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가구주택의 평면유형에 따른 주거만족도 분석 : 울산광역시 도심지, 대학가, 공단밀집지역

        박태준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재 다가구주택은 1993년 이후, 독신자와 대학생, 신혼부부들에게 선호되어 급속도로 개발, 보급되어 오던 주택으로서, 점차 우리의 실정에 맞게 계속해서 개선되어져 가고 있으나 오래전부터 독신가구의 비율이 높았던 선진국들과 비교해서 양적, 질적 측면, 특히 질적인 측면에서 아직은 많은 개선이 필요한 것이 또한 사실이다. 울산광역시 역시 다가구주택은 독신자와 대학생, 신혼부부들에게 선호되어 개발된 주택으로 이러한 다가구주택의 선호대상에 맞게 대부분의 다가구주택들이 대학가들이나 단독주택 밀집지역인 도심단독주택가에 주로 많이 분포 되어있으며, 울산시의 경우 1960년대의 공업화로 인한 마을형성과 함께 공단밀집지역에 다가구 단독주택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이들의 지역은 최근 울산지역에서 원룸형의 다가구주택 붐이 일어나고 있는 지역 중 매우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는 지역으로 남구지역은 전체 단독주택 중 다가구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이 80%를 넘어서고 있으며, 온산지역의 경우 울주군 지역 중 다가구주택의 34.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울산시 전체에서는 9번째로 많은 다가구주택의 비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이들 대학가지역과 도심지역, 공단밀집지역의 경우 울산시의 다가구주택 현황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지역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가구주택의 경우 다른 아파트 형 주거와 오피스텔 형 1-2인 가구 등 다른 주거와 비교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져 있지 않은 실정이며 특히 울산의 경우 다가구주택이 가진 문제점뿐만이 아니라 공단조성과 그에 따른 다가구 주거들의 무분별한 조성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들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가구주택이 밀집한 도심지역인 남구 달동·삼산동 지역, 대학가중심지역인 무거동 지역, 공단밀집지역인 온산공단 주변인 울주군 온산읍 지역 3개를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들 3개 지역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다가구주택의 내부평면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한 유형에 따른 주거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여 내부평면 구성방식의 개선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조사대상 지역 다가구주택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조사대상 지역 다가구주택의 내부평면 유형을 분류한다. 셋째, 각 다가구주택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주거만족도를 분석한다. 넷째, 각 다가구주택의 내부평면 유형별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주거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다. 다섯째, 각 유형별 거주자들의 만족도 및 선호도를 반영하여 만족도가 높은 내부평면 유형에 따른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다가구주택의 내부를 이루는 공간 중 방, 욕실, 다용도실, 주방의 구성방식에 따라 평면유형을 분류해 본 결과 본 연구의 조사대상 다가구주택의 평면유형을 4개의 유형(원룸형(내부주방), 원룸형(미니주방), 투룸형, 쓰리룸형)으로 범주화하여 분류하였다. 첫 번째 유형인 원룸형(내부주방)은 방이 1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방이 내부에 방과 함께 통합되어 있고 욕실과 다용도실이 구성된 형태로 방과 주방이 통합된 형태(1RK)이다. 이 형태는 4가지 유형 중 완전 통합형에 가까운 원룸형 구조로서 가장 작은 규모의 구조를 가지기도 한 형태이기도 하며, 대학가나 1인가구가 거주하는 평면유형으로 가장 많은 유형이기도 하다. 이 유형의 경우 주방이 내부에 위치해 있어 위생 및 청소, 환기 등의 여러 가지 문제 등을 야기하며 다가구주택의 열악한 주거환경을 형성하는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유형의 경우 작은 평수로 여러 가구를 지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많은 다가구주택을 건축하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유형이기도 하다. 두 번째 유형인 원룸형(미니주방)은 앞의 첫 번째 원룸형(내부주방)과 달리 주방이 분리된 형태로 완전 통합형인 첫 번째 유형에서 주방이 분리된 원룸형태(1R+K)이다. 이 유형의 경우 첫 번째 유형인 원룸형(내부 주방)이 주방이 방 내부에 있음으로 인해 환기 및 미관 청소 등 여러 가지 문제 등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을 개선한 형태로 열악한 다가구주택의 환경을 조금 더 개선한 형태로 볼 수 있다. 이 유형은 1인가구 거주용 원룸형으로 현재 가장 많이 선호하는 주택 평면유형이다. 세 번째 유형인 투룸형의 경우는 1개의 방과 거실로 이루어진 형태로 거실에 주방이 통합된 형태(1R+LK)이다. 이 형태는 앞의 두 원룸형과 다르게 거실이 추가된 형태로 규모가 넓으며 방 이외의 거실이 따로 있어 공간활용도가 뛰어나고 1인 뿐만이 아니라 2인까지 사용가능한 구조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 유형인 쓰리룸의 경우는 가장 규모가 큰 유형으로 방 2개와 거실을 가지며, 거실에 주방이 통합된 형태(2R+LK)이다. 이 형태는 1인이 사용하기에는 큰 평면유형으로 2인이 사용하기에 적절한 공간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형태는 1인 가구보다는 2인가구인 신혼기 가구나 2인 동거가구에 적합한 평면유형으로 대학가지역보다는 도심지지역이나 공단밀집지역에 더 많이 분포한 유형이다. 본 조사의 연구방법으로 연구의 대상지역은 다가구주택이 많이 밀집한 도심지지역 주변인 남구 달동·삼산동 지역, 대학가 주변인 무거동 지역, 공단밀집지역인 온산공단 주변인 울주군 온산읍 지역 3개를 선정하였으며, 3개 지역의 비율을 동일하게 하여 층화한 후 다가구주택 1-2인 타가 거주자를 대상으로 단순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총 100가구를 선정하기 위하여 1단계에서는 지역에 따라 조사대상을 할당하고 2단계에서는 다가구주택에 거주하는 1-2인 타가 거주자로 조사대상 할당하였고, 응답대상자는 1인 또는 2인 거주자로 신혼기인 경우 아동의 경우는 3인까지 대상자로 포함하여 다가구주택에 거주하는 자가 소유자를 제외한 전세 및 월세, 사원주택 등에 거주하는 타가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2013년 10월 7일부터 10월 20일까지 총 120부의 설문지를 배포 후 내용이 부실하거나 맞지 않는 31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40부를 배포 후 회수하여 총 129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조사자료 분석에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를 통해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고 주요개념에 대한 집단별 평균비교를 통해 만족도와 필요여부에 대한 평균을 비교하기 위하여 평균비교 F검정과 t-검정 실시하였으며, 또한 두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종속 변수가 독립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과 χ²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조사결과에 따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가구주택이 도심지역과 대학가지역, 공단밀집지역인 3개 지역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각 지역별로 4개의 평면유형이 가지는 특성을 살펴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에 따른 각 지역별 특성이 반영된 연구의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 대학가 지역인 무거동의 경우는 대학생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곳으로 대부분 원룸형(내부주방), 원룸형(미니주방)의 두가지 유형이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붙박이장과 외부발코니에 대한 필요성이 높게 요구되고 있어 향후 이에 대한 개선안이 이 지역의 다가구주택 건축에 반영되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도심지역인 달동·삼산동 지역은 원룸형(미니 주방)과 투룸형에 많이 거주하고 있으나 향후 투룸과 쓰리룸에 거주하길 원하는 비율이 높고 거실에 대한 불만이 높아 이에 대한 검토와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공단밀집지역인 온산읍지역은 원룸형(미니 주방)과 투룸, 쓰리룸형 등 세 지역 중 제일 넓은 규모에 거주하고 가장 많은 기혼자들이 거주하고 있어 다른 집단과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어 이에 대한 특성이 반영된 계획이 필요할 것이다. 이 지역은 다른 지역과 다르게 공용시설인 휴게실과 회의 및 다목적실을 필요로 하고 있어 계획과정에서 이에 대한 파악과 숙지가 필요할 것이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현대사회 생활양식의 변화와 가구 분화 등으로 인하여 다가구주택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다가구주택의 경우 일률적인 평면유형으로 공급되어지고 있으며, 거주자에 초점을 두어 사용자의 측면에서 평면유형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둘째, 최근 다가구주택에 대한 수요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공급이 급격히 증가되었으며 앞으로의 주택시장 동향과 사회변화를 예측해 볼 때 이러한 변화는 가속화할 수도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를 위해 적절한 공급과 계획을 위하여 본 연구의 결과에 나타나듯이 지역적 특성과 유형에 따라 수요층의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계획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다가구주택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본격적으로 실시되기 시작한 시점인 2000년대 이후의 주택유형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방법과 연구대상에 있어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과 논의로 인한 다소 한정적인 연구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를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연구진행을 통해 연구의 기준을 마련하고 확립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울산의 전체 지역이 아닌 일부지역만을 대상으로 조사함으로써 연구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을 가지므로 다양한 지역과 많은 다가구주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지역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울산 A대학병원 사례를 중심으로

