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구 지역 초등학교 '방과후학교'의 음악활동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김태웅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79

        초등학교 시기는 신체적, 지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성장․발달하는 중요한 시기이며 한 인간이 평생을 살기 위해 당연히 갖추어야하는 학습습관과 생활습관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특히 정서는 앞으로 살아가는 동안 아동에게 크게 영향을 끼치며 올바른 정서를 갖춘 아동은 사회의 구성원으로써 조화롭고 자신의 자아실현을 위해 끊임없이 열중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갖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초등학교 시기에 올바른 정서를 길러주기 위한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세계화추진위원회는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10대 정책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중 단기과제의 하나인 「방과 후 아동지도제도 도입」은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에 따른 자녀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과 사회가 함께 아동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교육해야 할 책무가 있음을 제시했다. 이는 더 이상 아동의 방과 후 지도는 가정만의 책임이 아니라 사회가 그 해결의 주체가 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해야 할 일임에는 틀림이 없다. 지금까지 각 가정에서 맡아오던 아동의 보호 및 지도에 대한 책임을 이제는 사회가 분담해야 할 시기가 되었음을 고지하고, 아동보호의 공적 책임을 강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방과 후 아동지도는 맞벌이 부부와 편모․편부의 취업활동을 돕고, 아동들을 안전하게 보호․지도하기 위해 절실하게 요구되는 부분이다. 아동의 방과 후 시간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지도함으로써 기혼 여성들이 마음 놓고 취업 전선에서 일을 할 수 있고, 기혼여성이 취업의 기회를 갖거나 이미 취업을 하고 있는 여성에게 자신의 일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회적 차원에서 지원을 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최근 아동 양육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날이 갈수록 떨어지는 출산율을 높일 수 있는 근본적인 방편이 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게다가 방과 후 아동지도는 「여성발전기본법」에서도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방과 후 아동의 보호와 건전한 생활을 위한 시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방과 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은 가정교육과 학교교육을 연계시키고, 학교수업시간과는 차별화하면서 이루어져야 할 특성을 가진다. 즉, ‘방과후학교’ 교육자는 부모와 학교 교사의 역할을 함께 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아동들이 가정에서 부모로부터 받게 되는 사랑과 신뢰를 충분히 부여하면서, 또한 학교에서 교사들이 제시하는 올바른 인성 교육과 실습 위주의 교육 역시 행해야 한다. 방과 후 아동지도는 학교 교육과 연계하여 지도하되, 학교교육의 연장이 아니라 보다 자유롭고 새로운 방법으로 아동을 다루고 지도해야 한다. 방과 후 아동지도는 사회적․정서적 발달에 중점을 두고 획일화된 학습이 아닌 다원화된 실천 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방과 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전 학년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전 학년의 발달특성을 감안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방과 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은 초등학교의 학습영역과 가정에서의 생활영역을 종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들이 방과 후 아동지도를 통해 안전하게 보호되고, 가정에서 부모를 대신하는 활동을 통해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며, 학교교육을 보완하는 활동을 위해 창의성 개발과 사고력 신장을 위한 활동을 모색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크게 방과 후 학교에 대한 이론적 검토, 현재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음악분야 방과 후 학교의 실태 및 공공단체에서 실시되고 있는 방과 후 학교 음악활동 사례에 대한 조사, 앞으로 갖추어지고 보완되어야 할 방과 후 학교 음악활동 개선 방안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론적 검토는 최근에 발표된 논문과 신문기사 등 문헌을 보고 분석하였으며 ‘방과후학교’의 음악활동 실태는 대구 시에서 2006년 현재 ‘방과후학교’ 시범학교로 지정되어서 운영되고 있는 대구시 교육청 지정시범학교 'DE'초등학교, 'S'초등학교, 'C'초등학교, 'G'초등학교와 교육인적자원부 지정 'D'초등학교, 그리고 대구광역시 공공단체를 선정하여 현재 실시하고 있는 ‘방과후학교’ 음악활동분야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러므로 지역별로 있을 수 있는 충분한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각 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의 실태를 정확히 분석해야만 그에 따른 올바른 개선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하지만, 정확한 실태 파악을 위해서는 대구 시에 모든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조사를 해야만 하지만, 인적, 물적, 시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현재 ‘방과후학교’ 시범학교로 운영하고 있는 5개 학교와 대구시 공공단체에서 현재 운영하고 있는 ‘방과후학교’로 그 실태분석을 제한한다. 대구 시에서 5개 학교를 분석하는 것으로는 여러 가지 객관성의 차원에서 자료가 부족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하여 제2의 제3의 후속 연구가 진행된다면 대구시의 ‘방과후학교’ 음악활동의 문제점들과 실태를 보다 제대로 알고 훨씬 더 발전된 개선방안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 전문상담교사양성과정에재학중인상담전공교육대학원생의 첫상담실습참여경험에관한합의적질적연구

