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사이버대학의 학습자 지원행정 서비스의 운영개선 방안 연구 : S사이버대학교를 중심으로

        윤성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Online universities has little burden of education space unlike general universities and become educational sites once they have computers and internet. In Korea, they have started since 2001 and rapidly grown quantitatively and there are 19 schools including 17 four-year colleges and 2 technical colleges as of 2009. It is apparent that online universities achieve the expected results as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es providing education service escaping from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However, the schools provided in article 22 of Lifelong Education Law has caused various social problems as they had only legal basis composed of simple contents regarding the facilities unlike general universities provided in Higher Education Law. Thus, Higher Education Law was revised so that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in the form of online universities under Lifelong Education Law could be converted to cyber universities, they could be established as or converted to cyber universities under Higher Education Law from lifelong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form of online universities under Lifelong Education Law since regulation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online universities has been legislated and enforced. This thesis considered literature search in order to draw improvement method for administrative service for learner support in all the online universities which had been divided into Higher Education Law and Lifelong Education Law and implemented satisfaction survey about administrative service for learner support for students attending S cyber university along with comparison and research of the service among cyber universities. On the basis of this, following improvement methods were drawn. First is building of computer system where Non-Stop Service of administrative support for learners and implementation of systematic and various methods for guide. Though 19 online universities and cyber universities in Kore exist on the basis of Internet, administrative support operation for learners had many imperfections in computerization level. Second, the fact that guidance to kind, method for utilizing and procedure of administration service for student support was very poor should be urgently supplemented and improved. In case of several schools, even guidance to school regulations, scholarship, and issuing of various licenses as well as change of enrollment status was not enough, even when they are guided, it proved that they were very insufficient and there were many problems in accuracy, reliability and swiftness of information related to this. Third, reliability should be secured through exact notice of school information. Only few universities of 19 cyber universities in Korea were making an official announcement on general status of school through 'University Information Notice'. As exact posting of information for students, especially, selection criteria for scholarship student, benefit rate of scholarship, and change rate of enrollment help students build trust on the university they attend, it is an item that should be improved to enhance satisfaction of students. Fourth method is creating exclusive counseling department for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for learners and strengthening support operation for students. As cyber universities can not help focusing on counseling through computer using internet rather than face to face or telephone counseling,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unseling department for computer/telephone response responsible for administrative support for students. Currently, every cyber university guide telephone inquiries and counseling through main number but it is not a unified response system through exclusive department but employees for administrative operation manage to do telephone/computer operation. Thus, it is estimated that absence of exclusive department or unspecialized operation have bad effects on professionalism of employees, swiftness of task, and kindness evaluation of employees, so student support oper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establishment of exclusive departments or placement of professional counselors. Fifth method is to present standard for cyber universities in Korea and to strengthen efforts to work out their own salvation through constant evaluation.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evaluated online universities in Korea in 2007, which was implemented to lead voluntary and active development of universities through the evaluation of online universities, and guide substantial online education to which change of age and social needs applied through enhancement of development of online universities, social responsibilities and public confidence by presenting problems and improvement methods. However, after evaluation in 2007, reevaluation was implemented only for universities whose level were 'average' and 'required to be improved' and there was no further evaluation.