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 연구동향 분석

        변상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학문적 정체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연구문제 1.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주제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대상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방법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통계방법 동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이 첫 게재된 1995년 9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총 390편의 논문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통계방법 분석 준거에 따라 시계열 빈도분석과 연구결과 간 교차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대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성격 및 적응 연구 177편(45%)이며 성과연구가 108편(28%), 진로 및 적성연구 45편(12%) 순으로 나타났다. 이외 연구는 모두 10% 미만으로 나타나 상담 연구 영역 이 성격 및 적응 연구 등 특정 주제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연구대상은 연구대상이 없는 논문 4편을 제외한 386편 중 100편(25%)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했다. 이어 중등 60편(15%), 고등 55편(14%), 성인 46편 (11%), 대학생 37편(9%) 순이다. 연구대상이 둘 이상인 경우를 제외하고 단일 연구대상에서 상담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은 전체 390편 중 370편(95%)이 양적연구로 확연히 집중된 반면 질적연구는 18편(4%), 혼합연구는 2편(1%)에 그쳤다. 양적연구는 매해 90%를 넘는 비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5년 이후 질적연구가 소폭 늘었지만 2018년 최대 5편이 게재된 것을 제외하고는 아예 선택되지 않거나 한 해 1~2편 정도만 게재됐다. 넷째, 통계방법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학전공이 증설된 초반에는 프로그램 효과를 보기 위한 사전-사후 t검증 방법을 사용했으며, 이후 변인 간 상관 및 인과 관계를 보기 위한 상관분석 및 회귀 분석 방법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2014년 이후에는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다변인간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흐름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통계방법의 흐름이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연구대상의 다양성과 통계방법의 변화는 상담현장에서 실제 과제를 풀어내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해석된다. 상담학은 실제를 바탕으로 한 연구이므로 보다 더 확대된 시선의 창의적 연구 노력이 앞으로도 이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the master's degree thesis in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explore academic identity. To this end, we have established a research problem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is the research topic trend of the thesis on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trend of the thesis on the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trend of research methods in the thesis on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4. How is the statistical method trend of the master's degree thesi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390 paper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1995 to August 2020, when a master's thesis on counseling psychology was first published, in accordance with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method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177 personality and adaptation studies (45%) were studied, followed by 108 performance studies (28%), and 45 career and aptitude studies (12%). All other studies appear to be less than 10%, confirming that counseling research areas are concentrated on specific topics such as personality and adaptation studies. Second, 100 (25%) out of 386 papers, excluding 4 papers without subjects, were target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followed by 60 middle and high schools (15 percent), 55 high schools (14 percent), 46 adults (11 percent) and 37 college students (9 percent). Except for cases where there is more than one subject, the lea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on counselors in a single subject. Third, 370 (95%) of the total 390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quantitative studies, while only 18 (4%) were conducted on qualitative studies and 2 (1%) on mixed studies. Quantitative research has maintained a ratio of more than 90% every year, and qualitative research has increased slightly since 2015, but only one or two were selected or published a year except for up to five in 2018.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early stages of the expansion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pre-post-t verification method was used to see program effects. Since 2014, we have shown the flow of analyzing multidimensional causality using structural equations. The abov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trend of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methods in the master's degree thesis in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continued to change. In particular, the diversity of subjects and changes in statistical methods are interpreted as researchers' efforts to solve real challenges at the counseling site. Since counseling is a practical study, we hope that creative research efforts with a wider perspective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제주국제자유도시에서의 교육에 대한 의식 연구 : 제주도내 초ㆍ중등교사를 중심으로

        오성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국가적 차원의 정책인 동시에 제주도민의 미래가 담보된 대사업인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 프로젝트는 이미 시행 두 해째를 맞이하고 있다. 제주도가 국제자유도시를 추진하게 되면서 사회, 경제, 교육 등 각 분야의 변화는 필연이 되었고, 특히 교육적 대처는 제주가 국제자유도시로서 성공을 담보할 가장 중요한 분야라고 아니할 수 없다. 제주인 각자가 국제자유도시라는 새로운 변화와 환경에 근본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나름대로 개인적, 사회적인 성공을 이루고 제주를 잃지 않으면서 세계화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교육이 그 핵심적 역할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본 연구는 제주 교육을 짊어지고 있는 제주도내 초·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에 대한 일반 사항과 여기에 포함되어 있는 교육적 쟁점에 대한 사항을 중심으로 그에 대한 기본적 인식과 관심 및 교육적 과제와 역할 등에 대하여 조사한 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내 초·중등교사들은 제주국제자유도시에 대하여 대중매체를 통하여 비교적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 자체에 대해서는 지역 경제활성화의 기대로 찬성하기도 하지만, 전통문화의 파괴와 정체성의 위기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 셋째,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 과정에서의 유망 산업분야는 관광·휴양 산업으로 보며, 청정자연 환경과 동북아시아의 중심이라는 지리적 위치에 대한 자부심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넷째, 도민의 의견이 반영되는 가운데 중앙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지면, 장차 제주도민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섯째,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초·중등 학교 현장에서 외국어 교육, 세계시민 교육, 정체성 교육 등이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여섯째,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과정의 교육시장 개방에 대한 찬·반의 기본적 입장은 반반 정도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양한 교육 기회를 확대할 수 있으나 계층간의 위화감 등 부작용을 우려하고 있다. 일곱째, 교육시장 개방에 따른 외국인 학교에 대한 내국인 입학 자격 제한 폐지에 대해서는 반대 입장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자신의 자녀의 입학 허용여부에 대해서는 반반의 응답을 보이고 있다. 여덟째, 교원 연수 기회 확대 등 제주도 교육청의 적극적 대응의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일선 학교에서는 7차 교육과정의 재량활동 시간을 통하여 관련 내용을 학생들에게 교육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보고 있다. The promotion project of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the policy in national phase and simultaneously the great project that put up the future of Jeju people as security has been two years since it started. The change in every parts such as society, economy, education, etc. has been inevitable as Jeju-do promote th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and especially educational correspondence is surely the most important part for Jeju to succeed as a free international city. Education part should play the core role for each one of Jeju people to cope with the new change and environment essentially and actively, to achieve individual and social goal and to succeed in globalization without losing Jeju-do. This study is about the basic consciousness, interest, educational tasks and rol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are charged with the Jeju's education focusing on general items of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Project and educational issues included in it and followings are summaries of the results. Firs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n Jeju-do are well aware of th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through mass media Second, they are positive toward th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project itself expecting the local economy activated, but are seriously concerned about the breakdown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the crisis of identity Third, tourism and recreation industry are considered as the promising part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project and they take pride in the clear natural environment and the geographical location as the center of the northeast Asia. Fourth, provided the financial support by interim Government with Jeju people's opinion reflected, they expect the social and economic status of Jeju people in the future will be improved. Fifth, above all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identity education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hould be emphasized. Sixth, the basic position of agreement and opposition about opening of educational market is appeared fifty-fifty and it is possible to expend various educational opportunities but they are concerned about the side-effects such as the sense of incompatibility between the classes Seventh opposition is predominant as of abolishment of the admission qualification limit of domestic people for foreigner's school followed by the opening of Educational market but they respond half-and-half for yes or no for their children's admission to the school Eighth they think the active correspondence of Jeju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such as expansion of study and training opportunity for teachers is necessary and in some schools they consider that it is desirable to teach students the concerned contents through the discretion activities of the 7th curriculum.

