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의 관광기념품 구매속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우타오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관광기념품 개발 및 판매의 활성화는 관광수입 증대에 기여하는 등 관광산업발전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즉 지역 고유의 관광기념품 개발은 판매수익을 증진하고 고용을 증대하며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또한 관광기념품은 여행의 추억을 상기시킬 뿐 아니라 여행경험을 증명하는 수단이며, 사람들은 기념품을 소유함으로써 어느 정도 강한 실제감을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에 대한 관광기념품 구매속성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하여 이론적 틀을 정립한 다음,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분석을 통해 양국학생간의 구매속성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관광기념품사업자에게 관광기념품의 개발 및 판매 전략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국관광객은 한국 전체 외래 관광객의 비율 중 일본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면서 한국관광에 중요한 시장으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중국유학생은 전체 유학생의 68.91%로 매우 높은 비중을 보이며 양적부문과 성장률에서 크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국인과 외국인의 구매속성에 대한 차이를 인식하고 관광기념품을 개발할 경우 관광기념품산업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여 내·외국인간의 구매속성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시기는 2011년 2011년 05월 20일부터- 2011년 05월 29일까지 10일 동안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대표적 대학교 4곳인 광주대학교,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호남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 340명을 연구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총 340부를 배포하여 310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일부 주요항목의 누락이나 불성실한 응답처리로 통계분석에 어려움이 있는 17부를 제외한 유효한 설문지인 293부를 가지고 최종적으로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문헌연구과 현장조사방법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대상범위는 광주광역시에 있는 대학교 중 연구방향에 부합하고 대표성을 지닌 광주대학교,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호남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회수된 설문자료는 SPSS 18.0 for window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정(T-test)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기념품 구입이유와 구입하지 않은 이유에 있어서 특히 관광지의 특징을 담은 상품이 없어서와 다른 곳에서도 살 수 있어서라는 항목이 높게 나타났는데, 관광기념품은 우선적으로 소재의 다양화가 이루어 져야 한다. 유형의 소재뿐만 아니라 무형의 소재를 이용한 제품기획과 보편타당하고 특색 있는 의미부여로 천편일률적인 형태에서 진일보한 다양하고 독특한 관광기념품을 개발해야한다. 둘째, 한국대학생과 중국유학생 중 모두 개인관광의 형태가 가장 높았고, 중국유학생은 차선으로 단체관광의 비중이 높았지만 한국대학생의 경우에는 단체관광과 가족관광의 비중이 비슷하였다. 특히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 모두 관광정보원에서 인터넷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한국대학생의 경우에는 TV나 인터넷, 관광 관련 책자를 통해서 중국유학생은 인터넷, 여행사나 친구를 통해 관광정보를 얻는 것으로 확인되어 관광프로모션이나 정보제공의 원천이 되는 이곳들의 정보제공 수월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관광비용에서 한국인 학생들은 본인수입과 타인의 도움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지만 중국유학생의 경우에는 타인의 도움이 압도적으로 차지하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셋째, 관광기념품의 재 구매와 추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관광기념품의 가격 및 품질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생산업체와 판매업체에서는 다양한 소재의 개발과 함께 제품의 품질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 모스크바장로회신학대학교의 교회개척

        한재희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1) 서론부분에서는 다음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오늘날까지 수행해 온 선교에서 교회가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선교를 하고 있는가에 대한 대안으로 교회의 진정한 선교를 위해서 선교의 근원을 하나님 자신이라는 점과 선교는 하나님의 것이라는 점에서 시작했다. 연구방법으로는 삼위일체의 하나님 안에 있는 교회와 하나님의 선교를 찾으려했다. 연구절차로는 러시아교회 특히 모스크바장로교 신학대학교에 의해서 개척된 교회를 중심으로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러시아 교회개척을 살펴보았다. (2) 교회론의 변화에서 교회의 정의를 삼위일체 하나님 안에서 찾고자했다. 즉,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 예수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 성령의 전으로서의 교회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물론 이것은 사도 바울이 본 교회이다. 여기서 교회의 주인은 사람이 아니라는 점과 교회는 제도가 아니라 에클레시아인 하나님의 백성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성령의 전안에서 교회의 속성을 갖는다. 교회의 속성은 하나된 교회로서 하나됨과 거룩한 교회로서 거룩성과 보편적인 교회로서 보편성과 그리고 사도적인 교회의 사도성이다. 하나님의 선교는 사도성 안에서 계속되는 보냄을 갖는다. 교회는 하나님의 은혜로운 부르심 속에서 하나님의 백성이 되고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가 되며 성령의 전이된다. 교회는 하나님의 선교로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선교적인 사명을 수행하는 가운데 교회의 존재의 근거를 갖는다. 과거의 선교에 있어서 교회를 위한 선교나 선교열정으로 인위적인 선교는 하나님의 선교와 다른 제도적 교회가 행한 선교의 한 모습이었다. 오늘날 하나님의 백성인 에클레시아 역시 하나님의 선교로 부름을 받고 있으며 에클레시아인 교회는 그 부름에 응답해야 한다. 하나님의 선교에 응답하는 교회만이 참된 교회로 하나님의 백성이다.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교회만이 하나님 나라를 지향하는 종말론적 공동체가 된다. 교회와 하나님의 나라 관계에서는 교회는 곧 하나님의 나라가 아니라 부활의 빛 속에서 '이미' 온 하나님의 나라를 선취한 교회가 세상 속에서 '아직' 완성되지 않은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어 가야 한다. 세상은 하나님이 사랑한 세상으로 교회는 세상 가운데서 그 역사성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교회는 세상에서 하나님의 통치를 이루어 가야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교회와 세상과 선교, 교회와 이성과 하나님의 나라, 교회와 역사와 하나님의 나라, 그리고 교회와 정치와 하나님의 나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3) 러시아 개신교회에서는 먼저 러시아 정교회를 먼저 밝혔다. 