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태권도선수의 운동상해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김정대 동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태권도 선수의 훈련과정과 경기 중에 발생하는 운동상해에 대한 각종 상해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통한 대처방안을 강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성별과 학년및 기타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 태권도선 수의 운동상해 실태 즉, 운동상해 부위, 운동상해 형태, 운동상해 발생 시기, 운동상해 원인 등으로 나누어 각각 분석하였다. 결국, 이 연구는 태권도 선수의 상해 예방은 물론 태권도 훈련 시와 운동 상해시 사후 조치를 위한 대처전략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태권도의 경기력 향상을 도모하는데 요구되는 전략 적 자료로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동양적성상담 이론에 의한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상담에 관한 연구 : 성향의 관점에서

        홍덕건 영산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ough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have difficulties deciding their future career regarding SAT(Scholastic Aptitude Test), they have been scarcely offered systematic career education and practical opportunities for career coaching. Therefore, it is urgent to provide adequate career counseling for them.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has a great and practical effect on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this study aims to apply this counseling to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discover results from a series of experiments, and find available ways which teachers and parents can use in advising with students and offsprings about their future care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I first revealed the theory of Personal Characters of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which Professor Sim Gwi-Deuk has got in the result of more than 30 years' clinical study. Then I applied the theory to the counseling for 85 volunteers out of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low academic achievement (by less 50%) in their school locating in Busan. Finally I measured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e counseling through questionnaires.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means find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personal characters toward individual development, figuring out causes of inner and outer conflicts, and dealing with them, in view of features of personal characters by individual natural energy and 'balance' by the Theory of 'Shijoong(timely balance)' of 'Jooyuk'.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is distinguished from established counseling on these two points; how to understand and diagnose personal characters as follows. First, judging from the point of different view in understanding personality, previous coaching focuses on acquired characters by environmental effect;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on innate ones by natural energy at birth. Second, existing counseling uses questionnaires and diagnoses the characters in the form of self-report;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refers to subjects' information of natural energy and identifies personality.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how to apply 'personality' to actual coaching, established counseling classifies it;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individualizes it thoroughly. Precedent researches on career exploration by the Theory of Four Pillars generally proved the similarities between Four Pillars and learning or occupation. However, they showed only how to utilize Four Pillars related to learning or as available counseling data to choose future career. Unfortunately, there was no study practically involved to real counseling. In order to demonstrate examples of the Four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I presented to applicants counseling cards (Appendix 1) and individually advised with them about academic improvement and vocational choice. The process ran as follows. For academic improvement, I recognized the subjects' personalty based on the component table of natural energy, let them recognize their academic obstacles by spitting out the reasons they have trouble in their academy, motivated them to keep learning by associating positive characters for their development with negative ones according to strength and weakness of natural energy, and guided them to control the negative ones. For vocational choice, to begin with, I made the participants say their favorable future career, boosted some in concord with their aptitude to have self-confidence, and allowed others in discord to look for other occupations. Also, I offered personalty tips to compensate for the gap of discord to some students who are already in the middle of preparing for their future dream. I guided others indecisive about choosing one career of plural options to stick to their own aptitude excluding outside conditions like parents' opinions or social standing of the professions. These are the results(Appendix 3) from analyzing the survey (Appendix 2) of the subjects' satisfaction with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With academic counseling, subjects came to see their personal characters objectively, found out what disrupts their learning exactly, and were content with the achievement of ways to deal with the trouble. With vocational coaching, they became aware of their aptitude and proper career, encouraged to set and seek their own learning goal by the more specific future plan, and very pleased with the counseling itself. The advantages of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as academic and career coaching were disclosed by the counseling experience and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 1. The counseling is effective for identifying counselees' personality and aptitude. 2. It possibly shows them directions to help overcome their strife for themselves. 3. It can handle with counslees' conflicts by wholly integrated approaches. 4. It has wide application to internal struggles to external problems about friendship or school life. Thanks to its virtues mentioned above, the Counseling seems to benefit not only students but also general people. Hopefully this study will play a role as a counseling model and reference for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open up a new field in career coaching,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activating desirable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by re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traditional ones.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대학입시와 관련하여 진로 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진로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진로상담의 기회도 적은 실정이므로 그에 대한 상담이 절실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양적성상담이 진로상담에 실용적 효과가 클 것으로 보고 이를 실제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상담에 적용하고 임상 실험 내용을 밝혀서, 교사나 학부모가 학생이나 자녀의 진로상담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심귀득 교수의 30여 년간의 연구와 임상의 결과인 동양적성상담의 성향 이론을 밝히고 이를, 부산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중에서 학업성취도가 낮은 쪽의 학생(50% 이상) 중 희망자 85명을 대상으로 상담의 실제에 적용한 다음, 설문조사를 통하여 동양적성상담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동양적성상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기존 상담과의 비교 고찰을 해 보았고 사주와 학습, 사주와 직업과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동양적성상담이란, 개인의 자연에너지에 따른 성향의 특징과 주역의 시중(時中) 이론에 의한 ‘균형’의 관점에서 자신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성향과 자신의 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성향을 알아서 내적 갈등이나 외적갈등의 원인을 찾아 조절하고 대처하도록 하는 상담을 말한다. 동양적성상담과 기존 상담과의 차이점을 인간의 ‘성격’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와 어떻게 진단하느냐의 두 가지로 살펴보았다. 첫째, ‘성격’의 이해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살펴보면 기존의 상담은 타고난 성격보다 환경의 영향으로 형성된 후천적인 성격을 중시하는데 비해 동양적성상담은 태어날 때의 자연에너지에 의한 선천적 성격을 중시한다. 둘째, 기존의 상담에서는 주로 검사지를 이용하여 자기보고식으로 진단하고 동양적성상담에서는 피상담자의 자연에너지 정보를 이용하여 진단한다. 