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웹의 특성을 활용한 수준별 수업모형의 설계 및 구현

        김혜숙 西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오늘날 웹 활용이 본격적인 대중화 시대로 접어들게 되면서 교육현장에서도 다양한 교육방법이 연구, 개발되어 WBI 학습, 웹기반 CAI, 원격강의 등 웹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교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웹기반 교육이 교실수업에 비해 가지는 장점을 최대한 살려서 현실성 있고 효율적인 교육의 효과를 얻으려면 학습자의 능력과 관심, 흥미, 적성 등을 고려한 웹기반 수준별 수업 모형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실시되는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에서 진급형 수업모형과 심화·보충형 수업모형을 웹기반 수업을 위해 혼합한 혼합형 수준별 수업모형으로 제시하고 구현한다. 또한 구현된 수업모형을 수업에 적용하고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웹기반 수업에 대한 효과와 수업모형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한 결과 85%의 학생들이 교실수업에 비해 인터넷 수업이 효과가 있다고 답했으며, 89%의 학생들이 인터넷으로 이루어진 수준별 수업에 만족한다고 답하였고, 87%의 학생이 심화·보충단계로 구분했을 때 더 효과적이라고 답했다. 또한 앞으로도 웹 기반 학습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논문은 2003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Recently, as more web-based applications have been widely used, various methods for education have been developed in practical areas. As a result, in many organizations, cyber educations such as WBI learning, CAI, and distance learning have been offered actively. With the advantages of web-based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feasible and efficient effects on education, a new web-based instruction model that considers the abilities, the interests, and the aptitudes of students individually is required. In this paper, a new web-based instruction model, called a hybrid model, is proposed and implemented. And then, after the classes, a questionnaire is made in order to analyze both the effect on that class and the learning fulfillment of the proposed instruc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we show that our proposed model is more effective on the web-based learning than the traditional model.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3.

      •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 출제문항 분석 : 1994학년도~2009학년도 수리영역 중심으로

        金敬桓 西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제 5차 교육과정에서 제 7차 교육과정으로 바뀌어 가는 동안에 17번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의 전체적인 흐름을 알아보고 출제 문항을 분석하여 출제 경향을 파악하고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내용영역의 분류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을 분석해 본다. 둘째, 행동영역의 분류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을 분석해 본다. 셋째, 각 시기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난이도를 분석해 본다. 넷째, 각 시기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의 출제 경향을 분석해 본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참고문헌과 1994학년도부터 2009학년도까지 실시된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 문제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5차 교육과정에서의 대학수학능력시험(1994~1998학년도)은 처음 도입이 되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먼저 교과서나 참고서에 나와 있지 않은 수학적 창의력을 이용하는 문제가 많이 출제되었고 학생들에게 관심을 가져 올 수 있는 통합교과적 문제가 많이 출제되었다. 제 6차 교육과정에서의 대학수학능력시험(1999~2004학년도)은 제 5차 교육과정에서의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단점을 많이 보완했으며 사교육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기본 계산 영역과 이해 영역의 비중을 강화하여 매우 쉽게 문제가 출제되었다. 하지만 이것은 변별력이 없다는 문제점을 나타내면서 2002학년도부터는 점점 어려워 졌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가'형은 벡터 부분이 12문제로 가장 많이 출제가 되었고 이차곡선이 7문제로 가장 적게 출제되었다. 수리 '나'형에서는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단원이 22문제로 가장 많이 출제되었으나 거의 대부분 단원의 문항수가 비슷하였다. 교육과정에 따라서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의 변화를 살펴보면 출제범위, 계열의 분류의 차이 같은 표면적인 차이 외에 단원별 출제 문제들을 살펴보면 제 5차, 제 6차, 제 7차를 거치면서 크게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제5차 교육과정에서의 문제들이 다소 생소하고 까다로웠던 것에 비하면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문제의 목적이 분명하고 매년 출제되었던 유형이 있었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수능은 특히 국민 공통 교육과정인 10-가, 나의 문항이간접적으로만 출제됨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수학Ⅰ과 수학II 과목의 비중이 상당히 높아짐에 따라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매년 출제되었던 문항들이 있었고 그 유형도 상당히 비슷하였다.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examine the overall flow of 17 times of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math series while the 5th National Curriculum has changed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analyze questions to find out test trend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the following tasks are designated. 1) Analyze CSAT math series depending on classification of contents category. 2) Analyze CSAT math series depending on classification of behavior category. 3) Analyze difficulty of each CSAT. 4) Analyze test trend of each CSAT To this end, this research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references and CSAT math series(1994 ~ 2009).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5th CSAT(1994-1998) had many problems because it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There were many questions requiring mathematical creativity not shown in textbooks or reference books. There were also many questions integrating many curriculums to attract students' attention. The 6th CSAT(1999~2004) compensated the 5th CSAT and emphasized basic calculation and understanding to reduc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Test was easy but has become difficult since 2002 to find out students' capability more accurately. the 7th CSAT, match series 'Ga' type had the highest 12 numbers of vector-related questions and the least 7 numbers of quadratic curve-related questions. Match series 'Na' type had the highest 22 numbers of exponential function and log function-related questions and the number of questions regarding the other categories are similar. From the analysis of CSAT math series changes in terms of test questions of each category, there are any remarkable changes in the 5th & 6th & 7th CSAT. However, questions in the 5th CSAT are more strange and difficult while questions in the 7th CSAT are clear and similar question types were tested every year. For the 7th CSAT, common curriculum 10-Ga & Na are Indirectly tested, putting emphasis more on Math Ⅰ and Ⅱ. Therefore, some similar types and contents of questions are tested every year.