        윤선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상담 전공 대학원생의 첫 상 담 실습 참여 경험에 관한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문상담 교사 양성과정 커리큘럼 중 상담 실습 및 사례연구 강좌를 수강하면서 상담 실습에 참여한 연구참여자 25명의 경험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큰 표본을 통해 모집단을 더 완벽하게 묘사하며 개별 사례의 특별함을 탐색할 수 있는 연구 방법으로서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CQR-M)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담 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첫 상담 실습 경험은 25명의 경험 내 용으로부터 4개 영역과 2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각 경험에서 나타난 구체 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로서 기대감과 부담을 동시에 가짐’ 영역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첫 실습에 대한 설렘과 기대감을 보였지만 자신의 부족한 상담역량을 인식하 고 실습에 부담감을 느낀 경험이 주요 범주로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이러한 부담을 덜어내고자 스스로 다양한 방법으로 전문성을 강화하고자 노력하는 모 습을 보여주었다. 둘째, ‘상담 수행과정에서 상담자로서 전문성의 한계를 절감함’ 영역에서는 상담 실습 중 연구참여자들이 겪은 어려움이 주요 범주로 도출되었다. 참여자 들이 상담 실습 중 경험한 다양한 어려움은 부족한 상담역량으로 내담자 선정 부터 막막하게 느껴짐, 전문성의 한계로 상담 방향을 확신하지 못한 채 성급 하게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신을 발견함, 주 호소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 해 상담 중 예상치 못한 문제를 발견하여 당황함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자로서 성장과 변화를 경험함’ 영역에서는 이전까지 학교 장면에 서 피상적인 일회성 상담을 해왔던 연구참여자들이 여러 회기의 과정으로서 상담을 진행하면서 상담에 자신감을 느끼고 상담자로서 자부심을 얻게 된 경 험들이 주요 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실습 경험을 통해 공감과 지 지로 내담자의 깊은 내면을 끌어낼 수 있음을 배우고, 전문성을 높여 내담자 를 돕고자 하는 초심을 떠올리며 부족한 역량을 보완하고자 노력한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이 영역에서는 상담자로서 내담자를 조력하여 상담 목표를 달성 해 보람을 느끼고, 실제 상담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연구참여자들 스스로 자 부심과 자신감을 갖게 된 경험 등이 드러났다. 넷째, ‘실습제도 및 교육과정 개선의 필요성 절감’ 영역에서는 연구참여자들 이 실습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을 토대로 개선되기를 바라는 점이 주요 범주 로 도출되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실습에 직접 도움이 되는 과목 편성 필요, 실 습 내용을 충분히 연구하고 나눌 수 있는 사례연구 시간이 확보되어야 함, 졸 업 전 상담 실습이 한 번 뿐이라는 두려움과 아쉬움, 실습 중 상담자의 불안 을 낮추어 줄 슈퍼바이저의 지지와 적극적인 피드백이 필요함, 학교상담 매뉴 얼의 필요성 절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첫째,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서 상담 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첫 상담 실습 경험을 자세히 분석하여 실습 전, 중, 후에 초심상담자가 겪는 다양한 경험을 파악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전문상담사 양성과 관련되어 초심상담자가 겪는 어려움에 주목하였다면, 본 연구는 기존의 교사들이 전문상담교사가 되 기 위해 노력하는 양성과정에서 경험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서 상담 실습이 갖는 의미와 한계를 분석한 후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 는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서 ‘상담 실습 및 사례연구’에 처음 참여하는 교육 대학원생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상담 전공 에서 상담 실습 및 사례연구 강의의 의의과 가치를 확인하고 전문상담교사 양 성과정과 관련 해당 과목을 내실 있게 운영하기 위해 과목의 수정 및 보완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주요어 : 전문상담교사, 상담, 교육대학원,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CQR-M), 상담 실습

      • 대구광역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명암(明暗)

        임영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DMOE’s(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olicy on the creativity education during the past 20 years has been carried out, and to evaluate its process and results. To complete the study’s objective, this study uses documents analysis and interview as the research method. The followings ar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explored in the study. Firstly, what are the positive aspects(the light) on the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Secondly, what are the negative aspects(the shade) on the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Thirdly, what are the implications and alternatives of the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found ‘congruency’, ‘continuity’, ‘systematicity’, ‘specificity’, and ‘validity’ as positive aspects of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found followings: First, the DMOE failed to realize the plan to develop a tool for measuring creativity. Furthermore,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there existed gaps in satisfaction level for each concrete project and perception on the factors that restricted proper implementation of the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third research ques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ings are discussed. Firstly, the gap in perception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is inevitable in the course of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policies. Due to this, it is crucial to constantly revise them based on reality to solve this problem. Secondly, as a suggestion of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for the past 20 years, it was discussed that the direction of policy should be placed on the expression of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through