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국 교육대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 6차ㆍ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수미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논문에서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알고 제6차와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른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연구하였다. 제6차와 7차의 개정된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 중점을 사항을 알아보고, 초등음악교육을 담당하는 전국 11개 교육대학교의 음악관련 교과목을 다각도로 집중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각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중 음악관련 교양과정과 전공과정의 교과교육, 교과교육실기, 특별 및 재량활동, 심화과정의 교과목 개설현황과 강의내용을 제6차 교육과정과 제7차 교육과정에서 비교하고, 각 교육대학교 음악관련 교과목의 강의내용을 통하여 국악 관련 교과목과 양악 관련 교과목의 비율과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서 가창곡과 감상곡의 비율을 국악과 양악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위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교 교과목 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제6차에서 제7차 교육과정 개정시 몇몇 교대의 교과목 축소 및 명칭 변화가 있었고, 그 외 교대는 기존 교과목 그대로 개설하고 있었다. 개설 교과목 중에서는 국악 관련 교과목이 상대적으로 부족 하였다. 둘째, 교과목 강의내용 분석결과, 강의내용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국악은 한 교과목 안에서 통합적으로 가르치고 있는 반면, 양악은 세분화하여 가르치고 있어 상대적으로 양악 교과목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음악관련 교과목의 국악과 양악의 비율을 알아본 결과 제6차에서 7차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전공과정과 심화과정의 국악교과목이 전공과정10%, 심화과정 4%로 확대되었지만 양악 교과목과 비교 했을 때 국악이 차지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넷째,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국악과 양악 비율을 알아본 결과 6차 교육과정 때 국악의 총 비중은 국악 32.4 % 양악 67.6%, 7차 교육과정 때 국악의 총 비율은 40.7%, 양악 59.3 % 이다. 6차 교육과정 과 7차 교육과정을 비교 했을 때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서 국악이 차지하는 비율이 10% 정도 확대 되었다. 제6차ㆍ제7차 교육과정에서 개정 중점 사항으로 국악교육을 강조하고 있어 초등학교 교과서의 국악 관련 내용은 확대하고 있으나,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교과목은 확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개정되었지만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의 교과목과 강의내용에 큰 변화가 없었다. 즉, 전국 11개 교육대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음악교육과 연계성이 부족하여 초등교사가 현장 교육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교육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음악교육을 정상적으로 교육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성 있는 교육대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을 개선 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changes of the curriculum of Education College resulting from the 6th and 7th reform of educational curriculum are examined with the importance of the curriculum of Education College recognized. This study has examined fpllowings; The curriculum of music department related to the 6th and 7th reform has been discussed and subjects related to music of 11 Edcatiomal colleges which are in charge of music class across the nation have been analyzed with the variety of views.. To analyze them, the curriculum and realities of general and majoring courses, subject teaching practice, special and free activities, advanced class which are related to music have been aompared with each other between 6th and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and domgs for singing and songs fir appreciation. The results of yj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alities of subjects learned in colleges, some subjects of some colleges are minimized or their names are changed in the process of reform of 6th into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other colleges remain the same. The subjec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insufficient relatively. Second, in the contents of the subjects, significant changes have not been fiund,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s generally taught in one subject but western music is taught in detail in many different subjects, so it has been found that music education lays heavy importance for western music. Third, in the r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the r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up by 10% in majoring courses and 4% in advabced courses, but the rate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us small relatively. Fourth, in the r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in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accounted for 32,4%, western music for 67.6% in the 6th educational curriculum, but Korean traditional music is 40.7% and western music 59.3%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r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increased by 10%. One of the main purposes of the 6th and 7th reform of educational curriculum is the emphasi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so the r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has increased but the subjects of education colleges have not been enlarged. In other words, teaching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are changed but learning contents of education college are not. The curriculum of 11 education colleges across the nation has the insufficient relationship with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which means that teachers may have difficulty teaching music. Therefore, the curriculum of music department of education college should be inoruved and changed appropriate for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 「박씨전」과 「홍계월전」의 반응 중심 교육 방안 연구

        김덕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Research on the Plans for Response-centered Education of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Kim Deok Hee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Classical literature is not simply a literature from the past. It is connected with the present beyond the past and could even show the future. For this reason, classical literature is highly valued in school education field and does a role in curriculum. Nevertheless, students’ interest in classical literature is not high. There could be a lot of reasons for this phenomenon, but, fortunately, the contents of classical literature have been exposed in various ways these days, which allows students to take an easy approach to the literature.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find ways to raise students’ interest in classical literature and teach it in more interesting and meaningful mea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ors of characters which are thought to reveal the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Characters in a literary work form different types of relationships, are placed in diverse situations, and behave. That is, focusing on characters in teaching classical literature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it effectively as well as to make an easy access to it. Through this method, it is expected that readers reflect their lives and generally figure out others’ lives from this reflection. 