그 외 ‘성격’을 실제 상담에 어떻게 적용하느냐의 문제도 있는데, 기존의 상담은 성격을 유형화하여 적용하고 동양적성상담은 철저히 개별적으로 본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사주 이론에 의한 진로에 대한 선행 연구는 대체로 사주와 학습, 사주와 직업과의 유관성을 증명하는 연구로서, 사주의 학습과 관련한 활용도와 직업 선택을 위한 상담 자료로서의 가능성을 보이는 것이었고 이를 구체적으로 상담에 적용한 연구는 없었다. 동양적성상담의 실제를 보여주기 위해 대상 학생들에 대하여 <부록1>의 상담카드를 만들어 학력 향상과 직업 선택에 대해 개별상담을 실시하였는데 상담의 방법과 과정은 대략 다음과 같이 하였다. 학력 향상에 대한 상담 : 학생들의 자연에너지 구성표에 의해 성격을 진단하고 공부 안 되게 하는 이유를 말하게 하여 스스로 인식하게 하고, 에너지의 강약에 따라 자신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성향과 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성향을 결부시켜 그에 따라 학습동기를 부여하고 공부 안 되게 하는 성향을 조절하도록 길안내를 한다. 직업 선택에 대한 상담 : 먼저 학생들에게 희망 직업을 알아본 다음, 적성에 맞는지의 여부를 살펴보고 적성에 맞으면 잘 할 수 있다고 격려하며, 맞지 않으면 다른 희망 직업을 말하게 하여 그 중에서 적성에 맞는 직업을 찾아본다. 이미 진로를 정해서 준비를 하고 있는데(예체능 쪽) 적성과 거리가 있으면 성향상의 보완점을 말해준다. 여러 개 중 선택을 해야 하는 경우는 부모의 의견이나 그 직업의 사회적 위상 등의 외적 조건을 배제하고 자신이 진정으로 하고 싶은 직업을 선택하도록 한다. 동양적성상담의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부록2>를 분석한 결과<부록3>, 학습상담의 경우에는, 자신의 성향을 객관적으로 보게 되었고, 왜 공부가 안 되는지 이유를 바로 알게 되었으며 또한 그 대처법을 알게 되어 좋았다는 반응이었고. 진로상담의 경우는, 자신의 적성을 잘 알게 되었으며 그에 맞는 진로를 알게 되었고 아울러 진로를 결정하게 되니 목표 의식을 가지게 되어 학습 의욕이 생겼다는 반응으로 상담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았다. 동양적성상담 이론을 실제 진로상담에 적용해 본 경험과 상담의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서 동양적성상담이 진로상담으로서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첫째, 피상담자의 성격과 적성의 정확한 진단에 효과적이다. 둘째, 문제나 갈등에 대해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나 방향을 제시 할 수 있다. 셋째, 피상담자가 가지고 있는 여러 문제나 갈등에 대해 종합적인 상담이 가능하다. 넷째, 상담의 적용의 범위가 넓다. - 내적 갈등에 대한 상담, 교우간의 갈등 상담, 학교생활 상담 등 동양적성상담은 정확한 진단과 극복방안 제시, 구체적 방향 제시로 상담의 효과가 높아서 교사나 학부모가, 학생과 자녀들의 진로상담 뿐 아니라 갈등 상담이나 생활 상담을 하는 데도 활용도가 높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진로상담 분야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함으로써 앞으로 인문계 고등학교 진로상담을 위한 참고자료와 상담모델로서 활용될 것이며,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의 실용성 제

      • 자기보기의 방법으로서 동양적성이론과 명상

        허영경 영산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research, as a way of reflecting oneself, attempted to find out about the complementary relation between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and meditation.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are harmony and balance. The harmony and balance can only be achieved when one is well meditatively trained, penetrating the essence and discarding the sense of obsession, arrogance or selfishness. Through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the meditation attempted to suggest an idea that when we meditate with knowing about 'true self,' 'the place pain comes from, and a way of remedying those pain,' the effect of meditation doubles. Not only that, accommodating the meditation to solve the problem with "not knowing what and how to solve problems" will help as a guide. In order to develop such argument, Firstly, this research pointed out the meaning of meditation as "through congregating one's consciousness into one object and closely examining various events happening throughout life, one will maximize the sense of peace and lose the feeling of pain to find the true self(self remedy)." Especially, it investigated about 'examination' and 'self-remedy' as common factors in both meditation and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Secondly, it examined about the effects of meditation by investigating the experiment results applied in psychotheraphy, brain science and real clinic performances to find the therapeutic matter of meditation with examination of "relaxation of feeling through codification, accepting true self, improvements in self-control ability and changes in attitude, an expansion of self-examination skill bringing improvements in self-control skills and the interaction of effect of affectivity on the immune system and nervous system.' Such treatment is demonstrated through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knowing and accepting true self. Thirdly, it investigated about the paradoxical effects of meditation and their causes of individual's characteristics, self-examination attitude and 'not knowing what and how to do.'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is thus suggested as a way of solving this problem. It is the study that does not approach fate from a fortune-telling position but applies self-examination factors including reflection of one's tendency, reflection of past days and finding of life patterns to make these factors objectified and educated. Forthly, it investigated about the core factors of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self-examination and pain and remedy. By examining oneself through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 of tendency among 10 different kinds of tendencies, one can perceive and understand others'(including self)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the aspects and the reasons for pain through self-examination and providing an explanation for control, this research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 with the limit of meditation "not knowing what, how to do." Fifthly, by providing case examples of people who studied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this research attempted to provide more reliable sources. To solve the problem with the limit of meditation, it attempted to suggest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with the case examples of people who studied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But these cases can be limited with subjective results. However, meditation and remedy are originally subjective that they can only be experienced by individual. Thus, such limit needs more objective clinical experiments which is expected to be solved by future experiments. 본 연구는 자기보기의 방법으로서 동양적성이론과 명상의 상보적인 관계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동양적성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원칙은 조화와 균형이다. 조화와 균형점은 집착이나 오만, 자신의 이기심이나 사심을 버리고 본질을 꿰뚫을 수 있는 명상수련이 되어야 잘 찾을 수 있다. 명상은 동양적성이론을 통하여 ‘있는 그대로의 나’, ‘나의 고통이 어디에 기인하는지, 어떻게 그 고통을 치유할 수 있는지’를 알고 수행하면 명상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을 뿐더러 명상의 수용이라는 부분에서의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름”을 해결하여 명상의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논점을 전개하기 위하여 첫째, 명상의 의미와 종류를 알아보며 명상을 “일차적으로 의식을 어느 하나의 대상에 모으는 훈련을 통하여 삶의 전반에 걸쳐 일어나는 각가지 일들을 고요히 살펴봄으로서 궁극적으로 내적 평온감이 극대화되어 고통거리가 사라지고 진정한 자기(자기치유, 참 나 중득)를 만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리하여 특히 ‘살펴봄(바라봄)’, ‘자기치유’를 명상과 동양적성이론의 공통분모로 탐색하였다. 둘째, 명상의 효과에 대하여 심리치료, 뇌과학, 실제 임상에 도입한 연구성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명상의 치료적 기제를 ‘언어화함으로서 감정의 완화,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수용함, 자기조정능력의 향상과 태도의 변화, 자기탐지력의 증가가 자기조절능력의 증가를 가져옴, 감정상태가 면역계에 영향을 미치는 면역계와 신경계의 상호작용’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치료기제는 동양적성이론을 통해 자기 자신을 알고 받아들이는 과정을 통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셋째, 명상의 역설적 효과를 탐색하여 그 원인으로 개인의 성격적 특성과 자기 자신을 바라보는 태도,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름’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동양적성이론을 제시하였다. 사주를 점(占)의 입장에서 접근하지 않고, 기존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자기 성향 돌아보기, 스스로 살아온 날 돌아보기, 그리고 삶의 패턴과 주기 찾아보기 등의 자기를 성찰하고 관조하는 자기 상담 도구로 응용하여 검증하고 객관화, 학문화한 것이 동양적성이론이다. 넷째, 동양적성이론의 가장 중요한 핵심인 성향으로 자기보기와 고통과 치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열 가지 성향의 모습, 자리별 성향의 특징과 성향의 관계를 통해 성향으로 자기보기를 함으로서 나를 포함한 다양한 사람들의 성격특성을 바라보고 인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자기보기를 바탕으로 고통을 성향의 지나침과 없음, 성향자체의 고통, 신약․신강에서의 고통으로 나누어 그 모습과 원인을 살펴보았다. 고통을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지를 에너지의 강약과 성향의 관계를 원칙으로 설명하여 명상의 한계의 한 요인인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름”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자기보기 명상의 실례들로 동양적성이론을 공부한 사람들의 사례를 들어 위의 논점의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명상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동양적성이론을 제시하며 수년간 동양적성이론을 공부한 사람들의 실례를 살폈으나 그 실례들이 다소 주관적일 수 있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명상이나 치유라는 것이 원래 주관적이며 개인적인 경험일 수 밖에 없다는 데에서 그 한계는 좀 더 객관적인 임상 실험이 필요함으로 추후의 연구과제로 남긴다.

