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서비스의 국제교류 활성화에 관한 연구 : 한·중 대학 국제교류 사례를 중심으로

        런쉐메이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23

        한국은 1995년에는 최소 법정 기준만 갖추면 대학설립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반면 대학 설립 준칙주의가 부합되면서 대학 설립 요건에 맞추어 한국의 대학수는 신속하게 증가 해온 시대이다. 현재 전세계에는 190여개의 국가와 5억이 넘는 인구가 상호 경쟁과 협력을 하여 살아가고 있다. 1995년 WTO 체재의 출범에 따라 국가간의 장벽이 없어지고 자본, 인력, 상품과 서비스의 이동이 자유로워졌으며, 경쟁과 협력은 더욱 치열해진 국제화 시대가 직면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우루과이라운드 협상에 교육 분야가 포함됨으로써 교육에도 타율적인 개방 압력이 증대되고 있다. 1995년 한국 내 대학 수가 증가하고 1997년 대학 학령인구 수 감소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을 전격으로 유치해야 한다. 대학은 시장과 사회에 수동적으로 대처하는 게 아니라 사회를 이끌어야 한다. 고등교육기관은 특수한 서비스 산업으로서 지식 경제와 분리할 수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교육서비스 국제화에 대해서 학자마다 다르게 된 관점을 가지고 있지만 고등교육이 국제화되는 것은 경제뿐만 아니라 각 영역에 대한 더 큰 영향을 준다. 고등교육기관의 국제화와 경제의 국제화는 서로 호혜호존의 관계이다. 대학의 국제교류의 의의는 국내대학이 외국의 대학이나 연구소 등과의 학문적인 교류를 통하여 대학이 지금까지 이행해 오고 있는 전통적인 교육과 연구의 기능을 국제적인 수준으로 향상시켜 국제화 된 인재를 길러내는데 있다.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하는 일은 대학의 재정확보 및 경쟁력 제고뿐만 아니라 교육수지로 인하여 국가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해외 고급 인재 유치를 통해 국가 간 상경작용을 확대하는 세계화의 중요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국제교류에 있어서 국제적인 의식을 강화하고 더 개방하여 국외 대학과 과학연구기관과 다양한 협력 및 교류를 증진 시킨 후에 다양한 자원을 가지고 있을 때 국제적인 교육에 독창성과 우월성 있는 협력을 할 수 있다. 앞으로의 사회는 지식·정보화 사회이다.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신속하게 국경을 초월하여 전달하는 사회이다. 국제화 시대에 대학은 그러한 지식과 자료를 전달하는 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매개체로서 핵심기능을 담당해야 한다. 학생은 국제사회에서 활약할 장본인이며, 대학은 이러한 학생들에게 그들이 국제무대에 진출하여 잠재적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목단강사범대학교는 흑룡강성 동남부지역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 되었으며 규모면에서도 제일 크고 실력이 뛰어난 성급 4년제 종합대학교이다. 국가급의 우수한 관광도시이자 경치가 수려한 목단강에 위치하고 있는 목단강사범대학교는 설립한지 65년이 되었고 학교 면적은 105만㎡이다. 현재 16개 단과대학 50개의 본과학부가 있으며 대학원은 4개의 1급 학부, 22개의 2급 학부가 있다. 목단강사범대학교 국제교류 한국 업무 담당자로서 목단강사범대학교의 사례 조사와 문헌연구를 통하여 한·중 교육서비스의 국제교류에 관한 문제점을 진단하여 개선 방안을 제출한다. 현재 중국과 한국 대학교간 교류를 많이 진행하고 있으며 주로 정부초청장학생, 교환학생, 복수학위, 자비유학 및 어학연수, 3+1+2, 교환교수 파견 및 학술 교류, 문화예술 스포츠 및 자원공유 등 7분야에서 교류하고 있다. 한국 내 학위과정 유학생 수는 2000년 3963명에서 2015년 92,076명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중국인 유학생은 한국 전체 유학생의 76.6%를 차지한다. 그래서 중국인 유학생을 최우선적 유치대상으로 선정해야 한다. 중국 교육조직기관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상 중에서 해외 유학할 생각이 있는 중학교 이하의 학생은 22.58%, 중학교 학생은 32.26%, 고등학교 학생은 22.58%로 구성되어 있다. 유학 방식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84.85%의 학생은 에이전시를 선택한다. 대부분 학생들이 에이전시를 선택하지만 에이전시에 대한 만족도는 9.09% 불과하다. 중국인 유학생들이 유학 대상국을 선택 시 주로 국가 인지도, 한류 영향, 지리적 인접성, 유학 수속, 유학 경비 등 5가지가 대상 국적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대학 선택 시 대학의 인지도, 장학제도, 대학의 교육수준, 취업지원제도, 유학생 관리체계, 거주여건, 유학 에이전시기관, 어학원 서비스 등 요인은 선택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국가 관련 요인은 첫 번째 한류, 한중 양국은 수교한지 얼마 안 되지만 그동안 양국 간의 무역이 급속히 확대되고 수많은 한국 기업들이 중국에 진출해 중국인들은 한국 브랜드의 가전제품, 자동차, 화장품, 드라마, 음악, 한국 배우 등 쉽게 접촉할 수 있다. 두 번째 지리적 근접성, 지리적 근접성은 중국 유학생들이 유학 대학을 선택 시 유학 대학까지의 거리와 이동 시의 편의성을 포함한다. 세 번째 경제적인 요인, 경제적인 요인은 해당 국가에서 체류하는데 필요한 주거비, 생활비, 그리고 기타 경비를 포함 유학생들이 자신의 국가보다 경제적인 수준이 높은 국가로 가는 경우가 많다. 상기 내용에 대한 분석을 하여 아래 문제점이 존재한다고 사료한다. 첫 번째 지역적인 편중, 한국 내 중국