「Bakssijeon」 has a consistently repetitive frame in which family conflicts and their solutions in the first half and national conflicts and their solutions in the second half appear. By the change of the main character, Bakssi, this literary work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half and second half respectively. In the first half, story continues at home and is about conflicts and solutions from ugly appearance. In the second half, the main story is about national conflicts and their solutions. The narration about Bakssi continues heterogeneously, so issues about the unity of the literary work have been raised but solved as each episode in the work shows organic association. In 「Honggyewoljeon」, a female attired as a male goes to war and helps to overcome national hardship. Its narrative structure is typical of a female heroic novel. However, Gyewol, the female main character, shows superior abilities to Boguk, the male main character throughout the story. She gets over hardship and maintains the figure as a heroine even after her disguise is unveiled. Namely, this literary work shows the change of females’ awareness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cannot be vertical regardless of abilities. This work tries to break from confucianism ideology unlike general female heroic novels and can be seen as a work to achieve the independence of females. After a close consideration of the frame traits and characters’ remarkable activities of these two literary works, I took a careful look at their textbook inclusion and education plan. In the 2009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Bakssijeon」 is contained in five middle school textbooks and one high school Korean Ⅱ textbook while 「Honggyewoljeon」 in three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This fact proves that the two works have not only literary values but also educational ones. In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of the subject “Korean”, there are direct instruction model, role-play model, problem-solving learning model, creativity- development learning model, knowledge-quest learning model, experts-cooperation learning model, discussion-debate learning model, response-centered learning model, and values-quest learning model. Of various learning models, response-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as introduced at the time when cramming and rote education of literature had been criticized. The new method was known to put emphasis on students’ response to literary works and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It features students’ response and free expression of emotion about their own literary experiences. This study deals with educational practice plan of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based on response-centered learning model, as the model with its basis on a literary theory (readers’ response) is considered as most appropriate for actual lessons. This is not the reading,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but various interpretations and reconstruction of meanings by students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values. It is highly likely that in existing literature classes, teachers have unilaterally transferred knowledge about the works of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and students have believed and accepted that absolute knowledge about these two works exists. In these literature classes, students’ role is shrunk to the minimum, which naturally decreases students’ interest in literary works. Thus, students should be allowed to take a leading role in literature classes and have enough time and opportunities to think about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on their own so that they can internalize their own meanings and have a deep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about the works. For this, classes should be progressed in stage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response-centered education and in each stage, teachers should perform a lot of roles to elicit students’ diverse thoughts and feelings. The continuous research abou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help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autonomous acceptance is required for effective and active education of 「Bakssijeon」 and 「Honggyewoljeon」. 「박씨전」과 「홍계월전」의 반응중심 교육 방안 연구 김 덕 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지도교수 유 기 옥 고전문학은 단순한 과거의 문학이 아니다. 과거를 넘어 현재와 연결되고, 나아가 미래를 보여주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 교육 현장에서도 가치를 인정받아 교육과정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고전문학에 대한 흥미도가 높지 않다. 여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다행히 최근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콘텐츠화 되어 노출되면서 학생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처럼 학생들의 흥미도를 높이고 보다 재미있고 의미 있게 가르치기 위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전의 가치를 발현하는 데 있어 인물요소에 중점을 두었다. 인물은 작품 안의 다른 인물과 관계를 맺고, 다양한 상황에 놓이게 되며 행동하게 된다. 즉 고전소설에서 인물 교육은 학생이 작품을 접근함에 있어 용이할뿐더러 작품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를 통해 자신의 삶을 살펴보고 이를 기준으로 다른 사람의 삶의 다양성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박씨전」은 전·후반부에서 가정적 차원의 갈등과 해결, 국가적 차원의 갈등과 해결이라는 반복적 구조가 기본 골격을 이루며 구조상 통일성을 유지한다. 이 작품은 박씨의 변신을 기점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반부는 가정을 배경으로 하여 추한 외모로 인한 가정 내에서의 갈등과 해결을 그리고 있고, 후반부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갈등과 해결을 다루고 있다. 때문에 박씨의 서사가 매우 이질적으로 이어지며 작품의 통일성에 대한 논의들이 계속 제기되고 있지만 각각의 사건들이 서로 유기적인 연관성을 이루며 해결되고 있다. 「홍계월전」은 여성이 남장하고 출전하여 국가적 고난을 극복한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여성영웅소설 유형에 충실한 서사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계월은 남주인공인 보국보다 시종 월등한 능력을 지니고 고난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계월의 남복이 밝혀진 후에도 끝까지 여성영웅의 모습을 유지한다. 즉, 이 작품은 능력과 상관없이 남녀관계가 상하관계가 될 수 없다는 여성의식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작품은 일반적인 여성영웅소설과 달리 당시의 유교이념에서 과감히 탈피하고자 노력했기에 여성의 독립을 성취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작품 구조의 특성과 주인공의 활약을 살펴본 후, 「박씨전」과 「홍계월전」의 교과서 수록 현황과 교육 방안을 살펴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는 「박씨전」과 「홍계월전」의 국어 및 문학 교과서 수록 현황을 살펴보니 「박씨전」은 중학교 국어 교과서 5개, 고등학교 국어Ⅱ 교과서 1개에 수록되어 있으며, 「홍계월전」은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3개에 수록되어 문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교육적 가치도 있음을 보여준다.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에는 직접 교수 모형, 역할 놀이 모형, 문제 해결 학습 모형, 창의성 계발 학습 모형, 지식 탐구 학습 모형, 전문가 협력 학습 모형, 토의·토론 학습 모형, 반응 중심 학습 모형, 가치 탐구 학습 모형이 있다. 