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뷰티미용 전공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전공 기본어휘의 선정 및 교재 개발 연구
-뷰티미용 전공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전공 기본어휘 의 선정 및 교재 개발 연구- 제 출 자: 유 상 지도교수: 권문화 한국에서 유학 중인 외국인 학부생과 대학원생의 한국어 학습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은 어휘이다. 또한 어휘는 학업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어교육을 위해 중국과 한국은 오래전부터 양국 교류 프로그램, 한국어 시험, 언어 인증 등 학습 항목을 개발하고 진행해 왔다. 현재까지 한국의 대학에 입학하고자 하면 한국어능력시험 3급 이상의 수준을 갖춰야 한다. 하지만 중·고급 단계의 학습자들도 여전 히 어휘 습득 양이 많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내 대학교의 뷰티미용학과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 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뷰티미용 전공용 전공 기본어휘를 선정하 고 해당 기본어휘 목록의 특징을 분석하여 뷰티미용 전공 어휘 교수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뷰티미용 전공 외국인 학습자 의 학업 성취에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1장에서는 뷰티미용 전공 기본어휘 선정의 필요성과 연구 목적을 제시하 였으며 학문 목적 한국어 어휘 선정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선 행 연구 검토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술 어휘 교육 관련 연구, 두 번째는 뷰티미용 한국어 관련 연 구, 세 번째는 뷰티미용 한국어 교재 개발 기초연구이다. 선행 연구를 통 해 뷰티미용 전공에 대해 어휘 선정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확인하고 뷰티미용 전공 기본어휘 선정의 필요성을 밝혔다. 2장에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학술 어휘의 개념과 분류를 제시하고, 전공 학습에 필요한 전공 기본어휘를 선정하는 방법과 연구 절차를 알아 보았다. 이를 통해서 ‘뷰티미용 전공 기본어휘’의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 고 어휘 선정 과정을 통해 뷰티미용 전공 기본어휘 선정의 연구 방법과 향후 연구 방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한편 대학의 뷰티미용 한국어 교육 현황도 제시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뷰티미용 전공 기본어휘의 선정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였으며 먼저 뷰티미용 전공 기본어휘를 선정하기 위하여 대학의 뷰티미용 전공 필수 과목의 교재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원시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그다음으로 기초어휘 및 사고 도구어 제거 작업을 하였다. 이에 따라 선 정된 뷰티미용 학술 어휘는 뷰티미용 전공 재직 교수 2명과 현장 전문가 1명의 중요도 및 실용성에 대한 판정을 거쳐 뷰티미용 전공 기본어휘에 대해 목록화하였다. 한편 선정된 뷰티미용 전공 기본어휘를 분석하였으 며 마지막으로 어휘 목록의 주제를 메이크업, 헤어, 피부관리, 피부미용 기기학, 네일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4장에서 제3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뷰티미용 한국어의 교재 내용에 대한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뷰 티미용 한국어 어휘에 있어 교수요목 설계와 교육 방안을 설계하였다. 이는 외국인 학습자의 언어적인 교육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교사에게 도 교육 자료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5장 결론에서는 앞서 고찰한 내용을 요약하고 결과를 정리하였으며 본 연구의 가치와 한계점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뷰티미용 전공 기본어휘 목록을 선 정하고 분석하여 뷰티미용 전공에 진학하고자 하는 유학생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의 교사에게도 참고 자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 모스크바장로회신학대학교의 교회개척
한재희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1) 서론부분에서는 다음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오늘날까지 수행해 온 선교에서 교회가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선교를 하고 있는가에 대한 대안으로 교회의 진정한 선교를 위해서 선교의 근원을 하나님 자신이라는 점과 선교는 하나님의 것이라는 점에서 시작했다. 연구방법으로는 삼위일체의 하나님 안에 있는 교회와 하나님의 선교를 찾으려했다. 연구절차로는 러시아교회 특히 모스크바장로교 신학대학교에 의해서 개척된 교회를 중심으로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러시아 교회개척을 살펴보았다. (2) 교회론의 변화에서 교회의 정의를 삼위일체 하나님 안에서 찾고자했다. 즉,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 예수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 성령의 전으로서의 교회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물론 이것은 사도 바울이 본 교회이다. 여기서 교회의 주인은 사람이 아니라는 점과 교회는 제도가 아니라 에클레시아인 하나님의 백성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성령의 전안에서 교회의 속성을 갖는다. 교회의 속성은 하나된 교회로서 하나됨과 거룩한 교회로서 거룩성과 보편적인 교회로서 보편성과 그리고 사도적인 교회의 사도성이다. 하나님의 선교는 사도성 안에서 계속되는 보냄을 갖는다. 교회는 하나님의 은혜로운 부르심 속에서 하나님의 백성이 되고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가 되며 성령의 전이된다. 교회는 하나님의 선교로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선교적인 사명을 수행하는 가운데 교회의 존재의 근거를 갖는다. 과거의 선교에 있어서 교회를 위한 선교나 선교열정으로 인위적인 선교는 하나님의 선교와 다른 제도적 교회가 행한 선교의 한 모습이었다. 오늘날 하나님의 백성인 에클레시아 역시 하나님의 선교로 부름을 받고 있으며 에클레시아인 교회는 그 부름에 응답해야 한다. 하나님의 선교에 응답하는 교회만이 참된 교회로 하나님의 백성이다.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교회만이 하나님 나라를 지향하는 종말론적 공동체가 된다. 교회와 하나님의 나라 관계에서는 교회는 곧 하나님의 나라가 아니라 부활의 빛 속에서 '이미' 온 하나님의 나라를 선취한 교회가 세상 속에서 '아직' 완성되지 않은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어 가야 한다. 세상은 하나님이 사랑한 세상으로 교회는 세상 가운데서 그 역사성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교회는 세상에서 하나님의 통치를 이루어 가야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교회와 세상과 선교, 교회와 이성과 하나님의 나라, 교회와 역사와 하나님의 나라, 그리고 교회와 정치와 하나님의 나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3) 러시아 개신교회에서는 먼저 러시아 정교회를 먼저 밝혔다. 왜냐면 러시아는 러시아 정교회의 영향 속에서 이루어진 백성이기 때문이다. 러시아인들에게 러시아 정교회는 종교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으므로 러시아 개신교회 역시 그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러시아 정교회와 러시아에 대해서는 러시아와 정교회, 러시아국가교회, 그리고 동방 정교회의 중심된 선교신학를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러시아 개신교회에 대해서는 먼저 러시아 개신교의 전래와 전파지역 그리고 선교의 대상, 오늘의 개신교의 성장을 이루어낸 지하교회의 고난과 소망 속에서 승리한 러시아 개신교회로 보았다. 이는 초대교회가 로마의 핍박을 딛고 일어난 것처럼 러시아 개신교회가 갖고있는 신앙의 전승 속에서 오늘날까지 러시아교회가 남은 자로서 성장하는데 큰 바탕을 이루었다. (4) 본론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하나님의 선교에서 본 러시아 교회개척인데 먼저 하나님의 선교에 대한 개념을 정리했다. 즉, 교회는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도구이며, 선교의 근원은 하나님 자신에게 있고 그 선교의 내용은 하나님으로부터 보냄 받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삶을 통한 교회의 참여이다. 교회는 세상에서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는 하나님의 선교공동체이며 성령은 교회가 하나님의 선교를 이루도록 인도하고 이루시는 분이다. 따라서 인위적이거나 제도적 교회에 의한 선교는 하나님의 선교에서 배제된다. 이 같은 하나님의 선교의 관점에서 모스크바 장로교신학대학교에 의한 교회개척을 살펴보았다. 특히 교회개척의 의미를 하나님의 선교와 하나님의 나라 그리고 복음과의 관계에 비추어 찾고자 했다. 여기서 교회개척은 단순한 양적 증가의 의미보다는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복음의 활성화와 러시아 교회의 요청에 의한 상황화이며 한국교회의 지속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모스크바 장로교신학대학교의 교회개척은 '러시아인에 의한 러시아선교'의 과정이며 신학교육의 장으로 신학과 교회의 유기적 상호관계 속에서 열매를 맺어가는 과정이다. 그러므로 모스크바 장로회신학대학교에 의한 교회개척은 러시아 개신교회의 활성화에 참여하는 역동적 기능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러시아 교회개척의 방법과 성장에 있어서 러시아 교회의 성장은 양적인 교회성장보다는 러시아교회에 요구하시는 하나님의 음성에 응답하는 유기적인 신앙공동체가 될 때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바른 교회의 바른 성장이라는 것이다. 러시아교회의 특징으로는 신학적 특징으로 러시아 정교회의 영향 속에서 성례전의 중시와 사랑의 신학 그리고 도덕성과 부활의 신학을 들 수 있다. 예배학적 특징으로 러시아 교회가 지니고 있는 신앙전승 속에는 말씀의 선포뿐만 아니라 찬양과 시 낭송 등 신앙고백적인 적극적인 참여를 들 수 있다. 목회학적 특징은 공동체정신을 바탕으로 친교공동체로서의 교회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러시아 교회의 선교 신학은 과거 핍박의 시기를 지나는 동안 교회들은 기본적으로 에큐메니칼 정신을 공유하고 있다. 개척교회의 분류는 러시아교회의 신앙전승을 토대로 하는 교회들과 모스크바 장로교 신학대학교에 의해서 개척된 교회들로 나눌 수 있다. 개척된 러시아교회들은 비록 한국교회의 협력 속에서 개척되고 있을지라도 러시아 교회가 지니고 있는 신앙의 전승 속에서 러시아적인 장로교회로 태어나야 한다. 러시아 교회는 러시아에서 역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러시아 교회는 러시아에서 요구되는 개인의 영혼구원과 함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가운데 하나님의 나라를 선취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예배 공동체인 교회는 세상과의 관계에서는 선교 공동체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그 본질이 선교적이며 선교적이어야 한다. 선교적인 교회만이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는 교회가 된다. 하나님의 선교는 한국교회 뿐만 아니라 오늘 러시아교회에서도 요구된다. 러시아 교회개척과 러시아 교회의 성장은 교회의 제도나 교회에 대한 단순한 개종을 넘는다. 이것은 교회가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에게 개종하는 교회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삶을 이 세상에서 실천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한국교회는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함으로서 새로운 변화를 찾을 수있다. 그 동안 양적 성장을 거듭한 한국교회에게 교회 갱신의 필요성과 교회갱신 기회를 갖게 한다. 그리고 한국교회의 질적인 성장을 위한 선교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참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가운데 자기를 돌아보고 반성하며 쇄신하는 겸손한 자기 비움을 경험하게 할 것이다. 한국교회는 러시아교회와 파트너쉽(partnership)의 선교를 통해서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가 되고 성령의 전이되어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하나된 세계교회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러시아교회의 개척은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개교회 차원의 단순한 한국교회의 이식과 확장이 아니라 러시아에 있는 예수 그리스도의 몸 안에 있는 지체로서 의미를 가진다. 