      • 보육교사의 인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행복감의 매개효과

        고아라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07

        Abstract The Mediating Effect of Happiness on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Ko ara Dongsh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Counseling Psychology (Advisor : Park Eun-M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happiness on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to provide basic data of counseling and education to improve personal and intrinsic happ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of childcare teacher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7 childcare teachers in a daycare center located in Gwangju and a survey is conducted to them.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the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in pers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test using SPSS 20.0 program;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appi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mediat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 (1986) was performed. Then,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sis regarding the correlations among major variables revealed that the personality of childcare teacher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are positively correlated.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ll variables. In detail,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that the higher the self-evaluation about the personality of childcare teachers, the higher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s. There was another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the sub-factor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s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 A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sub-factor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s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as well. Second,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 of happ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happiness was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that partially mediates in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on sub-factor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s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 In other words, happiness had a direct effect on the whole variables: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which are sub-variable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confirmed the correlation among the personality of childcare teachers,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happiness and showed that and happiness mediated the correlation. In light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should be promoted to make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infants more positive and smooth. Rich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counseling, educational programs, and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should be provided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국 문 초 록 보육교사의 인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복감의 매개효과 고아라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지도교수: 박은민)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인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보육교사인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 내적 요소 행복감 증진을 위해 상담 및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광주광역시에 소재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유아 보육교사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자료는 직접방문을 하여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Pearson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인성에 대한 자기 평가가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이 높아지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각 하위요인인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행복감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각 하위요인인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관계에서 행복감은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행복감은 보육교사 인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유의미한 매개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행복감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변인인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 전체변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본 연구의 논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인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행복감에 대한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행복감이 매개한다는 것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와 영·유아 간의 상호작용을 긍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행복감을 증진 시켜야 한다. 보육교사의 행복감은 다양한 자기 계발과 근무환경의 개선은 물론 상담과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신장하도록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 긍정심리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친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김수영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07