      • 제주형 자율학교의 특징과 개선 방안 : 제1기 시범운영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현순안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아름답고 살기 좋은 제주, 희망이 넘치는 국제자유도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국제수준의 우수한 모델 학교로 창출한 제주형 자율학교가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교과용 도서의 사용, 원어민 교사의 확대 배치 등에 대한 대폭적인 자율권 부여, 교육과정 편성 및 프로그램 개발 운영비 등의 행․재정적 지원, 자율학교 근무 교직원에 대한 인사상 인센티브를 포함하여 2007년부터 시범 운영되어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른 새로운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교육법 제61조 1항과 동법 시행령 제105조에 근거하고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 186조 및 동법 시행령 제29~31조에 의해 2007년부터 제주도에서 실시했던 제1기 제주형 자율학교의 종합평가를 바탕으로 제2기 제주형 자율학교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첫째, 학교자율화 정책의 논거와 자율학교의 유형 및 외국의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살펴보고, 둘째, 제주형 자율학교의 도입 배경과 법제적 기초를 바탕으로 학교헌장의 제정,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상의 특례, 특성화 프로그램 측면, 성과지표에 따른 제주형 자율학교의 특징을 조사 분석하였다. 셋째, 학교 자율성 및 특례 적용 범위 관련 규정에 대한 법제적 측면에서의 쟁점과 교육과정, 재정 및 평가에 대한 운영적 측면에서의 쟁점, 그 밖의 지원체제에 대해 문헌 분석의 방법과 문헌의 빈약성을 보완하기 위해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이 실제로 적용되고 있는 5개 초등학교의 근무 교원 중 면담 대상자를 선정한 면담조사로 실시하여 재정리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교 자율성 보장 및 특례 적용 범위의 확대를 통한 법제적 측면에 대한 개선방안이 필요하고, 둘째, 자율적인 교육과정 및 재정 편성과 평가의 전문성을 통한 운영적 측면에 대한 개선방안이 필요하며, 셋째, 학교장 인사 자율권, 교원 연수 강화, 및 학교 시설 정비를 포함하는 지원체제 측면에서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장기적인 제주형 자율학교 교육정책이 수립되어 자기 학교만의 특화된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예산효과에 의존하지 않고 제주형 자율학교 경험이 있는 교사들을 주축으로 운영하는 진정한 제주형 자율학교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Since 2007, the Jeju Self-Governing school which has been established as a superior model school at the international level for beautiful prosperous Jeju and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hopeful free international city, has been demonstratively run for a drastic grant of Self-Governing right on composition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use of textbook, and increase and arrangement of native teachers, for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such as curriculum composition and operating costs for program development, and for incentive system regarding to teachers in the school. Then, this school was synthetically evaluated to set up new directions hereof.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grope for improvement strategies of the second Jeju Self-Governing school based on the overall evaluation of the first school operated since 2007 in accordance with Clause 1 Article 61 of the Primary & Secondary Education Law and Article 105 of Enforcement Decree and with Article 186 of the Special Act on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and Article 29~31 of Enforcement Decree. To conduct this study, it firstly examined the basis of policy to promote the school self-regulation, type of Self-Governing school, and implications of foreign cases. Second, based on introductory background and legislative basi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it investigated and analyzed enactment of the school constitution, exception for composition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the aspects of specialized program, and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by performance indicators. Third, in order to examine an issue on the regulation related to school self-regulation and application range of the special act in its legislative aspects, to inspect an issue on curriculum, finances and evaluation in its operational aspects, and to supplement poor literature and scanty methods of literature analysis for other supporting system, it selected teachers from 5 elementary schools, which are actually applied the policy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for interview. As the result,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improvement plans for legislative aspects through ensuring school self-regulation and expanding application range of exception. Second, it is required to set improvement strategies for operational aspects through Self-Governing composition of curriculum and finances, and specialized evaluation system. Third, it needs to improve supporting systems including Self-Governing right for appointment of the principal, teacher training enhancement, and maintenance of school facilities. It shall make a genuine Jeju Self-Governing school which establishes a long-term education policy to enhance its own specialized program not depending on the budget and is operated with the teachers experienced Jeju Self-Governing school.

