리연구(HSR) 분류항목 전 영역에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특정 분류항목에 편중되고 있었고 연구자들의 학위논문이 정부의 보건정책 흐름을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학위논문 연구자들의 현실 참여적이고 책임 있는 논제 선택 및 연구가 필요하며 정부의 보건정책에 대해 보다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Objectives : In order to avoid study overlap and to find accurate data, we need to study research trends of masters and doctoral theses which no one has studied in Korea and to suggest graduate students studying health policy and researchers for research indicator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offer the preliminary data on research trends of health policy and to suggest graduate students studying health policy and researchers for the advisable direction of research. Methods : 575 masters and doctoral theses on health policy from 2003 to 2010 that selected from a legal deposit National Library in Korea were analyzed with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health services research (HSR) which were developed by a former researcher. The keywords that were extracted from 575 masters and doctoral theses on health policy from 2003 to 2010 were compared with the White Paper and the beginning-of-the-year task report of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sults : 575 masters and doctoral theses on health policy hold 25% of masters and doctoral theses articles have increased with time and three main research areas are health from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in Korea. The average annual rate of increase was observed since 2005. The study on 16 items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health services research (HSR) was conducted without exception and some studies focused too much on 6 items (73%)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HSR. It finds that the annual number of theses showed a rising tendency in 6 categories except 10 categories. At 4 graduate schools in Korea Studies on 16 items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HSR have conducted without exception and some studies focused on 6 top rank items. Results of analysis of 2,823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the titles of 575 papers showed that 31 keywords hold 23% (641) and 6 words (‘influencing’, ‘old’, ‘patient’, ‘satisfaction’, ‘related factors’ and ‘using medical services’) were top ranked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s. It finds that the annual increasing use of words was observed in 5 words of the most frequently used 6 words. Analyzing 4 keywords (‘aging’, ‘national health assure’, ‘national security assure’ and ‘low birth rate’) extracted from the White Paper and 10 keywords (‘aging’, ‘health care industries’, ‘health insurance’, ‘separation of dispensing and prescribing function’, ‘low birth rate’, ‘the disabled’, ‘fund insurance’, ‘Long-Term Care Insurance’, ‘Osong Bio-Health Science Technopolis’ and ‘nursing service’) extracted from the beginning-of-the-year task report with 2,823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the titles of 575 papers indicated that ‘old’ and ‘fund insurance’ were used frequently. Conclusion :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study on each item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health services research (HSR) was conducted without exception but some studies focused too much on specific items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HSR. And the paper found that theses have not reflected the Korean government’s health policy. These findings suggest graduate students studying health policy and researchers should find and study subjects reflecting fields of the government’s health policy and needs of Korean society.

      • 한국 성인 여성의 유방암과 자궁경부암 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중심으로

        장영은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요약 한국 성인 여성의 유방암과 자궁경부암 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장 영 은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역학 및 보건정보학과 (지도교수: 천 병 철, MD, MPH, Ph.D.) 목적 : 본 연구는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여성암 검진 수검행동 및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암 종류별로 영향 요인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건강면접조사 34,145명중 조사에 참여한 33,848명(참여율 99.1%) 가운데 성인여성 13,439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다. 한국 암검진 권고안(유방암, 자궁경부암)에 따라 유방암은 만 35세 이상 여성으로, 자궁경부암은 만 20세 이상 여성으로 한정하였고, 그 결과 유방암검진 대상자 3,048명과 자궁경부암검진 대상자 4,153명이 선정되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성암 검진 수진여부에 수검행동 및 그와 관련된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Rosenstock(1966)에 의해 제시되었고, Becker(1974)에 의해 수정된 건강신념모델(Health Belief Model)의 요인을 세 가지 조정요인(modifying factors)으로 하여 인구&#8228;사회&#8228;심리적요인(demographic sociological variables), 구조적요인(structural variables), 행동계기 요인(cause to action)을 분석해 보았으며 여성암 수검 행위에 있어 영향요인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모든 자료의 분석은 SPSS 12.