러시아교회는 러시아의 정교회의 영향 속에서 그 동안 성장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러시아교회는 러시아 정교회에도 충격을 줄 수 있도록 개인구원과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특히 상대적으로 우월한 도덕성을 계속 전승해야하고 다양한 계층에서 요구되는 삶의 질문에 대해서 교회가 하나님의 말씀 안에서 응답 해야한다. 교회는 하나님의 말씀과 함께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삶으로 모두에게 보다 가까이 다가 가야한다. 이를 위해서 러시아 교회는 특히 정교회의 선교신학 가운데 하나인 사랑의 신학으로 모두를 포용하는 선교를 해야한다. 오늘날 선교의 내용과 활동도 변하고 있다. 이것은 세상과의 관계 속에 있는 교회도 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근본적이고 선교의 큰 틀인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러시아교회가 열린 마음으로 러시아라는 세상과 친교를 이루어 갈 때 러시아 교회는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강한 믿음과 소명의식 그리고 리더쉽(leadership)과 책임감을 가진 목회자들과 선교사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한국교회는 러시아교회를 통해서 나눔과 친교공동체로서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고 있음을 기억해야한다. 하나된 교회를 위해서 한국교회는 값비싼 하나님의 은혜를 구할 수 있어야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삶을 나누는 가운데 예수 그리스도의 흔적을 보여주어야 한다. 다양하고 활발한 선교활동가 곧 값비싼 은혜는 아니다. 교회와 세상을 변화시키지 못하는 교회는 값싼 은혜 속에 있다. 오늘 한국교회에게 필요한 것은 한국교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값비싼 은혜를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가운데서 구해야한다. 한국교회는 값비싼 은혜가운데서 예수 그리스도의 흔적을 남기고 자기비움으로 경계를 넘어가는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해야 한다. 우리를 변화시키고 화해시키는 하나님의 선교는 한국교회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편애하시는 가난한 사람들과 약한 자들과 억압받는 자들에 이르기까지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을 나누고 치유하는 교회가 되도록 할 것이다.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의 관광기념품 구매속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관광기념품 개발 및 판매의 활성화는 관광수입 증대에 기여하는 등 관광산업발전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즉 지역 고유의 관광기념품 개발은 판매수익을 증진하고 고용을 증대하며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또한 관광기념품은 여행의 추억을 상기시킬 뿐 아니라 여행경험을 증명하는 수단이며, 사람들은 기념품을 소유함으로써 어느 정도 강한 실제감을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에 대한 관광기념품 구매속성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하여 이론적 틀을 정립한 다음,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분석을 통해 양국학생간의 구매속성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관광기념품사업자에게 관광기념품의 개발 및 판매 전략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국관광객은 한국 전체 외래 관광객의 비율 중 일본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면서 한국관광에 중요한 시장으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중국유학생은 전체 유학생의 68.91%로 매우 높은 비중을 보이며 양적부문과 성장률에서 크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국인과 외국인의 구매속성에 대한 차이를 인식하고 관광기념품을 개발할 경우 관광기념품산업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여 내·외국인간의 구매속성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시기는 2011년 2011년 05월 20일부터- 2011년 05월 29일까지 10일 동안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대표적 대학교 4곳인 광주대학교,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호남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 340명을 연구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총 340부를 배포하여 310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일부 주요항목의 누락이나 불성실한 응답처리로 통계분석에 어려움이 있는 17부를 제외한 유효한 설문지인 293부를 가지고 최종적으로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문헌연구과 현장조사방법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대상범위는 광주광역시에 있는 대학교 중 연구방향에 부합하고 대표성을 지닌 광주대학교,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호남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회수된 설문자료는 SPSS 18.0 for window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정(T-test)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기념품 구입이유와 구입하지 않은 이유에 있어서 특히 관광지의 특징을 담은 상품이 없어서와 다른 곳에서도 살 수 있어서라는 항목이 높게 나타났는데, 관광기념품은 우선적으로 소재의 다양화가 이루어 져야 한다. 유형의 소재뿐만 아니라 무형의 소재를 이용한 제품기획과 보편타당하고 특색 있는 의미부여로 천편일률적인 형태에서 진일보한 다양하고 독특한 관광기념품을 개발해야한다. 둘째, 한국대학생과 중국유학생 중 모두 개인관광의 형태가 가장 높았고, 중국유학생은 차선으로 단체관광의 비중이 높았지만 한국대학생의 경우에는 단체관광과 가족관광의 비중이 비슷하였다. 특히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 모두 관광정보원에서 인터넷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한국대학생의 경우에는 TV나 인터넷, 관광 관련 책자를 통해서 중국유학생은 인터넷, 여행사나 친구를 통해 관광정보를 얻는 것으로 확인되어 관광프로모션이나 정보제공의 원천이 되는 이곳들의 정보제공 수월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관광비용에서 한국인 학생들은 본인수입과 타인의 도움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지만 중국유학생의 경우에는 타인의 도움이 압도적으로 차지하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셋째, 관광기념품의 재 구매와 추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관광기념품의 가격 및 품질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생산업체와 판매업체에서는 다양한 소재의 개발과 함께 제품의 품질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광주·전남지역 중국 유학생들의 한국의류제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자오링링 호남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As China has gradually globalized, consumers in China have changed for culture-oriented consumption life, getting out of the propensity to materially consume. In particular, China has imported Korean popular culture such as Korean drama, K-pop, and Korean movies since the end of 1990s, which triggered the Korean wave in China, and brought out growing interest in Korean culture and society such as fashion, food, cosmetics, and hair style, together with sensational popularity in Korean pop culture such as Korean drama, K-pop, and Korean movies. China with approximately 1.3 billion people serves as a manufacturing plant of the world, which is grabbing attention from the world people for the global market. Together with rapid growth in economy, increased income and education levels, and improved standard of living, the quality of average life has risen, so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people has changed from the basic necessities of life to decent life which they can afford. Following global luxury goods and the latest fashions in Europe is not a rare case any more in China today. Such a change also has led to change in clothing consciousness of the people in China. For Chinese today, clothing is no more a fundamental need, but a symbol for personal satisfaction or individuality expression, representing their social status. Behind this, there is considerable purchasing power of Chinese students who study in South Korea. The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use and enjoy trendy Korean clothing, culture and music, and then recommend and promote them to their family and friends in China. Research on purchasing behavior of the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will enable Korea clothing industry to establish long-term strategy and strategy for its advancement to Chinese market. Thus, this research herein aims to investigate what difference the purchasing behavior can mak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argeted for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on their purchasing Korean clothing products. To achieve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obtain what difference each of the purchasing behavior can mak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region, academic background, residence period in South Korea,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and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on clothing, by classifying purchasing behavior into 5 factors (i.e. purchase motivation, information source, apparel attribute, store selection criteria, and after-purchase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intended for Chinese students attending 10 universities in Gwangju and Jeonnam areas, including Honam University, Chosun University, Gwanju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Women's University, and Nambu University in Gwangju, Sunchon National University in Sunchon, Sehan University and Mokpo National University in Mokpo, and Dongshin University in Naju. For data collection, a total of 2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from May 7, 2014 to May 18, 2014 with each 25 copies of them distributed to the universities, and the 208 copies of them were collected. Out of them. a total of 183 copies of them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data, except for 25 copies of them having inappropriate responses.