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 초임교사의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김은지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11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교사였던 연구자가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서술함으로써 교사 재교육기관의 교육을 통한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그 의미를 해석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 및 결론을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한 동기는 첫째, 교사 전문성의 신장과 학문적 욕구 해소라는 내재적 가치 실현 둘째, 자격증 취득 등을 위한 발령대기 상황의 대비책이라는 외재적 가치 실현을 위함이었다. 다음으로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에 미친 영향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교육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교육적 경험을 하고 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교수 전문성을 발달시킬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교육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학교교육에 대한 가치 변화가 일어났고, 초등학교 초임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성찰을 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의미관점의 발달을 겪을 수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에게 교육대학원은 전문적 자본 발달의 장(場)이었다. 또한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에서 동료교사와 함께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이 “함께 수업을 듣는 사람”에서 “교육에 관하여 함께 고민하고 성장하는 사람”으로 전환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대학원의 구성원들은 현장교사들이 교육대학원에서 전문적 자본을 개발 및 확장할 수 있도록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대학원은 현장교사들의 학습경험이 그저 ‘학위 취득을 위한 시간 때우기’에 머물지 않도록 교사 재교육 목적과 기능에 충실한 교육과정과 수업을 전개해야 한다. 셋째, 교육대학원은 단위학교나 지역교육청의 인적 및 물적 자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공유하여 교육대학원 교육프로그램의 학문성과 현장전문성을 확대 및 심화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연결함으로써 교육대학원의 교사 재교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교수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교육대학원에 수학 중이거나 진학을 희망하는 현장교사들에게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이해하고, 성찰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기여할 있을 것이다.

      • 음악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경향 분석 연구 :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중심으로

        채규조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문헌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음악학도들에게 필요한 자료를 신속 정확하게 찾는데 느끼는 곤란함과 자료검색을 위한 2차 자료의 필요성에 부응하여 음악교육 연구의 정보자료로서 음악교육 문헌관계 석사학위 논문의 총람을 작성하고 이를 장르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1993년부터 2002년 2월까지 제출된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333편의 논문 총람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333편의 장르별 연구경향은 14개의 장르 중에서 음악교육론 영역과 국악교육영역에 각각 67편(20.1%)으로 가장 많은 연구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 논문 작성자들 대부분이 초등교육에 몸담고 있는 교사로서 좀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음악교육을 하기 위한 노력의 표출로서 음악교육학적 측면에서 음악교육방법을 연구해 보려는 시도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서양식의 음악교육을 답습해온 이제까지의 교육에서 탈피해 우리의 것을 바로 알고자 하는 국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기조를 반영하여 국악교육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장르별-연도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기 전인 1998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음악교육론(28편), 성악교육(14편), 국악교육(14편), 작곡교육(11편), 교육과정(10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는 1999년에는 국악교육 9편, 성악교육 7편, 음악교육론 3편으로 국악교육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이후 2002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국악교육(49편), 음악교육론(39편), 성악교육(30편), 교육과정(23편), 감상교육(19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1999년 이후 국악교육의 연구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된 데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논문의 연구대상 시기인 6차 교육과정 때부터 국악교육에 많은 관심과 영역이 할애되었고 7차에 이르러 초등음악의 5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어 국악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1992년부터 1998년까지 1편도 제출되지 않았던 피아노 교육관련 논문과 불과 2편만이 제출되었던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999년 이후 피아노 교육이 총 7편,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1편으로 많이 증가되었다. 또한 어느 영역에도 소속되지 않는 새로운 영역의 논문들도 1999년 이후 10편이 발표되었다. 셋째, 장르별-학교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음악교육론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부산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였으며, 음악재능교육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진주교육대학교였다. 성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공주교육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였으며, 작곡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대구교육대학교였다. 국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광주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였다. 이를 토대로 살펴보면 학교에 따라서 장르별로 비중을 두어 연구하는 영역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서울교육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의 경우는 14개 영역 중 종교음악교육, 유아교육, 특수교육의 특수한 영역을 제외하고는 고른 연구의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처음으로 초등음악교육전공의 연구 논문이 발표된 이래 전국의 11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초등음악교육전공이 개설되고 논문이 발표되면서 양적, 질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essay is to provide a general view of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as a valuable source of music research and to analyze it according to the music genre. It is helpful for music researchers to find necessary information easily in the plethora of music materials and to resolve the difficulty of information searching. This research investigated a total number of 333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which was published in Korea from 1993 to February 200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research trend by a genre showed that 14 categories among 333 thesi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music education and traditional Korean music that were composed of 67 thesis(21.1 %). This revealed that most research was done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can be a good indication that teachers attempt to do systematic and scientific research of music education. It can be interpreted as a trend of avoiding imitating Western style of music education and higher interests in traditional Korean music. Second, the general analysis according to the genre and annual publication showed that 28 thesis were about special areas of music education with 14 being about vocal music, 11 about writing music, and 10 about music curricula before theses of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were published in 1998. The theses relevant to music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at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tarted to be published in 1999. Nine theses were about traditional Korean music, seven on vocal music and three on music education. The trend of genre from 1999 to 2002 showed that 49 theses were made in the area of traditional Korean music, 39 about music education, 30 on vocal music, 23 about music education, and 19 concerning how to listen to music. It is believed that much interests in Korean music started at the 6th music curriculum contributed to the abundance of theses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music, which comprised of roughly 50 % of 7th music curriculum. There was no thesis at the area of piano education from 1992 to 1998 and only two thesis at the area of music evaluation. However, since 1999 seven theses of piano education were published and eleven on music evaluation. Third, general analysis of this research proved that Busan, Seoul, Inchon, and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of music education, and J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a lot of theses related to talented music education. Gongju and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associated with vocal music. T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most theses about writing music. Kwangju, Busan, Incheon, Chunche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order had more theses connected with traditional Korean music. This result illustrated the fact that different college explored different genre of music. Seoul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a tendency of studying a variety of spheres among fourteen areas except fields of religion, kindergarden, and speci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thesis demonstrated that the amount of research exploring elementary school music was increased in the aspect of quality and quality at the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i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their first master thesis.