      • 氣의 磁氣論的 解析과 陰陽五行論의 科學的 適用에 관한 硏究 : 翰書生體磁氣經絡療法을 中心으로

        최상용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硏究는 東洋醫學의 核心理論이라 할 수 있는 陰陽五行論과 五運六氣學의 科學的 適用과 동양학의 화두와도 같은 氣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그 목표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陰陽五行論과 五運六氣學을 동양 最古의 醫學書인 『黃帝內經』을 바탕으로 東洋醫學的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이론들을 바탕으로 응용되고 있는 運氣體質論을 통해 陰陽論的 左右體質구분의 타당성과 先後天體質의 근거, 각 개인이 갖는 고유한 運氣體質의 분류법을 실제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는 상기의 이론들을 활용하고 있는 翰書生體磁氣經絡療法<이하 磁氣療法>의 개요를 미리 살피기 위한 것이었다. <磁氣療法>은 각 개인의 고유한 運氣體質을 바탕으로 磁氣力을 활용, 인체 臟腑의 생명력이 흐르는 통로인 陰陽臟腑의 經絡을 조절하여 不調和된 五臟六府의 기능을 조화롭게 해 줌으로써 인체의 自然治癒力을 높여주는 요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磁氣療法>을 활용한 국내외 4개 대학병원의 臨床結果를 통해 科學的 有效性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동양의학의 핵심이론인 陰陽五行論 및 五運六氣學 등도 접근방법에 따라 科學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동양학에서 生命力의 根源으로 여기고 있는 氣를 여러 면에서 검토할 때 현대의 과학물체인 磁石과 磁氣力으로 대입하여 보면 그 원리적인 해석이 훨씬 간명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氣醫學 측면에서 인체의 경락을 통해 生體磁氣를 각 개체의 고유한 체질에 적용한 결과, 아주 有效한 醫學的 結果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곧 신비롭게만 여겨져 왔던 氣에 대해 磁氣場이라는 새로운 관점으로의 解析 可能性을 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의 疾病中心의 의료체계에서 각 개인의 고유한 체질에 따라 人間中心의 의료시스템으로의 전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scientific application of Yin-Yang Wu-hsing theory(陰陽五行) and 5-Yun-6-Ch'i theory(五運六氣學), which are major concepts of Oriental medicine, and a new interpretation of Ch'i(氣), which is a controversial issue of Oriental studies. Based on Hwang-ti-nei-ching(黃帝內經), the oldest medical book in the Orient, this study looks into Yin-Yang Wu-hsing theory and 5-Yun-6- Ch'i theory in perspective of Oriental studies. Applying Yun-Ch'i-constitution theory(運氣體質論) based on those theories, we have investigated the validity of left-right constitution(左右體質) on Yin-Yang theory(陰陽論), the ground of inborn-acquired constitution(先後天體質),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Yun-Ch'i constitution through case study. This process contributes to comprehending the outline of Hanseo-Meridian-Bio-Magnetic Therapy(翰書生體磁氣經絡療法) that applies the above theories in advance. Hanseo-Meridian-Bio-Magnetic Therapy aims at improving a natural healing power in human body by using magnetic force(磁氣力) based on Yun-Ch'i constitution (運氣體質) of every individual's own to control Meridian of Yin-Yang-Zang-Fu(陰陽臟腑), where life force of Zang-Fu(in human body) flows and enhance the function of 5-Zang-6-Fu(五臟六腑). This study has derived a scientific significance from clinical testings on Hanseo-Meridian-Bio-Magnetic Therapy that were underwent in 4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y hospitals. Consequently, we can confirm that Yin-Yang Wu-hsing theory and 5-Yun-6-Ch'i theory are scientifically significant. Substituting Ch'i(氣), which is referred to as the source of life force in Orient studies, to a magnet or magnetic force, we can explain the fundamentals of it easily. Therefore, this study has obtained the results of medical importance, from applying the Bio-Magnetic(生體磁氣) to every person's own constitution through the Meridian in human body. It presents a possibility of solving all the mysteries of Ch'i(氣) from a new perspective of magnetism. In addition, it proposes an innovative medical system that convert the traditional system focused on diseases into the human-oriented system focused on each patient's own physical constitution.