이러한 교수·학습 모형 중 반응 중심 교수·학습 방법은 주입식·암기식 문학교육에 대해 비판하던 시점에서 문학작품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중시하는 교수·학습법으로 소개되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은 학생들이 문학 경험에 대한 자신의 반응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을 중시하는 교수·학습 방법이다. 본고에서는 문학이론(독자 반응)에 기반을 둔 반응 중심 학습모형이 실제 수업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어 반응 중심 학습모형을 중심으로 「박씨전」과 「홍계월전」의 교육 실천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것은 고전문학을 읽고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과 가치관을 토대로 문학작품을 보다 다양하게 해석하고 의미를 재창조하는 데 있다. 기존의 문학 교과 수업에서 교사는 「박씨전」과 「홍계월전」이라는 작품에 대한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함으로써 학생들은 이 작품에 대한 절대적 지식이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이를 수용했을 것이다. 이러한 기존 문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역할은 최소화되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작품에 대한 흥미는 더욱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학생들이 수업을 주도하고 「박씨전」과 「홍계월전」이라는 작품에 대해 충분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와 시간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자신만이 가질 수 있는 의미를 내면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작품에 대한 다양한 반응을 이끌어 내어 문학 작품에 대한 깊은 이해와 수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반응 중심 교육의 원리를 바탕으로 단계별 수업을 진행하며, 각 단계에서 교사는 학생들의 다양한 생각과 느낌 등을 이끌어 내도록 많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와 주체적 수용을 돕는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박씨전」과 「홍계월전」이 보다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 인식 비교 : 예비전문상담교사와 교사, 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강승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s of pre-professional counselors, teachers, and educationists on the teaching practice of pre-professional counselors and shows the actual performance of pre-professional counselors and the contents of pre-professional counselor's teaching practices that ar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school field. It seeks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of pre-professional counselor's education practice and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egree of performance for each pre-professional counselor's education practice area?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general teachers, professional counselors, and educationist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the contents of educational practice of preliminary professional counselors? Third,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re-professional counselor's performance in education practice and the perception of general teachers, professional counselors, and educationists? to be. This study consists of 111 preliminary professional counselors, 139 general teachers, 39 professional counselors and doctors in professional counseling who have experienced educational practice in schools across the country. A total of 302 valid samples were used in 13 subjects. The main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liminary professional counselor performed class management at the highest frequency when conducting educational practice, and the area with the lowest performance was counseling. Second, the common result was that the general counselor, the professional counselor, and the education expert were the most important counseling activities as the preparatory counseling teacher's training.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ife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in comparing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between the two groups of general teachers and professional counselors. The general teacher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lass management and life guidance, but the professional counselor did not recognize the importa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s and educationists. Third, as teachers and educationists, the details of the teaching practice of the preliminary professional counselor include ‘individual counseling/group counseling, harvest interview', ’intimate relationship with students', and ‘guide the counseling room program'. Are aware.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preliminary professional counselor actually carried out ’instruction for environmental cleanup and cleaning in the class', ‘inquiry/period proceeding', and ’participation in special activities and guidance'.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s of pre-professional counselors, teachers, and educationists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al practice contents of pre-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nd the pre-professional matters that ar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field of the school. We searched and explored the contents of educational practice of a counselor.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done research to help improve the contents of educational training for professional counseling to develop school counseling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에 관한 예비전문상담교사와 교사, 교육전문가의 인식을 조사하여 예비전문상담교사들의 실제 수행 정도와 학교현장에서 실제로 중요시 여기는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내용을 탐색하여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 영역별 수행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 내용의 중요도에 대한 일반교사, 전문상담교사와 교육전문가의 인식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육실습에 대한 예비전문상담교사의 수행도와 일반교사, 전문상담교사, 교육전문가의 인식에 대한 순위는 차이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는 전국 학교를 대상으로 교육실습을 경험한 예비전문상담교사 111명, 일반 교사 139명, 전문상담교사 39명과 상담심리 분야의 박사학위가 있고 관련 분야에서 6년 이상의 교육 경력을 지닌 교육 전문가 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총 302부 유효표본이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Bonferroni 사후검증, 빈도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일반 교사, 전문상담교사와 교육전문가의 중요도 인식 비교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와 Bonferroni 사후검정을 사용하였다. 예비전문상담교사, 일반교사, 전문상담교사, 교육전문가 간의 수행도와 중요도의 인식 순위를 탐색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전문상담교사는 교육실습 수행 시 학급경영을 가장 높은 빈도로 수행하였고 가장 수행도가 낮은 영역은 상담활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교사, 전문상담교사와 교육전문가는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으로 상담활동 영역이 가장 중요하다는 공통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일반교사와 전문상담교사 두 집단의 중요도 인식 비교에서 생활지도와 학급경영 영역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교사는 학급경영과 생활지도 영역 또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였으나, 전문상담교사는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지 않았다. 셋째, 교사와 교육전문가는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 세부내용 으로 ‘개인상담/집단상담 종결 후 추수면담’,‘학생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상담실 프로그램을 안내한다’를 우선 중요한 내용으로 인식 하고 있다. 반면 예비전문상담교사는 실질적으로‘학급 내 환경정리 및 청소 지도’, ‘조회/종례 진행’, ‘특별활동 참가 및 지도’를 우선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 내용적 측면에서 영역별 구체적인 내용으로 예비전문상담교사와 교사, 교육전문가의 인식을 조사하여 예비전문상담교사들의 실제 수행 정도와 학교현장에서 실제로 중요시 여기는 예비전문상담교사의 교육실습내용을 탐색하였다. 이는 앞으로 학교상담 발전을 위한 전문상담 교육실습 내용 개선에 도움이 되는 연구를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발달지체 유아의 수 개념 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비교