왜냐면 러시아는 러시아 정교회의 영향 속에서 이루어진 백성이기 때문이다. 러시아인들에게 러시아 정교회는 종교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으므로 러시아 개신교회 역시 그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러시아 정교회와 러시아에 대해서는 러시아와 정교회, 러시아국가교회, 그리고 동방 정교회의 중심된 선교신학를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러시아 개신교회에 대해서는 먼저 러시아 개신교의 전래와 전파지역 그리고 선교의 대상, 오늘의 개신교의 성장을 이루어낸 지하교회의 고난과 소망 속에서 승리한 러시아 개신교회로 보았다. 이는 초대교회가 로마의 핍박을 딛고 일어난 것처럼 러시아 개신교회가 갖고있는 신앙의 전승 속에서 오늘날까지 러시아교회가 남은 자로서 성장하는데 큰 바탕을 이루었다. (4) 본론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하나님의 선교에서 본 러시아 교회개척인데 먼저 하나님의 선교에 대한 개념을 정리했다. 즉, 교회는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도구이며, 선교의 근원은 하나님 자신에게 있고 그 선교의 내용은 하나님으로부터 보냄 받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삶을 통한 교회의 참여이다. 교회는 세상에서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는 하나님의 선교공동체이며 성령은 교회가 하나님의 선교를 이루도록 인도하고 이루시는 분이다. 따라서 인위적이거나 제도적 교회에 의한 선교는 하나님의 선교에서 배제된다. 이 같은 하나님의 선교의 관점에서 모스크바 장로교신학대학교에 의한 교회개척을 살펴보았다. 특히 교회개척의 의미를 하나님의 선교와 하나님의 나라 그리고 복음과의 관계에 비추어 찾고자 했다. 여기서 교회개척은 단순한 양적 증가의 의미보다는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복음의 활성화와 러시아 교회의 요청에 의한 상황화이며 한국교회의 지속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모스크바 장로교신학대학교의 교회개척은 '러시아인에 의한 러시아선교'의 과정이며 신학교육의 장으로 신학과 교회의 유기적 상호관계 속에서 열매를 맺어가는 과정이다. 그러므로 모스크바 장로회신학대학교에 의한 교회개척은 러시아 개신교회의 활성화에 참여하는 역동적 기능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러시아 교회개척의 방법과 성장에 있어서 러시아 교회의 성장은 양적인 교회성장보다는 러시아교회에 요구하시는 하나님의 음성에 응답하는 유기적인 신앙공동체가 될 때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바른 교회의 바른 성장이라는 것이다. 러시아교회의 특징으로는 신학적 특징으로 러시아 정교회의 영향 속에서 성례전의 중시와 사랑의 신학 그리고 도덕성과 부활의 신학을 들 수 있다. 예배학적 특징으로 러시아 교회가 지니고 있는 신앙전승 속에는 말씀의 선포뿐만 아니라 찬양과 시 낭송 등 신앙고백적인 적극적인 참여를 들 수 있다. 목회학적 특징은 공동체정신을 바탕으로 친교공동체로서의 교회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러시아 교회의 선교 신학은 과거 핍박의 시기를 지나는 동안 교회들은 기본적으로 에큐메니칼 정신을 공유하고 있다. 개척교회의 분류는 러시아교회의 신앙전승을 토대로 하는 교회들과 모스크바 장로교 신학대학교에 의해서 개척된 교회들로 나눌 수 있다. 개척된 러시아교회들은 비록 한국교회의 협력 속에서 개척되고 있을지라도 러시아 교회가 지니고 있는 신앙의 전승 속에서 러시아적인 장로교회로 태어나야 한다. 러시아 교회는 러시아에서 역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러시아 교회는 러시아에서 요구되는 개인의 영혼구원과 함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가운데 하나님의 나라를 선취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예배 공동체인 교회는 세상과의 관계에서는 선교 공동체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그 본질이 선교적이며 선교적이어야 한다. 선교적인 교회만이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는 교회가 된다. 하나님의 선교는 한국교회 뿐만 아니라 오늘 러시아교회에서도 요구된다. 러시아 교회개척과 러시아 교회의 성장은 교회의 제도나 교회에 대한 단순한 개종을 넘는다. 이것은 교회가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에게 개종하는 교회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삶을 이 세상에서 실천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한국교회는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함으로서 새로운 변화를 찾을 수있다. 그 동안 양적 성장을 거듭한 한국교회에게 교회 갱신의 필요성과 교회갱신 기회를 갖게 한다. 그리고 한국교회의 질적인 성장을 위한 선교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참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가운데 자기를 돌아보고 반성하며 쇄신하는 겸손한 자기 비움을 경험하게 할 것이다. 한국교회는 러시아교회와 파트너쉽(partnership)의 선교를 통해서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가 되고 성령의 전이되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하나된 세계교회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러시아교회의 개척은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개교회 차원의 단순한 한국교회의 이식과 확장이 아니라 러시아에 있는 예수 그리스도의 몸 안에 있는 지체로서 의미를 가진다. 러시아교회는 러시아의 정교회의 영향 속에서 그 동안 성장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러시아교회는 러시아 정교회에도 충격을 줄 수 있도록 개인구원과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특히 상대적으로 우월한 도덕성을 계속 전승해야하고 다양한 계층에서 요구되는 삶의 질문에 대해서 교회가 하나님의 말씀 안에서 응답 해야한다. 교회는 하나님의 말씀과 함께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삶으로 모두에게 보다 가까이 다가 가야한다. 이를 위해서 러시아 교회는 특히 정교회의 선교신학 가운데 하나인 사랑의 신학으로 모두를 포용하는 선교를 해야한다. 오늘날 선교의 내용과 활동도 변하고 있다. 이것은 세상과의 관계 속에 있는 교회도 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근본적이고 선교의 큰 틀인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러시아교회가 열린 마음으로 러시아라는 세상과 친교를 이루어 갈 때 러시아 교회는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강한 믿음과 소명의식 그리고 리더쉽(leadership)과 책임감을 가진 목회자들과 선교사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한국교회는 러시아교회를 통해서 나눔과 친교공동체로서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고 있음을 기억해야한다. 하나된 교회를 위해서 한국교회는 값비싼 하나님의 은혜를 구할 수 있어야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삶을 나누는 가운데 예수 그리스도의 흔적을 보여주어야 한다. 다양하고 활발한 선교활동가 곧 값비싼 은혜는 아니다. 교회와 세상을 변화시키지 못하는 교회는 값싼 은혜 속에 있다. 오늘 한국교회에게 필요한 것은 한국교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값비싼 은혜를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가운데서 구해야한다. 한국교회는 값비싼 은혜가운데서 예수 그리스도의 흔적을 남기고 자기비움으로 경계를 넘어가는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해야 한다. 우리를 변화시키고 화해시키는 하나님의 선교는 한국교회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편애하시는 가난한 사람들과 약한 자들과 억압받는 자들에 이르기까지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을 나누고 치유하는 교회가 되도록 할 것이다.