        (국문초록) 긍정심리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친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김 수 영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지도교수 : 박 희 현) 본 연구는 초등학생에게 긍정심리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친사회성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행된 긍정심리 교육 프로그램은 고영건, 김진영 등(2009)이 개발한 멘탈 휘트니스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여 총 9회기로 구성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K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6학급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 동질집단으로 인정되는 2개 학급을 선정하여 한 학급은 실험집단(N=21)으로 하고, 다른 학급은 통제집단(N=21)으로 하였다. 통제집단은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고, 실험집단에게 회기 당 40분 씩, 주2회 총 9회기를 실시한 후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학생을 대상으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고, 집단간 사전-사후 검사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고자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 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공감능력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둘째, 긍정심리 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친사회성이 일부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사회성의 하위영역인 도움주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나누기, 위안하기, 협동하기에서 상승효과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살펴볼 때, 긍정심리 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 을 향상시키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으며, 친사회성의 향상에도 일부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이 지니고 있는 강점을 계발하고 발휘 할 수 있도록 도우며 긍정적인 사고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행복한 미래를 살아 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 ACOAs의 부모음주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족지지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박다연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부모음주가 대학생 ACOAs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가족지지를 매개변수와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와 전라남도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임의로 표집하여 총 937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고, 주요변수인 부모문제음주정도, 대학생활 적응, 가족지지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조사도구로 부모의 문제음주정도를 선별할 수 있는 CAST-6, 대학생활 적응, 가족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상관관계, 매개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부모음주가 ACOAs의 대학생활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지지는 부모의 문제음주정도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부모문제음주정도를 독립변수로, 대학생활 적응을 종속변수로 하여 가족지지의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력이 가장 높은 변수는 가족지지였으며, 성별, 연령, 가구총소득, 부모의 문제음주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더불어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인 개인-정서적 적응에서 영향력이 가장 높은 변수 또한 가족지지였으며, 성별, 연령, 부모의 문제음주, 가구총소득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족지지의 조절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절모형회귀식이 성립되지 않았고, 가족지지가 ACOAs의 대학생활 적응에 완충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부모에게 음주문제가 있는 대학생 자녀의 대학생활 적응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가족지지를 향상시켜야 하며, 특히 대학생 중 ACOAs를 파악하여 전문적인 개입이 우선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더불어 ACOAs의 개인-심리적 적응 향상에는 가족지지가 중요한 요인이므로 가족지지의 향상을 위해 사회복지적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임의표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며, 향후 전국 수준의 확률 표집과 연구결과가 축적된다면 더 적합하고 실효성이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서 대학생 ACOAs의 대학생활 적응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한 포괄적인 연구 진행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effects of parental drinking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s of ACOAs who are undergraduates and verifies them by using family supports as mediating and moderating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andomly sampled from some universities located at Gyeonggi-do and Jeonnam areas by selecting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s enrolled at the universities. A total of 938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used in the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around the relationship among main variables such as degree of parental alcoholism (alcoholic problem), university life adjustment and family support. University life adjustment, CAST-6 family support scales were used as the study tools. By using IBM SPSS Statistics 21,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mediating regression and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collecting data. The principl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at the parental drinking has a negative effect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s of ACOAs. In particular, the family support was verifi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adjustments of ACOAs and their sub-factor, the individual-emotional adjustment. From the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of ACOAs, it was found that the variable which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s was family support, followed by gender, age, parental alcoholism and the households gross income. in order of effect. The results of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of ACOAs showed that moderating model regression equation was not established, and that the family support could not serve as a buffer for university life adjustments of ACO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may indicate that family support should be increased to enhance university life adjustments of undergraduates whose parents had alcoholism, and especially professional intervention must be empathized and an understanding of ACOAs among undergraduates is necessary. In addition, since the family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to enhance individual-psychological adjustments, so the social welfare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improve the family function whic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mily support. Since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through random sampling, it has a limitation of overgeneralization. Thus, if results of studies and nationwide probability sampling of ACOAs were collected in the future, more appropriate and effective results would be provided. Furthermore, a comprehensive study considering diverse variables to enhance university life adjustments of ACOAs who are undergraduates is necessary.