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values of items 'Because of the change of seasons', 'Purchase experience in their past', 'Color', 'Quality of Product' and 'Suitability of body type (comfortable wearing sensation and size)' were the highest 3.60, 3.27, 3.85, 3.74, and 3.60, respectively for purchase motivation, information source, apparel attribute, store selection criteria, and after-purchase satisfaction. Purchasing behavior by ag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erenc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two items 'worn clothing' and 'to show financial affordabil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motivation by region, and the four item 'to show financial affordability', 'because of the change of seasons', 'to wear trendy clothing', and 'to wear clothing on holidays and birthday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motivation by academic background, mean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motivation by residence period in South Korea. Firstly, when it comes to purchase motivation, the four item 'Because of feeling the urge by seeing clothing displayed in shops', 'To wear trendy clothing', 'Because of desire to wear new product of fashion magazine' and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motivation by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The four items 'Because of feeling the urge by seeing clothing displayed in shops', 'to wear trendy clothing', 'to express my individuality with clothing' and 'because of desire to wear new product of fashion magazin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motivation by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on clothing. Secondly, when it comes to information sourc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ource by region, meanwhile the two items 'advice from sales clerk' and 'advice from friends or co-work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ource by academic backgrou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ource by resident period in South Korea. The four items 'clothing of entertainers and celebrities', 'advertisement through printing media (e.g. newspaper, fashion magazine advertisement), 'newspaper and broadcasting articles about fashion', and 'display of shops or shop window'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ource by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meanwhile one item 'clothing of entertainer or celebr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source by average monthly spending money on clothing. Thirdly, when it comes to a 중국은 점점 글로벌화가 되면서 중국 소비자들이 물질적 소비성향에서 벗어나 문화 중심적 소비의 삶을 추구하도록 변화시켰다. 특히 1990년 말 이후 중국은 한국드라마, 가요, 영화 등 대중문화를 수입하여 큰 인기를 끌어 ‘한류’가 형성 되었으며, 한류열풍으로 중국에서는 한국의 드라마, 가요, 영화 등의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선풍적인 인기와 이에 의해 촉발된 패션, 음식, 화장품, 헤어스타일 등과 함께 한국의 문화와 사회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와 함께 13억이라는 방대한 소비인구를 갖고 있는 중국은 전 세계의 제조공장으로서 또한 세계시장으로 세인들의 주목을 끌고 있다. 경제적인 급성장과 더불어 국민들의 소득 수준이 증대, 교육수준의 향상, 생활수준의 개선 등으로 평균적인 삶의 질이 높아지고 있으며 기본적인 의식주 수준에서 이제는 어느 정도의 여유를 추구할 수 있는 수준으로 소비패턴이 바뀌었다. 세계적인 명품을 구매하고 유럽 및 최신유행을 추구하는 것은 중국에서 더 이상은 과거에는 보기 드물었던 희한한 일이 아니다. 이러한 변화는 중국인들의 패션에 대한 의식에도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중국인들에게 있어서 의복은 더 이상은 의, 식, 주의 기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욕구가 아니라 개인의 만족이나 개성표현 또한 자신의 신분과 지위를 나타내기 위한 상징으로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한국에서 유학을 하고 있는 중국학생들의 구매력을 무시할 수 없다. 재한 중국유학생들은 한국의 패션, 문화, 음악 등을 직접 사용하고 중국의 가족과 친구들에게 추천하고 홍보하기도 한다. 중국 유학생들의 이런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한류의 장기적인 전략과 한국의류산업의 중국진출을 위한 전략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패션의류 제품을 구매함에 있어서의 구매행동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매행동을 구매동기, 정보원천, 의류제품 선택속성, 점포선택기준, 구매 후 만족도 등 5가지로 구분하여 연령, 지역, 학력, 한국 거주기간, 한달 평균 용돈, 한달 평균 의류구매 지출 등의 특성에 따라 각각의 구매행동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설문지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설문조사는 광주·전남지역의 10개 대학에서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0개 대학은 광주지역의 호남대학교, 조선대학교, 광주대학교, 전남대학교, 광주여자대학교, 남부대학교이고 순천지역의 순천대학교, 목포지역의 세한대학교, 목포대학교, 나주지역의 동신대학교이다. 자료의 수집은 2014년 5월 7일부터 5월 18일까지 각 대학별로 25부씩 총 250부를 배부하여 최종 208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응답내용이 불완전하거나 성실하지 않은 25부를 제외한 총 183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구매동기에 있어서는 ‘계절이 바뀌므로’ 문항의 평균값이 3.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보원천에 있어서는 ‘본인 과거의 구매경험’의 평균값이 3.27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의류상품의 선택속성에 있어서는 ‘색상’의 평균값이 3.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점포선택기준에 있어서는 ‘상품의 품질’의 평균값이 3.74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구매 후 만족도에 있어서는 ‘체형과의 적합성(편안한 착용감, 사이즈)’의 만족도 평균값이 3.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 있어 연령에 따른 구매행동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동기에 있어서의 차이를 살펴보면, 지역에 따른 구매동기의 차이에 있어서는 ‘옷이 낡아서’, ‘경제적으로 여유있게 보이기 위해서’의 두 문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따른 구매동기의 차이에 있어서는 ‘경제적으로 여유있게 보이기 위해서’, ‘계절이 바뀌므로’, ‘유행하는 옷을 입기 위하여’, ‘명절, 생일 등에 입기 위하여’의 네 문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거주기간에 따른 구매동기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달 평균 용돈에 따른 구매동기의 차이에 있어서는 ‘매장에 전시된 의복을 보고 충동을 느껴서’, ‘유행하는 옷을 입기 위하여’, ‘패션잡지의 신상품을 입고 싶어서’, ‘사교활동에 참여하기 위해서’ 의 네 문항에 대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달 평균 의류구매 지출에 따른 구매동기의 차이에 있어서는 ‘매장에 전시된 의복을 보고 충동을 느껴서’, ‘유행하는 옷을 입기 위하여’, ‘옷차림으로 나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해서’, ‘패션잡지의 신상품을 입고 싶어서’ 의 네 문항에 대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정보원천을 살펴보면, 지역에 따른 정보원천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따른 정보원천의 차이에 있어서는 ‘판매원의 조언’,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H대 사회봉사과목 수강 대학생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정진희 호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최근 사회봉사에 대한 사회적인 필요성과 요구로 인해 대학차원에서의 사회봉사활동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대학생들의 학습을 도모하는 교육활동으로 봉사학습이 폭넓은 지지를 받음으로써 대학 내 사회봉사과목을 통한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이 급증하고, 이들의 봉사활동 관리 및 활성화 방안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2004년 사회통계조사에 의하면 전체 자원봉사자의 60%이상이 6개월 이내에 봉사활동을 중도에 포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자의 중도 탈락 현상은 새로운 자원봉사자를 교육시키고 훈련시키는데 소모되는 비용과 시간을 고려할 때 사회복지기관의 업무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대상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는 등 사회 전체적으로 많은 비용 손실을 초래하여 자원봉사자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의 시급함이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봉사 과목 수강을 통해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게 되는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이 봉사활동을 지속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여, 급증하고 있는 사회봉사 과목을 통한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이 지속적으로 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봉사활동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였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개인요인(개인적 속성, 사회봉사과목 수강동기, 봉사활동 경험, 사회적 책임감 및 시민의식,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인식), 기관요인(기관의 유형, 봉사활동 내용, 봉사활동 시간, 담당자와의 관계, 기관에서의 교육), 학교요인(사회봉사과목 구성과 내용, 정책적 지원 및 관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문제에 따른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호남대학교 재학생중 지역사회봉사과목을 수강한 대학생 남·녀 1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 10.