      • 광주·전남지역 중국 유학생들의 한국의류제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자오링링 호남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As China has gradually globalized, consumers in China have changed for culture-oriented consumption life, getting out of the propensity to materially consume. In particular, China has imported Korean popular culture such as Korean drama, K-pop, and Korean movies since the end of 1990s, which triggered the Korean wave in China, and brought out growing interest in Korean culture and society such as fashion, food, cosmetics, and hair style, together with sensational popularity in Korean pop culture such as Korean drama, K-pop, and Korean movies. China with approximately 1.3 billion people serves as a manufacturing plant of the world, which is grabbing attention from the world people for the global market. Together with rapid growth in economy, increased income and education levels, and improved standard of living, the quality of average life has risen, so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people has changed from the basic necessities of life to decent life which they can afford. Following global luxury goods and the latest fashions in Europe is not a rare case any more in China today. Such a change also has led to change in clothing consciousness of the people in China. For Chinese today, clothing is no more a fundamental need, but a symbol for personal satisfaction or individuality expression, representing their social status. Behind this, there is considerable purchasing power of Chinese students who study in South Korea. The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use and enjoy trendy Korean clothing, culture and music, and then recommend and promote them to their family and friends in China. Research on purchasing behavior of the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will enable Korea clothing industry to establish long-term strategy and strategy for its advancement to Chinese market. Thus, this research herein aims to investigate what difference the purchasing behavior can mak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argeted for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on their purchasing Korean clothing products. To achieve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obtain what difference each of the purchasing behavior can mak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region, academic background, residence period in South Korea,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and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on clothing, by classifying purchasing behavior into 5 factors (i.e. purchase motivation, information source, apparel attribute, store selection criteria, and after-purchase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intended for Chinese students attending 10 universities in Gwangju and Jeonnam areas, including Honam University, Chosun University, Gwanju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Women's University, and Nambu University in Gwangju, Sunchon National University in Sunchon, Sehan University and Mokpo National University in Mokpo, and Dongshin University in Naju. For data collection, a total of 2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from May 7, 2014 to May 18, 2014 with each 25 copies of them distributed to the universities, and the 208 copies of them were collected. Out of them. a total of 183 copies of them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data, except for 25 copies of them having inappropriate responses.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values of items 'Because of the change of seasons', 'Purchase experience in their past', 'Color', 'Quality of Product' and 'Suitability of body type (comfortable wearing sensation and size)' were the highest 3.60, 3.27, 3.85, 3.74, and 3.60, respectively for purchase motivation, information source, apparel attribute, store selection criteria, and after-purchase satisfaction. Purchasing behavior by ag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erenc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two items 'worn clothing' and 'to show financial affordabil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motivation by region, and the four item 'to show financial affordability', 'because of the change of seasons', 'to wear trendy clothing', and 'to wear clothing on holidays and birthday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motivation by academic background, mean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motivation by residence period in South Korea. Firstly, when it comes to purchase motivation, the four item 'Because of feeling the urge by seeing clothing displayed in shops', 'To wear trendy clothing', 'Because of desire to wear new product of fashion magazine' and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motivation by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The four items 'Because of feeling the urge by seeing clothing displayed in shops', 'to wear trendy clothing', 'to express my individuality with clothing' and 'because of desire to wear new product of fashion magazin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motivation by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on clothing. Secondly, when it comes to information sourc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ource by region, meanwhile the two items 'advice from sales clerk' and 'advice from friends or co-work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ource by academic backgrou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ource by resident period in South Korea. The four items 'clothing of entertainers and celebrities', 'advertisement through printing media (e.g. newspaper, fashion magazine advertisement), 'newspaper and broadcasting articles about fashion', and 'display of shops or shop window'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ource by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meanwhile one item 'clothing of entertainer or celebr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ource by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on clothing. Thirdly, when it comes to a 중국은 점점 글로벌화가 되면서 중국 소비자들이 물질적 소비성향에서 벗어나 문화 중심적 소비의 삶을 추구하도록 변화시켰다. 특히 1990년 말 이후 중국은 한국드라마, 가요, 영화 등 대중문화를 수입하여 큰 인기를 끌어 ‘한류’가 형성 되었으며, 한류열풍으로 중국에서는 한국의 드라마, 가요, 영화 등의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선풍적인 인기와 이에 의해 촉발된 패션, 음식, 화장품, 헤어스타일 등과 함께 한국의 문화와 사회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와 함께 13억이라는 방대한 소비인구를 갖고 있는 중국은 전 세계의 제조공장으로서 또한 세계시장으로 세인들의 주목을 끌고 있다. 경제적인 급성장과 더불어 국민들의 소득 수준이 증대, 교육수준의 향상, 생활수준의 개선 등으로 평균적인 삶의 질이 높아지고 있으며 기본적인 의식주 수준에서 이제는 어느 정도의 여유를 추구할 수 있는 수준으로 소비패턴이 바뀌었다. 세계적인 명품을 구매하고 유럽 및 최신유행을 추구하는 것은 중국에서 더 이상은 과거에는 보기 드물었던 희한한 일이 아니다. 이러한 변화는 중국인들의 패션에 대한 의식에도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중국인들에게 있어서 의복은 더 이상은 의, 식, 주의 기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욕구가 아니라 개인의 만족이나 개성표현 또한 자신의 신분과 지위를 나타내기 위한 상징으로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한국에서 유학을 하고 있는 중국학생들의 구매력을 무시할 수 없다. 재한 중국유학생들은 한국의 패션, 문화, 음악 등을 직접 사용하고 중국의 가족과 친구들에게 추천하고 홍보하기도 한다. 중국 유학생들의 이런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한류의 장기적인 전략과 한국의류산업의 중국진출을 위한 전략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패션의류 제품을 구매함에 있어서의 구매행동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매행동을 구매동기, 정보원천, 의류제품 선택속성, 점포선택기준, 구매 후 만족도 등 5가지로 구분하여 연령, 지역, 학력, 한국 거주기간, 한달 평균 용돈, 한달 평균 의류구매 지출 등의 특성에 따라 각각의 구매행동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설문지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설문조사는 광주·전남지역의 10개 대학에서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0개 대학은 광주지역의 호남대학교, 조선대학교, 광주대학교, 전남대학교, 광주여자대학교, 남부대학교이고 순천지역의 순천대학교, 목포지역의 세한대학교, 목포대학교, 나주지역의 동신대학교이다. 자료의 수집은 2014년 5월 7일부터 5월 18일까지 각 대학별로 25부씩 총 250부를 배부하여 최종 208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응답내용이 불완전하거나 성실하지 않은 25부를 제외한 총 183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구매동기에 있어서는 ‘계절이 바뀌므로’ 문항의 평균값이 3.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보원천에 있어서는 ‘본인 과거의 구매경험’의 평균값이 3.27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의류상품의 선택속성에 있어서는 ‘색상’의 평균값이 3.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점포선택기준에 있어서는 ‘상품의 품질’의 평균값이 3.74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구매 후 만족도에 있어서는 ‘체형과의 적합성(편안한 착용감, 사이즈)’의 만족도 평균값이 3.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 있어 연령에 따른 구매행동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동기에 있어서의 차이를 살펴보면, 지역에 따른 구매동기의 차이에 있어서는 ‘옷이 낡아서’, ‘경제적으로 여유있게 보이기 위해서’의 두 문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따른 구매동기의 차이에 있어서는 ‘경제적으로 여유있게 보이기 위해서’, ‘계절이 바뀌므로’, ‘유행하는 옷을 입기 위하여’, ‘명절, 생일 등에 입기 위하여’의 네 문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거주기간에 따른 구매동기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달 평균 용돈에 따른 구매동기의 차이에 있어서는 ‘매장에 전시된 의복을 보고 충동을 느껴서’, ‘유행하는 옷을 입기 위하여’, ‘패션잡지의 신상품을 입고 싶어서’, ‘사교활동에 참여하기 위해서’ 의 네 문항에 대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달 평균 의류구매 지출에 따른 구매동기의 차이에 있어서는 ‘매장에 전시된 의복을 보고 충동을 느껴서’, ‘유행하는 옷을 입기 위하여’, ‘옷차림으로 나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해서’, ‘패션잡지의 신상품을 입고 싶어서’ 의 네 문항에 대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정보원천을 살펴보면, 지역에 따른 정보원천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따른 정보원천의 차이에 있어서는 ‘판매원의 조언’,

      • 대학 골프선수들의 경쟁 상태불안과 경기력 간의 관계 분석

        마정훈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 골프선수들의 경쟁상태 불안과 입상경력을 기준으로 한 경기력을 알아보고 각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 골프선수들을 대상으로 경쟁상태 불안과 경기력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 어떠한 관계가 있는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서울특별시 소재 H대학교, Y대학교, J대학교와 경기도 소재 S대학교, G대학교, W대학교, Y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 골프 선수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되거나 설문지 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12명을 제외하고 최종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188명이었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대학 골프선수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경쟁 상태불안 간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t-test와 일워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학년, 경력과 경쟁 상태불안의 하위변인인 인지적 상태불안, 신체적 상태불안, 상태자신감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골프선수의 경쟁 상태불안과 경기력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쟁 상태불안의 하위변인인 인지적 상태불안, 신체적 상태불안, 상태자신감은 경기력의 하위변인인 우수와 비우수에 정적 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he performances by the prize-winning competitive state anxiety of college golfer would like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Specifically, the material for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H, Y University, J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Gyeonggi material S, G universities, W National University, was selected college golfers attending the Y university study. The judge said the response of insincerity or part of the questionnaire, except for 12 people missing and more cases used in the final analysis, was 188 peopl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analysis was derived as follows. First, the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t-test and ANOVA ilwo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competitive state anxiety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golfer, sex, grade, and that the subordinate factors in winning competitive state anxiety enemy anxiety, physical anxiety, showed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ate confidence. Second,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performances of the University golfer, competitive state anxiety sub-variables of cognitive anxiety, and physical anxiety, confidence is lower state variables of excellence and performance - talisman was found on a static or impact on non-resistance.