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cyber universitie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induce measures through constant evaluation and presentation of raised standard for all the cyber and online universities. 우리나라 원격대학은 2001년도부터 운영되기 시작해서 2009년도 현재 17개의 4년제 대학과 2개의 전문대학을 포함하여 총 19개의 대학으로 빠른 양적인 성장세를 보여 왔다. 원격대학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육기관으로서 평생교육 진흥에 공헌을 하여 왔으나, 일반대학과 달리 시설 등에 관하여 간단한 내용만 법적 근거를 갖고 있었기에 여러 사회문제를 일으켜 온 것도 사실이다. 이에 평생교육법에 따른 원격대학 형태의 평생교육시설을 사이버 대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고등교육법이 개정되고, 사이버대학 설립·운영 규정이 제정 및 시행됨에 따라 그간의 평생교육법 산하 원격대학형태의 평생교육시설에서 고등교육법 산하 사이버대학으로 설립 및 전환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현재 고등교육법과 평생교육법으로 이원화되어 있는 전체 사이버대학들에 대한 학습자지원행정서비스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전체 사이버대학별 학습자지원행정서비스의 비교·조사와 함께 S사이버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자지원행정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습자 행정 지원업무의 Non-Stop Service가 가능한 전산시스템의 구축 및 체계적이고 다양한 안내방법의 구현이 요구된다. 국내 19개의 원격대학과 사이버대학은 그 근본 운영 바탕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에 대한 행정지원업무가 전산화 정도에 있어서 많은 미비점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학생지원행정 서비스의 종류, 이용방법, 절차 등에 대한 친절하고 세밀한 안내가 필요하다. 몇 학교의 경우, 학적변경에 대한 안내는 물론 학칙, 장학, 각종 증명서 발급 등에 관한 안내조차 이루어지지 않거나 안내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된 정보의 정확성, 신뢰성, 신속성 등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교내 정보의 정확한 공시를 통한 신뢰성 확보가 필요하다. 국내 19개 사이버대학 중 극소수의 대학만이 ‘대학정보공시’를 통해 교내의 제반 현황에 대한 공시를 실시하고 있었고, 특히 장학생 선발기준, 장학수혜율, 학적변경율 등의 정확한 공시 등은 재학생 만족도 제고를 위해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항목이다. 넷째, 학습자 행정지원서비스를 전담할 상담부서의 신설 및 학생지원업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면대면 상담보다는 전화 혹은 인터넷을 이용한 전산상담이 중심이 될 수밖에 없는 사이버대학의 특성상, 재학생의 각종 행정지원서비스를 전담할 전화/전산 상담부서의 설치가 필요하다. 현재 모든 사이버대학이 대표번호를 통해 전화문의 혹은 상담을 유도하고 있지만, 전문부서의 부재 혹은 업무의 미분화로 인하여 직원의 전문성, 업무처리의 신속성, 직원의 친절도 평가 등에서 악영향을 끼치고 있기에 전담 상담부서의 설치 혹은 전문 상담원의 배치를 통하여 학생지원업무를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국내 사이버대학에 대한 기준의 제시와 지속적인 평가실시를 통한 자구노력 강화가 요청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국내 원격대학의 자율적이며 적극적인 발전을 유도하고, 각 대학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원격대학의 발전과 사회적 책무 및 공신력 제고를 통해 시대변화와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원격교육의 내실화를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7학년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당시 ‘보통’과 ‘개선요망’ 등급의 학교에 대해서만 2008년에 재평가를 실시하였고, 이후에 평가가 실시된 적은 없다. 국내 사이버대학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는 전체 사이버대학 및 원격대학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와 상향기준제시를 통한 대학측의 자구책 마련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 第 7次 敎育過程 中國語 基本語彙 選定의 再考察 : 言語의 常用性을 中心으로

        강민희 成均館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一般語言的使用能力取決于對詞匯的准確理解和詞匯量。一般人認爲不知道詞匯的話, 畿乎不可能進行對話。因此, 通過學校敎育和社會生活學習詞匯, 提高語言使用能力, 掌握更多的知況。在這個層面上, 對語言敎育來說, 選定基本詞匯就顯得非常重要。因爲以基本詞匯爲基礎, 可以確定敎育體系。特別是爲了外國人的語言敎育, 基本詞匯的選定最重要。因爲根据基本詞匯, 可以選定學習階段, 構成敎材, 幷由此限定學習范圍。 本硏究對象是構成現行高中中國語(Ⅰ)敎科書的第7次敎育課程漢語基本詞匯。本論文考察本詞匯表是否由以提高學生交流能力的常用性詞匯所構成, 以'語言的常用性'爲中心, 進行了硏究。爲此比較了第7次敎育課程基本詞匯(773個)和漢語基本詞匯, 考察了其常用性和客觀性。而且, 考慮到學生爲韓國人, 立足于學生的母語常用性的詞匯選定, 同時和韓國語的基本詞匯作了比較。 本硏究由4章構成, 具體介紹如下. 1)第1章介紹了硏究的目的, 方法和范圍。 2)第2章, 第7次基本詞匯和漢語, 韓國語基本詞匯各選了17個, 從意義等各項出髮, 進行了分類比敎。本硏究的詞匯分類以<<現代漢語分類詞典>>爲標准進行, 爲此, 還一幷選擇了<<漢語水平詞匯與漢字等級大綱>>和在中國出版的對外漢語敎材中北京大學和北京語言文化大學出版的4本敎材, 把頻出詞匯共772個作爲基本詞匯。還從金光海的韓國語敎育用詞匯(743個)和3本韓國語敎育用書中選出的詞匯(1086個)中, 把頻出詞匯作爲硏究對象。 3)第3章比敎了漢語基准詞匯(HSK詞匯、漢語敎材詞匯)和韓國語基准詞匯(韓國語敎育用詞匯、韓國語交際詞匯)、第7次基本詞匯, 考察了兩者的常用性和客觀性, 而且還比敎了4本現行高中中國語(Ⅰ)敎科書中收록的詞匯和第7次基本詞匯。 4)第4章結論中, 綜合了本文的內容, 分析和整理了選定7次基本詞匯的問題幷提出了改善方案。 通過上述硏究過程, 得出了以下的結論。 通過比較7次基本詞匯中的對象詞匯, 有共同点的詞匯占全體詞匯的約12%, 共92個。這些詞匯在漢語和韓國語的常用性層面在一定程度上是符合的。相反, 約6.5%的共51個詞匯却沒有任何相同点, 以后選定詞匯時, 應予以提高。 最后, 雖然沒有出現在7次基本詞匯里, 但作爲比敎詞匯而出現共同点的詞匯共87個, 這些詞匯分別被收록在漢語、韓國語基本詞匯和4種敎科書里, 也可以況這些詞匯時符合本次硏究所分析的'語言的常用性'的詞匯。因此, 這些詞匯被選定爲基本詞匯和被作爲硏究詞匯的參考的那一天指日可待。 通過考察詞匯的選定, 向學習者提供成體系的、有實質的詞匯, 從而提高其表達能力。對從事敎育的人來況, 在指導詞匯學習時, 爲其提供更客觀的資料是本硏究的目的。

      • 중·고등학교 교사의 입장에서 본 현행 성교육의 실태 및 제반 문제점에 대한 연구

        차선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current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sex education and the attitudes towards it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s teachers. From the survey, we analyse the potential problems and try to propose solutions for the better ways to educate the students in this subject.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the Seoul, Incheon and Kyunggi province. One hundred twenty five teachers returned the survey questions. The collected survey questions were analysed by SPSS for simple frequencies and percentiles and the significance (p) was tested by Chi - Square test.