      • 초등학교 음악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가창 교육을 중심으로

        박선영 西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가창은 타 음악 영역과는 달리 외적인 매개물의 도움이 필요 없는 가장 직접적이고 오래된 표현의 형식이며, 따라서 학교에서의 가창 교육도 표현 영역의 중심이 되어 왔다. 온 마음을 다하여 노래 부르기를 할 때 아동들은 음악적 성장, 자아 실현, 가창 기능의 향상, 가창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Zoltan kodaly (1882~1967)는 "음악은 모든 어린이의 것이며, 목소리는 인간의 감정을 직접 나타내기 위하여 모두에게 주어진 악기이다. 학습은 가창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음악의 지도는 어릴 때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음악은 매일의 일과로서 경험되어져야 하며 그들의 능력을 최대한 발전시켜 주어야 한다."라고 하면서 아동기 시기를 중요하게 말하고 있다. 인간의 심성은 다른 어느 시기보다 아동기에 보다 더 건전하게 자라나고 중요한 시기이므로 아동의 흥미와 관심도가 사라지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창 교육이 여러 가지 장애요인으로 인하여 그 흥미와 관심도가 떨어지는 실정에 초점을 맞추어 서울시내 4개 초등학교의 교사와 4~6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으며, 또 현재 7차 교육과정상의 교과서 제재곡을 분석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 아동들에게 좀 더 좋은 음악적 체험과 건전한 음악적 취향을 가지게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도구인 설문지는 교사용과 아동용으로 구분하였는데, 교사용 설문의 내용은 수업 지도 시 음악 영역별 선호도, 교사가 본 아동들의 가창 수업에 대한 선호도, 가창 학습의 지도방법, 가창 지도의 충실도, 교사의 가창 능력과 실기 연수경험, 가창 학습을 위한 교재 활용도, 음악 학습을 위한 시설, 가창 실기에 대한 평가, 교내·외 음악관련 활동 실태, 교육 환경에 대한 실태 등의 10개 항목, 35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동용 설문은 음악 과목에 대한 흥미도, 음악 영역별 선호도, 가창수업 진행 실태 조사, 일상생활에서의 가창 활동 경험과 느낌, 아동의 가창 능력, 교·내외 가창 활동의 실태 등의 6개 항목 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회수된 설문지는 문항의 영역별로 구분, 빈도수를 중심으로 그 결과를 백분율로 처리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교사와 아동이 느끼는 가창 학습의 장애 요인을 도출, 가창 학습의 개선을 위한 나름대로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가창 교육에 대한 설문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교사의 가창 실기 연수에 대한 경험의 부족과 가창 능력에 대한 자신감 결여로 교사의 모범창을 회피하는 대신 CD(Tape)에 의존하여 지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위와 같은 현상으로 아동들은 기계적으로 듣고 따라 부르기로 일관하고 있어 가창활동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셋째, 대중매체를 통한 노래의 보급 효과가 지나치게 확대됨으로 대중음악에 대한 선호도는 높은데 반해 교과서 제재곡은 선호하지 않는다. 넷째, 교사들은 가창 지도 시 교사용 지도서를 잘 활용하지 않고 있으며 이유는 내용이 구체적이지 않아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하였다. 다섯째, 음악 교과의 특별활동 선호도가 대체적으로 낮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가창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첫째. 교사의 가창 지도력과 가창 실기 능력의 향상을 위한 연수과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는 아동에게 가창학습에서 노래만 익혀서 부르는 것이 아니라 가사의 내용과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자신의 개성적인 표현으로 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셋째, 제재곡 선정시 아동의 발달 단계와 음악교육의 목적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곡이 선정되어야 하며, 제재곡에 따른 부제재곡이 교수자료로 보급되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곡으로 인정받은 창작동요의 원활한 보급을 위해 녹음 CD(Tape)와 악보집 뿐만 아니라 비디오가 제작되어 일선 학교에 보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교사들이 지도서를 잘 활용할 수 있게 구체적인 학습 내용과 효율적인 교수법을 안내하여 가창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게 만들어져야 한다. 다섯째, 학교장과 교육기관의 심도 깊은 관심과 행사의 추진으로 특별활동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 본 논문은 2003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status of singing education which is uninteresting due to several obstacles by making a questionnaire to both teachers and students from 4th to 6th grade at 4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besides to review existing songs in the current textbooks under the 7th curriculum so that improvement of music education which makes children have better musical experience and a taste of sound musical tendency could be suggested.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using a questionnaire which was divided into two objectives, teachers and students. In teachers questionnaire, it consists of 10 categories with 35 questions regarding : preference in teaching by area of music, students preference of singing class detected by teacher, teaching method of singing, reliability of teaching in singing class, teachers singing ability and experience of training related to singing, practical use of textbook for singing study, facility for singing study, practical examination of singing, the status of singing activity in & outside school, environment of education. In case of students questionnaire, it is composed of 6 categories with 20 questions with respect to the degree of interest on the subject of music, preference by area of music, the status of process in singing class, experience of singing activity and feeling in usual life, students singing ability, singing activity in & outside school.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category and the result was conducted in percentage based on frequency and finally the obstacles which both teachers and students feel in singing education has been pointed out and the improvement of singing education is addressed. The problems based 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eachers have not received training related to music and they have less confidence of singing ability so they count on CD (Tape) rather than giving a fine example of singing. Secondly, students just listen and sing a song by rote so they seem to lose interest in singing. Thirdly, According as songs are spread widely thru mass media, popular music is more preferable than songs in textbook. Fourthly, it is indicated that teachers are not willing to use a guild book of singing for teachers since its contents isnt concrete and helpful. Fifthly, there is considerably less preference of music class in special activity. In order to vitality a singing activity at school with solving problems as mentioned ab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bellows. Firstly, the training course related to singing should be set up in order to help teachers improve teaching skill of singing. Secondly, Teachers need to give student a chance not only to learn songs in music class but also to show their individuality thru the text and a varity of experience. Thirdly, while selecting songs for textbook, it should be considered whether it follows childrens development stage and fulfills the goal of music education or not and sub songs according to main songs in text books need to be distributed as reference for teachers. Besides, In order to promote the spread of creative songs accepted as study so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schools with Recorded CD(tape), music books and video. Fourthly, teachers guild book should be more concrete and include more efficient teaching method so it could be helpful for teachers to utilize practically. Fifthly, As the principle of a school and education organization carry forward a plan of activity with the deep interest, special activities at school could be performed variously.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3.

      • 유치원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장경숙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이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사들이 그 운영상의 문제점과 효율적인 개선방안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유치원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나. 유치원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의 문제점에 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다. 유치원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전국의 공립과 사립의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교원 237명이다. 연구문제 가는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의 실태로 51명의 교원들의 인식을 각 항목별로 빈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문제 나, 다는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의 실시여부에 관계없이 문제점과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을 SPS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곳은 25%정도였고 이들 유치원에서는 부모교육의 목표에 따른 체계적인 연간계획이 있었다. 그러나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을 위해 사전 준비로 부모의 요구와 흥미도 검사, 문헌연구를 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또한 원활한 운영과 관리를 위해 교사교육을 하는 곳도 있었으나 전담교사를 두지 않는 경우가 더 많았다. 그리고 동영상을 이용한 프로그램은 거의 없었고 내용이 적정시기에 교체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 운영상의 문제점을 보면 우선 홈페이지 관리를 위한 전담교사가 없는 점이고, 교육활동과 내용을 바꾸는데 시간이 많이 드는 점과 부모들의 인식이 부족하여 참여도가 낮은 점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컴퓨터 활용능력도 부족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 교사의 인식과 컴퓨터 활용능력의 문제보다는 시간의 부족이나 재정적 지원이 더 큰 문제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을 살펴보면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부모의 요구와 흥미를 반영하는 과정이 필요하다와 각 유아교육기관에서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대학이나 연구소 등 관련기관이 제공하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필요, 정부와 지역사회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순으로 모두 높은 응답율이 나타났다. * 본 논문은 2003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is research identified how parental education based on the use of homepage at kindergarten is realized at the actual educational sites and how teachers perceive operational problems and effective improvement measures. Key issues address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realities of parental education that is based on the use of kindergarten homepage? 2. How is teachers perception of problems related to parental education based on the use of kindergarten' homepage? 3. How is teachers perception on improvement measures related to parental education based on the use of kindergarten homepage? Research targets were 237 teachers of nationwide private and public kindergarten that can be searched on the search engine. Research no. 1 pertains to the realities of 51 kindergarten where parental education is conducted based on the use of homepage. Teachers perception of effective operational measures and problems pertaining to the parental education based on the use of homepage was analyzed in research questions no. 2 and 3 by using frequency analysis based on the use of SPSS.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pproximately 25% used homepage to conduct parental education. These kindergarten had developed structured annual plan accordance to the goals of parental training. However, there were many instances in which parents demands, their level of interest and research of bibliography were not examined as a means of preparing for homepage assisted parental education. Moreover, there were schools that trained their teachers to ensure effective operation and management, but there were greater number of cases in which teachers with exclusive responsibilities were not available. And there were almost no programs that used motion image, and the study showed that the contents were not changed at the appropriate time. Second, when the problem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parental education that leverages kindergarten homepage were examined, the following were cited; absence of teachers whose role is to manage homepage, significant lead time required for changing educational activities and contents, and parents low participation level due to lack of awareness. Meanwhile, responses cited were that there was no shortage of teachers awareness and computer skills pertaining to parental education. This signifies that the foremost problem of executing parental education based on the use of homepage lies in the lack of time or financial support, more so than the teachers lack of awareness or inability to use computers. Third, when the teachers awareness pertaining to the effective operation of homepage assisted parental education was examined, it is possible to witness that there is a need for a process that will reflect the demands and interest of par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participation. Moreover, the following were cited in the order listed; need for educational program for parents, offered at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related institutions to facilitate each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s to purchase easily for use, and the need for government and regional community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hey all manifested high response level.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3.

