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발해 지역 호무스의 유래와 역사적 의의

        파히리든 키,쿠트비디노바 모히라혼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논문은 발해 지역에서 출토된 호무스의 유래와 활용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발해 유적의 고고학적 조사 발굴 과정에서 호무스의 발견은 이미 언론과 학계에서 많이 언급되고 있다. 이는 호무스가 그 자체로 서역과 중앙아시아의 사이에 많은 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주요한 단서를 가진 유물로서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한국의 많은 사람들은 아직도 호무스가 어떠한 악기인지 잘 알지 못하고, 이것이 왜 서역과 유라시아 지역의 교류를 추정하는 단서가 되는지도 피상적으로만 접하고 있을 뿐이다. 해당 악기 유물은 서역부터 유라시아 나아가 발해 지역까지 분포해 있을 정도로 유명하고 오래되었지만 여전히 이름이나 기원에 대해서는 무수한 견해가 혼재한다. 또한, 문화유산을 찾아 호무스에 대해 탐구할 때에도 참조 자료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공식적인 기록 자료조차 적다. 유럽지역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호무스에 대해서 알고 있고 검색을 통해 쉽게 호무스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왜 한국에서는 호무스가 발굴된 사례가 적고 이 악기의 존재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은 것일까? 이에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호무스에 대한 정보를 한국학계에 제공하고, 나아가 발해 유적으로서의 호무스에 대한 의의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이 밝히고자 하는 바는, 호무스를 탐구한 일반적인 역사자료나 고고학 자료를 가지고는 찾을 수 없다고 사료된다. 이에 필자는 현재까지 연구된 호무스 관련 유럽, 아시아 한국 논문들을 통해 호무스 명칭 및 분포를 파악하고 호무스 종류와 활용을 확인하였다. 또한 호무스가 어느 나라에서 발견되었고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 어느 시기 호무스인지 꼼꼼히 살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발해 지역의 호무스 현황과 특징 및 발해 지역 호무스 전파 경로와 사용 집단을 검토하고 그 역사적 의의에 대해서 추론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힌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필자는 향후 한국학계에 호무스에 관한 연구의 혼선을 줄이기 위해서, 한국학계의 통용되고 있는 ‘바르간’이라는 명칭을 ‘호무스’로의 변경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수많은 명칭 중에서도 호무스가 가장 일반적이며 보편적인 명칭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제목에서 바르간이 아니라 호무스라 칭한 것 또한 이런 연유에서 비롯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호무스는 북방 유목민들의 문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고, 전파 루트도 주로 북방유목민을 통해서 발해까지 도달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는 우선 유럽에서 발견된 최초의 호무스가 북유럽 스웨덴 웁살라에서 발굴된 호무스라는 점, 호무스와 관련된 전설의 주인공과 배경이 곰, 숲과 같이 북방유목과 관련된다는 점이다. 셋째, 호무스가 악기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고난 극복에 도움을 주는 종교적인 물품이었으며, 제사와도 관련된 사실이다. 이에 대한 근거로는 호무스 관련 전설의 주요 내용과 야쿠티아와 중앙아시아에서 활용되는 호무스의 용도임을 밝혔다. 넷째, 발해 지역에서 나온 호무스는 유목민들이 사용했던 호무스와 모양 면에서 유사하고, 호무스 발굴지역도 한결같이 발해의 도성 지역이 아니라 북부의 외각 지역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발해의 호무스가 중국(당)을 통하여 들어와 전파된 것이 아니라 담비의 길을 통해서 발해 지역에 도달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담비의 길을 통해 호무스를 발해까지 전파하고 활용했던 집단이 소그드 집단이라는 추정에 대하여 좀 더 자세한 정황을 추가했다. 호무스가 집터에서 발굴된 점, 그에 반해 그 수량이 매우 적다는 점을 감안했다. 이는 발해 지역에서 호무스를 사용한 소그드인은 발해와의 교역을 위해 일정 기간 발해에 거주했고, 이때 소그드인들이 발해 지역에 호무스를 남긴 것으로 추정된다. 이 호무스는 소그드인들의 먼 여행길의 두려움과 향수를 달래 주는 역할을 하는 물건이었으리라 생각된다. 본 논문은 관련 기록과 자료가 너무 부족해 정확한 근거를 바탕으로 논증하지 못하고, 많은 부분이 추정으로 구성된 점에서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origin and utilization of homus excavated in Balhae region. In the process of excavating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of Balhae ruins, Homus's discovery has already been mentioned constantly in the media and academia. It shows Homus itself is drawing attention as a relic with major clues that show that there has been appreciably exchanged between the West and Central Asia. However, many people in Korea still do not know what homus is, and they only have a superficial knowledge of why it is a clue to the exchange between West and Eurasia. The musical instrument