        곽수경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Written by:soo kyong Kwak Department of Earlychildhood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University Directed by Prof. Hyojin,Koo This thesis aims at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wareness about number concept educ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elays between their parents and their teachers in such as the importance, the necessity, the composition and level of education, some tools related with training, teaching method and hindrance factors. For this thesis I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the teachers teaching children with development delay and the children's parents in Seoul and Kyung-in district, Choongchung , Yungnam and Honam district. Jeju and Kangwon district. According to this survey, First, There are some differences on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about number concept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between their parents and their teachers. The teachers appreciate the impotance of the importance more highly but the parents appreciate the necessity more highly. However, both of them, the teachers and parents, regard the necessity about number concept education as the way related to one's daily life experience. In other words, they think one's daily life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learning about number concept for the handicapped. Second, There are some gaps on awareness of the composition and the level of number concept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In the composition of contents, the parents are more concerned with the simple number counting and operation while, the teachers are more concerned with color classification and shapes according to a single condition. In the level of contents, the parents are more concerned with the operation experience using concrete materials but the teachers are more concerned with the figural synthesizing using one basic figure and the other figure. Third, There are some gaps on awareness of some tools related with training and teaching method. The parents put stress on 'using concrete materials intentionally', 'using audio-visual media', and 'using a fairy tale related with math. The teachers put stress on 'using real stuff','using audio-visual media' and 'using concrete materials intentionally'. In teaching method, the parents regard using home-school materials highly but the teachers regard play education highly. Lastly, in the awareness of hindrance factors, the parents claim their children' uninteresting in numbers. The teachers claim limited method for the handicapped. 국 문 초 록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곽수경 본 연구는 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 교육의 중요성, 필요성, 교육내용 구성 및 교육내용 수준, 교육관련 교재교구, 교수방법, 저해요인 등 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 교육에 관하여 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인지역, 충청지역, 영남지역, 호남지역, 제주 및 강원지역에서 발달지체유아를 가르치고 있는 교사 252명, 부모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설문지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과, 타당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부모, 교사의 양 집단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 교육에 대한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 교 육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 모두 교사가 부모보다 높게 인식하였다. 그러나 부모와 교사 모두 수 개념 필요성을 ‘일상생활 경험과의 연계적 수단이라고 생각한다’ 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는데 이는 발달지체유아에게 있어 일상생활에서의 경험은 수 개념을 익히는데 가장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 교육내용 구성 및 교육내용 수준에 대한 인식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육내용 구성에서 부모는 ‘ 단순 수 세기 및 수 연산’을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교사는 ‘단일 조건에 따른 모양, 색깔 분류’를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교육내용 수준에 있어서도 부 모는 ‘구체물을 이용한 수 연산 경험’ 을 교사보다 높게 인식하였고, 교 사는 ‘ 기본도형을 이용해 다른 도형을 조합’ 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 였다. 셋째, 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 교육 관련 교재 교구 및 교육방법에 대 한 인식 차이는 부모는 ‘의도적 구체물(교사제작)이용’ ‘시청각 매체이 용’ ‘수학관련 동화이용’을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교사는 ‘실물이용’ ‘시청 각 매체이용’ ‘의도적 구체물(교사제작)이용’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교육 방법은 부모는 ‘학습지를 이용한 교육방법‘을 교사는 ‘놀이를 통한 교 육방법’을 중요하게 인식하여 두 집단 간 인식 차이를 보였다. 넷째, 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 교육의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에서는 부 모가 교사보다 높게 인식하였다. 부모는‘ 유아의 수에 대한 흥미부족’ 을 교사는 ‘제한 된 발달지체유아 수 개념 교수방법’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국악영역 분석연구

        안설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10종에 수록된 국악부분을 분석하여 균형적인 교과서 출판에 도움이 되는 참고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은 음악 교과서 10종 금성 음악교과서, 다락원 음악교과서, 미래엔 음악교과서, 박영사 음악교과서, 비상 음악교과서, 아침나라 음악교과서, 와이베엠 음악교과서, 음악과생활 음악교과서, 지학사 음악교과서, 천재 음악교과서 이며 분석 방법은 음악교과서 10종 전체에서 제시된 국악영역을 구성 체제 및 비중, 장르별 분류, 내용 영역별 분류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음악교과서 10종의 각 교과서별로 구성 체제 및 비중 분류, 장르별 분류, 내용 영역별 분류 모두에서 각각의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국악영역의 구성을 보면 다양한 구성 체제로 이루어져 있으나 국악 제재 곡은 평균 30.05%의 비중을 보였고 각 교과서별 국악 제재 곡의 비중이 최고 43.7%, 최저 24%로 그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장르별 분석에는 가장 높은 비율의 민속악 부분과 가장 낮은 창작음악 부분의 영역차가 크게 나타나 전체적 비중으로 볼 때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았다. 고등학교 국악 교육은 음악 이론을 학습하기보다 우리음악의 가치를 이해하고 즐길 줄 아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출판된 음악교과서 10종의 국악영역에서는‘음악의 영향력’,‘문화적 산물로서의 음악’에 관련된 내용이 부족한 실정이다. 앞에서 언급한 음악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학생들이 국악을 학습하면서 여러 자질을 함께 성장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교육부(2015). 고시 제2015-74호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부. 음악교육에서 국악영역은 학생들에게 우리 민족문화의 과거와 현재를 경험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정체성을 일깨워주며 정서적인 측면 또한 발달시켜주는 등의 중요한 역할을 갖고 있는 국악을 학생들에게 올바르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국악영역의 양적 및 질적인 증가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 국악영역의 균형적인 증가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 국악영역의 균형적인 내용제시가 우선적으로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부(2015). 고시 제2015-74호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부. 본 논문의 연구결과가 교사들의 음악교과서 선택, 수업 설계 또 교육과정의 개편 시 기초적 참고자료로 사용되길 바라며 국악교육의 발전에도 보탬이 되길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ection of 10 types of high school music textbooks revised in 2015 and provide reference materials to help publish balanced textbooks.