      •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의 초등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경향 분석

        권미경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의 석사학위 논문의 총람을 작성하고 각 학교별로 논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석사학위 논문의 경향을 학교별로 파악하여 음악교육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국내 초등음악교육계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의 11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의 2005년 8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석사학위논문 248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논문을 연구영역과 연구방법을 기준으로 각 학교별 논문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영역의 분류기준은 음악교육역사, 음악교육철학, 음악미학, 음악심리, 음악교육과정, 음악교재, 음악교수?학습방법, 음악교육공학, 음악교육평가, 음악교사교육, 음악특기적성, 국악, 다문화음악, 기타의 14개 영역이다. 그리고 연구방법은 역사연구, 기술연구, 실험연구, 문헌연구의 4가지를 기준으로 하였다. 학교별 논문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학교는 53편의 논문을 발표한 경인교대였으며, 모든 영역을 연구한 학교는 없었으나 11개 영역을 연구한 학교로 경인교대가 해당되었다. 연구방법에서는 경인교대, 부산교대, 청주교대에서 네 가지 연구방법을 모두 사용하였고, 나머지 학교들은 2개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가장 많이 연구된 연구영역은 음악교수?학습방법이며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의 방법이다. 대다수의 논문들이 교육적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지도안을 구안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저조한 연구를 보이는 영역으로는 음악교육역사, 음악교육철학, 음악미학, 음악교육평가의 영역이다. 그리고 역사연구의 방법이 가장 적게 사용된 연구방법이었다. 따라서 초등교육음악계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저조한 연구를 보이는 영역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논문들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체계적인 분류기준의 정립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속적인 연구를 위해서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공개적으로 제시하는 각 교육대학교의 교육적 아량이 요구된다. This study makes pandect of master these in the field of the music education of the graduated school in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nalyzes th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understanding the tendency of theses in a master degree according to the national universities, showing useful data to the music education researchers and eventually contributing to internal elementary music education development. This thesis is based on 248 theses of the graduate schools in 11 national universities which were written from August, 2005 to January, 2008. It focuses on the theses trend in each university, using the criteria of the study scope and the study method. The study scopes use 14 areas: history of the music education,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music aesthetics, music psychology, processes of music education, music textbooks, music teaching methods, learning methods, engineering of music education, evaluation of music education, education of music teachers, the special ability of music, Korean classical music, multi-cultural music and other areas. The study method uses 4 kinds: history study, skill study, experiment study and documentary records study. Findings on analysis reveals that Kyengin Education University has published the highest amount of theses. It also shows that there is no university which has a thesis covering the 14 areas. However, Kyengin Education University has the theses which cover 11 areas. Some these of the Education University of Kyengin, Busan and Cheungju use 4 study methods and the others use at least 2 and more study methods. The most popular study scopes are music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highest used study method is the documentary records. Most of the these use the study method using educational ideas and making a guidance plan. The least study scopes are history of the music education, philosophy of the music education, music aesthetics and evaluation of the music education. The least study method is history study. All in all, the research of the least study scopes should be progressed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in the field of the elementary music. It is also essential to set the systematic classified criteria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theses. It is, moreover, required that each university shows broad mind to allow researchers to access useful materials openly.