      • 베트남 남부지역의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버상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Ho Chi Minh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 Information Technology, Hong Bang International University, I will discuss the study direction and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through the Korean and Korean subjects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t each university. As a result, it examines the problem and suggests the positiv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o that it can provide way to develop Korean language education not only in the southern part but also in Vietnam. In addition, I learned the communication of Korean learner in Vietnam and acquired knowledge about Korean studies and laid the found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in Vietnam. The status of Korean and Korean Studies education in universities in Vietnam is gradually evolving in general. However, If we look closely at the curriculum, there are relatively clear plans for the educational directions and educational purpose of the Ho Chi Minh National Humanities and Social universities College among the three universities. In addition to SEGA University, Korean universities and Vietnamese universities have been interested in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for a long time. However, in order to develop them in the right direction, the Vietnamese university related to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education, we need right direction. In addition, existing departments that major in Korean (or) science and those that are going to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should try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curriculum under clear educational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Korean and Korean studies in the southern part of Vietnam, or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Korean and Korean studies in the future. Many Vietnamese professors did not take courses in Korean studies, and there was a lack of information on Korean studies and information on textbooks.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and Korean education at Sagae University in southern Vietnam has been evaluated in detail at the present time. Therefore, this article can be helpful in study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ducation in Vietnam in the future. 한국과 베트남은 양국의 수교 관계를 맺게 된 지 24년이나 되었다. 지난 1992년부터 지금까지 수교 이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여러 분야에서 비약적인 관계 발전을 이루어 왔다. 특히, 최근 베트남이 한류의 진원지라고 불릴 정도로, K-Pop과 한국 드라마, 한국 음식 등이 베트남 국민들로부터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아오고 있다. 양국 간의 인적 교류 또한 꾸준히 증가하여 연간 약 130만 명 이상이 상호 방문하고 있으며, 양국에 거주하는 국민들의 수도 각각 14만여 명에 달한다. 본고는 남부 지역의 호찌민 국립 인문사회과학대. 외국어 정보대, 홍방 국제대에서 한국어 교육 및 한국학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대학교별 한국(어)학과의 한국어 및 한국학 교과목을 통해 교육 방향과 교육목적을 고찰하고 비교하는 내용을 다룰 것이다. 그 결과로 문제점을 점검하여 앞으로 남부 지역뿐 만 아니라 베트남 내에서 한국어 교육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국어 교육의 긍정적인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겠다. 제1장에서는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 대상 및 방법, 선행 연구 검토 등을 포함한다. 연구 배경 및 목적은 베트남 내에서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에 대해 일반적으로 소개한 후 호찌민 소재 대학교들 중에서 호찌민 국립 인문 사회과학대, 외국어 정보대, 홍방 국제대를 선택하는 이유를 밝히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남부지역의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 현황에 대해 정보를 조사하고 남부 지역 대학교별의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의 일반 현황을 분석하겠다. 이를 통해 남부 지역 대학교별 설립 및 발전 역사를 알아보고 대학교별 규모를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베트남에서 남부 지역이 한국어 교육이 가장 활발하다고 말할 수 있는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그다음으로 호찌민 국립 인문사회과학대, 외국어 정보대, 홍방 국제대를 중심으로 대학교별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 현황을 알아보겠다. 여기에는 대학교별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목적, 교과목 현황, 교원과 학생 현황, 교수요목 을 대학교별 담당자 인터뷰 및 홈페이지를 통하여 필요한 자료를 찾아보며 수집하였다. 제3장에서 한국어 학습과 한국어 교재에 관련된 질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다음에 설문조사 분석해서 대학교별 장점, 단점을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3장을 통해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의 문제점 및 발전 방향을 찾아보았다. 문제점은 교육과정, 교육교재, 강사진, 졸업 후 학생 취직 4가지의 중심으로 하였다. 그 결과로 문제점을 점검하여 앞으로 남부 지역뿐 만 아니라 베트남 내에서 한국어 교육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국어 교육의 긍정적인 발전을 위한 방안을 찾아보았다. 제5장에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요약하고 베트남 남부지역의 한국어 및 한국학을 위한 교육 방향과 문제점을 극복하는 방안을 찾아보았다.