      • 高等學校 文學敎科書에 收錄된 古典小說 敎育 硏究

        홍승현 西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고전문학은 우리 민족의 전통적 문화 유산으로서 크게 두 가지 면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지나간 시대의 흔적을 보여주는 문화 유산으로서 우리의 생활 속에 면면히 흐르고 있는 정신적 전통의 역할을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현재에도 많은 사람들에 의해 읽혀지고 감상되는 살아 있는 예술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전문학은 우리의 전통적 문화 유산으로서 과거와 현재를 이어 주면서 우리의 정신 세계를 풍요롭게 해 주는 살아 있는 예술로서 존재하고 있다. 본고는 제1차에서 7차에 이르는 검인정교과서를 중심으로 고전소설의 수록 양상과 학습목표를 파악하고, 교육 현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고전소설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 바람직한 고전 소설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제7차 교육과정기의 '문학'교과서는 이전(1차~6차) 교육과정에서의 국문학의 시대적 흐름, 문학의 갈래별 기술 중심에서 벗어나 작품의 내용이나 주제를 독자의 수용과 창작 중심으로 수록하였다. 그렇다고 국문학사나 문학의 갈래별 기술을 전혀 무시한 것이 아니라, 교과서 전체 중의 일부 단원에서 소규모로 다루고 있다. 그리고 이전(1차~6차) 교육과정에서 소홀히 다루었던 세계문학사와의 비교, 외국문학의 소개가 전 교육과정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문학 문화와의 관계 조명에도 상당히 관심을 기울여 대단원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문학 교육의 중점은 문학의 이해와 감상을 넘어, 넓은 의미의 문학 창작과 문화 철학으로서의 문학 교육을 예술과 가치의 체계와 접목하는 구도를 갖추었다. 도구 교과로서의 언어 기능의 신장에 보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던 문학 교육을 삶의 총체적 이해와 발상적 창작, 그리고 문화 현상으로서의 문학, 가치의 수용과 창조로서의 문학 교육을 외연적으로 넓혀가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제1차에서 제7차 교육과정 검인정 교과서의 고전 소설 수록은 29작품이 수록되었다. 각(各) 교육과정기별 작품의 수록 양상을 살펴볼 때, <홍길동전>과 <흥부전>이 7차에 걸쳐 모두 수록되었다는 점은 국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홍길동전>은 작가가 밝혀져 있으며, 한글로 기록된 최초의 소설이고, 영웅소설의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내용적인 면에서 적서차별 제도의 모순성과 탐관오리의 부패를 고발한 작품으로 현실 참여의식이 뚜렷한 작품이어서 국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볼 수 있다. <흥부전>은 판소리계 소설로 구비전승의 근원설화를 가지고 있는 것이, 동일(판소리)계열의 특징을 잘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보편적 윤리 의식을 바탕으로 형제간의 우애, 권선징악, 도덕성에 바탕을 둔 경제관 등에서 학생들에게 보편적 윤리의식을 고양(高揚)시키는 교육적 효과를 위하는 목적을 지녔다고 볼 수 있다. 탐욕적인 놀부와 순박한 흥부의 심성이 극명하게 대조·과장됨으로써 풍부한 해학미를 제공하며, 심각하거나 비극적인 상황을 서민 특유의 건강한 웃음으로 극복하려는 의식의 소산이라고 할 수 있다. <춘향전>, <양반전>, <심청전>, <임진록>이 6차에 걸쳐 수록된 것은 모두 국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내용적인 면에서도 조상들의 삶의 모습을 잘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번 수록에 제외된 것은 본고에서는 언급하지 못했지만 국정교과서와의 중복을 피했다는 점과 소설의 구조적 유사성이나 국문학사적 의의 등에서 중복을 피했다고 볼 수 있다. 다른 작품들은 수록되다가 중간에 제외되었지만, <양반전>은 1차에서는 수록되지 않다가 2차부터 계속 실렸음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양반전>이 선비 문화의 위선과 가식을 폭로하면서, 호랑이의 입을 통해 부도덕한 인간상을 질책하는 모습에서 현실에서 기득권 세력의 위선이 여전하고, 이를 비판하려는 서민의식의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생규장전>이 1,2차에 수록되지 않다가 3차부터 계속 수록된다는 점이다. 이는 죽음을 초월한 남녀간의 사랑을 그려, 독자들에게 애뜻한 사랑의 마음과 호기심을 자극하여 흥미를 준다는 점이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인현왕후전>이 4차까지 수록되다가 5차부터 제외된 것은 조선시대의 왕궁이라는 특정한 배경이 현대인들에게 친근하지 않고, 비빈간(처첩간)의 갈등 등의 상투적인 줄거리로 호기심을 유발하기에 한계가 있음을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여러 교과서에 실린 작품으로는 <홍길동전>이 44회로 가장 많았고, 우리 민족의 발자취와 함께 했던 유(儒)·불(佛)·선(仙)의 사상적 배경을 두고, 인생무상을 주제로 삼은 <구운몽>이 34회, 신분 상승의 의지와 열녀(烈女)의 상징인 <춘향전>이 33회, <양반전>이 32회에 걸쳐 수록되었다. 특이할 점은 국문학사에서 소설의 형태를 갖춘 최초의 작품으로 일컫는 <금오신화>의 (취유부벽정기)를 제외한 4작품이 총 39회 수록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판소리계 소설인 <춘향전>이 33회, <심청전>이 22회, <흥부전>이 21회에 걸쳐 많이 수록되었다. 이것은 판소리가 1964년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고, 올해(2003년)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걸작으로 등록된 점으로 볼 때, 고전문학에서 판소리계 소설이 차지하는 위치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단적으로 나타냈다고 볼 수 있다. 전(全) 교육과정기의 검인정 교과서에 실린 29편의 작품은 다양해 보이지만, 600편의 현존하는 고전소설에 비해 극히 적은 숫자이다. 또한 29편의 작품 중에서도 10종 이상의 교과서에 실린 작품이 13편으로 지명도가 높은 소수의 작품이 반복적으로 수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전소설 작품인 <홍길동전>을 통해 분석해 볼 때, 학습 목표는 단원이 커질수록 포괄적으로 설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7차 교육과정에 와서는 소단원의 목표를 과거 시대의 작품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현재의 상황에 맞게 적응하는 방향으로 진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단원에서도 조선전기의 세계문학의 갈래와 작품 파악 등으로 제시함으로써 제6차 교육과정에서 소홀한 세계문학 부분을 많이 보완하였다고 볼 수 있다. 대단원의 목표에서도 작품 속의 이야기를 견주어 자신의 이야기를 허구적으로 꾸미기, 문학의 수용자 입장에서의 비판적·창조적 재구성, 문학 작품의 창작·발표· 평가 등으로 제시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문학의 수용과 창작이라는 대전제를 충실하게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문학을 대상적 관점으로만 바라보는 방법을 지양(止揚)하고, 문학의 수용과 창작을 함께 고려하는 제7차 문학 과목의 교육과정을 추구하면서도 문학의 수용과 창작의 구체적, 실천적 요소들을 추출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작품을 수용하는 학습자의 태도나 가치관 등 정의적 측면과 유관(有關)한 것인데, 설정된 학습 목표(특히 소단원 목표)들은 <홍길동전>이 사회 소설의 성격을 띤 작품이기에 작가의 사상이나 작품의 시대적 연관성을 묻는 작품의 '생산'적 측면만이 강조되어 있거나, 장르적 특징과 작품 자체의 구조 분석에 치중하여, 독자의 수용적, 창작적 측면에서는 아직도 부족함을 알 수 있다. 작품 생산에 관계된 현실 비판적 사고를 인식하고, 비판적 안목을 통해 작품 속에 담겨진 인간의 삶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며, 그것을 궁극적으로 내면화하고 이해와 감상을 넘어 비판적 적용과 창작으로의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 本 論文은 2004년 2월 西原大學校 敎育大學院 委員會에 提出된 敎育學 碩士學位 論文임 Classical literature as korean traditional cultural inheritance has a significance in two aspects. One is the role of spiritual tradition that shows our past life and exists in everyday life. The other is the role of lively art that is read and felt by people. Accordingly, classical literature is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al inheritance and the bridge connecting the past with the present and lively art enriching our spiritual world. This thesis aims at presenting the method of desirable classical novel education and aims at investigating the present conditions and the problems of classical novel education by grasping the aspects and the study points of classical novels recorded in the authorized textbooks from the first to the seventh. Korean literature textbook in the seventh curriculum centers on the acceptance and the creation by subject and by theme. Korean literature textbook in the seventh curriculum is off the points such as the currency of korean literature by period and the description of korean literature by genre. However, korean literature textbook in the seventh curriculum doesn't ignore the points such as the currency of korean literature by period and the description of korean literature by genre at all but records them in some units in a small way. Korean literature textbook in the seventh curriculum has more emphasis on the introduction of foreign literature and on the comparison with the history of world literature that is ignored in the previous curriculum. Korean literature textbook in the seventh curriculum also emphasizes the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culture and makes up the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culture by a chapter. Korean literature textbook in the seventh curriculum put the object of literature education on not only the understanding and the appreciation of literature but also the literature creation and culture philosophy. Korean literature textbook in the seventh curriculum tries to find a system to put a graft into art and value. Literature education that is thought as an assistant to language ability as tool textbook comes to the point of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life, the inventive creation, the literature as cultural phenomenon, the literature of accepting and creating of value. 