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의 판정은 유의수준 5%로 하였다. 결과 : 유방암의 경우 만 40세 이상의 여성은 만 35세 이상인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낮았으며(OR=0.75), 아파트에 거주하는 여성이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높았다(OR=1.80). 4인 이상 가족의 여성이 3인 이하 가족의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높았으며(OR=1.1), 500만원 이상인 여성이 100만원 이하인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높았다(OR=2.64). 민간보험이 있는 여성이 민간 보험이 없는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낮았고(OR=0.61) 암 가족력이 있는 여성이 암 가족력이 없는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높았다(OR=1.81). 이 외에 지역, 월평균가구소득, 주관적 체격인식, 교육수준, 직업, 결혼여부, 흡연여부, 음주여부, 일상생활 활동정도, 주관적 건강상태는 유방암 수검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자궁경부암의 경우 수검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연령, 거주형태, 가구원수, 민간보험여부, 교육수준, 우울증 등이었다(p<.005). 연령에서는 40대 여성이 20대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높았으며(OR=2.18), 거주형태는 아파트에 거주하는 여성이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높았다(OR=2.22). 가구원수에서는 4인 이상인 여성이 3인 이하인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높았으며(OR=1.14), 민간보험여부에서는 보험이 있는 여성이 보험이 없는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낮았다(OR=0.44). 교육수준에서는 초졸이하인 여성이 고졸이하인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높았으며(OR=1.42), 대졸이상인 여성은 고졸이하인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낮았다(OR=0.47). 우울증에서는 우울증이 없는 여성이 우울증이 있는 여성보다 검진을 받을 확률이 더 낮았다(OR=0.45). 결론 : 이상의 결과를 참조하여 향후 암 수검률이 낮은 취약 요인들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유방암과 자궁경부암은 조기검진을 통해서 발생률을 줄일 수 있으며, 조기에 검진만 되면 완치율이 높은 암 중의 하나이므로 조기 검진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각인 시켜줄 계기가 필요하며 행동요인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조기 암 수검률이 향상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Analysis of the Association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 Breast and Cervix Cancer Screening in Korean women - based on the 2005 Korean National Examination Health and Nutrition Survey Jang, Young-eun Department of Epidemiology and Health Informatic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Supervising Professor : Chun, Byung-chul, MD, MPH, Ph.D.) Objectives : While cancer screening studies have been done by some national health community centers in Korea, they are insufficient to predict the course of the disease or clarify precipitating factors.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association factors influencing breast and cervical cancer screening. Methods : Among 13,439 females recruited in the 2005 Korean National Examination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is study involved 3,048 females >35&#8208;years&#8208;of&#8208;age for breast cancer screening and 4,153 females >20&#8208;years&#8208;of&#8208;age for uterine cervical cancer screening. Differences were compared between the examined and unexamined women, and demographic sociological, structural, and causal factors were analyzed by applying modifying factors of the Health Belief Model. Results : Age, habitation, family size, monthly income, health insurance, and cancer family histor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women screened for breast cancer compared to those who were not. Age, habitation, family size, health insurance, educational level, depressive episode were significant in cervical cancer screening. Conclusion : Special health care administration is necessary for high risk groups and early detection of the common female cancer (breast and cervical) patients by screening tests are essential for community health care.

      • 소아의 치과 의료기관 선택 요인

        이지숙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aimed firstly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the actual conditions of selecting dental clinics, the diverse aspects of dental service for children, the level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dental service, and the selection of dental clinics. The second aim was to help dental clinics reflect these effects in their substantial management practices in order to provide dental service of good quality to patients, especially young children. For these research goals, I investigated the families from eight apartments of Seoul. The study subjects were parents with a one- to thirteen -year-old child, who had visited a dental clinic within the previous six months, and who filled out the questions for themselves. The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factor analysis, t-test, ANOVA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he main findings are presented below. First, the parents'' selection of dental clinics was in the order of children''s dental clinics, dental clinics, dental hospitals, children''s dental hospitals, University-General hospitals and Dental Clinics of Public Health Centers. Second, the diverse aspects of dental service for children showed that in most cases, the Mothers rather than the fathers selected the dental clinic, and brought