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업위생 관련분야 국내 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한 산업보건전문가의 인식도 조사연구 : Survey on Industrial Hygiene Educational Curriculum and Course in College and University for Kore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Members

        김용우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산업위생 대학 및 대학원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 및 개발을 위하여 산업위생 분야 실무자를 대상으로 자신의 산업위생 부문에 대한 지식과 기술에 평가와 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수요, 그리고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이유 및 장벽, 그리고 대학 및 대학원의 산업위생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실무에서의 유용성 및 효과성, 인증제도의 도입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산업위생학회 회원이었으며 자가기입식 설문지에 직접 응답하는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일시는 2013년 4월 11일이었으며, 조사장소는 한국산업위생학회 춘계 학술대회 장이었다. 설문조사 응답한 수는 총 180명으로 남자가 127명(70.6%)이었고 여자는 53명(29.4%)이었다 연령별 분포는 20대가 57명(31.7%), 30대가 59명(32.8%), 40대가 50명(27.8%), 50대가 13명(7.2%), 60대가 1명(0.6%)이었다. 산업위생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지식 및 기술이 충분하다는 응답은 20%이었으며 보통이 39%, 부족하다는 응답이 40%로 나타났다. 산업위생 업무를 함에 있어서 공부를 더 할 필요성을 느낀다는 응답자는 76%였으며, 더 공부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13.5%로 나타났다. 대학이나 대학원 교육을 추가로 더 받고자 하는 경우 그 이유로는 ‘실력향상이 필요해서’라는 응답이 57%, ‘인적 네트워크가 필요해서’라는 응답이 19%, ‘학위가 필요해서’라는 응답이 14%였다. 대학 및 대학원의 산업위생 관련 교육의 이 업무를 수행하는 데에는 ‘도움이 된다’는 응답자는 4년제 대학의 경우, 51%, 대학원의 경우는 69%로 나타났다. 대학 및 대학원의 산업위생 분야 교육과정(커리큘럼)에 대한 평가결과는 4년제 대학의 경우 ‘매우 훌륭 또는 훌륭하다’는 응답이 27.8%, ‘보통’이 55.6%, ‘미흡 또는 매우 미흡하다’는 응답이 16.7%로 나타났으며, 대학원의 경우 ‘매우 훌륭 또는 훌륭하다’는 응답이 42.9% ‘보통’이 46.9%, ‘미흡 또는 매우 미흡하다’는 응답이 10.2%로 나타났다. 대학 및 대학원의 산업위생 관련 교육과정(커리큐럼)에 대한 인증의 필요성에 4년제 대학은 인증이 필요성이 크다는 의견이 55%, 보통은 42%였으며, 인증의 필요성이 낮다는 의견은 2.6%였고, 대학원은 인증 필요성이 매우 크다는 의견이 17%, 크다는 의견이 44%, 보통은 31%였으며, 인증의 필요성이 낮다는 의견은 8%로 나타났다.

      • 컨설팅대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컨설팅 직무역량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홍용기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지식서비스산업은 창의성과 전문성이 요구되는 고부가가치산업이지만 우리나라는 지식서비스산업의 가치에 대한 사회 일반의 인식 저조와 공급역량 미흡으로 인해 국내 컨설팅산업의 대부분을 외국계 대형 컨설팅회사가 장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컨설팅 등 주요 지식서비스에 대한 지속적 육성의 필요성을 느끼고, 현장에서의 경험과 전문지식을 겸비한 컨설팅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국내 컨설팅산업의 낙후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2008년 컨설팅대학원을 지정하여 운영하였고 현재 전국적으로 네 곳의 컨설팅대학원과 R&D센터가 운영 중이다. 그동안 컨설팅 시장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확장되었지만, 국내 컨설팅사는 수익구조가 취약한 컨설팅 시장에서 제대로 된 컨설팅을 하지 못하고 정부가 컨설팅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에 매달리는 경우가 많다.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겠으나 외국계 컨설팅사에 비해 자본력이나 정보력이 부족하고 R&D와 교육을 통한 컨설턴트 육성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도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많은 석박사를 배출한 H 컨설팅대학원을 중심으로 컨설팅대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컨설팅 직무역량과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컨설팅대학원 졸업생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빈도분석, 기술 통계량 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형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 커리큘럼을 구성하거나 운영하는 과정에서 컨설팅을 실행하는 영역을 보다 강화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컨설팅이라는 것이 기업 경영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비즈니스 영역이므로 관련 지식의 축적 이상으로 실행능력이 중요하다는 의미일 것이다. 둘째, 학교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커리큘럼과 교육과정의 체계성, 독창적인 지식 제공, 교수들의 충분한 전공지식과 강의준비 등을 통해 우수한 교육서비스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특수대학원의 특성상 학생들 대다수가 일과 학업을 병행하므로 밀도 있는 교육서비스의 제공이 다른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것이다. 셋째, 학생의 학부 전공에 따라 교과과정이 컨설팅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학부 전공에 따라 선수과목을 지정하거나 필수과목을 다르게 하는 등의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상경계열과 비상경 계열의 출신의 학생들 모두의 만족도를 높이고 중도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를 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컨설팅대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컨설팅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과 지식서비스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 설정 등에 기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Web을 이용한 大學圖書館 情報서비스 模型에 關한 硏究