      • 레널즈(W. D. Reynolds)가 한국장로교 선교상황의 발전과 변화에 끼친 영향 연구

        김인수 湖南神學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미국 남장로회 선교사 레널즈(William Davis Reynolds Jr. 李訥瑞)의 한국선교 활동을 살피고 그의 선교활동의 의의를 새롭게 조명하려는 데 있다. 레널즈는 1867년 미국 버지니아 주(州)에서 출생하여 1892년 미국 남장로교회 선교부의 파송으로 내한한 선교사이다. 그는 1937년 은퇴하기까지 한국선교를 위해 생을 불태웠으며, 1951년 미국에서 별세했다. 레널즈는 전통적인 장로교 가정에서 엄격하고 보수적인 신앙훈련을 받고 자라났다. 어려서부터 어학에 탁월한 재능을 인정받았으며 그의 이러한 재능은 한국 선교에서 성서번역이라는 특별한 사역을 감당하는데 매우 유익하게 활용되었다. 햄든 시드니(Hampden Sydney) 대학에서 문학사를 취득한 레널즈는 운동선수로도 활약할 만큼 적극적인 성격의 소유자였으며, 학업성적도 매우 우수하여 전체 수석으로 졸업했다. 유니온 신학교(Union Theological Seminary in Virginia)를 졸업한 레널즈는 볼링(Pasty Bolling)과 결혼했다. 신학생이던 레널즈는 학생선교대회(Inter-Seminary Alliance for Foreign Missions)에 참석하여 언더우드와 윤치호의 연설에 감명을 받고 한국선교를 결심하게 되었다. 한국에 내한한 그는 뛰어난 어학실력을 활용하여 성서번역사업에 헌신 했으며, 언더우드와의 관계를 통해 한국의 장로교회 설립과 선교의 일치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레널즈는 호남지역 교회를 설립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친 훌륭한 전도자였다. 미 남장로교회의 파송으로 한국에 온 선교사들은 선교사공의회의 결정에 의해 남장로교 선교구역인 호남지역 선교를 1893년부터 본격화했다. 레널즈는 호남 전 지역을 답사하며 효과적인 전도의 방법들을 모색하였다. 그는 답사의 결과를 토대로 호남지역에 선교지부를 설치하였으며 전주에서 사역하였으나 성서번역과 평양장로회신학교의 강의를 위해 일 년에 몇 차례 씩 먼 여행을 해야 만 했다. 목포에서 사역하기도 했던 그는 호남지역 교회에서 첫 세례를 베풀었으며, 평양장로회신학교 전임교수로 평양으로 이주하기까지 그는 전주를 비롯하여 호남지역 선교를 위해 헌신하였다. 레널즈는 한국 장로교 설립의 공헌자이다. 내한 이듬해에 장로교 선교사공의회 의장으로 선교지 분할을 위한 예양협정(Comity Agreements)과 네비우스 선교정책을 구체화하는 일의 중심에 서게 된다. 그리고 그는 이 두 가지 정책을 평생토록 실천하기 위해 애썼다. 그리고 그는 공의회 활동을 통해 하나의 장로교회 설립에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만일 그의 뜻대로 한국에 하나의 장로교가 세워졌다면, 한국의 장로교회는 토착화 된 민족교회로서 당시 일제의 침략 하에서는 물론이고 오늘날 사회 각층의 갈등과 교파분열의 부작용들을 상당부분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레널즈는 마지막 독노회장(獨老會長)으로 창립총회의 사회를 맡아 1912년 ‘조선 예수교장로회 총회’의 탄생에 크게 공헌하였다. 그는 미국 남장로교회 한국 선교사들과 호남지역 교회를 대표했으면 적극적인 연합주의자였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그가 탁월한 성서번역가라는 것이다. 1895년부터 성서번역에 참여한 레널즈는 1900년 첫 신약성서, 1906년 개정판 신약과 1910년의 구약번역에 이르기까지 번역작업을 계속하였다. 이후 1937년 개역성서가 완성되기까지 최고의 한글성서 번역가였던 레널즈는 힘든 성서 번역작업을 멈추지 않았다. 그가 한국에서 활동했던 거의 모든 시기에 성서번역에 참여했으며, 번역에 참여했던 31명의 외국인 번역자 중에서 가장 오랜 기간 동안 활동했다. (1895년-1938년) 미국성서공회 한국 지부 총무였던 밀러(H. Miller)는 그를 ‘최고의 한국어 실력의 소유자이며, 구약의 예레미아(Jeremiah)를 제외하면 모든 성서의 번역이 그의 작품’이란 말을 주저하지 않았다. 그는 성서번역 외에도 성경사전과 신학교재 등을 번역하였다. 레널즈는 장로회신학교의 기초를 닦은 전문 교육자였다. 평양에 장로회신학교가 처음 설립될 때부터 미 남장교회 대표로써 관련을 맺은 그는 5명의 정교수를 확정한 1916년에는 조직신학 교수로 참여하였다. 그는 은퇴하기까지 교수로 재직했으며, 학술지인 신학지남의 편집인을 1918년부터 1937년까지 계속 맡아서 초기 장로회신학교의 신학교육의 큰 부분을 담당했다. 그가 선교 초기에 발표한 신학교육 이념은 장로회신학교의 교육이념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그가 제시한 교육원칙이 비록 후대의 거센 비판에 직면하기도 하지만, 당시 신생 한국교회에 나름대로 가치 있는 설정이었음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처럼 한국 개신교 초기 선교에 지대한 업적을 남긴 훌륭한 선교사 레널즈의 진면목을 역사적 사실과 증거들을 통하여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의 뛰어난 업적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별로 주목받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음을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레널즈의 한국선교활동에 대한 정당한 평가는 사료 발굴 및 연구를 통해서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베트남 내 대학교 한국어 통번역 교재 개발 연구

        트란티반 호남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for developing translation textbooks for lectures at universities in Vietnam in order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kills of Vietnamese learner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in Vietnamese universities and already published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extbooks, and also analyzed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for teachers, learners, and related workers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t universities in Vietnam. In addition, it identified the point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in the university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currently used in Vietnam, and suggested development plans for lectur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that respond based on the needs of teachers, learners, translators, and practitioners. In order to develop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for learners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Vietna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ctual situation of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in the field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nslatio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fully understand the needs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 teachers and learners in Vietnam and the work situation and role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ers and translation workers. In this article, we would like to address the following topics. First, the component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kills,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and the principles of development of 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extbooks are identified. Second, the actual situation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universities in Vietnam is analyzed. The educational reality to be analyzed includes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and used textbooks, and based on the actual situation analysi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xisting 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extbooks were distinguished. Third, a demand survey was conducted at universities in Vietnam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textbooks suitable for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other words, it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level of awareness, satisfaction, and demand for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nd teachers in charge of the subject.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what Korean language is necessary for job performance, the job contents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ers and translation workers were investigated, and the needs of current Korean-Vietnamese interpreters and translation worker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Fourth, based on the previous basic research, the goal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t four-year universities in Vietnam was finally set, the curriculum and syllabus were desig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were comprehensively developed. Considering this, a corresponding textbook development plan was proposed. This study wa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conducted overseas, especially in Vietnam, rather tha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in Korea. Based on the scope and contents of the above research,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were clarified, a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In addition, research contents,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were identified. In Chapter 2,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inciple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were explored from the content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Chapter 3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Vietnam, and in particular, analyzed the aspects of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textbooks published in Vietnam. After selecting and analyzing representative textbooks among them, problems that exist in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were presented, and then applied to the textbook composition plan. In Chapter 4, based on the analysis of existing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textbooks were developed by Korean learners (132 people), teachers (30 people), and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workers (66 people). Through the demand for textbooks, the perception, satisfaction, and demand for textbooks used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at four-year universities in Vietnam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reflected in the textbook development plan.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instructors in charge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to have a practical perspective on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and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in Vietnam. In Chapter 5,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needs of learners, teachers, and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in Chapter 4,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for developing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were presented, and the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textbooks used in universities in Vietnam were presented in detail. In addition, by presenting the actual unit composition based on the curriculum and syllabus, an appropriate method of composition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was also presented. Finally, in Chapter 6, the contents discussed above were summarized and organized, and the shortcomings in the development of logic,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tasks were reviewed.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통번역 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베트남 내 대학 강의용 통번역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베트남 대학의 통번역 교육 현황과 이미 출판된 통번역 교재를 분석하고 베트남 내 대학교의 한국어학과 교원과 학습자, 관련 종사자에게 통번역 교재 개발에 대한 요구 조사도 분석하였다. 아울러 현재 베트남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학용 통번역 교재에서 보완되어야 할 사항을 파악하고 교원, 학습자, 통번역, 종사자의 요구를 토대로 대응하는 강의용 통번역 교재의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베트남 내 한국어학과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통번역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실제 통번역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통번역 실태를 파악해야 한다. 