        이미정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국내·외 의료관광 산업의 활성화 정도에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부족한 울산지역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외국인 의료관광 현황, 의료관광의 국내·외 성공사례 및 제약 요인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문헌 고찰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울산지역 A대학병원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해외환자 유치 및 의료관광의 활성화 정도를 알아보고 울산지역 의료관광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다양한 논의와 실제적인 제안사항 등을 살펴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하여 1차 A대학병원 해외환자 유치 TFT의 자료를 살펴보았고 2차적으로 울산지역 의료관광 전문가의 인식을 중심으로 의료관광의 기반조성정책 및 의료 인프라, 의료 경쟁력, 경쟁력을 위한 제고 방안 등을 심층 면담하여 이를 토대로 PEST, SWOT 분석을 통하여 활성화를 위한 전략 수립을 하였다. 그 결과 A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외국인을 위한 건강검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다양한 외국인 대상 의료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후 전문 특화 의료서비스 개발과 중국과의 MOU 체결로 A대학병원 중심의 활성화 방안이 울산지역 지자체의 지원과 더불어 전문에이전시 육성, 지자체 차원의 홍보 활동이 이루어진다면 긍정적인 발전이 기대되는 상황으로 나타났다.

      • 울산대 캠퍼스 주차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배종수 울산대학교 정책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의 주차수요는 해마다 20% 이상 증가하교 있는데, 울산대학교 캠퍼스도 교직원은 물론 대학원생과 학부생까지 승용차를 이용하여 출·퇴근 또는 등·하교하는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주차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울산대학교의 향후 급증하는 주차수요에 대비하기 위하여 현재의 주차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장래의 캠퍼스 주차개선을 위한 방안을 검토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내 총 주차면수는 1,179면으로 피크시 주차대수인 1,526대를 해결하기에는 주차변수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주차면수의 추가확보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주변 주차구획선 형식의 변경이나 새로운 전용주차장 부지 확보가 필요하다. 2. 캠퍼스의 주차시간 도심의 평균 주차시간보다 다소 길며, 특히 활동인구의 구성원별 주차시간을 살펴보면 교직원이 학생 및 방문객보다 비교적 장기 주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쾌적한 캠퍼스 환경조성을 위해서는 주차시간을 최소화 해야 할 것이다. 3. 캠퍼스의 주차패턴은 대학의 학사운영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수업의 분산과 같은 효율적인 학사운영으로 주차가 특정시간대에 집중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다. 4. 교수 및 교직원의 주차수교만을 수용할 경우에는 구역별로 주차시설이 남아도는 곳이 있는가 하면, 주차시설이 부족하여 증설이 요구되는 곳도 있다. 주차시설이 부족한 구역의 경우, 주차시설에 여유가 있는 구역으로 분산 수용하는 방안이 있으나 현실적으로 어려올 때는 공동주차장의 설치 운영이 필요하다. 5. 현재와 같이 교수, 교직원(조교 포함) 및 일부 대학원생의 주차수요를 수용하는 경우에는 많은 구역에서 주차시설의 공급이 수요에 역부족임을 알 수 있었다. 주차시설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역간 주차설치 가능용지를 확보하여 구역공동주차장의 건설이 필요하다. 6. 교수 및 교직원, 대학원생의 주차수요를 전부 수용하려면 현재와 같은 방법으로는 교내 여건상 해결이 거의 불가능에 가까우므로, 경사지인 교내 가용지를 활용하여 지하주차장을 건설하거나 주차장전용건물을 건설하여 주차수요에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7. 합리적인 주차관리를 위해서는 주차수요의 억제방안과 더불어 효율적인 주차관리를 위한 관련 규정의 제정이 필요하며, 주차시설의 지속적인 공급확대 방안도 검토되어야 한다. In proportion to the highly increasing demand of parking lots in Korea, the campus of University of Ulsan (UOU) experiences rapidly extending requirement of parking space according to the growth rate of its faculties, students and staffs who own cars. This study aims to prepare improved alternatives for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of the UOU campus. For that purpose, present issues of the system is also considered carefully.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s. 1. Overall 1,179 parking lots in UOU campus is not enough for the 1,526 cars at the peak time. However, extra parking space is practically limited, so that another approaches such as arranging the parking line are required. 2. The average parking time in UOU campus is longer than the other sites in the city center, so that the efforts for minimizing the parking time are also required. 3. Parking pattern in campus is deeply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academic affairs, so that more efficient academic administration such as rearranging the lectures is required. 4. Imbalance of parking requirement causes in efficiency, so that more careful considerations of the compulsory allocation of parking system are required. 5. In the present circumstances, almost half of the colleges are beyond their parking capacities, so that the establishment of common-parking lots is required. 6. The extra parking space is not available in the present UOU campus, so that more practical methods such as the slope-used parking, the parking tower and the underground parking are required. 7. For more reasonable parking management, the UOU campus parking regulations are required with the policies for the decrease of parking requirements and the continuous supply of the campus parking facilities.