their children to a dental clinic mainly for caries treatment. They mostly selected a dental clinic by word of mouth from friends, relatives, families, and neighbors. Regardless of transportation means, they preferred a dental clinic closer to their homes. They spent 20,000 to 100,000 won for the dental treatment, and considered the cost to be a financial burden. Most of the parents answered that their children''s dental health condition was good and that they obtained most information about dental disease and dental health in a dental clinic. Thir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s differed over a wide type of dental care units. The satisfaction level of children''s dentistry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dentistry. Among dental clinics, dental hospitals, and University-General hospital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latter was the lowest. Fourth,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the selection of a dental clinic was divided into four factors: reliability, treatment environments, modern image, and approachability of dental care units. Fifth, the selection factors of dental care units differed. The reliability, treatment environments, and modern image ofdentistry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general dentistry,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pproachability of dental care units. Among dental clinics, dental hospitals, and University-General hospitals, dental hospitals were the highest in the reliability of dental care service and the approachability of dental care units. In modern image, dental clinics were the lowest. In the treatment environments for young children, dental hospitals were the highest. Sixth, the affected factors for selecting dental care unit are as follows. The main factors for selecting dental clinics and dental hospitals in general were the number of their medical personnel with the size of dental clinic. The main factors for selecting children''s dental clinic, instead of general dental clinic, were a familiar atmosphere and interior design for children, managing service with a good bedside manner, and the medical staff of authorized pediatric dentists. The factors for selecting dental hospital, instead of dental clinic, were the number of their medical personnel with the size of dental clinic and the medical staff of authorized pediatric dentists. In conclusion, the most important variable for selecting dental care unit were the size of clinic, the number of medical staff, children oriented environment in interior, a management skill with good bedside manner, and the staff of authorized pediatric dentists. It thus appears that these factors to manage of the children dental care in modern society should consider as managing tool by grouping or targeting. Also, to make an active approach for selecting dental care should preserve manager''s effort with service differentiation. 본 연구는 소아의 치과 의료기관 선택 실태와 소아의 치과 의료서비스 이용 양상, 치과 의료기관 서비스 만족도 및 치과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치과 의료기관으로 하여금 소아 의료 소비자들에게 양질의 치과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요소를 찾아 이를 실질 경영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서울시 4개구에 위치한 각 구의 아파트 단지 2곳 등 총 8곳을 선정하였고, 아파트 단지 주민 중 지난 6개월간 치과 의료기관을 이용한 만1세부터 13까지 소아 자녀를 둔 부모를 설문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완전하게 작성된 자료 411부를 chi-square test, 요인분석, t-test 및 ANOVA 검정, 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아의 치과 의료기관 선택은 소아치과의원, 치과의원, 치과병원, 소아치과병원, 대학·종합병원, 보건소 치과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아의 치과 의료서비스 이용 양상 조사결과 치과 의료기관 선택 결정자는 어머니가 가장 많았고 충치치료의 내원 목적이 가장 많았으며 내원 경로는 타인의 소개가 가장 많았고 교통수단과 관계없이 치과 의료기관까지의 내원 소요시간은 15분 이내가 가장 많았다. 자녀의 치과 의료비 지출은 2~10만원 사이가 가장 많았고 이러한 치과 의료비 지출은 가계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생각하는 자녀의 구강 건강상태에 대해서는 ‘보통’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자녀의 치과질환과 구강건강에 대한 정보는 치과 내원 시 가장 많이 얻는다고 조사되었다. 셋째, 치과 의료기관 유형별 치과 의료기관 서비스 만족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소아치과와 일반치과와의 서비스 만족도 비교에서는 소아치과 병·의원의 만족도가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의원급, 병원급, 대학·종합병원급과의 비교에서는 대학·종합병원의 만족도가 가장 낮아 두 그룹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소아의 치과 의료기관 선택 요인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의료서비스 신뢰성, 소아진료환경, 현대적 이미지, 의료기관 접근성 등 4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다섯째, 치과 의료기관 유형별 선택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소아치과와 일반치과와의 선택 요인 비교에서 ‘의료서비스 신뢰성’과 ‘현대적 이미지’, ‘소아진료환경’은 소아치과 병·의원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의료기관 접근성’은 두 그룹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의원급, 병원급, 대학·종합병원급 비교에서는 ‘의료서비스 신뢰성’과 ‘의료기관 접근성’은 병원급이 가장 높았고 대학·종합병원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현대적 이미지’에서는 의원급이 가장 낮아 두 그룹과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다. ‘소아진료환경’은 유의한 차이로 병원급이 가장 높았다. 