daily classroom classes. Finally, the meaning of 'question' in creativity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classroom with questions' as an alternative to DMOE’s creativity education were examined. The practical contribu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One of practical contributions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a basic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from 2001-20 through an overview and analysis of pros and cons. Thi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This study also provides organized data on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for the past 20 years despite the DMOE has not published a white paper on the creativity education policy. On the other hand, sinc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rough an overview of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it has a limitation in specifically dealing with cases of creative instruction and evaluation. Another limitation to the study is that it collected data through a small number of interviewees because it conducted interviews to supplement the literature analysis as the main research method. 본 연구는 2001~2020년의 대구광역시교육청(이하 대구시교육청)의 창의성 교육 정책의 전개 과정을 되돌아보고, 그에 대한 명암(明暗)을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문헌 분석과 면담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명(明)은 무엇인가? 둘째,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암(暗)은 무엇인가? 셋째,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시사점과 대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결과는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명(明)은 정합성, 지속성, 체계성, 구체성 및 타당성의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암(暗)은 두 가지로 나타났다. 우선, 대구시교육청이 창의성 측정 도구 개발 계획을 실현하지 못한 점이다. 둘째, 2002~2008년의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실태 조사에 대한 분석에서 사업별 만족도와 장애 요인에 대해 관리자와 교사 간 인식의 차이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탐색한 세 번째 연구 결과에서는,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시사점과 대안이 논의되었다. 우선, 교육 정책의 집행 과정에서 관리자와 교사 간의 인식의 차이는 불가피하다는 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실에 맞게 끊임없이 수정해 나가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이 논의되었다. 둘째, 지난 20년간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시사점으로 일상적인 교실 수업을 통해 학생의 일상적인 창의성의 발휘에 정책의 방향성을 두어야 한다는 점이 논의되었다. 마지막으로, 창의성 교육에서 ‘질문’의 의미와,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의 대안으로 ‘질문이 있는 교실’의 도입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와 한계를 지닌다. 우선, 본 연구는 2001~2020년의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개관과 명암의 분석을 통해 그에 대한 기초적 이해와 평가 작업을 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는 추후 대구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방안을 모색할 때 기초자료로 유용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대구시교육청이 그간의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별도의 백서를 발간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난 20년간의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자료들을 수집, 정리하여 기록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편, 본 연구는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개관을 통한 평가를 목적으로 하였기에 창의성 교육에 대한 수업과 평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은 한계를 지닌다. 그리고 본 연구는 주 연구 방법인 문헌 분석의 보완을 위해 면담을 수행하였기에 소수의 면담자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 초등교사 전보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요구 분석

        강세정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의 초등교사 전보제도의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개선요구를 분석하여 대구시의 전보제도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대구광역시 초등교사들의 전보제도에 대한 인식정도는 어떠한가? 2. 초등교사 전보제도 운영의 실태는 인식정도는 어떠한가? 3. 지역 교육청간 전보제도에 대한 실태는 어떠한가? 4. 대구광역시교육청 인사전보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개선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대구광역시내 4개 지역교육청의 초등교사 364명을 연구대상으로 표집하여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행 전보기준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도는 다소 양호한 편이나 만족도는 낮았으며 전보기준 설정시 교사들의 의견이 별로 반영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2) 전보 희망 학교를 선택한 이유로는 거주지와 가까운 곳에 전보 되기를 희망하는 교사가 과반수가 넘었으며 근무분위기가 좋은 곳과 규모가 큰 학교도 교사들이 선호하는 학교로 나타났다. 3) 교사들은 달성군 교육청과 서부교육청에 부여하는 승진 가산점이 전보 희망에 매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거주지와 거리가 먼 달성교육청과 서부교육청을 기피하는 경향이 많았으며 가산점 부여기준이 공정하지 못하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4) 전보점의 구성항목인 경력점, 근무평점점, 개인 및 집단가산점 중에서도 근평점축소와 개인가산점축소에 대한 개선 요구가 가장 많았다. 