        박경호 漢城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study is a model of the web-based Academic Library Information Service Systems. The recent development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has been rapid, which caused changes in the purposes and roles of the academic libraries. This plan aims to provide and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s by the Academic Library. For this plan, I analyzed the previous researches and concepts on the Academic Library Information Service System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 services in various academic libraries, I also visited and researched each website to see what kind of services are rendered by each of the universities throughout the world. This study is and attempt to build a model for a realistic and effective web-based information services.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mprovements due to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easier access to the electic resources. Most of the academic libraries are thus changing from the traditional aspects of the resource conservation to the information access into the electric library. The web-based Academic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are also changing from the simple reference service to you need some specific examples. This fast paces info-technological development requires the academic libraries to acquire more computers and match the demands of the users. Constructing systematic website that meets the demands and maintaining is more than necessary. The following is what the academic library info system should include in its web-based information service. 1. General Information : mission & history, reserves, electronic reserves, hours of operation, announcements 2. Library Services: hold & return service, interlibrary loan, Full-text information, reserve collection, book store 3. Catalog: search engine, such as, on-line database search, keyword search, etc. 4. On-line Database: international database 5. E-Journal: international science journals and international regular journals 6. Directory: staff introductions, phone numbers, and e-mail addresses sorted by the departments 7. Reference Information: Q&A, FAQ, BBS, SDI 8. Personal Information: renewal & library record view, hold request & view, interlibrary loan request & view, Full-text request & view,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As I have briefly mentioned above, the following information service model will fulfill the roles of the academic library more effectively. 1. Providing the support for the research and lecture for the professors: university library website should provide information on source and access to the resources for professors researches and lectures 2. Creating learning atmosphere for information literacy: web-based info-media should satisfy the demands of the graduate students by providing dissertation related materials, job openings, and study abroad programs, etc. 3. Development and conserving the information resource: thematic on-line database, e-journals, e-books, original database, CD-ROM, references, etc. should satisfy the users. The resource should be professional in depth and delivered effectively. 4. Providing user education program: user-friendly program will enable the user to access the information without the help of the librarians, thus benefiting the individuals information research skill and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saving time and effort. 5. Sharing information: networking with other university libraries and other information providers will enable a college library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To best utilize the information resour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operation program. This will not only satisfy the demands, but also improvement i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6. Supplying copyright related information: increased usage of electric resources and information makes it necessary that the users should be supplied with the importance of the copyright. Academic Library Web pages's purpose is and easy access to the information resources for the students and faculties, and non-Academin users as well. However, the information service should take an active initiation to satisfy the demands. To achieve this goal, the academic library should understan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and match the service, and develop and accumulate reserve quality information resources.