29 classical novels are included in the authorized textbooks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seventh curriculum. Among them, <Hongkildongjon> and <Hungbujon> are included in all curriculums. In looking into the recording aspects of work each curriculum, we can know that <Hongkildongjon> and <Hungbujon> is very important to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Hongkildongjon> is the first novel recorded in Hangul and the writer is known to everyone and has the style of hero novel. In the aspects of story, <Hongkildongjon> shows us the antilogy of the discrimination between right son and bastard and the immorality of official and has the character of social novel. <Hungbujon> which has the style of Pansori is the first legend introduced by words and songs. <Hungbujon> shows us the instructions such as the comradeship between brothers and happy ending of the good and the concept of economy on the basis of morality and the publicity of general ethics. Also <Hungbujon> sublimates two excessive characters , Hungbu and Nolbu, by peculiar humour. <Chunhyangjon> <Yangbanjon> <Simchongjon> <Imjinrok> is included in all curriculums six times. This shows us the importance these work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se works show us the aspects of ancestral life. The omittance of these works in all curriculums once is to avoid the repetition of an authorized textbook and of repetition between the structural similarity of novel. Another works except <Yangbanjon> are included continuously but are excluded in some curriculum. <Yangbanjon> is included in all curriculums except the first curriculum. <Yangbanjon> reveals the hypocrisy and affectation of nobleman and criticize the immoral aspects of nobleman. by the mouth of tiger <Leesaengkyujangjon> is included in textbook except the first and the second. This work stimulates the curiosity and the interest by the true love of lovers superior to death. <Inhyunwanghujon> which has the specific background, the palace of Chosun period, and which has boring story between concubines is excluded from the fifth curriculum because it doesn't stimulate the curiosity and interest of modern people. <Hongkildongjon> is included 44 times and the most. <Kuwunmong> which is included 34 times shows us the emptiness of life in the background of Confucianism, Buddism and Taoism. <Chunhyangjon> which is the symbol of virtuous woman is included 33 times. <Yangbanjon>is included 32 times. Especially, These four works except <Kumohsinwha><Chuiububukjongki> which has the style of the first novel is included 39 times. <Chunhyangjon>which has the style of Pansori is included 33 times. <Simchongjon> is included 22 times. <Hungbujon> is included 21 times. With these factors, Pansori is very important in classical literature considering that it is dominated intangible cultural asset the fifth in 1964 and considering that it is registered world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UNESCO in 2003. During the past fifty years, 29 classical novels are included in the authorized textbooks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seventh curriculum look various in the glimpse of the number but the number makes up small part considering many classical novels that exist in the present. Especially the repetition of 13 classical novels that is included in common over ten kinds of textbooks reflects the popularity of works. In analyzing <Hongkildongjon>, we know that the aim of study is established in general as the unit is big. However, the aim of study that is presented in unit, chapter, big chapter is not presented systematically but is presented repeatedly. This is because unit system between all kinds of korean literature textbooks is not connected and fixed. On the basis of the history approach of literature, we think of <Hongkildongjon> as not the novel itself but the literature work. Korean literature textbook in the seventh curriculum reconsiders the past works in the mood of modern times and comes to a new understanding of classical novels and progresses classical novel education in the present situation. In chapter, we supplement the world literature that is ignored in the sixth curriculum by appreciating the genre of world literature and the works of world literature in the early period of Chosun Dynasty. In big chapter, we can confirm to be true to the big title such as the accepting and creating stand of literature that is important to the seventh curriculum by transforming the works fictionally in their place, by being critical and creative reconstruction in the order of the creation, the introduction and the evaluation of literature. We have limitations on picking out the concrete and practical study items and on sublating the attitude of literature from an objective point of view and on pursuing the object of the seventh curriculum. This is because of emotional factors such as the attitude and the value of learners who accept the works. Accordingly, the aims of study, especially in the object of unit, established in <Hongkildongjon> have an emphasis on only productive aspects such as the thought of writer, the meaning of work in period and on the characteristic of genre and the structural analysis of work itself but have a shortage of the accepting and creating stand of writer. To be a true literature education, we should have critical thought of works, should grasp the life of character through critical thought generally and should try to sublimate these factors into the critical application and the creation over the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of works.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04.