      •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이은지 동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광주, 전남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세 이상의 1~4학년 대학생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과 Baron & Kenny(1986)의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와 그릿, 진로태도성숙 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로 변인 모두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사회적 지지는 진로태도성숙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적 지지와 그릿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그릿과 진로태도성숙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그릿은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즉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고, 그 과정에서 그릿이 간접적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보여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회적 지지는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고, 그릿도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태도성숙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그릿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을 높이기 위해 사회적 지지와 그릿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대학생이 바람직한 진로를 선택함에 있어 중요한 진로태도성숙의 증진을 돕기 위한 진로상담 및 교육 장면에서 대학생 주변의 의미있고 중요한 타인인 부모, 친구, 교수로부터 사회적 지지가 매우 중요한 변수임이 확인되었으며, 대학생의 내적 요인인 그릿을 향상시키도록 도와주어 진로태도성숙 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주요어: 대학생, 사회적 지지, 진로태도성숙, 그릿

      • 건물지원 사업(보조금)을 통한 공장 유휴공간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경제성 분석

        오승아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07

        건물지원사업(보조금)을 통한 공장 유휴공간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경제성 분석 동신대학교 대학원 에너지공학과 (지도교수: 차 인 수) 2022년 4월부터 한국전력의 적자로 전기요금이 최대 41.6원/kWh 인상되었다. 한전 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 정부에서는 51.6원/kWh당 이상 인상해야 한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지속적 인상으로 일반 및 산업용 전기를 사용하는 공장에서는 고정비 증가로 소비자 물가인상률은 전년 대비 2.3% 증가하는 등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기요금인상을 능동적으로 대비하기 위하여 나주지역의 한 공장을 기준으로 정부 보조금 제도 중 건물지원 사업을 통해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설치할 때 경제성을 평가하고 지속해서 인상 중인 고정비용의 감소를 도모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태양광발전은 친환경 에너지로 에너지 비용 절감에 있어서 잠재력이 있는 사업이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설치하려면 초기 비용, 운영 및 유지관리비용 등 다양한 경제적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은 발전사업 초기 투자 수익률, 에너지 생산 및 고정비 감소, 그리고 시간 경과에 따른 투자 수익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러한 경제성 분석을 통해 공장을 운영하는 사업자가 태양광발전 시스템 설치로 인한 장기적인 경제적 이득을 통한 사업의 추진 도모를 위한 선택을 명확하게 이해하여 건물 유휴공간을 통한 사업성과 경제적 가치에 높이는 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며 보다 지속 가능한 미래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지역내 정착의도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 연구

        노윤진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진로 장벽, 지역 내 정착 의도 그리고 삶의 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진로 장벽과 지역 내 정착 의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 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을 제외한 비수도권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5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미회수 및 결측치를 제외한 432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대학생이 지각되는 사회적 지지, 진로 장벽, 지역 내 정착 의도, 삶의 만족 간 상관분석 결과,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삶의 만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 장벽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반면,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지역 내 정착 의도와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진로 장벽은 삶의 만족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지역 내 정착 의도는 삶의 만족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지방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 장벽과 지역 내 정착 의도는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 장벽은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진로 장벽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넷째,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지역 내 본 연구를 통해 사회적 지지, 진로 장벽, 그리고 지역 내 정착 의도가 지방대학생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규명하였으며,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는 지방대학생의 삶의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지방대학생을 위한 상담 및 교육 장면에서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주요어: 지방대학생, 삶의 만족, 사회적 지지, 진로 장벽, 지역 내 정착 의도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barriers and intention tosettle in the reg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local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440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local universities, excluding the metropolitan area. Data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for 432 subjects excluding missing value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social support perceived by local college students, career barriers, intentionto settle in the region, and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perceived by local colleg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There was a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barrier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andthe intention to settle in the region. In addition, career barrier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and settlement intention in the region showed a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Second,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and intention to settle in the region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career barrier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local university students, confirming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barri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local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intention within the region did not appear. Through this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and the intention to settle in the region were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local college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was confirmed. This provided basic data in seeking way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local college students, and was able to suggest various implications in the counseling and education scene for local college students.

