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성화 고등학교에서의 영상 · 미디어 교육 운영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김성천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영상 미디어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 실태와 운영을 분석하여 미디어 영상 전문 인력 양성과 전략적 진로 방식의 특수화 고등학교 교육과정 설립에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한 연구 대상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서울영상고등학교,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대전신일여자고등학교와 해외 특성화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교육목표, 과정, 교과, 특색 사업사례를 도출하고 특수화 고등학교의 수업 운영실태와 현황 파악한다. 둘째, 영상 교육과정과 실습 운영 상태를 조사한다. 셋째, 특수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 방향과 문제점 분석을 실시한다. 구체적 방법으로는 교육청의 특성화 정책 계획서, 한국 직업능력 개발원의 연구 보고서, 한국콘텐츠 진흥원의 연구보고서, 전문 서적을 통해 문헌연구를 하였고 주요 특성화 고등학교 포털에서 공개한 교육과정, 학교알리미 교육정보공시서비스, 교육통계 서비스에 제공된 정보, 특성화 고등학교 대상의 설문 자료 조사를 통해 결과를 도출한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학생의 수요에 따라 다양한 학과가 개설되었고 현재 운영 중에 있으나 학과별 운영 교과를 보면 각 전공 학과의 취지에 부합되지 못하고 있다. 둘째, 대부분의 학교 특색 사업을 통해 학교 기업 운영, 진로 체험, 실무자 초청을 통한 특강 등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의 기회도 있었으나, 미디어 업계의 수도권 지역 집중 분포로 인해 지역별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졸업 후 취업률과 진학률의 비교 결과는 취업률에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본 개선점과 기여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현장실습과 실무경험을 위한 특색 사업 추진을 위한 지속적 후속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더불어, 향후 학생들의 수요와 특성을 고려한 영상 미디어 과정의 전략적 운영과 체계적 교육과정 설립을 위한 교육부 및 시도 교육청 등의 재정 지원 또한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현안문제 해결 방안이 시발점이 되어 영상 미디어 특성화 고등교육의 본질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문화된 특화교육을 기반으로 양성된 우수 인재들과 더불어 성장할 산업계의 미래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status and operation of video and media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establish a specialized high school curriculum in a strategic career path to produce professionals in that subject. The research subjects utiliz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derived educational goals, courses, curriculum, and unique business cases targeting Seoul Film High School, Gyeonggi Film Science High School, Daejeon Shinil Girls' High School, and overseas specialized high schools. To identify the class operation status and status of these specialized high schools. Second, I investigated the specific video curriculum and practice operation status of each school. Third, I analyzed the career direction and pitfalls/shortcomings of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As a specific method,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Office of Education's specialization policy plan, the Korea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Institute's research report,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s research report, and other specialized books. The results are derived through a survey of curriculum published on major specialized high school portals, information provided in the School and Edu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service, and Education Statistics service, and survey data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These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various departments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student demand and are currently in operation, but the curriculum operated by each department does not meet the purpose of each major department. Second, through most of the school's special projects, there wer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such as school business operation, specialized career experience, and special lectures by inviting professional practitioners, but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due to the media industry's concentrated distribu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Third,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mployment rate after graduation and the rate of further advancement showed a sharp decline in the employment rate sector.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esent these improvements and contributions. It is a necessary point in time to proceed with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to promote unique projects for field training and practical experience. In addition, financial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provinci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must be expanded to strategically operate video media courses, and establish a systematic curriculu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the future. The solutions to current issue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ill serve as a starting point to restore the essence of video media specialized high school education. In addition, we can look forward to the future of the industry growing together with excellent talents cultivated based on specialized education.