      • 교육대학교 교육과정과 수업 참여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장지연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글의 목적은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한 초등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참여경험을 질적으로 조명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비교사였던 연구자가 경험한 사랑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과 수업 운영에 관련된 개인적인 기억자료, 자기회상 자료, 자기성찰 자료, 문화기물 자료, 문헌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이 글은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사랑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 편제에 따라 교양과정, 전공과정, 심화과정, 교육실습이라는 네 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영역분석(1차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주제 분석(2차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인 범주와 주제를 생성하였다. 최종적인 연구 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랑교육대학교의 교양과정과 그에 따른 수업 운영은 초등학교 교사로서 필요한 역량(‘사도핵심역량’) 기반의 학습내용을 포괄하는 데 제한적이었다. 둘째, 사랑교육대학교의 전공과정(교직이론, 교직소양, 교과교육, 교과전담, 특별·재량)과 그에 따른 수업 운영은 현장교사들이 요구하는 실천적 및 경험적 지식보다 학문적 및 이론적 지식에 치우쳐 있었다. 따라서 사랑교육대학교의 전공과정과 수업은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교육적 관심과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한계가 있었다. 셋째, 사랑교육대학교의 심화과정과 그에 따른 수업 운영은 초등교육의 고유성과 전문성을 반영 및 실현하는 데 제한적이었다. 넷째, 사랑교육대학교의 예비교사 교육실습 과정은 기존 교원양성 교육과정 및 수업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였고, 교육실습의 기회가 부족하여 현장전문성을 함양하는 데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과 수업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원양성기관의 교양과정과 수업 운영은 ‘초등교육’이라는 특수목적대학으로서의 특수성과 차별성을 반영한 교육내용과 교수방식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초등교원양성기관의 전공과정과 수업은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이 결합된 현장친화적인 교육과정과 교수법을 강조해야 할 것이다. 셋째, 초등교원양성기관의 심화과정과 수업은 초등학교 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역할을 형성하고, 세부 교과별 교수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초등예비교사교육에서의 현장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교육실습 기간을 보다 확대하고, 초등교원양성대학의 교사교육자들과 실습협력학교의 현장교사들이 상호 간에 협업할 수 있는 협력 체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 지역 교과서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지역화의 적합성에 대한 연구 : 초등학교 3학년 '전주의 생활' 중심으로