      •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분석 : 서울동북부사립대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박세미 漢城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과 관련된 기존 연구의 경우,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에 관한 각종 요구충족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한 연구가 다수 있었으나, 연구 범위와 데이터 분석방법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주요 미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 전공계열 및 이용행태에 입각한 만족도 차이를 식별하지 않았다. ‘둘째, 전체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도서관 제반 요인의 영역(자료, 자료검색, 장비 및 시설, 서비스 담당자)만족도간의 차이를 식별하지 못하였다. 셋째, 개선방안 도출과 관련하여 ‘이용자’ 집단만을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서비스 담당자’들의 의견을 조사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 현황과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통해 현재의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의 상황을 진단 후, 첫째,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 이용자 전공계열이 이용행태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둘째, 멀티미디어실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영역만족도 요인들과 전체만족도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셋째, 이용자 및 서비스 담당자가 제시하는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의 개선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 과정에는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와 이용자 대상의 설문조사, 서비스 담당자 대상의 면접조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 사항은 다음과 관련되는데, 첫째, 장비 및 시설의 확충 필요성, 둘째, 자료의 확충 필요성, 셋째, 이용자 교육의 확대 필요성 등이다. While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fforts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multimedia rooms in academic libraries and improve their service, they have limitations both in the research scope and in the data analysis methods. The principal limitations of th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ey didn't investigate the variation in user satisfaction with multimedia rooms in university libraries by users' major areas and utilization behaviors. Second, they didn't investigate the variation in user satisfaction with diverse library areas―for example, resources, search screens, equipment and facilities, service providers―which could affect user satisfaction in general. Third, consideration was only given to the user group, with no consideration of service providers' opinions, in presenting an improvement scheme.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conditions of multimedia rooms in university libraries through a survey on their status and user satisfaction and then, first, to examine how users' major fields and utilization behaviors affect user satisfaction for the multimedia rooms in university libraries; seco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rea satisfaction factors affecting multimedia room user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general; and third, to discover what to improve at multimedia rooms in university libraries, as indicated by users and service providers. This study involved literature review, field research, a survey in users, and interviews with service provider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suggestions relate to the improvements of the followings: equipments and facilities, resources, and user education.

      • 한국과 중국 대학회계교육의 비교

        오해명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주목적은 한ㆍ중대학 회계교육의 비교연구를 하는 것이다. 회계교육발전 과정과 현황, 회계교육과목, 회계교육방법 등을 중심으로 한ㆍ중대학의 회계교육에 관한 연구논문과 문헌을 검토하며, 한국과 중국의 주요 대학의 회계학 교육 관련 자료를 분석한 후, 한ㆍ중회계교육의 문제점을 찾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회계목표가 지나치게 크고 구체적이지 못하며 교육과정 각 단계의 목표가 불명확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부, 석박사 과정에서 각기 다른 교육목표를 확정해야 한다. 학부에서 앞으로 각 대학은 기업의 회계업무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는 전문성을 강조하는 교육중심으로 회계목표를 세우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둘째, 대학은 회계실무업계와 장기적인 협력관계와 연계체계를 갖추고 적극적으로 실무업계와 소통을 이루어서 공통적으로 회계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또한 대학은 개방적인 교육이념을 사용해서 학생들에게 학교 외부에서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중국대학은 개설하는 과목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앞으로 소질교육을 강화하면서 인문, 자연, 실기, 사례연구와 윤리 등의 수업을 늘려야 한다. 그리고 시대의 발전에 따라 교과체계를 변화시켜 나가야 한다. 한국대학은 수학과 영어 수업의 시간을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회계학 교육방법의 측면에 있어 한국과 중국의 대학은 교육자 중심의 주입식 교육방법을 쌍방향 교육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자는 평생교육의 관념을 세우고 학생에게 사고방식과 교육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학생에 대한 평가방법은 학교주도형으로부터 시장필요형으로 전환하여 총체적이고 객관적으로 학생의 종합자질을 평가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한계점을 고려하여 결론을 해석하여야 할 것이며 다음과 같은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의 대학회계교육을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는데 그치고, 실제 강의 내용이나 주요 교과서 내용을 비교분석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또한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하였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다소 객관화하지 못한 부분에 한계가 있다.