또한 청간 전보조건 불균형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는 대구시 전체를 단일 전보권으로 하자는데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al conditions of transference system for elementary schoolteach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analyze corresponding remedial needs, so that it may show the directions of improving current transference system in the municipal level. For these goals, the basic assignments can be outlined in detail as follows: 1 How elementary schoolteach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recognize current transference system? 2. How they recognize the operational conditions of current transference system for elementary schoolteachers. 3. How they recognize current transference system between local offices of education? 4. What they request and need in current system of personnel transference in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this study, total 364 elementary schoolteachers sampled as subjects from 4 district offic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who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 questionnaire survey as specially designed. The results of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or a question asking "Do you have overall comprehension about current criteria of transference?", majority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understood the criteria. However, most of them recognized that their opinions were not well reflected on setting up new transference criteria. 2) For a question asking "Why did you select your desired schools to transfer?", majority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was because they wanted to transfer into schools near to their home. Of course, many of them preferred the schools with good working atmosphere or large-sized schools. 3) Lots of respondents thought that current promotion incentive points as provided by Dalseong/Seobu Office of Education in Daegu metropolitan c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desire for transference into another school. Many of them had high tendency to shirk aforementioned offices because of long distance from their home, while recognizing that the current criteria of incentive points are not fair. 4) For transference incentive points such as career points, work rating and individual/group incentive points, it was most often pointed out that current curtailed work rating and individual incentive points should be improved sooner or later. For the practical policies to relieve imbalanced conditions of transference between local offices of education in a region, all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response to a proposal that the Daegu metropolitan area should be considered as a single transference coverage.

      • 초등 국어교과서의 외국 아동문학 수록 양상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희신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먼저 초등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외국 아동문학의 수록 양상을 살펴본 뒤, 이에 대한 문제점을 진단하였고 이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초등 국어 교육과정 및 국어 교과서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있다. 우선 초등 국어 교육과 외국 아동문학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네 가지 인간상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세계인’이다. ‘세계인’은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동체 발전에 참여하는 사람’을 말한다. ‘세계인’이 되기 위한 교육을 함에 있어서 외국 아동문학 작품은 가치가 있다. 또 이 장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 그리고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와 외국 아동문학의 관련성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국어 교과서의 외국 아동문학 작품 수록 현황과 수록 과정에서의 변형 양상을 분석해보았다. 먼저 외국 아동문학 작품 수록 현황은 갈래별, 주제별, 문화권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작품의 갈래는 그림책, 소설, 시, 극, 수필·비평으로 나누었다. 갈래별 분석 결과, 갈래별로 작품의 수록 비중이 균등하지 않은 점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다양한 갈래의 작품을 수록할 필요가 있다. 작품의 주제는 4개의 범주와 그에 따른 12개의 주제 유형으로 나누었다. 주제별로 작품들을 분류해본 결과, 먼저 범주별로는 학생들의 일상생활과 관련이 깊은 범주의 작품들이 많았다. 또 주제 유형으로는 사회화와 관련이 깊은 주제 유형의 작품들이 많았다. 앞으로는 외국 아동문학으로써 가치가 있는 주제의 작품 수록 비중을 높여야할 것이다. 문화권별 현황의 분석 결과 외국 아동문학 작품들의 문화권은 유럽 문화권과 앵글로아메리카 문화권에 집중돼 있었다. 또 유럽과 앵글로아메리카 문화권 중에서도 영국과 미국 두 국가의 작품 수는 전체 작품의 50%가 넘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정 국가 및 문화권에 치중하여 작품을 수록하면, 학생들이 자칫 특정 문화가 우수하다는 편견을 가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문화권 및 국가의 작품을 수록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국어 교과서 수록과정에서의 변형 양상을 분석해보았다. 