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反射透過型觀測に基づいた超音波逆散亂定量CT : Quantitative ultrasonic inverse scattering computed tomography from reflection and transmission observation data

        김정순 東京農工大學 2002 해외박사

        RANK : 249615

        超音波逆散亂CTは音速と減衰に關する定量的な物理パラメ-タ畵像を再現することができ, 腦 內や乳房などの臟器を對象とした超音波定量畵像診斷を實現する方法として大きな期待が寄せられている. 從來の透過型超音波逆散亂CT法は, 基本的に對象物體全周りの360°の全周圍で透過型散亂波を觀測して, 物體の斷層像を再現するか法である. しかし, 人體への適用を考えた場合, 骨などの障害摘を回避する, デ-タ取得時間を短縮する. の2つの理由から觀測角を極力狹くする必要に迫られる. 本論文では, 物體背面に反財板を設けた, 反射透過型觀測デ-タに基づいた畵像再構成法を提案しこの問題に對處した. 本論文における, 各章の要約を以下に述べる. 第1章は, 本硏究に入る前のまえがきである. 最初の1.1前では, 現在の超音波畵像診法の醫用現 場における役割と, 將來の高度醫療を展望した性能要求について述べる. 本硏究では, こうした 要求に答えるために逆散亂CT法の導入を提唱し, そのため次節の1.2では超音波以外のX線や 電磁波, 光, 磁氣などを含めた, 醫用CTの硏究動向ならびに將來展望について述べる. 最後に,1.3節では, 以上の点を踏まえて, 內外における超音波逆散亂CTのこれまでの硏究經過などの硏究背景及び硏究目的そして, 本論文の構成について簡單に述べる. 第2章では, まず, 2.1では, 音波の物理的な振る舞いを支配する散亂波動方程式を示す. 續いて, 2.2では, 透過型觀測デ-タ に基づいた從來の線形化近似(後方傳搬リトフ近似)逆散亂CT法について說明する. CT法を醫療分野に適用するためには觀測角の制限とデ-タ收集時間の短縮が要求され, 2.3では, そのため に物體の後方にセ射板を設けた構成の反射透過型逆散亂CT法を提案する. ここでは, 物體を固 定した狀熊で送受信器を回轉する方式と, 反射に送受信器を固定して物體を回轉する. デ-タ觀測法の異なる二種類の方法を提示する. 各各の方法について, 鏡像の原理による透過型觀測モデ ルへの等價變換に基づいた. 逆散亂畵像再構成理論が示される. その結果, 從來の透過型CT法 では, 物體の全周圍の300°の範圍の觀測デ-タが必要であるのに對して, 本方法では實像デ-タと鏡像デ-タが同時に取得できるため, 半周圍の180°の角度範圍の觀測デ-タにより完全な逆散亂畵像再構成が可能である結果が示される. さうに, 單一照射デ-タだけでなく多周波の照射デ-タを用いる方法を提案し, これにより觀測範圍が180°以下の非常に狹い範圍に制限された場含においても本面像再構成か法がデ-タの欠落の影響を最小限に抑えることができる特徵があ ることを示す. 第3章では, 2章に提案された二種類の反財透過型畵像再構成法の畵像再構成理 論の有效性を檢증することを主目的にした性能評價試驗を行った. そのために. 180°の觀測角度範圍で單一周波數の制限のない完全な散亂波デ-タが取得できる基本的な觀測デ-タを用いた場含について, 以下のような性能評價試驗を行った. すなわち, 評價試驗として, 差分法を用いたシミュし-ションならがに實際の評價試驗の雙方について, 楕圓や三角形の任意形狀の生體模擬ファントムに對する觀測デ-タを取得し. 物體形狀ならびげ音速畵像の定量再現性能を評價した結果, 定量制度と形狀再現性能の雙方ともに良好な畵像が再現できる結果を示すことができた. これにより, 鏡像音源からの散亂波を無視する가定, 竝びに實像と鏡像かうの散亂波が分離できる가定など, 透過型の逆散亂理論の構築した際の前提條件が實際に滿足されていることが確認され, 提案した畵像再構成理論の有效性が檢증された. 第4章では, 觀測角が制限された場含に對する反射透過型畵像再構成法の性能評價試驗を行った. すなわち, 多周波數の照射波を用いて, 物體固定―送受信器回轉型と, 送受信器固定―物體回轉型の各各の方式について, 觀測角の制限がとこまで可能かどうかについての性能評價試驗を行った. ここで, 多周波の周波數は, 低周波數において觀測寸法ガ大きくなる問題を考慮して, 750kHzの基本周波數に, 600kHz, 470kHz, 300kHzの低域側周波數を加えた場合について行った. これらの現實的に實現可能な多周波の照射波を用いて, 第3章と同樣の生體模擬ファントム試料に對する畵像再構成評價試驗を行った. その結果, 送受信器固定―物體回轉型の觀測法を用いた場合, 實際の物體回轉が30°の狹い角度範圍で濟む結果が示された. さらに, もう一つの方式である送受信器回轉―物體固定型の觀測法では, 制限可能な送受信器の回轉角度範圍は50°となり前者に比べてやや廣い觀測角度範圍が必要であった. 何れの場合も從來に比べて格段に觀測角を狹くすることのできる逆散亂CT法を實現することが可能になった. 特に, 後者の方法は送受信器の回轉をリニアアレイプロ-ブの電子走査で濟ませることにより, 機械回轉が不要な逆散亂CTが實現できることになり, 實用上有益な方法を示すことができた. 最後に, 第5章が本硏究の全體的なまとめとした. The inverse scattering technique is expected to be useful to obtain quantitative acoustic parameter images of tissues in the human body. Ultrasound inverse scattering tomography is a method to reconstruct the cross-section of the object using the transmission scattered wave data collected by illuminating the object from many directions over 360 deg. So called diffraction tomography is based on the linearization of the wave equation under the assumption of the weak scattering condition against the object. With the use of the Fourier diffraction theorem, obtained observation data will fill up the circular arcs in the Fourier space. The object can then be reconstructed by inverse Fourier transformation. However, in many practical applications to human body, it is impossible to generate or receive plane waves from all directions around object. Frequently, the range of the incident angles is severely restricted by obstacles such as bone. Moreover, although the observation data from all direction is obtained, the measurement cost is very high because enormous amount of data are necessary. Therefore, it is strongly desired that the observation range is as possible as to be reduced for the realization of the ultrasound CT. This research work focused on finding new image reconstruction method to work out the problem described above. In this paper, to resolve the difficulties on observation, the four different image reconstruction method were proposed and detailed studies on the methods are presented. First, an inverse scattering image reconstruction method from reflection and transmission observation data with the arrangement of the reflector plate behind an object was proposed. The fundamental advantage of the method is that necessary aperture view angle decreases by half (i.e. 180 deg)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ransmission type method. The original method assumed that transmitter receiver was rotated around the fixed object. To this end, a technique is