      • 남성들의 라이프스타일 및 소비가치관이 외모관심도와 뷰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오은경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아름다움이 여성의 전유물 이었던 시대를 지나 타인에게 멋있어 보이기 위해 또는 자신의 만족감을 위해 외모를 꾸미는 남성들이 늘어가고 있다. 때문에 남성을 타겟으로 하는 뷰티 상품들이 늘어가고 이들의 마음을 잡기 위한 뷰티업계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 남성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가치관을 조사하고 이에 따른 외모관심도를 분석하여 남성을 위한 뷰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수집된 자료 316부에 대해 SPSS 통계패키지 26.0 version을 이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수준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라이프스타일, 소비가치관, 외모관심도, 뷰티관리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질문지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라이프스타일은 유행추구향, 관계지향, 건강지향 3개의 유형으로 나뉘었고, 소비가치관은 물질지향, 타인의식지향, 실용지향 3개로 나뉘었다. 외모관심도는 헤어·두피 관심, 피부관심, 미용시술관심으로 3개 하위요인 이 선정되었고 뷰티관리행동은 피부관리, 미용시술관리로 2개 하위요인이 선정되었다. 연령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한 결과 유행추구지향, 관계지향, 개성추구지향 요인은 20대 집단이 40대 집단에 비하여 높은 평균치를 나타내었으며, 건강지향 요인에서 30대집단, 50대이상 집단이 20대 집단보다 높은 건강지향 평균치를 나타내었다. 소비가치관의 집단 간 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물질지향 요인에서 20대 집단이 40대 집단에 비하여 높은 물질지향 평균치를 나타내었다. 외모관심도의 집단 간 평균차이 결과에서는 20대 집단이 40대, 50대 집단에 비하여 헤어·두피 관심보다 피부관심도에서 높은 평균치를 나타내었다. 미용시술관심도 요인에서는 30대 집단이 40대 집단에 비해 높은 평균을 나타내었다. 연령에 따른 뷰티관리 행동의 집단 간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피부관리 요인에서 50대이상 보다 20대집단에서 높은 피부관리 평균치를 나타내었다. 결혼유무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소비가치관, 외모관심도, 뷰티관리행동의 집단 간 평균차이 분석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미혼 집단이 상대적으로 기혼집단에 비하여 높은 평규치를 나타내었다. 최종학력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의 집단 간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행추구행동 요인은 대학원이상 집단이 고졸 집단에 비하여 높았으며, 건강지향 요인은 전문대졸 집단, 대학원이상 집단이 고졸 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소비가치관의 집단 간 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물질지향, 타인의식지향, 실용지향 요인 모두 집단 간 유의한 평균 차이는 없었다. 외모관심도의 집단 간 평균차이 분석 결과에서는 피부관심 요인이 대학원이상 집단이 고졸집단에 비하여 높았다. 미용시술관심도 요인은 대졸, 대학원이상 집단이 상대적으로 고졸 집단에 비하여 높은 평균을 나타내었다. 뷰티관리행동의 집단 간 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피부관리, 미용시술관리 요인 모두 고졸 집단 보다 전문대졸, 대졸, 대학원이상 집단이 높은 평균치를 나타내었다. 라이프스타일, 소비가치관, 외모관심도, 뷰티관리행동의 상관관계 분석 에서 라이프스타일의 하위요인과 외모관심도 하위요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유행추구행동은 통계적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관계지향도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개성지향도 동일하게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을 종합하여 보면 라이프스타일과 외모관심도, 뷰티관리행동 변수 간에는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변수라고 볼 수 있겠다. 라이프스타일이 헤어·두피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력 변수로는 유행추구행동, 관계지향, 건강지향 순으로 있으며 피부관심도에 미치는 영향력 변수로는 유행추구행동, 건강지향, 관계지향순이고 미용시술관심도에 미치는 영향력 변수로는 유행추구행동, 관계지향, 개성지향, 순이다. 통계적 유의하게 정적(+)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라이프스타일이 피부관리에 미치는 영향력 변수로는 유행추구행동, 건강지향 순이다. 미용시술관리에 미치는 영향력 변수로는 유행추구행동, 건강지향 순으로 통계적 유의하게 정적(+) 영향력을 보였다. 외모관심도가 뷰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변수로는 피부관심, 미용시술관심, 헤어·두피관심순으로 통계적 유의하게 정적(+) 영향력을 보였다. 뷰티관리행동들이 예전에는 여성들에게만 국한되었지만 점차적으로 시대적 변화에 의해서 남녀 구분 없이 양성평등 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남성 고객의 니즈와 그들의 대한 접근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제품 기획과 연구계획에 반영되길 바란다.