      • 私學運營의 自律性 伸張을 위한 學校運營委員會 活性化 硏究

        전진수 西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사학의 특성과 현황을 살펴 한국 사학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공공성과 자율성 논의에 기초하여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원리를 살펴보고, 충청북도 내 사립학교의 학교운영위원회 규정분석을 통해 그 운영실태를 파악하여, 한국 사학의 발전과 학교운영위원회의 효율적 정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학은 공공성과 자율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을 토대로 한국 사학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한국 사학이 지닌 구조적 문제와 해결되어야 할 쟁점들은 첫째 사학교육의 특성결여이다. 한국 사학은 독특한 설립이념 및 건학 정신의 승계가 모호하다는 근본적 문제를 안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획일성으로 국·공립과 다른 사학 고유의 독특성과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다. 둘째 중등교육의 확대와 보편화에 따른 국가의 공적 관여와 개입 증대로 인하여 사학운영의 자율성은 심각할 정도로 약화되어 있다. 세째 교육여건의 부실문제이다. 교원 1인당 학생수가 국·공립에 비해 높으며 학생 1인당 교지 면적 및 교실확보율, 실험실습실, 도서관 확보율 등이 국·공립에 비해 현저히 저조하다. 네째 사학교육재정의 영세성 및 재정지원 미흡의 문제이다. 이렇듯 한국 사학은 공공성과 자율성이라는 사학의 특성이 조화롭게 발휘되지 못하는 구조적 문제들을 안고 있다. 충청북도는 학교운영위원회를 설치한 사립학교에 대한 보조금 지급 정책이 발표되면서 전국에서 가장 먼저 도내 전 사립학교에 학교운영위원회가 구성되어 운영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충청북도 내 39개 중·고등학교의 단위학교 규정을 분석하여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실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은 국·공립과 다른 사립학교의 특성을 고려한 면을 살펴볼 수 있었다. 사립학교는 상위법의 심의 사항이 사립학교법에 명시된 이사회의 기능을 침해한다고 하여, 중요한 심의 사항을 자문기능에서 제외시켰다. 학교헌장 및 학칙의 제·개정, 학교예산·결산 심의, 교원초빙제 등이 그것이다. 반면 재정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학교발전기금 조성에 대한 관심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위원선출에서 상위법을 위반하여 비민주적인 절차와 내용을 규정한 사례를 다수 찾아볼 수 있다. 3) 운영위원회 조직에서 임원선출 방법을 구체적으로 규정하지 않은 학교, 임원 선출 규정이 없는 학교, 조례에 의하여 단위학교 규정으로 정하여야 하는 위원의 임기 개시일이나 소위원회의 종류나 운영을 위한 절차 등이 규정되지 않은 학교, 규정은 잘 되어 있으나 실제 선출 시 적용하지 않은 사례가 다수였다. 국·공립과 다른 사학의 특수성을 고려한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 설치의 기본원리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육의 공공성과 설립의 민간주체에 따른 자율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2) 학교운영위원회와 학교법인 이사회의 상호위상 및 관련성을 고려한다. 3) 학교운영위원회와 학교법인의 상호협력과 보완기능을 강화하여야 한다. 이상의 기본원리를 적용하여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1) 사립학교 운영위원회의 성격은 자문기관과 심의기관의 성격을 동시에 지니게 한다. 학교헌장의 제정, 법인회계예산의 심의, 초빙교원제와 같은 사안은 자문기관을 성격을 지니고, 그 이외의 사항은 국·공립과 같은 심의기관의 성격을 지니게 한다. 2) 위원 구성에 교원위원, 학부모위원, 지역위원과 함께 학교법인 이사회의 추천위원을 포함시킨다. 3) 정보제공 및 활성화를 의무화한다. 학교운영위원회는 학교운영에 관한 정보를 교사와 학생, 학부모, 교육청 등에게 보고하고, 학교 홈페이지에 모든 사항을 공개하도록 한다. 4) 운영위원에 대한 교육을 강화시킨다. 학교운영위원회가 단순한 견제기능이 아니라 학교발전과 교육발전을 위해 존재한다는 점을 위원 모두 충분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5) 학교운영위원회가 이사회와 충돌 시 이를 중재할 제3자적 기관이 필요하다. 6) 사립학교의 자율성과 학교운영의 다양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7) 단위학교 학교운영위원회 규정 제정과 개정에 대하여 관할청의 지속적인 검토와 교육을 실시한다. 상위법을 위반한 잘못된 법규정은 형식적, 비민주적 운영의 모태가 된다. * 본 논문은 2004년 2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relating to the properties and situations of Korean private schools and to present the principle of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n the private school, based on the arguments relating to the property of its independence and public. Furthermore, it is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operation with the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regulation in the private school in Chungbuk and suggest a plan to develop the Korean private schools and to make the settlement of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 have examined the situation of the Korean private schools, which have the property of independence and public. They have the problems which are (ⅰ) a lacking of properties to educate at the private school; (ⅱ) a weakening of the properties to be independent in operating the private schools; (ⅲ) a problem of the educational conditions; (ⅳ) a problem of the financial support for the private schools. I analyzed the regulations of 39 middle and high schools in Chungbuk and examined the situation to operate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The results for this is as follows: Firstly, the function of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n national and public schools carries out to consider all articles suggested by the higher laws. But the private schools excluded to consider the important items in its functions because the items to be considered disturb the function of board directors which is clarified in the law of private schools. On the other hand, the private schools showed much interests in the developing fund for school to overcome financial difficulties. Secondly, many examples are discovered in non-democratic procedures and contents to violate the higher laws in a election of the committee members. Thirdly, There are schools which do not have the methods for electing officers and the regulations for the working day of committee members, kinds of small committee, and the operational procedures. The basic principles of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n the private schools, which is considering their special character, are following. Firstly, they have to consider the independent character, based upon the private main body of establishment as well as the public character of education. Secondly, they have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ard of the school corporation directors and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Thirdly, they have to strengthen the correlative corporation between school corporation and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 will suggest the plan which can activate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n the private schools to make the application the above basic principles. Firstly,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n the private schools are characterised as both advisory and consultant organization. Secondly,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n the private schools includes the teaches's committeeman, the studensts' parents committeeman, the region committeeman, and the recommendation committeeman by the school corporation. Thirdly,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s bound to provide the informations and activate the management. Fourthly,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s ought to strengthen the education for the operation committeeman. Fifthly,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needs the third organization which mediates to clash with the board of directors. Sixthly,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guarantee the independent characters and varieties to operate in the private schools. Sevethly, the education for officers are made to examine the regulation of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and make its revision of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04.