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요인 중 대입이후 봉사활동 경험과 학년, 사회적 책임감 및 시민의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봉사활동 경험이 있을수록 봉사활동을 지속하며, 사회봉사 과목을 통해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학생 수는 저학년일수록 많으나 중단하는 비율이 높고, 학년이 높아질수록 참여하는 수는 적으나 봉사활동을 지속하는 비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책임감 및 시민의식에 따라 봉사활동 지속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기관요인 중에서는 봉사활동 내용, 봉사활동 시간에 따라 봉사활동 지속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단순노력봉사나 업무보조 등 간접적인 봉사활동보다는 프로그램 진행 및 보조, 학습 및 생활지도 등 직접봉사활동을 할 경우 지속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봉사활동 시간이 3-4시간 인 경우보다 1-2시간인 경우가 봉사활동을 지속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요인은 사회봉사과목 구성 및 내용과 정책적 지원 및 관리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회봉사과목 구성 및 내용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정책적 지원 및 관리에서는 전담부서의 역할과 프로그램 개발의 적극성, 지역사회와의 연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전담부서의 역할에 따라, 프로그램 개발의 적극성에 따라, 지역사회와의 연계성에 따라 봉사활동 지속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자원봉사활동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요인 중에서는 학년과 사회적 책임감 및 시민의식이, 기관요인 에서는 봉사활동 내용, 학교요인에서는 사회봉사 교과목의 다양성이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효과적인 관리와 활성화 방안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자원봉사자 활용 기관 및 담당자의 자원봉사자에 대한 인정과 배려 둘째, 자원봉사자의 개인적 성향을 고려한 봉사활동 배치 셋째, 대학의 사회봉사 전담부서 설치 및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조직 구성 넷째, 학교교육의 활성화 및 학교차원의 적극적인 지원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들은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하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social service ac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is considered important due to the social necessity and request on social service, and service learning as a educational activity is having support for enhancing the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As th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who attend university lectures of social service is on the increase, it is necessary to draw up programs for managing and encouraging the students' servic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ocio-Statistical Survey in 2004, however, more than 60% of the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are shown to give up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in the middle of volunteering. Considering the cost and time used for educating and training new volunteers, the dropping-out of the volunteers causes enormous social cost loss including the efficiency decline in the operations of social welfare agencies and the quality deterioration in the services provided for those who need the services. Preliminary studies have shown that it is urgent to take a measure for the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to be able to continue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who attend university lectures of social service to continue their volunteer work, and find out measures by which the rapidly-increasing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can continue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For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who continue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the author divided the factors into the individual facto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motive by which the students attend the social service lecture, the experience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social responsibility and citizenship, the recognition on volunteer activity), agency factors (types of agencies, contents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hours of service activities, relations with persons in charge, training by agencies), and university factors (construction and contents of social service lectures and formal support and management).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the 146 male and females students in Honam University who took the local social service lecture were presented of questionnaire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10.0. First, as for the individual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after entering university, academical year,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citizenship. The more the students had the experience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the more they continued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Among those who were lower-year students, the number of those who did volunteer work was high but the rate of dropout was also high. Meanwhile, in higher-year students, the number of volunteers was low but the rate of continuing was high.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continuing social service activities due to social responsibility and citizenship. Second, as for the agency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inuing social service activities according to contents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and hours of service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 students tended to continue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longer when they performed direct service activities such as progressing and assisting programs or teaching and life-guiding rather than indirect service activities such as mere labor-intensive activities or office assisting. Also, those who spent one to two hours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tended to continue their volunteer work longer than those who spent three to four hours. Third, as for the university factors including construction and contents of social service lectures and formal support and manage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 in the construction and contents of social service lecture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in the role of agencies in charge, the positiveness of developing programs, and the connection with communities in the formal support and managem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students' continuing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showed differences due to the role of agencies in charge, the positiveness of developing programs, and the connection with communities. Fourth, according to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ademical year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citizenship in the individual factors, contents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in the agency factors, and curriculum diversity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were variables affecting the students' continuing their social service activiti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uthor presents proposals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encouragement of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as follows: (1) the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the social welfare agencies and persons in charge on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2) the arrangement of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in social service activities according to individual inclinations, (3) the establishment of social service department and the positioning of experts in universities, and (4) Promo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nd active support of university author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for promoting volunteer work of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for developing translation textbooks for lectures at