proposed based on the treatment of the conventional transmission inverse scattering problem using the mirror image theory. The reconstruction procedure is used so that the observation data. are backward propagated to the reflector center. The validity of the method is tested using simulated data from an elliptical object. As a, result, the precision of the reconstructed sound velocity image is verified to be almost satisfactory for the purposes of medical diagnostic applications. However, in this method, it has difficulty to measure the data when the incident wave direction is close to the reflector surface. Secondly, the modified method with rotation of the object and fixed transmitter receiver condition was proposed. Since the transmitter/receiver pair transducer is fixed at an appropriate direction,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first method are avoided by this method. Furthermore, the superior performance of this method is shown for the case in which the observation view range is limited to much less than 180 deg. The reconstruction procedure is used so that the observation data are backward propagated to the real or mirror object center, not to the reflector center as was used in first method. The validity of the method is tested using simulation and experimental data from the cylinderical, elliptical and triangular specimen. It is shown that the quantitative precision of the reconstructed sound speed images is fairly good. In particular, good image can be reconstructed even for the case when the observation view range is less than 120 deg. As mentioned above, the inverse scattering imaging method based on reflection and transmission observation data, which was previously developed by the proposed methods, is anticipated for its practical advantage in which the necessary range of observation view can be reduced to half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ull observation view. Thirdly, th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inverse scattering image reconstruction method using multi-frequency illumination was proposed in order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method against the restriction of the view range. For the better reconstruction of the image in limited view condition, the reconstruction procedure is used so that the observation data are backward propagated to the object center, not to the reflector center as was used in earlier method. The validity of the method is verified through the numerical examination by using the simulation data assuming arbitrary shaped triangular specimen. As a result,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precision of the sound speed values and reproducibility of the object shape in the reconstructed image was satisfactory even when the aperture view angle was limited to around θ = 50 deg.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present method provided the effective way to eliminate the use of mechanical rotation from the ultrasound CT data acquisition system. In practical, however, much more improvement is desirable against the limitation of the aperture view. For instance, data observations at the small transmitter angle should be avoided, since it necessitates the impractical very long reflector plate and array probe transducer. Lastly, a method using multi-frequency illumination data is applied as before. A modified method, which involves data observation carried out while rotating an object under the fixed condition of a transmitter/receiver pair, and a reflector was proposed. The validity of the method is tested through simulation examinations assuming a tissue-like arbitrary shaped triangular specimen. As a result, it was demonstrated that necessary rotation viewing range can be reduced to within θ = 30 deg. By the way, in order the method into practical use, it is indispensible that data acquisition can be accomplished without mechanical rotation. In this sense, the method assuming the rotation of the object described above is not appropriate in practice. But, the method has the merit that separation of the real and mirror data is much easier to he realized since transmitter angle is fixed at θT = π/4. In most cases, the advantage of elimination of mechanical rotation is much preferable. Suitable one should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practical requirements considering the tradeoff' relations described in this paper.