      • 行政電算化에 대한 大學職員의 認識硏究

        박영규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63

        급속한 사회변화에 적응해 나아가기 위한 사회의 각 분야의 노력에 힘입어 대학행정 또한 사회변화의 속도에 적응해 나아가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대학의 적응 노력에 발 맞추어 대학행정 직원들의 적응노력도 크게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학행정 직원들의 전산화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그리하여, 이 연구는 정보화 시대에 서비스에 부응하기 위한 교육행정 서비스에 있어서 질 높은 행정서비스로 학생들과 구성원, 모든 민원인들에게 필요한 행정업무를 개선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한 업무처리를 해야할 것이며, 이는 전산화에 대한 인식변화가 선행되어 야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이에 대한 행정직원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는 대학행정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 행정의 효율화 차원에서 전산화를 통한 업무의 개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데 두고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첫째, 대학행정 직원들의 전산화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컴퓨터를 통한 전산화가 행정업무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가? 셋째, 전산화와 관련하여 대학행정 업무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행정직원들의 의견은 어떠한가? 넷째, 성별, 국. 사립별로 대학행정 전산화에 대한 의견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연구의 방법은 충북에 소재 하는 대학 4개교(국립 2, 사립 2)의 행정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217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행정직원들의 컴퓨터 기능수준은 현재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으며, 주어진 컴퓨터 시스템의 활용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행정을 위한 전산화는 추가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 업무의 70이상이 전산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자 직원들은 소프트웨어의 보급과 전산화에 대한 의식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여자 직원들은 업무의 표준화가 우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 공립대학 직원들이 기기의 부족을 사립대학 직원들보다 더 강하게 느끼고 있으며, 전산화 추진 체계는 국 공립대학 직원보다 사립대학 직원들이 더 강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산화를 통하여 행정직원들의 업무량은 많이 늘어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는 더욱 향상된 전산화를 통해 개선되어야할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현재 업무에 활용하는 내용은 인터넷 등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문서전달 수준이 가장 높고, 통계수치의 관리나 인사 또는 재무자료의 관리수준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대학행정 정보화에 우선되어야 할 사항은 남자 직원의 경우, 정보보안 유지 등 법과 제도적 문제를 우선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여자 직원들은 인력의 확충과 컴퓨터 활용교육의 강화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전산화를 통한 비용 및 경비절감, 의사전달의 정확성, 인력절감, 문서작성, 정책자료 제공, 근무환경, 업무의 투명성, 대민 서비스, 책임감 등의 효과는 매우 크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현재의 비효율성을 개선하는데 전산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부서별 인력을 재배치하고, 책임의 소재를 명확히 하여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 논문은 2000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of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perceived by college staffs who were pursuing administrative effectiveness and speediness based on computer-used job performance. College staffs were trying to reduce those impacts and to solve their problems of maximum change of their conventional job skills and knowledge into new media-based job performances. To these problematic sources were asked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was the level of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perceived by the college staffs? Second, on what level of the task performance do they perceive the effect of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Third, what were their opinions perceived by college staffs for the desirabl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Fourth, what differences of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do they hav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groups of the college staffs, and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 members of them?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were involved 217 college staffs in Chung- Buk Province who were engaged in two private and two public universities/colleges, and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constructed for this thesi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re interpreted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the college staffs perceived no difficulties of handling present job task and performance based on computer system.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college staffs thought that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should be applied to the future job task and that the handling of this job task should be computerized more than seventy percent. Third, it was shown that the male staff members thought that the more important things were to distribute software programs and to make positive changes into computerization in higher education but it was known that the female members thought that the standardization of computerization was more important. Fourth, it was known that public organization staffs thought that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needed more hardware items than the private ones. However, it was known that private organization staffs thought that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needed more systematic systems than any other ones. Fifth, it was conceived that higher education staffs thought that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contributed to make their conventional job tasks easier than before but to make more elaborated job tasks added and them felt more complicated in the near future. Sixth, it was shown that higher education staffs thought that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contributed to make them most frequently and dominantly use internet networking systems for delivering documents, and next use them for performing statistical data managements, and financial and personnel managements. Seventh, it was also shown that the male staff members thought that the important priorities were to keep security systems against illegal usages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However, it was known that the female members thought that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as more important and in-service education for computer-assisted administration should be activated. Eighth, it was analyzed that the college staffs thought that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reduced cost/expenditure, staff numbers, and bad working conditions, and made it effective to manage documentation and policy-making resources, services for clients, and job responsibilities, and also made it clear to communicate each other and to process job tasks. Ninth, it was finally Inferred that the college staffs thought that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would make it necessary to remove present job inefficiency and also make it possible to assign staff members into their own jobs and to recognize their own Job responsibilities. It was concluded that college/university staff members should be trained for nationwide educational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processes: standardization, communication, clarity, and adaptiveness. And it was also suggested that well-designed education for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is to improve the belief that college/university staff members should make develop their own potentiality into higher order of administrative effectiveness and into solving of worldwide future problems in higher education.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0