universities in Vietnam in order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kills of Vietnamese learner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in Vietnamese universities and already published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extbooks, and also analyzed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for teachers, learners, and related workers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t universities in Vietnam. In addition, it identified the point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in the university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currently used in Vietnam, and suggested development plans for lectur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that respond based on the needs of teachers, learners, translators, and practitioners. In order to develop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for learners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Vietna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ctual situation of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in the field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nslatio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fully understand the needs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 teachers and learners in Vietnam and the work situation and role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ers and translation workers. In this article, we would like to address the following topics. First, the component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kills,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and the principles of development of 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extbooks are identified. Second, the actual situation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universities in Vietnam is analyzed. The educational reality to be analyzed includes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and used textbooks, and based on the actual situation analysi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xisting 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extbooks were distinguished. Third, a demand survey was conducted at universities in Vietnam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textbooks suitable for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other words, it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level of awareness, satisfaction, and demand for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nd teachers in charge of the subject.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what Korean language is necessary for job performance, the job contents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ers and translation workers were investigated, and the needs of current Korean-Vietnamese interpreters and translation worker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Fourth, based on the previous basic research, the goal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t four-year universities in Vietnam was finally set, the curriculum and syllabus were desig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were comprehensively developed. Considering this, a corresponding textbook development plan was proposed. This study wa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conducted overseas, especially in Vietnam, rather tha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in Korea. Based on the scope and contents of the above research,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were clarified, a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In addition, research contents,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were identified. In Chapter 2,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inciple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were explored from the content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Chapter 3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Vietnam, and in particular, analyzed the aspects of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textbooks published in Vietnam. After selecting and analyzing representative textbooks among them, problems that exist in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were presented, and then applied to the textbook composition plan. In Chapter 4, based on the analysis of existing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textbooks were developed by Korean learners (132 people), teachers (30 people), and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workers (66 people). Through the demand for textbooks, the perception, satisfaction, and demand for textbooks used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at four-year universities in Vietnam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reflected in the textbook development plan.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instructors in charge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to have a practical perspective on Korea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and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in Vietnam. In Chapter 5,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needs of learners, teachers, and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in Chapter 4,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for developing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were presented, and the Korean-Vietnamese translation textbooks used in universities in Vietnam were presented in detail. In addition, by presenting the actual unit composition based on the curriculum and syllabus, an appropriate method of composition of Korean-Vietnam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was also presented. Finally, in Chapter 6, the contents discussed above were summarized and organized, and the shortcomings in the development of logic,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tasks were reviewed.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통번역 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베트남 내 대학 강의용 통번역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베트남 대학의 통번역 교육 현황과 이미 출판된 통번역 교재를 분석하고 베트남 내 대학교의 한국어학과 교원과 학습자, 관련 종사자에게 통번역 교재 개발에 대한 요구 조사도 분석하였다. 아울러 현재 베트남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학용 통번역 교재에서 보완되어야 할 사항을 파악하고 교원, 학습자, 통번역, 종사자의 요구를 토대로 대응하는 강의용 통번역 교재의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베트남 내 한국어학과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통번역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실제 통번역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통번역 실태를 파악해야 한다. 또한 한국어 통번역 교육의 특성을 고려하여 베트남 내 한국어학과 교사와 학습자의 요구 및 한·베 통번역 종사자의 업무 상황과 역할에 대해서도 충분한 파악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첫째, 통번역 능력의 구성 요소, 통번역 교육, 그리고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개발 원리를 파악한다. 둘째, 베트남 내 대학교의 한국어학과의 한·베 통번역 교육 실태를 분석한다. 분석할 교육 실태에는 교육목표, 교육과정, 사용교재를 포함하며 실태 분석을 바탕으로 기존의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장단점을 구별하였다. 셋째, 베트남 내 대학교에서 한국어학과 학습자에게 적합한 한국어 통번역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즉 학습의 주체인 한국어학과 학습자와 해당 과목 담당 교사가 현재 수행 중인 한·베 통번역 교육에 대한 인식도와 만족도 및 요구도를 조사 및 분석하는 것이다. 아울러 직무 수행에 필요한 한국어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한·베 통번역과 관련된 종사자의 업무 내용을 알아보고, 현직 한·베 통번역 종사자의 요구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넷째, 앞선 기초 조사를 바탕으로 마지막에는 베트남 내 4년제 대학교에서 한국어학과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통번역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여,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을 설계하고 한국어 통번역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응하는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이 아니라, 해외, 특히 베트남에서 실행되는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시각에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연구 범위와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 절차를 규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통번역 교육의 내용부터 통번역 원리를 탐구하였다. 