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ever since the sex education became a mandatory part of the curriculum, 91% of the middle schools actually conducted the sex education by the health teachers or the guest speakers for at least 10 hours per year, while the 77% of the high school did it. The number of hours allocated for the sex education was increased after the sex education became a mandatory part of the curriculum. Second, as for the survey results of the teachers' attitudes towards the sex education, both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ought that the sex educ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and that the sex education should be started from elementary school. When they were asked whether the sex education is conducted enough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most of them reported that the quantity is not enough. As for the knowledge about sex education, teachers reported that their knowledge is about or below the levels of the general curriculum taught in college. The teachers who do not teach the sex education at school did not have any special training for sex education or has a minium experience. The teachers who teach the sex education have experiences of 2 or 3 times of the special training. When the teachers were asked for the difficulties teaching this subject in class, the teachers in girls' middle schools reported the most difficulties. In terms of the gender differences, female teachers reported the more difficulties than the male teachers. As for the generation differences, teachers' in their 30's reported the most difficulties, while the 20's reported that they did not face any difficulties. Most of the teachers who teach the sex education at school used the textbooks and the reference books as their main text. The format they use is teaching the real cases as examples. Finally, when the interests of this subject for the teachers who do not teach the sex education, all of them showed great interests. Most interests was shown by the teachers who worked in the mixed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Most of the teachers favored the "the development of the sexual psychology" as the subject they want to teach. Most of the teachers acknowledge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ex education. Mostly, they reported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allocating the credit hours for sex education, inappropriate hours for the sex education during regular class, and the lack of the standarized program for the sex education. Middle school teachers suggest the development of the various programs for sex education, while high school teachers suggest the development of the policy for the sex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we cautiously recommend that the sex education should be turned into a part of the regular curriculum. Also, the special efforts for the systematic support should be done for allocating the credit hours for the sex education. Finally, both the teachers who teach this subject and the teachers who do not should cooperate each other to bring the better ways to teach the more realistic sex education at school.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들을 통해 현행 성교육의 실태와 교사들의 태도 및 인식 그리고 성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서울, 인천, 경기도 내에 근무하는 중·고등학교 교사 125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을 위해 설문지 배포 및 회수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을 이용하여 단순 빈도와 백분율 위주로 산출하였고, 독립변인별 응답률의 차이는 교차분석을 통한 Chi - Square (χ²) test로 검증하여 유의성(p)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중·고등학교 성교육의 실태 면에서는 성교육 의무 실시 이후 중학교에서는 성교육을 실제로 91%가 연간 10시간 동안 보건교사나 외부강사에 의해 시행하고 있었으며, 고등학교에서는 연간 10시간 미만으로 77%가 실제로 시행하였다. 즉, 성교육 의무 실시 전보다 실제 성교육이 의무 시간 동안 전문적인 성교육 담당교사에 의한 시행이 증가하였다. 둘째,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성교육에 대한 태도 및 인식 면에서는 중고등학교에서 성교육 담당 및 비담당 교사들은 성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다수였고, 성교육 실시는 초등학교 전후로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시기라고 하였으며, 현행 성교육의 충분성에 대해서는 대다수가 부정적인 입장을 표했다. 또한, 성교육 관련 지식수준에 대한 중·고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주로 대학교 교양 지식 정도 이하의 수준이였고, 비담당 교사는 연수 경험이 전혀 없거나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담당 교사는 주로 2∼3회 내외의 연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자 중학교에서 근무하는 성교육 담당 교사들이 성교육시 어려움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대가 성교육시 어려움을 많이 느낀 반면, 20대는 어려움이 없다라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성교육 담당 교사는 교육부에서 발행된 교사용 성교육 지도 자료(지침서)보다는 다양한 참고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형식적인 교수방법 보다 실제적인 교수방법을 선호하였다. 끝으로 성교육 비담당 교사의 성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한 결과, 근무 학교와 상관없이 모두 관심도가 높았고, 특히 남녀공학 학교에 근무하는 30·40대 성교육 비담당 교사들의 관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 근무학교, 연령대별로 모두 “성심리 발달”에 대한 내용에 관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현행 중·고등학교 성교육에 대한 문제점 및 해결방안 면에서 중·고등학교 교사 대다수가 현행 성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었고, 주로 성교육 수업시수의 확보의 어려움, 성교육 배정 시간의 부적절함과 성교육 자료 및 표준화된 프로그램 개발의 부족을 꼽았다. 특히 현행 성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는 중학교 교사들은 “성교육 방법의 다양화 개발 및 수행”처럼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 반면, 고등학교 교사들은 “국가 수준의 성교육 정책 실현”과 같은 추상적이지만 고차원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이미 제시된 학교 성교육 정책이 효율적으로 실현될 수 있게 정규교과목으로의 전환과 성교육 수업 시수의 확보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좀 더 적극적으로 이루질 수 있도록 요구되며, 건전한 성의식 양성 교육을 위한 성교육 담당교사와 일반 비담당 교사가 함께 협조하여 현실적인 학교 성교육으로 변화되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에 관한 교육과정 국제비교 연구