      • 웹을 활용한 미술 감상교육 연구

        홍현숙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21세기 지식 정보와 사회를 맞이하여 등장한 새 제 7차 교육과정은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을 육성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과 다양한 연구가 각 교과별로 이루어지고 있다. 미술 교육에 있어서도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으며 정서 함양과 창의성 개발을 도모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이 계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학교 교육만으로는 더 이상 미술을 학생들에게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만족스럽게 채워주기 어렵다. 또한 미술교과의 감상학습은 그 중요성이 다른 부분에 비해 미약한 수준이다. 따라서 감상학습에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미술 감상 활동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자 하여 첫째, 감상 수업에서 웹을 활용한 미술 감상 방법을 모색하고, 미술 학습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한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웹을 활용한 미술 감상 학습활동에 유용한 방안이 되고자 한다. 셋째, 정보화 시대에 걸 맞는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학생 스스로의 효과적 학습을 위한 정보제공의 역할을 하여, 학생과 교사가 함께 학습을 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학습 자료의 방안이 되고자 한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웹을 활용한 감상학습 방안에 관한 실태를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미술 교육에서 컴퓨터 활용 실태는 63%로 다소 보완이 이루어진다면 미술 교육에 있어서 웹을 활용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2. 미술수업에서 감상학습의 흥미도는 69%로 보통 이상의 흥미도를 가지고 있어 학생들이 감상학습에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감상학습에서 웹의 활용도에 대한 응답은 19%에 지나지 않아 현재 대부분의 감상학습은 인쇄된 도판이나 교과서에 의존하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웹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4. 감상학습에서 웹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가에 응답한 학생은 79%가 긍정적인 반응임에 알 수 있다. 이는 최근 학생들이 컴퓨터와 웹에 친숙해 지고 있음에 따라 교사가 웹을 활용하는 것은 효과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실제 웹을 활용하여 고등학교 인상주의 서양화 감상학습을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감상학습에서 웹 활용의 효용성에 대한 실태는 효과적이라고 응답한 경우가50%이며 비교적 양호하게 인정한 경우도 26.6%로 상당수 학생들이 긍정적인 반응임을 알 수 있다. 2. 웹을 활용한 감상 학습의 흥미도는 76.6%로 수업 전 실태 조사보다 높은 흥미도를 나타냈다. 이는 기존의 수업방식에 비해 학생들이 주의집중도 높게 나타났으며 적극적인 동기의 유발이 가능하였다고 할 수 있다. 3. 감상 수업에서 웹 활용의 어려움에 대한 질문에 웹 사이트 검색에 대해 23.3%가 어렵다고 하였으며 26.7%는 웹을 활용하여 내용 정리에 어려움이 있다고 답하였다. 또한 40%가 감상 결과물 제출 요령에 대해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4. 그 외 다른 의견으로는 전문적인 프로그램의 활성화의 필요성에 대해 말하였으며, 다양한 웹사이트의 구축에 필요성에 대하여 응답하였다. 또한 많은 그림과 사진을 활용해야 한다고 답하였으며, 정보화 시대에 맞는 실용적이 학습의 구축에 대한 의견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교육 매체로서 웹을 활용한 감상 수업을 학습자로 하여금 자발적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시공간을 초월한 가상 체험과 작품 자료 면에서도 다양한 작품을 감상할 수 있고 국내외 유명한 미술 작품을 감상하여 풍부한 미술 문화를 이해하고 작품을 보고 비교 분석하여 평가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를 수 있다. 그리고 교사들로 하여금 자료를 용이하게 구할 수 있으며 학습자들에게는 교육의 질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그러나 미술 감상은 직접 미술관에서 관람하여 감상하는 것이 더 큰 도움이 되지만 여러 가지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웹을 교육의 주 역할이 아니라 보조적인 역할로 현장 교육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교사들을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개발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과 공유하여 학습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웹을 적절히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미술 교육이 될 수 있도록 노력 개발해야 하겠다. 나아가 국가적 차원에서 웹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교육 매체 개발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많은 노력과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Information and knowledge society occasion of the 21st century appeared a new course for the 7th of globalization, the information age will lead to self-nurturing, and creative as its destination, are Koreans. Effort to settle this education process and are conducted by different researchers, each curriculum. In art education, and even has a variety of ways. The emotional development of foster and stimulate creativity to develop training methods are. However, more traditional art school education alone, many student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difficult to satisfactorily fill cycle. Enjoy learning the art of curriculum and its importance compared to other parts of the weak level.