여섯째, 치과 의료기관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일반치과 병·의원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병원의 규모가 크고 의료진의 수가 많기 때문에’이며, 소아치과 병·의원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린이와의 친숙한 인테리어와 분위기 때문에’, ‘직원들이 친절하고 아이를 잘 다루어서’, ‘치과의사가 소아치과를 수련한 인정의 이므로’이었다. 의원급 보다 병원급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병원의 규모가 크고 의료진의 수가 많기 때문에’와 ‘치과의사가 소아치과를 수련한 인정의 이므로’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소아가 치과 의료기관을 선택 할 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병원의 규모와 의료진의 수, 어린이와 친숙한 진료환경, 직원들의 친절과 소아 매니지먼트, 치과의사가 소아치과 인정의 인가 하는 점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난 점은 저출산의 현대사회에서 소아를 대상으로 하는 치과경영 분야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으로 여겨진다. 소아의 치과 의료기관 선택 접근도를 보다 높이기 위해 차별화된 소아 치과 의료서비스 공급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배우자 사이의 심혈관계 질환 요인의 상관성 연구

        김선영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 요약 배우자 사이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인의 상관성 연구 김 선 영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역학 및 보건정보학과 (지도교수: 이 원 진, MD, MPH, Ph.D.) 목적 : 공통된 생활양식 및 환경을 공유하는 배우자는 서로에게 심혈관계 질환에 있어서 유사한 위험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배우자 사이 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인의 상관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방법 :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순천향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부부 중 3,159쌍을 대상으로 한 단면연구이다. 배우자 사이의 모든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인들의 상관성은 피어스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일치성은 급내 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와 카파 (Kappa)로 분석하였다. 또한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인들의 Odds ratio는 남녀 배우자의 연령으로 보정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하였다. 결과 : 모든 심혈관계 위험요인들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호모시스테인(ICC=0.24)을 제외하고는 배우자 사이의 일치성은 낮게 관찰되었다. C-반응 단백의 교차비는 2.15(95%CI=1.53-3.02)로 높게 증가하였으며, 당화혈색소는 2.01(95%CI= 1.09-3.69)로 교차비가 증가하였다. 다른 연령군에 비하여 50세 이상인군에서 배우자 사이의 상관성과 일치성이 많은 심혈관계 위험요인들에서 높게 관찰되었다. 결론 : 일부분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인들 가운데 결혼기간이 오래된 배우자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배우자 사이에서 공유되는 환경적인 요인들이 심혈관계 질환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제어 : 배우자,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인, 상관성, 일치성 Abstract Spousal Correlation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un-Young Kim Department of Epidemiology and Health Informatic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Supervising Professor : Won Jin Lee, MD, MPH, Ph.D.) Objectives: Shared environmental factors may confer to spouses a similar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mong Korean couples. Methods: Cross-sectional data collected for 3159 married couples from 2004 to 2008 in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Correlation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mong spouses was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ncordance was analyzed by Intraclass correlation and Kappa index. Odds ratios were also calculated fo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fter adjustment for spousal ages. Results: Al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 however, they had low concordance of between the spouses, except for homocysteine (ICC = 0.24). Odds ratios of C-reactive protein increased the most by 2.15 (95%CI=1.53-3.02), and that of glycosylated hemoglobin increased by 2.01 (95%CI=1.09-3.69).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couples in their 50s showed a higher correlation and concordance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an other ag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spousal concordance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particluarly for couples who have long marriage duration. This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shared environmental factors in cardiovascular diseases. Key words: Cardiovascular Risk Factors, Environment, Lifestyle, Spousal, Correlation

      • 한국의 경제위기에 따른 사망률 변화 : 1998년 아시아 금융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비교

        김은혜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f the Mortality Rate in Relation to the South Korean Economic Crisis between Asian Economic Crisis in 1998 and Global Economic Crisis in 2008 Eun Hye Kim Supervising Professor : Eunil Lee. M.D., Ph.D.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Global Health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ortality rates in relation to the South Korean Economic Crisis between Asian economic crisis in 1998 and Global economic crisis in 2008. To compare the health-related problems caused by the two economic crises, we compared the mortality rates from 1997 to 2003 and from 2007 to 2013.