      • Ultra-Fine Powder Processing for Mullite Ceramics Prepared by Sol-Gel Method

        조용익 東京農工大學 1998 해외박사

        RANK : 249615

        본 논문은 졸-겔법으로 조제한 전구체 초미립자의 응집상태를 1GPa의 초고압성형법 및 콜로이드 과학적방법으로 제어해서 저온소결으로 치밀화와 소결체 조직의 미세화, 균질화의 달성을 확립하는과 동시에 Brownian dynamics법을 이용한 계산기 시뮬레션 등으로 해석방법의 확립도 시도했다. 제2장에서는 금속 알콕시드를 원료로 분자설계의 방법으로 합성한 화학양론조성의 뮤라이트 전구체 초미립자로부터 1GPa의 초고압 성형으로 고밀도성형체를 제작했다. 뮤라이트 전구체 미립자는 800℃로 가소해서 아모르파스상을 남긴 후에 1GPa의 고압성형으로 상대밀도가 최대 70%까지 상승했다. 이 고밀도 성형체는 1400-1500℃의 비교적 낮은 소결온도에서 치밀화되어 입경이 2-300nm이하의 미세한 조직과 상대밀도 95%이상의 뮤라이트 다결정체가 되었다. 제3장에서는 원료의 입경과 응집상태를 제어한 SiO₂초미립자와 γ-Al₂O₃초미립자를 균질하게 혼합하는 콜로이드 프로세스로부터 제작한 전구체를 대상으로 혼합법, 혼합조건에 착목해서 균일한 전구체를 조제할 수 있는 조건을 검토했다. 그 결과 콜로이드 프로세스로 균일한 전구체를 조제하기 위해서는 볼밀링 혼합이 효과가 있고 볼밀링과 1GPa의 등방초고압 성형으로 응집체 구조가 거의 부서져서 치밀한 충전구조의 성형체가 제조됐다. 이 성형체는 1400℃의 소결조건에서 치밀하고 미세한 조직의 뮤라이트 세라믹스가 되었다. 제4장에서는 SiO₂와 γ-Al₂O₃ 초미립자의 콜로이드 혼합시의 pH에 의한 해태로 응집상태를 Laser Doppler법인 전기 영동속도 분포와 원심침강법의 응집입경분포로 평가를 해서 해태로응집상태가 소결체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고찰했다. 또한 pH변화에 따른 해태로응집상태의 변화를 고찰하기 위해서 DLVO이론을 이용해서 해태로응집상태의 해석을 했다. 그 결과 pH를 4.4로 설정한 후 볼밀링 분제한 콜로이드 혼합계에서 보다 균일한 해태로응집 상태가 되고 이 조건에서 제작한 슬라리는 pH를 상승시켜도 안정하게 해태로응집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했다. 한편 pH=6에서는 불균일한 해태로응집상태가 생성되고 pH>9.5에서는 SiO₂와 γ-Al₂O₃가 분리되어 각각으로 응집체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했다. 더욱이 해태로응집상태의 불균일화는 소결체의 이상입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이 확인됐다. 제5장에서는 제4장에서 실험으로 얻어낸 pH에 의한 뮤라이트 젠구체의 해태로응집상태의 변화를 해태로계의 DLVO적 상호작용을 고려한 Brownian dynamics법을 이용한 계산기 시뮬레션으로 재현을 시도했다. 결과 pH에 다른 해태로응집구조의 변화에 대한 실험적 결과는 시뮬레션과 정성적으로 일치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시뮬레션법은 다종의 입자를 이용한 세라믹스 프로세스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 スズメノカタビラの生態·生理的特性とその制御に關する硏究 : Studies on the Ec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Annual bluegrass (Poa annua L.)

        박남일 東京農工大學 大學院 2003 해외박사

        RANK : 249615

        The roles for turfgrasses are changing from their earlier use as vegetation cover for sports grounds and for amenity purposes in urban areas to include other uses in revegetation of school grounds and for soil conservation purposes. These changed roles reflect changes in society nationally. Continuing maintenance of turf is essential, however, because turf is an eco-physiologically unstable vegetation and management systems for it need to ensure that turf is not invaded by weeds, fungi or harmful insects or else turf quality will decrease. Japan, with its high temperatures and humidity levels in summer, is located in the monsoon climatic zone of Asia. It follows that the Japanese environment for plant growth and revegetation is more favorable than in a semi-arid regions. The major problem remains, however, as to how best to maintain a mono-specific vegetation of turf. In parallel with changes in social structure and in the use and function of turfgrasses, the methods for managing turf must also evolve. Annual bluegrass is a member of the Gramineae that can behave as an annual or as a biannual having two growth cycles per year-one in spring and one in autumn. In golf greens irrigated in summer and mown closely, a third variant of annual bluegrass has evolved that has a perennial lifecycle. Control of annual bluegrass (Poa annua) in golf greens composed of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is a major problem in turfgrass and golf course management. The research to be described in this thesis investigates two aspects of these problems. The first aspect is to describe the eco-physiological patterns in growth of annual bluegrass relative to bentgrass and the second is to examine control methods for annual bluegrass by using the bispyribac-sodium salt that acts as an ALS (acetolactate synthase) inhibitor of amino acid synthesis. Annual bluegrass is the most troublesome weed in putting greens of golf courses where it is superior to bentgrass in its tolerance to hot, trampling and mowing induced by the watering, trampling pressure and low mowing on the green during summer. In this thesis the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re described for annual bluegrass and compared with those for bentgrass. Annual bluegrass emerged from all depths below the soil surface to 5 cm, whereas bentgrass emerged only from between soil surface to 4 cm dee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tions in germination of annual bluegrass seed in the low temperature index was less at germination of light index. Variation of annual bluegrass populations was measured using RAPD and was greater in populations collected from golf course, whether from greens, fairways or roughs, was less than that for collected from cultivated land and apple orchards. Annual bluegrass and bentgrass responded similarly to addition of phosphorus and potassium, but annual bluegrass was found to be not as responsive to nitrogen added as fertilizer as bentgrass, in that shoot dry weight of annual bluegrass was less at all treatments of nitrogen than for bentgrass. The comparative depths of rooting of the two species were compared shoot and root lengths of bentgrass were found to be greater in soil under dry conditions than those for annual bluegrass. The second aspect of this thesis was to investigate control methods for annual bluegrass, especially the use of a new herbicide and the methods for applying it to golf greens. The new herbicide was the bispyribac-sodium salt, an ALS inhibitor, which was studied for its selectivity to annual bluegrass relative to bentgrass. It was found that the density of annual bluegrass in golf greens decreased with application of a mixture of a low volume of bispyribac-sodium salt and either benfluralin or pendimethalin, both of which are pre-emergent herbicides. Annual bluegrass was shown to be controlled best by an application of either pre-emergent herbicides combined by monthly applications of bispyribac-sodium salt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for annual bluegrass (April-November). Bentgrass was little affected by this sequence of herbicide application and recovered quickly. The sequential application of a pre-emergent herbicide with repeated applications of bispyribac-sodium salt is recommended for use because it decreases the amount of total herbicide used and prevents bare patches from forming on the golf greens, thereby preventing the re-emergence of weeds including annual bluegrass. Application of a low volume of bispyribac-sodium salt applied sequentially was found to be effective at controlling annual bluegrass in golf greens containing bentgrass. It is concluded that this new result provides a practical method to overcome the problem of annual bluegrass as a major weed of golf greens.