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enjoy a variety of learning needs. Enjoy the art of this research activity and the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viewing art classes utilizing the Web, looking for ways to watch. Enjoy the art of this research activity and the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viewing art classes utilizing the Web, looking for ways to watch. And to provide data needed to study art. This also applies to classes based on actual viewing art by utilizing Web-learning activities will become a useful plan. Finally, I meet a professor in the Information Age as a way of learning for students to learn effectively is the role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learning with students and teachers can be effective ways of learning materials will become. Watching these needs by utilizing the Web to learn about the ways the study of actual conditions as follows. 1. Computer use in art education is 63% of actual conditions. Therefore, it is done essentially in art education that will not be difficult to utilize the Web. 2. Enjoy learning in art classes, a 69% interest, usually have even more interesting. Watching the students in this study has a positive attitude in you can see. 3. Enjoy learning about the response from the Web usage is 19%. This appreciation of the current study, most rely on the printed textbook Filing and traditional way to find out is in progress. Therefore, you can leverage the Web to actively seek ways should be. 4. Enjoy Learning to effectively utilize the Web in 79% of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really is. The last students are getting familiar with computers and the Web. Therefore, effective teachers to utilize the Web. This study utilizes a Web-based real-Impressionist school enjoy learning the results of applying Westernization is as follows. 1. Enjoy the benefits of learning about sex from the actual conditions of web use is effective when the respondents is 50%. In addition to relatively mild cases, 26.6% recognized the many students that you can see a positive response. 2. Interest in utilizing the web, enjoy learning was 76.6%. This survey course I rose higher interest. Compared to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of students' attention were also higher. In addition, positive motivation can be said of the possible causes. 3. The difficulty of leveraging the Web to watch the classes in question is a 23.3% web site for search. 26.7% use the web can be difficult to organize the information. In addition, 40% of tips for viewing the results were difficult answer. 4. Any other expert opinion and responding to the needs of the program was activated. In addition, the need to build websites for a variety of responses were And a lot of pictures and photos should be utilized. And practical learning for the information age, the opinions presented in the building. These studies utilizing the web as a medium of education to learners enjoy their voluntary learning lessons can be derived. In addition, transcending time and space by the virtual experience and appreciated the work can be a variety of materials exceeded. Enjoy the famous international art and a rich understanding of art and culture by looking at the comparative analysis is to evaluate the eye could grow. And teachers can find materials easily. In addition, learners can be improved deulegeneun education. The Museum of Art directly from watch to watch the tour will be a bigger help. This has several limitations. Therefore, the Web's primary role as educational role in secondary education can lead to the site as a means must be utiliz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se training teachers to develop multimedia. And students through various programs and shared learning will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In addition, by utilizing the web properly, learners can experience the feeling that art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that will strive to be. Furthermore, by leveraging the web at the national level to develop effective educational media have gotten done so will require more effort and development.

      • 고등학교의 생물학과 대학에서의 분자생물학 교육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박성환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분자생물학 관점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물Ⅱ 교육이 대학 전문교육의 기초과정으로써 얼마나 적절한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생물Ⅱ 교과서와 대학 분자생물학 교재에 수록된 분자생물학 관련 목록을 발췌하여 연계성을 살펴보아 용어, 내용적 측면에서 개선시켜야 할 보완점을 살펴보아 체계적인 생물단원의 학습 지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고등학교에서 생물Ⅱ를 학습하고, 대학에서의 강의를 이해하기란 쉽지가 않다. 이는 전공 기초에 필요한 전공 용어의 이해가 부족한 탓이라고 여겨진다. 더구나 현재와 같은 입시체제에서 고등학교에서 분자생물학 실험을 통해 이 분야에 접근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물론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대학수업에 바로 접목할 수 있을 만큼의 분자생물학적 지식을 요구하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그러나 고등학교와 대학의 연계되는 교육과정 속에서 학업의 연장선을 긋기에는 현 고등학교 수업의 구성에 한계가 있다. 