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paper include 10 types of music textbooks, Geumseong music textbooks, Darakwon music textbooks, future music textbooks, Park Young-sa music textbooks, emergency music textbooks, morning music textbooks, Wi-beem music textbooks, music and life music textbooks, music textbooks for Jihaksa, and genius music textbooks presented in all 10 types of music textbooks, and analysis methods were organized and classified by system, weight, genre, and cont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each of the 10 types of music textbooks shows a difference in composition system and weight, genre-specific classification, and content-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Gugak area, there were various composition systems, but the proportion of the Gugak sanction songs averaged 30.05%, and the proportion of the Gugak sanction songs in each textbook was up to 43.7% and the minimum 24%, showing a large deviation. The analysis by genre showed a wide gap between the highest proportion of folk music and the lowest proportion of creative music, so it was not evenly distributed in terms of overall weight.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high school aims to understand and enjoy the value of our music rather than learning the theory of music. However, the 10 typ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extbooks currently published lack contents related to" influence of music" and" music as cultural products." In order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goals of music education, students should be able to develop various qualities together while learning Korean traditional music. Ministry of Education (2015). Music and Curriculum Revision No. 2015-74.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order to properly deliver Gugak, which has important roles such as not only allowing students to experience the past and present of Korean culture, but also to realize their identity and develop their emotional aspects,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crease 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rea is needed. To this end, balanced present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should be implemented first. Ministry of Education (2015). Music and Curriculum Revision No. 2015-74. the resuits of oen’s study We hope that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used as a basic reference for teachers' choice of music textbooks, class design, and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and hope that it will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 유아특수교육 실습의 실태 조사

        양미자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특성, 실습과 관련된 대학교육 과정, 실습기관에 대한 만족도 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특성은 어떠한가? 2. 교육실습과 관련하여 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 3. 실습기관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 4. 유아특수교육 실습의 전반적 만족도 및 개선 방향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4년제 대학 중 유아특수교육학과가 있는 공주 대학교, 대구대학교와 우석대학교 학생 중 실습을 마친 4학년생 53명과 해당 학교 교수님을 통해 알게 된 유아특수교육과 졸업생 32명을 합한 총 85명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사한 질문지는 컴퓨터를 이용한 통계 SAS프로그램으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교육실습생 지도 경험이 없는 교사가 더 많았으며 실습지도교사의 전공 면에서 48%(34명)가 특수교육을 전공하여 유아특수교육 실습생 지도에 부적절함이 나타났다. 둘째, '교육실습 과목 강의(예, 교육과정, 교육과목)' 에서 더욱 지도되어야 할 부분으로는 '실제 현장 지도기법(행동지도)' 이다. 셋째, 실습한 유아특수교육 기관의 교육환경으로는 만족하는 편이며, 교육실습과 관련하여 교육실습기관 선정 시 정보가 필요하다. 넷째, 실습한 교생들은 교육실습 시 장애특성의 이해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꼈으며, 교육현장에서 실습생에게 바라는 능력으로는 장애유아 생활지도 능력과 수업계획안 작성 및 수업능력이고 교육실습 기간(1개월)은 일반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입학직후부터 전학년에 거쳐 규칙적인 실습 및 실습지도를 받아 다양한 현장 경험 및 장애특성을 이해하는 자신감 있는 예비교사의 자세가 필요하다. 또한, 유아특수교육과의 교육실습생 수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므로 유아특수교육과의 교육실습 실태를 지속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유아특수교육과의 교육실습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연구하고 또한 교육실습과 관련한 교육과정 편성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quality of cooperating professonor, practicum relating curriculum, and student satisfaction on practicum sit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field instructor? 2. What is student satisfaction with college curricula related to teaching practice? 3. How much are students satisfied with institute where they practiced? 4. What are the feasible, efficient reform measures for more successful practice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5 people who included 53 seniors at Kongju University, Taegu University and Wuseok University, which has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department among four-year course universities nationwide, and 32 graduates from the same universities. The seniors completed teaching practice, and the graduates were introduced to me by professors at those universities. The responses from the subjects were encoded, and the frequency analysis was made with SAS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among the teachers who were the field instructor of the subjects, more teachers had have no experiences to guide student teachers, despite the importance of field instructor role. And only 48%(34 teachers) were a special education major. So they appeared not to be properly able to guide teaching practice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econd, the subjects were in want of more education in 'field guidance technique(behavior guidance),' among the courses related to teaching practice(curriculum and subjects). Third, they tended to be contented with the educational setting of the special preschool education institutes where they practiced. But more information was needed for the selection of institute for teaching practice. Fourth, the student teachers had difficulties due to poor understanding of disability characteristics. They were wanted from the practice institutes to be capable of doing guidance for disabled preschoolers, making out a teaching plan and giving successful instruction. The present one-month teaching practice term was generally said not to be enough.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pre-teachers to have diverse field experiences by being exposed to regular practices during every school year,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have more confidence. As the number of student teachers who practice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re on the increase, more researches are needed on the actual state of teaching practice on a continual basis to find out its problems, look for reform measures, and prepare better teaching practice curriculum.