      • 차문화 교육 정착을 위한 자격제도 연구

        이정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Professionals who respond to social needs should be trained by a systematic training. Tea qualification test aims at cultivating tea specialist of the future based on more methodical education curriculum. It also has potential function to induce idealistic education system improvement for tea leaders and development of related study fields. This study examines the registration system for private qualification and analyzes education status of tea education,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 for tea qualification system. The registration system for private qualification is that signing up for registration management agency to identify an administrator of the group who is charge in a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qualification. Listed series of administrative acts including code symbol and gra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managing organization, date of registration or decision become effective by acquiring requirements for managing operation of private qualification and state-authorized application. From 1997's Qualifications Basic Law, Korea started the 1st private national qualification accreditation in 2000 and has been continued it to the 13th of the day with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South Korea as its mission agency. 2,987 items of 935 institutions under 12 ministries are registered for private qualifications at present. General entities are accounted for the most largest proportion as registered managing operation; legal entities and individuals are following in order. As legal entities, 3 foundation corporations and 22 incorporated associations have been operated tea education curriculum. 13 of those legal entities are registered for private qualification and 9 kinds of qualifications are remarkably registered and operated. Traditional tea etiquette occupies most part of registry. Especially in the field of private qualification related to tea, International Tea Culture Foundation manages 7 curriculum of traditional tea etiquette, Japanese tea ceremony, Black tea, Chinese tea ceremony, Tea psychological counseling, Tea evaluation, and Tea manufacture, progresses most diverse training courses as private qualification operation.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3 colleges and 2 universities are established so far. 7 masters degrees are set up and run while doctoral program for tea culture majors is just on its starts with 3 universities. Keimyung University, Mokpo National University, Wonkwang University manage Master in parallel with PhD courses, but all of 11 universities and colleges where run tea related departments, undergraduates, and colleges courses are relatively vulnerable to graduate schools'. Most of all, possibility of entering masters or PhD from undergraduate is lack in connectivity. Under these circumstances, future directions to settle tea culture education could be suggested as below. First, it is required to register tea qualification to country accredited private qualification. This will induce growth of private sector according to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ctivation in private qualification system by giving credibility, and competition between the state, civil, and private qualification. Currently registered operating management agencies are 52 with 87 national accredited private qualification. There is no national authorized qualification related to tea, but 9 related qualifications are registered to private accreditation which should be prepared for a priority so that they can be promoted to national level as soon as possible. Second, it is need to take advantage of the credit bank system. Taking credit from acquiring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obtains equivalent effect with college units by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ct and the specific identification to national qualifications, or the national authorized qualification. According to 'the 16th credit eligibility standard', total of 581 qualifications including 356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141 of other national qualification by the specific identification, 84 of national authorized private qualification are given credit for official units. For developing and popularizing Korea's tea culture to academical level, it will be suggested to have accreditation for credits by acquiring tea related qualification through vocational schools or national authorized private qualification under current system. Future tea culture education should be required to answer the purpose of both academic theory and practice to have a competitiveness. Academic formulation through the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is accompanied by national authorized private system for fulfilling lack of practical application with tertiary education popularization, tea culture education will speed to put down the roots in Korea.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가라 함은 그 분야에 맞는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통하여 양성하고 배출되어야 한다. 차(茶) 자격시험은 보다 체계적인 배출시스템을 기반으로 미래가 요구하는 전문적 차지도자를 배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차지도자 양성에 대한 이상적인 교육과정의 개선 및 관련 학문의 발전을 유도하는 잠재적 기능도 함께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자격 등록제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차(茶)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앞으로 차(茶)자격 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민간자격 등록제도는 민간자격관리자가 민간자격을 관리?운영하고 있다는 것을 등록관리 기관에 등록하는 것으로서, 등록대장에 자격의 종목명 및 등급, 자격의 관리운영기관에 관한 사항, 등록의 신청일 및 등록결정일 등을 기재하는 일련의 행정행위의 총칭으로 등록에 따른 효력은 민간자격 관리운영과 국가공인 신청에 대한 요건을 획득하는데 있다. 한국에서는 1997년 자격기본법 제정을 시작으로 업무 수행기관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을 통해 지난 2000년 제1차 민간자격 국가공인제도를 시행하여 현재 13차에 이르고 있다. 민간자격등록 현황을 살펴보면 2012년 현재 12개 부처 935개 기관의 2,876개 종목이 민간자격에 등록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등록된 민간자격관리 운영기관으로는 일반 단체가 7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이어 법인, 개인 순으로 나타났다. 법인단체의 차교육 현황으로는 3개의 재단법인과 22개의 사단법인에서 차문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 중 민간자격에 13개 법인 단체가 등록되어 자격을 관리하고 있으며, 크게 9종류의 자격증이 등록?운영되고 있다. 등록 자격들 중 전통차예절 자격증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차관련 민간자격 분야에서 국차재는 전통차예절, 일본다도, 홍차, 중국다예, 차심리상담, 차품평, 제다사 7가지 자격과정이 등록되어 민간자격과정 운영 법인 단체들 중 가장 다양한 차관련 교육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고등교육기관에서는 2012년 현재 전문대학은 3개 대학이고, 4년제 대학교 2곳이 개설되어 있다. 대학원에는 먼저 석사과정으로는 7곳에 개설되어 운영 중에 있고, 박사과정으로는 3개 대학에서 차문화 관련 전공이 개설되어 있다. 그 중 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모두 운영 중인 대학은 계명대학교, 국립목포대학교, 원광대학교가 있다. 그러나 현재 11개 대학에서 차관련 전공 학과가 개설돼 있으나 대학원 중심이며, 학부나 전문대학에서는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그리고 학부에서 석사, 박사로 이어지는 연계성이 부족하다. 차문화 교육을 정착하기 위해서 차(茶)자격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차(茶)자격을 민간자격 국가공인에 등록하는 것이다. 민간자격 국가공인을 등록함으로써 시대변화에 빠르고 쉽게 적응할 수 있는 민간분야의 성장을 인정하고, 민간 자격에 대한 공신력을 부여함으로써 민간자격제도의 활성화를 가져오며, 국가와 민간 그리고 민간자격간의 경쟁을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현재 민간자격 국가공인을 받은 자격관리 운영기관은 52개이고, 국가공인 민간 자격수는 87개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차관련 자격증이 국가공인을 받은 것은 없지만, 현재 9종류의 차관련 자격증이 민간자격에 등록이 되어 있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국가공인에 등록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둘째, 학점은행제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국가기술자격 취득을 통한 학점인정은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국가기술자격과 개별법에 의한 국가자격, 국가공인 민간자격 중 대학의 학점과 동등하게 인정될 수 있는 수준을 지닌 자격에 대하여 학점으로 인정하고 있다. 2012년 3월 29일자로 고시된 ‘제16차 자격 학점인정기준’에 따르면 총 581개(국가기술자격 356개, 개별법에 의한 기타 국가자격 141개, 국가공인 민간자격 84개) 자격이 학점으로 인정된다. 한국의 차문화를 학문적으로 발전시키고 대중화하기 위해서는 현 제도를 활용하여 직업전문학교 설립 후 차관련 자격증을 통해 학점을 인정받거나, 국가공인 민간자격을 취득하여 학점인정을 받는 방법이 있다. 앞으로 차문화 교육은 학문적으로 이론과 실습을 겸해야만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학문적 정립은 고등교육기관을 통해 이루어지고, 부족한 실기 응용 분야 및 차교육 대중화는 국가공인된 민간자격 제도를 통해 학점을 인정받는다면, 한국의 차문화 교육은 빠르게 정착하게 될 것이다.