또한 한국어 통번역 교육의 특성을 고려하여 베트남 내 한국어학과 교사와 학습자의 요구 및 한·베 통번역 종사자의 업무 상황과 역할에 대해서도 충분한 파악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첫째, 통번역 능력의 구성 요소, 통번역 교육, 그리고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개발 원리를 파악한다. 둘째, 베트남 내 대학교의 한국어학과의 한·베 통번역 교육 실태를 분석한다. 분석할 교육 실태에는 교육목표, 교육과정, 사용교재를 포함하며 실태 분석을 바탕으로 기존의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장단점을 구별하였다. 셋째, 베트남 내 대학교에서 한국어학과 학습자에게 적합한 한국어 통번역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즉 학습의 주체인 한국어학과 학습자와 해당 과목 담당 교사가 현재 수행 중인 한·베 통번역 교육에 대한 인식도와 만족도 및 요구도를 조사 및 분석하는 것이다. 아울러 직무 수행에 필요한 한국어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한·베 통번역과 관련된 종사자의 업무 내용을 알아보고, 현직 한·베 통번역 종사자의 요구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넷째, 앞선 기초 조사를 바탕으로 마지막에는 베트남 내 4년제 대학교에서 한국어학과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통번역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여,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을 설계하고 한국어 통번역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응하는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이 아니라, 해외, 특히 베트남에서 실행되는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시각에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연구 범위와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 절차를 규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통번역 교육의 내용부터 통번역 원리를 탐구하였다. 제3장에서는 베트남 내 대학의 한국어 통번역 교육 현황을 살펴봤는데, 특히 베트남에서 출판된 한·베 통번역 교재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중 대표적인 교재를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한 후, 한국어 통번역 교육에 존재하는 문제를 제시한 다음, 이를 교재 구성 방안에 적용하였다. 제4장에서는 기존의 한·베 통번역 교재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한국어 통번역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 한국어 학습자(132명), 교사(30명), 통번역 종사자들(66명)의 한국어 통번역 교재에 대한 요구를 통해 베트남 4년제 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요구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한 결과를 교재 개발 방안에 반영하였다. 아울러 베트남에서 한국어 통번역 교육 및 통번역 교재에 대한 현장의 실제적인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통번역 수업 담당 교수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도 진행하였다. 제5장에서는 제4장의 학습자, 교사 및 통번역 종사자들의 요구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한국어 통번역 교재 개발 원리 및 방향을 제시하고 베트남 내 대학교에서 사용 중인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예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을 바탕으로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적절한 구성 방식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앞에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앞으로의 과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대학사회봉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학학협동(學學協同) 프로그램 중심으로

        선우현 湖南大學校 行政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각 대학에서는 대학의 사회봉사 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봉사학점제를 점차적으로 늘리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의 실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사회봉사 활동이 대학의 특성과 부합되지 않는 프로그램으로 대학 사회봉사활동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대학의 사회봉사활동은 대학생들이 봉사를 통해 배우게 하는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의 실현과 지역사회에 대한 열린 대학으로서 대학과 지역사회의 담을 허물며, 사교육비 문제와 같은 현실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필요하리라 본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학협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를 통한 의식 및 태도조사를 통하여 학학협동 프로그램의 인식정도를 파악한다. 둘째, 국내외 대학들의 사회봉사활동의 실태를 파악하여 대학 사회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셋째, 대학의 사회봉사활동의 조직화 및 체계화를 통하여 봉사학습 방안을 모색한다. 넷째, 이러한 제반 내용에 근거하여 학학협동 프로그램이 대학의 사회봉사 활성화에 우리 나라 교육체계 전반에 활용 가능한 사회봉사활동의 모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이러한 연구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호남대학에서 시도하고 있는 대학과 초중고 협력방안에 대한 모형인 '학학협동' 프로그램을 이론적으로 고찰했다. 따라서 광주광역시교육청이 학학협동 시범학교로 지정한 광주하남중학교와 어등초등학교 방과후 교육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호남대학교 자원봉사자, 하남중·어등초등학교 교사, 하남중학교 학생, 어등초등학교 학생, 어등초등학교 학부모 대상으로 중간설문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근거로 학학협동 프로그램의 시범운영 과정의 제반 문제를 다루고자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dow의 기술적 통계에 의해 분석되었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학협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들의 프로그램 만족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교사가 77.07%로 가장 만족했고, 학생 69.67%, 대학생 봉사자 65.26%, 학부모 63.7%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68.92%가 만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중 특히 교사선생님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교사들의 업무과중을 학학협동 프로그램이 일정부분 해소시킨 것이 요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학협동 프로그램의 사교육비 절감여부에 대한 기여도는 대학생 봉사자가 69.13%, 교사 64.56%, 학부모 61.96%순으로 전체 65.22%가 학학협동 프로그램이 사교육비 절감에 기여한다고 했다. 셋째, 학학협동 프로그램을 다음 기회에 참여하거나 참여 시키겠다는 의견에 대해 학부모 88.47%, 학생 80.6%로 나타났으며, 대학생 봉사자의 경우는 33%를 차지했다. 대학생 봉사자가 낮게 나타난 이유에 대해서는 학기 단위로 운영 및 학점제 운영으로 교과선택상의 문제와 시간적인 여유 등의 문제로 다른 학생들에게 소개한다는 내용이 과반수가 넘었다. 이러한 조사결과에 기초하여 학학협동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목 운영체계 확립의 조직화 및 체계화가 필요하다. 대학 사회봉사센터는 학학협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으로 대학생 봉사자들이 지속성 확보를 위해 교과목 운영체계의 확립이 절실하리라 본다. 둘째, 학학협동 활동 인증제가 필요하다. 사회봉사센터는 봉사활동을 하는 봉사자들에 대한 보상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사회봉사 활동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지원과 역할 분담을 위하여 국가차원이나 대학에서 봉사활동의 실적과 수준에 따라 인증제도가 실시되어야 한다. 셋째, 학학협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봉사자들에게 장학금 제도, 사회봉사상, 교통비 지급, 보험제도 등의 활성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넷째, 교생 실습 대처 방안이 필요하다. 대학생 봉사자의 교육의 질을 굳이 따진다면 교생실습과정을 방과후 교육활동으로 대체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사범대학, 사회복지학과 계열, 사회교육전문요원 등의 과정을 이수하는 학생에 대해서 방과후 교육활동을 실습과 동일하게 인정해 주는 방안이다. 대학의 사회봉사는 실용중심의 대학교육을 지역사회에 기여한다는 열린대학 정신이 강조되어야 한다. 대학은 지역사회와 더불어 공존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특히, 상급학교로써 초중고등학교와의 연계활동은 대학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중요한 것이라 하겠다. Lately every university recognize importance of university social service activity and is trend of increasing service mark system gradually. But It's true that mostly social service activations to become operative present are full of discrepant program university social service activities are realized service- learning that students learn through service and break down the fence between local community and university at open university on a local community and i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present matter such as personal educational expense matter. This is link next. First, it grasp recognizing standard of a study cooperation program through consciousness and attitude of participant's investigation. Second, it grasp the realities of home and aborad university social service activities and grape a device for university social service activation. Third it grope a service study device through systemation and organization of university social service activities. Forth, by reason of these various contents, a study - cooperation program exhibit a pattern of social - service activities to practical use in our general education system. This treatise study method considered a study cooperation program in theory on cooperation device of university, elementary, junior high school, senior high school to being attempt in Honam university to solve this - study subject So, education organ of Kwangju city appoint it Kwangju Hanam middle school and Adng elementary take part in it education activities program after school Honam university volunteer Hanam middle school·Adng elementary teachers, students, parent of students on object it's conducted a study cooperation program exhibition running that it's middle question investigation data from base. To summaries this investigation finding is like next First, to look around statsfaction standard of a study - cooperation program participant is like this. It's come out in order of teacher 77.07%, student 69.67%, university student servicer 65.26% and parent of student 63.7%, also general statisfaction standard is researched in 68.92% part of teacher's bussiness overweigh. it may be this reason that statisfaction standard of teacher is high specially a study - cooperation program is solve requlor. second, contribution standard of personal educational expenses in a study - cooperation program come out in order of university student servicer 69.13%, teacher 64.56% parent of student 61.96%, 65.22% of all think that a study cooperation program contributed to personal educational expenses. Third, the opinion to participate and be participated in a study - cooperation program come out parent of student 88.47% student 80.6% and occupy 33% in case of university student . University student servicer come out lowly for reason of subject select in tern unit, accreditong system running and timely reserve, etc on this investigation, to exhibit activation device is like next First, organ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subject running system is needed. in policy fola study - cooperation activation, social service center need establishment of subject running system for continuous insurance. Second, attenstation system of a study - cooperation is needed social service center need to build compensation system on servicer attenstation system must be put in force for more systematic support and part assignment on social service activities in national or university situation through actual and standad of service activities. Third, It must grope activation device like a scholarship system, social service statue, traffic expense provision, insurance system to servicer to participate in a study - cooperation