고등학교 생물Ⅱ가 용어를 배운다면 대학의 분자생물학에서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내용과 추가되는 더 많은 용어와 내용을 배운다고 할 수 있다. 생물학의 큰 흐름은 목적의 과학에서 도구의 과학으로 바뀌어 있고 앞으로 그 변화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다. 더욱이 분자생물학 분야는 - 마치 컴퓨터가 모든 학문 분야에 필수적이듯이 - 의학, 약학, 축산, 농업, 식품에 이르기까지 생물학과 연관된 분야에 “도구”처럼 사용되는 과목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분자생물학 분야가 중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인식하지만, 고등학교의 생물Ⅱ와 대학에서의 분자생물학 수준은 많은 차이를 보이므로, 고등학교의 생물Ⅱ에서의 교육 내용을 어느 정도 개편하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개편의 주된 방향은 고등학교 과정에 사용되는 기본 용어를 점차 확대시켜 나가야할 것이며, 고등학교 과정의 일부 영역이라도 수업의 깊이가 좀 더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더 나아가서 초․중학교 과정에서의 교육내용도 개편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main point of this survey is that checking out whether the biologyⅡ in high school curriculum is appropriate or not according to the 7th teaching curriculum. In order to contribute the teaching method in high school biology curriculum, I tried to find out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biology textbook in high school and the university molecule biology one, searching for a textual contents. Unfortunately, after finishing high school biology curriculum it is not easy for students to accomplish advanced courses in the university biology. Furthermore, on account of the entrance exam for university, high school student scarcely have a chance to experiment various biological theories. Of course, we may well recognize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study course is not favorable. But there is a distinctive problem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which is not agreeable in the university academic course. In high school biology curriculum, students can get certain biological terms, and then they might study additional terms and contents in an advanced course on the molecule biology. These days, as we know well, the currency in biology is changing from the theological science to the practical one. Moreover, the molecule biological theory function in almost every field, such as the computer is advancing into an vital factor, which is indispensable in the fundamental science - relating field. Although it is said that the molecule biology part is significant, there is a serious gap between the two biology teaching courses. For the sake our practical development, I think it is time to try to make an agreement, reforming some parts of the high school biology curriculum. I'm sure that the main direction of reforming is to enlarge fundamental biological terms in high school teaching curriculum and to dig deep in a certain instruction part. At the same time, I think it is natural that the reformation should be adopted in the curriculum fundamental elementary.

      •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과 활동간의 관계

        류지효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과 활동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분석 검토하여 교사들의 진로상담 활성화 및 바람직한 진로상담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설정된 연구가설을 설문지 통계를 검증하여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 정도는 배경 변인(성별, 교직경력, 상담공부경험유무, 자녀의 나이 )에 따라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 정도와 배경 변인(성별, 교직경력, 상담공부경험유무, 자녀의 나이)에 따라 실제 활동정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에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60명을 무선 표집하여 학교별로 집단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 정도의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 정도와 배경 변인(성별, 교직경력, 상담공부경험유무, 자녀의 나이)에 따른 실제 활동에는 이원분산분석을 활용하였다. 특히 특정점수(4.0)를 기준으로 구분함으로써 유목변수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하위영역에 따라 기준점수가 다른 이유는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 포함된 구성비율이 가능한 유사하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통계처리는 SPSSWIN 프로그램(version14.