      • 현대 찻자리 화훼디자인 조형연구

        나복임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tea practices of the 21st century require that floral arrangements be utilized in the presentation of the tea table and interpreted as part of the design. The floral arrangements of tea tables are made from plants to which the creativity and artistic abilities of people are applied in order to express both aesthetic expression and design functionality. Our task must begin at establishing new significance and values of the designs of tea table floral arrangements. As of yet, data on floral arrangement design for tea tables is practically non-existent with the logical or systematic related standards remaining at descriptive levels, and overall the theoretical studies were lacking causing the field to lack the objectivity of a scholarly discipline. As creating new floral designs for tea tables is impossible without an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tea settings and floral design, this study revisits everything from traditional floral arrangements of tea tables to modern tea decorations as part of an effort to approach the floral arrangements of tea tables from a design perspective. Until now, the flowers used in tea table decorations were referred to as tea flowers(茶花) and these were limited decorations created in a simple fashion and without a model for its formation. Also,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loral arrangements of Japanese tea settings which were forcefully imported with other cultural aspect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re falsely recognized as our own, a fact overlooked by many. This author attempts to derive the principals and factors of floral design for tea tables from the formational principles of floral design so as to propose designs of floral tea arrangements that suit modern spaces in the form of artistic works. The mode of research I proceeded with was as follows. First, we study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floral design of Korea, China, Japan and West Europe. Second, we study and organize the factors and principles inherent in Asian and Eastern European floral design so as to systemize the theory on tea table floral design formation. Third, for the purposes of application as spatial decoration, I derived specific floral design piece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ea culture as well as the historic background of Asian and Western European floral design. Then, regarding the Asian and Western pieces I myself attempted at events such as the tea events hosted by the International Tea Culture Foundation as modern floral designs, I organized the potential of modern floral design for tea tables in an academic manner. Floral arrangements of the West are in general large, flamboyant with attention paid to surfaces, colors, and formation. They are artificial rearrangements rationally applied to spaces or the body. The flora arrangements of the East emphasize lines and empty spaces, but in modern times Western floral arrangements also implement many of the linear factors of the Eastern styles. By comparing the significant forms found throughout the floral design history of Korea, Japan, and China, I filtered those types I wished to employ in this paper. Also, after referr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ral designs of the East and West, I divided the types of Eastern floral design into 7 categories and those of Western floral design into 27. To ensure that floral arrangements of tea tables do not rely excessively on formation and are capable of turning the setting into an area of reflection, linear and spatial aspects of Eastern design were introduced into the Western floral arrangement pieces proposed in this paper. As for the Asian tea table floral arrangement piece, I implemented an Asian internal aspect utilizing the curvatures shown in the picture of a flying fairy paintings of the Goguryeo dynasty along with the flow of lines found in the a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of the Joseon dynasty. Simple forms showing moderation and empty spaces were applied in a modern fashion to create the piece. By adapting the triangular, semi-circular, and rectangular forms witnessed in paintings of floral arrangements presented before Buddhist altar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the forms of modern tea table floral arrangements were aslo produced in similar forms and the exposure technique of the Goryeo dynasty was introduce into the Parallel form of the piece. In the case of Western tea table floral arrangement pieces, overly decorative or symmetrical surfaces and forms were excluded and the line structures and spatial treatment techniques of the Goryeo dynasty was adapted to modern Western styles so that the piece would correspond to modern tea table designs. The beauty of empty space was emphasized and an overall sense of asymmetry was implemented into the pieces. I hope that this paper will become a logical and systematical base for teaching floral designs for tea tables and a stepping stone for modern tea table floral design. Though the paper will be lacking in some aspects as a pioneer in the field, I hope that future studies can approach specific tea settings and be conducted in a more systematic manner. 21세기 차문화는 찻자리 공간요소인 찻자리 꽃을 공간연출의 요소로 접목하여 디자인으로 해석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찻자리 화훼디자인은 식물을 주소재로 하여 인간의 창의력과 조형능력을 활용하여 예술로서의 미학적 표현과 디자인으로서의 기능적 표현을 동시에 수용하여 표현되어져야 하고 디자인으로서 찻자리 화훼디자인의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정립하는 것에서 시작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동안 찻자리 화훼디자인은 조형에 관한 자료가 거의 없고 디자인으로서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기준이 관념적이거나 서술적인 부분에 치우쳐 있으며, 이론적 연구가 전반적으로 미약하고 부족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학문으로써 객관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현대적 찻자리 화훼디자인은 전통적인 찻자리와 화훼의 역사에 대한 이해가 없고서는 새로운 찻자리 화훼디자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통적인 찻자리 화훼디자인에서 현재까지의 다화장식을 재조명하여 현대적인 찻자리 화훼디자인의 조형방법을 디자인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현재까지 찻자리에서 사용되는 꽃의 표현 용어는 다화(茶花)로 호칭되어 왔으며 조형 형태에 대한 원형이 없는 상태에서 간결하게 제한적으로만 장식되어 왔고 일제 강점기에 강제 도입된 일본의 문화적 정서와 더불어 우리의 문화속에 고정된 일본 찻자리의 다화가 우리 찻자리의 다화로 인식되어 장식되어진 사실을 모두가 간과하고 있는 측면도 있다. 본인은 찻자리 꽃의 다화를 꽃 문화인 화훼디자인의 조형원리와 요소에서 찻자리 화훼디자인으로서의 원리 요소를 도출하고 현대적인 공간에 어울릴 수 있도록 조형 형태를 작품으로 표현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진행 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화훼디자인, 중국의 화훼디자인, 일본의 화훼디자인, 그리고 서구유럽의 화훼 디자인의의 역사적인 배경을 살펴본다. 둘째, 동양식 화훼 디자인과 서구유럽의 화훼디자인의 구성 원리와 요소를 살펴보고 정리하여 찻자리 화훼디자인 조형 이론을 체계화 한다. 셋째, 찻자리 공간장식에 응용할 수 있도록 차문화에 대한 이해와 함께 동양식, 서구유럽식 화훼디자인 역사성을 토대로 화훼조형작품을 도출하여 그동안 (사)국제차문화교류협력재단의 찻자리 행사 등에서 본인이 시도 하였던 동양식 서구식 찻자리 화훼디자인을 현대 찻자리 화훼 디자인 조형 방법으로 보고 현대 찻자리 화훼디자인의 가능성을 학문적으로 정리하였다. 