relics in question are well-known enough for decades to be distributed from West Station to Eurasia and Balhae; however, there are still numerous views on their names and origins. In addition, there is not only a lack of reference but there is also a lack of official archives when exploring homus in search of cultural heritage. In Europe, most people know about Homus and they quite easily access its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why are there few cases in Korea about the excavating of homuses and most people are not aware of its existence? In response, This study would like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Homus to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and further clarify the significance of Homus as Balhae ruins. However, This study realized the situation that it is not able to find with general historical or archaeological data that explored Homus. In response, it identified the name and distribution of homus through the European and Asian Korean papers that have been studied so far and confirmed the type and utilization of homus. It also scrutinized in which countries, for what purposes and when it was utilized. Based on these, the status, characteristics, route and use of homus in Balhae region were reviewed, also the historical significance was inferred. The main conclusions expre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reduce the confusion of research on homus in the future, I proposed changing the name 'Bargan', which is widely used in Korean academia, to 'Homus'. It is since Homus is the most commonly used name among other academia. The title of this study, not Bargan, but Homus, also stems from this reason. Second, in this study, homus is the meaningful part of the culture of northern nomads, and the road through which it spread and reached Balhae was also mainly through Northern nomads. The rationale for this claim is that the first homus found in Europe was in Uppsala, Sweden, northern Europe, and the protagonist and background of the legend related to homus, such as bears and forests, are related to Northern nomads. Third, Homus was a religious item that helped overcome hardships by its function as an instrument, and it is also related to ancestral rites. Based on these, it revealed the main contents of Homus-related legends and the use of Homus in Yakutia and Central Asia. Fourth, homus from the Balhae area is similar in shape to homus used by nomads, and the homus excavation area is not a capital area of Balhae but an outer area of the north. It indicates that the Homus of Balhae did not enter through China (Dang) nor spread neither, but reached the Balhae area through the path of Dambi. Fifth, more detailed circumstances added to the assumption that the group that spread and utilized homus to Balhae through Dambi's path was the Sogd group. It took into account that Homus was excavated from the site of the house, while the quantity was inconsiderable. This study finally assumes that the Sogdians left homus in Balhae as, at that time, they lived there for a while for trading purposes with the local people of Balhae. Additionally, it regards homus as a soothing object for the Sogd people's fears and nostalgia of a long journey. Despite this study's academic effort, this paper reveals that the lack of related records and data is too insufficient to argue based on accurate evidence moreover its many parts are still particularly limited in that they consist of estimation.