변형 유형으로는 갈래 변경, 요약 및 생략, 교육적 순화가 있다. 먼저 갈래변경의 종류로는 그림책이 소설로 수록된 경우와 그림책이 듣기제재로 수록된 경우가 있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외국 아동문학 작품 중 그림책의 수는 22편인데, 이 중 9편은 그림의 역할을 간과하고 그림책을 소설의 형태로 수록하였다. 또 이 외에 8편은 그림책의 형태는 갖추어 수록하였으나 임의로 요약하고 편집하여 그림책의 의미를 충분히 살려 수록하지는 못하였다. 일반 문학의 관점에서 문학은 ‘글’로 이루어진 예술이지만, 그림책은 글과 그림 둘 다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문학 갈래이다. 따라서 그림책을 수록할 땐 그림책의 갈래적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수록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인 방향으로는 그림의 삭제 및 요약을 지양하고 글과 그림의 상호보완성을 살려 수록해야할 것이다. 그림책을 듣기 제재로 수록한 작품은 3편이 있는데, 이는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매체의 문학 작품을 수록할 것을 요구한 것에 대한 반영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 외국 아동문학 작품을 요약 및 생략을 하여 수록한 것으로는 두 가지 이유가 있었는데 교과서의 지면이 부족해서인 것과 교육적 목적을 가지고 의도적으로 요약 및 생략을 한 것이 있다. 지면부족으로 인한 요약 및 생략은 그림책과 소설에서 나타났는데 그림책의 경우는 주로 그림을 삭제하는 방법으로, 글의 경우는 주로 줄거리를 수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림을 삭제하는 이유는 그림책에서 그림의 역할을 간과한 것으로 앞으로는 그림책 갈래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수록해야 할 것이다. 또 소설에서 줄거리를 제시할 땐 가능한 문학성을 훼손하지 않는 방법에서 질 높은 줄거리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질 높은 줄거리로는 ‘질적 요약물’을 제시하였는데, ‘질적 요약물’은 작품의 상위구조 뿐만 아니라 분량의 적절성, 내용의 완결성, 내용의 응집성, 내용의 압축성, 표현의 문학성 등을 갖춘 요약물이다. 우리나라 교육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책은 교과서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아동문학 교육의 개선을 위해서는 초등국어 교과서의 아동문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초등 국어 교육과정 및 국어 교과서의 발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바람>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과학적 탐구 능력 및 태도 형성

        김재연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바람> 프로젝트를 통하여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태도가 어떻게 형성되어 가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효율적인 과학교육방법을 제공하고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화 기술적 연구이며 D시에 소재한 S어린이집 만 3세반 14명(남7, 여7)을 대상으로 2015년 3월부터 2017년 7월까지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젝트 활동과정에서 참여관찰, 심층면접, 활동 관련 결과물, 사진이나 녹음자료 등을 통하여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태도 형성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바람> 프로젝트를 통하여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태도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람>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이 형성되었다. 유아들은 <바람> 프로젝트 활동에서 추상적이던 바람의 존재를 공기의 움직임과 바람의 소리를 통하여 인식함으로써 관찰능력이 길러졌으며, 바람에 관한 표상활동을 함으로써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바람>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과학적 태도가 형성되었다. 유아들은 <바람>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바람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는 과정에서 과학적 호기심이 생겼으며, 바람을 만드는 과정에 함께 참여함으로써 협력적 태도가 길러졌다. 결론적으로 <바람>프로젝트 활동은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태도 형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다주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활동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young children’s scientific exploratory ability and attitude are formed through <Wind> project approach. This exploration would provide teachers in education field with an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 and help young children form scientific exploratory ability and attitude. The study hired ethnographic research methodology. Participants were 14(7 males, 7 females) 5 years old preschool children in D city. The project was implemented from March, 2015 to July, 2017. Data related with scientific exploratory ability and attitude of young children was collected via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ctivity results, pictures and tape-record.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cientific exploratory ability was formed in young children through <Wind> project approach. Their observation ability was enhanced during the project having perceived the existence of wind, an abstract concept, through air motion and sound. The representation activities on wind enhanced their communicating ability. Second, scientific attitude were formed in young children through <Wind> project . approach. Young children became curious during the project to uncover fresh facts. Their participating in activity of making wind led to increase in cooperative attitude. Consequently, the project approach <Wind> i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enhancing scientific exploratory ability and attitude of young children.