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진로상담 인식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각 하위영역별 중 남여 모두 진로상담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인식도가 높은 것은 초등학교에서도 상담을 전담하는 교사가 필요하며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일정 수준의 상담 기법에 관한 연수나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경력에 따른 진로상담의 인식 정도는 교직경력 15년 이상의 교사가 아동의 적성과 능력을 포함한 자아 특성의 발전과 소질을 계발하기 위해 초등학교에서의 진로상담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대학원이나 교원연수에서 상담교육을 받은 교사가 진로상담의 중요성과 상담 내용, 상담의 방법, 개선방안의 모든 영역에서 상담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보다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상담의 저해요인의 경우 진로상담 교육을 받은 교사 보다 받지 않은 교사가 진로상담의 저해요인에 대한 진로상담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담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가 상담에 더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각 하위영역별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 효과적인 상담을 위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일정수준의 상담기법에 관한 연수나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담교육을 받은 교사는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여러 가지 정보 분야를 일깨워 줄 수 있도록 견학이나 작업 장면을 통하여 자극을 주어야 하며 학교 경험과 실생활을 관련시켜 배울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선행연구(최봉애, 2004)에서는 상담교육을 받은 교사와 상담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 간 각 하위영역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것은 본 연구결과와 다른 점이라 할 수 있으며 선행연구(김동숙, 2005)에서는 본 연구결과와 같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교사들이 자신의 자녀의 연령에 따라 초등학교 진로상담에 대하여 인식하는 정도는 자녀가 없는 교사의 진로 인식 정도가 자녀가 있는 다른 교사에 비하여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았다. 이는 자녀가 없는 교사는 가장 최근에 교육을 받아서 상담내용을 비교적 잘 알고 있으며, 상담을 하기 위한 개선방안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선행연구(김동숙, 2005)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자녀 유무에 따른 진로상담 인식이 집단간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자녀가 초등학생인 교사가 진로상담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던 것은 본 연구와 다른 점이라 할 수 있으며 진로 및 직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사회의 흐름을 보여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인식과 배경변인에 따른 진로상담 활동정도는 진로상담교육을 받은 교사가 상담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보다 활동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상담 내용과 방법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교사집단의 진로상담 활동정도는 초등학교 아동들이 장차 선택해야 할 직업의 세계를 수업계획과 관련시켜 가르치며, 아동의 심정을 잘 이해하고 직업세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또 아동의 장래 희망에 관심을 갖고 학급아동에게 도전을 주고자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담교육을 받지 않았어도 진로상담 방법의 인식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진로상담 활동정도가 더 크게 나온 것은 아동 개개인의 성격이나 가정생활 및 적성과 소질에 대해 잘 알고 지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섯째, 진로상담 인식정도와 교사의 성별, 교직경력, 자녀의 유무에 따른 진로상담 활동정도와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 교육의 유무에 따라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인식에 따른 진로상담 활동정도는 진로상담교육을 받은 교사가 상담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보다 활동정도가 높은 것은 상담교육의 중요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 아트프로펠을 활용한 초등미술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전통문양을 중심으로

        강선아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21세기는 문화가 국가의 경쟁력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는 문화의 세기로서 세계화ㆍ다문화된 현시대는 어느 때보다도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전통문화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초등미술교육에서 세계화ㆍ다문화시대가 요구하는 자기주도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생들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미술활동을 요구하는 아트프로펠을 활용한 전통문양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아트프로펠(Art PROPEL)은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가 고안해낸 다중지능이론의 교육적 응용을 위한 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지각(Perception)-창작(Production)-반성(Reflection)의 세 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도메인 프로젝트와 프로펠 포트폴리오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아트프로펠을 활용한 전통문양 교육프로그램은‘생활용품에 전통문양을 입히다’를 학습주제로 선정하여 총 5차시의 프로그램 지도안으로 구성한다. 제시한 프로그램의 목적은 자기주도적인 과정 중심의 아트프로펠을 통하여 초등학생들에게 우리 고유의 전통문양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전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트프로펠의 개념, 배경, 학습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전통문양의 이해를 위해 개념과 특징, 종류에 알아보고, 2009 개정 초등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전통미술문화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한다. 셋째, 아트프로펠을 활용한 전통문양 교육프로그램 지도안을 제시하므로써, 교사와 학생들에게 문화의 세기에 발맞춘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통미술문화교육의 접근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 아트프로펠을 활용한 수업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예술교과에서의 통합적 사고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프로그램 활동 전반에 걸친 자기반성 및 평가를 통해 능동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활동을 촉진시킨다. 이러한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ㆍ비평적 활동으로 현시대가 요구하는 자기주도적인‘글로벌 창의 인재’로 육성될 수 있는 자질을 키워 줄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본 연구가 초등미술교육 현장에서 전통미술문화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아울러 예술교육에서의 평가의 가치에 대한 이해를 넓혀 교실에 효과적인 혁신을 가져올 수 있기를 바란다.