      • 기독교 무용의 실태와 발전방안 : 기독교 무용 교육 연구를 바탕으로

        김현정 한성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기독교 무용 교육에 대한 13편의 연구논문을 5가지의 주제로 나누어 분석한 연구이다. 그동안의 기독교 무용은 단체의 수적인 증가로 기독교 무용인의 증가 면에서 양적인 발전을 이루어왔는데, 기독교 무용의 질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체계적인 교육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기독교 무용 교육 논문의 주제별 분석을 통해 기독교 무용의 실태를 알아보고 그를 바탕으로 기독교 무용의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기독교 무용의 실태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육기관의 측면에서는 신학 대학교 및 정식 대학교에 기독교 무용학부 과정 개설 미진, 기독교 무용 교육기관 안에서 연합의 부족 등이 있었다. 다음으로 교육과정 프로그램의 측면에서는 예술성과 대중성의 확장을 위한 교육과정 미비, 기독교 무용의 다양한 프로그램 미비 등이 있었다. 이어서 무용지도자의 리더십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으로는 리더십의 결여 및 열정의 부재, 비체계적 지도 및 지나친 꾸중 등이 있었다. 또한 교육적 과제의 측면에서는 전문적인 기독교 무용 이론의 부족, 영성 훈련의 미비로 인한 영성의 부족, 신학 및 교육적 기반의 체계가 약함 등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활용 가치 및 가능성의 측면에서는 현대사회의 정신적 불안정 및 심리적 빈곤, 문화 및 공연예술로써의 활용 미진 등이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기독교 무용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네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의 진리를 바탕으로 대학교 및 대학교 부설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 무용 교육기관이 보다 확장되고 굳건히 자리를 잡는 것이다. 둘째, 기독교 무용의 이론과 실기가 균형 잡힌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기독교 무용 교육과정의 확립 및 기독교 무용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셋째, 교육적 과제로써는 무용과 신학, 무용과 영성, 예배 무용론, 기독교 무용사 등의 깊이 있는 기독교 무용 개념의 정립 및 말씀과 영성이 있는 기독교 무용 교육을 통해 전인적인 성장을 이루는 것이다. 넷째, 기독교적 리더십의 강화 및 양질의 기독교 무용 전문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한 자격증 제도와 정기적인 워크샵을 통해 기독교적 리더십의 증진을 도모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독교 무용의 발전을 위하여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은 기독교 무용 교육의 발전이기에 대학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 무용 교육기관의 확장과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확립이 매우 중요하며 양질의 기독교 무용지도자 양성으로 다양한 교육적 과제를 이루어 가야 할 것이다. 이와 동시에, 일반인들에게도 다가갈 수 있는 전문성 및 예술성을 갖춘 보다 수준 높은 기독교 무용으로까지 나아갈 수 있어야 하겠다. 그리하면 기독교 무용이 양적 및 질적으로 더욱 활성화되어 교회의 예배나 문화행사 및 전도와 선교 등의 기독교 내 다양한 분야에서 더욱더 긍정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으리라 본다. This study is a study that analyzed 13 research papers on Christian dance education by dividing them into five topics. Until now, Christian dance has achieved quantitative development in terms of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hristian dancers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organizations, and systematic education is most important for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Christian dance. Therefore, through the analysis of Christian dance education papers by subject, the reality of Christian dance was investigated and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dance was sought based on i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ality of Christian dance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term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here were insufficient opening of Christian dance department courses at seminaries and formal universities, and lack of associations within Christian dance education institutions. Next, in terms of curriculum programs, there were deficiencies in the curriculum to expand artistry and popularity, and deficiencies in various programs of Christian dance. Subsequently, problems that may generally appear in terms of leadership of dance leaders include lack of leadership and lack of enthusiasm, unsystematic guidance, and excessive scolding. In addition, in terms of educational tasks, there was a lack of professional Christian dance theory, a lack of spirituality due to a lack of spiritual training, and a weak system of theology and education. Finally, in terms of utilization value and possibility, there were mental instability and psychological poverty in modern society, and lack of use as a culture and performing arts, and based on this, four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dance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truth of Christianity, Christian dance education institutions centered on universities and university-affili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expanded and firmly established. Second, the establishment of a professional and systematic Christian dance curriculum in which the theory and practice of Christian dance are balanced,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hristian dance programs are more actively conducted. Third, the educational task is to achieve holistic growth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in-depth Christian dance concepts such as dance and theology, dance and spirituality, worship dance theory, and Christian dance education with Bible words and spirituality. Fourth, it is to promote Christian leadership through a certification system and regular workshops to strengthen Christian leadership and cultivate high-quality Christian dance professional leaders. In conclusion, the first priority for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dance is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dance education, so it is very important to expand Christian dance education institutions centered on universities and establish a systematic curriculum, and various educational tasks should be achieved by training high-quality Christian dance leaders.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advance to a higher level of Christian dance with expertise and artistry that can reach the general public. If so, Christian dance will be further activat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d more positive development will be achieved in various fields in Christianity, such as church worship, cultural events, evangelism, and missionary work.