        이효선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우리는 주위 사람들이나 대중 매체로부터 수업시간수와 성적 사이의 관계, 잠자는 시간과 비만도의 관계, 영화평점과 영화흥행의 상관관계, 가계 소득과 소비, KOSPI와 주요국 대표 지수와의 상관관계 등 두 변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자주 접한다. 이러한 정보들은 학습, 건강, 소비, 경제와 관련된 선택의 상황에서 의사결정에 반영된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두 변수 사이의 관계는 교수요목기부터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까지 ‘상관도와 상관표’ 단원에서 다루었다. 그러나 제7차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학습 내용 정선의 일환으로 ‘상관도와 상관표’ 단원이 삭제되었고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도 두 변수 사이의 관계에 대한 내용을 다루지 않게 되어,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게 될 학생들이 대학교 입학 전까지 두 변수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생각할 기회가 줄어들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관도와 상관표’ 단원이 제7차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삭제된 이유와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이론적인 방법들을 살펴보고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다루고 있는 외국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의미 있게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이 있음을 소개하는 것이다.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방법에는 상관관계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이 있다. 상관관계분석은 두 변수 사이의 선형관계를 알아보는 방법으로 상관도, 공분산, 상관계수로 알아볼 수 있다. 단순회귀분석은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수학적 함수 모델로 설정하고 그 모델로부터 두 변수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거나 한 변수로부터 다른 변수를 예측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이다. 두 변수 사이의 관계 파악 방법이 반영된 외국의 교육과정과 수학교재의 단원과 우리나라에서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까지 다루어졌던 ‘상관도 상관표’ 단원을 분석하고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변수 사이의 관계에 대해 다루는 모든 국가들은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인 상관도를 교육과정에 반영하였고 상관계수까지 반영한 국가들도 있었다. 둘째, 외국의 교육과정에서 ‘상관표’에 대한 내용은 찾아볼 수 없었다. 셋째,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인 상관도만 다뤘던 우리나라와는 다르게 단순회귀분석까지 포함하는 국가들도 있었다. 단순회귀분석은 회귀선을 찾아내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외국의 교육과정과 수학교재에서 회귀선을 찾는 방법이 최소제곱법 이외에도 자료의 개수를 이용하는 직관적인 방법, 평균과 눈짐작을 이용하는 방법, 중앙값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회귀분석을 대학 전공분야에서 다루게 된다. 위에 소개된 방법들을 이용하여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상관도와 상관표’ 단원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를 통해 평균, 중앙값, 일차함수를 학습한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수준에서 회귀분석에도 접근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제7차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각 학년 별 내용을 잘 이수했다는 가정 하에서 학년별로 적용할 수 있는 두 변수 사이의 관계 파악 방법을 제시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물리Ⅱ] 문항 분석에 관한 연구 : 2007학년~200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중심으로

        전정민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y recognizing the question trend, and to have students be confident and interested in Physics Ⅱ by making both teachers and students understand the educational procedure and the tests enough.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test items according to the goals of CSAT,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7th Educational Procedure’ and the evaluation goals of CSAT were compared and analyzed. Also, ‘The Revised Education Procedure of 2007’ that is now in notice was analyzed so that a small change in the future be expected.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60 items of Physic Ⅱ in CSAT from 2007 to 2009. In order to understand for which goal each item was questioned,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7th Educational Procedure’ and the evaluation goals of CSAT were specified. With the specified goals, their sameness and difference were found out.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what are the educational goals of Physic Ⅱ in the educational procedure and the evaluation goals of CSAT? According to ‘The 7th Educational Procedure’, the goals which should be achieved in Physic Ⅱ are judged in ways of recognition, searching procedure, definition, science, technology, and the society. The evaluation goals of CSAT have three factors of contents, behavior, researching conditions. Second, how Physic Ⅱ items in CSAT are analyzed based on the education goals in the educational procedure and the evaluation goals in CSAT? First of all, the questioning frequencies for each chapter were analyzed. It was found out that the test items were equally questioned according to contents of each chapter. Items regarding recognition and researching procedure have been questioned in a similar rate every year. Items about definitions accounted for only 10% of the all items. Among the evaluation goals of CSAT, evaluation on behavior include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 concept along with factors about researching ability and intelligence. Items that evaluate applications have risen by 10% annually. Every year, developments on new items are focused on applications, materi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rather than various fields. In the researching condition field, the number of items about real-life has gone up showing signs of efforts that aim to provide integrated and human-centered education including STS. However, items about