      • 초등학교 교과에서 STEAM을 통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이가람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STEAM 교육은 융합교육을 기본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다섯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Science(과학), Technology(기술), Engineering(공학), Arts(예술), Math(수학)이다. 2010년에 STEAM 교육이 도입된 이후로 학회나 연구단체에서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연구하고 개발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과학․기술 중심으로만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미술영역에서의 STEAM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본 연구는 STEAM을 통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 베트남 화자에 대한 한국어 모음 교육 방안 연구

        김기범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aper aims to provide methods how to acquire effective education of Korean vowel pronunciation for Vietnamese learners. First, the paper looked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simple and double vowels by a comparison analysis between Vietnamese and Korean language systems, meanwhile predicting possible errors caused by the differences of two languages system. Nex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nfirm errors in the perception and conversation of Vietnamese learners. Finally, the paper concludes by offering effective training methods for Vietnamese learners. In Chapter 1, this studied importance of pronunciation of Korean language and studied about typical errors in pronunciation among Vietnamese learners so far and appropriate education methods. In addition, this analyzed the education material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Chapter 2,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Vietnamese and Korean vowel,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phoneme system of two languages. As results, it showed that the phonemes ' ㅚ ' and ' ㅟ ' in Korean and ' ɤ˘ ', ' a˘ ', ' ɔ ' Vietnamese words were slightly different in single vowel. Although there was no common pronunciation between the two languages, the study found out similarity of sound [w] regarding of vowel combination. With the results, the study could confirm the interference of mother tongue language. In Chapter 3, the study conducted experiments mainly about perception and pronunciation of Korean vowel to examine errors occurred by Vietnamese students about Korean vowels. Experimental group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In Chapter 4, the paper provided effective pronunciation training for Vietnamese learners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nalysis of experiments. As chapter 2 predicted, errors were observed in the single vowel by the intervention of the Vietnamese language, ɤ˘, a˘, ɔ due to their closeness to Korean vowel‘ㅚ’and‘ㅟ’. In addition, the largest numbers of errors were found in double vowel ‘[y]’, such as double vowel was spoken like single vowel, combination of single vowels and another similar sound vowel. With these results, existing vowel education was examined to see its merits and limitation. And based on the limitation an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paper suggested new educational methodology using ‘뱃노래’ for Vietnamese learner. As conclusion, although the vowel errors’ ratio for Vietnamese students in terms of perception and conversation was not high, the vowel errors continued to be appeared among beginners,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Hence, the paper showed significance that the periods of learning Korean don’t affect to the emerging of vowel errors for Vietnamese students and assert that vowel pronunciation education for Vietnamese is required. Lastly, the paper is worth to provide practical teaching methods for Korean vowel, which is fundamental of phonetics. 본고는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해 효과적인 모음 발음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베트남어와 한국어의 대조 분석을 통하여 단모음과 이중모음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그 차이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오류를 예측하였다. 