      • 韓國美容敎育 敎科課程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김진수 漢城大學校 藝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미용교육 교과과정에 대한 문제점을 검토해보고 그 개선책을 마련함으로써, 미용교육의 실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한국에서의 근대적인 미용교육의 시작은 1928년 11월에 최초로 설립된 「경성미용학교」에서 출발한다. 1933년 3월 초순 오엽주(吳葉舟)의 「화신미용실」개설을 계기로 한국 미용계는 혁신적인 변화를 겪으면서, 해방 이후 김상진(金翔鎭)이 「현대미용학원」을 설립하여 미용교육의 기초를 다져갔고, 권정회(權貞姬)는 「정화고등기술학교」를 설립하여 육성 발전시켜 나갔으며, 임형선(林亨善)도 「예림고등기술학교」를 설립하여 미용발전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나갔다. 한국에서 오늘날과 같은 미용사면허제도가 처음 도입된 시기는 「이용사 및 미용사법」이 제정된 1961년 이후이다. 미용사면허제도의 도입으로 미용 교육기관은 비로소 면허시험을 기준으로한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갖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1991년 부산의 「동주여자전문대학」과 강릉의 「영동전문대학」에 국내 최초로 미용관련 학과가 개설되면서 전문대학 미용교육시대의 문을 열게 되었으며, 미용학과는 꾸준한 인기 속에 발전을 거듭하여 1997년에는 18개 학교로, 1998년에는 29개교이던 것이, 2002학년도에는 60개교로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더 나아가 미용교육의 열풍은 전문대학에 머물지 않고, 4년제대학의 정규학과 설치로, 그리고 대학원 석사과정의 설치로 발전을 거듭하였으며, 마침내 2000년 3월에는 부산미용고등학교가 개교함으로써 고등학교 미용 교육시대까지 문을 열기에 이른 것이다. 그런데 이들 미용교육기관의 교육과목을 보면, 대체적으로 헤어미용, 피부미용, 메이크업, 네일아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속적으로 세분화·전문화 과정을 겪고 있으나, 아쉽게도 이러한 교육과정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특히 전문대학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아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첫째로, 교육목표상의 문제다. 전문대학이 표방하는 미용교육목표는 대체적으로 "능력과 소양을 갖춘 전문 미용기술인 양성" 및 "다양한 미용 기술 습득"이 주가 되고 있다. 또한 21세기를 향한 전문화된 국제적 감각과 특히 여성 인력의 양성을 위한 부분, 그리고 과학적 이론에 근거한 내용들이 언급되고 있다. 그러나 전문대학과정을 마친 미용인이 미용지도자로 발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필요한 경영자로서의 관리 능력 및 자질 함양을 목표로 정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전문대학에서는 그러한 표현이 언급되지 않고 있는 아쉬움이 있다. 또한 미용의 궁극적인 목적추구에 부합할 수 있도록 인간의 심미적 추구를 목표로 하거나, 예술적 소양의 함양을 목표로 할 필요도가 있음에도 이러한 목표를 정한 학교가 드물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로, 학과명칭에 관한 문제다. 전문대학의 학과 명칭중에는 「미용과」또는 「미용예술과」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헤어미용전공」을 표방하는 명칭, 「피부미용계열」 또는 「피부미용과」 등에서처럼 「피부미용전공」을 표방하는 명칭, 「코디메이크업전공」 또는 「향장보건계열」 등에서처럼 「메이크업전공」을 표방하는 명칭 등 다양한 명칭을 갖고 있으며, 그 체계 또한 학부제와 전공제, 그리고 단일학과제 등 다양한 실정이다. 그런데 이들 학과를 졸업할 경우 동일하게 「미용사면허」가 부여되고 있다는 점에서 볼 때, 일견 전문대학은 토탈미용 교육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학과명칭을 다양하게 표시하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로, 교과목 명칭에 관한 문제다. 교과목 명칭도 동일한 과목인데도 불구하고 표준화되지 아니한 채 학교마다 차이를 두고 있어 혼란을 보이고 있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모발미용학」과 「두발미용학」, 「스캘프&헤어케어」와 「두피와두발관리」, 「헤어세팅및업스타일」과 「헤어세트」 또는 「업스타일」 등의 이음동의어(異音同義語)를 사용한 과목명들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넷째로, 전공필수와 전공선택의 기준이 불분명한 문제가 있다. 일부 학교에서는 전공필수과목으로 채택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학교에서는 전공선택과목이 되고 있는 등, 전공필수와 선택의 기준이 명확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다섯째로, 주당 교육시간의 차이에 따른 문제가 있다. 동일한 실기과목인데도 일부학교에서는 2학점으로 이론1시간, 실습2시간으로 구성되어 있기도 하고, 다른 학교들에서는 3학점으로 이론2시간, 실습2시간으로 구성되는 등 일정한 표준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개선책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첫째로, 현행 전문대학에서의 미용교육이 추구하는 중요한 목표중의 하나는 미용지도자 양성에 있음을 교육목표상에 밝힐 필요가 있다. 또한 기능위주의 교육목표에 예술적 소양의 함양도 포함시킴으로써 '기술로서의 미용'이 아닌 '예술로서의 미용'으로 승화 발전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것이다. 둘째로, 학과명칭을 교육과정의 내용과 일치하게 정비해야할 필요가 있다. 헤어미용, 피부미용, 또는 메이크업을 구분하여 전공별로 각각의 교과 과정을 주된 내용으로 하면서 학과명칭도 그 교과과정 내용을 바르게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표준화해야 할 것이다. 셋째로, 교과목 명칭의 표준화도 절실히 요청된다. 적어도 전공과목에 대해서는 과목명을 통일해야 할 것이며, 학계의 다양한 연구과정을 통해 표준이 되는 교과내용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넷째로, 전공필수과목에 대해서는 각각의 전공별로 일정한 단위의 교과목을 이수할 수 일도록 학교간에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서 교육시간수에 관해서도 학교간에 통일을 기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로, 나아가 학제간의 교과과정의 체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즉, 학원 및 고등기술학교에서의 교과과정과 고등학교에서의 교과과정, 그리고 전문대학, 4년제 대학교, 대학원과정 등 각각의 학제별 수준에 부합할 수 있는 교과과정을 개발하여 시행하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This research was attempted in order to raise the actual effectiveness of beauty education by reviewing the problems on beauty education curriculums of junior collages and arranging their countermeasures. This thesis suggests improvement plans of curriculums in Korean beauty education as follows. First, one of the main alms of beauty