social condition were rarely questioned, which shows the difficulties of question developing. Third, is any a difference between the educational goals of Physic Ⅱ in the educational procedure and the evaluation goals in CSAT? Do they pursue different goals? Cognitive field in the educational procedure are the same with the evaluation o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behavioral field in the evaluation goals. While creative field can be said to have a similarity with items developing aspects in real-life field, evaluation on a child’s point of view to the society, personal interests, practical applications is hard to be carried out. In conclusion, an evaluation on the effects that can be achieved in classes is different from that of CSAT. A development on items that have been neglected previously would bring us one step closer to more human-centere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수학능력시험’ 문항 분석을 통해 출제의 경향을 파악하여 교수&#8228;학습방법의 방향을 제시하고, 교사와 연구자가 교육과정과 시험에 대해 충분히 이해를 함으로써 실제 강의에 자신감을 불어넣어 학생들이 「물리Ⅱ」과목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지도록 하는데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평가목표에 의한 문항 분석된 선행연구를 토대로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교육목표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평가목표와 비교하여 문항을 분석하여 결과를 논의하였다. 현재 고시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작은 변화도 예측해 보았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은 2007학년도부터 2009학년도까지의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물리Ⅱ」영역의 60문항이다. 각 문항들이 어떠한 목표에 의해 출제되었지를 파악하기 위해 ‘제 7차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평가목표를 명세화하고, 명세화된 목표를 가지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Ⅱ」과목의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목표와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평가목표는 각각 무엇인가.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물리Ⅱ」과목에서 도달해야 할 행동으로 인지적 측면, 탐구 과정의 측면, 정의적 측면과 과학&#8228;기술&#8228;사회와의 관계 측면으로 보고 있으며, ‘대학수학능력시험’은 내용영역, 행동영역, 탐구상황영역 세 가지 평가목표 틀을 가지고 있다. 둘째,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물리Ⅱ」문항들을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목표와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평가목표에 의할 때, 각각 어떻게 분석되는가. 먼저, 단원별 출제 빈도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각 단원별 내용요소에 따라 골고루 출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매년 인지적 측면과 탐구 과정의 측면은 비슷한 비율로 출제되고 있으며, 정의적 측면은 전체 문항의 10%정도만 차지하고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평가목표 중 행동영역의 평가는 탐구 사고력 요소 이외에 개념에 대한 이해와 적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해마다 적용을 평가하는 문항이 10%씩 증가하고 있었다. 매년 새로운 문항개발이 여러 평가요소에서 이루어지기보다는 적용과 자료 분석 및 해석에만 치우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탐구상황영역에서는 실생활 영역의 문항수가 늘어 STS를 포함한 인간 중심 교육의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하는 부분이 엿보였으나, 사회적 상황의 문항은 거의 출제되지 않아 문항개발의 어려움을 절실히 보여주고 있다. 셋째, 「물리Ⅱ」과목의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목표와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평가목표 간에 차이는 없는가, 서로 다른 목표를 추구하고 있지는 않은가. 교육과정의 인지적 측면은 평가목표의 행동영역의 이해와 적용에 대한 평가와 동질성을 가지며, 탐구과정의 측면은 행동영역의 탐구 사고력 요소의 평가와 동질성을 가진다. 정의적 측면은 실생활영역에서의 문항 개발 측면에서 동질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으나, 학생의 과학적 태도, 학생의 사회상, 개인적 관심사, 실제적 적용의 평가가 이루어지기는 어렵다. 결국, 현장수업에서는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대한 평가는 ‘대학수학능력시험’과는 당연히 다르며, 평가 요소 중 그 동안 출제 비율이 낮았던 항목에서 문항 개발을 시도한다면, 좀 더 인간중심교육으로 다가갈 수 있다라고 판단되어진다.

      • 회계전문가 관점에서 본 상업계고등학교 회계원리 교육의 개선방향

        김은정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회계원리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로, 기업이 재교육 없이도 즉각적으로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사원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하여 이러한 사회 요구에 적합한 회계원리 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현행 상업계 고등학교 회계교육에 대한 개선과 함께 향후 지향점을 도출하고 나아가 국제수준의 우수한 회계인력을 양성하는데 기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수행은 선행 연구에 대한 문헌 연구를 살펴보고, 회계전문가, 회계실무자, 상업계고등학교 교사의 표본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회계 교육과정은 상업계열 고등학교 회계교과의 교육과정을 의미하며, 회계교과는 회계원리, 원가회계, 세무회계, 기업회계, 회계 실무 등을 말하는데, 연구의 주 대상은 회계교과 중에서 회계 원리로 선택하였다. 이유는, 실제로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선택되어지는 교과는 계열 필수 교과인 회계원리 과목이 대부분이고, 다른 회계 과목은 선택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2005학년도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직업탐구 영역의 교과로 그 중요성이 날로 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회계원리 교과를 중심으로 상업계 고등학교의 회계원리 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에 관한 실증분석을 위하여 상업계 고등학교 교사 28명과 회계법인 소속 공인회계사&#8228;세무사 등 회계전문가 7명, 중소기업 및 회계법인 실무자 28명을 대상으로 2010년 4월부터 5월 7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회계 실무 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며. 회계정보의 분석 및 이용능력 배양을 위하여 정보기술을 활용한 회계교육이 실시되어야 하고, 회계윤리교육의 강화가 요청된다는 것이었다. 