        장정숙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교과 교육이 인간 형성의 관점에서 본질적인 존재 이유를 가질 때, 사회과 교육은 시민성 함양이라는 목적성을 존립근거로 한다. 한국 사회과에서 추구하고 있는 시민성이 교육과정 문서상에 나타나고 있는 바를 살펴보자면,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세계 시민으로서의 자질’이라는 모습이었다. 그런데, 누군가 한국인이 된다는 것은 그가 살고 있는 지역 사회의 구성원임을 전제로 한다. 각자가 지역 사회의 구성원으로 가지는 정체성이 바탕이 되어 민족 정체성의 확립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래서 한국의 사회과에서는 교육과정의 지역화를 통해, 지역적인 삶의 원리가 사려 깊게 다루어지도록 시도되었다. 교육과정의 지역화는 초등학교 3학년과 4학년에서 중점적으로 제도화되었는데, 지역교과서의 발행으로 그 구체성을 확보하였다. 특히 3학년의 경우, 처음 사회과를 도입하면서 어린이 주변의 생활 경관을 바탕으로 국지적지역적인 것의 의미 추구 양상이 전재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과연 교과서에서 지역적인 것의 가치를 온당하게 재현하는가의 여부였다. 교육과정 지역화가 당위론적인 시도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으로 의미있는 가치추구가 진행되고 있는가하는 교육과정 지역화의 적합성 여부가 검토의 대상이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전주의 지역교과서를 사례로 이 문제를 해명하고자 했다. 교육과정 지역화의 적합성을 논의하기 위해 먼저 교육과정의 지역화의 의의와 개념을 알아보고 이를 추구하기 위한 적합한 방법이나 방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국가에서 제시하는 지역화의 방향이 국가 교육과정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보완의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역 정체성의 사회구성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크게 세가지 측면에서 이론적인 논의를 시도하였다. 먼저 주체의 동일시 양상을 통해서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정식화하였고 다음으로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사회적인 구별짓기의 차원에서 언급하면서, 경계 설정의 효과를 다루었다. 셋째, 정체성의 사회적 구성과정은 공간 변증법으로서의 스케일에 비추어 볼 때, 입체적으로 드러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의미 범주로 삼아, 전주 지역의 교과서를 문화 기호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내용서술’은 비판적 담론 분석법을 적용하였고, ‘삽화 및 사진’의 경우에는 도상학적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담론과 지역 교과서 두 가지 모두를 각각 코드의 기호학 측면에서 분석하고 난 후, 그 다음에 지역 담론의 의미양상을 맥락적 체게로 삼아 지역 교과서의 경우를 다시 해석하였다. 전주 지역의 담론과 교과서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역 담론과 지역교과서에서 재현된 전주 정체성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지역 담론은 지역의 고유성에 좀 더 무게 중심을 두고 지역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반해, 지역 교과서는 민족의 보편성에 좀 더 두고 지역 정체성을 형성하고자 하였지 때문에 차이를 보였다. 그 대표적인 예로 ‘우리 전주의 민속놀이’로 ‘풍물놀이’를 담고 있음을 들수 있다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현행 교육과정의 지역화는 이상과 현실 사이에 괴리가 있었다. 지방의 교육과정이 자율성을 확보하고서, 교육과정 자료의 형식으로 지역 교과서를 개발하였지만, 지역의 고유성이 잘 드러나지는 못했다. 즉, 교육과정의 지역화를 통해 국가가 교육과정을 과도하게 통제하는 구습에서 벗어나고자 했으나 한계가 나타났다. 현재의 교육과정 지역화는 지역정체성 형성의 측면에서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 드러난 것이다. 이런 결과가 나타난 이유를 추론하자면, 지역 교과서의 집필 방향을 저자들에게 권고할 때, 그 내용이 모호하고 모순적인 성격을 가졌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애향심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다른 지역에 대한 배타성이 생기지 않도록 규정한 것이 문제점을 가졌다. 애향심을 보편적인 관점에서 보지 못하고, 제한해야 할 특수주의로 규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집필 방향의 한계는 국가 교육과정이 지역 교육과정을 과잉 결정하고 있는 현실에 연유한다. 사회과 교육과정이 국가 교육과정으로 다루어지고 있고, 무엇보다도 국정 교과서 제도를 통해서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있는 것이 오늘의 상황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들이 현명하게 극복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교육과정 지역화 관련 당사자들이 교육과정 지역화에 따른 교육인간상에 대해 논리적으로 이해함에 있어서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왜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역화를 하는가?에 대한 이해가 피상적인 상태에서 지역화를 시도하는 그 자체에만 의의를 둔 결과라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현재의 교육과정의 지역화는 그 적합성이 의심스러울 수 밖에 없다. When subject education has essential reason for being in vantage point of formation of character, social studies education has purpose of citizenship fostering. As we examine the citizenship which is seeking in South Korea social studies is appearing on curriculum document, It was image that is 'As Korean, identity and community who he lives in that someone becomes Korean. Identity that each has by constituent of community gets into establishment of nation identity. So, in Korean social studies through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tried so that principle of regional life may handle as it is premeditative.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is institutionalized in priority Third-year student in primary school and forth-year student, secured the concreteness by publishing regional textbook. Especially, in case of third-year student, as introducing social studies first time pursuit aspect of local, regional thing was spread with life spectacle around child. By the way, problem was availability of if that reappear value of regional thing reasonably in a textbook. Not that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stays in attempt, fitness availability of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which do if significant value thoroughgoing study is gone in real terms was target of examination. so, in this research, we wished to make clear to example this problem through Jeonju's regional textbook. We searched sense and concept of regionalization of priority and examined suitable method of direction to seek this in order to discuss fitness of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We could know that its direction of regionalization presented in the country through this require role of repletion that does not escape three sides to understand society composition aspect of area identity. First, as formularizing process of identity through aspect is formed at uniformity of subject and referring to process of identity is formed next in dimension process of identity confirmed that is detected in solid when seeing scale by space dialectic. By next time, in method of study theoretical background wad considered as meaning category, three preceding regional textbook was analyzed by culture semiotics 'Contents description' use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ethod, iconographic analysis method in case of 'Episode and Picture'. In this research, after both of them, regional discourse and regional textbook, are analyzed by semiotics side and then regional textbook was reinterpreted by considering meaning aspect of regional discourse as contextual system. Analysis result for Jeonju's discourse and a textbook of Jeonju's region is as following. First, examined regional discoruse and textbook in side of Jeonju's identity that is reappeared. While regional discourse puts center of gravity little more in characteristic of region and form regional identity, an regional textbook showed difference because we wished to put and form regional identity little more in universaltiy of the nation. the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Minsoknoli of our Jeonju' contains 'Pungmulnoli'. As appearing in analysis result, there was estrangement between ideal and actuality in current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After local curriculum secure autonomy, and developed an regional textbook in form of curriculum data, but characteristic of region was not detected well. That is, we wished to escape in old custom that the country through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going on showed that it is amiss thing in side of regional identity. The reason that this result appears, when advising writing direction of regional textbook to writers, these contents are vague and had inconsistent personality. As it were, it had controversial point that prescribed lest cliquishness for other area should occur overemphasizing Aehyangsim. Without seeing Aehyangsim from universal viewpoint, we prescribed special procurements that must be limited. Limit of these writing direction comes form the fact country curriculum is deciding regional curriculum excessively. Social studies curriculum are handled by country curriculum, and it is situation of today that choosing education contents is handled by government authorization textbook system. The reason that these problems are not overcomed is because thoes who are related to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have the limit of understanding logically about education image of man according to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In other words, the understanding of 'why do you do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thing of result that put sense to itself in superficial condition. As a result, current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consisted in these situation can be doubtful the fitness.