      • 제주 전통문화의 전승교육 실태와 지도 방안 : 제주도내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양창선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제주도내의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제주의 전통문화 전승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교사들의 의견을 종합함으로써 초등학교에서 필요한 교육의 내용과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전통문화 가운데에서 제주 방언, 공동벌초, 수눌음, 삼무정신과 자냥정신, 그밖의 영역 등 5개 영역을 선정하여 초등학교 교사 324명을 대상으로 교육실태와 지도방법을 조사하였다. 자료는 전산 처리하였으며 이연구에 사용된 통계치는 백분비(%)와 χ²검증이다. 조사연구 결과 초등학교에서 제주 전통문화의 전승교육 실태와 교사들의 의견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의 지도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요약, 정리된다. 첫째, 제주 방언의 사용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에 비추어 학교에서 제주 방언을 쓸 수 있도록 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아지며, 의도적으로 제주 방언을 사용하는 기회를 마련해 주는 일도 바람직할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제주도에서 음력 초하루에 친척들이 함께 하는 공동벌초의 풍습은 이어나갈 가치가 있다고 보아지며, 초등학생들에게도 벌초방학의 기회를 통하여 조상에 대한 내력을 알고 그 뿌리를 찾도록 하며, 고마움을 느끼고 조상을 섬기도록 하는 계기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현재도 농촌에서는 수눌어서 일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오늘날에도 이어나갈 만한 놓은 풍습이라 여겨진다. 학생들에게 그 내용을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료를 마련하여 지도하고 그 정신을 살려 협동의 장면을 설정하여 실습을 통해 지도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아진다. 넷째, 가치관 관련 내용으로, 오늘날의 현실에서 도둑과 거지는 늘어나는 추세이고 도시 지역에서 대문 없는 집이란 상상할 수도 없을 만큼 상황이 달라지기는 하였으나, '삼무정신'은 제주도민의 자랑스러운 정신으로서 제주도 문화의 모든 측면에 스며있는 기본 정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삼무'를 계승하자는 것보다는 '삼무정신'을 계승하는 데에 중점을 두어 교육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냥정신은 제주도를 대표할 만한 좋은 정신이라 볼 수 있다. 물질적 풍요 속에서 초등학생들의 생활 속에서도 과소비, 낭비 풍조를 볼 수가 있다. 오늘 넉넉하다 할지라도 내일 닥쳐올지도 모를 어려움에 대비하는 마음가짐을 갖도록 지도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냥'으로만 그칠 것이 아니라 아껴쓰고 모은 재화는 불우한 처지에 있는 사람을 도울 줄 아는 마음도 갖도록 하는 발전적인 방향으로의 지도가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그 밖에 전통문화의 전반적인 내용으로, 제주도의 전통문화 전승교육과 관련하여 현장학습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겠으며, 앞으로 필요한 시설로는 제주 고유의 놀이 시설, 제주 방언실, 민속놀이 기구 시설, 제주 민요실, 효도교육 시설, 농업박물관, 옛날 서당의 모습, 어업 박물관 등으로 판단된다. 클럽활동, 특기·적성 교육활동, 학급활동, 운동회, 수풍 때에 제주도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교육활동의 전개가 필요하며, '민속의 날' 등을 정하여 민속행사 활동을 추진하고 제주도의 민요도 지속적으로 지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초등학교에서 제주도의 전통문화 전승교육은 꼭 필요하며 먼저 그 속에 담긴 정신을 이해하도록 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교과와 관련하여 깊이 있게 다루고 특설단원의 설정 지도, 특별활동, 특기·적성교육활동에도 연관시키며 생활 장면 속에서 지도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아진다. 인성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제주도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인성 교육 내용과 방안이 마련되어 체계화된다면 제주도의 지역적 특수성을 살리면서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sists in not only grasping the educational realities of transmission of Cheju traditional culture which relate to the the elementary schools of Cheju-do but also searching for content of education of Cheju traditional culture's transmission and its guidance methods which would be desired in the elementary schools of Cheju-do by taking the teachers' opinions into consideration. Among the data for research of Cheju traditional culture, five spheres such as 'Cheju dialect', 'collective mowing around a grave', 'Soonuroom spirit', 'Sammuh spirit and Zonyang spirit', and 'the other sphere' are selected to be analyzed by asking 324 teachers of the elementary schools the educational realities of transmission of Cheju traditional culture and its guidance methods. The data of the spheres are processed by computers and the statistics of this study are verified by percentage and X². The guidance method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show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the frequency of using Cheju dialect are tending downwards, it is desirable that the atmosphere of freedom is needed to be created in which the students are able to use Cheju dialect and that many chances should be given to them so that they are able to take every opportunity of speaking Cheju dialect. Secondly, the custom of collective mowing around a grave on the 1st day of the 8th month of lunar calendar in Cheju-do need to be well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need to trace their family origin, know about their ancestors, give thanks to them and serve them through the experience of collective mowing around a grave. Thirdly, the farmers of Cheju-do have put working in turn for one another, which is called Soonuroom in Cheju dialect.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ents need to understand Soonuroom spirit with assistance of learning materials of Soonuroom. By producing learning materials of Soonuroom and establishing concrete situations of coopera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ents are able to work in turn for one another not only on the basis of Soonuroom spirit but also on the basis of practicing Soonuroom in Cheju-do. Fourthly, with the analysis of views of value, 'Sammu spirit' and 'Zonyang spirit' that the people of Cheju-do are proud of are worthy of transmissi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life environment of the present is much different than that of the past, it is not easy to think of a society without thieves and beggars, or of a house without the front door. 'Sammuh spirit' which stands for absence of thieves, absence of beggars, and absence of the front gate is said to be the fundamental of Cheju traditional culture. So, the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be focused rather into transmission of 'Sammuh spirit' than into transmission of 'Sammuh '.