서구의 화훼디자인은 대체적으로 크고 하려하며 면과 색채, 형태 구성을 중요시하며 인위성을 가하고 재구성하여 신체에 장식하거나 공간에 합리적으로 적용하였다. 동양의 화훼디자인은 선과 여백을 중요시하였는데 현대에 이르러서는서구의 화훼디자인도 동양의 선적인 요소가 많이 가미되었다. 한국, 일본, 중국의 화훼디자인의 역사에서 주요형태를 비교하여 본 논문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형태만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동양과 서양의 화훼디자인에 대한 특성을 참고 한 후에 찻자리 화훼디자인 동양식 구성을 일곱 가지 형태로 분류하고 서구식 찻자리 화훼디자인은 스물일곱 가지 형태로 도출 하였다. 찻자리 화훼디자인이 자칫 조형적 형태에만 치우치지 않고 사색의 공간으로 자리 할 수 있도록 서구 화훼디자인인 에서는 동양의 선적인 요소와 공간적인 요소를 제시하는 작품안에 도입하였다. 동양식 찻자리 화훼디자인 작품은 동양적인 내면성을 도입하여 고구려 시대 비천상의 회화에 나타난 곡선적인 형식과 조선시대 문인화 형태에서 나타나는 선의 흐름과 절제되고 여백이 있는 간결한 형태를 현대적으로 응용하여 작품화 하였다. 삼국 통일시대와 고려시대, 조선시대 회화에 나타난 불전 헌공화 형식의 삼각형과 반원형, 사각형 형식을 응용하여 현대 찻자리 헌공화 형식에서는 삼각형, 반원형, 사각형으로 작품화 하였고 고려시대 줄기를 드러내는 노출기법은 병렬식(Paralell)형식에 도입하여 헌공화 작품을 표현하였다. 서구식 찻자리 화훼디자인 작품은 지나치게 장식적이거나 대칭적으로 보일 수 있는 면적인 부분과 형태적인 부분을 되도록 배제하고 현대 찻자리 화훼디자인 공간 구성에 어울릴 수 있도록 고려시대 선 구성 기법 공간처리 기법을 서구식 형태에 응용하고 여백의 미를 강조하여 주로 비대칭적인 느낌으로 작품화 하여 제시 하였다. 본 논문이 향후 찻자리 화훼디자인을 교육함에 있어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이해와 함께 다양하게 활용되어 현대 찻자리 화훼디자인의 디딤돌이 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고 선행 연구자로서 많은 부분이 부족하지만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찻자리의 각각 구체적인 상황에 접근하여 더욱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DEA 모형을 활용한 한국폴리텍대학의 경영 효율성 분석

        이재직 동양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산업현장의 급속한 기술발전 과 직무내용 및 고용구조의 변화의 환경 속에서 한국폴리텍대학이 당면하고 있는 기술․기능인력양성 및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과 졸업생들의 취업을 해결하고, 나아가 한국폴리텍대학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DEA 모형을 활용하여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폴리텍대학의 DMU별 경영 효율성을 평가 및 비교분석 하는 것이다. 경영 효율성 평가 및 비교분석을 위하여 투입변수는 교수, 대학지출로 설정하였고, 산출변수는 졸업생, 취업자 등으로 선정하였다 DEA 모형은 규모수익불변(CRS)을 가정한 CCR 효율성과 규모수익변동(VRS)을 가정한 BCC 효율성, 그리고 규모에 관한 효율성(SE)을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폴리텍대학의 DMU별 효율성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출방향 CCR모형에 의거 한국폴리텍대학의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DMU 20, 26, 33이 1.0으로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효율적인 DMU는 18, 32, 14 등 31개로 나타났다. 산출방향 BCC모형에 의거 순수기술효율성 분석결과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DMU 4, 5, 9, 14, 16, 18, 20, 24, 25, 26, 27, 31,32, 33 등 14개 캠퍼스로 나타났으며, 비효율적인 DMU는 나머지 20개 캠퍼스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효율적인 캠퍼스는 효율적인 캠퍼스를 벤치마킹하여 효율성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산출방향 BCC모형에 의한 한국폴리텍대학의 비효율성의 원인분석에 서 주된 비효율성의 원인은 규모의 수확체감이 16개 캠퍼스인 47.1%로 가장 많으며, 다음은 규모의 수확체증이 15개 캠퍼스인 44.1%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규모의 불변인 최적 효율성을 가지는 캠퍼스는 3개인 8.8%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확체감인 16개 DMU는 대학교수와 대학예산을 줄임으로써 졸업생 수와 취업자 수에 대한 효율성을 높여 나가야 하며, 규모의 수확체증인 15개의 캠퍼스는 대학교수와 대학예산을 늘임으로써 졸업생 수와 취업자 수에 대한 효율성을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산출방향 CCR 모형 기준 한국폴리텍대학의 비효율성 개선은 교수를 평균-1.18% , 대학지출은 평균-12.44% 감소시키고, 졸업생수는 39.05% 증가시키며, 취업자 수는 47.33% 늘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출방향 BCC 모형 기준 한국폴리텍대학의 비효율성 개선은 교수를 평균-3.08%, 대학지출은 평균-15.17% 감소시키고, 졸업생은 평균36.41%, 취업률은 평균45.34%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효율성 개선은 산출요소인 졸업생수와 취업자 수를 중심으로 증가시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산출방향 CCR 모형 기준 교수수와 대학지출액의 부분효율성은 각각 0.738과 0.673으로 나타나 교수수가 대학지출보다 효율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며, BCC 산출 기준 투입 부분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교수 수는 0,827, 대학지출액 0,770으로 교수 수가 대학지출액 보다 효율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효율성 개선에 교수 수의 관리에 더욱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산출방향 CCR 효율성 분석에서 효율성이 동일하게 1.0이었던 효율적인 DMU 20, 26, 33 이며, 초효율성 분석에서는 DMU 33이 1.138, 20이 1.120, 26이 1.021 순으로 산정되었다. 산출방향 BCC 효율성 분석에서 1.0이었던 DMU 4, 14, 18, 25, 31, 32, 33 캠퍼스가 초효율성 분석에서 DMU 26 이 2.722, DMU 24는 1.203, DMU 20은 1.128, DMU 5는 1.123, DMU 16은 1.048, DMU 9는 1.035, DMU 27은 1.019 캠퍼스 순으로 산정되었다. 따라서 효율적이었던 7개의 DMU 중에서도 DMU 26, 24, 20 등의 순서임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한국폴리텍대학의 경영 효율성 개선과 대학의 발전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남녀 대학생의 성태도, 성지식 및 생식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강윤선 동양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23

        Due to today’s sexual openness, college students may be exposed to frequent sexual relations, which can affect their adulthood reproductive health, pregnancy and deliver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explore the degrees of sexual attitudes, sexual knowledge,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gender differences. This study may provide an important first step for further study in understanding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A descriptive comparative design was used for examining a total of 181 college students: 92 male and 89 female.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17 and April 8, 2016 with a convenience sampling in a university located in Y c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below: The average ages were 21.5 (SD=2.15) of male students and 19.6 (SD=1.45) of female students. In this study, 50.0% of male students and 16.9% of female students had sexual experience. As for the score of sexual attitude, the mean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e mean of female students, with males more liberal than females in sex for pleasure and play, premarital chastity permissiveness and sexual permissiveness. also females more liberal than males in homosexuality permissiveness and abortion permissiveness. As for the score of sexual knowledge,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male students (t= ‐2.41, p<.017). As for the score of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be similar. The score of safe sex and sexual responsibility for female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males, and the score of genital health management for male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females,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ale students’sexual attitudes were found to be open in a group with high self‐esteem and the case of opened sexual attitudes of parents. The degree of male students’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found to be high in a group with high social support and in the case of obtaining sex education programs. Female students’sexual attitudes were found to be conservative in a group with religions of Christianity and high self‐esteem. The degree of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freshmen student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senior students, and the degree of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students with sexual experience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with no sexual experience. For male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homosexuality permissiveness (r=.22). for female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sex for pleasure and play (r=‐.34), premarital chastity permissiveness (r=‐.22), and sexual permissiveness (r=‐.21).