      • Absidia zychae セリンタイプカルボキシペプチダ-ゼに關する分子生物學的硏究 : Molecular biological studies on the serine-type carboxypeptidase from Absidia Zychae

        이병로 東京農工大學 1993 해외박사

        RANK : 249615

        Carboxypeptidase(CPase)는 단백질, peptide의 C말단으로부터 아미노산을 순차적으로 유리하는 효소이다. 접합균류는 식품, 효소생산등에 널리 사용되 고있는 유용한 국균이지만, 그 국균이 생산하는 CPase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 다. 본 연구는 접합균류 29주에 대해 screening 을 하여 CPase생산성이 높은 Absidia zychae NRIC1199주를 발견하여, 그 균이 생산하는 CPase의 정제, 성 질 및 유전자의 clone화와 발현에 관하여 검토했다. 본 균은 2종류의 CPase 를 생산하며 각각을 CPZ-1 및 CPZ-2라고 명명하였다. 두 효소는 등전점이 다 른 것외에는 분자량, 안전성, 기질 특이성, 저해제의 영향, 아미노산 조성, 당 함량, 면역학적 성질, N-말단 아미노산 배열 등이 유사하였다. 두 효소는 peptide의 C 말단으로부터 두번째의 아미노산 잔기에 그 특이성이 지배되고 있었지만 기질의 petide의 쇄가 길어지면 산성영역에서 모든 C말단아미노산을 유리하였다. 또한 C말단 아미드화기질에 대해서는 amidase활성보다 carboxya midase활성을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로 부터, 본 효소는 Peptide 의 C말단 자동분석용 효소로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음으로, 본 효소의 구조와 기능을 유전자 수준에서 해명하기 위하여 효소 유전자의 clone화 및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A. zychae의 cDNA library를 λ gtll phage를 이용하여 만든 다음, CPZ-2의 항혈청을 사용하는 immunoscareen ing 및 본 효소의 부분 아미노산 배열에 대응하는 oligonucleotide를 probe 로 하는 2차 screening 으로부터 약 1. 4kbp삽입단편을 가진 양성 clone을 얻 었다. 이 양성 clone을 포함하는 삽입 단편 염기 배열을 결정한 결과 460아 미노산 잔기를 code하는 1개의 ORF가 존재하였다. 이 ORF는 CPZ-2의 부분아 미노산배열과 완전히 일치하는 배열을 code하였으므로 이 cDNA는 CPZ의 유전 자임이 명백해졌다. 이 유전자를 scpZ(Serine-type Carboxpeptidase Z)로 명 명하였다. cDNA를 probe로 하는 Southern hybridization 에 의해서 CPZ를 code하는 scpZ유전자는 genome당 하나가 존재하는 것이 시사되었고, CPZ-1과 CPZ-2는 같은 유전자 산물로서 전사 번역된 뒤, deamidation과 같은 수식에 의해 다양성이 발생한다고 추측된다. 培地中に活性型YCPZが生産された.YCPZは多量の糖鎖かイ寸加しており,小麥ふすま麴から抽出したCPZのN末端アミノ酸配列より15殘基長いN末端アミノ酸配列を有していた.YCPZの糖鎖をEndoFで除いたのち精製し,その性質を調べたところ,YCPZとCPZは比活性及び基質特異性がばほ同じであ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以上,本章ではCPZのタンパク質工學的硏究のためのCPZcDNAの酵母における發現系を確立した. 一方,酵母を用いた發現系では小麥ふすま培養物から得られたCPZよりも分子量約1,000大きい活性型YCPZが生産され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YCPZのN末端アミノ酸配列を調べたところGln-15から始まってい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これは小麥ふすま培養物から得られたCPZのN末端アミノ酸配列とは異なっていた.以上のことから,酵母では正しい立體構造を形成するかAbsidiaのプロセシシグとは異なる機構でプロセシングが起きていると考えられた. 酵母で分泌されたYCPZのN末端アミノ酸配列から,酵母ではArg-17-Arg-16-Gln-15配列の2つの▣基性アミノ酸のカルボキシル側が切斷されてい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酵母では,2つの▣基性アミノ酸が竝んでいる配列のカルボキシル側を特異的に切斷するKex2proteaseが知られている223-225}.酵母で發現したYCPZはKex2proteaseによりプロセシングされているものと考えられた. YCPZとCPZの比活性,基質特異性などがほほ同じであることから, pGWCPZを用いた酵母での發現系は,CPZの性質改變などのタンパク質工學的硏究に必須な手段になるものと考えられた. 第5節要約 CPZの性質改變などタンパク質工學的硏究のため,活性型CPZの發現系について檢討を行った.遣傳的背景が最もはっきりしている大▣菌でCPZcDNAを發現させると,小麥ふすま培養物から得られる活性型CPZよりも分子量約3,000大きい,酵素活性のないプロタンパク質と思われるECPZが菌體內に蓄積された. CPZcDNAをYEp型發現ベクタ-pG-3を用いて酵母で發現させると,