      • 온라인 강의에서 스트릿댄스 전공자가 인식한 학습실재감 및 대학생활만족도가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

        문복주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강의를 수강한 실기중심의 스트릿댄스 전공자들이 인식하는 학습실재감 및 대학생활만족도가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라인 강의 경험이 있는 광주광역시의 4년제 대학교의 2, 3, 4학년 대학생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총 167부의 설문지를 배포 후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답변내용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7부를 제외한 160부의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연구목적에 따라 통계자료로 활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n 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진행하였고,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별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강의를 수강한 실기중심의 스트릿댄스 전공자들이 인식한 인지적 실재감은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강의를 수강한 실기중심의 스트릿댄스 전공자들이 인식한 감성적 실재감은 학습만족도에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학습지속의향에는 모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강의를 수강한 실기중심의 스트릿댄스 전공자들이 인식한 사회적 실재감은 하위요인 중 응집력만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온라인 강의를 수강한 실기중심의 스트릿댄스 전공자들이 인식한 대학생활만족도는 하위요인 중 교우만족만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 강의를 수강한 실기중심의 스트릿댄스 전공자가 인식하는 특수성에 집중하여 학습실재감 및 대학생활만족도가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를 통한 학습실재감 및 대학생활만족도가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유의한 영향력의 결과에 대입해보면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높일 수 있는 학습실재감 및 대학생활만족의 구축과 지원으로 실기중심의 스트릿댄스 전공자에게 저평가 되어 있는 온라인 강의가 향후에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인식되고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대학생 데이트폭력 경험자의 자기노출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 정신화와 의도적 반추의 이중매개효과

        조은량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데이트폭력경험자의 자기노출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의도적 반추가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이중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총 179명을 대상으로 자료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 model 6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트폭력 경험자의 자기노출, 정신화, 의도적 반추는 외상 후 성장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노출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신화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노출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노출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의도적 반추가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이중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상에 대한 자기노출은 정신화에 영향을 미쳐 외상이 주는 의미를 이해하고 수용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긍정적 의미를 탐색하는 의도적 반추의 인지적 기능을 촉진 시켜 외상 후 성장에 도달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데이트폭력에 관한 연구들이 가해요인, 피해요인 중심으로 살펴봤다면 본 연구는 데이트폭력 경험자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살펴봤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기존 선행연구들은 자기노출과 외상 후 성장, 정신화와 의도적 반추 등의 관계를 단편적으로만 검증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장하여 검증하고 이해하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자기노출, 의도적 반추와 같은 인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서적 측면을 모두 갖춘 정신화를 통하여 인지적 정서적 통합적 측면을 살펴봤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의 데이트폭력 경험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데이트폭력경험에 대한 변인 유형의 다각적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인터넷을 통한 자기보고식 설문으로 작성하였다. 인터넷의 익명성에 기대어 자기 방어적 응답과 왜곡이 섞여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추후 연구에서는 면접법, 관찰법 등을 함께 사용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정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role of whether mentalization and intentional rumination affect post-traumatic growth by sequentia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xposure and post-traumatic growth of college student dating violence experienced. To this e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79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nationwide,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using SPSS PROCESS macro model 6.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elf-exposure, mentalization, and intentional rumination of dating violence experienced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Second, mentalization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xposure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intentional rumination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xposure and post-traumatic growth.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xposure and post-traumatic growth, mentalization and intentional reflection were found to play a double mediating role sequentially. This means that self-exposure to trauma affects mentalization, helps to understand and accept the meaning of trauma, and promotes the cognitive function of intentional rumination to discover new possibilities and explore positive meanings to help reach post-traumatic growth.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f existing studies on dating violence focused on perpetrators and victim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growth of people who have experienced dating violence. Second, since previous studies have onl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xposure, post-traumatic growth, mentalization, and intentional rumination, it is meaningful to expand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rough this study. Third, it is meaningful that not only cognitive aspects such as self-exposure and intentional reflection, but also cognitive and emotional integration aspects were examined through mentalization, which is an emotional aspect.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udy men who have experienced dating viole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multilateral study on the types of variables for dating violence experiences. Third, this study was written as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rough the Interne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re is a mixture of self-defensive responses and distortions against the anonymity of the Internet.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research results by using interview methods and observation methods together.