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nd to waste goods above their means. The students need to learn not only how to save up for a rainy day by putting Zonyang spirit which stands for thrift into practice but also how to help the poor and needy by giving them the good guidance of advanced Zonyang spirit. Fifthly, on-the-spot learning and establishment of Folklore Day to support many different folklore activities are necessary to education of Cheju traditional culture's trarnsmission. In order to guarantee vigorous on-the-spot learning, the educational facilities that should be improved and established are as follows: game facilities peculiar to Cheju traditional culture, study rooms of Cheju dialect, tools and facilities for playing folk games, study rooms of Cheju folk songs worthy of continuous guidance, educational facilities of filial piety, the museum of agriculture, the museum of fishery , schoolhouses that resembles old village schoolhouses of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etc. Als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activities that relate to the traditional culture of Cheju-do would be necessary even in the course of club activities, educational activities of aptitude and capability, class activities, the athletic meeting, or a school excursion. Therefore, understaning the educational spirit of traditional culture of Cheju-do is necessary for education of Cheju traditional culture's transmission in elementary schools. Education of the transmission of Cheju traditional culture should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relevent contents of subject, various school activities, and real living circumstance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ystematic humanity education are necessary for strengthening the educational effect and the regional peculiarity of Cheju-do

      • 제주도내 노인 복지·여가 시설에서의 음악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강승미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9679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의 속도는 선진국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머지않아 노인 교육, 노인 복지, 노인 여가 및 질병 등에 대하여 미리 대처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우리나라에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어 많은 혼란을 가져올 것이다. 사회화 과정에서 지위와 역할을 상실하고, 소득 감소로 인한 빈곤문제를 갖고 있으며, 노화에 따른 생리적, 신체적 약화로 각종 질병에 걸리며 사회적으로 무력해진 노인들은 자아상실감을 갖고, 소외와 고독을 느끼며 삶에 무기력해진다. 음악은 이러한 문제를 지닌 노인들에게 다양한 감정들을 불러일으키며, 음악을 통해 즐거움과 행복, 자아실현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연구에서는 각종 문선과 선행연구 논문자료를 통해 노인의 특성과 노인의 주요 문제를 다루고 제주특별자치도 노인장애인복지과의 도움을 받아 2008년 제주특별자치도의 노인 복지 정책과 노인 복지 시설, 노인 여가 시설 등의 음악 프로그램 실태를 조사 하고, 제주도내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음악에 대한 만족도와 선호도를 설문조사하여 노인 음악교육의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음악활동을 통하여 노인들의 신체적인 질병을 낫도록 하며, 사회적으로 음악활동을 통하여 역할을 찾고 자아 성취감을 느끼며 음악 봉사활동을 통하여 젊은이들의 모범이 되고 앞으로 닥칠 고령화 사회의 혼란을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 제주특별자치도내의 노인 복지 시설, 노인 여가 시설의 음악 프로그램에서 음악 프로그램의 다양성의 부족, 음악 프로그램을 위한 공간과 시설의 부족, 노인 음악교육을 위한 전문 강사의 부족, 노인들의 음악활동 기회의 부족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첫째, 노인 음악 교육만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시설을 마련하기 위하여 현재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경로당을 전문적인 음악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곳으로 재정비하여 예산 낭비를 줄이며, 시설의 보강으로 노인들에게 음악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다양한 음악 프로그램을 계획하도록 하여 노인들에게 음악의 다양성과 음악이 주는 즐거움, 음악의 필요성을 알게 하고 수준별 수업을 통해 노인들이 음악교육을 좀더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게 한다. 셋째, 노인 음악교육 전문 강사를 양성하여 노인들의 특성과 요구에 맞게 음악교육을 제공하며 다양한 연주활동과 노인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도록 한다. 넷째, 노인들에게 음악활동의 기회를 많이 주어 노인들이 사회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하며 노인들에게 자신감을 불어넣어주며, 음악을 통한 사회 봉사활동을 통해 남은 생을 즐겁고, 보람 있게 보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사회와 정부, 지방자치단체에서 모든 노인들이 음악을 즐기며 바르게 이해하고 사회에서 소외되지 않는 계층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인들을 위한 구체적이고 짜임새 있는 음악 프로그램들을 끊임없이 연구, 개발하고 이를 위한 전문인을 많이 양성하며, 노인들이 사회에서 많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며 경제적으로 정책적으로 많은 뒷받침을 해야 한다. 보다나은 21세기 이후의 노인들의 삶을 위해 효율적인 음악 프로그램들이 많이 연구되어지길 간절히 바란다. The pace of the aging society in Korea has been rapidly faster than that of any other developed countries. It is expected that sooner or later, elderly people's educations, welfare, leisure and diseases can cause a big social problem in Korea where any preventions are not being prepared. Senior citizens have lost their positions and duties as it is time for them to be retired from their work and as a result, they get in trouble regarding a financial matter and they are susceptible to diseases and end up being a state of a sense of alienation and loss, making them feel powerless over their own life. Music could be an alternative to solve the problems, causing a variety of emotions for the aged and make them feel happy, pleasure and a sense of their self thorough it. In this study, old people's characteristics and main issues are being covered through the previous dissertations related to them. With the supports of the department of the aged disabled welfare in the self-governing province, this study surveyed fact-finding regarding the 2008 Jeju self-governing province's welfare policy and the music program of the facilities and leisure facilities for the aged. A questionnaire research from the aged who live in Jeju Island has been carried out to draw up a better plan of effective music education. Further, with the help of the music, it can help the aged cure their physical disease, feel a sense of self and take the active role of his life. Their music activities also set a good example to young people and it can help prevent the social problems from the aging society. Currently, there are lacks of contents of musicprogram, space, facilities, music activity opportunities and special trainer in the music programs for aged which self-governing province holds. First,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needs to change a malfunctioning senior citizen's recreational hall for the space of specialized in their music education which saves the budgets and help them gives a good lesson of the music for them with the better facilities. Second, with a variety of music programs, it needs to show how great the musicgives us and why we need it. Differentiated music Curriculum helps them take music education better. Third, it needs to produce a special music trainer to give the senior citizen good lessons by various their different needs which can cause their performance and lead them to participate in music activities voluntarily. Fourth, through the music, more music activities and confidence, community service can be provided and help them spend in the rest of their life. The community, government and self-governing groups need to realize and should be involved to study, develop the music program and raise specialists and in this role of making the aged understand the real value of the music and being a person who are not outsider of the community. There should be a big supports from them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Hopefully, there are lots of continuous studies and researches for the senior citizen to have a better life in the future.