program. Forth, student and teacher exercise disposal device need. If it distinguish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 servicer. it can think way to alternate student teacher of exercise course with education activities after school. it is a device to recognize samely between the college of educational professionally worker, etc and education activities after school Social service of university has to emphasize university education of forcalized practical using to open university spirit contributes to community university has to recognize in fact that it has to coexisted with community. It is important that joint activity as an advanced school a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의 관광지이미지에 따른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양디순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the exchanges between the China and Korea became active since the two countries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each other in 1992, As Korea designated China as a country for free overseas travel since May 1998, the demands of Koreans for travel to China increased, and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tourists visiting Korea from China is also increasing day by day. Korea eased the conditions on visa issuance for Chinese since August 2010 in order to attract Chinese tourists, and among the total tourists visiting Korea in 2011 (979 million persons), the Chinese tourists account for 22.7%, which is the second highest ratio next to that of Japanese tourists.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are on the rise.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statistics of entrance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into Korea are also recording a high growth rate every year. As the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are staying for a long time, the ratio of their demands for tourism in the tourism market is getting increasingly higher. In addition, as the student tourists have the characteristics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those of the tourism behaviors of general tourists, the need to grasp the differences in selection attributes on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is being raised. This study has its primary purpose to closely examine the differences in selection attributes on tourist destinations depending on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Korean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stud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esent a new direction of study in the sector of student tourism targeting students studying abroad which is lacking currently and to thereby constantly increase the visits of foreign tourists to Korea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ourism industry by studying the differences in degree of provision of tourist destinations and selection attributes depending on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which account for a great ratio among the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Korean college students. The questionnaire was frame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360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Korean college students who are in Honam University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s the subject at the same university since December 1st, 2011 until December 20th, 2011 (for 20 days). In addition, for the statistical treatment of collected data, this study conducted the data coding and also conducted the descriptive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aired samples t-test and Two-way ANOVA by utilizing the SPSS 18.0 for Windows, which is an analysis package for social science survey. First, for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four factors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and for the degree of importance of selection attributes of tourist destinations, four factors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n differences in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gender, grade and age,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annual income and number of siblings.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n differences in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tourism behavior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accommodations, means of transportation, form of travel and the length of visit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acquisition of information and accompanying to visit. Fourth,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selection attributes on tourist destina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election attributes on tourist destina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gender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selection attributes on tourist destina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grade, age, annual income and number of siblings. Fifth,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selection attributes on tourist destina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tourism behavior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election attributes on tourist destina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acquisition of information, accompanying to visit and form of travel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selection attributes on tourist destinations depending on nationality and accommodations, means of transportation and length of visit. Sixth, as a result of IPA analysis on degree of provision-degree of importance on selection attributes on tourist destinations, the location was on the Quadrant I, which represents a high degree of provision and a high degree of importance in the IPA graph on selection attributes on tourist destinations, and thus it was evaluated that a constant management and maintenance is needed from now on. Quadrant II represents a high degree of provision but a low degree of importance, and thus the items shown in this quadrant require an intensive management and operation. Quadrant III represents a low degree of both provision and importance, and even if the degree of importance is low, the improvement and investment should not be excessively concentrated. In Quadrant IV, it belonged to the self-orientation and universal value pursuit group. 한국은 1992년 중국과 국교가 수립된 이후 양 국가 간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1998년 5월부터는 중국을 해외여행 자유국가로 지정하면서 한국인의 중국여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동시에 중국에서 한국으로의 방한 관광객의 수도 역시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한국은 중국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2010년 8월부터 중국인에 대한 비자발급조건을 완화하였고, 2011년 전체 방한 관광객(979만 명) 중 중국인 관광객은 22.7%로 일본인 관광객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교육과학기술부의 통계에 의하면 중국유학생의 한국입국통계 또한 매년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중국유학생의 관광수요는 이들이 장기적으로 체류하는 특성 때문에 관광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학생관광객 또한 일반관광객의 관광행동과 구별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중국유학생들의 장기적인 체류의 특성으로 볼 때 관광지이미지에 대한 선택속성 차이를 파악할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의 관광지이미지에 따른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일차적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유학생들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대학생과 한국대학생의 관광지이미지에 따른 관광목적지 제공도와 중요도 차이를 규명하는 것을 두 번째 목적으로 연구함으로써, 현재 부족한 실정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생관광부문에 있어서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러한 연구는 외래 관광객의 한국방문을 지속적으로 높여 관광산업 발전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설문지 구성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작성하였으며, 호남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 360명을 연구대상으로 호남대학교에서 2011년 12월 1일 - 2011년 12월 20일 까지(20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을 거쳐, 사회과학조사 분석패키지인 SPSS 18.0 for Windows를 활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대응표본 t검정, Two-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첫째, 관광지이미지는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관광목적지의 선택속성도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국적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관광지이미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국적과 성별, 학년, 연령 등은 관광지이미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적과 연간소득, 형제자매 수 등은 관광지이미지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적과 관광행태적 특성에 따른 관광지이미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국적과 숙박시설, 교통수단, 여행형태, 체류기간 따른 관광지이미지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적과 정보취득, 동반형태 따른 관광지이미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적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국적과 성별에 따른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적과 학년, 연령, 연간소득, 형제자매 수에 따른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국적과 관광행태적 특성에 따른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국적과 정보취득, 동반형태, 여행형태 등은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적과 숙박시설, 교통수단, 체류기간 등은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 대한 제공도-중요도의 IPA 분석결과,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 대한 IPA 그래프에서 높게 나타나는 제공도와 중요도는 제Ⅰ사분면에 위치하여 앞으로 지속적인 관리 및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Ⅱ사분면은 제공도는 높은 반면, 이에 대한 중요도는 낮게 나타나, 이 면에 나타난 항목에 대해서는 집중적인 관리와 운영이 요구된다. 제Ⅲ사분면은 제공도와 중요도가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중요도가 낮다고 하여 개선 및 투자가 과도하게 집중되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이 부분의 속성은 그리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낮은 우선순위 부분에 대해서는 제한된 자원이 소비되어져야 한다. 제Ⅳ사분면에서 자기지향 및 보편적 가치 추구 집단이 이 면에 나타났다.