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had more sexual experience than females, and that sexual attitudes of male students were more liberal than females, demonstrating that there remain double standards of allowing more sexual permissiveness for males than for females in our societ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xual attitudes and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xual knowledge. Thus it can be interpreted that in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values and attitudes of sexuality are more important than the knowledge of sexuality. Sexual knowledge of female student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males,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female students in case of safe sex was higher than male students, and genital health management of male student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Accordingly, for education to better establish proper sexuality values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proper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mediating programs of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ccording to sex focusing on safe sex for male students and genital health management for female students. Also, it is suggested that direct sexual education through the mediating programs is important as sexual education programs were found to have a higher degree of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an the mass media. 대학생은 개방된 성문화로 인해 빈번한 성행위에 노출될 수 있으며, 이는 결혼 이후 임신과 출산으로 이어지는 성인기 생식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의 성태도, 성지식 및 생식건강증진행위의 정도를 알아보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와 관련한 후속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자료수집은 2016년 3월 17일부터 4월 8일까지이며 Y시 소재 일개 대학교 남녀 대학생을 편의 추출하여 남학생 92명, 여학생 89명, 총 181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비교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남학생 21.5세(SD=2.15), 여학생 19.6세(SD=1.45)이었다. 남학생의 50.0%, 여학생의 16.9%에서 성경험이 있어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태도 점수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고, 남학생은 쾌락 유희적 성, 혼전순결 허용성, 성 허용성에서 여학생보다 개방적이었고, 여학생은 동성애 허용성과 낙태 허용성에서 남학생보다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지식 점수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았다(t=-2.41, p<.017). 생식건강증진행위 점수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안전 성행위와 성행위 책임감 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생식기 건강관리 점수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남학생은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과 부모님의 성태도가 개방적인 경우에 성태도가 개방적이었고, 사회적지지가 높은 집단과 성교육프로그램으로 성지식을 얻는 경우에 생식건강증진행위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학생은 종교가 개신교인 집단과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에서 성태도가 보수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4학년보다 1학년, 성경험이 있는 집단보다 없는 집단에서 생식건강증진행위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남학생은 생식건강증진행위와 동성애 허용성(r=.22)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여학생은 생식건강증진행위와 쾌락 유희적 성(r=-.34), 혼전순결 허용성(r=-.22), 성 허용성(r=-.21)과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성경험이 있는 경우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많고, 성태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개방적으로 나타나 우리사회에 여학생보다 남학생에게 성적 허용성이 더 관대한 성의 이중기준이 남아있음을 알 수 있다. 생식건강증진행위와 성태도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성지식과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생식건강증진행위에는 성에 대해 알고 있는 지식보다 성에 대한 가치관과 태도가 더 중요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성지식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고, 생식건강증진행위는 안전 성행위의 경우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고, 생식기 건강관리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올바른 성가치관 형성을 위한 교육과 남녀 대학생의 올바른 생식건강증진행위를 위해서 남학생은 안전 성행위, 여학생은 생식기 건강관리에 중점을 두어 성별에 따른 생식건강증진행위 중재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대중매체보다 성교육프로그램으로 성지식을 얻은 경우에 생식건강증진행위의 정도가 높았으므로 중재프로그램을 통한 직접 성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신뢰성과 조직신뢰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최재욱 동양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목적은 신뢰성과 조직신뢰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 저 신뢰와 신뢰성, 조직신뢰를 개관한 다음 이들 변수에 관한 선행연구 들을 검토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도권과 경북지역에 소재한 2개 대학교 조직구성원들 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243부의 설문자료를 바탕 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 료신뢰성, 상사신뢰성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 다. 반면 조직신뢰는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 다. 둘째, 동료신뢰성, 조직신뢰는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표본으로 선정된 A대학교와 B대학교 간의 차 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A대학교의 교수와 교직원 간, B대학교의 교수와 교직원 간, A대학교와 B대학교 교수 간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두 대학의 교직원들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추가분석에서 조직 신뢰가 신뢰성과 조직유효성 변수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지니고 있 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매개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동료 신뢰성, 상사신뢰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는 조직신뢰가 강한 매개 효과를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조직신뢰는 상사신뢰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강한 매개효과를 보인 반면, 동료신뢰성과 조 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약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실증 분석결과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본 연구에서는 신뢰연구 의 실증모형을 보다 정치화 시켰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과 조직신뢰의 개념을 엄밀히 구분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으 며 이는 국내 대다수 선행연구들과는 차별화된 점이다. 둘째, 본 연구 에서는 조직신뢰만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 졌다. 이는 대학조직과 같은 높은 신뢰를 바탕으로 운영되는 조직은 규 정과 규칙을 중시하는 관료제적 조직과는 달리 신뢰성과 신뢰가 조직몰 입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 실은 차후 유사한 연구를 통하여 반드시 재검증해 볼 필요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셋째, 본 연구에서 밝혀진 동료신뢰성, 조직신뢰는 조직시민행 동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분석 결과는 신뢰성과 신뢰가 조직시 민행동의 예측변수라는 점을 다시금 확인해 주는 것이다. 넷째, 여러 선 행연구(이재연, 차동옥, 2003; Colquitt, Scott, LePine, 2007; 윤진, 2009; 서대교, 2009; 김은숙, 2010; 김화, 2011; 손동성, 탁진국, 2012)와 마찬가 지로 본 연구에서도 조직신뢰의 매개역할이 확인되었다. 