      • AAA(동물매개활동)를 이용한 창의적 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최두혁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AAA를 이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 AAA를 이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둘째, AAA를 이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다는 목표를 두었다.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초등학교 1~2학년 수준에 맞추어 재구성한 13차시 분량의 AAA를 이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경상북도 소재의 D초등학교 1∼2학년 복식 1개 반 총 5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자율 활동 시간을 이용해 8주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소규모 학교인 점을 고려하여 질적 연구 방법인 문화기술적 연구(Ethnographic Research)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과정에서 면담, 참여관찰, 교사일지, 활동 결과물, 소감문 등을 통하여 학생의 인성 변화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생 개개인의 행동 변화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코너스 교사용 ADHD 평정척도(Conners‘ Teacher Rating Scale-28; CTRS-R)를 바탕으로 개발한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전․후 3주 간격으로 3회 측정 후 평균하여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AA를 이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효과가 있다. 둘째, AAA를 이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저학년 아동의 정서 발달에 효과가 있다. 셋째, AAA를 이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저학년 아동의 자주성 발달에 효과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AAA를 이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인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 초등학생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 교실의 주변인에서 주체자가 되어가는 여정

        이윤정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학습의 주변인이 된 초등학생들이 학습코칭을 어떻게 경험하는지에 대한 탐구과정이다. 특히 교실의 주변인이 된 아이들이 어떻게 교실의 주체가 되어 가는지 풀어내는 여정이었다. 학습의 가장 근원적인 물음인 ‘공부란 무엇인가?’에 대해 나로부터 깊이 사유하고, 나와 아이들이 어떻게 학습코칭을 경험하는지에 대해 물음을 던지고 해명하고자 했다. 연구자는 초등학생들의 학습 경험과 그 의미를 존재론적으로 담아내기 위하여 존재론적 탐구방법을 선택하였다. 나는 초등학교 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청의 학습코칭업무를 맡으면서 2017년 3월, 프로그램 구상을 시작으로 4월부터 12월까지 총 23회기의 학습코칭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들의 학습경험 여정은 시간적으로 나누었을 때 여섯 장면과 변화한 아이들을 바라보며 나를 돌아보는 자전탐구의 한 장면으로 구성되면서 형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이들과 교사는 서로를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대화를 이끌어 내었고, 그것이 이야기가 되었으며, 탐구를 통해서 실천으로까지 나아갔다. 아이들은 서로 꿰어짐 속에서 공동체정신, 존중, 이해, 사랑, 배려, 책임, 공감과 같은 가치ㆍ덕목들을 자연스럽게 실천하는 모습으로 보여주었다. 아이들에게 관심 갖게 했던 흥미를 목적화시키는 과정은, 그들에게 집중력과 용기를 끌어내었으며, 끝내 교실수업의 주변인에서 주체자로 당당히 설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아이들이 교실수업에서 주체자로 살아갈 수 있도록 교사들에게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안한다. 첫째, 아이들에게 자신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학습소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줘야한다. 둘째, 그 흥미를 보다 정교하고 장기적인 목적화로 발전시켜 주어야 한다. 셋째,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이 아니라 항상 체험위주의 수업을 하여야 한다. 넷째, 아이들의 적극적인 표현, 공유, 토론으로 자기들이 배운 것을 대화적 삶에서 확장하고 깊이 있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아이들과의 학습의 공동경험을 통해 학습의 근본적인 물음 ‘공부란, 무엇인가?’에 대해 답을 얻을 수 있었다. 나에게 공부란, ‘내가 원하는 삶과의 만남’이었고, 즉 ‘나로 살고 싶은 붙들림’이란 것을 알게 되었다. 나는 앞으로도 나의 원하는 삶을 위해 부단히 붙들릴 것이고, 내가 만나는 아이들이 삶의 주체자로 살아갈 수 있도록, 이해하는 마음과 귀를 열어두고 좋은 영향력을 끼치는 사람으로 살아가고자 한다.