      • 住民自治센터 示範運營結果에 關한 硏究 : 蔚山廣域市 中區를 中心으로

        이형천 蔚山大學校 地域開發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623

        국정100대 과제중의 하나인 읍·면·동 기능전환을 위해서 울산광역시 중구에서는 14개 전동사무소를 대상으로 1999년 10월부터 주민자치센터를 시범 운영해 오고있다.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중구 주민자치센터 시범운영에 대하여 조직구성 및 운영에 대한 인식 및 기대에 관한 실증조사를 위하여 중구 주민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시범운영 기간동안 나타난 문제점과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논문이다.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랫동안 관치행정이 지속되어 왔으므로 이를 탈피하지 못한 주민들은 참여의식이 낮았다. 주민스스로가 참여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주인의식을 갖기 위한 주민의식 전환교육이 필연적이다. 둘째, 주민자치센터로 기능전환의 기본개념과 목표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여 주민의 자치(복지)활동공간을 동사무소 내로 국한하였다. 따라서, 주민의 자치(복지)활동공간은 동 관내에 있는 각종 사회·복지시설을 포함해서 운영함으로써 기능전환의 기본구상인 지역공동사회(community)형성을 위한 주민훈련의 장이 되어야 한다. 셋째, 현재 조직된 주민자치위원회에 현행 행정체제의 주변인물보다는 동관내의 각종 서클·단체의 리더들이 다양하게 참여되어야 한다. 즉, 각종 교양, 학습, 스포츠, 여가, 레크레이션, 환경보호 등 다양한 서클이나 단체의 리더들이 자치위원회 위원으로 많이 참여하여 이들이 선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주민자치센터를 이용하는 자가 주로 여성인 바 여성의 참여율을 높여나가야 한다. 넷째, 프로그램선정시 주민선호도를 파악해야 한다. 신규프로그램을 신설할 시는 설문조사 등을 통하여 주민 선호도를 먼저 파악하고 선정해야 하며 주민자치센터의 역할을 주민중심으로 설정하여 지역주민이 참여하고 만드는 프로그램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자원봉사자를 확보하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이들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 내 사회봉사단체와 연계운영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확보토록 하고 이들의 사기도 진작시켜야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최소한의 실비 정도는 예산에서 지원되어야 자원봉사자의 중도 포기를 방지할 수 있으며 확보도 쉬울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복지기능까지 포괄하는 주민자치센터의 운영이 필요하다. 소외계층도 참여할 수 있도록 복지프로그램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일곱째, 사무·인력 조정에 따른 주민불편사항의 해소를 위한 다양한 시책개발이 필요하다. 동 기능전환과 관련하여 동 직원수가 대폭 줄고 동 업무가 대부분 구청으로 이관되어 주민들이 구청까지 방문해야하는 불편을 느끼고 있으므로,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 민원접수처리를 e-mail로 할 수 있도록 시책을 개발하여 동사무소보다도 더 가까운 내 집 안방에서 민원처리가 가능하도록 해야할 것이다. To make functional convers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 Eub, Myun, Dong Junggu award office of Ulsan metropolitan city are setting an example self-governing center for inhabitants from October 1999 in its fourteen town block office. This study covers cognition and expectation for organization composition and administration of self-governing center for inhabitants. To know this, inquiry investigation was practiced to three hundred inhabitants of Junggu then the result was used to know the problem of this system and to suggest reform measure. The result is just like this. Firstly, as government office administration has lasted for a long time so inhabitants who cant escape from it lowered participation consciousness. It is necessary for inhabitants to practice conversion education of awareness to participate and solve the problem themselves. Secondly, not knowing the basic meaning and object for functional conversion of self-governing center for inhabitants, inhabitants-welfare space was limited town-block office. Accordingly inhabitants-welfare space should be wider to various social welfare institution inside the administrative boundary then managed to be real place for community which is basic conception of functional conversion. Thirdly, present self-governing committee should be took part in the leader of various circles and organizations than present administrative circumference person. That is, every kind of leader-culture, study, sports, leisure, recreation, environment and so on- should take part in self-governing committee for inhabitants then act as guide. Also, as major user is woman, participation percentage of women should be raised. Fourthly, preference of inhabitants must be reflected in the selection of a program. When a new program is made, it should be understood first of all through a survey of public opinion. Besides, the role of the self-governing center for inhabitants must be fixed centering around them so that they could participate in programs of it and make them. Fifthly, it is so difficult to recruit volunteers for the center. Therefore, the self-governing center must be managed connecting with a public service organization inside a local society for gathering volunteers and raising the morale of them. Also, support of a minimum expenditure in a budget could help volunteers not give up their works and recruit them easily. Sixthly, the self-governing center for inhabitants must include the function of public welfare. Programs for welfare that people in the low-income brackets could participate should be gradually enlarged. Finally, the development of various policies is necessary to solve dissatisfaction and inconvenience of inhabitants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affairs and manpower. For example, there is the policy that inhabitants could file various civil petitions through e-mail in their house because many people feel inconvenience about visiting a ward office after the affairs of a town-block office due to the reduction in business and staff were transferred to the ward office.