또한 교과의 성격이나 목표에 적합한 산업체의 요구나 사회의 요구를 수용하고 반영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과 회계 원리는 교과 내용면에서 회계의 기본원리 중심의 내용으로 재구성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교수학습활동에서 산학협력을 실시하여 산업체의 요구를 받아들일 필요가 있으며, 국제화시대에 맞는 회계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의식 및 진로교육 비교연구 : 서울지역 특성화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황민영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특정 분야의 인재 및 전문 직업인 양성을 목표로 하는 특성화 고등학교 진로교육이 본래의 목적을 상실한 채 주로 진학지도에만 치우쳐져 대다수 졸업생이 대학에 진학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산업체의 고졸 산업인력 수요 확보에 어려움이 야기되면서 특성화 고등학교의 정체성 확립에 대한 문제의 해결 방편으로 진학률이 높은 A, B특성화 고등학교와 취업률이 높은 C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실행하고 있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취업지도와 진학지도로 구분하여 구체적 사례들을 조사하고, 설문을 통해 각 학교별 학생들의 학교생활의 만족도 및 진로의식, 진로교육 요구조사를 비교 ·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언젠가 도래할 산업사회의 다변화에 기술 인력 수급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사회 발전에 필요한 다양한 산업인력구조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진로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인 연구, 사례연구, 그리고 실증적인 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이론적인 연구는 진로의식 및 진로교육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고, 사례연구는 A, B, C특성화 고등학교의 취업률과 진학률을 조사하고 개별학교의 취업률과 진학률을 이끌어낸 토대를 파악하기 위하여 단위학교에서 실행하고 있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취업지도와 진학지도로 구분하여 구체적 사례들을 조사하였고, 실증 연구는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자료를 근거로 하여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서울지역에 소재하는 3개교의 특성화 고등학교 재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 구성내용은 진학동기, 학교 만족도, 진로의식, 진로교육 현황, 진로교육의 개선점 영역으로 구분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의 도입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입학생을 선발할 때 중학교 내신 성적은 학생들이 일정한 학습 능력을 갖추고 있는 지를 판단 할 수 있는 자료로만 활용하고, 전체 성적보다는 특성화 분야와 관련된 교과의 성적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등 학생의 소질과 적성, 재능이 있는 자를 위주로 선발하여 탈락률을 최소화하고 특정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입학이라는 획일적인 진로의 경로로 초래되는 급격한 고학력화와 그에 따르는 청년층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취업교육 강화하여 1학년 학생들이 상급학년으로 진급 시 진로방향을 진학에서 취업으로 진로방향을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등 고등학교 졸업 후 이행경로의 다양화로 산업인력구조의 균형 잡힌 개발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C특성화 고등학교와 같이 취업률이 높은 학교의 취업지도 내용을 벤치마킹하여 다양한 취업지도 프로그램을 이용한 진로교육 강화를 통해 일과 직업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고 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계획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의 진로적성검사를 학년별로 실시?누적 관리하여 진로적성검사 결과에 기초한 진로지도를 실시하고, 학생들의 특성과 잠재력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In this research, I am willing to discover a current problem which is related with identific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s making difficulty in ensuring industry's demands for workers, who graduated from only high schools, caused by most graduates' entering colleges due to oversights to lose the original purpose of career education in specialized high school, the aim to raise talents and experts look through programs operated by A, B specialized high school whose percentages of advance to colleges is high, and C specialized high school whose percentages of employment, as distinguishing instruction of employment from that of advance to colleges draw problems by comparing and analyzing satisfaction, career awareness and requirement for career education of each school's students through surveys deal with workers' supply to changing industry coming up soon and suggest solutions which make careers instruction effective to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so as to balance various industry worker structures necessary for society development.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by 240 students in 3 specialized high schools in Seoul and gets results below. First, in order to revitalize intent of specialized high schools, when selecting entering students, we don't have to consider grading as the most important but students' character, attitude and ability, which will help experts grow well. Second, we should persuade students to enter a profession when they are promoted to senior, which will be going to achieve balanced development due to diversity of career option. Third, we should let students plant right recognition toward work and job by learning programs which are followed by some schools like C specialized high school and establish their sense of value. Forth, most importantly, students need to understand themselves to plan their proper career. Thus, we should help students to find their trait and potential early by operating and saving aptitude tests for career in reasonable and scientific way.

      • 변호사 비선임 소송 당사자를 위한 법교육 연구

        남상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thesis focuses on the current statistic that annually more than 700,000 Korean litigants, engaged in civil lawsuits without attorney. This thesis surveyed 102 pro se litigants who just came out of a civil court, and reached a conclusion that they need legal information and consultation from legal experts at specific stages of their lawsuit. Pro se litigants in lack of legal knowledge were being directed by judges to fortify proofs and arguments. But most of Korean Small Claims Courts did not allow enough time for litigants to explain their claims and proofs as each court hears of about 50 cases per day in avms ge. The avms ge time of hearing for each case scarcely exceeds 10 minutes. Pro se litigants in Small Claims Courts were willing to