다음으로 실험을 실시하여 베트남 학습자의 인지와 발화에서 어떠한 오류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베트남 학습자에 맞는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의 발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동안 연구되어온 베트남 학습자의 발음의 오류와 그에 맞는 교육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고 다른 국적의 학생의 모음에 관한 교육 자료를 연구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모음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베트남어와 한국어의 음운체계를 대조·분석하였다. 대조·분석 결과, 한국어에만 존재하는 ‘ㅚ’와 ‘ㅟ’의 음소와 베트남어에만 존재하는 ɤ˘, a˘, ɔ의 부분에서 단모음의 차이점이 있었고 이중모음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이중모음에는 공통적인 발음이 없었으나 [w]계 이중모음은 베트남어의 모음 조합 현상과 유사성이 있었다. 이를 통해 모국어의 간섭으로 나타나는 오류를 예측하였다. 제3장에서는 베트남 학습자들에게 한국어의 모음에 관한 오류를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한국어 모음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인지 실험과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발화 실험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한국어 학습 기간에 따라서 초급, 중급, 고급의 학습자로 분류하여 실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실험 결과를 나타내고 앞서 살펴본 베트남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발음 오류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 분석 결과에 따라서 베트남 학습자에 맞는 효과적인 발음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실험 결과, 2장에서 예측한 것과 같이 모음에서의 오류는 베트남어의 단모음 ɤ˘, a˘, ɔ,의 간섭으로 인접성을 가지는 단모음끼리의 혼동이 관찰됐고 ‘ㅚ’와 ‘ㅟ’를 혼동하는 오류 또한 나타났다. 또 [y]계 이중모음의 오류는 문장에서 가장 많은 오류가 나타났으며 베트남어와 유사성을 가지는 [w]계 이중모음 또한 문장에서 오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타나는 이중모음의 오류로는 이중모음을 단모음+단모음으로 확장시켜 발음하는 오류와 이중모음을 단모음으로 발음하는 오류, 이중모음을 인접성을 가지는 다른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오류가 있었다. 다음으로 기존에 시행되었던 모음 교육 방안을 분석하여 장점과 한계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베트남 화자의 모음 발음 시의 문제점과 기존 모음 교육의 한계점을 참조하여 ‘뱃노래’를 통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베트남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모음을 인지하고 실제로 발화하는 것에 있어 나타나는 오류를 실험을 통해 조사한 결과, 베트남 학습자의 모음에 관한 오류 비율은 높지 않았으나 초급, 중급, 고급학습자까지 오류가 계속하여 나타났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모음에 관한 오류가 한국어를 학습한 기간에 비례하여 수정되지 않는 다는 것을 밝혔으며, 베트남 학습자의 모음 발음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나타낸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가장 기초가 되는 음가인 모음의 교육을 효과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팬데믹 상황에서 하우전(Abigail Housen)의 심미적 안목의 발달 단계를 적용한 비대면 감상 수업 연구

        이정환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 미술 교육에서 그리거나 만드는 실기 교과 수업의 중요성은 그대로 중요하다 할 수 있으나, 다양하고 복잡한 시각 문화 현상으로 인해 감상 교육의 중요성은 그보다 커졌다고 할 수 있다. 복잡한 문화 현상을 이해하고 주도적인 삶을 살아나가는 인재 양성을 위해 미술 교과가 길러 주어야 할 능력은 바로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을 기르는 것이다. ‘시각적 문해력’을 간단하게 말하면 다양한 시각 이미지들을 이해하고 해석하며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일 것이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 미술 감상 교육을 통해 증진할 수 있는 능력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복잡한 시각 문화 현상에 당황하지 않으며 이를 올바르게 이해하면서도 주도적인 감상과 수용 능력을 갖춘 학습자를 길러 주기 위해 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하우전의 이론을 통해 기존의 교수자 중심의 감상 교육, 선형적인 감상이 아니라 학습자의 개성과 성향에 따른 감상유형 선정으로 감상 수업의 중심이 교사가 아닌 학생으로 바뀌기를 기대한다. 부가적으로는 2019년 보고된 COVID-19(코로나 19)로 인하여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색다른 교육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으며 온라인 수업의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앞으로 더욱 온라인 교육의 중요성이 두드러질 것이다.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다양한 감상 교육이 진행되고 있지만, 오프라인 위주이거나 여전히 실기 능력양성과 표현활동에 주된 관심을 두고 있어 본 연구가 감상 교육을 위한 영양분이 될 수 있기를 기원한다. 본 연구자는 이에 착안하여 온라인 감상 수업을 위한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다양한 감상 · 비평 수업에 관련된 이론을 연구하였다. 둘째, 하우전의 심미적 안목의 발달 단계를 분석하고 이를 활용한 감상 수업의 가능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셋째, 심미적 안목의 발달 단계를 활용한 감상 수업을 위해 온라인 미술관이나 박물관을 선정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활용한 수업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장소를 방문하지 않고도 웹 사이트상에서 방문 가능한 미술관이나 박물관을 선정하고 하우전의 감상이론을 적용하여 점차 늘어나고 발전하게 될 온라인 교육이나 비대면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미술 감상 수업을 연구하고자 한다. 부가적으로는 현시점의 코로나19 등의 팬데믹 상황에 교육의 질적 수준이 하락하지 않고 더욱 질 높은 교육을 가능케 하는 노력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하우전’의 심미적 안목의 발달 단계를 활용한 온라인 감상 수업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이해하고 학교 현장에서 교사가 활용 가능한 수업 연구를 통해 비대면 수업의 단점을 극복하고 학습자가 올바른 시각적 문해력을 길러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바우하우스 조형이론을 통한 창의적 디자인교육 연구