      • 울산객사의 해체과정과 원형추정에 관한 연구

        김윤경 蔚山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23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관아건축으로서 객사건축은 그 지방의 지역성을 가장 잘 반영해주고, 객사 앞 주작대로를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어 일목요연한 체계적 정비를 갖추고 있었다. 대부분의 객사는 대한제국 이후 폐지되다가 일제강점기와 해방이후 대부분 변형되거나, 서서히 기능을 상실하였으며, 철거되어 원형을 찾을 수 없게 되면서 사라졌다. 객사전반의 역사적 배경과 건축적 형태를 찾고 이에 대한 복원을 통해 이것이 수반하고 있는 도시의 역사성, 구도심의 역사적 전통 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울산객사 역시 일제강점기 이후 철거되었다. 이로서 울산객사의 도시적, 문화적, 건축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울산객사건축의 해체경위를 살펴보며, 건축적 원형에 관해 추정한다. 관련된 연구 자료로서 우선, 습득된 울산객사의 사진자료를 중심으로 객사의 원형을 고증하는 방법을 활용했다. 울산객사의 복원을 위한 첫 단계로서 남아있는 자료들을 색출, 정리하고 이를 통하여 그 건축적 성격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15건 정도의 관련된 사진자료를 발굴할 수 있었다. 이 밖에 울산객사의 창건과 변화, 그리고 해체과정 등의 연혁을 규명하기 위해 지리지 및 향토사類등의 문헌을 통하여 관련 記事를 분석한다. 이로써 울산객사의 해체가 어떠한 사회적 상황 속에서 이루어졌는지를 밝힌다. 객사의 건축적 형식을 찾기 위한 첫 번째 단계는, 고지도를 분석하여 철거이전의 대지를 고증한다. 두 번째로는 지적도를 분석하여 입지와 객사 일곽의 건물구성과 배치를 찾아본다. 세 번째로는 울산객사의 사진자료를 통한 객사건축의 일곽 건물의 개별적 형태에 관한 부분을 찾아보고, 다른 객사와 구별되는 특징 및 의의를 밝히려 한다. 이를 통해 중문 및 남문루의 성격을 최초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고증한 주사, 중문, 남문루의 객사 건물의 추정은 복원할 수 있는 기초연구로서 각 건물의 건축적 형식을 밝힐 수 있다. 이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건축적 성격을 파악하였다. 첫째, 울산객사의 위치는 울산시 북정동 4-1번지로서 현재 울산초등학교의 부지로 추정된다. 둘째, 울산객사는 남문루와 제승문, 主舍등의 건물로 구성되며, 경사지에 단을 조성하여 직선축 상에 배치하였다. 셋째, 남문루는 2층 루각 형식의 건물로서 정면 3간, 측면 2간의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구조형식은 현존하는 이휴정과 동일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넷째, 제승문은 좌우에 협문을 갖는 3간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협문 좌우에 담장을 둘러 주사영역을 위요하고 있다. 다섯째, 主舍는 정청과 동·서익헌으로 이루어진 건물로서 정청은 정면 3간, 측면 2간, 동·서익헌은 전면 6간 측면 2간의 규모이다. 입면, 구조의 형식은 타 지역의 객사와 큰 차이가 없으며 상세한 건축적 성격은 본문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객사건축의 성격과 그 해체과정을 규명하는 건축사적 의의와 더불어 향후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기존의 연구와 달리 객사의 건축적 형태에 대한 체제와 보다 체계적인 복원 방안에 대한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Gaeksa means one of most important institution in provincial government during Jo-seon dynasty. It was also used as a kind of hotel for foreign envoys or official guests. More importantly Gaeksa was a symbol of royal palace in which have held ceremony there twice in a month to make an obedience to the royalty. It was also one of major landmarks of old city. Under the Japanese colonialism, however, most of Gaeksa have been destroyed. Very few are preserved with the original forms except partly remained or reconstruction. And very few researches have focused on how it has been destroyed and what is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Gaeksa in Jo-seon dynasty. Fortunately Ulsan Gaeksa remains lots of photos with which can be presumed the original form. Based on these photos, this research tried to find out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Ulsan Gaeksa.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a. Finding out the history of Ulsan Gaeksa, and how it has been destroyed b. Searching the location and the building arrangement of Ulsan Gaeksa c. Finding out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building To find out history of Ulsan Gaeksa, this study searched the old documents. The old documents include historical descriptions of Jo-seon dynasty and documents of colonial period. To find out location and building arrangement, the old maps were analysed. As for searching the original forms of buildings, the photos were needed. And 12 photos which show the original building of Ulsan Gaeksa were discovered. These photos are very useful for searching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Gaeksa building. With these data, this study proposes the presumed drawings of original form of Ulsan Gaeksa.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a. Ulsan Gaeksa(named Hakseunggwan) was also built at the center of city. It is not known when the original building was built, but the old description wrote it was burned out during Korea-Japan war(1592-1597) and reconstructed in 1667. During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Hakseonggwan(Ulsan Gaeksa) was also used for other purpose. It was once used as a Ulsan elementary school, and then Japanese removed the old buildings replacing for the modern building in 1930. b. The location of Ulsan Gaeksa is presumed as Bukjung-dong 4-1 Ulsan city. The South gate stood at the northern end of main street(south-north) with Hengrang buildings. Jesungmoon, the second gate, stood behind the south gate but against the axis. Hakseonggwan, the main building of Ulsan Gaeksa, stood at the center of the territory. In front of main building, 2 buildings were attached which was called as Dong-suh Ikheon. c. South gate was the main gate entering into the Ulsan Gaeksa. It was 2-storied building. The downstair was used as an entrance and exit, the upstair was an open hall where can take view of Ulsan city. It has the Ikkong style (one of traditional joint type) building with a hipped-and-gabled roof. The structure was same as Ihyujung still existing. d. Jesungmoon was the inner gate of Ulsan Gaeksa. It consisted of 3×1 bay, and the central bay was used for the gate. And side bays was partitioned by wall. It has also a hipped-and-gabled roof. Two of small gate were attached to the building, and long and linear fence was attached to the it. e. Hakseonggwan was the main building of Ulsan Gaeksa. It consisted of 3×2 bays center hall and side halls each had 6×2 bays. The gabled roof of center hall was higher than side halls. It has Ikkong style and the elevation had been chang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of the main building is believed as same as the typical Gaeksa.