      • 초등학교 무용 특기·적성 교육에 대한 사회계층별 만족도 및 요구분석

        유가영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 Abstract >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Requirement by social classes for the Dance Talent and Aptitud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Yu, Ga-young Major in Dance Dept.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 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Yang, Soon-hee This study os aimed at analyzing the satisfaction and requirement by social classes for the dance talent and aptitud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the elementary school participation in dance talented and aptitud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wangju were selected as subjects, selecting six of them, carrying out a survey targeting elementary school parents participating in dance talented and aptitude education. Total 220 of them, excluding 20 who gave in sincere answers or some of research was left out,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is. In other to clarify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PSS Window 18.0 was utilized, and following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for the research: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ssover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First, satisfaction for dance talented and aptitude education by social class were analyze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number of time a share, the number of students, levels of learning, ability of teachers,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reduction, effectiveness of education after participating, continuous participation decision. Second, in parents requirement for dance talented and aptitude education by social class, the awareness on need for dance talented and aptitude education was high, while significant difference in requirement of instruction directivity and levels of learning was found by social class.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most of school parents are satisfied with dance talented and aptitud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s, also a high awareness about the needs is found. Particularly, the dance talented and aptitude education regards the content of education very highly, school parents also remand the dance education as creative programs for finding talent by grasping talent of the students. Therefore for revitalization of the dance talented and aptitude education and effective operation, the dance talented and aptitude education must be carried out in order to satisfy the consumers of the dance talented and aptitude education. 국 문 요 약 초등학교 무용 특기·적성 교육에 대한 사회계층별 만족도 및 요구 분석 유가영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전공 본 연구는 초등학교 무용 특기·적성 교육에 대한 사회계층별 만족도 및 요구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중에서 무용 특기·적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그중 6곳을 선정하여, 무용 특기·적성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답변된 것으로 판단되는 20부를 제외한 총 220부의 설문지를 유효 표본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변인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통계기법은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목적과 연구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사회계층별 무용 특기·적성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주당횟수, 학생 수, 수준별 교육, 지도교사 능력, 사교육비 감소효과, 참여 후 교육효과, 참여지속여부에서 사회계층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사회계층별 무용 특기·적성 교육에 대한 사회계층별 부모의 요구에서 무용 특기·적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는 바가 높게 나타났으며, 지도방향성 및 수준별 교육 요구에서 사회계층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초등학교 무용 특기·적성 교육에 대해 학부모들은 대부분 만족하고 있으며, 필요성에 대해서도 높게 인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부모들은 무용 특기·적성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교육내용으로써, 학생들의 소질을 파악하여 재능발견을 위한 창의적 프로그램으로서 무용교육을 요구하고 있었다. 따라서 무용 특기·적성 교육의 활성화 및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무용특기·적성 교육의 수요자 중심의 만족할 수 있는 무용 특기·적성 교육을 시행 하여야 할 것이다.

      • 12현산조가야금, 25현 가야금 연주법 연구 : - 음악 교과서의 국악 가창곡을 중심으로-

        양진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석사학위논문 12현산조가야금, 25현 가야금 연주법 연구 - 초등학교 5년, 6년 과정 음악 교과서의 국악 가창곡을 중심으로- 양 진 희 우석대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 문 정 일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5, 6학년 과정의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이에 수록된 제재곡들의 현황을 출판사별로 정리하여 살펴보겠으며 그 제재곡에 따른 가야금의 조현법과 악보를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실행되고 있는 학교 교육현장을 보면 교육용 CD를 활용하거나 기본적인 타악기인 장구반주에 의하여 가창곡 학습이 이뤄지고 있다. 이것은 간접적인 교육방법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정상적인 국악교육의 체계 확립을 위해서는 기악영역의 교육, 가창영역의 교육, 창작이론영역을 나누어 이뤄져야 하겠으며 이중 기악교육영역에 해당되는 가야금을 활용한 국악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본 연구는 실제현장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리라 기대한다. ABSTRACT Master’s thesis Study on the Techniques of 12stringed Sanjo Gayageum & 25stringed Gayageum : Focused on Korean traditional music songs in the music textbooks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Yang, Jin Hui Major of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Mun, Jung-Il In this paper, I organize each publisher: the current state of the song was recorded around the textbook of music of the process of 5,6 grade, I am trying to present the music and gayageum tun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song. If you look at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that is currently running, you can take advantage of the educational CD, lessons of singing songs by janggu is a percussion accompaniment basic have been made. It is considered to be teaching an indirect way this.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the syste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o be done separately education region instrumental, education singing region, a region of creation theory. In this study, which can be used as a basi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gayageum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will now be expected to try to use very conveniently in the field of practice.