      • 天主敎의 傳來가 濟州 近代 女性敎育에 미친 影響

        양철호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제주도 근대여성 교육의 태동에 큰 공헌을 한 천주교의 교육 사업을 살펴보는 연구로서, 이를 위해 첫째 천주교의 우리나라 전래 과정을 학문과 신앙의 두 가지 측면으로 살펴보았고, 둘째 제주도의 전래과정을 신앙적 측면에서 탐색했으며, 셋째 구한말의 제주도 교육 환경과 신성여학교의 설립·폐교과정을 통해서 천주교의 교육사업을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천주교의 교육사업이 제주 근대여성 교육의 태동과 공·사교육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의 천주교회는 세계에서 그 전례를 찾아 볼 수 없는 독창적이고 개척적인 신앙심을 발휘하여 선교사의 도움없이 독자적 신앙공동체를 설립하였고 우리나라의 근대사에 교육적인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일을 수행하였다. 조선시대에 여성들에게는 학교 교육이 없었다. 다만 가정 안에서 문자교육을 받았으며 계급의 정도에 따라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사람도 있으나 대부분의 여성들은 전부 문맹이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천주교의 교육사업은 다음과 같은 면에서 제주의 근대여성 교육에 크나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첫째 신성여학교의 개교를 통하여 제주도 최초의 근대교육의 선험적 역할을 하였으며 둘째 계급과 신분에 관계없이 인간의 존엄성에 맞는 여성의 평등교육을 실시하였고 셋째 지역 실정에 맞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교육을 통해 인간의 모든 가능성을 계발하고 평화롭게 살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1916년 7월 신성여학교가 폐교된 이후 1946년 복교될 때까지 제주의 공교육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특히 당시 신성여학교를 졸업한 선각자들에 의해서 불우한 여성들을 위한 사설강습소인 여수원을 설립하는 등 제주도의 여성교육, 초등교육 등 제주교육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효시로 남을 것이다.

      • IB 교육프로그램 실천 사례 : 제주도 P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문선영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연구의 목적은 IB 교육프로그램 실천이 학생, 교사, 학부모에게 주는 의미를 탐색하고, 더 나아가 교육 변화 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 P초등학교의 IB 교육프로그램 실천 맥락은 무엇인가? 둘째, 제주 P초등학교는 IB 교육프로그램을 어떻게 실천하는가? 셋째, 제주 P초등학교의 IB 교육프로그램 실천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를 위해 연구자는 IB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제주 P초등학교를 대상으로 IB 교육프로그램 실천의 맥락, 과정, 의미를 알아보기 위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P초등학교의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수업 및 협의,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에 참여하여 관찰하였으며, IBO의 공식문헌,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IB 교육프로그램 도입 활동 관련 문서, P초등학교 IB 교육프로그램 실천 활동 관련 문서를 분석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나선형 자료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교육혁신 노력에 따라 P초등학교의 관내 P고등학교가 IB 학교로 선정되었고, P초등학교는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으로 프로그램 도입의 당위성을 스스로 찾아가며 IB 교육프로그램을 실천하게 되었다. P초등학교는 국가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IB PYP 프레임워크에 따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탐구 프로그램을 설계하였으며, 개념 기반 탐구수업을 중심으로 IB 교육프로그램을 실천하였다. 이 과정은 전문적학습공동체의 능동적 학습, 행정업무 경감을 통한 교육 중심 행정 구현, 협업문화 형성으로 가능하였다. IB 교육프로그램 실천으로 새로운 교육 변화를 시도할 때, 그리고 변화의 과정에서 교육 참여자들의 이해와 합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IB 교육프로그램 실천을 통해 제주교육 관행의 혁신, 마을교육공동체 구축, 교육 참여자의 성장이라는 긍정적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이 연구가 교육 및 학교혁신 과정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서술하였다. IB 교육프로그램의 효율적 적용과 교육현장의 안착, 더 나아가 성공적인 교육 변화를 위해 교육 변화 과정의 이해와 합의 필요, 교육 변화 실천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 구축, 교육철학의 지속적 공유를 통한 협업문화 형성을 제언한다. 이 연구는 새로운 교육의 실천이 교육 참여자와 교육에 주는 의미를 찾아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급변하는 미래 사회를 위해 다양한 교육 변화의 시도가 예상되는데 이 과정에서 바람직한 교육 변화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냈다는데 또 다른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ignifications of implementing the IB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and further derive the implications of this practice for the education change process. The research questions for achieving the ai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ontext of implementing the IB education program of P Elementary School in Jeju? Second, how does P Elementary School in Jeju implement the IB education program? Third, what is the meaning of implementing the IB education program of P Elementary School in Jeju?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nducted a case study to find out the context, process, and meaning of implementing the IB education program for P Elementary School in Jeju, which operates the IB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f P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classes, consultations,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data by analyzing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IBO,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the IB education program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IB education program practice of P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y means of spiral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s efforts to innovate education, P High School was selected as an IB school, and P Elementary School practiced IB education programs by finding the legitimacy of introducing the program. P Elementary School analyzed the national curriculum, redesigned the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IB PYP framework to design a Programme of Inquiry, and implemented the IB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concept-based inquiry learnings. This process was possible through active learning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oriented administration through reducing administrative tasks, and the formation of a collaborative culture. The IB education program implementation first demonstrated the need for understanding and consensus of education participants in the process of change. And through the practice of the IB education program, we were able to derive positive meanings of innovation in Jeju education practices, establishment of a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growth of education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s, in the discussion, the researcher describ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the curriculum and school innovation process. For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the IB education program, the settlement of educational sites, and successful educational change, researcher suggests the formation of a collaborative culture through understanding and consensus of educational change processes, establishing a cooperative network for education change practi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ed at the implications of new education practices for education participants and education. In addition, various attempts of educational change are expected for a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which is another significant point that it has drawn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desirable educational change in the process.