      • 울산지역 벤처기업현황과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 성공/성장단계 벤처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애영 울산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목적은 울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벤처기업들의 구조적인 특징과 성공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여, 울산지역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 추진해야 할 지역 벤처기업의 육성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 있다. 대기업 중심의 중화학 제조업이 지역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울산에서 활동 중인 벤처기업은 울산 주종산업인 중화학 제조업 관련 업종의 비중이 많을 뿐만 아니라 기존산업과 상호 관련을 가지면서 발전하고 있으며 울산 주종산업 관련 벤처업종이 비관련 업종보다 성공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첫째, 울산지역 벤처기업은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가? 둘째, 울산지역 벤처기업의 성공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울산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지역 벤처기업의 바람직한 육성방안은 무엇인가? 하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울산지역 벤처기업은 지역 산업환경에 영향을 받으며 깊은 관계 속에 발전할 것이라는 가정의 검증을 위하여, 각종 조사 보고자료와 관련기관과의 면담을 바탕으로 지역 벤처기업의 특징을 파악하여 분석하고, 성공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대표적인 지역 벤처기업 중 4개사를 선정하여 질문서 발송 및 회수, 전화면담, 직접면담을 통하여 기업사례조사 후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먼저 지역 벤처기업의 주요한 특징을 보면 첫째, 울산지역 벤처기업은 타 지역에 비해 제조업의 비중이 월등히 크며 울산의 주종산업인 기계·금속 및 화학분야의 업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울산지역 벤처기업은 지역 주력산업을 담당하는 대기업과 생산제품의 판로에서 직접적인 협력관계를 갖고 있는 업체의 비중이 높으며, 지역 대기업과 일반중소기업의 관계와 같이 원청업체에 대한 수직적 하청관계를 갖는 업체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 셋째, 울산지역의 벤처기업은 신규창업 형태보다 일반중소기업에서 벤처기업으로 전환한 업체가 훨씬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국내벤처기업의 특징과 상반된다. 한편 지역 벤처기업의 실태조사와 4개 기업의 사례조사 후 벤처기업 성공요인과 기업 운영상 애로사항 및 해결해야 할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지역벤처기업의 성공적인 성장을 위한 주요 요인으로서 첫째, 기업인은 자기 사업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강인한 의지와 추진력으로 과감하게 기업운영을 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리고 지역 연고가 기업운영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둘째, 꾸준한 기술개발에 의한 첨단화된 고도의 기술력으로써 소비자에게 서비스해야 한다. 셋째, 기존 주종 산업을 대상으로 하되 첨단화된 기술로서 미개척분야에 대해 제품을 차별화하여 조기시장 진입을 추진하면 성공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넷째, 자금력은 중요한 성공요인이다. 지역 벤처기업의 기업 운영상 가장 큰 애로점은 자금조달문제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적절한 기술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과 전문인력확보의 어려움이 크다는 것이다. 벤처단지가 조성되지 않아 입지여건이 열악하고 각 지원기관의 행정서비스가 미흡하고 지원체계가 효율적이지 못한 것도 문제점이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울산지역 벤처기업의 육성방향은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즉, 중화학 제조업 중심의 기존 산업기반을 최대한 활용하되 정확한 수요예측으로 미개발분야를 택하여 첨단기술력을 바탕으로 시장확보를 꾀하는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울산은 대기업과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많은 중소기업들이 있다. 따라서 새로운 벤처기업의 창업뿐만 아니라 기존 중소기업들의 벤처화가 필요하다. 즉 기술전문성과 경영효율성이 생존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함을 인식하고 꾸준한 연구개발로 기술력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한편 지역에서 벤처기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역 경제주체들은 다음과 같은 차원에서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즉 중앙정부의 자금지원제도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방정부 차원의 자금지원제도를 마련하여 자금조달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벤처단지를 조성하여 입지여건을 강화시키고 행정상의 서비스를 확대할 것과 지역대학은 고급기술인력 양성과 기술지원의 역할을 더욱 강화해야 하며, 기업은 기업대로 기술혁신을 위해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characters and the success factors, of the venture businesses in Ulsan, analyse them and to suggest the methods of developing venture businesses for the constant development of Ulsan industry. Venture businesses In Ulsan, where the heavy and chemical is leading the local industry, give more weight on the heavy and chemical manufacturing industry and develop with relating to the traditional industries. Venture businesses relating to the Ulsan main industry have more possibilities for the success than the other unrelated companies Under this assumptions I set three study questions as the followings First, what characters do venture businesses in Ulsan have? Second. what are successes factors? Third, what are the methods of developing the local venture businesses? To inspect the assumption of developing in the relation with local industrial situation, I in the base of interviews with related organizations and a lot of kinds of reported materials understood and analysed local venture industrial characters and chose the four venture businesses among the successful venture businesses in Ulsan. And I sent the questionnaires and collected them, interviewed by the phone or in person, and researched the case study of the business. So I received the results as the followings. When I looked into the characters of venture businesses, first, Ulsan venture businesses put much more weight on the machines, metal and chemical fields than them of the other cities. Second they put more weight on the large companies, which are charge of local leading industry and on the business relating to the directly cooperating businesses, and on vertical subcontracted business for the primary business like the relation between local large companies and general small companies. Third, they put more weight on the venture businesses changed from general middle companies than the new made ones. This is contrary to the national venture businesses. After the case study of the four companies and the research of the venture businesses, I analysed success factors of venture businesses and the management problems.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s. First, as the main success factor the businessmen have to propel to manage the business with his strong will and the specialty about their own business. And they can take advantage of the relation to the local. Second they should serve the customers with the up-to-date technology by developing the technology. Third, if they go into the market early with distinguishing products of undeveloping fields the possibility to succeed becomes high. Forth, good capital is the very important factor. The most difficult problem is the fund, and the next is the suitable technology support and the secure expert manpower. And because there is no venture complex, the condition of location is so bad, the government support is insufficient, besides, the support system is not effective. From the above study results, the method to develop the Ulsan venture businesses with making good use of the traditional industry and prospecting the demand. There are a lot of small companies to keep cooperating with the large companies in Ulsan. So it is necessary not only to start the venture businesses but also to venturize the old small companies. So they should develop the technology constantly. Local economic subjects should study the methods to develop the venture businesses. That is, there is the limit in the fund support system from the central government. So they should find the ways to raise the funds smoothly and build up venture complex and the enlarge the administration service, and the local universities should strengthen the updated advanced technologic manpower and the technology support. The companies do their best for the technology innovation.