      • 音樂敎育에 必要한 初等學校 創作指導法에 관한 調査硏究

        신선아 西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초등학교 음악교육은 학생들이 음악성과 창의성을 계발하여 풍부한 음악적 정서를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에 들어서는 음악교육이 창의성 계발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하고있으며, 교육과정에서도 가창, 기악, 감상과 함께 창작영역이 핵심적 영역으로 자리잡고 있다. 음악 창작학습은 음악적인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여 형성되어지며, 여러 가지 음악적 요소들과 원리를 교육학적 접근방법에 따라 적용함으로서 아동 자신이 음악적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다. 아동들 자신이 자신들의 잠재된 음악성을 드러냄으로서 자부심을 갖게되고 창작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가창, 기악, 감상, 창작의 음악 학습 분야 중 가장 적극적인 체험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작학습 능력의 상승을 위한 배경으로 아동기의 음악적 특징과 창작능력 발달과정을 알아보았다. 또한, 제 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음악교과의 창작영역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학습방법을 제시하였다.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 조사를 통해 현재 초등학교 음악교과와, 음악교과 수업내용 중 창작수업에 관한 실태와 문제점, 개선안 등을 조사 연구 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른 개선안과 아동의 창작학습 상승을 위한 방법으로, 음악의 기본개념 요소들과 관계된 창작 학습 요소를 활용해 창작 지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리듬, 가락, 화성, 형식, 셈여림, 빠르기, 음색의 여러 요소를 사용해 여러 창작 활동을 함으로 아동이 기초적인 음악표현의 원리와 함께 표현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아동은 자신의 생각을 창작활동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되어 아동자신의 창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활동이 되게 하였다. 다음 단계로 실질적인 창작활동이 되는 즉흥연주와 작곡 실습활동을 통한 창작지도 학습법을 제시하였다. 즉흥연주는 모방, 묘사 등의 방법을 활용한 창작의 기초단계로 사물 묘사하기, 흉내내기 등의 활동을 시작으로 가사 바꾸어 부르기, 문답학습 등으로 즉흥표현, 연주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창작학습의 최종단계인 작곡활동에서는 아동이 직접 가락을 지어보게 함으로 악보로 인한 독보력 활동만이 아닌 아동 자신이 자신의 음악성을 발휘해 만들어가는 창의적인 활동이 될 수 있게 제시하였다. 주어진 리듬, 가락, 등을 통해 변형, 변주함으로 작곡 활동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였으며 그 전 단계인 즉흥연주 활동과도 연관되게 학습할 수 있게 제시하였다. 이렇게 창작학습을 단계적으로 제시함으로 그 부분들이 연결되어 작용해 아동들의 음악적 상상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창작학습 능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학습방법이 되게 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연구활동과 관련해 앞으로도 여러 연구활동들이 있어야 하겠고, 초등학교 음악교육에 있어 창작학습 활동이 더욱 활성화 되어야 하겠다. 이들 연구들로 인해 아동들이 가지고있는 음악적 창의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끌어내어 아동의 창작능력을 더욱더 상승 발전 시켜야 하겠다. * 본 논문은 2003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The goal of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lies in improving rich emotion of music through developing students' musical talent and creative ability. Nowaday, the important goal of music education is developing in creative ability by creating musical idea of their own. The creative field with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appreciation is emphasis. Creative learning can be said as the most positive musical experience among various music fields, because it develops students' potentialities and provides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feel proud of their own musical capabilities and improve in creative 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musical characteristic and creative ability of childhood, to categorize teaching plan available for elementary school through posing a question, and to offer teaching plans including various activities that could make an easy approach toward creative activities. First, the concepts of rhythm, melody, harmony, form, dynamics, tempo and tone color were planned to teach in such a way that students could comprehend diverse expressive methods and the basic principles of musical expression to convert their music ideas into composition. Second, it's also attempted to suggest an easy approach toward impromptu performance and composition, the key activities of creative activity. Impromptu performance is a rudimentary stage where students create music by imitation or delineation through performance, and also can be said as a medium process where they move into composition activity through dictation. In composition, it's intended in this study to help students exert their imagination as far as possible and make music in their own way, rather than focus on dictation. Students could be encouraged to make melody easily by transforming the rhythm or melody of the given music, and connect pre-stage, impromptu performance. According to showing by stag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proved their own musical imagnation and creative ability by connecting each stage.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3.

      • 유치원 원장의 역할수행에 대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원(교)장과 교사의 지각 및 기대 비교

        성혜자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의 역할수행에 대하여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원(교)장 자신과 초등학교병설유치원 교사의 지각과 기대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유치원 원장의 역할수행의 각 하위영역에 있어서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원(교)장의 지각과 기대간에 차이가 있는가? 나. 유치원 원장의 역할수행의 각 하위영역에 있어서 초등학교병설유치원 교사의 지각과 기대간에 차이가 있는가? 다. 유치원 원장의 역할수행에 대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원(교)장과 초등학교병설유치원 교사의 지각과 기대는 역할수행 하위영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북도교육청 산하 11개 지역교육청의 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 재직중인 원(교)장 131명과 교사 216명이었고, 본 조사에서 수집된 설문지를 SPSS를 이용한 일원분산분석(ANOVA), t-test검증과 Scheffe와 Dunnett T3 사후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원장의 역할수행에 대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원(교)장의 지각과 기대간의 차이를 조사해 본 결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기대를 지각보다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과 기대의 차이가 가장 큰 영역은 교육과정 및 학습지도영역이었고, 지각과 기대의 차이가 가장 적은 영역은 시설 및 재무관리영역이었다. 원(교)장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역할수행 하위영역 중 원(교)장 경력에 따라 교직원관리영역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원(교)장 경력이 3년이상인 원(교)장이 원(교)장 경력이 3년미만인 원(교)장에 비해 교직원관리영역 역할수행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원장의 역할수행에 대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 교사의 지각과 기대간의 차이를 조사해 본 결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기대를 지각보다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과 기대의 차이가 가장 큰 영역은 평가영역이었고 지각과 기대의 차이가 가장 적은 영역은 지역사회 및 대외관계영역이었다.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역할수행 하위영역 중 유치원 소재지에 따른 지역사회 및 대외관계영역에서 군지역 교사들이 시지역 교사들보다 원(교)장이 지역사회 및 대외관계영역 역할수행을 잘한다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경력에 따른 생활지도영역에서는 교육경력이 5년미만이나 15년이상의 교사들이 10년이상~15년미만인 교사들보다 원(교)장이 생활지도영역의 역할수행을 잘한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경력에 따른 평가영역에서는 교육경력이 5년이상~10년미만인 교사들이 교육경력이 15년이상인 교사들보다 원(교)장이 평가영역의 역할수행을 잘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원장의 역할수행에 대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원(교)장과 초등학교병설유치원 교사의 지각 및 기대를 비교해 본 결과 지각에서는 원(교)장이 교사보다 모든 하위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큰 지각의 차이를 보인 영역은 인사 연수영역이었고 가장 적은 지각의 차이를 보인 영역은 교육과정 및 학습지도영역이었다. 기대에서도 지각과 마찬가지로 원(교)장이 교사보다 모든 하위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큰 기대의 차이를 보인 영역은 생활지도영역이었고 가장 적은 기대의 차이를 보인 영역은 평가영역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원(교)장 자신은 현재의 유치원 원장 역할수행에 대한 지각이 기대에 못미친다고 인식하고 있다. 특히 유치원 교육의 전문성을 절실하게 요구하는 교육과정 및 학습지도영역의 역할수행이 가장 기대에 못미친다고 지각하는 것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초등학교병설유치원 교사들도 원(교)장 자신의 지각과 기대와 마찬가지로 현재 유치원 원장으로서의 역할수행에 대한 지각이 기대에 못미친다고 인식하고 있다. 특히 평가영역의 역할수행이 가장 기대에 못미친다고 지각하는 것에 대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셋째,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원(교)장과 교사의 지각과 기대를 비교해 본 결과 지각과 기대 모두 원(교)장이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원(교)장 자신은 유치원 원장으로서의 역할수행을 긍정적으로 보았고 교사들은 원(교)장 자신에 비해 원(교)장의 역할수행에 대해서 만족스럽지 못하게 보았기 때문에 원(교)장과 교사간의 지각과 기대 차이를 좁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원장의 역할수행 중 유치원 교육의 전문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교육과정 및 학습지도영역이나 평가영역에 대해서는 유치원 원장으로서의 전문성을 도울 수 있는 재교육 프로그램 등을 적극 개발·적용해야 할 것이다. * 본 논문은 2003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s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nd expectation between kindergarten directors(principals) and teachers on the role performance of the kindergarten director. For this purpose the detailed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a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directors(principals) in the kindergartens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 on the role performance of the kindergarten director? 2. Wa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teachers in the kindergartens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 on the role performance of the kindergarten director? 3. Was there any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between kindergarten directors and teachers in the kindergartens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 on the role performance of the kindergarten directo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literature reviewed and survey were performed. The survey instrument used was a questionnaire which was based on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Choi(2000) and revised the content for the study by the researcher partially. The subjects were 131 directors(principals) and 216 teachers in the kindergartens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 in the province of Chungbuk.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NOVA, t-test, Scheffe and Dunnett T3 using SP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directors(principals) in the kindergartens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 on the role performance of the kindergarten director. There i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directors by the directors(principals) demographic variables. 2.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teachers in the kindergartens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 on the role performance of the kindergarten director. There i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teachers' demographic variables. 3.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perception and expectation between the directors(principals) and teachers in the kindergartens attached the elementary schools on the role performance of kindergarten director. The comparison of perception and expectation between directors (principals) and teachers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s shows the expectation of directors(principals) scored higher than one of the teachers in all subareas. The largest difference was in the subarea of career education and the smallest difference were in the subarea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Expectation, as with perception, shows the directors(principals) obtaining a higher score than teachers in all subareas. The largest difference was shown to be in the subarea of counseling and guidance and the smallest was in evaluation.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Because the directors' perceptions in the kindergarten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s are not as high as their expectations in all subareas. In-service education for directors(principals) about professional role of kindergarten director is needed. 2. In case of teachers, their perception is not as high as the expectation. Especially, the largest difference is showed in the area of evaluation. 3. The directors scored higher in both perception and expectation than the teachers. This means that the directors consider their role as director more positively compared to teachers, which indicates a solution must be found to decrease the gap between the directors' perception and their expectation, in comparison to teacher.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3.