      • 중학교 제주4·3 유적지 현장 체험 학습 방안 연구 : 평화·인권교육과 연계하여

        좌승하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Peace and human rights were emphasized as universal rights internationally in 1948 by the United Nations, the UN expected students from all over the world to feel the importance of peace and human rights and never again never break out war in the world. However, the problem of threatening peace and human rights has been constantly occurring, it has also emerged as a phenomenon of committing violence and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or interfering with groups that the state opposes in Korea. If state violence is taken for granted like this, it leaves irreparable wounds between individuals, individuals, and countries, it can lead to the repetition of contradictions accumulated through the mistakes of history. Therefore, the reinforcement of pea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gin in adolescence, when values ​​begin to be formed in earnest, values ​​that can respect life should be realized through this. This case also occurred in the Jeju area in 1948, which is Jeju 4‧3. Jeju 4‧3 is an incident that occurred by Jeju South Korea Labor Party on the pretext of opposing the establishment of a single government. however, this incident was the main cause of the continued suppression of the Jeju residents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since the shooting incidents on March 1, 1947, it sacrificed innocent them to deal with this quickly. In recent history education, student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eace and human rights and to develop sensitivity based on such historical facts, and to provide learning guidance that can lead to the practice of preventing or eliminating problems such as violence,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Also,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recommends that students understand the correct historical facts of Jeju 4‧3 and use it to cultivate students' right peace and human rights consciousness. As such, Jeju 4‧3 needs not only to be remembered by students as a special regional history unique to the Jeju region, but also needs to be actively utilized to cultivate students' correct awareness of peace and human rights. Textbooks are the most basic material for using Jeju 4‧3 as pea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However, in the current history textbooks, the background and causes of Jeju 4‧3 are not clear and only fragmentary results are presented. It is problematic in instilling a sense of peace and human rights and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Jeju 4‧3. Also, it cannot be overlooked that in a recent survey, field experience learning was the most helpful, and there were many responses that it was necessary to increase it. In addition, in the case studies or research results conducted on Jeju 4‧3 so far, there has been no case of finding a way to learn about historical sites in the field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is regard, this paper tried to develop a field experience learning pla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Jeju 4‧3 historic site in connection with pea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Therefore, the local scope of this field experience learning is divided into East and West to select and utilize the area related to Jeju Island. The activity paper and teaching-learning plan of total 5 classes were composed according to 3 stages of 'pre-learning', 'field experience learning' and 'post-learning'. In this process, students will understand peace and human rights properly and experience the site of historical sites in person to help them develop peace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while cultivating their will to practice. it is thought that it will play a role in increasing interest in their own local history as well as related historical sites by deepening the historical justification for why students should remember Jeju 4‧3 and the correct perception of Jeju 4‧3. The following limitations can be pointed out in this study. First, it overlooked the fact that each school has a different internal operating system. Second, there is no verification of the effect as well as the actual practice of the class, so it may be doubtful whether it will have a great effect on raising students' awareness of peace and human rights. However, in order to supplement this, the following follow-up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method that considers the direction in which each school can operate efficiently. Second,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hat can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Jeju 4‧3 peace and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Third, it is necessary for school teachers to make efforts to remember the relics by link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Jeju 4‧3 to students.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various and in-depth analyzes of the Jeju 4‧3 historic site. 평화‧인권은 UN에 의해 1948년에 국제적으로 보편적인 권리로서 강조되었으며, UN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교육을 통해 전 세계의 학생들이 평화‧인권의 소중함을 느끼고 다시는 전 세계에서 전쟁이 일어나지 않기를 기대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평화‧인권을 위협하는 문제는 끊임없이 발생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국가가 주도하여 대항하거나 방해하는 집단을 폭력과 인권 유린으로 자행하는 현상으로 발현되었다. 이와 같이 국가폭력이 당연시되면 개인과 개인, 국가 간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기게 되며, 역사의 과오로 축적되는 모순의 반복으로 연결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평화‧인권교육의 강화는 가치관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는 청소년기에서 시작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생명을 존중할 수 있는 가치를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사례는 1948년 제주 지역에서도 발생하게 되었는데, 이 사건이 바로 제주4‧3이다. 제주4‧3은 단독 정부 수립을 반대한다는 명분으로 남조선노동당 제주도당에 의해 일어난 사건이다. 그러나 이 사건은 1947년 3‧1절 발포사건 이후 미군정이 제주도민에 대해 계속 탄압을 가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당시 정부에서는 이를 신속하게 처리하고자 무고한 제주도민들을 희생시켰다. 최근 역사교육에서는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하여 학생들이 평화‧인권의 개념을 이해하고 감수성을 키움으로써, 폭력, 차별과 인권 침해 등의 문제를 예방 또는 제거를 위한 실천으로 이끌 수 있는 학습 지도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청에서는 학생들이 제주4‧3의 올바른 역사적 사실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올바른 평화‧인권의식을 함양하는 데에 활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제주4‧3은 단순히 제주 지역만의 특수한 지역사로만 기억될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올바른 평화‧인권의식을 함양하는 데에 적극 활용될 필요가 있다. 제주4‧3을 평화‧인권 교육으로 활용함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자료는 교과서이지만, 현행 역사 교과서의 내용에서는 제주4‧3의 배경과 원인이 명확하지 않고 단편적인 결과만 제시하고 있어, 학생들의 평화‧인권의식과 제주4‧3의 올바른 역사 인식을 심어 주는데 문제가 된다. 또한 최근의 설문 조사에서도 현장 체험 학습이 가장 많이 도움이 되었고, 이를 늘릴 필요가 있다는 반응이 많았다는 점 또한 간과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제주4‧3을 소재로 진행된 수업 사례나 연구 성과에서도 중학생을 대상으로 유적지 현장 체험 학습 방안을 모색한 경우는 없었다. 이에 주목하여 본고에서는 중학생을 위한 제주4‧3유적지 현장 체험 학습 방안을 평화‧인권교육과 연계하여 개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현장 체험 학습의 지역적 범위는 제주도를 동‧서부로 나누어 자신과 관련된 지역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사전 학습’, ‘현장 체험 학습’, ‘사후 학습’의 3단계에 따라 총 5차시의 활동지와 교수-학습 지도안을 모두 구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평화‧인권을 제대로 이해하고, 유적지 현장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평화‧인권 감수성을 키우는 동시에 실천 의지를 함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왜 제주4‧3을 기억해야 하는지에 대한 역사적 당위성과 제주4‧3의 올바른 인식을 심화함으로써 자신의 지역사는 물론 관련 유적지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라 생각된다. 다만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한다. 첫째, 각 학교에서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향을 고려한 수업 방안을 마련한 필요가 있다. 둘째, 제주4‧3의 평화‧인권교육과 유적지 현장 체험 학습을 연계한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학생들에게 제주4‧3의 전개과정과 연계시켜 유적지를 기억할 수 있도록 현장 교사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제주4‧3 유적지에 대한 다양하고 심층적인 분석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 제주어 교육을 위한 제주전래동요와 제주어창작국악동요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 초등학교 3~4학년 중심으로