      • 울산광역시의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 결혼이민자 중심으로

        박소영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국문초록> 울산광역시의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결혼이민자 중심으로 국제결혼이 급증하면서 울산광역시에도 다문화가정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자녀들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울산광역시를 초점에 맞춘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자녀교육에 대한 실질적인 어려움과 문제점이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에 관한 실질적인 어려움을 여성결혼이민자의 관점에서 알아보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가정의 자녀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자녀교육과 양육에 관련된 문헌연구와 실질적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겪고 있는 문제점에 대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울산광역시의 다문화가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은 한국에서 거주한 기간이 짧은 경우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많았으며 대부분의 결혼이민자의 경우 자녀의 한국어를 빨리 습득하기 위해 일찍 어린이집에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어머니들이 자녀교육에 관한 정보를 얻거나 교류할 수 있는 방법을 알지 못하기에 전적으로 교육기관에 자녀교육을 맡기고 있었으며 한국어에 자신이 없어 자녀의 선생님과의 상담이나 교육정보를 교류하는 것을 꺼려하는 결혼이민자가 다소 있었다. 그러나 울산지역은 타 지역과는 달리 가정의 경제적이 여건에 관해서는 다른 한국가정의 경제적인 여건과 비슷하였으며 최근 다문화가정자녀의 교육지원으로 어린이집을 전액지원 받는 가정이 많아 경제적으로 크게 어렵지는 않았다. 다문화가정의 자녀가 고학년이 되거나 중·고등학생의 경우는 사교육비로 경제적인 부담이 있었으나 일반가정과 비슷하였다. 다른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자녀들이 본인의 정체성에 대해서 혼란을 겪는 경우는 드물었으며 부모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돈독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울산광역시의 결혼이민자들은 자녀교육에는 관심이 많았으나 실질적인 방법을 모르고 있기에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한국어교육 뿐만 아니라 자녀교육에 필요한 동화, 동요, 받아쓰기, 우리나라의 사회, 문화, 역사 등의 교과목 학습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설이 필요하며 다문화가정의 아버지, 시부모, 친척이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안정적으로 한국 사회에 적응하고 자녀교육에 있어서 소외되지 않도록 다문화가족의 이해와 지원의 교육이 우선되어야 하겠다. 또한 지역의 구청, 주민 센터 등에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지원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그러므로 미래의 우리사회를 형성해갈 결혼이민자들 또한 우리의 구성원이며 다문화가정의 자녀들 역시 글로벌시대를 이끌어나갈 인재이기에 이들이 지역에 소외되지 않고 자리 잡아 성장해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이에 대한 문제의 대책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하겠다. ABSTRACT Study on the Problems of Children's Education at Multicultural Families in Ulsan Metropolitan City and Its Improvement; Focused on the Immigrants by Marriage Park So Yeong Majored in General So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Ulsan As the interracial marriage is increasing, in Korea, more multicultural families are found in Ulsan area as well nowadays and eventually the number of children from such families is increasing. Unfortunately, however, actual difficulties and problems of the children's education by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around Ulsan area are not well understood. In this regard, this study reviews actual difficulties of the education at the multicultural families at the standpoint of the female immigrants to Korea and tries to draw the improvements of the children's education at such families. In order to research the current status of the education by the foreign mothers residing in Ulsan area, various literatures related to the children's education and fostering them were reviewed and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faced by the female immigrants were surveyed in depth by interview with them. The survey revealed that those with shorter period of living in Korea had more communication problems and most of them sent their children to the kid's pre-school to learn Korean language early. As many of the mothers immigrated do not know where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children's education and how to exchange with the neighbors for it, they depend on the pre-school education organizations for their children and some of the mothers are reluctant to consult with the Korean teachers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m as the mothers are not confident with their Korean speaking ability. Unlike other regions in Korea, most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Ulsan area are economically affordable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as the kid's pre-school fees are subsidized entirely. When they become hig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or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the families are burdened with private education fee like other families. Unlike other precedent research, few of the children are confused with their identity and they maintain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Immigrants by marriage living in Ulsan area are keen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but they do not know practical way of proper education for the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stable education for the children at the multicultural families, not only teaching Korean language but also providing the diversified classes such as fairy tales, children's songs, dictating Korean words and sentences, Korean society and history are required. Also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husband, parents-in-law and relatives of the female immigrants should be expanded for the foreign wife not to be isolated from the family and community and for such purpose understanding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supporting their education should be promoted. District office and town village center of the local government are required to organize systematic and specific support system for them. Immigrants by marriage are part of our society and they will undertake one of the axles establishing our local community and the children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will be one of the groups of the citizens to lead the global era. They should be taken care of, therefore, to be rooted in the local community and proper and efficient policy on their education should be arranged urgently.