      • 제7차 및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육 과정 비교 연구

        최홍재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79

        제7차 및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육 과정 비교 연구 최 홍 재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육과정 비교 연구를 통해 상호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안의 기본 방향은 10년간의 국민기본공통 교육과정과 고2, 3학년의 선택중심 교육과정, 수준별 수업, 재량 활동 운영에서는 기본 기조를 유지하였고, 수업시수를 일부 조정하고, 과학역사교육을 강화하고, 단위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을 확대하고,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개선 등이 개정의 주요 내용이다. 둘째, 교육과정 성격 및 교육목표는 큰 차이가 없고 유사하다. 셋째, 내용 체계 및 내용 요소에 따라 두 교육과정을 비교하면, 고 등학교 1학년 과학의 전체적인 내용 체계는 거의 같지만, 물리 영역만을 고려했을 때는 전체적인 내용의 축소나 중학교 과정의 내용이 고등학교 과정으로 조정된 것 등이 변화되었고, ‘물리Ⅰ’에서는 전체적으로 세 개의 영역에서 네 개의 영역으로 확대되었으며, 전체적인 내용은 비슷하나 삭제되거나 추가된 부분들이 있다. ‘물리Ⅱ’에서는전체적으로 세 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이고, 전체적인 내용은 비슷하나 삭제되거나 추가된 부분들이 있다. 넷째, 과학(물리)과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내용을 축소․조정한 것에 관한 문제점, 학교급간에 연계성 있는 교육과정을 적용시키는 것에 관한 문제점,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따른 문제점, 고등학교 2, 3학년의 학생 선택중심 교육과정 문제점 등이 있었고, 그 해결 방안을 살펴보았다. 제7차 및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육과정을 전체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과학과의 전체적인 교육과정에서 부분적으로 개정이 되었고, 물리 교육과정에서는 따로 개정이 된 것은 없는 것으로 보이나, 교과서의 내용이 상당 부분 축소되거나 삭제되었다. A Comparative Study in Educational Curriculum of High School Physic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and the Revised Tentative in 2007 Choi, Hong-Jae Department of Phys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Jeonju University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highschool physics curriculum of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that of the 2007-revised Curriculum were compared and analyzed. Firstly, the 2007-revised Curriculum was maintained the basic principles - such as 10-year-long common curriculum, level-based selective courses for 2nd and 3rd grade high schoolers, and the classes managed by teacher's own decision - , partially change the numbers of assigned lessons per semester, reinforce the history of science contents, give the expanded autonomy on managing process to each local school unit, and advance the selective curriculum of high school. Secondly, there is little difference on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missions betwee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2007-revised one. Thirdly, compared with the 7th Education Curriculum's in terms of the system and elements of contents, 2007-revised one's physics - though they are nearly identical concerning the general system of the common science for highschool freshmen - shrinks the overall contents and absorbs some of the middle-school curriculum into highschool one. Physics Ⅰ adds one area to the former three ones, deleting and supplementing some contents. Physics Ⅱ seems to have almost unchanged structures, maintaining the three existing areas. Fourthly, I figure out several problems in science(physics) Curriculum, such as shrinking and adjusting curricula, applying the flexible curricula among each class, and managing the level-based classes and the selective classes for 2nd and 3rd grade high schoolers. Additionally, I try to find out reasonable solutions on these matt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2007-revised one, overall science curriculum was partially changed but physics curriculum remains relatively unchanged except for trimming and excluding some contents of textbooks.