attend legal classes such as "How to fill out petition," "Civil Procedure Act,", "How and when to file in proofs and arguments in a civil court," or "How to persuade judges." They even replied they would be willing to spend about 30,000 won mes hly to attend a legal information class.nd prrding to the study made on public or private satport system were willitigants without attorney, most of assistady were being provided at a cost and free aids were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litigants.nFor example, Korea hly toAid Corch ation had a p Prcy of providing legal satports at a cost. Also aids from Korean Bar Association were based on voluntary system and were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people. This thesis also examined current Korean law-related education in schools which can help litigants to build basic knowledge about legal procedures. But curriculums and textbooks regarding law for high school students dealt with general information about law and were more similar to ‘Introduction to Law' textbooks in College. The overview is so brief that it can hardly be a proper aid for civil lawsuit litigants. Korean Civil Court does not require the de facto assistance of counsel, but it uses adversarial system. So, to find out substantial truth in Court, both parties should present all the arguments and proofs in front of judge in an appropriate time and manner. If one or both parties fail to communicate properly it may challenge judicial system which exists to seek for truth and justice. Furthermore if a significant number of litigants fail to present their claims or defense properly in courts, they would be weakened as a democratic institution. A citizen can fulfill their need to resolve their disputes by themselves in an adversarial court system. Evidences and arguments put forth are the judge's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 and litigants frame the alternatives from which the judges must choose. Furthermore if both parties reach a consensus, the function of court can be regarded as an good example of direct democracy. But tBut ideal function of Court as a democracy can't happen if one or both parties does not know proper legal language needed to communicate in a court. If tBut self-governing mechanism of courts fails to work, they may be deteriorated into an institution for tyranny. So the issue of public educational support to litigants without attorney is justified by the principle of democracy and by justice, one of the goal of law. 이 논문은 해마다 70만 명이 넘는 민사 소송 당사자들이 변호사 없이 소송을 진행하고 있다는 최근의 통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논문은 막 변론을 마치고 민사법정을 나온 102명의 변호사 비선임 당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들이 소송 수행의 특정 단계들에서 법률 지식이나 법률 전문가로부터의 상담을 필요로 하고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법률 지식이 부족한 변호사 비선임 당사자들은 법정 내의 판사들로부터 증거나 주장을 보완하라고 지시를 받고 있었다. 그러나 한국의 대부분의 민사 소액 재판부들은 당사자들이 자신들의 주장이나 증거를 설명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할애해 주지 않고 있다. 왜냐하면 재판부들이 하루 평균 50개 이상의 사건을 심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개 사건에 대한 심리 시간은 평균적으로 10분을 넘지 못했다. 민사 소액 법정의 변호사 비선임 당사자들은 ‘소장 작성법’, ‘민사 소송 절차’, ‘언제, 그리고 어떻게 민사 법정에 증거를 내고, 주장을 제기하는지’, 또는 ‘판사 설득법’과 같은 법률 강의를 듣겠다는 의사를 표현하기도 했다. 이 같은 법률 강의에 대한 강의료로 한 달에 3만 원 정도를 쓸 용의가 있다고 응답하기도 했다. 변호사 비선임 당사자들을 위한 사회적 지원 체계에 대한 연구도 진행했는데, 대부분의 지원 수단들은 유상 지원을 원칙으로 하고 있었고, 무상 지원의 혜택은 소수의 당사자들에게 한정 되고 있었다. 예를 들면 대한 법률 구조 공단은 소송 구조를 유상으로 지원한다는 원칙을 갖고 있었고, 대한 변호사 협회의 소송 구조는 자원 봉사적 성격을 갖고 있어서 소수를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었다. 이 논문은 또한 학교 정규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법교육이 학생들에게 소송 절차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쌓도록 도움을 주고 있는지 점검하였다. 그러나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법교육 교과서나 교과과정은 법과 법체계에 대한 종합적 개요만을 다루고 있어서, 대학교의 법학 개론 식 구성에 머무르는 한계를 보였다. 방대한 내용을 대상으로 간략하게 개요를 다루고 있어서 실무적으로 소송을 수행하는 당사자들에게 알맞은 도움을 주기에는 부족하였다. 한국의 민사소송법은 변호사 강제주의를 채택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이른바 당사자 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법정 내에서 실체적 진실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양 당사자가 판사 앞에 적절한 시기에 적법한 절차에 따라 판사 앞에서 자신들의 주장이나 증거를 제시하여야 한다. 만약 일방이나 쌍방 당사자가 적절한 법정 내 의사소통에 실패한다면 정의와 진실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사법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게다가 상당수의 소송 당사자들이 자신의 주장이나 방어를 펼치는데 실패한다면 사법부는 민주주의 국가의 권력 기관으로서의 의미가 퇴색될 것이다. 사법부는 재판 과정에서 민주적 자치 기관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법정 내의 당사자들은 자신들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판사 앞에 실체적 진실에 대한 모든 증거와 주장을 펼쳐 놓고 판사는 이들이 내놓은 주장이나 증거 가운데 가장 합리적이라고 생각되는 진실을 선택하게 된다. 양 당사자가 법정 내에서 판사의 지도와 중재를 받아 하나의 실체적 진실에 합의를 한다면 이는 민주적 자치의 좋은 예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이와 같은 법정 내의 민주적 자치 기능은 일방 혹은 쌍방 당사자가 법정 내 의사소통에 필요한 법률 언어를 모른다면 실현되기 어려워질 것이다. 이로 인해 법정 내의 민주적 자치 기능이 광범위하게 훼손된다면 민주 국가의 법정은 의도되지 않은 독단의 폐해를 겪게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변호사 비선임 당사자들에 대한 법교육은 민주주의 원칙과 법의 목적 중의 하나인 정의 실현에 의해 정당화 될 수 있다.

      • 대학 교양중국어 수업 활성화 방안 연구