      • マランゴニ效果による LiBr 水溶液中への水蒸氣吸收促進機構 : Mechanism of steam absorption enhancement into the aqueous solution of LiBr by the marangoni effect

        이동호 東京農工大學 1991 해외박사

        RANK : 249615

        본 논문은 흡수식냉동기 및 열펌프의 성능향상의 일환으로 사용되고 있는계면활성제 첨가에 의 한 마랑고니대류가 흡수촉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힘과 동시에고성능 흡수기개발의 지침을 제시한느�열펌프는 공조용뿐만아니라 공업용가열, 냉각용 및 최근 각광을 받고있는 열병합발전등 폭넓걋�가능한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열펌프는 증발기, 응축기, 흡수기, 재생기의주요환기로 구성되어 있으나, 흡수기에 대해서는 열 및 물질이동이 공존하는복잡한 현상을 수반하기 아직까지 미지의 점들이 많이 남아있다. 현재의 공업용 열펌프에는 n-Octanol과 같은 고급알코올읏毓柳뼁�미량첨가하여 물질이동을 촉진시키고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첨가는 흡수용액의 표의 불균일을 일으켜 흡수용액을 교란시킴으로서 열 및 물질이동촉진 방법으로폭넓게 이용되고있눴�계면활성제 첨가에 의한 흡수기내의 흡수촉진과정에대한 해석 및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뼁П릿�진행되어 있지 않으며불명확한 부분이 많이 남아있다. 본 연구는 H²O/LiBr에 계면활성제�c tanol을 사용하여 냉매증기흡수시의흡수기내의 열 및 물질전달촉진 현상에 대해 흡수실험 및 실험을 병행함과아울러 수치. 이론해석을 시도 흡수기에 경험적으로 이용되어 왔던 고급알코올계걍╂�흡수촉진기구를 해명함과 아울러 일반적으로 흡수싸이클에 지배적인흡수기의 고성능화를 꾀, 흡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성능 종형액막낙하식 흡수기 전열면의 제시 및 계면활성제 선택을 제시하였다. The global nuclear nonproliferation regime (the NPT regime), based on the NPT, the IAEA, the UN, and the NSG, tends to rely on the supply-side strategic options such as export controls, diversion controls, and punitive sanctions. However, in spite of its remarkable achievements, the NPT regime reveals its limitations in halting nuclear proliferation. In this situation, the demand-side strategy, based on the strategic bargaining for reducing the aspirations of a proliferator for nuclear weapons, emerges as an alternative to nuclear nonproliferation, The North Korean case of nuclear proliferation (from mid 199 1 to December 1995) is an exemplary one which showed the potential of the demand-side strategy. As the NPT regime failed to fully dissuade North Korea from going nuclear, the U.S. and South Korea stroke several bargaining deals with North Korea in order to denuclearize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tried to protect or promote its national interests by using its nuclear proliferation option as bargaining leverage. Meanwhile, the U.S. and South Korea adopted diverse strategic options which could affect the incentives and disincentives of North Korea for nuclear weapons. North Korea, South Korea, and the U.S. as bargaining parties faced a variety of uncertainties which they had to cope with in order to enhance the procedural or substantive rationality of their strategic choices. In the strategic bargaining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dispute, the patterns of uncertainty management (uncertainty ignoring, uncertainty reduction, uncertainty accommodation, and uncertainty overlooking) influenced the strategic choices of North Korea, South Korea, and the U. S.(conceding strategy, demanding strategy, and compromising strategy). Moreover, the patterns of uncertainty management also affected the bargaining outputs (conflict, cooperation, and capitulation) by influencing the combination of strategic choices of bargaining parties. Uncertainty as a critical variabl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ynamicity of the strategic nuclear bargaining.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ree dimensions. In theoretical term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developing the managerial approach to uncertainty which is newly emerging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he analytic approach to uncertainty. In practical terms, this research helps the understanding of the nuclear incentives, bargaining strategies, and bargaining tactics of North Korea as a nuclear proliferator. In policy terms, this research shows the weaknesses of the supply-side options of the NPT regime, especially the IAEA nuclear inspections and the UN sanctions. Meanwhile, this research reveals the limitations and potential of the demand-side strategic options which can be selected within or beyond the NPT regime. Index Words: Analytic approach, Conflict, Cooperation, Diversion controls, Export controls, IAEA, Managerial approach, NPT, NPT regime, North Korea, Nuclear Incentives, Nuclear nonproliferation, Nuclear proliferation, Punitive sanctions, Strategic choice, Supply-side strategy, UN, UN Sanctions, Uncertainty, Uncertainty management,