      • 여자중학생의 무용수업에 대한 인식 : 충청북도 청주시내 학교를 중심으로

        김은경 西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무용교육에 대한 여자 중학생들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잠재능력을 충분히 발현시킬 수 있는 적합한 수업내용의 선정과 효율적인 수업 방법을 강구하는데 있어 무용교육의 운영에 이용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총 23개 문항을 구성하여 충청북도 청주시 소재지에 위치한 무용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350부를 배포조사 하였다. 이 중에서 응답을 일부 또는 전혀 기입하지 않은 것, 응답을 했으나 기타로 모두 표기한 것 등 장난형식이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자료 17부를 무효처리한 후의 유효 설문지 총 33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3월과 4월에 설문지를 작성하여 2003년 5월 12일부터 18일까지 일주일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여중생들의 무용에 대한 관심을 살펴 본 결과, 무용에 대해서 관심이 있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더 많았으며, 무용에 대해 관심이 있는 학생은 아름다움에 가치를 두고 있었으며, 그렇지 않은 학생들은 재미없고, 어려워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중생들의 무용에 대한 관람도를 살펴 본 결과, 무용관람 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많았으며, 무용관람 횟수는 1~2회가 가장 많게 나타났다. 관람은 주로 공연장이나 TV를 통해 많이 하였고, 관람하게된 동기로는 수행평가로 인한 관람이 가장 많았으며, 많은 학생이 관람의사가 있었으나 일부 학생은 수업의 연장으로 이어지는 것이라도 관람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중생들의 무용수업 내용에 대한 선호도를 살펴 본 결과, 여중생들은 현대무용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스포츠 댄스나 째즈 댄스와 같은 경쾌한 것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무용과 발레는 기본 틀에 박힌 것이어서 어려워하는 학생이 많았다. 또한 수업 내용의 즐거움에 대해 살펴본 결과, 무용수업을 재미있어하는 학생이 많았으며, 일부 학생은 무용수업을 지루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중생들의 무용수업을 통해 얻은 효과에 대해 살펴본 결과, 무용수업을 통해 신체를 움직임으로 몸매유지와 자세교정에 도움을 받는다고 인식하였으며,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고 자신의 생각을 틀에 맞추지 않고 표현할 수 있어 리듬감과 창의력 발달에도 도움을 받는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중생들의 무용수업시간에 대한 인식을 살펴 본 결과, 학생이 생각하는 무용수업 시간은 주당 2시간이 가장 많았다. 대체적으로 여중생들은 주당 수업시간에 만족하였으나 일부 학생은 무용시간이 '부족하다'거나 필요 없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여중생들의 무용수업시설 및 교구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많은 학생들이 무용수업시설 및 교구에 만족하고 있었지만 일부 학생들은 불만족스러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무용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장소로는 모든 학교가 무용실을 갖추고 있어 장소에 대한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교구에 대해서는 자신의 신체를 비추어 볼 수 있는 전신거울 가장 필요로 하였으며, TV·비디오 및 반주악기에 대해 불만족스러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2003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dance course in school, and by doing so, to find implications for effective curriculum that enables students to give full play to their potential ability. For the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research with 23 questions. The subjects were sampled from middle schools in Cheongju city area where dance courses were offered. During the survey, total 350 set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333 sets of answers proved to be valid. The field research had been conducted for a week from May 12 to May 18, 2003. The finding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interests in dance, more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dance. Students with positive perception tended to regard dance as something very worthy while those with negative perception showed indifference to the dance largely due to the technical difficulties in performing dances. Second, about their experiences in visiting dance performances, more students gave positive answers. Most of them visited performances at least one to two times. They tended to resort to TV or to visit performing halls to see dances. One thing interesting is that many students were reluctant in visiting, but were forced to visit because of the mandatory assessment of learning performance at school. Third, about their preferences among dance types, they were found to prefer modern dances, particularly such cheerful and rhythmical ones as sports and jazz dance. Students tended to regard the so-called Korean dance and traditional ballet as too typical and too difficult to learn. About the curriculum offered, many students evaluated them as so boring and not delightful. Fourth, about the usefulness of dance course, more students perceived that the dance course is helpful for their physical shape and the correction of posture. They also perceived that the dance course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the sense of rhythm. Fifth, about the course hours, two credit hours are found most common at schools. Most students showe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class hours. Some of them answered for need more or dont need at all. Sixth, concerning facilities and teaching aid, most students showed their satisfaction while others were negative. Students are mostly satisfied with the ground facilities that are set up for dancing. About teaching aid, however, they showed less satisfaction. They are unsatisfactory with such equipments as mirror, TV, video, and accompanied musical instruments.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