education sought at a junior collage should be verified that it is to raise beauty leaders, Furthermore, by including artistic knowledge on top of skill-based education purposes we shall put more efforts improve and sublimate beauty art, not only as skills but also as art. Second, it is necessary to fix the department titles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s of curriculums. The titles have to be standardized for the right recognition of each curriculum by dividing beauty into hair beauty, skin beauty or make up with each curriculum based. Third,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major requisite subjects to be completed in certain units by each major among colleges as well as class hours. Fifth, the curriculum system needs to be revised in accordance with school system for example suitable curriculums for each school system level of private institutes and secondary vocational institutes, high school, junior collage, university, post graduates, etc, I have to be developed and enforced.

      • 대학 기록관의 이용자 교육 서비스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을 위한 연구

        원채원 漢城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최근 대학기록관은 사회적인 변화와 정보통신의 발달, 이용자 요구에 따라 점차 관리 및 보존 중심에서 기록 및 기록정보를 활용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기록관은 대학 구성원에게 적극적인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기록관의 이용자 교육 서비스는 단순히 기록정보서비스 중 하나인 부가가치 서비스의 한 부분으로 인식되어 독립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전시를 통한 기록관 소개 및 제한된 소장기록물의 안내를 하고 있고, 교육 및 연구 목적으로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는 여전히 오프라인을 통해 이용자 요청 시에만 제한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이용자 교육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편이다. 본 연구는 대학기록관 이용자 교육 서비스의 운영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이용자 교육 서비스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이용자와 이용자 교육 운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통해 이용자 교육 서비스에 대한 문제점과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수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3개 대학기록관 이용자 교육 서비스는 대부분 온라인보다는 오프라인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대학기록관 이용자 교육 서비스에 대한 내용은 기본적인 이용 안내에만 그치고 있다. 셋째, 기록관 웹사이트에서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가 매우 부족하다. 넷째, 소장기록물에 관련된 교육이 부족하다. 다섯째, 검색도구 및 매뉴얼 가이드라인 안내에 대한 제공이 부족하다. 설문에 대한 이용자와 운영자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록물의 가치와 내용의 이해에 관한 교육 안내가 부족하다. 둘째, 일률적인 기록관 이용 교육 안내이다. 이용자 마다 다양한 관심분야를 가지고 있고, 전공도 매우 상이하다. 셋째, 비정기적인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으로 대부분의 운영자가 정기적인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넷째,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 담당 부서 및 담당자의 부재와 인력 부족으로 인한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어렵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정기적으로 제공되는 이용자 교육 서비스 그리고 쉽고 간편하게 접근할 수 있는 강좌, 세미나, 포럼 등의 유형별 이용자 교육 서비스의 개설이 필요하다. 둘째, 이용자 요구와 특성에 따른 다양한 이용자 교육 서비스 개발이 우선되어야 한다. 셋째, 기록관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 담당자의 지속적인 전문가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이용자 교육 서비스의 필요성 강조를 위한 기록관 역할의 홍보가 필요하다. 다섯째, 이용자 교육 서비스 담당 부서 및 담당자 인력의 확충이다. 여섯째, 기록물의 가치와 내용의 이해에 관한 이용자 교육 서비스의 확충이다. 일곱째, 웹사이트 기록물의 확충으로 온라인에서 직접 이용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의 다양한 확충을 통해 기록관과 기록물의 이용의 활성화를 이끌어야 한다. 여덟째, 웹사이트를 통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가 필요하다. 대학기록관은 특정 대상을 위한 이용자층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과제·학습·연구를 수행하는 학부 학생, 대학원생 그리고 대학 구성원 등 이들을 위한 적극적인 이용자 교육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점은 이용자들의 요구와 관심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에 따른 다양한 맞춤형 이용자 교육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기록관의 이용자 교육 서비스의 개발과 개선을 위한 실증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바라며, 이를 위한 대학기록관과 대학의 적극적인 협조가 수반되어 대학기록관의 교육서비스를 대학구성원이 활발하게 이용하기를 기대한다. As the user’s interest for records and assuring the public of their rights to know are increasing, the role of archives which encourages users to access and use records becomes more important. While the traditional role of an archive was merely for collection and conservation, current archive centers on the use of records.