      •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한 미술활동 중재연구 동향 연구

        김이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trends in art activity intervention studies for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analyzes a total number of 66 related studies on art activities that were published on the Korea Citation Index(KCI) between 2007 and 2020. The pap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general features of researcher and participants, research trends according to art activity intervention,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and its effects, and research trends according to disability types. In particular, the participants’ grades and gender, dependent variables, experimental results, and effects were analyzed by disability type. The conclusions examined through the abov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results regarding the general features of the researchers and the participants and the general features of the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of art activity intervention research in the research trend, studies had a higher ratio of co-research. Within the co-research, duet research (involving 2 researchers) was relatively more frequent. The first author showed a higher percentage of postgraduate students, who are in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diploma. The most frequent research target was the elementary student and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result regarding the number of participants, group studies showed highest frequency in the number between 10 and 20, while the single-subject studies showed the highest number in the involvement of 3 participants. The studies that do not indicate the place of arbitration were the most frequent among the 66 theses. The most appearing independent variables were expressive activity in the areas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of artistic activity. Secondly, in the research trend of dependent variables, social development was the most frequent variable. The dependent variable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variable showed the highest number in social development. The research result and its effect, in group study was 25 cases (sig. p<.05), which was the most frequent. Third, the research trend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y, it showed the highest ratio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mong the types of disability. The dependent variable in a type of disability and grades, out of 28 Other (Mixed), among 10 high school students, 7 showed sociality, which counted the most. Overall, in the field of disability, sociality is very frequently shown. In the experiment results and its effect in each disability type, 9 out of 25 group studies showed intellectual disability(sig. p<.05), and 11 out of 16 single-subject studies showed 100~90% PND, within those,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4 which was the most frequent. The above research results suggest the direction of art activity intervention studies for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in Korea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follow-up research. The suggestions for the follow-up research according to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First, this research has a limitation of generalization on the results of the whole researches on students that are subject special education since it has been based on the studies on art activities that were published on KCI between 2007 and 2020. Therefore, in future research, it is required to include of thesis and expansion of the research method to analyze more comprehensively.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only the trends in art activity intervention studies for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in Korea. Therefore, a comparison/analysis should be made with the study trends abroad.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 교육 대상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미술 활동 개입 연구의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07 년부터 2020 년까지 한국 인용 지수 (KCI)에 게재 된 미술 활동 관련 총 66 건의 관련 연구를 분석했다. 논문은 연구자 및 참가자의 일반 특성, 예술에 따른 연구 동향에 따라 분석되었다. 활동 개입, 독립 변인, 독립 변인에 따른 종속변인, 실험 결과와 그 효과, 장애 유형에 따른 연구 동향. 특히 장애 유형별로 참가자의 성적과 성별, 종속 변수, 실험 결과, 효과를 분석 하였다. 위 결과를 통해 살펴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동향에서 연구자 및 참여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미술 활동 개입 연구의 연구자 및 참여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공동 연구의 비율이 더 높았다. 공동 연구에서 듀엣 연구 (연구자 2 명 포함)는 상대적으로 더 빈번했습니다. 첫 번째 저자는 졸업장을 취득하는 과정에있는 대학원생의 비율이 더 높았습니다. 가장 빈번한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과 지적 장애였습니다. 참여자 수에 대한 결과에서 그룹 연구는 10 ~ 20 명 사이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단일 피험자 연구는 3 명의 참여자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중재 장소를 나타내지 않는 연구는 66 개 논문 중 가장 빈번했다. 가장 많이 나타나는 독립 변수는 예술 활동의 경험, 표현 및 감상 영역에서 표현 활동이었습니다. 둘째, 종속 변수 연구 동향에서는 사회 발전이 가장 빈번한 변수였다. 독립 변인에 따른 종속변인은 사회 발전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연구 결과와 효과는 집단 연구에서 25 건 (sig. p <.05)으로 가장 많았다. 셋째, 장애 유형별 연구 동향은 장애 유형 중 지적 장애 남고생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 유형 및 등급별 종속 변수는 기타 (혼성) 28 명 중 고등학생 10 명 중 7 명이 사회성을 보였으며 가장 많이 집계되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장애 분야에서 사회성은 매우 자주 나타납니다. 실험 결과 및 장애 유형별 효과에서 25 개 집단 연구 중 9 개 연구에서 지적 장애 (sig. p <.05)를 보였고, 16 개 단일 과제 연구 중 11 개 연구에서 100 ~ 90 % PND를 보였고, 그 중 지적 장애는 지적 장애였다. 장애가 가장 빈번한 4 개를 보였습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한국 특수 교육 대상 학생의 미술 활동 개입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한계 및 연구 결과에 따른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본 연구는 2007 년부터 2020 년까지 KCI에 게재 된 미술 활동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하여 특수 교육 대상 학생에 대한 전체 연구 결과에 대한 일반화에 한계가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논문의 논문과 연구 방법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한국의 특수 교육 대상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미술 활동 개입 연구의 동향만을 분석 하였다. 따라서 해외 연구 동향과 비교 / 분석이 이루어져야한다.