      • 초등과학교육 학술지 논문의 결론 구조 분석

        김민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초등 과학 교육 분야 논문에서 ‘결론’ 부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초등 과학 교육 분야에서 통용될 수 있는 결론 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초등 과학 교육 학회에서 발간되는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에 투고되어있는 4개년간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결론 부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과학 교육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결론 장의 제목과 결론의 분량을 파악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결론 장의 제목은 ‘결론 및 제언’ 이였다. 결론 분량의 경우 평균 85.4줄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쪽’ 단위로 분석하였을 경우 평균 2.1쪽의 분량으로 집계되었다. 둘째, 결론의 이동마디와 단계 분석결과 초등 과학 교육 분야 논문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계들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단계들이 특정 단계와 연결되어 구조를 이루며 사용되는 경우가 빈번함을 발견하였다. 셋째,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과학 교육 분야에서 통용될 수 있는 일반화된 논문의 결론 모형을 도출 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 과학 교육 논문 작성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초등 과학 교육 분야 교육대학원생을 위한 구체적인 논문 작성 교육 방안과 교육자료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onclusion model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lusion' part in the thesis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For the research, the conclusion part was analyzed for the four years of academic papers submitted to the journal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published by the Academ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itle of the conclusion chapter and the amount of conclusion frequently used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were identified. The most frequently used concluding chapter was titled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In the case of the conclusion volume, 85.4 lines of spread were analyzed, and when it was analyzed in units of 'pages', it was counted as an average of 2.1 pages.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movement nodes and steps of the conclusion, steps frequently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papers were found, and it was found that these steps are frequently us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steps to form a structure. Third, based on these results, a generalized thesis conclusion model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was derived.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not only can it be used as basic data when writing a thesis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but it is also expected that specific thesis writing education plans and educational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graduate students will be prepared based on the result data.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22.

      • 영어 사교육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권미나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영어의 사교육이 초등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대구 시내 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3, 4, 5, 6학년 62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사교육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3, 4, 5, 6학년 공통적으로 사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성취도면에서 더 나은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사교육이 학생들의 성취도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4, 5, 6학년 학생들이 사교육을 받은 기간에 따라 나타난 영어 학업 성취도를 비교해 본 결과 사교육 받은 기간이 길수록 성취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즉, 1년 미만의 사교육을 받은 그룹보다 4년 이상의 사교육을 받은 그룹의 성취도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어 사교육이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사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정의적인 태도 면에서 훨씬 더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년이 올라갈수록 정의적 태도의 평균치가 점점 낮아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그 이유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습량도 많아지고 영어 학습이나 과목에 대한 기호가 점점 분명해지기 때문이라 생각할 수 있다. 성별로는 남녀 모두 사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으며 여학생이 대체로 남학생보다 더 긍정적이었다. 넷째, 성취도와 정의적 태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든 학년에서 사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의 성취도 상위 그룹이 하위 그룹에 비해 정의적 태도가 긍정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정의적 태도의 네 요인 중에는 자아존중심의 차이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모험시도심과 동기의 경우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 모두 학년이 높아질수록 정의적 태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공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실패를 두려워하여 추측한 내용을 시도해 보는 횟수가 줄어들고, 학습에 대한 의욕이나 적극성이 떨어진다는 뜻으로 분석할 수 있다. 다섯째, 개별 학생들을 면담한 결과 상위 그룹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영어 학습에 대한 욕구와 열의를 가지고 있어서 도구적 동기와 함께 통합적 동기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흥미도도 높아서 사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영어와 관련된 장래 희망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많았다. 5, 6학년의 경우, 이미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형성되어 있어서 스스로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보거나 자신에게 맞는 사교육 형태를 선택하고자 하는 적극성도 보여주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하위 그룹 학생들은 부모님의 강요에 의해 사교육을 받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자신의 의지나 흥미를 가지고 사교육을 받고 있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들은 영어 학습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어서 학습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여섯째, 면담을 통해 사교육 영어 수업은 동질 집단 내에서 수준에 맞는 수업을 할 수 있고, 외국인과의 대화를 통해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영어에 대한 자신감을 길러준다는 장점이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의욕을 더 자극함으로써 성취감을 느끼게 하는 것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나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반면, 자신의 선택이 아닌 경우나 학습욕구를 제대로 채워주지 못하는 경우에, 또는 시험 스트레스 때문에 영어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영어 사교육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양적인 연구와 병행하여 학생들로부터 질적인 응답을 수집하여 깊이 있게 분석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사교육에 노출되어 있는 학습자들의 경향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