      •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의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위까오엔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based on fundamental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the documents collected by the on-the-spot questionnaire survey. The investigation is applied to thos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such as Gwangju University, Chonnam University, Chosun Univeristy and Honam University. The collected questionnaire survey data is analyzed by use of SPSS/PC+for window 18.0 statistical program. Understanding the characters of tourists in choosing travel destination will be helpful for those destinations to develop or build corresponding policy in order to cater to consumers. It is also fruitful for tourism market: finding out the consuming tendency and making the tour plan with consumers focus will promote consumption.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nsuming psychology of young people and student tourists and to distinguish them from ordinary consumers and tourists. With the increase of tourists from college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take some measures to understand and handle their consuming psychology and potential demand.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percentage of choosing individual travel is largest both for Korean students and for Chinese students. The second choice for Chinese students is traveling with a group, while Korean students prefer to travel with a group or with family. About lodging, Chinese students generally choose hotel or motel, while Korean students prefer to stay at the pension. Different from the package tour organized by universities for on-the-spot investigation, students always travel individually during the holidays. The choice to lodging shows the national difference to some extent. Chinese students select hotel or motel which can be known easily, while Korean students like choosing pension. However, Chinese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have characters in common as students. The majority choose cheap apartments or Youth hotels. Accordingly, considering the requirements from students, more information about condominium or pension with cheap rent should be provided instead of expensive advanced hotel. The study shows that the Korean students prefer to travel with family, and the probability of private use of car for traveling is high. On the other hand, Chinese students mainly choose public transportation to travel. Based on above mentioned investig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ome service being aimed at foreigners, such as city tour bus and transportation guide. Additionally, internet is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source for both students. In general, Korean students receive travel information from TV, internet or tourist guide, whereas Chinese students get internet, travel agency or their friends. For Korean students, the most of travel costs comes from their own income or partially from other’s support. However, for Chinese students those costs almost come from their family’s support. Aimed at Chinese students, some tour with Korean features may be developed and be used to increase Chinese students’ initiative of traveling.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oice difference to travel destin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Some planning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results. Some markets plan can be designed and some preferred tourism destinations can be developed. To attract more tourists from foreigner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provides a good way to balance the deficit of tourism income, which is induced by the increasing oversea travel of Korean people. Also it will help to activate the tourism market from Chinese students. In summary, this study highlights three issues as follows: Firstly. the residential range of objects involved in this study is limited. Thu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investigation in whole Korea for further analysis; Secondly, it should have more realistic value to use analysis on mental level, which based on investigation with deep-talking or interview focusing on special group; Finally. it is required to collect data through Systematic random sampling and simultaneously Longitudinal study, which can generalize this study`s results and achieve accurate conclusion. 본 연구는 기존의 문헌연구과 현장조사방법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대상범위는 광주광역시에 있는 대학교 중 연구방향에 부합하고 대표성을 지닌 광주대학교,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호남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회수된 설문자료는 SPSS 18.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관광객의 관광 목적지 선정 행동을 이해하는 것은 관광지적 관점에서는 관광 목적지를 소비자의 경향으로의 계획개발이나 정책을 수행 하는데 도움이 되고, 마케팅적 관점에서는 소비자의 경향을 파악함으로 소비자 중심적 관광매력 계획을 수립하고 소비촉진을 돕는데 중요하다. 특히 청소년 및 학생관광객의 선택속성을 이해하는 것은 일반 관광자와 다른 특성을 갖고 날로 늘어나는 한국 국내의 대학생 관광수요와 중국 유학생 관광객의 관광 선택 속성을 이해함으로 잠재수요에 대비한 개발적, 마케팅적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특성은 한국대학생과 중국유학생 중 모두 개인관광의 형태가 가장 높았고, 중국유학생은 차선으로 단체관광의 비중이 높았지만 한국대학생의 경우에는 단체관광과 가족관광의 비중이 비슷하였다. 또한 숙박시설은 중국유학생의 경우에는 호텔이나 모텔 등을 주로 이용하였지만 한국대학생의 경우에는 펜션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는 학생들의 관광이 학기 중에 학교가 주관하는 답사나 시찰 등의 단체여행 보다는 대부분 방학기간을 이용해 개인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숙박시설도 중국유학생들은 호텔이나 모텔처럼 비교적 쉬운 선택 숙박서설을 이용하였지만 한국대학생은 주로 펜션을 이용한다는 이야기로 국적에 따라 숙박시설의 이용형태는 달랐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 모두 학생신분에 어울리는 저렴한 콘도나 민박, 유스호스텔, 민박 등의 시설이 제대로 학생들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여건이 못 됨을 보여주고 있는 내용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생관광은 방학시즌의 수요를 감안하고 비싸고 럭셔리한 고급 호텔보다는 민박, 콘도나 기타 저렴한 관광 숙박시설의 정보제공 등의 필요성이 강조 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연구 결과는 한국대학생은 가족과 같이하는 경향이어서 자가용 등의 교통편을 이용하고 중국유학생은 버스를 주로 이용하고 있는 점에서 외국인을 위한 버스 노선, 안내 기타 유사 교통편의 정보 제공이 필요해 보인다. 특히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 모두 관광정보원에서 인터넷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한국대학생의 경우에는 tv나 인터넷, 관광 관련 책자를 통해서 중국유학생은 인터넷, 여행사나 친구를 통해 관광정보를 얻는 것으로 확인되어 관광프로모션이나 정보제공의 원천이 되는 이곳들의 정보제공 수월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관광비용에서 한국인 학생들은 본인수입과 타인의 도움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지만 중국유학생의 경우에는 타인의 도움이 압도적으로 차지하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이는 중국유학생에게 보다 많은 한국적인 관광매력을 통해 관광동기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를 수 있는 한국대학생과 중국유학생간의 관광 목적지 선택 속성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그 도출 된 결론 들은 학생선호 관광지를 개발하고 마케팅계획을 수립함으로 한국인 해외관광객 증가의 경향으로 심해지고 있는 관광수지적자를 해외 학생관광객의 국내 유도는 물론 국내에 거주하는 중국유학생을 국내관광에 유도함으로 관광수지적자를 해소하고 중국유학생들의 국내관광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수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는 첫째, 본 연구의 대상보다 한국 전국적으로 대학교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분석해야 할 것이다. 둘째, 심층 면접이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한 정신적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병행하는 것이 실질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 셋째, 종단적(Longitudinal study)연구를 통하여 연구의 일반화를 위한 노력이 수행되어야 하며, 체계적인 표집(Systematic randomsampling)을 통하여 자료 수집을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