        진성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79

        ‘제주어’는 제주 지역 전역에서 쓰는 제주인의 언어로 제주 사람의 삶과 문화가 응축되어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특히, 훈민정음 창제 당시 한글의 고유한 형태를 간직하고 있어 옛 국어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꼽히기도 한다. 하 지만, 오랜 시간 동안 제주어를 대신하여 표준어가 널리 쓰이면서 일상생활에서 제주어를 모르더라도 큰 지장이 없게 되어 60대 이상의 할아버지, 할머니를 제외 하곤 제주어를 사용하는 세대가 점점 줄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제주어’는 2010년 유네스코의 ‘소멸 위기의 언어’ 5단계 중 4단계인 ‘아주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되기도 했다. 이는 세대 간 소통의 단절을 의미하는 것이고, 제 주인의 삶이 응축된 문화가 사라진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주사회에서는 제주어의 보전과 활용 방안 마련을 위한 다양한 노력 들이 요구되고 있다. 도내 예술인들이 제주어를 창작 활동에 활용하여 제주어 노 래 작곡, 제주어 시집과 동화책 발간 등 적극적인 노력들을 하고 있고, 제주어의 보전과 활용 주체로 중요하게 다뤄지는 교육기관은 ‘제주어 말하기 대회’와 ‘제주어 노래 대회’ 등을 개최하며 고군분투하고 있으나, 제주어교육과 관련된 연구물은 다른 연구물에 비해 미비한 실정이며 이러한 노력들이 아이들의 입에서 자연스럽 게 제주어가 구사될 수 있도록 하는 데까지 많은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고 있다. 프랑스와 미국, 중국 등 다른 나라의 경우에는 교육과정에 지역어를 포함한다 는 내용과 소수민족의 지역어 사용 등에 대해 규정한 법을 제정하여 지역어 보존 에 앞장서고 있고, 제주특별자치도 또한 제주어 활성화 조례를 제정하여 다방면 에서 제주어 보존과 활용을 위해 애쓰고 있다. 언어가 사라진다는 것은 단순하게 언어유산이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구상의 모든 생물이 생태계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처럼, 나름대로 생활방식을 가 진 공동체 문화의 일부분을 잃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제주어 보존은 제주인들 의 삶과 문화, 역사를 지켜내는 일이자 제주인의 정체성을 지키는 일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랫동안 제주 지역에서 전승되어져 온 제주전래동요와 최근에 새롭게 만들어진 제주어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제주어교육 방안을 연구 하여 제주어 보존과 활용에 도움을 주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2009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제주어교육 을 위한 시수를 확보하고 교과별 통합 재구성 방안을 마련하였다. 각 차시별로 제주전래동요와 제주어창작국악동요의 지도 방법으로 나만의 제주어 사전 만들 기, 역할극, 공동체 놀이, 경로당 방문을 통한 제주어 조사활동 등 다양한 활동 속에서 제주어 학습이 흥미 있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교과 외 시간을 이용한 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모든 언어교육은 일상생활에서 타인과의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기 위 해서는 단위학교 내에서 의도적으로 제주어를 말할 수 있는 구조적 시스템을 구 축할 필요가 있다. 충분한 중간놀이시간을 확보해주어 아이들이 제주어 노래를 부르며 신나게 놀 수 있도록 해주고, 제주어 동아리를 활성화하여 제주어를 활용 한 공연기획 및 제주어 문집 제작 등을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제주어교육을 위한 제주전래동요와 제주어창작동요의 교육적 활용 방안 제시에 한정하였으므로 실제 수업 후 교육적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실험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학교 여건과 교사의 능력을 고려하여 제주어 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Jeju language is a language that Jejuian residents use across the entire Jeju Province in which Jejuian’s life and culture is condensed.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cultural heritage. Especially, the Jeju language has retained the inherent form of Hangul since the creation of Hunminjongum and thus serves as important material in studying old Korean language. Throughout the years, however, as use of standard Korean language became widespread, being unable to speak in the Jeju Language is no longer an inconvenience for Jejuians. Except for seniors over 60, fewer and fewer Jejuians are using the Jeju language. As such, UNESCO added the Jeju language to its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as a "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 level four out of five in 2010. This indicates a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and that a culture that contains Jejuian’s lives is disappearing. In light of this situation, Jeju society is being asked to put efforts to preserve and promote the use of the Jeju language. Jejuian artists are incorporating the Jeju language in their creative activities by composing songs and writing poems and children’s books utilizing the Jeju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are considered a principal agent in preserving the Jeju language are putting their best efforts by holding contests such as “Jeju Language Speaking Contest” and “Jeju Language Singing Contest.” However, research on the Jeju Language is inadequate compared to other topics of study and these efforts are not leading to children naturally speaking the Jeju language. Other countries such as France, United States, and China are leading the way in preserving regional dialects by including them in school curriculums and have enacted laws that regulate the use of regional dialect by minority group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enacted an ordinance that promotes use of the Jeju language and is striving to preserve and encourage use of the Jeju language. Extinction of a language doesn’t merely mean a loss of a linguistic legacy but just as all creatures on the face of the earth make up the ecosystem, it means losing a part of a culture of community that has its own unique way of life. As such, preserving the Jeju language is protecting the life, culture, and identity of Jejuians. Therefore, in order to help preserve the Jeju language, this essay researched education methods that utilize Jeju traditional songs that have been passed down over generation in the Jeju Region and newly composed creative children’s songs in Jeju language and suggests the following. First, the essay analyzes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amended curriculum of third and fourth grade students and presents a plan that incorporates Jeju language into other class subjects and secures class hours for Jeju language education. It presents a fun curriculum that includes activities such as making Jeju language dictionary, role playing, community games, and visiting senior citizens. Second, it presents a plan to utilize after school hour for Jeju language education. The objective of every language education is communication with others in daily life. In order to achieve this, each school unit is encouraged to establish a structured system that promotes speaking the Jeju language. This research is limited to suggestions of education methods for Jeju language that utilize Jeju traditional songs and creative children’s songs in Jeju language. Therefore, objective assessments and experimentation of their educational effectiveness is required. Research on various curriculums for Jeju language considering school conditions and abilities of teacher is also needed.