      • アカマツ苗の成長, 榮養狀態およびガス交換速度におよぼす土壤酸性化の影響に關する生理生態學的硏究 : Ecophysiological studies on the effects of soil acidification on the growth, nutrient status and photosynthetic rates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이충화 東京農工大學 1998 해외박사

        RANK : 249615

        산성우 등 산성강하물에 의한 토양산성화가 동아시아지역의 산림수종에 미치는 영향 및 산림생태계에 대한 산성강화물의 임계부하량 평가에 관한 기초적인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한국의 주요한 침엽수인 소나무 묘목을 인위적으로 산성화시킨 갈색산림토양에서 육성시켜 성장, 영양상태 및 가스교환속도를 조사하였다. 토양용액의 Al 농도는 토양의 H^+ 부하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또한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은 토양의 H^+ 부하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소나무 묘목 지하부 Al 농도의 증가는 엽내 Ca 및 Ma 등과 같은 식물생장 필수원소 농도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과 토양용액의 (Ca+Mg+K)/Al 몰비와의 사이에 높은 상관이 있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양용액의 (Ca+Mg+K)/Al 몰비가 7.0 이하로 낮아지면 건물생장이 감소가 발생하고 몰비가 1.0일때의 건물생장은 대조구에 비하여 약 40%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토양용액의 (Ca+Mg+K)/Al몰비의 이용은 산성강하물에 대한 임계부하량 평가에 중요한 指標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토양의 H^+ 負荷量이 증가함에 따라 소나무의 純光合成속도는 저하되었으나, 暗呼吸速度 및 蒸散速度는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이때 광합성의 量子收率(quantum yield) 및 CO₂ 固定效率(carboxylation effciency)이 저하되어, 산성화시킨 토양에서 육성한 소나무 묘목은 光化學系 및 CO₂ 固定系의 活性沮害가 示唆되었다. 소나무 유묘의 생장, 영양상태 및 가스교환속도에 미치는 Al과 Mn의 단독 및 복합영향을 수경재배법에 의하여 조사한 결과,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에 대한 Al과 Mn의 단독영향은 인정되었다.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을 감소시키는 배양액의 Al 및 Mn농도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Al은 10ppm이상, Mn은 60ppm의 농도에서 건물생장저하가 발현되었다. 뿌리의 암호흡속도는 Al의 경우 60ppm의 농도에서 건물생장저하가 발현되었다. 뿌리의 암흡속도는 Al의 경우 60ppm에서, Mn의 경우는 30ppm이상의 농도에서 저하하였다. 식물체내의 Ca농도 및 순광합성속도를 유의적으로 저하시키는 Al 및 Mn처리의 농도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크로로필함량에 있어서는 Al의 영향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60ppm의 Mn처리에 의해서 유의적으로 저하하였다. 소나무 묘목의 RGR 및 NAR은 배양액의 Al과 Mn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저하하였다. 또한 배양액의 Al과 Mn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순광합성속도도 저하하였다. 따라서 소나무 묘목의 RGR 및 NAR의 저하는 광합성저해가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 都市中小河川における脫窒過程に關する硏究 : 自然淨化機能としての評價 = Study on the denitrification in urban river system : evaluation of its role as a natural purification mechanism

        오종민 東京農工大學 1992 해외박사

        RANK : 249615

        본 연구에서는 질소에 대한 자정작용으로서의 탈질작용이 하천수질의 향상에 기여하는 역할의 정량화와 하천개수가 탈질작용(자정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검토하였다. 1. 도시하천으로서 동경도의 野川을 대상으로 수로화된 하천(콘크리트하상) 과 자연상태를 보존하고있는 하천(자갈, 모래하상)에 대한여 탈질활성을 측 정하고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와의 관계를 실내실험을 통하여 검토 하였다. 2. 유입부하량에 대한 탈질에 의한 질소제거량으로부터 자정능력을 추정하 였다. 3. 실내실험을 통한 탈질활성과 주된 환경요인으로부터 추측되는 관계식을 만들어 도시하천의 탈질활성을 일반화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다음 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도시하천의 탈질활성은 수 mgN/m²/h이었으며, 자연 정화기능으로서의 역할은 질소유입부하량의 수 %가 탈질에 의해 제거되었고 탈질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부착미생물군집 내부의 혐기적인 조건 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 본연구에서 얻어진 관계식으로부터 도시하천의 탈 질활성을 예측가능하게 되었다. 더우기 도시하천의 자연정화기능을 충분히 고려한 형태의 하천환경의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住民主体による親水空間の維持管理の活性化に關する硏究 : 農業水利施設を利用した親水施設を中心に = A Study on the Management Activity of Amenity-oriented Water Space through Residents’Initiative : A Case of water of Facilities for Agricultural Use