      • 蔚山廣域市敎育廳 行政監査의 問題點과 改善方案

        정병형 蔚山大學校 政策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623

        지방자치제도가 정착되어가고 행정의 기능과 역할이 증대되면서 행정의 양적인 팽창과 질적인 변화로 보다 전문성과 다양성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행정활동은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합법성 뿐만 아니라 경제성과 능률성 및 효과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그 기능을 다양하게 수행하여야 한다. 교육행정도 교육권의 침해를 방지하고 다양한 교육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지방교육행정의 효율적 운영과 시행착오를 예방하고 행정의 책임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행정활동의 내부통제방법으로서 교육행정의 본질을 추구하면서 교육의 질적 향상과 행정의 능률성 및 적정성을 유지하는데 자체감사의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교육청이 광역시 승격 이후 5년이 경과하는 시점에서 감사부서의 조직과 행정감사실태를 전반적으로 검토하여 부정부패의 방지, 진실성 및 적정성 비판, 자원의 효율적 사용과 행정 및 회계업무의 개선을 위한 지도, 수행결과 평가에 대한 환류 등 감사의 기능을 적절하게 수행하여 교육행정 본래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이바지 하고자, 현행 행정감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자체감사의 기능을 활성화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으로는, 교육행정 감사제도의 운영현황과 문제점에 대하여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들을 알아보고, 최근 3년간의 울산광역시교육청 감사조직의 구성과 교육목표 달성과 가장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는 지역교육청과 사업소, 고등학교,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종합감사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전·현직 감사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하여 행정감사 실태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분석결과 제시된 현행 행정감사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감사담당공무원의 비전문성 및 선발제도를 들 수 있다. 감사담담공무원 대부분이 장기간 근무하는 사람이 없고, 절대적으로 필요를 느끼는 교육이수가 미진하며,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효과성·능률성보다는 합법성 감사에 치중하고있을 뿐 아니라 감사담당공무원의 선발에 있어서도 전문가나 적격자 선발보다는 순환보직에 의하여 임용하는 경향이 많다. 둘째, 감사인력에 비해 업무량이 과다하고 사기가 저하되어 있다. 외부감사 수감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어 내부감사의 질을 높이거나 수준 높은 감사를 이행하는데 장애요소가 되고, 주로 상급기관에서 실시하는 외부감사에 대하여 중복감사와 상대적으로 거부감을 느끼는 등으로 인하여 사기가 저하되어 있다. 셋째, 감사실시와 결과처분에 있어서 공정성과 엄정성이 결여되어 있다. 조직내부에서 감사자의 신분상 보장이나 감사자 자신의 의식구조에 의하여 전례답습적인 업무처리로 공정성과 엄정성 결여된 부분이 많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제시된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감사담당공무원의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장기근무를 위한 전보제한기간을 준수하고, 교육훈련을 강화하여 우수한 공무원을 확보하여야 한다. 감사담당공무원의 임용방법을 개선하여 자격증소지자, 관련학과 출신자 선발 등과 감사직렬을 신설하거나 광역단위 지역감사기구를 설치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확고한 감사기반 조성이 필요하다. 외부감사로부터 부담을 덜기 위하여는 내부감사의 신뢰성을 높이고 수준을 향상시켜 외부감사기관 스스로가 자체감사기구에 의존하도록 기반을 조성하여야 한다. 셋째, 감사결과의 철저한 관리가 있어야 한다. 감사결과처분에 대하여 수시로 홍보하여 인식을 제고 시키고, 동일한 사안이 재발하여 지적되지 않도록 수감실적을 누진적으로 관리하는 등 감사실시 결과처분에 대하여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오늘날의 감사기능은 주요시책이나 사업의 효율성까지도 감사하여 합리적 대안을 제시하는 등 발전적이고 적극적인 현대적 의미의 감사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감사담당공무원의 감사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확고한 자체감사 기반을 조성하며 감사실시 결과의 사후관리에 철저를 기하여, 교육현장에서의 학교수업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 나아가게 함으로써 궁극적인 교육목표가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이 분야에 대한 관심과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시간적, 경제적 제약으로 울산광역시교육청 행정감사에 국한하여 최근 3년간의 종합감사 실적과 전·현직 감사담당공무원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접조사를 근거로 제시한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As the local governance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functions of administration have increased, administration, which is expanding quantitatively and changing qualitatively, stands in need of professionalism and diversification. Therefore, the administrative activities should be positive and perform various functions legitimately to increase economic efficiency and justice. Educational administration should be focused on efficient management of the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rough trial and error, and the strong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should be taken to impede infringement of education right and meet the various educational needs. In this respect, self-audit & inspection as a method of internal control is required to pursue the essenc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keep administrative efficiency and accountability. This research is focused on reviewing the structure of audit &inspection department and the status of administrative inspection since Ulsan was elevated to Metropolitan City five years ago. Accordingly, this study aims at activating the functions of self-inspection by means of recognizing problems of the current administrative inspection and presenting improvement plans, which contribute to attaining the go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rough prevention of corruption, criticism against its authenticity and feasibility, guidance about efficient resource use and audit, and feedback on the performance results. Research methods used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reviews the materials and precedented investigations on the conditions and problems of inspection system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hen, it analyzes the comprehensive cases of audit & inspection implemented in the local educational offices, high schools, and special schools which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organizing inspection structure and accomplishing the educational goal of Ul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the last three years. Finally, through the interview with the former and current officials in charge of audit & inspection, it also examines their perceptions and opinions about the problems of and remedies for the current administative audit & inspection systems and procedures.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problems of the current administrative inspection. First, inspection officials are not enough professional and the appointing system is inadequate. Most of the inspection officials are in short-term service and lack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 insufficient training opportunities. Therefore, inspection is only based on its legitimacy, not on its utility and efficiency, and the inspection officials tend to be appointed to the position on a recurrent basis, disregarding their professionalism or eligibility. Second, the officials have too much work to do and their morale has been lowered. This is because they spend long time on external inspection, lack time to improve the quality of internal inspection or implement high-quality inspection, and even feel uncomfortable with external inspection by upper-level organizations. Third, the implementation processes and results of inspection are absent in impartiality and strictness. It is because inspectors' positions are not guaranteed and their own consciousness does not get out of precedented methods of job execution. The remedies or improvement plans for these problems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inspection officials' competence should be improved. Competent officials should not be transferred during their fixed contract term for long service and should be appointed through the consolidated training. Diversified efforts to gain better appointment methods are necessary. Second, it is necessary to place inspection systems on a solid basis. To lighten the burden of external inspection, increased reliability and quality are required, which makes external inspection organization depend on self-inspection. Third, the results of inspection should be thoroughly handled. It means the feedbacks of inspection are reported as often as possible to make them recognized and handled continuously not to repeat the same matters. Findings support the conclusion that the function of audit & inspection, today, needs to be developed to propose reasonable alternative plans by effectively inspecting the task efficiency or even major policy procedures. To do this, consistent interests and additional research are required to efficiently accomplish the educational goals by means of improving inspection officials' competence and professionalism, placing self-inspection on a firm basis, and directing school education to the best way. Nonetheless, limitations may exist in the generalizability of the empirical results, due to the limited size of date and sampling methods.