제3장에서는 베트남 내 대학의 한국어 통번역 교육 현황을 살펴봤는데, 특히 베트남에서 출판된 한·베 통번역 교재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중 대표적인 교재를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한 후, 한국어 통번역 교육에 존재하는 문제를 제시한 다음, 이를 교재 구성 방안에 적용하였다. 제4장에서는 기존의 한·베 통번역 교재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한국어 통번역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 한국어 학습자(132명), 교사(30명), 통번역 종사자들(66명)의 한국어 통번역 교재에 대한 요구를 통해 베트남 4년제 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요구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한 결과를 교재 개발 방안에 반영하였다. 아울러 베트남에서 한국어 통번역 교육 및 통번역 교재에 대한 현장의 실제적인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통번역 수업 담당 교수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도 진행하였다. 제5장에서는 제4장의 학습자, 교사 및 통번역 종사자들의 요구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한국어 통번역 교재 개발 원리 및 방향을 제시하고 베트남 내 대학교에서 사용 중인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예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을 바탕으로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적절한 구성 방식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앞에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앞으로의 과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의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This study is based on fundamental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the documents collected by the on-the-spot questionnaire survey. The investigation is applied to thos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such as Gwangju University, Chonnam University, Chosun Univeristy and Honam University. The collected questionnaire survey data is analyzed by use of SPSS/PC+for window 18.0 statistical program. Understanding the characters of tourists in choosing travel destination will be helpful for those destinations to develop or build corresponding policy in order to cater to consumers. It is also fruitful for tourism market: finding out the consuming tendency and making the tour plan with consumers focus will promote consumption.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nsuming psychology of young people and student tourists and to distinguish them from ordinary consumers and tourists. With the increase of tourists from college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take some measures to understand and handle their consuming psychology and potential demand.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percentage of choosing individual travel is largest both for Korean students and for Chinese students. The second choice for Chinese students is traveling with a group, while Korean students prefer to travel with a group or with family. About lodging, Chinese students generally choose hotel or motel, while Korean students prefer to stay at the pension. Different from the package tour organized by universities for on-the-spot investigation, students always travel individually during the holidays. The choice to lodging shows the national difference to some extent. Chinese students select hotel or motel which can be known easily, while Korean students like choosing pension. However, Chinese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have characters in common as students. The majority choose cheap apartments or Youth hotels. Accordingly, considering the requirements from students, more information about condominium or pension with cheap rent should be provided instead of expensive advanced hotel. The study shows that the Korean students prefer to travel with family, and the probability of private use of car for traveling is high. On the other hand, Chinese students mainly choose public transportation to travel. Based on above mentioned investig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ome service being aimed at foreigners, such as city tour bus and transportation guide. Additionally, internet is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source for both students. In general, Korean students receive travel information from TV, internet or tourist guide, whereas Chinese students get internet, travel agency or their friends. For Korean students, the most of travel costs comes from their own income or partially from other’s support. However, for Chinese students those costs almost come from their family’s support. Aimed at Chinese students, some tour with Korean features may be developed and be used to increase Chinese students’ initiative of traveling.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oice difference to travel destin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Some planning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results. Some markets plan can be designed and some preferred tourism destinations can be developed. To attract more tourists from foreigner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provides a good way to balance the deficit of tourism income, which is induced by the increasing oversea travel of Korean people. Also it will help to activate the tourism market from Chinese students. In summary, this study highlights three issues as follows: Firstly. the residential range of objects involved in this study is limited. Thu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investigation in whole Korea for further analysis; Secondly, it should have more realistic value to use analysis on mental level, which based on investigation with deep-talking or interview focusing on special group; Finally. it is required to collect data through Systematic random sampling and simultaneously Longitudinal study, which can generalize this study`s results and achieve accurate conclusion. 본 연구는 기존의 문헌연구과 현장조사방법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대상범위는 광주광역시에 있는 대학교 중 연구방향에 부합하고 대표성을 지닌 광주대학교,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호남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회수된 설문자료는 SPSS 18.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관광객의 관광 목적지 선정 행동을 이해하는 것은 관광지적 관점에서는 관광 목적지를 소비자의 경향으로의 계획개발이나 정책을 수행 하는데 도움이 되고, 마케팅적 관점에서는 소비자의 경향을 파악함으로 소비자 중심적 관광매력 계획을 수립하고 소비촉진을 돕는데 중요하다. 특히 청소년 및 학생관광객의 선택속성을 이해하는 것은 일반 관광자와 다른 특성을 갖고 날로 늘어나는 한국 국내의 대학생 관광수요와 중국 유학생 관광객의 관광 선택 속성을 이해함으로 잠재수요에 대비한 개발적, 마케팅적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특성은 한국대학생과 중국유학생 중 모두 개인관광의 형태가 가장 높았고, 중국유학생은 차선으로 단체관광의 비중이 높았지만 한국대학생의 경우에는 단체관광과 가족관광의 비중이 비슷하였다. 또한 숙박시설은 중국유학생의 경우에는 호텔이나 모텔 등을 주로 이용하였지만 한국대학생의 경우에는 펜션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는 학생들의 관광이 학기 중에 학교가 주관하는 답사나 시찰 등의 단체여행 보다는 대부분 방학기간을 이용해 개인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숙박시설도 중국유학생들은 호텔이나 모텔처럼 비교적 쉬운 선택 숙박서설을 이용하였지만 한국대학생은 주로 펜션을 이용한다는 이야기로 국적에 따라 숙박시설의 이용형태는 달랐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 모두 학생신분에 어울리는 저렴한 콘도나 민박, 유스호스텔, 민박 등의 시설이 제대로 학생들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여건이 못 됨을 보여주고 있는 내용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생관광은 방학시즌의 수요를 감안하고 비싸고 럭셔리한 고급 호텔보다는 민박, 콘도나 기타 저렴한 관광 숙박시설의 정보제공 등의 필요성이 강조 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연구 결과는 한국대학생은 가족과 같이하는 경향이어서 자가용 등의 교통편을 이용하고 중국유학생은 버스를 주로 이용하고 있는 점에서 외국인을 위한 버스 노선, 안내 기타 유사 교통편의 정보 제공이 필요해 보인다. 