        양용석 東京農工大學大學院 2005 해외박사

        RANK : 249615

        주민 주체에 의한 친수 공간의 유지 관리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농업 수리 시설을 이용한 친수 시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nagement Activity of Amenity-oriented Water Space through Residents' Initiative -A Case of Water of Facilities for Agricultural Use- 양용석 (Yang Yong Seok) 1970년대부터, 하천의 기능 중에서도 「친수 기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각종 친수 공간 정비 사업이 실시되어 왔다. 전국적으로 조성된 친수 공간은 주민에게 환경·휴식·운동·커뮤니케이션의 장소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친수 공간 정비 사업은, 1980년대부터 농촌 지역에서도 전개되어 졌다. 근년, 친수 공간정비사업에 이용되고 있는 공법으로는, 자연친화적공법이 많이 사용되고있다. 자연친화적 공법의 경우, 사용되는 재료의 특성상, 일반적인 콘크리트 제품을 사용한 기존의 공법보다 많은 유지 관리 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행정만의 유지관리에는 인력,예산상의 한계성이 있으므로 지역 주민이 주체가 된 시설유지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농촌 지역은, 지역의 특성에 알맞은 유지 관리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본 연구는 농촌 지역에서 실시되고 있는 친수 시설의 유지 관리 활동의 실태를 파악하여, 활동의 주체에 의한 타입을 분류, 각각의 특성을 정리했다. 그리고, 그 중 “전통 유지형 지역”의 우수 사례 지역연구를 통해서 주민 주체의 유지 관리 활동 활성화 요인을 고찰했다. 논문의 내용은 이하와 같이 요약된다. 제1장 서론에서는, 기존 연구 정리, 용어를 정리, 연구의 목적과 배경에 대해서 논했다. 제2장 유지 관리 단체의 특성에 의한 유지 관리 활동의 차이에서는, 조사 지역을 대상으로, 유지 관리 단체의 특성에 의한 유지 관리 활동의 차이·특성을 정리하고, 그 결과와 3개의 비교 항목을 통해, 유지 관리의 형태를 3가지로 분류했다. 제3장 전통 유지형 지역에 있어서의 유지 관리 활동의 실태 파악 검토 및 유형화에서는, 유지 관리 활동에 관한 지역 주민의 주체성과 의식을 검토했다. 조사대상지역의 비교 분석하여 “전통 유지형 지역”의 분류 기준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제4장 주민 주체의 유지 관리 활동의 활성화 요인에서는, 주민 주체의 활성화 요인을, 취락별, 요인별로 나누어 분석했다. 제5장 유지 관리 활동 활성화 요인의 비교 분석에서는, 유지 관리 활동 활성화 요인간의 정량적인 비교를 위해서, 취락과 개인 레벨로 나누어 통계 분석을 실시했다. 제6장 연구의 총괄에서는, 본 연구를 종합적으로 고찰해,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의 성과와 과제를 대하여 정리하였다. 연구 성과로서는, 유지 관리 형태에 의한 유형의 분류, 유지 관리 활동 활성화 요인 및 요인간의 기여도를 분석하였으며, 향후의 과제에 대해서는, 보다 객관적인 분류 기준의 작성, 세대 교체 문제 해결을 위한 보다 많은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1970年代から, 河川の機能の中でも「親水機能」に對する關心が高くなり, 都市部を中心に各種親水空間整備事業が實施されてきた. 全國的に造成された親水空間は住民に環境·休息·運動·コミュニケ-ションの場所等多樣な機能を提供している. このような親水空間整備事業は, 1980年代から農村地域でも展開されてきた. 近年, 親水空間整事業に用いられている工法としては, 近自然工法が多い. 近自然工法の場合使用される材料の特性上, 一般的なコンクリ-ト製品を使用している旣存の工法よりも多くの維持管理勞力が必要とされており, 地域住民が主體になり施設の維持管理することが要求されている. そのような地域住民が主體となった「住民參加」については, その必要性や利點, 仕組みなどについて多くの硏究がなされている. しかしながらそのほとんどが都市部を對象としたものであり, 都市部とは親水空間の規模·種類·利用の形態と利用者の特性が異なる農村地域においては, 都市部とは異なる視點でのアプロ-チが必要である. また, 急激な混住化の過程を經て農村固有の特性に變化を生じている農村地域の場合は, 地域の特性に適應した維持管理方法に關する硏究が必要である. このような背景から, 本硏究は農村地域で行っている親水施設の維持管理活動の實態を把握し, 活動の主體によるタイプを分類して, それぞれの特性を整理した. そして, そのうち傳統維持型の優良事例地域の硏究を通じて佐民主體の維持管理活動活性化要因を考察した. 論文の內容は以下のように要約される. 第1章 序論では, 硏究の背景について述べ, 旣往硏究を整理した. また, 本硏究のキ-ワ-ドになる用語を整理し, 本硏究の目的を 1) 農村地域における親水施設の維持管理浩動の特性を解明する, 2) 住民主體の維持管理の活性要因を析出をする, 3) 農村地域における親水施設の維持管理活動のあり方に對する提言を行う, こととした. さらに硏究假說を設定して, 本硏究の全體構造を示した 第2章 維持管理團體の特性による維持管理活動の差異では, 千葉縣睦澤を調査地域をとして, 維持管理團體の特性による維持管理活動の差異·特性を整理し, その結果と三つの比較項目(維持管理活動の參加形態, 團體所屬の有無, 親水的利用の有無)を通して, 維持管理の形體を「傳統維持型」, 「地域內ボランティア型」, 「中間型」に分類した. そして, 相關關係分析の結果, 地域注民の維持管理活動への參加は, 個人的な屬性より事業の計劃段階での住民參加が充實するほど, 活發になることを明らかにした. 第3章 傳統維持型地域における維持管理活動の實態把握檢討及び類型化では, 優良事例地域である滋賀縣甲良町の實態調査を通じて, 維持管理活動に關する地域住民の主體性と意識を檢討した. その結果, 維持管理活動への高い參加率だけではなく維持管理活動に關する住民主體の强い意識が地域全體に定着している實體を把握し, 持續的な住民主體の維持管理活動に對する高い可能性を見出した. そして, 第2章で考察した維持管理形熊の特性による分類方法を用いて類型化し, 睦澤地區との比較分析を行った. その結果, 甲良町は, 管理形態において地域住民で構成された旣存の維持管理團體が農業施設としての强い意識を持って, 以前から持續的な活動を行っている睦澤地區の鎭守川と非常に類似したパタ-ンの地域であることが明らかなになった. この結果から, 傳統維持型の分類基準の妥當性が檢證された. 第4章 住民主體の維持管理活動の活性化要因では, 甲良町の住民主體の活性化要因を, 集落別, 要因別に分けて分析した. その結果, 地域施設整備事業の計劃段階で住民參加を誘導するために實施した各種取り組みへの參加率, 維持管理活動の主體に對する意識が, 集落間の維持管理活動の差の要因となっていることが示峻された. 地域全體に影響を及ぼした活性化要因としては, 地域を住民自ら維持管理しようとする傳統的な要因が元になって「佐民參加を前提にする新しか方式の公共事業の實施」「集落と行政間の合意形成のために形成したネットワ-クの成功」「外部專門家による學習プログラムへの住民參加」が複合的に作用し, 住民主體の維持管理活動活性化が可能となっていたことが明かにされた. 第5章 維持管理活動活性化要因の比較分析では, 維持管理活動活性化要因間の定量的な比較のために, 集落と個人レベルに分けて統計分析を實施した. その結果, 集落レベルでは, 集落の規模と維持管理活動の參加要因との間の相關關係は弱かった. しかし, 維持管理活動が活發な集落においては, 維持管理活動と住民主體の意識との相關關係が强かった. 個人レベルでは, 事業の計劃段階での參加と維持管理活動の住民主體性に對する意識が, 維持管理活動の參加との高い相關關係を持っていた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第6章 硏究の總括では, 本硏究を總合的に考藥し, 假設が檢證されたことを示し, 本硏究の成果と課題を析出した. 硏究成果としては, 維持管理形態による類型の分類, 維持管理活動活性化要因を考察できた. 今後の課題については, より客觀的な分類基準の作成, 世代交代問題解決のためのより多くの硏究の必要性を提示した.