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which satisfies user’s information needs by providing the physical and intellectual approach to records,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the archive. The university archive has provided various record information services to university members, which supports access and use of records. However, the university archive does not provide education service that addresses the interests and demands of the users. The existing body of researches on records and archive management has focused more on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as a concept in the outreach service than it being a user’s education service; thus, researches on archival reference service or instruction service are still lacking.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ent state of user education service management in Korean university archives and to suggest improvements. The education programs were analyzed, which are offered in the 13 university archives.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real users and administrators of university archives. The findings from the content analysis on user education programs are as follows: First, 13 university archive user education services were managed more via offline than online service. Second, university archive user education programs are limited to basic operation guide of the archive. Third, university archive user education programs available on the archive’s web site, are very few. Fourth, university archive user education programs, which provide information on the collections of archive, is lacking. Fifth, university archive user education programs, which provide information on search tool and manual guideline, is lacking. The findings from the survey and interview with users and administrator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archive users asked for the education and guides for the value of records and understanding of contents and history, which support their research. Second, university archive users asked for the education program varying with their interests and major fields of study. Third, university archive administrators answered the occasional user education program management made most administrators’ periodical user education program management difficult. Fourth, university archive administrators answered the absence of user education program department and scarcity of operator and personnel made user education program difficult. We suggest an improvement plan after identifying problems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First, establishment of uncomplicated and simple periodical user education service, lecture, seminar, forum, and other types of user education services is needed. Second, different user education service development based on user’s demand and characteristic is needed. Third, periodical professional education for archive user education program administrator is needed. Fourth, advertisement of the role of the archive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necessity for user education service. Fifth,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user education service department and operator personnel. Sixth, expansion of user education service regarding the value of records and contents is needed. Seventh, the importance of the use of archive and records should be introduced through developing the education program particularly by expanding the collections available via online service Eight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service through the web site is needed. The current University Archive is characterized by the formation of a user group for a particular target. Active user education service is needed for the undergraduates, graduates, and university members who accomplish assignment, study, and research. One thing to be improved is the provision of different and customized user education services by precisely identifying the user’s demands and interests. We are hoping that several empirical studies will be done actively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University Archive’s user education service; and we are also hoping that university members could utilize the University Archive’s education service while both the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Archive incessantly support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