      • 門中古文書 디지털 아카이브 구현 연구

        김하영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study looked at the historical document and knowledge information approaches and utilization plans in order to enhance the use of digitalized historical document materials and accelerate the expansion of knowledge through association of various konwledge elements. The ‘historical document,’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data investigated and collected from the families scattered around the country for about thirty years by Jangseogak (藏書閣) Archives,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s the lives of kinsfolk are recorded in these documents, members of the kinsfolk are the subject in producing the documents and also has status as the object. In the first place, I analyzed the composition of ‘Korean Historical Document Center(韓國學資料센터)’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which is our representative digital archive of historical documents, in order to present new approaches to historical document studies that might be used to reach the truth of the life of kinsfolk by unfolding the contents of historical document more clearly. Based on this, this study set individual kinsfolk as unit of service model for presenting the correlation between members of kinsfolk and historical document data. For the purpose of studey, I chose ‘Bunjaegi(Property Records or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document which is very closely associated with personal information of pedigree among various genres of historical documents related to the kinsfolk as primary data of this study. And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set the historical document from the 'Ocheon family'(烏川家) of ‘Gwangsan Kim Clan'(光山金氏) which occupied the most in Bunjaegi documents. I made an intensive analysis of 27 documents from Kim Mu(金務) to Kim Gwanggye(金光繼), grandson of Kim Hyoro(金孝盧) - eight generations - and drew database design plans for linking the information of members of kinsfolk with historical documents. As a result, the ontology consisted of six classes such as person, official institutes, historical document, inheritance, slave, and land -content factors appearing in historical document. And as semantic elements that are the connecting nodes of semantic relation network, five node data - person, official institutes, historical document, inheritance, and slave, - were set and the connection relation between individual nodes, for example, between persons, between documents, and between slaves was expressed with previously defined relation. Furthermore, the relations between document-person, between person-inheritance, between inheritance-document, between slave-inheritance, and between slave-person were also defined depending on the rule and systematically organized into appropriate database for implementing semantic web. And then, in order to verify the contents, relation network database was implemented using the graph database management software (Neo4j). The visualization data presented as a result of a series of the database compilation suggests that the knowledge information from various resources can be linked and expanded, revealing new meaning in the data relation network without limiting to media in which it was originally contained. 이 연구는 문중 소장 고문서 디지털 아카이브의 발전적인 모델을 보이기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고문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고문서의 디지털 사본을 온라인 상에서 제공하는 것을 위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고문서의 외형을 보일 뿐 아니라, 그 내용을 분석하고 새로운 지식을 탐구할 수 있도록 하는 지식 정보 아카이브의 실험적인 모델이다. 연구의 대상자료인 ‘고문서’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藏書閣)이 30여 년에 걸쳐 전국 각지에 산재해 있는 門中으로부터 조사·수집해 온 자료들로, 고문서 안에 문중의 삶이 기록되는 과정에서 문중 구성원들은 고문서 생산의 주체이자 객체의 지위를 갖게 된다는 특징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고문서의 내용을 보다 명확하게 밝힘으로써 문중의 삶의 실체에 도달할 수 있는 고문서 연구의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먼저 대표적인 고문서 디지털 아카이브인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고문서자료관’의 구성을 분석하였다. 대상자료로는 다양한 장르의 문중 고문서 중에서도 가장 밀도 있게 가계(家系)의 인적 정보와 결부되어 있는 문서인 ‘분재기류’를 선정였다.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문중 고문서 가운데 분재기류의 비중이 큰 ‘광산 김씨 오천가’의 고문서와 그 문중 가계 정보의 기록인 ‘光山金氏族譜’를 연구 대상으로 하되, 분재기류 문서 중 김무(金務)로부터 김효로의 손자 김광계(金光繼)대까지 8대에 걸친 27편의 문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문중 구성원의 가계 정보와 고문서의 연계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인물, 관부, 문서, 재산, 노비, 토지로 구분된 6개의 클래스(Class)와 그 클래스에 속하는 개체들 사이의 관계를 기술할 수 있는 관계(Relation) 서술어, 개별 개체의 성격을 보이기 위한 데이터 속성(Attribute), 관계성의 성격을 보충해서 설명하는 데 필요한 관계 속성(Relation Attribute) 등을 설계하였다. 이와 같이 설계된 문중 고문서 디지털 아카이브의 온톨로지에 따라 광산 김씨 오천가 고문서와 족보의 내용을 디지털 지식 정보 데이터로 편찬하고, 이를 통해 이 데이터 모델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제시한 문중 고문서 온톨로지는 광산 김씨 오천가 문중 고문서뿐 아니라 유사한 성격의 문중 고문서를 정보화 할 때에도 데이터 모델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체계화된 데이터는 시각화 기능을 지원하는 소트웨어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그래프로 전환될 수 있고, 그러한 방법으로 데이터 관계망 속에 담긴 의미를 더욱 용이하게 드러낼 수 있기 때문에 고문서를 중심으로 전통시대 문화 연구의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