      • 牛乳脂肪球皮膜の主要糖タンパク質であるPAS-6とPAS-7に關する生化學的硏究

        김동현 東京農工大學 1990 해외박사

        RANK : 249615

        유지방이 우유중에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유선세포의 세포막 유래의유지방구피막(Milk fat globule membrane:MFGM)에 의해 피막되어 있기 때문이다. MFGM은 생체막 유래이기에 여러 종류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주로 지질과 단백질로 거의 과반수로 차지하고 있다. 단백질 부분은 약 40여종의 Polypeptide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중요한 당단백질(PAS-1~PAS-7) 7종류가 알려져 있다. MFGM에서 구성단백질인 PAS-6과 PAS-7은 분자량이 비슷할 뿐만 아니라, MFGM에서의 존재위치, 각종 염에 의한 추출성,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소화성 등이 유사하여 간단히 식별하기 어려우나, Lectin인 Concanavalin A 에 대한 新和性의 차이에 의해 구별가능하다. 더우기 MFGM에서 중요 구성 당단백질인 PAS-6과 PAS-7은 MFGM의 전구체로 생각되는 유선세포의 세포막에 서는 검출되지 않으므로, 당쇄(糖鎖, Sugar chain)의 생합성과의 관련에 흥미깊은 단백질이다. 본 연구에서 MFGM을 구성하고 있는 PAS-6, PAS-7 당단백질을 정제 분리하여생화학적 특성과 당쇄 구조를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 MFGM 정제방법의 개량에 의해 PAS-6과 PAS-7 당단백질의 회수율을 높이 는데 가능하게 했다. 2. PAS-6과 PAS-7의 생화학적 연구에 의해, 불균일성의 당쇄를 가진 당단백질임을 확인했다. 3. 당쇄구조에 있어서 PAS-6에는 N-결합당쇄와 O-결합당쇄가 확인되었으며,PAS-7에는 N-결합당쇄만 존재하는 것을 확인 했다. 4. 당쇄구조 해명에 있어서, 당단백질을 히드라진 분해후 분리한 당쇄를 2-aminopyridin으로 형광라벨시킨뒤, HPLC용 이온교환 Column으로, 산성당쇄와 중성당쇄로 분리했다. 중성당쇄는 HPLC용 Gel filtration column과 reversed phase column을 이용하여 당쇄크기에 의해 분리 정제하였다. 분리정제한 Sugar chain(당쇄)은 exoglycosidase에 의해 효소분해, 부분 acetolysis에 의해 생긴 oligosaccharide의 size분석, 메칠화 시킨뒤 GC-MASS 분석에 의한 당쇄 구조를 해명했다. 본 연구에 의해 유지방구피막 중요 당단백질의 Sugar chain의 구조가 처음 으로 해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