특히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 모두 관광정보원에서 인터넷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한국대학생의 경우에는 tv나 인터넷, 관광 관련 책자를 통해서 중국유학생은 인터넷, 여행사나 친구를 통해 관광정보를 얻는 것으로 확인되어 관광프로모션이나 정보제공의 원천이 되는 이곳들의 정보제공 수월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관광비용에서 한국인 학생들은 본인수입과 타인의 도움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지만 중국유학생의 경우에는 타인의 도움이 압도적으로 차지하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이는 중국유학생에게 보다 많은 한국적인 관광매력을 통해 관광동기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를 수 있는 한국대학생과 중국유학생간의 관광 목적지 선택 속성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그 도출 된 결론 들은 학생선호 관광지를 개발하고 마케팅계획을 수립함으로 한국인 해외관광객 증가의 경향으로 심해지고 있는 관광수지적자를 해외 학생관광객의 국내 유도는 물론 국내에 거주하는 중국유학생을 국내관광에 유도함으로 관광수지적자를 해소하고 중국유학생들의 국내관광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수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는 첫째, 본 연구의 대상보다 한국 전국적으로 대학교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분석해야 할 것이다. 둘째, 심층 면접이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한 정신적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병행하는 것이 실질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 셋째, 종단적(Longitudinal study)연구를 통하여 연구의 일반화를 위한 노력이 수행되어야 하며, 체계적인 표집(Systematic randomsampling)을 통하여 자료 수집을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남농 허건’의 호남화단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대한민국 남농미술대전’ 수상자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전통 그림의 근대적 변화에 있어서 호남지방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남화(또는, 남종화)의 계승· 발전은 너무나 잘 알려진 역사적 사실이 되었다. 조선조 말기의 남화의 대가였던 소치 허련(小痴 許鍊, 1808~1893)의 진도를 온상으로 광주와 목포에 각각 자리 잡은 의재 허백련(毅齋 許白鍊,1891~1977)과 남농 허건(南農 許楗,1908~1987)이 발전시킨 남화의 화맥(畵脈)이 바로 그것이다. 호남지방이 우리나라 회화사에서 ‘예향(藝鄕)’으로 독특한 위상을 가진 것은 조선시대 말기부터이다. 진도 출신의 직업적 화가인 소치 허련은 19세기 서화 문화의 흐름에 큰 역할을 하여 독특한 화맥을 형성하였고, 목포 최초의 화가인 미산 허형 과 목포미술의 꽃을 피운 남농 허건은 목포 미술 발전의 토대를 구축했다. 오늘날 남농 허건에게 허련· 허형 의 후광이 크다고 말하지만, 그건 정신적 자산 일뿐 어릴적부터 극빈한 가정에서 역경을 딛고 일어난 자수성가 적 인물이다. 1907년 미산 허형의 4남으로 태어난 남농은 아버지와 목포로 이사 온 이후 80세로 타계할 때까지 60년을 목포에서 생활하였다. 작가적 입장에서 볼 때 지방에만 거주한 불리한 여건과 목포 인근의 빈약한 경제권에서 그림의 수요층이 이라 할 만한 후원자가 없었지만 호남의 남화가 주목받기 시작하자 지방의 애호가들이 그의 그림을 사들이면서 대중들에게 넓게 수용되며 허건을 정점으로 목포에도 그림 매매의 경기가 형성 된 것이다. 이점은 목포미술발전 과 함께 한 산 증인이자, 목포예술계의 상징이다. 허건은 1946년 남화연구원(南畵硏究院)을 만들어 아산 조방원, 도촌 신영복, 청당 김명제, 백포 곽남배, 우남 이옥성, 임전 허문, 전정 박항환, 임농 하철경, 포전 손기종, 지원 박제현, 청남 이원조, 도전 주행복, 춘수 정선심, 율산 주지환, 농산 조은, 임곡 박정수, 동원 허은, 소농 조남윤, 허청기 등 후학을 양성하며 서양화는 일본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젊은이들의 후원을 하며 창작활동에 힘쓰게 하고 같은해 목포미술원(木浦美術院)과 녹영회(綠影會)를 결성해 서양화를 대중에게 널리 알리기 시작하였다. 남농 허건은 초대부터 목포예총지부장을 9년이나 지냈고, 수석 수집을 즐기는 ‘목포난석회’ 회장을 3대째 맡아 목포시에 2천여 점의 수석을 기증 하는 등 목포문화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남농미술대전’은 남농 허건의 예술정신을 기리기 위해 그의 제자 임농 하철경(현: 한국예총회장 ·호남대학교 예술대 미술학과 교수)이 2004년 제 20대 한국미술협회 이사장으로 재직 시 설립하여 오늘에 이르며 전국의 많은 미술인들이 참여하여 해를 거듭할수록 뛰어난 기량의 장이 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미술공모전 600여 개 중 ‘대한민국미술대전’, ‘남농미술대전’, ‘단원미술대전’ 의 3대 공모전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예로부터 남도 예술이 살아 숨쉬고 목포에서 남농 허건 선생의 숭고한 예술정신을 기리는 대회야 말로 미술인들의 축제의 장이되고 신진 작가들의 등용문이 되고 있다고 본다. It was a well known historic truth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Namhwa (or Namjonghwa) formed mainly in Honam region about the modern transition of traditional picture. The picture legacy of Namwha developed by Euijae Heo Baekryun and Nam-nong Heo Geon located in Gwangju and Mokpo individually and Sochi Heo Ryun located in Jindo which was the hot bed and who was the master of the Namwha in the end of Chosun Dynasty. It was from the end of Chosun Dynasty that Honam region had a special phase as the city of culture and arts in the korean history of picture. Sochi Heo Ryun born in Jindo was a professional painter, who made a specific picture legacy in 19th trend of picture culture and Misan Heo Hyoung who was the first painter in Mokpo and Nam-nong Heo Geon who bloomed the art of Mokpo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development of Mokpo arts. Currently, it was told that Nam-nong Heo Geon received the Halo effect of Hur Ryun and Hur Hyoung but that was mainly applied for the spiritual assets. He was born in the poor family but recovered the difficulties and finally made his own fortune. Nam-nong was born as a 4th son of Misan Heo Hyoung in 1907 and lived for 60 years till his death as 80 years old in Mokpo after moving to Mokpo.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rtist, Nam had no choice but to regard his paintings as an unfavorable situation in the countryside, but as the Honam region began to appreciate the paintings of the Honam region, the local residents of Honam region, surrounded by paintings of the Honam region, began to appreciate the popularity of the painting, and the popularity of the painting was raised to the public. Benefits are a testament to Mokpo's artistic development, and a symbol of the Mokpo art scene. Heo Geon established the ‘Namhwa Research’ Institute in 1946 to develop traditional arts, teaching paintings to Asan ChoBangwon, Dochon Shin Yeongbok, Cheongdang KimMyeongje, Baekpo GwakNambae, Woonam Leeokseong ,LymJeon HeoMun, JeonJeong BakHanghwan, LymNong HaCheolgyeong, PoJeon SonGijong, JiWon ParkJehyeon, Cheongnam LeeWonjo, DoJeon JuHaengbok, ChunSu JeongSeonsim, Youlsan JuJihwan, Nongsan Choeun, LimGok ParkJeongsu, DongWon HeoEun, SoNong ChoNamyun, HeoCheonggi et train you, helping young artists come back from stududying abroad, and establishing ‘MokPomisulwon’, ‘Nokyounghoe’. Nam-nong Heogeon donates 2,000 ornamental stones to Mokpo City and an important mission to mokpo art, which has 9 important ‘mokpoyechong’ branch managers and 3 ‘mokponansekhoe’ president. 'Korea Nam-nong Art Exhibition' was established in 2004 by the disciple Ha Cheolgyeong for the artistic spirit and it is an excellent competition where many artists can compete. 'Korea Namnong Art Exhibition' Among the 600 art contests in Korea, 'Korean Art Competition', 'Minnyon Art Competition' and 'Danwon Art Competition' became big contests It seemed to be a festival of artist and gateway of new painter the contest which honor the precious art spirit of Nam-nong Heo Geon in the Mokpo where the art of Namdo is alive and breathing from the past.
사회봉사활동이 대학생의 의식구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자아존중감,도덕성,사회복지의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사회봉사활동이 대학생의 의식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이다. 대학의 기능인 교수, 연구, 사회봉사의 기능 중 그 동안 사회봉사 활동이 저조한 실정이었다. 이에 사회봉사활동을 통한 대학생의 의식구조를 파악하여 봉사활동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효과성을 규명하여 대학 사회봉사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사회봉사활동 참여유무에 따라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도덕성, 사회복지의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사회봉사활동 참여자 중 봉사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 요인과 기관 특성 요인은 무엇인가? 3. 봉사활동 참여자 중 개인적 특성, 기관 특성, 만족도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자아존중감, 도덕성(이타성, 사회적 책임성), 사회복지의식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로는 개인적 특성요인으로 성, 학년, 종교, 주관적 계층을 설정하였고, 기관특성으로 희망기관 배정여부, 교육여부, 교육의 도움정도, 업무량의 적절성, 지도감독 정도, 소모임 지원정도, 기관의 협조정도, 보상유무, 만족도를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서베이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광주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호남대학교 재학생 중 1학년을 중심으로 6개 단과별로 600명을 조사하여 회수된 588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여 빈도분석 및 T-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과 경험이 없는 대학생간의 자아존중감, 도덕성, 사회복지의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학생이 도덕성에서 높은 점수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아존중감과 사회복지의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봉사활동 참여 경험은 도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봉사활동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 요인과 기관 특성 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한 결과 개인적 특성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관 특성 중 소모임에 대한 지원, 지도감독 정도, 업무량의 적절성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봉사활동이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조사에서 개인적 특성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관 