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 provid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re classified into the Korean standard disease (KCD)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mortality rat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otal mortality, gender, and age. Methods : This study wa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 national statistical portal for statistical data over seven years from 1997 to 2003 and the causes of death over seven years from 2007 to 2013. Using the SPSS 20.1 program, the mortality rat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year, cause of death, sex, and age, and the total mortality rate, sex and age - specific mortality rates were compared with standardized mortality rates. The mortality rates for the three major causes of death in Korea were compared and these mortality rates were compared with those in previous studies. Results : Infant mortality rates and mortality rates for 0-9 years were increased during the Asian financial crisis, but mortality rates were increased in the 30-39 year age group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Cause of death such as ‘Respiratory tuberculosis unspecified, without mention of bacteriological or histological confirmation (A169)’, 'Unspecified dementia (F03)',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of newborn (P220)', and 'Suicide (X60-X84)' were increased in both economic crises. The mortality rate due to transportation accident was decreased after the two economic crises. The mortality rates of 'malignant neoplasm', 'cerebrovascular disease', and 'heart disease', which are the major causes of death in Korea, increased steadily from 1997 to 2013. Most of the deaths did not show a similar pattern in the two economic crises.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mortality rates before and after the two economic crises differed more than those in common patterns. These differences were due to the different age groups that were affected by the form and duration of the economic crisi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ushioning capacities of the local culture, policy, and health policy, and over time in the total pop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common causes of death, but the temporal causality was limited in this study.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in-depth study considering the ecological, social, and economic aspects of the individual. Through these studies, we should be able to predict the health problems that will be caused by the economic crisis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health policy by establishing preventive measures in terms of health care. Key words: Economic Crisis, Mortality Rate, Suicide Rate, Asian Financial Crisis, Global Financial Crisis 국문요약 한국의 경제위기에 따른 사망률 변화: 1998년 아시아 금융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비교 김 은 혜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 및 국제보건과학과 지도교수: 이은일 M.D., Ph.D. 목적 : 본 연구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사망원인통계를 한국표준질병 사인분류체계를 이용하여 1998년 발생한 아시아 금융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의 사망률을 비교분석하였다. 두 경제위기에 따른 건강관련 문제를 비교하기 위해 1997년부터 2003년, 2007년부터 2013년의 사망률을 비교하였다.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사망원인통계 자료를 한국표준질병 사인분류체계로 분류하여 전체사망률과 성별, 연령별 보정하여 사망률을 각각 비교·분석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03년간 7개년의 자료와 2007년부터 2013년의 7개년의 사망원인통계 마이크로 데이터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서 제공받았고, 이는 한국표준질병 사인분체계로 분류하였다. SPSS 20.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도별, 사망원인별, 성별, 연령별로 나누어 사망률을 비교하였고, 이때 전체 사망률과 성별, 연령별 사망률은 표준화사 망률로 각각 보정하여 비교하였다. 우리나라 주요 3대 사망원인의 사망률의 변화와 선행연구에서 경제위기전후로 사망률의 증가가 보고되었던 사망원인, 그리고 기타 공통된 패턴을 보인 사망원인을 중심으로 사망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아시아 금융위기에서는 영아사망률과 0-9세의 사망률이 증가한 반면,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에는 30-39세의 사망률이 증가하였다. 질병사인별로 살펴보면 ‘세균학적 또는 조직학적 확인의 언급이 없는 상세불명의 호흡기 결핵(A169)'와 ‘상세불명의 치매(F03)', ‘신생아의 호흡곤란 증후군(P220)' 그리고, ‘고의적 자해(X60-X84)'의 네 가지의 사망원인이 두 경제위기에 공통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운수사고에 의한 사망률은 두 경제위기 직후 공통적으로 감소하였다. 우리나라 주요 사망원인인 ‘악성 신생물’과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의 사망률은 1997년부터 2013년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대부분의 사망원인은 두 경제위기에 비슷한 패턴을 찾을 수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두 경제위기 전후의 사망률의 변화는 공통적인 패턴보다는 차이점이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경제위기의 형태와 지속시간, 그리고 해당지역의 문화와 정책, 그리고 보건정책에 따른 사회의 완충능력의 차이에 따라 영향을 받는 연령대가 다르기 때문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회문화와 정책의 변화로 인한 것이라고 추측한다. 본 연구결과에서 공통적인 패턴을 보인 사망원인들은 의미 있는 관련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 시간적 인과성을 설명하기에는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측면에서의 생태학적 변수와 사회적인 변수, 그리고 개인의 경제적 측면의 변수를 고려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경제위기에 영향을 받게 될 건강문제를 예측하고, 의료 보건학적 측면의 예방 대책의 수립 등 보건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겠다. 주제어 : 경제위기, 사망률, 자살률, 아시아 금융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