        박혜원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本&#35770;文通&#36807;&#35843;&#26597;目前大&#23398;&#27721;&#35821;&#25945;&#20859;&#35838;程的&#29616;&#29366;,分析其&#36816;行中存在的&#38382;&#39064;,&#24182;通&#36807;&#23545;各大&#23398;&#27721;&#35821;&#25945;&#20859;&#35838;程的比&#36739;,提出了改善方案和&#38271;期&#21457;展方向。 第一,在序&#35770;里面&#21465;述了本&#30740;究的必要性和&#30740;究&#20869;容及方法。第二,全面分析了&#38889;&#22269;外&#35821;&#25945;育&#29366;&#20917;,&#21363;&#22269;家第7次&#25945;育&#35838;程下的中小&#23398;和大&#23398;的外&#35821;&#25945;育,以及私&#35774;&#25945;育机&#26500;和留&#23398;&#25945;育机&#26500;中的外&#35821;&#25945;育等情&#20917;,&#24182;&#23545;目前的&#27721;&#35821;&#25945;育&#29616;&#29366;予以&#34917;充和&#35828;明。第三,以2009年20所大&#23398;&#32593;站展示的&#25945;&#23398;&#35838;程和&#23398;士指南&#20026;基&#30784;材料,&#36827;行&#35843;&#26597;和&#31579;&#36873;。 &#27809;有公&#24320;的部分&#36164;料&#21017;通&#36807;各大&#23398;&#25945;&#20859;&#35838;程&#36127;&#36131;人或者中文系得到了&#34917;充。第四,&#20026;了分析&#23398;生和&#25945;&#24072;情&#20917;,我&#23545;333名正接受&#27721;&#35821;&#25945;&#20859;&#35838;程的&#23398;生以及21名&#25285;&#24403;&#25945;&#24072;&#36827;行了&#35843;&#26597;。最后通&#36807;&#23545;&#27721;&#35821;&#34917;&#20064;班的&#25945;育&#29616;&#29366;和其&#23398;生的&#28385;意度&#36827;行分析&#35843;&#26597;,了解是否存在和大&#23398;&#27721;&#35821;&#25945;&#20859;&#35838;程里相同的&#38382;&#39064;,以便提出全面的改善方案。 通&#36807;上述&#30740;究,我提出了&#27721;&#35821;活性化&#25945;育的三&#20010;渠道:&#21363;制度、&#25945;育&#35838;程、大&#23398;&#36164;源的利用。 第一,制度的改&#21464;。必&#39035;通&#36807;行政手段&#23545;以&#27721;&#35821;&#20026;母&#35821;的&#23398;生&#36827;行&#35838;&#19994;限制,&#23545;在初中或高中&#26102;已修&#27721;&#35821;的&#23398;生按照不同水平&#36827;行&#32534;班。&#35774;立相&#20851;机&#26500;&#23545;其&#36827;行管理,&#25193;大必修&#35838;的范&#22260;。 第二,&#25945;育&#35838;程方面,&#35843;整&#21548;&#35838;人&#25968;,延&#38271;&#25945;&#23398;&#26102;&#38388;,&#35780;价制度可以多&#26679;化,&#24182;考&#34385;&#23398;生的要求和水平&#36827;行分班,同&#26102;可以&#36830;接以往的&#25945;&#23398;&#35838;程,使&#27721;&#35821;&#25945;育呈&#38454;梯型、持&#32493;型,适&#24403;&#24320;&#35774;中高&#32423;&#35838;程及适合&#23398;生&#20852;趣和要求的&#27721;&#35821;&#25945;育科目。 第三,充分利用大&#23398;&#36164;源,&#38543;着外&#22269;留&#23398;生的持&#32493;增加,&#24212;&#35813;促&#36827;&#38889;&#22269;&#23398;生&#19982;他&#20204;的&#32852;系,加强&#35838;外活&#21160;,&#32473;他&#20204;提供多&#31181;活性化的机&#20250;。&#21478;外,可以考&#34385;在大&#23398;&#35821;&#23398;院&#24320;&#35774;基&#30784;&#27721;&#35821;&#35838;程班,&#32473;&#27809;有&#27721;&#35821;基&#30784;的&#23398;生有&#23398;&#20064;基&#30784;&#27721;&#35821;的机&#20250;。此外&#36824;可以充分利用&#32593;&#32476;(cyber),UCC等,提供&#20016;富的multi-media&#23398;&#20064;&#36164;料,促&#36827;&#27721;&#35821;的多媒&#20307;&#23398;&#20064;方式。 希望此&#35770;文能&#22815;促&#36827;大&#23398;&#27721;&#35821;&#25945;&#20859;&#35838;程的改善,&#36827;一步提高今后&#27721;&#35821;&#25945;&#20859;&#35838;程的&#25945;&#23398;效果。 본 논문은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양 중국어 수업 운영 현황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현재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점검하고, 대학별 비교를 통해 교양 중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 및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첫째,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내용 및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둘째, 한국의 외국어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7차 교육과정 하에 있는 초&#8228;중&#8228;고 교과 과정과 대학 교육 그리고 사설 학원 교육 및 어학연수 현황을 총체적으로 기술하여 현재 중국어 교육이 어떠한 상황에 처해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 조사와 통계청 자료를 열람&#8228;요청하였으며, 2009학년도를 기준으로 20개 대학의 영어와 중국어 교육에 대한 대학 운영현황을 조사하였다. 셋째, 국내 대학 교양 중국어 운영 현황을 심도 있게 조사·분석하기 위하여, 2009학년도를 기준으로 20개 대학의 홈페이지를 통해 공시된 교과 과정 및 학사안내 자료를 기초자료로 삼고, 공개되지 않은 부분은 각 대학의 교양과정 담당자 혹은 중어중문과를 통해 보충하였다. 넷째, 학습자와 교수자의 요구 사항 분석을 위하여 333명의 대학 교양 중국어를 수강하고 있는 학생과 그 강좌를 담당하고 있는 21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와 함께 사설 중국어 학원의 교육 현황 및 수강생 만족도 파악을 통해 대학 교양 중국어 운영에서 반영할 사항이 있는지 확인하고, 개선 방향을 다각도로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교양 중국어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향으로 제도적, 교과 과정적, 대학 내 자원 이용 이렇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제도적 측면의 변화를 위해서는 먼저 인식의 변화가 바탕이 되어야만 한다고 보며, 이는 학생과 교수자 뿐만 아니라 대학 당국도 인식하여만이 제도적 개선이 뒤따를 수 있다고 보았다. 구체적 방안으로는 중국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학생에 대한 수강을 제한하고, 고등학교 선택과목 이수 이력을 표기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여 수준별 반 편성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교육 전반의 계획과 관리를 전담할 수 있는 기구를 설립해야 한다고 보았으며, 필수 이수제 확대를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교과 과정적으로는 적정 수강 인원과 시수의 확대, 평가 제도의 다각화, 학습자 특성과 수준을 고려한 분반, 교과 과정 연계, 단계별/지속적 학습을 위한 중&#8228;고급 과정 개설, 수요자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교과목 개발&#8228;신설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대학 내 자원을 이용하는 방안으로는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학생을 연계하여 수업과 교외 활동을 활성화하여 연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동기를 유발하고자 하였으며, 대학 내 어학원에 기초 과정 중국어 반을 개설하여 중국어의 기초적인 부분을 연습&#8228;교정 받도록 하여 선행 학습이 없는 학생도 중국어 실력이 향상 될 수 있도록 학교 차원의 지원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또한 사이버 강의, UCC 등을 이용해 풍부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교양 중국어 수업의 질적 성장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을 통해 각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교양 중국어 과목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앞으로 대학 교양 중국어 수업이 점차적으로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