이는 조직행동 연구에 있어 조직신뢰가 조직유효성 제고에 중요한 변수 중의 하나라는 점을 시사해 주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실무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본 연구의 차이분석에서 밝혀진 교수집단과 교직원 집단 간의 조직몰입, 조직신뢰 수준의 차이는 대학 경영자들에게 관리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즉, 대학조직 내에 암묵적으로 존재 한다고 인정되어 왔던 직종 간의 직무태도 차이를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은 대학경영자들에게 차이에 대한 관리방안을 찾도록 일깨워 준다. 둘째,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연구결과인 조직신뢰는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신뢰성과 조직신뢰는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점, 그리고 조직신뢰가 지닌 매개역할 등은 대학 경영자 에게 신뢰의 중요성을 새삼 일깨워주는 것이다. 그동안 대학의 경영자들 은 신뢰의 중요성은 자각하고 있었으나 구체적인 신뢰향상 방안을 마련 하고 실천하는데 있어서는 소홀한 편이었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점에서 Colquitt, Rodell(2011)의 연구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판단된다. 즉, 조 직에서 공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신뢰성과 신뢰 수준을 높일 수 있으며 특 히 조직에서의 정보적 공정성은 하위자들의 신뢰지각의 예측변수가 된다 는 점이다. 본 연구는 횡단적 연구설계를 바탕으로 수행된 것으로 신뢰성과 조직신 뢰의 동태적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신뢰성변수의 구성개념은 이론적 논의에서는 다차원적 인 개념으로 밝혀졌으나 실제 측정척도의 요인분석에서는 단일차원으로 묶이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차후 연구에서는 신뢰성의 구성개 념을 보다 정밀하게 구축하기 위하여 설문지 개발단계에서도 더욱 세심 한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대학조직을 대상으로 한 신뢰연구라는 점에서는 나름대로 의미를 지닐 수 있으나 표본크기가 적고 2개의 대학교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는 사실은 연구결과의 일반 화를 제약하는 요인이 될 것이

      • 동양적성상담이론에서 인성(印星)의 작용과 자녀의 기본적욕구 충족도 간의 상관관계 연구

        김미정 영산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논문은 동양적성상담 이론에서 인성의 작용과 자녀의 기본적인 욕구충족도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것이다. 개인의 성장 발달에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환경은 가정이며, 가정 내에서도 가장 중요한 인간관계는 어머니와의 관계라고 볼 수 있다. 어머니는 가정에서 자녀의 양육을 책임지고 있으며 자녀의 가치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같은 어머니에게서 양육되는 자녀라 하더라도 자녀 개개인의 성향에 따라 어머니와의 관계를 다르게 받아들이고, 어머니에게서 받는 영향도 다르다. 동양적성상담 이론에 의하면 사람마다 서로 다른 자연에너지의 영향을 받아 태어나므로 자녀 개개인의 성향적 특징을 고려한 양육방법이 필요하다 하겠다. 동양적성상담 이론에서는 인성을 어머니의 역할과 연관지어 본다. 인성이 많거나, 신강이어서 인성이 기신의 작용을 하는 경우 어머니가 부담이 되고, 신약이어서 인성이 필요하고 용신의 작용을 하는 경우 어머니가 도움이 된다고 한다. 하지만 어머니가 도움이 되고 부담이 된다는 의미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고, 자녀의 성향에 따라 어떻게 양육방법이 달라져야 하는지도 제시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매슬로의 욕구단계설을 활용하여 자녀와 어머니의 관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녀의 자연에너지의 특징과 기본적인 욕구 충족 정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올바른 자녀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본적인 욕구 충족이 잘 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바람직한 삶의 특성을 훨씬 많이 나타낸다.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더 건강하고, 안정감이 있으며 건강한 애정관계를 맺으며 자신감이 있고, 자아실현을 위해 노력한다. 자녀가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할 때 자녀는 보다 건강하고 올바른 사람으로 자랄 수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 가지 연구 내용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에너지에 인성과 비겁이 많은 사람들은 어머니의 간섭이 심하다고 느끼는 비율이 높았고, 인성과 비겁이 적절하게 있거나, 인성과 비겁이 적은 사람들은 어머니의 간섭이 심하지 않다고 느끼는 비율이 높았다. 자녀의 자연에너지상의 성향에 따라 어머니의 간섭을 느끼는 정도가 관계가 있다고 해석된다. 둘째, 인성과 비겁이 많은 사람들은 어머니와의 관계를 통한 기본적인 욕구충족도가 낮았고, 인성과 비겁이 적절하게 있거나 적은 경우의 사람들은 어머니와의 관계를 통한 기본적인 욕구충족도가 높았다. 셋째, 인성과 비겁이 많은 사람들은 안전의 욕구, 애정․소속의 욕구, 자기존중의 욕구에 결핍감이 나타났고, 인성과 비겁이 적거나 적절한 사람들은 애정․소속의 욕구와 자기존중의 욕구에서 충족도가 높았다. 무인성의 경우 애정․소속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에서 결핍감이 높았다. 연구 결과, 자녀의 자연에너지에서 인성의 작용과 자녀의 욕구만족도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녀를 진정으로 사랑하려면 자녀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자녀의 성향을 모르고서 어머니가 원하는 방식대로, 어머니가 좋아하는 대로 사랑을 표현하면 받아들이는 자녀의 입장에서는 그 사랑이 고통스러울 때도 많다. 자녀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들이 자녀의 성향과 어머니 자신의 성향을 바르게 파악하고 성찰한다면 자녀에 대한 이해가 깊어져 자녀와 바람직한 관계를 맺을 수 있으며 자녀를 올바르게 성장하도록 조력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tion of Insung and satisfaction of basic needs of children in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 for personal growth is the family, and within the home, the mother gives the child the greatest impact. The relation between the mother and the children in the family has a strong influences on man's growth and development, and living with others in harmony. But every child has different inclinations. So the effect from the mother i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every person is born under the influence of different natural energy. So considering their propensity is needed first for bringing up children In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Insung shows mother's role. If a person has many Insungs and Insung has bad effects to him(so called Insung is Gishin), a mother is a burden. On the other way, if a person has few Insuns and Insung had a good acts, a mother is helpful to them. This study intend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a child and a mother by Maslow's hierarchy of need. It also tries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s natural energy and satisfaction of the child's basic needs, and thus the best way of bringing up children. People who met basic needs live better than those who did not. They are healthier physically and mentally, more stable and confident, and can afford to work for self-fulfillment. Children who met basic needs well are healthier and able to grow properly. To achieve this goal, the three researches and thei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ople with a lot of Insungs and Bigups in Natural energy, they felt strongly influenced by their mother. Small number of Insungs and Bigups, or moderate, they felt their mother does not interfere them much. Second, people with a lot of Insungs and Bigups were less satisfied. On the other hand, people with little Insungs and Bigups or Insungs and Bigups properly were more satisfied. Third, people with a lot of Insungs and Bigups felt the lack of safety needs, love and belonging needs, self-respect desire. But the one with little Insungs and Bigups or Insungs and Bigups properly, love and belonging needs, self-esteem needs were met. In case of the people with no Insung, they felt the lack of love, belonging and self-realization desire. If he/she has low self-esteem, they are likely to become weak and fragile. If he/she feel the lack love and belonging needs, they may experience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s. The results show that the action of Insung and satisfaction of basic needs of children are correlated in Oriental Aptitude Counseling Theory. In order to care for children properly, it is necessary to know the tendency of the children. A Mother is most concerned about her child. And she has the most influence on her child. She has to know her child's inclination first for better rearing. And also she must examine her own tendencies. Then she can understand her child better. Good relationships with children can help mother grow up their children prop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