특성 요인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요인은 봉사활동 태도, 기관의 협조 정도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며 봉사활동 기관의 협조정도와 참여기간이 사회봉사자의 도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복지 의식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만족도가 사회봉사활동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사회봉사활동 만족도는 자아존중감과 도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봉사활동에 만족할수록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봉사활동 만족도가 효과성 결정에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대학생 사회봉사자들의 봉사활동 참여가 도덕성에 영향을 미치고, 봉사활동 기관 특성이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봉사활동에 만족할수록 효과성도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기관에서는 봉사자를 위한 교육, 소모임 지원, 능력에 맞는 업무배치, 지도감독 및 평가 등 자원봉사자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al vlountary activity on the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Universities are functionally constituted by teaching, researching and social service, but social service has not been done properly so far. By grasping the way college students looked at things, it's intended to stress the need for social voluntary service and make a contribution to vitalizing social service by universities. For the purpose, three research questions are posed: 1. How are the self-esteem, morality and social welfare ideology awareness of college students affected by their social service experience? 2. What are the person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that have an influence on service satisfaction? 3. What is the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service satisfaction based on the effectiveness of service?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self-esteem, morality(altruism and social obligation) and social welfare ideology are select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ed them are pers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school year, religion and socio-economic clas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whether to be posted in a specific institute one hopes for, whether of service education, the degree of being helped by service education, workload appropriateness, supervision, institutional support for small group meeting, the extent of being assisted by institution, whether of rewards and satisfaction. Data for analysis are collected 600 students at Honam University In order to examine research guestions, t-test and regression are employed.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if there was any gap in self-esteem, morality and social welfare Ideology between the university students who had ever experienced social voluntary activity and who hadn't, the former group scored higher in moral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ignifican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in self-esteem and social welfare Ideology. Therefore, service experience exercised an influence on morality.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whether those who had been involved in social voluntary activity were affected in service satisfaction by the personal or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didn't give an impact, but their satisfaction was under the influence of institutional support for small meeting, supervision and workload appropriateness, which were all part of the institution characteristics. Third, the social service effectiveness wasn't affected by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but influenced by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service attitude and the extent of being cooperated by institution exercised an influence on self-esteem, and the extent of being cooperated by institution and service term had an impact on morality. But social welfare ideology wasn't affected.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act of service satisfaction on service effectiveness, service satisfaction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esteem and morality. The higher service satisfaction led to better service effectiveness, and social service satisfaction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crucial factors to determine service effectiveness. In conclusion, social voluntary service in the university students gave an impact of their morality, and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made a contribution to raising their satisfaction. And when they were more contented with service, the service effectiveness became greater. Therefore, social voluntary service institutions need to offer voluntary service education, give aid for small meetings, assign workload according to volunteer ability, and ensure proper supervision and evaluation so that volunteers could be managed in a more organized and systematic manner.
레널즈(W. D. Reynolds)가 한국장로교 선교상황의 발전과 변화에 끼친 영향 연구
본 연구는 미국 남장로회 선교사 레널즈(William Davis Reynolds Jr. 李訥瑞)의 한국선교 활동을 살피고 그의 선교활동의 의의를 새롭게 조명하려는 데 있다. 레널즈는 1867년 미국 버지니아 주(州)에서 출생하여 1892년 미국 남장로교회 선교부의 파송으로 내한한 선교사이다. 그는 1937년 은퇴하기까지 한국선교를 위해 생을 불태웠으며, 1951년 미국에서 별세했다. 레널즈는 전통적인 장로교 가정에서 엄격하고 보수적인 신앙훈련을 받고 자라났다. 어려서부터 어학에 탁월한 재능을 인정받았으며 그의 이러한 재능은 한국 선교에서 성서번역이라는 특별한 사역을 감당하는데 매우 유익하게 활용되었다. 햄든 시드니(Hampden Sydney) 대학에서 문학사를 취득한 레널즈는 운동선수로도 활약할 만큼 적극적인 성격의 소유자였으며, 학업성적도 매우 우수하여 전체 수석으로 졸업했다. 유니온 신학교(Union Theological Seminary in Virginia)를 졸업한 레널즈는 볼링(Pasty Bolling)과 결혼했다. 신학생이던 레널즈는 학생선교대회(Inter-Seminary Alliance for Foreign Missions)에 참석하여 언더우드와 윤치호의 연설에 감명을 받고 한국선교를 결심하게 되었다. 한국에 내한한 그는 뛰어난 어학실력을 활용하여 성서번역사업에 헌신 했으며, 언더우드와의 관계를 통해 한국의 장로교회 설립과 선교의 일치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레널즈는 호남지역 교회를 설립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친 훌륭한 전도자였다. 미 남장로교회의 파송으로 한국에 온 선교사들은 선교사공의회의 결정에 의해 남장로교 선교구역인 호남지역 선교를 1893년부터 본격화했다. 레널즈는 호남 전 지역을 답사하며 효과적인 전도의 방법들을 모색하였다. 그는 답사의 결과를 토대로 호남지역에 선교지부를 설치하였으며 전주에서 사역하였으나 성서번역과 평양장로회신학교의 강의를 위해 일 년에 몇 차례 씩 먼 여행을 해야 만 했다. 목포에서 사역하기도 했던 그는 호남지역 교회에서 첫 세례를 베풀었으며, 평양장로회신학교 전임교수로 평양으로 이주하기까지 그는 전주를 비롯하여 호남지역 선교를 위해 헌신하였다. 레널즈는 한국 장로교 설립의 공헌자이다. 내한 이듬해에 장로교 선교사공의회 의장으로 선교지 분할을 위한 예양협정(Comity Agreements)과 네비우스 선교정책을 구체화하는 일의 중심에 서게 된다. 그리고 그는 이 두 가지 정책을 평생토록 실천하기 위해 애썼다. 그리고 그는 공의회 활동을 통해 하나의 장로교회 설립에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만일 그의 뜻대로 한국에 하나의 장로교가 세워졌다면, 한국의 장로교회는 토착화 된 민족교회로서 당시 일제의 침략 하에서는 물론이고 오늘날 사회 각층의 갈등과 교파분열의 부작용들을 상당부분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레널즈는 마지막 독노회장(獨老會長)으로 창립총회의 사회를 맡아 1912년 ‘조선 예수교장로회 총회’의 탄생에 크게 공헌하였다. 그는 미국 남장로교회 한국 선교사들과 호남지역 교회를 대표했으면 적극적인 연합주의자였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그가 탁월한 성서번역가라는 것이다. 1895년부터 성서번역에 참여한 레널즈는 1900년 첫 신약성서, 1906년 개정판 신약과 1910년의 구약번역에 이르기까지 번역작업을 계속하였다. 이후 1937년 개역성서가 완성되기까지 최고의 한글성서 번역가였던 레널즈는 힘든 성서 번역작업을 멈추지 않았다. 그가 한국에서 활동했던 거의 모든 시기에 성서번역에 참여했으며, 번역에 참여했던 31명의 외국인 번역자 중에서 가장 오랜 기간 동안 활동했다. (1895년-1938년) 미국성서공회 한국 지부 총무였던 밀러(H. Miller)는 그를 ‘최고의 한국어 실력의 소유자이며, 구약의 예레미아(Jeremiah)를 제외하면 모든 성서의 번역이 그의 작품’이란 말을 주저하지 않았다. 그는 성서번역 외에도 성경사전과 신학교재 등을 번역하였다. 레널즈는 장로회신학교의 기초를 닦은 전문 교육자였다. 평양에 장로회신학교가 처음 설립될 때부터 미 남장교회 대표로써 관련을 맺은 그는 5명의 정교수를 확정한 1916년에는 조직신학 교수로 참여하였다. 그는 은퇴하기까지 교수로 재직했으며, 학술지인 신학지남의 편집인을 1918년부터 1937년까지 계속 맡아서 초기 장로회신학교의 신학교육의 큰 부분을 담당했다. 그가 선교 초기에 발표한 신학교육 이념은 장로회신학교의 교육이념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그가 제시한 교육원칙이 비록 후대의 거센 비판에 직면하기도 하지만, 당시 신생 한국교회에 나름대로 가치 있는 설정이었음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처럼 한국 개신교 초기 선교에 지대한 업적을 남긴 훌륭한 선교사 레널즈의 진면목을 역사적 사실과 증거들을 통하여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의 뛰어난 업적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별로 주목받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음을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레널즈의 한국선교활동에 대한 정당한 평가는 사료 발굴 및 연구를 통해서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