      • 제주 전래동화를 활용한 도덕과 학습지도 방안 : 초등학교 4학년생을 대상으로

        김선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제주 전래동화를 도덕 교육적 측면에서 고찰하여 그 의의를 밝히고, 초등학교 도덕과 학습지도에 활용하기 위한 자료를 개발하고 그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구안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현행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은 아동들이 도덕성 함양에 크게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 이유는 현행 교과서의 내용과 조직이 아동들의 도덕적 사고를 증진할 수 있는 논의거리로서 부적합하고, 다양한 교수학습법을 사용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있어서 제주 전래동화의 활용은 매우 바람직하다. 제주 전래동화는 아동들로 하여금 조상들의 다양한 삶의 방식을 간접 경험하게 하고, 합리적인 도덕적 근원을 발견할 수 있게 함으로서 아동들의 도덕성을 함양케 해 주는 훌륭한 교육자료이다. 제주 전래동화는 아동들에게 도덕적 통합성과 도덕적 사고능력 함양, 도덕적 판단력을 기를 수 있게 하는 도덕교육적 기능이 있다. 특히 제주 전래동화의 주인공은 일상적인 평범한 인간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자기 앞에 닥친 고난이나 불행에 좌절하지 않고 이들과 싸워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개척하고 행복을 얻는 이야기가 대부분이어서 아동들에게 좋은 교육자료가 될 수 있다. 제주 전래동화의 도덕과 학습자료화를 위한 제주 전래동화 선정의 기준에는 지도의 용이성, 도덕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적합성, 교과 지도와의 관련성을 적용하였으며 그 절차는 교육과정의 분석, 제재별 지도 요소 추출, 제주 전래동화의 분석 과정을 거쳐 학습자료를 목록화하였다. 제주 전래동화 자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도덕과 학습지도 방안 구안을 위하여 단계별 지도는 블름(Bloom)의 교육목표 분류 5단계를 적용하여 제시하였으며, 제주 전래동화를 활용한 도덕과 일반 학습과정안을 구안하였다. 제주 전래동화는 현재까지 채록된 자료를 대상으로 중복된 내용을 고려하여 1차적으로 62편을 가려내고, 이를 도덕과 지도 요소에 근거하여 도덕적 행동을 중심으로 12편을 최종 선정하여 교과 단원과 연계하여 목록화하였다. 도덕과 수업모형 중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수업이 가능한 모형은 가치 명료화 수업모형, 역할놀이 수업모형, 토론 수업모형으로 나타났으며, 가치갈등 수업모형, 집단탐구 수업모형, 개념분석 이론 모형들은 초등학교 4학년 단계에서는 적용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 전래동화를 활용한 도덕과 학습의 실제에서 초등학교에서 흔히 적용되고 있는 학습모형인 토의학습과 역할놀이 학습을 중심으로 그 학습의 실제를 제시함에 있어서 토의 학습의 전개를 위한 적용 제재를 추출하여 지도 계획을 수립하고, 토의 학습 지도 과정안과 역할놀이 학습지도 과정안을 구안하였다. 결국 제주 전래동화는 어린이들에게 교육적으로 가치판단 능력을 길러주고 제주 선인들의 정신을 이어받을 수 있는 도덕과 교육자료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성과를 토대로 앞으로 도덕과 수업에서의 제주 전래동화의 활용은 어린이들의 도덕성 함양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traditional fairy tale to the learning of the moral subject. As the educational system connected with home and society has not been constructed yet, the educational goal can not be achieved just with the education of the moral subject of primary school these days. Since the traditional fairy tale informs the contents appropriate to the educational goal in which a speaker and a learner are at the same time and the same place, it is suitable for the morality education of children. Selecting the contents appropriate to the level of 4th grade students among the collected date until now, the learning material applicable to the learning of the moral subject was made. The respect of life took up the most part. Also applying the 5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 of Bloom to the class, teaching model was made Usually after examining the contents of traditional fairy tale and concerning about the character and events, children did the evaluation of them. It makes children judge the good and evil of character and right sense of value through the discussion with children. The traditional fairy tale handing down from the place where children live has the educational value of ancestor on the descendants. so the teaching of the moral subject using it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