      • 아동기 스포츠활동 경험이 대학생의 스포츠태도와 스포츠 참여, 지속적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산서성 대학생을 중심으로-

        위엔징제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아동기의 스포츠활동 경험이 성인이 된 대학생의 스포츠태도․스포츠활동 참여․지속적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규명하여 아동기 스포츠활동에 대한 필요성 및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긍정적인 스포츠태도 형성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또한, 대학생들의 스포츠 참여와 스포츠에 대한 지속적 참여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밝힘으로써 대학 시기의 스포츠활동에 대한 특성 및 중요성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중국 산서성의 대학에서 수학하고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스포츠태도, 스포츠활동 참여, 지속적 참여 의도의 관계 규명을 위해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구성된 설문지는 2023년 2월 2일부터 2023년 2월 28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자료 수집은 코로나 봉쇄로 인하여 연구대상자와의 직접 대면이 어렵기 때문에,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중국 온라인 설문조사 서비스 플랫폼 问卷星(www.wjx.cn)에서 연구대상자가 직접 설문지를 작성하는 자기기재방식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총 1,98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설문 응답이 부정확한 설문지 3부를 제외한 후 1,977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데이터의 실증분석은 SPS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아동기 스포츠활동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수행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독립표본 검정(t-test) 및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아동기 스포츠활동 경험에 따른 스포츠태도 형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고, 집단을 비교 후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넷째, 측정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및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하였다. 또한 측정도구의 내적일관성(Internal Consistency) 확인은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다섯째, 스포츠활동 경험, 스포츠태도, 스포츠활동 참여, 지속적 참여 의도 변인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스포츠활동 경험, 스포츠태도, 스포츠 참여, 지속적 참여 의도 변인 간의 인과관계 규명을 위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스포츠활동 경험, 스포츠태도, 스포츠 참여, 지속적 참여 의도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스포츠활동 경험 중 남성과 여성의 정서적 경험에는 차이가 없으며, 활동적 경험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스포츠태도 중 신체적 태도와 사회적 태도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개인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는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다. 학년에 따른 스포츠활동 경험, 스포츠태도, 스포츠 참여 활동, 지속적 참여 의도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는 검증되지 않았다. 전공계열에 따른 스포츠활동 경험, 스포츠태도, 스포츠 참여 활동, 지속적 참여 의도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스포츠활동 경험 중 정서적 경험에는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활동적 경험은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스포츠활동의 정서적 경험과 신체적 경험은 신체적 태도, 개인적 태도, 사회적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포츠활동의 정서적 경험은 정서적 태도의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적 경험이 정서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검증되지 않았다. 셋째, 스포츠태도가 스포츠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스포츠태도 요인 중 신체적 태도, 개인적 태도, 사회적 태도는 스포츠 참여 활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정서적 태도는 스포츠 참여 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지 않았다. 넷째, 스포츠태도가 스포츠 지속적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스포츠태도 요인 중 신체적 태도, 사회적 태도, 개인적 태도, 정서적 태도 순으로 지속적 참여 활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 참여가 지속적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스포츠 참여는 스포츠활동 지속적 참여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기의 스포츠활동 경험은 스포츠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으며, 이에 따라 아동기 스포츠활동 경험의 중요성이 밝혀졌다. 또한, 스포츠태도는 스포츠 참가에 중요한 예측변인임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으며, 이에 따라 스포츠태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스포츠활동에 대한 지속적 참여 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스포츠활동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체력을 증진 시키고, 여러 가지 질병 예방 및 비만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건강 측면의 신체적 태도를 높게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도출될 필요가 있다. 스포츠활동은 새로운 인간관계를 만들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적응성을 키워줄 수 있는 사회적 태도가 중요하며, 스포츠활동을 통해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스포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고 지속적인 참여가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스포츠활동이 자신감을 길러주고, 자기 발전의 기회를 제공하여 평생 스포츠 활동에 참여를 높일 수 있도록 스포츠활동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