      • 위기 청소년들을 위한 TIE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사례연구

        박혜원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논 문 요 약 이 연구는 위탁형 대안학교의 중, 고등학교 위기 청소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의 방관 행동을 주제로 교육연극 TIE(theatre in education)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해서 위기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 능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학교폭력 TIE(theatre in education) 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표는 위기 청소년들의 관계 회복이다. 학교생활뿐만 아니라 또래 집단과 가정 등의 각자 속해 있는 크고 작은 사회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교육연극 수업을 통해서 들여다보면서 자기 효능감을 높이고 위기 청소년들에게 부족한 인내심과 무기력함을 벗어던지고 회복탄력성을 높여서 배움에 대한 동기부여와 타인을 이해할 수 있는 공감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공감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교육연극의 한 방법인 TIE(theatre in education)를 활용하여 학교폭력의 방관 행동에 관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위기 청소년들의 공통적인 특징을 적용하여 ‘의미 구성’의 측면에서 바라보고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교육연극의 TIE(theatre in education) 개념과 구성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위기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위기 청소년 대상으로 하는 대안학교의 교육정책에 대해 알아본다. Ⅲ장에서는 TIE 프로그램 <침묵의 그림자>를 설계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등을 설명하고 TIE 공연과 프로그램 주제로 학교폭력의 방관 행동을 주제로 선정하였다. 기존의 교수·학습 모형을 검토하고 TIE 원리에 따라 프로그램의 활동을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도구를 마련하기 위해 학교폭력 의식에 관한 검사 도구와 질적 분석 도구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지도상의 유의점을 생각하며 TIE 프로그램을 수업 현장에 적용하였다. Ⅳ장에서는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도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학교폭력 TIE 프로그램으로 인한 회복탄력성과 공감 능력에 대한 의식변화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기 청소년들에게 의미 구성을 하기 위한 학교폭력 TIE 프로그램 활동을 어떻게 구안할 것인가? 둘째, TIE 프로그램을 활용한 활동은 위기 청소년의 공감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가?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교육연극 수업을 통해서 회복탄력성을 기르고 자기 효능감을 높이며 TIE 프로그램과 학교폭력 방관에 대한 문제 행동 인식이 생겼다. 둘째, TIE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교폭력 예방 활동이 위기 청소년의 타인을 배려하고 이해할 수 있는 공감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 연구는 TIE를 활용하여 학교폭력 예방 수업을 구안하고 위기 청소년들의 공감 능력을 향상하게 하는 시도로서 직, 간접적인 학교폭력 방관 행동에 대해 인식하고 타인을 배려하고 도울 수 있는 마음을 불러일으키고 나와 타인의 관계성에 대한 의미를 구성하는 데 의의가 있다. ※ 주제어 : TIE, 교육연극, 학교폭력, 방관 행동, 회복탄력성, 자기 효능감, 공감 능력, 위기 청소년, 위탁형 대안학교 ※ 본 논문은 2022년 7월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연극 석사학위 논문임.