        임우현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오늘날 우리나라는 인터넷, 컴퓨터 등 정보통신의 발달로 다양하고도 급격한 변화를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디자인에 있어서 방송, 영화, 교육, 항공, 의학,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디자인교육은 독창적이고 창의적이며 자율적인 인간상을 요구한다. 이러한 시대의 변화와 흐름 속에서 창의성을 이용한 디자인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부각되고 다양한 요구가 수용되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에는 창의성과 실전감각을 고루 갖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디자인교육제도의 체계화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현재 국내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주도할 수 있는 창의적 디자인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초의 근대적 디자인교육 기관인 바우하우스의 조형이론에 대해서 알아보고 바우하우스의 조형이론이 창의적 디자인교육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어떻게 활용되어지고 있는가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바우하우스의 역사적 배경과 교육이념에 대해 파악하며 대표적인 교육가들을 선정하고, 그림을 제시하여 조형이론을 분석함으로써 바우하우스를 이해해 보았다. 둘째, 관련된 문헌 연구를 통해 창의성의 개념과 창의적 디자인교육을 이해하고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셋째, 창의적 디자인교육과는 어떠한 관련이 있으며 연관성에 따라 바우하우스가 창의적 디자인교육에 미치게 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넷째, 바우하우스의 조형이론을 통해 시대상황에 맞는 창의적 디자인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활용방법을 연구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예비과정의 기본방침인 창의력을 함양시키고 참신한 조형 활동을 할 수 있으며 대비론에 기초를 두고 교육을 한 요하네스 이텐(Johannes Itten), ‘조형연구’로 불리는 바우하우스 기초과정을 담당하여 공간에 있어서 입체적인 조형을 집중적으로 실천하게 하여 구성, 균형, 공간 등의 학습을 통해서 학생들의 조형적인 감각과 사고력을 기르는데 교육방침을 둔 모홀리-나기(Moholy-Nagy), 대립적인 대각선, 점의 긴장을 지닌 수평적, 수직적인 구성을 기본으로 성립되고 있었고 색채론과 형태론, 나아가 색채론과 형태론을 상호 결부시킨 것, 또는 평면을 테마로 한 조형 연습이 수업의 중점 항목이었던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를 통해 오늘날 시대상황에 맞춰 ‘바우하우스의 조형이론을 통한 창의적 디자인교육’의 의미에 대해 연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과정을 통하여 바우하우스가 디자인분야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바우하우스 조형이론을 사회의 변화와 학습자의 변화, 디자인의 변화를 다양한 시각에서 점검하여 창의적 디자인교육 연구가 적극적으로 연구되어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

      • 한국어 교육의 교수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시은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효과적인 한국어 사용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제대로 된 한국어 문법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인 문법 교육을 위한 교수방법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제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내용을 구성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연구 방법과 내용을 제시하였다. 효과적인 문법 교육을 위해서는 외국어로서 한국어 문법 교육의 이론적 연구 속에서 제시된 문법 교육이론을 재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효율적인 문법 교육 원리와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방향을 제시했다. 2장에서는 문법 교육에 대한 이해를 위해 문법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한국어 문법 교육의 시대적 흐름과 최근 동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 문법 교수 방법론에 대한 다양한 연구 자료들을 재고찰함으로써 문제점을 분석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어 문법 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교수되기 위한 개선 방안을 3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개선 방향의 흐름 속에서 문법 교육 원리와 방법을 재정립하여 체계화 하고자 했다. 또한 기존의 형태초점 교수방법의 한계를 확인하고 한국어 문법 교육현장의 현실을 고려한 보완된 상호 보완식 접근 방법을 제안하였다. 앞에서 제시한 문법 교육 이론의 개선방안과 교육의 원리의 토대 위에서 상호 보완식 접근 방법을 각 단계별 교수학습 전략 및 기대효과를 설명하였다. 5장에서는 각 장에서 논의된 내용들을 중심으로 정리하면서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 및 의의를 제시하고 마무리하였다. 이 글의 연구 자료를 통해 한국어 성인 학습자의 언어 사용능력이 향상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이고, 외국어로서 한국어 문법 교육이 탄탄한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 더 발전적인 미래를 만들어 나갈 수 있다는 것에 그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