      • 전문상담교사 역량에 대한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전문가, 전문상담교사 인식

        윤정숙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예비전문상담교사가 졸업시에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해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전문가, 전문상담교사 간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했다. 첫째, 전문상담교사 역량에 대해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전문가, 전문상담교사 간의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전문상담교사 역량에 대해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전문가, 전문상담교사 간의 숙달요구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전문상담교사 역량에 대해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전문가, 전문상담교사 간의 중요도, 숙달요구도 순위는 어떠한가? 넷째, 전문상담교사 역량에 대해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전문가, 전문상담교사 간의 중요도, 숙달요구도의 매트릭스 분포는 어떠한가? 상기의 설정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전문상담교사 역량척도를 이론지식, 기술수행능력, 인성 및 태도로 구분하여 총 31문항을 도출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예비전문상담교사101명, 교육전문가 14명, 전문상담교사 31명에게 전문상담교사 지표 및 역량척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5.0을 통계프로그램을 통한 중요도, 숙달요구도, 순위를 통계하였고, 중요도-숙달요구도의 매트릭스를 사용하였다. 상기 설정된 연구문제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요도 인식에 차이는 이론지식과 인성 및 태도 역량영역은 전문상담교사(c)보다 예비전문상담교사(a)와 교육전문가(b)에서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a, b>c), 기술 수행 능력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숙달요구도 인식에 차이는 이론지식, 기술 수행 능력, 인성 및 태도 역량영역에서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전문가 전문상담교사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전문가, 전문상담교사 간의 중요도와 숙달요구도 순위에서 상위역량은 상담자윤리, 개인인성, 자기성찰 및 소진대처가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으며, 하위 역량은 매체(도구)상담 이해 지식, 상담환경 조성 그리고 행정업무가 낮은 순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전문가, 전문상담교사 간의 중요도-숙달요구도 매트릭스 분포에서는 예비전문상담교사와 전문상담교사간의 인식은 동일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전문상담교사와 전문상담교사는 제 2사분면에는 1개의 역량이 제 4사분면에는 2개의 역량이 분포되어 있고, 교육전문가는 제 1·3사분면에만 역량이 분포되어 있다.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 역량분석을 통해 양성교육과정 표준화를 제시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전문가, 전문상담교사 간의 인식의 차이를 이해 및 분석하고 중요한 역량과 숙달이 필요한 역량을 구별하여 양성교과목의 목표선정과 주요내용을 구성하는 기준자료가 될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직무갈등과 역할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역량 개발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prelimin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education experts, and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bout the competencies that preliminary professional counselors should have upon gradu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set of research topics were addressed. First,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among prelimin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education experts, and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regarding the important competencies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among prelimin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education experts, and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regarding the degree of proficiency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ird,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among prelimin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education experts, and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regarding the ranking of importance and degree of proficiency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Fourth,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among prelimin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education experts, and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regarding the matrix distribution of importance and proficiency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n order to elucidate the aforementioned set of topics, a survey with a total of 31 questions were developed by dividing the prelimin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competency scale into theoretical knowledge, technical performance ability, personality, and attitude ascertained from established literature studies. In this study, 101 prelimin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14 education experts, and 31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ere surveyed on the prelimin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competency indicators and scales. Statistical analysis on the importance, degree of proficiency, and ranking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25.0) and a matrix distribution of importance and proficiency was utilized.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ults regarding the established research topic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mpetency areas for theoretical knowledge, personality, and attitude were more importantly recognized by prelimin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 and education experts (b) than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c) (a,b>c), while there were no perceived differences in technical performance ability among the surveyed group.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proficiency between prelimin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education experts, and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n the competency areas of theoretical knowledge, technical performance ability, personality, and attitude. Third, counselor ethics, personality, self-reflection, and burnout coping skills ranked highest in importance and proficiency among prelimin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education experts, and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n contrast, it was found that knowledge of counseling mediums (tools), creating a counseling environment, and administrative tasks ranked low. Fourth, in the matrix distribution of importance-proficiency between prelimin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education experts, and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e perception between prelimin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nd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as found to be similar. Prelimin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nd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have one competency in the second quadrant and two competencies in the fourth quadrant. The competencies surveyed by education experts were distributed only in the first and third quadrants. By understanding the perceived differences regarding the competency of prelimin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mong prelimin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education experts, and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ho are the main actors of the educational training courses, the competencies demanded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can be better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in developing competency areas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nd prevent task and role conflicts that can likely occur by accepting all of the undefined tasks and roles demanded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