      • 발명영재교사들의 발명영재교육 입문 동기 및 전문성 신장 노력에 관한 연구

        김현진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발명영재교육의 질적 성장을 목적으로 하여 발명영재교사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들이 어떤 동기로 발명영재교육에 입문하게 되었으며, 발명영재교사로서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하였는지, 나아가 참여자 자신에게 발명영재교육이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발명영재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의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4명 중 3명의 교사들이 발명영재교육에 입문하게 된 첫 번째 동기는 근무지를 옮기면서 주변 사람의 권유에 의한 것이었다. 각 지역 교육지원청 산하의 발명교육센터를 담당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발명영재교육에까지 영역을 확장하게 된 경우이다. 그러나 대부분 자의에 의한 시작이 아니라 남들이 기피하는 발명교육 업무를 맡다가 우연히 시작하게 된 것이었다. 4명 중 1명의 참여자는 스스로 발명교육에 흥미를 느껴 발명교육을 시작했다가 영재교육 붐을 타고 발명분야에서도 영재교육이 대두되자 발명영재교육도 함께 담당하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이 자발적으로 시작하지도 않은 발명영재교육을 이들이 수년째 계속하고 있는 이유는 발명이 가지는 매력, 자신의 업무에 대한 의무감, 아이들에게 발명을 지도하면서 느끼는 보람이나 재미, 가산점이나 상 등의 실리적인 혜택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들은 발명영재들을 지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하였다. 항상 발명교육을 염두에 두고 생활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고 여러 가지 연수를 수강하거나 발명과 관련된 콘텐츠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발명교사들의 모임에 참석하여 지식을 공유하기도 하였다. 나아가 더 심도 깊은 연구를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여 영재교육을 전공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자 각자에게 발명영재교육이 가지는 의미 역시 다양하였다. 참여 교사 중 한 명은 발명영재교육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흥미로운 교육활동이라서 그것에 매진하는 즐거움을 느끼고 있었고, 다른 교사들은 아이들에게 참신한 경험을 주는 보람,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기르는 교육이라는 자부심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한 참여교사는 발명교육에 큰 열정을 가지고 있었으나 아쉬운 점도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가 발명을 가르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는, 생활 속에서 지속적으로 지도하는 방법이 영재교육원 사정상 불가능하기 때문이었다. 영재교육원의 운영 방침에 따라 일주일에 한 번, 많아야 7-8회의 수업에 그쳐야만 하는 한계 때문에 효율적인 지도가 어려운 점을 아쉽게 생각하였다. 또 발명영재교육에 대한 교육적 의지 없이 강사비만 바라고 무성의한 태도로 지도하는 교사들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도 있다고 응답하였다.