      • 1950년대 울산지역의 선거정치와 4·19

        강석헌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국 문 요 약 1950년대 울산지역의 선거정치와 4·19 강석헌 1950년대 후반의 지역 정치는 특히 선거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선거정치란 선거를 둘러싼 각종 제도와 정책, 선거 방식 등과 선거에 참여한 다양한 사람들 간의 갈등과 충돌, 조정 등 선거와 관련된 일련의 제도 및 행동 등을 뜻한다. 선거에는 후보자와 당선자, 선거운동원, 지지자, 반대하는 자, 일반 지역주민 등 다양한 사람들의 이해관계가 서로 얽혀 있다. 선거를 치르는 과정에서 어떤 방법을 쓰고, 어떤 자원을 동원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떤 문제가 발생하고 어떻게 해결되어 가는지, 그 전체 과정이 모두 선거정치에 포함된다. 이 논문에서는 선거를 둘러싸고 형성된 중앙과 지역의 관계, 선거에 관여한 사람들 사이의 갈등과 충돌 등을 중심으로 울산지역의 1950년대 선거정치의 전개양상과 4·19를 살펴보려고 한다. 1948년 5월 10일 총선거의 실시로 제헌국회가 탄생했다. 선거 결과, 무소속 의원들이 다수 당선되었다. 한민당과 이승만 지지세력인 독립촉성국민회가 대립하는 상황에서 무소속 의원들은 소위 ‘소장파’로 불리며 전성시대를 맞이했다. 무소속 의원의 우세는 중도파 민족주의자들의 출마와 함께 제2대 국회까지 이어졌다. 한국전쟁이 끝나고 분단국가가 제도화된 이후 치러진 제3대 국회의원 선거부터는 자유당이 과반이 훨씬 넘는 의석수를 차지하였다. 제4대 국회의원에서는 이승만과 자유당에 반대하는 성향의 인물들이 집결해 민주당을 결성하고 개헌저지선을 확보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자유당은 과반이 넘는 의석을 차지하며 제1당이 되었다. 울산에서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 또한 전국적인 분위기와 같았다. 제헌국회의원 선거부터 제2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울산의 선거구인 갑구와 을구 모두에서 무소속 의원들이 당선되었다. 한국전쟁을 겪고 분단된 이후에 치러진 제3대·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김수선을 제외하고 모두 자유당 후보자가 당선되었다. 김수선 또한 무소속으로 당선되었지만 이후 자유당에 입당하였다.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자유당이 우세할 수 있었던 원인은 관권, 특히 경찰의 개입이었다. 자유당에 의해 선거에 동원된 경찰은 야당의 선거활동을 방해하고 자유당 내부의 분열 이후에는 정권 반대 세력들에게 모두 압력을 가했다. 이런 모습은 울산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울산 을구의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공천자인 김성탁과 자유당에서 제명을 당한 정해영이 대립하였다. 이때 나타난 김성탁과 정해영의 대립은 이용범계와 반이용범계의 대립과 자유당 파벌 간의 대리전 양상을 띄고 있었다. 때문에 제4대 국회의원 선거와 재선거에서는 외부로부터 경찰, 정치깡패, 대규모 응원부대가 울산으로 유입되었고, 지역에서 많은 문제를 일으켰다. 울산 지역민들 사이에서도 선거를 둘러싸고 서로 갈등하거나 대립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각 세력들 간에 충돌이 이어졌고, 공포 분위기가 조성되고 각종 보복 행위들이 이어졌다. 지역 주민들은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입었는데, 보복을 피해 다른 지역으로 대피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지역적 분위기 속에서 4.19가 발생했다. 울산의 4.19는 다른 지역과 비교했을 때 다소 늦은 시기인 4월 26일에 처음 발발했다. 울산읍내와 방어진, 언양 등지에서 학생이 중심이 되고 시민들이 시위에 가담했다. 시위가 늦었던 것에는 1950년대 후반의 선거 과정에서의 경험들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5월 3일까지 계속된 시위에서 울산 지역민들은 부정선거를 주도한 정부와 경찰 그리고 국회의원들을 규탄했다. 한편 이 시기에는 지난 4대 국회의원 선거와 재선거와 관련된 보복행위가 자행되기도 했다. 4·19 이후, 허정 과도정부가 세워지고 제4대 국회는 해산되었다. 그리고 내각책임제 개헌으로 정치체제가 변화하고 국회는 양원제가 되었다. 이에 따라 제5대 민의원·참의원 선거를 치르게 되었다. 울산지역에서도 민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4·19 이후 자유당이 거의 와해되어 울산지역 민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사회대중당, 한국사회당, 무소속의 후보자만이 출마하였다. 하지만 무소속에는 구 자유당 인사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울산 갑구에서는 민주당의 최영근이 당선되면서 민주당의 강세를 증명했다. 반면, 울산 을구에서는 구 자유당 출신이었던 정해영이 역시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울산의 4·19 과정에서 지역민들은 부정선거를 주도한 정부와 경찰 그리고 국회의원들을 규탄했다. 그러나 4.19 이후에도 울산의 지역 정치는 완전히 새로운 양상으로 변화하지 못했다. 정해영은 제4대 국회의원 선거와 재선거 때, 김성탁과 대립하는 과정에서 지역민들에게 많은 고통을 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19 이후, 울산지역민들은 다시 정해영을 국회의원으로 선출했다. 그 이유는 정해영의 지역 조직이 튼튼했고, 지역민들은 그를 선거 부정을 자행했던 인물보다는 자유당의 탄압으로 낙선했던 인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혁신계열정당이었던 사회대중당과 한국사회당은 울산지역 제5대 민의원 선거에서 열세를 면하기 어려웠다. 후보자는 선거 조직도 제대로 갖추고 있지 못했고, 결국 지역민의 지지를 이끌어 내지도 못했다. 4·19는 정권의 변화와 함께 정당세력의 판도를 변화시켰다. 그러나 울산에서는 이러한 양상이 곧바로 반영되지는 않았다. 4.19를 경험했던 지역 주민들이 분명히 이전과는 다른 선택을 하였지만, 구 자유당 인사가 다시 당선된 것을 보면 지역의 정치 지형에서 혁명이라고 부를만한 획기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4.19를 계기로 정해영은 완전히 야당 주요 인사로 거듭나게 되고, 그동안 중앙에 종속된 채로 전개되던 지역 정치에서 비로소 주민들의 뜻이 표출되고 반영되는 공간이 등장하게 되었다. 지역에서 전개된 4.19는 혁명의 측면보다 오히려 지역적 한계를 더 많이 드러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지역의 정치인들이 지역민의 요구에 대해 어떤 식으로 대응하는 지를 통해 1950년대와 1960년대 한국 정치의 매커니즘을 일부 확인할 수 있는 지점이 되기도 했다. 울산 지역을 통해서 보면 지역에서의 4.19는 지역 정치를 바꿀 큰 변수로 작용했다기보다는 오히려 어떤 변화를 이끌 수 있는 효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울산광역시 공중화분의 분포에 관한 연구

        최승혁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2009년 8월 1일부터 2011년 7월 31일까지 울산광역시 3개 지점 (Sts, A, B, C)에서 Durham sampler로 공중화분을 포집해 지역의 공중화분 분포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포집된 공중화분에 대하여 화분달력을 작성하였고, 주변 식생조사 및 화기를 바탕으로 모식물을 추정하였다. 울산광역시의 공중화분은 봄에는 목본화분(TP), 가을에는 초본화분(HP)이 대량으로 비산하는 연중 2번의 절정기가 나타났다. 절정기는 일반적으로 풍매화의 개화기에 맞춰 나타났다. 월별 주요 비산화분으로 2월에는 Taxodiaceae, 3월은 Alnus, 4월은 Cupressaceae, 5월은 Quercus, Pinus, Gramineae, 그리고 8월과 9월에는 Humulus, Artemisia, Ambrosia, Gramineae가 나타났다. 연중 Pinus의 비산량이 가장 많았고, 이어서 Quercus, Alnus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을철에는 3개 지점 모두에서 Humulus의 비산량이 가장 많았다. 비산하는 화분의 종류와 비산량은 주변식생의 종조성과 입지환경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본화분의 종류와 비산량은 인근에 산지가 있는 A와 C지점에서 더 많이 검출되었고, 초본화분의 종류와 양은 인근에 하천식생이 발달한 B지점에서 더 많이 검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