      • 초등교원 임용고사에 대한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인식

        오영식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79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analysis students' attitude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oward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herefore thes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set up. First, attitude toward application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cond, attitude toward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competition rate Third, attitude toward first test and second test Fourth, attitude toward university grade and current incentive points Fifth, attitude toward separate recruiting by region and separate recruiting by gender Based on previous research, a 28 questions survey has been made with advises from guiding professor to solve those problem up there. 600 students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Jeollanamdo, Jeollabukdo, Chungchungnamdo have taken the survey,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by the question have been set up. First, attitude toward application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as follows : Students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nk primary factor such as employment stabilization, persuasion, working better than mission of education, showing their talent. Second, attitude toward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competition rate were as follows :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competition rate is below 1.2:1. This is below another career competition rate, but the group is same quality. for this reason 1.2:1 competition is not low competition rate.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competition rate is imposed a burden on many stude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must have conversation with students. Because reasonable competition rate is necessary for the negotiation. Third, attitude toward first test and second test were as follows : At the first test, important subject is curriculum of education.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need a necessary conditions that are talent, specialty. Current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is necessary for suitability, justice, objectivity at the evaluation At the first test, pedagogy and curriculum of education are preserved the present state of allotted points, problem amounts, test styles. Because transformation has confusion. Curriculum of education is necessary for test style, problem amounts. At the second test, essay writing examination, interview, practical examination are preserved the present state of evaluative field. Allotted points, test styles are standardized because regional different test styles and regional different allotted points are caused confusion at the second test. The second test must have justice and objectivity. Fourth, attitude toward university grade and current incentive points were as follows : University grade is preserved the present state. Incentive points are standardized at all region. Regional incentive point is necessary for reduction and standardization. Fifth, attitude toward separate recruiting by region and separate recruiting by gender were as follows : Regional recruiting opinion is negative response. The Ministry of Education are necessary for project and system avoid regional partial examinee. As situation of disproportional female teachers, female students want the present state but male students want expansion of male teachers. regional and gender separate recruiting is produced different response. 본 연구는 초등교원 임용고사에 대한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인식 실태를 조사·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육대학교 지원 동기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교원 임용고사의 적정 경쟁률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가? 셋째, 1차 시험과 2차 시험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가? 넷째, 대학성적반영과 현행 가산점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가? 다섯째, 소재지별 모집과 성별 분할 모집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지도교수의 조언을 얻어 28문항의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이를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에 소재한 교육대학교 재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연구문제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교 지원 동기에 대한 의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대학교에 진학하는 학생들은 교직에 대한 사명감, 재능의 발휘 등과 같은 교육이 가지고 있는 내재적 요인보다는 직업의 안정성, 주위의 권유, 취업이 잘 되어서 등과 같은 교육이 가지고 있는 외재적 요인에 의해 지원 동기가 결정되었다. 둘째, 초등교원 임용고사의 적정 경쟁률에 대한 의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른 직업에 응시하는 경쟁률에 비하면 낮은 경쟁률이지만, 교육대학교에 진학하는 학생은 동질 집단 학생이라는 것을 감안할 때 상당히 높은 경쟁률이다. 따라서 많은 학생들이 경쟁률을 의식하며 부담을 갖고 응답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초등교원 임용고사의 경쟁률은 1.2:1 이하를 원하는 응답이 50% 이상을 이루었다. 셋째, 1차 시험과 2차 시험에 대한 의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 시험에서 중요한 과목은 배점이 많은 교육과정으로 나타났으며, 임용고사가 평가하는 영역에서 교원의 자질, 전문성, 재능을 중시하고 있지만, 평가의 적합성, 공정성, 객관성을 마련해야 하고, 현재 이루어지는 임용고사의 평가는 적정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1차 시험의 교육학과 교육과정은 시험 유형에 대하여 배점, 문항수, 출제 방식은 현재 상태를 유지하자는 의견이 많았다. 교육과정의 경우는 출제방식을 객관식을 포함하는 형태로 원하고 있었다. 2차 시험에서 실시하는 논술, 면접, 실기의 경우 평가해야할 영역에서 현행 유지에 많은 응답을 하였다. 2차 시험의 경우에는 지역마다 시험 유형은 동일화 할 필요가 있으며, 가능하다면 배점도 동일화해야 하는 응답이 많았다. 1차 시험과 2차 시험 중에 1차 시험이 공정성과 객관성을 많이 확보한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대학성적반영과 현행 가산점에 대한 의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용고사에 반영하는 대학성적반영은 현행유지의 응답이 많았지만, 가산점의 경우에는 가산점의 기준을 전국적으로 동일화 하자는 응답이 많았다. 임용시험에 반영하고 있는 지역 가산점의 경우에도 축소하자는 의견을 포함해서 동일화 하자는 응답이 많았다. 다섯째, 소재지별 모집과 성별 분할 모집에 대한 의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교원 임용고사에서 지역별, 성별 수급 계획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모집 방식으로 소재지별 모집에 대한 의견에 대하여 부정적인 응답이 많았다. 여교사의 편중현상에 대하여 여학생은 현행 유지에 남학생은 남교사 확충에 많이 응답하였고, 교육대학 입학의 과정에서도 남녀 분할 모집에 관해 남녀가 서로 다른 입장의 응답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원을 양성하는 과정인 교육대학교 재학 기간에 학생들의 지원동기를 생각하는 교육과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초등교원 임용고사의 실시에 있어서 학생들의 의견이 반영되는 과정을 거쳐 적정한 경쟁률을 유지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임용고사의 실시 기관은 평가 결과를 수험자가 수긍할 수 있도록 적합성, 공정성, 객관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의 경우는 출제방식을 객관식을 포함하는 형태로 해야 할 것이다. 2차 시험의 경우에는 지역마다 유형과 배점이 달라서 준비하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시험 유형과 배점을 동일화 할 것이다. 현행 2차 시험을 실시함에 있어서 시험결과 평가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셋째, 초등교원 임용고사에서 활용하고 있는 현행 가산점은 전국적으로 동일화하여 혼동을 축소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교육 당국은 적정한 제도로서 지역별로 편중되는 응시인원을 고려하여 왜곡 되지 않은 초등교원 수급계획을 세워야 하며, 교사 선발 및 교대 신입생 선발에 대해서도 남녀 분할 모집에 관해 남녀가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지고 있어 서로의 이해관계를 해결할 수 있는 장기적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